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2670A - 정맥 주사용 카테터 장치 - Google Patents

정맥 주사용 카테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2670A
KR20140102670A KR1020147015538A KR20147015538A KR20140102670A KR 20140102670 A KR20140102670 A KR 20140102670A KR 1020147015538 A KR1020147015538 A KR 1020147015538A KR 20147015538 A KR20147015538 A KR 20147015538A KR 20140102670 A KR20140102670 A KR 201401026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needle
retaining projection
retaining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155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85356B1 (ko
Inventor
리쉬 바이드
Original Assignee
폴리 메디큐어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폴리 메디큐어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폴리 메디큐어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401026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26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53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53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58Needles for infusion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inserting infusion needles, or for holding them on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6Body-piercing guide needles or the like
    • A61M25/0606"Over-the-needle" catheter assemblies, e.g. I.V. cath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6Body-piercing guide needles or the like
    • A61M25/0612Devices for protecting the needle; Devices to help insertion of the needle, e.g. wings or holders
    • A61M25/0618Devices for protecting the needle; Devices to help insertion of the needle, e.g. wings or holders having means for protecting only the distal tip of the needle, e.g. a needle guar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9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needle shaf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10/00Anatomical parts of the body
    • A61M2210/12Blood circulato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05Apparatus for removing or disposing of used needles or syringes, e.g. containers; 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from used needles
    • A61M5/321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by used needles
    • A61M5/3243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by used needles being axially-extensible, e.g. protective sleeves coaxially slidable on the syringe barrel
    • A61M5/3273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by used needles being axially-extensible, e.g. protective sleeves coaxially slidable on the syringe barrel freely sliding on needle shaft without connection to syringe or need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70/00Control; Monitoring or safety arrangements
    • F04C2270/04Force
    • F04C2270/042Force radial
    • F04C2270/0421Controlled or regulat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mat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테터 튜브의 근단부에 배치되며 챔버를 형성하는 내측 표면을 가지는 카테터 허브와; 축방향을 형성하면서 바늘 팁을 가지는 바늘로서, 준비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챔버와 카테터 튜브를 통하여 연장되는 바늘과; 상기 바늘이 준비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챔버에 수납되며 상기 바늘 상에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되는 바늘 보호부로서, 상기 바늘 보호부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연장되는 제 1 아암 및 제 2 아암을 포함하되, 상기 제 1 아암은 상기 바늘이 준비 위치에 있을 때 복원력에 대하여 바늘에 의해 반경방향 외측으로 만곡되어서, 상기 바늘 보호부는 상기 카테터 허브에 접촉한 상태로 되는, 바늘 보호부와; 상기 제 1 아암이 만곡된 상태에 있는 동안 상기 챔버에 상기 바늘 보호부를 유지하는 유지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유지 수단은 상기 제 1 아암 상에 제공된 제 1 디스크 형상 유지 돌출부와 상기 카테터 허브의 내측 표면에 형성되고 상기 유지 돌출부를 수납하도록 된 유지 오목부를 포함하는 정맥 주사용 카테터 장치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정맥 주사용 카테터 장치{Intravenous catheter apparatus}
본 출원은 2011년 11월 8일자로 출원된 인도 가출원번호 3159/DEL/2011호에 대하여 우선권을 주장한다 그 전체 내용은 본 출원에 편입된다. 본 출원은 가출원의 이익을 주장한다.
본 발명은 카테터 튜브의 근단부에 배치되며 챔버를 형성하는 내측 표면을 구비하는 카테터 허브와, 준비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챔버와 상기 카테터 튜브를 통하여 연장되며 바늘 팁을 가지는 바늘과, 상기 바늘이 준비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챔버에 수납되며 상기 바늘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되는 바늘 보호부를 포함하는 정맥주사용 카테터 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상기 바늘 보호부는 상기 카테터 허브로부터 상기 바늘을 빼낼 때 바늘 팁을 보호하도록 된다.
이러한 종류의 정맥 주사용 카테터 장치는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바늘 보호부는 환자의 정맥에 놓이고 이어서 환자의 정맥에서 바늘을 제거한 후에 상기 정맥 주사용 카테터 장치를 취급하는 사람이 상기 바늘 팁에 우발적으로 접촉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정맥 주사용 카테터 장치는 혈액성 질병의 원하지 않는 전파를 피하는 것을 돕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바늘 팁에 우발적으로 찔리는 것으로부터 보호하면서 동시에 제조 비용이 저렴한 정맥 주사용 카테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제1항에 따른 정맥 주사용 카테터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정맥 주사용 카테터 장치는 카테터 튜브의 근단부에 배치되며 챔버를 형성하는 내측 표면을 가지는 카테터 허브와; 축방향을 형성하면서 바늘 팁을 가지는 바늘로서, 준비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챔버와 카테터 튜브를 통하여 연장되는 바늘과; 상기 바늘이 준비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챔버에 수납되며 상기 바늘 상에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되는 바늘 보호부로서, 상기 바늘 보호부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연장되는 제 1 아암 및 제 2 아암을 포함하되, 상기 제 1 아암은 상기 바늘이 준비 위치에 있을 때 복원력에 대하여 바늘에 의해 반경방향 외측으로 만곡되어서, 상기 바늘 보호부는 상기 카테터 허브에 접촉한 상태로 되는, 바늘 보호부와; 상기 제 1 아암이 만곡된 상태에 있는 동안 상기 챔버에 상기 바늘 보호부를 유지하는 유지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유지 수단은 상기 제 1 아암 상에 제공된 제 1 디스크 형상 유지 돌출부와 상기 카테터 허브의 내측 표면에 형성되고 상기 유지 돌출부를 수납하도록 된 유지 오목부를 포함한다.
상기 디스크 형상 유지 돌출부는 상기 카테터 허브의 내측 표면에 형성된 대응하는 유지 오목부를 구비한 원형 접촉 표면을 따라 연결된다는 점에서 장점을 가진다. 종래 기술로 알려진 정맥 주사용 카테터 장치와 다르게, 본 발명은 유지 돌출부의 실질적으로 환형인 환형부를 따라 상기 카테터 허브와 바늘 보호부 사이에 연결을 형성하게 되며, 상기 유지 오목부는 상기 바늘 보호부가 준비 위치에 있고 바늘 허브로부터 빠지게 되는 것을 방지되는 한 위 두가지 구성요소들간에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연결을 제공한다. 상기 바늘 보호부가 상기 카테터 허브 내에서 회전하게 되더라도, 상기 카테터 허브와 바늘 보호부 간의 이러한 고정된 연결은 상기 카테터 허브 내에 바늘 보호부를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어 돌출부 대신에 상기 챔버 내에 바늘 보호부를 유지하기 위한 카테터 허브의 내측 표면에 형성된 오목부로 인하여, 상기 카테터 허브는 보다 쉽게 제조될 수 있게 되고, 따라서 특히 상기 카테터 허브가 사출 성형에 의해 형성되는 플라스틱의 일부인 경우에는 제조 단가가 내려가게 된다. 동시에, 상기 바늘 보호부 상에 제공된 제 1 유지 돌출부의 특정 디자인은 상기 유지 오목부와 유지 돌출부가 효과적으로 연결되게 하고 따라서 카테터 허브에 바늘 보호부를 신뢰할 수 있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바늘을 카테터 허브로부터 빼내는 동안에 바늘 보호부가 카테터 허브로부터 좀 빨리 해제되는 위험 그리고 바늘에 의해 찔릴 위험은 감소하게 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유지 돌출부는 부분적으로는 원형으로, 특히 반원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보다 자세하게는, 상기 유지 돌출부는 거의 나란하게 인접하거나 멀리 이격된 면 및/또는 볼록 형상, 특히 부분적으로는 원통 형상인 주변부 표면을 가진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유지 돌출부는 상기 제 1 아암의 원단부의 구역에 배치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 2 디스크 형상 유지 돌출부는 상기 제 2 아암 상에 배치되며, 제 1 아암이 만곡된 상태에 있는 동안에 상기 유지 오목부와 연결되도록 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아암은 상기 아암들 사이에 바늘 팁이 수납될 때 전체 반경 내측 방향 길이를 따라 만곡되어, 상기 제 2 유지 돌출부는 상기 유지 오목부로부터 분리되게 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유지 돌출부는 상기 제 2 아암의 원단부의 구역에 배치된다. 특히, 상기 제 2 유지 돌출부는 상기 제 1 유지 돌출부 반대편에 배치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유지 오목부는 부분적으로 환형의 오목부, 바람직하게는 환형 오목부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복원력은 상기 제 1 아암 및 추가적인 인장 부재의 탄성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형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바늘 보호부는 두개의 아암을 둘러싸는 대신에, 상기 제 1 유지 돌출부의 인접부의 아암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거나, 선형 바이어스 작용에 의해 2개의 아암을 바이어스 하는 인장 부재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상기 제 1 아암 및 제 2 아암은 탄성 재료로 형성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아암 및 제 2 아암은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아암 및 제 2 아암은 예를 들어 사출 성형에 의해 플라스틱 재료로 만들어진 베이스부와 일체로 형성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바늘은 상기 바늘 보호부에 연결하기 위하여 바늘 팁으로부터 일정 거리에 제공되며 상기 바늘 보호부가 바늘로부터 슬라이드되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연결 수단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 수단은 상기 바늘의 기본 형상과 비교하여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바늘의 반경방향 치수를 확장시킴으로써 형성된다. 상기 연결 수단은 국부적인 환형 형상으로 폭이 확장된 확장부로서 형성된 볼록부, 크림핑, 어깨부에 의해 발견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바늘 보호부는 상기 바늘 팁이 제 1 아암 및 제 2 아암 사이에 수납될 때 바늘의 연결 수단에 연결되는 정지부재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정지 부재는 상기 바늘의 기본 형상에 부합하도록 되지만 바늘의 확장부보다는 작은 단면을 가지는 축방향 보어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정지 부재는 특히 금속 재료와 같이 베이스부의 재료와 다른 재료로 형성된다. 상기 정지 부재는 디스크 형상으로 되거나 관형상으로 되거나, 베이스부의 원거리 측면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정지 부재는 상기 바늘 상에서 부유하는 방식으로 지지되거나 베이스부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바늘 팁에 우발적으로 찔리는 것으로부터 보호하면서 동시에 제조 비용이 저렴한 정맥 주사용 카테터 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예시적으로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정맥 주사용 카테터 장치의 길이방향 단면도이다.
도 2는 인장 부재가 없는 도 1의 정맥 주사용 카테터 장치의 바늘 보호부의 길이방향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바늘 보호부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바늘 보호부의 저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바늘 보호부의 원격 단부의 정면도이다.
도 1은 카테터 뷰브와 근접단부에서 카테터 튜브(10)에 부착되는 카테터 허브(12)를 포함하는 정맥 주사용 카테터 장치를 도시한다. "근접"이라는 용어는 정맥 주사용 카테터 장치를 취급하는 사람에 가까운 위치나 방향을 가리키는 반면 "원격"의 용어는 이러한 사람으로부터 멀 위치 또는 방향을 가리키며, 여기서 바늘(20)의 길이방향(A)은 기존 방향이 된다 .
상기 카테터 허브(12)는 거의 원형 단면으로 된 챔버(16)를 형성하는 내측 표면(14)를 가진다. 상기 챔버(16)는 상기 카테터 허브(12)의 근접섹션에 배치된다. 상기 챔버(16)의 원격 영역에서, 상기 캐테터 허브의 내측 표면(14)에는 아래에서 추가적으로 그 기능이 자세하게 설명될 환형 유지 오목부(18)가 제공된다.
원격 단부 및 근접 단부를 가지는 바늘(20)은 상기 카테터 허브(12)의 챔버(16)를 통하여 그리고 상기 카테터 튜브(10)를 통하여 연장된다. 상기 바늘(20)은 원격 단부에서 바늘 팁(24) 및 바늘 샤프트(22)를 구비한다. 상기 바늘 허브(26)는 상기 바늘(20)의 근접 단부에 부착된다. 상기 바늘(20)은 상기 축방향(길이방향)(A)를 형성하며, 상기 바늘 샤프트(22)는 상기 바늘 팁(24)의 영역에 배치되어 연결 수단(미도시)를 형성하는 기본 형상에 비교하여 적어도 하나의 방향에서 마늘(20)의 확장방향 치수를 확장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거의 일정한 기본 형상을 가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 수단은 바늘(20)를 크림핑하여 형성된다. 그러나, 이것은 바늘을 용접, 밀링 가공, 냉간 헤딩(heading), 팽창시킴으로써 만들어진다. 상기 연결 수단의 기능은 아래에서 보다 자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상기 바늘(20)이 상기 카테터 허브(12)의 챔버(16)를 통하여 모든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카테터 허브(10) 및 바늘 팁(24)이 상기 카테터 허브(10)의 원격 단부로부터 돌출하는 사용 이전의 조건의 정맥 주사용 카테터 장치를 도시한다. 상기 바늘(20)의 이러한 위치는 본 상세한 설명에서는 준비 위치로서 지칭된다. 상기 바늘(20)은 상기 카테터 허브(12)에 연결되는 바늘 허브(26)에 의해 그 준비 위치에 고정된다.
정맥 주사용 카테터 장치를 사용하기 전에 상기 바늘(20)에 의해 갑작스럽게 찔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관형상 커버(30)는 그로부터 연장되는 바늘(20)의 부분과 상기 카테터 튜브(10)를 커버하게 된다. 상기 커버(30)의 근접 단부 부분은 상기 카테터 허브(12)의 원격 단부 부분에 제거가능하게 고정된다.
상기 정맥 주사용 카테터 장치는 바늘을 사용한 후에, 예를 들어 환자의 정맥에 카테터 튜브(10)를 배치하고 그로부터 바늘(20)을 빼낸 후에 바늘 팁(24)을 보호하기 위한 바늘 보호부(32)를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 바늘 보호부(32)는 상기 챔버(16)에 수납되고 상기 바늘 샤프트(20) 상에 슬라이드가능하게 배치된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늘 보호부(32)는 관형 베이스부(34)와 축방향의 관형 베이스부(34)의 원격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제 1 아암(36) 및 제 2 아암(38)을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부(34) 및 아암(36, 38)은 예를 들어 사출 성형에 의해 플라스틱 재료로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부(34)는 상기 바늘(20)을 수용하는 축방향 관통 보어(40)를 구비한다. 상기 관통 보어(40)는 상기 바늘(20)의 기본 형상보다 큰 단면을 가지는 제 1 섹션(42) 및 제 2 섹션(44)을 구비하며, 상기 제 2 섹션(44)의 단면은 상기 제 1 섹션(42)의 단면보다도 크다.
와셔와 같은 디스크 현상의 정지 부재(46)는 예를 들어 사출 성형에 의해 베이스부(34)의 원격 측에 배치된다. 상기 정지 부재(46)는 예를 들어 금속 재료인 베이스부(34)의 재료와는 다른 재료로 형성된다. 상기 정지 부재(46)는 상기 베이스부(34)의 관통 보어(40)에 정렬되며 상기 베이스부(34)의 관통 보어(40)보다는 작은 단면을 가지는 축방향 보어(48)를 구비한다. 보다 자세하게는, 상기 정지 부재(46)의 축방향 보어(48)의 단면은 상기 바늘(20)의 기본 형상에 부합하도록 되어, 상기 정지 부재(46)는 최소한의 마찰로써 상기 바늘 샤프트(22)를 따라 슬라이드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길이방향(A)에 횡방향의 축방향 보어(48)의 최대 치수는 상기 길이방향에 횡방향인 바늘(20)에 제공된 연결 수단의 최대 치수보다 작아서 상기 연결 수단은 상기 정지 부재(46)를 통과하지 않게 되며, 상기 바늘 보호부(32)가 바늘(20)로부터 슬라이드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바늘 보호부(32)의 제 1 아암(36)은 상기 제 2 아암(38)보다 크게 되며, 상기 바늘 팁(24)을 걸리게 되는 언더컷(51)을 가지는 큰 원격 단부 섹션(50)을 가지게 된다. 상기 원격 단부 섹션(50)은 상기 제 2 아암(38)을 향하여 각을 이루게 되며, 상기 제 2 아암(38: 도 2)과 오버랩된다. 준비 위치에서, 상기 바늘(20)은 상기 바늘 보호부(32: 도 1)를 완전히 통과하여 연장된다. 이러한 위치에서, 상기 제 1 아암(38)의 원격 단부 섹션(50)은 상기 바늘 샤프트(22) 상에서 지지되어, 상기 제 1 아암(36)을 반경 외측 방향으로 만곡시키게 된다. 상기 제 1 아암(36)의 만곡을 촉진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아암(36)은 상기 아암(36)의 거의 중간 구역에서 감소된 단면을 가지는 협폭부(52)를 구비한다. 제 1 아암(36)과 비교하여, 각을 이룬 원격 단부 섹션이 없기 때문에, 상기 제 2 아암(38)은 상기 바늘 보호부(32)를 통하여 연장되는 바늘(20)에 의해 현저하게 만곡되지는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기 제 2 아암(38)은 유사한 협폭부(54)를 구비하는데, 그 이유는 아래에서 추가로 설명된다.
상기 제 1 아암(36) 및 제 2 아암(38)이 임의의 탄성을 가진다고 하더라도, 틴상 부재, 예를 들어 고무 밴드(56)는 상기 아암(36, 38)의 원격 섹션을 둘러싸게 되어, 상기 제 1 아암(36)의 만곡은 상기 탄성 부재(도 1)의 복원력에 대향하여 주로 발생하게 된다.
환자의 정맥에 카테터 튜브(10)를 배치한 후에 상기 카테터 튜브(10)로부터 바늘(20)을 빼게 될 때, 상기 바늘(20)은 상기 바늘 팁(24)이 상기 제 1 아암(36)의 각진 원격 단부 섹션(50)을 통과할 때까지 바늘 보호부(32)를 통하여 슬라이드하게 된다. 이러한 지점에서, 각을 이룬 원격 단부 섹션(50)은 더 이상 바늘 샤프트(22)상에서 지지되지 않게 되며, 상기 제 1 아암(36)은, 주로 고무 밴드(56)의 힘에 의해, 상기 바늘 팁(24)를 차단하는 각진 원격 단부 섹션(50)에 대하여 완화된 상태로 스냅되게 된다. 상기 제 1 아암(36)의 길이 및 상기 바늘 팁(24)으로부터 상기 연결 수단의 거리는 서로 맞추어지게 되어, 상기 바늘 보호부(32)에 수납된 바늘 팁(24)은 상기 바늘 보호부(32)의 축방향 운동에 대하여 최소 공차를 가지게 된다.
상기 바늘 보호부(32)가 상기 카테터 허브(12)의 챔버로부터 미리 빠지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즉 상기 바늘 팁(24)이 바늘 보호부(32)에 의해 커버되기 전에, 상기 제 1 아암(36)에는 상기 제 1 아암(36)의 만곡된 상태로 상기 카테터 허브(14)의 내측 표면(14)에서 유지 오목부(18)에 연결되는 디스크 형상의 유지 돌출부(58)가 제공된다. 상기 제 1 유지 돌출부(58)는 거의 평평한 근접 면(60) 및 원격 면(62)과 볼록부를 구비하되, 볼록부는 특히 부분적으로 원통 형상인 주변 표면(64)으로 되며, 그 반경은 상기 유지 오목부(18)의 영역에서 카테터 허브(12)의 내측 표면(14)의 반경에 맞추어지게 된다. 상기 제 1 유지 돌출부(58)의 높이, 즉 반경방향으로 보여지는 치수는 맞추어지게 되어, 상기 제 1 유지 돌출부(58)는 상기 제 1 아암(36)이 완화된 상태로 다시 스냅될 때 유지 오목부(18)로부터 분리된다.
상기 제 2 아암은 상기 제 1 유지 돌출부(58)에 유사하며 상기 제 1 유지 돌출부(58)의 반대편인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디스크 형상의 제 2 유지 돌출부를 구비한다. 상기 제 2 유지 돌출부(66)는 거의 나란한 근접 면(60) 및 원격 면(62)과 볼록부, 특히 부분적으로 원통 형상인 주변 표면(64)를 구비한다. 상기 제 2 유지 돌출부(66)의 높이, 즉 반경방향에서 볼 경우의 직경은 맞추어지게 되어, 상기 유지 돌출부(66)는 상기 바늘(20)이 준비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유지 오목부(18)에 연결되게 된다. 성가 유지 돌출부(66)를 상기 유지 오목부(18)로부터 분리하기 위하여, 상기 제 2 아암(38)은 상기 바늘(20)의 당기는 힘이 충분히 크게 될 때 상기 바늘(20)을 향하여 약간 반경 내측 방향으로 만곡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방향 치수, 즉 상기 유지 오목부(18)의 폭은 축방향 치수, 즉 상기 유지 돌출부(58, 66)의 폭보다 현저하게 크기 된다. 예를 들어, 비록 상기 유지 오목부(18) 및 상기 유지 돌출부(58, 66) 사이의 신뢰할 만한 연결이 보장되는 한 다른 비율도 가능하더라도, 상기 유지 오목부(18)의 폭은 상기 유지 돌출부(58, 66)의 폭의 3 내지 5배로 될 수 있다.
10: 카테터 튜브
12: 카테터 허브
14: 내측 표면
16: 챔버
18: 유지 오목부
20: 바늘
22: 바늘 샤프트
24L 바늘 팁
26: 바늘 허브
30: 관형 커버
32: 바늘 보호부
34: 베이스부
36: 제 1 아암
38: 제 2 아암
40: 관통 보어
42: 제 1 섹션
44: 제 2 섹션
36: 정지 부재
48: 축방향 보어
50: 원격 단부 섹션
51: 언더컷
52: 협폭부
54: 협폭부
56: 고무 밴드
58: 유지 돌출부
60: 근접 면
62: 원격 면
64: 주변 표면
66: 유지 돌출부
A: 길이방향

Claims (19)

  1. 카테터 튜브(10)의 근접 단부에 배치되며 챔버(16)를 형성하는 내측 표면(14)을 구비하는 카테터 허브(12);
    축방향으로 연장되며 바늘 팁(24)을 구비하되, 준비 위치에 있을 때 챔버(16)와 카테터 튜브(10)를 통과하여 연장되는 바늘(20);
    상기 바늘(20)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되되, 상기 바늘(20)이 준비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챔버에 수용되며, 베이스부(34)와, 상기 베이스부(34)로부터 연장되는 제 1 아암(36) 및 제 2 아암(38)을 구비하는 바늘 보호부(32)로서, 상기 제 1 아암(36)은 상기 바늘(20)이 준비 위치에 있을 때 복원력에 대하여 상기 바늘(20)에 의해 반경 외측 방향으로 만곡되어서, 상기 바늘 보호부(32)는 상기 카테터 허브(12)에 접촉한 상태로 남게 되는, 바늘 보호부(32);
    상기 제 1 아암(36)이 만곡된 상태에 있는 동안 상기 챔버(16)에 상기 바늘 보호부(32)를 유지하는 유지 수단으로서, 상기 제 1 아암(36) 상에 제공된 제 1 디스크 형상 유지 돌출부(58)와 상기 유지 돌출부(58)를 수용하도록 되며 상기 내측 표면(14)에 형성되는 유지 오목부(18)를 구비하는 유지 수단;을 포함하는 정맥 주사용 카테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돌출부(58)는 실질적으로 나란한 근접 면(60)과 원격 면(62) 및/또는 볼록한 형상, 특히 부분적으로 원통형상인 주변 표면(64)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맥 주사용 카테터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지 돌출부(58)는 상기 제 1 아암(36)의 원격 단부의 영역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맥 주사용 카테터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2 디스크 형상 유지 돌출부(66)는 상기 제 2 아암(38) 상에 배치되며, 상기 유지 오목부(18)에 연결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맥 주사용 카테터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아암(38)은 상기 바늘 팁(24)이 상기 제 1 아암(36)과 제 2 아암(38) 사이에서 수용될 때 반경 내측 방향으로 만곡되어서, 상기 제 2 유지 돌출부(66)는 상기 유지 오목부(18)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맥 주사용 카테터 장치.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유지 돌출부(66)는 상기 제 2 아암(38)의 원격 단부의 영역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맥 주사용 카테터 장치.
  7. 제 4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디스크 형상 유지 돌출부(66)는 상기 제 1 유지 돌출부(58)의 반대편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맥 주사용 카테터 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오목부(18)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환형인 오목부, 바람직하게는 환형 오목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맥 주사용 카테터 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원력은 상기 제 1 아암(36)의 탄성 및 상기 제 1 아암(36)과 제 2 아아(38)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추가적인 인장 부재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맥 주사용 카테터 장치.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늘 보호부(32)는 상기 제 1 유지 돌출부(58)의 근접한 영역에서 상기 제 1 아암(36) 및 제 2 아암(38)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거나 상기 제 1 아암(36) 및 제 2 아암(38)을 서로 바이어스하는 선형 바이어스력을 가하는 인장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맥 주사용 카테터 장치.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아암(36) 및 제 2 아암(38)은 탄성 재료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맥 주사용 카테터 장치.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아암(36) 및 제 2 아암(38)은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맥 주사용 카테터 장치.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아암(36) 및 제 2 아암(38)은 상기 베이스부(34)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맥 주사용 카테터 장치.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늘 보호부는 상기 바늘 팁(24)이 상기 제 1 아암(36)과 제 2 아암(38) 사이에서 수용될 때 상기 바늘(20)의 연결 수단에 연결되도록 하는 정지 부재(46)를 구비하여, 상기 바늘 보호부(32)는 상기 바늘(20)로부터 슬라이드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맥 주사용 카테터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 부재(46)는 상기 바늘(20)의 기본 형상에 맞추어진 단면을 가지지만 상기 연결 수단의 최대 반경방향 치수보다 작은 축방향 보어(48)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맥 주사용 카테터 장치.
  16. 제 14 항 또는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 부재(46)는 상기 베이스부(34)의 재료와는 다른 재료, 특히 금속 재료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맥 주사용 카테터 장치.
  17. 제 14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 부재(46)는 디스크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맥 주사용 카테터 장치.
  18. 제 14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 부재(46)는 상기 베이스부(34)의 원격 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맥 주사용 카테터 장치.
  19. 제 14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수단(28)은 상기 바늘(20)의 기본 형상에 비교하여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상기 바늘(20)의 반경방향 치수를 확장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맥 주사용 카테터 장치.
KR1020147015538A 2011-11-08 2012-03-27 정맥 주사용 카테터 장치 KR1017853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N3159DE2011 2011-11-08
IN3159/DEL/2011 2011-11-08
PCT/IB2012/051457 WO2013068856A1 (en) 2011-11-08 2012-03-27 Intravenous catheter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2670A true KR20140102670A (ko) 2014-08-22
KR101785356B1 KR101785356B1 (ko) 2017-10-16

Family

ID=542570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5538A KR101785356B1 (ko) 2011-11-08 2012-03-27 정맥 주사용 카테터 장치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2) US10265508B2 (ko)
EP (5) EP2974764B1 (ko)
JP (2) JP6141299B2 (ko)
KR (1) KR101785356B1 (ko)
CN (2) CN103945894B (ko)
AU (1) AU2012335286B2 (ko)
DK (1) DK2776110T3 (ko)
ES (2) ES2552049T3 (ko)
SG (1) SG11201402103QA (ko)
WO (1) WO2013068856A1 (ko)
ZA (1) ZA20140408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16246366A1 (en) * 2015-04-09 2017-11-23 Vigmed Ab Needle tip shielding device and catheter hub therefore
US10893887B2 (en) 2016-10-27 2021-01-19 C. R. Bard, Inc. Intraosseous access device
KR20190002310U (ko) 2018-03-08 2019-09-18 이삼선 정맥 주사용 카테터
CN213220420U (zh) 2019-09-10 2021-05-18 巴德阿克塞斯系统股份有限公司 一种快速插入的中心导管
JP2022548994A (ja) 2019-09-24 2022-11-22 バード・アクセス・システムズ,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一体型の鋭角状中心静脈カテーテルと末梢挿入静脈カテーテル
EP4031032A4 (en) 2019-09-27 2023-09-06 Bard Access Systems, Inc. AUTOVANCE FEATURE OF AN INTRAOSSARY DEVICE
CN212879505U (zh) 2019-09-27 2021-04-06 巴德阿克塞斯系统股份有限公司 骨内进入装置
CN213156318U (zh) 2019-09-27 2021-05-11 巴德阿克塞斯系统股份有限公司 骨内进入装置
MX2022008713A (es) 2020-01-23 2022-08-11 Bard Access Systems Inc Sistema y metodo de estacion de acoplamiento de cateter divisible.
WO2021216521A1 (en) 2020-04-21 2021-10-28 Bard Access Systems , Inc. Reusable push-activated intraosseous access device
US11918767B2 (en) 2020-04-23 2024-03-05 Bard Access Systems, Inc. Rapidly insertable central catheters including catheter assemblies and methods thereof
KR20230013131A (ko) 2020-05-21 2023-01-26 바드 액세스 시스템즈, 인크. 카테터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신속 삽입 가능 중심 카테터 및 그 방법(rapidly insertable central catheters including catheter assemblies and methods thereof)
EP4287952A1 (en) 2021-02-08 2023-12-13 Bard Access Systems, Inc. Intraosseous modular power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00045A (en) * 1993-04-14 1994-04-05 Plassche Jr Walter M Interventional needle having an automatically capping stylet
US6203527B1 (en) * 1994-03-29 2001-03-20 Filiberto P. Zadini Bi-directional clamping guard for needle stick protection
US5683365A (en) * 1995-06-07 1997-11-04 Johnson & Johnson Medical, Inc. Tip protection device
US6749588B1 (en) * 1998-04-09 2004-06-15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Catheter and introducer needle assembly with needle shield
BRPI0107774B8 (pt) * 2000-11-21 2021-06-22 Becton Dickinson Co conjunto de agulha introdutora e catéter com proteção de agulha.
US6652486B2 (en) * 2001-09-27 2003-11-25 Medex, Inc. Safety catheter
WO2003051423A2 (en) * 2001-12-13 2003-06-26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Needle closure system removal device
DE60331944D1 (de) * 2002-11-07 2010-05-12 Specialized Health Prod Inc Sicherheitsschild für medizinische nadeln
US20050075609A1 (en) * 2003-10-01 2005-04-07 Latona Patrick C. Protective needle clips
CA2555068A1 (en) * 2004-02-13 2005-09-01 Smiths Medical Asd, Inc. Needle tip protector
US7112191B2 (en) 2004-06-15 2006-09-26 Neha Daga Needle safety device for an intravenous catheter apparatus and method of use
US8257313B2 (en) * 2006-08-11 2012-09-04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Integrated septum and needle tip shield for a catheter assembly
JP4848989B2 (ja) * 2007-03-27 2011-12-28 ニプロ株式会社 プロテクタ
DE202007009977U1 (de) * 2007-07-17 2007-11-08 Poly Medicure Ltd. Nadel-Sicherungseinrichtung für eine intravenöse Kathetervorrichtung
ATE484305T1 (de) * 2007-07-17 2010-10-15 Poly Medicure Ltd Nadelsicherheitsvorrichtung
CN104338206B (zh) * 2008-03-17 2018-04-03 波利医疗有限公司 针安全装置
ES2390025T3 (es) * 2008-05-28 2012-11-06 Poly Medicure Ltd. Introductor de catéter
US7785296B2 (en) * 2008-07-17 2010-08-31 Smiths Medical Asd, Inc. Needle tip spring protector
WO2010061405A2 (en) * 2008-11-28 2010-06-03 Malhotra Samarth Safely disposable i.v. cannula device
CH700159B1 (it) * 2008-12-30 2013-05-31 Tripomed S R L Dispositivo protettivo per ago.
US8936575B2 (en) * 2009-03-19 2015-01-20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Cannula-tip shielding mechanism
CN102639180B (zh) * 2009-09-22 2014-07-30 保利医疗用品有限公司 导管设备
EP2600925B9 (en) * 2010-08-05 2021-11-10 B. Braun Melsungen AG Needle safety device and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096092A (zh) 2017-08-29
EP3446740B1 (en) 2023-05-10
US10905857B2 (en) 2021-02-02
ES2552049T3 (es) 2015-11-25
JP6141299B2 (ja) 2017-06-07
AU2012335286B2 (en) 2015-03-05
US20180071494A1 (en) 2018-03-15
EP4233970A3 (en) 2023-10-11
JP2014532535A (ja) 2014-12-08
EP2776110B1 (en) 2015-10-14
CN103945894A (zh) 2014-07-23
EP3135333A1 (en) 2017-03-01
JP2017127751A (ja) 2017-07-27
EP2776110A1 (en) 2014-09-17
EP2974764A1 (en) 2016-01-20
EP4233970A2 (en) 2023-08-30
KR101785356B1 (ko) 2017-10-16
JP6553672B2 (ja) 2019-07-31
US10265508B2 (en) 2019-04-23
EP3446740A1 (en) 2019-02-27
DK2776110T3 (en) 2015-12-14
EP3135333B1 (en) 2018-08-22
US20140343497A1 (en) 2014-11-20
WO2013068856A1 (en) 2013-05-16
EP2974764B1 (en) 2016-10-19
SG11201402103QA (en) 2014-06-27
CN103945894B (zh) 2017-02-15
ZA201404085B (en) 2015-12-23
ES2688891T3 (es) 2018-11-07
AU2012335286A1 (en) 2014-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5356B1 (ko) 정맥 주사용 카테터 장치
US9636484B2 (en) Catheter apparatus
US8337471B2 (en) Needle safety device
RU2533844C2 (ru) Катетерное устройство
KR101893762B1 (ko) 개선된 안전수단을 가지는 카테테르 조립체
US10307572B2 (en) Needle safety device
EP2618884B1 (en) Needle tip guard for intravenous catheter assembly
US9125985B2 (en) Needle with protective cover memb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