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5667A - 멀티 체인 콘센트 - Google Patents

멀티 체인 콘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5667A
KR20200065667A KR1020180152348A KR20180152348A KR20200065667A KR 20200065667 A KR20200065667 A KR 20200065667A KR 1020180152348 A KR1020180152348 A KR 1020180152348A KR 20180152348 A KR20180152348 A KR 20180152348A KR 20200065667 A KR20200065667 A KR 202000656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let
female
male
outlet body
link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23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희선
Original Assignee
윤희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희선 filed Critical 윤희선
Priority to KR10201801523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65667A/ko
Publication of KR202000656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56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14Bases; Cases composed as a modular blocks or assembly, i.e. composed of co-operating parts provided with contact members or holding contact members between the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7/00Four or more pol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멀티 체인 콘센트는 암형 링크부 및 콘센트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암형 콘센트 몸체와, 상기 암형 링크부에 연결되는 수형 링크부 및 콘센트부를 포함하는 수형 콘센트 몸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멀티 체인 콘센트{Chain type power strip}
본 발명은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체인 형상의 멀티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멀티탭은 전자제품의 플러그가 삽입되는 콘센트가 다수 개 구비된 하나의 탭으로서 복수 개의 전자제품을 동시에 사용하기 위해 이용되는 것이다.
이러한 멀티탭은 다수개의 플러그홀이 일렬로 배열되는 경우에 대체로 기다란 바 형상을 취하며, 콘센트가 상부면에 노출되어 있어, 상측에서 하측으로 플러그를 삽입시켜 사용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멀티탭의 경우, 콘센트가 상부면에 그대로 노출되어 있어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침투되거나, 실수로 인해 물기가 침투될 경우 멀티탭의 오작동은 물론, 정전기에 의한 합선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종래 등록실용 제20-0353857호에서 멀티탭의 안전커버가 개진되었으며, 이러한 안전커버는 멀티탭의 소켓부(콘센트)에 구비되어 먼지와 물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러나 이 안전커버가 구비된 멀티탭은 사용 시, 소켓부(콘센트)가 상측으로 위치되도록 거치시켜 사용되는 것으로, 미세한 먼지나 물은 여전히 유입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먼지나 수분 등의 이물질이 쌓이지 않도록 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 제2014-0112294호 2014년 09월 23일 공개 (명칭: 멀티탭용 케이스)
본 발명의 목적은 체인형의 멀티 콘센트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멀티 체인 콘센트는 암형 링크부 및 콘센트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암형 콘센트 몸체와, 상기 암형 링크부에 연결되는 수형 링크부 및 콘센트부를 포함하는 수형 콘센트 몸체를 포함한다.
상기 멀티 체인 콘센트는 상용 전원과의 연결하거나, 연결을 해제하는 스위치가 형성되는 전원부와, 상기 암형 링크부 혹은 상기 수형 링크부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는 링크부를 포함하는 전원부 몸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원부는 USB 연결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USB 포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암형 콘센트 몸체 및 상기 수형 콘센트 몸체는 서로 교번하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암형 콘센트 몸체 및 상기 수형 콘센트 몸체 양자 모두의 콘센트부는 4개의 전류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멀티 체인 콘센트는 암형 링크부 및 콘센트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암형 콘센트 몸체와, 상기 암형 링크부에 연결되는 수형 링크부 및 콘센트부를 포함하는 수형 콘센트 몸체와, 상용 전원과의 연결하거나, 연결을 해제하는 스위치가 형성되는 전원부와, 상기 암형 링크부 혹은 상기 수형 링크부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는 링크부를 포함하는 전원부 몸체를 포함한다.
상기 전원부는 USB 연결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USB 포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암형 콘센트 몸체 및 상기 수형 콘센트 몸체는 서로 교번하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암형 콘센트 몸체 및 상기 수형 콘센트 몸체는 서로 간에 탈부착하며 콘센트부의 개수를 확장 또는 축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암형 콘센트 몸체 및 상기 수형 콘센트 몸체 양자 모두의 콘센트부는 4개의 전류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멀티 체인 콘센트는 암형 링크부 및 콘센트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암형 콘센트 몸체와, 상기 암형 링크부에 연결되는 수형 링크부 및 콘센트부를 포함하는 수형 콘센트 몸체와, 상용 전원과의 연결하거나, 연결을 해제하는 스위치가 형성되는 전원부와, 상기 암형 링크부 혹은 상기 수형 링크부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는 링크부를 포함하는 전원부 몸체와, 상기 전원부 몸체에 상용 전원을 연결하는 전원 케이블을 포함한다.
상기 전원부는 USB 연결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USB 포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암형 콘센트 몸체 및 상기 수형 콘센트 몸체는 서로 교번하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암형 콘센트 몸체 및 상기 수형 콘센트 몸체 양자 모두의 콘센트부는 4개의 전류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각각이 콘센트 역할을 수행하는 복수의 콘센트 몸체가 연결축을 기준으로 회전 자유롭게 연결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바에 맞춰 복수의 콘센트 몸체를 움직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플러그를 꽂을 때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 체인 콘센트의 전체적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암형 콘센트 몸체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형 콘센트 몸체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원부 몸체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한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뿐, 상기 구성요소들을 한정하기 위해 사용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더하여,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할 경우, 이는 논리적 또는 물리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되어 있을 수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으며, 간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포함 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 체인 콘센트의 전체적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 체인 콘센트의 전체적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 체인 콘센트는 적어도 하나의 암형 콘센트 몸체(10), 적어도 하나의 수형 콘센트 몸체(20) 및 전원부몸체(30) 및 전원케이블(40)을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 체인 콘센트는 복수의 암형 콘센트 몸체(10)와 복수의 수형 콘센트 몸체(20)가 교번으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멀티 체인 콘센트의 일단에 전원부몸체(30)가 연결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전원부 몸체(40)는 암형 콘센트 몸체(10)에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설계에 따라 수형 콘센트 몸체(20)에도 연결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전원부 몸체(40)에 전원케이블(40)이 연결된다. 여기서 멀티 체인 콘센트는 복수의 암형 콘센트 몸체(10)와 복수의 수형 콘센트 몸체(20)가 서로 간에 탈부착하며 연결될 수 있다. 즉 멀티 체인 콘센트는 복수의 암형 콘센트 몸체(10)와 복수의 수형 콘센트 몸체(20)의 탈부착으로 콘센트부의 개수를 확장 또는 축소할 수 있다.
먼저, 전원케이블(40)은 전원부 몸체(40)에 사용 전원을 연결한다. 이에 따라, 전원부 몸체(40)는 복수의 암형 콘센트 몸체(10) 및 복수의 수형 콘센트 몸체(20)에 전원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암형 콘센트 몸체(10)와 복수의 수형 콘센트 몸체(20)의 연결 부분은 연결축(C: 도 1의 도면에서 위 아래 방향)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 자유롭게 연결된다.
이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연결 부분에서 암형 콘센트 몸체(10)가 수형 콘센트 몸체(20)에 대해 혹은 수형 콘센트 몸체(20)가 암형 콘센트 몸체(10)에 대해 연결축(C)을 축으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각 연결 부분에서 암형 콘센트 몸체(10)가 수형 콘센트 몸체(20)에 대해 혹은 수형 콘센트 몸체(20)가 암형 콘센트 몸체(10)에 대해 연결축(C)을 축으로 세로 방향으로 세워질 수 있다. 즉 전원부 몸체(30)가 지면에 밀착되고, 암형 콘센트 몸체(10)와 수형 콘센트 몸체(20)가 지면과 수직방향으로 굴곡을 져 먼지 또는 이물질들이 콘센트부에 삽입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러면, 보다 자세히, 암형 콘센트 몸체(10), 수형 콘센트 몸체(20) 및 전원부 몸체(30) 각각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암형 콘센트 몸체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형 콘센트 몸체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원부 몸체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암형 콘센트 몸체(10)는 콘센트부(11) 및 암형 링크부(13)를 포함한다.
콘센트부(11)는 콘센트가 형성되는 부분이다. 특히, 콘센트부(11)의 콘센트는 4개의 전류구가 형성된다.
암형 링크부(13)는 수형 콘센트 몸체(20) 및 전원부몸체(30) 중 어느 하나와 연결하기 위한 부분이다.
암형 링크부(13)의 4 방향의 모서리 부분에는 길이 방향(도면에서 좌우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13a)가 형성되며, 돌출부(13a)의 내측에 홈(F)이 형성된다. 이러한 홈(F)은 수형 콘센트 몸체(20)의 수형 링크부(13)의 돌기(M)와 결합된다. 이때, 홈(F)과 돌기(M)는 연결축(C)을 회전축으로 회전 자유롭게 결합된다.
다음으로, 도 4를 참조하면, 수형 콘센트 몸체(20)는 콘센트부(21) 및 수형 링크부(23)를 포함한다.
콘센트부(21)는 콘센트가 형성되는 부분이다. 특히, 콘센트부(21)의 콘센트는 4개의 전류구가 형성된다.
수형 링크부(23)는 암형 콘센트 몸체(10) 및 전원부 몸체(30) 중 어느 하나와 연결하기 위한 부분이다. 수형 링크부(23)의 4 방향의 모서리 부분에는 돌기(M)가 형성된다. 이러한 돌기(M)는 대응하는 암형 콘센트 몸체(10)의 암형 링크부(13)의 홈(F)에 결합된다. 이때, 홈(F)과 돌기(M)는 연결축(C)을 회전축으로 회전 자유롭게 결합된다.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면, 전원부 몸체(30)는 전원부(31) 및 링크부(33)를 포함한다.
전원부(31)는 스위치 및 적어도 하나의 USB 포트가 형성된다.
스위치는 전원 케이블을 통해 상용 전원과의 연결하거나, 연결을 해제하기 위한 것이다.
USB 포트는 USB 연결을 위한 것이다.
링크부(33)는 암형 콘센트 몸체(10) 및 수형 콘센트 몸체(20) 중 어느 하나와 연결하기 위한 부분이다. 도 5에서 링크부(33)는 수형 링크부(23)와 동일한 형상으로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링크부(33)는 암형 링크부(13)와 동일한 형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링크부(33)가 수형 링크부(23)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 경우, 전원부 몸체(30)는 암형 콘센트 몸체(10)와 결합된다. 또한, 링크부(33)가 암형 링크부(13)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 경우, 전원부 몸체(30)는 수형 콘센트 몸체(20)와 결합된다.
이상 본 발명을 몇 가지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들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제시된 권리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균등론에 따라 다양한 변화와 수정을 가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본 명세서는 다수의 특정한 구현물의 세부사항들을 포함하지만, 이들은 어떠한 발명이나 청구 가능한 것의 범위에 대해서도 제한적인 것으로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오히려 특정한 발명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특유할 수 있는 특징들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개별적인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특정한 특징들은 단일 실시형태에서 조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반대로, 단일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기술한 다양한 특징들 역시 개별적으로 혹은 어떠한 적절한 하위 조합으로도 복수의 실시형태에서 구현 가능하다. 나아가, 특징들이 특정한 조합으로 동작하고 초기에 그와 같이 청구된 바와 같이 묘사될 수 있지만, 청구된 조합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은 일부 경우에 그 조합으로부터 배제될 수 있으며, 그 청구된 조합은 하위 조합이나 하위 조합의 변형물로 변경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특정한 순서로 도면에서 동작들을 묘사하고 있지만, 이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도시된 그 특정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대로 그러한 동작들을 수행하여야 한다거나 모든 도시된 동작들이 수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한 경우, 멀티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의 다양한 시스템 컴포넌트의 분리는 그러한 분리를 모든 실시형태에서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설명한 프로그램 컴포넌트와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단일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중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징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주제의 특정한 실시형태를 설명하였다. 기타의 실시형태들은 이하의 청구항의 범위 내에 속한다. 예컨대, 청구항에서 인용된 동작들은 상이한 순서로 수행되면서도 여전히 바람직한 결과를 성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첨부도면에 도시한 프로세스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반드시 그 특정한 도시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를 요구하지 않는다. 특정한 구현예에서, 멀티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본 기술한 설명은 본 발명의 최상의 모드를 제시하고 있으며,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그리고 당업자가 본 발명을 제작 및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예를 제공하고 있다. 이렇게 작성된 명세서는 그 제시된 구체적인 용어에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상술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본 예들에 대한 개조, 변경 및 변형을 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 한다.
10: 암형 콘센트 몸체
11: 콘센트부
13: 암형 링크부
20; 수형 콘센트 몸체
21: 콘센트부
23: 수형 링크부
30: 전원부 몸체
31: 전원부
33: 링크부
40: 전원케이블

Claims (6)

  1. 멀티 체인 콘센트에 있어서,
    암형 링크부 및 콘센트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암형 콘센트 몸체; 및
    상기 암형 링크부에 연결되는 수형 링크부 및 콘센트부를 포함하는 수형 콘센트 몸체;를 포함하는 멀티 체인 콘센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 체인 콘센트는
    상용 전원과의 연결하거나, 연결을 해제하는 스위치가 형성되는 전원부 및
    상기 암형 링크부 혹은 상기 수형 링크부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는 링크부를 포함하는 전원부 몸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체인 콘센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는
    USB 연결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USB 포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체인 콘센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암형 콘센트 몸체 및 상기 수형 콘센트 몸체는
    서로 교번하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체인 콘센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암형 콘센트 몸체 및 상기 수형 콘센트 몸체는
    서로 간에 탈부착하며 콘센트부의 개수를 확장 또는 축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체인 콘센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암형 콘센트 몸체 및 상기 수형 콘센트 몸체 양자 모두의 콘센트부는 4개의 전류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체인 콘센트.
KR1020180152348A 2018-11-30 2018-11-30 멀티 체인 콘센트 KR2020006566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2348A KR20200065667A (ko) 2018-11-30 2018-11-30 멀티 체인 콘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2348A KR20200065667A (ko) 2018-11-30 2018-11-30 멀티 체인 콘센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5667A true KR20200065667A (ko) 2020-06-09

Family

ID=710822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2348A KR20200065667A (ko) 2018-11-30 2018-11-30 멀티 체인 콘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65667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12294A (ko) 2013-03-13 2014-09-23 서흥석 멀티탭용 케이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12294A (ko) 2013-03-13 2014-09-23 서흥석 멀티탭용 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07196B2 (en) Electrical module
JP6276412B2 (ja) レセプタクルにプラグを保持する装置
US20120252277A1 (en) Cable having adaptor assembly
US20120276777A1 (en) Plug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US20150270664A1 (en) Expandable and Rotatable Power Strip
CN104505616A (zh) 插座电连接器
US8414335B2 (en) USB port
US20120282814A1 (en) In-line multiport plug and system
KR101464120B1 (ko) 조립식 멀티탭
KR101200287B1 (ko) 멀티탭
US9190763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 pre-molded and an over-molded material
KR20200065667A (ko) 멀티 체인 콘센트
US20090029569A1 (en) Break apart power connector
US20150076907A1 (en) Energy-saving power strip
ES292501Y (es) Conector electrico hembra para acoplar con un conector machonector macho del tipo de clavija cilindrica.
JP2017017028A (ja) コネクタ
US20170250490A1 (en) Plug
JP3180768U (ja) 多機能自在コンセント
CN104779496A (zh) 网线接口连接结构
KR200477258Y1 (ko) 멀티탭
CN205051085U (zh) 电连接器组件
ITMI20030240U1 (it) Dispositivo di innesto tra frutto e impugnatura di connettore elettrico
CN208078334U (zh) 复合型电连接器
USD983146S1 (en) Mezzanine connector housing
CN208738552U (zh) 一种安全型电源接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