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4171A - 압출기 레벨러빔 타격장치 - Google Patents

압출기 레벨러빔 타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14171A
KR20140114171A KR1020130028684A KR20130028684A KR20140114171A KR 20140114171 A KR20140114171 A KR 20140114171A KR 1020130028684 A KR1020130028684 A KR 1020130028684A KR 20130028684 A KR20130028684 A KR 20130028684A KR 20140114171 A KR20140114171 A KR 201401141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stopper
bar
leveler beam
stri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86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53659B1 (ko
Inventor
김경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300286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3659B1/ko
Publication of KR201401141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41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36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36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43/00Preventing or removing incrustations
    • C10B43/02Removing incrustations
    • C10B43/04Removing incrustations by mechanical mea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41/00Safety devices, e.g. signalling or controlling devices for use in the discharge of cok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ke Industry (AREA)

Abstract

압출기 레벨러빔 타격장치가 소개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스프링(110)에 의한 탄성력이 레벨러빔(20)을 타격하는 충격력으로 전환되어 상기 레벨러빔(20)에 고착된 석탄을 제거하는 타격부(100); 상기 타격부(100)에 마련된 타격바(120)와 교차되도록 결합된 스토퍼(130)를 매개로 연결되되, 상기 스토퍼(130)의 전,후진에 따라 연동하여 압축 또는 신장되는 스프링(110)에 의해 상기 타격바(100)가 전,후진 되도록 하는 구동부(200);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압출기 레벨러빔 타격장치{APPARATUS FOR BEATING ALEVELLER-BEAM OF A EXTRUDER}
본 발명은 압출기 레벨러빔 타격장치로 더욱 상세하게는, 코크스의 압출 작업시 사용되는 레벨러빔에 압출 작업 중 많은 양의 콜(COAL)이 부착됨으로써, 하부에 마련된 호퍼 내부로 콜(COAL)이 낙하하지 않고, 호퍼 외부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타격바가 일정한 주기로 레벨러빔을 타격하여 레벨러빔에 부착된 콜(COAL)을 떨어뜨리는데, 이를 구현하기 위해 이 타격바의 외주면을 감싸는 스프링을 마련하고, 이 스프링의 압축,신장에 의한 탄성력이 타격바에 의해 발생되는 충격력으로 전환되는 압출기 레벨러빔 타격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코크스오븐의 탄화실과 주변의 이동기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코크스오븐은 탄화실(10)에 석탄을 장입하고 건류시켜 코크스를 생산하는 설비이다.
이러한 코크스오븐에 사용되는 이동기기 설비에는 석탄을 장입하는 장입차(12)와, 장입된 석탄을 평탄화시키고 건류된 코크스를 압출하는 압출기(13) 및 코크스를 안내하는 트랜스퍼카 등이 구비된다.
장입차(12)는 코크스오븐의 탄화실(10)에 조업기준에 맞는 채탄된 석탄(11)을 탄화실 상부에 제공된 복수개의 장입구(14)를 통해 장입한다. 이때, 장입차(12)의 실장입량의 80% 이상 석탄이 장입되면, 장입되는 석탄이 장입구(14) 측으로 쌓여 지면서 장입구(14)를 폐쇄하게 된다. 이로 인해, 가스 배출통로가 폐쇄되어 장입구(14)를 통해 화염이 불출 되거나 가스 누설현상이 발생하여, 장입차(12)를 손상시킨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해, 압출 작업시 탄화실(10) 측면에 위치하는 압출기(13)의 레벨러 장치(17)가 마련되다. 즉, 레벨러 장치(17)에 제공된 레벨러빔(20)이 탄화실에 부착된 도어 오프너(18)를 통해 전후진 되면서, 석탄의 장입레벨을 평탄화시켜 탄화실의 장입구를 개방시키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출기 레벨러빔(20)은 대체적으로 직사각형 프레임으로 다수개의 칸막이(21)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레벨러빔(20)을 왕복하여 전, 후진시키는 동안, 칸막이(21) 내에 충진된 석탄이 압출기(13)의 되돌이 석탄 호퍼(19) 측으로 방출된다. 이와 같이 방출된 석탄의 처리에 따른 작업지연과, 구조상 석탄접촉 면적이 적어 레벨링 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생산성 저하요인이 발생된다.
한편, 이미 언급하였듯이, 압출기(13)는 코크스오븐 상부에서 장입차(12)가 석탄(11)을 장입중에 레벨러 빔(20)을 전,후진시켜 석탄(11)을 평탄하여 주는데 석탄(11) 평탄작업 중 전,후진시 레벨러빔(20)에 많은 콜(COAL)이 부착되어 하부에 설치된 호퍼(22) 내부로 떨어지지 않고 호퍼(22) 외부로 떨어지므로 청소량을 많이 발생시키고 와이어 휠, 롤러 등에 쌓여 설비 이상을 일으킨다.
특히, 콜(COAL)이 레벨러빔(20) 칸막이(21)를 막아 원활한 평탄작업이 지연되어 코크스의 품질저하 및 코크스오븐 내 가스 통로의 확보가 이루어지지 않아 가스누출의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와 같이, 레벨러빔(20)에 콜(COAL)이 부착되는 원인은 레벨러빔(20) 표면의 카본 생성으로 이로 인해 콜(COAL)이 얹혀지고 칸막이(21) 사이에 콜(COAL)이 부착 다져짐이 그 주요인이고, 더군다나 코크스 품질 향상을 위해 타르가 첨가되어 이러한 문제점은 더욱 심해진다.
이와 관련된 발명으로,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03494호인 "코크스 오븐의 레벨러"와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2--139438호인 "코크스 오븐의 레벨러"가 있으며, 상기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03494호인 "코크스 오븐의 레벨러"에 의하면, 종래의 레벨러에서 한 쌍의 빔을 전후진 구동시키기 위하여 빔 상호 간에 구비되는 연결랙을 대신하여 빔 상호 간에 연결되지 않으면서도 빔을 전후진 구동시킬 수 있는 돌기를 구비함에 따라 빔에 부착탄이 발생 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호 대향 하도록 배치된 한 쌍의 돌기 사이의 이격 공간을 통과하도록 부착탄 방지 플레이트를 설치함에 따라, 빔의 전후진 시에 상기 돌기 사이의 이격 공간에 원료탄이 쌓여, 부착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석탄이 불필요하게 오븐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코크스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부착탄에 의한 낙탄의 발생을 방지하여 작업자가 낙탄을 처리하는 업무 부하를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으나, 이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돌기를 구비하고, 부착탄 플레이트를 설치하는 등 그 장치의 구조면에서 다소 복잡하고, 돌기와 플레이트 사이마다 여전히 콜(COAL)이 고착될 염려가 있으나, 본 발명에 의한다면, 종래 사용하던 레벨러빔의 형상이나 구조를 변경시키지 않고, 간단한 장치인 타격바와 스프링을 마련하여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03494호인 "코크스 오븐의 레벨러"에 의하면, 종래의 레벨러에서 한 쌍의 빔을 전,후진 시키기 위하여 빔 상호간에 구비되는 연결랙을 대신하여 빔 상호 간에 연결되지 않으면서도 빔을 전,후진 구동시킬 수 있는 랙 수단을 구비함에 따라 빔에 부착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나, 이 역시 별도의 랙 수단을 구비하고, 이 랙 수단이 구비되는 공간의 협소함으로 인해 여전히 콜이 부착되는 문제가 발생하는바, 이에 반해 본 발명은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종래 사용하던 레벨러빔의 형상이나 구조를 변경시키지 않고, 간단한 장치인 타격바와 스프링을 마련하여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는 장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03494호(2013.01.09.공개)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03494호(2012.12.27.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압출기 레벨러빔 타격장치에 관한 것으로, 종래 문제가 되어 왔던 많은 양의 콜(COAL)이 레벨러빔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고, 레벨러빔 하부에 설치된 호퍼로 콜이 낙하 되지 않고, 호퍼 외부로 떨어져서 이를 처리하기 위한 작업 부하의 증가 및 고착된 콜(COAL)에 의한 와이어휠 및 롤러 등에 쌓여 설비 이상이 되는 것을 방지하는데에 그 목적이 있다.
압출기 레벨러빔 타격장치가 소개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스프링에 의한 탄성력이 레벨러빔을 타격하는 충격력으로 전환되어 상기 레벨러빔에 고착된 석탄을 제거하는 타격부;
상기 타격부에 마련된 타격바와 교차되도록 결합된 스토퍼를 매개로 연결되되, 상기 스토퍼의 전,후진에 따라 연동하여 압축 또는 신장되는 스프링에 의해 상기 타격바가 전,후진 되도록 하는 구동부; 를 포함한다.
상기 타격부는, 상기 레벨러빔의 측면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 설치된 수직베이스와, 상기 수직베이스에 결합되어 상기 스프링과 타격바를 수용하고 그 일측에는 상기 스토퍼가 전,후진 되도록 가이드 하는 일정한 길이의 슬롯이 형성된 하우징을 포함하되,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이 상기 타격바에 전달되도록 상기 하우징 내에서 상기 스프링이 상기 타격바의 외주면을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타격부 하부에 위치하여 회전축이 결합된 모터와, 상기 스토퍼의 끝단 전면과 선택적으로 맞닿을 수 있는 다수개의 회전돌기가 상기 회전축 외주면에 일정한 각도로 이격 설치되되,
상기 스토퍼와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돌기가 회전하는 경우 상기 타격바는 후진하고, 상기 회전돌기와 상기 스토퍼와의 접촉 해제시 압축된 스프링의 탄성력으로 상기 타격바가 전진하여 레벨러빔을 타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타격바에 의한 충격력이 향상되도록, 상기 스토퍼를 중심으로 레벨러빔 측에 위치한 제1스프링과 이 제1스프링에 직렬연결된 제2스프링으로 구성되되, 상기 제2스프링의 스프링 상수가 제1스프링의 스프링 상수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레벨러빔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레벨러빔의 작동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에 의해 감지된 신호를 전달받는 제어부가 마련되되,
상기 제어부가 상기 센서부에 의한 레벨러빔의 작동신호를 인가하면 상기 모터를 작동시켜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신호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인 압출기 레벨러빔 타격장치에 의하면 아래와 같은 다양한 이점이 제공된다.
첫째, 타격바가 레벨러빔을 일정한 주기로 타격함으로써 레벨러빔에 고착된 콜(COAL)이 제거되는 이점이 있다.
둘째, 레벨러빔에 고착된 콜(COAL)이 감소 되어 레벨러를 이용한 평탄 작업이 원활히 진행됨으로써 코크스 품질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셋째, 콜(COAL) 평탄작업이 원활하게 진행되어 코크스오븐에서 발생되는 C.O.G(cokes of gas)가 저감되는 이점이 있다.
넷째, 레벨러빔 하부에 마련된 호퍼 외부로 떨어지는 콜(COAL)이 줄어들어 이를 제거하기 위한 작업자의 작업 부하의 감소와 이를 통한 설비이상이 감소 되는 등 다양한 이점이 제공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코크스오븐의 탄화실과 주변의 이동기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압출기 레벨러빔을 확대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인 압출기 레벨러빔 타격장치의 전체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인 압출기 레벨러빔 타격장치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인 압출기 레벨러빔의 시간에 따른 작동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인 압출기 레벨러빔 타격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고착된 석탄을 제거하는 타격부(100)와 이 타격부(100)를 구성하는 타격바(120)가 레벨러빔(20) 측으로 전,후진시키는 구동부(200)로 구성되어 있다.
이 타격부(100)는, 스프링(110)이 압축 또는 신장된 경우 다시 원상태로 복귀하려는 탄성력이 레벨러빔(20)의 일측을 타격하는 충격력으로 전환되어 레벨러빔(20)에 고착된 석탄을 제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스프링(110)과 타격바(120)는 하우징(140) 내부에 위치하고, 이 스프링(110)은 타격바(120)의 길이방향으로 외주면을 감싸되, 스프링(110)의 양 끝단은 하우징(140)의 길이방향 내측면에 각각 고정되어 있다.
본 발명은 레벨러빔(20)을 일정한 주기로 타격하는 타격바(120)가 마련되고, 이 타격바(120)의 일측에는 타격바(120)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스토퍼(130)가 연장 형성되어 있다.
이 스토퍼(130)가 이하 후술할 구동부(200)에 의해 전,후진 되면 이에 연결된 타격바(120) 역시 전,후진하고, 타격바(120)의 일정한 주기로의 전진에 의해 레벨라빔(20)에도 일정한 주기로 충격력이 전달된다.
즉, 이하 후술할 도 5를 참조하면, 스토퍼(130)가 후진하면 스토퍼(130)를 중심으로 우측에 위치한 스프링(110)은 압축되고, 스토퍼를 중심으로 좌측에 있는 스프링(110)은 신장 된다.
이때, 스토퍼(130)는 구동부(200)에 마련된 회전돌기(230)와의 접촉에 의해 후진하고, 이 회전돌기(230)와 스토퍼(130)와의 접촉이 해제되는 경우에는 스토퍼(130)가 전진하고, 이에 연동하여 타격바(120)도 전진하여 레벨라빔(20)의 일측을 타격하는 것이다.
다만, 회전돌기(230)와 스토퍼(130)와의 접촉 해제시, 타격바(120)의 전진이 원활하게 수행되도록 하기 위해, 스프링(110)이 어떠한 외력도 작용하지 않는 평형상태에서 회전돌기(230) 의해 스토퍼(130)가 후진하는 경우 스토퍼(130)를 중심으로 우측에 위치한 스프링(110)의 압축 길이가 스토퍼(130)를 중심으로 좌측에 위치한 스프링(110)의 신장 길이보다 크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하 후술할 하우징(140)에 형성된 슬롯(S)의 중심보다 좌측으로 편향하여 스토퍼(130)가 설치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타격부(100)를 다시 도 4를 참조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타격부(100)는, 크게 수직베이스(30)와 이미 설명한 타격바(120), 스토퍼(130) 및 하우징(140)으로 구성된다.
수직베이스(30)는 레벨러빔(20)의 양 측면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 설치되고, 이 수직베이스(30)에 수평으로 결합된 베이스(40) 상부에 스프링(110)과 타격바(120)를 수용하는 하우징(140)이 위치한다.
하우징(140) 내부에는 타격바(120)의 외주면을 감싸고 있는 스프링(110)의 양 끝단이 하우징(140) 길이방향 양 측면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40)의 외관 일측에는 스토퍼(130)의 전,후진시, 이 스토퍼(130)를 가이드 하는 일정한 길이의 슬롯(S)이 형성되어 있다.
이 슬롯(S)을 따라 스토퍼(130)가 후진하면 이에 연결된 타격바(120) 역시 후진하고, 슬롯(S)을 따라 스토퍼(130)가 전진하면 이에 연결된 타격바(120) 역시 전진하게 되어 레벨러빔(20)의 일측면을 주기적으로 타격하게 된다.
이러한 타격부(100)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부(200)를 다시 도 4를 참조로 구체적으로 설명하다.
구동부(200)는, 크게 회전축(210)이 결합된 모터(220)와 이 회전축(210)을 중심으로 일정 각도 이격 설치된 다수개의 회전돌기(230)로 구성된다.
첨부된 도면에는 3개의 회전돌기(230)가 결합 되어 있어 각각의 회전돌기(230)가 이루는 각도는 120°이나, 이러한 회전돌기(230)의 갯수는 레벨러빔(20)을 타격하는 주기를 작업자가 어떻게 설정하느냐에 따라 변동되는 것은 자명하다.
한편, 이 회전축(210)이 결합된 모터(220)는 타격부(100) 하부에 위치하고, 회전축(210)을 중심으로 일정 각도 이격 설치된 다수개의 회전돌기(230)는 스토퍼(130)의 끝단 전면과 선택적으로 맞닿아 있다.
즉, 회전돌기(23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이 회전돌기(230)에 의해 스토퍼(130)는 후진하고, 이에 연동하여 타격바(120) 역시 후진하여 스토퍼(130)를 중심으로 우측에 위치한 스프링(110)은 압축하고, 좌측에 있는 스프링(110)은 신장된다.
일정한 시간이 경과 하여 더 이상 회전돌기(230)가 스토퍼를 밀 수 없어 회전돌기(230)와 스토퍼(130)와의 접촉 해제시에는 스토퍼(130)를 중심으로 우측에 위치한 스프링(110)이 신장 되고, 좌측에 있는 스프링(110)은 압축되면서 이에 발생하는 탄성력에 의해 타격바(120)가 전진하게 된다.
이 타격바(120)가 전진하면서 레벨러빔(20)을 타격하여 레벨러빔(20)에 고착된 석탄(COAL)이 그 충격으로 인해 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때, 슬롯(S)을 따라 전진한 스토퍼(130)는 그 다음으로 회전하고 있는 회전돌기(230)에 의해 상기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게 되고, 이러한 반복 과정에 의해 일정한 주기로 타격바(120)가 지속적으로 레벨러빔(20)을 타격하게 된다.
한편, 타격바(120)에 의한 충격력이 향상되도록 스토퍼(130)를 중심으로 스프링 상수가 서로 다르도록, 레벨러빔(20)측에 위치한(스토퍼를 중심으로 좌측) 제1스프링(110a)과 이에 직렬연결된 제2스프링(110b)으로 구성된다.
이때, 제2스프링(110b)의 스프링 상수(K2)는 제1스프링(110a)의 스프링상수(K1)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 이유는, 같은 길이로 각각의 스프링이 압축 또는 신장 되었을 때, 다시 원위치로 복귀하려는 탄성력이 스프링 상수가 더 큰 스프링이 크기 때문이다.
즉, 회전돌기(230)의 시계방향 회전으로 스토퍼(130)가 후진할 때, 제2스프링(110b)은 압축되고, 제1스프링(110a)은 신장 되는데, 스토퍼(130)와 회전돌기(230)의 접촉이 해제되면 제2스프링(110b)의 스프링 상수가 제1스프링(110a)의 스프링 상수보다 크기 때문에, 이 경우 같은 길이로 압축과 신장이 되더라도 제2스프링(110b)에 의한 탄성력이 더 크기 때문에 스토퍼(130)는 전진하면서 이에 결합된 타격바(120) 역시 전진하여 레벨러빔(20)을 타격하여 그 충격력이 배가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과 함께 레벨러빔(20)의 작동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부(300)와 이 작동신호를 전달받은 후, 모터(220)를 회전시키도록 그 신호를 전달하는 제어부(400)가 마련되어 레벨러빔(20)에 고착된 석탄(COAL)을 제거하는 자동시스템이 구현될 수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벨러빔(20)의 일측에는 이 레벨러빔(20)의 작동 여부(전,후진 구동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부(300)가 마련된다.
그리고, 이 센서부(300)에 의해 감지된 신호를 전달받는 제어부(400)가 마련되되, 이 제어부(400)는 다시 그 신호를 회전축(210)을 포함하는 모터(220)에 전달함으로써, 레벨러빔(20)이 작동되면 자동적으로 모터(220)에 의해 회전축(210)이 회전하도록 구현된다.
이러한 작동으로, 회전축(210) 외주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회전돌기(230)가 회전하고, 스토퍼(130)는 이 회전돌기(230)와 접촉하면서 전,후진하게 되고, 이 스토퍼(130)에 연결된 타격바(120) 역시 전,후진하면서 레벨러빔(20)의 일측을 타격하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 5를 참조로 본 발명의 작동과정을 설명한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돌기(230a)가 스토퍼(130)의 끝단 일면과 접촉하고 있다.
이때, 레벨러빔(20)의 일측에 설치된 센서부(300)에 의해 레벨러빔(20)이 작동되는 신호를 감지하면, 그 신호가 제어부(400)에 전달되고 제어부(400)는 다시 회전축(210)이 마련된 모터(220)에 그 신호를 전달한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모터(220)의 구동으로 회전돌기(230a)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이에 연동하여 스토퍼(130) 역시 후진하게 된다.
스토퍼(130)는 하우징(140) 일측에 스토퍼(130)를 가이드 하는 슬롯(S)을 따라 슬롯(S)의 끝단까지 이동하게 된다. 스토퍼(130)가 후진하는 동안 스토퍼(130) 우측에 있는 제2스프링(110,110b)은 압축되고, 스토퍼(130)를 기준으로 좌측에 있는 제1스프링(110,110a)은 인장 된다.
한편,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돌기(230a)가 시계방향으로 더 회전하게 되면, 이 스토퍼(130)와 회전돌기(230a)의 접촉은 해제되고, 스토퍼(130)를 중심으로 우측에 위치한 제2스프링(110,110b)은 다시 원위치하기 위해 신장되고, 스토퍼(130)를 중심으로 좌측에 위치한 제1스프링(110,110a)은 다시 원위치하기 위해 압축되는바, 그 탄성력에 의해 스토퍼(130)와 타격바(120)는 전진하게 된다.
이때, 제2스프링(110b)의 스프링 상수가 제1스프링(110a)의 상수보다 크다면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와 같은 작동이 구현된다.
이 타격바(120)가 전진하면서 레벨러빔(20)의 일측을 타격하고, 그 충격력으로 인해 레벨러빔(20)에 고착된 석탄이 낙하되어 제거되는 것이다.
다시 도 5c를 참조하면, 회전축(210)이 회전하면서 스토퍼(130) 전방에는 다시 회전돌기(230b)가 위치하고, 이 회전돌기(230b)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와 같은 작동이 다시 반복되는바, 주기적으로 타격바(120)가 레벨러빔(20)의 일측을 타격하게 된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 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20 : 레벨러빔 30 : 수직베이스
40 : 베이스 100 : 타격부
110 : 스프링 110a :제1스프링
110b : 제2스프링 120 : 타격바
130 : 스토퍼 140 : 하우징
200 : 구동부 210 : 회전축
220 : 모터 230 : 회전돌기
300 : 센서부 400 : 제어부

Claims (5)

  1. 스프링(110)에 의한 탄성력이 레벨러빔(20)을 타격하는 충격력으로 전환되어 상기 레벨러빔(20)에 고착된 석탄을 제거하는 타격부(100);
    상기 타격부(100)에 마련된 타격바(120)와 교차되도록 결합된 스토퍼(130)를 매개로 연결되되, 상기 스토퍼(130)의 전,후진에 따라 연동하여 압축 또는 신장되는 스프링(110)에 의해 상기 타격바(100)가 전,후진 되도록 하는 구동부(200); 를 포함하는 압출기 레벨러빔 타격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타격부(100)는, 상기 레벨러빔(20)의 측면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 설치된 수직베이스(30)와, 상기 수직베이스(30)에 결합되어 상기 스프링(110)과 타격바(100)를 수용하고 그 일측에는 상기 스토퍼(130)가 전,후진 되도록 가이드 하는 일정한 길이의 슬롯(S)이 형성된 하우징(140)을 포함하되,
    상기 스프링(110)의 탄성력이 상기 타격바(100)에 전달되도록 상기 하우징(140) 내에서 상기 스프링(110)이 상기 타격바(100)의 외주면을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기 레벨러빔 타격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200)는, 상기 타격부(100) 하부에 위치하여 회전축(210)이 결합된 모터(220)와, 상기 스토퍼(130)의 끝단 전면과 선택적으로 맞닿을 수 있는 다수개의 회전돌기(230)가 상기 회전축(210) 외주면에 일정한 각도로 이격 설치되되,
    상기 스토퍼(130)와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돌기(230)가 회전하는 경우 상기 타격바(100)는 후진하고, 상기 회전돌기(230)와 상기 스토퍼(130)와의 접촉 해제시 압축된 스프링(110)의 탄성력으로 상기 타격바(120)가 전진하여 레벨러빔(20)을 타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기 레벨러빔 타격장치.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격바(1000에 의한 충격력이 향상되도록, 상기 스토퍼(130)를 중심으로 레벨러빔(20) 측에 위치한 제1스프링(110a)과 이 제1스프링(1110a)에 직렬연결된 제2스프링(110b)으로 구성되되, 상기 제2스프링(110b)의 스프링 상수가 제1스프링(110a)의 스프링 상수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기 레벨러빔 타격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레벨러빔(20)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레벨러빔(20)의 작동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부(300)와, 상기 센서부(300)에 의해 감지된 신호를 전달받는 제어부(400)가 마련되되,
    상기 제어부(400)가 상기 센서부(300)에 의한 레벨러빔(20)의 작동신호를 인가하면 상기 모터(220)를 작동시켜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신호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기 레벨러빔 타격장치.
KR1020130028684A 2013-03-18 2013-03-18 압출기 레벨러빔 타격장치 KR1014536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8684A KR101453659B1 (ko) 2013-03-18 2013-03-18 압출기 레벨러빔 타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8684A KR101453659B1 (ko) 2013-03-18 2013-03-18 압출기 레벨러빔 타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4171A true KR20140114171A (ko) 2014-09-26
KR101453659B1 KR101453659B1 (ko) 2014-10-22

Family

ID=517580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8684A KR101453659B1 (ko) 2013-03-18 2013-03-18 압출기 레벨러빔 타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365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96676A (zh) * 2017-09-27 2018-03-13 安徽理工大学 烟煤奥亚膨胀计自动打击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6266A (ja) * 1993-07-08 1995-01-27 Kawasaki Steel Corp コークス炉の炭化室窯口前コークス排出装置
JP3644430B2 (ja) 2001-12-10 2005-04-27 Jfeスチール株式会社 コークス押出ラムの先端位置指示装置、及びコークス押出しラムの先端位置検出方法
CN101048481B (zh) 2004-12-28 2011-06-08 杰富意钢铁株式会社 焦炭推出方法以及焦炭推出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96676A (zh) * 2017-09-27 2018-03-13 安徽理工大学 烟煤奥亚膨胀计自动打击装置
CN107796676B (zh) * 2017-09-27 2024-04-16 安徽理工大学 烟煤奥亚膨胀计自动打击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3659B1 (ko) 2014-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8388B1 (ko) 코크스 오븐의 탄화실 카본 제거 장치
KR101453659B1 (ko) 압출기 레벨러빔 타격장치
CN208521350U (zh) 一种零售机用硬币分拣装置
CN206871984U (zh) 一种物料分离输送装置
CN109969218A (zh) 一种矿山修复辅助固定机构
JP2014051608A (ja) コークス詰まり除去装置
CN114122933A (zh) 一种用于工业生产配电的电路装置
KR20140137864A (ko) 코크스 오븐 장입탄 레벨 평탄화 장치
KR20130140240A (ko) 코크스 오븐 장입차의 석탄 장입 장치
CN210855989U (zh) 一种推焦机上用的推焦杆
KR101485673B1 (ko) 되돌이 탄 발생 방지 기능을 갖는 코크스 오븐 레벨러
KR101259372B1 (ko) 슈트 부착탄 처리 장치
US1720805A (en) Leveler bar for coke ovens
CN105600192A (zh) 漏斗粘料清除机构及漏斗
KR101949697B1 (ko) 레벨러 장치
US4071414A (en) Method of smokeless charging of coke ovens with coal charge and coal-charging machine for effecting same
CN214439346U (zh) 一种铝塑板加工边条自动回收破碎装置
CN218369645U (zh) 一种uhpc干粉材料存储设备的清理机构
KR100903423B1 (ko) 밀폐 및 카본 제거 기능을 갖춘 레벨러 시스템
CN217017402U (zh) 一种用于抛丸清理机的弹丸分离装置
CN117065872B (zh) 一种食品原料研磨装置
CN217535911U (zh) 一种焦炉炭化室内尾焦清扫装置
CN219669551U (zh) 粉料收集装置和煤矿输送系统
KR20040041450A (ko) 코크스 오븐의 장입탄 레벨 평탄화 장치
KR101158827B1 (ko) 코크스 오븐 설비의 레벨러빔 수평 유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