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6829A - 영상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영상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6829A
KR20160106829A KR1020150029221A KR20150029221A KR20160106829A KR 20160106829 A KR20160106829 A KR 20160106829A KR 1020150029221 A KR1020150029221 A KR 1020150029221A KR 20150029221 A KR20150029221 A KR 20150029221A KR 20160106829 A KR20160106829 A KR 201601068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panel
circuit board
flexible circuit
disposed
buffer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92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75318B1 (ko
Inventor
김민섭
박순성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292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5318B1/ko
Priority to US14/850,924 priority patent/US9798414B2/en
Priority to CN201610101857.1A priority patent/CN105938405B/zh
Publication of KR201601068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68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53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53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8Input devices, e.g. touch pan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3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associated to a digitizer, e.g. laptops that can be used as penpads
    • H01L27/32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45Mounting of picture tube on chassis or in hou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2Flexible digitiser, i.e. constructional details for allowing the whole digitising part of a device to be flexed or rolled like a sheet of paper

Abstract

영상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을 구동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를 상기 표시 패널에 연결하는 연성 회로 기판, 상기 표시 패널 및 제1 방향에서 상기 표시 패널의 일측에 인접한 연성 회로 기판의 소정의 영역과 오버랩되도록 상기 표시 패널의 하부에 배치된 완충 부재, 및 상기 제1 방향에서 상기 완충 부재의 일측의 소정의 영역과 오버랩되도록 상기 완충 부재의 하부에 배치된 제1 접착 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영상 표시 장치{IMAGE 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영상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연성 회로 기판의 들뜸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영상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에게 영상을 제공하는 스마트 폰, 스마트 워치, 디지털 카메라, 노트북 컴퓨터, 네비게이션, 및 스마트 텔레비젼 등의 전자기기는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영상 표시 장치를 포함한다. 영상 표시 장치는 영상을 생성하여 표시하는 표시 패널 및 표시 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를 포함한다.
표시 패널로서 액정 표시 패널(liquid crystal display panel), 유기 발광 표시 패널(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전기 습윤 표시 패널(electro Wetting display panel), 및 전기 영동 표시 패널(Electrophoretic Display panel) 등 다양한 표시 패널이 사용되고 있다.
표시 패널을 구동하는 구동부는 연성 회로 기판에 실장되어 표시 패널에 연결될 수 있다. 구동부는 연성 회로 기판의 일측에 실장되고, 연성 회로 기판의 타측이 표시 패널에 연결될 수 있다. 연성 회로 기판의 일측이 표시 패널의 후방에 배치되도록 벤딩됨으로써 구동부가 표시 패널의 후방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연성 회로 기판의 들뜸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영상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을 구동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를 상기 표시 패널에 연결하는 연성 회로 기판, 상기 표시 패널 및 제1 방향에서 상기 표시 패널의 일측에 인접한 연성 회로 기판의 소정의 영역과 오버랩되도록 상기 표시 패널의 하부에 배치된 완충 부재, 및 상기 제1 방향에서 상기 완충 부재의 일측의 소정의 영역과 오버랩되도록 상기 완충 부재의 하부에 배치된 제1 접착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완충 부재는, 상기 표시 패널과 오버랩되도록 배치된 제1 완충 부재 및 상기 제1 방향에서 상기 제1 완충 부재의 일측의 소정의 영역에서 돌출된 제2 완충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완충 부재는 상기 제1 방향에서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일측에 인접한 연성 회로 기판의 소정의 영역과 오버랩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에서 상기 제2 완충 부재의 길이는 상기 연성 회로 기판의 길이보다 크거나 같다.
상기 제1 접착 부재는, 상기 제1 방향에서 상기 제1 완충 부재의 상기 일측의 소정의 영역과 오버랩되도록 배치된 제1 테이프, 상기 제1 방향에서 상기 제1 테이프의 일측의 소정의 영역에서 돌출되어 상기 제2 완충 부재와 오버랩되도록 배치된 제2 테이프, 및 상기 제1 테이프의 소정의 영역을 관통하여 형성된 오픈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2 테이프는 평면상에서 상기 제2 완충 부재와 동일한 크기를 갖는다.
상기 연성 회로 기판은 벤딩되고, 상기 제1 방향에서 상기 연성 회로 기판의 일측의 소정의 영역은 상기 제1 및 제2 테이프들의 하면에 부착되고, 상기 연성 회로 기판의 타측의 소정의 영역은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일측의 상면의 소정의 영역에 연결된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1 방향에서 상기 연성 회로 기판의 상기 일측에 인접한 상기 연성 회로 기판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오픈부에 삽입된다.
상기 제2 완충 부재 및 상기 제2 테이프는 상기 연성 회로 기판이 벤딩된 영역으로 정의되는 곡률부에 인접하도록 연장된다.
상기 제1 방향에서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일측과 상기 곡률부 사이의 연성 회로 기판의 하부에 배치된 레진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1 접착 부재는 양면 테이프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 패널의 상부에 배치된 윈도우, 상기 윈도우와 상기 표시 패널 사이에 배치되고,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하여 입력 신호로서 상기 구동부에 제공하는 터치 패널, 상기 윈도우와 상기 터치 패널을 접착하는 제2 접착 부재, 상기 터치 패널과 상기 표시 패널을 접착하는 상기 제3 접착 부재, 및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완충 부재를 접착하는 제4 접착 부재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2 및 제3 접착 부재들은 광학 투명 접착제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 패널 및 상기 터치 패널은 가요성을 갖는다.
상기 완충 부재는 소정의 탄성력을 갖는다.
본 발명의 표시 장치는 연성 회로 기판의 들뜸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표시 패널에 배치되는 화소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표시 패널의 일부를 상부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제1 접착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I-I'선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의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또는 층의 바로 위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소자가 "직접 위(directly on)" 또는 "바로 위"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소자 또는 층을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 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비록 제 1, 제 2 등이 다양한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을 다른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과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 1 소자, 제 1 구성요소 또는 제 1 섹션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 2 소자, 제 2 구성요소 또는 제 2 섹션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개략도인 평면도 및 단면도를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개략적인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소자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고,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표시 패널에 배치되는 화소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표시 패널의 일부를 상부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제1 접착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100)는 윈도우(110), 터치 패널(120), 표시 패널(130), 구동부(140), 연성 회로 기판(150), 완충 부재(160), 및 제1 접착 부재(170)를 포함한다.
윈도우(110)은 터치 패널(120)의 상부에 배치되어 외부의 스크레치(scratch)로부터 터치 패널(120)을 보호한다. 영상 표시 장치(100)가 터치 기능을 포함하지 않을 경우, 터치 패널(120)은 영상 표시 장치(100)에 사용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윈도우(110)은 표시 패널(130)의 상부에 배치되어 표시 패널(130)을 보호한다.
윈도우(110)의 평면상의 크기는 터치 패널(120) 및 표시 패널(130)보다 크다. 윈도우(110), 터치 패널(120), 및 표시 패널(130)은 제1 방향(DR1)으로 장변을 갖고 제1 방향(DR1)과 교차하는 제2 방향(DR2)으로 단변을 가질 수 있다.
터치 패널(120)은 표시 패널(130)의 상부에 배치된다. 터치 패널(120)은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는 입력 장치이다. 사용자의 손이나 터치 펜 등의 입력 도구가 화면에 접촉될 경우, 터치 패널(120)에서 표시 패널(130)로 입력 신호가 제공된다. 예를 들어, 터치 패널(120)에서 감지된 입력 신호는 구동부(140)에 제공되고, 구동부(140)는 입력 신호에 응답해서, 표시 패널(130)이 입력 신호에 해당하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표시 패널(130)을 제어한다.
터치 패널(120)을 구현하기 위한 방식으로서 저항막 방식(Resistive Overlay), 정전용량 방식(Capacitive Overlay), 표면 초음파 방식(Surface Acoustic Wave), 및 적외선 방식(Infrared) 등이 사용되고 있다.
표시 패널(130)은 영상을 생성한다. 표시 패널(130)에서 생성된 영상은 윈도우(110)을 투과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표시 패널로서 액정 표시 패널(liquid crystal display panel), 유기 발광 표시 패널(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전기 습윤 표시 패널(electro Wetting display panel), 및 전기 영동 표시 패널(Electrophoretic Display panel) 등 다양한 표시 패널이 사용될 수 있다.
구동부(140)는 제1 방향(DR1)에서 연성 회로 기판(150)의 일측에 인접한 연성 회로 기판(150)의 하부의 소정의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구동부(140)는 집적 회로 칩의 형태로 연성 회로 기판(150)에 실장될 수 있다. 제1 방향(DR1)에서 연성 회로 기판(150)의 타측의 소정의 영역은 표시 패널(130)의 일측의 상면의 소정의 영역에 연결된다.
구동부(140)는 연성 회로 기판(150)을 통해 표시 패널(130)에 연결되어 표시 패널(130)을 구동하기 위한 제어 신호 및 영상 신호들을 표시 패널(130)에 제공한다. 표시 패널(130)은 구동부(140)로부터 제공받은 제어 신호 및 영상 신호들에 의해 구동되어 영상을 표시한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연성 회로 기판(150)에 배치된 배선들에 의해 구동부(140)와 표시 패널(130)이 연결된다. 또한, 표시 패널(130)은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복수의 화소들을 포함한다. 화소들은 구동부(140)로부터 제공받은 영상 신호들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표시 패널(130)이 유기 발광 표시 패널일 경우, 표시 패널(130)의 각 화소의 구성은 도 2에 도시된 화소(PX)의 구성을 갖는다.
도 2를 참조하면, 화소(PX)는 유기 발광 소자(OLED) 및 유기 발광 소자(OLED)를 구동하기 위한 트랜지스터(TR)를 포함한다. 트랜지스터(TR)는 구동부(140)로부터 제공받은 제어 신호에 의해 구동된다.
구체적으로, 기판(131) 상에 트랜지스터(TR)가 배치된다. 기판(131)은 유리, 석영, 및 세라믹 등으로 만들어진 투명한 절연성 기판으로 형성되거나, 플라스틱 등으로 만들어진 투명한 플렉서블 기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기판(131)은 스테인리스 강 등으로 이루어진 금속성 기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기판(131)이 플렉서블 기판으로 형성될 경우, 표시 패널(130)은 가요성을 갖는 플렉서블 표시 패널(130)일 수 있다. 또한, 터치 패널(120)은 가요성을 갖는 기판 상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손이나 터치 펜 등의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 소자들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터치 패널(120)일 수 있다.
영상 표시 장치(100)는 플렉서블 터치 패널(120) 및 플렉서블 표시 패널(130)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영상 표시 장치일 수 있다.
기판(131) 상에 트랜지스터(TR)의 반도체층(SM)이 배치된다. 반도체 층(SM)은 아모포스 실리콘 또는 폴리 실리콘과 같은 무기 재료의 반도체나 유기 반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반도체 층(SM)은 산화물 반도체(oxide semiconductor)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반도체 층(SM)은 소스 영역, 드레인 영역, 및 소스 영역과 드레인 영역 사이의 채널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반도체 층(SM)을 덮도록 기판(131) 상에 제1 절연막(132)이 배치된다. 제1 절연막(132)은 무기 물질을 포함하는 무기 절연막일 수 있다.
제1 절연막(132) 상에는 반도체층(SM)과 오버랩되는 트랜지스터(TR)의 게이트 전극(GE)이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게이트 전극(GE)은 반도체층(SM)의 채널 영역과 오버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게이트 전극(GE)은 트랜지스터(TR)에 온/오프 신호를 인가하는 게이트 라인(미도시)과 연결된다.
게이트 전극(GE)을 덮도록 제1 절연막(132) 상에 제2 절연막(133)이 배치된다. 제2 절연막(133)은 층간 절연막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제2 절연막(133)은 무기물질을 포함하는 무기 절연막일 수 있다.
제2 절연막(133) 상에 트랜지스터(TR)의 소스 전극(SE) 및 드레인 전극(DE)이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소스 전극(SE)은 제1 절연막(132) 및 제2 절연막(133)을 관통하여 형성된 제1 컨택 홀(H1)을 통해 반도체층(SM)의 소스 영역에 연결될 수 있다. 드레인 전극(DE)은 제1 절연막(132) 및 제2 절연막(133)을 관통하여 형성된 제2 컨택 홀(H2)을 통해 반도체층(SM)의 드레인 영역에 연결될 수 있다.
트랜지스터(TR)의 소스 전극(SE) 및 드레인 전극(DE)을 덮도록 제2 절연막(133) 상에 제3 절연막(134)이 배치된다. 제3 절연막(134)은 유기 물질을 포함하는 유기 절연막일 수 있다.
제3 절연막(134) 상에는 유기 발광 소자(OLED)의 제1 전극(E1)이 배치된다. 제1 전극(E1)은 제3 절연막(134)을 관통하여 형성된 제3 컨택홀(H3)을 통해 트랜지스터(TR)의 드레인 전극(DE)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전극(E1)은 화소 전극 또는 애노드 전극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제1 전극(E1)은 투명 전극 또는 반사형 전극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전극(E1) 및 제3 절연막(134) 상에 제1 전극(E1)의 소정의 영역을 노출시키는 화소 정의막(PDL)이 배치된다. 화소 정의막(PDL)은 제1 전극(E1)의 소정의 영역을 노출시키는 제1 오픈부(OP1)를 포함한다. 제1 오픈부(OP1)가 배치된 영역은 화소 영역(PA)으로 정의된다.
제1 오픈부(OP1) 내에서 제1 전극(E1) 상에 유기 발광층(OEL)이 배치된다. 유기 발광층(OEL)은 적색, 녹색, 및 청색 중 어느 하나의 광을 생성할 수 있는 유기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유기 발광층(OEL)은 적색, 녹색, 및 청색 중 어느 하나의 광을 생성할 수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유기 발광층(OEL)은 적색, 녹색, 및 청색을 생성하는 유기 물질들의 조합에 의해 백색광을 생성할 수도 있다.
유기 발광층(OEL)은 각각 저분자 유기물 또는 고분자 유기물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유기 발광층(OEL)은 정공 주입층(Hole Injection Layer, HIL), 정공 수송층(Hole Transpoting Layer, HTL), 발광층(Emission Layer:EML), 전자 수송층(Electron Transporting Layer, ETL) 및 전자 주입층(Electron Injection Layer, EIL)을 포함하는 다중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 예로서 정공 주입층이 제1 전극(E1) 상에 배치되고, 정공 주입층 상에 정공 수송층, 발광층, 전자 수송층, 전자 주입층이 차례로 적층될 수 있다.
화소 정의막(PDL) 및 유기 발광층(OEL) 상에 제2 전극(E2)이 배치된다. 제2 전극(E2)은 공통 전극 또는 캐소드 전극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제2 전극(E2)은 투명 전극 또는 반사형 전극으로 형성될 수 있다.
표시 패널(130)이 전면 발광형 유기발광 표시패널일 경우, 제1 전극(E1)은 반사형 전극으로 형성되고, 제2 전극(E2)은 투명 전극으로 형성될 수 있다. 표시 패널(130)이 후면 발광형 유기 발광 표시패널일 경우 제1 전극(E1)은 투명 전극으로 형성되고, 제2 전극(E2)은 반사형 전극으로 형성될 수 있다.
화소 영역(PA)에서 제1 전극(E1), 유기 발광층(OEL), 및 제2 전극(E2)에 의해 유기 발광 소자(OLED)가 형성된다. 즉, 유기 발광 소자(OLED)는 화소 영역(PA)에 형성되고, 화소 영역(PA)에서 제1 전극(E1), 유기 발광층(OEL), 및 제2 전극(E2)을 포함한다.
제1 전극(E1)은 정공 주입 전극인 양극이며, 제2 전극(E2)은 전자 주입 전극인 음극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유기발광 표시패널의 구동 방법에 따라 제1 전극(E1)은 음극이고, 제2 전극(E2)은 양극일 수 있다.
트랜지스터(TR)에 의해 유기 발광 소자(OLED)의 유기 발광층(OEL)을 발광시키기 위한 구동 전원이 제1 전극(E1)에 인가되고, 구동 전원과 반대 극성의 전원이 제2 전극(E2)에 인가된다. 제1 전극(E1)에 인가되는 구동 전원은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전원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유기 발광층(OEL)에 주입된 정공과 전자가 결합하여 여기자(exciton)가 형성되고, 여기자가 바닥 상태로 전이하면서 유기발광소자(OLED)가 발광 된다. 유기발광소자(OLED)는 전류의 흐름에 따라 적색, 녹색, 및 청색의 빛을 발광하여 소정의 화상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표시 패널(130)의 하부에 완충 부재(160)가 배치된다. 완충 부재(160)는 표시 패널(130) 및 제1 방향(DR1)에서 표시 패널(130)의 일측에 인접한 연성 회로 기판(150)의 소정의 영역과 오버랩 되도록 배치된다.
완충 부재(160)는 소정의 탄성력을 갖고, 표시 패널(130)의 후면을 보호한다. 예시적으로 완충 부재(160)는 스펀지 등과 같은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완충 부재(160)는 제1 완충부재(161) 및 제1 방향(DR1)에서 제1 완충 부재(161)의 일측의 소정의 영역에서 돌출된 제2 완충 부재(162)를 포함한다. 제1 완충 부재(161)는 표시 패널(130)과 오버랩되도록 표시 패널(130)의 후면에 배치된다. 제2 완충 부재(162)는 제1 방향(DR1)에서 표시 패널(130)의 일측에 인접한 연성 회로 기판(150)의 소정의 영역과 오버랩 되도록 배치된다.
제2 방향(DR2)에서 제2 완충 부재(162)의 길이는 연성 회로 기판(150)의 길이보다 클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2 완충 부재(162)의 길이는 연성 회로 기판(150)의 길이와 같을 수 있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1 접착 부재(170)는 완충 부재(160)의 하부에 배치된다. 제1 접착 부재(170)는 제1 방향(DR1)에서 완충 부재(160)의 일측의 소정의 영역과 오버랩되도록 배치된다. 제1 접착 부재(170)는 양면 테이프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접착 부재(170)는 제1 테이프(171), 제1 방향(DR1)에서 제1 테이프(171)의 일측의 소정의 영역에서 돌출된 제2 테이프(172), 및 제1 테이프(171)의 소정의 영역을 관통하여 형성된 오픈부(OP)를 포함한다.
제1 테이프(171)는 제1 방향(DR1)에서 제1 완충 부재(161)의 일측의 소정의 영역과 오버랩되도록 배치된다. 제2 테이프(172)는 제2 완충 부재(162)와 오버랩되도록 배치된다. 제2 테이프(172)는 평면상에서 제2 완충 부재(162)와 동일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연성 회로 기판(150)이 벤딩될 경우, 연성 회로 기판(150)에 배치된 구동부(140)는 오픈부(OP)에 삽입된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영상 표시 장치(100)는 터치 패널(120), 표시 패널(130), 완충 부재(160), 및 제1 접착 부재(170)를 수용하는 하부 케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윈도우(110)는 터치 패널(120), 표시 패널(130), 완충 부재(160), 및 제1 접착 부재(170)가 수용된 하부 케이스의 상부를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I-I'선의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윈도우(110)와 터치 패널(120)은 제2 접착 부재(10)에 의해 서로 접착된다. 제2 접착 부재(10)는 윈도우(110)와 터치 패널(120) 사이에 배치되어, 윈도우(110)의 하면과 터치 패널(120)의 상면을 접착하여 연결한다.
터치 패널(120)과 표시 패널(130)은 제3 접착 부재(20)에 의해 서로 접착된다. 제3 접착 부재(20)는 터치 패널(120)과 표시 패널(130) 사이에 배치되어, 터치 패널(120)의 하면과 표시 패널(130)의 상면을 접착하여 연결한다.
제3 접착 부재(20)는 제1 방향(DR1)에서 표시 패널(130)의 일측의 소정의 영역에 연결된 연성 회로 기판(150)의 타측의 소정의 영역을 덮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제3 접착 부재(20)는 연성 회로 기판(150)의 타측의 소정의 영역을 터치 패널(120)에 접착할 수 있다.
제2 및 제3 접착 부재들(10,20)은 자외선 경화성 수지일 수 있다. 제2 및 제3 접착 부재들(10,20)은 광학 투명 접착제(Optically Clear Adhesive: OCA)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130)과 완충 부재(160)는 제4 접착 부재에 의해 서로 접착된다. 완충 부재(160)는 제4 접착 부재(30)에 의해 표시 패널(130)의 하면에 접착되어 연결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완충 부재(161)은 표시 패널(130)과 오버랩되도록 배치된다. 제2 완충 부재(162)는 제1 방향에서(DR1)에서 표시 패널(130)보다 외부로 연장되어 표시 패널(130)의 일측에 인접한 연성 회로 기판(150)의 소정의 영역과 오버랩되도록 배치된다.
제1 접착 부재(170)의 상면은 제1 방향에서 완충 부재(160)의 일측의 소정의 영역과 오버랩되도록 배치되어 완충 부재(160)의 일측의 소정의 영역에 접착된다.
연성 회로 기판(150)은 벤딩되고, 제1 방향(DR1)에서 연성 회로 기판(150)의 일측의 소정의 영역은 제1 접착 부재(170)의 하부에 배치된다. 연성 회로 기판(150)의 일측의 소정의 영역은 제1 접착 부재(170)와 오버랩되도록 배치되어 제1 접착 부재(170)의 하부에 접착된다. 이러한 경우, 연성 회로 기판(150)에 배치된 구동부(140)는 제1 접착 부재(170)의 오픈부(OP)에 삽입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테이프(172)는 제2 완충 부재(162)와 오버랩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제2 테이프(172)는 제1 방향에서(DR1)에서 표시 패널(130)보다 외부로 연장되어 표시 패널(130)의 일측에 인접한 연성 회로 기판(150)의 소정의 영역과 오버랩되도록 배치된다.
이하, 벤딩된 연성 회로 기판(150)의 벤딩 영역은 곡률부(CP)라 칭한다. 즉, 곡률부(CP)는 연성 회로 기판(150)이 벤딩되어 곡률을 형성하는 영역으로 정의된다. 또한, 제2 테이프(172)의 하면에 접착되는 연성 회로 기판(150)의 영역은 제1 영역(A1)이라 칭한다.
제1 방향(DR1)에서 표시 패널(130)의 일측과 곡률부(CP) 사이의 연성 회로 기판(150)의 하부에 레진(R)이 배치될 수 있다. 레진(R)은 접착 부재로서 자외선 경화성 레진일 수 있다. 레진(R)은 표시 패널(130)의 일측과 곡률부(CP) 사이의 연성 회로 기판(150)의 하면에 배치된 배선을 커버하여 보호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완충 부재(160) 및 제1 접착 부재(170)가 제2 완충 부재(162) 및 제2 테이프(172)를 포함하지 않을 경우, 연성 회로 기판(150)의 제1 영역(A1)까지 곡률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은 연성 회로 기판(150)이 소정의 복원력을 갖기 때문에 발생된다. 이러한 경우, 제1 영역(A1)에 인접한 제1 테이프(171)의 소정의 영역에 접착되어야 할 연성 회로 기판(150)의 소정의 영역이 제1 테이프(171)에 부착되지 않고 들뜰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1 방향에서(DR1)에서 표시 패널(130)보다 외부로 연장된 제2 완충 부재(162) 및 제2 테이프(172)는 벤딩된 연성 회로 기판(150)의 곡률부(CP)에 인접하도록 연장된다. 따라서, 제1 완충 부재(161) 및 제1 테이프(171)로부터 연장된 제2 완충 부재(162) 및 제2 테이프(172)가 연성 회로 기판(150)의 제1 영역(A1)에 오버랩되도록 배치된다.
제2 완충 부재(162)의 하면에 제2 테이프(172)가 견고하게 접착되고, 제2 테이프(172)의 하면에 연성 회로 기판(150)의 제1 영역(A1)이 견고하게 접착된다. 연성 회로 기판(150)의 제1 영역(A1)이 제2 테이프(172)에 접착되므로, 연성 회로 기판(150)의 제1 영역(A1)은 곡률로 형성되지 않는다. 따라서, 연성 회로 기판(150)의 들뜸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100)는 연성 회로 기판(150)의 들뜸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I-I'선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영상 표시 장치(200)는 레진(R), 완충 부재(160), 및 제1 접착 부재(170)의 구성을 제외하면 도 5에 도시된 영상 표시 장치(100)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이하, 도 5에 도시된 영상 표시 장치(100)의 구성과 다른 구성이 설명될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완충 부재(160)는 표시 패널(130)과 오버랩되도록 표시 패널(130)의 하부에 배치된다. 제1 접착 부재(170)는 제1 방향(DR1)에서 완충 부재(160)의 일측의 소정의 영역과 오버랩되도록 완충 부재(160)의 하부에 배치된다. 즉, 도 5에 도시된 제2 완충 부재(162) 및 제2 테이프(172)가 도 6에 도시된 영상 표시 장치(200)에서 사용되지 않는다.
연성 회로 기판(150)은 벤딩되고, 제1 방향(DR1)에서 연성 회로 기판(150)의 일측의 소정의 영역은 제1 접착 부재(170)의 하면에 부착된다. 제1 방향(DR1)에서 연성 회로 기판(150)의 타측의 소정의 영역은 표시 패널(130)의 일측의 상면의 소정의 영역에 연결된다.
제1 접착 부재(170)는 제1 접착 부재(170)의 소정의 영역을 관통하여 형성된 오픈부(OP)를 포함한다. 구동부(140)는 연성 회로 기판(170)의 일측에 인접한 연성 회로 기판(170)의 하부에 배치되어 오픈부(OP)에 삽입된다.
레진(R)은 제1 방향(DR1)에서 표시 패널(130), 완충 부재(160), 및 제1 접착 부재(170) 각각의 일측부터 표시 패널(130), 완충 부재(160), 및 제1 접착 부재(170) 각각의 일측에 인접한 연성 회로 기판(150)의 소정의 영역까지 배치된다.
레진(R)은 곡률부(CP)에 인접하는 연성 회로 기판(150)의 영역까지 배치될 수 있다. 즉, 레진(R)은 연성 회로 기판(150)의 제1 영역(A1)과 오버랩되도록 배치된다. 연성 회로 기판(150)의 제1 영역(A1)이 레진(R)에 접착된다.
연성 회로 기판(150)의 제1 영역(A1)이 레진(R)에 접착되므로, 연성 회로 기판(150)의 제1 영역(A1)은 곡률로 형성되지 않는다. 따라서, 연성 회로 기판(150)의 들뜸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200)는 연성 회로 기판(150)의 들뜸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고,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 및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영상 표시 장치 110: 윈도우
120: 터치 패널 130: 표시 패널
140: 구동부 150: 연성 회로 기판
160: 완충 부재 170: 제1 접착 부재
161,162: 제1 및 제2 완충 부재 171,172: 제1 및 제2 테이프
10, 20, 30: 제2, 제3, 및 제4 접착 부재
CP: 곡률부 OP: 오픈부

Claims (20)

  1.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을 구동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를 상기 표시 패널에 연결하는 연성 회로 기판;
    상기 표시 패널 및 제1 방향에서 상기 표시 패널의 일측에 인접한 연성 회로 기판의 소정의 영역과 오버랩되도록 상기 표시 패널의 하부에 배치된 완충 부재; 및
    상기 제1 방향에서 상기 완충 부재의 일측의 소정의 영역과 오버랩되도록 상기 완충 부재의 하부에 배치된 제1 접착 부재를 포함하는 영상 표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 부재는,
    상기 표시 패널과 오버랩되도록 배치된 제1 완충 부재; 및
    상기 제1 방향에서 상기 제1 완충 부재의 일측의 소정의 영역에서 돌출된 제2 완충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완충 부재는 상기 제1 방향에서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일측에 인접한 연성 회로 기판의 소정의 영역과 오버랩되도록 배치되는 표시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에서 상기 제2 완충 부재의 길이는 상기 연성 회로 기판의 길이보다 크거나 같은 표시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착 부재는,
    상기 제1 방향에서 상기 제1 완충 부재의 상기 일측의 소정의 영역과 오버랩되도록 배치된 제1 테이프;
    상기 제1 방향에서 상기 제1 테이프의 일측의 소정의 영역에서 돌출되어 상기 제2 완충 부재와 오버랩되도록 배치된 제2 테이프; 및
    상기 제1 테이프의 소정의 영역을 관통하여 형성된 오픈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테이프는 평면상에서 상기 제2 완충 부재와 동일한 크기를 갖는 표시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연성 회로 기판은 벤딩되고, 상기 제1 방향에서 상기 연성 회로 기판의 일측의 소정의 영역은 상기 제1 및 제2 테이프들의 하면에 부착되고, 상기 연성 회로 기판의 타측의 소정의 영역은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일측의 상면의 소정의 영역에 연결되는 표시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1 방향에서 상기 연성 회로 기판의 상기 일측에 인접한 상기 연성 회로 기판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오픈부에 삽입되는 표시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완충 부재 및 상기 제2 테이프는 상기 연성 회로 기판이 벤딩된 영역으로 정의되는 곡률부에 인접하도록 연장되는 표시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에서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일측과 상기 곡률부 사이의 연성 회로 기판의 하부에 배치된 레진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착 부재는 양면 테이프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의 상부에 배치된 윈도우;
    상기 윈도우와 상기 표시 패널 사이에 배치되고,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하여 입력 신호로서 상기 구동부에 제공하는 터치 패널;
    상기 윈도우와 상기 터치 패널을 접착하는 제2 접착 부재;
    상기 터치 패널과 상기 표시 패널을 접착하는 상기 제3 접착 부재; 및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완충 부재를 접착하는 제4 접착 부재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및 제3 접착 부재들은 광학 투명 접착제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 및 상기 터치 패널은 가요성을 갖는 표시 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 부재는 소정의 탄성력을 갖는 표시 장치.
  15.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을 구동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를 상기 표시 패널에 연결하는 연성 회로 기판;
    상기 표시 패널과 오버랩되도록 상기 표시 패널의 하부에 배치된 완충 부재;
    상기 제1 방향에서 상기 완충 부재의 일측의 소정의 영역과 오버랩되도록 상기 완충 부재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1 접착 부재; 및
    상기 제1 방향에서 상기 표시 패널, 상기 완충 부재, 및 상기 제1 접착 부재 각각의 일측부터 상기 표시 패널, 상기 완충 부재, 및 상기 제1 접착 부재 각각의 일측에 인접한 연성 회로 기판의 소정의 영역까지 배치되는 레진을 포함하는 영상 표시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연성 회로 기판은 벤딩되고, 상기 제1 방향에서 상기 연성 회로 기판의 일측의 소정의 영역은 상기 제1 접착 부재의 하면에 부착되고, 상기 연성 회로 기판의 타측의 소정의 영역은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일측의 상면의 소정의 영역에 연결되는 표시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착 부재는 상기 제1 접착 부재의 소정의 영역을 관통하여 형성된 오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1 방향에서 상기 연성 회로 기판의 상기 일측에 인접한 상기 연성 회로 기판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오픈부에 삽입되는 표시 장치.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레진은 상기 연성 회로 기판이 벤딩된 영역으로 정의되는 곡률부에 인접하는 연성 회로 기판의 영역까지 배치되는 표시 장치.
  19.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의 상부에 배치된 윈도우;
    상기 윈도우와 상기 표시 패널 사이에 배치되고,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하여 입력 신호로서 상기 구동부에 제공하는 터치 패널;
    상기 윈도우와 상기 터치 패널을 접착하는 제2 접착 부재;
    상기 터치 패널과 상기 표시 패널을 접착하는 제3 접착 부재; 및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완충 부재를 접착하는 제4 접차 부재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 및 상기 터치 패널은 가요성을 갖고, 상기 완충 부재는 소정의 탄성력을 갖는 표시 장치.
KR1020150029221A 2015-03-02 2015-03-02 영상 표시 장치 KR1022753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9221A KR102275318B1 (ko) 2015-03-02 2015-03-02 영상 표시 장치
US14/850,924 US9798414B2 (en) 2015-03-02 2015-09-10 Image display apparatus
CN201610101857.1A CN105938405B (zh) 2015-03-02 2016-02-24 图像显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9221A KR102275318B1 (ko) 2015-03-02 2015-03-02 영상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6829A true KR20160106829A (ko) 2016-09-13
KR102275318B1 KR102275318B1 (ko) 2021-07-13

Family

ID=568504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9221A KR102275318B1 (ko) 2015-03-02 2015-03-02 영상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798414B2 (ko)
KR (1) KR102275318B1 (ko)
CN (1) CN105938405B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53664B2 (en) 2017-07-14 2020-02-04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S10615241B2 (en) 2016-11-14 2020-04-07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CN111047985A (zh) * 2018-10-15 2020-04-21 三星显示有限公司 显示装置
US10811471B2 (en) 2018-02-21 2020-10-20 Samsung Display Co., Ltd. OLED display apparatus with reduced bezel
US10905009B2 (en) 2018-07-11 2021-01-26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modul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1464105B2 (en) 2020-02-14 2022-10-04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S11552153B2 (en) 2017-01-10 2023-01-10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72274B2 (en) * 2015-04-13 2019-08-06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Semiconductor device and touch panel
JP6880623B2 (ja) * 2016-09-29 2021-06-0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KR102361436B1 (ko) * 2017-06-13 2022-02-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09102758B (zh) * 2017-06-20 2021-08-17 天马微电子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
KR102412154B1 (ko) * 2017-07-07 2022-06-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10602645B2 (en) * 2017-12-05 2020-03-24 Google Llc Shielding portions of an electronic device
KR102515890B1 (ko) 2017-12-28 2023-03-3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1962819B1 (ko) * 2018-03-06 2019-03-27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안테나가 결합된 화상 표시 장치 및 화상 표시 장치용 안테나
US10847908B2 (en) * 2018-07-25 2020-11-24 Sharp Kabushiki Kaisha Connected board and display device
US11096293B2 (en) * 2018-10-26 2021-08-17 Samsung Display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display device applied to the same
US11275460B2 (en) 2019-04-26 2022-03-15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04300A (ko) * 2012-03-13 2013-09-25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스크린, 그의 제조 방법 및 그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KR20130123684A (ko) * 2012-05-03 2013-11-13 삼성전자주식회사 칩 온 필름 패키지 및 이를 포함하는 장치 어셈블리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79677A (ko) 2011-01-05 2012-07-13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1813033B1 (ko) * 2011-05-13 2017-1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JP5687570B2 (ja) 2011-06-10 2015-03-18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JP2013003171A (ja) 2011-06-10 2013-01-07 Bridgestone Corp 情報表示パネルモジュール
CN102608777A (zh) 2011-11-04 2012-07-25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cof封装单元及cof封装卷带
KR101976067B1 (ko) * 2012-07-25 2019-05-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발광키 유닛을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KR20140067500A (ko) 2012-11-26 2014-06-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평면 표시 장치
KR101796813B1 (ko) 2013-02-01 2017-11-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020982B1 (ko) 2013-02-28 2019-09-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04300A (ko) * 2012-03-13 2013-09-25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스크린, 그의 제조 방법 및 그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KR20130123684A (ko) * 2012-05-03 2013-11-13 삼성전자주식회사 칩 온 필름 패키지 및 이를 포함하는 장치 어셈블리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15241B2 (en) 2016-11-14 2020-04-07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S11552153B2 (en) 2017-01-10 2023-01-10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US10553664B2 (en) 2017-07-14 2020-02-04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S10943971B2 (en) 2017-07-14 2021-03-09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S10811471B2 (en) 2018-02-21 2020-10-20 Samsung Display Co., Ltd. OLED display apparatus with reduced bezel
US10905009B2 (en) 2018-07-11 2021-01-26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modul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CN111047985A (zh) * 2018-10-15 2020-04-21 三星显示有限公司 显示装置
US10932369B2 (en) 2018-10-15 2021-02-23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S11464105B2 (en) 2020-02-14 2022-10-04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S11882649B2 (en) 2020-02-14 2024-01-23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798414B2 (en) 2017-10-24
KR102275318B1 (ko) 2021-07-13
CN105938405A (zh) 2016-09-14
CN105938405B (zh) 2020-08-25
US20160259469A1 (en) 2016-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5318B1 (ko) 영상 표시 장치
KR102597750B1 (ko) 플렉서블 표시장치
US10499493B2 (en) Flexibl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2520016B1 (ko) 표시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9285835B2 (en) Flexibl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11177454B2 (en) Display apparatus
JP4875759B2 (ja) タッチパネルを有する有機電界発光表示装置
KR20200115940A (ko) 표시 장치
KR20190081006A (ko) 표시 장치
KR20170008371A (ko) 표시 장치
CN111128012B (zh) 显示装置
CN112542490A (zh) 显示装置
KR102585712B1 (ko) 보호 필름, 그것의 제조 방법, 및 그것을 이용한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600186B1 (ko) 측변 구부림 구조를 갖는 곡면 표시장치
EP3979039B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2009882B1 (ko) 곡면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110221A (ko) 데이터 구동부 및 그것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CN116343672A (zh) 用于改善显示质量的显示装置及其显示面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