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1129A - 세탁물 처리기기 - Google Patents

세탁물 처리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1129A
KR20140101129A KR1020130014404A KR20130014404A KR20140101129A KR 20140101129 A KR20140101129 A KR 20140101129A KR 1020130014404 A KR1020130014404 A KR 1020130014404A KR 20130014404 A KR20130014404 A KR 20130014404A KR 20140101129 A KR20140101129 A KR 201401011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vancing
door
retreating
retreating member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44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18658B1 (ko
Inventor
이규원
조규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144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8658B1/ko
Publication of KR201401011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11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86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86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4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47Responding to irregular working conditions, e.g. malfunctioning of pump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20Parameters relating to constructional components, e.g. door senso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12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vertical axis
    • D06F37/18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1Tubs made by a specially selected manufacturing process or characterised by their assembly from elements
    • D06F37/262Tubs made by a specially selected manufacturing process or characterised by their assembly from elements made of plastic material, e.g. by injection mould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8Doors; Security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42Safety arrangements, e.g. for stopping rotation of the receptacle upon opening of the casing do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40Opening or locking status of doo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44Opening, closing or locking of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 E05Y2900/312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for washing machines or laundry dry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 출입홀이 형성된 본체; 상기 포 출입홀을 여닫는 도어; 및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도어가 상기 포 출입홀을 닫은 상태로 잠그는 잠금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잠금장치는 진퇴홀이 형성된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 내에서 지지되며 잠금 위치와 잠금해제 위치 간을 이동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진퇴홀에 의해 지지되는 이동단에 의해 상기 잠금 위치에서 상기 도어를 구속시키는 진퇴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진퇴부재는 상기 이동단의 절단이 발생한 상태에서 상기 잠금 위치로 이동될 시, 상기 절단이 이루어진 절단부가 상기 진퇴홀 주변과 간섭을 일으켜 상기 잠금 위치로의 진행이 방지되는 세탁물 처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세탁물 처리기기{LAUNDRY TREATMENT APPARATUS}
본 발명은 세탁물 처리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도어를 잠구는 잠금장치의 파손시에도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세탁물 처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물 처리기기는 의류, 침구등의 세탁물을 투입하는 투입구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와, 모터에 의해 회전되며 세탁물을 처리하는 세탁조를 포함하는 것으로, 세탁물의 세탁, 탈수, 건조 등을 행하는 각종 장치를 의미한다. 이러한 세탁물 처리기기로는 세탁기, 탈수기, 건조기 등이 잘 알려져 있으며, 최근에는 상기 여러 기능등을 복합적으로 수행하는 장치도 많이 개발된 실정이며, 기능에 구애받지 않고 이를 통칭하여 세탁기라고 부르기도 한다.
이러한, 세탁물 처리기기는 세탁조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세탁물을 처리하기 때문에, 세탁조의 회전 중에는 도어가 열리지 않도록 잠그는 잠금장치가 함께 제공되는 추세이다. 그러나, 잠금장치가 파손된 경우에는 다시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안전사고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도어 잠금장치의 파손으로 인한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세탁물 처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세탁물 처리기기는 포 출입홀이 형성된 본체; 상기 포 출입홀을 여닫는 도어; 및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도어가 상기 포 출입홀을 닫은 상태로 잠그는 잠금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잠금장치는 진퇴홀이 형성된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 내에서 지지되며 잠금 위치와 잠금해제 위치 간을 이동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진퇴홀에 의해 지지되는 이동단에 의해 상기 잠금 위치에서 상기 도어를 구속시키는 진퇴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진퇴부재는 상기 이동단의 절단이 발생한 상태에서 상기 잠금 위치로 이동될 시, 상기 절단이 이루어진 절단부가 상기 진퇴홀 주변과 간섭을 일으켜 상기 잠금 위치로의 진행이 방지된다.
본 발명의 세탁물 처리기기는 도어를 잠기게 하는 진퇴부재의 파손시, 상기 진퇴부재가 더 이상 진행되지 않도록 기구적으로 제한함으로써, 파손에도 불구하고 상기 진퇴부재가 잠금위치에 위치됨으써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도 1의 세탁기에 구비되는 잠금장치의 잠금해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도 2의 잠금장치의 잠금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진퇴부재가 파손되었을 시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잠금장치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도 5의 잠금장치에서 진퇴부재를 탈거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진퇴부재의 배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도 7의 VII-VII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세탁물 처리기기의 일종인 세탁기를 예로드나, 이는 어디까지나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적용범위가 이에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세탁기(1)는 의류나 침구 등의 피세탁물(이하, '포'라고 함)이 투입되는 포 출입홀(12h)이 형성된 본체(10)와, 포 출입홀(12h)을 개폐하는 도어(16)를 포함한다. 도어(16)는 본체(1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체(10)는 상부가 개구된 캐비닛(11)과, 캐비닛(11)의 상부에 결합되고 포 출입홀(12h)이 형성된 탑 커버(12)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도어(16)는 탑 커버(12)에 결합된다.
캐비닛(11) 내에는 세탁수가 담기는 외조(22)와, 외조(22) 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포 출입홀(12h)을 통해 투입된 포가 담기는 내조(24)가 배치된다. 외조(22)는 지지부재(13)에 의해 캐비닛(11) 내에 매달리고, 지지부재(13)의 일단은 탑 커버(12)에 고정되고, 타단은 외조(22)의 진동을 완충시키는 서스펜션(14)에 의해 외조(22)의 하단에 고정될 수 있다. 내조(24)와 외조(22) 간에 세탁수가 이동될 수 있도록, 내조(24)에는 복수의 통공(24h)이 형성된다.
구동부(30)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32)와, 모터(32)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34)과, 회전축(34)에 으해 내조(24) 또는 펄세이터(25)가 회전되도록 회전력을 전달하는 클러치(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클러치 제어에 따라 내조(24)와 펄세이터(25)가 일체로 회전되거나, 펄세이터(25) 만이 회전될 수 있다.
세제박스(15)는 세탁용 세제, 헹굼용 섬유 유연제 및/또는 표백제 등의 각종 첨가제가 수용되는 것으로, 탑 커버(12)에 인출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수도꼭지 등의 외부 수원으로부터 공급된 세탁수가 급수유로(61)를 따라 세제박스(15) 내로 공급되며, 이렇게 공급된 세탁수는 상기 첨가제와 함께 외조(22)로 급수된다. 급수유로(61)를 단속하는 급수밸브(62)가 구비될 수 있다.
배수펌프(40)는 외조(22) 내의 세탁수를 배수하기 위한 것으로, 외조(22)와 연통된 배수유로(44) 상에 구비되며, 배수유로(44)를 단속하는 배수밸브(42)가 더 구비될 수 있다.
탑 커버(12)에는 세탁기 작동 전반에 대한 각종 제어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미도시)와, 세탁기 작동상태를 외부로 표시하는 표시부(미도시)를 포함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컨트롤 패널(50)이 구비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세탁기에 구비되는 잠금장치의 잠금해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도 2의 잠금장치의 잠금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진퇴부재가 파손되었을 시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잠금장치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도 5의 잠금장치에서 진퇴부재를 탈거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진퇴부재의 배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도 7의 VII-VII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체(10)에는 도어(16)가 포 출입홀(12h)을 닫은 상태로 잠기게하는 잠금장치(100)가 구비될 수 있다. 잠금장치(100)는 후술하는 제어부(71) 제어에 의해 도어(16)를 잠기게 하거나, 잠금을 해제시킨다.
잠금장치(100)는 진퇴홀(110h)이 형성된 하우징(110)과, 하우징(110) 내에서 지지되며 잠금 위치(도 3 참조)와 잠금해제 위치(도 2 참조) 간을 이동하도록 구비되는 진퇴부재(140)를 포함할 수 있다. 진퇴부재(140)는 진퇴홀(110h)에 의해 지지되는 이동단(130)을 포함할 수 있고, 이동단(130)에 의해 상기 잠금 위치에서 도어(16)를 구속시킨다. 도어(16)에는 상기 잠금 위치에서 이동단(130)의 삽입이 이루어지는 잠금홀(16h)이 형성될 수 있다. 진퇴부재(140)는 후술하는 작동 레버(180)와 연결되는 몸체부(120)를 포함할 수 있고, 이동단(130)은 몸체부(120)로부터 연장된다.
엑츄에이터(170)는 진퇴부재(140)를 동작시키기 위한 선형의 왕복 운동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엑츄에이터(170)에 의한 선형 왕복 운동은 작동 레버(180)에 의해 회전 운동으로 변환된다. 작동 레버(180)는 진퇴부재(140)와 연결되고, 따라서, 작동 레버(180)의 동작에 따라 진퇴부재(140)의 진퇴 동작이 이루어진다.
한편, 작동 레버(170)는 회전운동하는 것이고, 진퇴부재(140)는 직선 운동하는 것이기 때문에, 작동 레버(170)의 회전에 따른 간섭을 줄이면서 진퇴부재(140)가 원활하게 운동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진퇴부재(140)와 작동 레버(180)가 서로 연결되는 연결부분(L3)에서, 에츄에이터(170) 작동에 따라 회동되는 작동 레버(180)의 작용단(170)과, 작용단(171)과 접촉되어 힘이 가해지는 진퇴부재(140)의 피작용단(121)은, 작동 레버(180)의 회전 동작에 따라 소정의 범위 내에서 상대운동된다. 작용단(171)은 작동 레버(180)와 진퇴부재(140)의 조립시 피작용단(121)의 용이한 삽입을 위해 일단이 개구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피작용단(121)은 몸체부(120)의 배면에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잠금장치(100)의 유지 보수를 위해 작동 레버(180)를 수동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연결된 끈(181)이 구비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액츄에이터(170)는 제어부(71) 제어에 따라 전기가 인가되는 솔레노이드(171)와, 전기 인가되는 동안 솔레노이드(171)에 의해 유도되는 자기력에 의해 솔레노이드(171) 내부로 삽입 이동되는 작동축(172)을 포함한다. 작동축(172)은 스프링(173)에 의해 탄지되며, 따라서 솔레노이드(171)에 인가되던 전기가 차단되면 스프링(173)에 의한 탄성작용으로 작동축(172)이 원위치로 복귀된다.
작동 레버(180)는 하우징(1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하우징(110)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축(34)을 중심으로 일단은 작동축(172)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진퇴부재(140)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따라서, 액츄에이터(170)에 의해 작동축(172)이 당겨지면 작동 레버(180)가 회전되어 진퇴부재(140)가 전진된다. 이렇게 전진되어 잠금 위치에 온 진퇴부재(140)는 그 위치에서 고정이 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하우징(110)에는 위치 설정 핀(156)이 구비되고, 위치 설정 핀(156)과 대향하는 진퇴부재(140)의 배면에는 위치 설정 핀(156)이 삽입되는 위치 설정 홈(160)이 형성될 수 있다.
진퇴부재(140)의 이동 방향을 좌우 방향이라고 할때, 위치 설정 핀(156)은 상하 방향으로 소정 범위 내에서 회전될 수 있도록 구비되며, 단부가 진퇴부재(140)의 배면을 향하도록 절곡된 형태이다. 위치 설정 핀(156)이 하우징(110) 내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탄지하는 탄성 지지부재(13)가 더 구비될 수 있다. 탄성 지지부재(13)는 진퇴부재(140)의 이동 경로와 나란하지 않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위치 설정 홈(160)은 진퇴부재(140)가 잠금위치에 있을 시, 위치 설정 핀(156)이 위치하게 되는 잠금 고정 홈(164)과, 진퇴부재(140)가 잠금해제 위치에 있을 시 위치 설정 핀(156)이 위치하게 되는 잠금해제 고정 홈(161)과, 잠금 상태에서 액츄에이터(170) 작동에 의해 진퇴부재(140)가 최대 전진 되었을 시 잠금 고정 홈(164)으로부터 빠져나온 위치 설정 핀(156)이 위치하게 되는 잠금해제 유도 홈(163)과, 잠금해제 상태에서 액츄에이터(170) 작동에 의해 진퇴부재(140)가 최대 전진 되었을 시, 위치 설정 핀(156)이 이르게 되는 잠금 유도 홈(162)을 포함한다.
잠금해제 고정 홈(161)과 잠금 유도 홈(162) 사이는 잠금 가이드 홈(165)으로 연결되고, 잠금 고정 홈(164)과 잠금해제 고정 홈(161) 사이는 잠금해제 가이드 홈(166)으로 연결된다.
도 7에는 잠금장치(100)에 의한 잠금 또는 잠금해제 과정에서 위치 설정 홈(160)내에서의 위치 설정 핀(156)의 위치가 도시되어 있다.
진퇴부재(140)가 잠금해제 위치에 있을 시, 위치 설정 핀(156)은 잠금해제 고정 홈(161) 내에 위치한다. 이 상태에서 액츄에이터(170)가 작동되면 진퇴부재(140)가 전진되고, 위치 설정 핀(156)은 잠금 가이드 홈(165)을 따라 이동하여 잠금 유도 홈(162)에 이르게 된다. 여기서, 좌우 방향으로는 진퇴부재(140)가 이동되는 것이고, 그에 따라 위치 설정 홈(160) 내에서의 위치 설정 핀(156)이 위치가 변동되는 것이기 때문에, 상기 위치 설정 핀(156)의 '이동'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실제로는 진퇴부재(140)에 대한 위치 설정 핀(156)의 상대적인 변위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이를 전제로 하여 이하 설명한다.
진퇴부재(140)의 최대 전진 이후 액츄에이터(170)의 작동이 중지되면, 스프링(173)의 탄성력에 의해 작동축(172)이 원위치로의 복귀를 시도하게 되고, 진퇴부재(140)의 후진이 이루어진다. 이때, 위치 설정 핀(156)이 잠금 유도 홈(162)을 빠져나온 후 잠금 고정 홈(164) 내로 삽입된다. 따라서, 진퇴부재(140)는 더 이상 후진하지 못하고, 잠금 위치에 고정된다.
이후, 다시 액츄에이터(170)가 작동되면 진퇴부재(140)가 전진하고, 위치 설정 핀(156)이 잠금 고정 홈(164)으로부터 빠져나온다. 진퇴부재(140)의 최대 전진 위치에서 위치 설정 핀(156)은 잠금해제 유도 홈(163) 내로 삽입된다. 진퇴부재(140)의 최대 전진 이후 액츄에이터(170)의 작동이 중지되면, 스프링(173)의 탄성력에 의해 작동축(172)이 원위치로의 복귀를 시도하게 되고, 진퇴부재(140)의 후진이 이루어진다. 이때, 위치 설정 핀(156)이 잠금해제 유도 홈(163)을 빠져나온 후 잠금해제 가이드 홈(166)을 따라 이동되어 잠금해제 고정 홈(161)에 이른다. 따라서, 진퇴부재(140)는 더 이상 후진하지 못하고 잠금해제 위치에 고정된다.
한편, 위치 설정 핀(156)이 잠금해제 고정 홈(161)으로부터 빠져나오며 잠금 가이드 홈(165)과 잠금 가이드 홈(165) 중 어느 것을 따라 이동할 것인지는 잠금해제 고정 홈(161)으로부터 위치 설정 핀(156)이 빠져나오는 과정에서 타 구조물과의 간섭 조건에 따라 정해질 수 있다. 이를 위해, 위치 설정 핀(156)이 출입하는 잠금해제 고정 홈(161)의 출입구측에 간섭돌기(167)가 형성되었다. 간섭돌기(167)는 잠금해제 고정 홈(161)으로부터 빠져나오는 위치 설정 핀(156)과 간섭되는 선단의 형태가 위치 설정 핀(156)의 이동을 잠금 가이드 홈(165) 쪽으로 유도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되었다. 여기서, 잠금 고정 홈(164)은 간섭돌기(167)의 후단에 형성되었다.
마찬 가지로, 위치 설정 핀(156)이 잠금 고정 홈(164)으로부터 빠져나오며 잠금 유도 홈(162) 및 잠금해제 유도 홈(163)중 어느 쪽으로 이동될 것인지는, 잠금 고정 홈(164)으로부터 위치 설정 핀(156)이 빠져나오는 과정에서 타 구조물과의 간섭 조건에 따라 정해질 수 있다. 이를 위해, 위치 설정 핀(156)이 출입하는 잠금 고정 홈(164)의 출입구 에 간섭돌기(168)가 형성될 수 있다. 간섭돌기(168)는 잠금 고정 홈(164)으로부터 빠져나오는 위치 설정 핀(156)과 간섭되는 선단의 형태가 위치 설정 핀(156)의 이동을 잠금해제 유도 홈(163) 쪽으로 유도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되었다. 여기서, 간섭돌기(168)는 잠금 유도 홈(162)과 잠금해제 유도 홈(163) 사이에 형성되었다.
도어 스위치(72)는 도어(16)의 개폐상태를 감지하는 것이다. 도어 스위치(72)는 리드 스위치(7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도어(16) 및 본체(10) 중 어느 하나에는 자석(미도시)이 구비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자석과의 사이에 작용하는 자기력에 의해 접점되는 리드 스위치(72)가 구비될 수 있다. 리드 스위치(72)는 도전체로 이루어져 서로 이격된 한 쌍의 리드(reed, 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으며, 도어(16) 닫힘 시 상기 자석에 의해 형성된 자기장에 의해 상기 한 쌍의 리드가 자화됨으로써 스위칭이 이루어진다.
잠금 스위치(153)는 진퇴부재(140)의 진퇴 동작에 따라 스위칭이 이루어져 도어(16)의 잠금여부를 감지하는 것이다. 잠금 스위치(153)는 택트 스위치(151)와 진퇴부재(140)의 위치에 따라 택트 스위치(151)를 스위칭시키는 스위칭 부재(152)를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칭 부재(152)는 택트 스위치(151)를 스위칭시키는 역할 뿐만 아니라, 진퇴부재(140)를 탄지한다. 스위칭 부재(152)는 금속 판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면 부호 151a는 택트 스위치(151)의 가동 단자로써, 스위칭 부재(152)에 의해 가동 단자(151a)가 눌러짐으로써 스위칭이 이루어진다.
커넥터(158)는 솔레노이드(171)와 택트 스위치(151)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단자와, 제어부(71), 솔레노이드(171) 및 택트 스위치(151) 간에 제어신호 전송을 위한 단자를 제공한다.
제어부(71)에 의한 구동부(30) 제어는 도어(16)의 정상적인 닫힘과 잠금이 모두 감지된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어(16)가 제대로 닫히지 않거나, 도어(16)는 잠기지 않은 상태에서 구동부(30)의 작동이 이루어지면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기 때문이다. 보다 상세하게, 제어부(71)는 도어(16)가 정상적으로 닫혀 리드 스위치(72)가 스위칭되고, 진퇴부재(140)의 정상적인 전진이 이루어져 택트 스위치(151)가 스위칭이 되어야 구동부(30)가 작동되며, 상기 두 가지 조건 중 하나라도 만족하지 않으면 구동부(30)의 작동을 실시하지 않는다.(작동 정지 상태 유지)
한편, 사용상의 부주의로 또는 부품 내구성의 약화로 인해 진퇴부재(140)의 이동단(130)에서 파손이 발생한 경우에 있어서, 잠금장치(100)가 작동되어 진퇴부재(140)가 정상적으로 잠금 위치까지 전진된다면, 이동단(130)의 파손으로 도어(16)의 잠금은 이루어지지 않았으나, 택트 스위치(151)는 정상적으로 스위칭되기 때문에, 택트 스위치(151)로부터 소정의 제어신호가 제어부(71)로 인가되고, 제어부(71)는 기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구동부(30)를 작동시킬 수 있다. 이는 도어(16)의 잠금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내조(24) 또는 펄세이터(25)가 회전되는 결과를 초래하기 때문에 매우 위험하다. 본 발명의 진퇴부재는, 이동단(130)의 파손 또는 절단이 발생한 상태에서 진퇴부재(140)가 잠금 위치로 이동될 시, 상기 절단이 이루어진 절단부가 하우징(110)의 진퇴홀(110h) 주변과 간섭을 일으켜, 잠금 위치로의 더 이상의 진행이 방지된다.
이동단(130)에서 절단이 이루어지는 위치는 절단된 단부가 진퇴홀(110h) 주변과 간섭을 일으킬 수 있도록 범위가 정해질 수 있어야 함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 외력에 의해 이동단(130)에서 절단이 발생하더라도, 진퇴부재(140)가 잠금해제 위치에 있는 상태를 기준으로 하우징(110) 내에 위치하는 소정의 절단 구간(131)에서 발생할 수 있도록, 이동단(130)은 절단 구간(131)과 그 이외의 구간 (132)에서 강도차이가 존재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절단 구간(131)에 비해 그 이외의 구간(132)에서 더 큰 강도를 갖도록 형성함으로써 이동단(130)의 절단이 이루어지더라도 절단 구간(131)에서 이루어지도록 유도하는 것이다. 절단 구간(131) 중의 임의의 지점에서 절단이 이루어지더라도 진퇴부재(140)는 진퇴홀(110h) 주변과 간섭이 이루어지지 전까지 소정 거리를 이동할 수 있으나, 이러한 이동 과정에서는 택트 스위치(151)의 스위칭은 이루어지지 않도록, 절단 구간(131)의 범위 또는 스위칭 부재(152)의 위치가 정해져야 한다.
도 8은 도 7의 VII-VII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이동단(130)은 절단 구간(131) 이외의 구간에서의 강성을 보강시키는 보강부재(134)를 포함할 수 있다. 보강부재(134)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동단(130)은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 외벽부(133) 내에 보강부재(134)가 내삽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경우, 외벽부(133)와 보강부재(134)는 인서트 사출에 의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동단(130) 중에서 보강부재(134)가 삽입된 구간은 절단 구간(131)에 비해 강도 보강이 이루어졌기 때문에 보강 구간(132)이라고 할 수 있다.
한편, 하우징(110)에는 진퇴부재(140)가 이동되는 과정에서 접촉 안내되는 안내부(112)가 형성될 수 있고, 이 경우, 진퇴부재(140)와 안내부(112) 사이에는 유격(g1)이 존재할 수 있다. 진퇴부재(140)의 이동단(130)이 진퇴홀(110h)에 삽입 지지되는 상태, 즉 이동단(130)의 절단이 없는 정상적인 상태에서는 진퇴부재(140)가 안내부(112)에 의해 안내되나, 이동단(130)의 절단이 발생한 경우에는, 진퇴부재(140)가 직진은 하우징(110)과 진퇴부재(140) 사이의 유격(g2)으로 인해 미세한 흔들림을 수반하게 되고, 이로 인해 이동단(130)의 절단부가 진퇴홀(110h) 주변과 간섭을 일으킬 가능성이 현저하게 높아진다.
또한, 진퇴부재(140)의 흔들림은, 전술한 작동 레버(180)의 동작에 의해서도 유발될 수 있으며, 탄성 지지부재(155)로부터 작용하는 탄성력에 의해서도 유발될 수 있으며, 스위칭 부재(152)로부터 작용하는 탄성력에 의해서도 유발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탑로딩 세탁기를 예로써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범위가 반드시 이에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프론트 로딩 세탁기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이는 세탁기 뿐만 아니라 건조기, 탈수기 등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5)

  1. 포 출입홀이 형성된 본체;
    상기 포 출입홀을 여닫는 도어; 및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도어가 상기 포 출입홀을 닫은 상태로 잠그는 잠금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잠금장치는,
    진퇴홀이 형성된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 내에서 지지되며 잠금 위치와 잠금해제 위치 간을 이동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진퇴홀에 의해 지지되는 이동단에 의해 상기 잠금 위치에서 상기 도어를 구속시키는 진퇴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진퇴부재는,
    상기 이동단의 절단이 발생한 상태에서 상기 잠금 위치로 이동될 시, 상기 절단이 이루어진 절단부가 상기 진퇴홀 주변과 간섭을 일으켜 상기 잠금 위치로의 진행이 방지되는 세탁물 처리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퇴부재는,
    외력에 의해 상기 이동단에서 절단이 발생하더라도, 상기 잠금해제 위치에서 상기 하우징 내에 위치하는 소정의 절단 구간에서 발생할 수 있도록, 절단 구간과 그 이외의 구간 사이에 강도 차이가 존재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단은,
    상기 절단 구간 이외의 구간에서의 강성을 보강시키는 보강부재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는 금속재질인 세탁물 처리기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단은,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 외벽부 내에 상기 보강부재가 내삽된 세탁물 처리기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단은,
    상기 외벽부와 상기 보강부재는 인서트 사출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는 세탁물 처리기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장치는,
    상기 진퇴부재가 상기 잠금위치에 있을 시 스위칭 되는 잠금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스위치는,
    택트 스위치; 및
    상기 진퇴부재의 위치에 따라 상기 택트 스위치를 스위칭시키는 스위칭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진퇴부재는 상기 스위칭 부재에 의해 탄지되는 세탁물 처리기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진퇴부재가 이동 과정에서 접촉 안내되는 안내부가 형성되고,
    상기 진퇴부재와 상기 안내부 사이에는 유격이 존재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장치는,
    상기 진퇴부재를 동작시키기 위한 선형의 왕복 운동을 발생시키는 에츄에이터; 및
    상기 선형의 왕복 운동을 회전 운동으로 변환시키는 작동 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진퇴부재는 상기 작동 레버와 연결되어 동작되는 세탁물 처리기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진퇴부재와 작동 레버가 서로 연결되는 연결부분에서, 상기 에츄에이터 작동에 따라 회동되는 상기 작동 레버의 작용단과 상기 작용단과 접촉되어 힘이 가해지는 상기 진퇴부재의 피작용단은, 상기 작동 레버의 회전 동작에 따라 소정의 범위 내에서 상대운동되는 세탁물 처리기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장치는,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진퇴부재를 탄지하는 탄성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지지부재는,
    상기 진퇴부재의 이동 경로로 나란하지 않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14. 제 1 항에 있어서,
    포를 수용하는 세탁조;
    상기 세탁조를 회전시키는 구동부;
    상기 도어의 여닫음 동작에 따라 스위칭 되는 도어 스위치; 및
    상기 도어 스위치 및 상기 잠금 스위치로부터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되, 상기 도어 스위치로부터 인가된 제어신호를 통해 상기 도어의 닫힘이 감지되더라도, 상기 잠금 스위치로부터 인가된 제어신호를 통해 상기 도어의 잠금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구동부를 작동 정지 상태로 유지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및 본체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된 자석을 더 포함하고,
    상기 도어 스위치는,
    상기 도어 및 본체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자석과의 사이에 작용하는 자기력에 의해 접점되는 리드 스위치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KR1020130014404A 2013-02-08 2013-02-08 세탁물 처리기기 KR1020186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4404A KR102018658B1 (ko) 2013-02-08 2013-02-08 세탁물 처리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4404A KR102018658B1 (ko) 2013-02-08 2013-02-08 세탁물 처리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1129A true KR20140101129A (ko) 2014-08-19
KR102018658B1 KR102018658B1 (ko) 2019-09-05

Family

ID=51746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4404A KR102018658B1 (ko) 2013-02-08 2013-02-08 세탁물 처리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865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12457A1 (ko) * 2017-05-17 2018-11-22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 방법
CN111910396A (zh) * 2019-05-10 2020-11-10 emz-汉拿两合有限公司 用于家用电器的门锁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4124A (ko) * 2001-09-17 2003-03-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도어 잠금해제장치
KR20050066293A (ko) * 2003-12-26 2005-06-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도어의 안전장치
KR20110049501A (ko) * 2009-11-05 2011-05-12 주식회사 삼코 전자동 세탁기의 도어커버 록킹장치
KR20110057450A (ko) * 2009-11-24 2011-06-01 두얼메카닉스 주식회사 락커의 파손감지 기능을 구비한 도어락 장치
KR20120056702A (ko) * 2010-11-25 2012-06-04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세탁기용 도어 잠금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4124A (ko) * 2001-09-17 2003-03-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도어 잠금해제장치
KR20050066293A (ko) * 2003-12-26 2005-06-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도어의 안전장치
KR20110049501A (ko) * 2009-11-05 2011-05-12 주식회사 삼코 전자동 세탁기의 도어커버 록킹장치
KR20110057450A (ko) * 2009-11-24 2011-06-01 두얼메카닉스 주식회사 락커의 파손감지 기능을 구비한 도어락 장치
KR20120056702A (ko) * 2010-11-25 2012-06-04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세탁기용 도어 잠금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12457A1 (ko) * 2017-05-17 2018-11-22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 방법
US11814771B2 (en) 2017-05-17 2023-11-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shing machine and method for controlling washing machine
CN111910396A (zh) * 2019-05-10 2020-11-10 emz-汉拿两合有限公司 用于家用电器的门锁
CN111910397A (zh) * 2019-05-10 2020-11-10 emz-汉拿两合有限公司 用于家用电器的门锁
CN111910395A (zh) * 2019-05-10 2020-11-10 emz-汉拿两合有限公司 用于家用电器的门锁
CN111910396B (zh) * 2019-05-10 2023-03-03 emz-汉拿两合有限公司 用于家用电器的门锁
CN111910395B (zh) * 2019-05-10 2023-03-28 emz-汉拿两合有限公司 用于家用电器的门锁
US11624209B2 (en) 2019-05-10 2023-04-11 Emz Hanauer Gmbh & Co. Kgaa Door lock for a domestic electrical applian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8658B1 (ko) 2019-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69049B2 (en) Washing machine having lid locker
KR102412031B1 (ko) 세탁기
US20200355000A1 (en) Door lock for a domestic electrical appliance
CN110621820B (zh) 洗衣机和控制洗衣机的方法
JP6660828B2 (ja) 衣類処理装置
KR101636074B1 (ko) 드럼세탁기
KR20140101129A (ko) 세탁물 처리기기
US20180347101A1 (en) Washing machine
KR20100125071A (ko) 세탁기의 도어 잠금 장치
KR20100089380A (ko) 도어 닫힘 방지장치를 갖는 의류 처리장치
KR20120056702A (ko) 세탁기용 도어 잠금장치
CN107794731A (zh) 衣物干燥机
KR20120127020A (ko) 세탁기
KR20120008689A (ko) 도어 잠금장치
KR101236951B1 (ko) 세탁기 도어 잠금장치
KR20070063998A (ko) 드럼세탁기의 손잡이 은폐장치
US20200332456A1 (en) Washing machine
KR20180060558A (ko) 리드락스위치를 갖는 세탁기 도어 이중 잠금장치
KR101603329B1 (ko) 드럼세탁기 도어 잠금장치
KR20110004750A (ko) 액체세제 공급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431447B1 (ko) 세탁기
KR101431448B1 (ko) 세탁기
KR200474622Y1 (ko) 전자동 세탁기의 도어 잠금장치
KR20050114776A (ko) 세탁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057861B1 (ko) 의류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