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3891A - 측면에 도전패드가 형성된 기둥형 led 패키지 - Google Patents

측면에 도전패드가 형성된 기둥형 led 패키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13891A
KR20140113891A KR1020140109189A KR20140109189A KR20140113891A KR 20140113891 A KR20140113891 A KR 20140113891A KR 1020140109189 A KR1020140109189 A KR 1020140109189A KR 20140109189 A KR20140109189 A KR 20140109189A KR 20140113891 A KR20140113891 A KR 201401138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ive
led package
exposed
outside
light e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91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인영
Original Assignee
(주)팔콘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팔콘시스템 filed Critical (주)팔콘시스템
Publication of KR201401138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38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8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01L33/6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emiconductor body, e.g. lead-frames, wire-bonds or solder b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20Light sources comprising attachment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9/00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V19/001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the light sources being semiconductors devices, e.g. LEDs
    • F21V19/0015Fastening arrangements intended to retain light sources
    • F21V19/0025Fastening arrangements intended to retain light sources the fastening means engaging the conductors of the light source, i.e. providing simultaneous fastening of the light sources and their electric conn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6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coupling devices, e.g. conn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8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01L33/483Containers
    • H01L33/486Containers adapted for surface moun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8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01L33/52Encapsulations
    • H01L33/54Encapsulations having a particular sha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2/00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 F21S2/005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of modular 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2Wire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7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48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wire connector
    • H01L2224/4805Shape
    • H01L2224/4809Loop shape
    • H01L2224/48091Arch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2Wire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7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48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wire connector
    • H01L2224/481Disposition
    • H01L2224/48151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 H01L2224/48221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 H01L2224/48245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the item being metallic
    • H01L2224/48247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the item being metallic connecting the wire to a bond pad of the ite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1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to be connected
    • H01L2924/11Device type
    • H01L2924/12Passive devices, e.g. 2 terminal devices
    • H01L2924/1204Optical Diode
    • H01L2924/12041L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15Details of package parts other than the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to be connected
    • H01L2924/181Encaps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ed Device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측면에 도전패드가 형성된 기둥형 LED 패키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납땜공정 없이도 LED 패키지용 도전플레이트에 실장 또는 연결이 가능하도록 밀봉하우징 측면부 외측으로 도전패드를 구비함으로써, 고온의 작업환경이 요구되지 않고 고가의 인쇄회로기판이 필요 없으며 유해물질의 발생 없이도 신속하면서도 용이하게 실장 또는 연결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는 측면에 도전패드가 형성된 기둥형 LED 패키지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내부에 발광체가 밀봉된 밀봉하우징과, 상기 밀봉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고 발광체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발광체에 전기를 공급하는 도전성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도전성 프레임이 외부의 도전플레이트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복수 개의 도전패드를 형성하는 기둥형 LED 패키지에 있어서, 상기 밀봉하우징의 측면부 일측에서 한 개의 도전패드가 외측방으로 노출되도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밀봉하우징의 타 측면부 일측에서 한 개 이상의 도전패드가 외측방으로 노출되도록 더 구비된 것도 가능하다.

Description

측면에 도전패드가 형성된 기둥형 LED 패키지 {LED Package With Conducting Pad On Side}
본 발명은 측면에 도전패드가 형성된 기둥형 LED 패키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납땜공정 없이도 LED 패키지용 도전플레이트에 실장 또는 연결이 가능하도록 밀봉하우징 측면부 외측으로 도전패드를 구비함으로써, 고온의 작업환경이 요구되지 않고 고가의 인쇄회로기판이 필요 없으며 유해물질의 발생 없이도 신속하면서도 용이하게 실장 또는 연결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는 측면에 도전패드가 형성된 기둥형 LED 패키지에 관한 것이다.
LED, 즉 발광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는 텅스텐 전구나 네온램프 등 다른 발광 소자와 비해 소비전력이 낮으면서도 그 수명이 긴 장점이 있어 조명장치에서부터 전광판과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이르기까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하 조명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LED 패키지는 내부에 발광체가 수용된 밀봉하우징과, 밀봉하우징의 일측에 설치되고 일측이 외부로 노출된 접촉단자로 구성되는데, 이러한 LED 패키지는 인쇄회로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위에 납땜으로 기계적으로 실장되고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LED 패키지의 자세한 설명에 앞서 보통 전자부품 패키지가 PCB에 실장되는 기술을 먼저 살펴보면, 패키지를 PCB에 실장하는 기술로는 삽입실장법(IMT: insert mount technology)과 표면실장법(SMT: surface mount technology)이 있다.
삽입실장에 사용되는 PCB에는 삽입공(through hole)이 뚫려있고, 이러한 삽입공에 전자부품 패키지의 리드(Lead)를 삽입 후 납땜으로 실장한다.
또한, 표면실장에 사용되는 PCB에는 납땜면(solder surface)이 설치되고, 이곳에 전자부품 패키지의 패드(Pad), 즉 접촉단자를 납땜으로 고정시킴으로 실장되는데, 여기서 LED 패키지는 한 패키지 안에 두 개 이상의 발광체를 가지는 경우 세 개 이상의 접촉단자 또는 패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1은 종래의 삽입실장용 LED 패키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의 삽입실장용 LED 패키지는 에폭시와 같은 밀봉재를 몰드(mold)하여 형성된 밀봉하우징(H)과, 밀봉하우징(H)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1 접촉단자(1) 및 제2 접촉단자(2)가 형성되는데, 밀봉하우징(H)의 내부에 수용되고 양단의 전압차에 의하여 빛을 방출하는 발광체(L)가 본딩 와이어(W)를 통하여 제 1 접촉단자(1) 및 제2 접촉단자(2)에 연결된다.
이러한 발광체(L), 즉 LED는 밀봉재를 몰드(mold)하여 만들어진 밀봉하우징(H)에 의하여 외부환경으로부터 보호받는데, 이때, 두 개의 접촉단자는 유격이 발생하지 않도록 밀봉재와 열팽창 계수가 같은 금속재료가 사용되어야 한다. 또한, 밀봉하우징(H)의 외부로 노출되는 제1 접촉단자(1) 및 제2 접촉단자(2)의 폭은 1mm이하로 매우 작은데, 이러한 접촉단자에 맞게 삽입실장 인쇄회로기판을 제작하고, 외부로 노출된 접촉단자를 인쇄회로기판의 삽입공에 삽입한 상태에서 납땜으로 고정하게 된다.
이때 납땜공정은 납을 300℃이상의 가열하여 액체상태로 변환하는 과정이 요구되는데, 이러한 과정에서 납, 수은, 카드늄과 같은 유해물질을 발생시키게 될 뿐 아니라 고온의 납땜공정을 요구되면서 상당한 숙련도가 요구되고, 생산시간이 증대되면서 제조비용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종래의 삽입실장용 LED 패키지는 납땜공정 후 제1 접촉단자(1) 또는 제2 접촉단자(2)의 단부가 외부로 노출됨에 따라 이를 절단해야 하는 공정이 추가적으로 이루어지면서 생산시간이 보다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2010-0018508호 (2008.05.02 출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납땜공정 없이도 LED 패키지용 도전플레이트에 실장 또는 연결이 가능하도록 밀봉하우징 측면부 외측으로 도전패드를 구비함으로써, 고온의 작업환경이 요구되지 않고 고가의 인쇄회로기판이 필요 없으며 유해물질의 발생 없이도 신속하면서도 용이하게 실장 또는 연결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는 측면에 도전패드가 형성된 기둥형 LED 패키지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내부에 발광체가 밀봉된 밀봉하우징과, 상기 밀봉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고 발광체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발광체에 전기를 공급하는 도전성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도전성 프레임이 외부의 도전플레이트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복수 개의 도전패드를 형성하는 기둥형 LED 패키지에 있어서, 상기 밀봉하우징의 측면부 일측에서 한 개의 도전패드가 외측방으로 노출되도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밀봉하우징의 타 측면부 일측에서 한 개 이상의 도전패드가 외측방으로 노출되도록 더 구비된 것도 가능하다.
이 때 상기 밀봉하우징 외측방으로 노출된 도전패드 중 적어도 한 개의 도전패드는 상기 밀봉하우징의 저면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U자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밀봉하우징, 상기 밀봉하우징 외측방으로 노출된 도전패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도전플레이트의 일측이 지지되어 상기 도전패드가 상기 도전플레이트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속수단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구속수단은 상기 밀봉하우징의 일측에 상기 밀봉하우징과 연통하여 형성되는 플렌지일 수 있으며, 상기 밀봉하우징 외측방으로 노출된 도전패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플렌지의 일측에서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구속수단은 상기 밀봉하우징의 일측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홈일 수 있으며, 상기 도전플레이트의 일측부가 상기 고정홈을 통해 상기 밀봉하우징, 상기 밀봉하우징 외측방으로 노출된 도전패드 중 어느 하나의 일측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LED 패키지가 도전플레이트의 일측에 형성된 실장공에 끼움결합되는 경우 밀봉하우징 측면부 외측으로 구비된 도전패드에 의해 기둥형 LED 패키지가 실장공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LED 패키지를 도전플레이트에 실장하는 과정에서 납땜공정이 요구되지 않아 LED 패키지의 실장작업이 신속하면서도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뿐 아니라 기둥형 LED 패키지를 도전플레이트에 견고하게 실장할 수 있고, 납땜공정을 위해 한정적이였던 재료선정의 폭이 넓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한 번의 몰딩으로 밀봉하우징이 형성되는 기둥형 LED 패키지는 공정이 단순하기 때문에 제작이 단순하고, 이에 따라 LED 패키지의 가격이 저렴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삽입실장용 LED 패키지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a)에 따른 측면에 도전패드가 형성된 기둥형 LED 패키지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b)에 따른 측면에 도전패드가 형성된 기둥형 LED 패키지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a)에 따른 측면에 도전패드가 형성된 기둥형 LED 패키지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b)에 따른 측면에 도전패드가 형성된 기둥형 LED 패키지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측면에 도전패드가 형성된 기둥형 LED 패키지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LED 패키지를 이용한 LED 조명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한편,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 앞서 기둥형 LED 패키지에 대하여 살펴보면, LED 패키지는 제조방법에 따라 크게 기둥형과 기판형으로 나누어진다. 기둥형은 도 1과 같이 발광체와 도전성 프레임에 한 번의 몰딩으로 LED 패키지가 형성되는 것을 말하고, 기판형 LED 패키지는 기판 위에 발광체를 장착한 후 발광체를 보호하는 밀봉하우징을 몰딩하는 방법으로 제작되며 일반적으로 표면실장에 사용된다. 따라서 기둥형 LED 패키지는 기판형 LED 패키지에 비하여 기판과 밀봉하우징의 비틀림의 우려가 없고, 기판을 제작하는 과정이 없기 때문에 제작이 간단하고 생산비가 저렴한 장점을 지니고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LED 패키지는 한 번의 몰딩으로 LED 패키지가 형성되기 때문에 위와 같은 장점을 지닌 기둥형 LED 패키지에 대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a)에 따른 측면에 도전패드가 형성된 기둥형 LED 패키지의 사시도 및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b)에 따른 측면에 도전패드가 형성된 기둥형 LED 패키지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LED 패키지(10)는 제 1 도전패드(11) 및 제 2 도전패드(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LED 패키지(10)는 내부에 LED가 수용된 밀봉하우징(H)과, 밀봉하우징(H)의 내부에 설치되는 도전성 프레임을 포함하고, 발광체(L)를 보호함과 아울러 후술하는 도전플레이트로부터 전달되는 전원 및 신호에 따라 발광체(L)로부터 광이 발광되도록 한다. 밀봉하우징(H)은 에폭시와 같은 밀봉재로 발광체(L)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발광체(L)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도전성 프레임은 각각 밀봉하우징(H)의 내측으로부터 연장형성되어 후술하는 도전플레이트에 접촉지지될 수 있도록 밀봉하우징(H)의 외부 일측에 제 1 도전패드(11) 및 제 2 도전패드(12)의 형태로 노출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제 1 도전패드(11) 및 제 2 도전패드(12)가 각각 밀봉하우징의 측면부의 일측 및 타측에 형성되어, 각 도전플레이트와 연결이 이루어진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도전패드(11)를 노출하는 도전성 프레임은 밀봉하우징(H)의 내측에 설치되고, 상단부가 발광체(L)와 전기적으로 와이어(W) 본딩되어 일 도전플레이트로부터 인가되는 전원 또는 전기적 신호를 발광체(L)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제 2 도전패드(12)를 노출하는 도전성 프레임은 밀봉하우징(H)의 내측에 설치되고, 상단부에 발광체(L)가 전기적으로 접촉되게 설치되고, 타 도전플레이트로부터 인가되는 전원 또는 전기적 신호를 발광체(L)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LED 패키지(10)는 밀봉하우징(H)의 측면부 일측과 타측에 외부로 제 1 도전패드(11) 및 제 2 도전패드(12)를 노출시키도록 형성되어, 그 자체로 실장 시에 각 도전패드(11, 12)와 각 도전플레이트의 연결 및 고정수단이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도 2에서는 제 1 도전패드(11) 및 제 2 도전패드(12)가 밀봉하우징(H)의 양 측면부 일측에서 외측방으로 노출되도록 구비되었으며, 도 3에서는 각 도전패드(11, 12)가 밀봉하우징(H)의 저면 일측에서부터 연장되어 U자 형상으로 구비된 것을 살펴볼 수 있다.
U자 형상으로 제 1 도전패드(11) 및 제 2 도전패드(12)를 구비할 경우, 각 도전패드(11, 12)의 일부가 밀봉하우징(H)의 측면부와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기둥형 LED 패키지(10)를 어떤 방식으로 실장 또는 연결 작업하느냐에 따라 맞춤형으로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a)에 따른 측면에 도전패드가 형성된 기둥형 LED 패키지의 사시도 및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b)에 따른 측면에 도전패드가 형성된 기둥형 LED 패키지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서는 밀봉하우징(H)의 일측에 밀봉하우징(H)과 연통하여 형성되는 플렌지(2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이 경우 제 1 도전패드(11) 또는 제 2 도전패드(1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플렌지(20)의 일측에서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밀봉하우징(H) 부분은 LED 조명장치의 발광패널(P)에 결속될 경우 발광체(L)가 내재된 위치가 외부로 노출되어야 하기 때문에,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밀봉하우징(H)의 하단부에 플렌지(20)를 구비하는 것이 좋다. 밀봉하우징(H)과 플렌지(20)가 연통되기 때문에 내부의 도전성 프레임이 밀봉하우징(H)에서 플렌지(20) 측으로 연장형성될 수 있으며, 플렌지(20)의 외부 일측에 제 1 도전패드(11) 혹은 제 2 도전패드(12)가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플렌지(20)를 구비하고, 플렌지(20)에 각 도전패드(11, 12)를 형성시킴으로써 LED 패키지(10)를 도전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발광패널(P)에 실장하는 것이 용이해질 수 있다. 플렌지(20)의 형상 자체가 특정 삽입홈에 삽입하기 쉬우면서도 LED 패키지(10)의 유격을 방지할 수 있도록 보조적인 연결 및 고정수단으로서 역할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플렌지(20)가 각 도전패드(11, 12)가 도전플레이트 등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속수단이 되는 것이다.
한편 도 5에서 살펴볼 수 있듯이, 제 1 도전패드(11)는 플렌지(20)의 상부 일측에 위치시키고, 제 2 도전패드(12)는 플렌지(20)의 하부 일측에 위치시키는 구조를 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각 도전패드가 외부의 도전플레이트와 연결될 때 각각 겹치지 않도록 배치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예컨데, 일 도전플레이트의 저면을 플렌지(20)의 상면과 대면하도록 구비하고 타 도전플레이트의 상면을 플렌지(20)의 저면과 대면하도록 구비하여 결합하는 식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측면에 도전패드가 형성된 기둥형 LED 패키지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구속수단이 밀봉하우징(H), 제 1 도전패드(11) 또는 제 2 도전패드(12) 중 어느 하나의 일측에 형성됨으로써, 도전플레이트의 일측이 이 구속수단에 지지되어 제 1 도전패드(11) 및 제 2 도전패드(12)가 도전플레이트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도면의 제 3 실시예에서 구속수단은 밀봉하우징(H)의 일측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홈(40)이고, 도전플레이트의 일측부가 고정홈(40)을 통해 밀봉하우징(H), 제 1 도전패드(11) 또는 제 2 도전패드(12) 중 어느 하나의 일측에 지지될 수 있다. 밀봉하우징(H)은 내재되어 있는 각 도전패드와 함께 하단으로 길게 연장이 가능한데, 이 경우 도전패드를 감싸는 구조물로 포켓(30) 형태의 케이스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밀봉하우징(H)과 일체 혹은 별개로 구비될 수 있는 포켓(30)의 측면 일측에는 고정홈(40)이 형성되어, 이 고정홈(40) 일측에 제 1 도전패드(11) 또는 제 2 도전패드(12)가 노출이 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도전플레이트의 일측부가 고정홈(40)을 통해 각 도전패드(11, 12)의 외부로 노출된 부분에 탄성접촉됨으로써, 도전플레이트로부터 전달되는 전원 및 전기적 신호는 도전패드를 통해 발광체(L)에 전달된다.
또한 각 도전패드(11, 12)의 일측에 경사면(50)이 형성되어, 도전플레이트의 일측부에 형성시키는 경사면과 함께 상호 접촉되도록 함으로써 도전패드(11, 12)와 도전플레이트의 접촉효율이 보다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와 같은 경우 일 도전플레이트가 LED 패키지(10)를 구속하는 힘이 없더라도 타 도전플레이트가 LED 패키지(10)를 구속하는 힘에 의해 도전패드와 접촉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구속수단은 보다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는데, 상부 지지블럭을 밀봉하우징(H)의 저면 일측에 형성시키고, 하부 지지블럭을 기둥의 하단부 일측에 형성시킴으로써, 외부의 도전플레이트와 연결 및 고정수단이 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부 지지블럭 일측에는 외부로 발광체(L)의 일 극성과 연결된 제 1 도전패드가 노출되고, 하부 지지블럭 일측에는 외부로 발광체(L)의 타 극성과 연결된 제 2 도전패드를 노출될 수 있는 것이다. 상부 지지블럭의 일측에 제 1 도전패드가, 하부 지지블럭 일측에 제 2 도전패드가 각각 외부로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각 상하부 지지블럭이 외부의 도전플레이트와 연결 및 고정이 이루어지면 자연스럽게 각 도전패드가 도전플레이트와 전기적으로 접속이 된 채로 유지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LED 패키지를 이용한 LED 조명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LED 패키지(10)를 실제 디스플레이장치를 구성하기 위한 발광패널(P)에 결합하기 위한 예시도를 살펴볼 수 있다.
기본적으로, LED 패키지(10)는 발광패널(P)에 형성된 LED 패키지 삽입구(10a)에 삽입이 이루어진다. 이 때 제 1 도전패드(11)는 각 도전플레이트(100, 200, 300)에 형성된 제 1 도전패드 접속부(11a)와, 제 2 도전패드(12)는 각 도전플레이트(100, 200, 300)에 형성된 제 2 도전패드 접속부(12a)와 각각 접촉이 된다.
제 1 도전패드 접속부(11a) 및 제 2 도전패드 접속부(12a)는 삽입홈이 도전플레이트 일측에 형성됨으로써, 도전플레이트의 일측면이 LED 패키지(10)의 측면부 일측과 밀착됨과 동시에 삽입홈에 제 1 도전패드(11) 및 제 2 도전패드(12)가 끼움결합되어 결속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병렬 도전플레이트(100), 제 2 병렬 도전플레이트(200) 및 직렬 도전플레이트(300)를 구비하여 직병렬 혼합연결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나 조명장치의 발광패널(P)에 적용이 가능하다. 각 도전플레이트(100, 200, 300)와 제 1 도전패드(11) 및 제 2 도전패드(12)가 연결된 연결체는 발광패널(P)의 상부 일측에 형성된 도전플레이트 장착홈(100a, 200a, 300a) 및 LED 패키지 삽입구(10a)에 삽입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각 도전패드(11, 12)를 통해 각 도전플레이트(100, 200, 300)로부터 인가되는 외부 전원공급장치 및 제어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 및 전기적 신호를 LED 패키지(10) 내부의 발광체(L)로 전달할 수 있으면서도, 별도의 납땜공정 없이도 LED 패키지(10)를 도전플레이트를 포함한 발광패널(P) 구조물에 실장할 수 있으며 그 결속이 견고하게 이루어짐으로써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직병렬을 포함하는 LED 조명장치 뿐 아니라 비교적 배선이 복잡한 LED 디스플레이장치에서도 적용이 가능하다. 각 LED 패키지(10)를 병렬로 연결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상호 이웃하는 LED 패키지(10)에 접촉되는 각 도전플레이트를 하나의 플레이트로 이용하여 직렬로 연결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 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등록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서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0 : LED 패키지
H : 밀봉하우징 L : 발광체
W : 본딩 와이어
11 : 제 1 도전패드 12 : 제 2 도전패드
20 : 플렌지 30 : 포켓
40 : 고정홈 50 : 경사면
P : 발광패널
100 : 제 1 병렬 도전플레이트 200 : 제 2 병렬 도전플레이트
300 : 직렬 도전플레이트
10a : LED 패키지 삽입구
11a : 제 1 도전패드 접속부 12a : 제 2 도전패드 접속부
100a : 제 1 병렬 도전플레이트 장착홈
200a : 제 2 병렬 도전플레이트 장착홈
300a : 직렬 도전플레이트 장착홈

Claims (6)

  1. 내부에 발광체가 밀봉된 밀봉하우징과, 상기 밀봉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고 발광체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발광체에 전기를 공급하는 도전성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도전성 프레임이 외부의 도전플레이트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복수 개의 도전패드를 형성하는 기둥형 LED 패키지에 있어서,
    상기 밀봉하우징의 측면부 일측에서 한 개의 도전패드가 외측방으로 노출되도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에 도전패드가 형성된 기둥형 LED 패키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하우징의 타 측면부 일측에서 한 개 이상의 도전패드가 외측방으로 노출되도록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에 도전패드가 형성된 기둥형 LED 패키지.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하우징 외측방으로 노출된 도전패드 중 적어도 한 개의 도전패드는 상기 밀봉하우징의 저면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U자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에 도전패드가 형성된 기둥형 LED 패키지.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하우징, 상기 밀봉하우징 외측방으로 노출된 도전패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도전플레이트의 일측이 지지되어 상기 도전패드가 상기 도전플레이트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속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에 도전패드가 형성된 기둥형 LED 패키지.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수단은 상기 밀봉하우징의 일측에 상기 밀봉하우징과 연통하여 형성되는 플렌지이고,
    상기 밀봉하우징 외측방으로 노출된 도전패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플렌지의 일측에서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에 도전패드가 형성된 기둥형 LED 패키지.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수단은 상기 밀봉하우징의 일측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홈이고,
    상기 도전플레이트의 일측부가 상기 고정홈을 통해 상기 밀봉하우징, 상기 밀봉하우징 외측방으로 노출된 도전패드 중 어느 하나의 일측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에 도전패드가 형성된 기둥형 LED 패키지.
KR1020140109189A 2013-11-21 2014-08-21 측면에 도전패드가 형성된 기둥형 led 패키지 KR2014011389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1964 2013-11-21
KR20130141964 2013-11-2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3891A true KR20140113891A (ko) 2014-09-25

Family

ID=51756833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9185A KR101512367B1 (ko) 2013-11-21 2014-08-21 상하부 지지블럭을 포함하는 led 패키지
KR1020140109192A KR20140111236A (ko) 2013-11-21 2014-08-21 직렬 도전플레이트를 이용해 led 패키지를 연결하는 led 조명장치
KR1020140109189A KR20140113891A (ko) 2013-11-21 2014-08-21 측면에 도전패드가 형성된 기둥형 led 패키지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9185A KR101512367B1 (ko) 2013-11-21 2014-08-21 상하부 지지블럭을 포함하는 led 패키지
KR1020140109192A KR20140111236A (ko) 2013-11-21 2014-08-21 직렬 도전플레이트를 이용해 led 패키지를 연결하는 led 조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10151236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2367B1 (ko) 2015-04-16
KR20140119670A (ko) 2014-10-10
KR20140111236A (ko) 2014-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75152B2 (en) Hermetic light-emitting device
US7880389B2 (en) LED lighting lamp
JP4552897B2 (ja) Led点灯ユニット及びそれを用いた照明器具
JP2009231473A (ja) 照明モジュール、およびこの照明モジュールを用いた電子機器
KR20160073934A (ko) 전반 조명을 위한 led 리드 프레임 어레이
US9000571B2 (en) Surface-mounting light emitting diode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070073594A (ko) 레이저 패키지 어댑터
US9046252B2 (en) LED lamp
KR20160022346A (ko) 광전자 구조체
US11353190B2 (en) System for the electrically connecting at least one light source to an electrical power supply system
KR20140113891A (ko) 측면에 도전패드가 형성된 기둥형 led 패키지
US11430933B2 (en) Lighting device with high flexibility in connecting electrical components
KR101191566B1 (ko) 엘이디 조명기기
KR101646949B1 (ko) Led 패키지를 실장하는 조명장치용 패널
WO2016028114A1 (ko) 상하부 지지블럭을 포함하는 엘이디 패키지
KR20150062343A (ko) 측면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
EP3133332A1 (en) Integrated led module with ims substrate
JP2011258313A (ja) 電線接続装置および照明器具
JP5328468B2 (ja) 固体発光装置、固体発光素子ユニット及び照明器具
KR102089626B1 (ko) 발광 모듈
KR101490763B1 (ko) 렌즈 구조를 이용하여 엘이디 칩을 고정 및 전원연결하는 씨오비 타입 엘이디
KR101299587B1 (ko) 엘이디 조명장치
JP2013187400A (ja) ジャンパ線のない発光ダイオードライトモジュール
KR20140095989A (ko) 패키지공정 및 회로기판이 없는 발광 다이오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JP2017175048A (ja) 光源ユニット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