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1569A - 도자기를 이용한 벽 및 바닥 장식품 - Google Patents

도자기를 이용한 벽 및 바닥 장식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1569A
KR20140101569A KR1020130014884A KR20130014884A KR20140101569A KR 20140101569 A KR20140101569 A KR 20140101569A KR 1020130014884 A KR1020130014884 A KR 1020130014884A KR 20130014884 A KR20130014884 A KR 20130014884A KR 20140101569 A KR20140101569 A KR 201401015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bolt
main body
plate
hole
ceramic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48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명유선
Original Assignee
명유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명유선 filed Critical 명유선
Priority to KR10201300148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01569A/ko
Publication of KR201401015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15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4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8Leaded ligh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FSPECIAL DESIGNS OR PICTURES
    • B44F11/00Designs imitating artistic work
    • B44F11/06Imitation of ceramic patter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2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 E04F19/022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for use at vertical intersections of walls

Landscapes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자기를 이용한 벽 및 바닥 장식품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벽이나 바닥을 장식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마감재들이 단순히 벽이나 바닥을 마감하는 역할만 수행하기 때문에 벽이나 바닥에 조명을 이용한 장식을 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조명을 설치해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실내 또는 실외의 벽이나 바닥을 장식하기 위한 도자기를 이용한 벽 및 바닥 장식품에 있어서, 하부에는 하판(110)이 형성되고 하판(110)의 상부 측면에는 일측에 케이블 홀(150)이 구비되는 측판(120)이 형성되며, 측판(120)의 상부 일측에는 고정플랜지(130)가 형성되되, 고정플랜지(130) 일측에는 고정볼트 결합홀(140)이 구비되는 본체(100);와 본체(100)의 하판(110) 상부 면에 설치되며 본체(100)의 케이블 홀(150)을 통해 구비되는 LED조명 전원 케이블(450)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는 LED조명(400);과 본체(100) 상부에 결합되며 본체(100)의 고정볼트 결합홀(140)과 대응되는 곳에 고정볼트 공(210)이 형성되고, 본체(100)에 설치되는 LED조명(400)의 빛을 외부로 발산시키기 위한 다수 개의 천공홀(250)이 구비되는 천공 도자기판(200);과 천공 도자기판(200) 상부에 결합되며 천공 도자기판(200)의 고정볼트 공(210) 및 본체(100)의 고정볼트 결합홀(140)과 대응되는 곳에 고정볼트 홀(350)이 형성되고, 천공 도자기판(200)의 천공홀(250)을 통해 발산되는 빛을 외부로 일부 투과시키는 반투명 도자기판(300);과 반투명 도자기판(300)의 고정볼트 홀(350)과 천공 도자기판(200)의 고정볼트 공(210) 및 본체(100)의 고정볼트 결합홀(140)에 차례로 끼워져 반투명 도자기판(300)과 천공 도자기판(200)을 본체(100)에 고정시키는 고정볼트(50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도자기를 이용한 벽 및 바닥 장식품{wall and floor ornament using ceramics}
본 발명은 도자기를 이용한 벽 및 바닥 장식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실내 또는 실외의 벽이나 바닥에 LED조명이 내부에 구비되는 본체를 설치하고 본체 상부 면에는 글씨나 도형 등을 천공시킨 천공 도자기판을 설치한 후, 다시 글씨나 도형 등을 천공시킨 천공 도자기판 상부 면에는 빛이 일정한 정도만 투과시키는 반투명 도자기판 설치함으로써, 사용자가 본체 내부의 LED조명을 켰을 경우, LED조명의 빛이 천공 도자기판의 글씨나 도형 등을 천공시킨 천공홀을 통해 반투명 도자기판을 비춰 반투명 도자기판의 색상을 통해 은은하게 외부로 표현될 수 있도록 하는 도자기를 이용한 벽 및 바닥 장식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나 실외의 벽이나 바닥을 장식하는 장식물들은 벽지나 돌, 나무 등 그 소재 및 형태가 다양하다.
이러한 장식물들은 주로 벽이나 바닥을 마감하는 마감재로 함께 쓰이게 되는 것이다.
하지만, 최근에는 남들과는 다른 것을 추구하는 소비자들의 성향이 발달함에 따라 실내의 벽이나 바닥, 또는 실외의 벽이나 바닥을 일반적인 마감재로 마감하지 않고 노출 콘크리트나 황토, 또는 도자기 등과 같이 미적으로 아름답거나 친환경적인 소재로 마감하려는 경향이 강해지게 되었다.
그리고, 실내나 실외에 설치되는 조명도 단순히 천장 중앙에 설치되는 종래의 조명과 달리, 최근에는 천장의 일측에 설치되거나 벽에 설치되는 등 개성있게 설치되는 추세이다.
하지만, 이와 같은 벽 및 바닥의 마감재와 조명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즉, 단순히 실내 또는 실외의 벽이나 바닥의 마감재를 콘크리트나 황토, 또는 도자기로 했을 경우, 시간이 지남에 따라 동일한 소재와 형태로 인한 지루함을 느끼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조명을 실내 또는 실외의 벽이나 천장에 설치하는 경우 시간이 지남에 따라 동일한 조명의 형태와 조명의 색으로 인한 지루함을 느끼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조명의 경우에는 바닥에는 설치할 수 없는 문제점도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실내 또는 실외의 벽이나 바닥에 설치되는 본체 내부의 LED조명을 켰을 경우, LED조명의 빛이 천공 도자기판의 글씨나 도형 등을 천공시킨 천공홀을 통해 반투명 도자기판을 비춰 반투명 도자기판의 색상을 통해 은은하게 외부로 표현될 수 있도록 형성함으로써, 실내 또는 실외의 벽이나 바닥에 LED조명이 내부에 구비되는 본체를 설치하고 본체 상부 면에는 글씨나 도형 등을 천공시킨 천공 도자기판을 설치한 후, 다시 글씨나 도형 등을 천공시킨 천공 도자기판 상부 면에는 빛이 일정한 정도만 투과시키는 반투명 도자기판 설치함으로써, 단순히 실내 또는 실외의 벽이나 바닥의 마감재를 콘크리트나 황토, 또는 도자기로 했을 경우, 시간이 지남에 따라 동일한 소재와 형태로 인한 지루함을 느끼게 되는 문제점과, 조명을 실내 또는 실외의 벽이나 천장에 설치하는 경우 시간이 지남에 따라 동일한 조명의 형태와 조명의 색으로 인한 지루함을 느끼게 되는 문제점 및 조명의 경우에는 바닥에는 설치할 수 없는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한 도자기를 이용한 벽 및 바닥 장식품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실내 또는 실외의 벽이나 바닥을 장식하기 위한 도자기를 이용한 벽 및 바닥 장식품에 있어서, 하부에는 하판이 형성되고 하판의 상부 측면에는 일측에 케이블 홀이 구비되는 측판이 형성되며, 측판의 상부 일측에는 고정플랜지가 형성되되, 고정플랜지 일측에는 고정볼트 결합홀이 구비되는 본체;와 본체의 하판 상부 면에 설치되며 본체의 케이블 홀을 통해 구비되는 LED조명 전원 케이블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는 LED조명;과 본체 상부에 결합되며 본체의 고정볼트 결합홀과 대응되는 곳에 고정볼트 공이 형성되고, 본체에 설치되는 LED조명의 빛을 외부로 발산시키기 위한 다수 개의 천공홀이 구비되는 천공 도자기판;과 천공 도자기판 상부에 결합되며 천공 도자기판의 고정볼트 공 및 본체의 고정볼트 결합홀과 대응되는 곳에 고정볼트 홀이 형성되고, 천공 도자기판의 천공홀을 통해 발산되는 빛을 외부로 일부 투과시키는 반투명 도자기판;과 반투명 도자기판의 고정볼트 홀과 천공 도자기판의 고정볼트 공 및 본체의 고정볼트 결합홀에 차례로 끼워져 반투명 도자기판과 천공 도자기판을 본체에 고정시키는 고정볼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체 상부에 반투명 도자기판을 설치하고, 반투명 도자기판 상부에 천공 도자기판을 설치하여, 본체 내부의 LED조명을 켜지 않아도 천공 도자기판의 천공홀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하며, 반투명 도자기판의 고정볼트 홀과 천공 도자기판의 고정볼트 공 및 본체의 고정볼트 결합홀에 차례로 끼워져 반투명 도자기판과 천공 도자기판을 본체에 고정시키는 고정볼트를 핀 형태로 형성하여, 별도의 공구 없이 결합 또는 분리시킬 수 있도록 형성함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실내 또는 실외의 벽이나 바닥에 LED조명이 내부에 구비되는 본체를 설치하고 본체 상부 면에는 글씨나 도형 등을 천공시킨 천공 도자기판을 설치한 후, 다시 글씨나 도형 등을 천공시킨 천공 도자기판 상부 면에는 빛이 일정한 정도만 투과시키는 반투명 도자기판 설치함으로써, 사용자가 본체 내부의 LED조명을 켰을 경우, LED조명의 빛이 천공 도자기판의 글씨나 도형 등을 천공시킨 천공홀을 통해 반투명 도자기판을 비춰 반투명 도자기판의 색상을 통해 은은하게 외부로 표현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천공 도자기판과 반투명 도자기판을 교체함으로써, 다양한 형태와 색상의 조명을 단일 본체로부터 사용할 수 있는 효과도 있는 것이다.
특히, 강도가 높은 도자기로 본체 및 천공 도자기판을 형성함으로써, 벽은 물론 바닥에도 설치할 수 있는 효과도 있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도자기를 이용한 벽 및 바닥 장식품을 보여주는 조립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도자기를 이용한 벽 및 바닥 장식품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리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도자기를 이용한 벽 및 바닥 장식품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도자기를 이용한 벽 및 바닥 장식품의 다른 실시 예를 보여주는 조립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도자기를 이용한 벽 및 바닥 장식품의 다른 실시 예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리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도자기를 이용한 벽 및 바닥 장식품의 다른 실시 예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그 기술구성 및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도자기를 이용한 벽 및 바닥 장식품을 보여주는 조립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도자기를 이용한 벽 및 바닥 장식품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리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도자기를 이용한 벽 및 바닥 장식품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며,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도자기를 이용한 벽 및 바닥 장식품의 다른 실시 예를 보여주는 조립사시도이고,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도자기를 이용한 벽 및 바닥 장식품의 다른 실시 예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리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도자기를 이용한 벽 및 바닥 장식품의 다른 실시 예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실내 또는 실외의 벽이나 바닥을 장식하기 위한 도자기를 이용한 벽 및 바닥 장식품에 있어서, 하부에는 하판(110)이 형성되고 하판(110)의 상부 측면에는 일측에 케이블 홀(150)이 구비되는 측판(120)이 형성되며, 측판(120)의 상부 일측에는 고정플랜지(130)가 형성되되, 고정플랜지(130) 일측에는 고정볼트 결합홀(140)이 구비되는 본체(100);와 본체(100)의 하판(110) 상부 면에 설치되며 본체(100)의 케이블 홀(150)을 통해 구비되는 LED조명 전원 케이블(450)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는 LED조명(40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체(100) 상부에 결합되며 본체(100)의 고정볼트 결합홀(140)과 대응되는 곳에 고정볼트 공(210)이 형성되고, 본체(100)에 설치되는 LED조명(400)의 빛을 외부로 발산시키기 위한 다수 개의 천공홀(250)이 구비되는 천공 도자기판(200);과 천공 도자기판(200) 상부에 결합되며 천공 도자기판(200)의 고정볼트 공(210) 및 본체(100)의 고정볼트 결합홀(140)과 대응되는 곳에 고정볼트 홀(350)이 형성되고, 천공 도자기판(200)의 천공홀(250)을 통해 발산되는 빛을 외부로 일부 투과시키는 반투명 도자기판(30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특히, 반투명 도자기판(300)의 고정볼트 홀(350)과 천공 도자기판(200)의 고정볼트 공(210) 및 본체(100)의 고정볼트 결합홀(140)에 차례로 끼워져 반투명 도자기판(300)과 천공 도자기판(200)을 본체(100)에 고정시키는 고정볼트(500);로 이루어지며, 본체(100) 상부에 반투명 도자기판(300)을 설치하고, 반투명 도자기판(300) 상부에 천공 도자기판(200)을 설치하여, 본체(100) 내부의 LED조명을 켜지 않아도 천공 도자기판(200)의 천공홀(250)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반투명 도자기판(300)의 고정볼트 홀(350)과 천공 도자기판(200)의 고정볼트 공(210) 및 본체(100)의 고정볼트 결합홀(140)에 차례로 끼워져 반투명 도자기판(300)과 천공 도자기판(200)을 본체(100)에 고정시키는 고정볼트(500)를 핀 형태로 형성하여, 별도의 공구 없이 결합 또는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도자기를 이용한 벽 및 바닥 장식품에 관한 것이다.
즉, 실내 또는 실외의 벽이나 바닥의 표면에 본체(100)를 설치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벽이나 바닥에 설치되는 본체(100)의 하판(110) 상부 면에는 다수 개의 LED조명(400)이 설치되며, 각각의 LED조명(400)은 LED조명 전원 케이블(450)로 연결되는 것이다.
그리고, 각각의 LED조명(400)을 연결하는 LED조명 전원 케이블(450)은 본체(100)의 케이블 홀(150)을 통해 외부의 전원에 연결되거나 인접하게 설치되는 본체(100)의 LED조명 전원 케이블(450)과 연결되어 각각의 LED조명(400)에 전원을 공급하게 되는 것이다.
벽이나 바닥에 설치되는 본체(100) 측판(120)의 상부에는 천공 도자기판(200)과 반투면 도자기판(300)이 각각 차례로 설치되는 것이다.
이때, 천공 도자기판(200)에는 글씨나 도형 등의 형태에 따라 천공되는 천공홀(250)이 형성되어 있고, 반투명 도자기판(300)은 빛을 일정량만큼만 외부로 투과시키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본체(100) 내부의 LED조명(400)을 켜면 LED조명(400)의 빛이 천공 도자기판(200)의 천공홀(250)과 반투명 도자기판(300)을 통해 외부로 투과되면서, 천공 도자기판(200)의 천공홀(250) 형태로 은은하게 발산되는 것이다.
특히, 반투명 도자기판(300)은 제작 당시에 쓰이는 유약에 따라 빛의 투과율과 색상이 달라지기 때문에 반투명 도자기판(300)을 교체함으로써 빛의 밝기와 색상을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천공 도자기판(200)을 교체함으로써 빛의 형태를 교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체(100)의 상부에 차례로 설치되는 천공 도자기판(200)과 반투명 도자기판(300)의 순서를 바꿔 설치함으로써 즉, 본체(100) 상부에 반투명 도자기판(300)을 설치하고 반투명 도자기판(300) 상부에 천공 도자기판(200)을 설치함으로써, LED조명(400)을 켜지않은 상태에서도 천공 도자기판(200)의 천공홀(250) 형태가 장식효과를 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본체(100)를 벽에 설치할 경우에는 반투명 도자기판(300)과 천공 도자기판(200)이 본체(100)로부터 분리되어 파손될 위험이 있기 때문에 고정볼트(500)를 반투명 도자기판(300)의 고정볼트 홀(350)과 천공 도자기판(200)의 고정볼트 공(210)을 통해 본체(100)의 고정플랜지(130)에 형성되는 고정볼트 결합홀(140)에 고정시키게 되는 것이다.
하지만, 본체(100)를 바닥에 설치할 경우에는 반투명 도자기판(300)과 천공 도자기판(200)이 본체(100)로부터 분리되어 파손될 위험이 적기 때문에 단순히 끼우는 형태의 핀을 반투명 도자기판(300)의 고정볼트 홀(350)과 천공 도자기판(200)의 고정볼트 공(210)을 통해 본체(100)의 고정플랜지(130)에 형성되는 고정볼트 결합홀(140)에 끼워 고정시키게 되는 것이다.
100 : 본체 110 : 하판
120 : 측판 130 : 고정플랜지
140 : 고정볼트 결합홀 150 : 케이블홀
200 : 천공 도자기판 210 : 고정볼트 공
250 : 천공홀 300 : 반투명 도자기판
350 : 고정볼트 홀 400 : LED조명
450 : LED조명 전원 케이블 500 : 고정볼트

Claims (3)

  1. 실내 또는 실외의 벽이나 바닥을 장식하기 위한 도자기를 이용한 벽 및 바닥 장식품에 있어서,
    하부에는 하판(110)이 형성되고 하판(110)의 상부 측면에는 일측에 케이블 홀(150)이 구비되는 측판(120)이 형성되며, 측판(120)의 상부 일측에는 고정플랜지(130)가 형성되되, 고정플랜지(130) 일측에는 고정볼트 결합홀(140)이 구비되는 본체(100);와
    본체(100)의 하판(110) 상부 면에 설치되며 본체(100)의 케이블 홀(150)을 통해 구비되는 LED조명 전원 케이블(450)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는 LED조명(400);과
    본체(100) 상부에 결합되며 본체(100)의 고정볼트 결합홀(140)과 대응되는 곳에 고정볼트 공(210)이 형성되고, 본체(100)에 설치되는 LED조명(400)의 빛을 외부로 발산시키기 위한 다수 개의 천공홀(250)이 구비되는 천공 도자기판(200);과
    천공 도자기판(200) 상부에 결합되며 천공 도자기판(200)의 고정볼트 공(210) 및 본체(100)의 고정볼트 결합홀(140)과 대응되는 곳에 고정볼트 홀(350)이 형성되고, 천공 도자기판(200)의 천공홀(250)을 통해 발산되는 빛을 외부로 일부 투과시키는 반투명 도자기판(300);과
    반투명 도자기판(300)의 고정볼트 홀(350)과 천공 도자기판(200)의 고정볼트 공(210) 및 본체(100)의 고정볼트 결합홀(140)에 차례로 끼워져 반투명 도자기판(300)과 천공 도자기판(200)을 본체(100)에 고정시키는 고정볼트(500);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자기를 이용한 벽 및 바닥 장식품.
  2. 제 1 항에 있어서,
    본체(100) 상부에 반투명 도자기판(300)을 설치하고, 반투명 도자기판(300) 상부에 천공 도자기판(200)을 설치하여,
    본체(100) 내부의 LED조명을 켜지 않아도 천공 도자기판(200)의 천공홀(250)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자기를 이용한 벽 및 바닥 장식품.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반투명 도자기판(300)의 고정볼트 홀(350)과 천공 도자기판(200)의 고정볼트 공(210) 및 본체(100)의 고정볼트 결합홀(140)에 차례로 끼워져 반투명 도자기판(300)과 천공 도자기판(200)을 본체(100)에 고정시키는 고정볼트(500)를 핀 형태로 형성하여,
    별도의 공구 없이 결합 또는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자기를 이용한 벽 및 바닥 장식품.

KR1020130014884A 2013-02-12 2013-02-12 도자기를 이용한 벽 및 바닥 장식품 KR2014010156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4884A KR20140101569A (ko) 2013-02-12 2013-02-12 도자기를 이용한 벽 및 바닥 장식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4884A KR20140101569A (ko) 2013-02-12 2013-02-12 도자기를 이용한 벽 및 바닥 장식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1569A true KR20140101569A (ko) 2014-08-20

Family

ID=51746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4884A KR20140101569A (ko) 2013-02-12 2013-02-12 도자기를 이용한 벽 및 바닥 장식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0156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91640A (zh) * 2020-06-29 2020-10-20 柴宝亭 一种用于景观装饰的瓷板映画的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91640A (zh) * 2020-06-29 2020-10-20 柴宝亭 一种用于景观装饰的瓷板映画的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TE462925T1 (de) Lichtobjekt mit wechselnder farbe und benutzerschnittstelle dafür
KR100746401B1 (ko) 장식용 석재패널
KR100940942B1 (ko) 내부광원에 의한 측면 장식발광이 이루어지게 한 천정용 조명등
KR101199454B1 (ko) 장식용 반사체를 이용한 조명등
KR20140101569A (ko) 도자기를 이용한 벽 및 바닥 장식품
US20090103287A1 (en) Ornament having an internal electric lighting adaptable to various lighting effects
KR100638280B1 (ko) 이중 압출 성형에 의한 조명등의 장식용 프레임 제조방법및 그 프레임
JP4491327B2 (ja) 照明器具
US20060250805A1 (en) String of decorative pendant lamps for sunblind decoration
CN205480668U (zh) 内嵌式发光蜡烛
KR200482515Y1 (ko) 조명지지체를 갖는 램프
KR200456219Y1 (ko) 조명등
KR200245822Y1 (ko) 크리스탈 장식용 스탠드
WO2005070703A1 (ja) 繰り上げ式の棒状物収納ケース
JP3142946U (ja) リモコン式灯明仏壇
US20080291671A1 (en) Changeable-style luminous decorative item
KR20120056331A (ko) 데크용 데코패널
CN104296057A (zh) 一种通体发光砖灯
KR100908634B1 (ko) 엘이디와 크리스탈 반사체에 의한 부분 장식 조명부를 갖는천정 직착등
KR20110008600U (ko) 엘이디 크리스탈 전구
KR20220032219A (ko) 전통 건축물 양식 무드등
KR200385411Y1 (ko) 조명등용 커버 구조
KR200308109Y1 (ko) 실내장식용 조명등
TWI414708B (zh) 具有背景光源之燈具
KR200282540Y1 (ko) 전등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