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7104A - 흡수성 반흔 형성 드레싱 및 만성 상처를 위한 이들의 용도 - Google Patents

흡수성 반흔 형성 드레싱 및 만성 상처를 위한 이들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7104A
KR20140107104A KR1020137025564A KR20137025564A KR20140107104A KR 20140107104 A KR20140107104 A KR 20140107104A KR 1020137025564 A KR1020137025564 A KR 1020137025564A KR 20137025564 A KR20137025564 A KR 20137025564A KR 20140107104 A KR20140107104 A KR 201401071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essing
weight
fibers
wound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55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56398B1 (ko
Inventor
쟝-마르크 페르노
스테판 오귀스트
크리스텔르 로렌슈
Original Assignee
라보라뚜와르 어르고
소시에떼 드 데블로프망 에 드 러쉐르쉬 엥뒤스트리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보라뚜와르 어르고, 소시에떼 드 데블로프망 에 드 러쉐르쉬 엥뒤스트리엘 filed Critical 라보라뚜와르 어르고
Publication of KR201401071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71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63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639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1042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plasters or dressings
    • A61F13/01029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22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containing macromolecular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22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containing 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15/28Polysaccharid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42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15/60Liquid-swellable gel-forming materials, e.g. super-absorb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089Wound bandages
    • A61F2013/00217Wound bandages not adhering to the wound
    • A61F2013/00229Wound bandages not adhering to the wound with algin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089Wound bandages
    • A61F2013/00246Wound bandages in a special way pervious to air or vapours
    • A61F2013/00251Wound bandages in a special way pervious to air or vapours with macroscopic open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544Plasters form or structure
    • A61F2013/00604Multilay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655Plasters adhesive
    • A61F2013/00676Plasters adhesive hydroge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727Plasters means for wound humidity control
    • A61F2013/00731Plasters means for wound humidity control with absorbing pads
    • A61F2013/00744Plasters means for wound humidity control with absorbing pads containing non-wov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727Plasters means for wound humidity control
    • A61F2013/00748Plasters means for wound humidity control with hydrocolloids or superabsorb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727Plasters means for wound humidity control
    • A61F2013/00761Plasters means for wound humidity control with permeable adhesive layers
    • A61F2013/00782Plasters means for wound humidity control with permeable adhesive layers with macroscopic open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902Plasters containing means
    • A61F2013/0091Plasters containing means with disinfecting or anaesthetics means, e.g. anti-mycrobic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mat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대상은 필수적으로 다음으로 구성되어 지는 드레싱이다:
- 다음의 혼합물로부터 형성된 흡수성 부직 습포:
- 코어-쉘 타입의 이성분 열적 결합비-흡수성 섬유, 상기 코어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ET)로 만들어지고 그리고 쉘은 폴리에틸렌으로 만들어 짐;
- 폴리아크릴로니트릴로 만들어진 코어와 폴리아크릴레이트로 만들어진 쉘을 갖는 코어-쉘 타입의 이성분 초흡수성 섬유;

- 상처와 접촉하도록 의도된 습포의 면을 부분적으로 도포하는 하이드로콜로이드 엘라스토머 매스로부터 만들어 진 그물상 섬유.
본 제품은 특히 좌멸 괴사 조직 제거를 최적화함에 의해 만성적인 상처의 치유를 증진하도록 의도된다.

Description

흡수성 반흔 형성 드레싱 및 만성 상처를 위한 이들의 용도{ABSORBENT CICATRIZATION DRESSING AND USES THEREOF FOR CHRONIC WOUNDS}
본 발명은 흡수성 하이드로콜로이드류를 포함하는 엘라스토머 접촉 층 및 흡수성 부직 습포를 포함하는 드레싱에 대한 것이다. 이 드레싱은 치료가 증진되어 지는 것이 요구되어 지는 상처의 케어에 있어 아주 효과적이다. 이 드레싱은 외과적인 수술이나 효소와 같은 보충적인 좌멸 괴사 조직 제거술에 의지할 필요가 없이, 피브린의 존재 그리고 또한 상처에 의하여 생성된 삼출물을 관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처의 자연적인 치유는 세 가지의 연속적인 상으로 일어나고, 이들 상의 각각은 특정한 세포적 활성에 의해 특징되어 진다: 좌멸 괴사 조직 제거술 페이스, 증식(또는 그래뉼화) 페이스 및 상피화 페이스. 치유 과정을 통하여, 상처는 드레싱에 의해 흡수되어 져야 만 하는 유동성이거나 점액성인 삼출물을 생성한다.
상처의 자연적인 좌멸 괴사 조직 제거 능력은 외상성 상해가 유의성이 있거나 또는 환자가 유사한 병인, 즉 정맥성 병인 또는 당뇨병과 같은 병인으로 고통을 당할 때에는 불충분할 수 있다. 이들의 경우에 있어서, 좌멸 괴사 조직 제거 페이스의 기간의 상당한 지연은, 예를 들어 다리 궤양과 같이 것에 대해 간호에 어려움이 있는 만성 상처를 초래하는 것으로 관찰되어 졌다.
자연적인 좌멸 괴사 조직 제거 과정이 불충분한 상처의 경우에 있어서, 증식 페이스를 방해함이 없이 섬유성 조직을 제거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 섬유성 조직의 제거는 자연적인 좌멸 괴사 조직 제거술에 반대로서 "도움된 좌멸 괴사 조직 제거술"의 용어로 통상적으로 지칭되어 진다.
사용된 기술에 의존하여, 도움된 좌멸 괴사 조직 제거술은 기계적 또는 외과 수술적 좌멸 괴사 조직 제거술, 효소적 좌멸 괴사 조직 제거술, 자가용혈적 좌멸 괴사 조직 제거술 또는 생물학적 좌멸 괴사 조직 제거술로서 기술되어 질 수 있다.
외과 수술적 또는 기계적 좌멸 괴사 조직 제거술은 외과용 메스, 핀셋, 가위 나 브록 큐레트(Brock curette)를 사용하거나 또는 가압된 물의 젯트류나 레이저 절개를 통한 복잡한 장비를 사용하여 섬유성 조직을 절개하는 것으로 구성되는 빠른 기술이다. 이 기술은 상처의 심각성에 의존하여 환자의 침상이나 또는 수술실에서 수행되어 진다. 그러나, 이 기술은 때로는 아주 고통스럽고 그리고 출혈과 가끔은 다량의 출혈조차도 유발할 수 있다. 이것은 그런 다음 환자에 대해 외상적 상처가 된다. 이것은 또한 일반적으로 케어의 기간을 길게 하는 미리 진통 약물의 투여를 요한다.
자가용혈적 좌멸 괴사 조직 제거술은 상처 상에 특정한 겔화 섬유에 기재된 흡수성 드레싱을 증착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좌멸 괴사 조직 제거술을 위해 사용된 드레싱은 일반적으로 알기네이트 또는 카르복실메틸 셀룰로스(이러한 타입의 제품은 참고로 예를 들어 "Aquacel®"로 시판되고 있음)의 겔화 섬유의 니들-펀칭된 부직포이다. 이들 드레싱은 부착력이 부족한 단점과 삼출물이 흡수되어 짐에 따라 붕괴되어 지는 단점이 있으며, 이에 의해 이들은 상처에 찌꺼기를 남기고 그리고 단일 편으로 이것들을 제거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이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부직포의 표면에 천공된 접착성 층을 증착하여 삼출물의 통로를 보장하는 한편 부직포로부터의 탈리하는 섬유를 보지하기 위한 것이 제안되어 졌다(WO 2002/03898). 여기서 제안된 천공의 직경은 약 5 내지 8mm 정도이다.
또한, 문헌 WO 2007/025546호에서는, 초흡수성 섬유의 부직포를 사용하는 것이 제안되어 져 있는데, 여기서 섬유는 이들 사이에 이격을 충분하게 하기 위해 니들 펀칭되어 지고, 이렇게 이격되어 일단 팽창하면, 이들은 삼출물이 이들 사이를 통과하게 하는 것을 지속한다. 섬유를 이격화 함에 의해, 부직포의 부착력은 부직포로부터 탈리되어 지는 섬유가 상처를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는 만큼 감소되어 진다. 국제특허공개공보 WO 2007/025544호는 따라서 접합되어 지는 교차점의 지점인, 루프를 형성함에 의해 부직포 상에 가소성 물질의 사를, 섬유화에 의해 증착하는 제안을 하였다. 흡수층에 의한 삼출물의 빠른 초기 흡수를 공고하게 하기 위해 사의 기초 중량은 100 g/㎡ 이하로 되어야 한다. 자세하게는, 상처와 부직포 사이에 중간층을 삽입함에 의해 부직포의 흡수율과 능력을 감소하지 않는 것이 절대적이다. 유사하게, 이 중간층은 이들 드레싱의 자가용혈적 좌멸 괴사 조직 제거 능력에 부정적으로 영향을 미쳐서는 안된다.
이들 드레싱은 최적의 좌멸 괴사 조직 제거를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부터 멀다. 이들의 사용은 때로는 환자가 외상적 상처를 받고 그리고 고통스러운 작용을 필요로 하는 기계적인 좌멸 괴사 조직 제거술과 조합되어 진다. 따라서, 이 기계적 좌멸 괴사 조직 제거술을 제거하거나 감소하는 것이 유용하다.
특허문헌 1: 국제특허공개공보 WO 2002/03898 특허문헌 2: 국제특허공개공보 WO 2007/025546 특허문헌 3: 국제특허공개공보 WO 2007/025544
따라서, 상처와 부직포 사이에 중간층의 존재에도 불구하고, 드레싱의 자가 용혈적 좌멸 괴사 조직 제거 능력과 삼출물의 흡수량 및 비율에 악영향을 끼치지 않고 그리고 외과적 수술 작용에 대한 의지를 감소하거나 제거하기 위해 바람직하기로는 피브린의 최적화된 제거를 가능하게 하는, 상처, 특히는 만성적인 상처의 케어를 위한 드레싱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스럽다. 이 드레싱은 또한, 피브린이 없고 그리고 그 제거 동안에, 조직의 재생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 상처의 영역의 치유를 증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야 한다. 마지막으로, 이 드레싱은 부착성이어야 하고 그리고 그 제거 동안에 통증을 유발하지 않아야 한다.
본 출원인은 상기한 이들의 요구에 따르는 드레싱을 개발하였는데, 이 드레싱은 특정한 접촉 층으로, 상처 맞은편 부분 상에서, 도포되어 지는 초흡수성 부직포를 포함한다. 이 층은 피브린의 제거를 공고하게 하면서 사용된 드레싱의 통증 없는 제거를 보장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였다. 모든 기대에 반하여, 상처와 부직 습포 사이의 이 특별한 층의 개재는 삼출물을 흡수하는 드레싱의 능력을 감소하지 않았고 그리고 그의 자가 용혈적 좌멸 괴사 조직 제거 능력을 감소하지도 않았다. 본 출원인은 부가적으로 피브린이 드레싱에 점착하고 그리고 드레싱이 제거되어 질 때 블럭으로 제거되어 질 수 있다는 것을 관찰하였다.
본 발명은 따라서, 처음으로, 자가용혈적 좌멸 괴사 조직 제거술과 상처의 그래뉼화 반응을 동시적으로 증진하고, 그리고 상처의 모든 부분의 케어를 가능하게 하여 동일한 치료 단계를 필요로 하지 않는 드레싱을 제공함에 의해 상처, 특별하게는 만성적인 상처의 치료를 최적화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였다.
본 발명의 드레싱은 더욱이 상처에 보습 환경을 유지하면서 아주 빠르게 액체성 삼출물을 흡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였다. 이 삼출물은 부직 습포에 의해 흡수되어 지는 반면, 접촉 층 젤은 삼출물과 접촉한다. 상처의 표면에 형성된 보습 환경은 치유를 증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드레싱은 점착성이고 그리고 이것이 제거되어 질 때 찢어 지지 않는다.
초흡수성 섬유의 부직포와 상처와 접촉되도록 의도된 층의 조합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드레싱 구조에 있어서, 삼출물을 시간에 걸쳐 빠르고 일정한 흡수를 보장하고 그리고 주변 손상의 피부와 상처의 쇠약화를 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드레싱의 자가용혈적 좌멸 괴사 조직 제거 능력에 악영향을 미침이 없이 삼출물의 빠른 흡수를 공고하게 하는 한편 그리고 바람직하기로는 블럭으로 피브린의 제거를 증진하면서 드레싱의 통증 없는 제거를 가능하게 하고, 그리고 증식적인 조직의 완전성을 보존하고 이들의 성장을 증진하고, 그리고 마지막으로 무르게 하는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이들의 사용을 통하여 삼출물의 빠르고 일정한 흡수를 보장하는, 특정한 부직포와 특별한 접촉 층으로 구성된 점착성 드레싱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특정한 접촉 층은 유연성을 유지하고 그리고 신체의 형상에 적응하기 위해서 엘라스토머 조성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드레싱은, 갤화에 의해, 접촉 층이 상처에 들러붙지 않고 그리고 바람직한 보습 환경을 만들기 때문에, 제거하는 것에 통증이 없고, 그리고 피브린이 없는 영역을 치료하는 데 이들의 작용은 유익하다. 부직포에 의한 삼출물 및 피브린의 흡수는 삼출물의 흡수 동안에 접촉 층의 개구 사이즈 감소를 회피하면서 유지되어 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대상은 다음을 포함하는 드레싱이다:
a - 바람직하기로는 이성분인 초흡수성 섬유 및 열 접합 비-흡수성 섬유의 혼합물로 형성된 흡수성 부직 습포, 모든 섬유는 열적으로 결합되어 짐, 그리고
b - 상처와 접촉하도록 의도되어 진 습포의 표면을 부분적으로 커버하는 접촉 층, 상기 층은 상처로부터의 삼출물의 통과를 가능하게 하는 개구를 포함하고 그리고 110 내지 500 g/㎡ 범위로 되는 기초 중량을 가지고, 그리고 상기 층은 하이드로콜로이드류와 엘리스토머 메트릭스를 포함하는 조성물로부터 형성되어 지고, 하이드로콜로이드류의 비율은 상기 조성물의 중량에 대해 2% 내지 20 중량% 사이로 됨.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드레싱은 다음을 포함한다:
a - 폴리아크릴로니트릴로 된 코어와 폴리아크릴레이트로된 쉘을 갖는 코어-쉘(core-shell) 타입의 이성분 초흡수성 섬유와 그리고 코어-쉘 타입의 이성분 열 접합 비-흡수성 섬유의 혼합물로부터 형성된 흡수성 부직 습포로, 상기 코어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ET)로 만들어 지고 그리고 쉘은 폴리에틸렌으로 만들어 지고, 모든 섬유는 열적으로 결합되어 짐, 그리고
b - 상처와 접촉하도록 의도되어 진 습포의 표면을 부분적으로 커버하는 접촉 층, 상기 층은 삼출물의 통과를 가능하게 하는 개구를 포함하고 그리고 150 내지 200 g/㎡ 범위로 되는 기초 중량을 가짐, 상기 층은 하이드로콜로이드류와 엘리스토머 메트릭스를 포함하는 조성물로부터 형성되어 지고, 상기 하이드로콜로이드류는 상기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해 2% 내지 20 중량% 사이로 존재함, 그리고 상기 층은 상처의 삼출물에 노출되어 지기 전에 상처 맞은 편에 있는 습포의 55% 내지 65% 사이의 면을 커버함.
본 발명에 따른 드레싱은 초흡수성 섬유와 비-흡수성 섬유의 혼합물로부터 얻어진 부직포로부터 형성된 흡수성 층을 포함한다.
표현 "초흡수성"은 여기서는 액체를 흡수하는, 바람직하기로는 그램 당 10g 또는 그 이상의 물(또는 생리학상의 혈청과 같은 식염 용액),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그램 당 20g 또는 그 이상의 물, 가장 바람직하기로는 그램 당 30g 또는 그 이상의 물을 흡수하기 위한 아주 높은 흡수능을 가지는 섬유를 지칭하는 것으로 이해되어 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초흡수성 섬유는 바람직하기로는 두 가지 다른 물질로 구성되어 진다. 이들 물질은 사이드-바이-사이드 형상으로 분산되어 지거나 바람직하기로는 코어-쉘 형상으로 분산되어 질 수 있다.
섬유의 외층 부분, 바람직하기로는 쉘을 형성하기 위해 의도된 제일 물질은 상처의 삼출물로 겔을 형성할 수 있어야 하고, 그리고 유익하기로는, 특별하게는 아크릴 산의 중합체 및/또는 아크릴 산 염의 중합체, 보다 특별하게는 소디움 또는 암모니움 아크릴레이트와 같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가교된 및/또는 부분적으로 가교된 중합체로부터 형성되어 질 것이다.
바람직하기로는 초흡수성 섬유의 코어를 형성하는 제이 성분은 바람직하기로는 비-겔화되어 질 것이고, 그리고 제일 성분 물질에 의한 겔의 형성 후 섬유의 안정성을 보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일 성분과 조화할 수 있는 것일 것이다. 이것은 수성 배지에서 안정하고 그리고 안정한 이성분(bicomponent) 섬유로 초래되어 지도록 쉘의 물질과 조화할 수 있는 어떠한 타입의 폴리머로부터 형성되어 질 수 있다.
유익하기로는, 이 제이 물질은 폴리아크릴로니트릴로부터 형성되어 진다.
초흡수성 섬유는 유익하기로는 2 내지 6 dtex 사이의 크기를 가진다.
본 발명의 내용에 따라서 사용되어 질 수 있는 초흡수성 섬유는, 예를 들어 주식회사 도요보(TOYOBO CO. LTD.)에 의해 상표명 "LANSEAL® F"으로 시판되고 있다.
비-흡수성 섬유는 이들 섬유가 가른 섬유와 및/또는 이들 섬유가 초흡수성 섬유와 결합을 형성하려 강화를 형성함에 의해 부직포의 삼차원 구조를 강화하고 그리고 안정화할 수 있는 열적 결합 섬유이다.
이들 제이 섬유는, 예를 들어 낮은 용융점의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스테르와 같은 단일의 열가소성 물질로 구성되어 질 수 있다.
유익하기로는, 이들 제이 섬유는 또한 사이드-바이-사이드 또는 바람직하기로는 코어-쉘 형상에 분산된 두 개의 다른 물질로 구성되어 진다.
이들 섬유의 길이는 10 내지 100 mm, 바람직하기로는 25 내지 75 mm의 정도로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내용 안에서, 코어가 특히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과 같은 폴리에스테르로부터 형성되고 그리고 쉘은 폴리에틸렌으로 형성되어 진 코어-쉘 타입의 이성분 열적 결합 비-흡수성 섬유가 특별하게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드레싱의 흡수성 습포를 형성하는 부직포는 50 붕량 % 이상, 바람직하기로는 60 중량% 이상의 초흡수성 섬유가 합체된 혼합물로부터 얻어질 것이다.
흡수성 섬유와 열적 결합 비-흡수성 섬유 사이의 중량 비율은 20/80 내지 80/20, 바람직하기로는 60/40 내지 80/20 사이로 될 수 있다. 월등한 결과는 30 중량%의 비-흡수성 섬유 및 70 중량%의 초흡수성 섬유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사용하여 얻어졌다.
이 부직포는 일반적으로 섬유의 혼합물의 열적 결합에 의해, 또는 니들 펀칭 및 열적 결합에 의해 얻어진다.
니들 펀칭 조작은 부직포의 평면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의 방향으로 초흡수성 섬유 방향화 하는 것을 특히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 섬유의 방향화는 이 부직포를 함유하는 드레싱에 의해 흡수된 삼출물의 가로지르는 번짐을 감소하게 할 수 있고 그리고 따라서 상처 주변 피부의 무름화의 위험과 결과적으로 상처의 악화를 감소할 수 있게 한다.
열적 결합 조작은 부직포의 섬유들 사이에 앵커링 점(anchoring points)을 형성함에 의해 흡수 후 부직포의 찢어짐 내성을 개선할 수 있게 한다. 드레싱이 찢어짐이 없이 사용된 드레싱의 제거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부직포의 결합력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섬유의 조합은 0.6 내지 3 mm 사이, 바람직하기로는 2 mm 정도의 두께를 가지고 그리고 40 내지 400 g/㎡ 사이, 바람직하기로는 185 g/㎡ 정도의 기초 중량을 가지는 부직포를 얻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조건 하에서 수행되어 질 수 있다.
이 부직 습포는 특허문헌 GB 2 401 879에 기술된 공정에 따라 제조되어 질 수 있다.
다양한 활성 기질이 부직포 안에 합체되어 질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항미생물 활성을 가지는 기질, 특히 예를 들어 실버 설페이트, 실버 클로이드, 실버 나이트레이트, 실버 술파디아진과 같은 실버 염, 쿼터나리 암모니움, 폴리헥사메틸렌, 비구아이드 및 글로르헥시딘과 같은 것이 예시된다. 치료를 증진하는 기질, 예를 들어 슈크로스 옥타설페이트 포타슘 염과 같은 폴리설페이트화 올리고사카라이드류 또는 성장 인자와 같은 다른 기질이 합체되어 질 수 있다.
부직포 안에 항균 특성이 부여된 섬유를 합체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예를 들어, 이들 섬유는 금속(은, 구리, 아연) 또는 다른 항 박테리아 활성 제제가 합체되어 질 수 있다. 금속의 경우에 있어서, 이들 섬유는 다양한 방식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사출 동안에 폴리머 매트릭스(PP, PET, PA) 안에 금속의 합체에 의해 또는 방직 공정(아크릴릭, 비스코스) 동안에 스핀 피니쉬 안에 금속의 적용에 의해 된다. 이들 섬유를 제조하기 위해 사용된 금속은 염, 제올라이트, 세라믹 또는 나노입자의 형태로 되어 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드레싱의 제조를 위해 사용되어 질 수 있는 하이드로콜로이드류를 함유하는 엘라스토머 조성물은 하이드로콜로이드류가 바람직하기로는 균질하게 분산되어 진 엘라스토머 매트릭스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드레싱의 접촉 층은 유익하기로는 상체에 드레싱이 들러 붙지 않게 하고 그리고 드레싱의 제거에 어떠한 통증을 방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체의 표면에 보습 배지를 유지하면서 삼출물-적하 흡수성 습포와의 접촉을 피함에 의해, 치유를 증진한다. 하이드로콜로이드류의 합체는 엘라스토머 조성물에 친수성 특성을 부여하고 그리고 상처의 치료를 증진할 수 있는 활성 제제의 벡터화(vectorization)를 개선한다.
상기 조성물은 폴리(스틸렌-올레핀-스틸렌) 블럭 중합체로부터 선택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엘라스토머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내용 내에서 사용된 이 블럭 공중합체는 유익하기로는 올레핀인 엘라스토머 블럭 B와 스틸렌 써모플라스틱 블럭 A를 포함하는 AB 타입의 디블럭 공중합체와 임의적으로 조합된, 올레핀인 엘라스토머 센트럴 블럭 B와 스틸렌 써모플라스틱 엔드 블럭 A 둘을 포함하는 ABA 타입의 트리블럭 공중합체이다. 이들 공중합체의 올레핀 블럭 B는 예를 들어 이소프렌 또는 부타디엔과 같은 불포화된 올레핀이나, 예를 들어 에틸렌-부틸렌 또는 에틸렌-프로필렌과 같은 포화된 올레핀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트리블럭 공중합체 ABA와 디블럭 공중합체 AB의 혼합물의 경우에 있어서, 이미 이용되어 질 수 있는 것인 상업적 트리블럭 공중합체 ABA와 디블럭 공중합체 AB의 혼합물을 사용하거나 또는 두 개의 독립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제품으로부터 선택된 것의 어떠한 비율의 혼합물을 생산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불포화된 중심 블럭을 갖는 트리블럭 공중합체는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인에게 잘 알려져 있고 그리고 특히는 주식회사 크라톤 폴리머(Kraton Polymers)에 의해 상표면 "KRATON® D"으로 시판되어 진다.
폴리(스틸렌-이소프렌-스틸렌)(SIS로 약칭됨) 공중합체의 예로서는, 따라서 상표명 "KRATON® D1107"또는 "KRATON® D1119 BT"로 시판되는 제품이나 그렇지 않으면 주식회사 엑손 모빌 케미컬(Exxon Mobil Chemical)에 의한 상표명 "VECTOR®"으로 시판되는 제품, 예를 들어 상표명 "VECTOR® 4113"으로 시판되는 제품이 언급되어 질 수 있다. 폴리(스틸렌-부타디엔-스틸렌) 공중합체의 예로는 상표명 "KRATON® D1102"으로 시판되는 제품이 있다.
B가 이소프렌인 트리블럭 공중합체 ABA 및 디블럭 공중합체 AB의 상업적 혼합물의 예로서는, 주식회사 엑손 모빌 케미컬에 의하여 상표명 "VECTOR® 4114"으로 시판되는 제품이 언급되어 질 수 있다.
이소프렌 또는 부타디엔에 기재된 모든 이들 공중합체는 일반적으로 상기 공중합체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10 내지 52 중량% 사이의 스틸렌 함량을 가진다.
본 발명의 내용 내에서는, 상기 폴리(SIS)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14 내지 52 중량% 사이, 바람직하기로는 14 내지 30 중량% 사이의 스틸렌 함량을 가진 폴리(스틸렌-이소프렌-스틸렌) (SIS로 약칭됨) 트리블럭 블럭 공중합체의 사용이 바람직하게 된다.
바람직하기로는, 본 발명의 조성물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트리블럭 블럭 공중합체 그리고 특히는 주식회사 크라톤 폴리머에 의한 상표명 "KRATON® D1119 BT"으로 시판되는 제품의 사용이 바람직하게 될 것이다.
포화된 센트럴 블럭을 갖는 트리블럭 공중합체가 또한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인에게 잘 알려져 있는데,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시판되고 있다:
- 폴리(스틸렌-에틸렌-부틸렌-스틸렌) (abbreviated to SEBS) 블럭 공중합체로서는 주식회사 크라톤 폴리머에 의한 상표명 "KRATON® G"으로, 그리고 특히 상표명 " KRATON® G1651", "KRATON® G1654" 또는 "KRATON® G1652";
- 폴리(스틸렌-에틸렌-프로필렌-스틸렌) (SEPS로 약칭됨) 블럭 공중합체에 대해서는 주식회사 쿠라레이(Kuraray)에 의한 상표명 "SEPTON®".
트리블럭 및 디블럭 공중합체의 상업적 혼합물의 예로서는, 에틸렌-부틸렌인 올레핀 블럭으로, 상표명 "KRATON® G1657"으로 주식회사 크라톤 폴리머에 의해 시판되는 제품이 언급되어 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내용 안에서 생산되어 질 수 있는 트리블럭 및 디블럭 공중합체의 특정한 혼합물의 예는, 다음의 혼합물이 언급되어 질 수 있다:
- 특히 상표명 "KRATON® G1651"으로 주식회사 크라톤 폴리머에 의해 시판되는 제품과 같은 트리블럭 SEBS; 및
- 특히 상표명 "KRATON® G1702"로 주식회사 크라톤 폴리머에 의해 시판되는 폴리(스틸렌-에틸렌-프로필렌)과 같은 폴리(스틸렌-올레핀) 디블럭 공중합체.
본 발명의 내용 안에서, SEBS 또는 SEPS의 중량에 대하여 25 중량% 내지 45 중량% 사이의 스틸렌 함량을 갖는 SEBS 또는 SEPS 트리블럭 공중합체가 바람직할 것이다. 바람직하기로는, 트리블럭 블럭 공중합체 그리고 특히는 주식회사 크라톤 폴리머에 의한 상표명 "KRATON® G1651" 및 "KRATON® G1654"으로 시판되는 제품이 사용될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라스토머는 블럭 공중합체의 올레핀 센트럴 블럭의 포화 또는 불포화 특성에 의존하여 적절한 양으로 사용될 것이다. 따라서, 불포화된 센트럴 블럭을 갖는 트리블럭 공중합체의 경우에 있어서는,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10 중량% 내지 30 중량%의 정도, 바람직하기로는 10 중량% 내지 20 중량% 정도의 양으로 사용되어 질 것이다. 포화된 센트럴 블럭을 갖는 트리블럭 공중합체의 경우에 있어서는,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3 중량% 내지 10 중량%의 정도, 바람직하기로는 4 중량% 내지 7 중량% 정도의 양으로 사용되어 질 것이다.
용어 "하이드로콜로이드" 또는 "하이드로콜로이드 입자"는 물, 생리적 혈청 또는 상처의 삼출물과 같은 수성 리퀴드를 흡수하는 그의 능력에 대하여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인에 의해 관행적으로 사용되어 지는 어떠한 화합물을 의미하는 것으로 여기서 이해되어 진다.
적절한 하이드로콜로이드류로서는, 예를 들어 펙틴, 알르기네이트, 특히 카라야 검과 같은 천연의 식물성 검,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스와 같은 셀룰로스 유도체류 및 소디움이나 칼슘염과 같은 이들의 알카리 금속염, 그리고 또한 예를 들어 주식회사 바스프(BASF)에 의하여 상표명 "LUQUASORB® 1003"로 시판되는 제품, 또는 주식회사 "시바 스페시얼리티 케미컬스(Ciba Specialty Chemicals)에 의하여 상표명 "SALCARE® SC91"로 시판되는 제품과 같은 일명 "초흡수제"으로 알려진, 아크릴 산 염 기재의 합성 폴리머 그리고 또한 이들의 혼합물이 언급되어 질 수 있다.
이들이 10마이크로미터 이하의 입자 사이즈를 가지기 때문에 "마이크로콜이드(microcolloids)"로 기술된 이들 초흡수제의 몇몇은 물로 본 조성물의 생산의 내용 내에서 사용되어 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내용 안에서 바람직하게 되는 하이드로콜로이드류는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스, 그리고 특히는 소디움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스 (CMC)의 알카리 금속 염이다. 하이드로콜로이드 입자의 사이즈는 예를 들어 50 내지 100 미크론 사이, 특히는 미크론 정도이다.
엘라스토머 조성물 안에 합체되어 지는 하이드로콜로이드류의 양은 유익하기로는 엘라스토머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2 중량% 내지 20 중량%, 바람직하기로는 5 중량% 내지 18 중량%,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8 중량% 내지 18 중량%, 가장 바람직하기로는 12 중량% 내지 16 중량%가 될 것이다. 관통된 접촉 층 안으로 너무 많은 양으로 합체된 하이드로콜로이드류는 겔 형태로서 초흡수성 섬유에 기재된 부직포의 흡수 능력을 감소한다. 실제로, 하이드로콜로이드류의 높은 흡수 능력은 메쉬의 홀이 차단될 수 있을 만큼 접촉 층을 팽윤되게 한다. 흡수성 부직포는 더 이상 삼출물을 직접적으로 흡수하지는 않지만 드레싱의 흡수 능력을 감소하고 상처 무름의 문제를 야기하는 하이드로콜로이드 흡수 층에 존재하는 삼출물을 흡수한다.
상기 조성물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가소화 화합물과 그리고, 필요하다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항산화제와 조합한 폴리(스틸렌-올레핀-스틸렌) 블럭 중합체로부터 선택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엘라스토머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드레싱의 엘라스토머 조성물은 이들의 스트레칭, 유연성, 사출성 또는 가공 특성을 개선하기 위해 의도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가소화 화합물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기로는 이들은 사용된 블럭 공중합체의 올레핀 센트럴 블럭과 조화할 수 있는 리퀴드 화합물일 것이다.
본 목적을 위해 사용되어 질 수 있는 가소화 화합물들 중에서, 센트럴 블록의 특성에 관계없이, 특히는 가소화 광유가 언급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폴리부텐 - 예를 들어 주식회사 비피 케미컬(BP Chemicals)에 의하여 상표명 "NAPVIS® 10"으로 시판되는 제품과 같은 것 - 또는 그렇지 않으면, 선트럴 블럭이 불포화되어 질 때, 디옥틸 프탈레이트나 디옥틸아디페이트와 같은 프탈레이트 유도체류가 언급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는, 포화된 하이드로카본의 리퀴드 혼합물에 기재된 합성 제품으로, 예를 들어 주식회사 토탈(Total)에 의하여 상표명 "GEMSEAL®"으로 시판되는 제품 및 특히는 완전하게 수화된 페트롤륨 커트로부터 유래된 이소파라핀 혼합물인 제품 "GEMSEAL® 60"과 같은 것이 또한 가능하다. 포화된 센트럴을 포함하는 트리블럭 공중합체를 갖는 이들 제품의 사용이 바람직할 것이다.
본 발명의 내용 안에서, 가소화 오일 그리고 특히는 파라핀, 나프탈렌 또는 아로마틱 특성 또는 다양한 비율로 되는 이들의 혼합물의 화합물로부터 형성된 광유의 사용이 바람직할 것이다.
특별하게 적절한 가소화 오일들 중에서, 다음의 것이 언급되어 질 수 있다:
- 나프탈렌 및 파라핀 화합물에 기재된 혼합물로 구성된 주식회사 쉘(Shell)에 의하여 "ONDINA®" 및 "RISELLA®"의 명칭으로 시판되는 제품;
- 나프탈렌, 아로마틱 및 파라핀 화합물에 기재된 혼합물로 구성된 상표명 "CATENEX®으로 시판되는 제품.
특별하게 바람직하기로는, 상표명 "ONDINA® 63" 및 "ONDINA® 19"으로 시판되는 제품으로부터 선택된 광물 가소화 오일의 사용일 것이다.
이들 가소화 화합물은 하이드로콜로이드 엘라스토머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20 중량% 내지 65 중량%의 정도, 바람직하기로는 30 중량% 내지 50 중량% 정도의 양으로 사용되어 질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이들 조성물은 부착성이다: 이들은 상처에 점착함이 없이 피부에 점착하는 특성을 가진다. 이들은 엘라스토머-기재 압력-민감성 점착제의 제조에 있어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인에 의해 관행적으로 사용되어진 것과 같은 "점착부여제"로 언급되어 지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한다. 이들 화합물의 상세한 설명은, 도나타스 사타스(Donatas Satas)에 의한 "Handbook of Pressure Sensitive Technology", 3rd Edition, 1999, 346 내지 398페이지를 참고로 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내용 안에서, 낮은 접합 강도를 가지는 접촉 층의 사용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는 이 낮은 접착 강도가 간호 스탭에게 이들의 양손이, 예를 들어 지지 밴드와 같은 이차적인 요소를 적용하기 위해, 드레싱을 적용하는 한편, 건강한 조직을 손상함이 없이 드레싱의 재위치화 조차도 가능하게 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드레싱은 마이크로-점착으로 기술되어 진다.
일반적으로, 하이드로콜로이드 엘라스토머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1 중량% 내지 50 중량% 정도의 비율로 엘라스토머의 매트릭스 내에 합체되어 질 것이고, 드레싱의 바람직한 마이크로-점착을 달성하기 위해, 후자의 다른 구성성분의 상대적인 비율의 그리고 특성의 작용으로서 결정되어 질 것인,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점착부여 제품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바람직하기로는, 점착부여 제품은 하이드로콜로이드 엘라스토머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10 중량% 내지 45 중량%, 그리고 가장 바람직하기로는 15 중량% 내지 40 중량%로 존재될 것이다.
본 발명의 내용 안에서 사용되어 질 수 있는 점착 부여 제품은 낮은 분자량의 폴리이소부틸렌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점착 부여 수지로부터 선택되어 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어 질 수 있는 점착 부여 수지 중에서, 모디파이된 테르펜 또는 폴리테르펜 수지, 로진 수지, 하이드로카본 수지, 시클릭, 아로마틱 및 알리파틱 수지의 혼합물 또는 이들 수지의 혼합물이 언급되어 질 수 있다.
이러한 제품은,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시판되어 진다:
- 수소화된 폴리시클로펜타디엔 수지인 주식회사 아라카와 케미컬 인더스트리스(Arakawa Chemical Industries)에 의한 상표명 "ARKON® P" 제품;
- 주식회사 엑손 모빌 케미칼에 의한 상표명 "ESCOREZ®" 그리고 특히 수소화된 5000 시리즈의 수지;
- 주식회사 굿이어(Goodyear)에 의한 상표명 "WINGTACK®" 그리고 특히는 C5/C9 공중합체로부터 형성된 합성 수지인 WINGTACK® 86 또는 합성 폴리테르펜에 기재된 수지인 WINGTACK®;1
- 주식회사 허브큘레스(Hercules)에 의한 상표명 "KRISTALEX®" 그리고 특히는 알파-메틸렌스틸렌에 기재된 수지인 KRISTALEX® 3085.
일반적으로, 불포화된 수지의 채색화 및 안정성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해, 수소화된 수지, 특히는 포화된 센트럴 블럭을 갖는 트리블럭 공중합체를 갖는 수지의 사용이 바람직한데, 이는 이들이 필수적으로 불포화된 센트럴 블럭을 갖는 트리블럭 공중합체로 사용된 WINGTACK 타입의 불포화 수지에서보다 후자와 더 조화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들 중에서, 5000 시리즈의 ESCOREZ® 수지 그리고 아주 특별하게는 ESCOREZ® 5380 수지의 사용이 바람직할 것이다.
점착 부여 수지는 단독으로 또는 다른 점착 부여 제품과, 바람직하기로는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10 중량% 내지 50중량%, 그리고 아주 특별하게는 15 중량% 내지 50 중량%의 비율로 되는 혼합물로 사용되어 질 수 있다.
점착 부여 제품으로서 사용되어 질 수 있는 낮은 분자량의 폴리이소부틸렌 중에서, 예를 들어 주식회사 바스프에 의하여 상표명 "OPPANOL®"으로 그리고 특히는 상표명 "OPPANOL® 12" 및 "OPPANOL® 15"으로 시판되는 제품 또는 주식회사 엑손 모빌에 의해 상표명 "Vistanex"으로 그리고 특히는 LM-MH 등급의 제품과 같이, 40 000 내지 80 000 달톤 정도의 분자량을 갖는 폴리이소부틸렌이 언급되어 질 수 있다.
이들 폴리이소부틸렌은 단독으로 또는 불포화된 센트럴 블럭울 갖는 트리블럭 공중합체와 조합한 다른 점착부여제와 혼합물로서 사용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이들의 비율은 다양하게 될 수 있을 것이고, 이 경우에,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5 중량% 내지 30중량%, 그리고 보다 특별하게는 8 중량% 내지 15 중량%로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드레싱의 제조를 위해 사용되어 질 수 있는 조성물은 부가적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항산화제를 포함할 수 있다.
용어 "항산화제"는 여기서는 산소, 열, 오존 및 자외선 방사에 대하여, 점착성 성분들, 특히는 점착 부여 수지 및 블럭 공중합체의 제형 내에 합체되어 진 화합물의 안정성을 공고하게 하기 위하여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인에 의해 통상적으로 사용되어 지는 화합물을 지칭하는 것으로 이해되어 진다.
적절한 항산화제의 예는, 다음의 것이 언급되어 질 수 있다:
- 특히 상표명 "IRGANOX® 1010", "IRGANOX® 565" 및 "IRGANOX® 1076"으로 주식회사 시바 스페시얼티 케미칼(Ciba Specialty Chemicals)에 의하여 시판되는 제품과 같은 페놀성 항산화제;
- 특히 주식회사 아크조(AKZO)에 의해 상표명 "PERKACIT® ZDBC"으로 시판되는 징크 디부틸디티오카바메이트와 같은 황-함유 항산화제.
이들 항산화제는 엘라스토머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5 중량% 내지 1 중량%, 바람직하기로는 0.1 중량% 내지 0.5 중량% 정도의 양으로 사용되어 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내용 안에서, IRGANOX® 제품, 그리고 특히는 IRGANOX® 1010 제품의 사용이 바람직할 것이다.
특히 상처 치료의 분야 또는 제약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어쥬번트 또는 활성 제제와 같은 다양한 화합물이 부가적으로 엘라스토머 조성물의 제형에 부가되어 질 수 있다.
본 조성물은 상처 치유에서 호의적인 역할을 가지는 활성 주제를 함유할 수 있다. 이들 활성 주제는 상처의 좌멸 괴사 조직 제거 및/또는 그래뉼화 페이스 동안에 작용함에 의해 특별하게 치료를 유도하거나 가속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접촉 층은, 특별하게는 하이드로콜로이드류의 존재에 기인하여, 활성 주제의 방출에 대해 아주 양호한 벡터이다는 것이 관찰되어 질 수 있다.
이들 활성 제제는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1 중량% 내지 20 중량%, 바람직하기로는 1 중량% 내지 15 중량% 그리고 특별하게는 2 중량% 내지 10 중량% 정도의 양으로 사용되어 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내용 내에서 사용되어 질 수 있는 활성 기질들 중에서, 일 예로서, 살균 또는 정균 제제, 치유를 증진하는 제제, 통증 제거제 또는 항-염증제제가 언급되어 질 수 있다.
어쥬번트로서는, 따라서 염료물질, 충진제, 냄새 흡수 또는 포획제, UV 차단제, pH 조절제, 임의적으로 활성 제제를 담지할 수 있는 마이크로캡슐이나 마이크로스피어, 드레싱에 오일상의 외양을 제공하기 위한 바셀린 또는 겔화 비율, 습윤성을 최적화하거나 또는 조성물의 활성 제제의 방출을 최적화하기 위한 계면활성제 또는 폴리머가 언급되어 질 수 있다.
조성물이 불포화된 폴리머를 포함할 때, 겔화를 증가하기 위해 공중합체 "AcResin®"의 사용이 될 수 있다; 겔화 비율, 습윤성을 최적화하거나 또는 조성물 안에 임의적으로 존재하는 활성 제제의 방출을 최적화하기 위해 주식회사 셉픽(SEPPIC)에 의해 시판되는 계면활성제 MONTANOX® 80 또는 폴리머 SEPINOV® EMT 10 양자를 사용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포화된 센트럴 블럭을 갖는 엘라스토머 공중합체 기재 조성물을 사용한 드레싱의 제조의 내용에 있어서, 전체 100 중량%에 대해 다음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사용이 바람직할 것이다:
0.05 중량% 내지 1 중량%의 항산화제;
10 중량% 내지 50 중량%의 점착 부여 수지;
2 중량% 내지 20 중량%, 바람직하기로는 12 중량% 내지 16 중량%의 하이드로콜로이드, 그리고 특히는 소디움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스;
20 중량% 내지 65 중량%의 가소제, 그리고 특히는 가소화 광유;
3 중량% 내지 10 중량%의 폴리(스틸렌-에틸렌-부틸렌-스틸렌) 또는 폴리(스틸렌-에틸렌-프로필렌-스틸렌) 트리블럭 폴리머;
2-메틸-2-[(1-옥소-2-프로페닐)아미노]-1-프로판술폰 산 및 2-하이드록시에틸에스테르의 프로펜 산의 염으로 구성된 1 중량% 내지 15 중량%의 공중합체.
포화된 센트럴 블럭을 갖는 엘라스토머 공중합체 기재 조성물을 사용한 드레싱의 제조의 내용에 있어서, 전체 100 중량%에 대해 다음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사용이 바람직할 것이다:
0.05 중량% 내지 1 중량%의 항산화제;
10 중량% 내지 50 중량%의 점착 부여 수지;
2 중량% 내지 20 중량%, 바람직하기로는 12 중량% 내지 16 중량%의 하이드로콜로이드, 그리고 특히는 소디움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스;
20 중량% 내지 65 중량%의 가소제, 그리고 특히는 광유;
3 중량% 내지 10 중량%의 폴리(스틸렌-에틸렌-부틸렌-스틸렌) 또는 폴리(스틸렌-에틸렌-프로필렌-스틸렌) 트리블럭 폴리머.
포화된 센트럴 블럭을 갖는 엘라스토머 공중합체 기재 다른 조성물은 전체 100 중량%에 대해 다음을 포함할 수 있다:
0.05 중량% 내지 1 중량%의 항산화제;
2 중량% 내지 20 중량%, 바람직하기로는 12 중량% 내지 16 중량%의 하이드로콜로이드, 그리고 특히는 소디움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스;
20 중량% 내지 65 중량%의 가소제, 그리고 특히는 광유;
3 중량% 내지 10 중량%의 폴리(스틸렌-에틸렌-부틸렌-스틸렌) 또는 폴리(스틸렌-에틸렌-프로필렌-스틸렌) 트리블럭 폴리머.
불포화된 센트럴 블럭을 갖는 엘라스토머 공중합체 기재 조성물을 사용한 드레싱의 제조의 내용에 있어서, 전체 100 중량%에 대해 다음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사용이 바람직할 것이다:
0.05 중량% 내지 1 중량%의 항산화제;
10 중량% 내지 60 중량%의 점착 부여 수지;
2 중량% 내지 20 중량%, 바람직하기로는 12 중량% 내지 16 중량%의 하이드로콜로이드, 그리고 특히는 소디움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스;
10 중량% 내지 65 중량%의 가소제, 그리고 특히는 광유 또는 프탈레이트 유도체;
5 중량% 내지 25 중량%의 폴리(스틸렌-부타디엔-스틸렌) 또는 폴리(스틸렌-이소프렌-스틸렌) 트리블럭 폴리머;
2-메틸-2-[(1-옥소-2-프로페닐)아미노]-1-프로판술폰 산 및 2-하이드록시에틸에스테르의 프로펜 산의 염으로 구성된 1 중량% 내지 15 중량%의 공중합체.
하나의 특별하게 바람직한 조성물은 전체 100 중량%에 대해 다음을 포함한다:
0.05 중량% 내지 1 중량%의 항산화제;
30 중량% 내지 40 중량%의 점착 부여 수지;
2 중량% 내지 20 중량%, 바람직하기로는 12 중량% 내지 16 중량%의 하이드로콜로이드, 그리고 특히는 소디움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스;
35 중량% 내지 45 중량%의 가소제, 그리고 특히는 가소화 광유;
4 중량% 내지 6 중량%의 폴리(스틸렌-에틸렌-부틸렌-스틸렌) 또는 폴리(스틸렌-에틸렌-프로필렌-스틸렌) 트리블럭 폴리머;
2-메틸-2-[(1-옥소-2-프로페닐)아미노]-1-프로판술폰 산 및 2-하이드록시에틸에스테르의 프로펜 산의 염으로 구성된 2 중량% 내지 8 중량%의 공중합체.
상기에 정의된 조성물은 90℃ 내지 160℃ 사이의 온도, 그리고 바람직하기로는 110℃ 내지 140℃ 사이의 온도에서 다양한 구성성분들의 핫-블렌딩에 의해, 이 기술분야의 통상인에게 잘 알려진 핫-멜트 공정에 따라 제조되어 질 수 있다. 미리 핫-블렌드된 조성물 내에서 엣칭된 실린더를 딥 코팅함에 의해 하이드로콜로이드 엘라스토머 조성물을 증착하는 것이 바람직하게 된다. 이렇게 주조된 조성물은 그런 다음 실린더에 의해 부직포로 이전되어 진다.
사실상, 엘라스토머 조성물은 드레싱의 사용 전에 벗김에 의해 제거되어 질 수 있는, 보호 층 또는 막으로, 상처와 접촉하도록 의도된 그의 표면 상에서 적어도 이것을 도포함에 의해 보호되어 진다.
상기한 엘라스토머 조성물을 포함하는 접촉 층은 엘라스토머 조성물의 관통된 시트, 사출되거나 주조된 조성물의 그물상 섬유 또는 상기 엘라스토머 조성물로 도포된 니트와 같은 다양한 형태로 될 수 있다. 필요로 되는 접합력을 얻기 위해, 평탄한 접촉 층이 바람직할 것이다.
접촉 층의 개구의 사이즈는 이들의 평균 직경 또는 이들의 평균 길이가 바람직하기로는 1 내지 3 mm 사이, 더 바람직하기로는 1 내지 2 mm 사이, 특히 1.5 mm 정도가 되도록 선택되어 진다. 개수의 표면 영역은 예를 들어, 0.5 내지 10㎟ 사이, 바람직하기로는 0.8 내지 6㎟ 사이이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접촉 층은 습포에 의한 삼출물의 최적의 흡수를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표면의 80% 이상을 커버하지 않는다. 접촉 층은 유익하기로는 이것이 상처의 삼출물에 노출되어 지기 전에, 상처의 맞은 편인 습포의 표면의 50% 내지 80% 사이, 바람직하기로는 65% 내지 75% 사이를 도포하도록 구성되어 진다.
접촉 층의 기초 중량은 바람직하기로는 110 내지 250 g/㎡ 사이의 범위,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160 내지 200 g/㎡의 범위로 된다. 예를 들어, 이것은 185 g/㎡의 정도이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습포의 표면의 큰 비율을 도포하고 그리고 높은 기초 중량을 가지는 접촉 층을 제안한다. 모든 기대 외로, 이 접촉 층은 삼출물을 흡수하는 습포의 비율과 능력을 결코 해치지 않는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접촉 층은 실의 그물 섬유 상의 형태를 가지고, 그의 두께 - 그 가장 큰 표면 영역에 대해 평행한 면에서 측정됨 - 는 1 내지 3mm 사이이고 그리고 그의 이격 간격은 1 내지 3mm 사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습포의 기초 중량과 접촉 층의 기초 중량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이들 두 기초 중량 사이의 차이는, 예를 들어, 가장 높은 기초 중량의 값에 대해 20% 이하,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10% 이하이다.
접촉 층 개구의 사이즈, 형상 및 상대적인 배열은 상기 층이, 예를 들어 핫 디몰딩 단계 동안에 부직 습포에 그의 적용 동안에 부가된 변형에 대해 충분하게 저항할 수 있도록 선택되어 진다. 개구는 또한 충분하게 커야 하고 그리고 조성물의 실은 습포가 접촉 층에 분산된 하이드로콜로이드류보다 빠르게 삼출물을 흡수할 수 있도록 충분하게 얇아야 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특별한 실시형태는 상기 층이 다음과 같이 되도록 되는 것이다:
- 실의 그물 섬유 상의 형태를 가지고, 실의 두께 - 그 가장 큰 표면 영역에 대해 평행한 면에서 측정됨 - 는 1 내지 3mm 사이이고 그리고 실들 사이의 이격 간격은 1 내지 3mm 사이로 되고,
- 170 내지 200 g/㎡의 범위로 되는 기초 중량을 가지고, 그리고
- 접촉 층을 형성하는 조성물의 중량에 대해 12 중량% 내지 16 중량%의 하이드로콜로이드류를 포함함.
본 발명과 연계하여 상기에서 기술되어 진 특징은 물론 이 특정한 실시형태에 적용된다. 예를 들어, 습포의 기초 중량은 실질적으로 접촉 층의 것과 동일할 수 있다.
에칭된 실린더 상에서 이전 단계를 사용하는 것이 접촉 층으로 습포를 도포하는 공정에 바람직할 것이다. 실린더는 부직 습포 상에 스틸-핫 메쉬(still-hot mesh)를 디몰딩하기 전에 용융된 엘라스토머 조성물 안에 침지되어 진다. 이 공정은 유익하기로는 상대적으로 큰 입자 사이즈의 고체 하이드로콜로이드 입자를 합체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습포에 스틸-핫 조성물의 적용은 부가적으로 습포 상에 접촉 층의 부착을 최적화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흡수성 반흔 형성 드레싱 및 만성 상처를 위한 이들의 용도는 드레싱의 자가 용혈적 좌멸 괴사 조직 제거 능력과 삼출물의 흡수량 및 비율에 악영향을 끼치지 않고 그리고 외과적 수술 작용에 대한 의지를 감소하거나 제거하기 위해 피브린의 최적화된 제거를 가능하게 하는 상처의 케어를 위한 드레싱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은 다음의 실시예에 의해 자세하게 설명되어 진다.
실시예  1:
부직의 제조
185 g/㎡의 기초중량 및 2 mm의 두께를 가지는 부직포가 주식회사 도요보에 의해 시판되고 있는 초흡수성 섬유 "LANSEAL® F"와 폴리에스테르/폴리에틸렌 이성분 열적 결합 섬유를, 70%(초흡수성 섬유)/30%(열적 결합 섬유)의 중량비율로 사용하여 제조되어 졌다.
섬유는 섬유들의 웹을 얻기 위하여 계량되고, 혼합되고, 카드되고 그런 다음 눌러진다. 그런 다음 니들-펀칭 조작이 이 웹을 강화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부직포의 최종 강화는 열적 결합 섬유의 쉘을 용융하고 그리고 그의 최종 형상으로 부직포를 걸기 위해 가열함(캘린더링)에 의해 발생된다.
하이드로콜로이드 엘라스토머 매스의 제조
하이드로콜로이드 엘라스토머 조성물은 더욱이 믹서에서 혼합함에 의해 제조되어 졌다.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백분율로 나타난 엘라스토머 조성물은 다음과 같다:
- 주식회사 쉘에 의해 상표명 "Ondina® 19"으로 시판되는 광유: 41.7%;
- 주식회사 아쿠아론(AQUALON)에 의해 상표명 "CMC Blanose® H4XF"으로 시판되는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스의 소디움 염(하이드로콜로이드): 14.8%;
- 주식회사 크라톤(Kraton)에 의해 상표명 "KRATON® G 1651 E"로 시판되는폴리(스틸렌-에틸렌-부틸렌-스틸렌) 블럭 공중합체: 4.7%;
- 주식회사 시바 스페시얼티 케미칼에 의해 상표명 "IRGANOX® 1010"으로 시판되는 항산화제: 0.2%;
- 주식회사 액손 케미컬에 의해 상표명 "ESCOREZ® 5380"으로 시판되는 점착 부여 수지: 35.6%;
- 셉픽(SEPPIC)에 의해 상표명 "SEPINOV® EMT 10"으로 시판되는 2-메틸-2[(1-옥소-2-프로페닐)아미노]-1-프로판술폰 산 및 2-하이드록시에틸에스테르의 프로펜 산의 염의 공중합체: 5%.
다양한 구성성분들은 균질한 혼합물을 얻기 위하여, 교반을 하면서 105℃ 내지 115℃ 사이의 온도에서 도입되어 진다.
보다 자세하게는, 최초로 광유, 하이드로콜로이드 및 엘라스토머를, 그런 다음에 항산화제, SEPINOV® EMT 10 그리고 마지막으로 점착 부여 수지가 도입되어 진다.
점착성 물질로 부직포의 도포
이 점착성 물질은 부직포 상에 그물 구조의 형태로 180 g/㎡의 기초 중량으로 도포되어 지고, 그의 메쉬는 장방형이다. 이 도포는 에칭된 실린더 상에서 핫-멜트 전이에 의해 수행되어 졌다. 사의 폭은 1.6mm이다. 장방형 개구는 4㎟의 표면적을 가진다. 도포된 면적은 70%이다. 점착성 물질의 사의 두께는 0.2 mm이다.
생체 외에서 피브린 매트릭스의 제고의 시험:
피브린 매트릭스는 공개문헌 "Fibroblast migration in fibrin gel matrices" Arm J. Pathol, 1993, 142: 273-283에 기술된 브라운 프로토콜(Brown protocol)에 따라 제조되어 졌다.
사용되어 진 구성성분 및 과정은 다음과 같다:
다음의 것이 37℃에서 용해됨:
- 50 밀리몰의 HEPES (Sigma-Aldrich catalogue)를 포함하는 5 ml의 수성 용액;
- 인간 혈장으로부터 15 mg의 피브리노겐 (Sigma-Aldrich catalogue);
- 5 밀리몰의 CaCl2.
이렇게 제조된 용액에 인간 혈장으로부터의 50㎕의 트롬빈, 100 NIH (Sigma-Aldrich catalogue)가 부가되어 진다.
이 조합물은 페트리 디쉬에 증착되어 지고, 그런 다음 24시간 동안 37℃에서 인큐베이트되어 진다.
24시간 종료 후, 피브린 매트릭스가 형성되어 진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드레싱의 샘플이 대기 온도에서 24시간 동안 매트릭스 상에 증착되어 진다.
제거 시점에, 피브린이 지지체 상으로부터 탈리되어 졌고 그리고 제거되어 진 드레싱의 표면에 단일 블럭으로서 이전되어 졌다.
비교실시예  2 및 3:
부직포의 제조
비교실시예 2 및 3의 부직포의 제조는 상기 실시예 1에 기술된 것과 동일하게 하였다.
비교실시예 2의 하이드로콜로이드 엘라스토머 매스의 조성물
비교 실시예 2의 엘라스토머 조성물은 상기 실시예 1에서 기술된 것과 동일하다.
비교실시예 3의 하이드로콜로이드 엘라스토머 매스의 조성물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백분율로 나타난 엘라스토머 조성물은 다음과 같다:
- 주식회사 쉘에 의해 상표명 "Ondina® 17"으로 시판되는 광유: 32.62%;
- 주식회사 아쿠아론에 의해 상표명 "CMC Blanose® H4XF"으로 시판되는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스의 소디움 염(하이드로콜로이드): 30%;
- 주식회사 크라톤(Kraton)에 의해 상표명 "KRATON® G 1651 E"로 시판되는폴리(스틸렌-에틸렌-부틸렌-스틸렌) 블럭 공중합체: 3.86%;
- 주식회사 시바 스페시얼티 케미칼에 의해 상표명 "IRGANOX® 1010"으로 시판되는 항산화제: 0.16%;
- 주식회사 액손 케미컬에 의해 상표명 "ESCOREZ® 5380"으로 시판되는 점착 부여 수지: 25%;
- 셉픽에 의해 상표명 "SEPINOV® EMT 10"으로 시판되는 2-메틸-2[(1-옥소-2-프로페닐)아미노]-1-프로판술폰 산 및 2-하이드록시에틸에스테르의 프로펜 산의 염의 공중합체: 11%.
비교실시예 2 및 3의 하이드로콜로이드 엘라스토머 매스의 제조
본 비교 실시예의 하이드로콜로이드 엘라스토머 매스의 제조는 상기 실시예 1에서 기술된 것과 동일하다.
점착성 물질로 부직포의 도포
비교실시예 2에 대해서는, 이 점착성 물질은 부직포 상에 그물 구조의 형태로 662 g/㎡의 기초 중량으로 도포되어 지고, 그의 메쉬는 장방형이다. 이 도포는 에칭된 실린더 상에서 핫-멜트 전이에 의해 수행되어 졌다. 사의 두께는 0.84 mm이다.
비교실시예 3에 대해서는, 이 점착성 물질은 부직포 상에 그물 구조의 형태로 840 g/㎡의 기초 중량으로 도포되어 지고, 그의 메쉬는 장방형이다. 이 도포는 에칭된 실린더 상에서 핫-멜트 전이에 의해 수행되어 졌다. 사의 두께는 1 mm이다.
흡수 능력의 측정:
흡수 능력의 측정은, 30mm의 직경을 가지는 다공성 글라스 시트가 사용되어 졌고 그리고 친수성 포옴 편/중량 어셈블리가 40mm의 수은의 압력이 전반적으로 적용된 플렉시글라스(Plexiglas) 시트/중량으로 대체되는 차이점은 별도로 하여, 부직포의 흡수 능력의 측정에 대한 스탠다드(standard) EN ISO 9073-12에 따라 수행되었다.
사용된 리퀴드는 물의 리터당 298g의 NaCl 및 368g의 CaCl2로 구성된 NaCl/CaCl2의 용액이었다.
그램으로 표시된 흡수 결과는 아래 표 1에 나타내었다.
제품 1시간 종료시 흡수된 NaCl/CaCl2의 질량
(g)
24시간 종료시 흡수된 NaCl/CaCl2의 질량
(g)
실시예 1 3.016 11.976
비교실시예 2 0.459 8.847
비교실시예 3 0.364 8.348
하이드로콜로이드 엘라스토머 매스의 기초 중량이 500 g/㎡보다 큰 비교실시예 2의 드레싱은 하이드로콜로이드류의 함량이 비록 동등한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드레싱보다 아주 적게 - 1시간 및 24시간에서 - 흡수하였다.
하이드로콜로이드 엘라스토머 매스의 기초 중량이 500 g/㎡보다 크고 그리고 하이드로콜로이드의 양이 20 중량%보다 큰 비교실시예 3의 드레싱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드레싱보다 적게 - 24시간에서 - 흡수하였다. 실시예 1의 특정한 접촉 층의 사용은 부직포의 흡수 비율이 낮아 지지 않고 그리고 이 흡수 능력은 반대 실시예에서 정의된 접촉 층과 달리 시간에 걸쳐 유지되어 졌다는 것을 입증한다.

Claims (15)

  1. 다음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레싱:
    a - 이성분인 초흡수성 섬유 및 열 접합 비-흡수성 섬유의 혼합물로부터 형성된 흡수성 부직 습포, 모든 섬유는 열적으로 결합되어 짐, 그리고
    b - 상처와 접촉하도록 의도되어 진 습포의 표면을 부분적으로 커버하는 접촉 층, 상기 층은 상처로부터의 삼출물의 통과를 가능하게 하는 개구를 포함하고 그리고 110 내지 500 g/㎡ 범위로 되는 기초 중량을 가지고, 그리고 상기 층은 하이드로콜로이드류와 엘리스토머 메트릭스를 포함하는 조성물로부터 형성되어 지고, 하이드로콜로이드류의 비율은 상기 조성물의 중량에 대해 2% 내지 20 중량% 사이로 됨.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열적 결합 비-흡수성 섬유는 이성분 섬유임을 특징으로 하는 드레싱.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열적 결합 비-흡수성 섬유는 코어/쉘 타입의 이성분 섬유이고, 상기 코어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로 제조되고 그리고 쉘은 폴리에틸렌으로 제조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드레싱.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초흡수성 섬유는 코어-쉘 타입의 이성분 섬유이고, 상기 코어는 폴리아크릴로니트릴로 제조되고 그리고 쉘은 폴리아크릴레이트로 제조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드레싱.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습포의 기초 중량은 40 내지 400 g/m2의 범위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레싱.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습포의 두께는 0.6 내지 3mm의 범위로 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드레싱.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흡수성 섬유와 열적 결합 비-흡수성 섬유의 중량 비율은 60/40 내지 80/20 사이임을 특징으로 하는 드레싱.
  8.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접촉 층의 기초 중량은 150 내지 200 g/m2의 범위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레싱.
  9.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층은 상처의 삼출물에 노출되어 지기 전에, 상처의 맞은 편인 습포의 면의 50% 내지 80%, 바람직하기로는 65% 내지 75% 사이를 도포함을 특징으로 하는 드레싱.
  10. 제 1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층은 실의 그물 섬유 상의 형태를 가지고, 그의 두께 - 그 가장 큰 표면 영역에 대해 평행한 면에서 측정됨 - 는 1 내지 3mm 사이이고 그리고 그의 이격 간격은 1 내지 3mm 사이임을 특징으로 하는 드레싱.
  11. 제 1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층의 개구는 0.5 내지 10 mm2, 바람직하기로는 0.8 내지 6 mm2 사이의 표면 영역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드레싱.
  12. 제 1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이드로콜로이드류는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스의 알카리 금속 염으로부터 선택되어 짐을 특징으로 하는 드레싱.
  13. 제 1항 내지 제 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이드로콜로이드류는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8 중량% 내지 18 중량% 사이로 존재함을 특징으로 하는 드레싱.
  14. 제 1항 내지 제 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이드로콜로이드류는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12 중량% 내지 16 중량% 사이로 존재함을 특징으로 하는 드레싱.
  15. 제 1항 내지 제 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층은 상처의 치유 또는 치료를 증진하는 활성 제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드레싱.

KR1020137025564A 2011-03-31 2012-03-29 흡수성 반흔 형성 드레싱 KR1019563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152720 2011-03-31
FR1152720A FR2973223B1 (fr) 2011-03-31 2011-03-31 Pansement absorbant cicatrisant, ses utilisations pour les plaies chroniques
PCT/FR2012/050665 WO2012131263A1 (fr) 2011-03-31 2012-03-29 Pansement absorbant cicatrisant, ses utilisations pour les plaies chroniqu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7104A true KR20140107104A (ko) 2014-09-04
KR101956398B1 KR101956398B1 (ko) 2019-06-24

Family

ID=460179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5564A KR101956398B1 (ko) 2011-03-31 2012-03-29 흡수성 반흔 형성 드레싱

Country Status (17)

Country Link
US (1) US10201456B2 (ko)
EP (1) EP2691057B1 (ko)
JP (2) JP5964941B2 (ko)
KR (1) KR101956398B1 (ko)
CN (1) CN103596526B (ko)
AU (1) AU2012236039B2 (ko)
BR (1) BR112013025107B1 (ko)
CA (1) CA2831186C (ko)
DK (1) DK2691057T3 (ko)
ES (1) ES2636314T3 (ko)
FR (1) FR2973223B1 (ko)
MX (1) MX346695B (ko)
PT (1) PT2691057T (ko)
RU (1) RU2620339C2 (ko)
SG (1) SG193973A1 (ko)
WO (1) WO2012131263A1 (ko)
ZA (1) ZA20130729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73223B1 (fr) * 2011-03-31 2013-04-19 Urgo Lab Pansement absorbant cicatrisant, ses utilisations pour les plaies chroniques
FR2993182B1 (fr) 2012-07-13 2014-10-17 Urgo Lab Pansement a liberation prolongee d'actifs
FR3015226B1 (fr) 2013-12-20 2020-04-24 Urgo Recherche Innovation Et Developpement Materiau composite de remplissage des plaies cavitaires
FR3025430B1 (fr) * 2014-09-08 2018-01-26 Urgo Recherche Innovation Et Developpement Fibre electronegative pour son utilisation dans la cicatrisation des plaies
FR3025429B1 (fr) * 2014-09-08 2018-02-02 Urgo Recherche Innovation Et Developpement Fibre electronegative pour son utilisation dans la cicatrisation des plaies
FR3030225B1 (fr) * 2014-12-19 2017-01-13 Urgo Lab Pansement comprenant un support et une matrice elastomerique hydrophobe
FR3034675B1 (fr) * 2015-04-13 2020-02-14 Urgo Recherche Innovation Et Developpement Materiau lamellaire non tisse pour son utilisation dans la cicatrisation des plaies par pression negative
GB2537841B (en) * 2015-04-27 2020-12-09 Medtrade Products Ltd Wound dressing
GB2537840B (en) * 2015-04-27 2021-04-21 Medtrade Products Ltd Wound dressing
FR3037788B1 (fr) 2015-06-29 2022-01-21 Urgo Lab Nouveau pansement absorbant antimicrobien
KR102635044B1 (ko) * 2018-03-16 2024-02-07 니찌방 가부시기가이샤 창상 피복재
JP7288324B2 (ja) * 2018-03-29 2023-06-07 ニチバン株式会社 皮膚貼付用ハイドロコロイド型粘着剤組成物、及びこれを含む貼付材
DE102019115005A1 (de) * 2019-06-04 2020-12-10 Carl Freudenberg Kg Hautauflage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67732A (en) * 1980-12-05 1983-01-11 Coloplast A/S Skin barrier
US5948529A (en) * 1997-02-26 1999-09-07 Hna Holdings, Inc. Bicomponent fiber
US6270792B1 (en) * 1998-09-18 2001-08-07 Laboratories D'hygiene Et De Dietique Sterile nonstick compress
WO2002003898A1 (en) 2000-07-12 2002-01-17 Bristol-Myers Squibb Company Multi layered wound dressing
US20030187115A1 (en) * 2002-03-29 2003-10-0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Hydrogel adhesives for use on hair or fiber-populated surfaces
JP2005200785A (ja) * 2004-01-15 2005-07-28 Kanebo Ltd 不織布
WO2007025544A1 (en) 2005-08-31 2007-03-08 Coloplast A/S An absorbent dressing
WO2007025546A1 (en) 2005-08-31 2007-03-08 Coloplast A/S An absorbent wound care device
US20100285129A1 (en) * 2007-05-25 2010-11-11 Laboratoires Urgo Novel agent for salting out active principles in dressings containing at least one of fatty substance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419745D0 (en) * 1984-08-02 1984-09-05 Smith & Nephew Ass Wound dressing
US4913943A (en) * 1985-11-12 1990-04-03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Dampener roll cover and methods of preparation and use thereof
US5059189A (en) * 1987-09-08 1991-10-22 E. R. Squibb & Sons, Inc. Method of preparing adhesive dressings containing a pharmaceutically active ingredient
US5006401A (en) * 1988-11-23 1991-04-09 E. R. Squibb & Sons, Inc. Composite compression and support dressing
JPH05192363A (ja) * 1991-11-07 1993-08-03 Terumo Corp 創傷被覆材
US5393599A (en) * 1992-01-24 1995-02-28 Fiberweb North America, Inc. Composite nonwoven fabrics
JPH0833672A (ja) * 1994-07-22 1996-02-06 Terumo Corp 創傷被覆材
BR9609661A (pt) * 1995-06-30 2002-05-14 Kimberly Clark Co Fibras e não tecidos multicomponentes degradáveis em água
CA2260257C (en) * 1996-07-10 2008-03-18 Coloplast A/S Adhesive agent and use of such agent
NL1005812C1 (nl) * 1997-04-15 1997-06-04 Claus Jurgen Timmermans Superabsorberend wondverband.
DK48997A (da) * 1997-04-30 1999-01-05 Coloplast As Klæbemiddel samt anvendelse af dette middel
ATE214084T1 (de) * 1997-05-30 2002-03-15 Coloplast As Ein klebstoffreagenz und verwendung eines solchen
JP4550230B2 (ja) * 2000-06-26 2010-09-22 日東電工株式会社 救急絆創膏
US20030114813A1 (en) * 2001-12-14 2003-06-19 Dodge Richard Norris High capacity and high rate absorbent composite
US6746765B1 (en) * 2003-01-23 2004-06-08 Bristol-Myers Squibb Company Hydrocolloid adhesive tape
JP4224546B2 (ja) * 2003-03-25 2009-02-18 アルケア株式会社 ハイドロコロイド材及びこれを用いた貼付材
GB2401879A (en) 2003-05-19 2004-11-24 Adv Med Solutions Ltd Absorbent material
JP4566640B2 (ja) * 2004-07-13 2010-10-20 株式会社瑞光 被覆材固定補助材
CN101252902A (zh) * 2005-08-31 2008-08-27 科洛普拉斯特公司 吸收性伤口护理装置
WO2008148827A2 (en) * 2007-06-04 2008-12-11 Coloplast A/S A method for manufacturing two different patterned adhesive layers simultaneously
US8377015B2 (en) * 2009-04-24 2013-02-19 Alcare Co., Ltd. Wound dressing and method for producing it
FR2973223B1 (fr) * 2011-03-31 2013-04-19 Urgo Lab Pansement absorbant cicatrisant, ses utilisations pour les plaies chroniques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67732A (en) * 1980-12-05 1983-01-11 Coloplast A/S Skin barrier
US5948529A (en) * 1997-02-26 1999-09-07 Hna Holdings, Inc. Bicomponent fiber
US6270792B1 (en) * 1998-09-18 2001-08-07 Laboratories D'hygiene Et De Dietique Sterile nonstick compress
WO2002003898A1 (en) 2000-07-12 2002-01-17 Bristol-Myers Squibb Company Multi layered wound dressing
US20030187115A1 (en) * 2002-03-29 2003-10-0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Hydrogel adhesives for use on hair or fiber-populated surfaces
JP2005200785A (ja) * 2004-01-15 2005-07-28 Kanebo Ltd 不織布
WO2007025544A1 (en) 2005-08-31 2007-03-08 Coloplast A/S An absorbent dressing
WO2007025546A1 (en) 2005-08-31 2007-03-08 Coloplast A/S An absorbent wound care device
US20090156974A1 (en) * 2005-08-31 2009-06-18 Jens Hog Truelsen Absorbent wound care device
US20100285129A1 (en) * 2007-05-25 2010-11-11 Laboratoires Urgo Novel agent for salting out active principles in dressings containing at least one of fatty substan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596526B (zh) 2016-02-24
BR112013025107B1 (pt) 2021-06-15
JP2016172085A (ja) 2016-09-29
KR101956398B1 (ko) 2019-06-24
PT2691057T (pt) 2017-08-28
RU2620339C2 (ru) 2017-05-24
FR2973223A1 (fr) 2012-10-05
ZA201307292B (en) 2015-02-25
WO2012131263A1 (fr) 2012-10-04
US20140058310A1 (en) 2014-02-27
CN103596526A (zh) 2014-02-19
SG193973A1 (en) 2013-11-29
JP2014512214A (ja) 2014-05-22
AU2012236039A1 (en) 2013-10-17
MX346695B (es) 2017-03-29
JP5964941B2 (ja) 2016-08-03
CA2831186C (fr) 2021-01-12
EP2691057B1 (fr) 2017-05-24
AU2012236039B2 (en) 2016-09-29
EP2691057A1 (fr) 2014-02-05
CA2831186A1 (fr) 2012-10-04
BR112013025107A2 (pt) 2020-09-29
FR2973223B1 (fr) 2013-04-19
ES2636314T3 (es) 2017-10-05
MX2013011361A (es) 2014-07-14
DK2691057T3 (en) 2017-09-11
RU2013148573A (ru) 2015-05-10
US10201456B2 (en) 2019-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6398B1 (ko) 흡수성 반흔 형성 드레싱
US8795718B2 (en) Functional nano-layered hemostatic material/device
JP5290277B2 (ja) 少なくとも1つの脂肪性物質を含有する創傷被覆材中の活性物質を放出させる新規物質
US20070154509A1 (en) Adsorbent-Containing Hemostatic Devices
JP5889804B2 (ja) 合成ポリ硫酸化オリゴ糖の、創傷の清浄剤としての使用
JP2011502635A (ja) 吸着剤含有止血デバイス
JP6212552B2 (ja) 有効成分を持続的に放出するドレッシング材
MX2014007395A (es) Vendaje de zona interfacial adhesivo.
JP6590913B2 (ja) 創傷の治癒に使用するための電気陰性繊維
US20160374862A1 (en) Composite material for filling cavity wounds
OA18477A (en) Dressing having sustained release of active substan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