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5713A - 토킹펜을 이용한 유아 학습방법 - Google Patents

토킹펜을 이용한 유아 학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15713A
KR20140115713A KR1020130030652A KR20130030652A KR20140115713A KR 20140115713 A KR20140115713 A KR 20140115713A KR 1020130030652 A KR1020130030652 A KR 1020130030652A KR 20130030652 A KR20130030652 A KR 20130030652A KR 20140115713 A KR20140115713 A KR 201401157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lking pen
code
learning
codes
wo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06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규휘
Original Assignee
이규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규휘 filed Critical 이규휘
Priority to KR10201300306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15713A/ko
Publication of KR201401157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57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6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both visual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 G09B5/062Combinations of audio and printed presentations, e.g. magnetically striped cards, talking books, magnetic tapes with printed texts there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7/00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 G09B7/02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type wherein the student is expected to construct an answer to the question which is presented or wherein the machine gives an answer to the question presented by a stud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토킹펜을 이용한 유아 학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정답과 오답 메세지를 발성하는 토킹펜을 2개 이상의 연관 문자나 도형을 접촉하는 것에 의해 유아들로부터 쉽고 유익한 학습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발명된 것이다.
본 발명은, 도형이나 그림에 맞는 특정 코드가 각각 인쇄된 학습지(1)에 복수의 단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각 단어를 추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토킹펜(2)을 이용한 학습방법에 있어서;
상기 토킹펜(2)을 1차 도형에 접촉하여 해당 1차코드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토킹펜(2)을 2차 도형에 접촉하여 해당 2차코드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1차코드와 2차코드를 비교하여 연관성을 확인하는 단계;
확인단계에서 2개의 코드가 서로 연관성이 있는(Yes) 경우 맞는 뜻의 단어를 토킹펜(2)에 내장된 스피커를 통해 발성하는 단계;
확인단계에서 2개의 코드가 서로 연관성이 없는(No) 경우 들린 뜻의 단어를 토킹펜(2)에 내장된 스피커를 통해 발성하는 단계;
처음으로 시작되기 위해 리셋트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토킹펜을 이용한 유아 학습방법{learning language method thereof talking pen}
본 발명은 토킹펜을 이용한 유아 학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정답과 오답 메세지를 발성하는 토킹펜을 2개 이상의 연관 문자나 도형을 접촉하는 것에 의해 유아들로부터 쉽고 유익한 학습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발명된 것이다.
종래에 있어서 유아를 대상으로 어학을 교육할 때에는 단어 및 문장, 그리고 그림이 수록되는 시각 교재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었고, 그밖에 CD, 테이프, MP3 파일 등의 청취용 음성 교재와, VTR 테이프, DVD 타이틀 등의 영상 교재가 함께 제공되는 예도 많았다.
그러나 종래의 유아용 어학 학습기구에 있어서는 시각 교재의 경우 시각 교재대로 학습하고, 청취용 음성 교재와 영상 교재도 각각 따로 학습하여야 하는 등 시각 교재와 청취용 음성 교재, 시각 교재와 영상 교재의 상호작용에 의한 연계 학습을 할 수 없기 때문에 학습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각 교재나 교구에 의한 일반적인 학습은 감수성이 예민하고 주위가 산만한 유아의 경우 학습 과정에서 별다른 재미를 느낄 수 없기 때문에 어학 학습에 대한 능동적인 참여를 기대하기가 어렵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최근에는, 말하는 학습용 리딩북이 알려져 있다.
즉, 특정 그림이나 도형이 인쇄된 책에 펜을 접촉하게 되면, 펜 또는 책에서 해당 명칭을 영어 및 한글로 메모리 회로에서 스피커를 통해 발성하여 학습 지도자의 도움 없이도 스스로 학습할 수 있도록 한 것이 제안된 바 있다.
특허문헌 : 국내 공개특허 10-2011-46228호 특허문헌 : 국내 공개특허 10-2004-76263호
그러나, 상기와 같은 리딩북은 해당 도형의 명칭을 발성하는 것에 의해 단어 교육에는 활용될 수 있었던 반면, 연관성 개발을 위한 학습에는 활용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2개 이상의 도형이나 숫자, 단어 등의 연관성을 유아 스스로 학습할 수 있도록 한 토킹펜을 이용한 유아 학습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공된 학습지에 직접 라인을 그리거나 하지 않고 접촉에 의해 연관성 학습이 이루어지므로써 재료의 낭비 없이 무한히 반복하여 사용하는 것에 의해 경제적인 이익을 줄 수 있도록 한 토킹펜을 이용한 유아 학습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구성은, 도형이나 그림에 맞는 특정 코드가 각각 인쇄된 학습지(1)에 복수의 단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각 단어를 추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토킹펜(2)을 이용한 학습방법에 있어서;
상기 토킹펜(2)을 1차 도형에 접촉하여 해당 1차코드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토킹펜(2)을 2차 도형에 접촉하여 해당 2차코드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1차코드와 2차코드를 비교하여 연관성을 확인하는 단계;
확인단계에서 2개의 코드가 서로 연관성이 있는(Yes) 경우 맞는 뜻의 단어를 토킹펜(2)에 내장된 스피커를 통해 발성하는 단계;
확인단계에서 2개의 코드가 서로 연관성이 없는(No) 경우 들린 뜻의 단어를 토킹펜(2)에 내장된 스피커를 통해 발성하는 단계;
처음으로 시작되기 위해 리셋트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예로서 좌측열과 우측열에 서로 연관성 있는 도형이나 단어, 칼라들을 배치한 학습지와, 토킹펜을 이용해 유아들이 2개의 맞는 연관 도형이나 단어, 칼라를 바르게 선택하는 경우와, 틀리게 선택하는 경우를 음성으로 바로 알려주게 된다.
따라서, 교육자가 불필요하고 유아들이 신기함을 갖고 학습에 집중할 수 있어 교육 효과를 증대시키는 것이다.
또, 제공된 학습지를 훼손하지 않고 접촉에 의해 연관성 학습이 이루어지므로써 재료의 낭비 없이 무한히 반복하여 사용하는 것에 의해 경제적인 이익을 줄 수도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의 학습지와 토킹펜을 이용한 학습 예를 도시한 이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도형이나 그림에 맞는 특정 코드가 각각 인쇄된 학습지(1)와,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한 제어회로 및 스피커가 내장된 토킹펜(2)에 의해 구성된다.
학습지(1)는 도 2에서와 같이 예로서 좌측열과 우측열에 서로 연관성 있는 도형이나 단어, 칼라들을 인쇄방법으로 배치하게 된다.
그리고, 이 도형의 위치로 주로 투명하게 자기적 특성을 갖는 잉크를 각각 착색하는 것에 의해 특정 인식 코드를 표시하게 된다.
이 자기적 특성을 갖는 코드 잉크는 국내 공개특허 10-2004-76263호 등에서 이미 알려져 있고, 코드 잉크를 보호하기 위해 그 표면에 코팅하는 것이 좋다.
상기 토킹펜(2)은 대략 손으로 잡기 편한 펜 형상으로 그 내부에는 제어회로와 스피커 및 전원용 밧데리 등이 수납되어 있고, 끝단부에는 코드 잉크를 인식하기 위한 스캐너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학습지(1)와 토킹펜(2)을 이용해 유아들로 하여금 각종 도형이나 단어 및 칼라의 동일성이나 연관성 등을 학습하게 되는 것이다.
즉, 도 2에서와 같이 토킹펜(2)을 예로서 학습지(1)의 좌측열에 인쇄된 도형들 중 해당 1차 도형에 접촉하여 해당 1차코드를 제어회로에서 인식하는 단계가 수행된다.
이어서, 상기 토킹펜(2)을 학습지(1)의 우측열에 인쇄된 도형들 중 1차 도형과 연관성 또는 동일한 형상의 해당 2차 도형에 접촉하여 해당 2차코드를 제어회로에서 인식하는 단계가 수행된다.
이와 같이 1차코드와 2차코드를 비교하여 연관성을 비교회로에서 확인하게 된다.
비교 확인단계에서 2개의 코드가 서로 연관성이 있는(Yes) 경우 맞는 뜻의 단어를 토킹펜(2)에 내장된 스피커를 통해 발성하게 된다.(예로서 "딩동댕")
또, 확인단계에서 2개의 코드가 서로 연관성이 없는(No) 경우 들린 뜻의 단어를 토킹펜(2)에 내장된 스피커를 통해 발성하게 된다.(예로서 "땡")
그리고, 하나의 학습단계가 완료되었으므로 처음으로 다시 시작되기 위해 리셋트시키는 단계가 수행된다.
위에서는 예로서 2개의 연관성 학습을 설명하였으나, 3개 이상의 연관성도 이와 동일한 방법으로 유아 스스로 학습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한 학습방법에 의하면, 제공된 학습지를 훼손하지 않고 접촉에 의해 연관성 학습이 이루어지므로써, 재료의 낭비 없이 무한히 반복하여 사용하는 것에 의해 경제적인 이익을 줄 수도 있는 것이다.
1 - 학습지 2 - 토킹펜

Claims (1)

  1. 도형이나 그림에 맞는 특정 코드가 각각 인쇄된 학습지(1)에 복수의 단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각 단어를 추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토킹펜(2)을 이용한 학습방법에 있어서;
    상기 토킹펜(2)을 1차 도형에 접촉하여 해당 1차코드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토킹펜(2)을 2차 도형에 접촉하여 해당 2차코드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1차코드와 2차코드를 비교하여 연관성을 확인하는 단계;
    확인단계에서 2개의 코드가 서로 연관성이 있는(Yes) 경우 맞는 뜻의 단어를 토킹펜(2)에 내장된 스피커를 통해 발성하는 단계;
    확인단계에서 2개의 코드가 서로 연관성이 없는(No) 경우 들린 뜻의 단어를 토킹펜(2)에 내장된 스피커를 통해 발성하는 단계;
    처음으로 시작되기 위해 리셋트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킹펜을 이용한 유아 학습방법.
KR1020130030652A 2013-03-22 2013-03-22 토킹펜을 이용한 유아 학습방법 KR201401157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0652A KR20140115713A (ko) 2013-03-22 2013-03-22 토킹펜을 이용한 유아 학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0652A KR20140115713A (ko) 2013-03-22 2013-03-22 토킹펜을 이용한 유아 학습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7381A Division KR101609847B1 (ko) 2014-11-12 2014-11-12 토킹펜을 이용한 유아 학습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5713A true KR20140115713A (ko) 2014-10-01

Family

ID=51989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0652A KR20140115713A (ko) 2013-03-22 2013-03-22 토킹펜을 이용한 유아 학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1571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70999A (zh) * 2017-11-07 2018-04-03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多媒体播放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70999A (zh) * 2017-11-07 2018-04-03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多媒体播放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CN107870999B (zh) * 2017-11-07 2020-09-08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多媒体播放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O'Donnell et al. Variety in contemporary English
MacKenzie English as a lingua franca in Europe: bilingualism and multicompetence
KR101899865B1 (ko) 스마트 큐브를 이용한 학습시스템
CN105551341A (zh) 一种文字描红书写方法和装置
US8740621B1 (en) Apparatus and system for learning a foreign language
Massaro Acquiring literacy naturally
KR200425379Y1 (ko) 유아 교육용 학습기
KR20140115713A (ko) 토킹펜을 이용한 유아 학습방법
KR101080092B1 (ko) 외국어 단어 학습방법 및 이를 이용한 외국어 학습 장치
Masitry et al. A design of educational multimedia software for disability: A case study for deaf people
KR20180017556A (ko) 전자펜을 이용한 받아쓰기 방법
JP2017044763A (ja) コミュニケーションエイド装置及びその使用方法
KR20170122616A (ko) 사물인터넷 기반의 한글학습 시스템
Kelly How we got to where we are
Jadán-Guerrero et al. Use of tangible interfaces to support a literacy system in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CN2935302Y (zh) 触感发声教具
KR101024995B1 (ko) 페이지 인덱스를 이용한 반복 학습단말기의 운용방법
Booten et al. Unbreathed Words: A Conversation with Lillian-Yvonne Bertram
KR20020040921A (ko) 연상작용을 이용한 언어 학습교재 및 이를 이용한 언어교육방법
JP3126428U (ja) 学習用玩具
Shafer Testing, assessment, and the teaching of writing
Șoitu Pedagogy of Communication. Intersections
ITTV20090049A1 (it) Sistema di lettura multimediale interattivo.
KR20170075485A (ko) 인터랙티브 학습 컨텐츠 모델을 위한 전자음원단말기 및 인터랙티브 학습방법
CN105654794A (zh) 一种英语教学用万能演示组合牌板及教学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