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9723A - 바이오디젤 생산 시 생성되는 증류 잔유물을 이용한 수용성 금속 압연유 조성물 - Google Patents

바이오디젤 생산 시 생성되는 증류 잔유물을 이용한 수용성 금속 압연유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9723A
KR20140109723A KR1020130024076A KR20130024076A KR20140109723A KR 20140109723 A KR20140109723 A KR 20140109723A KR 1020130024076 A KR1020130024076 A KR 1020130024076A KR 20130024076 A KR20130024076 A KR 20130024076A KR 20140109723 A KR20140109723 A KR 201401097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ing oil
oil composition
soluble metal
metal rolling
water solu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40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광순
심재철
김기호
안경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하우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하우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하우톤
Priority to KR10201300240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09723A/ko
Publication of KR201401097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97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69/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containing as components a mixture of at least two types of ingredient selected from base-materials, thickeners or additives,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each of these compounds being essential
    • C10M169/04Mixtures of base-materials and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05/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base-material being a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
    • C10M105/02Well-defined hydrocarb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29/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 being a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 containing oxygen
    • C10M129/02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 being a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 containing oxygen having a carbon chain of less than 30 atoms
    • C10M129/68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30/00Specified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which is improved by the additive characterising the lubricating composition, e.g. multifunctional additives
    • C10N2030/04Detergent property or dispersant property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30/00Specified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which is improved by the additive characterising the lubricating composition, e.g. multifunctional additives
    • C10N2030/10Inhibition of oxidation, e.g. anti-oxida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30/00Specified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which is improved by the additive characterising the lubricating composition, e.g. multifunctional additives
    • C10N2030/12Inhibition of corrosion, e.g. anti-rust agents or anti-corros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40/00Specified use or application for which the lubricating composition is intended
    • C10N2040/20Metal working
    • C10N2040/24Metal working without essential removal of material, e.g. forming, gorging, drawing, pressing, stamping, rolling or extruding; Punching meta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ubricants (AREA)

Abstract

금속의 압연 과정에서 사용되는 금속 압연유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바이오디젤 생산 시 생성되는 증류잔유물 및 첨가제를 포함하는 수용성 금속 압연유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바이오디젤 생산 시 생성되는 증류 잔유물을 이용한 수용성 금속 압연유 조성물{COMPOSITION OF WATER SOLUBLE METAL ROLLING OIL USED DISTILLED DREGS COME FROM BIO DIESEL PRODUCTION}
금속의 압연 과정에서 사용되는 금속 압연유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바이오디젤 생산 시 생성되는 증류잔유물 및 첨가제를 포함하는 수용성 금속 압연유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금속 압연유(metal rolling oil)는 금속의 압연 과정에서 발생하는 열을 냉각함과 동시에 워크롤과 금속 소재 사이의 롤 바이트 내로 침투하여 윤활 작용을 하는 유제를 말한다. 알루미늄 열간압연, 철강 열간 및 냉간 압연 과정에서는 특별히 다량의 열이 발생하기 때문에 냉각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수용성 금속 압연유가 사용된다. 통상 수용성 금속 압연유는 물에 유화 분산시켜 0.1 내지 10부피% 정도의 유화 분산액 또는 에멀젼으로 하여 사용된다.
이 유화 분산액은 일반적으로 쿨런트(coolant)라고 하며, 노즐을 통하여 워크롤 및 금속판에 공급 분사되어 사용된다. 이렇게 분사된 쿨런트의 일부는 고온의 롤과 금속 판 위에서 물과 기름으로 분리되는 플레이트아웃(Plate out) 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분리된 물은 수증기의 형태로 증발하면 냉각성을 극대화 시키고 분리된 기름은 롤바이트 내에서 윤활작용을 거친 후 일부는 증발하고 일부는 순환탱크로 되돌아 온다.
작업롤 또는 금속판에 대한 윤활유의 부착량(플레이트아웃 량)은 수용성 금속 압연유의 유화 분산상태에 의해 지대한 영향을 받는다. 일반적으로, 유화분산입자의 직경이 클수록 플레이트 아웃이 좋아지고, 그에 따라 윤활성이 향상된다. 또한, 압연가공에 있어 윤활성의 변동은 압연작업에 극도로 지장을 초래하므로 윤활성의 안정성은 중요하다. 그러나 쿨런트를 탱크 내에 저장하고 이를 순환 사용하는 동안에 수용성 금속 압연유의 유화분산상태가 변화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일정한 유화분산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어렵다. 이로 인해 윤활성이 변동되어 작업안정성에 극심한 지장을 가져온다.
압연 기술의 진보에 따라 압연 속도가 고속화되고 압하량(reduction, draft)의 증가에 의한 압연 작업 효율의 개선이 장려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수용성 금속 압연유에 대해 훨씬 더 우수한 고온 고압에서의 윤활성과 플레이트 아웃성을 요구 받고 있다. 유화안정성 및 플레이트 아웃성이 우수한 금속 압연유 조성물로서 하기의 선행기술문헌의 금속 압연유 조성물을 들 수 있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0001)
공개번호 10-2012-0039627
그러나 최근 금속 압연 공장에서는 까다로워진 고객의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생산 코일의 두께 편차가 최소화되고, 폭 방향의 품질이 균일해야하는 등의 정밀 압연이 가능해질 것이 요구될 뿐만 아니라, 압연 과정 중에 발생하는 수증기와 압연기 주위에 침적되는 스컴(Scum, 금속파우더+압연유 성분)등이 압연 작업자들의 피부 또는 호흡기를 통해 접촉될 수 있기 때문에 여기에 분포하게 되는 압연유의 성분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이 최소화 될 것이 요구된다.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다양한 베이스오일이 사용되기도 하지만, 산화안정성이 떨어지고 유동점이 너무 높기 때문에 압연유에 적용하는 과정에서 많은 문제점이 도출되었다. 최근에 식물성 오일에 합성 에스테르를 혼합한 압연유가 많이 사용되고 있지만, 식물성 오일의 평균 분자량이 작은 것을 보상하기 위해 평균 분자량이 큰 합성 에스테르의 사용량이 증가하다 보니 정밀 압연에 필요한 균일한 윤활성과 적정한 윤활성을 확보하는데 한계가 있고 합성 에스테르는 친환경성과 부합하지 않는 문제가 도출되었다.
따라서, 최근 전 세계적으로 환경 보호의 중요성 및 작업자들에 대한 건강과 안전에 대한 관심이 늘어감에 따라 윤활기유 및 합성 첨가물을 대체할 친환경성 수용성 금속 압연유에 대한 연구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유효 성분으로서 바이오 디젤 생산 시 생성되는 증류 잔유물을 포함하는 수용성 금속 압연유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생분해성이 우수하고, 유독성이나 생태학적 독성이 적고, 윤활성의 균일성이 뛰어난 친환경성 수용성 금속 압연유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균일한 윤활성을 갖는 친환경성 수용성 금속 압연유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용성 금속 압연유 조성물은, 바이오디젤 생산 시 생성되는 증류잔류물, 및 첨가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증류잔유물은, 채종유, 대두유, 팜유, 야자유, 유채유, 쌀겨 및 폐식용유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로부터 바이오디젤을 생성하는 과정에서의 증류잔유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증류잔유물은, 상기 수용성 금속 압연유 조성물 중 2 내지 85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첨가제는, 산화방지제, 계면활성제 및 부식방지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일 수 있고, 상기 산화방지제는 상기 수용성 금속 압연유 조성물 중 0.5 내지 3 중량%이고, 상기 계면활성제는 상기 수용성 금속 압연유 조성물 중 0.5 내지 15 중량%이고, 상기 부식방지제는 상기 수용성 금속 압연유 조성물 중 0.5 내지 5 중량%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0.01 내지 25 중량%의 합성 에스테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금속 압연유 조성물은 철강 냉간 압연유 조성물일 수 있고, 상기 철강 냉간 압연유의 pH 는 4 내지 7 이고, 검화가는 160 내지 210 mg KOH/g이고, 상기 산가는 4 내지 20 mg KOH/g이고, 유동점은 10 ℃ 이하이고, 평균 입경은 4 내지 10 um이며, ESI는 60 내지 100 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금속 압연유 조성물은 철강 열간 압연유 조성물일 수 있고, 상기 철강 열간 압연유의 동점도는 50 내지 250 mm2/sec이고, 전산가는 4 내지 20 mg KOH/g이고, 검화가는 50 내지 150 mg KOH/g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금속 압연유 조성물은 알루미늄 열간 압연유 조성물일 수 있고, 상기 알루미늄 열간 압연유 조성물의 pH 는 7.5 내지 8.8 이고, 점도는 50 내지 130 cSt이고, 유리 지방산(FFA)은 10 내지 30 %이며, 총 알칼리도(TA)는 0.5 내지 2.0 % as KOH 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유효 성분으로서 바이오 디젤을 생산 시 생성되는 증류 잔유물을 포함함으로써 자원 재활용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수용성 금속 압연유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생분해성이 우수하고, 유독성이나 생태학적 독성이 적고, 균일한 윤활성을 제공하는 친환경성 수용성 금속 압연유 조성물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수용성 철강 열간 압연유 조성물의 윤활성능 팀켄 테스트 데이터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수용성 알루미늄 열강 압연유 조성물의 윤활성능 Falex Pin & Vee Block 테스트 데이터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용성 금속 압연유 조성물은, 바이오디젤 생산 시 생성되는 증류잔류물 및 첨가제를 포함한다.
바이오디젤이란 식물이나 동물에 있는 지방성분을 경유와 비슷한 물성을 갖도록 가공하여 경유를 대체하거나 경유에 혼합하여 디젤엔진에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든 대체에너지이다. 바이오디젤은 일반적으로 식물성유지(쌀겨, 폐식용유, 대두유, 유채유 등)와 알코올(보통 메탄올)을 반응시켜 만든 지방산 메틸 에스테르를 말하며 순도가 95 % 이상인 것을 지칭한다(산자부 고시 제2000-57호).
바이오디젤의 가장 큰 장점은 연소 후 뿜어져 나오는 매연을 저감 시킬 수 있다는 점이다. 바이오디젤이 온실가스인 CO2를 배출하지 않는 것은 아니지만, 공정의 전 주기(생산부터 소비까지 전체적인 관점에서 보는 것)에서 볼 때 CO2의 산출량이 아주 낮으며 황산화물(SOx)과 입자상물질(PM)도 다소 적게 배출한다. 식물자원에서 생산되므로 국내에서 자체 생산할 수 있어 에너지 안보차원에서도 장점이 있으며, 폐식용유 등 폐자원의 활용으로 환경오염 저감의 효과가 있다. 또한 인프라 측면에서도 대젤 엔진이나 주유소 유통망을 사용할 수 있어서 추가적인 소요 비용이 없다는 점도 장점으로 꼽히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경유나 휘발유를 대체하기에는 여러 가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자동차 배출가스의 유해물질 저감을 위해서는 바이오디젤의 배합비율이 높아져야 하는데 바이오디젤은 엔진을 부식 시키는 특성이 있어서 엔진의 고장을 유발할 수 있으며, 오래 저장하는 경우 변질되는 문제가 있다. 이런 이유로 식물유 메틸에스테르를 자동차 연료유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좀더 높은 순도의 제품이 필요로 하기 때문에 메틸에스테르 반응 후 별도의 감압증류 공정을 거친다. 감압 증류조건은 2 내지 3 torr, max 240 ℃ 정도로 수행을 한다. 감압증류 후 증류물은 바이오디젤 연료유로 사용되고, 10 % 정도의 증류 잔유물은 폐기처분된다. 그러나, 이러한 바이오디젤 생산 시 생성되는 증류잔유물도 식물유의 반응물로 에스테르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친환경 윤활기유로 사용이 가능하다. 특히 저비점 즉 분자량이 작은 에스테르가 증류 과정에서 대부분 증발되기 때문에 이 잔유물의 점도는 팜유나 야자유에 비해 높고, 좀 더 정밀하게는 에스테르의 분자량 분포도가 더 조밀하다는 특징이 있다. 이것은 수용성 압연유가 필요로 하는 균일한 윤활특성과 부합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바이오디젤 생산 시 생성되는 증류잔유물은, 채종유, 대두유, 팜유, 야자유, 유채유, 쌀겨 및 폐식용유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에서 생성되는 바이오디젤의 증류잔유물이 될 수 있다. 바이오디젤을 제조할 수 있는 식물성유지의 지방산 조성은 하기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1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증류잔유물은 상기 수용성 금속 압연유 조성물 중 2 내지 85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증류잔유물이 2 중량%보다 낮게 포함되면 균일한 윤활성을 확보하는데 문제가 있을 수 있고, 85 중량%보다 높게 포함되면 고온(165℃ 이상)에서의 열안정성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첨가제는, 산화방지제, 계면활성제 및 부식방지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일 것이고, 상기 산화방지제는 상기 수용성 금속 압연유 조성물 중 0.5 내지 3 중량%이고, 상기 계면활성제는 상기 수용성 금속 압연유 조성물 중 0.5 내지 15 중량%이고, 상기 부식방지제는 상기 수용성 금속 압연유 조성물 중 0.5 내지 5 중량% 일 것이다.
산화방지제가 0.5 중량%보다 낮게 포함되면 산화방지 효과가 충분히 발휘되지 않는 문제가 있을 수 있고, 3 중량%보다 높게 포함되면 비용 문제가 있을 수 있고, 계면활성제가 0.5 중량%보다 낮게 포함되면 유화불안정의 문제가 있을 수 있고, 15 중량%보다 높게 포함되면 윤활성 부족의 문제가 있을 수 있고, 부식방지제가 0.5 중량%보다 낮게 포함되면 부식방지효과가 충분히 발휘되지 않는 문제가 있을 수 있고, 5 중량%보다 높게 포함되면 비용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산화방지제는 알킬화다이페닐아민, 페닐-알파-나프틸아민, 알키화-알파-나프틸아민 등의 아민계, 2,6-다이-t-뷰틸-p-크레졸 등의 폐놀계 또는 이둘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라우릴알콜, 올레일알콜 등의 에톡시화물,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 또는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등의 에스테르, 고분자 유화제인 Hypermer A 70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술폰산염, 올레인산아민염, 톨오일아민염, 올레인산아민 및 톨오일아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식방지제는 중성 알카리 금속, 알칼리 토금속 설포네이트 및 톨리트리아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수용성 금속 압연유는, 극압첨가제, pH 향상제 및 방청첨가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극압첨가제는 황화돈지, 황화피마자유, 디알칼펜타설파이드, Zn-DTP 및 인산에스테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pH 향상제는 모노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모노이소프로판올아민, 디이소프로판올아민, 트리이소프로판올아민, 아미노메틸프로판올아민 및 디글리콜아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0.01 내지 25 중량%의 합성 에스테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합성 에스테르의 함량이 25 중량%를 초과하면 친환경성에 부합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합성 에스테르는 유성향상제로서, 글리세롤과 지방산으로 합성된 모노, 디, 트리 에스테르, 네오펜틸글리콜, 트리메틸올프로판, 펜타에리트리톨 등의 다가 알코올과 지방산으로 합성된 모노, 디, 트리, 테트라 에스테르로 대변되는 합성 에스테르, 및 팜유 또는 우지에서 분리된 지방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동식물의 유지도 유성향상제로 사용될 수 있다. 수용성 압연유 조성물에서 유성제의 점도에 관해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평균 분자량 분포에 있어 차이가 큰 유성제를 혼합하여 사용할 경우 정밀한 압연기에서 원하는 균일한 윤활성을 확보하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평균 분자량 분포에 있어서 차이가 크지 않는 유성향상제를 혼합하여 사용하여, 정밀한 압연기에서 원하는 균일한 윤활성을 갖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수용성 금속 압연유 조성물은 철강 냉간 압연유 조성물일 수 있고, 상기 철강 냉간 압연유의 pH 는 4 내지 7 이고, 검화가는 160 내지 210 mg KOH/g이고, 상기 산가는 4 내지 20 mg KOH/g이고, 유동점은 10 ℃ 이하이고, 평균 입경은 4 내지 10 um이며, ESI는 60 내지 100 인 것일 수 있다.
철강 냉간 압연유 조성물의 pH가 4 보다 낮으면 부식 문제가 있을 수 있고, pH가 7 보다 높으면 윤활부족의 문제가 있을 수 있고, 산가가 4 mg KOH/g 보다 낮으면 윤활부족 문제가 있을 수 있고, 20 mg KOH/g 보다 높으면 표면오염 문제가 있을 수 있고, 유동점이 10 ℃ 보다 높으면 압연기 오염 문제가 있을 수 있고, 평균 입경이 4 um 보다 작으면 윤활부족 문제가 있을 수 있고, 10 um 보다 크면 유화불안정 및 이로 인한 원단위 상승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수용성 금속 압연유 조성물은 철강 열간 압연유 조성물일 수 있고, 상기 철강 열간 압연유의 동점도는 50 내지 250 mm2/sec이고, 전산가는 4 내지 20 mg KOH/g이고, 검화가는 50 내지 150 mg KOH/g인 것일 수 있다.
철강 열간 압연유 조성물의 동점도가 50 mm2/sec 보다 낮으면 윤활부족으로 인한 Heat Scratch 문제가 있을 수 있고, 250 mm2/sec 보다 높으면 압연기 오염 및 Slip 문제가 있을 수 있고, 전산가가 4 mg KOH/g 보다 낮으면 윤활부족으로 인한 Heat Scratch 문제가 있을 수 있고, 20 mg KOH/g 보다 높으면 압연기 오염 문제가 있을 수 있으며, 검화도가 50 mg KOH/g 보다 낮으면 윤활부족으로 인한 Heat Scratch 문제가 있을 수 있고, 150 mg KOH/g 보다 높으면 Slip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수용성 금속 압연유 조성물은 알루미늄 열간 압연유 조성물일 수 있고, 상기 알루미늄 열간 압연유 조성물의 pH 는 7.5 내지 8.8 이고, 점도는 50 내지 130 cSt이고, 유리 지방산(Free Fatty Acid, FFA)는 10 내지 30 %이며, 총 알칼리도(Total Alkalinity, TA)는 0.5 내지 2.0 % as KOH 인 것일 수 있다.
알루미늄 열강 압연유 조성물의 pH가 7.5 보다 낮으면 박테리아 증식 문제가 있을 수 있고, pH가 8.8 보다 높으면 윤활부족으로 인한 Herring Bone 또는 Pick Up 문제가 있을 수 있고, 점도가 50 cSt 보다 낮으면 윤활부족으로 인한 Herring Bone 또는 Pick Up 문제가 있을 수 있고, 점도가 130 cSt 보다 높으면 Bite Refusal 또는 Slip 문제가 있을 수 있고, FFA가 10 % 보다 낮으면 광택저하 문제가 있을 수 있고, 30 % 보다 높으면 표면오염 문제가 있을 수 있으며, TA가 0.5 % as KOH 보다 낮으면 유화불안정 및 박테리아 문제가 있을 수 있고, 2.0 % as KOH 보다 높으면 윤활부족의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이하 몇 가지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설명을 위한 예시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및 비교예 1 : 수용성 철강 냉간 압연유 조성물의 제조
40 ℃의 동점도가 40cSt 내지 60cSt에 속하는 압연유를 표 1에 나타낸 양으로 배합함으로써 수용성 철강 냉간 압연유 조성물을 제조하였고, 이의 성능 테스트 결과를 나타내었다. 표 1에 나타난 것과 같이 비교예 1은 바이오디젤 증류잔유물을 포함하지 않는다.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3

상기와 같이 제조된 수용성 철강 냉간 압연유 조성물의 성상을 하기의 표 2 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4
또한 상기와 같이 제조된 수용성 철강 냉간 압연유 조성물의 Pilot Test 결과를 하기의 표 3에 나타내었다[Work Roll 지름: 76mm, 시험편:SPCC-SB(0.8X30mm), 패스횟수: 3PASS(0.8→0.2mm), 압연속도: 100mpm, 압연거리:25m, 농도:2 %, 온도: 50℃].
Figure pat00005
실시예 2 및 비교예 2 : 수용성 철강 열간 압연유 조성물의 제조
하기의 표 4 에 나타낸 양으로 배합함으로써 수용성 철강 열간 압연유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수용성 철강 열간 압연유 조성물의 성상을 하기의 표 5 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7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수용성 철강 열간 압연유 조성물의 윤활성능 팀켄 테스트 데이터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윤활성능 팀켄 테스트에서 윤활 장비는 팀켄 윤활 장비이고, 시험 롤은 HSS이고, 시험편은 SS-41이고, 온도는 900 ℃이고, 하중은 40 kgf이고, 속도는 25 m/min이고, Mixing액 농도는 0.8%(워터인젝션 도포)이다. 도 1을 살펴보면, 바이오디젤 증류 잔유물이 포함되지 않는 수용성 철강 열간 압연유 조성물 (비교예 2로 표시)보다, 전 시간대에 걸쳐서 실시예 2-1 내지 2-4의 조성물이 마찰계수가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의 조성물의 윤활성이 더 뛰어남을 알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수용성 철강 열간 압연유 조성물의 부착 성능 테스트 데이터를 하기의 표 6 에 나타내었다. 이를 통하여, 본 실시예에 의해 제조된 수용성 철강 열강 압연유 조성물의 부착 성능이, 비교예 2에 비해 뛰어남을 알 수 있습니다.
Figure pat00008
실시예 3 및 비교예 3 : 수용성 알루미늄 열간 압연유 조성물의 제조
하기의 표 7 에 나타낸 양으로 배합함으로써 수용성 알루미늄 열간 압연유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Figure pat00009
Figure pat00010

상기와 같이 제조된 수용성 알루미늄 열간 압연유 조성물의 성상을 하기의 표 8 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11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수용성 알루미늄 열강 압연유 조성물의 윤활성능 Falex Pin & Vee Block 테스트 데이터를 나타낸 것으로서, 바이오디젤 증류 잔유물이 포함되지 않는 수용성 알루미늄 열강 압연유 조성물 (비교예 3) 과 상기에 나타낸 본원 발명의 실시예의 조성물이 윤활성에서 동등하거나 보다 높은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를 통하여,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수용성 알루미늄 열강 압연유 조성물이 친환경적인 특성 및 균일한 윤활성을 확보하면서도 동시에 종래의 바이오디젤 증류 잔유물을 포함하지 않는 조성물과 동등이상의 윤활성 및 안정성 등이 확보되는 것을 알 수 있다.

Claims (8)

  1. 바이오디젤 생산 시 생성되는 증류잔유물, 및 첨가제를 포함하는, 수용성 금속 압연유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류잔유물은, 채종유, 대두유, 팜유, 야자유, 유채유, 쌀겨 및 폐식용유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로부터 바이오디젤을 생성하는 과정에서의 증류잔유물인, 수용성 금속 압연유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류잔유물은, 상기 수용성 금속 압연유 조성물 중 2 내지 85 중량%로 포함되는 것인, 수용성 금속 압연유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는, 산화방지제, 계면활성제 및 부식방지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이고,
    상기 산화방지제는 상기 수용성 금속 압연유 조성물 중 0.5 내지 3 중량%이고, 상기 계면활성제는 상기 수용성 금속 압연유 조성물 중 0.5 내지 15 중량%이고, 상기 부식방지제는 상기 수용성 금속 압연유 조성물 중 0.5 내지 5 중량%인, 수용성 금속 압연유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0.01 내지 25 중량%의 합성 에스테르를 더 포함하는, 수용성 금속 압연유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압연유 조성물은 철강 냉간 압연유 조성물이고,
    pH 는 4 내지 7 이고, 검화가는 160 내지 210 mg KOH/g이고, 산가는 4 내지 20 mg KOH/g이고, 유동점은 10 ℃ 이하이고, 평균 입경은 4 내지 10 um이며, ESI는 60 내지 100 인, 수용성 금속 압연유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압연유 조성물은 철강 열간 압연유 조성물이고,
    동점도는 50 내지 250 mm2/sec이고, 전산가는 4 내지 20 mg KOH/g이고, 검화가는 50 내지 150 mg KOH/g인, 수용성 금속 압연유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압연유 조성물은 알루미늄 열간 압연유 조성물이고,
    pH 는 7.5 내지 8.8 이고, 점도는 50 내지 130 cSt이고, 유리 지방산(FFA) 은 10 내지 30 %이며, 총 알칼리도(TA)는 0.5 내지 2.0 % as KOH 인, 수용성 금속 압연유 조성물.
KR1020130024076A 2013-03-06 2013-03-06 바이오디젤 생산 시 생성되는 증류 잔유물을 이용한 수용성 금속 압연유 조성물 KR2014010972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4076A KR20140109723A (ko) 2013-03-06 2013-03-06 바이오디젤 생산 시 생성되는 증류 잔유물을 이용한 수용성 금속 압연유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4076A KR20140109723A (ko) 2013-03-06 2013-03-06 바이오디젤 생산 시 생성되는 증류 잔유물을 이용한 수용성 금속 압연유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9723A true KR20140109723A (ko) 2014-09-16

Family

ID=517561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4076A KR20140109723A (ko) 2013-03-06 2013-03-06 바이오디젤 생산 시 생성되는 증류 잔유물을 이용한 수용성 금속 압연유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0972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09652C (en) High temperature biobased lubricant compositions comprising boron nitride
CN101434886B (zh) 一种用于十二辊可逆轧机的轧制油组合物
CN105038926B (zh) 纯阳离子带钢冷轧油
CN102746924B (zh) 一种铝热轧油
JP4829830B2 (ja) 鍛造用油性潤滑剤、鍛造方法及び塗布装置
KR100750394B1 (ko) 바이오 디젤 생산 시 생성되는 증류 잔류물을 이용한수용성 금속가공유 조성물
CN102719306A (zh) 绿色微乳型金属切削液及其制备方法
CN102977974A (zh) 热轧润滑油组合物及其用途
CN106800963B (zh) 一种水溶油金属切削液原料及金属切削液
CN104073321A (zh) 一种微乳化切削液、切削稀释液及其制备和使用方法
CN105602674B (zh) 可生物降解轧制乳化油组合物及用途
KR100611735B1 (ko) 식물성 오일, 합성 에스테르, 식물유 메틸에스테르를이용하고 아민류를 사용하지 않은 수용성 절삭유 조성물
US20060035794A1 (en) Triglyceride based lubricant
JP3386927B2 (ja) 金属加工油剤原液組成物および金属加工油剤組成物
KR20080014789A (ko) 질화 붕소를 포함하는 고온 생물학적 윤활제 조성물
KR20140109723A (ko) 바이오디젤 생산 시 생성되는 증류 잔유물을 이용한 수용성 금속 압연유 조성물
CN108728230A (zh) 汽轮机润滑油组合物
JP7198487B2 (ja) アルミニウム用熱間圧延油組成物及びアルミニウムの熱間圧延方法
CN108913302A (zh) 一种发动机用润滑油及其制备方法
JP3527054B2 (ja) 金属加工油組成物
CN102925249B (zh) 金属轧制油高分子多元酸添加剂及制备方法
JP5356886B2 (ja) 圧延油
CN112662459A (zh) 一种应用于冷轧退火窄带钢板的轧制油及其制备方法
JPH0221437B2 (ko)
JP3386915B2 (ja) 圧延油剤原液組成物および圧延油剤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