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2294A - 멀티탭용 케이스 - Google Patents

멀티탭용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12294A
KR20140112294A KR1020130026860A KR20130026860A KR20140112294A KR 20140112294 A KR20140112294 A KR 20140112294A KR 1020130026860 A KR1020130026860 A KR 1020130026860A KR 20130026860 A KR20130026860 A KR 20130026860A KR 20140112294 A KR20140112294 A KR 201401122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case body
cover
tap
spac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68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87393B1 (ko
Inventor
서흥석
유우종
Original Assignee
서흥석
유우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흥석, 유우종 filed Critical 서흥석
Priority to KR201300268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7393B1/ko
Publication of KR201401122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22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73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73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3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465Identification means, e.g. labels, tags, mark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01R13/6395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for wall or panel outl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17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light source
    • H01R13/7175Light emitting diodes (LE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탭용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의 콘센트를 갖는 멀티탭을 수납하도록 상단부에 상측으로 개방된 수납공간부가 형성되되, 상기 콘센트가 하측을 향하도록 수납되고, 하단부는 하측으로 개방된 접속공간부가 형성되어 각 콘센트에 꽂혀지는 전자제품의 플러그가 위치되는 케이스몸체, 및 상기 케이스몸체의 수납공간부를 개폐시키기 위한 케이스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하지 않는 콘센트가 하측을 향하게 되어 먼지나 이물질이 쌓이는 것을 방지하여 먼지나 이물질에 의한 오작동을 방지하고, 정전기에 의한 합선 등을 방지할 수 있으며, 외관이 수려하여 인테리어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멀티탭용 케이스{Multitap case}
본 발명은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멀티탭의 콘센트에 먼지나 수분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먼지나 이물질에 의한 오작동을 방지하고, 정전기에 의한 합선 등을 방지할 수 있는 멀티탭용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멀티탭은 전자제품의 플러그가 삽입되는 콘센트가 다수 개 구비된 하나의 탭으로서 복수 개의 전자제품을 동시에 사용하기 위해 이용되는 것이다.
이러한 멀티탭은 다수개의 플러그홀이 일렬로 배열되는 경우에 대체로 기다란 바 형상을 취하며, 콘센트가 상부면에 노출되어 있어, 상측에서 하측으로 플러그를 삽입시켜 사용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멀티탭의 경우, 콘센트가 상부면에 그대로 노출되어 있어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침투되거나, 실수로 인해 물기가 침투될 경우 멀티탭의 오작동은 물론, 정전기에 의한 합선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종래 등록실용 제20-0353857호에서 멀티탭의 안전커버가 개진되었으며, 이러한 안전커버는 멀티탭의 소켓부(콘센트)에 구비되어 먼지와 물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러나 이 안전커버가 구비된 멀티탭은 사용 시, 소켓부(콘센트)가 상측으로 위치되도록 거치시켜 사용되는 것으로, 미세한 먼지나 물은 여전히 유입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먼지나 수분 등의 이물질이 쌓이지 않도록 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멀티탭의 콘센트가 하측을 향하도록 수납되는 수납공간부와 각 콘센트에 플러그가 꽂혀지기 위한 접속공간부를 갖는 케이스몸체와 이 케이스몸체의 수납공간부를 개폐시키기 위한 케이스커버로 구성되어 사용하지 않는 콘센트가 하측을 향하게 되어 먼지나 이물질이 쌓이는 것을 방지하여 먼지나 이물질에 의한 오작동을 방지하고, 정전기에 의한 합선 등을 방지할 수 있으며, 외관이 수려하여 인테리어도 가능하게 하는 멀티탭용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다수의 콘센트를 갖는 멀티탭을 수납하도록 상단부에 상측으로 개방된 수납공간부가 형성되되, 상기 콘센트가 하측을 향하도록 수납되고, 하단부는 하측으로 개방된 접속공간부가 형성되어 각 콘센트에 꽂혀지는 전자제품의 플러그가 위치되는 케이스몸체, 및 상기 케이스몸체의 수납공간부를 개폐시키기 위한 케이스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케이스몸체는, 콘센트에 꽂힌 플러그의 선이 인출되기 위한 인출부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는, 표시수단이 더 구비되어 상기 멀티탭의 콘센트에 플러그가 꽂혀 있을 경우 표시된다.
또한, 상기 표시수단은, 상기 케이스커버에 상기 멀티탭의 콘센트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구비되는 표시부, 상기 멀티탭의 콘센트에 플러그가 꽂혀있는지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의 감지신호를 전송받아 해당 표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표시부는 LED이며,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점등 또는 소등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몸체와 케이스커버 중 어느 하나에 제2표시부가 더 구비되며, 상기 제2표시부는 각 콘센트에 꽂힌 전자제품의 정보를 표시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몸체는, 상기 멀티탭의 일단부가 수납되도록 상기 수납공간부와 접속공간부의 일단부를 형성하는 제1케이스몸체, 상기 멀티탭의 타단부가 수납되도록 상기 수납공간부와 접속공간부의 타단부를 형성하는 제2케이스몸체, 상기 제1케이스몸체와 제2케이스몸체의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수납공간부와 접속공간부의 중앙부를 형성하는 제3케이스몸체, 및 상기 제3케이스몸체를 기준으로 제1케이스몸체와 제2케이스몸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상호방향 또는 그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케이스간격조절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케이스커버는, 상기 제1케이스몸체의 수납공간부를 개폐하기 위한 제1케이스커버, 상기 제2케이스몸체의 수납공간부를 개폐하기 위한 제2케이스커버, 상기 제3케이스몸체의 수납공간부를 개폐하기 위한 제3케이스커버, 및 상기 제3케이스커버를 기준으로 제1케이스커버와 제2케이스커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상호방향 또는 그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커버간격조절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케이스간격조절수단과 커버간격조절수단에 의해 제1케이스몸체와 제2케이스몸체 및 제1케이스커버와 제2케이스커버의 간격이 조절되어 상기 멀티탭의 사이즈에 대응되도록 상기 수납공간부와 접속공간부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간격조절수단은, 상기 제1케이스몸체와 제2케이스몸체 또는 상기 제3케이스몸체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제1몸체가이드턱, 및 상기 제1몸체가이드턱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1케이스몸체와 제2케이스몸체 또는 상기 제3케이스몸체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되는 제2몸체가이드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커버간격조절수단은, 상기 제1케이스커버와 제2케이스커버 또는 상기 제3케이스커버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제1커버가이드턱, 및 상기 제1커버가이드턱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1케이스커버와 제2케이스커버 또는 상기 제3케이스커버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되는 제2커버가이드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이동된 상기 제1케이스몸체와 제2케이스몸체는 상기 제3케이스몸체의 외측 또는 내측으로 겹쳐지도록 슬라이딩되고, 이동된 상기 제1케이스커버와 제2케이스커버는 상기 제1케이스몸체와 제2케이스몸체와 동일하게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수납공간부와 접속공간부를 구획하고, 상기 멀티탭을 설치하기 위한 설치프레임이 상기 케이스몸체에 더 구비된다.
또한, 상기 설치프레임은, 상기 케이스몸체와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설치프레임은, 상기 케이스몸체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멀티탭용 케이스에 의하면, 사용하지 않는 콘센트가 하측을 향하게 되어 먼지나 이물질이 쌓이는 것을 방지하여 먼지나 이물질에 의한 오작동을 방지하고, 정전기에 의한 합선 등을 방지할 수 있으며, 외관이 수려하여 인테리어도 가능하게 하는 매우 유용하고 효과적인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탭용 케이스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탭용 케이스의 분리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탭용 케이스의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탭용 케이스에 제2표시부가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탭용 케이스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 예의 멀티탭용 케이스의 분리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설치프레임이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설치프레임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단지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탭용 케이스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탭용 케이스의 분리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탭용 케이스의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탭용 케이스에 제2표시부가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탭용 케이스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 예의 멀티탭용 케이스의 분리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설치프레임이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설치프레임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멀티탭용 케이스(10)는 케이스몸체(100)와 케이스커버(200)로 구성된다.
케이스몸체(100)는 상단부에 상측으로 개방된 수납공간부(110)가 형성되고, 하단부는 하측으로 개방된 접속공간부(120)가 형성된다.
그리고 케이스커버(200)는 케이스몸체(100)의 수납공간부(110)를 개폐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케이스커버(200)는 케이스몸체(100)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지는 것이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다양한 디자인의 케이스몸체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케이스커버(200)에 결합할 수 있게 되어 소비자의 기호에 따라 다양한 제품을 연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체적인 제작비용의 절감효과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케이스몸체(100)의 수납공간부(110)에는 다수의 콘센트(22)를 갖는 멀티탭(20)을 수납하되, 콘센트(22)가 하측을 향하도록 수납하고, 전자제품의 플러그(30)는 접속공간부(120)를 통해 각 콘센트(22)에 꽂혀지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하지 않는 콘센트(22)가 하측을 향하게 되어 먼지나 이물질이 쌓이는 것을 방지하여 먼지나 이물질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고, 정전기에 의한 누전이나 화재 등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수납공간부(110)의 일단 또는 타단 중 어느 하나 이상에는 멀티탭(20)의 전원선이 인출되기 위한 인출공(112)이 형성된다.
또한 케이스커버(200)에 의해 멀티탭(20)이 보이지 않아 외관을 수려하게 할 수 있어 인테리어를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케이스몸체(100)는 콘센트(22)에 꽂힌 플러그(30)의 선이 인출되기 위한 인출부(130)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다.
그리고 케이스(10)는 표시수단(300)이 더 구비되어 멀티탭(20)의 콘센트(22)에 플러그(30)가 꽂혀 있을 경우, 외부에서 이를 표시하게 된다.
이러한 표시수단(300)은 표시부(310)와 감지부(320) 및 제어부(330)로 구성된다.
표시부(310)는 케이스커버(200)에 멀티탭(20)의 콘센트(22)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구비되고, 감지부(320)는 멀티탭(20)의 콘센트(22)에 플러그(30)가 꽂혀있는지를 감지하게 된다.
그리고 제어부(330)는 감지부(320)의 감지신호를 전송받아 해당 표시부(310)를 제어하게 된다.
이러한 표시부(310)는 LED이며, 제어부(330)에 의해 점등 또는 소등된다.
여기서,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몸체(100)와 케이스커버(200) 중 어느 하나에 제2표시부(400)가 더 구비되며, 제2표시부(400)는 각 콘센트(22)에 꽂힌 전자제품의 정보를 표시하게 된다.
이러한 제2표시부(400)에 의해 각 콘센트(22)의 사용되는 전자제품 명을 외부에서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어 편리함을 제공하게 된다.
한편, 도 5 내지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멀티탭용 케이스(10)는 사이즈를 조절할 수 있는 것으로, 콘센트(22)의 형성 개수에 따라 다양한 사이즈를 갖는 멀티탭(20)을 수납할 수 있다.
이를 위한, 케이스몸체(500)는 제1케이스몸체(510)와 제2케이스몸체(520), 제3케이스몸체(530) 및 케이스간격조절수단(540)으로 구성된다.
제1케이스몸체(510)는 멀티탭(20)의 일단부가 수납되도록 수납공간부(502)와 접속공간부(504)의 일단부를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제2케이스몸체(520)는 멀티탭(20)의 타단부가 수납되도록 수납공간부(502)와 접속공간부(504)의 타단부를 형성하게 된다.
제3케이스몸체(530)는 제1케이스몸체(510)와 제2케이스몸체(520)의 사이에 위치되어 수납공간부(502)와 접속공간부(504)의 중앙부를 형성하게 된다.
또한 케이스간격조절수단(540)은 제3케이스몸체(530)를 기준으로 제1케이스몸체(510)와 제2케이스몸체(520)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상호방향 또는 그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그리고 케이스커버(600)는 제1케이스커버(610)와 제2케이스커버(620), 제3케이스커버(630) 및 커버간격조절수단(640)으로 구성된다.
제1케이스커버(610)는 제1케이스몸체(510)에 형성된 수납공간부(502)의 일단부를 개폐하도록 구비되고, 제2케이스커버(620)는 제2케이스몸체(520)에 형성된 수납공간부(502)의 타단부를 개폐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제3케이스커버(630)는 제3케이스몸체(530)에 의해 형성된 수납공간부(502)를 개폐하도록 구비된다.
커버간격조절수단(640)은 제3케이스커버(630)를 기준으로 제1케이스커버(610)와 제2케이스커버(620)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상호방향 또는 그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러한 멀티탭용 케이스(10)의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케이스간격조절수단(540)과 커버간격조절수단(640)에 의해 제1케이스몸체(510)와 제2케이스몸체(520) 및 제1케이스커버(610)와 제2케이스커버(620)의 간격이 조절되어 멀티탭(20)의 사이즈에 대응되도록 수납공간부(502)와 접속공간부(504)를 형성한다.
이를 위한, 케이스간격조절수단(540)과 커버간격조절수단(640)을 살펴보면, 일 실시 예로, 케이스간격조절수단(540)은 제1몸체가이드턱(542)과 제2몸체가이드턱(544)으로 구성되고, 커버간격조절수단(640)은 제1커버가이드턱(642)과 제2커버가이드턱(644)으로 구성된다.
먼저, 케이스간격조절수단(540)의 제1몸체가이드턱(542)은 제1케이스몸체(510)와 제2케이스몸체(520) 또는 제3케이스몸체(530)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고, 제2몸체가이드턱(544)은 제1몸체가이드턱(542)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제1케이스몸체(510)와 제2케이스몸체(520) 또는 제3케이스몸체(530)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된다.
그리고 커버간격조절수단(640)의 제1커버가이드턱(642)은 제1케이스커버(610)와 제2케이스커버(620) 또는 제3케이스커버(630)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고, 제2커버가이드턱(644)은 제1커버가이드턱(642)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제1케이스커버(610)와 제2케이스커버(620) 또는 제3케이스커버(630)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된다.
이에 따라, 수납되는 멀티탭(20)의 사이즈에 대응되도록 제1케이스몸체(510)와 제2케이스몸체(520)를 제3케이스몸체(530)의 외측 또는 내측으로 겹쳐지도록 슬라이딩되어 사이 간격이 조절되고, 수납공간부(502)와 접속공간부(504)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제1케이스커버(610)와 제2케이스커버(620)는 제1케이스몸체(510)와 제2케이스몸체(520)와 동일하게 위치되어 수납공간부(502)를 개폐하게 된다.
일 실시 예로, 제1케이스몸체(510)와 제2케이스몸체(520)를 제3케이스몸체(530)의 내측으로 슬라이딩될 경우, 제1케이스커버(610)와 제2케이스커버(620) 역시, 제3케이스커버(630)의 내측으로 슬라이딩되어 겹치게 된다.
물론, 케이스몸체(500)는 콘센트(22)에 꽂힌 플러그(30)의 선이 인출되기 위한 인출부(506)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다.
그리고 케이스커버(600)에도 표시수단(300)이 더 구비되어 멀티탭(20)의 콘센트(22)에 플러그(30)가 꽂혀 있을 경우, 외부에서 이를 표시하게 된다.
이러한 표시수단(300)은 표시부(310)와 감지부(320) 및 제어부(330)로 구성된다.
표시부(310)는 케이스커버(200)에 멀티탭(20)의 콘센트(22)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구비되고, 감지부(320)는 멀티탭(20)의 콘센트(22)에 플러그(30)가 꽂혀 있는지를 감지하게 된다.
그리고 제어부(330)는 감지부(320)의 감지신호를 전송받아 해당 표시부(310)를 제어하게 된다.
이러한 표시부(310)는 LED이며, 제어부(330)에 의해 점등 또는 소등된다.
여기서, 케이스몸체(500)와 케이스커버(600) 중 어느 하나에 제2표시부(400)가 더 구비되며, 제2표시부(400)는 각 콘센트(22)에 꽂힌 전자제품의 정보를 표시하게 된다.
이러한 제2표시부(400)에 의해 각 콘센트(22)의 사용되는 전자제품 명을 외부에서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어 편리함을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도 7 내지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수납공간부(110, 502)와 접속공간부(120, 504)를 구획하고, 멀티탭(20)을 설치하기 위한 설치프레임(700)이 케이스몸체(100, 500)에 더 구비된다.
이러한 설치프레임(700)은 일 실시 예의 케이스몸체(100)에 구비되는 것으로 도 7과 도 8에 도시하였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설치프레임(700)은 케이스몸체(100)와 일체로 형성된다.
일 실시 예로, 케이스몸체(100)와 설치프레임(700)은 수지로 제작되며, 일체로 사출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설치프레임(700)은 케이스몸체(100)에 탈부착 가능하도록될 수도 있다.
이러한 설치프레임(700)은 금속 또는 비금속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일 실시 예로 수지로 제작되어 케이스몸체(100)에 탈부착됨이 바람직하다.
10 : 케이스 20 : 멀티탭
22 : 콘센트 30 : 플러그
100, 500 : 케이스몸체 110, 502 : 수납공간부
120, 504 : 접속공간부 200, 600 : 케이스커버
300 : 표시수단 310 : 표시부
320 : 감지부 330 : 제어부
400 : 제2표시부 700 : 설치프레임

Claims (12)

  1. 다수의 콘센트를 갖는 멀티탭을 수납하도록 상단부에 상측으로 개방된 수납공간부가 형성되되, 상기 콘센트가 하측을 향하도록 수납되고, 하단부는 하측으로 개방된 접속공간부가 형성되어 각 콘센트에 꽂혀지는 전자제품의 플러그가 위치되는 케이스몸체; 및
    상기 케이스몸체의 수납공간부를 개폐시키기 위한 케이스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멀티탭용 케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몸체는,
    콘센트에 꽂힌 플러그의 선이 인출되기 위한 인출부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탭용 케이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표시수단이 더 구비되어 상기 멀티탭의 콘센트에 플러그가 꽂혀 있을 경우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탭용 케이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수단은,
    상기 케이스커버에 상기 멀티탭의 콘센트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구비되는 표시부;
    상기 멀티탭의 콘센트에 플러그가 꽂혀있는지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의 감지신호를 전송받아 해당 표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멀티탭용 케이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LED이며,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점등 또는 소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탭용 케이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몸체와 케이스커버 중 어느 하나에 제2표시부가 더 구비되며, 상기 제2표시부는 각 콘센트에 꽂힌 전자제품의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탭용 케이스.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몸체는,
    상기 멀티탭의 일단부가 수납되도록 상기 수납공간부와 접속공간부의 일단부를 형성하는 제1케이스몸체;
    상기 멀티탭의 타단부가 수납되도록 상기 수납공간부와 접속공간부의 타단부를 형성하는 제2케이스몸체;
    상기 제1케이스몸체와 제2케이스몸체의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수납공간부와 접속공간부의 중앙부를 형성하는 제3케이스몸체; 및
    상기 제3케이스몸체를 기준으로 제1케이스몸체와 제2케이스몸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상호방향 또는 그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케이스간격조절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케이스커버는,
    상기 제1케이스몸체의 수납공간부를 개폐하기 위한 제1케이스커버;
    상기 제2케이스몸체의 수납공간부를 개폐하기 위한 제2케이스커버;
    상기 제3케이스몸체의 수납공간부를 개폐하기 위한 제3케이스커버; 및
    상기 제3케이스커버를 기준으로 제1케이스커버와 제2케이스커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상호방향 또는 그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커버간격조절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케이스간격조절수단과 커버간격조절수단에 의해 제1케이스몸체와 제2케이스몸체 및 제1케이스커버와 제2케이스커버의 간격이 조절되어 상기 멀티탭의 사이즈에 대응되도록 상기 수납공간부와 접속공간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탭용 케이스.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간격조절수단은,
    상기 제1케이스몸체와 제2케이스몸체 또는 상기 제3케이스몸체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제1몸체가이드턱; 및
    상기 제1몸체가이드턱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1케이스몸체와 제2케이스몸체 또는 상기 제3케이스몸체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되는 제2몸체가이드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커버간격조절수단은,
    상기 제1케이스커버와 제2케이스커버 또는 상기 제3케이스커버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제1커버가이드턱; 및
    상기 제1커버가이드턱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1케이스커버와 제2케이스커버 또는 상기 제3케이스커버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되는 제2커버가이드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이동된 상기 제1케이스몸체와 제2케이스몸체는 상기 제3케이스몸체의 외측 또는 내측으로 겹쳐지도록 슬라이딩되고,
    이동된 상기 제1케이스커버와 제2케이스커버는 상기 제1케이스몸체와 제2케이스몸체와 동일하게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탭용 케이스.
  9. 제1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공간부와 접속공간부를 구획하고, 상기 멀티탭을 설치하기 위한 설치프레임이 상기 케이스몸체에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탭용 케이스.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프레임은,
    상기 케이스몸체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탭용 케이스.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프레임은,
    상기 케이스몸체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탭용 케이스.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몸체와 케이스커버는 분리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탭용 케이스.
KR20130026860A 2013-03-13 2013-03-13 멀티탭용 케이스 KR1014873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26860A KR101487393B1 (ko) 2013-03-13 2013-03-13 멀티탭용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26860A KR101487393B1 (ko) 2013-03-13 2013-03-13 멀티탭용 케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2294A true KR20140112294A (ko) 2014-09-23
KR101487393B1 KR101487393B1 (ko) 2015-01-27

Family

ID=51757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26860A KR101487393B1 (ko) 2013-03-13 2013-03-13 멀티탭용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739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0278A (ko) * 2017-09-14 2019-03-22 (주)에스와이폴리텍 멀티탭용 케이스
KR20200065667A (ko) 2018-11-30 2020-06-09 윤희선 멀티 체인 콘센트
KR20200001304U (ko) * 2020-03-30 2020-06-18 박현직 스마트 멀티탭 콘센트 보호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0575U (ko) 2020-08-28 2022-03-08 주식회사 파이어캅 멀티탭 콘센트 방염수납 전선정리함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7894B1 (ko) 2008-08-12 2010-07-05 (주) 천우티이엠 방수기능을 갖는 매입형 콘센트
JP2010129232A (ja) 2008-11-25 2010-06-10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防水コンセント
KR20110087686A (ko) * 2010-01-27 2011-08-03 김지우 뒤집어진 멀티탭
KR101225737B1 (ko) 2011-04-27 2013-01-23 현대제철 주식회사 멀티탭 보호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0278A (ko) * 2017-09-14 2019-03-22 (주)에스와이폴리텍 멀티탭용 케이스
KR20200065667A (ko) 2018-11-30 2020-06-09 윤희선 멀티 체인 콘센트
KR20200001304U (ko) * 2020-03-30 2020-06-18 박현직 스마트 멀티탭 콘센트 보호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7393B1 (ko) 2015-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80775A (en) Power strip with inspection window
US9407033B2 (en) Electric power receptacle
KR101487393B1 (ko) 멀티탭용 케이스
US9357663B2 (en) Electronic unit of a fluid sensor or valve and fluid sensor or fluid valve unit
KR102019929B1 (ko) 테이블 매립형 멀티 콘센트장치
KR200468311Y1 (ko) 전기제품에 연결된 여유전선의 정리가 편리한 멀티 콘센트
EP2780994B1 (en) Electrical socket apparatus
KR20120121380A (ko) 콘센트장치
CN109546064A (zh) 蓄电装置
US8072779B1 (en) Recessed electrical device housing assembly and clip
CN206060105U (zh) 一种配电箱的出线装置
JP6767817B2 (ja) ガス検知装置
TWI484708B (zh) 配線管用插塞
KR20110065800A (ko) 멀티탭 콘센트
TW201707298A (zh) 插座盒
RU2666348C2 (ru) Многопозиционный механизм для штепсельных розеток
KR200472130Y1 (ko) 매립형 전원콘센트
KR20090106426A (ko) 박스형 멀티탭
JP6171183B2 (ja) 充電用ユニット
CN203921659U (zh) 电子产品充电电源盒
KR20210035432A (ko) 양면 무선충전 커버를 구비한 멀티탭
CN207781427U (zh) 手动维护开关
CN104393441A (zh) 一种移动式防爆插座箱
KR101479102B1 (ko) 배선 통로를 갖는 책상
KR101437036B1 (ko) 전원연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