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6951A - 대규모 m2m 디바이스 환경에서 필터링을 이용한 실시간 데이터 수집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대규모 m2m 디바이스 환경에서 필터링을 이용한 실시간 데이터 수집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6951A
KR20140106951A KR1020130021298A KR20130021298A KR20140106951A KR 20140106951 A KR20140106951 A KR 20140106951A KR 1020130021298 A KR1020130021298 A KR 1020130021298A KR 20130021298 A KR20130021298 A KR 20130021298A KR 20140106951 A KR20140106951 A KR 201401069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filtering
platform
filtered
filtering cond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12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47927B1 (ko
Inventor
이승권
구범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300212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7927B1/ko
Publication of KR201401069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69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79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79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M2M 시스템에 필터링(filtering) 기술을 적용하여 전국 각지 등 대규모로 분산되어 있는 M2M 디바이스들로부터 필요한 정보만을 효율적이고 실시간으로 신속하게 수집하며, 다양한 M2M 서비스로 용이하게 확장이 가능한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대규모 M2M 디바이스 환경에서 필터링을 이용한 실시간 데이터 수집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Collecting Data in Real Time by Filtering in Massive M2M Device Environment}
본 발명은 M2M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필터링 기술을 적용하여 대규모로 각 지역에 분산되어 있는 M2M(Machine to Machine) 디바이스들로부터 데이터를 효율적이고 실시간으로 수집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사물 통신은 M2M(Machine to Machine) 통신,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 IoT(Internet of Thing), 스마트 디바이스 통신(Smart Device communication), 또는 사물 지향 통신(Machine oriented communication) 등으로 다양하게 불려지고 있다. 사물 통신은 사람이 통신 과정에 개입하지 않고 통신이 이루어지는 방식의 모든 통신 방식을 지칭한다. 이러한 사물 통신에서는 해당 사물 통신 개체가 제공하고자 하는 기능의 특성에 따라 효율적인 네트워킹을 수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특히 WiFi P2P, Zigbee, Bluetooth 등 다양한 지역 네트워크 신 기술을 적용한 디바이스가 개발됨에 따라 지역 네트워크에 설치된 M2M 디바이스들로부터 효율적으로 데이터를 수집하고 활용하는 M2M 서비스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특허출원번호 10-2010-0053749에 따르면, 주행중인 차량 내 탑재된 휴대용 통신기기를 이용하여 주변차량 및 번호판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번호판의 문자 및 숫자를 추출함으로써 차량번호를 추출하고, 추출된 차량번호 및 GPS에 의한 위치정보 및 영상데이터를 포함한 정보를 관리서버로 전송하면, 관리서버는 도난차량, 범죄차량 및 세금미납 등에 대한 차량정보 DB를 기반으로 차적조회 등을 수행하여 결과를 통보함으로써, 차량 도난 등에 빠른 대처가 가능하도록 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차량 판단의 주체가 서버이기 때문에 대규모 운행중인 각 지의 차량으로부터 정보를 받을 경우 모바일 네트워크 트래픽이 과다하게 발생하므로, 전국 단위 대규모 디바이스로부터 정보를 수집하여 처리하기에는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모바일 네트워크 트래픽의 과다 발생에 대하여 이용자 또는 이동통신사가 그 비용을 부담하여야 하는데, 어느 입장에서나 비용 부담이 매우 크므로 현실적으로 상용화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관리 서버에서의 위와 같은 DB에 천만대 이상의 대규모 차량에 대한 방대한 정보 저장을 위한 비용이 요구되고 조회를 위한 비교 연산 등에 소요되는 부하를 감당하기 위하여 장비의 성능을 높이는 등 처리 비용의 부담이 과중한 것이 현실이다.
또한 ETSI M2M 표준 규격에 따르면, DA(Device Application)를 탑재한 센서 노드인 M2M 디바이스에서 발생한 센서 정보가 디바이스의 DSCL(Device SCL)을 통하여 중앙 플랫폼의 NSCL(Network SCL)로 수집되거나, M2M 디바이스에서 발생한 센서 정보가 게이트웨이를 거쳐 NSCL(Network SCL)로 수집되는 방식을 제안하고 있지만, 이러한 규격은 대규모 DA 환경에 적합하지 않은 구조이다. 즉 ETSI M2M 표준 규격은 수백대 정도의 DA를 처리하는 환경을 고려한 구조이므로 천만대 이상 대규모 디바이스의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에는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M2M 시스템(예, ETSI M2M 표준 기반의 시스템)에 필터링(filtering) 기술을 적용하여 전국 각지 등 대규모로 분산되어 있는 M2M 디바이스들로부터 필요한 정보만을 효율적이고 실시간으로 신속하게 수집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종래기술과는 다르게 도난 차량 추적 서비스뿐만 아니라 실종자 찾기, 범죄자 추적 등 다양한 M2M 서비스로 용이하게 확장하여 서비스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먼저, 본 발명의 특징을 요약하면,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네트워크 상의 플랫폼을 통해서 M2M 디바이스의 제어 및 데이터를 이용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M2M 서비스 방법은, 상기 플랫폼에서 네트워크 상의 M2M 디바이스로 필터링 조건 정보를 전송하여 필터링을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M2M 디바이스에서 수집하는 정보 중 상기 필터링 조건 정보를 만족하는 목표 정보와 함께 관련 식별 정보를 추출하여 필터링된 정보를 상기 플랫폼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M2M 서비스 방법은, 상기 플랫폼에서 네트워크 상의 게이트웨이로 상기 필터링 조건 정보를 전송하여 필터링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게이트웨이에서 지역 네트워크 상의 M2M 디바이스로 정보 수집을 요청하여 해당 M2M 디바이스에서 수집하는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게이트웨이에서 상기 해당 M2M 디바이스에서 수집하는 정보 중 상기 필터링 조건 정보를 만족하는 목표 정보와 함께 관련 식별 정보를 추출하여 필터링된 정보를 상기 플랫폼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필터링을 요청하는 단계 전에, 네트워크 상에서 상기 플랫폼과 연동하는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필터링 조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플랫폼에서 상기 M2M 디바이스에서 수집하는 모든 정보 중 상기 필터링 조건 정보에 대응되는 부합된 일부 목표 정보를 수집하고 관리하여 부하를 줄이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플랫폼은 상기 필터링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며, 상기 필터링된 정보의 수집을 알리기 위한 메시지를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여 해당 응답으로 수집 정보의 요청이 있으면 상기 서비스 서버 상기 필터링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플랫폼은 상기 필터링된 정보를 지역별로 설치된 각 디바이스의 구분된 일자별 또는 시간별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며, 상기 서비스 서버에서 조회 요청에 따라 언제라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필터링된 정보 중 선택된 정보의 요청이 있으면 해당 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필터링된 정보를 상기 플랫폼으로 전송하는 상기 M2M 디바이스 또는 상기 게이트웨이는 상기 필터링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며, 저장된 필터링된 정보 중 일정 기간이 지난 정보를 삭제하여 관리할 수 있다.
상기 M2M 디바이스에서 수집하는 정보는 카메라 영상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링 조건 정보로서 도난된 차량의 차량번호를 포함하며, 상기 목표 정보로서 차량번호와 상기 관련 식별 정보로서 위치, 날짜, 시간, 또는 디바이스 고유 식별자를 포함한 상기 필터링된 정보를 상기 플랫폼으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M2M 디바이스에서 수집하는 정보는 카메라 영상 정보 또는 주변 소리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링 조건 정보로서 얼굴 영상이나 목소리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목표 정보로서 얼굴 영상이나 목소리 정보와 상기 관련 식별 정보로서 위치, 날짜, 시간, 또는 디바이스 고유 식별자를 포함한 상기 필터링된 정보를 상기 플랫폼으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M2M 디바이스는 CCTV 카메라, 차량에 탑재된 블랙박스, 또는 이동 통신 단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른, M2M 디바이스의 제어 및 데이터를 이용한 M2M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M2M 시스템은, 네트워크 상의 M2M 디바이스 또는 M2M 디바이스와 지역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게이트웨이로 필터링 조건 정보를 전송하여 필터링을 요청하는 플랫폼; 및 상기 필터링 조건 정보를 수신하는 M2M 디바이스 또는 상기 게이트웨이에 포함된 필터링 처리부와 필터링 콘테이너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링 처리부는 상기 플랫폼으로부터 상기 필터링 조건 정보를 수신하는 M2M 디바이스 또는 상기 게이트웨이로부터 상기 필터링 조건 정보를 수신하는 M2M 디바이스에서 수집하는 정보 중 상기 필터링 조건 정보를 만족하는 목표 정보와 함께 관련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필터링된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필터링 콘테이너에 저장하고 상기 플랫폼으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 따른, M2M 디바이스의 제어 및 데이터를 이용한 M2M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네트워크 상의 플랫폼은, 네트워크 상의 M2M 디바이스 또는 M2M 디바이스와 지역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게이트웨이로 필터링 조건 정보를 전송하여 필터링을 요청하는 요청 처리부; 및 상기 필터링 조건 정보를 직접 수신하는 M2M 디바이스 또는 상기 게이트웨이에서, 하나 이상의 M2M 디바이스로부터 수집하는 정보 중 상기 필터링 조건 정보를 만족하는 목표 정보와 함께 관련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필터링된 정보를 전송하면, 상기 필터링된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수집 정보 콘테이너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M2M 서비스를 위한 대규모 M2M 디바이스들의 데이터 수집 방법 및 시스템에 따르면, 최소의 데이터 전송만으로 전국 각지 등 대규모 디바이스들로부터 정보를 신속하게 수집할 수 있다. 즉, 기존의 모든 정보를 중앙 플랫폼의 NSCL에 올리던 DSCL의 구조에서 탈피하여 네트워크 상의 NA가 요청한 필터링 조건에 부합한 정보만을 NSCL에 보내는 방식이므로 효율적이며, 필터링되어 수집된 NSCL 콘테이너의 데이터를 바로 NA에 통지(noti)해 줌으로써 NSCL내의 연산 부하를 줄이면서 데이터 수집을 신속하게 달성할 수 있다. 또한 NA의 요청이 DSCL에 필터링 조건 정보로 들어가 필요한 정보만을 보냄으로써 네트워크의 부하, 데이터 저장공간을 줄일 수 있다.
또한, M2M 표준 구조 기반의 범용 시스템으로서 서비스 확장성이 향상된다. 즉, 대규모 DA 환경에서 필요한 정보만을 신속하게 수집할 수 있는 범용적인 기술이므로 도난차량 추적 서비스뿐만 아니라 역내 CCTV 및 버스 CCTV를 통한 범죄자 위치 추적 서비스 또는 음성 마이크를 통해 수집된 놀이 공원 내 미아의 목소리 인식 및 위치 파악 서비스 등 다양한 정보 수집이 필요한 M2M 서비스에 적용될 경우 필터링 조건 정보(예, 얼굴, 목소리 등)를 해당 시설물 관리자의 소지 단말에 전달하는 것만으로도 대규모 지역에서 실시간으로 추적 정보 등 필요 정보를 신속하게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시예에 따른 M2M 서비스 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M2M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M2M 시스템에서의 대규모 M2M 디바이스들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3은 차량 도난에 대처하는 본 발명의 일시예에 따른 M2M 서비스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시예에 따른 서비스 확장을 위한 M2M 시스템의 최소 변경 사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시예에 따른 M2M 서비스 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M2M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1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시예에 따른 M2M 시스템은, 사물통신을 통한 M2M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네트워크 도메인, 게이트웨이 도메인, M2M 디바이스 도메인으로 구성된다.
네트워크 도메인에는 NSCL(Network Service Capability Layer, 네트워크 서비스 기능 레이어)을 탑재한 M2M 플랫폼(또는 중앙서버)(110)과 M2M 플랫폼(110)과 연동하여 서비스를 지원하는 네트워크 어플리케이션(NA) 서버(120)를 포함할 수 있다. M2M 플랫폼(110)는 NSCL 기본 기능을 위한 SCL이외에 수집 정보 콘테이너(111)를 포함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 어플리케이션(NA) 서버(120)는 수집 정보 관리를 위한 어플리케이션(121)을 포함한다.
게이트웨이 도메인에는 GSCL(Gateway Service Capability Layer, 게이트웨이 서비스 기능 레이어)을 탑재한 게이트웨이(140)가 포함되고, 게이트웨이(140)는 GSCL 기본 기능을 위한 SCL이외에 필터링 처리부(141)와 필터링 콘테이너(142)를 포함할 수 있다.
M2M 디바이스 도메인에는 차량 블랙 박스나 기타 센서 등 전국 각지에 산재하여 분포하는 다양한 M2M 디바이스(100, 130)가 포함되며, 정보 수집 어플리케이션(DA)과 DSCL(Device Service Capability Layer, 디바이스 서비스 기능 레이어)(101)을 탑재하는 M2M 디바이스(100)는 직접 M2M 플랫폼(110)의 NSCL과 통신하여 연동할 수 있으며, DSCL 없이 정보 수집 어플리케이션(DA)(131)을 탑재하는 M2M 디바이스(130)는 게이트웨이(140)를 거쳐 M2M 플랫폼(110)의 NSCL과 통신하여 연동할 수 있다.
네트워크 도메인의 M2M 플랫폼(110)은 코어 네트워크(예를 들어, CDMA/WCDMA, 등에 의한 이동통신망, 또는 유무선 인터넷을 포함할 수 있다.)를 통해 게이트웨이(140) 또는 DSCL이 탑재된 M2M 디바이스(100)와 통신할 수 있으며, 게이트웨이(140)는 지역 네트워크(예를 들어, 유선망, 또는 무선 근거리통신망(블루투스, 지그비, NFC 등)을 포함할 수 있다.)를 통해 통신하여 정보 수집 어플리케이션(DA)(131)을 탑재한 M2M 디바이스(130)와 통신할 수 있다. M2M 플랫폼(110)은 이와 같은 통신 환경을 기초로 게이트웨이(140)와 M2M 디바이스(100, 130)를 제어하여 M2M 디바이스(100, 130)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며, 이를 이용해 다양한 네트워크 어플리케이션(NA) 서버(120)나 사용자 단말 등으로 조회나 모니터링 정보 등의 제공을 위한 M2M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M2M 디바이스 도메인에 설치되는 M2M 디바이스(100, 130)는, M2M 서비스의 목적에 따라 각 지역에 설치되는 고정형의 다양한 센서나 카메라 등이 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차량의 블랙박스, 스마트폰 등 이동성이 있는 이동 통신 단말일 수도 있다. 또한, 게이트웨이(140)는 홈네트워크 등 각 지역에 설치되는 지역 네트워크의 중계장치일 수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사용자의 스마트폰, 노트북 PC, PDA 등 휴대형의 이동 이동 통신 단말 등 각종 전자장치가 그 역할을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네트워크 어플리케이션(NA) 서버(120)는 정보 수집에 필요한 필터링 조건을 M2M 플랫폼(110)의 NSCL에게 요청하고, NSCL로부터 그에 맞는 수집 정보를 수신하며, 수집 정보 관리 어플리케이션(121)은 NSCL로부터 받은 수집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관리할 수 있다.
M2M 플랫폼(110)의 NSCL은 네트워크 어플리케이션(NA) 서버(120)로부터 필터링 조건을 받아 수집 정보 콘테이너(111)를 생성하여 관리하며, 필터링 조건을 M2M 디바이스(100)의 DSCL(101)과 게이트웨이(140)의 GSCL로 전달하고, 수집 정보 콘테이너(111)는 DSCL(101)과 GSCL로부터 수집된 필터링 조건에 맞는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관리한다.
게이트웨이(140)의 GSCL은 DSCL에 따른 서비스 기능이 없는 M2M 디바이스들(130)과의 통신 중계 역할을 수행하며, 필터링 처리부(141)와 필터링 콘테이너(142)를 포함한다. 필터링처리부(141)는 디바이스들(130)의 정보 수집 어플리케이션(DA)으로부터 받은 정보가 필터링 조건에 맞는지 필터링 콘테이너(142)를 참조해 비교연산을 수행하며, 필터링 콘테이너(142)는 위와 같은 필터링 조건과 필터링 처리 결과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게이트웨이(140)의 GSCL은 필터링 조건에 맞는 정보를 선택하여 M2M 플랫폼(110)으로 전송할 수 있다.
M2M 디바이스들(100, 130)의 정보 수집 어플리케이션(DA)(131)은, M2M 플랫폼(110) 또는 게이트웨이(140)의 수집 요청에 따라, 네트워크 어플리케이션(NA) 서버(120)가 요청하는 해당 정보(예, 센서 정보, 카메라 영상 정보, 위치 정보 등)를 수집하고, DSCL(101)을 탑재하는 M2M 디바이스(100)는 M2M 플랫폼(110)의 NSCL로 전송하고, DSCL을 탑재하지 않은 M2M 디바이스(130)는 게이트웨이(140)의 GSCL을 통하여 M2M 플랫폼(110)의 NSCL로 전송한다. M2M 디바이스(100)의 경우에는 DSCL(101)에 게이트웨이(140)의 필터링 처리부(141)와 필터링 콘테이너(142)와 유사하게, 정보 수집 어플리케이션(DA)으로부터 수집된 정보가 필터링 조건에 맞는지 필터링 콘테이너(103)를 참조해 비교연산을 수행하는 필터링처리부(102)와 위와 같은 필터링 조건과 필터링 처리 결과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필터링 콘테이너(103)을 포함한다. M2M 디바이스(100)의 DSCL은 필터링 조건에 맞는 정보를 선택하여 M2M 플랫폼(110)으로 전송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M2M 시스템에서의 대규모 M2M 디바이스들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네트워크 어플리케이션(NA) 서버(120)는 정보 수집에 필요한 필터링 조건을 M2M 플랫폼(110)의 NSCL로 전송한다(201). 예를 들어, 이하에서 전국 각지의 1000만대 차량의 블랙박스(차량에 탑재된 블랙박스는 카메라를 장착하여 운행 중에 촬영한 영상의 전송이 가능함)를 M2M 디바이스로 시용하고, 휴대폰 등 사용자 단말을 게이트웨이로 구성하여, 도난차량을 신속하게 추적하는 경우의 예를 들어 설명한다. 네트워크 어플리케이션(NA) 서버(120)는 개인 가입자, 경찰서나 관공서 등 각 사용자로부터 차량도난 신고를 접수받을 수 있으며, 도난 차량 추적에 필요한 정보(예, 도난 차량 정보)를 필터링 조건으로 M2M 플랫폼(110)의 NSCL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M2M 플랫폼(110) NSCL의 소정 요청 처리부는 네트워크 어플리케이션(NA) 서버(120)로부터 필터링 조건(예, 도난 차량 정보)을 받아 수집 정보 콘테이너(111)를 생성하여 수집 정보 콘테이너(111)에 저장 관리할 수 있으며(202), 필터링 조건(예, 도난 차량 정보)을 M2M 디바이스(100)의 DSCL(101) 또는 게이트웨이(140)의 GSCL로 전달하여 필터링을 요청한다(203).
이와 같이 필터링 요청을 받는 M2M 디바이스(100)의 DSCL(101) 또는 게이트웨이(140)의 GSCL은, 필터링 콘테이너(103/142)를 생성하여 필터링 콘테이너(103/142)에 필터링 조건(예, 도난 차량 정보)을 저장 관리할 수 있으며(204), M2M 디바이스(100)의 DSCL(101)은 자체 정보 수집 어플리케이션(DA)으로, 게이트웨이(140)의 GSCL은 M2M 디바이스(130)의 정보 수집 어플리케이션(DA)으로 일정 주기로 수집 정보를 전송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205).
이에 따라 M2M 디바이스(100/130)(예, CCTV 카메라, 블랙박스, 이동 통신 단말 등)의 해당 정보 수집 어플리케이션(DA)은 해당 주기로 정보를 수집하여(예, 도 3과 같이, 주행중인 차량 전면 영상, 후면 영상, 주차중인 차량의 전면영상 등 차량 캡쳐 이미지, 위치, 날짜, 시간, 디바이스 고유 식별자 등), 수집된 정보를 M2M 디바이스(100)의 DSCL(101) 또는 게이트웨이(140)의 GSCL로 전송한다(206).
수집 정보를 수신하는 M2M 디바이스(100) 또는 게이트웨이(140)의 필터링처리부(102/141)는 수신한 수집정보를 해석하고 필터링 조건(예, 도난 차량 정보)과 비교하여 조건 만족 여부를 판단한다(207). 필터링처리부(102/141)는 수집정보(예, 차량 캡쳐 이미지, 위치, 날짜, 시간, 디바이스 고유 식별자 등)의 해석(이미지인 경우 이미지로부터 텍스트를 추출하는 해석이 포함됨)을 통하여, 도 3과 같이 필터링 조건(예, 차량번호를 포함하는 도난 차량 정보)에 해당하는 목표 정보(예, 차량번호)와 관련 식별 정보(예, 위치, 날짜, 시간, 디바이스 고유 식별자 등)를 추출하여 필터링 콘테이너(103/142)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으며 해당 필터링된 정보(예, 차량번호, 위치, 날짜, 시간, 디바이스 고유 식별자 등)를 M2M 플랫폼(110)의 NSCL로 전송한다(208). 필터링 콘테이너(103/142)는 각 가입자, 관공서 등 해당 서비스에 가입한 네트워크 어플리케이션(NA) 서버(120)의 식별자(예, URI)별로 필터링된 정보를 저장 관리할 수 있다. 이때 필터링 콘테이너(103/142)는 저장 용량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일정기간이 지난 필터링된 정보는 삭제하고 최근의 일부 정보를 관리하여 해당 정보를 이용한 유지 보수나 조회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M2M 플랫폼(110)의 수집 정보 콘테이너(111)는 이와 같이 M2M 디바이스(100) 또는 게이트웨이(140)에서 필터링하여 전송하는 필터링 조건과 일치하는 정보(예, 차량번호, 위치, 날짜, 시간, 디바이스 고유 식별자 등)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209). 이와 같이 주기적으로 수신되는 정보는 지역별로 설치된 각 디바이스를 구분하여 일자별, 또는 시간별로 저장되고 관리되어 언제든지 조회될 수 있게 할 수 있다. 또한, 수집 정보 콘테이너(111)는 서비스에 가입한 네트워크 어플리케이션(NA) 서버(120)의 식별자(예, URI)별로 구분하여 필터링된 정보들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관리할 수 있다.
위와 같이 필터링 조건과 일치하는 정보를 수신하면, M2M 플랫폼(110)의 NSCL은 필터링을 요청한 네트워크 어플리케이션(NA) 서버(120)에게 필터링 조건과 일치하는 정보가 수집되었음을 알리기 위한 메시지(예, 도난 차량 발견 통보 메시지)(noti)를 전송할 수 있다(210).
이후 네트워크 어플리케이션(NA) 서버(120)는 M2M 플랫폼(110)의 NSCL로 해당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211). 201 단계에서 필터링 조건 전달에 따른 noti가 오면, 네트워크 어플리케이션(NA) 서버(120)는 바로 NSCL로 해당 정보를 요청할 수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추후 언제라도 필요시마다 조회를 요청할 수도 있다. 추후 조회 시에는 네트워크 어플리케이션(NA) 서버(120)의 사용자는 운영 단말 화면을 통하여, 지역별로 설치된 각 디바이스가 구분된 일자별, 또는 시간별 해당 정보의 요청을 선택할 수 있다.
M2M 플랫폼(110)의 NSCL은 이와 같이 필터링된 수집 정보의 요청이 오면, 수집 요청한 해당 서버의 식별자를 기초로 검색하여, 해당 필터링된 수집 정보(예, 차량번호, 위치, 날짜, 시간, 디바이스 고유 식별자 등)를 해당 네트워크 어플리케이션(NA) 서버(120)(예, 도난차량 관리 서버 등)로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의 개입없이 네트워크 어플리케이션(NA) 서버(120)(예, 도난차량 관리 서버 등)의 도난차량 정보 수집 요청 및 필터링 조건이 NSCL을 통해 전국 각지의 대규모 GSCL/DSCL(휴대 단말/차량 블랙박스 등)으로 전달되고, 도난 차량 정보 등 필터링 조건이 일치된 경우에 대해서만 네트워크 트래픽이 발생하므로, 데이터 수집을 위한 GSCL/DSCL(휴대 단말/차량 블랙박스 등)의 수를 수배로 늘리더라도 추가적인 네트워크 트래픽이 발생하지 않아 도난 차량의 위치 추적 목적을 효율적으로 달성할 수 있다. DSCL/GSCL(휴대 단말/차량 블랙박스 등)에서 정보 필터링을 수행함으로써 NSCL에서는 필터링 비교 연산할 필요가 없으므로 서버 부하를 줄일 수 있으며, NSCL에 모든 수집정보를 전송해서 분석하는 종래기술과는 달리 NSCL의 분석 시간없이 바로 NA에게 noti하는 구조적 장점을 가진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시예에 따른 서비스 확장을 위한 M2M 시스템의 최소 변경 사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위에서 기술한 바와 같은 도난차량 추적 서비스뿐만 아니라 도 4와 같이, M2M 플랫폼(110)의 NSCL과 연동하는 네트워크 어플리케이션(NA) 서버들(예, 실종자 관리 서버, 범죄자 관리 서버 등)을 더 운영하여 실종자 및 범죄자와 같이 필터링 조건(예, 실종자/범죄자 얼굴, 목소리 등)에 따라 특정 대상을 위치 추적할 수 있는 서비스에도 확장되어 적용할 수 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종래 기술의 경우 실종자 추적 시스템, 범죄자 추적 시스템을 별도로 구축해야 하는데 반해서, 본 발명을 활용할 경우 도 1의 구성에서 기 구축된 실종자 관리 서버나 범죄자 관리서버 등을 등록하여 연동되도록 함으로써 간단히 확장된 M2M 서비스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M2M 디바이스에서 수집하는 카메라 영상 정보 또는 주변 소리 정보(위치, 날짜, 시간, 디바이스 고유 식별자 등 식별 정보 포함)등으로부터M2M 디바이스(100)의 DSCL(101) 또는 게이트웨이(140)의 GSCL가 해당 필터링 처리부를 통해 필터링 조건 정보(예, 얼굴 영상이나 목소리 정보 등)에 따라 해당 얼굴 영상이나 목소리 정보 등 목표 정보를 추출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목표 정보와 관련 식별 정보로서 위치, 날짜, 시간, 또는 디바이스 고유 식별자 등이 포함된 필터링된 정보를 플랫폼(110)으로 전송함으로써, 플랫폼(110)에서 M2M 디바이스에서 수집하는 모든 정보 중 필터링 조건 정보에 대응되는 부합된 일부 목표 정보만을 수집하고 관리하여 부하를 줄일 수 있게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M2M 플랫폼(또는 중앙서버)(110)
수집 정보 콘테이너(111)
네트워크 어플리케이션(NA) 서버(120)
수집 정보 관리 어플리케이션(121)
게이트웨이(140)
필터링 처리부(102, 141)
필터링 콘테이너(103, 142)
M2M 디바이스(100, 130)
정보 수집 어플리케이션(DA)(131)

Claims (12)

  1. 네트워크 상의 플랫폼을 통해서 M2M 디바이스의 제어 및 데이터를 이용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M2M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에서 네트워크 상의 M2M 디바이스로 필터링 조건 정보를 전송하여 필터링을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M2M 디바이스에서 수집하는 정보 중 상기 필터링 조건 정보를 만족하는 목표 정보와 함께 관련 식별 정보를 추출하여 필터링된 정보를 상기 플랫폼으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2M 서비스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에서 네트워크 상의 게이트웨이로 상기 필터링 조건 정보를 전송하여 필터링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게이트웨이에서 지역 네트워크 상의 M2M 디바이스로 정보 수집을 요청하여 해당 M2M 디바이스에서 수집하는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게이트웨이에서 상기 해당 M2M 디바이스에서 수집하는 정보 중 상기 필터링 조건 정보를 만족하는 목표 정보와 함께 관련 식별 정보를 추출하여 필터링된 정보를 상기 플랫폼으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2M 서비스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링을 요청하는 단계 전에,
    네트워크 상에서 상기 플랫폼과 연동하는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필터링 조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2M 서비스 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에서 상기 M2M 디바이스에서 수집하는 모든 정보 중 상기 필터링 조건 정보에 대응되는 부합된 일부 목표 정보를 수집하고 관리하여 부하를 줄이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M2M 서비스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은 상기 필터링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며, 상기 필터링된 정보의 수집을 알리기 위한 메시지를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여 해당 응답으로 수집 정보의 요청이 있으면 상기 서비스 서버 상기 필터링된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2M 서비스 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은 상기 필터링된 정보를 지역별로 설치된 각 디바이스의 구분된 일자별 또는 시간별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며, 상기 서비스 서버에서 조회 요청에 따라 언제라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필터링된 정보 중 선택된 정보의 요청이 있으면 해당 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2M 서비스 방법.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링된 정보를 상기 플랫폼으로 전송하는 상기 M2M 디바이스 또는 상기 게이트웨이는 상기 필터링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며, 저장된 필터링된 정보 중 일정 기간이 지난 정보를 삭제하여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2M 서비스 방법.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M2M 디바이스에서 수집하는 정보는 카메라 영상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링 조건 정보로서 도난된 차량의 차량번호를 포함하며, 상기 목표 정보로서 차량번호와 상기 관련 식별 정보로서 위치, 날짜, 시간, 또는 디바이스 고유 식별자를 포함한 상기 필터링된 정보를 상기 플랫폼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2M 서비스 방법.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M2M 디바이스에서 수집하는 정보는 카메라 영상 정보 또는 주변 소리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링 조건 정보로서 얼굴 영상이나 목소리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목표 정보로서 얼굴 영상이나 목소리 정보와 상기 관련 식별 정보로서 위치, 날짜, 시간, 또는 디바이스 고유 식별자를 포함한 상기 필터링된 정보를 상기 플랫폼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2M 서비스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M2M 디바이스는 CCTV 카메라, 차량에 탑재된 블랙박스, 또는 이동 통신 단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2M 서비스 방법.
  11. M2M 디바이스의 제어 및 데이터를 이용한 M2M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M2M 시스템에 있어서,
    네트워크 상의 M2M 디바이스 또는 M2M 디바이스와 지역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게이트웨이로 필터링 조건 정보를 전송하여 필터링을 요청하는 플랫폼; 및
    상기 필터링 조건 정보를 수신하는 M2M 디바이스 또는 상기 게이트웨이에 포함된 필터링 처리부와 필터링 콘테이너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링 처리부는 상기 플랫폼으로부터 상기 필터링 조건 정보를 수신하는 M2M 디바이스 또는 상기 게이트웨이로부터 상기 필터링 조건 정보를 수신하는 M2M 디바이스에서 수집하는 정보 중 상기 필터링 조건 정보를 만족하는 목표 정보와 함께 관련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필터링된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필터링 콘테이너에 저장하고 상기 플랫폼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2M 시스템.
  12. M2M 디바이스의 제어 및 데이터를 이용한 M2M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네트워크 상의 플랫폼에 있어서,네트워크 상의 M2M 디바이스 또는 M2M 디바이스와 지역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게이트웨이로 필터링 조건 정보를 전송하여 필터링을 요청하는 요청 처리부; 및
    상기 필터링 조건 정보를 직접 수신하는 M2M 디바이스 또는 상기 게이트웨이에서, 하나 이상의 M2M 디바이스로부터 수집하는 정보 중 상기 필터링 조건 정보를 만족하는 목표 정보와 함께 관련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필터링된 정보를 전송하면, 상기 필터링된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수집 정보 콘테이너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폼.
KR1020130021298A 2013-02-27 2013-02-27 대규모 m2m 디바이스 환경에서 필터링을 이용한 실시간 데이터 수집 방법 및 시스템 KR1020479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1298A KR102047927B1 (ko) 2013-02-27 2013-02-27 대규모 m2m 디바이스 환경에서 필터링을 이용한 실시간 데이터 수집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1298A KR102047927B1 (ko) 2013-02-27 2013-02-27 대규모 m2m 디바이스 환경에서 필터링을 이용한 실시간 데이터 수집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6951A true KR20140106951A (ko) 2014-09-04
KR102047927B1 KR102047927B1 (ko) 2019-11-25

Family

ID=51755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1298A KR102047927B1 (ko) 2013-02-27 2013-02-27 대규모 m2m 디바이스 환경에서 필터링을 이용한 실시간 데이터 수집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792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62626A1 (ko) * 2016-09-29 2018-04-05 (주)섬엔지니어링 사물인터넷의 이종 도메인간 측정데이터 획득을 위한 자원관리시스템
US10379965B2 (en) 2016-09-28 2019-08-13 Hanwha Techwin Co., Ltd. Data distribution storing method and system thereof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29464A (ko) * 2007-09-18 2009-03-2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 기반의 센서게이트웨이 장치,이를 이용한 응용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유비쿼터스 센서네트워크 기반의 사용자 상황 정보 제공 방법
KR20110094393A (ko) * 2010-02-16 2011-08-24 (주)모노시스 불법차량 자동단속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088482B1 (ko) * 2010-01-08 2011-11-30 주식회사 삼성항공정보통신 차량의 통행정보 연계 시스템 및 그 연계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29464A (ko) * 2007-09-18 2009-03-2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 기반의 센서게이트웨이 장치,이를 이용한 응용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유비쿼터스 센서네트워크 기반의 사용자 상황 정보 제공 방법
KR101088482B1 (ko) * 2010-01-08 2011-11-30 주식회사 삼성항공정보통신 차량의 통행정보 연계 시스템 및 그 연계 방법
KR20110094393A (ko) * 2010-02-16 2011-08-24 (주)모노시스 불법차량 자동단속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79965B2 (en) 2016-09-28 2019-08-13 Hanwha Techwin Co., Ltd. Data distribution storing method and system thereof
WO2018062626A1 (ko) * 2016-09-29 2018-04-05 (주)섬엔지니어링 사물인터넷의 이종 도메인간 측정데이터 획득을 위한 자원관리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7927B1 (ko) 2019-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804367A (zh) 使用边缘计算的分布式视频存储和搜索
US9723428B2 (en) Internet-of-things system for public transportation service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KR102119721B1 (ko) 지능형 에지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CN104205127A (zh) 基于识别的安全性
CN107547617B (zh) 一种交通事故信息收集方法及装置
CN108924759B (zh) 识别移动发生器的方法、装置及系统
CN105245842A (zh) 基于行车记录仪的海量视频监控系统
CN113378616A (zh) 视频分析方法、视频分析的管理方法及相关设备
JP2014064241A (ja) 監視カメラ所在公開システム
KR102054930B1 (ko) 영상 공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1793630B1 (ko) 스마트기기 간의 협업 방법 및 클라우드 서버
US20120147179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intelligent access monitoring, intelligent access monitoring apparatus
CN109859426A (zh) 一种社区安防管理系统
KR102047927B1 (ko) 대규모 m2m 디바이스 환경에서 필터링을 이용한 실시간 데이터 수집 방법 및 시스템
KR20140022680A (ko) 차량용 블랙박스 영상의 통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30054705A (ko) 바이너리 씨디엠에이 통신 기반 유에스엔을 이용한 다목적 지능형 감시장치
CN103686239A (zh) 基于定位视频的网络共享犯罪取证系统和方法
CN112102623A (zh) 交通违章识别方法和装置、智能可穿戴设备
CN108765823B (zh) 一种报警方法、装置和系统
US2011007457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creation of an event-associated electronic device directory
KR102060116B1 (ko) M2m 통신 기반의 차량사고 관련 정보 수집 방법 및 시스템
KR102429844B1 (ko) 이벤트 발생 지점의 영상 정보를 수집하는 방법, 서버 및 시스템
CN107784769B (zh) 一种报警方法、装置及系统
KR101974445B1 (ko) Dpi와 인공신경망 기반의 m2m 데이터 수집 방법 및 시스템
CN111489276B (zh) 人员管理方法及相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