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9376B1 - 패턴 전극 형성 시스템 및 패턴 전극 형성 방법 - Google Patents

패턴 전극 형성 시스템 및 패턴 전극 형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9376B1
KR101759376B1 KR1020140083256A KR20140083256A KR101759376B1 KR 101759376 B1 KR101759376 B1 KR 101759376B1 KR 1020140083256 A KR1020140083256 A KR 1020140083256A KR 20140083256 A KR20140083256 A KR 20140083256A KR 101759376 B1 KR101759376 B1 KR 1017593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foil
active material
pattern
electrode active
appl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32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4651A (ko
Inventor
이지훈
이진수
최용수
남상봉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400832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9376B1/ko
Publication of KR201600046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46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93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93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0Special constructions, e.g. surface features, of feed or guide rollers for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7/00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devices for performing specified auxiliary oper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3/00Rolls, drums, discs, or the like; Bearings or mountings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04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 H01M4/0402Methods of deposition of the material
    • H01M4/0409Methods of deposition of the material by a doctor blade method, slip-casting or roller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4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 B65H2301/443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by acting on surface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4432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by acting on surface of handled material by means having an operating surface contacting only one face of the material, e.g. roller
    • B65H2301/44324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50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 B65H2301/51Modifying a characteristic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513Modifying electric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4/00Parts for transporting or gui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4/10Rollers
    • B65H2404/19Other features of rol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326/00Articles relating to transporting
    • F16C2326/58Conveyor systems, e.g. rollers or bearings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패턴 전극 형성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전극 활물질이 도포되어 전극을 형성하기 위한 베이스 호일을 활물질 도포부로 이송하기 위한 베이스 호일 이송 롤에 있어서, 표면 전체에 미세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 호일에 이송과 동시에 패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베이스 호일과 전극 활물질의 접착력을 개선함과 동시에 전극 활물질과 베이스 호일간 접촉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패턴 전극 형성 시스템 및 패턴 전극 형성 방법{System For Manufacturing Patterned Electrod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Patterned Electrode}
본 발명은 패턴 전극 형성 시스템 및 패턴 전극 형성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베이스 호일과 전극 활물질의 접착력을 개선함과 동시에 전극 활물질과 베이스 호일간 접촉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는 패턴 전극 형성 시스템 및 패턴 전극 형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디오 카메라, 휴대용 전화, 휴대용 PC 등의 휴대용 무선 기기제품과 전기 자전거, 전기자동차, 전동공구 등의 경량화 및 고기능화가 진행됨에 따라, 그 구동용 전원으로서 사용되는 전지에 대해서 중요성이 증가되고 있고,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충방전이 가능한 이차전지는 기존의 납 축전지, 니켈-카드뮴 전지, 니켈-수소전지, 니켈-아연전지 등과 비교하여 단위 중량당 에너지 밀도가 3배 정도 높고 급속 충전이 가능하기 때문에 연구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이차전지는 전해질 종류에 따라 액체 전해질을 사용하는 리튬 금속전지와 리튬 이온 전지, 그리고 고분자 고체 전해질을 사용하는 폴리머 전지로 구분할 수 있다.
이차전지의 전극은 베이스 호일 상에 전극 활물질이 도포됨으로써 마련된다. 도 1은 종래 전극을 제조하기 위하여, 베이스 호일(10)에 전극 활물질(20)이 도포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70)에 의하여 활물질 도포부(30)로 이송된 베이스 호일(10)의 일측면에는 활물질 도포부(30)에 의하여 전극 활물질(20)이 도포된다. 이러한 전극 활물질(20)이 도포된 베이스 호일(10)은 전극 활물질(10)이 건조된 후 타측면에 전극 활물질(20)이 도포되어 이루어진다. 도 2는 이러한 베이스 호일(10)에 전극 활물질(20)이 도포되어 이루어지는 전극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은 평평한 형상이다. 이에, 베이스 호일(10)과 전극 활물질(20)간 접착력이 미약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베이스 호일과 전극 활물질의 접착력을 개선시킬 수 있는 패턴 전극 형성 시스템 및 패턴 전극 형성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패턴 전극 형성 시스템은, 전극 활물질이 도포되어 전극을 형성하기 위한 베이스 호일을 활물질 도포부로 이송하기 위한 베이스 호일 이송 롤을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 호일 이송 롤은 표면 전체에 미세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 호일에 이송과 동시에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베이스 호일 이송 롤은 상기 베이스 호일의 일측면과 접촉하여 상기 베이스 호일의 일측면에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제1 이송 롤과, 상기 제1 이송 롤과 이격되어 구비되며, 상기 베이스 호일의 타측면과 접촉하여 상기 베이스 호일의 타측면에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제2 이송 롤을 포함하며, 상기 활물질 도포부는 상기 제1 이송 롤에 의해 패턴이 형성된 상기 베이스 호일의 일측면에 전극 활물질을 도포하는 제1 활물질 도포부재와, 상기 제2 이송 롤에 의해 패턴이 형성된 상기 베이스 호일의 타측면에 전극 활물질을 도포하는 제2 활물질 도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활물질 도포부재에 의해 상기 베이스 호일의 일측면에 도포된 전극 활물질을 건조하고, 상기 제2 활물질 도포부재에 의해 상기 베이스 호일의 타측면에 도포된 전극 활물질을 건조할 수 있다.
이에, 미세 돌기에 의해 베이스 호일 상에 패턴이 형성되어, 활물질 도포부에서 베이스 호일 상에 전극 활물질 도포 시, 베이스 호일과 전극 활물질간 접촉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패턴 전극 형성 방법은, 베이스 호일을 이송하는 이송 단계(S1); 상기 이송 단계(S1)에 의한 이송 중에 상기 베이스 호일 상에 패턴을 형성하는 제1 패턴 형성 단계(S2); 상기 제1 패턴 형성 단계(S2)에 의해 상기 패턴이 형성된 상기 베이스 호일 상에 전극 활물질을 도포하는 제1 활물질 도포 단계(S3); 상기 베이스 호일의 일측면에 도포된 전극 활물질을 건조하는 제1 건조 단계(S4); 상기 베이스 호일의 타측면 상에 패턴을 형성하는 제2 패턴 형성 단계(S5); 상기 제2 패턴 형성 단계(S5)에 의해 패턴이 형성된 상기 베이스 호일의 타측면 상에 전극 활물질을 도포하는 제2 활물질 도포 단계(S6); 및 상기 베이스 호일의 타측면 상에 도포된 전극 활물질을 건조하는 제2 건조 단계(S7)를 포함하며, 상기 이송 단계(S1)는 제1 및 제2 이송 롤을 이용하여 상기 베이스 호일을 이송하며, 상기 제1 패턴 형성 단계(S2)는 상기 제1 이송 롤을 이용하여 상기 베이스 호일의 일측면에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제2 패턴 형성 단계(S5)는 제2 이송 롤을 이용하여 상기 베이스 호일의 타측면에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패턴 전극 형성 시스템 및 패턴 전극 형성 방법에 따르면, 베이스 호일과 전극 활물질의 접착력을 개선함과 동시에 전극 활물질과 베이스 호일간 접촉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 베이스 호일 상에 전극 활물질을 도포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종래 전극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호일 이송 롤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의 표면을 확대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호일 이송 롤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 호일 이송 롤에 의하여 이송되는 베이스 호일 상에 전극 활물질이 도포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6의 A-A 부분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호일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6의 B-B 부분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호일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도 6의 A-A 부분의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호일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도 6의 B-B 부분의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호일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패턴 전극 형성 방법의 순서를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 3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 호일 이송 롤(40)을 포함하는 패턴 전극 형성 시스템을 설명한 후, 도 11을 참조하여 베이스 호일 이송 롤(40)을 이용하여 패턴 전극을 형성하는 패턴 전극 형성 방법을 설명한다.
<베이스 호일 이송 롤을 포함하는 패턴 전극 형성 시스템>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 호일 이송 롤(40)은, 표면 전체에 미세 돌기(45)가 형성됨으로써 베이스 호일(10)을 이송함과 동시에 미세 돌기(45)가 베이스 호일(10) 상에 임프린팅(imprinting)되어 패턴을 형성한다. 여기서, 이송 롤(40)은 구동력에 의해 자체적으로 회전할 수도 있고, 또는 베이스 호일(10)과의 마착력으로 회전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이송 롤(40)은 베이스 호일(10)을 직접적으로 이송시킬 수도 있고, 또는 이송이 원활하게 일어나도록 베이스 호일(10)을 가이드 할 수도 있다.
베이스 호일 이송 롤(40)의 미세 돌기(45)는 미세 돌기(45)간 간격이 40 ~ 60nm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미세 돌기(45)에 의해 형성되는 베이스 호일(10) 상의 패턴 공간의 면적만큼 종래 평평한 형상일 때보다 전극 활물질(20)의 접촉면적이 증가된다.
이러한 베이스 호일 이송 롤(40)의 미세 돌기(45)는 전극 활물질(20) 입자 크기에 따라 변경 가능하며, 적어도 10nm 이상의 간격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베이스 호일 이송 롤(40)의 미세 돌기(45) 형상은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 호일 이송 롤(40)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 호일 이송 롤(40)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호일 이송 롤(40)은 미세 돌기(45)가 사각의 단면을 가지도록 마련된다. 이에, 사각의 단면을 가지는 미세 돌기(45)가 베이스 호일(10)과 접촉하며 베이스 호일(10)을 이송함과 동시에 베이스 호일(10) 접촉 표면에 미세 돌기(45) 형상을 임프린팅하여 사각의 패턴을 형성한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호일 이송 롤(40)은 원형의 단면을 가지도록 구비된다. 이에, 원형의 단면을 가지는 미세 돌기(45)가 베이스 호일(10)과 접촉하며 베이스 호일(10)을 이송함과 동시에 베이스 호일(10) 접촉 표면에 미세 돌기(45) 형상을 임프린팅하여 원형의 패턴을 형성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 호일 이송 롤(40)에 의하여 이송되는 베이스 호일(10) 상에 전극 활물질(20)이 도포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호일(10)을 활물질 도포부(30)로 이송하기 위한 베이스 호일 이송 롤(40)은 베이스 호일(10)의 일측면과 접촉하여 베이스 호일(10)의 일측면에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제1 이송 롤(41)과, 제1 이송 롤(41)과 이격되어 구비되며, 베이스 호일(10)의 타측면과 접촉하여 베이스 호일(10)의 타측면에 패턴을 형성하는 제2 이송 롤(43)을 포함한다.
우선, 베이스 호일(10)은 롤(70) 및 제1 이송 롤(41)에 의해 활물질 도포부(30)로 이송됨과 동시에 일측면에 미세 돌기(45) 형상이 임프린팅 된다. 이송된 베이스 호일(10)은 활물질 도포부(30)의 제1 활물질 도포부재(31)에 의하여 일측면에 전극 활물질(20)이 도포된다. 도 7 및 도 9는 도 6의 A-A 부분의 베이스 호일(10)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호일(10)의 일측면에는 제1 이송 롤(41)의 미세 돌기(45)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이 임프린팅 되고, 이러한 패턴 공간으로 전극 활물질(20)이 도포된다.
이후, 베이스 호일(10)은 이송되며 롤(80) 및 제2 이송 롤(43)에 의해 활물질 도포부(30)로 이송됨과 동시에 타측면에 미세 돌기(45) 형상이 임프린팅 된다. 이송된 베이스 호일(10)은 활물질 도포부(30)의 제2 활물질 도포부재(32)에 의하여 타측면에 전극 활물질(20)이 도포된다. 도 8 및 도 10은 도 6의 B-B 부분의 베이스 호일(10)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호일(10)의 타측면에는 제2 이송 롤(43)의 미세 돌기(45)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이 임프린팅 되고, 이러한 패턴 공간으로 전극 활물질(20)이 도포된다. 이와 같이, 제1 이송 롤(41)과 제2 이송 롤(43)에 의하여 베이스 호일(10)의 양측면은 미세 돌기(45)에 의해 임프린팅 되어 패턴이 형성되고, 이러한 패턴 공간으로 전극 활물질(20)의 접촉 면적이 종래 대비하여 증가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은 베이스 호일 이송 롤(40)을 이용하여 패턴 전극을 형성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패턴 전극 형성 방법>
본 발명에 따른 패턴 전극 형성 방법은 베이스 호일(10)을 이송하는 이송 단계(S1); 이송 단계(S1)에 의한 이송 중에 베이스 호일(10) 상에 패턴을 형성하는 패턴 형성 단계; 및 패턴 형성 단계에 의해 패턴이 형성된 베이스 호일(10) 상에 전극 활물질(20)을 도포하는 활물질 도포 단계(S3)를 포함한다.
이송 단계(S1)는 베이스 호일(10)을 활물질 도포부(30)로 이송하는 단계이다. 이송 단계(S1)는 복수 개의 롤(70, 80)과 베이스 호일 이송 롤(40) 등을 이용하여 Roll-To-Roll로 이루어진다.
패턴 형성 단계는 베이스 호일(10)이 표면 상에 미세 돌기(45)가 형성된 베이스 호일 이송 롤(40)에 의해 이송됨과 동시에 베이스 호일(10) 상에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이 때, 제1 이송 롤(41)을 이용하여 베이스 호일(10)의 일측면에 패턴을 형성하는 제1 패턴 형성 단계(S2) 및 제2 이송 롤(43)을 이용하여 베이스 호일(10)의 타측면에 패턴을 형성하는 제2 패턴 형성 단계를 포함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패턴 전극을 형성하는 방법의 순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이송 단계(S1)를 통하여 베이스 호일(10)을 활물질 도포부(30)의 제1 활물질 도포부재(31)로 이송한다. 이와 동시에, 제1 패턴 형성 단계(S2)를 통하여 제1 이송 롤(41)에 의해 베이스 호일(10)의 일측면에 미세 돌기(45) 형상을 임프린팅한다. 이후, 활물질 도포 단계(S3)를 통하여, 미세 돌기(45) 형상이 임프린팅된 베이스 호일(10)의 일측면에 전극 활물질(20)이 도포된다. 베이스 호일(10)의 일측면에 도포된 전극 활물질(20)은 건조 단계(S4)를 통하여 건조된다. 이후, 제2 패턴 형성 단계(S5)를 통하여 제2 이송 롤(43)에 의해 베이스 호일(10)의 타측면에 미세 돌기(45) 형상을 임프린팅한다. 이후, 활물질 도포 단계(S6)를 통하여, 미세 돌기(45) 형상이 임프린팅된 베이스 호일(10)의 타측면에 활물질 도포부(30)의 제2 활물질 도포부재(32)로 전극 활물질(20)이 도포된다. 베이스 호일(10)의 타측면에 도포된 전극 활물질(20)은 건조 단계(S7)를 통하여 건조된다. 이에, 베이스 호일(10)의 양측면에 패턴이 형성되고, 전극 활물질(20)이 도포된 패턴 전극이 생성된다.
전술된 실시 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질 것이다. 그리고 이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는 물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및 변형 가능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베이스 호일
30: 활물질 도포부
40: 베이스 호일 이송 롤
45: 미세 돌기

Claims (10)

  1. 전극 활물질이 도포되어 전극을 형성하기 위한 베이스 호일을 활물질 도포부로 이송하기 위한 베이스 호일 이송 롤을 포함하는 패턴 전극 형성 시스템에 있어서,
    표면 전체에 미세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 호일에 이송과 동시에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베이스 호일 이송 롤은 상기 베이스 호일의 일측면과 접촉하여 상기 베이스 호일의 일측면에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제1 이송 롤과, 상기 제1 이송 롤과 이격되어 구비되며, 상기 베이스 호일의 타측면과 접촉하여 상기 베이스 호일의 타측면에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제2 이송 롤을 포함하며,
    상기 활물질 도포부는 상기 제1 이송 롤에 의해 패턴이 형성된 상기 베이스 호일의 일측면에 전극 활물질을 도포하는 제1 활물질 도포부재와, 상기 제2 이송 롤에 의해 패턴이 형성된 상기 베이스 호일의 타측면에 전극 활물질을 도포하는 제2 활물질 도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활물질 도포부재에 의해 상기 베이스 호일의 일측면에 도포된 전극 활물질을 건조하고, 상기 제2 활물질 도포부재에 의해 상기 베이스 호일의 타측면에 도포된 전극 활물질을 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턴 전극 형성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미세 돌기는 사각의 단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턴 전극 형성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미세 돌기는 원형의 단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턴 전극 형성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미세 돌기는 10nm 이상의 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턴 전극 형성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미세 돌기는 40 ~ 60nm 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턴 전극 형성 시스템.
  6. 삭제
  7. 삭제
  8. 베이스 호일을 이송하는 이송 단계(S1);
    상기 이송 단계(S1)에 의한 이송 중에 상기 베이스 호일 상에 패턴을 형성하는 제1 패턴 형성 단계(S2);
    상기 제1 패턴 형성 단계(S2)에 의해 상기 패턴이 형성된 상기 베이스 호일 상에 전극 활물질을 도포하는 제1 활물질 도포 단계(S3);
    상기 베이스 호일의 일측면에 도포된 전극 활물질을 건조하는 제1 건조 단계(S4);
    상기 베이스 호일의 타측면 상에 패턴을 형성하는 제2 패턴 형성 단계(S5);
    상기 제2 패턴 형성 단계(S5)에 의해 패턴이 형성된 상기 베이스 호일의 타측면 상에 전극 활물질을 도포하는 제2 활물질 도포 단계(S6); 및
    상기 베이스 호일의 타측면 상에 도포된 전극 활물질을 건조하는 제2 건조 단계(S7)를 포함하며,
    상기 이송 단계(S1)는 제1 및 제2 이송 롤을 이용하여 상기 베이스 호일을 이송하며,
    상기 제1 패턴 형성 단계(S2)는 상기 제1 이송 롤을 이용하여 상기 베이스 호일의 일측면에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제2 패턴 형성 단계(S5)는 제2 이송 롤을 이용하여 상기 베이스 호일의 타측면에 패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턴 전극 형성 방법.
  9. 삭제
  10. 삭제
KR1020140083256A 2014-07-03 2014-07-03 패턴 전극 형성 시스템 및 패턴 전극 형성 방법 KR1017593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3256A KR101759376B1 (ko) 2014-07-03 2014-07-03 패턴 전극 형성 시스템 및 패턴 전극 형성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3256A KR101759376B1 (ko) 2014-07-03 2014-07-03 패턴 전극 형성 시스템 및 패턴 전극 형성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4651A KR20160004651A (ko) 2016-01-13
KR101759376B1 true KR101759376B1 (ko) 2017-07-18

Family

ID=55172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3256A KR101759376B1 (ko) 2014-07-03 2014-07-03 패턴 전극 형성 시스템 및 패턴 전극 형성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937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64062A1 (en) * 2021-10-13 2023-04-20 Applied Materials, Inc. Laser processing of lithium battery web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6250B1 (ko) * 2016-08-16 2022-06-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전극 제조 장치 및 전극 제조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75900A (ja) * 2004-08-12 2006-03-23 Nippon Steel Corp 金型ロール及び凹凸形状板の成形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75900A (ja) * 2004-08-12 2006-03-23 Nippon Steel Corp 金型ロール及び凹凸形状板の成形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64062A1 (en) * 2021-10-13 2023-04-20 Applied Materials, Inc. Laser processing of lithium battery web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4651A (ko) 2016-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9013890A1 (ja) 電池用電極板、電池用極板群、リチウム二次電池、及び電池用電極板の製造方法
CN106450164B (zh) 电极板制造方法和电极板制造装置
EP2985805B1 (en) Curved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107004837B (zh) 锂离子二次电池用电极的制造方法
US20170133659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lithium-ion secondary battery electrode sheet
US20180337392A1 (en) Electrode,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electrode, and roller for manufacturing the electrode
KR102613322B1 (ko) 리튬 이온 2차 전지용 전극의 제조 방법
EP1788657A4 (en) CYLINDRICAL LITHIUM SECONDARY BATTERY
US20190215944A1 (en) Plasma generating apparatus for secondary battery and lamination system comprising the same
KR102001459B1 (ko) 전극 합제 양면 분사 방식의 전극 시트 제조장치
JP5994467B2 (ja)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の製造方法
KR20170048757A (ko) 노칭 롤러를 포함하고 있는 전극 제조 장치
KR20170053892A (ko) 분할과 코팅을 동시에 수행하는 제조 공정성이 향상된 전극 시트 가공장치
US20140242459A1 (en) Electrode for battery, battery, and method of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electrode for battery
KR101719031B1 (ko) 폴리머 전지 전극 제조 방법 및 폴리머 전지 전극 제조 장치
KR101759376B1 (ko) 패턴 전극 형성 시스템 및 패턴 전극 형성 방법
US20150000115A1 (en) Method for manufaturing lithium ion cells
US20200223202A1 (en) Laminated body pressing apparatus, pressed strip-shaped laminated body manufacturing method, laminated electrode body manufacturing method, and battery manufacturing method
KR20150082959A (ko) 이차전지용 전극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의 제조방법
EP3300156B1 (en) Electrode assembl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WO2009013889A1 (ja) 電池用電極板、電池用極板群、リチウム二次電池、電池用電極板の製造方法、及び電池用電極板の製造装置
JP2008218134A (ja) 電極群の製造装置
US10991932B2 (en) Rolling device for electrode
KR102124822B1 (ko) 널링부가 형성된 전극 탭을 포함하는 전극 가공물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
KR102315719B1 (ko) 전극 합제층의 접착력이 불균일한 전극조립체 및 이의 제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