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5182A - 고광도 항공 장애등 장치 - Google Patents

고광도 항공 장애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15182A
KR20140115182A KR1020130029950A KR20130029950A KR20140115182A KR 20140115182 A KR20140115182 A KR 20140115182A KR 1020130029950 A KR1020130029950 A KR 1020130029950A KR 20130029950 A KR20130029950 A KR 20130029950A KR 20140115182 A KR20140115182 A KR 201401151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control
control signal
display lamp
resistor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99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80469B1 (ko
Inventor
나성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성일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성일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성일렉스
Priority to KR10201300299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0469B1/ko
Publication of KR201401151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51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04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04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 H05B47/11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by determining the brightness or colour temperature of ambient l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F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IRCRAFT; 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1/00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 B64F1/18Visual or acoustic landing a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03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 F21V23/0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arranged on a substrate, e.g. a printed circuit boar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5/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aircraft, e.g. air-traffic control [ATC]
    • G08G5/0017Arrangements for implementing traffic-related aircraft activities, e.g. arrangements for generating, displaying, acquiring or managing traffic information
    • G08G5/0026Arrangements for implementing traffic-related aircraft activities, e.g. arrangements for generating, displaying, acquiring or managing traffic information located on the groun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40Details of LED load circuits
    • H05B45/44Details of LED load circuits with an active control inside an LED matrix
    • H05B45/46Details of LED load circuits with an active control inside an LED matrix having LEDs disposed in parallel lin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40Details of LED load circuits
    • H05B45/44Details of LED load circuits with an active control inside an LED matrix
    • H05B45/48Details of LED load circuits with an active control inside an LED matrix having LEDs organised in strings and incorporating parallel shun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1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 F21W2111/06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for aircraft runways or the lik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 Of El Displays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장치는 직류를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와, 발광다이오드 어레이로 구성한 표시 램프부와, 전원 공급부와 표시 램프부 사이에 연결되어 모드제어신호에 응답하여 표시 램프부를 주간, 황혼 및 야간 모드 중 어느 하나의 표시밝기로 구동하기 위한 밝기 모드 구동부와, 주변 조도에 따라서 주간, 황혼 및 야간모드에 응답하는 모드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동작모드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고광도 항공 장애등 장치{High Intensity Aircraft Warning Light Apparatus}
본 발명은 고광도 항공 장애등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고휘도 발광다이오드로 구성한 고광도 항공 장애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고광도 항공 장애등 장치는 트리거 펄스에 응답하여 수 kV의 방전개시전압을 크세논 방전 표시등의 양단에 인가하여 방전을 시킴으로써 주간에는 200,000칸델라, 황혼에는 20,000칸델라, 야간에는 4,000칸델라의 밝기로 점멸한다. 수백 M이상의 장거리를 단 펄스성의 트리거 신호를 전송할 경우 트리거 신호의 펄스폭이 좁고 레벨이 높기 때문에 쉽게 감쇄되거나, 주변회로의 절연 파괴 등의 오동작이 우려된다.
종래의 고광도 항공 장애등 장치는 방전램프를 사용하기 때문에 램프 수명시간이 짧아 자주 교체하여야 할 뿐만 아니라 직류고압을 스위칭하기 때문에 전자파 발생의 소스로 작용하여 주변 전자장치에 전파교란이나 노이즈를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최근에 발광다이오드의 고휘도 기술이 개발되어 이를 이용하고자 하는 연구 개발이 진행되고 있으나 발광다이오드로 고광도를 표시하는 것이 쉽지 않았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고광도 항공 장애등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류 또는 전압 제어에 의해 주간모드, 황혼모드 및 야간모드를 제어할 수 있는 고광도 항공 장애등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구조가 단순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유지관리가 간편하며 방열특성이 우수한 고광도 항공 장애등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직류를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와, 발광다이오드 어레이로 구성한 표시 램프부와, 전원 공급부와 표시 램프부 사이에 연결되어 모드제어신호에 응답하여 표시 램프부를 주간, 황혼 및 야간 모드 중 어느 하나의 표시밝기로 구동하기 위한 밝기 모드 구동부와, 주변 조도에 따라서 주간, 황혼 및 야간모드에 응답하는 모드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동작모드 제어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실시예에서 동작모드 제어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센서를 포함하고, 광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주변 조도에 따라 주간모드제어신호, 황혼모드제어신호 및 야간모드제어신호를 각각 발생한다. 그리고 밝기 모드 구동부는 전원공급부는 포지티브 직류 출력단자와 상기 표시 램프부의 발광다이오드 어레이의 애노우드 단자 사이에 서로 병렬로 연결된 저저항값을 가지는 제1저항, 중저항값을 가지는 제2저항 및 고저항값을 가지는 제3저항들과, 제1저항에 직렬로 연결되고 주간모드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스위치 온되는 제1릴레이와, 제2저항에 직렬로 연결되고 황혼모드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스위치 온되는 제2릴레이와, 제3저항에 직렬로 연결되고 야간모드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스위치 온되는 제3릴레이를 포함한다.
일실시예에서 동작모드 제어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센서를 포함하고, 광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주변 조도에 따라 제1모드제어신호, 제2모드제어신호를 각각 발생한다. 그리고, 밝기 모드 구동부는 제1모드제어신호의 제1레벨에서는 제1스위치 접점들이 온되고 제2스위치 접점들이 오프되며, 제2레벨에서는 제1스위치 접점들이 오프되고 제2스위치 접점들이 온되는 제1릴레이와, 제2모드제어신호의 제1레벨에서는 제1스위치 접점들이 온되고 제2스위치 접점들이 오프되며, 제2레벨에서는 제1스위치 접점들이 오프되고 제2스위치 접점들이 온되는 제2릴레이와, 저저항값을 가지는 제1저항과 고저항값을 가지는 제2저항들을 구비한다. 따라서 주간모드표시를 위하여 전원 공급부의 포지티브 출력단자가 제1릴레이의 제1스위치 접점 및 제2릴레이의 제1스위치 접점의 직렬 연결을 통하여 표시 램프부의 발광다이오드 어레이의 애노우드 단자에 연결된다. 황혼모드표시를 위하여 전원 공급부의 포지티브 출력단자가 제1저항 및 상기 제1릴레이의 제2스위치 접점의 직렬연결을 통하여 표시 램프부의 발광다이오드 어레이의 애노우드 단자에 연결된다. 야간모드표시를 위하여 상기 전원 공급부의 포지티브 출력단자는 제2저항 및 제2릴레이의 제2스위치 접점의 직렬연결을 통하여 표시 램프부의 발광다이오드 어레이의 애노우드 단자에 연결되도록 제1 및 제2릴레이의 온오프를 제어한다.
일실시예에서 밝기 모드 구동부는 전원공급부의 포지티브 직류 출력단자와 표시 램프부의 발광다이오드 어레이의 애노우드 단자 사이에 서로 병렬로 연결된 저저항값을 가지는 제1저항, 중저항값을 가지는 제2저항 및 고저항값을 가지는 제3저항들과, 제1저항에 직렬로 연결되고 주간모드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스위치 온되는 제1광스위치와, 제2저항에 직렬로 연결되고 황혼모드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스위치 온되는 제2광스위치와, 제3저항에 직렬로 연결되고 야간모드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스위치 온되는 제3광스위치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장치는 전원 공급부와, 발광다이오드 어레이로 구성한 표시 램프부와, 표시 램프부를 소정 주기로 점멸 구동하기 위한 점멸 구동부와, 전원 공급부와 표시 램프부 사이에 연결되어 모드제어신호에 응답하여 표시 램프부를 주간, 황혼 및 야간 모드 중 어느 하나의 표시밝기로 구동하기 위하여 펄스폭 제어된 펄스구동신호를 점멸 구동부에 공급하는 밝기 모드 구동부와, 주변 조도에 따라서 주간, 황혼 및 야간모드에 응답하는 모드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동작모드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장치는 각각 고레벨 전원전압, 중레벨 전원전압, 저레벨 전원전압을 각각 출력하는 제1내지 제3전원 공급부들과, 발광다이오드 어레이로 구성한 표시 램프부와, 제1내지 제3전원 공급부들과 표시 램프부 사이에 연결되어 모드제어신호에 응답하여 표시 램프부를 주간, 황혼 및 야간 모드 중 어느 하나의 표시밝기에 대응하는 고레벨, 중레벨 및 저레벨 전원전압들 중 하나를 선택하여 선택된 전원전압에 대응하는 밝기모드로 표시 램프부를 구동하는 밝기 모드 구동부와, 주변 조도에 따라서 주간, 황혼 및 야간모드에 응답하는 모드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동작모드 제어부를 포함한다.
일실시예에서 표시 램프부는 상부가 개방되고, 바닥면의 중앙이 볼록하게 솟아오른 장방형 캐비넷과, 중앙에 볼록하게 솟아오른 부분의 상부면에 배치되어 상부 개방부를 향하여 광을 출사하는 발광다이오드 어레이와, 중앙에 볼록하게 솟아오른 부분의 저면에 열적으로 결합된 복수의 방열핀들과, 장방형 캐비넷의 상부 에지에 힌지 결합되고, 하방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투과시키는 투광창을 가진 덮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광도 항공 장애등 장치는 발광다이오드 어레이들을 어레이 상으로 배치하고 각 발광다이오드들 마다 광확산 렌즈를 적용함으로써 저전력으로 고광도를 달성할 수 있으므로 반영구적이다. 방전등과 달리 고전압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전파장애나 노이즈 발생이 전혀 없다. 발광다이오드 어레이 단위로 유지 보수가 가능하므로 간편하고 장방형의 캐비넷 형태로 구조가 단순하여 제작 및 취급이 용이하다. 그리고 중앙을 볼록하게 구성하여 발광다이오드들을 배치함으로써 광의 수평방향 특성을 개선할 수 있으며 그 저면에 방열핀을 구성함으로써 열방출효과가 매우 우수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고광도 항공 장애등 장치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장방형 캐비넷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의 발광다이오드 어레이(110)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평면도와 우측면도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고광도 항공 장애등 장치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의 볼록형 캐비넷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4은 본 발명에 의한 고광도 항공 장애등 장치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블록도.
도 5는 도 4의 밝기 모드 구동부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회로도.
도 6은 도 4의 밝기 모드 구동부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의 회로도.
도 7은 도 4의 밝기 모드 구동부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의 회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고광도 항공 장애등 장치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의 블록도.
도 9는 도 8의 펄스폭 변조신호 발생부(422)에서 발생되는 각 동작모드의 펄스신호 파형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고광도 항공 장애등 장치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의 블록도.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고광도 항공 장애등 장치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장방형 캐비넷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장치(100)는 장방형 캐비넷(102)의 바닥면(102a)은 중앙이 볼록하게 솟아올라 그 측단면이 사다리꼴 형상을 한 구조를 가지며 상부는 개방된 개구부(102b)를 가진다. 사다리꼴 형상의 볼록면(104)의 상부면은 수평면(104a)과 좌우의 경사면(104b, 104c)을 포함한다.
볼록면(104)의 상부면, 즉 수평면(104a)과 좌우의 경사면(104b, 104c)에 다수의 발광다이오드 어레이(110)들이 각각 배치되어 상부 개방부를 향하여 광을 출사한다. 경사면(104b, 104c)에 배치된 발광다이오드 어레이들(110)에 의해 부채꼴 형상으로 광이 출사되므로 수평 방향의 광특성이 개선된다.
볼록면(104)의 저면에는 다수의 방열핀(106)들이 열적으로 결합되어 발광다이오드 어레이(110)로부터 발생된 열을 외부로 방출한다. 장방형 캐비넷의 상부 에지에 덮개(108)가 힌지 결합되고, 하방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투과시키는 투광창(108a)을 가진다. 덮개(108)는 내부의 발광다이오드 어레이(110)들을 습기나 기타 오염물질들로부터 보호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장방형 캐비넷 구조의 고광도 항공 장애등 장치(100)는 항공기 항로의 길이 방향과 동일하게 길이방향이 향하도록 배치하여 고층건물 등과 같은 항공 장애물의 옥탑 상에 설치된다.
일실시예는 직융면체 형상으로 구조가 단순하고 상부면이 평탄하므로 덮개 제작이 용이한 반면 경사면의 광출사를 고려하여 그만큼 길이 방향으로 길어지게 된다.
도 2는 도 1의 발광다이오드 어레이(110)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평면도와 우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발광다이오드 어레이(110)는 메탈기판(112), 발광다이오드(114), 렌즈(116), 체결나사(118)를 포함한다.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으로 된 메탈기판(112)에 다수개, 예컨대 10개의 발광다이오드(114)들이 일렬로 배열된다. 메탈기판(112)은 발광다이오드(114)로부터 발생된 열을 방열핀(106)으로 전도한다. 렌즈(116)는 장방형으로 배면은 포물면(116a)을 이루고 중앙에는 길이방향으로 발광다이오드(114) 삽입홈(116b)이 형성된다. 렌즈(116) 전면(116c)은 중심축을 향하여 초점이 형성되도록 프레넬(fresnel) 렌즈 구조로 가공된다. 렌즈(116)의 네 모서리 근방에 돌출부(116d)가 각각 형성되고 각 돌출부(116d)에는 나사공(116e)이 형성된다. 그러므로 렌즈(116)는 나사공(116e)에 체결나사(118)를 삽입하여 메탈기판(112)에 고정된다.
각 발광다이오드 어레이(110)는 길이방향으로는 좌우로 광이 퍼져서 출사되지만 상하방향으로는 포물면(116a)과 프레넬 구조의 전면(116c)에 의해 광이 집광되어 수직 상방으로 집중되어 출사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고광도 항공 장애등 장치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의 볼록형 캐비넷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의 다른 실시예의 장치(200)는 중앙이 사다리꼴 형상으로 볼록한 캐비넷(202) 구조를 가진 점이 상술한 일실시예와 다르다. 발광다이오드 어레이(110)는 상부면(204), 즉 수평면(208a) 및 경사면(204b, 204c)에 설치된다. 상부면(204), 즉 수평면(208a) 및 경사면(204b, 204c)의 반대면 즉 저면에는 다수의 방열핀(206)들이 형성된다. 그러므로 덮개(208)도 평탄한 구조가 아니라 볼록한 부분을 덮을 수 있도록 볼록한 프로파일을 따라 중앙이 수평하고 좌우가 경사진 형태의 단면 구조를 가진다.
다른 실시예는 일실시예와 비교하여 길이가 짧아진다는 장점이 있으나 캐비넷 상면이 사다리꼴 형상으로 면이 많아지므로 상대적으로 덮개(208) 제작을 어렵게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고광도 항공 장애등 장치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고광도 항공 장애등 장치의 블록 구성(300)은 전원공급부(310), 밝기 모드 구동부(320), 점멸 구동부(330), 표시 램프부(340), 동작모드 제어부(350)를 포함한다.
전원 공급부(310)는 MCCB(Molded Case Circuit Breaker)를 통하여 공급된 교류를 직류로 변환하여 표시 램프부(340)에서 필요한 직류전압 및 직류전류를 공급한다. 전원 공급부(310)는 태양전지패널 등과 같은 직류발전설비로부터 직류전원을 공급받아 필요한 직류전압을 발생할 수 있는 직류-직류 컨버터로 구성할 수도 있다.
밝기 모드 구동부(320)는 전원 공급부와 표시 램프부 사이에 연결되어 모드제어신호에 응답하여 표시 램프부를 주간, 황혼 및 야간 모드 중 어느 하나의 표시밝기로 구동한다.
점멸 구동부(330)는 표시 램프부(340)의 점멸 주기에 따라 전원공급을 스위칭한다.
표시 램프부(340)는 고휘도 발광다이오드들을 어레이 상으로 어레이 회로기판에 장착하고, 그 위에 각각의 발광다이오드들 마다 광확산 렌즈를 덮어서 광이 특정 방향으로 집중하여 출사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발광다이오드 어레이들은 어레이 회로기판 단위로 조립된다, 발광다이오드 어레이들은 어레이 기판 단위로 병렬로 연결된다. 입력측에는 블로킹 다이오드(D1)가 연결된다. 그러므로 고장 교체시에는 어레이 회로기판 단위로 교체가 가능하다. 그러므로 유지 보수시 용이하다. 여기서 광확산렌즈는 본 출원인이 등록받은 등록특허1092553호에 개시된 렌즈를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발광다이오드들의 수는 주간 A형200,000칸델라, 주간 B형 100,000칸델라 등과 같이 고광도 항공 장애등의 규격요건에 매칭된 밝기를 유지하도록 모댈 별로 결정될 수 있다.
동작모드 제어부(350)는 광센서(LS1, LS2)로부터 주변 조도를 감지하고 감지된 주변 조도에 따라서 주간, 황혼 및 야간모드에 응답하는 모드제어신호(MS)를 발생한다. 예컨대, 광센서(LS1, LS2)가 모두 턴 온 되면 주간모드로 감지하고, LS1은 턴 온 상태를 유지하고 LS2만 턴 오프 되면 황혼모드로 감지하고, LS1, LS2가 모두 턴 오프 되면 야간모드로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동작모드 제어부(350)는 선택스위치(SSW)가 결합되어 수동모드와 자동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자동모드는 광센서에 의해 조도를 자동으로 판별하는 모드이고 수동모드는 관리자에 의해 수동으로 주간/황혼/야간/모드를 설정한다.
도 5는 도 4의 밝기 모드 구동부(320)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회로도를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밝기 모드 구동부(320)는 전원 공급부(310)의 포지티브 직류 출력단자(+)와 표시 램프부(340)의 발광다이오드 어레이의 애노우드 단자 사이에 서로 병렬로 연결된 저저항값을 가지는 제1저항(R1), 중저항값을 가지는 제2저항(R2) 및 고저항값을 가지는 제3저항(R3)들을 포함한다. 제1저항(R1)은 주간밝기인 200,000 칸델라에 대응하는 전류공급을 제한하는 저저항값을 가진다. 제2저항(R2)은 황혼밝기인 20,000 칸델라에 대응하는 전류공급을 제한하는 중저항값을 가진다. 제3저항(R3)은 야간밝기인 2,000 칸델라에 대응하는 전류공급을 제한하는 고저항값을 가진다.
제1릴레이(RY1)는 제1저항(R1)에 직렬로 연결되고 주간모드제어신호(MS1)에 응답하여 여자되어 스위치 접점이 턴 온 된다. 제2릴레이(RY2)는 제2저항(R2)에 직렬로 연결되고 황혼모드제어신호(MS2)에 응답하여 여자되어 스위치 접점이 턴 온 된다.
그러므로 저항(R3)에 의해 항상 야간모드의 밝기로 점등된 상태를 유지한다. 주간모드에서는 저항(R3)과 저항(R1)의 병렬저항에 의해 주간밝기에 대응하는 전류가 공급된다. 황혼모드에서는 저항(R2)과 저항(R1)의 병렬저항에 의해 황혼밝기에 대응하는 전류가 공급된다. 그러므로 저항(R1~R3)들의 저항값들의 조합에 의해 표시 램프부(340)에 공급되는 직류 크기를 제어함으로써 3가지 모드로 밝기를 제어할 수 있다.
제1릴레이(RY1)와 제2릴레이(RY2)가 고장시에도 R3에 의한 야간모드의 밝기 점등 상태를 유지한다.
도 6은 도 4의 밝기 모드 구동부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의 회로도를 나타낸다.
도 6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서 동작모드 제어부(35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센서를 포함하고, 광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주변 조도에 따라 제1모드제어신호(MS1), 제2모드제어신호(MS2)를 각각 발생한다.
그리고 밝기 모드 구동부(320)는 제1저항(R1) 및 제2저항(R2), 제1릴레이(RY1), 제2릴레이(RY2)를 포함한다. 제1릴레이(RY1)는 두 개의 스위치 접점(RSW11) 및 (RSW12)을 가지며, 제2릴레이(RY2)는 하나의 스위치 접점(RSW)을 가진다. 제1릴레이(RY1)는 제1모드제어신호(MS1)의 제1레벨(로우레벨)에서는 제1스위치 접점(RSW11)이 온 되고 제2스위치 접점(RSW12)이 오프 되며, 제2레벨(하이레벨)에서는 제1스위치 접점(RSW11)이 오프 되고 제2스위치 접점(RSW12)이 온 된다. 제2릴레이(RY2)는 제2모드제어신호(MS2)의 제1레벨(로우레벨)에서는 스위치 접점(RSW)이 오프되고, 제2레벨(하이레벨)에서는 스위치 접점(RSW)이 온 된다. 도시된 상태에서는 제1릴레이(RY1)의 제1스위치 접점(RSW11) 및 제2릴레이(RY2)의 스위치 접점(RSW)이 온상태를 유지한다. 즉 MS1은 로우레벨, MS2는 하이레벨로 구동된다. 그러므로 표시 램프부(340)에는 저항에 의한 전류제한 없이 전원 공급부(310)에서 공급되는 풀 전류가 공급된다. 그러므로 주간모드로 표시 램프부(340)가 구동된다.
제1저항(R1)은 황혼표시모드에 대응하는 전류를 제한하기 위한 저저항값을 가지며 제2저항(R2)은 야간표시모드에 대응하는 전류를 제한하기 위한 고저항값을 가진다.
황혼표시모드에서는 MS1은 하이레벨, MS2는 로우레벨로 구동된다. 그러므로 제1릴레이(RY1)의 제2스위치 접점(RSW12)이 온 상태로 전환되면서 저항(R1) 및 저항(R2)의 병렬저항을 통한 전류공급이 이루어지므로 주간표시모드에서 황혼표시모드로 전류 제한된다.
야간표시모드에서는 MS1은 로우레벨, MS2는 로우레벨로 구동된다. 그러므로 제1릴레이(RY1)의 스위치 접점(RSW12)이 오프 상태로 전환되고, 제2릴레이(RY2)의 스위치 접점(RSW)이 오프되면서 저항(R1)을 통한 전류공급은 차단되고 저항(R2)을 통한 전류공급이 이루어지므로 황혼표시모드에서 야간표시모드로 전류 제한된다.
즉 제1릴레이(RY1) 및 제2릴레이(RY1)가 모두 오프상태에서 야간모드가 선택되므로 제1릴레이(RY1) 및 제2릴레이(RY1)가 작동불능되더라도 항상 R2를 통한 야간모드 구동상태를 유지한다.
다른 실시예는 상술한 일실시예와 비교하여 저항수 및 릴레이 접점 수를 줄일 수 있다.
도 7은 도 4의 밝기 모드 구동부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의 회로도를 나타낸다.
도 7을 참조하면 또 다른 실시예는 상술한 도 4의 일실시에와 비교하여 릴레이 대신에 포토 커플러(PC1, PC2)를 사용한 점이 다르다. 즉 일실시예에서는 릴레이에 의해 큰 전류가 흐르는 구동회로와 제어회로를 자기적 결합에 의해 아이솔레이션 한 것이다. 그러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포토커플러(PC1,PC2)에 의해 큰 전류가 흐르는 구동회로와 제어회로를 광학적 결합에 의해 아이솔레이션 한 점이 다르다. 나머지의 구성 및 동작원리는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고광도 항공 장애등 장치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8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장치(400)는 상술한 일실시예의 장치(300)와 비교하면 밝기 모드 구동부(420)와 점멸 제어부(430)가 다르고 나머지 구성요소는 모두 동일하므로 동일 부호로 처리하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밝기 모드 구동부(420)는 펄스폭변조신호 발생기(422), 포토커플러(PC1, PC2)를 포함한다. 펄스폭변조신호 발생기(422)는 포토커플러(PC1, PC2)를 통해 공급되는 모드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서로 다른 펄스폭을 가진 펄TM신호들을 연속적으로 발생한다. 즉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간표시모드에 대응하는 펄스신호(A)의 펄스폭이 가장 크고 , 황혼표시모드에 대응하는 펄스신호(B)는 중간 크기를 가지며, 야간표시모드에 대응하는 펄스신호(C)는 가장 작은 펄스폭을 가진다. 그러므로 각 표시모드에 대응하는 연속적인 펄스신호는 점멸 구동부(330)에 제공된다. 그러므로 점멸 구동부(330)에 의해 연속적인 펄스신호는 점멸 구동신호와 합성되어 점멸 구동신호의 하이 구간에서만 표시 램프부(340)에 공급된다.
따라서 주간표시모드에서 평균적으로 가장 큰 전류가 공급되고 황혼표시모드에서는 중간 크기의 전류가 공급되고 야간표시모드에서 가장 작은 크기의 전류가 공급되므로 각 동작모드에 따라서 밝기가 다르게 제어된다.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고광도 항공 장애등 장치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10을 참조하면, 또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장치(500)는 교류를 직류로 변환하여 각각 고레벨 전원전압(V1), 중레벨 전원전압(V2), 저레벨 전원전압(V3)을 각각 출력하는 제1내지 제3전원 공급부들(512, 514, 516)과, 밝기 모드 구동부(520)를 제외하고 나머지 구성요소들은 일실시예의 장치(300)와 동일하므로 동일 부호로 처리하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밝기 모드 구동부(520)는 모드제어신호(MS1, MS2, MS3)에 응답하여 표시 램프부(340)에 공급되는 직류전원전압을 선택적으로 공급한다.
즉 주간표시모드에 대응하는 모드제어신호(MS1)에 의해 릴레이(RY1)가 턴온되므로 V1 직류전원전압이 선택된다. 그러므로 표시 램프부(340)는 선택된 고레벨의 V1 직류전원전압에 의해 구동되므로 200,000 칸델라에 대응하는 밝기로 표시된다.
황혼표시모드에 대응하는 모드제어신호(MS2)에 의해 릴레이(RY2)가 턴온되므로 V2 직류전원전압이 선택된다. 그러므로 표시 램프부(340)는 선택된 중레벨의 V2 직류전원전압에 의해 구동되므로 20,000 칸델라에 대응하는 밝기로 표시된다.
야간표시모드에 대응하는 모드제어신호(MS3)에 의해 릴레이(RY3)가 턴온되므로 V3 직류전원전압이 선택된다. 그러므로 표시 램프부(340)는 선택된 저레벨의 V3 직류전원전압에 의해 구동되므로 2,000 칸델라에 대응하는 밝기로 표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7)

  1. 직류를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
    발광다이오드 어레이로 구성한 표시 램프부;
    상기 전원 공급부와 표시 램프부 사이에 연결되어 모드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표시 램프부를 주간, 황혼 및 야간 모드 중 어느 하나의 표시밝기로 구동하기 위한 밝기 모드 구동부; 및
    주변 조도에 따라서 주간, 황혼 및 야간모드에 응답하는 모드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동작모드 제어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광도 항공 장애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모드 제어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광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주변 조도에 따라 주간모드제어신호, 황혼모드제어신호 및 야간모드제어신호를 각각 발생하고,
    상기 밝기 모드 구동부는
    상기 전원공급부는 포지티브 직류 출력단자와 상기 표시 램프부의 발광다이오드 어레이의 애노우드 단자 사이에 서로 병렬로 연결된 저저항값을 가지는 제1저항, 중저항값을 가지는 제2저항 및 고저항값을 가지는 제3저항들;
    상기 제1저항에 직렬로 연결되고 상기 주간모드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스위치 온되는 제1릴레이;
    상기 제2저항에 직렬로 연결되고 상기 황혼모드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스위치 온되는 제2릴레이; 및
    상기 제3저항에 직렬로 연결되고 상기 야간모드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스위치 온되는 제3릴레이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광도 항공 장애등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모드 제어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광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주변 조도에 따라 제1모드제어신호, 제2모드제어신호를 각각 발생하고,
    상기 밝기 모드 구동부는
    상기 제1모드제어신호의 제1레벨에서는 제1스위치 접점들이 온되고 제2스위치 접점들이 오프되며, 제2레벨에서는 제1스위치 접점들이 오프되고 제2스위치 접점들이 온되는 제1릴레이;
    상기 제2모드제어신호의 제1레벨에서는 제1스위치 접점들이 온되고 제2스위치 접점들이 오프되며, 제2레벨에서는 제1스위치 접점들이 오프되고 제2스위치 접점들이 온되는 제2릴레이; 및
    저저항값을 가지는 제1저항과 고저항값을 가지는 제2저항들을 구비하고,
    주간모드표시를 위하여 상기 전원 공급부의 포지티브 출력단자가 상기 제1릴레이의 제1스위치 접점 및 상기 제2릴레이의 제1스위치 접점의 직렬 연결을 통하여 상기 표시 램프부의 발광다이오드 어레이의 애노우드 단자에 연결되고,
    황혼모드표시를 위하여 상기 전원 공급부의 포지티브 출력단자가 상기 제1저항 및 상기 제1릴레이의 제2스위치 접점의 직렬연결을 통하여 상기 표시 램프부의 발광다이오드 어레이의 애노우드 단자에 연결되고,
    야간모드표시를 위하여 상기 전원 공급부의 포지티브 출력단자는 상기 제2저항 및 상기 제2릴레이의 제2스위치 접점의 직렬연결을 통하여 상기 표시 램프부의 발광다이오드 어레이의 애노우드 단자에 연결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릴레이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광도 항공 장애등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모드 제어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광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주변 조도에 따라 주간모드제어신호, 황혼모드제어신호 및 야간모드제어신호를 각각 발생하고,
    상기 밝기 모드 구동부는
    상기 전원공급부는 포지티브 직류 출력단자와 상기 표시 램프부의 발광다이오드 어레이의 애노우드 단자 사이에 서로 병렬로 연결된 저저항값을 가지는 제1저항, 중저항값을 가지는 제2저항 및 고저항값을 가지는 제3저항들;
    상기 제1저항에 직렬로 연결되고 상기 주간모드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스위치 온되는 제1광스위치;
    상기 제2저항에 직렬로 연결되고 상기 황혼모드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스위치 온되는 제2광스위치; 및
    상기 제3저항에 직렬로 연결되고 상기 야간모드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스위치 온되는 제3광스위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광도 항공 장애등 장치.
  5. 직류를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
    발광다이오드 어레이로 구성한 표시 램프부;
    상기 표시 램프부를 소정 주기로 점멸 구동하기 위한 점멸 구동부;
    상기 전원 공급부와 표시 램프부 사이에 연결되어 모드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표시 램프부를 주간, 황혼 및 야간 모드 중 어느 하나의 표시밝기로 구동하기 위하여 펄스폭 제어된 펄스구동신호를 상기 점멸 구동부에 공급하는 밝기 모드 구동부; 및
    주변 조도에 따라서 주간, 황혼 및 야간모드에 응답하는 상기 모드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동작모드 제어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광도 항공 장애등 장치.
  6. 각각 고레벨 전원전압, 중레벨 전원전압, 저레벨 전원전압을 각각 출력하는 제1내지 제3전원 공급부들;
    발광다이오드 어레이로 구성한 표시 램프부;
    상기 제1내지 제3전원 공급부들과 표시 램프부 사이에 연결되어 모드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표시 램프부를 주간, 황혼 및 야간 모드 중 어느 하나의 표시밝기에 대응하는 고레벨, 중레벨 및 저레벨 전원전압들 중 하나를 선택하여 선택된 전원전압에 대응하는 밝기모드로 상기 표시 램프부를 구동하는 밝기 모드 구동부; 및
    주변 조도에 따라서 주간, 황혼 및 야간모드에 응답하는 상기 모드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동작모드 제어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광도 항공 장애등 장치.
  7. 제1내지 제6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램프부는
    상부가 개방되고, 바닥면의 중앙이 볼록하게 솟아오른 장방형 캐비넷;
    상기 중앙에 볼록하게 솟아오른 부분의 상부면에 배치되어 상부 개방부를 향하여 광을 출사하는 발광다이오드 어레이;
    상기 중앙에 볼록하게 솟아오른 부분의 저면에 열적으로 결합된 복수의 방열핀들; 및
    상기 장방형 캐비넷의 상부 에지에 힌지 결합되고, 하방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투과시키는 투광창을 가진 덮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광도 항공 장애등 장치.
KR1020130029950A 2013-03-20 2013-03-20 고광도 항공 장애등 장치 KR1015804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9950A KR101580469B1 (ko) 2013-03-20 2013-03-20 고광도 항공 장애등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9950A KR101580469B1 (ko) 2013-03-20 2013-03-20 고광도 항공 장애등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5182A true KR20140115182A (ko) 2014-09-30
KR101580469B1 KR101580469B1 (ko) 2015-12-28

Family

ID=517585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9950A KR101580469B1 (ko) 2013-03-20 2013-03-20 고광도 항공 장애등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046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8570B1 (ko) 2018-04-30 2019-10-04 주식회사 신성일렉스 고광도 항공장애 표시등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87602A (ja) * 2001-12-18 2003-07-04 Akashi Denki Kk 航空障害灯システム
KR20060012682A (ko) * 2004-08-04 2006-02-09 주식회사 신성일렉스 고광도 표시등 장치
KR20100130252A (ko) * 2009-06-03 2010-12-13 주식회사 신성일렉스 송전철탑용 태양전지식 엘이디 항공 장애등
JP2010287544A (ja) * 2009-06-15 2010-12-24 Sharp Corp 照明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87602A (ja) * 2001-12-18 2003-07-04 Akashi Denki Kk 航空障害灯システム
KR20060012682A (ko) * 2004-08-04 2006-02-09 주식회사 신성일렉스 고광도 표시등 장치
KR20100130252A (ko) * 2009-06-03 2010-12-13 주식회사 신성일렉스 송전철탑용 태양전지식 엘이디 항공 장애등
JP2010287544A (ja) * 2009-06-15 2010-12-24 Sharp Corp 照明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0469B1 (ko) 2015-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47022B2 (en) Lighting control system for a plurality of luminaires
US9383068B2 (en) LED light assembly and system
US8525420B2 (en) Luminaire having a HID light source and a LED light source
US20110006688A1 (en) Led lamp device
KR20140038460A (ko) 평면 패널 조명 장치 및 구동 회로
KR101292098B1 (ko) 센서를 포함한 led 자동제어 조명등
US20160381754A1 (en) Dimmable Universal Voltage LED Power Supply with Regenerating Power Source Circuitry and Non-Isolated Load
US20100072921A1 (en) Lighting System Utilising RJ45 Patch Lead
JP3186754U (ja) 人体感知モジュールを備えた省電力照明装置
EP2696659A2 (en) Energy-saving illumination device having brightness adjusting module
JP6601769B2 (ja) Led点灯回路及びそれを備えた照明器具
JP2012243458A (ja) 照明装置及び照明器具
KR101174002B1 (ko) Led 조명장치
KR101179570B1 (ko) Led 조명장치
KR101580469B1 (ko) 고광도 항공 장애등 장치
KR20090081096A (ko) 엘이디 조명장치
JP6761248B2 (ja) 照明装置
JP2019102210A (ja) 高光度航空障害灯の閃光駆動装置
KR20050027190A (ko) 엘이디를 이용한 등기구 및 그 제어방법
JP5392589B1 (ja) 融雪機能付きled照明装置
KR101690567B1 (ko) 색온도 선택이 가능한 led 실내 평판 조명등 장치
KR101597149B1 (ko) 엘이디 조명등 지연 소등장치
JP2011228151A (ja) 照明装置及び照明システム
JPH10240175A (ja) 照明装置
JP2013225450A (ja) 照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