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2048A - 패널 특성 평가 장치 및 패널 특성 평가 방법 - Google Patents

패널 특성 평가 장치 및 패널 특성 평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2048A
KR20140102048A KR1020130015462A KR20130015462A KR20140102048A KR 20140102048 A KR20140102048 A KR 20140102048A KR 1020130015462 A KR1020130015462 A KR 1020130015462A KR 20130015462 A KR20130015462 A KR 20130015462A KR 20140102048 A KR20140102048 A KR 201401020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fluid
stage
jig
vib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54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47379B1 (ko
Inventor
전은영
박순룡
정철우
정우석
김태은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154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7379B1/ko
Publication of KR201401020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20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73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73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7/00Vibration-testing of structures; Shock-testing of structures
    • G01M7/02Vibration-testing by means of a shake tabl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06Electronic inspection or testing of displays and display drivers, e.g. of LED or LCD displays

Abstract

패널 특성 평가 장치 및 패널 특성 평가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패널 특성 평가 장치는 유체가 저장되는 스테이지, 유체 상에 배치되며 유체의 상면을 커버하는 차단막, 패널을 홀드하는 지그로서, 상기 차단막 상에 상하 운동하도록 배치되어 홀드된 상기 패널이 상기 차단막과 접하거나 이격되도록 하는 지그, 스테이지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유체를 진동시키는 진동 발생 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패널 특성 평가 장치 및 패널 특성 평가 방법 {Apparatus and method for evaluating properties of panel}
본 발명은 패널 특성 평가 장치 및 패널 특성 평가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패널의 일부 또는 전부에 진동을 가하는 장치 및 그를 이용한 패널 특성 평가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의 발전에 따라, 시각적 정보를 표시하기 위하여 종래의 CRT(Cathode Ray Tube)를 대신하여, 여러 가지 평판 표시 장치가 주목을 받고 있으며, 이러한 평판 표시 장치들로는 PDP(Plasma Display Panel), FED(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LCD(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등이 있다.
이와 같은, 평판 표시 장치들은 일반적으로, 유리로 이루어진 두 개의 글래스 기판이 서로 대향하여 합착되고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복수의 화소(pixel)가 구비된 평판 표시 패널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그러나, 무겁고 깨지기 쉬우며 변형하기 힘든 유리로 이루어진 글래스(glass) 기판을 이용한 평판 표시 장치로는, 언제, 어디에서든지 원하는 화상 정보를 출력할 수 있도록 요구되고 있는 유비쿼터스 시대의 디스플레이를 구현하는 데에 한계를 가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플라스틱 기판과 같이, 가벼우면서도 가요성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진 기판을 사용한 플렉서블 표시장치(Flexible Display Device)의 개발이 활발해지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이에 부응하여 플렉서블 패널의 광학적 특성이나 기계적 신뢰성 평가를 위한 다양한 장치가 요구 되고 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진동을 발생시키고, 발생한 진동을 유체를 통해 패널에 전달하는 패널 특성 평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진동을 발생시키고, 발생한 진동을 유체를 통해 패널에 전달하는 패널 특성 평가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널 특성 평가 장치는 유체가 저장되는 스테이지, 유체 상에 배치되며 유체의 상면을 커버하는 차단막, 패널을 홀드하는 지그로서, 상기 차단막 상에 상하 운동하도록 배치되어 홀드된 상기 패널이 상기 차단막과 접하거나 이격되도록 하는 지그, 스테이지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유체를 진동시키는 진동 발생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다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패널 특성 평가 방법은 일정량의 유체를 저장하는 스테이지와 유체 상면을 커버하는 차단막을 준비하는 단계, 차단막 위에 패널을 배치하는 단계, 스테이지 하부에 배치된 진동 발생 부재로 진동을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적어도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즉, 패널에 진동을 가함으로써 패널의 특성 변화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패널의 특정 영역에 국소적으로 진동을 가할 수 있다.
또한, 진동의 세기나 방향을 제어하여 효율적인 실험을 진행할 수 있다.
또한, 벤딩되거나 굴곡이 있는 패널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널 특성 평가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널 특성 평가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스테이지 하부의 모습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널 특성 평가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그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패널 특성 평가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패널 특성 평가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요소간의 수직적 위치관계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에" 또는 "위에" 라는 표현은 발명 구성간 위치 관계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일 수 있으며, 각 구성들의 배치 또는 보는 각도에 따라 "하에" 또는 "아래에"로 해석될 수 있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배치 되어 있다는 것은 다른 구성요소와 접하며 그 위에 배치되는 것(on) 과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것(above) 및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구성요소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패널 틸트 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널 특성 평가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널 특성 평가 장치(100)는 유체(60)가 저장되는 스테이지(10), 유체(60) 상에 배치되며 유체(60)의 상면을 커버하는 차단막(20), 패널(p)을 홀드하는 지그(30)로서, 상기 차단막(20) 상에 상하 운동하도록 배치되어 홀드된 상기 패널(p)이 상기 차단막(20)과 접하거나 이격되도록 하는 지그(30), 스테이지(10)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유체(60)를 진동시키는 진동 발생 부재를 포함한다.
스테이지(10)는 유체(60)를 저장하는 공간을 제공한다. 스테이지(10)는 유체(60)를 저장하기 위한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바닥면과 바닥면으로부터 스테이지(10) 상부를 향해 돌출되는 측벽을 포함할 수 있다.
유체(60)는 진동이 전달되는 매개체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그 상태나 종류를 불문한다. 즉, 액체뿐만 아니라 기체도 사용될 수 있으며, 높은 점도를 갖는 겔(gel)도 사용될 수 있다.
유체(60) 상에는 유체(60)의 상면을 커버하는 차단막(20)이 배치된다. 차단막(20)은 스테이지(10)의 측벽과 연결되어 유체(60)의 상면을 커버할 수 있다. 차단막(20)은 차단막(20) 하부의 유체(60)가 차단막(20) 상부로 유출되는 것을 막으며, 패널(p)이 상기 유체(60)와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차단막(20)은 탄성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단막(20)은 고무, 실리콘, 우레탄 등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차단막(20)에 탄성을 부여할 수 있는 소재라면 차단막(20)의 재료로서 사용이 가능하다. 탄성 소재를 포함한 차단막(20)은 일정 압력하에서 변형될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뒤에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차단막(20) 상에는 패널(p)을 홀드하는 지그(30)가 배치된다.
패널(p)은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패널(p)은 LCD(liquid crystal display) 패널,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패널 및 기타 화면표시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플랫(flat)한 패널뿐만 아니라 곡면을 갖는 패널 또는 벤딩(bending), 폴딩(folding) 또는 롤링(rolling)이 가능한 플렉서블(flexible)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지그(30)는 패널(p)이 차단막(20)과 대향되도록 패널(p)을 홀드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지그(30)는 진공을 이용하여 패널(p)을 흡착시키거나 클램프를 이용하여 패널을 고정할 수 있다.
지그(30)는 패널(p)을 홀드한채로 상하 이동할 수 있다. 즉, 패널(p)과 차단막(20)을 접하게 하거나 패널(p)을 차단막(20)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시킬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널 특성 평가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널 특성 평가 장치(100)는 지그(30)를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패널(p)과 차단막(20)이 접한 상태에서 지그(30)를 더 하강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지그(30)가 차단막(20)에 가하는 압력으로 인해 차단막(20) 중 지그(30)와 중첩되는 영역을 포함하는 일부 영역이 유체(60)쪽으로 함몰될 수 있다. 각 구성요소간 수직적 위치관계에 대해서는 뒤에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차단막(20)이 함몰될 정도로 내려온 상태에서 지그(30)를 상부에서 고정하는 고정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고정 부재는 클램프(40)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고정 부재는 지그(30)를 고정할 뿐만 아니라 경우에 따라 지그(30) 상부에서 지그(30)를 눌러 차단막(20)에 압력을 가할 수도 있다.
도 3은 스테이지 하부의 모습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스테이지(10) 하부에 복수개의 진동 발생 부재(50)가 배치될 수 있다.
스테이지(10) 하부에는 유체(60)를 진동시킬 수 있는 진동 발생 부재(50)가 배치된다. 진동 발생 부재(50)는 진동을 발생시키며 진동 발생 부재(50)에 의해 발생한 진동이 유체(60)를 통해 패널(p)로 전달될 수 있다.
진동 발생 부재(50)는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될 수 있다. 진동 발생 부재(50)가 복수개인 경우 각각의 진동 발생 부재(50)를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널 특성 평가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복수개의 진동 발생 부재(50)중 일부만이 작동되어 패널(p)의 특정영역을 국소적으로 진동시키는 것을 볼 수 있다.
진동 발생 부재(50)는 패널(p)을 전체적으로 진동시킬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패널(p)의 특정영역을 국소적으로 진동시킬 수도 있다.
진동 발생 부재(50)는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자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유체(60)를 분사하는 분사 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이미 설명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로서 지칭하며, 중복 설명은 생략하거나 간략화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그의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패널(p)은 플렉서블(flexible)한 패널(p)인 점이 도 1의 실시예와 다른 점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패널(p)은 플랫(flat)한 패널뿐만 아니라 곡면을 갖는 패널 또는 벤딩이 가능한 플렉서블(flexible)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지그가 플렉서블 패널(p)을 홀드하는 경우, 패널(p)은 일정 각도 구부러진 벤딩부와 평탄한 플랫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패널 특성 평가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패널 특성 평가 장치(100)가 플렉서블(flexible) 패널(p)의 벤딩부를 국소적으로 진동시키는 점이 도 1의 실시예와 다른 점이다.
진동 발생 부재(50)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은 패널(p)을 전체적으로 진동시킬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패널(p)의 특정영역을 국소적으로 진동시킬 수도 있다. 패널이 플렉서블(flexible)패널인 경우에 벤딩부를 국소적으로 진동시켜 벤딩부의 내구성이나 신뢰성 등을 평가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패널 특성 평가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진동 발생 부재가 분사노즐(51)을 포함하는 점이 도 1의 실시예와 다른 점이다.
진동 발생 부재는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자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유체를 분사하는 분사 노즐(51)을 포함할 수 있다. 진동 발생 부재가 분사 노즐(51)인 경우 패널(p)의 특정 영역을 더욱 강하게 진동시킬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진동 발생 부재가 분사 노즐(51)인 경우 제어 수단은 분사노즐(51) 각각의 개폐를 조절하는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널 특성 평가 장치(100)는 유체(60)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 조절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온도 조절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경우 진동에 의한 패널(p)의 내구성 평가뿐만 아니라 주위 온도 변화에 따른 특성도 평가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요소들의 수직적 위치관계를 설명하고자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요소간의 수직적 위치관계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구성요소간 수직적 위치관계를 알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스테이지(10)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유체(60) 표면까지의 제1 거리(d1)의 최대값은 상기 스테이지(10)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패널(p)까지의 제2 거리(d2)의 최대값보다 클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거리의 최대값이 제2 거리의 최대값보다 큰 경우 유체(60)를 통해 전달되는 진동이 패널(p) 전 영역에 걸쳐 고루 도달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플렉서블 패널(p)로 예시하였지만 플랫(flat)한 패널(p)의 경우에도 이와 동일함은 자명하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널 특성 평가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널 특성 평가 방법은 일정량의 유체(60)를 저장하는 스테이지(10)와 유체(60) 상면을 커버하는 차단막(20)을 준비하는 단계, 차단막(20) 위에 패널(p)을 배치하는 단계, 스테이지(10) 하부에 배치된 진동 발생 부재(50)로 진동을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스테이지(10)는 유체(60)를 저장하는 공간을 제공한다. 스테이지(10)는 유체(60)를 저장하기 위한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바닥면과 바닥면으로부터 스테이지(10) 상부를 향해 돌출되는 측벽을 포함할 수 있다.
유체(60) 상에는 유체(60)의 상면을 커버하는 차단막(20)이 배치된다. 차단막(20)은 스테이지(10)의 측벽과 연결되어 유체(60)의 상면을 커버할 수 있다. 차단막(20)은 차단막(20) 하부의 유체(60)가 차단막(20) 상부로 유출되는 것을 막으며, 패널(p)이 상기 유체와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스테이지(10)와 차단막(20)이 준비되면 그 위에 패널(p)을 배치한다. 패널(p)의 배치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패널(p)을 홀드하는 지그(3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패널(p)이 배치되면 스테이지(10) 하부에 배치된 진동 발생 부재(50)가 진동을 발생시키고, 발생한 진동이 유체(60)를 통해 패널(p)에 전달될 수 있다. 진동 발생 부재(5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널 특성 평가 방법은 패널(p)의 특정 영역을 국소적으로 진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진동 발생 부재(50)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은 패널(p)을 전체적으로 진동시킬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패널(p)의 특정영역을 국소적으로 진동시킬 수도 있다. 패널(p)이 플렉서블(flexible)패널인 경우에 벤딩부를 국소적으로 진동시켜 벤딩부의 내구성이나 신뢰성 등을 평가할 수 있다.
진동 발생 부재(50)는 진동자 또는 분사 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진동 발생 부재가 분사 노즐(51)인 경우 패널(p)의 특정 영역을 더욱 강하게 진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널 특성 평가 방법은 패널(p)과 차단막(20)이 접한 상태에서 지그(30)를 더 하강시켜 차단막(20) 중 지그(30)와 중첩되는 영역을 포함하는 일부 영역을 함몰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에도 상기 스테이지(10)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유체(60) 표면까지의 제1 거리(d1)의 최대값은 상기 스테이지(10)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패널(p)까지의 제2 거리(d2)의 최대값보다 클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거리의 최대값이 제2 거리의 최대값보다 큰 경우 유체(60)를 통해 전달되는 진동이 패널(p) 전 영역에 걸쳐 고루 도달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플렉서블 패널(p)로 예시하였지만 플랫(flat)한 패널의 경우에도 이와 동일함은 자명하다. (도 8 참조)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스테이지
20: 차단막
30: 지그
p: 패널
40: 클램프
60: 유체
50: 진동 발생 부재
51; 분사 노즐

Claims (14)

  1. 유체가 저장되는 스테이지;
    상기 유체 상에 배치되며, 상기 유체의 상면을 커버하는 차단막;
    패널을 홀드하는 지그로서, 상기 차단막 상에 상하 운동하도록 배치되어 홀드된 상기 패널이 상기 차단막과 접하거나 이격되도록 하는 지그; 및
    상기 스테이지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유체를 진동시키는 진동 발생 부재를 포함하는 패널특성평가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막은 탄성 소재를 포함하고, 상기 패널이 상기 차단막에 접한 상태에서 상기 지그가 하강하면 그에 따라 상기 패널과 중첩된 부분을 포함한 상기 차단막의 일부 영역이 상기 유체쪽으로 함몰되는 패널특성평가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가 하강하여 상기 차단막이 함몰된 상태에서 상기 지그를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패널특성평가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은 상기 패널과 접하는 상기 지그의 형상에 따라 굽어지는 벤딩부를 포함하고 상기 진동 발생 부재에 의해 발생한 진동이 상기 벤딩부를 진동시키는 패널 특성 평가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은 플렉서블 패널을 포함하는 특성평가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발생 부재는 분사 방향 조절이 가능한 복수개의 분사 노즐을 포함하는 평가 장치.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 노즐 각각의 개폐를 조절하는 제어 수단을 더 포함하는 패널평가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 조절 장치를 더 포함하는 평가 장치.
  9. 일정량의 유체를 저장하는 스테이지와 스테이지 상에 배치되는 차단막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차단막 위에 패널을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스테이지 하부에 배치된 스테이지 하부에 배치된 진동 발생 부재로 진동을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패널 특성 평가 방법.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막에 접한 패널을 눌러 상기 패널과 중첩된 부분을 포함한 상기 차단막의 일부 영역을 일정 깊이 함몰시킨 후 이를 고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패널 특성 평가 방법.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지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유체 표면까지의 거리의 최대값은 상기 스테이지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패널까지의 거리의 최대값보다 큰 패널 특성 평가 방법.
  12.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발생 부재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사노즐을 포함하는 패널 특성 평가 방법.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노즐을 이용하여 패널의 특정 영역을 진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패널 특성 평가 방법.
  14.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은 벤딩부를 갖는 플렉서블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분사노즐은 상기 플렉서블 패널의 벤딩부를 진동시키는 패널 특성 평가 방법.
KR1020130015462A 2013-02-13 2013-02-13 패널 특성 평가 장치 및 패널 특성 평가 방법 KR1020473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5462A KR102047379B1 (ko) 2013-02-13 2013-02-13 패널 특성 평가 장치 및 패널 특성 평가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5462A KR102047379B1 (ko) 2013-02-13 2013-02-13 패널 특성 평가 장치 및 패널 특성 평가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2048A true KR20140102048A (ko) 2014-08-21
KR102047379B1 KR102047379B1 (ko) 2019-11-22

Family

ID=517470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5462A KR102047379B1 (ko) 2013-02-13 2013-02-13 패널 특성 평가 장치 및 패널 특성 평가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737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5159A (ko) * 2014-08-26 2016-03-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패널 평가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액정 표시 패널 평가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339A (ja) * 1983-06-03 1985-01-05 Japan Radio Co Ltd 水中振動印加検出装置
KR20070051424A (ko) 2005-11-15 2007-05-18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 패널 검사 장치
JP2007315929A (ja) * 2006-05-26 2007-12-06 Hitachi High-Tech Engineering Service Corp 液晶パネルの点灯検査装置及び点灯検査方法
US20130002583A1 (en) * 2011-06-30 2013-01-03 Jin Dong-Un Flexible display panel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flexible display panel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339A (ja) * 1983-06-03 1985-01-05 Japan Radio Co Ltd 水中振動印加検出装置
KR20070051424A (ko) 2005-11-15 2007-05-18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 패널 검사 장치
JP2007315929A (ja) * 2006-05-26 2007-12-06 Hitachi High-Tech Engineering Service Corp 液晶パネルの点灯検査装置及び点灯検査方法
US20130002583A1 (en) * 2011-06-30 2013-01-03 Jin Dong-Un Flexible display panel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flexible display pane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5159A (ko) * 2014-08-26 2016-03-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패널 평가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액정 표시 패널 평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7379B1 (ko) 2019-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914451B (zh) 层压装置和使用层压装置的层压方法
KR101468973B1 (ko) 플랙시블 디스플레이 필름 및 편광필름의 글라스 조립장치
EP2741128B1 (en) Display device with integrated flat panel speaker
US9616647B2 (en) Device for bonding window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CN100481322C (zh) 基板粘结方法和设备
KR20150116023A (ko) 라미네이트 장치
US20070031997A1 (en) Jig and vacuum equipment for surface adhesion and adhesion method using the vacuum operative adhesion
KR20190130105A (ko) 합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의 합착 방법
CN105810103A (zh) 柔性显示装置、显示装置和设备
KR20150133918A (ko) 표시장치
KR20160106829A (ko) 영상 표시 장치
KR20160004457A (ko) 합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곡면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275228B1 (ko) 타일형 표시 장치
CN106708335A (zh) 一种触控结构、触控显示装置及其触控检测方法
KR102070184B1 (ko) 지그, 이를 포함하는 유연 패널의 신뢰성 평가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유연 패널 벤딩 방법
KR20160061481A (ko) 표시 장치
KR101494757B1 (ko) 기판 지지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기판 처리 장치
KR20140102048A (ko) 패널 특성 평가 장치 및 패널 특성 평가 방법
KR101841285B1 (ko) 평판표시장치 및 평판표시장치 제조방법
KR20140123832A (ko) 패널 합착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JP2020095146A (ja) 表示装置
CN1762786A (zh) 使用具有非平坦部分的背板保护微机电系统阵列的系统和方法
KR101552397B1 (ko) 패널 접착 방법 및 패널 접착 장치
KR101426614B1 (ko) 합착 장치
US20080054786A1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