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0434A - 배수식 목재 데크판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배수식 목재 데크판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10434A
KR20140110434A KR1020130024733A KR20130024733A KR20140110434A KR 20140110434 A KR20140110434 A KR 20140110434A KR 1020130024733 A KR1020130024733 A KR 1020130024733A KR 20130024733 A KR20130024733 A KR 20130024733A KR 20140110434 A KR20140110434 A KR 201401104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k plate
screw
tube
vertical
waterproo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47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윤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디자인랜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디자인랜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디자인랜드
Priority to KR10201300247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10434A/ko
Publication of KR201401104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04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4Surface drainage of streets
    • E01C11/225Paving specially adapted for through-the-surfacing drainage, e.g. perforated, porous; Preformed paving elements comprising, or adapted to form, passageways for carrying off drainag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5/00Pavings specially adapted for footpaths, sidewalks or cycle trac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20Drainage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나사못의 따라 흘러내리는 수분을 원활하게 하부로 배수시키면서 데크판의 수직 조립홀에 수분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수직 조립홀이 수분으로 썩어 확장되는 것을 방지하는 배수식 목재 데크판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받침부재의 상부에 데크판을 고정하는 것으로, 상기 데크판에 형성되며 상부에는 자리파기홈이 형성되는 수직 조립홀과; 상기 수직 조립홀에 삽입되는 수직관을 가지며, 수직관의 상부에는 상기 자리파기홈에 삽입되는 확관부가 형성되고, 확관부의 상부 둘레에는 외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자리파기홈의 상부 둘레에 삽입 고정되는 방수용 돌출턱이 형성되는 방수 조립관과; 상기 방수 조립관에 관통되어 상기 받침부재에 체결되는 나사축을 가지며, 나사축의 상부에는 상기 확관부의 내부에 삽입되는 머리부가 형성되는 나사못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배수식 목재 데크판 고정장치{Drain type wooddeck plate fixing apparatus}
본 발명은 배수식 목재 데크판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나사못 박힘자리에 이물질의 끼임을 방지하며 테크판 상명에서 흘러내리는 수분을 원활하게 하부로 배수시키면서 데크판의 수직 조립홀에 수분이 침투되여 테크판을 부식시키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배수식 목재 데크판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사회적으로 친환경 붐이 일면서 등산로, 공원 내에 설치한 산책로, 호수 주변, 광장 또는 도로변에 위치한 상가 앞의 바닥과 같은 실내외의 바닥면을 마감하는 데 있어 다른 자연 친화적인 목재 데크를 바닥 마감재로 널리 사용하고 있다.
일반적인 목재 데크는 충격이나 진동을 효율적으로 흡수해 주고, 시각적으로도 부드럽고 편안한 느낌을 주며, 내구성이 탁월하고 보수유지가 간편한 장점이 있다.
이에 종래의 목재 데크는 설치 장소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받침부재와, 받침부재의 상부에 직교되게 안착되어 받침부재의 상부에 고정수단으로 고정되는 다수의 데크판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받침부재는 충분한 강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목재나 금속재로 구성되고, 상기 데크판은 보행자가 밟고 지나가는 것으로 목재로 구성된다.
상기 데크판을 받침부재에 고정하는 고정수단은 데크판을 간단히 고정할 수 있도록, 못이나 나사못이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데크판을 나사못을 통해 받침부재에 고정하게 되면, 데크판에 형성되는 관통홀과 나사못을 구성하는 나사축의 사이에 이물질 뿐만 아니라 빗물이나 눈으로 인해 수분이 침투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이물질이나 수분이 관통홀의 내주면에 침투되어 장기간이 경과되면, 관통홀의 내주면이 썩게 되어 관통홀의 직경이 확장됨으로써, 보행시 발생되는 충격으로 데크판이 유동되어 보행자의 부상을 유발하고, 심하게는 데크판이 나사못에서 이탈되어 받침부재로부터 분리되는 현상이 발생되는 등 내구성이 좋지 못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0522921호 “목재데크 보도의 구조”(2005.10.13)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나사목을 박을 때 너트 작용을 하여 수직 조립홀의 원형을 유지할 수 있고, 나사못을 따라 흘러내리는 수분을 수직 조립홀에 닿지 않고 원활하게 하부로 배수시키면서 데크판의 수직 조립홀에 수분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수직 조립홀이 이물질이나 수분으로 인해 썩어 확장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배수식 목재 데크판 고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방수 조립관의 확관부의 하부에 둘레 경사부를 형성하여 나사못을 따라 흘러내리는 수분의 배수를 좀 더 원활하게 시킬 수 있는 배수식 목재 데크판 고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둘레 경사부의 내측 경사면에 배수유로를 더 형성함으로써 나사못을 따라 흘러내리는 수분의 배수를 좀 더 원활하게 시킬 수 있는 배수식 목재 데크판 고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둘레 경사부의 내측 경사면과 나사못의 머리부 사이에 배수용 절곡와셔를 더 구비함으로써 나사못을 따라 흘러내리는 수분의 배수를 좀 더 원활하게 시킬 수 있는 배수식 목재 데크판 고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방수 조립관과 데크판의 높이를 동일하게 함에 따라, 방수 조립관이 데크판에 형성된 수직 조립홀의 내주면을 전체적으로 커버함으로써, 수직 조립홀의 내주면을 전체적으로 방수 할 수 있는 배수식 목재 데크판 고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방수 조립관의 상부에 형성된 확관부에 방수커버를 견고하게 삽입 고정함으로써, 데크판에 형성된 수직 조립홀의 수분 침투를 좀 더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배수식 목재 데크판 고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받침부재의 상면에 나사못을 따라 흘러내리는 수분을 외부로 배수시키는 배수홈을 더 형성함으로써, 나사못을 따라 흘러내리는 수분을 좀 더 원활하게 배수시킬 수 있고, 받침부재가 썩는 것도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배수식 목재 데크판 고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다른 목적은, 받침부재의 상부에 구비되는 탄성판의 상면에 나사못을 따라 흘러내리는 수분을 외부로 배수시키는 배수홈을 더 형성함으로써, 나사못을 따라 흘러내리는 수분을 좀 더 원활하게 배수시킬 수 있는 배수식 목재 데크판 고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다른 목적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배수식 목재 데크판 고정장치”는, 받침부재의 상부에 데크판을 고정하는 것으로, 상기 데크판에 형성되며 상부에는 자리파기홈이 형성되는 수직 조립홀과; 상기 수직 조립홀에 삽입되는 수직관을 가지며, 수직관의 상부에는 상기 자리파기홈에 삽입되는 확관부가 형성되고, 확관부의 상부 둘레에는 외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자리파기홈의 상부 둘레에 삽입 고정되는 방수용 돌출턱이 형성되는 방수 조립관과; 상기 방수 조립관에 관통되어 상기 받침부재에 체결되는 나사축을 가지며, 나사축의 상부에는 상기 확관부의 내부에 삽입되는 머리부가 형성되는 나사못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수식 목재 데크판 고정장치”의 상기 머리부는 하부가 좁고 상부가 넓게 외측 경사면을 가지는 접시머리로 형성되고, 상기 확관부의 하부에는 하부가 좁고 상부가 넓게 형성되어 상기 외측 경사면이 밀착되는 내측 경사면을 가지는 둘레 경사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수식 목재 데크판 고정장치”의 상기 확관부는, 상기 둘레 경사부의 내측 경사면에 내측으로 돌출되어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고 각각의 사이에는 배수유로가 형성되는 다수의 수직형 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수식 목재 데크판 고정장치”는, 절곡이 가능하게 얇은 판으로 형성되고, 중앙에는 상기 나사축이 관통되는 중앙홀이 형성되며, 둘레에는 상부와 하부 및 외측이 개방된 다수의 배수통로가 방사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나사못이 체결되는 과정에서 머리부에 형성된 외측 경사면의 누름을 통해 하부가 좁고 상부가 넓게 절곡되어 상기 외측 경사면과 상기 확관부의 내측 경사면의 사이에 밀착 구비되는 배수용 절곡와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수식 목재 데크판 고정장치”의 상기 방수 조립관의 높이는 상기 데크판의 높이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수식 목재 데크판 고정장치”는 상기 확관부에 삽입되어 상기 방수 조립관의 상부를 커버하는 방수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방수커버는, 상부에 위치되고 하면의 둘레가 상기 방수 조립관의 상부와 데크판의 상면에 밀착되며 상면은 중앙이 높은 구형면으로 형성된 원형판과, 상기 원형판의 하부 중앙에 하부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둘레에는 다수의 수직 개방부가 형성된 원통관과, 상기 원통관의 외주면에 외측으로 돌출되어 수직방향으로 형성되고 하부에는 삽입 경사면이 형성되는 다수의 쐐기형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수식 목재 데크판 고정장치”의 상기 받침부재는, 상면에 형성되어 나사못의 둘레를 따라 하강되는 수분을 외부로 배출하는 다수의 배수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수식 목재 데크판 고정장치”는 상기 받침부재의 상부와 데크판의 하부 사이에 구비되는 탄성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판은, 탄성판의 상면에 형성되어 나사못의 둘레를 따라 하강되는 수분을 외부로 배출하는 다수의 배수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나사못의 따라 흘러내리는 수분을 원활하게 하부로 배수시키면서 데크판의 수직 조립홀에 수분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함에 따라, 수직 조립홀이 수분으로 썩어 확장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데크판이 유동되거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보행자의 안전성이 확보된 데크를 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데크판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방수 조립관의 확관부의 하부에 둘레 경사부를 형성하여 나사못을 따라 흘러내리는 수분의 배수가 좀 더 원활하게 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둘레 경사부의 내측 경사면에 배수유로를 더 형성하여 나사못을 따라 흘러내리는 수분의 배수가 좀 더 원활하게 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둘레 경사부의 내측 경사면과 나사못의 머리부 사이에 배수용 절곡와셔를 더 구비하여 나사못을 따라 흘러내리는 수분의 배수가 좀 더 원활하게 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방수 조립관이 데크판에 형성된 수직 조립홀의 내주면을 전체적으로 커버하여 수직 조립홀의 내주면을 전체적으로 방수함으로써, 수직 조립홀이 편중되게 썩는 현상을 방지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방수 조립관의 상부에 형성된 확관부에 방수커버를 견고하게 삽입 고정하여 데크판에 형성된 수직 조립홀에 수분 침투가 좀 더 방지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받침부재의 상면에 나사못을 따라 흘러내리는 수분을 외부로 배수시키는 배수홈을 형성함에 따라, 나사못을 따라 흘러내리는 수분이 좀 더 원활하게 배수되고, 받침부재가 썩는 것도 예방하여 받침부재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받침부재의 상부에 구비되는 탄성판의 상면에 나사못을 따라 흘러내리는 수분을 외부로 배수시키는 배수홈을 형성함에 따라, 나사못을 따라 흘러내리는 수분이 좀 더 원활하게 배수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데크판 고정장치가 설치된 데크를 나타낸 개략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받침부재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데크판 고정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데크판 고정장치를 구성하는 방수 조립관을 일부 절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의 데크판 고정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의 데크판 고정장치를 구성하는 방수커버를 하부에 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4 실시예의 데크판 고정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4 실시예의 데크판 고정장치를 구성하는 배수용 절곡와셔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제5 실시예의 데크판 고정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제4 실시예의 데크판 고정장치를 구성하는 탄성판을 나타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데크판 고정장치가 설치된 데크를 나타낸 개략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받침부재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데크판 고정장치는, 양측에 나란하게 구비된 두 개의 받침부재(1)의 상부에 판형의 데크판(2)을 고정하는 장치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데크판 고정장치는, 데크판(2)에 형성되며 상부에는 자리파기홈(31)이 형성되는 수직 조립홀(3)과, 상기 수직 조립홀(3)에 삽입되는 방수 조립관(4)과, 상기 방수 조립관(4)에 관통되는 나사못(5)을 포함한다.
상기 방수 조립관(4)은 상기 수직 조립홀(3)에 삽입되는 수직관(41)과, 수직관(41)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자리파기홈(31)에 삽입되는 확관부(42)와, 확관부(42)의 상부 둘레에 형성되고 외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자리파기홈(31)의 상부 둘레에 삽입 고정되는 방수용 돌출턱(43)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방수 조립관(4)은 수분에 잘 부식되지 않는 동이나 스테인리스 등과 같은 금속재나 강화플라스틱 등과 같은 합성수지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수용 돌출턱(43)은 데크판(2)으로부터 수직 조립홀(3)로 유입되는 수분을 차단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사못(5)의 체결시 누름 압력으로 인하여 상기 자리파기홈(31)의 상부 둘레에 박힘을 통해 삽입 고정됨으로써, 방수 조립관(4)의 외주면과 수직 조립홀(3)의 내주면의 사이에 수분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상기 나사못(5)은 상기 방수 조립관(4)의 중심으로 관통되어 상기 받침부재(1)에 체결되는 나사축(51)과, 나사축(51)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확관부(42)의 내부에 삽입되는 머리부(52)를 포함한다.
상기 머리부(52)는 하부가 좁고 상부가 넓게 외측 경사면(521)을 가지는 접시머리로 형성되고, 상기 확관부(42)의 하부에는 하부가 좁고 상부가 넓게 형성되어 상기 외측 경사면(521)이 밀착되는 내측 경사면(422)을 가지는 둘레 경사부(421)가 더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둘레 경사부(421)를 통해 나사못(5)을 따라 흘러내리는 수분의 배수를 좀 더 원활하게 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방수 조립관(4)의 높이는 상기 데크판(2)의 높이와 동일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유는, 상기 방수 조립관(4)과 데크판(2)의 높이를 동일하게 함에 따라, 방수 조립관(4)이 데크판(2)에 형성된 수직 조립홀(3)의 내주면을 전체적으로 커버함으로써, 수직 조립홀(3)의 내주면을 전체적으로 방수 할 수 있고 또 수직 조립홀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와 같이, 수직 조립홀(3)의 내주면을 전체적으로 커버하여 수직 조립홀(3)의 내주면을 전체적으로 방수하고 또 내주면의 강성을 대체 보강함으로써 수직 조립홀(3)이 편중되게 썩는 현상을 완전히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받침부재(1)의 상면에는 나사못(5)의 둘레를 따라 하강되는 수분을 외부로 배출하는 다수의 배수홈(11)을 더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배수홈(11)은 배수를 좀 더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하면이 톱니 형태로 하향되게 경사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받침부재(1)의 상면에 배수홈(11)을 더 형성함으로써 나사못(5)을 따라 흘러내리는 수분을 원활하게 배수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받침부재(1)가 썩는 것도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데크판 고정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데크판 고정장치를 구성하는 방수 조립관을 일부 절개한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데크판 고정장치는, 상술한 제1 실시예의 데크판 고정장치의 구성을 모두 포함함을 전제한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데크판 고정장치는, 상기 확관부(42)에 형성되는 상기 둘레 경사부(421)의 내측 경사면(422)에 내측으로 돌출되어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수직형 돌기(423)를 더 포함한다. 이때의 수직형 돌기(423)는 내측 경사면(422)와 높이차를 두도록 형성한 것으로 내측 경사면(422)에 수직형 홈(미도시)을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이에 상기 수직형 돌기(423)의 사이에는 나사못(5)을 따라 하부로 흘러내리는 수분을 하부로 배수하는 배수유로(424)가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둘레 경사부(421)의 내측 경사면(422)에 배수유로(424)를 더 형성함으로써, 나사못(5)의 머리부가 내측 경사면에 완전 밀착하더라도 배수유로(424)을 따라 수분의 배수가 더욱 원활하게 되는 장점이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의 데크판 고정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의 데크판 고정장치를 구성하는 방수커버를 하부에 본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의 데크판 고정장치는, 상술한 제1 실시예의 데크판 고정장치의 구성을 모두 포함함을 전제한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의 데크판 고정장치는, 상기 확관부(42)에 삽입되어 상기 방수 조립관(4)의 상부를 커버하는 방수커버(6)를 더 포함한다.
상기 방수커버(6)는 상부에 위치되고 하면의 둘레가 상기 방수 조립관(4)의 상부와 데크판(2)의 상면에 밀착되며 상면은 중앙이 높은 구형면(611)으로 형성된 원형판(61)과, 상기 원형판(61)의 하부 중앙에 하부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둘레에는 다수의 수직 개방부(621)가 형성된 원통관(62)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방수커버(6)는 상기 원통관(62)의 외주면에 외측으로 돌출되어 수직방향으로 형성되고 하부에는 삽입 경사면(631)이 형성되는 다수의 쐐기형 돌출부(63)를 포함함으로써, 방수커버(6)를 상기 확관부(42)에 좀 더 견고하게 삽입시킬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원통관(62)과 쐐기형 돌출부(63)가 확관부(42)에 삽입되는 것으로, 상기 원통관(62)의 둘레에 형성된 수직 개방부(621)를 통해 상기 원통관(62)의 직경이 축소된 후 확장됨으로써, 상기 원통관(62)과 쐐기형 돌출부(63)가 확관부(42)에 좀 더 견고하게 삽입 고정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방수 조립관(4)의 상부에 형성된 확관부(42)에 방수커버(6)가 견고하게 삽입 고정됨으로써, 데크판(2)에 형성된 수직 조립홀(3)의 수분 침투가 좀 더 방지되는 장점도 있는 것이다.
미설명 부호 7은 야광코팅층을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4 실시예의 데크판 고정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4 실시예의 데크판 고정장치를 구성하는 배수용 절곡와셔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4 실시예의 데크판 고정장치는, 상술한 제1 실시예의 데크판 고정장치의 구성을 모두 포함함을 전제한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제4 실시예의 데크판 고정장치는, 상기 나사못(5)의 머리부(52)와 상기 확관부(42)의 내측 경사면(422)의 사이에 밀착 구비되는 배수용 절곡와셔(7)를 더 포함한다.
상기 배수용 절곡와셔(7)는, 상기 나사못(5)의 머리부(52)와 상기 확관부(42)의 내측 경사면(422)의 사이에 구비되어 나사못(5)을 따라 흘러내리는 수분의 배수를 좀 더 원활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배수용 절곡와셔(7)는 절곡이 가능하게 금속재나 합성수지재의 얇은 판으로 형성되고, 중앙에는 상기 나사축(51)이 관통되는 중앙홀(71)이 형성되며, 둘레에는 상부와 하부 및 외측이 개방된 다수의 배수통로(72)가 방사형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배수용 절곡와셔(7)는 상기 나사못(5)이 체결되는 과정에서, 머리부(52)에 형성된 외측 경사면(521)의 누름을 통해 하부가 좁고 상부가 넓게 절곡되어 상기 외측 경사면(521)과 상기 확관부(42)의 내측 경사면(422)의 사이에 밀착 구비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둘레 경사부(421)의 내측 경사면(422)과 나사못(5)의 머리부(52) 사이에 배수용 절곡와셔(7)가 구비되면, 상기 배수용 절곡와셔(7)의 둘레에 형성되는 다수의 배수통로(72)가 방수 조립관(4)의 확관부(42)와 수직관(41)을 연통되게 연결함으로써, 상기 배수통로(72)에 의해 나사못(5)을 따라 흘러내리는 수분의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제5 실시예의 데크판 고정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제5 실시예의 데크판 고정장치를 구성하는 탄성판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5 실시예의 데크판 고정장치는, 상술한 제1 실시예의 데크판 고정장치의 구성을 모두 포함함을 전제한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제5 실시예의 데크판 고정장치는, 상기 받침부재(1)의 상부와 데크판(2)의 하부 사이에 구비되는 데크판(2)의 완충 역할을 하는 탄성판(8)을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탄성판(8)의 상면에는 나사못(5)의 둘레를 따라 하강되는 수분을 외부로 배출하는 다수의 배수홈(81)을 더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배수홈(81)은 도면에는 미도시 되었으나 배수를 좀 더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하면이 하향되게 경사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받침부재(1)의 상부에 구비되는 탄성판(8)의 상면에 나사못(5)을 따라 흘러내리는 수분을 외부로 배수시키는 배수홈(81)을 더 형성함으로써, 나사못(5)을 따라 흘러내리는 수분이 좀 더 원활하게 배수되는 장점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1 : 받침부재
11 : 배수홈
2 : 데크판
3 : 수직 조립홀
31 : 자리파기홈
4 : 방수 조립관
41 : 수직관
42 : 확관부
421 : 둘레 경사부, 422 : 내측 경사면,
423 : 수직형 돌기, 424 : 배수유로
43 : 방수용 돌출턱
5 : 나사못
51 : 나사축
52 : 머리부
521 : 외측 경사면
6 : 방수커버
61 : 원형판
611 : 구형면
62 : 원통관
621 : 수직 개방부
63 : 쐐기형 돌출부
631 : 삽입 경사면
7 : 배수용 절곡와셔
71 : 중앙홀
72 : 배수통로
8 : 탄성판
81 : 배수홈

Claims (8)

  1. 받침부재(1)의 상부에 데크판(2)을 고정하는 것으로,
    상기 데크판(2)에 형성되며 상부에는 자리파기홈(31)이 형성되는 수직 조립홀(3)과;
    상기 수직 조립홀(3)에 삽입되는 수직관(41)을 가지며, 수직관(41)의 상부에는 상기 자리파기홈(31)에 삽입되는 확관부(42)가 형성되고, 확관부(42)의 상부 둘레에는 외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자리파기홈(31)의 상부 둘레에 삽입 고정되는 방수용 돌출턱(43)이 형성되는 방수 조립관(4)과;
    상기 방수 조립관(4)에 관통되어 상기 받침부재(1)에 체결되는 나사축(51)을 가지며, 나사축(51)의 상부에는 상기 확관부(42)의 내부에 삽입되는 머리부(52)가 형성되는 나사못(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식 목제 데크판 고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부(52)는 하부가 좁고 상부가 넓게 외측 경사면(521)을 가지는 접시머리로 형성되고,
    상기 확관부(42)의 하부에는 하부가 좁고 상부가 넓게 형성되어 상기 외측 경사면(521)이 밀착되는 내측 경사면(422)을 가지는 둘레 경사부(421)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식 목재 데크판 고정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확관부(42)는,
    상기 둘레 경사부(421)의 내측 경사면(422)에 내측으로 돌출되어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고 각각의 사이에는 배수유로(424)가 형성되는 다수의 수직형 돌기(42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식 목재 데크판 고정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절곡이 가능하게 얇은 판으로 형성되고, 중앙에는 상기 나사축(51)이 관통되는 중앙홀(71)이 형성되며, 둘레에는 상부와 하부 및 외측이 개방된 다수의 배수통로(72)가 방사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나사못(5)이 체결되는 과정에서 머리부(52)에 형성된 외측 경사면(521)의 누름을 통해 하부가 좁고 상부가 넓게 절곡되어 상기 외측 경사면(521)과 상기 확관부(42)의 내측 경사면(422)의 사이에 밀착 구비되는 배수용 절곡와셔(7)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식 목재 데크판 고정장치.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 조립관(4)의 높이는 상기 데크판(2)의 높이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식 목재 데크판 고정장치.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확관부(42)에 삽입되어 상기 방수 조립관(4)의 상부를 커버하는 방수커버(6)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방수커버(6)는,
    상부에 위치되고 하면의 둘레가 상기 방수 조립관(4)의 상부와 데크판(2)의 상면에 밀착되며 상면은 중앙이 높은 구형면(611)으로 형성된 원형판(61)과,
    상기 원형판(61)의 하부 중앙에 하부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둘레에는 다수의 수직 개방부(621)가 형성된 원통관(62)과,
    상기 원통관(62)의 외주면에 외측으로 돌출되어 수직방향으로 형성되고 하부에는 삽입 경사면(631)이 형성되는 다수의 쐐기형 돌출부(6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식 목재 데크판 고정장치.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1)는,
    상면에 형성되어 나사못(5)의 둘레를 따라 하강되는 수분을 외부로 배출하는 다수의 배수홈(11)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식 목재 데크판 고정장치.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1)의 상부와 데크판(2)의 하부 사이에 구비되는 탄성판(8)을;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판(8)은,
    탄성판(8)의 상면에 형성되어 나사못(5)의 둘레를 따라 하강되는 수분을 외부로 배출하는 다수의 배수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식 목재 데크판 고정장치.
KR1020130024733A 2013-03-07 2013-03-07 배수식 목재 데크판 고정장치 KR2014011043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4733A KR20140110434A (ko) 2013-03-07 2013-03-07 배수식 목재 데크판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4733A KR20140110434A (ko) 2013-03-07 2013-03-07 배수식 목재 데크판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0434A true KR20140110434A (ko) 2014-09-17

Family

ID=517564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4733A KR20140110434A (ko) 2013-03-07 2013-03-07 배수식 목재 데크판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1043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68704A (zh) * 2017-12-01 2019-06-11 蔡岱君 路地排水工法及路地排水系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68704A (zh) * 2017-12-01 2019-06-11 蔡岱君 路地排水工法及路地排水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134230A1 (en) Roof Attachment Flashing Assembly
KR101689543B1 (ko) 데크보드 조립체
US8087206B1 (en) Roofing tile system
CA2747513A1 (en) Eavestrough cover
KR200413816Y1 (ko) 3중식 루프드레인
US3247632A (en) Skylight construction
KR20140110434A (ko) 배수식 목재 데크판 고정장치
JP5297718B2 (ja) 陸屋根又はベランダの排水構造及びカバー部材
JP2007218034A (ja) 屋根材取付構造
GB2291659A (en) Drain water-intake cover
KR101616500B1 (ko) 옥상 슬라브용 조립식 방수 단열 구조체
JP4961770B2 (ja) 屋外床の二重防水構造
KR200413820Y1 (ko) 루프드레인
KR101130602B1 (ko) 옥상 배수용 드레인
JP5372441B2 (ja) シート防水構造物の改修構造及び改修方法
KR19990018217U (ko) 루프 드레인
KR101672442B1 (ko) 쓰레드 드레인 스커퍼
KR101306629B1 (ko) 건물의 옥상 방수 구조
US20060254155A1 (en) Deck with drainage
JP5089404B2 (ja) 水抜き栓
JP2012077459A (ja) デッキ材用小口キャップ
KR200231559Y1 (ko) 옥상용 드레인 유닛
PL1502998T3 (pl) Element odwadniający i zastosowanie elementu odwadniającego
JPH1072930A (ja) 床の端部水切り構造
JP2003027673A (ja) 板葺き屋根のルーフ材接続部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