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8775A - 외부 장치 삽입 구조를 갖는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외부 장치 삽입 구조를 갖는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8775A
KR20140108775A KR1020130021778A KR20130021778A KR20140108775A KR 20140108775 A KR20140108775 A KR 20140108775A KR 1020130021778 A KR1020130021778 A KR 1020130021778A KR 20130021778 A KR20130021778 A KR 20130021778A KR 20140108775 A KR20140108775 A KR 201401087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ot
electronic device
key button
external device
exter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17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44470B1 (ko
Inventor
윤병욱
최종철
이형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217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4470B1/ko
Priority to EP13192987.9A priority patent/EP2773086B1/en
Priority to CN201310608098.4A priority patent/CN104023500B/zh
Priority to US14/194,522 priority patent/US9389639B2/en
Publication of KR201401087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87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44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44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04M1/236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including keys on side or rear 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4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card reading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케이스 프레임과, 상기 케이스 프레임에 형성되는 일정 크기의 슬롯과, 상기 전자 장치의 내부에서 상기 슬롯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1장치와, 상기 전자 장치의 내부에서 상기 슬롯과 대응되며 상기 제1장치 주변에 설치되는 제2장치 및 상기 슬롯을 통하여 상기 제1장치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외부 장치를 포함하여, 하나의 슬롯을 통하여 적어도 두 개의 장치들에 따른 기능을 동시에 사용함으로써 슬롯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전자 장치의 외관이 미려해질 수 있으며, 제조 원가가 절감되고, 조립 공수가 감소되어 결과적으로 제품의 신뢰성 향상에 이바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외부 장치 삽입 구조를 갖는 전자 장치{ELECTRONIC DEVICE WITH STRUCTURE FOR INSERTING CARD TYPE EXTERNAL DEVICE}
본 발명은 전자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외부 장치 삽입 구조를 갖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 들어 전자 장치의 발달은 우리 생활에 밀착되는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기에 이르렀다. 특히 이러한 전자 장치들 중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는 우리 생활에서 가장 필수적인 기기로 자리 잡아가고 있다. 특히, 상술한 이동 단말기 중 음성 및/또는 영상 통화를 목적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는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다.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는 처리 속도가 급격히 향상되고 있으며, 웹서핑 등 다양한 부가 기능이 강화된 스마트폰이 주류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1인당 적어도 한 대의 휴대용 단말기를 보유하고 있다고 하여도 과언이 아니다.
이러한 전자 장치들은 그 기능 및 사용자의 선호도에 따라 다양한 크기로 출시되는 바, 타 업체의 기기와 대체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보유하고 있다고 하더라도 보다 경박, 단소화되어 있으며 장치 전체가 슬림화되어 있는 전자 장치가 좀더 사용자에게 선호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상술한 전자 장치는 점차 슬림화되어 가면서 다기능화되어가고 있으므로,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전자 장치의 외부에서 착탈 가능하게 구현되어 필요에 따라 전자 장치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외부 장치들이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외부 장치들로는 전자 장치의 저장 공간을 확장시켜줄 수 있는 메모리 카드, 한 대의 전자 장치로 다양한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도록 착탈 가능하게 설되는 심 카드(SIM;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card)와 같은 개인 식별 카드 등이 사용되고 있다. 대체적으로, 슬림화되어가는 전자 장치에 적용이 용이하고, 착탈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카드 타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자 장치의 외관 적소에 별도의 슬롯들 형성하고, 상술한 카드들을 선택적으로 삽입하여 전자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시켜 사용하여 왔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전자 장치는 별도로 카드형 외부 장치 삽입을 위한 슬롯을 구비해야하므로 외관이 미려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전자 장치를 설계시 디자인 제약 사항으로 대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설치된 외부 장치를 보호하기 위하여 별도의 커버를 구비해야하는 바, 부품수 증가로 인한 제조 원가가 상승하고 조립 공수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좀더 다양한 기능을 보유하면서 전체 부피를 슬림화시켜 제품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현되는 외부 장치 삽입 구조를 갖는 전자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 장치 삽입을 위한 별도의 추가 슬롯(절개선)을 배제시킴으로써 디자인적 제약을 배제시키고 외관이 미려하게 구현될 수 있는 외부 장치 삽입 구조를 갖는 전자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 장치를 위한 별도의 커버를 구비하지 않아 부품수를 감소시키고 결과적으로 조립 공수를 감소시키고 제조 원가을 절감할 수 있도록 구현되는 외부 장치 삽입 구조를 갖는 전자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자 장치에 구비되는 기존의 입출력 장치들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외부 장치 삽입 구조를 공용으로 이용함으로써 외관이 미려하고 슬림화에 기여하여 결과적으로 제품의 신뢰도 향상에 이바지할 수 있도록 구현되는 외부 장치 삽입 구조를 갖는 전자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자 장치에 있어서, 케이스 프레임과, 상기 케이스 프레임에 형성되는 일정 크기의 슬롯과, 상기 전자 장치의 내부에서 상기 슬롯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1장치와, 상기 전자 장치의 내부에서 상기 슬롯과 대응되며 상기 제1장치 주변에 설치되는 제2장치 및 상기 슬롯을 통하여 상기 제1장치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외부 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는 내부에 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제1장치는 상기 외부 장치가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하여 상기 기판에 실장되는 외부 장치용 소켓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외부 장치용 소켓은 상기 외부 장치가 삽입되면 상기 전자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해당 기능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외부 장치로는 카드 형태를 갖는 카드 타입 소형 메모리, 심카드, 소형화된 보조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2장치는 상기 전자 장치의 외부에 일부가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키 버튼에 의해 동작되는 스위칭 장치, 데이터 입출력 및 충전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컨넥터 포트, 외장형 스피커 장치의 이어잭 플러그가 접속되기 위한 이어잭, 데이터 입출력을 위하여 별도로 마련된 입출력 단자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이때, 상기 키 버튼은 상기 전자 장치의 슬롯에서 일부 또는 전부가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슬롯을 위한 커버 겸용 키 버튼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키 버튼은 일정 길이의 몸체와, 상기 몸체에서 상기 슬롯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스위칭 장치를 가압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압 돌기 및 상기 몸체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키 버튼이 상기 슬롯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슬롯의 내측 테두리에 걸리도록 하여 임의로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걸림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몸체와 가압 돌기 부분은 상대적으로 하드한 재질의 키 버튼의 외관에 인서트 사출된 가요성 재질일 수 있으며, 이러한 재질로는 러버, 실리콘, 우레탄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몸체에는 사용자가 상기 키 버튼을 상기 전자 장치의 슬롯에서 개방시키기 용이하도록 걸림홈이 더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걸림홈은 상기 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깊이로 형성되는 걸림 슬릿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상기 걸림홈은 상기 몸체의 적어도 일부분에 일정 깊이로 형성되는 손톱 또는 도구를 삽입하기 위한 홈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몸체보다 돌출된 이탈 돌기가 더 형성될 수 있으며, 이탈 돌기 역시 상기 몸체보다 무른 가요성 재질로 인서트 사출 및 조립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외부 장치 삽입 구조를 갖는 전자 장치는 기존의 데이터 입출력 장치를 카드형 외부 장치의 삽입 구조와 공용으로 사용함으로써 별도의 슬롯을 배제시켜 외관이 미려해질 수 있으며, 제조 원가가 절감되며, 조립 공수가 감소되어 결과적으로 제품의 신뢰성 향상에 이바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카드형 외부 장치가 삽입되는 상태를 도시한 전자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 1의 외부 장치가 전자 장치에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요부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 1의 외부 장치가 삽입된 상태에서 전자 장치에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커버 겸용 키 버튼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 1의 외부 장치가 삽입된 상태에서 전자 장치에 커버 겸용 키 버튼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요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버 겸용 키 버튼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도 5의 커버 겸용 키 버튼이 전자 장치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요구 구성도; 및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외부 장치가 전자 장치에 삽입된 상태에서 적용되는 커버 겸용 키 버튼의 다양한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전자 장치로써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를 도시하였으며, 이러한 이동 단말기에 적용되는 카드형 외부 장치를 도시하고 이에 대하여 기술하고 있다. 그러나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다양한 기기에 적용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휴대용 전자 장치(portable electronic device)일 수 있으며, 휴대용 단말기(portable terminal), 이동 패드(mobile pad), 미디어 플레이어(media player), 태블릿 컴퓨터(tablet computer), 핸드헬드 컴퓨터(handheld computer) 또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와 같은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휴대용 개념의 전자 장치가 아니더라도 PC(Personal Computer) 등 다양한 고정식 전자 장치를 위한 카드형 외부 장치 삽입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카드형 외부 장치(C)가 삽입되는 상태를 도시한 전자 장치의 사시도로써 이동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을 참고하면, 전자 장치(100)는 전면(101)에 디스플레이 장치(102)가 설치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102)로는 데이터 입출력이 동시에 구현되는 터치 스크린 장치가 바람직하다. 디스플레이 장치(102)의 하측으로는 상대방에게 음성을 송신하기 위한 마이크 장치(104)가 설치되어 있으며, 디스플레이 장치(102)의 상측으로 상대방의 음성을 수신할 수 있는 스피커 장치(103)가 설치된다. 스피커 장치(103)의 근처에는 다수의 보조 수단들(105, 106, 107, 108)이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로써 이동 단말기의 경우 이러한 보조 수단들은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모듈(108), 주변의 밝기를 센싱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2)의 밝기를 조절하기 위한 조도 센서(106), 통화시 디스플레이 화면을 오프(off)시키기 위한 근접 센서(107) 및 메시지의 송수신 상태, 호 연결 상태 등을 이동 단말기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인지시켜주기 위한 서비스 엘이디(service LED)(105)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100)의 측면(109)에는 일정 길이의 슬롯(110)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슬롯(110)에 선택적으로 착탈가능하도록 카드 형태의 외부 장치(C)가 설치된다. 그후, 상술한 슬롯(110)을 폐쇄시켜 장착된 외부 장치(C)를 보호함과 동시에 외부의 이물질이 슬롯(110)을 통하여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커버 겸용 키 버튼(10)이 설치된다. 이러한 커버 겸용 키 버튼(10)은 슬롯(110)에 설치될 경우, 상술한 슬롯(110)을 보호하기 위한 커버 역할 이외에 전자 장치(100)의 측면(109)에 설치되어 데이터 입력을 수행하기 위한 볼륨 업.다운 키 버튼으로써도 활용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외부 장치(C)는 전자 장치(100)의 기존에 구비되던 데이터 입출력 장치인 볼륨 키 버튼이 설치되는 슬롯(110)에 함께 착탈 가능하도록 구현되기 때문에 별도의 외부 장치 삽입용 슬롯을 형성시키지 않아도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외부 장치(C)로는 카드 형태를 구현하고 있으나, 전자 장치의 형태 등에 따라 카드 형태가 아닌 외부 장치가 데이터 입출력 장치와 함께 구현 가능함은 자명하다. 더욱이, 본 발명에서는 카드 형태로써 이동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는 마이크로 SD 카드, 심 카드 등이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PC 등 부피가 있는 전자 장치일 경우 최근 출시되고 있으며, 점점 소형화되어 가고 있는 착탈식 저장 장치인 SSD(Solid State Disk) 등이 적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에서는 전자 장치(100)의 볼륨 키 버튼(10)이 삽입되는 슬롯(110)을 외부 장치(C)가 함께 착탈될 수 있도록 구현하고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의 데이터 입력 장치로 사용되는 슬립/웨이크 업(slip/wake-up) 기능, 카메라 기능, 파워 온/오프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는 사이드 키 버튼 장치, 데이터 송수신 및 충전을 목적으로 배치되는 컨넥터 포트, 외부 이어 마이크로폰의 이어잭 플러그가 삽입되기 위한 이어잭 홀 등 전자 장치(100)에 기존에 구비된 다양한 데이터 입출력 장치에 함께 구현될 수 있는 것이다.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외부 장치 삽입 구조는 전자 장치(100)의 기존에 적용되고 있는 다양한 데이터 입출력 장치에 겸용으로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외부 장치 삽입 구조는 별도의 커버 또는 키 버튼을 구비하지 않는 전자 장치의 데이터 입출력 장치에도 역시 적용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 1의 외부 장치가 전자 장치(100)에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요부 구성도로써, 전자 장치에는 기판(120)이 설치되어 있으며, 기판(120)에는 스위칭 장치(122, 123)가 실장된다. 이러한 스위칭 장치(122, 123)는 볼륨 키 버튼에 의해 가압 받을 경우 볼륨 업 스위칭 장치(122) 및 볼륨 다운 스위칭 장치(123)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스위칭 장치(122, 123)는 기판(120)에 일정 간격을 가지며 이격 실장되고, 그 사이에 카드형 외부 장치(C)가 삽입될 수 있는 외부 장치용 소켓(121)이 실장된다.
상술한 외부 장치용 소켓(121)은 기판(120)에 실장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선택적으로 장착되는 외부 장치(C)에 따라 해당 기능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장치(C)가 소형 메모리 카드인 경우 상술한 외부 장치용 소켓(121)에 장착되면 전자 장치(100)는 저장 공간이 자동으로 확장될 것이며, 심 카드인 경우 가입자를 인증 후 해당 통신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기술 발전에 따라 외장 장치의 사이즈가 계속해서 소형화되고, 상황에 따라 동일 전자 장치에 각기 다른 사이즈의 외장 장치의 교차 사용이 요구되므로, 실사용 상황에서 사용자의 편리를 도모하기 위해 외부 장치를 거치할 수 있는 보조 트레이 혹은 별도 홀더를 추가로 사용하는 방법도 포함될 수 있다. 상술한 보조 트레이 혹은 별도 홀더는 커넥터 혹은 세트와 일체화하여 세트에서 분리되지 않는 서랍형으로 구현되어 세트의 일부로서 개폐될 수도 있고, 세트와는 완전히 분리된 별도의 부품으로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 1의 외부 장치(C)가 삽입된 상태에서 전자 장치(100)에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커버 겸용 키 버튼(10)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 1의 외부 장치가 삽입된 상태에서 전자 장치에 커버 겸용 키 버튼(10)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커버 겸용 키 커튼 장치(10)는 일정 길이의 몸체(11)와, 몸체(11)에서 상술한 스위칭 장치(122, 123) 방향으로 돌출되어 스위칭 장치(122, 123)를 선택적으로 가압하기 위한 가압 돌기(12, 13)가 각각 돌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도, 상술한 몸체(11)는 전자 장치(100)에 형성되는 슬롯(110)과 상응한 길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슬롯(110)에 긴밀히 삽입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경우에만 전자 장치(100)에서 이탈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 가능하다.
몸체(11)에는 적어도 하나의 후크 형상(hook-type)을 갖는 걸림 돌기(14)가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몸체(11)의 일부가 슬롯(110)에 삽입된 후 걸림 돌기(14)가 전자 장치(100)의 슬롯(110)을 이루는 케이스 프레임(111)의 내측면에 걸림으로써 조립이 완료될 수 있다. 미도시 되었으나, 이러한 몸체(11)는 러버 또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며, 키 버튼의 외면을 이루는 하드 타입 플라스틱 재질과 함께 몰딩되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커버 겸용 키 버튼(10)은 전자 장치(100)의 슬롯(110)에 상술한 걸림 돌기(14)에 의해 스냅 핏(snap-fit) 구조로 장착될 수 있으며, 평상시에는 전자 장치(100)에 부착되어 기존의 데이터 입출력을 위한 키 버튼으로 사용되며, 사용자가 손톱 등으로 상술한 키 버튼에 일정 힘을 가하여 외측으로 당기게 되면 이탈되는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전자 장치(100)의 사용자가 외부 장치(C)를 전자 장치(100)에 적용시킬 경우, 전자 장치(100)에 설치되어 있는 키 버튼(10)을 손톱 등으로 외측으로 당겨서 슬롯(110)에서 분리시킨 후, 슬롯(110)과 상응하도록 전자 장치(10)의 내부 기판(120)에 실장된 외부 장치용 소켓(121)에 상술한 외부 장치(C)를 삽입한다. 그후, 슬롯(110)에 다시 커버 겸용 키 버튼(10)을 일정 압력을 가하여 밀어 넣으면 조립이 완료된다. 이때, 커버 겸용 키 버튼(10)의 몸체(11)에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걸림 돌기(14)는 슬롯(110)의 내측에 걸림으로서 키 버튼(10)이 임의로 전자 장치(10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버 겸용 키 버튼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도 5의 커버 겸용 키 버튼이 전자 장치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요구 구성도이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100)의 외부 장치(C) 삽입을 위한 슬롯(110)에서 커버 겸용 키 버튼(10)이 완전히 분리되는 구성을 가졌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의 커버 겸용 키 버튼(20)은 전자 장치(100)의 슬롯(110)을 개방시키는 구성을 가지나, 완전히 분리되지 않는 구성을 갖는다.
도 5 및 도 6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커버 겸용 키 버튼(20)은 일정 길이의 몸체(21)와 몸체(21)에서 전자 장치(100)의 슬롯 방향으로 가압 돌기(22, 23)가 돌출 형성된다. 또한, 몸체(21)의 일단에는 고정부(24)가 형성되어 전자 장치(100)의 슬롯(110)의 내부에 고정되며, 몸체(21)의 타단에는 걸림 돌기(25)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커버 겸용 키 버튼(20)의 고정부(24)는 전자 장치(100)의 케이스 프레임(112)의 슬롯 주변에 고정부(24)에 의해 고정되어 슬롯(110)에서 키 버튼(20)이 개방되더라도 완전히 이탈되지 않는다. 또한, 키 버튼(20)의 단부에 형성된 후크 형상의 걸림 돌기(25)가 슬롯(110)의 내측면(1121)에 걸리도록 하여 키 버튼(20)이 슬롯(110)에 장착되었을 경우 임의로 개방되지 않도록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외부 장치가 전자 장치에 삽입된 상태에서 적용되는 커버 겸용 키 버튼의 다양한 예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 장치에 적용되는 키 버튼과 같은 데이터 입출력 장치는 전자 장치의 슬림화로 인하여 매우 그 크기가 작다. 따라서, 사용자가 전자 장치에서 분리시키기가 용이하지 않을 수도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고자, 사용자에 의해 손쉽게 이탈시킬 수 있는 다양한 키 버튼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각 키 버튼의 몸체에 형성된 가압 돌기 또는 걸림 돌기 또는 고정부는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7의 (a)에 도시된 키 버튼(30)은 몸체(31)의 길이 방향을 따라 걸림 슬릿(32)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걸림 슬릿(32)은 전자 장치에 키 버튼(30)이 장착되더라도 외부로 노출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사용자는 이러한 걸림 슬릿(32)에 손톱이나 날카로운 도구를 이용하여 손쉽게 전자 장치의 슬롯에서 키 버튼(30)을 분리할 수 있다.
도 7의 (b)에 도시된 키 버튼(40)은 몸체(4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탈 돌기(42)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이탈 돌기(42)는 몸체(41)와 일체로 사출 성형될 수도 있으며, 이탈 돌기(42) 부분만 가요성 재질(러버, 실리콘, 우레탄 등)로 인서트 사출 및 조립될 수도 있다. 역시 이러한 이탈 돌기(42)는 전자 장치에 키 버튼(40)이 장착되더라도 외부로 노출되는 위치에 설치 또는 형성되며, 사용자는 이러한 이탈 돌기(42)의 걸림 동작 및 마찰력을 이용하여 손쉽게 전자 장치의 슬롯에서 키 버튼(40)을 분리할 수 있을 것이다.
도 7의 (c)에 도시된 키 버튼(50)은 몸체(51)의 일부가 가요성 재질(러버, 실리콘, 우레탄 재질 등)(52)로 인서트 사출 및 조립될 수 있다. 이러한 가요성 재질(52)은 키 버튼과 다른 색을 갖도록 하여 볼륨 키 버튼으로 적용될 경우 사용자로 하여금 볼륨 업/다운의 시각적 효과를 제공할 수도 있다. 역시 이러한 가요성 재질(52)은 전자 장치에 키 버튼(50)이 장착되더라도 적어도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사용자가 전자 장치의 슬롯에 장착되어 있는 키 버튼(50)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마찰력을 제공할 수 있고, 단부가 첨예한 도구(예를 들면, 핀 등)를 이용하여 손쉽게 전자 장치의 슬롯에서 키 버튼(50)을 분리할 수 있는 것이다.
도 7의 (d)에 도시한 키 버튼(60)은 몸체(61)의 적소에 사용자의 손톱이 걸릴 수 있는 걸림홈(62)이 형성된다. 이러한 걸림홈(62) 역시 전자 장치에 키 버튼(60)이 장착되더라도 적어도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명히, 청구항들의 범위내에 있으면서 이러한 실시예들을 변형할 수 있는 많은 다양한 방식들이 있다. 다시 말하면, 이하 청구항들의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는 많은 다른 방식들이 있을 수 있을 것이다.
10, 20, 30, 40, 50, 60: 커버 겸용 키 버튼
11, 21, 31, 41, 51, 61: 몸체
12, 13, 22, 23: 가압 돌기 14, 25: 걸림 돌기
24: 고정부 32: 걸림 슬릿
42: 이탈 돌기 52: 가요성 재질
62: 걸림홈 100: 전자 장치
120: 기판 121: 외부 장치용 소켓
122, 123: 스위칭 장치 C: 외부 장치

Claims (20)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케이스 프레임;
    상기 케이스 프레임에 형성되는 일정 크기의 슬롯;
    상기 전자 장치의 내부에서 상기 슬롯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1장치;
    상기 전자 장치의 내부에서 상기 슬롯과 대응되며 상기 제1장치 주변에 설치되는 제2장치; 및
    상기 슬롯을 통하여 상기 제1장치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외부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내부에 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제1장치는 상기 외부 장치가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하여 상기 기판에 실장되는 외부 장치용 소켓인 전자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장치용 소켓은 상기 외부 장치가 삽입되면 상기 전자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해당 기능을 자동으로 수행하는 전자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장치는 카드 형태를 갖는 장치인 전자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장치는 카드 타입 소형 메모리, 심카드, 소형화된 보조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인 전자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장치는 상기 전자 장치의 외부에 일부가 노출되도록설치되는 키 버튼에 의해 동작되는 스위칭 장치, 데이터 입출력 및 충전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컨넥터 포트, 외장형 스피커 장치의 이어잭 플러그가 접속되기 위한 이어잭, 데이터 입출력을 위하여 별도로 마련된 입출력 단자 중 적어도 하나인 전자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키 버튼은 상기 전자 장치의 슬롯에서 일부 또는 전부가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슬롯을 위한 커버 겸용 키 버튼으로 사용되는 전자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키 버튼은,
    일정 길이의 몸체;
    상기 몸체에서 상기 슬롯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스위칭 장치를 가압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압 돌기; 및
    상기 몸체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키 버튼이 상기 슬롯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슬롯의 내측 테두리에 걸리도록 하여 임의로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걸림 돌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와 가압 돌기 부분은 상대적으로 하드한 재질의 키 버튼의 외관에 인서트 사출된 가요성 재질인 전자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재질은 러버, 실리콘, 우레탄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되는 전자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에는 사용자가 상기 키 버튼을 상기 전자 장치의 슬롯에서 개방시키기 용이하도록 걸림홈이 더 형성되는 전자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홈은 상기 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깊이로 형성되는 걸림 슬릿인 전자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홈은 상기 몸체의 적어도 일부분에 일정 깊이로 형성되는 손톱 또는 도구를 삽입하기 위한 홈인 전자 장치.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일부분은 그 주변 재질보다 무른 가요성 재질로 인서트 사출 및 조립되는 전자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재질은 러버, 실리콘, 우레탄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되는 전자 장치.
  16.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몸체보다 돌출된 이탈 돌기가 더 형성되는 전자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 돌기는 상기 몸체보다 무른 가요성 재질로 인서트 사출 및 조립되는 전자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재질은 러버, 실리콘, 우레탄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되는 전자 장치.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이동 단말기인 전자 장치.
  20. 전자 장치에 있어서,
    케이스 프레임;
    상기 케이스 프레임에 형성되는 일정 크기의 슬롯;
    상기 슬롯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소켓;
    상기 소켓의 주변에 설치되되, 상기 슬롯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스위칭 장치;
    상기 슬롯을 통하여 상기 소켓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카드형 외부 장치; 및
    상기 슬롯에 장착되어 가압에 의해 상기 스위칭 장치를 구동시키기 위한 키 버튼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0130021778A 2013-02-28 2013-02-28 외부 장치 삽입 구조를 갖는 전자 장치 KR1020444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1778A KR102044470B1 (ko) 2013-02-28 2013-02-28 외부 장치 삽입 구조를 갖는 전자 장치
EP13192987.9A EP2773086B1 (en) 2013-02-28 2013-11-14 Electronic device with structure for inserting card type external device
CN201310608098.4A CN104023500B (zh) 2013-02-28 2013-11-26 具有用于插入卡型外部装置的结构的电子设备
US14/194,522 US9389639B2 (en) 2013-02-28 2014-02-28 Electronic device with structure for inserting card type external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1778A KR102044470B1 (ko) 2013-02-28 2013-02-28 외부 장치 삽입 구조를 갖는 전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8775A true KR20140108775A (ko) 2014-09-15
KR102044470B1 KR102044470B1 (ko) 2019-11-13

Family

ID=49582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1778A KR102044470B1 (ko) 2013-02-28 2013-02-28 외부 장치 삽입 구조를 갖는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389639B2 (ko)
EP (1) EP2773086B1 (ko)
KR (1) KR102044470B1 (ko)
CN (1) CN10402350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36525B2 (en) * 2012-03-16 2014-01-28 Nokia Corporation Apparatus having a movable user input device including an actuatable portion
TWM452520U (zh) * 2012-12-07 2013-05-01 Qi Ji Electronics Co Ltd 全埋入式電子插接卡
KR102147957B1 (ko) * 2014-02-21 2020-08-25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드 트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359957B1 (ko) 2015-06-02 2022-02-0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TWI586039B (zh) * 2015-07-22 2017-06-01 緯創資通股份有限公司 連接器模組
TWI576877B (zh) * 2015-08-03 2017-04-01 宏碁股份有限公司 按鍵模組、具有此按鍵模組的可攜式電子裝置以及收容奈米sim卡的方法
CN105450817B (zh) * 2015-12-23 2018-06-08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按键及其安装结构
CN106604158A (zh) * 2016-11-15 2017-04-26 深圳天珑无线科技有限公司 可更换扬声器的音频设备及扬声组件
CN109246944B (zh) * 2017-07-11 2020-12-25 华硕电脑股份有限公司 用于电子装置的外壳与遮盖
US10539983B2 (en) 2017-07-11 2020-01-21 Asustek Computer Inc. Electronic devi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312270A1 (en) * 2010-06-22 2011-12-22 At&T Mobility Ii Llc Near Field Communication Adapters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104976A4 (en) * 1999-06-14 2005-10-12 Ntt Docomo Inc REMOTE CONNECTE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WITH EXTERNAL UNIT
JP3617404B2 (ja) * 2000-03-07 2005-02-02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電話機
JP2002189992A (ja) * 2000-12-20 2002-07-05 Sony Corp メモリカードドライブと携帯型メモリカードドライブ
TW549762U (en) * 2002-07-18 2003-08-21 Benq Corp Electronic device having electronic card
US20040082210A1 (en) * 2002-10-28 2004-04-29 Wallace Robert F. Cartridge carrying multiple integrated circuit cards for removable insertion into portable and other electronic devices
KR100662357B1 (ko) * 2004-10-04 2007-0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US20070032122A1 (en) * 2005-08-03 2007-02-08 3 View Technology Co., Ltd Electronic device with USB storage card
TW200731748A (en) * 2006-02-03 2007-08-16 Wistron Neweb Corp Electronic device and card swapping method thereof
TWM308584U (en) * 2006-09-29 2007-03-21 Tai Sol Electronics Co Ltd Mobile phone allowing plug-in of 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card
KR20080036495A (ko) 2006-10-23 2008-04-28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심카드 착탈장치
US7865210B2 (en) * 2007-01-05 2011-01-04 Apple Inc. Ejectable component assemblies in electronic devices
CN201039416Y (zh) * 2007-05-25 2008-03-19 纬创资通股份有限公司 电子装置
CN201064005Y (zh) * 2007-08-22 2008-05-21 华塑科技(香港)有限公司 一种pcmcia扩展卡
CN101668395B (zh) * 2008-09-01 2012-08-22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壳体组件
CN102088827B (zh) * 2009-12-02 2013-01-02 英华达股份有限公司 按键组配结构
US8564965B2 (en) * 2010-04-19 2013-10-22 Apple Inc. Compact ejectable component assemblies in electronic devices
US8337223B2 (en) * 2010-09-30 2012-12-25 Apple Inc. Mini-sim connector
CN102480893B (zh) * 2010-11-30 2014-10-08 富泰华工业(深圳)有限公司 芯片卡固持机构及具有该固持机构的便携式电子装置
US8767381B2 (en) * 2011-05-31 2014-07-01 App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ejecting removable modules from electronic devices
KR20130011224A (ko) * 2011-07-21 2013-01-3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장신구 조립체
US8672229B2 (en) * 2012-03-19 2014-03-18 Nokia Corporation Electronic module holder with sliding door
US9002403B2 (en) * 2012-04-01 2015-04-07 Huizhou Tcl Mobile Communication Co., Ltd. Portable terminal and wireless module
CN102664648B (zh) * 2012-04-01 2015-04-22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便携式终端及无线模块
CN103367998B (zh) * 2012-04-03 2015-10-21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芯片卡卡持装置及应用其的电子装置
US9106310B2 (en) * 2012-09-18 2015-08-11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Apparatus for securing memory modules and/or subscriber identity module in an electronic device
CN103872514A (zh) * 2012-12-12 2014-06-18 富泰华工业(深圳)有限公司 电子装置
CN203150799U (zh) * 2013-02-07 2013-08-21 林卓毅 电子装置及其防尘盖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312270A1 (en) * 2010-06-22 2011-12-22 At&T Mobility Ii Llc Near Field Communication Adapt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023500B (zh) 2017-10-13
KR102044470B1 (ko) 2019-11-13
US20140240910A1 (en) 2014-08-28
EP2773086A2 (en) 2014-09-03
EP2773086B1 (en) 2018-07-11
CN104023500A (zh) 2014-09-03
EP2773086A3 (en) 2017-07-19
US9389639B2 (en) 2016-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4470B1 (ko) 외부 장치 삽입 구조를 갖는 전자 장치
KR100707715B1 (ko) 트랜스 플래시 메모리 카드용 소켓
KR101437966B1 (ko) 휴대 단말기
CN107850924B (zh) 基于壳体调节设备操作
KR20110022387A (ko) 이동 단말기
KR20090127633A (ko) 휴대 단말기
JP3159716U (ja) 携帯端末機用カバー
KR20110056440A (ko) 이동 단말기
KR20100030166A (ko) 휴대 단말기
KR20140051720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커버
US10062985B2 (en) Connector module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2097081B1 (ko) 모듈 장착 구조 및 그것을 갖는 전자 장치
KR101918989B1 (ko) 이동 단말기
KR101376610B1 (ko) 휴대 단말기
KR101474442B1 (ko) 휴대 단말기
KR100865147B1 (ko) 휴대 단말기
KR101978208B1 (ko) 이동단말기
KR20090000533A (ko) 휴대 단말기
KR101502008B1 (ko) 휴대 단말기
CN104619111B (zh) 移动设备后盖释放机构、后盖以及相应的移动设备
KR101474449B1 (ko) 휴대 단말기
KR101474427B1 (ko) 휴대 단말기
KR101442543B1 (ko) 휴대 단말기
KR101587136B1 (ko) 휴대 단말기
KR101463815B1 (ko) 휴대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