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8109Y1 - 실내장식용 조명등 - Google Patents

실내장식용 조명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8109Y1
KR200308109Y1 KR20-2002-0037806U KR20020037806U KR200308109Y1 KR 200308109 Y1 KR200308109 Y1 KR 200308109Y1 KR 20020037806 U KR20020037806 U KR 20020037806U KR 200308109 Y1 KR200308109 Y1 KR 2003081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
lighting
interior
present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78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화
Original Assignee
김기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화 filed Critical 김기화
Priority to KR20-2002-00378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810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81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8109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00Globes; Bowls; Cover glasses
    • F21V3/02Globes; Bowls; Cover glass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00Globes; Bowls; Cover glasses
    • F21V3/04Globes; Bowls; Cover glasses characterised by materials, surface treatments or coat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실내의 천장면에 설치되어 실내의 조명은 물론 장식을 겸할 수 있는 조명등에 관한 것으로, 조명등의 외부에 구성되어 내부로 설치되는 조명램프를 보호하고 상기 조명램프에서 조사되는 빛을 더욱 아름답게 발산되도록 하여 다양한 미감을 연출할 수 있도록 하며, 자연스러운 장식적인 효과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는 실내장식용 조명등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에 따른 조명등은 도금처리된 철선을 이용하여 이를 여러방향으로 연장 및 절곡시켜 구체를 이루도록 하여서 형성된 전등커버와; 상기 전등커버의 내부로 삽입되어 설치되는 램프소켓 및 조명램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실내장식용 조명등{A LAMP FOR INTERIOR DESIGN}
본 고안은 실내의 천장면에 설치되어 실내의 조명은 물론 장식을 겸할 수 있는 조명등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조명등의 외부에 구성되어 내부에 설치되는 조명램프를 보호하고, 독특한 소재로 이루어진 외관형상과 상기 램프에서 조사되는 빛을 더욱 아름답게 발산되도록 하여 다양한 미감을 연출할 수 있는 실내장식용 조명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명등이라 함은 일정형상을 갖는 전등커버와 상기 전등커버의 내부에 설치되어 빛을 발산하도록 된 조명램프로 구성되어지며, 상기 조명램프에서 조사되는 빛이 상기 전등커버를 통해 투과되도록 함으로써, 간접조명에 의해 실내를 은은하게 조명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최근들어 경제의 비약적인 발전에 따른 주거문화의 다변화 및 고급화 추세에 따라 기능성과 함께 고급화된 디자인을 가진 실내용 조명등이 주택의 내부 장식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소비자들의 심미감을 고취시킬 수 있고 장식효과를 구현할 수 있는 조명등이 요구되고 있는 바,
이러한 조명기구들은 대게 조명이라는 실질적인 기능 외에 실내의 아름다운 분위기 연출을 위한 장식적인 효과도 함께 병행할 수 있게 됨으로써, 소비자들의 미적감각에 대한 욕구를 충분히 충족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이러한 조명등의 실질적인 외관 디자인을 결정하는 전등커버는 통상적으로 유리 및 종이, 직물 등의 다양한 소재가 사용되는데, 이러한 소재 중 유리는 인화성이 아니라는 점과 소재가 간단하다는 장점에 의해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간접조명 내지 인테리어 효과를 위해서 반투명재질의 유리가 사용되거나 빛의 산란 내지 굴절을 이용하기 위하여 입체적인 무늬가 형성된 유리재질의 커버가 사용되기도 한다.
또한, 전통적이며 은은한 실내분위기를 연출하기 위해 한지로 제작된 전등커버가 사용된 바 있는데,
이러한 종래의 전등커버들은 단순히 내부에 설치된 조명램프의 빛을 외부로 투과시켜 실내를 조명하는 기능 이외에 별다른 기능을 갖지 못하고, 그 자체 형상으로 장식의 효과를 얻기가 미흡하여 인테리어 소품으로써 장식미를 구현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유지재질로 이루어진 전등커버의 경우에는 조명등 설치시에 작업자 또는 사용자의 부주위로 인해, 자칫 낙하에 의한 파손이 발생될 우려가 있기 때문에, 설치에 따른 상당한 주위를 요하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이 갖는 제반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내부에 설치된 조명램프를 보호함과 동시에 상기 조명램프에서 조사되는 빛이 전등커버를 통해 다양한 형태로 발산되도록 하여 보다 아름답고 신비로운 미감을 연출할 수 있도록 하며, 독특한 소재로 이루어진 전등커버의 외관 형상에 의해 조명하지 않을 때에도 자연스런 장식미를 갖게 됨으로써, 실내의 장식효과를 한층 더 부각시켜 줄 수 있는 실내장식용 조명등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도금처리된 철선 등과 같은 독특한 소재를 이용하여 이를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 및 절곡시켜 구체 또는 다면체 등과 같은 다양한 형상을 갖도록 제작된 전등커버와, 상기 전등커버의 내부로 삽입·설치되어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을 공급받아 빛을 발산하도록 된 조명램프에 의해 독특하고 다양한 미감을 연출할 수 있게 됨에 따라, 본 고안의 목적을달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전등커버와 조명램프가 분리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조명등이 실내의 천정면에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조명등 10 : 전등커버
12 : 철선 14 : 와이어
16 : 조명램프 17 : 램프소켓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전등커버와 조명램프가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를 나타내는 것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조명등의 설치 및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저면사시도를 나타내는 것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의 천정면에 설치되어 실내를 조명하기 위한 조명등(1)에 있어서,
상기 조명등(1)은 도금처리된 철선(12)을 이용하여 이를 여러방향으로 연장 및 절곡시켜 구체와 같은 형상을 이루도록 하여 형성된 전등커버(10)와; 상기 전등커버(10)의 내부로 삽입되어 설치되고 전원공급선과 연결되는 램프소켓(17) 및 조명램프(1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조명등(1)은 전등커버(10)의 양측방향으로 연결·고정되는 와이어(14)에 의해 천정면에 고정·설치된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 도면에서는 상기 전등커버(10)가 구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보여주고 있으나, 상기 본 고안에 따른 전등커버(10)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다면체 또는 타원체 등과 같이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으로, 이러한 단순한 형태 변형에 의한 고안은 본 출원인에 권리범위에 귀속됨을 밝혀둔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조명등(1)에 대한 설치 및 작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상기 조명등(1)은 전등커버(10)의 양측으로 연결된 와이어(14)를 이용하여 천장면에 견고하게 고정시킨 후,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내부의 조명램프(16)가 점등되어 실내를 조명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전등커버(10)의 내측으로 삽입·설치되는 조명램프(16)는 상기와 같이 철선(14)으로 구성된 전등커버(10)의 일부를 강제로 벌린 상태에서, 그 사이로 램프소켓(17)과 결합되어 있는 조명램프(16)를 삽입한 후, 상기 철선(12)을 원래의 상태로 복귀시켜 주면 램프의 설치가 완료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하여 내부의 조명램프(16)를 점등시켜 주면, 상기 조명램프(16)에서 조사되는 빛이 철선(12)으로 구성되어 있는 전등커버(10)의 틈새를 통해 외부로 발산되면서, 독특하고 신비스러운 조명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전등커버(10)를 이루고 있는 철선(12)들은 그 외표면이 도금처리에 의해 다양한 색상을 갖도록 함으로써, 조명에 의한 실내분위기를 보다 우아하고 아름답게 연출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한편, 상기한 본 고안의 조명등(1)은 내부의 조명램프(16)를 소등시켜 조명하지 않을 때에도, 독특한 소재로 구성되어 있는 전등커버(10)의 외관 형상에 의해 자연스러운 장식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됨에 따라, 한층 더 고급스러운 실내분위기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실내장식용 조명등에 의하면,
파손의 우려가 없는 철선을 이용하여 제작되므로 조명등 설치작업에 따른 안전성이 보장되고, 독특한 소재와 형상으로 이루어진 외부 전등커버에 의해 조명에 의한 다양한 미감을 연출할 수 있게 됨은 물론 자연스러운 장식효과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게 되어 실내의 장식적인 요소를 한층 더 부각시켜 줄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3)

  1. 실내의 천정면에 설치되어 실내를 조명하기 위한 조명등(1)에 있어서,
    상기 조명등(1)은 도금처리된 철선(12)을 이용하여 이를 다양하게 연장 및 절곡시켜 구체를 이루도록 하여 형성된 전등커버(10)와; 상기 전등커버(10)의 내부로 삽입되어 설치되는 램프소켓(17) 및 조명램프(16)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장식용 조명등.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등커버(10)가 다면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장식용 조명등.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등커버(10)가 타원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장식용 조명등.
KR20-2002-0037806U 2002-12-13 2002-12-13 실내장식용 조명등 KR2003081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7806U KR200308109Y1 (ko) 2002-12-13 2002-12-13 실내장식용 조명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7806U KR200308109Y1 (ko) 2002-12-13 2002-12-13 실내장식용 조명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8109Y1 true KR200308109Y1 (ko) 2003-03-19

Family

ID=49403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7806U KR200308109Y1 (ko) 2002-12-13 2002-12-13 실내장식용 조명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810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484881A1 (en) Light fixture candle assembly
KR100940942B1 (ko) 내부광원에 의한 측면 장식발광이 이루어지게 한 천정용 조명등
KR200412764Y1 (ko) 난반사면에 의한 후광 기능을 갖는 천정용 조명등
KR200308109Y1 (ko) 실내장식용 조명등
JP4491327B2 (ja) 照明器具
KR200236706Y1 (ko) 향기 발산기능을 갖는 조명기구
KR200305576Y1 (ko) 난조사각을 갖는 조명램프 케이스
KR200456219Y1 (ko) 조명등
CN105135641A (zh) 水箱组件及具有其的加湿器
KR200409389Y1 (ko) 장식용 무늬 전기스탠드
CN104266106A (zh) 皮影趣味台灯
CN206592913U (zh) 一种嵌入式led投影壁灯
KR200382108Y1 (ko) 투광성 장식부재를 갖는 천장용 조명커버
KR200346278Y1 (ko) 조명기구 장식판
KR200424251Y1 (ko) 거울 반사면을 갖는 투광판이 결합된 조명등
CN210921065U (zh) 一种折叠式的led装饰壁灯
KR200494799Y1 (ko) 무드등
KR200322835Y1 (ko) 무드등
CN217928558U (zh) 多功能易操作具蜡烛外观的灯体
CN211667632U (zh) 投影家饰灯
KR200308937Y1 (ko) 액자 및 화장용 거울
KR200403555Y1 (ko) 장식용 전등 케이스
KR200279737Y1 (ko) 실내용 조명등
KR200333230Y1 (ko) 조명등
KR200344912Y1 (ko) 샹들리에용 가지관 조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