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1431A - 간지공급장치 - Google Patents

간지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11431A
KR20140111431A KR1020130025550A KR20130025550A KR20140111431A KR 20140111431 A KR20140111431 A KR 20140111431A KR 1020130025550 A KR1020130025550 A KR 1020130025550A KR 20130025550 A KR20130025550 A KR 20130025550A KR 20140111431 A KR20140111431 A KR 201401114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anji
bundle
sheet
lift
pr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55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호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라정밀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라정밀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라정밀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300255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11431A/ko
Publication of KR201401114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14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46Supplementary devices or measures to assist separation or prevent double feed
    • B65H3/56Elements, e.g. scrapers, fingers, needles, brushes, acting on separated article or on edge of the p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00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 B65H1/08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with means for advancing the articles to present the articles to the separating device
    • B65H1/16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with means for advancing the articles to present the articles to the separating device comprising pneumatic or hydraulic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2Piling, depiling, handling piles
    • B65H2301/423Depiling; Separating articles from a pile
    • B65H2301/4234Depiling; Separating articles from a pile assisting separation or preventing double fe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품 적재 등에 사용되는 간지를 공급하는 장치에 관련된다. 본 발명은 실시예로, 간지가 적층된 간지 뭉치에서 간지를 취출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간지 뭉치를 승강시키는 리프트부 및 상기 리프트부에 의해 상승된 상기 간지 뭉치의 상부의 양단부를 밀어주어 적어도 한 장의 간지를 상부로 볼록하게 변형시키는 누름부를 포함하는 간지공급장치를 제시한다.

Description

간지공급장치{Supplier for slip sheet}
본 발명은 부품 적재 등에 사용되는 간지를 공급하는 장치에 관련된다.
평탄한 패널과 같은 제품을 대량 생산하고 운반하기 위해서 일반적으로 생산된 패널들을 적층하게 된다. 이때, 제품이 긁힘에 취약하다면 적층 과정 중에 상하의 제품들이 서로 접촉하면서 긁힐 수 있기 때문에, 제품들의 접촉면을 보호하기 위하여 간지를 두게 된다.
간지는 제품을 쌓으면서 한 장씩 개재시키는 것인데, 제품에 간지를 올리는 순간과, 간지가 올려진 패널 위에 다른 패널을 쌓는 과정 중에 갇힌 공기의 유동에 의해 간지가 흘러내리지 않게 하기 위하여 간지는 통기성이 우수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그러나 적층된 상태로 제공되는 간지 뭉치에서 자동화된 기계장치를 이용하여 간지를 한 장씩 빼내는 과정이 쉽지 않다.
종래의 기술에서는 쌓아둔 간지 뭉치에서 한 장의 간지를 분리하기 위하여 집게와 같은 구조의 기계팔을 이용해 간지를 집어올리는 방식을 사용하지만, 오랜 사용으로 기계팔의 작동 오차가 발생하기 시작하면 한 번에 한 장이 아니라 여러 장의 간지들이 배출되는 문제가 있었다.
간지 뭉치에서 간지를 취출하는 방법 중 하나로 공기 흡입판을 이용하여 간지를 들어올리는 방식을 고려할 수 있다. 그러나 통기성이 우수한 간지의 특성상 간지 뭉치에 흡입판을 갖다 대면 한 번에 2, 3장 이상의 간지들이 함께 들리는 문제가 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흡입판의 흡입력을 미세 조정할 수 있으나, 너무 근소한 범위 내에서 흡입력을 제어해야 하므로 정밀 제어를 위해서는 고가의 정밀 장비가 요구되고, 매우 비경제적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59288호 (2010.05.14)
본 발명은 통기성을 가지는 간지들이 적층된 간지 뭉치에서 한 번에 한 장의 간지를 높은 신뢰성을 가지며 들어낼 수 있게 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그 외 본 발명의 세부적인 목적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위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실시예로, 간지가 적층된 간지 뭉치에서 간지를 취출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간지 뭉치를 승강시키는 리프트부 및 상기 리프트부에 의해 상승된 상기 간지 뭉치의 상부의 양단부를 밀어주어 적어도 한 장의 간지를 상부로 볼록하게 변형시키는 누름부를 포함하는 간지공급장치를 제시한다.
여기서, 상기 누름부는 상기 간지 뭉치의 양단부에 접촉할 수 있으며 경사진 누름면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간지 뭉치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는 누름블록들, 각 상기 누름블록에 연결되어 있는 링크 및 상기 링크를 슬라이딩 이동시켜 상기 누름블록들이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도록 이동시키는 구동기를 포함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누름면에는 볼록하게 변형된 간지의 가장자리가 걸리는 단턱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리프트부에 의한 상기 간지 뭉치의 상승 높이를 제어하기 위한 레벨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레벨링부는 지면에 고정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회전하여 일단부가 상기 간지 뭉치의 위에 위치되는 회전암, 상기 회전암의 일단부에 결합되어 있고, 리프트부의 작동에 의해 상승한 상기 간지 뭉치에 의해 눌려져 작동되는 리미트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통기성이 우수한 간지가 적층된 간지 뭉치에서 한 번에 한 장씩 정량적으로 간지를 추출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간지의 정량적 공급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으며, 한 번에 여러 장의 간지가 소모되지 않게 되므로 경제적인 장점이 있다.
또한 간지가 개재되는 제품들은 주로 패널과 같은 평판성 부재로, 이들 패널은 주로 진공 흡착하는 이송유닛을 이용하여 운반 및 적층된다. 본 발명은 패널의 최종 배출 단계에 설치되어, 진공 흡착하는 이송유닛을 통해 간지를 취출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간지공급유닛을 사용하면 공장 설비의 간소화를 꾀할 수 있다.
그 외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또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과정 중에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간지공급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주요부를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주요부를 간략화하여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채용된 누름블록과 누름면을 확대하여 나타낸 정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제1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제2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누름부의 작용을 (a), (b) 그리고 (c)의 순서에 따라 도시한 도면.
도 8 내지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제3 내지 제5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간지공급장치의 구성, 기능 및 작용을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적용된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통하여 제한 해석해서는 아니된다. 이 기술분야에 속하는 전문가의 견지에서 도면에 도시된 일부 또는 전부가 발명의 실시를 위하여 필연적으로 요구되는 형상, 모양, 순서가 아니라고 해석될 수 있다면, 이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을 한정하지 아니한다.
도 1과 도 2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간지공급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간지공급장치(100)는, 간지가 적층된 간지 뭉치에서 간지를 취출하기 위한 것으로, 간지 뭉치를 승강시키는 리프트부(1) 및 리프트부(1)에 의해 상승된 간지 뭉치의 상부의 양단부를 밀어주어 적어도 한 장의 간지를 상부로 볼록하게 변형시키는 누름부(2)를 포함한다.
리프트부(1)는 간지 뭉치를 받쳐 상승 또한 하강시키는 구성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리프트부(1)에는 간지 뭉치를 받치는 피스톤(11)과, 이 피스톤(11)이 승강되는 실린더(12)가 구비된다. 피스톤의 상단에는 간지 뭉치를 받치는 플레이트(13)가 결합되어 있다. 피스톤(11)을 승강시키는 데에는 공압이 사용될 수 있다.
리프트부는, 이와 달리, 간지 뭉치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한 다양한 공지된 승강수단으로 변경될 수 있다. 도시된 공압을 이용하는 액추에이터의 구성 외에도 피니언을 회전시키는 전기모터와, 피니언에 결합된 수직방향의 래크 기어를 통하여 리프트부를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리프트부(1)는 간지 뭉치의 사이즈에 따른 단면적을 가지며, 간지뭉치가 수직 방향으로 승강하도록 안내하는 외형케이스(14)를 더 포함한다. 외형케이스(14)의 상부는 개방되어 있어 상승한 간지 뭉치는 상부로 노출된다. 나아가 간지 뭉치가 놓이는 외형케이스(14)의 외벽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격벽(141)은 이동 고정이 가능함에 따라, 선택된 간지 뭉치의 사이즈에 따라 외형케이스(14) 내부 공간의 변경이 가능하다.
만일 피스톤에 결합된 플레이트를 간지 뭉치의 하단부와 그 둘레를 지지하여 간지 뭉치에서 간지가 임의로 흘러내리지 아니하도록 구성한다면, 외형 케이스는 생략될 수 있다. 간지 뭉치에서 간지가 임의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플레이트는, 일례로, 간지의 바닥과 둘레 주변을 감싸는 상자 형상일 수 있다.
누름부(2)는 간지 뭉치의 상부의 양단부를 밀어주어 적어도 한 장의 간지를 상부로 볼록하게 변형시키는 부재이다. 누름부(2)는 누름블록들(21), 링크(22) 및 구동기(23)를 포함한다.
누름블록들(21)은 적어도 한 쌍이 간지 뭉치의 일측과 타측의 가장자리 부근에 위치한다. 누름블록(21)은 링크(22)와 구동기(23)에 의해 서로 가깝게 이동하거나 서로 멀어지게 이동한다. 이 누름블록(21)이 서로 가깝게 이동함에 따라 간지 뭉치의 상단에 적층된 하나의 간지 또는 몇몇의 간지들의 가장자리를 눌러주게 된다. 이로써 간지 뭉치의 상단에 있었던 적어도 하나의 간지는 상부로 볼록하게 변형하게 된다(도 7 참고). 상부로 볼록하게 변형된 간지는 변형되지 아니하는 나머지 간지들과 중앙부분이 떨어지게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간지뭉치에서 그 상단에 놓인 간지를 나머지 간지들로부터 떼어 놓을 수 있게 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누름블록(21)의 높이는 고정적이다. 간지 뭉치의 상단부에 놓여 있던 한 장의 간지 또는 몇몇의 간지들만 누름블록(21)에 의해 볼록하게 변형시키려면, 리프트부(1)에 의해 간지 뭉치의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어야 한다. 특히, 자동화된 설비를 통해 장기간 연속적으로 간지들이 소모되는 경우를 고려하면, 간지들이 소모됨에 따라 간지 뭉치의 높이가 점차 낮아지므로, 이를 반영하여 리프트부는 간지 뭉치의 상단부가 누름블록에 대한 적정 높이에 이르도록 간지 뭉치의 높이를 지속적으로 수정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간지의 소모가 많이 아니한 경우에는 리프트부에 의한 간지 뭉치의 높이 수정이 필요하지 아니할 수도 있다.
누름부(2)에 대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리프트부(1)가 설치되는 바닥판(15) 또는 평탄한 지면에는 구동기(23)가 세워진다. 이 구동기(23)는 나란히 위치하는 한 쌍의 작동암(231)을 서로 가깝게 이동시키거나 서로 멀게 밀어내는 작동력을 제공한다.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구동기는 수평한 실린더 내에 서로 대칭적으로 이동하는 한 쌍의 피스톤을 구비하고, 각 작동암을 각 피스톤에 고정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때, 피스톤들의 왕복운동은 외부에서 제공하는 공압에 의해 작동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피스톤들의 대칭적인 움직임을 위해 각 피스톤에 결합된 래크와, 양 래크에 맞물리는 피니언을 설치할 수 있다.
구동기의 구성에 대한 다른 예로, 전술한 구성에서 피스톤의 운동은 피니언을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키는 전기모터를 통하여 구현할 수 있다.
이와 달리, 구동기는 한 쌍의 작동암을 서로 가깝게 이동시키거나 멀어지게 이동시키는 공지된 다양한 구성 중 하나를 채택할 수도 있다.
구동기(23)의 각 작동암에는 링크(22)가 결합된다. 링크(22)는 외형케이스(14)에 대항하는 사이즈이며, 구동기(23)의 작동암(231)과 누름블록(21)을 연결하는 구성이다.
누름블록들(21)은 간지 뭉치를 사이에 두고 양 링크(22)에 서로 마주보게 장착된다. 이로써, 구동기(23)의 작동에 의해 링크들(22)과 누름블록들(21)은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게 이동된다.
이때, 누름블록(21)은 링크(22)에 교체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외형케이스(14)에 장착되는 간지의 사이즈가 변경되는 경우에는 그에 따라 누름블록(21)도 교체될 수 있다.
간지가 직각사각형인 경우에 누름블록들은 간지의 가로 방향 또는 세로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을 따라 간지의 양단부 측에 배치된다.
설치된 누름블록들(21)에는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며, 간지 뭉치의 상단부를 가압하는 누름면(211)이 형성되어 있다. 서로 마주보는 누름면들(211)은 하부로 갈수록 서로 점차 멀어지는 경사면으로 형성된다.
추가적인 구성으로 누름면(211)에는 볼록하게 변형된 간지의 가장자리가 걸리는 단턱(212)이 형성된다. 도 4를 참고하면, 단턱(212)을 경계로 누름면(211)의 상단부보다 하단부가 더 돌출되는 형상을 가진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간지가 지속적으로 소모되는 경우, 간지 뭉치의 높이가 달라지기 때문에 누름면이 매번 같은 분량이 간지를 가압해주려면 간지 뭉치의 높낮이를 조절할 필요가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간지 뭉치의 높이 조절은 리프트부(1)의 높낮이를 설정 값에 따라 정밀 제어하여 구현하거나, 도시된 바와 같은 레벨링부(3)를 통하여 달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레벨링부(3)는 바닥판(15)이나 지면에 고정되는 베이스(3), 베이스(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회전하여 일단부가 간지 뭉치의 위에 위치되는 회전암(32) 그리고 회전암(32)의 끝단부에 결합되어 있고, 리프트부(1)의 작동에 의해 상승한 상기 간지 뭉치에 의해 눌려져 작동되는 리미트스위치(33)를 포함한다.
베이스(3)에는 회전암을 구동시키는 회전모터가 장착되어 있다. 회전모터는 공압으로 작동될 수 있다.
회전암(32)의 일단부에는 리미트스위치(33)가 구비되어 있으며, 타단부는 베이스(3)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회전모터의 작동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암(32)은, 일단부가 간지 뭉치의 위 공간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암(32)은 간지를 파지해가는 이송유닛(200)의 이동을 간섭하지 아니하도록 젖혀질 수도 있다.
회전암(32)은 미리 정해진 각도로만 회전함으로써, 회전암(32)이 간지 뭉치의 위로 회전한 경우에 리미트스위치(33)가 간지 뭉치의 위의 일정 높이에 머물도록 한다. 이 리미트스위치를 상승하는 간지 뭉치가 건드려 작동시킬 때에 리프트부의 작동을 정지시킴으로써 간지 뭉치의 상승된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회전암(32)의 일단부에는 리미트스위치(33)와 나란하게 탄성부(34)가 장착되어 있다. 이 탄성부(34)는 생략 가능한 구성이다. 탄성부(34)는 리미트스위치(33)보다 더 길게 돌출될 수 있다. 탄성부는 간지 뭉치를 탄성 있게 가압하기 위한 것으로, 에어쇼바, 코일쇼바, 탄성고무블록 등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10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간지공급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단, 도 3 내지 도 10의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실시예를 간략화하며 일부 변경하여 도시한 것임을 밝혀둔다.
도 3에서 회전암(32)은 리미트스위치(33)가 간지 뭉치(300)의 위로 이동한 상태이고, 리프트부(1)에 의해 간지 뭉치(300)는 적정 높이로 상승한 상태이다. 여기서 간지 뭉치의 적정 높이는 누름면(211)에 형성된 단턱(212)이, 간지 뭉치에 놓인 최상층의 간지보다 아래에 위치하게 되는 간지 뭉치의 높이다.
이송유닛(200)은 진공흡착하는 빨판(210)을 구비한 상태로 대기 상태 중이다. 여기서 이송유닛(200)은 다관절 로봇으로 제작되어 빨판(210)을 3차원 공간 상에서 이송할 수 있다.
도 5에서, 회전암(32)은 이송유닛(200)에 간섭하지 아니하도록 회전하여 젖혀진 상태이고, 도 6에서 구동기(23)의 작동에 의해 누름블록(21)은 서로 가깝게 이동하여 간지 뭉치 상단에 놓였던 적어도 하나의 간지를 볼록하게 변형시킨 상태이다.
이로써, 볼록하게 변형된 최상층의 간지(310)를 상부에서 하강하는 이송유닛(200)의 빨판(210)이 흡착하여 가져갈 수 있게 된다.
도 4에는 도 5에 도시된 사용 상태에서 누름블록(21)의 누름면(211)에 형성된 단턱(212)의 작용이 도시되어 있다. 최상층의 간지(310)는 단턱(212)에 의해 걸린 상태가 되며, 누름블록에 의해 함께 가장자리가 눌려졌던 나머지 간지들은 누름면(211)의 하단부에 눌려진 상태가 됨을 도시하고 있다. 단턱의 깊이를 적어도 간지의 두께와 동일하게 하거나, 이 두께보다 다소 짧게 형성함으로써 단턱에 의한 최상층 간지의 파지가 보다 확실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누름부(2)에 의한 간지의 변형은 도 7에 순차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7에서 간지의 변형 정도, 수량 및 두께 등은 도면의 이해를 위하여 일부 생략하거나 과장하여 나타낸 것임을 밝혀둔다.
도 7의 (a)에는 상승한 간지 뭉치(300)와 누름부(2)의 위치 관계가 도시되어 있다. 이때, 누름블록(21)은 최대한 떨어진 상태로, 경사진 누름면은 아직 간지 뭉치에 접촉하고 있지 않다. 간지 뭉치(300)는 그 상단이 누름블록(21)의 단턱보다 조금 높게 상승한 상태로써, 누름면에 몇몇 장의 간지가 걸릴 수 있게 된다.
도 7의 (b)에서 누름블록(21)이 서로 가깝게 이동됨으로써 간지 뭉치(300) 상부에 놓인 몇몇의 간지들의 가장자리가 눌려진다. 눌린 간지들은 간지의 장력에 의해 탄성 변형되며 상부를 향하여 볼록하게 변형된다.
이때, 간지의 가장자리를 밀어주는 누름면(211)이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서 간지의 높이에 따라 가장자리가 눌려지는 거리가 달라진다. 즉, 상부에 위치한 간지는 하부에 위치한 간지보다 경사진 누름면(211)에 의해 더 많이 눌려지게 된다. 이로써 상부에 위치한 간지는 하부에 위치한 간지보다 더 볼록하게 변형하게 된다.
도 7의 (c)는 누름블록(21)의 간격이 가장 가깝게 이동된 상태이다. 누름면에 의해 가장자리가 눌린 간지들은 더욱 볼록하게 변형된다.
변형된 간지의 복원력은 다시 펼쳐지려는 방향으로 작용한다. 이때, 누름면(211)이 경사지게 형성됨에 따라 간지들의 가장자리가 누름면(211)에서 미끄러지면서 누름면(211)의 하단부로 내려가게 된다. 이때, 최상층의 간지(310)는 단턱(212)에 걸리게 되고, 나머지 간지들이 누름면을 타고 미끄러져 누름면(211)의 하단부로 이동하게 된다. 이로써 단턱(212)에 걸린 최상층의 간지(310)가, 누름블록(21)에 의해 가장자리가 밀린 간지에 비하여 두드러지게 볼록하게 변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유닛(200)의 빨판(210)이 최상층의 간지(310)를 흡착하게 되므로, 빨판의 흡착력을 미세하게 제어하지 아니하여도 최상층의 간지만을 성공적으로 취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8 내지 도 10은 레벨링부의 작동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이송유닛이 간지를 취출하여 가져간 후에 회전암(32)이 회전하여 탄성부(34)가 상승한 간지 뭉치의 상부에 대어진 상태이다. 누름블록들(21)은 탄성부(34)가 간지 뭉치(300)의 상단부를 눌러 줄 때까지, 간지들의 가장자리를 밀어준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간지 뭉치(300)가 흐트러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도 9는 누름블록(21)이 복원되고, 리프트부(1)가 작동하여 간지 뭉치(300)가 하강한 상태이다. 탄성부가 볼록하게 변형되었던 간지를 누름에 따라 간지 뭉치(300) 상단부에 형성되었던 몇몇 간지의 주름은 누름블록(21)이 복원되면서 다시 펼쳐진다.
회전암(32)은 회전 각도가 한정되어 있으므로, 회전암 일단부가 구비된 탄성부(34)와 리미트스위치(33)는 일정한 높이에 머물러 있게 되고, 리프트부(1)가 하강함으로써 간지 뭉치(300)와 리미트스위치(33) 간에는 빈 공간이 형성된다.
도 10은 리프트부(1)가 다시 상승하여 간지 뭉치(300)의 높이를 다시 세팅하는 과정이 도시되어 있다. 리프트부(1)에 의해 간지 뭉치가 상승하면서 리미트스위치(33)를 건드리게 되고, 리미트스위치(33)의 전기적 신호에 의해 리프트부(1)의 작동이 중지된다. 이로써 간지 뭉치(300)의 높이는 누름블록(21)의 높이에 맞추어, 다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적정 높이로 세팅된다.
100 : 간지공급장치
1 : 리프트부
11 : 피스톤 12 : 실린더 13 : 플레이트
14 : 외형케이스 141 : 격벽 15 : 바닥판
2 : 누름부
21 : 누름블록 211 : 누름면 212 : 단턱
22 : 링크 23 : 구동기 231 : 작동암
3 : 레벨링부
31 : 베이스 32 : 회전암 33 : 리미트스위치 34 : 탄성부
200 : 이송유닛 210 : 빨판
300 : 간지 뭉치 310 : 간지

Claims (4)

  1. 간지가 적층된 간지 뭉치에서 간지를 취출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간지 뭉치를 승강시키는 리프트부; 및
    상기 리프트부에 의해 상승된 상기 간지 뭉치의 상부의 양단부를 밀어주어 적어도 한 장의 간지를 상부로 볼록하게 변형시키는 누름부;를 포함하는 간지공급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누름부는
    상기 간지 뭉치의 양단부에 접촉할 수 있으며 경사진 누름면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간지 뭉치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는 누름블록들;
    각 상기 누름블록에 연결되어 있는 링크; 및
    상기 링크를 슬라이딩 이동시켜 상기 누름블록들이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도록 이동시키는 구동기;를 포함하는 간지공급장치.
  3. 제2항에서,
    상기 누름면에는 볼록하게 변형된 간지의 가장자리가 걸리는 단턱이 형성되어 있는 간지공급장치.
  4. 제1항에서,
    상기 리프트부에 의한 상기 간지 뭉치의 상승 높이를 제어하기 위한 레벨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레벨링부는
    지면에 고정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회전하여 일단부가 상기 간지 뭉치의 위에 위치되는 회전암,
    상기 회전암의 일단부에 결합되어 있고, 리프트부의 작동에 의해 상승한 상기 간지 뭉치에 의해 눌려져 작동되는 리미트스위치를 포함하는 간지공급장치.
KR1020130025550A 2013-03-11 2013-03-11 간지공급장치 KR201401114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5550A KR20140111431A (ko) 2013-03-11 2013-03-11 간지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5550A KR20140111431A (ko) 2013-03-11 2013-03-11 간지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1431A true KR20140111431A (ko) 2014-09-19

Family

ID=51756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5550A KR20140111431A (ko) 2013-03-11 2013-03-11 간지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1143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323781A1 (en) * 2020-04-19 2021-10-21 Nps Co.,Ltd. Apparatus for supplying fil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323781A1 (en) * 2020-04-19 2021-10-21 Nps Co.,Ltd. Apparatus for supplying film
US11858770B2 (en) * 2020-04-19 2024-01-02 Nps Co., Ltd. Apparatus for supplying fil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45207B2 (en) Apparatus for loading bound products
CN107108138B (zh) 坯料分离装置以及坯料分离方法
EP2889241B1 (en) Method for separating and supplying sheet materials, device therefor, and method for applying adhesive agent to sheet materials
CN112478841A (zh) 一种非磁性薄板分张机器人夹具及分张方法
WO2018038233A1 (ja) 傾斜形成装置
JP2008518876A (ja) ガラスシートの積層する方法および装置
JP2019099330A (ja) ガラス板の製造方法及びガラス板の搬送装置
CN203624003U (zh) 纸箱底部折盖机
KR20140111431A (ko) 간지공급장치
JP2018024508A (ja) シート材分離装置
JP2022096922A (ja) シート分離装置
JP2018104181A (ja) 薄板取り出し装置および薄板取り出し方法
CN114772332B (zh) 堆叠金属薄片分片机械臂及分片方法
KR101457023B1 (ko) 로봇을 이용한 물건 적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적재방법
JP6845555B2 (ja) トレイ分離装置及びトレイ分離方法
JP7095948B2 (ja) テーラードブランクの取り出し方法
US3861516A (en) Apparatus for feeding sheets of paper or the like into a punching machine in neat stacks
JP2018087085A (ja) 板材分離装置、その板材分離装置を備えた板材搬送装置、及び板材の分離方法
TWI791873B (zh) 薄膜取出裝置以及柔性印刷電路板的製造方法
KR20130121357A (ko) 플렉시블 필름 픽업장치
JP2017160048A (ja) シートの分離装置及び分離方法
CN106394012B (zh) 一种医用激光胶片打印机送纸移动机构
JP2019099379A (ja) ガラス板の製造方法及びガラス板の取り出し装置
JP2006306564A5 (ko)
CN219806508U (zh) 软皮上料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