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3964A - 연료 분사 장치용 디커플링 부재 - Google Patents

연료 분사 장치용 디커플링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3964A
KR20140103964A KR1020147016800A KR20147016800A KR20140103964A KR 20140103964 A KR20140103964 A KR 20140103964A KR 1020147016800 A KR1020147016800 A KR 1020147016800A KR 20147016800 A KR20147016800 A KR 20147016800A KR 20140103964 A KR20140103964 A KR 201401039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injection
injection valve
decoupling
spring ring
fu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168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옌스 폴만
미하엘 피셔
마르틴 뷔너
슈테판 뵈르츠
토마스 게르슈비츠
안드레아스 글라저
마르쿠스 프리드리히
마르틴 셰펠
안투안 호앙
Original Assignee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401039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39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61/00Fuel-injecto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 F02M57/00 or F02M67/00
    • F02M61/14Arrangements of injectors with respect to engines; Mounting of inj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200/00Details of fuel-injection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M2200/09Fuel-injection apparatus having means for reducing noi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200/00Details of fuel-injection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M2200/26Fuel-injection apparatus with elastically deformable elements other than coil sp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200/00Details of fuel-injection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M2200/85Mounting of fuel injection apparatus
    • F02M2200/858Mounting of fuel injection apparatus sealing arrangements between injector and engi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uel-Injection Apparatus (AREA)
  • Cylinder Crankcase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연료 분사 장치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디커플링 부재는 특히, 저소음 구조가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연료 분사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연료 분사 밸브(1), 연료 분사 밸브(1)를 위한 실린더 헤드(9) 내의 수용 보어(20), 및 연료 분사 밸브(1)의 밸브 하우징(22)과 수용 보어(20)의 벽 사이의 디커플링 부재를 포함한다. 디커플링 부재는 스프링 링(30)과 원추형 와셔(31)로 구성된 디커플링 시스템으로서 형성된다. 연료 분사 장치는 특히 혼합물 압축형 외부 점화식 내연기관의 연소실 내로 연료를 직접 분사하는데 적합하다.

Description

연료 분사 장치용 디커플링 부재{DECOUPLING ELEMENT FOR A FUEL INJECTION DEVICE}
본 발명은 독립 청구항의 전제부에 따른 연료 분사 장치용 디커플링 부재에 관한 것이다.
도 1에 예시적으로 선행기술에 공개된 연료 분사 장치가 도시되고, 상기 연료 분사 장치에서 내연기관의 실린더 헤드의 수용 보어 내에 장착된 연료 분사 밸브에 편평한 중간 부재가 제공된다. 공개된 방식으로 트러스트 와셔 형태의 지지 부재로서 이러한 중간 부재는 실린더 헤드의 수용 보어의 숄더 상에 배치된다. 이러한 중간 부재에 의해 제조 및 조립 공차가 보상되고, 연료 분사 밸브의 약간의 틸팅 시에도 횡력이 작용하지 않는 베어링이 보장된다. 연료 분사 장치는 특히 혼합물 압축형 외부 점화식 내연기관의 연료 분사 장치에서 사용에 적합하다.
연료 분사 장치를 위한 다른 방식의 간단한 중간 부재는 DE 101 08 466 A1호에 공개되어 있다. 중간 부재는 원형 횡단면을 갖는 트러스트 와셔이고, 상기 트러스트 와셔는 연료 분사 밸브 및 실린더 헤드 내의 수용 보어의 벽이 원뿔대 형태로 연장되는 영역에 배치되고 연료 분사 밸브의 지지를 위한 보상 부재로서 사용된다.
연료 분사 장치를 위한 더 복잡하고 제조 공정이 훨씬 더 까다로운 중간 부재들은 특히 DE 100 27 662 A1호, DE 100 38 763 A1호 및 EP 1 223 337 A1호에 공개되어 있다. 이러한 중간 부재들은, 모두 다수의 부분으로 또는 다층으로 구성되고, 부분적으로 밀봉- 및 댐핑 기능을 수행해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 100 27 662 A1호에 공개된 중간 부재는 베이스 및 캐리어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에 연료 분사 밸브의 노즐 바디에 의해 관통되는 밀봉 수단이 삽입된다. DE 100 38 763 A1호에는 다층 보상 부재가 공개되어 있고, 상기 보상 부재는 2개의 강성 링과 그 사이에 샌드위치 형태로 배치된 탄성 중간 링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보상 부재는 비교적 큰 각도 범위에 걸쳐 수용 보어의 축에 대한 연료 분사 밸브의 틸팅 및 수용 보어의 중심축으로부터 연료 분사 밸브의 방사방향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마찬가지로 다층 중간 부재가 EP 1 223 337 A1호에 공개되어 있고, 이 경우 상기 중간 부재는 다수의 트러스트 와셔로 구성되고, 상기 트러스트 와셔들은 댐핑 물질로 이루어진다. 댐핑 물질은 금속, 고무 또는 PTFE이고, 연료 분사 밸브의 작동에 의해 발생된 진동 및 소음의 댐핑이 가능하도록 선택되고 설계된다. 그러나 소정의 댐핑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중간 부재는 4개 내지 6개의 층을 포함해야 한다.
또한, 소음 방출을 줄이기 위해 US 6,009,856 A호는, 연료 분사 밸브를 슬리브로 둘러싸고, 형성되는 간극을 소음을 댐핑하는 탄성 물질로 채우는 것을 제안한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의 소음 댐핑은 매우 복잡하고, 장착이 어려우며 비용이 많이 든다.
본 발명의 과제는 중간 부재에 의해 개선된 소음 댐핑이 달성되는, 연료 분사 장치용 디커플링 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는 청구항 제 1 항의 특징을 포함하는 연료 분사 장치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디커플링 부재에 의해 해결된다.
청구항 제 1 항의 특징을 포함하는 연료 분사 장치를 위한 발명에 따른 디커플링 부재는, 매우 간단한 구조로 개선된 소음 댐핑이 달성되는 장점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라 디커플링 부재는 비선형의, 점진적 스프링 특성곡선을 갖고, 상기 특성곡선에 의해 연료 직접 분사를 위한 인젝터를 구비한 연료 분사 장치에서 디커플링 부재의 장착 시 다수의 긍정적이고 바람직한 양상들이 제공된다. 공회전 점에서 디커플링 부재의 낮은 강성으로 인해, 실린더 헤드로부터 연료 분사 밸브의 효과적인 디커플링이 가능해지고, 이로 인해 소음 임계적인 공회전 작동 시 실린더 헤드로부터 방출되는 소음이 현저히 감소한다. 공칭 시스템 압력에서 높은 강성은 차량 작동 중에 연료 분사 밸브가 전체적으로 약간 이동되게 하고, 이로 인해 한편으로는 연소실 밀봉부로서 및 연료 레일에 대한 밀봉부로서 사용되는 밀봉 링의 지지력을 보장하며, 다른 한편으로는 연소실 내에서 연료 분무의 안정적인 분사점을 보장하고, 이는 몇몇 연소 프로세스들의 안정성에 중요하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디커플링 부재의 스프링 특성곡선은 특히 스프링 링의 형상 파라미터의 조정에 의해 의도적으로 점진적으로 설계될 수 있다. 디커플링 부재는 낮은 전체 높이를 특징으로 하고, 이로써 디스크 스프링처럼 작은 조립 공간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디커플링 부재는 높은 온도에서도 높은 내구성을 갖는다. 디커플링 부재를 위한 2개의 부품, 즉 스프링 링과 원추형 와셔는 제조 기술적으로 매우 간단하게 제조될 수 있다.
비선형 스프링 특성곡선은 스프링 링의 형상에 의해 관련 용도에 맞게 특이적으로 조정될 수 있다. 강성은 원추형 와셔의 원추각의 변경에 의해 변동될 수 있고, 이로써 스프링 링에 대한 접촉면이 변경될 수 있다.
종속 청구항에 제시된 조치에 의해 청구항 제 1 항에 제시된 연료 분사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및 개선이 가능하다.
특히 바람직하게, 원추형 와셔는 2개의 더 긴 경계면과 4개의 더 짧은 경계면이 제공되도록 육각형 횡단면을 가질 수 있다. 한편으로 스프링 링은 원추형 와셔의 2개의 더 긴 경계면들 중 하나의 경계면에 지지될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 원추형 와셔는 4개의 더 짧은 경계면들 중 하나로 실린더 헤드 내의 연료 분사 밸브용 수용 보어의 숄더 상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면에 간단히 도시되고,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와셔 형태의 중간 부재를 포함하는 공개된 실시예에서 부분적으로 도시된 연료 분사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일반적인 스프링-질량-댐퍼-시스템을 나타내는, 연료 직접 분사 시 실린더 헤드 내에서 연료 분사 밸브의 지지를 기계적인 등가 회로도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공진 주파수(fR)의 범위와 디커플링 주파수(fE) 이상의 격리 범위에서 주파수가 낮은 경우에 이득을 갖는, 도 2에 도시된 스프링-질량-댐퍼-시스템의 전달 특성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공회전 작동 시 낮은 강성(SNVH)과 공칭 시스템 압력(FSys)에서 높은 강성을 갖는, 작동점에 따라서 상이한 강성의 구현을 위한 비선형의, 점진적 스프링 특성곡선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와셔 형태의 중간 부재의 영역에서, 연료 분사 밸브 상에 장착 상황에서 본 발명에 따른 디커플링 부재의 횡단면도.
도 6 내지 도 9는 스프링 링의 대안적 실시예의 횡단면도.
본 발명의 이해를 위해 하기에서 도 1을 참고로 연료 분사 장치의 공개된 실시예가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에는 실시예로서 혼합물 압축형 외부 점화식 내연기관의 연료 분사 시스템의 분사 밸브(1) 형태의 밸브의 측면도가 도시된다. 연료 분사 밸브(1)는 연료 분사 장치의 부분이다. 내연기관의 연소실(25) 내로 연료를 직접 분사하기 위한 직접 분사식 분사 밸브 형태로 구현된 연료 분사 밸브(1)의 하류측 단부는 실린더 헤드(9)의 수용 보어(20) 내에 장착된다. 특히 Teflon®으로 이루어진 밀봉 링(2)은 실린더 헤드(9)의 수용 보어(20)의 벽에 대해 연료 분사 밸브(1)의 최적의 밀봉을 제공한다.
밸브 하우징(22)의 칼라(21)와 예를 들어 수용 보어(20)의 길이방향 연장부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되는 수용 보어(20)의 숄더(23) 사이에 편평한 중간 부재(24)가 삽입되고, 상기 중간 부재는 트러스트 와셔 형태의 지지 부재로서 구현된다. 이러한 중간 부재(24)에 의해 제조 및 조립 공차가 보상되고, 연료 분사 밸브(1)의 약간 틸팅 시에도 횡력이 작용하지 않는 베어링이 보장된다.
연료 분사 밸브(1)는 유입측 단부(3)에 연료 분배 라인(4; 연료 레일)에 대한 플러그 인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단면도로 도시된, 연료 분배 라인(4)의 접속관(6)과 연료 분사 밸브(1)의 유입관(7) 사이의 밀봉 링(5)에 의해 밀봉된다. 연료 분사 밸브(1)는 연료 분배 라인(4)의 접속관(6)의 수용 개구(12)에 삽입된다. 이 경우 접속관(6)은 예를 들어 일체형으로 실제 연료 분배 라인(4)으로부터 형성되고, 수용 개구(12)의 상류에 더 작은 직경의 유동 개구(15)를 포함하고, 상기 개구를 통해 연료 분사 밸브(1)의 유동이 이루어진다. 연료 분사 밸브(1)는 연료 분사 밸브(1)의 작동을 위한 전기 접촉용 전기 접속 플러그(8)를 포함한다.
연료 분사 밸브(1)와 연료 분배 라인(4)을 가능한 방사방향 힘 작용 없이 서로 이격시키고, 연료 분사 밸브(1)를 실린더 헤드의 수용 보어에서 확실하게 고정하기 위해, 홀드다운 클램프(10)가 연료 분사 밸브(1)와 접속관(6) 사이에 제공된다. 홀드다운 클램프(10)는 브래킷 형태의 부품으로서, 예컨대 스탬핑 벤딩 부품으로서 구현된다. 홀드다운 클램프(10)는 부분링 형태의 베이스 부재(11)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부재로부터 휘어져서 홀드다운 브래킷(13)이 연장되고, 상기 브래킷은 장착된 상태에서 연료 분배 라인(4) 상의 접속관(6)의 하류측 단부면(14)에 접촉한다.
본 발명의 과제는, 공개된 중간 부재의 해결책에 비해 간단하게, 특히 소음 임계적 공회전 작동 시 중간 부재(24)의 의도적인 설계 및 형상에 의해 개선된 소음 댐핑을 달성하는 것이다. 직접 고압 분사 시 연료 분사 밸브(1)의 주요 소음원은 밸브 작동 중에 실린더 헤드(9) 내로 도입되는 힘(구조 전달 음)이고, 상기 힘은 실린더 헤드(9)의 구조적 자극을 야기하고, 상기 실린더 헤드로부터 공기 전달 음으로서 방출된다. 소음 개선을 달성하기 위해, 실린더 헤드(9) 내로 도입되는 힘의 최소화가 바람직하다. 이는 분사에 의해 야기된 힘의 감소 외에 연료 분사 밸브(1)와 실린더 헤드(9) 사이의 전달 특성의 조절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기계적 의미에서 실린더 헤드(9)의 수용 보어(20) 내의 패시브형 중간 부재(24) 상에서 연료 분사 밸브(1)의 베어링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스프링-질량-댐퍼-시스템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실린더 헤드(9)의 질량(M)은 연료 분사 밸브(1)의 질량(m)에 비해 제 1 근사에서 무한대으로 가정될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의 전달 특성은 공진 주파수(fR)의 범위와 디커플링 주파수(fE) 이상의 격리 범위에서 주파수가 낮은 경우에 이득을 특징으로 한다(도 3 참조).
본 발명의 목적은 특히 차량의 공회전 작동 시 소음 감소를 위해 탄성적 격리(디커플링)를 우선적으로 이용하여 중간 부재(24)를 설계하는 것이다. 이 경우 본 발명은 한편으로는 가변 작동 압력으로 연료 직접 분사 시 일반적인 요구와 경계 조건을 고려한 적합한 스프링 특성곡선의 규정과 설계를 포함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이렇게 규정된 스프링 특성곡선의 특성을 나타낼 수 있고 간단한 형상 파라미터의 선택에 의해 분사 시스템의 특이적 경계 조건에 맞게 조정될 수 있는 중간 부재(24)의 설계를 포함한다.
스프링 링(30)과 원추형 와셔(31)로 형성된 본 발명에 따른 디커플링 시스템의 낮은 스프링 강성(c)을 이용한 실린더 헤드(9)로부터 연료 분사 밸브(1)의 디커플링은 작은 조립 공간 외에 엔진 작동 중에 연료 분사 밸브(1)의 허용된 최대 이동의 제한에 의해 어려워진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에서 일반적으로 하기의 준-정적 부하 상태들이 나타난다:
1. 장착 후에 홀드다운 클램프(10)에 의해 제공된 정적 지지력(FNH),
2. 공회전-작동 압력에서 주어지는 힘(FL) 및
3. 공칭 시스템 압력에서 주어지는 힘(FSys).
중간 부재(24)로서 일반적인 지지 부재들은 전술한 힘 범위에서 선형 스프링 특성곡선을 갖는다. 이로 인해, 공회전 작동 시 바람직한 디커플링점에서 중간 부재(24)의 강성은 연료 분사 밸브(1)의 상기 규정된 최대 허용 이동에 맞게 설정되어야 하고, 효과적인 디커플링을 위해서는 너무 크다. 공칭 작동 압력은 앞으로 더 상승할 것이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는 더 심각해진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라 디커플링 시스템(30, 31; 도 5)에 대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진적 경로를 갖는 비선형 스프링 특성곡선이 제안된다. 상기 스프링 특성곡선의 특성은 공회전 작동 시 낮은 스프링 강성(SNVH)에 의한 소음 디커플링을 가능하게 하고, 신속하게 증가하는 강성에 의해 공회전 압력과 시스템 압력 사이에서 연료 분사 밸브(1)의 최대 이동의 유지를 가능하게 한다.
연료 직접 분사의 일반적인 경계 조건에서(작은 조립 공간, 큰 힘, 연료 분사 밸브(1)의 경미한 전체 이동) 비선형 스프링 특성곡선을 간단하고 저렴하게 구현할 수 있기 위해, 디커플링 시스템은 본 발명에 따라 스프링 링(30)과 원추형 와셔(31)로 구성되고, 이 경우 특히 스프링 링(30)은 특히 구조적인 설계로 인해 확실히 점진적 스프링 특성곡선을 형성한다. 이로써 기본적으로 선형 또는 체감적 특성곡선 경로만을 포함하는 종래의 디스크 스프링들과 확실히 다르다. 종래의 디스크 스프링에서, 상기 스프링이 거의 완전히 "블록"으로 하중을 받는 경우에야, 점진적 경로가 달성된다.
도 5에는 도 1에 도시된 와셔 형태의 중간 부재(24)의 영역에서 연료 분사 밸브(1) 상에 장착 상황에서 본 발명에 따른 디커플링 시스템의 횡단면도가 도시되고, 이 경우 중간 부재(24)는 스프링 링(30)과 원추형 와셔(31)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유닛으로 대체된다. 스프링 링(30)에서 기초가 되는, 비선형의, 점진적 스프링 특성곡선을 갖는 매카니즘은 스프링 링(30)에서 의도적으로 형성된 링 형태에 의해 의도적으로 야기된다. 스프링 링(30)의 점진성은 더 적은 형상 파라미터의 조정에 의해 간단히 설계될 수 있다. 스프링 링(30)의 윤곽은, 외부의 평평한 수직 외부면으로부터 라운드되어 만곡된 볼록한 내부 윤곽이 이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한 경우에 스프링 링(30)은 라운드된 경계부가 내측으로 향하는 반원과 유사한 횡단면을 갖는다. 스프링 링(30)의 횡단면은 삼각형에 가깝게 형성될 수도 있고, 이 경우에도 반경을 갖는 섹션이 제공되어야 하거나 또는 원형으로 형성되어야 한다. 스프링 링(30)은 적어도 구형의 링 부분을 포함하는, 내측면에 형성된 윤곽 설정에 의해 디커플링 시스템의 장착 상태에서 원추형으로 연장되는 밸브 하우징면(21)에 상응한다. 스프링 링(30)의 디자인은, 바람직하게 연료 분사 밸브(1)의 밸브 하우징(22)에 대한 스프링 링(30)의 3-점-접촉만이 이루어지도록 선택된다. 3개의 접촉점들은 예를 들어 약 135°- 90°- 135°의 원주 간격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지만, 균일하게 분포될 수도 있다. 디커플링 시스템의 설계에 소정의 방식으로 솔리드 조인트가 통합되고, 상기 조인트는 구조적인 여분 치수 설계를 방지하기 위한 공차 보상을 가능하게 한다.
디커플링 시스템은 스프링 링(30) 외에 원추형 와셔(31)에 의해 보완된다. 원추형 와셔(31)는 육각형 횡단면을 갖고, 이 경우 육각형 횡단면은 벌집 모양으로 균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길게 연장되므로, 횡단면으로 볼 때 원추형 와셔(31)의 2개의 더 긴 경계면과 4개의 더 짧은 경계면이 주어지고, 상기 경계면은 전체적으로 완전히 둘러싼다. 스프링 링(30)은 밸브 하우징면(21)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측면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라운드되어 만곡된 볼록한 내부 윤곽에 의해 원추형 와셔(31)의 2개의 더 긴 경계면들 중 하나의 경계면에 지지되는 한편, 원추형 와셔(31)는 4개의 더 짧은 경계면들 중 하나의 경계면에 의해 수용 보어(20) 상에 배치된다. 실린더 헤드(9)의 수용 보어(20)는 이러한 경우에 숄더(23)를 포함하고, 상기 숄더는 수용 보어(20)의 전체 연장부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된다. 원추형 와셔(3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추형 테이퍼링부에 의해 위로 삽입될 수 있고, 원추형 테이퍼링부에 의해 아래로 원추형 와셔(31)의 장착이 고려될 수도 있다.
육각형 횡단면 대신에 원추형 와셔(31)는 물론 예를 들어 삼각형 또는 오각형 횡단면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도 6 내지 도 9에는 스프링 링(30)의 대안적 실시예의 4개의 상이한 횡단면도들이 도시된다. 따라서 스프링 링(30)의 횡단면은 예를 들어 추가의 상부 또는 하부 편평부(도 6)를 갖는 삼각형으로, 구형으로 만곡된 외부 표면(도 7)을 갖는 삼각형으로, 삼각형으로(도 8) 또는 마름모 형태의 사각형(도 9)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9에는, 전술한 작은 면적의 접촉점을 형성하기 위해, 접촉면으로 작용하는 가능한 평평한 경계면을 갖는 스프링 링(30)의 설계 시 연료 분사 밸브(1)의 밸브 하우징(20) 및 원추형 와셔(31)의 상응하는 외부 윤곽은 구형으로 만곡되어 또는 라운드 되어 형성되는 것이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커플링 시스템의 비선형의 점진적 스프링 특성곡선은 디커플링 시스템의 부하 증가 시 자유 호 길이를 줄임으로써 레버 암의 단축에 의해 구현된다. 더 작은 레버 암은 이 경우 디커플링 시스템의 더 높은 강성을 제공한다. 레버 암 단축은 관련된 2개의 접촉 파트너에, 즉 밸브 하우징(22)의 밸브 하우징면(21)과 원추형 와셔(31)에 스프링 링(30)을 밀착시킴으로써 달성된다. 비선형 스프링 특성곡선은 스프링 링(30)의 형상에 의해 관련 용도에 맞게 특이적으로 조정될 수 있다. 강성은 경우에 따라서 원추형 와셔(31)의 원추각의 변경에 의해서도 변동될 수 있고, 이로써 스프링 링(30)에 대한 접촉면이 변경될 수 있다.
1 연료 분사 밸브
4 연료 분배 라인
9 실린더 헤드
20 수용 보어
22 밸브 하우징
23 숄더
24 중간 부재
30 스프링 링
31 원추형 와셔

Claims (11)

  1. 특히 연소실 내로 연료를 직접 분사하기 위한 내연기관의 연료 분사 시스템의 연료 분사 장치용 디커플링 부재로서, 상기 연료 분사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연료 분사 밸브(1)와 상기 연료 분사 밸브(1)용 수용 보어(20)를 포함하고, 상기 디커플링 부재는 상기 연료 분사 밸브(1)의 밸브 하우징(22)과 상기 수용 보어(20)의 벽 사이에 삽입되는, 디커플링 부재에 있어서,
    상기 디커플링 부재는 스프링 링(30)과 원추형 와셔(31)로 이루어진 디커플링 시스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커플링 부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링(30)은 상기 연료 분사 밸브(1)를 향해 장착될 수 있고, 상기 원추형 와셔(31)는 상기 수용 보어(20)를 향해 장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커플링 부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링(30)은 평평하고 수직인 외부 표면으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라운드되어 만곡된 볼록한 내부 윤곽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커플링 부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링(30)은 원 또는 반원과 유사한 횡단면 또는 반경을 갖는 삼각형과 유사한 횡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커플링 부재.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링(30)은 평평한 접촉면을 가진 삼각형 또는 사각형과 유사한 횡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커플링 부재.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링(30)은, 연료 분사 밸브 및/또는 상기 원추형 와셔(31)에서 상기 스프링 링(30)의 3-점-접촉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커플링 부재.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원추형 와셔(31)는 육각형 횡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커플링 부재.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원추형 와셔(31)는 횡단면으로 볼 때 2개의 더 긴 경계면과 4개의 더 짧은 경계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커플링 부재.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원추형 와셔(31)는 원추형 테이퍼링부에 의해 위로 또는 아래로 삽입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커플링 부재.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링(30)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라운드되어 만곡된 볼록한 내부 윤곽에 의해 상기 원추형 와셔(31)의 2개의 더 긴 경계면들 중 하나의 경계면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커플링 부재.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분사 밸브(1)를 위한 상기 수용 보어(20)는 실린더 헤드(9) 내에 형성되고, 상기 수용 보어(20)는 숄더(23)를 포함하고, 상기 숄더는 상기 수용 보어(20)의 연장부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되고, 상기 숄더 상에 상기 원추형 와셔(31)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커플링 부재.
KR1020147016800A 2011-12-20 2012-11-09 연료 분사 장치용 디커플링 부재 KR2014010396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1089274A DE102011089274A1 (de) 2011-12-20 2011-12-20 Entkopplungselement für eine Brennstoffeinspritzvorrichtung
DE102011089274.5 2011-12-20
PCT/EP2012/072317 WO2013091998A1 (de) 2011-12-20 2012-11-09 Entkopplungselement für eine brennstoffeinspritzvorrichtu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3964A true KR20140103964A (ko) 2014-08-27

Family

ID=47222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6800A KR20140103964A (ko) 2011-12-20 2012-11-09 연료 분사 장치용 디커플링 부재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9938947B2 (ko)
EP (1) EP2795097A1 (ko)
JP (2) JP2015500948A (ko)
KR (1) KR20140103964A (ko)
CN (1) CN104024625B (ko)
BR (1) BR112014006407A2 (ko)
DE (1) DE102011089274A1 (ko)
IN (1) IN2014CN04430A (ko)
WO (1) WO201309199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60316B2 (ja) * 2014-02-05 2018-01-17 株式会社デンソー 燃料噴射弁
DE102015217500A1 (de) * 2015-09-14 2017-03-16 Robert Bosch Gmbh Entkopplungselement für eine Brennstoffeinspritzvorrichtung
DE102016225957A1 (de) * 2016-12-22 2018-06-28 Robert Bosch Gmbh Injektor mit verbesserter Sicherung
DE102017218002A1 (de) * 2017-10-10 2019-04-11 Robert Bosch Gmbh Entkopplungselement für eine Brennstoffeinspritzvorrichtung
DE102017218007A1 (de) * 2017-10-10 2019-04-11 Robert Bosch Gmbh Entkopplungselement für eine Brennstoffeinspritzvorrichtung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14182A (en) * 1962-02-27 1965-10-26 Henry J Herbruggen Packing ring
US6009856A (en) 1998-05-27 2000-01-04 Caterpillar Inc. Fuel injector isolation
US6325049B1 (en) * 1999-06-23 2001-12-04 Siemens Automotive Corporation Fuel injector with orientation feature for orienting injector with respect to the manifold or head
DE10027662A1 (de) 2000-06-03 2001-12-06 Bosch Gmbh Robert Dichtmittel und Niederhalter für ein Brennstoffeinspritzventil
DE10038763A1 (de) 2000-08-09 2002-02-21 Bosch Gmbh Robert Ausgleichselement für ein Brennstoffeinspritzventil
DE50110145D1 (de) 2001-01-12 2006-07-27 Ford Global Tech Inc Geraeuschreduzierende Anordnung von Unterlegscheiben unter einer Einspritzduese
DE10108466A1 (de) 2001-02-22 2002-09-05 Bosch Gmbh Robert Ausgleichselement für ein Brennstoffeinspritzventil
DE102005053112A1 (de) * 2005-11-08 2007-05-10 Robert Bosch Gmbh Kraftstoffeinspritzventil mit Sicherung für ein Ventil-Brennraum-Dichtelement
DE102005057313A1 (de) * 2005-12-01 2007-06-14 Daimlerchrysler Ag Brennkraftmaschine mit einem Einspritzsystem
US7293550B2 (en) * 2006-01-31 2007-11-13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Fuel injector isolation seat
JP2008202503A (ja) * 2007-02-20 2008-09-04 Toyota Industries Corp 燃料インジェクタ用ガスケット
DE102007035714A1 (de) 2007-07-30 2009-02-05 Robert Bosch Gmbh Brennstoff-Einspritzanlage mit Ausgleichselement
DE102008002654A1 (de) * 2008-06-26 2009-12-31 Robert Bosch Gmbh Entkoppelungselement für eine Brennstoffeinspritzvorrichtung
DE102008054591A1 (de) * 2008-12-12 2010-06-17 Robert Bosch Gmbh Entkopplungselement für eine Brennstoffeinspritzvorrichtung
US7827964B2 (en) * 2009-01-14 2010-11-09 Ford Global Technologies Fuel injection system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with injector isolator
KR101637394B1 (ko) * 2009-01-16 2016-07-07 일리노이즈 툴 워크스 인코포레이티드 연료 분사 장치에 사용하기 위한 이중상 스프링 조립체
KR20120028942A (ko) * 2009-06-29 2012-03-23 일리노이즈 툴 워크스 인코포레이티드 2상 스프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7015092A (ja) 2017-01-19
CN104024625A (zh) 2014-09-03
US9938947B2 (en) 2018-04-10
WO2013091998A1 (de) 2013-06-27
EP2795097A1 (de) 2014-10-29
CN104024625B (zh) 2017-10-13
US20150316014A1 (en) 2015-11-05
BR112014006407A2 (pt) 2017-04-04
JP2015500948A (ja) 2015-01-08
DE102011089274A1 (de) 2013-06-20
IN2014CN04430A (ko) 2015-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53725B2 (ja) 燃料噴射装置
US9347411B2 (en) Decoupling element for a fuel injection device
KR101597511B1 (ko) 연료 분사 장치용 디커플링 부재
US9057349B2 (en) Decoupling element for a fuel injection device
US10174734B2 (en) Fuel-injection system having a fuel-conducting component, a fuel injector and a suspension mount
KR20140103964A (ko) 연료 분사 장치용 디커플링 부재
US10641224B2 (en) Decoupling element for a fuel-injection device
EP2379872A1 (en) Dual-phase spring assembly for use with fuel injector system
KR102071856B1 (ko) 특히 연료 분사 장치용 다편 절연 부재
US20190107092A1 (en) Decoupling element for a fuel injection device
US11047354B2 (en) Decoupling element for a fuel injection device
US20190107093A1 (en) Decoupling element for a fuel injection device
CN106640463B (zh) 燃料喷射装置的脱耦元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