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9636A - 포장박스 제조장치 하역가이드의 고정유닛 - Google Patents

포장박스 제조장치 하역가이드의 고정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9636A
KR20140109636A KR1020130023832A KR20130023832A KR20140109636A KR 20140109636 A KR20140109636 A KR 20140109636A KR 1020130023832 A KR1020130023832 A KR 1020130023832A KR 20130023832 A KR20130023832 A KR 20130023832A KR 20140109636 A KR20140109636 A KR 201401096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loading guide
loading
packaging box
guide
suppor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38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치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청용산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청용산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청용산기
Priority to KR10201300238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09636A/ko
Publication of KR201401096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96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02Feeding or positioning sheets, blanks or webs
    • B31B50/04Feeding sheets or blanks
    • B31B50/06Feeding sheets or blanks from st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02Feeding or positioning sheets, blanks or webs
    • B31B50/022Holders for feeding or positioning blanks or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02Feeding or positioning sheets, blanks or webs
    • B31B50/04Feeding sheets or blanks

Landscapes

  • Making Paper Articles (AREA)

Abstract

하역가이드를 지탱하는 하나 이상의 지지구동롤러의 각각의 양단부에 한 쌍의 고정판을 설치하고 지지구동롤러의 축선상으로 구동축을 설치하여 외부의 동력원으로 지지구동롤러를 구동시켜 하역가이드를 흔들림 없이 지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박스 제조장치 하역가이드의 고정유닛이 개시된다.
상기 하역가이드의 고정유닛은 상기 하역가이드를 흔들림 없이 고정하여 스티치부에서 스테이플러 등의 체결수단이 반제품박스의 겹쳐진 부분에 정확하게 결속되도록 하여 단순한 방식으로 스티칭 공정에서의 불량률을 최소화하면서도 별도의 장치가 필요하지 않아 경제적이고 설비가 간단하며 포장박스의 겉면에 장치가 접촉하지 않아 상기 포장박스의 겉면에 프린팅된 글자 또는 그림에 손상이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포장박스 제조장치 하역가이드의 고정유닛{Hold-up apparatus for packaging box manufacturing apparatus}
본 발명은 포장박스 제조장치에서 일단 및 타단의 끝부분이 겹치도록 접혀진 반제품박스를 스테이플러 등의 체결수단으로 고정하는 스티치부로 안내하는 하역 가이드의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역가이드를 지탱하는 하나 이상의 지지구동롤러의 각각의 양단부에 한 쌍의 고정판을 설치하고 지지구동롤러의 축선상으로 구동축을 설치하여 외부의 동력원으로 지지구동롤러를 구동시켜 하역가이드를 흔들림 없이 지지하도록 하여 스티치부에서 스테이플러 등의 체결수단이 반제품박스의 겹쳐진 부분에 정확하게 결속되도록 하여 단순한 방식으로 스티칭 공정에서의 불량률을 최소화할 수 있는 포장박스 제조장치 하역가이드의 고정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포장박스를 제조하는 방법은, 일정한 크기로 재단되어 전개된 박스부재를 한 장씩 공급하는 공급공정과, 전개된 박스부재의 일단 및 타단의 끝부분이 서로 겹치도록 접는 공정과, 겹처진 부분을 철핀을 통해 연결하는 스티칭 공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의 다수 공정 중 종래의 스티칭 공정은 통상의 스티칭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데, 종래의 스티칭 장치는 통상의 스테이플러와, 일단 및 타단의 끝부분이 겹치도록 접혀진 반제품의 박스부재를 스테이플러 측으로 안내하는 하역가이드로 이루어진다. 즉, 전개된 상태로 공급된 박스부재는 하역가이드의 하부 측으로 안내된 후, 일단 및 타단이 하역가이드의 상부 측으로 끝부분이 서로 겹치도록 접혀지게 되고, 이렇게 접혀진 반제품의 박스부재는 스테이플러 측으로 안내된 후, 스테이플러의 철핀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그런데 전술한 스티칭 공정은 하나의 스테이플러로 스티칭 공정을 수행하기 때문에 박스 생산량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2개의 스테이플러를 구비하여 스티칭 공정을 수행하는 포장박스 제조장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상기 2개의 스테이플러를 사용한 포장박스 제조장치의 하역가이드는 제1스테이플러를 통과한 반제품박스의 진행에 간섭되지 않기 위해서 하역가이드의 선단부분만이 제1스테이플러의 전면에 매달리도록 결합되기 때문에 제2스테이플러에 인접한 하역가이드의 후단부분은 상하 또는 좌우로 흔들림이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흔들림으로 인하여 제2스테이플러의 철핀이 정확한 위치에 결속되지 못하거나 철핀의 하부가 절곡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출원인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내되는 반제품박스의 진행에 간섭되지 않도록 제1스테이플러 및 제2스테이플러 사이에 한 쌍의 지지플레이트를 설치하고,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사이에 다수의 탄성지지부재를 설치하여 하역가이드가 좌우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하역가이드가 자중에 의해 처지는 것을 방지하는 다수의 지지롤러를 설치한 포장박스 제조장치용 스티칭 장치에 있어서의 하역가이드 지지유닛을 특허 제 10-1106162호에서 개시한 바 있다.
도 1은 상기 특허의 하역가이드 지지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서 하역가이드(20)는 하단의 다수의 지지롤러(130)에 의해 지지되어 하역가이드가 자중에 의해 처지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하역가이드(20)의 상단에 수평하게 한 쌍의 지지플레이트(110)가 설치되고 상기 지지플레이트(110)의 사이에 다수의 탄성지지부재(120)가 연결되는데 상기 각각의 탄성지지부재(120)의 하단으로는 상기 각각의 탄성지지부재(120)를 축으로 위아래로 회전할 수 있는 탄성지지편(124)가 상기 각각의 탄성지지부재(120)의 하단에 부착되어 상기 하역가이드(20)를 고정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하역가이드(20)는 상기 각각의 탄성지지편(124)의 하단에 형성된 삽입홈(126)에 의해 파지되어 고정되기 때문에 상기 하역가이드(20)의 수평흔들림을 방지하게 된다.
하지만 본 출원인이 상기 특허를 실시해 본 결과 몇가지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첫째로, 상기 특허의 경우 다수의 탄성지지부재(120)의 하단에 설치되는 탄성지지편(124)에 의해 하역가이드(20)를 고정시키게 되는데 상기 탄성지지편(124)이 하역가이드(20)에 올려져 있는 포장박스의 겉면에 직접 접촉하여 상기 포장박스의 겉면에 프린트된 사진 또는 글씨 등에 손상을 입힐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둘째로, 상기 특허의 경우 다수의 탄성지지부재(120)의 하단에 다수의 탄성지지편(124)을 설치하고, 또한 상기 탄성지지부재(120)를 지탱하기 위해 한 쌍의 지지플레이트(110)를 추가로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비경제적이며 구성이 복잡하다는 문제가 발견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하역가이드를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지지구동롤러의 양단부에 고정판을 설치하여 상기 하역가이드의 좌우 흔들림을 방지하면서도 별도의 설비가 필요하지 않아 포장박스에 손상을 입히지 않으며 경제적으로 상기 하역가이드를 고정시킬 수 있는 포장박스 제조장치 하역가이드의 고정유닛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포장박스 제조라인의 하역가이드의 하면에는 상기 하역가이드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하역가이드를 지탱하는 하나 이상의 원통형 지지구동롤러를 설치한다.
상기에서, 상기 지지구동롤러는 하역가이드를 지탱하는 롤러본체; 상기 롤러본체의 양단부에 고정되어 설치되는 한 쌍의 고정판; 상기 롤러본체의 축선상에 연장되도록 설치되는 구동축; 으로 구성되도록 한다.
상기에서, 상기 지지구동롤러의 구동축은 외부의 동력원과 연결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하역가이드를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지지구동롤러를 통해 상기 하역가이드의 수직움직임과 수평움직임을 동시에 제어함으로써 별도의 장치가 필요하지 않아 경제적이고 설비가 간단하며 포장박스의 겉면에 장치가 접촉하지 않아 상기 포장박스의 겉면에 프린팅된 글자 또는 그림에 손상이 없는 포장박스 제조장치 하역가이드의 고정유닛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포장박스 제조장치의 하역가이드 고정유닛을 도시한 사시도.
도 2은 본 발명의 포장박스 제조장치 하역가이드의 고정유닛을 도시한 사시도.
이하에서는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은 본 발명의 이해와 실시를 돕기 위한 것이지 본 발명을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당업자들은 이하의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포장박스 제조장치 하역가이드의 고정유닛(10)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기 하역가이드(1)는 제1스테이플러(도시되지 않음)와 제2스테이플러(도시되지 않음)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하역가이드(1) 위로 포장박스(A)가 접혀진 상태로 상기 하역가이드(1)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하역가이드(1)를 밑에서 지지하고 있는 것은 하나 이상의 원통형의 지지구동롤러(2)로 상기 하역가이드(1)를 지지하여 상기 하역가이드(1)의 수직 흔들림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지지구동롤러(2)의 양단부에는 한 쌍의 고정판(3a, 3b)이 부착되며 상기 하역가이드(1)는 상기 한 쌍의 고정판(3a, 3b) 사이로 지나가게 되어 상기 하역가이드(1)의 수평 흔들림을 방지한다.
이때 상기 한 쌍의 고정판(3a, 3b)은 상기 지지구동롤러(2) 하나 당 한 쌍 이상 부착될 수도 있으며 필요에 따라 모양을 변형시켜 부착할 수도 있되, 상기 한 쌍의 고정판(3a, 3b)의 왼쪽고정판(3a)의 우측 상단 모서리와 오른쪽고정판(3b)의 좌측 상단 모서리에는 비스듬하게 경사가 지도록 깎아서 제작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구동롤러(2) 양쪽으로는 상기 지지구동롤러(2)의 축선상으로 연장되어 이어지도록 구동축(4)이 설치되며 상기 구동축(4)에는 동력모터(도시되지 않음)가 연결되어 상기 동력모터(도시되지 않음)가 가동하여 상기 구동축(4)에 회전 동력을 전달하면 상기 구동축(4)이 회전하면서 동시에 상기 구동축(4)과 결합 설치된 상기 지지구동롤러(2)가 회전하게 된다.
하기에는 상기의 하역가이드 고정유닛(10)의 작동에 관해 간략히 설명한다.
상기 접혀진 포장박스(A)는 제1스테이플러(도시되지 않음)에서 일부분이 연결된 상태로 상기 하역가이드(1)를 따라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포장박스(A)를 이동시키는 수단은 컨베이어 등의 종래의 수단을 이용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의 고정유닛(10)을 이용하여 상기 포장박스(A)를 이동시킬 수도 있다.
이때 상기 하역가이드(1)는 상기 지지구동롤러(2) 및 상기 지지구동롤러(2)의 양단부에 설치된 한 쌍의 고정판(3a, 3b)에 의해 수직, 수평 흔들림 없는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포장박스(A)가 이동하여 상기 지지구동롤러(2)에 다다르면, 상기 구동축(4)에 연결된 동력모터(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한 쌍의 고정판(3a, 3b)가 상기 지지구동롤러(2)를 따라 회전하면서 밑으로 젖혀지면서 상기 포장박스(A)가 상기 지지구동롤러(2) 위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지지구동롤러(2)를 통과한 상기 포장박스(A)는 상기 하역가이드(1)를 따라 제2스테이플러(도시되지 않음)로 이동하여 스티칭 공정을 완료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회전하면서 밑으로 젖혀진 지지구동롤러(2)의 한 쌍의 고정판(3a, 3b)은 상기 지지구동롤러(2)가 상기 구동축(4)에 연결된 동력모터(도시되지 않음)가 회전시킴에 따라 회전하면서 도 1과 같은 모습으로 돌아오게 되는데, 이때 상기 한 쌍의 고정판(3a, 3b)의 왼쪽고정판(3a)의 우측 상단 모서리와 오른쪽고정판(3b)의 좌측 상단 모서리에는 비스듬하게 경사가 지도록 깎여 있기 때문에 원래의 모습으로 돌아올 때 상기 고정판(3a, 3b)과 상기 하역가이드(1)가 걸려서 상기 하역가이드(1)가 기울어지거나 위로 들어 올려지는 등의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상기 하역가이드(1)의 움직임을 제어하게 된다.
1 : 하역가이드. 2 : 지지구동롤러. 3a : 왼쪽고정판. 3b : 오른쪽고정판.
4 : 구동축. 10 : 하역가이드의 고정유닛. A : 포장박스.

Claims (3)

  1. 포장박스 제조라인의 하역가이드에 있어서,
    상기 하역가이드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하역가이드를 지탱하는 하나 이상의 원통형 지지구동롤러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박스 제조장치 하역가이드의 고정유닛.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구동롤러는
    하역가이드를 지탱하는 롤러본체;
    상기 롤러본체의 양단부에 고정되어 설치되는 한 쌍의 고정판;
    상기 롤러본체의 축선상에 연장되도록 설치되는 구동축;
    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박스 제조장치 하역가이드의 고정유닛.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구동롤러의 구동축은 외부의 동력원과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박스 제조장치 하역가이드의 고정유닛.
KR1020130023832A 2013-03-06 2013-03-06 포장박스 제조장치 하역가이드의 고정유닛 KR2014010963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3832A KR20140109636A (ko) 2013-03-06 2013-03-06 포장박스 제조장치 하역가이드의 고정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3832A KR20140109636A (ko) 2013-03-06 2013-03-06 포장박스 제조장치 하역가이드의 고정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9636A true KR20140109636A (ko) 2014-09-16

Family

ID=51756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3832A KR20140109636A (ko) 2013-03-06 2013-03-06 포장박스 제조장치 하역가이드의 고정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0963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39807B2 (ja) 段ボール箱用シートの接合方法および段ボール箱用シートの接合装置
KR101293533B1 (ko) 랜덤 제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함방법
CN104326118A (zh) 包装箱装箱封箱装置
KR101468728B1 (ko) 파이프 용접 자동화 장치
WO2018016264A1 (ja) 開函装置
CN104139884A (zh) 一种纸巾包装的自动分叠装置
CN104203776B (zh) 停止装置及暂时停止方法
JP6815895B2 (ja) 折り畳み装置
KR20140109636A (ko) 포장박스 제조장치 하역가이드의 고정유닛
US1076664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 product settler
KR20130011263A (ko) 디스플레이 패널용 벤딩장치
TWI423372B (zh) 拖盤傳送裝置
KR100238022B1 (ko) 제품 포장박스의 자동 공급장치
JP2012140177A (ja) コンテナ組立装置
CN214608226U (zh) 一种用于打钉机的包装箱自动折盖输送装置
JP7255863B2 (ja) 製函機
KR101106162B1 (ko) 포장박스 제조장치용 스티칭 장치에 있어서의 하역가이드 지지유닛
CN102935904B (zh) 用于套箱装置中的定位机构
KR200471191Y1 (ko) 재단 철판 이송 후 적재시 전후 좌우 가이드 장치에 있어서, 앤드 스토퍼의 회전 작동 장치
JP5731173B2 (ja) シート挿着装置
KR101895376B1 (ko) 포장박스용 반전기
KR102443972B1 (ko) 포장팩 수취장치
KR20190009192A (ko) 포장상자 자동제조장치
JP5430135B2 (ja) 物品投入装置
KR101102477B1 (ko) 와셔 공급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