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1600A - 태엽 손잡이를 갖는 차양구동장치의 구동휠 안전줄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태엽 손잡이를 갖는 차양구동장치의 구동휠 안전줄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11600A
KR20140111600A KR1020140025667A KR20140025667A KR20140111600A KR 20140111600 A KR20140111600 A KR 20140111600A KR 1020140025667 A KR1020140025667 A KR 1020140025667A KR 20140025667 A KR20140025667 A KR 20140025667A KR 20140111600 A KR20140111600 A KR 201401116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ing
rotary
drive
wheel
rot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56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태락
Original Assignee
(주)테라솔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테라솔라 filed Critical (주)테라솔라
Publication of KR201401116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16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40Roller blinds
    • E06B9/42Parts or details of roller blinds, e.g. suspension devices, blind boxes
    • E06B9/50Bearing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8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 E06B9/30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liftable
    • E06B9/32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therefor
    • E06B9/326Details of cords, e.g. buckles, drawing knob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8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 E06B9/30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liftable
    • E06B9/32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therefor
    • E06B9/322Details of operating devices, e.g. pulleys, brakes, spring drums, driv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8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 E06B9/30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liftable
    • E06B9/32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therefor
    • E06B9/324Cord-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68Operating devices or mechanisms, e.g. with electric driv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71Toothed gearing
    • E05Y2201/72Planetary gear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71Toothed gearing
    • E05Y2201/726Ring gears; Internal gea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40Roller blinds
    • E06B9/42Parts or details of roller blinds, e.g. suspension devices, blind boxes
    • E06B2009/425Pull chain or cord attached to bottom edge of screen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40Roller blinds
    • E06B9/42Parts or details of roller blinds, e.g. suspension devices, blind box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80Safety measures against dropping or unauthorised opening; Braking or immobilising devices; Devices for limiting unro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조비용이 저렴하고 작동관계가 조용한 볼체인이나 회전줄의 일측 끝단을 권취 내지 권해하는 방식의 어린이 안전보호를 위한 태엽 손잡이를 갖는 차양구동장치의 구동휠 안전줄 어셈블리로서, 직접 차양 회전축을 구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픽업부재와, 구동휠을 갖는 휠 구동부재를 포함하는 태엽 손잡이를 갖는 차양구동장치의 구동휠 안전줄 어셈블리로서, 휠구동부재에 일체로 형성되는 풀리; 상기 풀리를 회전시키는 외부로 인출되어 소정 길이만큼 하방으로 늘어뜨린 회전줄(416a1a'); 상기 풀리를 어느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에는 같이 회전하나, 상기 일 방향으로 상기 풀리에 의해 함께 회전한 직후에 반대방향으로 자체적으로 회전할 경우에는 상기 풀리를 상기 차양 회전축과 독립적으로 회전하게 하는 양방향구동 클러치(415b); 및 상기 회전줄의 양 하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연장회전줄태엽손잡이(416b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태엽 손잡이를 갖는 차양구동장치의 구동휠 안전줄 어셈블리{A safety wheel rope assembly of a shade drive apparatus having the clockwork mechanism}
본 발명은 블라인드나 루버 등의 차양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롤/콤비/트리플 블라인드의 스크린 회전봉, 베네치안/ 로만쉐이드/ 허니콤 블라인드의 슬랫의 각도조절이나 권취용 회전봉 및 버티칼 블라인드의 회전봉 (이하 상기 회전봉들을 “회전축"이라 칭함) 또는 세탁물 건조대의 회전체 등을 손으로 잡아당겨 구동시켜주는 수동구동용 볼 체인과 회전줄 (이하 두 가지를 "수동줄" 하나로 통칭함) 을 안전하게 수납하는 어린이 안전보호를 위한 차양구동장치의 구동휠 안전줄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블라인드는 창문틀에 설치되어 창문을 통한 채광을 선택적으로 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그 구조적인 특징에 따라 긴 슬랫이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하 방향으로 유동되면서 선택적 채광을 행하는 베네치안 블라인드 및 슬랫이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고 좌우로 유동되면서 선택적 채광을 행하는 버티컬 블라인드로 대표되는 슬랫 타입 차양과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는 롤에 스크린이 감겨져 상하 방향으로 유동되어 선택적 채광을 이루는 롤 블라인드 등과 같은 롤 타입 차양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롤 타입 차양의 일종인 통상의 롤 블라인드 분해사시도와 롤 단면도이며, 도 2는 롤 차양용 입력구동모듈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종래의 롤 타입 차양의 일종인 통상의 롤 블라인드 결합상태 단면도이다.
먼저,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롤 타입 차양의 일종인 롤 블라인드는 창문틀 상측에 설치되는 헤드레일(1a); 상기 헤드레일(1a)의 하측에 배치되는 롤 스크린(2) 및 상기 헤드레일(1a)의 일 측단에 삽입 설치되어 상기 롤 스크린(2)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롤 차양용 입력구동모듈(4a); 타단을 마감하는 롤 차양용 마개(5a);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도 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롤 스크린(2)은 체결부재(2b2)와 스크린시트(2b1)으로 구비되는 스크린(2b); 길이방향 내주면에 돌출턱이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스크린시트 체결구(2a3)가 일체 형성된 내부가 중공이며 회전 동력축을 겸하며 스크린을 권취하고 권해하는 환봉(2a1)으로 마련되는 롤(2a); 로 이루어지며, 상기 롤(2a)의 일 측단부에는 롤 차양용 입력구동모듈(4a)이 삽입되고, 타단은 롤 차양용 마개(5a)가 끼워지며, 폭이 기다란 스크린시트(2b1)의 하중을 고려하여 도 1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환봉(2a1) 내부에 처짐보강부재(2a2)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거나 일체로 형성하기도 하는데, 통상적으로는, 상기 환봉(2a1)은 롤 타입 차양 구동 회전축과 권취 또는 권해(捲解)를 겸하게 하여 매우 경제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으며, 환봉 제조방식은 알루미늄이나 플라스틱 소재로 사출 성형되지만, 내부는 제조비용 문제로 인하여 비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롤 블라인드는,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상기 롤 차양용 입력구동모듈(4a)의 일측에 구비되어 결과적으로 롤(2a)을 회전시키는 볼 체인(3)이나 회전줄(미도시)로 조작되거나, 전동 모터(미도시)로 환봉(2a1)을 전기 동력으로 회전시키는 방식으로 상기 롤 스크린(2)의 스크린(2b)이 롤(2a)에 권취되거나 롤(2a)로부터 권해되어 선택적으로 차광과 채광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상기 롤 차양용 입력구동모듈(4a)(이하, '제1 종래수동구동모듈')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걸림부(4a2‘)가 형성된 스프링부재(4a2)가 삽입되어 마련되는 차양스토퍼(4a1); 볼 체인(3)이나 회전줄(미도시)이 걸려 회전하는 수동풀리(4a3a)와 스프링부재(4a2)의 걸림부(4a2‘)를 스프링부재(4a2)의 스프링 몸체가 벌어지는 방향으로 밀어 차양스토퍼(4a1)와 스프링부재(4a2) 사이의 마찰력을 해제시키고 회전하는 스프링구동부재(4a3b)가 형성되고 차양스토퍼(4a1)의 외주면에 끼워지는 구동휠 부재(4a3); 외주면이 환봉(2a1)의 스크린시트 체결구(2a3)에 끼워지도록 돌출턱(4a41)이 형성되고 내주면은 구동휠 부재(4a3)와 차양스토퍼(4a1)에 끼워져 결합되며 스프링부재(4a2)의 스프링 몸체가 좁혀지는 방향으로 밀어, 차양스토퍼(4a1)와 스프링부재(4a2) 사이의 마찰력을 증대시키는 제동 걸림턱(미도시)이 형성된 픽업부재(4a4);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사용자가 볼 체인(3)이나 회전줄(미도시)을 잡아당긴 힘으로 구동휠 부재(4a3)를 회전시키면 (도 3의 실선 화살표 방향), 구동휠 부재(4a3)의 스프링구동부재(4a3b)가 스프링부재(4a2)의 걸림부(4a2‘)를 스프링부재(4a2)의 스프링 몸체가 벌어지는 방향으로 밀어 차양스토퍼(4a1)와 스프링부재(4a2) 사이의 마찰력을 해제함과 동시에 픽업부재(4a4)의 제동 걸림턱(미도시)을 밀어 회전시킴으로서 외주면에 형성된 돌출턱(4a41)이 환봉(2a1)의 스크린시트 체결구(2a3)를 회전방향으로 밀어 통해 롤(2a)의 환봉(2a1)을 회전시키게 되는 것이고, 사용자가 볼 체인(3)이나 회전줄(미도시)의 잡아당김을 멈추면 스크린시트(2b1)의 하중에 따라 환봉(2a1)에 회전력이 작용하게 되고, 이 회전력은 종국에는 픽업부재(4a4)를 회전시키는데, 픽업부재(4a4)의 제동 걸림턱(미도시)은 스프링부재(4a2)의 스프링 몸체가 좁혀지는 방향으로 밀어 (도 3의 점선 화살표 방향), 차양스토퍼(4a1)와 스프링부재(4a2) 사이의 마찰력을 증대시킴으로서 환봉(2a1)을 회전 정지시킨다.
이때 스크린시트의 권취 또는 권해된 정도에 따라 해당 거리만큼 볼 체인(3)이나 회전줄(미도시)이 계속하여 공급되어 힘이 전달되어 환봉(2a1)을 회전시켜야 하며, 환봉(2a1)의 회전에 따라 환봉(2a1)이 계속 공급되어야만 다음 권취에 작동을 반복하게 하며, 공급되는 길이는 환봉의 직경, 기어 비 등에 따라 다르며, 기어비가 클 경우 잡아당기는 힘은 반비례하지만 공급되는 길이는 비례하여 늘어나게 되는 것이고 통상적으로는 스크린시트가 가볍기 때문에 기어 비는 1: 1이고 성인이 손을 들어 잡아당기는 구동길이를 감안하여 스크린시트 기장의 약 2배 이하로 제작된다.
사실, 슬랫 타입이든 롤 타입이든 이와 같은 블라인드에 권취 및 권해 작동에 힘을 전달하는 수단인 볼 체인(3)이나 회전줄(미도시)은 통상적으로는 도 1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U’자형 루프형태를 가지고 스크린시트나 슬랫의 권해길이에 맞춰 하단으로 길게 늘어져 있는 구조이며, 볼 체인(3)의 경우에는 권취시의 스크린시트나 슬랫을 들어 올리는 힘을 고려하여 수동풀리(4a3a)의 홈에 끼워져 힘이 잘 전달되도록 견고한 일자형태의 줄에 동일한 다수의 구형상 플라스틱 볼을 소정간격으로 구분 없이 일체로 사출하고 양 끝단은 결합시켜‘U’자형 루프형태로 매우 견고하게 제작되고 있으며, 회전줄(미도시)은 일자형 줄의 양 끝단을 결합하여 역시‘U’자형 루프형태로 매우 견고하게 제작하며 제작소재가 끈으로 매우 가볍기 때문에 하단에 하중부재(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그 하중으로 하단에서 꼬임이 없이 안정적으로 위치하면서 회전줄(미도시)이 좀 더 안정적으로 공급되게 하고, 값이 저렴하여 대부분의 블라인드에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 견고함과 U’자형 루프형태이면서 소정 길이로 낮은 위치까지 늘어져 설치되는 관계로 쉽게 아동들이 접근 가능하여 볼 체인(110a)이나 회전줄(미도시)을 가지고 노는 어린아이에게는 오히려 치명적인 인명사고를 유발하고 있어 최근 사회문제가 되고 있으며, 각국은 이를 방지하는 안전규격을 제정하는 등 사용을 규제하고 있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업계에서는‘U’자형 루프형태의 볼 체인(3)이나 회전줄(미도시)이 주는 상술한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개선 시도가 있으며, 스토퍼가 형성된 일자형 루프형태의 볼 체인이나 회전줄을 사용하도록 스프링 복귀 장치를 추가하여 비축된 힘으로 볼 체인(3)이나 회전줄(미도시) 자체를 복귀시키게 하고 볼 체인(3)이나 회전줄(미도시)이 반복하여 공급되도록 하여 아예 ‘U’자형 루프형태를 없애 분리된 줄이 외부에 노출되도록 하고 소정 힘이 전체적으로 U’자형 루프형태의 볼 체인이나 회전줄에 가해질 경우 쉽게 분리되게 하거나, 종래의 볼 체인(3)이나 회전줄(미도시)을 어린이의 손에 닿지 않도록 특정 높이까지만 설치되도록 하거나 ‘U’자형 루프형태의 볼 체인(3)이나 회전줄(미도시)의 하단 끝단을 고정하게 하되 아동의 머리가 끼지 않게 하는 등, U’자형 루프형태의 볼 체인(3)이나 회전줄(미도시)이 주는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시도가 있다.
그러나 소정 힘이 전체적으로 ‘U’자형 루프형태의 볼 체인(3)이나 회전줄(미도시)에 가해질 경우 단지 분리되게 하는 방법과 어린이의 손에 닿지 않도록 특정 높이까지만 설치하거나, ‘U’자형 루프형태의 볼 체인(3)이나 회전줄(미도시)의 하단 끝단을 고정하게 하되 아동의 머리가 끼지 않게 하는 업계의 노력들은 사실상 미봉책이며. 스토퍼가 형성된 일자형 루프형태의 볼 체인(3)이나 회전줄(미도시)을 사용하도록 스프링 복귀 장치를 추가하여 비축된 힘으로 볼 체인(3)이나 회전줄(미도시)을 외부로 있는 그대로 토출하여 원상 복귀시키게 하는 방식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길게 잡아당길 때에 볼 체인(3)이나 회전줄(미도시) 타 측이 빠지지 않도록 방지하는 스토퍼가 필요하고, 볼 체인(3)이나 회전줄(미도시)을 길게 잡아당길 때 스토퍼가 부딪히는 소음문제와 함께 잡아당김 힘으로 인하여 스토퍼가 빈번하게 끼게 되므로 쉽게 망가지며, 충돌에 따른 출렁거림이 많아서, 원활한 역회전 작동을 방해받을 수 있고, 무엇보다도 타단에 늘어뜨린 볼 체인(3)이나 회전줄(미도시)이 역회전에 따라 하강하면서 출렁거리며 더욱 꼬인 상태로 되어 있을 수 있어, 이 역시 어린이 안전에 해가 될 수 있어 문제점이 있어 이를 개선하여야 할 필요가 있었고, 매우 경제적이라 할 수 있고 널리 보급되어 있는 종래의‘U’자형 루프형태의 볼 체인(3)이나 회전줄(미도시)을 그대로 활용하고도 간단한 추가 장치로 어린이 안전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수동 자동식에 무관하게, 일방향성이나 양방향성에 무관하게, 그리고 구동휠 복귀 기능 유무에 무관하게, 제조비용이 저렴하며 안전하게 수납하는 어린이 보호를 위한 차양구동장치의 구동휠 안전줄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한편, 본 발명자의 2013. 1. 18.자 특허출원 제2013-5626호 (구동휠 부재의 복귀기능을 갖는 차양구동장치) 혹은 동일자 특허출원 제2013-5624호 (구동휠 부재의 복귀기능을 갖는 차양구동장치) 발명의 경우 (종래기술이 아님) 에는 구동줄을 'U'자형 대신 '11'자 형으로 할 수 있어, 어린이 보호가 가능하나, 이 경우라도 구동줄이 길어지면, 작동시나 혹은 바람 등의 외부환경에 의해 하단에서 흔들리면서 꼬일 수 있으며 또는 어린이가 장난으로 구동줄에 매듭을 지어, 어린이를 위협할 수 있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는바,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까지도 간단한 방법으로 완벽하게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는 태엽 손잡이를 갖는 차양구동장치의 구동휠 안전줄 어셈블리는, 직접 차양 회전축을 구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픽업부재와, 구동휠을 갖는 휠 구동부재를 포함하는 태엽 손잡이를 갖는 차양구동장치의 구동휠 안전줄 어셈블리로서, 휠구동부재에 일체로 형성되는 풀리; 상기 풀리를 회전시키는 외부로 인출되어 소정 길이만큼 하방으로 늘어뜨린 회전줄(416a1a'); 상기 풀리를 어느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에는 같이 회전하나, 상기 일 방향으로 상기 풀리에 의해 함께 회전한 직후에 반대방향으로 자체적으로 회전할 경우에는 상기 풀리를 상기 차양 회전축과 독립적으로 회전하게 하는 양방향구동 클러치(415b); 및 상기 회전줄의 양 하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연장회전줄태엽손잡이(416b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는 태엽 손잡이를 갖는 차양구동장치의 구동휠 안전줄 어셈블리는, 직접 차양 회전축을 구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픽업부재와 구동휠을 갖는 휠 구동부재를 포함하는 회전줄에 의해 구동되는 태엽 손잡이를 갖는 차양구동장치의 구동휠 안전줄 어셈블리로서, 상기 휠 구동부재를 어느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에는 같이 회전하나, 상기 일 방향으로 상기 휠 구동부재에 의해 함께 회전한 직후에 반대방향으로 자체적으로 회전할 경우에는 상기 휠 구동부재를 상기 차양 회전축과 독립적으로 회전하게 하는 양방향구동 클러치(415b); 및 상기 회전줄의 양 하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연장회전줄태엽손잡이(416b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장회전줄태엽손잡이(416b2)는, 상기 회전줄을 귄취하거나 권해하는 연장회전줄태옆(416b2a’,416b2a“)과, 상기 연장회전줄태옆(416b2a’,416b2a“)을 제어하는 태옆제동스위치(416b2b)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장회전줄태옆(416b2a’,416b2a“)은, 태옆(416b2a1)과, 상부와 하부로 분리되고 하부에는 고정핀이 형성된 권취드럼(416b2a2)과, 상기 권취드럼(416b2a2)에 수납되고 일측에 태옆(416b2a1) 수용 홈이 형성되고 타단의 외주면에 로프 결합구를 가진 고정봉(416b2a3')을 갖는 태옆보빈(416b2a3)과, 태옆보빈(416b2a3)의 로프 결합구에 일 측 끝단이 결합되고 타 측 끝단은 상기 권취드럼(416b2a2) 밖으로 인출되는 복귀용 로프(416b2a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층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태옆제동스위치(416b2b)는, 돌기(416b2b')가 상기 권취드럼(416b2a2)의 결착홈(416b2a2')에 걸리면 회전이 정지되고, 상기 돌기(416b2b')가 상기 권취드럼(416b2a2)의 결착홈(416b2a2')으로 벗어나면 상기 태옆보빈(416b2a3)에 대한 권취드럼(416b2a2)의 상대 회전이 자유로워져서 권취 및 권해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전줄을 감싸는 안전 커버 부재(416b3); 를 더 포함하며, 상기 회전줄이 상기 안전 커버 부재(416b3) 내부로 삽입된 상태에서 슬라이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안전 커버 부재(416b3)를 상기 차양구동장치의 캡부재(413'a)에 기구적으로 연결하여 주는 결합부재;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안전 커버 부재(416b3)는, 적어도 상측 끝단이 개구된 기다란 소정 길이의 중공형상이고 상기 회전줄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상측 끝단 개구부를 통하여 중공 내부로 삽입되어지며 상기 회전줄이 상기 상측 끝단 개구부를 통해 자유롭게 드나들며, 적어도 일부를 잡아당기면 소정길이 전체적 혹은 부분적으로 늘어나고 놓으면 원래의 길이로 복귀하는 탄성커버 혹은 가요성커버인 것을 좋다.
더욱이, 상기 안전 커버 부재(416b3)는, 탄성을 갖는 세로방향의 씨줄과 이와 교차하도록 직조된 날줄로 이루어지는 직조물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전줄의 꼬임을 방지하는 수단;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연장회전줄태엽손잡이(416b2)를 감싸는 파지부재(416b2b1)를 더 포함하며, 상기 파지부재(416b2b1)가 결합된 상태에서 외부에서 상기 태엽제동스위치(416b2b)의 스위칭이 가능한 것이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어린이 안전보호를 위한 차양구동장치의 구동휠 안전줄 어셈블리 및 그에 사용되는 커버에 의하면, 구동줄의 아래가 일자형이거나 쉽게 절단가능하도록 하여도 되므로 구동줄에 유아의 목이나 신체부위가 걸려 다치거나 사망하는 사고를 방지하는 차양구동장치가 가능하게 하면서, 안전하고 조용하며, 제조비용도 저렴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과 효과들은,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롤 타입 차양의 일종인 통상의 롤 블라인드 분해사시도와 롤 단면도이며,
도 2는 종래의 롤 차양용 입력구동모듈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종래의 롤 타입 차양의 일종인 통상의 롤 블라인드 결합상태 단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유성기어열을 이용한 차양구동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4b는 본 발명과 관련된 유성기어열을 이용한 차양구동장치의 수평방향 절단 단면도이며,
도 4c, 도 4d 및 도 4e는 각각, 도 4b의 C-C선, D-D선 및 E-E선 방향 절단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유성기어열을 이용한 차양구동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과 관련된 유성기어열을 이용한 차양구동장치의 일 구성인 수동구동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과 관련된 구동휠 부재의 복귀 기능을 갖는 차양구동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8는 본 발명과 관련된 구동휠 부재의 복귀 기능을 갖는 차양구동장치의 일 구성인 수동구동모듈 휠구동부재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9a는 본 발명과 관련된 구동휠 부재의 복귀 기능을 갖는 차양구동장치의 일 구성인 수동구동모듈 휠구동부재 조립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구동휠 부재의 복귀 기능을 갖는 차양구동장치의 부분분해 사시도이며,
도 9b는 도 9a의 B-B선 방향 절단 단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과 관련된 구동휠 부재의 복귀 기능을 갖는 차양구동장치의 일 구성인 수동구동모듈 유성기어열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어린이 보호를 위한 휠 안전줄 어셈블리를 적용한 본 발명과 관련된 구동휠 부재의 복귀 기능을 갖는 차양구동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어린이 보호를 위한 휠 안전줄 어셈블리를 적용한 본 발명과 관련된 구동휠 부재의 복귀 기능을 갖는 차양구동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어린이 보호를 위한 휠 안전줄 어셈블리의 일 구성인 연장회전줄태옆손잡이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어린이 보호를 위한 휠 안전줄 어셈블리를 적용한 본 발명과 관련된 구동휠 부재의 복귀 기능을 갖는 차양구동장치의 분리사시도이며,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어린이 보호를 위한 휠 안전줄 어셈블리를 적용한 본 발명과 관련된 구동휠 부재의 복귀 기능을 갖는 차양구동장치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어린이 보호를 위한 휠 안전줄 어셈블리의 일 구성인 연장회전줄태옆손잡이의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어린이 보호를 위한 휠 안전줄 어셈블리를 적용한 본 발명과 관련된 구동휠 부재의 복귀 기능을 갖는 차양구동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18은 도 17의 변형예에 사용되는 구동휠 부재의 복귀 기능을 갖는 차양구동장치의 구동휠 안전줄 어셈블리에 사용되는 커버의 상세도이며,
도 19는 도 17의 변형예에 사용되는 구동휠 부재의 복귀 기능을 갖는 차양구동장치의 구동휠 안전줄 어셈블리에 사용되는 커버의 분리사시이며,
도 20 및 도 21은 도 17의 변형예에 사용되는 구동휠 부재의 복귀 기능을 갖는 차양구동장치의 구동휠 안전줄 어셈블리에 사용되는 커버의 실제 사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쉽게 개시하기 위하여 설명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첨부된 도면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첨부된 도면들에서 구성에 표기된 참조번호는 다른 도면에서도 동일한 구성을 표기할 때에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번호를 사용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의 기능 또는 공지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면에 제시된 어떤 특징들은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확대 또는 축소 또는 단순화된 것이고, 도면 및 그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적절한 비율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다. 또한, 장치 또는 요소의 방향에 있어서, 전후좌우, 상하, 종횡은 본 발명의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의미하지 않는다. 아울러, "제1", "제2"와 같은 용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상세한 설명 및 청구항 들에서 상대적인 주요성 또는 취지 또는 순서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사항은 당업자라면 이에 대한 상세 사항들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
참고로, 본 발명과 관련된 본 출원인의 선행 출원(특허출원 제2013-0002626호)의 명세서 중에서 구동휠 부재의 복귀 기능을 갖는 차양구동장치의 원리가 본 명세서에서 관련 발명으로 참조 되는데, 그에 앞서 선행 출원(특허출원 제2013-0002623호)의 명세서 중에서 유성기어열을 이용한 차양구동장치의 원리가 상기 구동휠 부재의 복귀 기능을 갖는 차양구동장치의 원리를 더욱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해 본 명세서에서 그대로 참조 된다.
먼저, 본 발명의 부가적인 목적을 위한 유성기어열을 이용한 차양구동장치에 대하여 도 4a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유성기어열을 이용한 차양구동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4b는 본 발명과 관련된 유성기어열을 이용한 차양구동장치의 수평방향 절단 단면도이며, 도 4c, 도 4d 및 도 4e는 각각, 도 4b의 C-C선, D-D선 및 E-E선 방향 절단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유성기어열을 이용한 차양구동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과 관련된 유성기어열을 이용한 차양구동장치의 일 구성인 수동구동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과 관련된 유성기어열을 이용한 차양구동장치(400a)는 도 4a, 도 4b, 도 4c, 도 4d 및 도 4e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기어(432)와 선기어(434) 및 유성기어 캐리어(431)로 구성되는 유성기어열(430); 볼 체인(미도시)이나 회전줄(미도시)에 의해 작동되며 상기 유성기어열(430)의 링기어(432)와 선기어(434) 및 유성기어 캐리어(431)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에 결합되어 이를 구동 혹은 정지시키는 수동구동모듈(410); 상기 유성기어열(430)의 출력 측에 고정 결합되고 차양 회전축(미도시)을 구동하는 구동함몰턱(452a)이 형성된 제2 픽업부재(452); 상기 수동구동모듈(410)의 외주면이 끼워져 수동구동모듈(410)과는 자유롭게 회동되고 외주면에는 피동함몰턱(451a)이 형성되어 차양 회전축(미도시)에 결합되고 차양 회전축(미도시)의 회동에 의해 피동 되는 제1 픽업부재(451); 정지수단(미도시)과 회전축(421)을 가지며 상기 수동구동모듈(410)에 결합되지 않은 상기 유성기어열(430)의 나머지 링기어(432)와 선기어(434) 및 유성기어 캐리어(431)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에 결합되어 이를 구동 혹은 정지시키는 전동구동 모듈(420); 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볼 체인(미도시)이나 회전줄(미도시)로 수동구동모듈(410)을 통하여 차양을 수동으로 작동시키더라도 전동구동 모듈(420)의 구동이나 정지 상태에 상관없이 자유롭게 차양을 수동으로 작동시킴과 동시에 반대로 전동구동 모듈(420)로 차양을 전동으로 작동시킬 때에도 수동구동모듈(410)을 통한 차양의 구동이나 정지 상태에 상관없이 자유롭게 차양을 전동으로 작동시키는 특징을 가진다.
상기 전동구동 모듈(420)은 별도의 정지수단을 포함하거나 압전모터와 같이 자체 브레이크 구조를 가진 모터와 차양 회전축(미도시)의 회전속도와 위치값을 측정하도록 상기 제1 픽업부재(451)에 결합되는 하술할 엔코더 장치(440)로 이루어지는 모터장치이며, 여기서 모터는 압전모터로 구비되고, 상기 회전축(421)은 소정길이 및 직경의 내부 턱이 형성된 중공인 축 커넥터(422)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축 커넥터(422)를 더 포함하여 구비하되, 축 커넥터(422)의 일 측단에는 회전축(421)이 삽입되어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유성기어열(430)의 나머지 링기어(432)와 선기어(434) 및 유성기어 캐리어(431)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에 결합되는데, 하술할 선 기어(434)의 일 측단이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구비하는 바, 압전모터는 전기를 인가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회전자와 고정자가 예압에 의해 강하게 고정 결합되어 있는 구조의 모터로서, 작동하지 않을 때는 자체적인 구조상 브레이크 기능을 겸하는 압전모터로, 모터의 가동 및 가동중단이 결과적으로 압전모터의 회전축(421)에 의해 상기 유성기어열(430)의 나머지 링기어(432)와 선기어(434) 및 유성기어 캐리어(431)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회전 혹은 정지시키는 것이므로 이는 당업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고, 압전모터 외에도 AC모터 혹은 DC모터에 전자브레이크 또는 하술할 수동구동모듈(410)등 정지수단이 결합된 모터장치이면 모두 가능하며 이 또한 당업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는 것으로 이에 대하여서는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과 관련된 유성기어열을 이용한 차양구동장치(400a)는 제1 픽업부재(451)의 구동함몰턱(451a)을 통하여 차양 회전축(미도시)에 끼워지거나 고정 결합되고, 도시하지 않은 브라? 혹은 마감 케이스와 같은 고정수단에 의해 차양에 고정 지지되며, 도시하지 않은 차양레일과 같은 차양 커버에 의해 덮여지는데, 이는 당업자라면 쉽게 이해할 수 있으므로 이하 차양과의 결합관계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유성기어열(430)은 도 5에 더욱 자세히 도시한 바와 같이 유성기어캐리어(431); 링기어(432); 자유기어(433); 일 측단에 소정 폭의 기어치가 형성된 소정 길이의 선 기어(434); 제1 베어링 커플러(436);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유성기어캐리어(431)는 자유기어(433)가 끼워져 회동가능 하도록 구비되는 핀이 적어도 1개 구비되고 정중앙에 소정 직경의 홀이 형성된 제1 유성기어 캐리어(431a)와 결합단(431b')이 형성된 제2 유성기어 캐리어(431b)로 이루어지고, 상호간은 링기어(432) 내부에서 핀에 끼워진 자유기어(433)가 치합되도록 삽입되며 제1유성기어 캐리어(431a)와 제2 유성기어 캐리어(431b)는 일측면이 마주보고 핀을 통해 상호 연결되도록 구비되고, 제2 유성기어 캐리어(431b)의 타면은 베어링에 압입되도록 소정길이와 소정 공차 및 직경을 갖는 외주면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끝단의 결합단(431b')을 통하여 전동구동 모듈(420)의 전동구동모듈 회전축(421)이나 수동구동모듈(410)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가지에 선택적으로 고정 결합되도록 구비될 수 있으나, 여기서는 전동구동모듈 회전축(421)이 선 기어(434)에 결합되므로 하술할 수동구동모듈(410)의 수동드라이버(414)와 고정 결합된다. 이에 따라 내주면에 기어치가 형성되고 일 측단이 개방되되, 커플러캡(4364)와 고정 결합되며, 타단은 중앙에 소정 직경의 중앙 홀이 형성되어 제2 유성기어 캐리어(431b)의 일 측단 결합단(431b')이 통과되도록 형성되고 중앙 홀을 제외한 면에 고정 결합용 탭이 다수 형성된 링기어(432)는 제2 픽업부재(452)와 고정 결합 된다.
그리고 제1 베어링 커플러(436)는 제1 유성기어 캐리어(431a)의 홀에 압입되는 압입축(4361); 압입축(4361)이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스냅링(4362); 상기 압입축(4361)이 내주면에 압입되고 통과하는 제1 베어링(4363); 제1 베어링(4364)이 내주면에 압입되어지고 단차진 외주면은 링기어(432)에 압입되어 고정되는 커플러캡(4364); 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링기어(432)와 제1 유성기어 캐리어(431a)를 단단히 결합시키되 제1 유성기어 캐리어(431a)와 링기어(432) 상호간에 자유로이 회동하도록 구비한다.
또한, 상기 제2 픽업부재(452)는 내주면에 기어치가 형성되고 일 측단이 개방되되, 타단은 중앙에 소정 직경의 중앙 홀이 형성되어 제2 유성기어 캐리어(431b)의 결합단(431b')이 관통되어 통과되도록 형성되고 중앙 홀을 제외한 면에는 고정 결합용 탭이 다수 형성되어 있어 상기 유성기어열(430)의 출력을 담당하는 링기어(432)와 선기어(434) 및 유성기어 캐리어(431)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에 결합되며 외주면에는 구동함몰턱(452a)이 환봉(2a1, 도 1a참조)의 스크린시트 체결구(2a3, 도 1a참조)에 끼워지도록 구비되고 여기서는 링기어(432)와 고정 결합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1 픽업부재(451)는 내주면에 하술할 수동구동모듈(410)의 수동드라이버(414) 외주면이 자유롭게 회동 가능하도록 끼워지고, 외주면에는 피동함몰턱(451a)이 형성되어 차양 회전축(미도시)에 결합되고 차양 회전축(미도시)의 회동에 의해 회전되도록 구비되며 종래기술의 픽업부재(4a4, 4b4, 도 2 참조)와 달리 차양 회전축(미도시)을 구동하는 것이 아니라 차양 회전축(미도시)에 의해 피동만 되는 확연하게 다른 특징이 있으며, 종국에는 하술할 상기 엔코더 장치(440)의 엔코더플레이트(440a)를 구동 회전시킴과 동시에 내주면에 하술할 수동구동모듈(410)의 수동드라이버(414)가 회동 가능하도록 끼워지는 관계로 차양 회전축(미도시)을 차양의 끝단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안정적으로 거치내지 지지하는 특징이 있다.
한편, 상기 전동구동 모듈(420)의 엔코더 장치(440)는 엔코더플레이트(440a); 일 측면에는 엔코더플레이트(440a)를 고정하되 타면은 제1 픽업부재(451)에 끼워져 결합되며 제1 픽업부재(451)가 차양 회전축(미도시)의 회동에 의해 회전할 때 같이 회전하는 엔코더홀더(440b); 상기 엔코더홀더(440b)에 엔코더플레이트(440a)를 사이에 두고 끼워져 엔코더플레이트(440a)를 단단히 고정하는 엔코더홀더부재(440c); 엔코더플레이트(440a)로부터 위치를 검출하는 센서모듈(440d);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센서모듈(440d)은 도시하지 않은 전동구동모듈(420)의 제어모듈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차양 회전축(미도시)의 회전 속도와 위치 값을 제공하도록 구비된다.
이울러, 엔코더홀더(440b)는 차양 회전축(미도시)의 속도와 위치 값을 제공할 수 있는 위치라면 차양 회전축(미도시)에 직결 설치할 수 있으며 일체로 형성할 수 있고, 그 외에도 다양한 변형이 있을 수 있는데, 여기서는 제1 픽업부재(451)와 결합시키고 제1 픽업부재(451)에 의해 피동 회전하도록 구비하며, 당업자가 용이하게 변형하여 적용할 수 있으므로 엔코더홀더(440b)나 엔코더플레이트(440a) 의 설치에 대하여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센서모듈(440d)과 엔코더플레이트(440a)의 조합은 광학식/ 자석식 등 매우 다양할 수 있는데, 여기서는 소정 폭의 슬릿이 도넛형상에 다수가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엔코더플레이트(440a)와 광학식 센서모듈(440d)로 구비하며, 엔코더플레이트(440a)가 사이에 끼워져 회전할 때 슬릿과 그 경계면에서의 빛의 차단 혹은 통과를 검출하는 방식으로 작동하며, 이러한 광학식 엔코더는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하여도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수동구동모듈(410)은 걸림부(411a)가 형성된 스프링부재(411b)가 외주면에 끼워져 삽입되어 마련되고 내주면에는 전동구동모듈(420)의 회전축(421)이나 축 커넥터(422)가 관통하여 통과하도록 소정직경의 중공(411c)이 형성되어 있으며 중공(411c)의 일 측 끝단으로 삽입되는 도시하지 않은 중공의 차양 고정 브라?에 단단히 고정 결합되는 수동스토퍼(411); 상기 수동스토퍼(411)가 내부로 끼워지도록 마련되며 회전할 때는 상기 수동스토퍼(411)의 스프링부재(411b)의 스프링 몸체가 벌어지는 방향으로 걸림부(411a)를 밀어 스프링부재(411b)의 마찰력을 해제 시키는 해제 걸림턱(412a)이 원통형 중공 몸체의 개구된 일부분에 형성된 랩스프링구동부재(412); 상기 랩스프링구동부재(412)가 일 측면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혹은 고정결합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다수의 결합단(415c, 도 8 참조)이 형성된 몸체와 몸체에는 상기 볼 체인(미도시)이나 회전줄(미도시)을 끼워 당기면 회전하는 수동풀리(415a)가 일체로 형성되거나 체결단(415c, 도 8 참조)에 결합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랩스프링구동부재(412)를 회전시키는 휠구동부재(415); 일 측단 내주면에는 제2 유성기어 캐리어(431b)의 결합단(431b')과 고정 결합되는 결합구(414a)와 일 측 끝단 외주면 일부에는 도시하지 않은 제3의 결합수단과 고정 결합 가능한 결합턱(414b)이 다수 형성되고 외주면 나머지 타단은 제1 픽업부재(451)가 끼워져 자유로이 회동하도록 원주형상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소정 길이로 전동구동모듈(420)의 회전축(421)이나 축 커넥터(422)가 통과하도록 소정직경의 중공이 내주면에 이어서 형성되고 타단은 랩스프링구동부재(412)와 수동스토퍼(411)가 끼워져 결합되고, 자체적으로 회전할 때는 수동스토퍼(411)를 구성하는 스프링부재(411b)의 걸림부(411a)를 스프링 몸체가 좁혀지는 방향으로 밀어 스프링부재(4a2)의 마찰력을 증대시켜 정지되고 랩스프링구동부재(412)가 회전할 때는 해제 걸림턱(412a)에 밀려 함께 회전하도록 하기 위해 내주면에 제동 걸림턱(미도시)이 형성된 수동드라이버(414);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수동드라이버(414)는 차양 회전축(미도시)에 결합되어 있는 제1 픽업부재(451) 내부에 자유로이 회동 가능하도록 삽입되어 구비된다.
휠구동부재(415)는 다른 변형이 가능하데, 랩스프링구동부재(412)가 분리되어 변형된 휠구동부재(415', 도 8 참조)의 체결단(415c, 도 8 참조)에 결합되어 사용자가 볼 체인(미도시)이나 회전줄(미도시)을 통하여 수동풀리(415a)를 회전시킬 때 랩스프링구동부재(412)를 마찰력으로 구동시키는 양방향 구동 클러치(415b,도 8 참조)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방향 구동 클러치(415b,도 8 참조)를 포함하지 않으며 스프링구동부재(412)에 일체로 형성된 수동풀리(415a)가 일체로 구비되는 휠구동부재(415)로 마련되는 바, 이와 같은 수동구동모듈(410)은 종래수동구동모듈(4a, 4b, 도1 및 도2 , 도3 참조)과 다르게 사용자가 볼 체인(미도시)이나 회전줄(미도시)을 통하여 수동풀리(415)를 회전시키더라도 자체로는 차양 회전축(미도시)을 직접 구동시키지 않고 대신에 제2 유성기어 캐리어(431b)에 결합되도록 구비되는 관계로, 본 발명과 관련된 수동드라이버(414)의 작동 기능은 제2 유성기어 캐리어(431b)가 회전할 때는 스프링부재(411b)의 걸림부(411a)를 스프링 몸체가 좁혀지는 방향으로 밀어 결과적으로 제2 유성기어 캐리어(431b)를 회전하지 못하도록 정지시키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수동으로 볼 체인(미도시)이나 회전줄(미도시)을 잡아당겨 랩스프링구동부재(412)가 회전하면 그 회전력으로 제2 유성기어 캐리어(431b)를 회전시키는 역할을 하게 하는데 이는 결과적으로 유성기어열(430)의 유성기어 캐리어(431)를 선택적으로 정지시키거나 회전시키게 되는 것으로 종래수동구동모듈(4a, 4b, 도1 및 도2 참조)과 그 역할이 확연히 구별된다.
한편, 상기 수동구동모듈(410)은 상기 수동풀리(415)의 외주면에 씌워져 볼 체인(미도시)이나 회전줄(미도시)이 빠지지 않도록 하거나 수동구동모듈(410)을 지지내지 수용하는 캡부재(413)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수동풀리(415)의 외주면에 씌워져 볼 체인(미도시)이나 회전줄(미도시)이 빠지지 않도록 하는 캡부재(413)를 더 포함하여 구비한다.
그리고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픽업부재(451) 내부에 엔코더 장치(440)와 수동구동모듈(410)을 삽입하고 외부로 돌출된 수동구동모듈(410)의 수동드라이버(414)를 유성기어열(430)의 제2 유성기어 캐리어(431b)에 결합하고, 제2 픽업부재(452)에 유성기어열(430)의 링기어(432)를 결합시키며, 압전모터의 회전축(421)을 축 커넥터(422)를 통해 유성기어열(430)의 선기어(434)와 결합시켜 본 발명과 관련된 유성기어열을 이용한 차양구동장치(400a)를 조립 구비한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유성기어열을 이용한 차양구동장치(400a)의 작동관계를 설명하자면, 압전모터에 의해 선 기어(434)가 정지된 경우 즉, 수동모드일 때는 사용자가 볼 체인(미도시)이나 회전줄(미도시)을 통하여 수동풀리(415a)를 회전시키면 이어서 휠구동부재(415) 랩스프링구동부재(412) 수동드라이버(414) 제2 유성기어 캐리어(431b) 링기어(432) 상기 제2 픽업부재(452)의 구동함몰턱(452a) 환봉(2a1, 도 1참조)의 스크린시트 체결구(2a3, 도 1참조) 차양 회전축(미도시)으로 그 동력이 전달되어 전동구동 모듈(420)의 구동이나 정지 상태에 상관없이 자유롭게 차양을 수동으로 작동시키고 사용자가 볼 체인(미도시)이나 회전줄(미도시)을 놓아 수동 작동을 정지시키면, 차양스크린의 자중에 의해 회전하려는 힘이 전동구동 모듈(420)에 의해 선 기어(434)가 정지되어 있으므로 차양 회전축(미도시)을 통해 수동드라이버(414)까지 회전되도록 전달되고 이는 수동스토퍼(411)를 구성하는 스프링부재(411b)의 걸림부(411a)를 스프링 몸체가 좁혀지는 방향으로 밀어 스프링부재(4a2)의 마찰력을 증대시켜 정지하게 되어 차양을 작동을 중지시킴과 동시에 수동드라이버(414)에 결합된 제2 유성기어 캐리어(431b)를 정지시키는 것이고, 이는 결과적으로 유성기어열(430)의 유성기어 캐리어(431)를 회전 불가능하도록 고정시키는 상태가 되는 것이고, 사용자가 반대로 전동구동모듈(420)로 차양을 전동으로 작동시킬 때에는 전동구동 모듈(420)의 회전축(421) 축 커넥터(422) 유성기어열(430)의 선 기어(434) 링기어(432) 상기 제2 픽업부재(452)의 구동함몰턱(452a) 환봉(2a1, 도 1참조)의 스크린시트 체결구(2a3, 도 1참조) 차양 회전축(미도시)으로 그 동력이 전달되어 수동구동모듈(410)을 통한 차양의 구동이나 정지 상태에 상관없이 자유롭게 차양을 전동으로 작동시키는 특징을 가진다.
이와 같은 본 발명과 관련된 유성기어열을 이용한 차양구동장치(400a)을 구성하는 수동구동모듈(410)의 구동구조는 종래의 수동 작동 차양에서처럼 차양 회전축(미도시)을 직접 구동하는 롤 차양용 입력구동모듈(4a) 및 슬랫 차양용 입력구동모듈(4b)과는 확연한 차이가 있는데, 차양 회전축(미도시)을 직접 구동하는 종래의 전동모터를 이용한 차양구동방식과도 다르다.
본 발명과 관련된 유성기어열을 이용한 차양구동장치(400a)는 유성기어열(430)을 사이에 두고 전동구동 모듈(420)과 수동구동모듈(410)이 유성기어열(430)을 구성하는 유성기어캐리어(431)와 선 기어(434)를 선택적으로 상호 교번하면서 입력 구동과 정지를 수행하도록 하고 링기어(432)를 통해 하나의 출력구동을 하게 하는 특징이 있다.
예컨대 본 발명과 관련된 유성기어열을 이용한 차양구동장치에 따르면, 차양의 구동에 있어 수동과 전동의 구동이 상호간에 순차적으로 방해 없이 교번 혹은 동시에 수행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어느 한 측이 고장이 나더라도 정지된 상태를 유지되는 한 작동될 수 있으며, 종래 수동 작동의 장점과 전동 작동의 장점을 고스란히 누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제2 픽업부재(452)가 유성기어열(430)을 완전히 감싸게 할 수도 있으며, 볼트, 나사, 압입수단,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수동드라이버(414)와 제2 유성기어 캐리어(431b)를 직결할 수 있음은 물론 일체 형성도 가능하고, 제2 유성기어 캐리어(431b) 대신에 제1 유성기어 캐리어(431a)를 수동드라이버(414)에 결합시킬 수 있으며, 수동드라이버(414)를 링기어(432)에 결합시키고 유성기어 캐리어(431)를 제2 픽업부재(452)에 결합시키거나, 이때 유성기어 캐리어(431)에 전동구동모듈(420)의 회전축(421)을 연결시키고 유성기어열(430)의 선기어(434)를 제2 픽업부재(452)에 연결이 가능하고 또, 전동구동모듈(420)와 수동구동모듈(410)이 유성기어열(430)을 사이에 두고 배치할 수 있으며, 이는 유성기어열을 이용한 차양구동장치(400a)의 다양한 변형 예에 불과하다 할 것이다.
부재번호 (432a)는 링기어의 기어부이며, 부재번호 (434a)는 선기어의 기어부이며, 부재번호 (433')는 유성기어의 축이며, 부재번호 (414c)는 수동 드라이버의 내부 걸림턱이며, 부재번호 (4363')는 베어링이며, 부재번호 (423)은 압전모터이며, 부재번호 (412b)는 수동 구동휠이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과 관련되어 직접적으로 참조되어지는 구동휠 부재의 복귀 기능을 갖는 차양구동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8는 본 발명과 관련된 구동휠 부재의 복귀 기능을 갖는 차양구동장치의 일 구성인 수동구동모듈 휠구동부재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9a는 본 발명과 관련된 구동휠 부재의 복귀 기능을 갖는 차양구동장치의 일 구성인 수동구동모듈 휠구동부재 조립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구동휠 부재의 복귀 기능을 갖는 차양구동장치의 부분분해 사시도이며, 도 9b는 도 9a의 B-B선 방향 절단 단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과 관련된 구동휠 부재의 복귀 기능을 갖는 차양구동장치의 일 구성인 수동구동모듈 유성기어열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7, 도 8, 도 9a, 도 9b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 관련으로 참조되어지는 구동휠 부재의 복귀 기능을 갖는 차양구동장치(400b)는 그 일 구성인 수동구동모듈(410)의 휠구동부재(415’) 및 유성기어열(430’)과 브라?이 일체로 형성된 캡부재(413‘), 그리고 랩스프링구동부재(412’)가 상기 '유성기어열을 이용한 차양구동장치' 발명의 차양구동장치(400a)를 구성하는 수동구동모듈(410)의 휠구동부재(415) 및 유성기어열(430)과 캡부재(413) 그리고 랩스프링구동부재(412)와 차이가 있을 뿐 나머지는 상기 '유성기어열을 이용한 차양구동장치' 발명의 차양구동장치(400a)과 동일하다. 이에 따라 동일한 부재번호는 그대로 사용하기로 하며, 이를 제외한 나머지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상기 유성기어열을 이용한 차양구동장치를 참조하면 되므로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캡부재(413‘)는 도 9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라?에 일체로 형성되는 몸체와 몸체 중앙 전면에는 돌출된 중공이 형성된 고정봉(413’b1)과 몸체 하단에는 내주면 결합홈과 외주면에 소정 직경의 돌출부가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는 고정단(413‘b2)이 일체로 형성된 제2 캡부재(413‘b); 제2 캡부재(413‘b)에 결합되며 일 측에 소정 깊이의 개구부가 형성된 제1 캡부재(413‘a); 로 이루어지며, 캡부재(413‘)는 상기 '유성기어열을 이용한 차양구동장치' 발명의 차양구동장치(400a)와 같이 수동풀리(415a)의 외주면에 씌워져 볼 체인(미도시)이나 회전줄(미도시)이 빠지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수동드라이버(414)의 끝단을 지지하며 하술할 휠구동부재(415’) 및 랩스프링구동부재(412‘)를 내부에 수용한다.
또한, 본 발명 관련으로 참조되어지는 구동휠 부재의 복귀 기능을 갖는 차양구동장치(400b)의 일 구성인 수동구동모듈(410)을 구성하는 휠구동부재(415’)와 랩스프링구동부재(412’)는 도 7과 도 8 및 도 9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유성기어열을 이용한 차양구동장치' 발명의 차양구동장치(400a)의 일 구성인 수동구동모듈(410)의 휠구동부재(415)와 랩스프링구동부재(412)와는 다르게 구비하는데, 이를 살펴보면 체결단(415c)이 형성되고 수동풀리(415a)가 일체로 형성된 휠구동부재(415‘)와 중공체 슬리브가 일 측 단에 형성된 랩스프링구동부재(412’)는 각각 분리 구비하며, 랩스프링구동부재(412’)가 내주면에 끼워지고 휠구동부재(415‘)의 체결단(415c)에 일체로 형성 혹은 끼움결합되어 사용자가 볼 체인(미도시)이나 회전줄(미도시)을 통하여 수동풀리(415a)를 회전시킬 때 회전하면서 랩스프링구동부재(412’)을 마찰력으로 구동시키는 양방향 구동 클러치(415b)를 더 포함하여 구비된다.
이때, 상기 양방향 구동 클러치(415b)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휠구동부재(415’)의 몸체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끼움돌부(415b1a)가 몸체(415b1b) 외주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고, 몸체(415b1b)의 내주면에는 소경부(415b1c)와 대경부(415b1d)를 갖는 원호형상의 양방향 이동홈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구비되는 양방향드라이버(415b1); 원판형상의 몸체 중앙에 축공(415b3d)과 그 주변을 따라 다수 구비되는 로프 결합구(415b3b)와 이에 고정되는 하술할 복귀용 로프(415d4)를 권취하거나 권해하는 권취부재(415b3c)가 형성되고, 몸체의 상면에는 양 측면이 소정 직경의 원호상으로 만곡되어 형성되어지는 단위 탄발부재홀더(415b3a)가 축공(415b3d)의 주변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배열로 형성된 리테이너(415b3); 상기 양방향드라이버(415b1) 양방향 이동홈의 대경부(415b1d)와 상기 리테이너(415b3)의 단위 탄발부재홀더(415b3a) 사이에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롤러부재(415b2);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양방향드라이버(415b1)가 좌우로 회전하면서 상기 롤러부재(415b2)를 좌우로 밀어 원호형상의 상기 양방향드라이버(415b1)의 양방향 이동홈 소경부(415b1c)와 대경부(415b1d) 사이를 구르게 하고 롤러부재(415b2)가 소경부(415b1c)에 인접할수록 소경부(415b1c)에 의해 끼워져 눌려 그 타단이 리테이너(415b3)의 축공(415b3d) 쪽으로 밀려 돌출되게 하거나 대경부(415b1d) 위치에서는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하여 결과적으로는 리테이너(415b3)의 축공(415b3d) 쪽으로 돌출된 타단이 후퇴 혹은 전진되도록 하게 하는 방식으로 축공(415b3d)에 삽입되는 랩스프링구동부재(412’) 중공체 슬리브의 외주면을 밀착 또는 해제시켜 마찰력으로 랩스프링구동부재(412’)를 구동하거나 구동 해제시키는 특징이 있으며, 본 발명 관련 하여는 양방향드라이버(415b1)가 끼움돌부(415b1a)를 통해 휠구동부재(415’)의 몸체에 내주면에 형성된 체결단(415c)에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구비하며, 롤러부재(415b2)는 구형상의 볼이나 소정길이 소정직경의 원통형상의 롤러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가지이고, 본 발명 관련하여는 원통형상의 롤러로 마련되며, 상기 단위 탄발부재홀더(415b3a) 각각에는 단위탄발부재(미도시)를 쌍으로 하여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단위탄발부재(미도시)로는 자석편 혹은 스프링일 수 있고, 단위탄발부재(미도시)란 리테이너(415b3)가 회전을 멈추면 각각의 롤러부재(415b2)를 좌우로 밀어 상기 양방향드라이버(415b1)의 양방향 이동홈 대경부(415b1d) 위치 즉, 중립위치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으로 본 발명 관련하여는 단위탄발부재(미도시)를 더 포함하지 않으며, 이러한 단위탄발부재(미도시)외에도 모든 롤러부재(415b2)를 한꺼번에 탄발 즉 중립위치에 위치에 놓이도록 리테이너(415b3) 전체를 역방향으로 소정각도 혹은 연속하여 회전시키는 전체탄발부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이러한 전체탄발부재(미도시)와 단위탄발부재(미도시) 대하여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특1997-0011290 및 등록실용 20-0260431에 공지되어 있으므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되, 본 발명 관련하여는 이를 더 포함하지 않으며, 그 이유는 수동구동모듈(410)의 일 구성인 수동스토퍼(411)의 스프링부재(411b)가 전체탄발부재(미도시) 역할을 하기 때문으로, 사용자가 볼 체인(미도시)이나 회전줄(미도시)을 놓아 수동 작동을 정지시키는 순간 몸체로 좁혀져 있던 스프링부재(411b)가 탄성에 의해 원위치 하면서 모든 롤러부재(415b2)를 한꺼번에 탄발시키는 것이다.
한편, 상기 양방향 구동 클러치(415b)는 사용자가 볼 체인(미도시)이나 회전줄(미도시)을 놓아 수동 작동을 정지시키면 리테이너(415b3)를 역회전시키는 역회전수단(415d)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 관련 하여는 리테이너(415b3) 전체를 역방향으로 연속하여 회전시키는 역회전수단(415d)을 양방향 구동 클러치(415b)에 더 포함하여 구비한다.
또한, 역회전수단(415d)은 태옆(415d1); 상기 캡부재(413‘,413“)의 일 구성인 제2 캡부재(413‘b)의 고정단(413‘b2)에 고정 결합되는 고정핀(415d3); 원통형상이고 일 측 단 내주면에 소정 깊이의 태옆(415d1) 수용 홈이 형성되고 타단의 외주면에 로프 결합구를 가진 태옆보빈(415d2); 태옆보빈(415d2)의 로프 결합구에 일 측 끝단이 결합되고 타 측 끝단은 상기 양방향 구동 클러치(415b)의 리테이너(415b3)의 로프 결합구(415b3b)에 결합되는 복귀용 로프(415d4);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사용자가 볼 체인(미도시)이나 회전줄(미도시)을 잡아당겨 휠구동부재(415’)의 수동풀리(415a)를 회전시키면 이에 결합된 양방향 구동 클러치(415b)의 양방향드라이버(415b1)가 회전하면서 롤러부재(415b2)를 굴려 리테이너(415b3)의 소경부(415b1c)에 끼워지게 하고 그 마찰력으로 종국에는 리테이너(415b3)까지 회전시키게 되고 이에 결합된 복귀용 로프(415d4)가 리테이너(415b3)의 권취부재(415b3c)에 감기게 됨과 동시에 태옆보빈(415d2)에 감긴 복귀용 로프(415d4)를 권해시키면서 태옆보빈(415d2)을 회전시켜 태옆(415d1)에 그 힘을 저장하게 되며, 역으로 사용자가 볼 체인(미도시)이나 회전줄(미도시)을 놓으면 태옆(415d1)에 저장된 힘에 의해 역방향으로 태옆보빈(415d2)을 회전시키게 되고 이는 복귀용 로프(415d4)를 역으로 권취하게 되며 이어서 리테이너(415b3)의 권취부재(415b3c)에 감긴 타측 복귀용 로프(415d4)를 역으로 권해시킴과 동시에 권취부재(415b3c)를 역회전시키게 되는데, 이때 이어서 연속하여 양방향드라이버(415b1)까지 역회전시키게 되고 이는 종국적으로 수동풀리(415a)까지 역회전 시키며 이에 결합된 볼 체인(미도시)이나 회전줄(미도시)을 후진시키게 되도록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 관련 상기 유성기어열(430’)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유성기어 캐리어(431b) 및 제1유성기어 캐리어(431a)의 결합 위치가 바뀌어 수동드라이버(414)에 고정시키는 것과 제2 픽업부재(452) 및 제3 픽업부재(452‘)를 하나 더 추가한 것 외에는 상기 '유성기어열을 이용한 차양구동장치' 발명의 유성기어열(430)과 그 구성 및 작동 원리가 동일하다. 이에 따라 이하, 상기 유성기어열(430’)에 대하여는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본 발명관련으로 참조되어지는 구동휠 부재의 복귀 기능을 갖는 차양구동장치(400b)의 작동관계를 설명하자면, 압전모터에 의해 선 기어(434)가 정지된 경우 즉, 수동모드일 때는 사용자가 볼 체인(미도시)이나 회전줄(미도시)을 통하여 수동풀리(415a)를 회전시키면 이어서 휠구동부재(415’) 양방향 구동 클러치(415b) 랩스프링구동부재(412’) 수동드라이버(414) 제2 유성기어 캐리어(431b) 링기어(432) 제2 및 제3 픽업부재(452, 452')의 구동함몰턱(452a,452'a) 환봉(2a1, 도 1참조)의 스크린시트 체결구(2a3, 도 1참조) 차양 회전축(미도시)으로 그 동력이 전달되어 전동구동 모듈(420)의 구동이나 정지 상태에 상관없이 자유롭게 차양을 수동으로 작동시키고 (두 개의 픽업부재로 인하여 차양 회전축 구동이 더 안정적임), 사용자가 볼 체인(미도시)이나 회전줄(미도시)을 놓아 수동 작동을 정지시키면, 차양스크린의 자중에 의해 회전하려는 힘이 전동구동 모듈(420)에 의해 선 기어(434)가 정지되어 있으므로 차양 회전축(미도시)을 통해 수동드라이버(414)까지 회전되도록 전달되고 이는 수동스토퍼(411)를 구성하는 스프링부재(411b)의 걸림부(411a)를 스프링 몸체가 좁혀지는 방향으로 밀어 스프링부재(4a2)의 마찰력을 증대시켜 정지하게 되어 수동드라이버(414)에 결합된 제1 유성기어 캐리어(431a)를 정지시킴과 동시에 차양을 작동을 중지시키는 것이고, 이는 결과적으로 유성기어열(430)의 유성기어 캐리어(431)를 회전 불가능하도록 고정시키는 상태가 되는 것과 동시에 역회전수단(415d)에 의해 볼 체인(미도시)이나 회전줄(미도시)이 복귀되게 하며, 사용자가 반대로 전동구동모듈(420)로 차양을 전동으로 작동시킬 때에는 전동구동 모듈(420)의 회전축(421) 축 커넥터(422) 유성기어열(430)의 선 기어(434) 링기어(432) 상기 제2 픽업부재(452)의 구동함몰턱(452a) 환봉(2a1, 도 1참조)의 스크린시트 체결구(2a3, 도 1참조) 차양 회전축(미도시)으로 그 동력이 전달되어 수동구동모듈(410)을 통한 차양의 구동이나 정지 상태에 상관없이 자유롭게 차양을 전동으로 작동시키는 특징을 가진다.
이와 같은 본 발명과 관련되어 참조되어지는 구동휠 부재의 복귀 기능을 갖는 차양구동장치(400b)를 구성하는 수동구동모듈(410)의 구동구조는 종래의 수동 작동 차양에서처럼 차양 회전축(미도시)을 직접 구동하는 롤 차양용 입력구동모듈(4a) 및 슬랫 차양용 입력구동모듈(4b)과는 확연한 차이가 있는데, 차양 회전축(미도시)을 직접 구동하는 종래의 전동모터를 이용한 차양구동방식과도 다르며, 상기 '유성기어열을 이용한 차양구동장치' 발명의 차양구동장치(400a)와는, 잡아당겨진 볼 체인(미도시)이나 회전줄(미도시)이 복귀되는 점이 다르고, 역회전수단(415d)을 양방향 구동클러치(415d)에 더 포함시키지 않으면 종래의 'U'자 형태의 볼체인(미 도시)이나 회전줄(미 도시)을 사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며, 역회전수단(415d)을 더 포함되어도 종래의 종래의 'U'자 형태의 볼체인(미 도시)이나 회전줄(미 도시)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되어 참조되어지는 구동휠 부재의 복귀 기능을 갖는 차양구동장치(400b)는 유성기어열(430’)을 사이에 두고 전동구동 모듈(420)과 수동구동모듈(410)이 유성기어열(430’)을 구성하는 유성기어캐리어(431)와 선 기어(434)를 선택적으로 상호 교번하면서 입력 구동과 정지를 수행하도록 하고 링기어(432)를 통해 하나의 출력구동을 하게 하는 특징에 더하여 잡아당겨진 볼 체인(미도시)이나 회전줄(미도시)이 복귀되는 점이 다르므로 ‘U’자형 루프 볼 체인(미도시)이나 회전줄(미도시) 대신에 루프형태가 아닌 일자형 볼 체인(미도시)이나 회전줄(미도시) 혹은 양단이 쉽게 분리되는 볼 체인(미도시)이나 회전줄(미도시)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U’자형 루프 볼 체인(미도시)이나 회전줄(미도시)에 의한 어린이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과 관련되어 참조되어지는 구동휠 부재의 복귀 기능을 갖는 차양구동장치(400b) 역시, 차양의 구동에 있어 수동과 전동의 구동이 상호간에 순차적으로 방해 없이 교번 혹은 동시에 수행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어느 한 측이 고장이 나더라도 정지된 상태를 유지되는 한 작동될 수 있으며, 종래 수동 작동의 장점과 전동 작동의 장점을 고스란히 누릴 수 있는 효과에 더하여 어린이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부재번호 (430')는 유성기어열이며, 부재번호 (452')는 제3 픽업부재이며, 부재번호 (452'a)는 제3 픽업부재의 함몰턱이며, 부재번호 (431b1)은 제2 유성기어 캐리어의 결합부이다.
(제1 실시예)
이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양구동장치의 구동휠 안전줄 어셈블리에 대하여 도 11 및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어린이 보호를 위한 휠 안전줄 어셈블리를 적용한 본 발명과 관련된 구동휠 부재의 복귀 기능을 갖는 차양구동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어린이 보호를 위한 휠 안전줄 어셈블리를 적용한 본 발명과 관련된 구동휠 부재의 복귀 기능을 갖는 차양구동장치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11 및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어린이 보호를 위한 휠 안전줄 어셈블리(416a)가 적용된 본 발명 관련 구동휠 부재의 복귀 기능을 갖는 차양구동장치(400m)는 상기 구동휠 부재의 복귀 기능을 갖는 차양구동장치(400b)에 본 발명 제 1 실시예의 어린이 보호를 위한 휠 안전줄 어셈블리(416a)를 더 포함하여 구비되는 점이 상기 구동휠 부재의 복귀 기능을 갖는 차양구동장치(400b)과 다르다. 이에 따라 동일한 부재번호는 그대로 사용하기로 하며, 이를 제외한 나머지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상기 구동휠 부재의 복귀 기능을 갖는 차양구동장치(400b)를 참조하면 되므로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 제 1 실시예에 따른 어린이 보호를 위한 휠 안전줄 어셈블리(416a)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동풀리(415a)를 구동하는 회전줄 부재(416a1);, 일 측 끝단이 벽면이나 차양의 끝단 또는 본 발명으로 참조되어지는 차양구동장치(400a,400b) 내지 차양용 입력구동모듈(4a, 도 2참조)에 결합되며 상기 회전줄 부재(416a1)가 일 측 끝단 내부로 삽입되며 타 끝단은 폐쇄되어 외부로부터 커버시켜 어린이가 아예 회전줄 부재(416a1)에 직접적으로 접근하지 못하도록 구비되고 신축 및 신장을 통해 회전줄 부재(416a1)를 구동시키는 안전커버부재(416a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줄 부재(416a1)는 수동풀리(415a)에 끼워지고 전체 혹은 일부가 볼 체인이나 수동줄로 마련되어‘U’자형 루프 형상 또는 ‘U’자형 루프 형상이되 소정 힘이 가해지면 분리되도록 형성되거나 또는 양 끝단이 분리된 것 또는 2 개로 구성되는 것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가지로 구비되는 회전줄(416a1a);, 상기 회전줄(416a1a)을 하단으로 잡아당기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줄 하중부재(416a1b);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회전줄(416a1a)이 ‘U’자형 루프 형상 또는 ‘U’자형 루프 형상이되 소정 힘이 가해지면 분리되도록 형성될 경우 상기 회전줄 하중부재(416a1b)는 회전줄(416a1a)의 하방 끝단에서 회전줄(416a1a)이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회전줄(416a1a)에 사용자의 파지외력이 작용하지 않으면 중력으로 회전줄(416a1a)을 하측 방향으로 끌어당기도록 구비되고, 양 끝단이 분리되거나 혹은 2개로 구비되는 회전줄(416a1a)로 형성될 경우 회전줄 하중부재(416a1b)는 분리된 끝단 각각에 구비되어 회전줄(416a1a)에 사용자의 파지외력이 작용하지 않으면 회전줄(416a1a)을 중력으로 하측 방향 잡아당기도록 구비되는데, 본 발명 제 1실시예에서는 회전줄(416a1a)이 ‘U’자형 루프 형상으로 구비하며, 회전줄 하중부재(416a1b)는 회전줄(416a1a)의 하방 끝단에서 회전줄(416a1a)이 회동 가능하며 그 무게에 의한 중력으로 회전줄(416a1a)을 하측 방향으로 끌어당기도록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줄 하중부재(416a1b)는 상기 회전줄(416a1a)이 ‘U’자형 루프 형상 또는 ‘U’자형 루프 형상이되 소정 힘이 가해지면 분리되도록 형성될 경우 회전줄(416a1a)의 하방 끝단에서 회전줄(416a1a)을 더욱 용이하게 회동 가능하게 하는 회전줄웨이트롤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본 발명 제 1실시예에서는 회전줄웨이트롤러(미도시)를 포함하지 않는다.
한편, 상기 안전커버부재(416a2)는 일 측 끝단이 개구되고 타단은 막혀 있는 기다란 소정 길이의 중공형상이고 상기 회전줄 부재(416a1)의 하방 끝단이 그 일 측 끝단 개구부를 통하여 중공 내부로 삽입되어지며 상기 회전줄 부재(416a1)의 회전줄(416a1a)이 그 일 측 끝단 개구를 통해 자유롭게 드나들되 그 일 측 끝단 개구부는 벽면 또는 차양의 끝단에 단단히 고정되며 타 측은 막혀 있고 하측 방향으로 소정길이 내려지되 그 내부에서 인출 및 수납에 방해 없도록 상기 회전줄 부재(416a1)가 늘어져 위치되도록 완전히 감싸며 그 일부를 잡아당기면 소정길이 전체적 혹은 부분적으로 늘어나고 놓으면 원래의 길이로 복귀하는 탄성커버(416a2a) 혹은 가요성 소재로 제작되어 내부의 회전줄(416a1a)을 감싼 상태로 파지하여 상승시키면 신축시킬 수 있고 잡아당기면 신장하는 천 혹은 시트 등으로 제작된 가요성커버(미도시)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가지로 형성되며, 상기 탄성커버(416a2a) 혹은 가요성커버(미도시)의 하측 끝단에 결합되어 중력으로 하측 방향으로 끌어당기도록 구비되는 안전커버하중부재(416a2e);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일 측 끝단이 벽면이나 차양의 끝단 또는 본 발명으로 참조되어지는 차양구동장치(400a,400b) 내지 차양용 입력구동모듈(4a, 도 2참조)에 결합되는 커버고정부재(416a2b)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내부로 통과하는 회전줄 부재(416a1)의 회전줄(416a1a) 일부를 선택적으로 파지하는 회전줄파지부재(416a2c)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 제 1 실시예에서는 커버고정부재(416a2b), 회전줄파지부재(416a2c)를 더 포함하여 구비한다.
뿐 만 아니라, 상기 탄성커버(416a2a)는, 길이 및 폭 방향으로 충분한 변형성을 가지고 있거나 및/또는 주름질 수 있는 특성을 가지며, 상기 탄성커버(416a2a)의 외측에서 상기 탄성커버를 감싼 상태에서 상기 회전줄의 일측을 파지할 수 있으면, 어느 소재라도 족하다. 즉, 상기 탄성커버(416a2a)는 사용자가 파지하는 상측만 탄성을 갖도록 (혹은 상측만 주름지도록 혹은 상측만 길이 및 폭방향으로 충분한 변형성을 갖도록) 되어도 되며, 안전커버하중부재(416a2e)외의 사이에 결합되고 얇은 천 등 가요성부재로 마련되어(특별히 늘어지는 탄성커버(416a2a)와 같이 탄력적으로 늘어나는 소재도 무방하나 반드시 탄력적으로 늘어날 필요는 없음) 상기 회전줄 부재(416a1)가 늘어져 그 내부에 위치되도록 완전히 감싸는 하단안전커버(416a2d)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역시 상기 가요성커버(미도시)도 안전커버하중부재(416a2e)와의 사이에 결합되고 탄성소재로 마련되어( 가요성소재와 같이 주름져서 신축 혹은 신장되는 소재도 가능) 상기 회전줄 부재(416a1)가 늘어져 그 내부에 위치되도록 완전히 감싸는 하단안전커버(416a2d)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 제 1 실시예에서는 상기 탄성커버(416a2a)에 하단안전커버(416a2d)를 더 포함하여 구비한다.
또한, 상기 탄성커버(416a2a)는 탄력적으로 소정길이 늘어났다가 복원되는 소재이면 어느 것이나 사용 가능하며 통상적으로는 천에 고무줄을 일정 간격으로 바느질한 스모깅 혹은 코메즈라 통칭되는 망사형 고무밴드, 망사천, 스판덱스 천 등이 바람직하며, 가요성커버(미도시)는 통상적인 천이나 시트 등이 바람직하며 투명한 실리콘 혹은 고무소재나 폴리우레탄 등 가요성 소재이면 모두 가능하고 천공되어 있거나 성기게 직조되어 있어 내부의 회전줄(416a1a)이 식별가능하면 더욱 바람직하고 본 제 1실시예에서는 얇은 망사형 스판 천으로 구비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안전커버하중부재(416a2e)는 회전줄 부재(416a1)의 회전줄 하중부재(416a1b)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결합할 수 있으며, 상기 회전줄 부재(416a1)의 회전줄 하중부재(416a1b) 역시 안전커버하중부재(416a2e)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결합할 수 있는데, 본 발명 제 1 실시예에서는 각각 별도로 구비한다.
다만, 본 제1 실시예에서는 차양구동장치가 반드시 양방향성 구동휠일 필요는 없고 수동의 단방향성 구동휠이어도 되며, 상기 탄성커버(416a2a)가 길이 및 폭 방향으로 충분한 변형성을 가지고 있어 상기 탄성커버(416a2a)의 외측에서 상기 회전줄의 일측을 파지할 수 있으면 상기 회전줄파지부재(416a2c)는 없어도 되며, 상기 탄성커버(416a2a)는 사용자가 파지하는 상측만 탄성을 갖도록 (혹은 상측만 주름지도록 혹은 상측만 길이 및 폭방향으로 충분한 변형성을 갖도록) 되어도 되며, 상기 조건이 허락되면 하단안전커버(416a2d)를 구비하지 않더라도 상관없다. 또한, 부재번호 (416a2f)는 좌우 회전줄이 꼬이지 않도록 하면서 파지시 파지가 용이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하지만, 역시 회전줄이 회전축하중부재(416a1b)에 의해 상기 탄성커버 내에서 꼬이지 않도록 되며 상기 탄성커버(416a2a)가 길이 및 폭 방향으로 충분한 변형성을 가지고 있어 상기 탄성커버(416a2a)의 외측에서 상기 회전줄의 일측을 파지할 수 있으면,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이하, 이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 제 1 실시예에 따른 어린이 보호를 위한 휠 안전줄 어셈블리(416a)의 작동 관계를 도 11 및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사용자가 상기 안전커버부재(416a2)의 회전줄파지부재(416a2c)를 잡을 때 선택하여 잡아당기고자 하는 상기 회전줄 부재(416a1)의 회전줄(416a1a)만을 잡고 하방으로 잡아당기면(타측 회전줄(416a1a)은 파지하지 않음), 벽면 또는 차양의 끝단에 단단히 고정시키는 커버고정부재(416a2b)에 일 측 끝단이 고정된 상기 탄성커버(416a2a)는 늘어남과 동시에 그 개구부에서 자유롭게 수납되는 잡힌 회전줄(416a1a)이 하방으로 당겨지고 이는 연속하여 타단의 회전줄(416a1a)로 하여금 인출되어 위로 상승하게 하며 수동풀리(415a)를 감아 돌아 수동풀리(415a)를 구동함과 동시에, 하방으로 잡아당겨진 회전줄(416a1a)이 회전줄 하중부재(416a1b)를 타고 돌아 타측으로 회동되어 공급되도록 하는데, 이때 회전줄 하중부재(416a1b)는 회전줄(416a1a) 전체를 타측 끝단에서 중력으로 하방으로 잡아당기므로 최초 위치에서 회전줄(416a1a) 전체가 돌면서 차양을 구동하게 되며, 탄성커버(416a2a)와 안전커버하중부재(416a2e) 사이에 구비된 하단안전커버(416a2d)는 회전줄파지부재(416a2c)가 탄성커버(416a2a)의 늘어남 길이만큼 하강함에 따라 안전커버하중부재(416a2e)에 의해 중력의 힘으로 상기 회전줄 부재(416a1)를 감싼 채로 외부에서 하방으로 스르륵 하강하게 된다.
이어서, 사용자가 잡아당긴 회전줄파지부재(416a2c)를 놓으면, 상기 구동휠 부재의 복귀 기능을 갖는 차양구동장치(400b)의 일 구성인 상기 양방향 구동 클러치(415b)의 역회전수단(415d)에 의해 당겨진 회전줄(416a1a)이 역으로 상승하게 되고, 탄성으로 늘어난 탄성커버(416a2a)도 원위치하면서 회전줄 부재(416a1)에 영향을 주지 않고 교차로 미끄러지게 하면서 상승하게 되고, 하단안전커버(416a2d) 및 안전커버하중부재(416a2e) 그리고 회전줄파지부재(416a2c) 역시 회전줄 부재(416a1)에 방해 받지 않고(교차로 미끄러지면서) 탄성커버(416a2a)를 따라 스르륵 상승하게 되며, 회전줄(416a1a)의 타단은 회전줄 하중부재(416a1b)에 의해 하방으로 당겨져 최초 위치로 원위치 하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이 과정을 반복하여 차양을 걷거나 내리게 되는 것으로, 탄성으로 늘어난 탄성커버(416a2a)가 원위치하면서 그 내부에 위치한 회전줄 부재(416a1)에 영향을 주지 않고 상승하도록(교차로 미끄러지면서) 회전줄 하중부재(416a1b)가 적절한 하중으로 회전줄(416a1a)을 하방 역방향으로 당겨주는 원리를 이용하는 것이다.
그리고 사용자가 잡아당긴 회전줄파지부재(416a2c)을 놓지 않고 잡은 채로 잡아당기는 힘을 멈추고 상승시키면 역시 상기 구동휠 부재의 복귀 기능을 갖는 차양구동장치(400b)의 일 구성인 상기 양방향 구동 클러치(415b)의 역회전수단(415d)에 의해 당겨진 회전줄(416a1a)이 역으로 상승하게 되고, 탄성으로 늘어난 탄성커버(416a2a)도 원위치하면서 회전줄 부재(416a1)에 영향을 주지 않고 교차로 미끄러지게 하면서 상승하게 되고, 하단안전커버(416a2d) 및 안전커버하중부재(416a2e) 그리고 회전줄파지부재(416a2c) 역시 회전줄 부재(416a1)에 방해 받지 않고(교차로 미끄러지면서) 탄성커버(416a2a)를 따라 스르륵 상승하게 되며, 회전줄(416a1a)의 타단은 회전줄 하중부재(416a1b)에 의해 하방으로 당겨져 최초 위치로 원위치 하게 된다.
한편, 탄성커버(416a2a) 대신에 가요성커버(미도시)로 구비되면, 작동 방법을 달리할 수 있는데, 가요성커버(미도시)의 경우 잡아당기고자 하는 회전줄(416a1a)을 가까이에서 가요성커버(미도시)를 잡은 상태로 스르륵 상방향으로 가요성커버(미도시)를 밀면 주름지게 신축되고 동시에 가요성커버(미도시)의 끝단도 따라 상승하거나 신장되며 역시 사용자의 손이 상승한 상태에서 회전줄(416a1a)과 가요성커버(미도시)를 동시에 잡고 하방으로 당기면 신축된 가요성커버(미도시)는 신장함과 동시에 회전줄(416a1a)이 당겨지면서 차양을 구동하며 이 과정을 반복하여 차양을 구동한다.
이와 같은 탄성커버(416a2a) 혹은 가요성커버(미도시)를 통한 상술한 차양 작동방법도 본 제 1실시에 포함되며, 이는 상기 구동휠 부재의 복귀 기능을 갖는 차양구동장치(400b)에 양 끝단이 분리된 수동줄 뿐만 아니라 소정 힘이 가해지는 ‘U’자형 루프 형상 수동줄 또는 심지어 ‘U’자형 루프 형상 수동줄을 사용하여도 어린이 안전을 보장하면서 수동줄이 복귀기능을 갖도록 작동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종래의 스토퍼가 형성된 양 끝단이 분리된 수동줄을 사용하는 어린이 보호를 위한 차양구동방식과도 확연히 다른데, 역회전 할 때에 발생하는 양 끝단이 분리된 수동줄을 이용하는 차양의 문제점과 ‘U’자형 루프 형상 수동줄에 의한 어린이 안전 위해요인을 한꺼번에 해결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회전줄파지부재(416a2c)외에도 손에 닿는 적절한 위치에서 탄성커버(416a2a) 혹은 가요성커버(미도시)의 외부면을 통하여 선택하여 당기고자 하는 상기 회전줄 부재(416a1)의 회전줄(416a1a)을 잡고 하방으로 잡아당길 수 있는데, 이 또한 회전줄파지부재(416a2c)와 동일한 원리로 작동하게 됨은 주지의 사실이다.
아울러, 본 발명 제 1실시예에 따른 어린이 보호를 위한 휠 안전줄 어셈블리(416a)은 회전줄(416a1a)이 역회전되지 않는다하더라도 정상적으로 구동되는데 그 이유는 사용자가 잡아당긴 줄을 놓을 때에는 회전줄 하중부재(416a1b)에 의해 추가로 역회전 된 회전줄(416a1a)을 하방으로 당겨질 필요가 없기 때문이며 다만, 다시 구동하기 위해서는 종래 ‘U’자형 루프 형상 수동줄의 구동 방법과 같이 다시 회전줄(416a1a)을 파지하여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 제 1 실시예에 따른 어린이 보호를 위한 휠 안전줄 어셈블리(416a)는 다양한 변형 예가 가능한데, 어린이 보호를 위한 휠 안전줄 어셈블리(416a) 하단을 벽면 등에 분리 고정시키고 사용하는 등, 이외에도 다양한 변형예가 있을 수 있으며 이들 모두는 모두 본 발명의 변형 예에 불과하다고 할 것이다.
예컨대, 이와 같은 본 발명 제 1실시예에 따른 어린이 보호를 위한 휠 안전줄 어셈블리(416a)은 작동관계가 매우 조용하며, 제작도 매우 용이하고 무엇보다도 심미적이고, 회전줄(416a1a)을 외부에서 완전히 감싸므로 어린이가 접근하더라도 목에 끼이는 원인을 원천 제거하는 것이어서 매우 안전하며, 컴팩트하고 제조비용 또한 저렴한 효과가 있다.
(제1 실시예의 변형예)
이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차양구동장치의 구동휠 안전줄 어셈블리에 대하여 상기 도 11 및 도 14 그리고 도 17 내지 도 2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어린이 보호를 위한 휠 안전줄 어셈블리를 적용한 본 발명과 관련된 구동휠 부재의 복귀 기능을 갖는 차양구동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18은 도 17의 변형예에 사용되는 구동휠 부재의 복귀 기능을 갖는 차양구동장치의 구동휠 안전줄 어셈블리에 사용되는 커버의 상세도이며, 도 19는 도 17의 변형예에 사용되는 구동휠 부재의 복귀 기능을 갖는 차양구동장치의 구동휠 안전줄 어셈블리에 사용되는 커버의 분리사시이며, 도 20 및 도 21은 도 17의 변형예에 사용되는 구동휠 부재의 복귀 기능을 갖는 차양구동장치의 구동휠 안전줄 어셈블리에 사용되는 커버의 실제 사진이다.
도 17 내지 도 19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변형예에 따른 구동휠 복귀 기능을 갖는 차양구동장치(400m)의 구동휠 안전줄 어셈블리는, 도 8 내지 도 9b의 구동부재(415')를 갖는 브라?에 일체로 형성되는 몸체를 갖는 제2 캡부재(413‘b)와, 제2 캡부재(413‘b)에 결합되며 일 측에 소정 깊이의 개구부가 형성된 제1 캡부재(413‘a)에 있어, 제2 캡부재(413‘b)나 제1 캡부재(413‘a)의 어느 일측 하단에 걸이부(413'a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걸이부에 본 발명의 구동휠 안전줄 어셈블리의 커버 부재가 착탈가능하게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통상의 ‘U’자형 루프 형상의 회전줄(416a1a)이 상하방향으로의 신축성을 갖는 기다란 형태의 커버(416a2a)에 내장되며, 다만 상기 회전줄(416a1a)이 커버(416a2a)의 내부에서 인출 및 인입이 용이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하기 위하여, 상기 커버의 상단에는 육상트랙 형상의 고리(416a2j)가 결합되어진다. 상기 고리의 일부는 상기 캡부재(413‘) 하단의 걸이부(413'a1)에 접속가능하도록 갈고리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회전줄(416a1a)의 하단에는 역시 회전줄을 연직 하방으로 늘어뜨리기 위한 회전줄 하중부재(416a1b)가 회전줄을 따라 슬라이딩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커버(416a2a)는 씨줄과 날줄로 직조되는 기다란 원통형의 직물지인바, 이때 상기 씨줄은 신축가능한 재질(일례로 고무줄)로서 이루어지도록 한다 (도 18 참조). 그리하여, 상기 커버(416a2a)의 일측을 파지하면서 상기 회전줄(416a1a)의 일측을 하측으로 잡아당기면, 상기 커버가 하방으로 늘어나면서 상기 회전줄(416a1a)을 하방으로 잡아당겨, 결국 상기 차양구동장치(400m)를 통해 상기 수동드라이버(414)를 구동하게 되며, 상기 커버(416a2a)를 놓으면 상기 회전줄(416a1a)의 일측을 하측으로 잡아당기면, 상기 커버가 하방으로 늘어나면서 상기 회전줄(416a1a)을 하방으로 잡아당겨, 결국 상기 차양구동장치(400m)를 통해 상기 수동드라이버(414)를 구동하게 되며, 하방으로 당겨진 회전줄(416a1a)은 상기 양방향 구동 클러치(415b)의 역회전수단(415d)에 의해 역방향으로 상승하게 되고, 아울러 탄성으로 늘어난 탄성커버(416a2a)도 원위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 회전줄(416a1a) 및 탄성커버(416a2a)가 원할하게 원위치하기 위해서는, 상기 회전줄(416a1a)의 하방 끝단에서 회전줄(416a1a)이 회동 가능하며 그 무게에 의한 중력으로 회전줄(416a1a)을 하측 방향으로 끌어당기도록 마련되는 회전줄 하중부재(416a1b) 및 상기 탄성커버(416a2a)를 하방으로 어느 정도 잡아당기는 커버 하중부재(416a2g)가 구비되는 것이 좋다. 다만, 상기 커버 하중부재(416a2g)는, 상기 탄성커버(416a2a)가 어느 정도의 자중을 지니거나 강직도를 갖고 있어, 커버의 직립도가 유지될 수 있다면 생략 가능하다.
이제, 특히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하여, 상기 탄성커버(416a2a)의 분리 및 재결합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탄성커버(416a2a)가 상기 캡부재(413‘) 하단의 걸이부(413'a1)에 접속된 상태에서 사용을 하다가, 세탁이나 교체 혹은 수리를 목적으로 커버를 분리하고자 할 경우, 먼저, 클립(416a2h)을 벗겨서 상기 커버 하중부재(416a2g)를 커버로부터 분리시킨 다음, 상기 커버 하단 개구를 통해 하방으로 회전줄 하중부재(416a1b)를 꺼낸 후, 통상적인 방식으로 회전줄로부터 상기 회전줄 하중부재(416a1b)를 분리시킨다. 이후, 상기 회전줄을 상기 커버의 상단 고리(416a2j) 외측으로 꺼내어 분리한다.
다만, 상기 회전줄 하중부재(416a1b)의 크기가 충분히 작거나 상기 커버의 상단 고리(416a2j)가 충분히 커서 회전줄 하중부재가 상단 고리를 통과할 수 잇을 정도면, 굳이 상기 회전줄 하중부재를 분리하지 않고 상기 커버의 상측으로 직접 꺼내어 분리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상기 커버의 하단이 개방되지 않고 상단만 개방되는 형태여도 된다.
다음, 상측 클립(416a2i)을 벗겨서 커버로부터 분리한 다음, 1회 이상 접혀 있던 커버의 상단을 풀어제쳐서 상기 상단 고리(416a2j)로부터 커버 본체를 분리하면 된다. 역시, 재결합은 이와 역순으로 하면 된다.
따라서, 본 변형예의 탄성 커버에 의하면, 차양구동장치로부터 매우 손쉽게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하다는 추가적인 장점이 있다.
(제2 실시예)
이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양구동장치의 구동휠 안전줄 어셈블리에 대하여 도 12 및 도 13 그리고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어린이 보호를 위한 휠 안전줄 어셈블리를 적용한 본 발명과 관련된 구동휠 부재의 복귀 기능을 갖는 차양구동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13은 제2 실시예의 어린이 보호를 위한 휠 안전줄 어셈블리의 일 구성인 연장회전줄태옆손잡이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어린이 보호를 위한 휠 안전줄 어셈블리를 적용한 본 발명과 관련된 구동휠 부재의 복귀 기능을 갖는 차양구동장치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어린이 보호를 위한 휠 안전줄 어셈블리의 일 구성인 연장회전줄태옆손잡이의 단면도이다.
도 12 및 도 13 그리고 도 15 및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어린이 보호를 위한 휠 안전줄 어셈블리(416b)가 적용된 본 발명 관련 구동휠 부재의 복귀 기능을 갖는 차양구동장치(400n)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어린이 보호를 위한 휠 안전줄 어셈블리(416b)를 더 포함하여 구비되는 점이 상기 구동휠 부재의 복귀 기능을 갖는 차양구동장치(400b)과 양 끝단이 분리된 회전줄(416a1a’)을 더 포함하여 사용하는 점이 다르며,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어린이 보호를 위한 휠 안전줄 어셈블리(416a)과도 다르다. 본 발명 제 2실시예는 당업자에게 양 끝단이 분리된 회전줄(416a1a’)을 사용한 양방향 구동 클러치(415b)에 역회전수단(415d)을 구비하도록 한 차양구동장치의 문제점 해결을 위해 본 발명이 매우 유용한 하다는 것을 자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따라 동일한 부재번호는 그대로 사용하기로 하며, 이를 제외한 나머지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상기 구동휠 부재의 복귀 기능을 갖는 차양구동장치(400b) 및 본 발명 제1 실시예를 참조하면 되므로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 제 2 실시예에 따른 어린이 보호를 위한 휠 안전줄 어셈블리(416b)는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동풀리(415a)를 구동하는 양 끝단이 분리된 회전줄(416a1a’);, 상기 회전줄에 결합되는 연장회전줄태옆손잡이(416b2);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일 측 끝단이 벽면 또는 차양의 끝단에 고정되며 상기 회전줄(416a1a’)가 내부로 삽입되어 외부로부터 커버시켜 어린이가 아예 양 끝단이 분리된 회전줄(416a1a’)에 직접적으로 접근하지 못하도록 구비되고 신축 및 신장을 통해 연장회전줄태옆손잡이(416b2)를 단순 보조하는 안전커버부재(416b3);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본 제 2실시예에서는 이를 포함하여 구비한다.
또한, 상기 연장회전줄태옆손잡이(416b2)는 2개가 쌍으로 결합되거나 혹은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분리되어 구비되는 연장회전줄태옆(416b2a’,416b2a“);, 상기 연장회전줄태옆(416b2a’,416b2a“)을 제어하는 태옆제동스위치(416b2b);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연장회전줄태옆(416b2a’,416b2a“) 각각은 태옆(416b2a1);, 상부와 하부로 분리되고 하부에는 고정핀이 형성된 권취드럼(416b2a2);, 상기 권취드럼(416b2a2)에 수납되고 원통형상이고 일 측 단 내주면에 소정 깊이의 태옆(416b2a1) 수용 홈이 형성되고 타단의 외주면에 로프 결합구를 가진 태옆보빈(416b2a3);, 태옆보빈(416b2a3)의 로프 결합구에 일 측 끝단이 결합되고 타 측 끝단은 상기 권취드럼(416b2a2) 밖으로 인출되는 복귀용 로프(416b2a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태옆제동스위치(416b2b)는 연장회전줄태옆(416b2a’,416b2a“) 각각에 하나씩 형성되는 독립형이거나 상기 연장회전줄태옆(416b2a’,416b2a“) 2 개를 선택적으로 동시에 제동 혹은 정지시키는 토글형일 수 있고, 연장회전줄태옆(416b2a’,416b2a“) 및 태옆제동스위치(416b2b) 각각 혹은 모두를 수납하는 적어도 하나의 파지부재(416b2b1)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파지부재(416b2b1)가 2개로 분리될 경우 이들을 상호간 결합내지 분리시키거나 벽면 혹은 창호에 부착 가능한 파지결합부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연장회전줄태옆(416b2a’,416b2a“)에도 이들을 상호간 결합내지 분리시키거나 벽면 혹은 창호에 부착 가능한 고정결합부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본 제 2실시예에서는 연장회전줄태옆(416b2a’,416b2a“)의 복귀용 로프(416b2a4)가 양 끝단이 분리된 회전줄(416a1a’)에 각각 결합되어 구비되며, 태옆제동스위치(416b2b)가 연장회전줄태옆(416b2a’,416b2a“) 각각에 구비되고, 파지부재(416b2b1)를 더 포함하여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안전커버부재(416b3)는 본 발명 제 1 실시예에 따른 어린이 보호를 위한 휠 안전줄 어셈블리(416a)와 마찬가지로 일 측 끝단이 벽면 또는 차양의 끝단에 고정되며 양 끝이 분리된 상기 회전줄(416a1a’)가 내부로 삽입되어 외부로부터 커버시켜 어린이가 아예 (416a1a’)에 직접적으로 접근하지 못하도록 구비되어, 회전줄(416a1a’)을 구동하지는 않으나 회전줄(416a1a’)을 어린이로부터 안전하게 커버하고 단지 신축 신장을 반복하도록 타 끝단이 연장회전줄태옆손잡이(416b2)에도 결합되도록 구비되거나(도 12의 a 참조) 또는 양 끝단 모두 혹은 일 측 끝단을 하나만 고정시키거나 또는 양 끝단 모두를 고정시키지 않되(도 12의 b 참조), 상기 회전줄(416a1a’)가 내부로 삽입되어 외부로부터 커버시켜 어린이가 아예 회전줄 부재(416a1)에 직접적으로 접근하지 못하도록 제한적으로 구비되는 것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가지이며, 본 발명 제 2실시예에서는 일 측 끝단이 차양의 끝단에 고정시키며 타단은 상기 파지부재(416b2b1)의 상단에 결합되어지며 상기 회전줄(416a1a’)이 내부로 삽입되어 외부로부터 커버시켜 어린이가 아예 회전줄 부재(416a1)에 직접적으로 접근하지 못하도록 구비된다.
이때, 상기 안전커버부재(416b3)는 일 측 끝단을 차양의 끝단에 고정시키거나, 타단을 상기 파지부재(416b2b1)의 상단에 결합하는 결합부재(416b3a)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본 제 2실시예에서는 이를 더 포함하여 구비한다.
참고로, 상기 연장회전줄태엽손잡이(416b2) 혹은 일측 연장회전줄태엽(416b2a', 416b2a")는 자석이나 기타 방식에 의해 벽에 고정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이하, 이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 제 2 실시예에 따른 어린이 보호를 위한 휠 안전줄 어셈블리(416b)의 작동 관계를 도 12, 도 13,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사용자가 연장회전줄태옆손잡이(416b2)를 잡고 일체로 형성된 연장회전줄태옆(416b2a’,416b2a“)에 구비된 태옆제동스위치(416b2b) 중 선택된 일측 연장회전줄태엽(416b2a')의 태옆제동스위치를 누른 상태에서 (즉, 선택된 일 태옆(416b2a1)의 작동을 정지시킨 채) 하방으로 잡아당기면(스크린이나 슬랫을 걷기 위해 상승시킬 때), 태엽보빈(416b2a3)의 고정봉(416b2a3')과 태옆제동스위치(416b2b)의 고정홈이 맞물린 상태에서 (회전은 불가하나 슬라이딩은 가능함) 태옆제동스위치(416b2b)의 돌기(416b2b')가 상기 권취드럼(416b2a2)의 결착홈(416b2a2')으로 결착되어 결국 상기 태옆보빈(416b2a3)에 대한 권취드럼(416b2a2)의 상대 회전이 금지되어, 복귀용 로프(416b2a4)가 태옆보빈(416b2a3)으로부터 권해되지 않으므로 그에 연결된 회전줄(416a1a’)의 일 측 끝단이 잡아당겨지게 되고 이는 회전줄(416a1a’)이 수동풀리(415a)를 감아 돌아 수동풀리(415a)를 구동함과 동시에 상기 안전커버부재(416b3)를 신장시키고 또, 동시에 회전줄(416a1a’) 타측 끝단을 상승하게 하며, 태옆제동스위치(416b2b)가 눌러지지 않은 타측 태옆(416b2a1)도 작동되게 함과 동시에 그 힘을 태옆에 비축하면서 회전줄(416a1a’) 타측 끝단에 연결된 복귀용 로프(416b2a4)를 태옆보빈(416b2a3)을 권해하여 그에 연결된 회전줄(416a1a’) 타측 끝단이 상승하게 하여 차양을 구동시킨다.
이 경우, 타측 연장회전줄태엽(416b2a")의 태옆제동스위치는 누르지 않은 상태이므로, 도 1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태옆제동스위치(416b2b)의 돌기(416b2b')가 상기 권취드럼(416b2a2)의 결착홈(416b2a2')으로 벗어나 있어 상기 태옆보빈(416b2a3)에 대한 권취드럼(416b2a2)의 상대 회전이 자유로우므로, 복귀용 로프(416b2a4)가 태옆보빈(416b2a3)으로부터 권해되면서 그에 연결된 회전줄(416a1a’)이 수동풀리(415a)를 감아 돌아 수동풀리(415a)를 구동함과 동시에 복귀용 로프(416b2a4)가 풀리면서 태옆보빈(416b2a3)을 회전시키는바, 일측 끝단(416b2a1')이 상기 고정봉(416b2a3')에 고정되며 타측은 태엽보빈에 고정된 태엽(416b2a1)을 감아서 탄성에너지를 비축하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잡아당긴 연장회전줄태옆손잡이(416b2)을 놓으면, 양방향 구동 클러치(415b)에 역회전수단(415d)이 상기 잡아당겨진 회전줄(416a1a’)을 역회전시킴과 동시에, 타측 연장회전줄태엽(416b2a")을 들어올려 결국 안전커버부재(416b3)가 자체적으로 신축되며, 이때 타측 태옆(416b2a1)은 비축된 힘으로 복귀용 로프(416b2a4)를 태옆보빈(416b2a3)에 역으로 권취하여 사용자가 다시 당길 수 있도록 원위치 시킨다. 이때 일측 연장회전줄태엽(416b2a')의 압축스프링(416b2c)에 의해 태옆제동스위치(416b2b)의 누름이 해제되나, 상기 일측 연장회전줄태엽(416b2a')의 태엽(416b2a1)은 탄성에너지를 저장하고 있지 않으므로 회전줄(416a1a')을 잡아당기지 않고 회전줄에 끌려 상승하게 될 뿐이다.
바람직하게는 사용자는 잡아당긴 연장회전줄태옆손잡이(416b2)을 잡은 채로 태옆제동스위치(416b2b)의 누름만을 해제하고 동시에 잡아당기는 손을 위로 올려 안전커버부재(416b3)를 신축시켜도 동일한 원리로 잡아당겨진 회전줄(416a1a’)을 다음 차양구동을 위해 다시 당길 수 있도록 본 발명 제 2 실시예에 따른 어린이 보호를 위한 휠 안전줄 어셈블리(416b) 자체를 원위치 시킬 수 있다.
아울러, 타측 방향으로 차양을 구동할 때(스크린이나 슬랫을 하강시킬 때)는 연장회전줄태옆(416b2a’,416b2a“)을 상술한 대로 구동하는 것으로 이는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어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 제 2 실시예에 따른 어린이 보호를 위한 휠 안전줄 어셈블리(416b)는 다양한 변형 예가 가능한데, 어린이 보호를 위한 휠 안전줄 어셈블리(416b) 하단을 벽면 등에 분리 고정시키고 사용하거나, 두 개의 분리된 연장회전줄태옆(416b2a’,416b2a“)을 벽면 등에 각각 고정하고 그 중하나를 취하여 구동할 수 있는 등, 이외에도 다양한 변형예가 있을 수 있으며 이들 모두는 모두 본 발명의 변형 예에 불과하다고 할 것이다.
예컨대, 이와 같은 본 발명 제 2 실시예에 따른 어린이 보호를 위한 휠 안전줄 어셈블리(416b)는 차양 구동시 출렁거리는 양 끝이 분리된 회전줄(416a1a’)이 근본적으로 태옆(416b2a1)과 사용자의 손으로 잡아당겨져서 출렁거리지 않도록 하며, 이를 통하여 회전줄(416a1a’)의 양 끝단도 안정적으로 구동회전 내지 역회전을 보장하도록 하므로 양 끝단의 꼬임이 근본적으로 방지되고 충돌에 따른 소음도 방지함은 물론이고, 어린이가 아예 접근하지 못하도록 하여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작동 관계가 간단하고 태옆의 적용이 가능하므로 매우 컴팩트 하며 제조비용 또한 저렴한 효과가 있다.
(제2 실시예의 변형예)
한편, 상기 제1 실시예의 변형예에서의 탄성커버(416a2a) 및 결합방식(413'a1, 416a2j)은, 제2 실시예에서의 안전커버부재(416b3)의 커버 및 상하 결합부재(416b3a) 대신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역시, 이 경우, 제2 실시예의 장점을 모두 지니면서, 사용자의 손떼에 가장 오염되기 쉬운 커버를 수시로 교체하거나 용이하게 세탁가능하다는 장점을 추가로 지니게 된다.
참고로, 상기 실시예들은, 상기 풀리를 어느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에는 같이 회전하나, 상기 일 방향으로 상기 풀리에 의해 함께 회전한 직후에 반대방향으로 자체적으로 회전할 경우에는 상기 풀리를 상기 차양 회전축과 독립적으로 회전하게 하는 양방향구동 클러치(415b)를 포함하는 것을 전제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양방향구동 클러치(415b)를 포함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회전줄을 사용자가 어느 일 방향으로 혹은 타 방향으로 계속해서 작동시키는 것도 가능하며 (다만, 이 경우에는 회전줄이 충분히 길거나, 혹은 중간에 매듭이 없어야 한다), 아울러 양방향 클러치를 사용할 경우에는 회전줄을 'U'자형 대신, '11'자 형으로 하여도 된다.
또한 상기 안전커버의 씨줄이나 날줄에 반드시 고무줄과 같은 탄성체를 포함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며, 상하 방향으로 어느 정도의 변형 및 복원이 가능한 스타킹이나 레깅스와 같은 재질의 커버도 적용 가능하며(도 21 참조), 혹은 상하 방향으로 어느 정도의 변형 및 복원이 가능한 주름관도 적용 가능하다.
아울러, 상기 회전줄 하중부재(416a1b)는, 회전줄 자체가 자중을 갖는 무거운 줄이거나 어느 정도 하중을 갖는 금속 볼체인의 경우에는, 생략가능하다. 특히, 양방향의 경우에는 줄의 복귀시에 흔들거림이 발생할 수 있어, 회전줄의 하측 부분은 하중이 높거나 회전줄의 볼의 크기가 클수록 유리하다.
더욱이, 상기 안전커버는 상하가 반드시 동일하게 이루어질 필요는 없고, 하측 부분은 볼체인의 볼이 커버의 직물의 틈 사이로 삐져나오지 않을 정도면 충분하도록 성기게 직조되어도 좋다.
이처럼, 앞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410 : 수동구동모듈 420 : 전동구동모듈
430 : 유성기어열 440 : 엔코더 장치
451 : 제1 픽업부재 452 : 제2 픽업부재
415b : 양방향구동 클러치 413'a : 캡부재
416a1a : 회전줄 416a1b : 회전줄 하중부재
416a2 : 안전커버부재 416a2a : 안전커버
416a2g : 커버 하중부재 416a2j : 고리

Claims (11)

  1. 직접 차양 회전축을 구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픽업부재와, 구동휠을 갖는 휠 구동부재를 포함하는 태엽 손잡이를 갖는 차양구동장치의 구동휠 안전줄 어셈블리로서,
    휠구동부재에 일체로 형성되는 풀리;
    상기 풀리를 회전시키는 외부로 인출되어 소정 길이만큼 하방으로 늘어뜨린 회전줄(416a1a');
    상기 풀리를 어느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에는 같이 회전하나, 상기 일 방향으로 상기 풀리에 의해 함께 회전한 직후에 반대방향으로 자체적으로 회전할 경우에는 상기 풀리를 상기 차양 회전축과 독립적으로 회전하게 하는 양방향구동 클러치(415b); 및
    상기 회전줄의 양 하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연장회전줄태엽손잡이(416b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엽 손잡이를 갖는 차양구동장치의 구동휠 안전줄 어셈블리.
  2. 직접 차양 회전축을 구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픽업부재와 구동휠을 갖는 휠 구동부재를 포함하는 회전줄에 의해 구동되는 태엽 손잡이를 갖는 차양구동장치의 구동휠 안전줄 어셈블리로서,
    상기 휠 구동부재를 어느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에는 같이 회전하나, 상기 일 방향으로 상기 휠 구동부재에 의해 함께 회전한 직후에 반대방향으로 자체적으로 회전할 경우에는 상기 휠 구동부재를 상기 차양 회전축과 독립적으로 회전하게 하는 양방향구동 클러치(415b); 및
    상기 회전줄의 양 하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연장회전줄태엽손잡이(416b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엽 손잡이를 갖는 차양구동장치의 구동휠 안전줄 어셈블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회전줄태엽손잡이(416b2)는, 상기 회전줄을 귄취하거나 권해하는 연장회전줄태옆(416b2a’,416b2a“)과, 상기 연장회전줄태옆(416b2a’,416b2a“)을 제어하는 태옆제동스위치(416b2b)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엽 손잡이를 갖는 차양구동장치의 구동휠 안전줄 어셈블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회전줄태옆(416b2a’,416b2a“)은, 태옆(416b2a1)과, 상부와 하부로 분리되고 하부에는 고정핀이 형성된 권취드럼(416b2a2)과, 상기 권취드럼(416b2a2)에 수납되고 일측에 태옆(416b2a1) 수용 홈이 형성되고 타단의 외주면에 로프 결합구를 가진 고정봉(416b2a3')을 갖는 태옆보빈(416b2a3)과, 태옆보빈(416b2a3)의 로프 결합구에 일 측 끝단이 결합되고 타 측 끝단은 상기 권취드럼(416b2a2) 밖으로 인출되는 복귀용 로프(416b2a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엽 손잡이를 갖는 차양구동장치의 구동휠 안전줄 어셈블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태옆제동스위치(416b2b)는, 돌기(416b2b')가 상기 권취드럼(416b2a2)의 결착홈(416b2a2')에 걸리면 회전이 정지되고, 상기 돌기(416b2b')가 상기 권취드럼(416b2a2)의 결착홈(416b2a2')으로 벗어나면 상기 태옆보빈(416b2a3)에 대한 권취드럼(416b2a2)의 상대 회전이 자유로워져서 권취 및 권해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엽 손잡이를 갖는 차양구동장치의 구동휠 안전줄 어셈블리.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줄을 감싸는 안전 커버 부재(416b3); 를 더 포함하며,
    상기 회전줄이 상기 안전 커버 부재(416b3) 내부로 삽입된 상태에서 슬라이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엽 손잡이를 갖는 차양구동장치의 구동휠 안전줄 어셈블리.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커버 부재(416b3)를 상기 차양구동장치의 캡부재(413'a)에 기구적으로 연결하여 주는 결합부재;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엽 손잡이를 갖는 차양구동장치의 구동휠 안전줄 어셈블리.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커버 부재(416b3)는, 적어도 상측 끝단이 개구된 기다란 소정 길이의 중공형상이고 상기 회전줄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상측 끝단 개구부를 통하여 중공 내부로 삽입되어지며 상기 회전줄이 상기 상측 끝단 개구부를 통해 자유롭게 드나들며, 적어도 일부를 잡아당기면 소정길이 전체적 혹은 부분적으로 늘어나고 놓으면 원래의 길이로 복귀하는 탄성커버 혹은 가요성커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엽 손잡이를 갖는 차양구동장치의 구동휠 안전줄 어셈블리.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커버 부재(416b3)는, 탄성을 갖는 세로방향의 씨줄과 이와 교차하도록 직조된 날줄로 이루어지는 직조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엽 손잡이를 갖는 차양구동장치의 구동휠 안전줄 어셈블리.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줄의 꼬임을 방지하는 수단;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엽 손잡이를 갖는 차양구동장치의 구동휠 안전줄 어셈블리.
  11.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회전줄태엽손잡이(416b2)를 감싸는 파지부재(416b2b1)를 더 포함하며, 상기 파지부재(416b2b1)가 결합된 상태에서 외부에서 상기 태엽제동스위치(416b2b)의 스위칭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엽 손잡이를 갖는 차양구동장치의 구동휠 안전줄 어셈블리.
KR1020140025667A 2013-03-11 2014-03-04 태엽 손잡이를 갖는 차양구동장치의 구동휠 안전줄 어셈블리 KR2014011160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25863 2013-03-11
KR1020130025863 2013-03-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1600A true KR20140111600A (ko) 2014-09-19

Family

ID=51757003

Famil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4702A KR20140111909A (ko) 2013-03-11 2013-05-15 중첩된 양방향 클러치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회전축 구동장치
KR1020130054704A KR20140111569A (ko) 2013-03-11 2013-05-15 양방향 클러치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회전축 구동장치
KR1020130081504A KR101542597B1 (ko) 2013-03-11 2013-07-11 슬립현상을 개선한 클러치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회전축 구동장치
KR1020140025119A KR20140111596A (ko) 2013-03-11 2014-03-03 차양구동장치의 구동휠 안전줄 어셈블리 및 그에 사용되는 안전커버부재
KR1020140025667A KR20140111600A (ko) 2013-03-11 2014-03-04 태엽 손잡이를 갖는 차양구동장치의 구동휠 안전줄 어셈블리

Family Applications Before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4702A KR20140111909A (ko) 2013-03-11 2013-05-15 중첩된 양방향 클러치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회전축 구동장치
KR1020130054704A KR20140111569A (ko) 2013-03-11 2013-05-15 양방향 클러치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회전축 구동장치
KR1020130081504A KR101542597B1 (ko) 2013-03-11 2013-07-11 슬립현상을 개선한 클러치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회전축 구동장치
KR1020140025119A KR20140111596A (ko) 2013-03-11 2014-03-03 차양구동장치의 구동휠 안전줄 어셈블리 및 그에 사용되는 안전커버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5) KR2014011190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8782B1 (ko) 2018-12-31 2019-10-30 노인택 블라인드 클러치
KR102223826B1 (ko) * 2020-07-30 2021-03-05 (주)인익스 기능성망을 구비하는 하이브리드 창호 조립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0619B1 (ko) * 2015-03-12 2016-06-15 유상원 롤 스크린 블라인드의 구동장치
KR101672650B1 (ko) 2015-09-09 2016-11-04 지상훈 양방향 회전이 가능한 원웨이 클러치
CN108514497B (zh) * 2018-06-06 2024-06-18 衢州学院 脊椎拉伸调节椅
FR3087817B1 (fr) * 2018-10-26 2020-11-13 Somfy Activites Sa Actionneur electromecanique et installation domotique comprenant un tel actionneur
US12023526B2 (en) 2020-01-23 2024-07-02 Pella Corporation Escape systems for descending a person from a window
KR102224948B1 (ko) * 2020-01-23 2021-03-05 김상균 자동조심(自動調心)형 블라인드 구동장치
CA3113938A1 (en) 2020-04-06 2021-10-06 Levolor, Inc. Shade adapter for a roller shade
CA3153589A1 (en) * 2022-03-29 2023-09-29 Philip Ng Chain shroud for roller shade
KR102495423B1 (ko) * 2022-05-31 2023-02-06 주식회사 에스티에스씨엔비 구동줄의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롤 블라인드용 구동장치
US11591851B1 (en) * 2022-06-16 2023-02-28 Tser Wen Chou Free hanging safety bead chain tension device
KR102559165B1 (ko) * 2023-01-17 2023-07-26 주식회사 에스티에스씨엔비 방향스위치가 구비된 블라인드 구동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8782B1 (ko) 2018-12-31 2019-10-30 노인택 블라인드 클러치
KR102223826B1 (ko) * 2020-07-30 2021-03-05 (주)인익스 기능성망을 구비하는 하이브리드 창호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1909A (ko) 2014-09-22
KR20140111569A (ko) 2014-09-19
KR20140111572A (ko) 2014-09-19
KR20140111596A (ko) 2014-09-19
KR101542597B1 (ko) 2015-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111600A (ko) 태엽 손잡이를 갖는 차양구동장치의 구동휠 안전줄 어셈블리
EP3039217B1 (en) Device for adjusting fabric angle of double fabric blinds
KR20140029113A (ko) 차양구동장치의 수동 구동휠
US6823925B2 (en) Retractable window shade with height adjustment control
TWI509146B (zh) A shielding device and a clutch for a shielding device
EP1536096B1 (en) Cord winding device for a blind
WO1994012757A1 (fr) Store a rouleau actionne par un cordon
US20200370367A1 (en) Clutch Module For A Hoist Device And The Hoist Device Using The Same
CN112437826A (zh) 遮蔽装置
JP2006241693A (ja) ブラインド
CN1351474A (zh) 带子缩短装置
CA3101317A1 (en) Cordless operating safety blind
JP5859801B2 (ja) 日射遮蔽装置
JP3273007B2 (ja) たくし上げカーテン
KR101195828B1 (ko) 블라인드용 권취장치
JP3218409B2 (ja) ロールスクリーン
JP2002081279A (ja) 日よけ
KR20150124300A (ko) 볼체인복합구동줄 및 이를 적용한 클러치 장치
KR20190089465A (ko) 양방향클러치모듈 및 이를 적용한 호이스트 장치
KR101647483B1 (ko) 롤 블라인드
CN218644201U (zh) 一种卷帘
KR20170027219A (ko) 차양구동장치의 안전 스윙 스틱 텐션장치, 그리고 이를 채용하는 차양구동장치 및 호이스트 장치
KR20180112412A (ko) 코드리스 블라인드
CN210888734U (zh) 一种卷式天棚帘结构
JP2004293059A (ja) 遮蔽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