KR20140116412A - 정현파형 크러시 캔 조립체 - Google Patents

정현파형 크러시 캔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16412A
KR20140116412A KR1020147019586A KR20147019586A KR20140116412A KR 20140116412 A KR20140116412 A KR 20140116412A KR 1020147019586 A KR1020147019586 A KR 1020147019586A KR 20147019586 A KR20147019586 A KR 20147019586A KR 20140116412 A KR20140116412 A KR 201401164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ush
assembly
sinusoidal
wall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195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수레쉬 알. 케일
산토쉬 빌러
프라샨트 지. 카다바디
Original Assignee
마그나 인터내셔널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그나 인터내셔널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마그나 인터내셔널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401164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64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24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 B60R19/26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comprising yieldable mounting means
    • B60R19/34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comprising yieldable mounting means destroyed upon impact, e.g. one-shot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18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Means within the bumper to absorb impa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 Making Paper Articles (AREA)
  • Delivering By Means Of Belts And Roll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범퍼 조립체용 정현파형 크러시 캔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대체로 튜브형과 사다리꼴 형상을 제공하기 위해 상부 벽, 상부 벽으로부터 이격되는 하부 벽, 및 상부 벽과 하부 벽 사이에서 연장되는 한 쌍의 이격된 측벽을 포함한다. 크러시 캔 조립체는 후방 단부로부터 전방 단부 쪽으로 각각의 벽들을 따라 배치되는 정현파형부를 더 포함한다. 각각의 파형부들은 정현파 깊이를 갖는 피크들과 홈들을 포함하고, 정현파 깊이는 전방 단부로부터 후방 단부쪽으로 점진적으로 감소한다. 피크들과 홈들은 서로 각각 정렬된다. 크러시 캔 조립체는 각각의 벽들을 따라 배치되는 각각의 정현파형부들 사이를 연결하기 위해, 인접한 정현파형부들 사이에서 각지게 연장되는 정현파형 분리기를 더 포함한다.

Description

정현파형 크러시 캔 조립체 {SINUSOIDAL CRUSH CAN ASSEMBLY}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이 PCT 특허 출원은 2012년 1월 18일에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1/587,820호의 혜택을 주장하고, 그 출원의 전체 기재 내용은 본원의 기재 내용의 일부로 간주되며, 인용에 의해 본원에 포함된다.
기술 분야
본 발명은 범퍼 조립체용 정현파형 크러시 캔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AZT와 IIHS의 저속 충돌 테스트 요건을 100% 충족시키도록 설계된 범퍼 조립체들은 일반적으로 크러시 이니시에이터 비드를 갖는 크러시 캔을 이용한다. 충돌 동안, 크러시 캔은 크러시 캔 상의 편평한 벽들이 좌굴을 시작하기 전에 비드에서 좌굴된다. 이러한 크러시 캔으로 좌굴 시퀀스를 제어하는 것은 어렵다. 게다가, 조립체 용접 요건들 때문에, 크러시 캔 상에 제공될 수 있는 비드의 수에 제한이 있다. 또한, 편평한 벽들을 갖는 크러시 캔은 완전히 붕괴되지 않아서, 충돌 에너지가 비교적 덜 효과적으로 흡수되고 재료 활용이 적다.
본 발명은 자동차 범퍼 조립체용 정현파형 크러시 캔 조립체를 제공한다. 크러시 캔 조립체는 상부 벽, 상부 벽으로부터 이격되는 하부 벽, 및 상부 벽과 하부 벽 사이에서 연장되는 한 쌍의 이격된 측벽을 포함한다. 상부 벽, 하부 벽, 및 한 쌍의 측벽은 전방 단부와 후방 단부 사이에서 각각 연장된다. 크러시 캔 조립체는 상부 벽, 하부 벽, 및 한 쌍의 측벽을 따라 각각 배치되는 정현파형부를 더 포함한다. 각각의 정현파형부는 크러시 캔 조립체의 후방 단부로부터 전방 단부쪽으로 연장된다. 각각의 정현파형부들은 복수의 피크와 복수의 홈을 포함한다. 상부 벽, 하부 벽, 및 한 쌍의 측벽을 따라 각각 배치되는 피크와 홈들은 서로 각각 정렬된다. 크러시 캔 조립체는 인접한 정현파형부들 사이에서 각지게 연장되는 파형부 분리기를 더 포함한다. 파형부 분리기들은 상부 벽, 하부 벽, 및 한 쌍의 측벽을 따라 각각 배치되는 각각의 정현파형부들 사이를 연결한다.
본 발명의 크러시 캔 조립체는 자동차용 범퍼 조립체에서 이용될 수 있다. 범퍼 조립체는 자동차에 가해지는 충격을 최초로 흡수하기 위해 자동차에 고정되는 범퍼 빔을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크러시 캔 조립체가 자동차에 범퍼 빔을 고정하는데 이용된다. 크러시 캔 조립체의 전방 단부는 범퍼 빔과 결합되고 크러시 캔 조립체의 후방 단부는 자동차와 결합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양태들의 여러 이점들은 크러시 캔 조립체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면서 크러시 캔 조립체가 더 가벼워진다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크러시 캔 조립체에 중첩되는 용접을 또한 회피한다. 게다가, 크러시 캔 조립체는 더 많은 크러싱이 크러시 캔 조립체에서, 더 구체적으로는 크러시 캔 조립체의 전방 단부에서 발생하는 것을 허용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이점들은 첨부 도면과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하여 고려될 때 더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한 쌍의 크러시 캔 조립체와 그것에 고정되는 범퍼 빔을 갖는 범퍼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크러시 캔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크러시 캔 조립체의 분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크러시 캔 조립체의 전방 단부로부터 크러시 캔 조립체의 후방 단부까지의 정현파 깊이 변화를 도시하는 크러시 캔 조립체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크러시 캔 조립체의 전방 단부로부터 크러시 캔 조립체의 후방 단부까지의 정현파 깊이 변화를 도시하는 크러시 캔 조립체의 상부도이다.
도 5a는 도 3의 수평 평면 A-A를 따라 취한 본 발명에 따른 크러시 캔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5b는 도 3의 수평 평면 B-B를 따라 취한 본 발명에 따른 크러시 캔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5c는 도 3의 수평 평면 C-C를 따라 취한 본 발명에 따른 크러시 캔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수직 평면 D-D를 따라 취한 본 발명에 따른 크러시 캔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른 보강 비드를 갖는 내부 격벽을 도시하는 크러시 캔 조립체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보강 비드를 갖는 내부 격벽을 도시하는 크러시 캔 조립체의 부분 평면도이다.
도 7c는 도 7b의 라인 C-C를 따라 취한 내부 격벽을 도시하는 크러시 캔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면들을 참조하면, 유사한 도면들은 여러 도면들 전체를 걸쳐 대응 부분들을 지칭하고, 자동차 범퍼 조립체(24)용 정현파형 크러시 캔 조립체(20)가 대체로 도시된다.
도 1은 본 발명을 이용하는 범퍼 조립체(24)를 도시한다. 범퍼 조립체(24)는 적어도 하나의 크러시 캔 조립체(20)와, 그것에 고정되는 범퍼 빔(26)을 포함한다. 범퍼 빔(26)은 자동차에 가해지는 충격을 최초로 흡수하기 위해 자동차에 고정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범퍼 조립체(24)는 한 쌍의 크러시 캔 조립체(20)를 포함한다. 예시적인 실시예는 한 쌍의 크러시 캔 조립체(20)를 도시하지만, 어떠한 개수의 크러시 캔 조립체(20)도 이용될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의 크러시 캔 조립체(20)는 자동차 범퍼 조립체(24)를 참조하여 설명되지만, 충격 흡수를 위해 크러시 캔 조립체(20)들을 이용하는 모든 시스템이 본 발명에 따른 크러시 캔 조립체(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는 크러시 캔 조립체(20)의 구성 요소들을 도시한다. 크러시 캔 조립체(20)는 상부 크러시 캔(28), 하부 크러시 캔(30), 내부 격벽(32), 및 범퍼 장착 플레이트(34)를 포함할 수 있다. 크러시 캔 조립체(20)는 범퍼 빔(26)과 결합되고 대체로 튜브형이고 사다리꼴 형상이다. 내부 격벽(32)은 내부 격벽 상부(36)와 내부 격벽 하부(38)를 포함한다.
하부 크러시 캔(30)과 상부 크러시 캔(28)은 서로 결합되어 튜브형 크러시 캔 조립체(20)를 형성한다. 튜브형 크러시 캔 조립체(20)는 상부 벽(40), 상부 벽(40)으로부터 이격되는 하부 벽(42), 및 상부 벽(40)과 하부 벽(42) 사이에서 연장되는 한 쌍의 이격된 측벽(44)을 포함한다. 각각의 벽(40, 42, 44)들은 전방 단부(46)로부터 후방 단부(48)까지 연장되고 전방 단부(46)와 후방 단부(48) 사이에 배치되는 정현파형부(50)를 갖는다. 크러시 캔 조립체(20)의 전방 단부(46)는 후방 단부(48)의 직경보다 작다. 즉, 크러시 캔 조립체(20)는 크러시 캔 조립체(20)의 후방 단부(48)로부터 전방 단부(46)쪽으로 안쪽으로 테이퍼진다. 상부 벽(40)과 하부 벽(42)은 한 쌍의 측벽(44)들 사이에서 전방 단부(46)를 따라 경사질 수 있다.
각각의 벽(40, 42, 44)들은 전방 단부(46)와 후방 단부(48) 사이에 배치되는 중간부(52)를 더 포함한다. 크러시 캔 조립체(20)의 전방 단부(46)는 범퍼 빔(26)과 결합되는 단부이고, 후방 단부(48)는 범퍼 조립체(24)가 부착되는 자동차와 결합되는 단부이다. 범퍼 장착 플레이트(34)는 크러시 캔 조립체(20)의 단부(48)에 고정되어 크러시 캔 조립체(20)를 자동차에 장착시킨다.
크러시 캔 조립체(20)의 상부 크러시는 대체로 U-형상이다. 상부 크러시 캔(28)은 상부 벽(40)과 한 쌍의 측벽(44) 각각의 일부를 형성한다. 하부 크러시 캔(30)은 상부 크러시 캔(28)과 결합되어 크러시 캔 조립체(20)의 형상을 형성한다. 하부 크러시 캔(30)은 U-형상이고 하부 벽(42)과 한 쌍의 측벽(44) 각각의 잔여부를 형성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하부 크러시 캔(30)은 상부 크러시 캔(28)에 용접되어 크러시 캔 조립체(20)의 형상을 형성한다.
크러시 캔 조립체(20)는 독립된 상부 크러시 캔(28)과 하부 크러시 캔(30)을 포함할 수 있고, 상부 크러시 캔(28)과 하부 크러시 캔(30)은 하이드로 포밍 공정에 의해 단일 부품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부 크러시 캔(28)과 하부 크러시 캔(30)의 두께를 변경함으로써 내부 격벽(32)이 제거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는 상부 벽(40)과 측벽(44) 중 하나에 형성된 정현파형부(50)를 더 도시한다. 정현파형부(50)는 상부 벽(40), 하부 벽(42), 및 한 쌍의 측벽(44)을 따라 각각 배치된다. 각각의 정현파형부(50)는 후방 단부(48)로부터 전방 단부(46)쪽으로 연장되고, 크러시 캔 조립체(20)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피크(54)와 크러시 캔 조립체(20) 내로 안쪽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홈(56)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각각의 정현파형부(50)는 복수의 피크(54)와 홈(56)을 포함한다. 피크(54)는 홈(56)들 중 하나에 의해 인접한 피크(54)로부터 각각 이격된다.
각각의 정현파형부(50)들의 적어도 하나의 피크(54)와 적어도 하나의 홈(56)은 정현파 깊이(D)를 갖는다. 상부 벽(40)을 따르는 정현파형부(50)의 정현파 깊이(D)가 도 3에서 도시된다. 제1 라인(L1)은 각각의 피크(54)들에 접하게 배치되고, 제2 라인(L2)은 각각의 홈(56)들에 접하게 배치되고, 정현파 깊이(D)는 제1 라인(L1)과 제2 라인(L2) 사이의 거리와 동일하다. 예를 들어, 각각의 피크(54)에서의 정현파 깊이(D)는 각각의 피크(54)에서의 제1 라인(L1)과 제2 라인(L2) 사이의 거리와 동일하고, 각각의 홈(56)에서의 정현파 깊이(D)는 각각의 홈(56)에서의 제1 라인(L1)와 제2 라인(L2) 사이의 거리와 동일하다.
각각의 벽(40, 42, 44)들은 바람직하게 동일한 개수의 피크(54)들과 동일한 개수의 홈(56)들을 포함한다. 상부 벽(40), 하부 벽(42), 및 한 쌍의 측벽(44)을 따라 각각 배치되는 피크(54)들과 홈(56)들은 서로 정렬된다. 전방 단부(46)에 가장 가까운 상부 벽(40)을 따라 배치되는 피크(54)는 전방 단부(46)에 가장 가까운 하부 벽(42) 따라 배치되는 피크(54)와 전방 단부(46)에 가장 가까운 측벽(44)들을 따라 배치되는 피크(54)들과 정렬된다. 후방 단부(48)에 가장 가까운 상부 벽(40)을 따라 배치되는 피크(54)는 후방 단부(48)에 가장 가까운 하부 벽(42)을 따라 배치되는 피크(54)와 후방 단부(48)에 가장 가까운 측벽(44)들을 따라 배치되는 피크(54)들과 정렬된다.
도 2a에서 도시된 것처럼, 각각의 벽(40, 42, 44)들의 정현파형부(50)는 파형부 분리기(58)에 의해 인접한 정현파형부(50)에 연결된다. 파형부 분리기(58)는 인접한 정현파형부(50)들 사이에서 각지게 연장되어 상부 벽(40), 하부 벽(42) 및 한 쌍의 측벽(44)을 따라 각각 배치되는 정현파형부(50)들 사이를 연결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파형부 분리기(58)는 크러시 캔 조립체(20)의 인접한 벽(40, 42, 44)들 사이에서 45°각도로 연장된다.
각각의 피크(54) 및 홈(56)에서의 정현파형부(50)의 정현파 깊이(D)는 원하는 섹션 힘과 크러시 캔 붕괴 시퀀스를 달성하기 위해 변경될 수 있다. 충돌 동안, 충돌의 초기 단계에서 충격 에너지를 흡수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것을 달성하기 위해, 크러시 캔 조립체(20)의 붕괴 시퀀스는 전방 단부(46)에서 발생되고, 그 후에 중간부(52)에서, 잇달아 후방 단부(48)에서 일어나야 한다. 크러시 캔 조립체(20)의 중간부(52)는 후방 단부(48)보다 연성이고, 전방 단부(46)는 중간부(52)보다 연성이어야 한다. 이것을 달성하기 위해, 정현파형부(50)는 크러시 캔 조립체(20)의 전방 단부(46)에서 더 깊게 만들어지고, 정현파 깊이(D)는 크러시 캔 조립체(20)의 후방 단부(48)쪽으로 점진적으로 감소한다. 이는 크러시 캔 조립체(20)가 원하는 시퀀스로 크러싱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각각의 벽(40, 42, 44) 상의 정현파형부(50)는 벽(40, 42, 44)들이 완전히 크러싱되는 것을 돕고 의도된 방향으로 크러싱이 발생하는 것을 허용한다.
도 3은 측벽(44)들 중 하나와 상부 벽(40)을 따라 크러시 캔 조립체(20)의 전방 단부(46)로부터 크러시 캔 조립체(20)의 후방 단부(48)까지의 정현파형부(50)의 정현파 깊이(D) 변화를 도시한다. 도 3에서 도시된 구조를 기반으로, 크러시 캔 조립체(20)의 전방 단부(46)는 후방 단부(48)보다 더 크러싱가능하다. 도 4는 상부 벽(40)과 측벽(44)들을 따라 크러시 캔 조립체(20)의 전방 단부(46)로부터 크러시 캔 조립체(20)의 후방 단부(48)까지의 정현파형부(50)의 정현파 깊이(D) 편차를 도시한다. 또한, 도 4는 상부 벽(40)과 측벽(44)들에서 형성되는 정현파형부(50)의 정렬을 도시한다. 바람직한 형태에서, 상부 벽(40)과 측벽(44)들에 형성되는 정현파형부(50)는 정렬된다. 이러한 정현파형부(50) 정렬은 크러시 캔 조립체(20)의 향상된 크러싱에 도움이 된다.
도 5a, 도 5b, 및 도 5c는 크러시 캔 조립체(20)의 수평 평면을 통한 상이한 위치들에서의 크러시 캔 조립체(20)의 단면들을 도시한다. 도 6은 크러시 캔 조립체(20)의 수직 중앙면을 통한 크러시 캔 조립체(20)의 단면을 도시한다.
크러시 캔 조립체(20)는 내부 격벽 상부(36)와, 내부 격벽 상부(36)로부터 이격되는 내부 격벽 하부(38)를 갖는 내부 격벽(32)를 포함한다. 도 6에서 도시된 것처럼, 내부 격벽 상부(36)와 내부 격벽 하부(38) 양자 모두는 U-형상이고 격벽 후방(62a, 62b)과 격벽 전방(64a, 64b) 사이에서 연장되는 편평부(60a, 60b)를 포함한다. 격벽 후방(62a, 62b)은 크러시 캔 조립체(20)의 후방 단부(48)와 정렬되고 격벽 전방(64a, 64b)은 크러시 캔 조립체(20)의 전방 단부(46)로부터 안쪽으로 배치된다.
각각의 내부 격벽 상부(36)와 내부 격벽 하부(38)와 한 쌍의 에지부(66a, 66b). 에지부(66a, 66b)들은 편평부(60a, 60b)의 측면들 각각으로부터 에지 단부(68a, 68b)까지 연장된다. 내부 격벽 상부(36)와 내부 격벽 하부(38)는 한 쌍의 에지부(66a, 66b)들 사이의 편평부(60a, 60b)들을 따라 각각 경사질 수 있다. 조립될 때, 내부 격벽 상부(36)의 에지 단부(68a)는 내부 격벽 하부(38)의 에지 단부(68b)와 대면하지만 이격된다.
내부 격벽 상부(36)는 상부 크러시 캔(28)의 내부면과 결합한다. 내부 격벽 상부(36)의 에지부(66a)는 한 쌍의 측벽(44)의 형상과 일치한다. 즉, 에지부(66a)는 상부 크러시 캔(28)의 측벽(44)들의 정현파형부(50)에 대응하도록 형성된 정현파형을 갖는다. 내부 격벽 하부(38)는 하부 크러시 캔(30)의 내부면과 결합된다. 내부 격벽 하부(38)의 에지부(66b)는 한 쌍의 측벽(44)의 형상과 일치한다. 즉, 에지부(66b)들은 하부 크러시 캔(30)의 측벽(44)의 정현파형부(50)에 대응하도록 형성된 정현파형을 갖는다.
도 2b, 도 6, 도 7a, 도 7b, 및 도 7c의 실시예에서, 내부 격벽 상부(36)는 내부에 형성되는 보강 비드(stiffening bead)(70a)를 갖는다. 보강 비드(70a)는 내부 격벽 상부(36)의 외부면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되고 내부 격벽 상부(36)의 후방 단부(48)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보강 비드(70a)는 크러시 캔 조립체(20)의 후방 단부(48)가 전방 단부(46)보다 더 강성을 갖게 하기 위해 이용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보강 비드 길이는 내부 격벽 상부(36)의 약 50%이다.
도 7a, 도 7b, 및 도 7c의 보강 비드(70a)는 내부 격벽 상부(36)을 참조하여 도시되었으나, 내부 격벽 하부(38) 또한 크러시 캔 조립체(20)의 후방 단부(48)가 전방 단부(46)보다 더 강성을 갖게 하기 위해 보강 비드(70b)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6의 실시예에서, 내부 격벽 상부(36)와 내부 격벽 하부(38) 양자 모두는 보강 비드(70a, 70b)를 포함한다. 내부 격벽 하부(38)의 보강 비드(70b)는 내부 격벽 하부(38)의 외부면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되고 내부 격벽 하부(38)의 후방 단부(48)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보강 비드 길이는 내부 격벽 하부(38)의 길이의 약 50%이다.
도 7c는 보강 비드(70a)의 비드 깊이(H)와 에지 반경(R)을 도시한다. 비드 깊이(H)는 보강 비드(70a)가 내부 격벽 상부(36) 또는 내부 격벽 하부(38) 중 하나의 외부면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거리를 측정한다. 에지 반경(R)은 보강 비드(70a)의 곡률을 측정한다.
추가하여, 상기 논의는 단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기재하고 설명한다. 당해 기술 분야의 숙련자는 이러한 논의로부터, 그리고 첨부 도면들과 특허청구범위로부터,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변형들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된 본원의 사상과 범주를 벗어나지 않고 이루어질 수 있음을 쉽게 인식할 것이다.

Claims (20)

  1. 범퍼 조립체용 정현파형 크러시 캔 조립체이며,
    상부 벽, 상기 상부 벽으로부터 이격되는 하부 벽, 및 상기 상부 벽과 상기 하부 벽 사이에서 연장되는 한 쌍의 이격된 측벽 - 각각의 벽은 전단부와 후단부 사이에서 연장됨 -;
    상기 상부 벽, 상기 하부 벽, 및 상기 한 쌍의 측벽을 따라 각각 배치되고 상기 후단부와 상기 전단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정현파형부로서, 각각의 상기 정현파형부들은 적어도 하나의 피크와 적어도 하나의 홈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벽, 상기 하부 벽, 및 상기 한 쌍의 측벽을 따라 각각 배치되는 상기 피크들과 상기 홈들은 각각 정렬되는, 정현파형부; 그리고
    상기 상부 벽, 상기 하부 벽, 및 상기 한 쌍의 측벽을 따라 각각 배치되는 상기 정현파형부들 사이를 연결하기 위해 인접한 상기 정현파형부들 사이에서 각지게 연장되는 파형부 분리기를 포함하는
    정현파형 크러시 캔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U-형상이며 상부 벽과 상기 한 쌍의 측벽 각각의 일부를 형성하는 상부 크러시 캔과, 상기 크러시 캔 조립체가 대체로 튜브형과 사다리꼴 형상 갖도록 상부 크러시 캔과 결합되는 하부 크러시 캔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부 크러시 캔은 U-형상이며 상기 하부 벽과 상기 한 쌍의 측벽 각각의 잔여부를 형성하는
    정현파형 크러시 캔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크러시 캔의 내부면과 결합하는 내부 격벽 상부와 상기 하부 크러시 캔의 내부면과 결합하고 상기 내부 격벽 상부로부터 이격되는 내부 격벽 하부를 갖는 내부 격벽을 더 포함하고, 각각은 U-형상이며 격벽 후방과 격벽 전방 사이에서 연장되고 편평부와 한 쌍의 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에지부는 상기 편평부의 측면들로부터 에지 단부까지 각각 연장되는
    정현파형 크러시 캔 조립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격벽 상부와 상기 내부 격벽 하부 중 적어도 하나 상에 배치되고, 상기 크러시 캔 조립체의 상기 후방 단부를 보강하기 위해 상기 편평부의 외부면으로부터 바깥으로 상기 격벽 후방에 인접하여 연장되는 보강 비드를 더 포함하는
    정현파형 크러시 캔 조립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격벽 상부와 상기 내부 격벽 하부 양자 모두는 상기 보강 비드를 포함하는
    정현파형 크러시 캔 조립체.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비드는 보강 비드 길이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 격벽 상부와 상기 내부 격벽 하부 중 적어도 하나는 격벽 길이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 비드 길이는 상기 격벽 길이의 약 50%인
    정현파형 크러시 캔 조립체.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비드는 상기 보강 비드가 상기 편평부의 외부면으로부터 바깥으로 연장되는 거리와 동일한 비드 깊이와, 상기 보강 비드의 곡률을 측정하는 에지 반경을 포함하는
    정현파형 크러시 캔 조립체.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격벽 상부와 상기 내부 격벽 하부는 상기 한 쌍의 에지부들 사이의 상기 편평부를 따라 경사진
    정현파형 크러시 캔 조립체.
  9. 제3항에 있어서,
    내부 격벽 상부의 상기 에지 단부들은 상기 내부 격벽 하부의 상기 에지 단부들과 대면하는
    정현파형 크러시 캔 조립체.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격벽 상부와 상기 내부 격벽 하부의 상기 에지부들은 상기 측벽 쌍의 형상에 대응하는
    정현파형 크러시 캔 조립체.
  1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격벽 상부와 상기 내부 격벽 하부 각각의 상기 격벽 전방부들은 상기 크러시 캔 조립체의 상기 전방 단부로부터 안쪽으로 배치되는
    정현파형 크러시 캔 조립체.
  12. 제1항에 있어서,
    내부 격벽 상부와, 상기 내부 격벽 상부로부터 이격되는 내부 격벽 하부를 갖는 내부 격벽을 더 포함하고, 각각은 U-형상이며, 격벽 후방부와 격벽 전방부 사이에서 연장되고, 편평부와 한 쌍의 에지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에지부는 상기 한 쌍의 측벽의 내부면과 결합하기 위해 상기 편평부의 측면들로부터 에지 단부까지 각각 연장되는
    정현파형 크러시 캔 조립체.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현파형부들은 정현파 깊이를 각각 갖고, 상기 정현파 깊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피크에 접하는 제1 라인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홈에 접하는 제2 라인 사이의 거리와 동일하고, 상기 정현파 깊이는 상기 크러시 캔 조립체의 상기 후방 단부 부근보다 상기 크러시 캔 조립체의 상기 전방 단부 부근에서 더 큰
    정현파형 크러시 캔 조립체.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정현파 깊이는 상기 상부 벽, 상기 하부 벽, 및 상기 한 쌍의 측벽을 따라 상기 크러시 캔 조립체의 상기 전방부로부터 상기 후방 단부쪽으로 각각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정현파형 크러시 캔 조립체.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현파형 분리기들은 인접한 상기 정현파형부들 사이에서 45°각도로 각지게 각각 연장되는
    정현파형 크러시 캔 조립체.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단부는 상기 한 쌍의 측벽들 사이에서 상기 상부 벽과 상기 하부 벽을 따라 경사진
    정현파형 크러시 캔 조립체.
  17.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피크들은 상기 상부 벽, 상기 하부 벽, 및 상기 한 쌍의 측벽 각각으로부터 바깥으로 연장되고, 각각의 상기 홈들은 상기 상부 벽, 상기 하부 벽, 및 상기 한 쌍의 측벽 각각의 안쪽으로 연장되는
    정현파형 크러시 캔 조립체.
  18. 자동차용 범퍼 조립체이며,
    자동차에 가해지는 충격을 초기에 흡수하기 위해 상기 자동차에 고정되는 범퍼 빔;
    상기 범퍼 빔과 결합하고 상부 벽, 상기 상부 벽으로부터 이격되는 하부 벽, 및 상기 상부 벽과 상기 하부 벽 사이에서 연장되는 한 쌍의 이격된 측벽들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크러시 캔 조립체로서, 상기 범퍼 빔과 결합하기 위한 전방 단부와 상기 자동차와 결합하기 위한 후방 단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크러시 캔 조립체;
    상기 상부 벽, 상기 하부 벽, 및 상기 한 쌍의 측벽을 따라 각각 배치되고 상기 후방 단부와 상기 전방 단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정현파형부로서, 각각의 상기 정현파형부들은 적어도 하나의 피크와 적어도 하나의 홈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벽, 상기 하부 벽, 및 상기 한 쌍의 측벽 각각을 따라 배치되는 상기 피크들과 상기 홈들은 각각 정렬되는, 정현파형부; 그리고
    상기 상부 벽, 상기 하부 벽, 및 상기 한 쌍의 측벽을 따라 각각 배치되는 상기 정현파형부들 사이를 연결하기 위해 인접한 상기 정현파형부들 사이에서 각지게 연장되는 파형부 분리기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범퍼 조립체.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범퍼 빔과 결합하는 복수의 상기 크러시 캔 조립체들을 더 포함하는
    범퍼 조립체.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크러시 캔 조립체를 상기 자동차에 고정하기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크러시 캔 조립체의 상기 후방 단부와 결합하기 위한 범퍼 장착 빔을 더 포함하는
    범퍼 조립체.
KR1020147019586A 2012-01-18 2013-01-10 정현파형 크러시 캔 조립체 KR2014011641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261587820P 2012-01-18 2012-01-18
US61/587,820 2012-01-18
PCT/CA2013/000017 WO2013106905A1 (en) 2012-01-18 2013-01-10 Sinusoidal crush can assembl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6412A true KR20140116412A (ko) 2014-10-02

Family

ID=487984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9586A KR20140116412A (ko) 2012-01-18 2013-01-10 정현파형 크러시 캔 조립체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9233658B2 (ko)
EP (1) EP2804787B1 (ko)
JP (1) JP6023820B2 (ko)
KR (1) KR20140116412A (ko)
CN (1) CN104066625B (ko)
CA (1) CA2860984A1 (ko)
MX (1) MX351217B (ko)
RU (1) RU2015113472A (ko)
WO (1) WO201310690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0271A (ko) * 2014-11-20 2016-05-3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크래쉬박스 및 그 조립방법
EP3219589B1 (en) * 2014-12-22 2020-09-16 Nippon Steel Corporation Structural member
SE541585C2 (en) * 2016-11-22 2019-11-12 Gestamp Hardtech Ab Bumper beam
US11299117B2 (en) * 2017-04-03 2022-04-12 City University Of Hong Kong Energy absorbing device
US10330168B2 (en) * 2017-05-11 2019-06-2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Bi-rectangular vehicle beam with cellular structure
IT201700111991A1 (it) 2017-10-05 2019-04-05 Srt S R L Elemento ad assorbimento d’urto metallico per un veicolo a motore e relativo metodo di produzione
CN109835289A (zh) * 2017-11-28 2019-06-04 财团法人金属工业研究发展中心 冲击吸能装置
CN107953847B (zh) * 2017-11-29 2020-07-21 东风汽车有限公司 吸能盒
US20190264769A1 (en) * 2018-02-27 2019-08-29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Composite energy-absorbing assembly having discrete energy-absorbing elements supported by a carrier plate
CN108944761A (zh) * 2018-08-21 2018-12-07 苏州达美特汽车技术有限公司 一种汽车吸能盒及汽车
BR202018070682U2 (pt) * 2018-10-08 2020-04-28 Aethra Sist Automotivos S/A disposição aplicada em para-choque de veículos automotores
FR3126368A1 (fr) * 2021-08-24 2023-03-03 Psa Automobiles Sa Dispositif d’absorption d’énergie pour un système d’absorption de chocs pour véhicule automobile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314905B4 (de) * 2003-04-01 2004-12-30 Benteler Automobiltechnik Gmbh Stoßfängersystem für engen Bauraum
DE10321766A1 (de) * 2003-05-15 2004-12-09 Benteler Automobiltechnik Gmbh Crashbox
DE102004039592C5 (de) * 2004-08-13 2008-05-21 Benteler Automobiltechnik Gmbh Crashbox
SE529533C2 (sv) 2006-01-24 2007-09-04 Gestamp Hardtech Ab Krockbox för fordon
US7651155B2 (en) * 2006-11-03 2010-01-26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Progressive energy absorber
WO2009056652A1 (es) * 2007-11-02 2009-05-07 Autotech Engineering A.I.E. Absorbedor de energía para conjunto parachoques de vehículo, y método para la fabricación del mismo
WO2009157511A1 (ja) 2008-06-27 2009-12-30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式建設機械
US7677617B2 (en) 2008-07-24 2010-03-16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Efficient joint for vehicle energy-absorbing device
JP5513903B2 (ja) * 2010-01-13 2014-06-04 富士重工業株式会社 車両用緩衝装置
FR2959706B1 (fr) * 2010-05-04 2012-08-10 Noiseenne D Outil De Presse Soc Dispositif d'absorption d'energie, notamment pour pare-chocs de vehicule automobi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804787B1 (en) 2017-03-01
EP2804787A4 (en) 2015-09-02
JP6023820B2 (ja) 2016-11-09
CN104066625A (zh) 2014-09-24
EP2804787A1 (en) 2014-11-26
WO2013106905A1 (en) 2013-07-25
MX351217B (es) 2017-10-05
CA2860984A1 (en) 2013-07-25
JP2015505286A (ja) 2015-02-19
US9233658B2 (en) 2016-01-12
US20140346790A1 (en) 2014-11-27
CN104066625B (zh) 2016-12-14
RU2015113472A (ru) 2016-11-10
MX2014008769A (es) 2014-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116412A (ko) 정현파형 크러시 캔 조립체
JP5907121B2 (ja) 車体前部構造
JP6434876B2 (ja) 車体後部構造
US7533913B2 (en) Front structure for car body
CN105196937B (zh) 用于车辆的撞击箱
US8651564B2 (en) Polygonal cross-sectional frame, and rear vehicle body structure
EP2617628A1 (en) Structure of front section of vehicle body
CN107667037B (zh) 用于汽车的能量吸收部件
JP6299842B1 (ja) 車両の衝撃吸収構造
KR20110128650A (ko) 차량용 범퍼빔의 조립방법
JP5486251B2 (ja) 車両用衝撃吸収具及び車両用バンパ装置
CN109906174B (zh) 车辆的冲击吸收构造
WO2018088101A1 (ja) 車両の衝撃吸収構造
WO2012147179A1 (ja) バンパー構造およびバンパーステイ
JP6399073B2 (ja) 車両の衝撃吸収構造
JP5238588B2 (ja) 車両用フレーム構造
JP2009248820A (ja) 車体前部構造
JP7213292B2 (ja) 車体後部構造
US11679813B2 (en) Vehicle body rear part structure
JP6292279B1 (ja) 車両の衝撃吸収構造
EP3604086B1 (en) Shock-absorbing member and side member of automobile
KR20120126427A (ko) 차량용 범퍼 스테이
JP2009241724A (ja) 車両用バンパビーム
KR20150030117A (ko) 차량용 크래쉬 박스
KR20160033532A (ko) 차량용 크래쉬 박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