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8944A - 이차전지의 전극판 가압용 프레싱 롤 - Google Patents

이차전지의 전극판 가압용 프레싱 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8944A
KR20140108944A KR1020130022864A KR20130022864A KR20140108944A KR 20140108944 A KR20140108944 A KR 20140108944A KR 1020130022864 A KR1020130022864 A KR 1020130022864A KR 20130022864 A KR20130022864 A KR 20130022864A KR 20140108944 A KR20140108944 A KR 201401089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
electrode plate
pressing
secondary battery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28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유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300228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08944A/ko
Publication of KR201401089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89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00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 B21D5/14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by passing between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00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 B21D5/06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by drawing procedure making use of dies or forming-rollers, e.g. making profiles
    • B21D5/08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by drawing procedure making use of dies or forming-rollers, e.g. making profiles making use of forming-roll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04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차전지의 전극판의 표면에 패턴을 형성하기 위하여 이차전지의 전극판을 가압하는 프레싱 롤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프레싱롤은, 서로 마주하는 제1 롤과 제2 롤을 가지며, 시트를 상기 제1 롤과 제2 롤 사이로 통과시키면서 가압하는 프레싱 롤이고, 상기 제1 롤과 상기 제2 롤의 표면에는, 이차전지의 전극판의 표면에 패턴을 형성하기 위하여 돌출부와 함몰부를 갖는 패턴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롤의 상기 돌출부와 상기 제2 롤의 상기 함몰부는 서로 위치가 대응되며, 상기 제1 롤의 상기 함몰부와 상기 제2 롤의 상기 돌출부는 서로 위치가 대응된다.

Description

이차전지의 전극판 가압용 프레싱 롤{Pressing roll for pressing electrode plate of secondary battery}
본 발명은 이차전지의 전극판 가압용 프레싱 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차전지의 전극판의 표면에 패턴을 형성하기 위하여 이차전지의 전극판을 가압하는 프레싱 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바일 기기에 대한 기술 개발과 수요의 증가로 이차 전지의 수요 또한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에너지 밀도와 작동 전압이 높고 보존과 수명 특성이 우수한 리튬(이온/폴리머) 이차전지는 각종 모바일 기기는 물론 다양한 전자제품의 에너지원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전자기기 및 통신기기가 점점 다기능화되면서 발달함에 따라, 더욱 향상된 특성을 갖는 리튬 이차전지에 대한 필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충방전의 반복에 수반된 전지 특성의 열화를 늦추고, 빠른 충전이 가능한 리튬 이차전지에 대한 필요가 특히 증가하고 있다.
또한, 이차전지의 전극 표면에 미세한 요철부를 형성하면, 전지 특성의 열화가 늦춰지고 빠른 충전이 가능해진다는 사실이 당업계에 알려져 있다.
한편, 일본공개특허 제2002-79466호(선행기술1)를 참조하면, 압연 구리박의 표면에 미립자를 고속으로 충돌시켜서, 표면에 미세한 요철을 형성하는 방식이 개시되어 있으며, 일본공개특허 특개평8-195202호(선행기술2)를 참조하면, 권출롤러로부터 권출된 집전체를 한 쌍의 가이드 롤러를 통과시켜 표면에 요철을 형성하는 방식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1, 2의 경우, 집전체의 표면에 요철을 형성한 후 집전체의 표면에 활물질을 도포하면, 집전체의 표면 중 평평한 부분에 비하여 오목한 부분에는 많은 양의 활물질이 고이게 되고, 평평한 부분에 도포된 활물질은 전부 건조되더라도, 오목한 부분에 고인 활물질은 상당히 늦게 건조되므로, 전극판을 제조하는 과정이 상당히 느려진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집전체에 활물질을 도포하고 건조하면 집전체의 오목한 부분에 고인 활물질은 고인 채로 건조되기 때문에, 완성된 이차전지의 전극판의 전표면에 걸쳐서 활물질이 불균일하게 도포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착상된 것으로서, 표면에 패턴이 형성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집전체의 전표면에 걸쳐서 활물질이 균일하게 도포된 전극판을 제조하기 위한 프레싱 롤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표면에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전극판의 제조 속도를 향상시키는 데에 적합한 구조를 갖는 프레싱 롤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프레싱 롤은, 서로 마주하는 제1 롤과 제2 롤을 가지며, 시트를 상기 제1 롤과 제2 롤 사이로 통과시키면서 가압하는 프레싱 롤로서, 상기 제1 롤과 상기 제2 롤의 표면에는, 이차전지의 전극판의 표면에 패턴을 형성하기 위하여 돌출부와 함몰부를 갖는 패턴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롤의 상기 돌출부와 상기 제2 롤의 상기 함몰부는 서로 위치가 대응되며, 상기 제1 롤의 상기 함몰부와 상기 제2 롤의 상기 돌출부는 서로 위치가 대응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레싱 롤은, 서로 마주하는 제1 롤과 제2 롤을 가지며, 시트를 상기 제1 롤과 제2 롤 사이로 통과시키면서 가압하는 프레싱 롤로서, 상기 제1 롤의 표면에는, 이차전지의 전극판의 표면에 패턴을 형성하기 위하여 돌출부와 함몰부를 갖는 패턴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롤의 표면은 탄성을 갖는 평탄면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 롤은, 비탄성 재질로 형성된 중심롤과, 상기 중심롤의 표면에 형성된 탄성 레이어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탄성 레이어는 우레탄 또는 실리콘 재질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패턴면의 표면에는 탄성 코팅이 덮여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탄성 코팅의 두께(D1)는 상기 돌출부가 상기 함몰부로부터 돌출된 높이(H)의 30~50%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탄성 코팅은 우레탄 또는 실리콘 재질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돌출부가 상기 함몰부로부터 돌출된 높이(H)는 상기 전극판의 두께(D0)의 1/70~3/70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롤과 제2 롤의 사이를 통과하며 가압되는 상기 이차전지의 전극판은, 집전체와, 상기 집전체의 표면에 도포된 활물질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롤의 돌출부 및 이와 마주하는 상기 제2 롤의 함몰부 사이의 거리(L1)는 상기 전극판의 두께와 동일하며, 상기 제1 롤의 함몰부 및 이와 마주하는 상기 제2 롤의 돌출부 사이의 거리(L2)는 상기 전극판의 두께와 동일하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롤의 함몰부와 상기 탄성 레이어의 표면 사이의 거리(L3)는 전극판의 두께와 동일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표면에 패턴이 형성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집전체의 전표면에 걸쳐서 활물질이 균일하게 도포된 전극판을 제조하기 위한 프레싱 롤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표면에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전극판의 제조 속도를 향상시키는 데에 적합한 구조를 갖는 프레싱 롤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전술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의 전극판 가압용 프레싱 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의 전극판 가압용 프레싱 롤을 축방향을 따라 자른 부분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의 전극판 가압용 프레싱 롤을 도 1의 A-A선을 따라 자른 부분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의 전극판 가압용 프레싱 롤을 축방향을 따라 자른 부분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의 전극판 가압용 프레싱 롤을 도 1의 A-A선을 따라 자른 부분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프레싱 롤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 또는 그 구성요소를 이루는 특정 부분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따라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러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제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의 전극판 가압용 프레싱 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의 전극판 가압용 프레싱 롤을 축방향을 따라 자른 부분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의 전극판 가압용 프레싱 롤을 도 1의 A-A선을 따라 자른 부분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의 전극판 가압용 프레싱 롤(이하, '프레싱 롤'이라 함)은, 서로 마주하는 제1 롤(10)과 제2 롤(20)을 가지며, 시트를 제1 롤(10)과 제2 롤(20) 사이로 통과시키면서 가압하는 프레싱 롤에 해당한다. 여기서, 제1 롤(10)과 제2 롤(20) 사이를 통과하는 시트는 전극판(6)이다.
제1 롤(10)과 제2 롤(20)은 도 1에 도시된 굵은 화살표 방향을 따라 회전하며, 원통 또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롤(10)과 제2 롤(20)의 회전축은 도 2에 도시된 X축의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그리고, 제1 롤(10)과 제2 롤(20)의 회전축을 잇는 선은 Y축에 해당한다.
도 2는 도 3에 대응되며, 다만, 전극판(6)이 제1 롤(10)과 제2 롤(20) 사이로 공급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전극판(6)은 도시되어 있지 않다.
제1 롤(10)과 제2 롤(20)의 표면에는 이차전지의 전극판(6)의 표면에 패턴을 형성하기 위하여 패턴면(11, 2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패턴면(11, 21)은 돌출부(12, 22)와 함몰부(14, 24)를 갖는다.
여기서, 돌출부(12, 22)와 함몰부(14, 24)는 상대적인 표현으로서, 돌출부(12, 22)보다 롤(10, 20)의 반경방향 내측을 향하여 낮게 위치한 영역을 함몰부(14, 24)라 하며, 함몰부(14, 24)보다 롤(10, 20)의 반경방향 외측을 향하여 높게 위치한 영역을 돌출부(12, 22)라고 한다.
돌출부(12, 22)는 함몰부(14, 24)로부터 H만큼 돌출되어 있으며, 제1 롤(10)에 형성된 돌출부(12)와 함몰부(14)의 높이 차이는, 제2 롤(20)에 형성된 돌출부(22)와 함몰부(24)의 높이 차이와 동일할 수 있다(도 2 참조).
돌출부(12, 22)와 함몰부(14, 24)의 높이 차는 돌출부(12, 22) 중 가장 높게 돌출된 부분과 함몰부(14, 24) 중 가장 낮게 함몰된 부분의 높이를 기준으로 한다.
도 1 및 도 2에서 돌출부(12, 22)와 함몰부(14, 24)는 모두 평탄한 면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와는 달리, 양자 모두 곡선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롤(10)에 형성된 돌출부(12)와 제2 롤(20)에 형성된 함몰부(24)는 서로 위치가 대응되며, 제1 롤(10)에 형성된 함몰부(14)와 제2 롤(20)에 형성된 돌출부(22)는 서로 위치가 대응된다. 여기서, 서로 위치가 대응된다는 것은, 제1 롤(10)의 돌출부(12)는 제2 롤(20)의 함몰부(24)를 마주하며, 제1 롤(10)의 함몰부(14)는 제2 롤(20)의 돌출부(22)를 마주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제1 롤(10)의 돌출부(12) 및 이와 마주하는 제2 롤(20)의 함몰부(24) 사이의 거리(L1)는 전극판(6)의 두께와 동일하게 설정되며, 제1 롤(10)의 함몰부(14) 및 이와 마주하는 제2 롤(20)의 돌출부(22) 사이의 거리(L2)도 전극판(6)의 두께와 동일하게 설정된다. 여기서 동일하다는 것의 의미는 수학적으로 완전히 같다는 것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전극판(6)이 제1 롤(10)과 제2 롤(20) 사이를 통과하는 저항에 의하여 제1 롤(10)과 제2 롤(20)의 사이가 다소 멀어지는 것을 고려하여, 상기 거리(L1, L2)를 전극판(6)의 두께보다 다소 가깝게 설정한 경우도 포함하는 의미라는 것을 밝혀둔다.
패턴면(11, 21)의 표면에는 탄성코팅(16, 26)이 덮여 있을 수 있으며, 탄성코팅(16, 26)은 예컨대, 우레탄 또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롤(10)과 제2 롤(20)의 사이를 통과하면서 가압되는 전극판(6)은, 집전체(2)와, 집전체(2)의 표면에 도포된 활물질(4)로 이루어진다.
프레싱 롤은, 활물질(4)이 도포되기 전의 집전체(2)를 가압하는 것보다, 집전체(2)의 표면에 활물질(4)이 도포된 전극판(6)을 가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패턴면(11, 21)의 표면을 덮고 있는 탄성코팅(16, 26)의 두께가 너무 얇은 경우에는, 전극판(6)에 스크래치가 발생하여 집전체(2)의 표면을 덮고 있는 활물질(4)이 훼손될 우려가 있다. 반대로, 패턴면(11, 21)의 표면을 덮고 있는 탄성코팅(16, 26)의 두께가 너무 두꺼운 경우에는, 탄성코팅(16, 26)의 두께로 인하여 돌출부(12, 22) 및 함몰부(14, 24)가 전극판(6)의 표면을 가압하더라도 전극판(6)에 패턴이 잘 형성되지 않는다. 따라서, 탄성코팅(16, 26)의 두께(D1)는 적절히 설정되어야 한다.
실험결과, 탄성코팅(16, 26)의 두께(D1)는 상기 돌출부(12, 22)가 상기 함몰부(14, 24)로부터 돌출된 높이(H)의 30~50%인 경우에, 전극판(6)에 스크래치가 발생하지도 않으면서, 전극판(6)에 용이하게 패턴이 형성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돌출부(12, 22)와 함몰부(14, 24)의 높이차가 지나치게 많이 나는 경우, 전극판(6)을 프레싱 롤로 가압하는 과정 중에, 집전체(2)로부터 활물질(4)이 박리되거나, 전극판(6)에 주름이 발생하거나, 심지어 전극판(6)에 구멍이 뚫리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실험결과, 돌출부(12, 22)가 함볼부로부터 돌출된 높이(H)를 상기 전극판(6)의 두께(D0)의 1/70~3/70로 설정하면, 이와 같은 문제가 발생하지 않고, 전극판(6)의 표면에 안정적으로 패턴이 형성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프레싱 롤을 사용하여, 전극판(6)을 가압하면,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롤(10)의 돌출부(12)와 제2 롤(20)의 함몰부(24) 사이를 통과하는 전극판(6)의 영역은 아래로 볼록해지며, 제1 롤(10)의 함몰부(14)와 제2 롤(20)의 돌출부(22) 사이를 통과하는 전극판(6)의 영역은 위로 볼록해진다.
<제2 실시예>
제2 실시예에 대한 설명에 있어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점에 대해서는 중복설명을 되도록 생략하며, 제1 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의 전극판 가압용 프레싱 롤을 축방향을 따라 자른 부분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의 전극판 가압용 프레싱 롤을 도 1의 A-A선을 따라 자른 부분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5에 대응되며, 다만, 전극판(6)이 제1 롤(10)과 제2 롤(30) 사이로 공급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전극판(6)은 도시되어 있지 않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제2 실시예에 따른 프레싱 롤은,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서로 마주하는 제1 롤(10)과 제2 롤(30)을 가진다.
다만, 제2 실시예는 제1 롤(10)의 표면에만 전극판(6)의 표면에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패턴면(11)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1 실시예와 제2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롤(10)의 구조는 동일하나, 제2 롤(30)의 구조는 다르다.
제2 실시예에서, 제2 롤(30)의 표면은 탄성을 갖는 평탄면으로 형성된다. 예컨대, 제2 롤(30)은 비탄성 재질로 형성된 중심롤(32)과, 이 중심롤(32)의 표면에 형성된 탄성 레이어(34)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비탄성 재질이란, 탄성이 0인 것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탄성 레이어(34)에 비하여 탄성이 현격하게 낮은 것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예컨대, 제1 롤(10)의 돌출부(12)와 함몰부(14)와 동등한 정도의 강성을 갖는다면 비탄성이라고 할 수 있으며, 통상적으로 철, 알루미늄, 구리, 황동 및 이들을 포함한 합금 재질은 비탄성 재질로 볼 수 있다.
탄성 레이어(34)는 우레탄 또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롤(10)의 함몰부(14)와 탄성 레이어(34)의 표면 사이의 거리(L3)는 전극판(6)의 두께와 동일하게 설정된다. 여기서 동일하다는 것의 의미는 수학적으로 완전히 같다는 것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전극판(6)이 제1 롤(10)과 제2 롤(30) 사이를 통과하는 저항에 의하여 제1 롤(10)과 제2 롤(30)의 사이가 다소 멀어지는 것을 고려하여, 상기 거리(L3)를 전극판(6)의 두께보다 다소 가깝게 설정한 경우도 포함하는 의미라는 것을 밝혀둔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프레싱 롤을 사용하여, 전극판(6)을 가압하면,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롤(10)의 돌출부(12)를 통과하는 전극판(6)의 영역은 제1 롤(10)의 돌출부(12)에 의하여 아래로 볼록해지며, 이 영역과 접촉되어 있는 탄성 레이어(34)는 돌출부(12)에 의하여 변형된 전극판(6)에 의하여 함몰된다. 한편, 전극판(6)이 제1 롤(10)과 제2 롤(30)의 사이로 진입하는 시점부터 제1 롤(10)의 함몰부(14)에는 전극판(6)이 접촉되기 때문에, 이 제1 롤(10)의 함몰부(14)에 대응되는 탄성 레이어(34)의 영역은 변형되지 않은 상태로 유지된다.
종래기술의 경우, 집전체(2)의 표면에 패턴을 형성한 후에 어떠한 방식으로 균일하게 활물질(4)을 도포할지를 염려해야 했으나, 본 발명에 따른 프레싱롤에 따르면, 집전체(2)의 표면에 균일하게 활물질(4)이 도포되고 건조되어 완성된 평평한 전극판(6)이 프레싱 롤을 통과하기 때문에, 활물질(4)의 균일한 도포를 염려할 필요가 없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미 활물질(4)이 도포된 전극판(6)에 패턴을 형성하기 때문에, 집전체(2)의 표면에 형성된 패턴에 깊게 주입된 활물질(4)이 건조될 때까지 오랫동안 기다릴 필요가 없으므로, 전극판(6)의 제조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2 : 집전체 4 : 활물질
6 : 전극판 10 : 제1 롤
11, 21 : 패턴면 12, 22 : 돌출부
14, 24 : 함몰부 16, 26 : 탄성코팅
20, 30 : 제2 롤 32 : 중심롤
34 : 탄성 레이어

Claims (11)

  1. 서로 마주하는 제1 롤과 제2 롤을 가지며, 시트를 상기 제1 롤과 제2 롤 사이로 통과시키면서 가압하는 프레싱 롤에 있어서,
    상기 제1 롤과 상기 제2 롤의 표면에는, 이차전지의 전극판의 표면에 패턴을 형성하기 위하여 돌출부와 함몰부를 갖는 패턴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롤의 상기 돌출부와 상기 제2 롤의 상기 함몰부는 서로 위치가 대응되며,
    상기 제1 롤의 상기 함몰부와 상기 제2 롤의 상기 돌출부는 서로 위치가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싱 롤.
  2. 서로 마주하는 제1 롤과 제2 롤을 가지며, 시트를 상기 제1 롤과 제2 롤 사이로 통과시키면서 가압하는 프레싱 롤에 있어서,
    상기 제1 롤의 표면에는, 이차전지의 전극판의 표면에 패턴을 형성하기 위하여 돌출부와 함몰부를 갖는 패턴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롤의 표면은 탄성을 갖는 평탄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싱 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롤은, 비탄성 재질로 형성된 중심롤과, 상기 중심롤의 표면에 형성된 탄성 레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싱 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레이어는 우레탄 또는 실리콘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싱 롤.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면의 표면에는 탄성 코팅이 덮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싱 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코팅의 두께(D1)는 상기 돌출부가 상기 함몰부로부터 돌출된 높이(H)의 30~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싱 롤.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코팅은 우레탄 또는 실리콘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싱 롤
  8.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가 상기 함몰부로부터 돌출된 높이(H)는 상기 전극판의 두께(D0)의 1/70~3/7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싱 롤.
  9.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롤과 제2 롤의 사이를 통과하며 가압되는 상기 이차전지의 전극판은, 집전체와, 상기 집전체의 표면에 도포된 활물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싱 롤.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롤의 돌출부 및 이와 마주하는 상기 제2 롤의 함몰부 사이의 거리(L1)는 상기 전극판의 두께와 동일하며,
    상기 제1 롤의 함몰부 및 이와 마주하는 상기 제2 롤의 돌출부 사이의 거리(L2)는 상기 전극판의 두께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싱 롤.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롤의 함몰부와 상기 탄성 레이어의 표면 사이의 거리(L3)는 전극판의 두께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싱 롤.
KR1020130022864A 2013-03-04 2013-03-04 이차전지의 전극판 가압용 프레싱 롤 KR2014010894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2864A KR20140108944A (ko) 2013-03-04 2013-03-04 이차전지의 전극판 가압용 프레싱 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2864A KR20140108944A (ko) 2013-03-04 2013-03-04 이차전지의 전극판 가압용 프레싱 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8944A true KR20140108944A (ko) 2014-09-15

Family

ID=517557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2864A KR20140108944A (ko) 2013-03-04 2013-03-04 이차전지의 전극판 가압용 프레싱 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0894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38202A (ko) * 2016-06-07 2017-12-15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 전지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US11189889B2 (en) 2016-08-11 2021-11-30 Samsung Sdi Co., Ltd. Rechargeable battery
US11271199B2 (en) 2017-08-17 2022-03-08 Lg Energy Solution, Ltd. Method for patterning lithium metal surface and electrode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using the sam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38202A (ko) * 2016-06-07 2017-12-15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 전지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US11189889B2 (en) 2016-08-11 2021-11-30 Samsung Sdi Co., Ltd. Rechargeable battery
US11271199B2 (en) 2017-08-17 2022-03-08 Lg Energy Solution, Ltd. Method for patterning lithium metal surface and electrode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us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028359B (zh) 电极、用于制造电极的方法、以及用于制造电极的辊
JP2012079592A (ja) 電池用電極箔のプレス方法
KR101719031B1 (ko) 폴리머 전지 전극 제조 방법 및 폴리머 전지 전극 제조 장치
CN218769678U (zh) 一种电芯、电池及涂布辊
KR101767636B1 (ko) 전극 시이트용 압연 롤
KR20140108944A (ko) 이차전지의 전극판 가압용 프레싱 롤
KR102054326B1 (ko) 미세 홀들을 포함하고 있는 이차전지용 전극
JP2005190787A (ja) 非水電解質二次電池用電極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9533289A (ja) リチウム二次電池の製造方法
JP2005183181A (ja) 非水電解質二次電池用電極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3300156B1 (en) Electrode assembl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KR20150082959A (ko) 이차전지용 전극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의 제조방법
CA2507399C (en) Method for producing drawn coated metals and use of said metals in the form of a current differentiator for electrochemical components
KR20170100378A (ko) 중첩 부위의 두께를 저감시킨 코팅 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전극
JP5772792B2 (ja) 電池用電極の製造方法
WO2019230323A1 (ja) バイポーラ電極の製造方法及びバイポーラ電極
JP5617511B2 (ja) 電池用シート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JP2010212143A (ja) 電極製造方法および電極製造装置
CN217405463U (zh) 一种电芯及电池模组
KR102254323B1 (ko) 집전체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상이한 입경의 전극 활물질 입자를 포함하는 전극을 제조하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극 제조 방법
KR20160036998A (ko) 이차전지 및 그 제조 방법
KR102212144B1 (ko) 비수전해질 이차전지용 전극 및 비수전해질 이차전지용 전극의 제조방법
JP2015018722A (ja)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用セパレータの製造方法
KR20160004651A (ko) 베이스 호일 이송 롤, 패턴 전극 및 패턴 전극 형성 방법
JP2020107514A (ja) 電池および電池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