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5804A - 공압식 물질 운반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공압식 물질 운반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5804A
KR20140105804A KR1020147018276A KR20147018276A KR20140105804A KR 20140105804 A KR20140105804 A KR 20140105804A KR 1020147018276 A KR1020147018276 A KR 1020147018276A KR 20147018276 A KR20147018276 A KR 20147018276A KR 20140105804 A KR20140105804 A KR 201401058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ing
station
intermediate station
tank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182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44569B1 (ko
Inventor
괴란 순트홀름
Original Assignee
마리캡 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FI20116220A external-priority patent/FI20116220A/fi
Priority claimed from FI20126192A external-priority patent/FI20126192A/fi
Priority claimed from FI20126201A external-priority patent/FI20126201L/fi
Application filed by 마리캡 오이 filed Critical 마리캡 오이
Publication of KR201401058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58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45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45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5/00Gathering or removal of refuse otherwise than by receptacles or vehicles
    • B65F5/005Gathering or removal of refuse otherwise than by receptacles or vehicles by pneumatic means, e.g. by s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04Conveying materials in bulk pneumatically through pipes or tubes; Air slides
    • B65G53/24Gas suction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34Details
    • B65G53/60Devices for separating the materials from propellant g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use Collection And Transfer (AREA)

Abstract

쓰레기 운반 시스템과 같은 공압식 물질 운반 시스템에서의 운반 방법으로, 상기 운반 시스템은 물질, 더욱 상세하게는 쓰레기 물질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주입점(60), 주입점(60)에 연결될 수 있는 물질 운반 파이프(100)와, 운반될 물질이 이송 공기로부터 분리되는 적어도 하나의 분리 장치(90A,90B)와, 적어도 물질을 이송하는 동안 운반 파이프 내에서 압력차 및/또는 이송기류를 이루어내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압력차 및/또는 이송기류를 이루어내기 위한 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부분 진공 생성기(125A…125H)를 포함하며, 상기 운반 방법은, 제1 단계에서, 주입점(60)과 분리 장치(90A,90B) 사이에 배치된 중간 스테이션(200,200A,200B)의 적어도 하나의 탱크 공간(201,201A,201B,202,202A,202B)에서 적어도 하나의 부분 진공 생성기(125…125H)에 의해 이루어지는 흡입/압력차 및/또는 이송기류의 도움으로, 물질이 주입점(60)에서 운반 파이프(100,100A,100B,100C,100D,100E)로 운반되고, 제2 단계에서, 적어도 하나의 부분 진공 생성기(125…125H)에 의해 이루어지는 흡입/압력차 및/또는 이송기류의 도움으로, 이전 단계에서 중간 스테이션(200,200A,200B)의 적어도 하나의 탱크 공간(201,201A,201B,202,202A,202B)으로 운반된 물질이, 분리 장치(90A,90B) 또는 제2 중간 스테이션 안으로 운반된다. 또한 본 발명은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공압식 물질 운반 시스템 및 방법{METHOD AND PNEUMATIC MATERIAL CONVEYING SYSTEM}
본 발명의 대상은 공압식 물질 운반 시스템에 있어서 청구항 제1항의 전제부에 정의된 방법이다.
또한 본 발명의 대상은 청구항 제18항에 정의된 공압식 물질 운반 시스템이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부분 진공 운송 시스템과 같은 공압식 물질 운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생활폐기물의 이송과 같은 쓰레기의 수거 및 운반에 관한 것이다.
흡입기의 도움으로 쓰레기가 파이프 내에서 운반되는 시스템이 이미 알려져 있다. 이러한 시스템에서 쓰레기는 흡입에 의하여 파이프 내에서 장거리 운반된다. 무엇보다도 서로 다른 기관에서의 쓰레기 운반이나 도심지에서의 생활쓰레기 운반을 위한 장치들이 존재한다. 이러한 시스템에서는 부분 진공 장치가 압력차를 이루어내기 위해 이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런 장치에서 부분 진공은, 진공 펌프(vacuum pump)나 배출 장치(ejector apparatus)와 같은 부분 진공 생성기에 의해 운반 파이프 내에서 이루어진다. 운반 파이프는 일반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밸브 수단을 가지고, 이를 개폐시킴으로써 운반 파이프 내부로 들어오는 대체공기(replcement air)가 조절된다. 부분 진공 운반 시스템에서는 무엇보다도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전형적이다: 높은 에너지 소비, 파이프 내에서의 높은 기류, 소음 문제, 배출 파이프(outlet pipe) 내의 먼지/미세먼지 문제. 또한 특히 장거리에서, 운반 파이프의 길이는 수천 미터일 수 있고, 압력 손실이 증가하여, 이러한 경우 운반 시스템의 만족스러운 동작을 보장하기 위하여, 매우 큰 파이프 직경과 그에 상응하는 효율적인 부분 진공 생성기, 송풍기(fan)와 같은 펌프 장치들이 요구된다. 이는 비용면에서 보면 고비용 해결방안이 될 뿐만 아니라 파이프 크기가 커짐에 따라 설치에 더욱 큰 공간이 필요하게 된다.
쓰레기 주입 장치나 쓰레기 슈트(refuse chute)와 연결된 물질 셰이퍼(shaper), 더욱 상세하게는 로터리 셰이퍼(rotary shaper)를 이용함으로써 사용가능한 파이프 크기를 줄일 수 있을 것이고, 이러한 셰이퍼가 물질을 성형 및 압축하여 평상시보다 더 작은 직경을 가진 운반 파이프 내에 적합할 것이다. 로터리 셰이퍼는 예를 들어 국제공개공보 WO2011/098666, WO2011/098667, WO2011/098668 및 WO2011/8669에서와 같이 개시되어 있다. 이에 불구하고 운반 파이프 내에서 매우 긴 쓰레기 운반 거리에 따른 압력 손실은 매우 커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시스템을 한층 개발하여 물질 운반 시스템과 관련한 완전히 새로운 종류의 해결방법을 이루기 위한 것으로, 본 방법의 도움으로 종래 기술이 가진 결점을 피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주입점에서 운반 종점(delivery end), 더욱 상세하게는 쓰레기 스테이션(waste station)의 분리 장치(separating device)까지의 운반 거리가 긴 대형 시스템에 적합한 부분 진공 운반 시스템에 적용 가능한 방법을 달성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청구항 제1항의 특징부에 기재된 구성을 주요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청구항 제2항 내지 제17항에 기재된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청구항 제18항의 특징부에 기재된 구성을 주요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청구항 제19항 내지 제30항에 기재된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해결방법은 다수의 중요한 이점을 가진다. 2단계의 쓰레기 물질 운반 시스템을 이용하고, 제1 단계에서 주입점(feed point)들이 비워지고 그 안의 쓰레기 물질이 분기 파이프(branch pipe)로부터 주운반 파이프(main conveying pipe)로 운반되고, 주운반 파이프에 구비된 중간 스테이션(intermediate station)으로 향하며, 제2 단계에서는 쓰레기가 중간 스테이션에서 쓰레기 스테이션(waste station)으로 운반되어, 본 시스템의 운반 종점의 분리 수단(seperating mean)으로 이동한다. 쓰레기가 제1 단계에서 중간 스테이션으로 운반될 때, 운반 공기(transporting air)만 동시에 이송되는 중간 스테이션과 운반 종점 사이의 동일한 이송 파이프 혹은 그 구획과 같이 압력 손실이 작게 유지되며, 이 경우 전체 파이프 구획의 압력 손실이 작다.
훨씬 먼 거리에서도 서로 이격되어 구비된 일련의 다수 중간 스테이션이 사용될 수 있고 이들 사이에 병렬 운반 파이프(parallel conveying pipe) 혹은 중간 채널(medium channel)들이 이용될 수 있다. 운반 파이프나 중간 채널이 구성되어, 주입점에서 제1 중간 스테이션까지의 제1 단계는 하나의 운반 파이프로 수행될 수 있고, 다음 단계, 즉 제1 중간 스테이션에서 제2 중간 스테이션 혹은 쓰레기 스테이션까지의 단계는 2개의 병렬 운반 파이프로 수행될 수 있고, 그 이후의 단계, 즉 제2 중간 스테이션에서 쓰레기 스테이션까지의 단계에서는 예를 들어 3개의 운반 파이프로 수행될 수 있다. 이는 더욱 긴 운반 거리동안 계속될 수 있다. 본 기술적 사상은 긴 운반 거리가 있을 때, 압력 손실 때문에 주입점들과 쓰레기 스테이션 사이에 중간 스테이션을 필요로 한다는 것이다. 거리가 길면 하나의 파이프의 압력 손실은 너무 커질 수 있고, 그 경우 제2 단계에서 2개의 파이프가 필요하고 제3 단계에서는 3개가 필요하게 된다. 다수의 병렬 파이프를 일련의 단계에서 사용하고, 그들을 통해 중간 스테이션들에서 흡입을 수행함으로써, 이전 단계에서 물질의 효율적인 운반이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병렬 운반 파이프들, 바람직하게는 유사한 안지름을 가지는 파이프들은 중간 스테이션에서 쓰레기 스테이션까지 사용되거나, 혹은 서로 다른 중간 스테이션들 사이에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부분 진공은 다수의 운반 파이프들 혹은 물질 채널들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주입점 및/또는 중간 스테이션과 연결된 물질 셰이퍼들을 사용함으로써, 파이프 직경이 줄어들 수 있고, 이와 동시에 이는 장거리 운반의 압력 손실에 대해 영향을 줄 수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주운반 파이프의 직경도 종래 파이프 이송 시스템에 비해 작아질 수 있다. 운반 파이프가 직경면에서 더 작고, 물질 운반에 필요한 운반 공기량이 더욱 작기 때문에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상당한 절약이 가능하다.
이어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실시예의 도움으로 더욱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또 다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제1 작동 단계에서, 도 5의 중간 스테이션을 상세히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제2 작동 단계에서, 도 5의 중간 스테이션을 상세히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a는 제1 작동 단계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b는 제2 작동 단계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a는 제1 작동 단계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b는 제2 작동 단계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c는 제3 작동 단계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압 물질 운반 시스템, 더욱 상세하게는 쓰레기 운반 시스템의 개략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도면은 물질을 위한 주운반 파이프(main conveying pipe)(100)를 도시하고 있고, 이는 예를 들어 밸브 수단(valve means)(101B,101C,101D)을 가지며, 다수의 운반 파이프 구획(conveying pipe section)(100A,100B,100C,100D,100E)들로 나뉠 수 있다. 주운반 파이프의 측면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일반적으로는 많은, 분기 운반 파이프(branch conveying pipe)(63)들이 구비된다. 도 1의 실시예는 주운반 파이프에 10개의 분기 운반 파이프(63)들을 포함하고 있다. 쓰레기 물질의 주입점(60)들은 분기 운반 파이프들의 일측을 따라 배치된다. 쓰레기의 주입점(feed point)(60)은 물질, 더욱 상세하게는 쓰레기 물질을 위한 주입 스테이션(feed station)이나 쓰레기 슈트(refuse chute)로서, 이송을 위한 것이고, 운반될 물질, 더욱 상세하게 생활폐기물과 같은 쓰레기 물질이 이 주입 스테이션이나 쓰레기 슈트로부터 운반 시스템 안으로 주입된다. 본 시스템은 다수의 주입 스테이션(60)을 포함할 수 있고, 운반될 물질이 여기에서 운반 파이프로 주입된다. 도면에서는 주입점 구성이 몇몇 주입점(60)과 연관되어 도면번호와 함께 도시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주입점(60)은 주입 탱크(61)를 포함하며, 이는 분기 운반 파이프(63)와 연결될 수 있다. 주입 탱크와 분기 운반 파이프(63)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밸브 수단(62)이 존재하고, 이를 개폐시킴으로써 물질이 주입점에서 운반 파이프로 운반될 수 있다. 주입점(60)은 분기 운반 파이프(63)와 연결되고, 나아가 주운반 파이프(100)로 연결되며, 따라서 다수의 파이프 구획(100A,100B,100C,100D,100E)들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하나 혹은 다수의 주입점(60)들이 분기 운반 파이프(63)와 연결될 수 있다. 본 도면의 실시예에서는 대체공기 분기 커플링(replacement air branch coupling)이 분기 운반 파이프나 주운반 파이프로부터, 물질의 운반 방향에 대해서 분기 운반 파이프(63)의 반대측 끝단에 구비되어 있고, 대체공기 커플링은 필터 수단(filtering means)(67) 및 밸브 수단(66)을 구비하여, 이들의 도움으로 분기 운반 파이프(63)로의 대체공기 접근이 조절될 수 있다.
주입점(60)의 주입 탱크(61)를 비우는 데 필요한 대체공기는 주입 탱크(61)를 통해서 유입된다. 제2 실시예에 따르면, 필터 수단을 구비할 수 있는, 별도의 대체공기 분기 커플링이 주입점과 부가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1, 2, 3 및 5의 실시예에서는 구동 장치(drive device)(65)에 의해 구동되는 물질 셰이퍼(material shaper)(64)도 주입점(60)에 연결되어 있다. 물질 셰이퍼의 도움으로, 쓰레기 물질은 압축될 수 있고, 혹은 운반 파이프에 더욱 적합하도록 성형될 수 있다. 또한 주입점(60)은 물질 셰이퍼를 구비하지 않을 수도 있다(도 4에 도시됨). 주입점들을 비우는 기본적인 원리는, 물질의 운반 방향에서 분리 수단(seperating means)(90A,90B)들에 더 가까이 있는 주입 탱크가 먼저 비워지고, 이어서 운반 방향에 대해 그 다음 가까운 주입 탱크가 비워진다. 이러한 비움 순서는 분기 운반 파이프의 주입 탱크들에 대해서도 적용되며, 이 경우 분기 운반 파이프(63)에서 물질의 운반 방향에 가까운 주입 탱크가 먼저 비워지고, 이어서 물질 운반 방향에 대해 그 다음 가까운 주입 탱크가 비워진다.
주입점(60)에서 분기 운반 파이프(63)로 주입되는 물질은 주운반 파이프(100)로 운반된다.
도 1의 실시예에서, 중간 스테이션(200)은 운반 파이프 구획(100A)과 운반 파이프 구획(100B) 사이에서 주운반 파이프(100) 내에 구비된다. 중간 스테이션(200)은 주입 탱크(201)를 포함하고, 그 안에 물질의 주입측으로부터 운반 파이프 구획이 구비되고, 또한 주입 탱크(202)를 포함하며, 여기서부터 중간 탱크 내에 배치된 물질이, 쓰레기 스테이션(300)의 분리 장치(90A,90B)를 향하여 인도될 수 있도록, 운반 파이프(100A)로 주입된다. 밸브 수단(203)은 중간 스테이션의 주입 탱크(202)와 주입 파이프(100A) 사이에 구비되고, 밸브 수단을 개폐함으로써 중간 스테이션(200)의 주입 탱크(202)로부터 운반 파이프(100A)로, 나아가 쓰레기 스테이션의 분리 수단으로의 물질 운반이 조절될 수 있다. 밸브 수단이 구비된 중간 통로(medium pathway)(204)는 중간 탱크(intermediate tank)(201)의 상부와 운반 파이프 구획(100A) 사이에서 중간 스테이션(200)에 구비되어 있다. 밸브 수단(207)을 포함하는 대체공기 덕트(replacement air duct)(206)는 중간 스테이션의 주입 탱크(202), 예를 들어 그의 상부(top part)에 구비된다. 컨베이어 수단(conveyor means)(208), 가장 적합하게는 스크류 컨베이어(screw conveyor)는 구동 장치(209)에 의해 구동되고, 이는 중간 스테이션의 중간 탱크(201)에 구비된다. 컨베이어 수단은 물질을 중간 탱크의 바닥부(base part)로부터 중간 스테이션의 주입 탱크(202)로 운반하도록 구성된다. 본 도면의 실시예에서, 중간 탱크의 바닥부는 물질의 운반 방향으로 비스듬한 상방으로 경사져있고, 이 경우 물질은 바닥부로부터 이격된 주입 탱크(202) 내부로 운반된다. 도 1의 실시예에서, 구동 장치(211)로 구동되는 물질 셰이퍼(210)는 주입 탱크(202)와 운반 파이프(100A) 사이에 구비된다. 물질 셰이퍼(210)의 도움으로 쓰레기 물질은 압축되거나 혹은 운반 파이프에 더욱 적합한 모양으로 성형될 수 있다. 또한 중간 스테이션(200)은 물질 셰이퍼를 구비하지 않을 수도 있다(도 3에 도시).
중간 스테이션과 쓰레기 스테이션(300) 사이에 존재하는, 운반 파이프(100)의 파이프 구획(100A)도 내부에 분기 운반 파이프(63)들과 주입점(60)들을 가질 수 있다.
부분 진공 생성기(partial-vacuum generator)(125A…125D)들과 이들의 구동 장치(126A…126D)는 도 1의 쓰레기 스테이션(300)에 구비된다. 도 1의 실시예에는 4개의 부분 진공 생성기들이 있고, 이들의 흡입측(suction side)은 중간 연결부, 예를 들어 채널(123A…123D,120,113A,113B)들을 통해, 도 1의 쓰레기 스테이션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분리 장치(90A,90B)들을 거쳐 운반 파이프(100)에 연결될 수 있다. 도 1에서 쓰레기 스테이션은 2개의 분리 장치(90A,90B)들을 가지며, 이들은 대체적으로, 밸브 수단(100A)에 의해 운반 파이프에 연결될 수 있다. 밸브 수단으로부터 운반 파이프 구획들(111A 또는 111B)은 분리 장치(90A)나 분리 장치(90B) 중 어느 하나로 연결된다. 밸브 수단(114A,114B)을 구비하고 있는 중간 채널(113A,113B)은 분리 장치(90A,90B)의 상부에 구비되어 있다. 중간 통로(113A,113B)는 밸브 수단(114A,114B)으로 그 다음 중간 통로(115)에까지 연결될 수 있고, 이는 입자 분리기(particle separator)(117)로 이어진다. 입자 분리기(117)의 상부에서, 중간 통로(120)는 계속 이어지고, 중간 통로에 부분 진공 생성기들의 흡입측으로 이어지는 채널(123A…124D)들이 구비된다. 소음감쇠장치(noise damper)(127A…127D)는 채널(128AB,128CD,129)들을 거쳐 배기 덕트(exhaust air duct)(130)로 이어지는 통로에서 부분 진공 생성기들의 블로우측(blowing side)에 구비된다.
밸브 수단(113A,113B)들에 의해 부분 진공 생성기(125A…125D)에 의해 이루어지는 흡입/부분 진공은 이를 바라는 분리 장치(90A,90B)와 연결되고, 나아가 그 연결(밸브(112A,112B)들, 운반 파이프 구획(111A,111B)들 및 쓰리웨이 밸브(three-way valve)(110A))을 오픈시켜 운반 파이프 구획(100A)으로 연결되고, 분리 장치로부터 물질의 운반 파이프까지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먼저 물질 운반 방향에 있어, 중간 스테이션 이전의 운반 파이프 구획(100B,100C,100D,100E)의 분기 운반 파이프(63)들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주입점(60)들이 비워질 수 있다. 이 경우 부분 진공 생성기들의 흡입측은 운반 파이프 구획(100A)으로부터 나아가 중간 채널(204)을 가진 중간 스테이션(200)의 중간 탱크(201)를 거쳐, 밸브(205)가 열리면, 문제의 운반 파이프 구획(100B…100E)으로 직접 연결된다.
펌프 장치의 흡입측에서, 도 1에 도시된 분리 수단(90A)을 거쳐 운반 파이프(111A,100A)로 향하고, 계속하여 중간 스테이션의 중간 통로(204)를 거쳐 운반 파이프 구획(100B…100E)에 작용하는, 부분 진공 생성기에 의해 이루어지는 부분 진공은 압력차 효과에 의해 쓰레기 물질을 운반시키고, 그 운반은 밸브(62)가 열릴 때 주입 탱크(61)에서 물질 셰이퍼(64)를 거쳐 분기 운반 파이프로, 나아가 운반 파이프 구획(100B…100E)으로 향하고, 이를 따라 중간 스테이션(200)의 중간 탱크(201)로 나아가며, 중간 탱크에서 쓰레기 물질은 이송공기(transporting air)와 분리된다.
도 1의 상황에서, 주입점(60)들의 주입 탱크들은 분기 운반 파이프를 통해 주운반 파이프로 비워지게 되고, 필요힌 주입점들이 비워질때까지 계속해서 중간 스테이션의 중간 탱크(201)가 비워진다.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 비워질 다음 주입점의 밸브(62)는 막 비워진 이전 주입점의 밸브 수단이 닫히기 전에 얼마 동안 열린다. 이 경우, 비울 때 발생하는 소음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어, 발생가능한 유해 소음이 줄어들 수 있다.
분기 운반 파이프(63)들의 개수는 시스템 크기에 따라 다르다. 따라서, 본 도면에 도시된 것보다 훨씬 많은 수의 분기 운반 파이프(63)가 있을 수 있고, 그들 내의 주입점(60)들의 개수가 장소가 요구하는 바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필요한 개수의 주입점들이 비워지고 물질이 중간 스테이션(200)으로 운반되었거나, 혹은 기설정된 양의 쓰레기 물질이 중간 스테이션(200)의 탱크들, 중간 탱크(201) 및/또는 주입 탱크(202)들에 수거되었을 때, 제2 단계를 수행할 수 있게 되고, 여기서 물질은 중간 스테이션에서 실제적인 쓰레기 스테이션(300)으로 운반되어, 그의 분리 장치(90A 혹은 90B)로 운반된다. 쓰레기 물질은 구동 장치(209)의 구동에 의해 컨베이어 수단(208)을 가지는 중간 탱크(201)에서 주입 탱크(202)로 운반된다. 운반 방향에서 주입 탱크(202)와 물질 셰이퍼(210) 다음에 있는 밸브 수단(203)이 열리고, 이때 물질은 주입 탱크(202)에서 물질 셰이퍼(210)를 거쳐 주입 파이프 안으로 놓인다. 이때 대체공기 덕트(206) 내의 밸브(207)도 열리고, 중간 통로(204)의 밸브(205)는 닫힌다.
쓰레기 물질은 운반 파이프(100A,111A 또는 111B)를 따라 중간 스테이션에서 쓰레기 스테이션(300)의 하나 이상의 분리 장치(90A,90B)로 옮겨지고, 운반될 물질은 강하 속도와 원심력과 같은 힘에 의해 이송공기에서 분리된다. 분리된 물질은 필요에 따라 분리 수단(90A,90B)에서, 쓰레기 탱크와 같은 물질 탱크(material tank)(92A,92B)로 제거되거나 그 이후의 처리로 향한다. 분리 장치(90A,90B)와 연결된 것은 이동 장치(transfer device)나 쓰레기 압축기(waste compactor)와 같은 비움 수단(emptying means)(91A,91B)으로, 이들에 의해 물질은 압축에 의해 더 작게 압축되고, 물질은 이로부터 쓰레기 컨테이너(92A,92B)로 운반된다.
운반될 물질은 밸브(110A)에 의해 분리 장치(90A,90B)들 중 하나 안으로 인도될 수 있다. 물질은 예를 들어 그 종류에 따라, 필요한 분리 장치(90A,90B) 및 탱크(92A,92B)로 인도될 수 있다. 물질의 종류는 예를 들어 잡쓰레기, 재활용 쓰레기, 종이, 병, 금속 등이 될 수 있다.
도 1의 입자 분리기(117)는 필요에 따라, 그 바닥부의 밸브(118)를 개방함으로써, 도 1에서 분리 장치(90A,90B) 중 어느 하나로 이어지는 중간 채널(119)로 비워질 수 있다.
도 2는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여기서는 2개의 중간 스테이션(200A,200B)이 운반 파이프(100)에 구비되어 있다. 본 도면에서, 중간 스테이션(200A,200B)은 운반 파이프 구획(100A)과 운반 파이프 구획(100B) 사이에 연결되어 있다. 중간 스테이션들의 구성의 참조 번호는 주로 도 1에서의 참조번호에 대응하지만, 중간 스테이션을 나타내는 문자가 참조 번호에 덧붙여지기도 한다. 중간 스테이션(200A) 구성을 위한 A나 중간 스테이션(200B) 구성을 위한 B. 밸브 수단(212)은 물질 운반 방향에서 보아 중간 스테이션(200A,200B)들 앞의 운반 파이프에 구비되며, 이 밸브 수단으로, 운반될 물질은 중간 스테이션(200A,200B)들 중 어느 하나 안으로 놓이도록 인도될 수 있다. 도면에서 밸브는 물질이 중간 스테이션(200A)의 중간 탱크(201A)로 놓이도록 하는 위치에 존재한다. 운반될 물질은 예컨대, 운반될 물질의 종류에 따라 중간 탱크 안으로 인도될 수 있다. 이와 다른 구성은, 원하는 방식으로 채워지거나 비워질 수 있는 다수의 중간 탱크를 이용하여, 중간 스테이션의 수용량을 증가시킨다. 도 2에는 쓰레기 스테이션(200A,200B)들의 주입 탱크(202A,202B)들에 연결된 물질 셰이퍼(210A,210B)들이 있지만, 응용방식에 따라 중간 스테이션들은 중간 셰이퍼들이 없어도 좋다.
도 3은 도 1의 시스템에 대부분 대응하는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주요 차이점은 도 3의 중간 스테이션(200)은 물질 셰이퍼가 연결되지 않은 종류라는 점이다. 이 경우 실시예에 따라서, 중간 스테이션(200)에서 쓰레기 스테이션(300)으로 향하는 운반 파이프 구획(100A)의 직경이, 적어도 물질 셰이퍼(64)들이 주입점(60)에 연결되어 사용될 때의, 중간 스테이션 앞의 운반 파이프 직경보다 더 크게 형성되어야 한다.
도 4는 그 일부에, 주입점(60)에 연결된 물질 셰이퍼가 없는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 경우 물질(68)은 밸브(62)가 열릴 때 주입점의 주입 탱크(61)에서 분기 주입 파이프(63)로 직접 주입되고, 공압식 물질 운반 시스템의 부분 진공 생성기에 의해 이루어진 부분 진공이 분기 운반 파이프에서 작용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여기에는 2개의 중간 스테이션(200A,200B)이 존재한다. 중간 스테이션(200A,200B)들에서 쓰레기 스테이션(300)까지 이어지는 2개의 운반 파이프 구획이 있다. 제1 중간 스테이션(200A)으로부터는 제1 운반 파이프 구획(100AA)이 있고, 도 5에 따라 이는 적어도 2개의 분리 장치(90A,90B)들 중 하나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중간 스테이션(200B)으로부터는 제2 운반 파이프 구획(100AB)이 있고, 이는 적어도 2개의 분리 장치(90A,90B)들 중 다른 하나에 연결될 수 있다. 도 5의 실시예에서, 제1 중간 스테이션(200A)으로부터, 제1 운반 파이프 구획(100AA)은 제1 분리 장치(90A)로 향한다. 제2 중간 스테이션(200B)으로부터, 제2 운반 파이프 구획(100AB)은 제2 분리 장치(90B)로 향한다. 이는 예를 들어 제1 중간 스테이션(200A)으로 비워지게 될 주입점(60)들을 그의 중간 탱크(201A) 안으로 비워지게 하며, 동시에 제2 중간 스테이션(200B)의 물질 탱크, 중간 탱크(210B) 및/또는 주입 탱크(202B)가 제2 운반 파이프 구획(100AB)을 따라 제2 분리 장치(90B)로 비워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먼저 물질 운반 방향으로 중간 스테이션(200A) 앞에서 운반 파이프 구획(100B,100C,100D,100E)의 분기 운반 파이프(63)들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주입점(60)이 비워질 수 있다. 이 경우 부분 진공 생성기의 흡입측은 운반 파이프 구획(100AA)에서 연결되어, 중간 채널(204A)을 가지는 중간 스테이션(200A)의 중간 탱크(201A)로 연결되고, 밸브(205A)가 열리면, 계속 나아가 적어도 운반 파이프 구획(100B…100E)으로 직접 연결된다.
도 1의 분리 수단(90A)을 거쳐 펌프 장치의 흡입측, 운반 파이프(111A,100AA) 안으로, 나아가 중간 스테이션의 중간 통로(204A)를 거쳐 운반 파이프 구획(100B…100E)을 향해 작용하는, 부분 진공 생성기에 의해 이루어진 부분 진공은, 밸브(62)가 열릴 때, 압력차 효과에 의해, 주입 탱크(61)에서 물질 셰이퍼(64)를 거쳐 분기 운반 파이프로 쓰레기 물질을 운반하게 만들고, 계속해서 운반 파이프 구획(100B…100E)으로 향하게 하며, 이를 따라 중간 스테이션(200A)의 중간 탱크(201A)로 운반시키고, 중간 탱크에서 쓰레기 물질은 이송 공기로부터 분리된다.
도 5의 경우에서 중간 스테이션(200B)의 제2 탱크가 비워지면 이와 동시에 제1 중간 스테이션(200A)의 탱크가 채워진다. 이러한 제2 단계에서 물질은 중간 스테이션(200B)에서 사실상의 쓰레기 스테이션(300)으로, 그의 분리 장치(90B) 안으로 운반된다. 물질은 구동 장치(209B)의 구동에 의해, 컨베이어 수단(208B)을 가진 중간 탱크(201B)에서 주입 탱크(202B) 안으로 운반된다. 운반 방향으로 주입 탱크(202B)와 물질 셰이퍼(210B) 다음에 있는 밸브 수단(203B)이 열리고, 이 경우 물질은 주입 탱크(202B)에서 물질 셰이퍼(210B)를 거쳐 운반 파이프(100AB) 안으로 놓인다. 이때 대체공기 덕트(206B) 내의 밸브(207B)가 부가적으로 열리고, 중간 통로(204B)의 밸브(205B)는 닫힌다.
쓰레기 물질은 중간 스테이션으로부터 운반 파이프(100A,111A 또는 111B)를 따라 쓰레기 스테이션(300)의 하나 이상의 분리 장치(90A,90B)로 옮겨지고, 운반될 물질이 분리 장치에서 낙하 속도나 원심력과 같은 힘에 의해 이송 공기로부터 분리된다. 분리된 물질은 필요에 따라 분리 수단(90A,90B)에서 제거되어 쓰레기 컨테이너와 같은 물질 탱크(92A,92B)로 옮겨지거나 그 이후의 처리로 가게 된다. 분리 장치(90A,90B)와 연결되어, 이송 장치나 쓰레기 압축기와 같은 비움 수단(91A,91B)이 존재하고, 이와 함께 물질은 압축에 의해 작은 크기로 압축되거나, 이로부터 물질은 쓰레기 탱크(92A,92B)로 다시 운반된다.
상기 단계가 완료되면, 밸브(203B)가 닫히고, 중간 통로(204B)의 밸브(205B)가 열릴 수 있다. 밸브(212)는 운반 파이프 구획(100B…100E)을 따라 유입되는 쓰레기 물질을 제2 중간 스테이션(200B)으로 인도하도록 변경될 수 있다. 제1 중간 스테이션의 중간 통로(204A)의 밸브가 닫히고, 대체공기 덕트(206A)의 밸브(207A)가 열릴 수 있다. 운반 방향에서 주입 탱크 및 물질 셰이퍼 다음에 있는 밸브(203A)가 열릴 때, 물질은 제1 중간 스테이션(200A)에서 쓰레기 스테이션(300)의 분리 장치(90A)로 운반될 수 있다.
도 5의 실시예에서, 2개의 서로 다른 중간 스테이션(200A,200B)들의 탱크들은 운반 파이프 구획(100AA,100AB)을 따라 서로 다른 분리 수단(90A,90B)으로 동시에 비워질 수도 있다. 이 경우 중간 스테이션의 중간 통로(204A,204B)의 밸브(205A,205B)가 모두 닫힌다. 대체공기 덕트(206A,206)의 밸브(207A,207B)는 열린 상태다. 중간 스테이션(200A,200B)의 운반 파이프 구획(100AA,100AB)으로 이어지는 채널은 열린 상태, 즉, 밸브(203A,203B)는 열린 상태다.
양 중간 탱크의 각자의 부분 진공 생성 장치 및 상기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부분 진공 생성기(125A…125D;125E…125H)는 이동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제1 부분 진공 생성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부분 진공 생성기(125A…125D)의 흡입측은 파이프(120A,115A,113A)를 통해 제1 분리 수단(90A)으로 연결되며, 이는 파이프라인(pipeline)(111A)을 통해 운반 파이프의 제1 구획(100AA)으로 연결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제2 부분 진공 생성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부분 진공 생성기(125E…125H)의 흡입측은 파이프(120B,115B,113B)를 통해 제2 분리 수단(90B)으로 연결되며, 이는 파이프라인(111B)을 통해 운반 파이프의 제2 구획(100AB)으로 연결된다.
본 도면들의 실시예에서, 대체공기 분기 커플링이 운반 파이프의 구획(100E)을 위해 구비되며, 대체공기 분기 커플링은 필터 수단(103)과 밸브 수단(102)을 구비한다. 밸브 수단(102)은 예를 들어 그것이 운반 파이프 안에서 물질을 운반하려고 할 때 열리고, 주입 스테이션(feed-in station)(60)의 밸브(62)나 분기 운반 파이프의 밸브(66)는 닫힌다.
도 5에서는, 채널(115A,115B)의 밸브(116)를 열어, 모든 부분 진공 생성기가 동일한 분리 장치에서 흡입측으로부터 작용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도 5의 실시예에서는, 2개의 분리 수단(90A,90B)이 도시되어 있고, 조절 방식에 의해 그 안으로 물질이 운반될 수 있다. 도 5의 실시예에서는 쓰레기들이 서로 다른 분리 수단(90A,90B)으로 인도되었고, 이는 운반을 위한 각각의 부분 진공 생성기(125A…125D 및 125E…125H)를 이용하여 이루어졌다. 이는 빠른 동시 동작을 가능하게 한다.
도 1 내지 도 5의 실시예에서, 부분 진공을 형성하기 위한 부분 진공 생성기들은 다수의 유닛을 포함한다. 이들의 도움으로, 운반 파이프 혹은 그 일부에서의 물질 운반에 필요한 부분 진공이 형성된다. 상기 유닛 각각은 부분 진공 생성기(125A…125H)를 포함하고, 이는 구동 장치(126A…126H)로 구동된다. 부분 진공 생성기의 흡입측은 분리 수단(90A,90B)을 통해 운반 파이프(100,100A,100AA,100AB)로 연결된다. 부분 진공 생성기(125A…125H)의 블로우측은, 도면의 실시예에서, 그 일부가 라인(line)(128AB,125CD,128EF,128GH)을 통해 배출 라인(outlet line)(129,130)으로 블로우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본 도면들에 따른 구성도는 부분 진공 생성기들로서 펌프 장치들을 도시하며, 도 5에서 펌프 장치들은 총 8개가 있다. 도 1 내지 도 4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4개의 펌프 장치들이 부분 진공 생성기들로서 각각 도시되어 있다. 본 시스템의 실시예에 따르면 더 많거나 더 적은 수의 부분 진공 생성기들이 있을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중간 스테이션은, 운반 파이프로 연결될 수 있는 중간 탱크(201)를 포함하고, 이로부터 물질은 중간 탱크로 주입된다. 중간 스테이션에는 중간 스테이션으로부터 운반 파이프로 물질을 주입하기 위한 주입 탱크(202)가 있다. 주입 탱크는 예를 들어 원통형의 수직 컨테이너로, 그의 바닥부는 깔때기 모양으로 출력 끝단으로 갈수록 좁아지며, 거기서 물질은 운반 파이프 안으로 주입된다. 중간 탱크로부터, 물질은 스크류 컨베이어와 같은 컨베이어(208)로 이송되어 중간 탱크와 주입 탱크 사이의 주입 개구 쪽으로 향한다.
도 6, 7 및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고, 여기서도 중간 스테이션(200)은 중간 탱크(201)와 주입 탱크(202)를 가진다. 중간 스테이션(200)과 쓰레기 스테이션(300) 사이에는 적어도 2개의 운반 파이프(111A,111B) 및 멀티패쓰 밸브(multipath valve)인 선택 밸브(selector valve)(110A)를 가지며, 이에 의하여 중간 스테이션(200)에서 쓰레기 스테이션(300)으로 가는 운반 통로는 쓰레기 스테이션에서 필요한 분리 수단(90A,90B)들로 연결되고, 계속해서 부분 진공 생성기로 연결될 수 있다. 도 6의 실시예에서 쓰레기 스테이션의 부분 진공 생성기(125A)의 흡입측과 및 부분 진공 생성기(125B)의 흡입측은 중간 통로를 거쳐 분리 수단(90A,90B)들로, 계속해서 파이프라인(111A,111B)으로 연결되며, 이 둘로부터 중간 스테이션(200)의 중간 탱크(201)로 연결된다. 제1 분리 수단(90A,90B)들로부터는 파이프라인(111A)을 거쳐 전환 밸브(diverter valve)(110A)로 향하는 연결이며, 이는 본 실시예에서 중간 스테이션(200)과 근접하여 구비된다. 중간 스테이션(200)은 주입 탱크(202)를 포함하며, 그 안으로 중간 탱크(201)로부터 연결된다. 본 도면의 실시예에서, 주입 탱크(202)는 물질 셰이퍼(210)의 주입 채널(feeder channel)이다. 주입 탱크(202)로부터 운반 파이프 구획(100A)이 전환 밸브(110A)를 향해 구비된다. 전환 밸브(110A)에 의해 운반 파이프 구획(100A)이 어느 파이프 구획(111A,111B)으로 연결될 지가 선택될 수 있다. 도면에서, 운반 파이프 구획(100A)은 파이프 구획(111A)으로 연결되고, 이는 제1 분리 수단(90A)으로부터 나온다. 이 경우, 제1 분리 수단(90A)을 거쳐, 부분 진공 생성기에 의해 이루어지는 흡입 효과/부분 진공이 운반 파이프 구획(111A,100A)을 통해 중간 스테이션(200)의 주입 탱크(202)와 중간 탱크(201) 안으로 작용한다. 제2 분리 수단으로부터 나온 운반 파이프 구획(111B)은 중간 스테이션의 중간 탱크(201)의 상부에 구비된 중간 통로(204)로 연결된다. 중간 통로(204)의 밸브(205)가 열릴 때, 부분 진공 생성기의 부분 진공은 제2 분리 수단(90B), 운반 파이프 구획(111B) 및 중간 통로를 거쳐 중간 스테이션(200)의 중간 탱크(201) 내에서도 작용할 수 있고, 일측을 따라 주입점(60)들을 포함하는 분기 운반 파이프들을 구비하는 운반 파이프(100)는 중간 탱크에 연결된다. 중간 스테이션의 중간 탱크로부터, 부분 진공 생성기들에 의해 이루어지는 흡입 효과는 운반 파이프(100) 및 그의 일측을 따라 구비된 분기 운반 파이프들에까지 작용한다.
이 동작 단계에서, 운반 파이프(100)의 일측을 따라 구비된 주입점(60)들의 주입 탱크(61)들이 비워진다. 도 6에서 비워진 주입점(60)의 주입 탱크(61)는 화살표로 표시되어 있다. 주입점의 주입 탱크(61)로부터 물질은 분기 운반 파이프(63)내로 운반되고, 나아가 운반 파이프(100)로 운반되며, 이로부터 물질은 중간 스테이션의 중간 탱크(201) 안으로 놓인다. 중간 탱크에서 물질(68)은 이송 공기로부터 분리된다.
도 7은 이 동작 단계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중간 스테이션의 동작을 도시한다. 중간 스테이션(200)의 중간 탱크(201)의 형상, 중간 탱크(201)로 들어오는 운반 파이프(100)의 배치 및 중간 탱크(201)와 주입 탱크(202) 사이의 주입 개구의 배치와 아울러 주입 탱크(202)의 배치 부위는 제2 실시예와 같이 이루어져 있다. 중간 탱크(201)로의 운반 파이프(100)의 투입구(input aperture)와, 중간 탱크(201)와 주입 탱크(202) 사이의 주입 개구(feed aperture)는 본질적으로 중간 탱크(201)의 동일한 부분에 구비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주입 탱크(202)는 중간 탱크(202)의 바닥에 형성된 주입 개구로부터 하방을 향해 구입된다. 중간 탱크(201)로의 운반 파이프의 투입구는, 주입 탱크(202)로의 주입 개구가 위치한 것과 동일한 끝단부(end part)에, 중간 탱크 내에서 주입 개구에서 위에 구비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중간 탱크(201)로의 운반 파이프(100)의 투입구는 중간 탱크 안으로 인도되는 물질을 다소 수평 방향으로 향하도록 구비되어 있다. 이 경우, 물질(68)은 투입구로부터 중간 탱크 안으로 인도되어, 중간 탱크(201)의 반대측벽(201')으로 향한다. 투입구(100')로부터의 물질을 중간 탱크 안으로 더 멀리 인도하고, 물질을 압축(compact)시키기 위하여, 중간 탱크의 주입 수단(208)은 물질을, 본 도면의 실시예에서, 투입구(100') 및/또는 중간 탱크와 주입 탱크 사이의 주입 개구로부터 벗어나도록 운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주입 스크류(feed screw)일 수 있는 주입 수단(208)은 중간 탱크 내의 쓰레기 물질(68)을 거꾸로/후방부(rear part)쪽으로, 바람직하게는 중간 탱크의 반대편에 있는 벽부(201') 쪽으로 운반한다. 그래서 주입 수단(208)에 의해서 쓰레기 물질에 이루어지는 주입 운동은 쓰레기 물질을 중간 탱크(201)에서 그의 후방 벽(201')을 향해 놓이도록 하고, 이 경우 중간 탱크의 바닥부로부터 위로 경사지다가(수평축에 대해 α(알파)의 각도로) 수직이 되도록 형성된 중간 탱크의 후방벽부(201')가 중간 탱크(201) 내에서 물질을 뒤집는다. 도 8은 위로 향한 후방벽부(201')를 거쳐 물질의 운반을 화살표로 도시하고 있고, 이 경우 이는 중간 탱크(201)를 효율적으로 채울 수 있다. 그와 동시에 쓰레기 물질은 주입 수단(208)에 의해 압축되고, 이 경우 압축되지 않은 경우보다 더 많은 양이 중간 탱크(201)로 들어갈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구조를 가진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압축(compacting)이 없는 것보다 2배나 많은 양의 쓰레기가 중간 탱크 안에 들어갈 수 있게 된다.
도 7의 실시예에서 부분 진공 생성기들의 흡입 효과는 분리 수단(90A), 운반 파이프(111A), 운반 파이프(100A) 및 주입 탱크(202)를 거쳐 중간 탱크(201)에 작용하고, 또한 제2 분리 수단(90B), 운반 파이프(111B), 중간 통로(204)를 거쳐 중간 탱크(201)에 작용한다. 이 경우, 흡입 효과는 중간 탱크(201)에서부터 주입점들로 향하는 운반 파이프(100) 안으로 연장된다. 이때 물질은 상술한 바와 같이 주입점들로부터 중간 스테이션(200)의 중간 탱크(201) 내로 운반될 수 있다.
도 8은 그의 일부에, 중간 스테이션의 동작 단계를 도시하며, 여기서 물질(68)은 중간 스테이션(200)으로부터 운반 파이프(100A)를 향하여 운반된다. 중간 탱크(201)에서 쓰레기 물질을 운반해야 하는 경우, 쓰레기 물질을 중간 탱크(201)와 주입 탱크(202) 사이의 주입 개구쪽으로 운반하는 데 주입 수단(208)이 이용되고, 여기서 쓰레기 물질은 주입 탱크(202)로 인도된다. 도 8의 실시예에서의 주입 수단(208)은 주입 스크류이고, 그의 회전 방향은 도 7의 동작 단계로 바뀌어져 있고, 도 8의 동작 단계의 반대방향이다. 도 8의 동작 단계에서, 중간 탱크 내에서 주입 개구를 향해 주입 탱크(202)로 가는 물질(68)의 이동이 화살표로 도시되어 있다.
주입 탱크(202)로 인도되는 쓰레기 물질은 앞으로 인도되어 주입 탱크의 바닥부에 구비된 로터리 셰이퍼(210)로 처리되어, 물질은 주입 탱크(202)로부터 그의 주입 개구 안으로 인도되고, 주입 개구는 동시에 주입 탱크(202)의 투입구가 된다.
도 6 내지 8의 실시예에서, 주입 탱크(202)는 로터리 셰이퍼(210)의 주입 덕트(feed duct)이고, 주입 덕트로부터 쓰레기 물질은 로터리 셰이퍼(210)의 주입 개구 안으로 인도되고, 이후 운반 파이프(100A)를 향해 처리된다.
본 도면에서 중간 탱크의 배출 파이프(discharge pipe)인, 운반 파이프(100A)로의 연결이 도 7 및 8의 밸브 수단(110A)에 의해 부분 진공 생성기의 흡입측으로부터 열릴 때, 물질은 중간 탱크의 주입 탱크(202)로부터 배출구(output aperture)와 로터리 셰이퍼(210)를 거쳐 운반 파이프(100A) 안으로 놓이며, 여기서 부분 진공은 적어도 주입 탱크(202)를 비우는 순간에 작용한다. 이 경우 물질은 운반 파이프(110A) 안으로 놓여 분리 수단(90A)으로 이어지는 운반 파이프(111A)를 향해 놓인다. 중간 스테이션의 중간 탱크(201)의 상부에서 대체공기 덕트(206)로 이어지는 연결이 존재한다. 바람직하게는 중간 탱크가 대체공기 덕트의 투입구 가까이에 투기성(permeable) 벽부를 포함한다. 중간 탱크의 비움 단계에서도 대체공기 덕트(206) 내의 밸브(207)가 열리고, 중간 통로(204)의 밸브(205)가 닫힌다. 이때 대체공기는 대체공기 덕트를 경유해 중간 탱크로 들어갈 수 있게 된다.
도 6 내지 8의 방법은 주입점들에서 쓰레기 스테이션까지의 운반 거리가 긴, 일반적으로 수 킬로미터의 운반 거리를 가진 실시예들에 매우 적합하다. 거리가 멀어지면 중간 스테이션들이 주입점들과 쓰레기 스테이션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이는 도 9a,9b 및 10a,10b,10c에 도시되었다.
도 9a 및 9b는 일 실시예를 일반 구성도로 나타낸 것이고, 여기서 중간 스테이션(200)은 주입점(60)들과 쓰레기 스테이션(300) 사이에 배치된다. 도 9a는 처음에 주입점(60)을 비우고, 중간 스테이션(200)으로 쓰레기를 운반하는 것을 도해로 보여준다. 이때 쓰레기 스테이션(300)에서 부분 진공 생성기들에 의해 이루어지는 흡입 효과는 다수의 파이프라인을 통해서 중간 스테이션(200)으로 안내된다. 도 9a,9b,10a,10b,10c에서 쓰레기 운반이 화살표로 도시되어 있고, 흡입/유입 공기의 파이프 내의 운반이 실선으로, 파이프가 동작/활성 상태가 아닌 상태가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9a에서, 중간 스테이션(200)까지 주입점(60)들의 운반 파이프 거리는 L1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거리 L1은 상당히 길고, 일반적으로는 수 킬로미터, 예를 들어 2∼4km이다. 중간 스테이션(200)과 쓰레기 스테이션(300) 사이의 거리는 L2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거리 L2는 상당히 길고, 일반적으로는 수 킬로미터, 예를 들어 2∼3km이다. 운반 파이프들과 같은 병렬 파이프들이 중간 스테이션(200)과 쓰레기 스테이션(300) 사이에 배치되고, 이 파이프들을 통해 쓰레기 스테이션의 부분 진공 생성기들에 의해 이루어지는 흡입 효과가 중간 스테이션(200)까지 안내된다. 도 9a의 경우, 다수의 파이프가 사용되었고, 일반적으로 흡입 효과/부분 진공은 운반 파이프들을 통해 중간 스테이션(200)으로, 그리고 중간 스테이션(200)에서 도 9a에서 중간 스테이션과 쓰레기 스테이션 사이보다 더 적은 개수의 주입점용 운반 파이프를 향해 안내된다. 도 9a에 따르면 중간 스테이션에 대한 흡입은 2개의 파이프와 1개의 운반 파이프에서 한번에 이루어지고, 이는 주입점(60)을 비우고 쓰레기를 주입점들에서 중간 스테이션(200)으로 운반시키는 데 이용된다.
도 9b에 따르면 쓰레기들은 중간 스테이션(200)에서 쓰레기 스테이션으로 하나의 파이프를 따라 운반되는데, 이 경우 다른 운반 파이프들은 이용되지 않는다.
도 10a 내지 10c는 위의 도면들보다 더 큰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도로, 이 도면들에서 가장 먼 주입점(60)들에서 쓰레기 스테이션(300)까지의 운반 거리는 이는 5∼10km의 영역 내의 매우 긴 거리이다. 도 10a 내지 10c의 실시예에서 2개의 연이은 중간 스테이션(200(1),200(2))들이 주입점(60)들과 쓰레기 스테이션(300) 사이에 배치된다. 제1 중간 스테이션(200(1))으로부터의 주입점(60)들의 거리 L1은 상당히 길고, 일반적으로 수 킬로미터이며, 예를 들어 2∼3km이다. 물질의 운반 방향에서 제1 중간 스테이션(200(1))과 제2 중간 스테이션(200(2)) 사이의 거리 L2 역시 상당히 길고, 일반적으로 수 킬로미터이며, 예를 들어 2∼4km이다. 물질의 운반 방향에서 제2 중간 스테이션(200(2))과 쓰레기 스테이션(300) 사이의 거리는 상당히 길고, 일반적으로 수 킬로미터이며, 예를 들어 2∼5km이다. 도 10a 내지 10c의 실시예에서, 쓰레기 스테이션(300)과 제2 중간 스테이션(200(2)) 사이에는 3개의 병렬 파이프가 있다. 제2 중간 스테이션(200(2))과 제1 중간 스테이션(200(1)) 사이에는 2개의 병렬 파이프가 있다. 제2 중간 스테이션(200(1))과 가장 먼 주입점(60)들 사이에는 한번에 이용되는 하나의 운반 파이프가 있다. 도 10a에서 주입점(60)들이 비워지고 물질이 주입점에서 제1 중간 스테이션(200(1))으로 운반될 때, 본 도면에 따라 쓰레기 스테이션(300)의 부분 진공 생성기들의 흡입 효과를 쓰레기 스테이션(300)에서 제2 중간 스테이션(200(2))으로 전달하기 위해 3개의 파이프가 이용되고, 제2 중간 스테이션(200(2))에서 제1 중간 스테이션(200(1))까지 2개의 파이프가 이용되며, 주입점(60)에서 제1 중간 스테이션(200(1))까지의 물질을 운반시키기 위해 1개의 파이프가 동시에 이용된다.
따라서, 도 10b에 따르면, 제1 중간 스테이션(200(1))까지 운반되는 물질은 제2 중간 스테이션(200(2))을 향해 운반되고, 오직 1개의 물질 운반 파이프만이 제1 중간 스테이션에서 제2 중간 스테이션으로 물질을 이동시키는데 이용된다. 쓰레기 스테이션(300)의 부분 진공 생성기들의 흡입 효과는 3개의 파이프로 제2 중간 스테이션(200(2))에 전달된다.
도 10c의 경우에서, 제2 중간 스테이션(200(2))에 수집된 물질은 그 이후 한번에 1개의 운반 파이프를 이용하여 쓰레기 스테이션으로 운반된다.
도 10a 내지 10c에 따르면 점선으로 표시된 파이프들은 동작하지 않는다.
도 10a 내지 10c에 따르면, 중간 스테이션들이 운반 방향으로 주입점들과 쓰레기 스테이션 사이에 배치될 때, 다수의 병렬 파이프들은 적어도 가장 가까운 중간 스테이션까지, 적어도 물질이 가장 가까운 중간 스테이션보다 먼 주입점으로부터 운반될 때까지, 혹은 중간 스테이션에서 가장 가까운 스테이션이나 그로부터 더 먼 중간 스테이션까지 흡입 효과를 전달하는데 이용된다.
주입점과 쓰레기 스테이션 사이에 주입 방향으로 다수의 연이은 중간 스테이션들이 있을 때, 그리고 물질을 주입점이나 중간 스테이션에서 가장 가까운 중간 스테이션보다 더 먼 중간 스테이션으로 운반할 때, 쓰레기 스테이션으로부터 가장 가까운 중간 스테이션보다, 가장 가까운 중간 스테이션으로부터 흡입 효과를 전달하는데 더 적은 수의 병렬 파이프들이 이용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쓰레기 스테이션 및 가장 가까운 중간 스테이션 사이에 파이프의 개수를 늘리는 대신 일 실시예에 따라 파이프의 직경을 더 크게 할 수도 있고, 예를 들어 더 큰 직경의 파이프가, 가장 가까운 중간 스테이션과 거기서 더 먼 중간 스테이션 사이보다는, 쓰레기 스테이션 및 그 쓰레기 스테이션에 가장 가까운 중간 스테이션 사이에 이용될 수 있고, 이는 더 먼 중간 스테이션과 주입점들 사이의 파이프 직경 보다 결국 더 큰 파이프 직경을 가진다.
제2 실시예에 따르면, 펌프 장치들의 출력 전력(output power)이 조절될 수 있고, 이 경우 서로 다른 펌프 장치들에 의해 이루어지는 흡입력/배출력(suction powers/blowing powers)이 필요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매우 많은 다양한 종류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 시스템에서 쓰레기 스테이션에 대해 가장 멀리 떨어진 주입점으로부터의 운반 거리는, 운반 파이프에 따라 측정한 것으로, 수천 미터, 일반적으로 수 킬로미터이다. 주입점(60)들 및/또는 중간 스테이션(200)들에 물질 셰이퍼(64,210)를 사용할 때, 대략 200∼300mm의 영역 내의 파이프 직경을 가지는 종래의 것에 비해, 운반 파이프(100,100A,100B,100C,100D,100E)의 파이프 직경을 상당히 작게 할 수 있다.
본 실시예들의 도움으로 운반 파이프의 직경을 더 작게 하고, 물질 운반에 필요한 운반 공기량을 더 적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상당한 비용 절감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쓰레기 운반 시스템과 같은 공압식 물질 운반 시스템에서의 운반 방법으로, 상기 운반 시스템은, 물질, 더욱 상세하게는 쓰레기 물질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주입점(60), 주입점(60)에 연결될 수 있는 물질 운반 파이프(100)와, 운반될 물질이 이송 공기로부터 분리되는 적어도 하나의 분리 장치(90A,90B)와, 적어도 물질을 이송하는 동안 운반 파이프 내에서 압력차 및/또는 이송기류를 이루어내는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압력차 및/또는 이송기류를 이루어내는 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부분 진공 생성기(125A…125H)를 포함한다. 본 방법은, 제1 단계에서, 주입점(60)과 분리 장치(90A,90B) 사이에 배치된 중간 스테이션(200,200A,200B)의 적어도 하나의 탱크 공간(201,201A,201B,202,202A,202B)에서 적어도 하나의 부분 진공 생성기(125A…125H)에 의해 이루어지는 흡입/압력차 및/또는 이송기류의 도움으로, 물질이 주입점(60)에서 운반 파이프(100,100A,100B,100C,100D,100E)로 운반되고, 제2 단계에서, 적어도 하나의 부분 진공 생성기(125…125H)에 의해 이루어지는 흡입/압력차 및/또는 이송기류의 도움으로, 이전 단계에서 중간 스테이션(200,200A,200B)의 적어도 하나의 탱크 공간(201,201A,201B,202,202A,202B)으로 운반된 물질이, 분리 장치(90A,90B) 또는 제2 중간 스테이션으로 운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2개의 병렬 중간 스테이션(200A,200B)이 주운반 파이프에 배치되고, 운반될 물질은 이 중간 스테이션들의 탱크 공간(201A,201B,202A,202B) 안으로 운반되고, 이로부터 상기 물질이 적어도 하나의 분리 장치(90A,90B)로 운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2개의 연속적인 중간 스테이션(200,200(1),200(2))이 주운반 파이프에 배치되고, 물질이 중간 스테이션들의 탱크 공간 안으로 운반되고, 이로부터 물질 운반 방향을 따라 상기 물질 중 적어도 최후의 물질이 제2 단계에서 적어도 하나의 분리 장치(90A,90B)로 운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단계에서, 물질은 오직 운반 파이프 구획으로만 운반되고, 이는 물질 운반 방향으로 주입점(60)과 적어도 제1 중간 스테이션(200,200A,200B,200(1)) 사이에 있고, 동시에 물질은 제1 중간 스테이션(200,200A,200B) 및/또는 제2 중간 스테이션(200(2))으로부터 쓰레기 스테이션(300)의 분리 장치(90A,90B)까지 운반 파이프 구획(100A,100AA,100AB)로는 운반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중간 스테이션(200,200A,200B) 각각으로부터 물질은 그의 고유한 운반 파이프 구획(100A,100AA,100AB)을 따라 분리 장치(90A,90B)로 운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다수의 중간 스테이션(200A,200B)이 있을 때, 물질은 주입점(60)으로부터 중간 스테이션(200A,200B) 중 어느 하나의 탱크 공간으로 운반되고, 근본적으로 그와 동시에 중간 스테이션(200A,200B) 중 다른 하나의 탱크 공간에 미리 수거된 물질이 그 중간 스테이션(200A,200B)에서 분리 장치(90A,90B)로 운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물질이 주입점에서 중간 스테이션으로 운반될 때, 중간 스테이션으로 이어지는 다수의 병렬 파이프라인에 의해 상기 중간 스테이션 내에 부분 진공 생성기의 흡입 효과가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물질 운반 방향으로 운반 파이프 내에 다수의 중간 스테이션들이 연속적으로 배치되면, 흡입 효과를 이루어내기 위한 더 많은 병렬 파이프라인이, 물질 운반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가장 가까운 중간 스테이션(200(2))에서 그 다음 중간 스테이션(200(1))까지보다, 부분 진공 생성기에 더 가까운 중간 스테이션(200(2))으로 이어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주입점(60)의 주입 탱크(61)에서 분기 운반 파이프(63) 혹은 운반 파이프로 운반될 물질은 로터리 셰이퍼와 같은 셰이퍼 장치(shaping device)(64)에 의해 처리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중간 스테이션의 주입 탱크(202,202A,202B)에서 운반 파이프(100,100A,100AA,100AB,111A,111B)로 운반될 물질은 로터리 셰이퍼와 같은 셰이퍼 장치(210)에 의해 처리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단계에서, 부분 진공 생성기의 흡입측은 중간 스테이션의 중간 탱크(201,201A,201B), 예를 들어 그의 상부에서 작용하도록 연결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단계에서, 부분 진공 생성기의 흡입측은 다수의 병렬 파이프라인(111A,111B)을 통해, 중간 탱크(200) 혹은 중간 탱크(200(1),200(2))에서 작용하도록 연결된다. 이 경우 압력 손실 효과가 상당히 감소되고, 무엇보다도 시스템의 장거리 운반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단계에서, 부분 진공 생성기의 흡입측은 중간 탱크, 주입 탱크(202,202A,202B)에서 작용하도록, 운반 파이프 구획(100A,100AA,100AB) 방향으로부터 배출측(outlet side)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단계에서, 대체공기 덕트(206,206A,206B)에 의해, 대체공기가 중간 스테이션으로 안내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물질은 쓰레기 저장소나 쓰레기 슈트와 같은 쓰레기의 주입점인 물질 주입점(60)으로부터 주입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물질 운반 방향으로 가장 먼 주입점으로부터 제1 중간 스테이션까지 운반 파이프를 따라 측정된 거리(L1)는 수 킬로미터, 일반적으로는 대략 1∼4km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물질 운반 방향으로 중간 스테이션에서 쓰레기 스테이션의 분리 수단 혹은 쓰레기 스테이션에 가까운 제2 중간 스테이션까지의, 운반 파이프를 따라 측정한 거리(L2,L3)는 수 킬로미터, 일반적으로 대략 1∼4km이다.
또한, 본 발명의 대상은 쓰레기 운반 시스템과 같은 공압식 물질 운반 시스템으로, 상기 물질 운반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물질 주입점(60), 더욱 상세하게는 쓰레기 물질 주입점과, 주입점(60)에 연결될 수 있는 물질 운반 파이프(100)와, 운반될 물질이 이송 공기로부터 분리되는 적어도 하나의 분리 장치(90A,90B)와, 적어도 물질을 이송하는 동안 운반 파이프 내에서 압력차 및/또는 이송기류를 이루어내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압력차 및/또는 이송기류를 이루어내기 위한 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부분 진공 생성기(125A…125H)를 포함한다. 본 시스템에서 적어도 하나의 탱크 공간(201,201A,201B,202,202A,202B)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스테이션(200,200A,200B)이 운반 파이프에 배치되고, 탱크 공간은 주입점(60)과 분리 장치(90A,90B) 사이에서 운반 파이프에 연결될 수 있고, 본 시스템에서 물질은, 먼저 적어도 하나의 부분 진공 생성기(125A…125H)에 의해 운반 파이프 내에 이루어지는 흡입/압력차 및/또는 이송기류의 도움으로, 운반 파이프를 따라 주입점(60)에서 중간 스테이션(200,200A,200B)으로 운반되어, 그의 탱크 공간(201,201A,201B,202,202A,202B)으로 운반되도록 구성되고, 제2 단계에서, 중간 스테이션(200,200A,200B)으로 운반된 물질은 적어도 하나의 부분 진공 생성기(125A…125H)에 의해 운반 파이프 내에 이루어지는 흡입/압력차 및/또는 이송기류의 도움으로, 분리 장치(90A,90B) 또는 제2 중간 스테이션(200(2))으로 운반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2개의 병렬 중간 스테이션(200A,200B)이 주운반 파이프에 배치되고, 운반될 물질은 이 중간 스테이션들의 탱크 공간(201A,201B,202A,202B)으로 운반되도록 구성되고, 이로부터 상기 물질이 적어도 하나의 분리 장치(90A,90B)로 운반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2개의 연속적인 중간 스테이션(200,200(1),200(2))이 주운반 파이프에 배치되고, 물질이 중간 스테이션들의 탱크 공간 안으로 운반되고, 물질이 제2 단계에서, 운반 방향으로 적어도 가장 나중의 중간 스테이션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분리 장치(90A,90B)로 운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중간 스테이션은 중간 탱크(201,201A,201B) 및 주입 탱크, 그리고 물질을 중간 탱크(201,201A,201B)에서 주입 탱크(202,202A,202B)로 운반하도록 구성된, 스크류 컨베이어와 같은 컨베이어 장치(208)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시스템은 주입점(60)의 주입 탱크(61)로부터 운반 파이프로 인도될 물질을 처리하기 위한, 로터리 셰이퍼와 같은 셰이퍼 장치(64)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로터리 셰이퍼와 같은 셰이퍼 장치(210)는 중간 스테이션(200,200A,200B)의 탱크로부터 운반 파이프로 인도될 물질을 처리하기 위하여 중간 스테이션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시스템은 중간 스테이션(200,200A,200B)들 및 분리 장치들 사이에 다수의 적어도 부분적인 병렬 운반 파이프 구획(100A,100AA;100AB)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물질이 주입점에서 중간 스테이션으로 운반될 때, 부분 진공 생성기의 흡입 효과가, 중간 스테이션으로 이어지는 다수의 병렬 파이프라인에 의해 중간 스테이션 내에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다수의 중간 스테이션이 물질 운반 방향으로 운반 파이프에 연속적으로 배치되면, 흡입 효과를 이루어내기 위한 더 많은 병렬 파이프라인이, 물질 운반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가장 가까운 중간 스테이션(200(2))에서 그 다음 중간 스테이션(200(1))까지보다 부분 진공 생성기에 더 가까운 중간 스테이션(200(2))으로 이어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중간 스테이션(200,200A,200B)으로부터, 그의 운반 파이프 구획(100A,100AA,100AB)을 따라 분리 장치(90A,90B)로 물질이 운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중간 스테이션은 대체공기 덕트(206,206A,206B)를 포함하고, 그 안에 밸브 수단(207,207A,207B)이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중간 스테이션은 중간 통로(204,204A,204B)를 포함하고, 이는 운반 파이프에서, 중간 스테이션과 분리 장치 사이에서 중간 스테이션(200,200A,200B)의 탱크 공간(201,201A,201B), 더욱 상세하게는 중간 탱크(201,201A,201B)의 상부까지 연장되며, 그 안에 밸브 수단(205,205A,205B)이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물질 주입점(60)은 쓰레기 저장소나 쓰레기 슈트와 같은 쓰레기 주입점이다.
주입점의 배출 밸브가 개폐됨으로써, 적절한 크기의 대량 물질 부분이 주입점에서 운반 파이프로 적절히 옮겨진다. 물질은 쓰레기 저장소나 쓰레기 슈트같은 주입점에서 주입되고, 그것이 가득 차면, 자동적 혹은 수동적으로 배출 밸브가 열린다.
본 발명은 상기 기재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의 권리범위 안에서 다양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자명하다. 본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다른 특징적 구성들과 연관되어 개시될 수 있는 특징적 구성들도, 필요하다면 서로 분리되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60‥‥‥‥‥주입점
61‥‥‥‥‥주입 탱크
64‥‥‥‥‥물질 셰이퍼
65‥‥‥‥‥구동 장치
67‥‥‥‥‥필터 수단
90A,90B‥‥‥‥‥분리 수단
100‥‥‥‥‥주운반 파이프
100A,100B,100C,100D,100E‥‥‥‥‥운반 파이프 구획
100AA,100AB‥‥‥‥‥운반 파이프 구획
127A…127D‥‥‥‥‥소음감쇠장치
130‥‥‥‥‥배기 덕트
200,200A,200B‥‥‥‥‥중간 스테이션
201‥‥‥‥‥중간 탱크
202‥‥‥‥‥주입 탱크
206‥‥‥‥‥대체공기 덕트
208‥‥‥‥‥컨베이어 수단
209‥‥‥‥‥구동 장치
210‥‥‥‥‥물질 셰이퍼
300‥‥‥‥‥쓰레기 스테이션
125A…125H‥‥‥‥부분 진공 생성기

Claims (30)

  1. 쓰레기 운반 시스템과 같은 공압식 물질 운반 시스템에서의 운반 방법으로, 상기 운반 시스템은 물질, 더욱 상세하게는 쓰레기 물질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주입점(60), 주입점(60)에 연결될 수 있는 물질 운반 파이프(100)와, 운반될 물질이 이송 공기로부터 분리되는 적어도 하나의 분리 장치(90A,90B)와, 적어도 물질을 이송하는 동안 운반 파이프 내에서 압력차 및/또는 이송기류를 이루어내는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압력차 및/또는 이송기류를 이루어내는 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부분 진공 생성기(125A…125H)를 포함하며,
    상기 운반 방법은,
    제1 단계에서, 주입점(60)과 분리 장치(90A,90B) 사이에 배치된 중간 스테이션(200,200A,200B)의 적어도 하나의 탱크 공간(201,201A,201B,202,202A,202B)에서 적어도 하나의 부분 진공 생성기(125A…125H)에 의해 이루어지는 흡입/압력차 및/또는 이송기류의 도움으로, 물질이 주입점(60)에서 운반 파이프(100,100A,100B,100C,100D,100E)로 운반되고,
    제2 단계에서, 적어도 하나의 부분 진공 생성기(125…125H)에 의해 달성되는 흡입/압력차 및/또는 이송기류의 도움으로, 이전 단계에서 중간 스테이션(200,200A,200B)의 적어도 하나의 탱크 공간(201,201A,201B,202,202A,202B)으로 운반된 물질이, 분리 장치(90A,90B) 또는 제2 중간 스테이션으로 운반되는 운반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적어도 2개의 병렬 중간 스테이션(200A,200B)이 주운반 파이프에 배치되고, 운반될 물질은 이 중간 스테이션들의 탱크 공간(201A,201B,202A,202B)으로 운반되고, 이로부터 상기 물질이 적어도 하나의 분리 장치(90A,90B)로 운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적어도 2개의 연속적인 중간 스테이션(200,200(1),200(2))이 주운반 파이프에 배치되고, 물질이 중간 스테이션들의 탱크 공간 안으로 운반되고, 이로부터 물질 운반 방향을 따라 상기 물질 중 적어도 최후의 물질이 제2 단계에서 적어도 하나의 분리 장치(90A,90B)로 운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단계에서, 물질은 오직 운반 파이프 구획으로만 운반되고, 이는 물질 운반 방향으로 주입점(60)과 적어도 제1 중간 스테이션(200,200A,200B,200(1)) 사이에 있고, 동시에 물질은 제1 중간 스테이션(200,200A,200B) 및/또는 제2 중간 스테이션(200(2))으로부터 쓰레기 스테이션(300)의 분리 장치(90A,90B)까지 운반 파이프 구획(100A,100AA,100AB)로 운반되지는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 방법.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중간 스테이션(200,200A,200B) 각각으로부터 물질은 그의 고유한 운반 파이프 구획(100A,100AA,100AB)을 따라 분리 장치(90A,90B)로 운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 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다수의 중간 스테이션(200A,200B)이 있을 때, 물질은 주입점(60)으로부터 중간 스테이션(200A,200B) 중 어느 하나의 탱크 공간으로 운반되고, 근본적으로 그와 동시에 중간 스테이션(200A,200B) 중 다른 하나의 탱크 공간에 미리 수거된 물질이 그 중간 스테이션(200A,200B)에서 분리 장치(90A,90B)로 운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 방법.
  7.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물질이 주입점에서 중간 스테이션으로 운반될 때, 중간 스테이션으로 이어지는 다수의 병렬 파이프라인에 의해, 상기 중간 스테이션 내에 부분 진공 생성기의 흡입 효과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물질 운반 방향으로 운반 파이프 내에 다수의 중간 스테이션들이 연속적으로 배치되면, 흡입 효과를 이루어내기 위한 더 많은 병렬 파이프라인이, 물질 운반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가장 가까운 중간 스테이션(200(2))에서 그 다음 중간 스테이션(200(1))까지보다, 부분 진공 생성기에 더 가까운 중간 스테이션(200(2))으로 이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 방법.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주입점(60)의 주입 탱크(61)에서 분기 운반 파이프(63) 혹은 운반 파이프로 운반될 물질은 로터리 셰이퍼와 같은 셰이퍼 장치(shaping device)(64)에 의해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 방법.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간 스테이션의 주입 탱크(202,202A,202B)에서 운반 파이프(100,100A,100AA,100AB,111A,111B)로 운반될 물질은 로터리 셰이퍼와 같은 셰이퍼 장치(210)에 의해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 방법.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단계에서, 부분 진공 생성기의 흡입측은 중간 스테이션의 중간 탱크(201,201A,201B), 예를 들어 그의 상부에서 작용하도록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제1 단계에서, 부분 진공 생성기의 흡입측은 다수의 병렬 파이프라인(111A,111B)을 통해, 중간 탱크(200) 혹은 중간 탱크(200(1),200(2))에서 작용하도록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 방법.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단계에서, 부분 진공 생성기의 흡입측은 중간 탱크, 주입 탱크(202,202A,202B)에서 작용하도록, 운반 파이프 구획(100A,100AA,100AB) 방향으로부터 배출측(outlet side)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 방법.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단계에서, 대체공기 덕트(206,206A,206B)에 의해, 대체공기가 중간 스테이션으로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 방법.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물질은 쓰레기 저장소나 쓰레기 슈트와 같은 쓰레기의 주입점인 물질 주입점(60)으로부터 주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 방법.
  16. 제 1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물질 운반 방향으로 가장 먼 주입점으로부터 제1 중간 스테이션까지 운반 파이프를 따라 측정된 거리(L1)는 수 킬로미터, 일반적으로는 대략 1∼4k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 방법.
  17. 제 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물질 운반 방향으로 중간 스테이션에서 쓰레기 스테이션의 분리 수단 혹은 쓰레기 스테이션에 가까운 제2 중간 스테이션까지의, 운반 파이프를 따라 측정한 거리(L2,L3)는 수 킬로미터, 일반적으로 대략 1∼4k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 방법.
  18. 쓰레기 운반 시스템과 같은 공압식 물질 운반 시스템으로, 상기 물질 운반 시스템은 물질, 더욱 상세하게는 쓰레기 물질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주입점(60), 주입점(60)에 연결될 수 있는 물질 운반 파이프(100)와, 운반될 물질이 이송 공기로부터 분리되는 적어도 하나의 분리 장치(90A,90B)와, 적어도 물질을 이송하는 동안 운반 파이프 내에서 압력차 및/또는 이송기류를 이루어내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압력차 및/또는 이송기류를 이루어내기 위한 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부분 진공 생성기(125A…125H)를 포함하며,
    본 시스템에서, 적어도 하나의 탱크 공간(201,201A,201B,202,202A,202B)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스테이션(200,200A,200B)이 운반 파이프에 배치되고, 탱크 공간은 주입점(60)과 분리 장치(90A,90B) 사이에서 운반 파이프에 연결될 수 있고, 본 시스템에서 물질은, 먼저 적어도 하나의 부분 진공 생성기(125A…125H)에 의해 운반 파이프 내에 이루어지는 흡입/압력차 및/또는 이송기류의 도움으로, 운반 파이프를 따라 주입점(60)에서 중간 스테이션(200,200A,200B)으로 운반되어, 그의 탱크 공간(201,201A,201B,202,202A,202B)으로 운반되도록 구성되고, 제2 단계에서, 중간 스테이션(200,200A,200B)으로 운반된 물질은 적어도 하나의 부분 진공 생성기(125A…125H)에 의해 운반 파이프 내에 이루어지는 흡입/압력차 및/또는 이송기류의 도움으로, 분리 장치(90A,90B) 또는 제2 중간 스테이션(200(2))으로 운반되도록 구성된 운반 시스템.
  19. 제 18 항에 있어서,
    적어도 2개의 병렬 중간 스테이션(200A,200B)이 주운반 파이프에 배치되고, 운반될 물질은 이 중간 스테이션들의 탱크 공간(201A,201B,202A,202B)으로 운반되도록 구성되고, 이로부터 상기 물질이 적어도 하나의 분리 장치(90A,90B)로 운반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 시스템.
  20. 제 18 항 또는 제 19 항에 있어서,
    적어도 2개의 연속적인 중간 스테이션(200,200(1),200(2))이 주운반 파이프에 배치되고, 물질이 중간 스테이션들의 탱크 공간 안으로 운반되고, 물질이 제2 단계에서, 운반 방향으로 적어도 가장 나중의 중간 스테이션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분리 장치(90A,90B)로 운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 시스템.
  21. 제 18 항 내지 제 2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간 스테이션은 중간 탱크(201,201A,201B) 및 주입 탱크, 그리고 물질을 중간 탱크(201,201A,201B)에서 주입 탱크(202,202A,202B)로 운반하도록 구성된, 스크류 컨베이어와 같은 컨베이어 장치(20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 시스템.
  22. 제 18 항 내지 제 2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주입점(60)의 주입 탱크(61)로부터 운반 파이프로 인도될 물질을 처리하기 위한, 로터리 셰이퍼와 같은 셰이퍼 장치(6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 시스템.
  23. 제 18 항 내지 제 2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로터리 셰이퍼와 같은 셰이퍼 장치(210)는 중간 스테이션(200,200A,200B)의 탱크로부터 운반 파이프로 인도될 물질을 처리하기 위하여 중간 스테이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 시스템.
  24. 제 18 항 내지 제 2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중간 스테이션(200,200A,200B)들 및 분리 장치들 사이에 다수의 적어도 부분적인 병렬 운반 파이프 구획(100A,100AA;100AB)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 시스템.
  25. 제 18 항 내지 제 2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물질이 주입점에서 중간 스테이션으로 운반될 때, 부분 진공 생성기의 흡입 효과가 중간 스테이션으로 이어지는 다수의 병렬 파이프라인에 의해, 중간 스테이션 내에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 시스템.
  26. 제 25 항에 있어서,
    다수의 중간 스테이션이 물질 운반 방향으로 운반 파이프에 연속적으로 배치되면, 흡입 효과를 이루기 위한 더 많은 병렬 파이프라인이, 물질 운반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가장 가까운 중간 스테이션(200(2))에서 그 다음 중간 스테이션(200(1))까지보다 부분 진공 생성기에 더 가까운 중간 스테이션(200(2))으로 이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 시스템.
  27. 제 18 항 내지 제 2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중간 스테이션(200,200A,200B)으로부터, 그의 운반 파이프 구획(100A,100AA,100AB)을 따라 분리 장치(90A,90B)로 물질이 운반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 시스템.
  28. 제 18 항 내지 제 2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간 스테이션은 대체공기 덕트(206,206A,206B)를 포함하고, 그 안에 밸브 수단(207,207A,207B)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 시스템.
  29. 제 18 항 내지 제 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간 스테이션은 중간 통로(204,204A,204B)를 포함하고, 이는 운반 파이프에서, 중간 스테이션과 분리 장치 사이에서 중간 스테이션(200,200A,200B)의 탱크 공간(201,201A,201B), 더욱 상세하게는 중간 탱크(201,201A,201B)의 상부까지 연장되며, 그 안에 밸브 수단(205,205A,205B)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 시스템.
  30. 제 18 항 내지 제 2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물질 주입점(60)은 쓰레기 저장소나 쓰레기 슈트와 같은 쓰레기 주입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 시스템.
KR1020147018276A 2011-12-02 2012-11-22 공압식 물질 운반 시스템 및 방법 KR1020445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I20116220A FI20116220A (fi) 2011-12-02 2011-12-02 Menetelmä ja pneumaattinen materiaalinsiirtojärjestelmä
FI20116220 2011-12-02
FI20125098A FI124488B (fi) 2011-12-02 2012-01-31 Menetelmä ja laitteisto materiaalin syöttämiseksi pneumaattisessa jätteiden putkikuljetusjärjestelmässä
FI20125098 2012-01-31
FI20126192A FI20126192A (fi) 2011-12-02 2012-11-13 Menetelmä ja laitteisto materiaalin syöttämiseksi pneumaattisessa jätteiden putkikuljetusjärjestelmässä
FI20126192 2012-11-13
FI20126201A FI20126201L (fi) 2011-12-02 2012-11-15 Menetelmä ja pneumaattinen materiaalinsiirtojärjestelmä
FI20126201 2012-11-15
PCT/FI2012/051155 WO2013079784A1 (en) 2011-12-02 2012-11-22 Method and pneumatic material conveying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5804A true KR20140105804A (ko) 2014-09-02
KR102044569B1 KR102044569B1 (ko) 2019-11-13

Family

ID=514294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8276A KR102044569B1 (ko) 2011-12-02 2012-11-22 공압식 물질 운반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2785617A4 (ko)
KR (1) KR102044569B1 (ko)
CN (1) CN104066660B (ko)
WO (1) WO201307978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3710A (ko) * 2020-07-02 2022-01-11 신영구 소금 채취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5962B1 (ko) * 2013-09-06 2014-10-31 지기현 공동주택의 음식물쓰레기집중처리장치
FI129115B (fi) * 2020-01-14 2021-07-15 Maricap Oy Menetelmä materiaalin siirtämiseksi pneumaattisessa materiaalin siirtojärjestelmässä ja pneumaattinen materiaalinsiirtojärjestelmä
CN111547427A (zh) * 2020-04-20 2020-08-18 广州普慧环保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闭环式垃圾收集系统及其控制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86276A (en) * 1976-01-13 1977-07-18 Nippon Esu Efu Kk System and apparatus for transporting trash with air
JPH03284503A (ja) * 1990-03-30 1991-12-16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ごみ空気輸送システム
JPH0826410A (ja) * 1994-07-12 1996-01-30 Shin Meiwa Ind Co Ltd ゴミ吸引輸送装置
WO2011098666A1 (en) * 2010-02-12 2011-08-18 Maricap Oy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material in a pneumatic pipe transport system
WO2011110740A2 (en) * 2010-03-12 2011-09-15 Maricap Oy Method and apparatus in a pneumatic material conveying system, and a waste conveying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42279Y2 (ko) * 1977-10-22 1981-10-02
DE2821372C2 (de) * 1978-05-16 1986-02-27 Andreas Von Dipl.-Rer.Pol. Bennigsen-Mackiewicz Vorrichtung zur Abgabe abgemessener Mengen feinkörnigen Schüttgutes
JP3090535B2 (ja) * 1992-04-09 2000-09-25 キモト テック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スクリーン印刷用メッシュの製造方法
US8408376B2 (en) 2009-07-13 2013-04-02 Clark Equipment Company Drive uncouple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86276A (en) * 1976-01-13 1977-07-18 Nippon Esu Efu Kk System and apparatus for transporting trash with air
JPH03284503A (ja) * 1990-03-30 1991-12-16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ごみ空気輸送システム
JPH0826410A (ja) * 1994-07-12 1996-01-30 Shin Meiwa Ind Co Ltd ゴミ吸引輸送装置
WO2011098666A1 (en) * 2010-02-12 2011-08-18 Maricap Oy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material in a pneumatic pipe transport system
WO2011110740A2 (en) * 2010-03-12 2011-09-15 Maricap Oy Method and apparatus in a pneumatic material conveying system, and a waste conveying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3710A (ko) * 2020-07-02 2022-01-11 신영구 소금 채취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785617A4 (en) 2015-07-22
CN104066660A (zh) 2014-09-24
KR102044569B1 (ko) 2019-11-13
CN104066660B (zh) 2017-03-29
EP2785617A1 (en) 2014-10-08
WO2013079784A1 (en) 2013-06-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0111B1 (ko) 공압식 물질반송시스템에서의 방법 및 공압식 물질반송시스템
KR101931830B1 (ko) 공압식 물질 이송 방법 및 시스템
FI122103B (fi) Menetelmä ja laitteisto pneumaattisessa materiaalinsiirtojärjestelmässä ja jätteensiirtojärjestelmä
AU2008339863B2 (en) Method and apparatus in pneumatic material conveying system
US20100303559A1 (en) Method in pneumatic material conveying system and a pneumatic material conveying system
CN105431362B (zh) 用于进给和搬运废弃物料的方法和设备
CN105408228B (zh) 用于进给和搬运废弃物料的方法和设备
KR102044569B1 (ko) 공압식 물질 운반 시스템 및 방법
US11939174B2 (en) Method for conveying material in a pneumatic material conveying system, and pneumatic material conveying system
US20120201614A1 (en) Method and apparatus in a pneumatic materials moving system
RU2820274C1 (ru) Способ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материала в пневматической системе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материала и пневматическая система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материал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