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3651A - 유용성 효능 성분을 포함하는 화장료 캡슐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유용성 효능 성분을 포함하는 화장료 캡슐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3651A
KR20140103651A KR1020130017316A KR20130017316A KR20140103651A KR 20140103651 A KR20140103651 A KR 20140103651A KR 1020130017316 A KR1020130017316 A KR 1020130017316A KR 20130017316 A KR20130017316 A KR 20130017316A KR 20140103651 A KR20140103651 A KR 201401036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cosmetic
oil
capsule
cosmetic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73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84836B1 (ko
Inventor
인소현
한종섭
조환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201300173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4836B1/ko
Publication of KR201401036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36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48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48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11Encapsulated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61K36/484Glycyrrhiza (licor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61K8/671Vitamin A; Derivatives thereof, e.g. ester of vitamin A acid, ester of retinol, retinol, retin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8Sphingolipids, e.g. ceramides, cerebrosides, ganglios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23V2250/2116Flavonoids, isoflavones
    • A23V2250/21172Soy Isoflavones, daidzein, geniste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23V2250/213Lycope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Biophys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용성 효능 성분을 포함하는 화장료 캡슐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미백 기능성 효능 성분을 함유하는 캡슐을 화장료 가용화 제형에 첨가함으로써, 가용화 제형의 투명도를 떨어뜨리지 않고, 외관적 차별성을 부여하며, 캡슐 제조 시 고온 가열 공정을 거치지 않아 유용성 효능 성분의 안정성이 확보될 수 있다.

Description

유용성 효능 성분을 포함하는 화장료 캡슐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apsule with oil-soluble effective ingredients and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the capsule}
본 발명은 화장품 분야에서 유용성 효능 성분을 다량 함유하면서도 가용화 제형의 투명도를 유지하고, 안정성이 확보된 화장료 캡슐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백출 오일, 메이스리그난, 아스코빌 테트라이소팔미테이트 등의 미백 관련 유용성 효능 성분들은 열이나 빛, 산소, 물 등에 의해 불안정화되기 쉬우며 이렇게 변성이 일어난 성분들은 피부에 자극을 유발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성분들은 유용성이기 때문에 극소량의 실리콘오일 또는 오일, 향을 제외한 유상 원료를 사용함에 있어 제한이 있었던 가용화 제형에의 적용 시 제형의 투명도를 떨어트리고 제형의 안정성을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화장품 분야는 제품의 효과뿐만이 아니라 외관적 특성이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큰 업계이므로 이러한 외관적인 변화와 제형의 안정성의 영향은 큰 부분을 차지하는 요소였다. 따라서 이러한 유용성 효능 성분들을 투명 가용화 제형에 적용하기 위한 연구가 다방면으로 개발되고 있다.
이와 관련된 종래 기술로는 레시틴을 함유한 유상 원료를 캡슐화하여 가용화 제형에 첨가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대한민국 특허 제10-1007185호). 그러나, 상기 제조 방법의 경우 왁스와 오일을 혼합한 유상 베이스를 70 내지 80℃로 가온시켜 스프레이 방식으로 분사하여 저온으로 냉각시켜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때문에 이러한 제조 방식으로 유용성 효능 원료를 포함하는 캡슐을 제조할 시, 고온에서 변성이 일어나기 쉬운 유용성 효능 성분들의 안정성을 담보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1. 대한민국 특허 제10-1007185호, 2011.01.04
본 발명의 목적은 유용성 효능 성분을 다량 함유하면서도 가용화 제형의 투명도를 유지하고, 안정성이 확보된 화장료 캡슐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캡슐 총 중량에 대하여, 미백 유용성 유상 효능 성분 0.15 내지 30 중량%; 및 왁스 5 내지 60 중량%를 포함하는 화장료 캡슐을 제공한다.
상기 화장료 캡슐은 미백 유용성 유상 효능 성분 0.15 내지 30 중량% 및 왁스 5 내지 60 중량%를 20 내지 45 ℃에서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에 용해시켜 얻은 유상 베이스를 분사 방식에 따라 입자 형태로 제조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캡슐을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2 내지 50 중량% 및 잔량으로 화장료 베이스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투명 가용화 제형에는 적용하기 힘들었던 미백 관련 유용성 효능 성분을 캡슐화하여 제조함으로써 효능 물질을 적용하면서도 제형의 투명도를 떨어트리지 않고 효능 물질의 제조 과정에서의 안정성을 높이며 제형의 외관적 차별화를 부여하고 바를 때 이물감이 느껴지지 않게 유용성 효능 성분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화장료 캡슐을 포함하는 가용화 제형의 투명도를 비교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화장료 캡슐을 포함하는 가용화 제형의 점도에 따른 캡슐의 가라앉음 정도를 비교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은 캡슐 총 중량에 대하여, 미백 유용성 유상 효능 성분 0.15 내지 30 중량%; 및 왁스 5 내지 60 중량%를 포함하는 화장료 캡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화장료 캡슐은 20 내지 45 ℃에서 미백 유용성 유상 효능 성분을 용해시켜 제조하므로 유용성분의 안정성이 확보되고, 투명 가용화 제형에 적용 시 바를 때 이물감이 느껴지지 않고, 외과적으로 제형의 투명도를 흐리지 않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캡슐은, 미백 유용성 유상 효능 성분 0.15 내지 30 중량% 및 왁스 5 내지 60 중량%를 20 내지 45 ℃에서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에 용해시켜 얻은 유상 베이스를 분사 방식, 예컨대 스프레이 방식으로 분사하면 실온에서 분사된 유상 베이스는 구형이 되는데, 실온(1 내지 35℃)에서 일정하게 압력(바람)을 가하면 건조되면서 에탄올은 증발되고, 남은 베이스 성분은 고형화되어 입자 형태를 형성하며,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구형 입자를 화장료 캡슐이라 한다.
상기 분사 방식은 노즐을 이용하게 되고, 노즐의 직경을 조절하거나, 분사 횟수를 조절하면 캡슐의 크기도 쉽게 조절할 수 있으며 대량생산도 가능하다.
상기 미백 유용성 유상 효능 성분을 탄소수 1 내지 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예컨대,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또는 부탄올 등에 용해시켜 캡슐을 제조하기 때문에, 미백 기능을 갖는 유상 효능 성분을 70 내지 80℃의 고온 가열 과정 없이 캡슐을 제조할 수 있고, 가용화 제형에의 적용 시 캡슐 깨짐의 이물감을 느끼지 못할 정도로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장료 캡슐의 크기는 노즐의 크기에 따라 적절히 제어할 수 있어 특별히 제한하지는 않으나, 직경이 5 내지 500 ㎛일 수 있다. 상기 범위의 화장료 캡슐은 가용화 제형에 첨가 시 캡슐 깨짐의 이물감을 느낄 수 없고, 제형의 투명도를 유지하여 외관적 차별화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미백 유용성 유상 효능 성분은 캡슐 총 중량에 대하여,
백출(Atractyloidis japonica) 오일 0.05 내지 10 중량%;
메이스리그난(macelignan) 0.05 내지 10 중량%; 및
아스코빌 테트라이소팔미테이트(ascorbyl tetraisopalmitate) 0.05 내지 1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백 유용성 유상 효능 성분은 총 함량이 30 중량%를 초과하지 않는 것이 좋은데, 이는 유용성 유상 효능 성분의 함량비가 증가하여 효능 성분이 캡슐 밖으로 빠져나올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백출(Atractyloidis japonica)은 높이 약 80cm 되는 여러해살이풀로 잎은 3~5개로 갈라졌고, 가을에 가지 끝에 흰색의 작은 꽃이 둥근 꽃이삭을 이룬다. 삽주의 뿌리를 굵고 덩어리진 것을 골라 겉껍질을 벗긴 것을 백출, 햇볕에 말린 것을 창출이라 한다. 주요 성분으로, 뿌리줄기에는 정유 1.4%를 함유하며 주성분은 아트락틸론(atractylone), 아트락티롤(atractyrol) 등이며 비타민 A를 함유하고, 카로틴, 이눌린, 고무질, 알칼로이드 반응이 있다. 또한 전초는 사포닌, 쿠마린 반응이 있고 어린 싹에는 45~75mg의 아스코르브산이 있다. 대표적인 효능으로 민간에서는 뿌리를 설사와 토하는 것을 멈추는데, 당뇨병, 폐결핵과 기침, 류머티즘, 통풍, 열성질병, 감기, 간질병, 비장질병, 악성종양에 쓰며 오래 먹으면 장수한다는 말이 전해져 오고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캡슐에 사용되는 백출 오일은 알코올에서의 용해도를 고려하여 캡슐 총 중량에 대하여 0.05 내지 1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좋다.
백출 오일은 천연으로부터 추출하거나, 추출 오일을 상업적으로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메이스리그난(macelignan)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상기 메이스리그난은 천연으로부터 분리 정제하거나, 상업적으로 구입하여 사용하거나 또는 당업계에 공지된 화학적 합성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캡슐에 사용되는 메이스리그난은 알코올에서의 용해도를 고려하여 캡슐 총 중량에 대하여 0.05 내지 1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좋다.
상기 아스코빌 테트라이소팔미테이트(ascorbyl tetraisopalmitate)는 수용성 비타민 C를 지용성 유도체로 바이오 기법을 이용하여 제조하는 것으로, 피부 미백, 탄력 및 보습기능을 나타내는데, 진피 내에 흡수되어 콜라겐과 엘라스틴 조직을 재구성함으로써 우수한 미백 작용을 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캡슐에 사용되는 아스코빌 테트라이소팔미테이트는 오일 상으로서 다량을 캡슐에 함유시킬 경우 용출의 가능성이 있으므로 캡슐 총 중량에 대하여 0.05 내지 1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캡슐은 캡슐 총 중량에 대해 왁스 5 내지 60 중량%을 포함한다.
상기 왁스는 화장품 제조 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피토왁스, 멀티왁스, 재팬왁스, 카나우바왁스, 비즈왁스, 쉐어버터, 망고버터, 칸델릴라 왁스, 하이드로제네이티드 조조바 왁스, C14 -22 알코올(C14 -22 alcohols)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캡슐은 캡슐 총 중량에 대해 오일 1 내지 30 중량%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일은 화장품 제조 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오일, 예컨대, 올리브유, 스쿠알란, 피마자유, 보라지유, 프라임로즈유, 카모마일유, 로즈힙유, 콩기름, 참기름 또는 해바라기유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캡슐의 강도를 강하게 또는 약하게 조절하기 위해서 왁스의 종류가 달라질 수 있고, 화장품 제형에 첨가 시 사용감 개선과 강도 조절을 위해 제외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화장료 캡슐은 주름, 미백, 여드름, 아토피, 항염에 효과가 있는 레티놀(retinol), 레티닐 팔미테이트(retinyl palmitate), 감초추출물, 유비퀴논(ubiquinones), 올레이놀산(oleanolic acid), 레스베라트롤(resveratrol), 제니스테인(genistein), 라이코펜(lycopene), 아스타잔틴(astaxanthin), 세라마이드(ceramide), 티트리오일(tea tree oil) 또는 토코페릴 아세테이트(tocopheryl acetate) 등의 유용성 활성 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용성 활성 성분은 캡슐 총 중량에 대해 1 내지 20 중량%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미백 유용성 유상 효능 성분과 함께 캡슐화될 수 있다. 미백 유용성 유상 효능 성분이 들어가지 않는 가용화 제형에 이러한 유용성 효능 성분들을 캡슐에 포접시켜 가용화 제형에 첨가하였을 경우 기존의 수용성 활성 성분들만 사용하던 것보다 더 효과적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캡슐을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2 내지 50 중량% 및 잔량으로 화장료 베이스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미백 유용성 유상 효능 성분을 캡슐로 포함하고 있어 투명 가용화 제형에 적용 시 바를 때 이물감이 느껴지지 않고, 외과적으로 제형의 투명도를 흐리지 않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화장료 캡슐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2 내지 50 중량%인 것이 좋은데, 상기 함량이 0.2 중량% 미만인 경우 육안으로 느껴지는 캡슐의 외관적 차별성의 부여가 힘들고, 5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캡슐의 분포 거리가 짧아 캡슐끼리의 뭉침현상을 초래할 수 있고 미관 상 긍정적이지 못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료 캡슐로 전체 캡슐의 90% 이상이 크기 500㎛ 이하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는 화장료 캡슐의 크기가 증가할수록 가용화 제형에서 캡슐의 깨짐이 용이하지 않고, 이물감이 느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화장료 베이스는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쳐 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에센스, 크림,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바디크림 및 팩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조성하는 화장료 베이스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장료 베이스는 카보머 0.05 내지 0.20 중량%, 알칸 디올 0.05 내지 0.20 중량%, 트리에탄올아민 0.05 내지 0.20 중량% 및 잔량의 정제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알칸 디올은 화장료에 사용되는 것으로, 1,2-펜탄디올, 1,2-헥산디올, 1,2-옥탄디올, 1,2-데칸디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가용화 제형으로 그 특성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점도가 2000 내지 14000 cps (Spindle #4. 30rpm, 1min 조건) 범위로 하는 것이 좋다. 점도가 2000 cps 보다 낮을 경우 쉐이킹 테스트(shaking test, 24h 조건)에서 캡슐의 상단부가 가라앉는 현상을 보일 수 있기 때문이다. 이는 화장품의 안정성이 보장되어야 하는 사용기한 내에 캡슐의 가라앉음 현상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점도가 14000 cps보다 높을 경우 펌프 용기의 사용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미백 유용성 유상 효능 성분을 캡슐 형태로 포함하고 있어 피부 미백 용도로 사용할 수 있고, 투명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단독 또는 중복 도포하여 사용하거나, 본 발명 이외의 다른 화장료 조성물과 중복 도포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적인 사용방법에 따라 사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피부 상태 또는 취향에 따라 그 사용횟수를 달리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미백 유용성 효능 성분으로 백출 오일, 메이스리그난, 아스코빌 테트라이소팔미테이트와, 만니톨, 표면 코팅 폴리머(쉘락) 등의 일반 코팅재료 및 왁스를 하기 표 1의 조성(단위: 중량%)으로 35℃에서 에탄올에 용해한 후 용해된 유상 베이스를 스프레이 분사시켜 알코올이 증발되고 남은 베이스 성분은 실온에서 건조 시 구형 입자 형태를 형성하였으며, 이를 캡슐로 사용하였다.
또한, 비교를 위해 표 1의 조성(단위: 중량%)의 백출 오일, 메이스리그난, 아스코빌 테트라이소팔미테이트를 캡슐화하지 않고 단순히 혼합하여 유용성 오일 조성물로 하였다.
구분 제조예1 제조예2 제조예3
백출 오일 0.2 0.2 0.2
메이스리그난 0.2 0.2 0.2
아스코빌 테트라이소팔미테이트 0.2 0.2 0.2
왁스 7 7 -
에탄올 20 20 -
코팅재료 To 100 To 100 -
캡슐 ×
캡슐 사이즈 90% 이상이 500 ㎛ 이하 90% 이상이 500 ㎛ 이상, 나머지는 100 ㎛ 이하 -
<실시예>
상기 제조예에서 제조된 캡슐을 하기 표 2의 조성(단위: 중량%)으로 하여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를 위해, 미백 유용성 효능 성분을 포함하지 않는 화장료 조성물과, 캡슐화하지 않고 단순 혼합된 미백 유용성 효능 성분의 혼합물을 하기 표 2의 조성대로 하여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때, 미백 유용성 효능 성분의 혼합물은 캡슐에 사용되는 오일의 함량에 해당하는 함량을 사용하였다.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카보머 0.17 0.17 0.17 0.17 0.17 0.08
1,2-헥산디올 2.00 2.00 2.00 2.00 2.00 2.00
트리에탄올아민 0.15 0.15 0.15 0.15 0.15 0.06
효능성분캡슐
(제조예1)
1.00 2.00 - - - 2.00
효능성분캡슐
(제조예2)
- - - - 2.00 -
효능성분혼합물
(제조예3)
- - - 0.3 - -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실험예 1> 화장료 조성물의 투명도 비교
상기 실시예 1과, 비교예 1 및 2를 사용하여 가용화 제형에 첨가 시 제형의 투명도 효과를 비교하고, 그 효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경우 캡슐화하지 않고 단순 혼합된 미백 유용성 효능 성분의 혼합물을 직접 가용화 제형에 적용한 비교예 2에 비해 제형의 투명도가 훨씬 높고 캡슐의 존재에 의한 외관적 차별성도 뛰어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2>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 도포 효과 비교
캡슐의 크기에 따른 피부 도포 효과를 비교하기 위해, 실시예 2와 비교예 3의 화장료 조성물을 가용화 제형에 첨가하여 피부 도포 효과를 비교하였고,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여기서, "피부 도포 시 이물감 정도"는 1~10의 값으로 평가한 것으로서, 1은 피부 도포 시 캡슐이 매우 잘 으깨어져 이물감을 느낄 수 없는 정도를 나타내고, 10은 손으로 미세한 압력과 힘을 가해야 으깨어져 이물감을 느낄 수 있는 정도를 나타낸다.
또한, "피부 도포 시 존재 확인 정도"는 1~10의 값으로 평가한 것으로서, 1은 피부 도포 시 캡슐이 바로 으깨어져 캡슐의 존재를 눈으로 확인할 수 없는 정도를 나타내고, 10은 캡슐을 도포 후 몇 차례 미세한 힘을 가하여 문질러줄 때까지 캡슐의 존재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정도를 나타낸다.
구분 실시예 2 비교예 3
피부 도포 시 이물감 정도 1 9
피부 도포 시 존재 확인 정도 1 8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캡슐의 크기가 90% 이상이 500 ㎛ 이하인 경우(실시예 2), 비교예 3에 비해 피부 도포 시 이물감 정도가 극히 적고, 눈으로 준재를 확인할 수 있는 시간은 극히 짧았다.
<실험예 3> 화장료 조성물의 점도 비교
화장료 조성물의 점도를 조절하여 제형의 점도에 따른 캡슐의 가라앉음 정도를 비교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4와 도 2에 나타내었다.
여기서, "캡슐의 가라앉음 정도"는 쉐이킹 테스트(shaking test) 기계를 이용하여 상기 실시예 2와 비교예 4를 동등 조건에서 24시간 동안 쉐이킹한 후 캡슐의 분포를 비교하여 확인하였다.
구분 실시예 2 비교예 4
점도 3400 1500
가라앉음 정도 가라앉지 않음 상층부의 가라앉음 현상 있음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캡슐은 가용화 제형의 화장품이 가지는 유상 효능 성분 제공의 한계를 개선시킬 수 있으며, 투명도를 유지하고 제형의 외관적 차별할 수 있다. 또한 제품의 도포 및 사용 시에도 캡슐의 이물감 없이 매우 빠르게 캡슐이 깨지며 도포되어 탁월한 사용감을 구현할 수 있다.

Claims (11)

  1. 캡슐 총 중량에 대하여,
    미백 유용성 유상 효능 성분 0.15 내지 30 중량%; 및
    왁스 5 내지 60 중량%를 포함하는 화장료 캡슐.
  2. 제1항에 있어서,
    화장료 캡슐은 상기 미백 유용성 유상 효능 성분 0.15 내지 30 중량% 및 왁스 5 내지 60 중량%를 20 내지 45 ℃에서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에 용해시켜 얻은 유상 베이스를 분사 방식에 따라 입자 형태로 제조한 것인 화장료 캡슐.
  3. 제1항에 있어서, 미백 유용성 유상 효능 성분은 캡슐 총 중량에 대하여,
    백출(Atractyloidis japonica) 오일 0.05 내지 10 중량%;
    메이스리그난(macelignan) 0.05 내지 10 중량%; 및
    아스코빌 테트라이소팔미테이트(ascorbyl tetraisopalmitate) 0.05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는 화장료 캡슐.
  4. 제1항에 있어서,
    캡슐의 크기는 직경이 5 내지 500 ㎛인 화장료 캡슐.
  5. 제1항에 있어서,
    레티놀(retinol), 레티닐 팔미테이트(retinyl palmitate), 감초추출물, 유비퀴논(ubiquinones), 올레이놀산(oleanolic acid), 레스베라트롤(resveratrol), 제니스테인(genistein), 라이코펜(lycopene), 아스타잔틴(astaxanthin), 세라마이드(ceramide), 티트리오일(tea tree oil) 및 토코페릴 아세테이트(tocopheryl acetat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화장료 캡슐.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장료 캡슐을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2 내지 50 중량% 및 잔량으로 화장료 베이스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화장료 캡슐은 전체 캡슐의 90% 이상이 500 ㎛ 이하의 직경을 갖도록 조절된 화장료 조성물.
  8. 제6항에 있어서,
    화장료 베이스는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쳐 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에센스, 크림,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바디크림 및 팩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조성하는 화장료 베이스인 화장료 조성물.
  9. 제6항에 있어서,
    화장료 베이스는 카보머 0.05 내지 0.20 중량%, 알칸 디올 0.05 내지 0.20 중량%, 트리에탄올아민 0.05 내지 0.20 중량% 및 잔량의 정제수를 포함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10. 제6항에 있어서,
    화장료 조성물의 점도가 2000 내지 14000 cps인 화장료 조성물.
  11. 제6항에 있어서,
    화장료 조성물은 투명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KR20130017316A 2013-02-19 2013-02-19 유용성 효능 성분을 포함하는 화장료 캡슐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4848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17316A KR101484836B1 (ko) 2013-02-19 2013-02-19 유용성 효능 성분을 포함하는 화장료 캡슐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17316A KR101484836B1 (ko) 2013-02-19 2013-02-19 유용성 효능 성분을 포함하는 화장료 캡슐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3651A true KR20140103651A (ko) 2014-08-27
KR101484836B1 KR101484836B1 (ko) 2015-01-20

Family

ID=517478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17316A KR101484836B1 (ko) 2013-02-19 2013-02-19 유용성 효능 성분을 포함하는 화장료 캡슐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483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73422A (zh) * 2015-05-22 2015-09-02 周维新 美白面膜胶囊
CN108403572A (zh) * 2018-06-07 2018-08-17 深圳市安德堂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护手霜及其制备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2011B1 (ko) 2015-09-02 2017-07-26 최화숙 3중매트릭스캡슐화가 가능한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40015891A (ko) 2022-07-28 2024-02-06 주식회사 수안향장 이중 매트릭스 캡슐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7185B1 (ko) * 2008-05-26 2011-01-12 (주)에이티 랩 화장료 캡슐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73422A (zh) * 2015-05-22 2015-09-02 周维新 美白面膜胶囊
CN108403572A (zh) * 2018-06-07 2018-08-17 深圳市安德堂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护手霜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4836B1 (ko) 2015-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4836B1 (ko) 유용성 효능 성분을 포함하는 화장료 캡슐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40011550A (ko) 화장료용 오일 캡슐 조성물
JP2021522329A (ja) 化粧用途及び健康用途のための粉体組成物
KR20170076966A (ko)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20054906A (ko) 올레아놀릭산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405128B1 (ko) 금불초 추출물의 항산화활성 안정화방법 및 안정화된 금불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조성물
JP2019210216A (ja) 皮膚外用剤又は化粧料
KR101592307B1 (ko) 유용성 활성성분을 안정화한 비수계 오일 밤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700132B1 (ko) 지속성 냉감 효과를 가지는 피부 진정용 조성물
KR101125922B1 (ko) 저점도의 화장료 조성물
KR102066979B1 (ko) 수분 스틱형 화장료 조성물
KR20160106268A (ko) 탈분화 식물 프로토플라스트 내에 활성 물질이 인입된 구조체 함유 마이크로캡슐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00039937A (ko) 기능성 물질을 포집한 고형왁스 마이크로캡슐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82657B1 (ko) 해죽순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620294B1 (ko) 실온 충진이 가능한 고경도 화장료 조성물
KR102027647B1 (ko) 알부틴을 함유하는 저자극성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80034B1 (ko) 나노에멀전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462491B1 (ko) 입술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480697B1 (ko) 한약재를 함유하는 입술 메이크업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
KR101959225B1 (ko) 왕가시천년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527894B1 (ko) 색조 화장료 조성물
KR102224712B1 (ko) 겔화된 천연 하이드로겔-무농약 인삼농축액 혼합물을 이용한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140103576A (ko) 펄 생성 화장료 조성물
KR102392872B1 (ko)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30057634A (ko) Egcg의 안정화 방법 및 egcg를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