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99516A - 세포 분리 용기 - Google Patents

세포 분리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99516A
KR20140099516A KR1020147017635A KR20147017635A KR20140099516A KR 20140099516 A KR20140099516 A KR 20140099516A KR 1020147017635 A KR1020147017635 A KR 1020147017635A KR 20147017635 A KR20147017635 A KR 20147017635A KR 20140099516 A KR20140099516 A KR 201400995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tissue
chamber
atmospheric pressure
pressure regul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176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코토 스기우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재팬 티슈 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재팬 티슈 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재팬 티슈 엔지니어링
Publication of KR201400995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95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1/00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 C12M1/12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with sterilisation, filtration or dialysis mea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47/00Means for after-treatment of the produced biomass or of the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e.g. storage of biomass
    • C12M47/02Separating microorganisms from the culture medium; Concentration of biomas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1/00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1/00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 C12M1/26Inoculator or sample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45/00Means for pre-treatment of biological substances
    • C12M45/06Means for pre-treatment of biological substances by chemical means or hydrolysi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45/00Means for pre-treatment of biological substances
    • C12M45/09Means for pre-treatment of biological substances by enzymatic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47/00Means for after-treatment of the produced biomass or of the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e.g. storage of biomass
    • C12M47/04Cell isolation or sort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icro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ell Biology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세포 분리 용기 (10) 는, 수집실 (20) 과 조직 유지실 (30) 이 필터 (40) 에 의해 구획되어 있다. 이 세포 분리 용기 (10) 는, 수집실 (20) 의 기체의 유입출을 조절하는 제 1 기압 조절부 (60) 와, 조직 유지실 (30) 의 기체의 유입출을 조절하는 제 2 기압 조절부 (70) 를 구비하고 있고, 이들의 조작에 의해 수집실 (20) 과 조직 유지실 (30) 의 기체의 유입출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세포 분리 용기 (10) 에서는, 수집실 (20) 의 기체의 유입출의 조절에 의해 처리액을 조직 유지실 (30) 에 유지할지 수집실 (20) 로 배출할지를 조절할 수 있다.

Description

세포 분리 용기{CELL SEPARATION CONTAINER}
본 발명은 세포 분리 용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생체외 (in vitro) 에서 세포를 배양하고, 배양한 세포를 치료를 위해서 환자에게 투여하거나, 의약품 등의 독성 시험에 이용하는 등 세포 배양 기술이 다양한 영역에서 이용되게 되었다. 이와 같은 세포 배양 기술은 오래전부터 실시되고 있지만, 그 공정의 대부분은 사람에 의한 매뉴얼 조작으로서, 작업자의 부담이 커서, 조작을 간소화하거나 자동화하는 것이 요망되고 있다. 특히, 세포 배양의 초기 공정인 생체 조직으로부터 세포를 분리하는 공정에서는, 환자 또는 도너로부터 채취한 생체 조직을 세정·소독하거나, 효소를 포함하는 액체로 처리하여 생체 조직으로부터 세포를 분리하는 것과 같은 다수의 조작이 필요하여, 작업자에게 큰 부담을 주고 있다.
그래서,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에서는, 적어도 일부에 세포가 통과 가능한 크기의 복수의 세포 통과공을 갖고 생체 조직을 유지 가능한 조직 유지부와, 조직 유지부를 둘러싸도록 구성되고 조직 유지부에 유지된 생체 조직을 침지시키는 분산제 함유액을 저류 가능한 액체 저류부와, 액체 저류부에 저류되는 분산제 함유액의 작용에 의해 생체 조직으로부터 분리한 세포를 조직 유지부의 세포 통과공으로부터 조직 유지부의 외측으로 통과시키는 것과 같은 수류를 분산제 함유액에 발생시키는 수류 발생부를 구비한 세포 분산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이 세포 분산 장치에서는, 생체 조직으로부터 세포를 분리·분산시킬 때의 매뉴얼 조작을 대행해 주기 때문에, 분산제에 의해 생체 조직으로부터 세포를 분리·분산하는 처리를 간단하게 실시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서술한 장치에서는, 세포 분산 처리가 실시되는 조직 유지부뿐만 아니라, 액체 저류부까지도 충분한 양의 분산제 함유액을 저류하여 처리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액량이 많이 필요한 점 등, 효율적이지 않은 면이 있었다.
일본 특허 제4520855호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조직편을 처리액으로 처리하여 세포를 분리하는 일련의 조작을 간편하게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은 세포 분리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한다. 또한, 매뉴얼 조작으로도 용이하게 세포 분리 처리를 할 수 있는 구조로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포 분리 용기는, 상기 서술한 주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이하의 수단을 채용하였다.
즉, 본 발명의 세포 분리 용기는,
처리액을 이용하여 조직편으로부터 세포를 분리시키는 세포 분리 용기에 있어서,
상기 처리액 및 상기 세포 중 적어도 일방을 수집하는 수집실과,
상기 처리액을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를 구비하고, 상기 수집실의 상방에 형성된 조직 유지실과,
상기 수집실과 상기 조직 유지실을 구획하는 구성의 전부 또는 일부로서 형성되고, 상기 조직편을 유지 가능 그리고 상기 세포가 통과 가능한 필터와,
상기 수집실과 상기 조직 유지실의 각 기체의 유입출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조직 유지실에 투입한 처리액을, 상기 필터를 통과시키지 않고 상기 조직 유지실에 유지시키거나, 상기 필터를 통과시켜 상기 수집실로 배출시키는 것을 전환 가능한 기압 조절 기구와,
를 구비한 것이다.
이 세포 분리 용기에서는, 수집실과 조직 유지실의 각 기체의 유입출을 조절함으로써, 조직 유지실 내에서 조직편을 처리할 때에는 조직 유지실에 처리액이 유지되도록 제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처리액으로의 처리가 종료되었을 때에는 조직 유지실에 조직편이나 잔류물을 유지한 상태로 용이하게 처리액 및 세포를 수집실에 배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조직편을 처리액으로 처리하고, 처리 후의 처리액을 배출한다는 일련의 조작을 간편하게, 필요 최소한의 액량으로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여기서, 조직편으로는, 생체 조직으로부터 채취 가능한 상피 조직, 결합 조직, 근조직, 신경 조직 등이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피부 (표피, 진피), 연골, 각막, 망막, 골막, 뼈, 신경, 근육, 점막, 치주 조직, 혈관, 지방 또는 심장, 간장, 췌장, 신장 혹은 방광 등의 조직이나 장기의 일부를 들 수 있다. 또한, 세포를 배양하여 얻어지는 세포 시트나 세포괴 (스페로이드) 또는 족장 (Scaffold) 에 세포를 파종한 배양 조직 등의 단일종 또는 복수종의 세포로 구성되는 세포 집단도, 본 발명의 조직편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처리액으로는, 조직편을 수송하는 데에 사용되는 수송액이나, 조직편을 소독하는 데에 사용되는 소독액, 조직편을 세정하는 데에 사용되는 세정액, 조직편으로부터 세포를 분리하는 데에 사용되는 효소 용액 외에, 배지 등을 들 수 있다. 수송액으로는, 인산 완충액 (PBS), 링거액, 배지 등을 들 수 있다. 세정액으로는, 인산 완충액 (PBS), 링거액, 생리 식염액 등을 들 수 있다. 소독액으로는, 알코올, 포비돈 요오드 용액 등을 들 수 있다. 효소 용액으로는, 트립신이나 디스파제, 콜라게나제, 젤라티나제 등의 각종 프로테아제, 각종 펩티다제, 각종 당분해 효소 등을 들 수 있다. 배지로는, DMEM (둘베코 변법 이글 배지 (培地)), α-MEM, 무혈청 배지 등의 각종 액체 배지를 들 수 있고, FBS (소 태아 혈청) 등의 혈청, 페니실린이나 스트렙토마이신 등의 항생제, 성장 인자, 아스코르브산 등의 각종 첨가 물질이 첨가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세포 분리 용기에 있어서, 상기 기압 조절 기구는, 상기 수집실에 형성되어 상기 수집실 내의 기체의 유입출을 조절하는 제 1 기압 조절부와, 상기 조직 유지실에 형성되어 상기 조직 유지실 내의 기체의 유입출을 조절하는 제 2 기압 조절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렇게 하면, 수집실 내의 기압과 조직 유지실 내의 기압을 개별적으로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기압의 조절이 용이하다.
이러한 세포 분리 용기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압 조절부는, 상기 수집실 내의 기체와 외기를 유통·차단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 2 기압 조절부는, 항상 상기 조직 유지실 내의 기체와 외기를 유통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해도, 수집실과 조직 유지실에 있어서의 처리액의 유지 및 배출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 1 기압 조절부에 의해 수집실 내의 기체와 외기를 차단하면, 조직 유지실에 투입된 처리액이 덮개가 되어 수집실은 밀폐 상태가 되어, 수집실의 기체는 체적 변화를 수반하지 않고 수집실 내에 유지된다. 이 때, 처리액에는, 중력과 조직 유지실 내의 기체의 기압에 의한 하향의 힘과 균형을 이루는, 표면 장력과 수집실 내의 기체의 기압에 의한 상향의 힘 (이하에서는 하방으로부터의 지지력이라고도 칭한다) 이 작용한다. 이와 같은 기압 평형의 작용에 의해, 처리액을 조직 유지실 내에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처리액이 덮개의 역할을 하기 위해서는, 처리액의 표면 장력과 필터의 포아 사이즈 (구멍 직경) 의 관계가, 수집실 내의 기체의 기압하에 있어서 필터 구멍을 통하여 기체가 용이하게 이동할 수 없는 설정으로 하면 되는데, 조직편을 유지 가능하고 또한 세포가 통과 가능한 포아 사이즈이면 충분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 있으면, 조직 유지실의 기체가 외기와 유통하고 있어도 밀폐되어 있어도 수집실 내의 기체가 조직 유지실측으로 이동하는 일이 없기 때문에, 하방으로부터의 지지력은 유지되어, 처리액을 조직 유지부에 유지할 수 있다. 이어서, 제 1 기압 조절부에 의해 수집실 내의 기체와 외기를 유통하면, 수집실 내의 기체는 외부로 유출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하방으로부터의 지지력이 약해져, 처리액은 중력에 따라 수집실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제 1 기압 조절부를 차단 상태로 하면, 수집실의 기압에 의한 힘으로 처리액을 조직 유지실에 유지할 수 있고, 제 1 기압 조절부를 유통 상태로 하면, 처리액을 용이하게 수집실로 배출시킬 수 있다. 또한, 제 1 기압 조절부에 의해 적극적으로 수집실 내의 기체를 흡인해 주는 것 등에 의해 수집실 내의 기압을 조직 유지부의 기압보다 낮게 해 주면, 더욱 효율적으로 처리액을 배출할 수 있다. 이 경우, 포아 사이즈가 작아, 처리액이 잘 배출되지 않는 상황에서는, 보다 효과적이다. 또한, 전술한 구성과는 반대로, 상기 제 1 기압 조절부를 항상 상기 수집실 내의 기체와 외기를 유통 가능하게 하고, 상기 제 2 기압 조절부를 상기 조직 유지실 내의 기체와 외기를 유통·차단 가능하게 구성해도 동일한 효과가 기대된다.
본 발명의 세포 분리 용기는, 상부에 개구를 갖는 하 (下) 용기와, 상부에 개구를 갖고 저부에 상기 필터를 구비하여 하방으로 상기 하 용기와 접속되는 상 (上) 용기와, 상기 상 용기의 개구에 장착 가능한 덮개체를 구비하고, 상기 하 용기와 상기 상 용기의 상기 저부로 둘러싸인 영역이 상기 수집실이고, 상기 상 용기와 상기 덮개체로 둘러싸인 영역이 상기 조직 유지실인 것으로 해도 된다. 이러한 세포 분리 용기에 있어서, 상기 상 용기는, 상부 및 하부에 개구를 갖고 하방으로 상기 하 용기와 접속되는 외프레임체와, 상기 외프레임체의 내측에 착탈 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필터를 구비한 조립체를 구비하고 있는 것으로 해도 되고, 일체로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해도 된다. 외프레임체와 조립체를 구비한 것으로 하면, 외프레임체와 조립체의 조합을 바꿈으로써 원하는 조작에 적합한 것으로 할 수 있고, 일체로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하면, 부품 개수가 적기 때문에 취급이 용이하다. 또한, 이러한 세포 분리 용기에 있어서, 상기 하 용기는, 상기 덮개체를 장착 가능한 구조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렇게 하면, 세포의 분리가 종료된 후 상 용기를 제거하여 하 용기에 직접 덮개체를 장착하여 그 후의 조작이나 보관을 컴팩트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하 용기, 상 용기, 필터를 일체적으로 형성해도 된다.
또한, 하 용기와 상 용기와 덮개체를 구비한 양태의 세포 분리 용기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압 조절부는, 상기 덮개체에 형성된 봉지부와 그 봉지부에 접속하여 상기 상 용기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통상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렇게 하면, 기압의 조절 조작을 덮개체에 형성한 봉지부로 실시할 수 있기 때문에, 조작이 용이해진다. 이러한 양태의 세포 분리 용기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압 조절부는 상기 통상부로부터 연속하여, 상기 하 용기의 저부에 이르는 흡인관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이렇게 하면, 수집실에 수집된 처리액이나 세포를 배출할 때에 흡인 도구를 하 용기의 저부에 이를 때까지 삽입하는 조작 등을 생략할 수 있기 때문에 조작이 용이해지고, 또한, 자동화에 적합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하 용기와 상 용기와 덮개체를 구비한 양태의 세포 분리 용기에 있어서, 상기 덮개체는, 상기 상 용기에 나사에 의해 장착·제거가 가능한 덮개체 본체와, 그 덮개체 본체의 내측에 배치 형성되는 러버층을 구비하고, 그 러버층은 상기 덮개체 본체와의 접촉면의 고무 경도가 상기 상 용기와의 접촉면의 고무 경도보다 높게 되어 있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러한 것에서는, 러버층과 덮개체 본체 사이에는 마찰이 잘 발생하지 않아, 러버층과 상 용기는 밀착하기 쉽다. 이로 인해, 덮개체를 상 용기에 장착할 때에 러버층이 잘 뒤틀리지 않기 때문에 덮개의 뒤틀림이 잘 풀리지 않아, 외용기의 기밀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혹은, 본 발명의 세포 분리 용기는, 상부에 개구를 갖는 외용기와, 상기 외용기의 내부 상방에 조립되어 상부에 개구를 갖고 저부에 상기 필터를 구비한 내용기와, 상기 내용기가 조립된 상태의 상기 외용기에 장착 가능한 덮개체를 구비하고, 상기 외용기와 상기 덮개체로 둘러싸인 상기 내용기의 외측의 영역이 상기 수집실이고, 상기 내용기와 상기 덮개체로 둘러싸인 영역이 상기 조직 유지실인 것으로 해도 된다. 이러한 세포 분리 용기에는, 외용기나 덮개체에 시판되는 원침관 등을 적용하기 쉽기 때문에, 범용성이 높다.
또한, 외용기와 내용기와 덮개체를 구비한 양태의 세포 분리 용기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압 조절부는, 상기 덮개체에 형성된 봉지부와, 그 봉지부에 접속하여 상기 내용기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통상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렇게 하면, 기압의 조절 조작을 덮개체에 형성한 봉지부로 실시할 수 있기 때문에, 조작이 용이해진다. 이러한 양태의 세포 분리 용기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압 조절부는 상기 통상부로부터 연속하여, 상기 외용기의 저부에 이르는 흡인관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이렇게 하면, 수집실에 수집된 처리액이나 세포를 배출할 때에 흡인 도구를 외용기의 저부에 이를 때까지 삽입하는 조작 등을 생략할 수 있기 때문에 조작이 용이해지고, 또한, 자동화에 적합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외용기와 내용기와 덮개체를 구비한 양태의 세포 분리 용기에 있어서, 상기 덮개체는, 상기 외용기에 나사에 의해 장착·제거가 가능한 덮개체 본체와, 그 덮개체 본체의 내측에 배치 형성되는 러버층을 구비하고, 그 러버층은 상기 덮개체 본체와의 접촉면의 고무 경도가 상기 외용기 및/또는 상기 내용기와의 접촉면의 고무 경도보다 높게 되어 있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러한 것으로는, 러버층과 덮개체 본체 사이에는 마찰이 잘 발생하지 않아, 러버층과 외용기나 내용기는 밀착하기 쉽다. 이 때문에, 덮개체를 외용기에 장착할 때에 러버층이 잘 뒤틀리지 않기 때문에 덮개의 뒤틀림이 잘 풀리지 않아, 외용기나 내용기의 기밀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도 1 은 제 1 실시형태의 세포 분리 용기 (10) 의 사시도이다.
도 2 는 조립 전의 세포 분리 용기 (10) 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 은 도 2 의 A-A 단면의 모식도이다.
도 4 는 세포 분리 현탁 처리에 있어서의 조작 내용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5 는 조직편과 수송액의 모양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6 은 조직편을 소독하는 모양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7 은 효소 처리의 모양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8 은 세포 현탁 처리의 모양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9 는 제 2 실시형태의 세포 분리 용기 (310) 의 사시도이다.
도 10 은 조립 전의 세포 분리 용기 (310) 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 은 세포 분리 용기의 변형예이다.
도 12 는 세포 분리 용기의 변형예이다.
도 13 은 세포 분리 용기의 변형예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
도 1 은, 제 1 실시형태의 세포 분리 용기 (10) 의 사시도, 도 2 는 조립 전의 세포 분리 용기 (10) 의 사시도, 도 3 은 도 2 의 A-A 단면의 모식도이다.
세포 분리 용기 (10) 는,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집실 (20) 과 조직 유지실 (30) 이 필터 (40) 에 의해 구획되어 있다. 이 세포 분리 용기 (10) 는, 수집실 (20) 의 기체의 유입출을 조절하는 제 1 기압 조절부 (60) 와, 조직 유지실 (30) 의 기체의 유입출을 조절하는 제 2 기압 조절부 (70) 를 구비하고 있고, 이들에 의해 수집실 (20) 및 조직 유지실 (30) 의 외기와의 기체의 유입출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세포 분리 용기 (10) 는,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 용기 (22) 와, 필터 (40) 를 구비한 상 용기 (32) 와, 상 용기 (32) 의 개구 (34) 에 장착 가능한 덮개체 (50) 를 구비하고 있고, 하 용기 (22) 와 상 용기 (32) 의 저부 (38) 로 둘러싸인 영역이 수집실 (20), 상 용기 (32) 와 덮개체 (50) 로 둘러싸인 영역이 조직 유지실 (30) 이 된다.
하 용기 (22) 는, 유저 통상이고, 저부 (28) 는 측벽으로부터 매끄럽게 이어지는 곡면으로 되어 있다. 또한, 저부 (28) 는, 원추 형상으로 측벽으로부터 매끄럽게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렇게 하면, 세포 분리 용기 (10) 를 세포 분리 후에 원심 분리기에 걸친 경우에 저부 (28) 에 세포가 집적하기 쉽다 (세포 펠릿을 형성하기 쉽다). 또한, 하 용기 (22) 는, 상부에 개구 (24) 를 가지고 있고, 개구의 외주측에는 수나사부 (26) 가 형성되어 있다.
상 용기 (32) 는, 통상이고, 저부 (38) 에는 내주측에 암나사부 (39) 가 형성되어 있다. 이 암나사부 (39) 와 하 용기 (22) 의 수나사부 (26) 가 나사 결합됨으로써, 상 용기 (32) 와 하 용기 (22) 가 접속된다. 또한, 상 용기 (32) 는, 상부에 개구 (34) 를 가지고 있고, 개구의 외주측에는 수나사부 (36) 가 형성되어 있다.
필터 (40) 는, 상 용기 (32) 의 저부 (38) 중 암나사부 (39) 의 상방에 열융접되어 있다. 이 필터 (40) 는, 필터재 (42) 와 필터재 (42) 를 상 용기 (32) 에 고정시키기 위한 프레임부 (44) 를 구비하고 있다. 프레임부 (44) 는, 중앙부에 형성된 원반상의 부분과, 상 용기 (32) 의 내주를 따라 형성된 바퀴상의 부분과, 양자를 연결하는 8 개의 대들보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이 프레임부 (44) 에 필터재 (42) 가 건너질러 있다. 또한, 프레임부 (44) 의 형상이나 형태에 대해서는 적절히 설계하면 되고, 전체면을 필터재 (42) 로 구성해도 되지만,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강도를 얻을 수 있다. 필터재 (42) 는, 조직편을 유지 가능하고 또한 세포가 통과 가능하면 되지만, 멤브레인 필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멤브레인 필터의 재질로는 나일론 (등록상표) 이나,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PTFE), 셀룰로오스 등을 들 수 있다. 필터재 (42) 의 포아 사이즈는, 전술한 바와 같이, 처리액의 표면 장력 (점성) 등을 감안하여 소정의 기압 조건하에서 수집실의 기체가 필터 구멍을 통하여 조직 유지실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없도록 적절히 설정하면 된다. 예를 들어 30 ㎛ 이상 100 ㎛ 이하가 바람직하고, 40 ㎛ 이상 70 ㎛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덮개체 (50) 는,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주측에 암나사부 (54) 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이 암나사부 (54) 와 상 용기 (32) 의 수나사부 (36) 가 나사 결합됨으로써, 덮개체 (50) 와 상 용기 (32) 가 접속된다. 이 암나사부 (54) 는, 또한 하 용기 (22) 의 수나사부 (26) 와도 나사 결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덮개체 (50) 는, 상 용기 (32) 의 개구 (34) 에도 하 용기 (22) 의 개구 (24) 에도 장착 가능하다.
덮개체 (50) 는, 덮개체 본체 (51) 와, 필요한 기밀성 및 액밀성을 확보하기 위한 러버층 (56) 을 구비하고 있고, 처리액을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 (52) 나, 봉지 러버 (62), 제 2 기압 조절부 (70) 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투입구 (52) 는, 도시하지 않은 니들 보틀에 의해 처리액을 투입할 수 있도록, 덮개체 본체 (51) 및 러버층 (56) 을 관통하는 원형의 구멍을 매립하는 엘라스토머로 구성되어 있다. 봉지 러버 (62) 는, 상 용기 (32) 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된 통상부 (64) 와 기밀하고 액밀하게 접속되어, 제 1 기압 조절부 (60) 를 구성하고 있다. 봉지 러버 (62) 는, 덮개체 본체 (51) 및 러버층 (56) 을 관통하는 원형의 구멍을 매립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침상 부재 (66) (도 5(c) 등을 참조) 를 관통시킴으로써 수집실 (20) 내의 기체와 외기를 유통시키고, 이 침상 부재 (66) 를 빼냄으로써 엘라스토머의 복원력에 의해 수집실 (20) 내의 기체와 외기를 차단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봉지 러버 (62) 는, 침상 부재 (66) 의 빼고 꽂기뿐만 아니라, 침상 부재 (66) 에 접속된 밸브 (68) 의 개폐 등에 의해서도 유통·차단할 수 있다. 제 2 기압 조절부 (70) 는, 덮개체 본체 (51) 및 러버층 (56) 을 관통하는 원형의 구멍을 기체 투과성과 액체 불투과성을 갖는 재료로 막은 것으로, 항상 기체의 유통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로써, 조직 유지실 (30) 내의 기체와 외기가 항상 유통 가능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조직 유지실 (30) 내의 기압은 항상 외기와 동일해진다. 여기서, 기체 투과성 그리고 액체 불투과성의 재료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등의 불소 수지나 실리콘 수지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은 충실체여도 되지만 미세공 (예를 들어 수 ∼ 수십 ㎛ 의 직경의 구멍) 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다음으로, 제 1 실시형태의 세포 분리 용기를 이용하여 조직편으로부터 세포를 분리하여 세포 현탁액을 제작하는 구체적인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 는, 세포 분리 현탁 처리에 있어서의 조작 내용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또한, 이 처리는, 하 용기 (22) 와 상 용기 (32) 를 일체화하고, 덮개체 (50) 는 장착되어 있지 않은 상태로 개시하는 것으로 한다.
세포 분리 현탁 처리에서는, 먼저, 세포 분리 용기 (10) 의 조직 유지실 (30) 에 개구 (34) 로부터 조직편을 투입한다 (단계 S100). 또한, 조직편 투입 후에 조직 유지실 (30) 에 수송액을 투입함으로써 본 세포 분리 용기는 수송 용기로서도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덮개체 (50) 를 장착한 후에 투입구 (52) 로부터 수송액을 투입함으로써, 수송액이 덮개가 되어 수집실 (20) 은 밀폐 상태가 되기 때문에, 상기 서술한 하방으로부터의 지지력에 의해, 수송액은 조직편과 함께 조직 유지실 (30) 에 유지된다. 이 상태로 수송하면, 조직 유지부 (30) 에, 조직편을 수송액에 침지시킨 상태로 수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수송 용기로서 이용한 경우에는, 수송 후에 본 세포 분리 용기를 그대로 사용하여 세포 분리 현탁 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수송액으로는, 수송 대상이 되는 조직편에 의해 적절히 결정하면 되는데, 예를 들어 인산 완충액 (PBS), 링거액, 배지 등을 들 수 있다.
도 5 는 조직편과 수송액을 투입하고 수송액을 배출하는 모양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5(a) 는 조직편을 투입한 모양을, 도 5(b) 는 수송액을 배출하기 전의 모양을 나타내고 있다. 도 5(b) 에서는, 제 1 기압 조절부 (60) 는 차단 상태이고 제 2 기압 조절부 (70) 는 유통 상태이다. 이 때문에, 제 1 기압 조절부 (60) 가 접속된 수집실 (20) 은 수송액이 덮개가 되어 밀폐 상태가 되기 때문에, 상기 서술한 하방으로부터의 지지력에 의해, 투입한 조직편과 수송액은, 수집실 (20) 측에 배출되지 않고 조직 유지실 (30) 에 유지된다.
계속해서, 도 5(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기압 조절부 (60) 의 봉지 러버 (62) 에 침상 부재 (66) 를 관통시키면, 수집실 (20) 내가 외기와 유통하기 때문에, 수집실 (20) 내의 기체는 외부로 유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로써, 상기 서술한 하방으로부터의 지지력이 약해져, 조직 유지실 (30) 에 유지되어 있던 수송액이 중력에 따라 수집실 (20) 측으로 배출된다. 또한, 이 때, 조직편은 필터 (40) 의 포아 사이즈보다 크기 때문에, 필터 (40) 를 통과하지 않고 조직 유지실 (30) 에 유지된다. 계속해서, 침상 부재 (66) 에 도시하지 않은 아스피레이터를 접속하여, 수집실 (20) 내의 수송액을 흡인하여 배출한다 (도 5(d) 참조). 또한, 각 조작은, 세포 분리 용기 (10) 를 적절히 기울이면서 실시해도 되고, 도 5(c) 나 도 5(d)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조작은, 홀더 (80) 로 세포 분리 용기 (10) 를 고정시켜 실시해도 된다. 이 점은, 이하의 조작에서도 동일하다.
다음으로, 조직 유지실 (30) 에 유지된 조직편을 소독한다 (단계 S110). 도 6 은, 조직편을 소독하는 모양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또한, 조직편의 수송을 다른 용기로 실시한 경우에는, 조직편의 투입 (단계 S100, 도 5(a)) 후, 곧바로 본 공정도를 실시할 수 있다. 소독액으로는, 조직편에 대한 소독 효과나 세포에 대한 영향 등을 감안하여 결정하면 되는데, 예를 들어, 알코올, 포비돈 요오드 용액 등을 들 수 있다. 소독에 있어서는, 먼저, 침상 부재 (66) 에 접속된 밸브 (68) 를 닫고, 계속해서, 소독액이 들어간 니들 보틀 (90A) 의 니들을 투입구 (52) 에 관통시켜 조직 유지실 (30) 내에 소독액을 투입한다 (도 6(a) 참조). 이 때, 제 1 기압 조절부 (60) 는 침상 부재 (66) 에 접속된 밸브 (68) 가 닫혀 있음으로써 차단 상태가 되어 있고, 제 2 기압 조절부 (70) 는 유통 상태가 되어 있다. 이로 인해, 제 1 기압 조절부 (60) 가 접속된 수집실 (20) 내는 소독액이 덮개가 되어 밀폐 상태가 되고, 상기 서술한 하방으로부터의 지지력에 의해, 소독액이 수집실 (20) 측으로 배출되지 않고, 조직 유지실 (30) 에 유지되어 있다. 계속해서, 침상 부재 (66) 에 접속된 밸브 (68) 를 열면, 수집실 (20) 내의 기체가 외기와 유통하기 때문에, 수집실 (20) 내의 기체는 외부로 유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로써, 상기 서술한 하방으로부터의 지지력이 약해져, 도 6(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직 유지실 (30) 에 유지되어 있던 소독액이 수집실 (20) 측으로 배출된다. 또한, 이 때, 조직편은 필터 (40) 의 포아 사이즈보다 크기 때문에, 필터 (40) 를 통과하지 않고 조직 유지실 (30) 에 유지된다. 계속해서, 침상 부재 (66) 에 도시하지 않은 아스피레이터를 접속하여, 수집실 (20) 내의 소독액을 흡인하여 배출한다 (도 6(c) 참조).
다음으로, 조직 유지실 (30) 에 유지된 조직편을 세정한다 (단계 S120). 세정액으로는, 세정 효과나 세포에 대한 영향 등을 감안하여 결정하면 되는데, 예를 들어, 인산 완충액 (PBS), 링거액, 생리 식염액 등을 들 수 있다. 세정 횟수는 임의로 설정하면 되는데, 예를 들어 2 회 정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소독액 대신에 세정액을 사용하는 점 이외의 구체적인 조작에 대해서는, 단계 S110 과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복수 회 실시하는 경우에는, 동일하게 반복하여 실시하면 된다.
다음으로, 조직 유지실 (30) 에 유지된 조직편으로부터 세포를 분리하기 위하여, 효소 용액을 이용하여 효소 처리를 실시한다 (단계 S130). 도 7 은, 효소 처리의 모양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효소 용액으로는, 대상이 되는 조직편에 따라 결정하면 된다. 예를 들어, 조직편이 피부 조직이면 트립신 용액, 조직편이 연골 조직이면 콜라게나제 용액 등을 들 수 있다. 효소 처리에 있어서, 침상 부재 (66) 에 접속된 밸브 (68) 를 닫고, 계속해서, 효소 용액이 들어간 니들 보틀 (90B) 의 니들을 투입구 (52) 에 관통시켜 조직 유지실 (30) 내에 효소 용액을 투입한다 (도 7(a) 참조). 이 경우에도, 소독액의 경우와 동일하게, 효소 용액은 수집실 (20) 측에 배출되지 않고 조직 유지실 (30) 에 유지된다.
이 상태로 소정 시간 (예를 들어, 1 시간이나 3 시간 등) 정치 (靜置) 함으로써, 조직 유지실 (30) 에 있어서 효소 반응을 진행시켜, 조직편으로부터 세포를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침상 부재 (66) 를 제 1 기압 조절부 (60) 로부터 빼내고, 세포 분리 용기 (10) 를 홀더 (80) 로부터 제거하여, 도 7(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회 진탕에 의해 효소 용액에 의한 효소 반응을 촉진시켜도 된다. 이 선회 진탕은 조직편이나 효소 용액에 따라 적절히 설정하면 되는데, 예를 들어 항온 진탕기를 사용하여 180 rpm 으로 1 시간, 60 rpm 으로 3 시간 등의 조건으로 실시한다. 이 때, 제 1 기압 조절부 (60) 는, 침상 부재 (66) 가 빠져 있음으로써 차단 상태가 되어 있고, 제 2 기압 조절부 (70) 는 유통 상태가 되어 있기 때문에, 제 1 기압 조절부 (60) 가 접속된 수집실 (20) 의 기체가 밀폐 상태가 되어 있다. 적어도 필터면이 조직 유지실 (30) 의 기체에 노출되지 않는 한, 진탕해도 수집실 (20) 의 밀폐 상태는 유지되기 때문에, 효소 용액이 수집실 (20) 측으로 배출되지 않고, 조직 유지실 (30) 에 유지된다. 또한, 처리액의 표면 장력과 필터의 포아 사이즈의 관계에 따라서는, 순간적으로 필터면이 조직 유지실 (30) 의 기체에 노출되어도 효과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고, 보다 격렬한 진탕 조건에서도 사용 가능해진다.
계속해서, 도 7(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세포 분리 용기 (10) 를 홀더 (80) 에 고정시키고, 제 1 기압 조절부 (60) 의 봉지 러버 (62) 에 침상 부재 (66) 를 관통시킨다 (정치에 의해 효소 처리를 실시한 경우에는, 침상 부재 (66) 에 접속된 밸브 (68) 를 연다). 이 경우에도, 소독액의 경우와 동일하게, 조직 유지실 (30) 에 유지되어 있던 효소 용액이 수집실 (20) 측으로 배출된다. 이 배출된 효소 용액에는, 효소 처리에 의해 조직편으로부터 분리된 필터 (40) 의 포아 사이즈보다 작은 세포가 포함되어 있으며, 필터 (40) 의 포아 사이즈보다 큰 조직편의 잔류물 등은, 필터 (40) 를 통과하지 않고 조직 유지실 (30) 에 유지된 채가 된다.
효소 처리는, 효소 용액을 변경하거나 반복하여 실시하는 등, 조직편으로부터의 세포 분리의 상황에 따라, 적절히 설정하면 된다.
다음으로, 수집실 (20) 측으로 배출된 세포에 배지를 첨가하여 세포 현탁액을 제작하는 현탁 처리를 실시한다 (단계 S140). 도 8 은, 세포 현탁 처리의 모양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세포 현탁 처리에 있어서는, 먼저, 침상 부재 (66) 에 접속된 밸브 (68) 를 닫은 상태인 채로, 배지가 들어간 니들 보틀 (90C) 의 니들을 투입구 (52) 에 관통시켜 조직 유지실 (30) 내에 배지를 투입한다 (도 8(a) 참조). 여기서 사용하는 배지의 종류는, 분리된 세포의 종류나 효소 반응의 정지의 유무 등으로부터 적절히 설정하면 되는데, 예를 들어 FBS 함유 DMEM 등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도, 소독액의 경우와 동일하게, 배지가 수집실 (20) 측으로 배출되지 않고, 조직 유지실 (30) 에 유지되어 있다. 계속해서, 침상 부재 (66) 에 접속된 밸브 (68) 를 열면, 수집실 (20) 내의 기체는 외부로 유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로써, 상기 서술한 하방으로부터의 지지력이 약해지고, 그에 따라, 도 8(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직 유지실 (30) 에 유지되어 있던 배지가 수집실 (20) 측으로 배출된다. 또한, 이 때, 조직편의 잔류물은 필터 (40) 의 포아 사이즈보다 크기 때문에, 필터 (40) 를 통과하지 않고 조직 유지실 (30) 에 유지된 채이고, 잔류물 중 등에 남아 있던 세포가 배지와 함께 수집실 (20) 측으로 배출된다. 계속해서, 침상 부재 (66) 를 제 1 기압 조절부 (60) 로부터 빼내고, 세포 분리 용기 (10) 를 홀더 (80) 로부터 제거하여, 하 용기 (22) 와 상 용기 (32) 와 덮개체 (50) 를 분리한 후, 도 8(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 용기 (22) 의 개구 (24) 에 덮개체 (50) 를 장착한다. 그리고, 작아진 세포 분리 용기 (10) 를 원심 분리기에 걸쳐 하 용기 (22) 하부에 세포 펠릿을 응집시키고, 처리액 (이 경우, 효소 용액과 배지의 혼합액) 으로부터 분리시킨다. 이 원심 분리는, 예를 들어 1500 rpm 으로 약 5 분간 실시한다. 또한, 하 용기 (22) 와 상 용기 (32) 를 분리하지 않고, 원심 분리를 실시해도 된다. 계속해서, 도 8(d)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세포 분리 용기 (10) 를 홀더 (80) 에 고정시키고, 봉지 러버 (62) 에 침상 부재 (66) 를 관통시키고, 침상 부재 (66) 를 도시하지 않은 아스피레이터에 접속하여, 세포 펠릿을 흡인하지 않도록 주의하면서 처리액을 흡인한다. 계속해서, 배지가 들어간 니들 보틀 (90C) 의 니들을 투입구 (52) 에 관통시켜 수집실 (20) 내에 배지를 투입한다 (도 8(e) 참조). 이 후, 용기를 진탕하거나, 침상 부재 (66) 를 통하여 흡배출을 실시함으로써 피펫팅을 실시하는 등을 하여 세포 현탁액을 제작한다. 또한, 세포 현탁 후에도 필요에 따라 도 8(c) ∼ (e) 의 처리를 반복해도 된다. 또한, 세포 현탁액을 제작할 때에는, 세포수를 카운트하여, 소정량의 현탁액 중에 소정량의 세포를 포함하는 것으로 하는 공정을 포함해도 된다. 또한, 설명에 사용한 도 5 ∼ 도 8 에 있어서, 용기 내의, 침상 부재 (66), 각종 처리액, 조직편, 조직편의 잔류물 및 세포는, 파선으로 나타내야 하는 것이지만, 편의상, 실선으로 나타냈다.
이상 설명한 제 1 실시형태의 세포 분리 용기 (10) 에 의하면, 조직편을 처리액으로 처리할 때에는, 수집실 (20) 의 기체와 외기를 차단하고, 기체의 유입출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서술한 하방으로부터의 지지력이 유지되고, 조직 유지실 (30) 에 처리액이 유지되기 때문에, 조직 유지실 (30) 내에서 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한편, 처리액으로의 처리가 종료되었을 때에는, 수집실 (20) 의 기체와 외부를 연통시켜, 기체의 유입출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상기 서술한 하방으로부터의 지지력이 약해져 수집실로 처리액이 배출되기 때문에, 조직 유지실 (30) 에 유지된 조직편으로부터 처리액을 분리하여, 배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조직편을 처리액으로 처리하고 조직편으로부터 세포를 분리하는 일련의 조작을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조직 유지실 (30) 내에서 처리액에 의한 처리가 완료되기 때문에, 세포 분리 용기 (10) 의 전체를 처리액으로 채울 필요가 없어, 처리에 사용하는 처리액의 양을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수집실 (20) 내의 기체와 외기를 유통·차단 가능하게 구성된 제 1 기압 조절부 (60) 와, 항상 조직 유지실 (30) 내의 기체와 외기를 유통 가능하게 구성된 제 2 기압 조절부 (70) 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수집실 (20) 과 조직 유지실 (30) 의 기체의 유입출을 간단한 구성으로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 1 기압 조절부 (60) 는, 수집실 (20) 내의 처리액이나 세포를 배출하는 배출구로서의 기능도 갖기 때문에, 별도로 배출구를 형성할 필요가 없고 간단한 구조로 할 수 있다. 또한, 세포 분리 용기 (10) 는, 상부에 개구 (24) 를 갖는 하 용기 (22) 와, 상부에 개구 (34) 를 갖고 저부에 필터 (40) 를 구비하고 하방으로 하 용기 (22) 와 접속되는 상 용기 (32) 와, 상 용기 (32) 의 개구 (34) 에 장착 가능한 덮개체 (50) 를 구비하고 있고, 하 용기 (22) 는, 덮개체 (50) 를 장착 가능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 때문에, 세포의 분리가 종료된 후 상 용기 (32) 를 제거하여 하 용기 (22) 에 직접 덮개체 (50) 를 장착함으로써, 분리한 세포로부터 현탁액을 제작하거나 보관할 때에는 컴팩트하게 할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도 9 는 제 2 실시형태의 세포 분리 용기 (310) 의 사시도, 도 10 은 조립 전의 세포 분리 용기 (310) 의 사시도이다.
세포 분리 용기 (310) 는,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집실 (320) 과 조직 유지실 (330) 이 필터 (340) 에 의해 구획되어 있다. 이 세포 분리 용기 (310) 는, 수집실 (320) 의 기체의 유입출을 조절하는 제 1 기압 조절부 (360) 와, 조직 유지실 (330) 의 기체의 유입출을 조절하는 제 2 기압 조절부 (370) 를 구비하고 있고, 이들에 의해 수집실 (320) 및 조직 유지실 (330) 의 외기와의 기체의 유입출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세포 분리 용기 (310) 는,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용기 (322) 와, 외용기 (322) 의 내부 상방에 조립되는 내용기 (332) 와, 내용기 (332) 가 조립된 상태의 외용기 (322) 에 장착 가능한 덮개체 (350) 를 구비하고 있다. 이 경우, 외용기 (322) 와 덮개체 (350) 로 둘러싸인 내용기 (332) 의 외측의 영역이 수집실 (320) 이 되고, 내용기 (332) 와 덮개체 (350) 로 둘러싸인 영역이 조직 유지실 (330) 이 된다.
외용기 (322) 는, 상기 서술한 하 용기 (22) 와 동일한 것으로 할 수 있기 때문에,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내용기 (332) 는, 통상이고, 상부에 개구 (334) 를 갖고, 상단에 플랜지 (335) 가 형성되고, 저부 (338) 에 필터 (340) 가 형성되고, 또한 내용기 (332) 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된 통상부 (364) 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필터 (340) 는, 상기 서술한 필터 (40) 와 동일한 것으로 할 수 있기 때문에,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내용기 (332) 는, 외용기 (322) 에 장입되면, 플랜지 (335) 가 외용기 (322) 의 상단면 (325) 에 괘지 (掛止) 한다. 이로써, 내용기 (332) 는, 외용기 (322) 의 저부 (328) 와 일정한 거리를 유지한 상태로, 외용기 (322) 의 내부 상방에 조립된다. 여기서, 외용기 (322) 의 상단면 (325) 과 내용기 (332) 의 플랜지 (335) 사이에는, O 링 (380) 이 개재되어 있고, 이 부분으로부터의 액체나 기체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O 링 (380) 은, 예를 들어 고무 경도가 40 ∼ 50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O 링 (380) 의 재질로는, 예를 들어, 실리콘 고무 등을 들 수 있다.
덮개체 (350) 는, 덮개체 본체 (351) 와 러버층 (356) 을 구비하고 있다. 이 덮개체 본체 (351) 는, 내주측에 도시하지 않은 암나사부를 가지고 있다. 이 암나사부와 외용기 (322) 의 수나사부 (326) 가 나사 결합됨으로써, 덮개체 (350) 와 외용기 (322) 가 접속된다. 덮개체 본체 (351) 에는, 관통공 (354, 362, 372) 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덮개체 본체 (351) 와 러버층 (356) 은 밀착되어 있다. 그리고, 관통공 (354) 과 러버층 (356) 이 투입구 (352) 를 구성하고, 관통공 (362) 과 러버층 (356) 과 통상부 (364) 가 제 1 기압 조절부 (360) 를 구성하고, 관통공 (372) 과 러버층 (356) 이 제 2 기압 조절부 (370) 를 구성하고 있다. 이 때, 투입구 (352) 의 일부인 러버층 (356) 은, 도시하지 않은 니들 보틀에 의해 처리액을 투입할 수 있다. 또한, 제 1 기압 조절부 (360) 의 일부인 러버층 (356) 은, 침상 부재를 관통시킴으로써 수집실 (320) 내의 기체와 외기를 유통하고, 이 침상 부재를 빼냄으로써 러버의 복원력에 의해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제 2 기압 조절부 (370) 의 일부인 러버층 (356) 은, 침상 부재를 관통시킴으로써 조직 유지실 (330) 내의 기체와 외기를 유통하고, 이 침상 부재를 빼냄으로써 러버의 복원력에 의해 차단할 수 있다. 여기서, 러버층 (356) 은, 덮개체 본체 (351) 와의 접촉면은 고무 경도 (JIS K 6253 의 타입 A 듀로미터 경도에 준거, 이하 동일) 가 높은 재료 (예를 들어 고무 경도 70 ∼ 90) 이고, 외용기 (322) 및/또는 내용기 (332) 와의 접촉면은 고무 경도가 낮은 재료 (예를 들어 고무 경도 20 ∼ 50) 이다. 또한, 러버층 (356) 의 재질은, 침상 부재나 니들 보틀의 니들 등을 용이하게 관통시킬 수 있는 재질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실리콘 고무 등이 바람직하다.
제 2 실시형태의 세포 분리 용기를 이용하여 조직편으로부터 세포를 분리하여 세포 현탁액을 제작하는 방법은, 제 1 실시형태에 준하여 실시할 수 있기 때문에, 여기서는 기재를 생략한다.
이상 설명한 제 2 실시형태의 세포 분리 용기 (310) 에 의하면, 조직편을 처리액으로 처리할 때에는, 수집실 (320) 의 기체와 외기를 차단하고, 기체의 유입출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서술한 하방으로부터의 지지력이 유지되어, 조직 유지실 (330) 에 처리액이 유지되기 때문에, 조직 유지실 (330) 내에서 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한편, 처리액으로의 처리가 종료되었을 때에는, 제 2 기압 조절부 (370) 에 침상 부재 등을 꽂아 조직 유지실 (330) 의 기체의 유입출을 자유롭게 함과 함께, 수집실 (320) 의 기체와 외부를 연통시켜, 기체의 유입출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상기 서술한 하방으로부터의 지지력이 약해져 수집실 (320) 로 처리액이 배출되기 때문에, 조직 유지실 (330) 에 유지된 조직편으로부터 처리액을 분리하고, 배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조직편을 처리액으로 처리하고 조직편으로부터 세포를 분리하는 일련의 조작을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조직 유지실 (330) 내에서 처리액에 의한 처리가 완료되기 때문에, 세포 분리 용기 (310) 의 전체를 처리액으로 채울 필요가 없어, 처리에 사용하는 처리액의 양을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수집실 (320) 내의 기체와 외기를 유통·차단 가능하게 구성된 제 1 기압 조절부 (360) 와, 조직 유지실 (330) 내의 기체와 외기를 유통·차단 가능하게 구성된 제 2 기압 조절부 (370) 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수집실 (320) 과 조직 유지실 (330) 의 기체의 유입출을 간단한 구성으로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 1 기압 조절부 (360) 는, 수집실 (320) 내의 처리액이나 세포를 배출하는 배출구로서의 기능도 갖기 때문에, 별도로 배출구를 형성할 필요가 없고 간단한 구조로 할 수 있다. 또한, 이 세포 분리 용기 (310) 에서는, 외용기 (322) 나 덮개체 (350) 에 시판되는 원침관 등을 적용하기 쉬워, 범용성이 높다. 또한, 러버층 (356) 은, 투입구 (352) 나 제 1, 2 기압 조절부 (360, 370) 의 일부로서 기능한다. 이 때문에, 제 1 실시형태에서 사용한 투입구 (52) 의 엘라스토머나, 제 1 기압 조절부 (60) 의 봉지 러버 (62) 나, 제 2 기압 조절부 (70) 의 기체 투과성과 액체 불투과성을 갖는 재료 등을 개별적으로 준비할 필요가 없다. 또한, 러버층 (356) 은, 덮개체 본체 (351) 와의 접촉면의 고무 경도가 외용기 (322) 및/또는 내용기 (332) 와의 접촉면의 고무 경도보다 높다. 이러한 것으로는, 러버층 (356) 과 덮개체 본체 (351) 사이에는 마찰이 잘 발생하지 않아, 러버층 (356) 과 외용기 (322) 나 내용기 (332) 는 밀착하기 쉽다. 이로 인해, 덮개체 (350) 를 외용기 (322) 에 장착할 때에 러버층 (356) 이 잘 뒤틀리지 않기 때문에 덮개의 뒤틀림이 잘 풀리지 않고, 외용기 (322) 나 내용기 (332) 의 기밀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 전혀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하는 한 다양한 양태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예를 들어, 상기 서술한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제 1 기압 조절부 (60) 는, 덮개체 (50) 에 형성된 봉지 러버 (62) 와 상 용기 (32) 를 관통하도록 형성된 통상부 (64) 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하였지만, 하 용기 (22) 의 측벽 등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은 것 (변형예) 을 도 11 에 나타낸다. 또한, 도 11 에 나타내는 세포 분리 용기 (110) 는, 제 1 기압 조절부 (160) 가 하 용기 (22) 의 측벽에 형성되어 있는 것 이외에는 도 1 에 나타내는 세포 분리 용기 (10) 와 동일하기 때문에, 동일한 번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서술한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제 1 기압 조절부 (60) 의 일부인 봉지 러버 (62) 는, 엘라스토머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침상 부재 (66) 를 관통시킴으로써 수집실 (20) 내의 기체와 외기를 유통하고, 이 침상 부재 (66) 를 빼냄으로써 엘라스토머의 복원력에 의해 차단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으로 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개폐 가능한 덮개가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개폐 가능한 밸브가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루어락 방식의 이음 형상이나 튜브 커넥터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제 2 실시형태에서도 동일하다. 또한, 제 1 실시형태의 봉지 러버 (62) 나 제 2 실시형태의 러버층 (356) 외에, 여기에 나타내는 개폐 가능한 덮개나 개폐 가능한 밸브가, 본 발명의 봉지부에 상당한다.
상기 서술한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제 2 기압 조절부 (70) 는, 기체 투과성과 액체 불투과성을 갖는 재료로 구성되어 있고, 항상 기체의 유통이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으로 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수송시 등에는 기체의 유통을 차단하도록, 봉지 러버 (62) 와 같은 엘라스토머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되고, 개폐 가능한 덮개가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개폐 가능한 밸브가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루어락 방식의 이음 형상이나 튜브 커넥터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제 2 실시형태에서도 동일하다.
상기 서술한 제 1 및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수집실 (20, 320) 및 조직 유지실 (30, 330) 의 양방에 기압 조절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하였지만, 어느 일방에만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수집실 (20, 320) 에 진공 펌프 등의 감압 장치를 기압 조절부로서 형성하면, 감압 장치를 기동하지 않은 경우에는 조직 유지실 (30, 330) 내에 처리액이 유지되고, 감압 장치를 기동하여 수집실 (20, 320) 의 기압을 조직 유지실 (30, 330) 보다 낮게 하면 조직 유지실 (30, 330) 로부터 수집실 (20, 320) 로 처리액이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조직 유지실 (30, 330) 에 기압 조절부를 형성할 필요가 없다. 또한 예를 들어, 조직 유지실 (30, 330) 에 가압 봄베 등의 가압 장치를 기압 조절부로서 형성하면, 가압 장치를 기동하지 않은 경우에는 조직 유지실 (30, 330) 내에 처리액이 유지되고, 가압 장치를 기동하여 조직 유지실 (30, 330) 의 기압을 수집실 (20, 320) 의 기압보다 높게 하면 조직 유지실 (30, 330) 로부터 수집실 (20, 320) 로 처리액이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수집실 (20, 320) 에 기압 조절부를 형성할 필요가 없다. 또한, 기압 조절부를 수집실 (20, 320) 및 조직 유지실 (30, 330) 의 양방에 형성하는 경우에도, 적절히 기압 조절부로서 감압 장치나 가압 장치를 채용해도 된다.
상기 서술한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상 용기 (32) 는 통상의 부분과 필터 (40) 가 일체로서 형성된 것으로 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 용기 (32) 는, 상부 및 하부에 개구를 갖고 하방으로 하 용기와 접속되는 외프레임체와, 외프레임체의 내측에 착탈 가능하게 조립되고 필터를 구비한 조립체를 구비하고 있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렇게 하면, 외프레임체와 조립체의 조합을 바꿈으로써 원하는 조작에 적합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예를 들어, 통상의 외프레임체와 유저 통상으로 저부에 필터가 열융착된 조립체를 구비하고, 외프레임체의 내주와 조립체의 외주가 기밀하고 액밀하게 밀착되도록 구성된 것으로 해도 된다. 또한, 하단측에 필터를 고정 가능한 패킹을 구비한 통상체의 외프레임체와, 필터 그 자체인 조립체를 구비하고, 조립체를 외프레임체 패킹에 밀착시켜 조립함으로써 양자가 기밀하고 액밀하게 밀착되도록 구성된 것으로 해도 된다. 또한, 제 2 실시형태에서는, 내용기 (332) 는 통상의 부분과 필터 (340) 가 일체로서 형성된 것으로 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내용기 (332) 는, 하단측에 필터를 고정 가능한 패킹을 구비한 통상의 외프레임체와, 필터 그 자체인 조립체를 구비하고, 조립체를 외프레임체의 패킹에 밀착시켜 조립함으로써 구성된 것으로 해도 된다.
상기 서술한 제 1 실시형태에서는, 투입구 (52) 는, 도시하지 않은 니들 보틀에 의해 처리액을 투입할 수 있도록, 덮개체 본체 (51) 및 러버층 (56) 을 관통하는 원형의 구멍을 매립하는 엘라스토머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개폐 가능한 덮개를 구비하고 있는 것으로 해도 되고, 루어락 방식의 이음 형상이나 튜브 커넥터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제 2 실시형태에서도 동일하다.
상기 서술한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세포 분리 용기 (10) 는, 하 용기 (22) 와 상 용기 (32) 와 덮개체 (50) 를 구비한 것으로 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1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부에 개구를 갖는 외용기 (222) 와, 외용기 (222) 의 내부 상방에 형성되어 상부에 개구를 갖고 하방에 필터 (40) 를 구비한 내용기 (232) 와, 외용기 (222) 및 내용기 (232) 의 양방에 장착 가능한 덮개체 (250) 를 구비하고, 외용기 (222) 와 덮개체 (250) 로 둘러싸인 내용기 (232) 의 외측의 영역이 수집실 (220) 이고, 내용기 (232) 와 덮개체 (250) 로 둘러싸인 영역이 조직 유지실 (230) 인 것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 덮개체 (250) 및 내용기 (232) 에는, 나사 결합 가능하게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필터 (40) 나, 투입구 (52) 나, 제 2 기압 조절부 (70) 에 대해서는, 도 1 에 나타낸 세포 분리 용기 (10) 와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이 세포 분리 용기 (210) 에서는, 덮개체 (250) 에 형성된 제 1 기압 조절부 (260) 는, 엘라스토머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침상 부재 (66) 를 관통시킴으로써 수집실 (220) 내의 기체와 외기를 유통하고, 이 침상 부재 (66) 를 빼냄으로써 엘라스토머의 복원력에 의해 차단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제 1 기압 조절부 (260) 는 외용기 (222) 의 측벽부 등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서술한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제 1 기압 조절부 (60) 의 봉지 러버 (62) 에 관통시킨 침상 부재 (66) 를 아스피레이터에 접속하여, 수집실 (20) 의 처리액이나 세포를 흡인하여 배출하는 것으로 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수집실 (20) 에 별도로 개폐 가능한 배출구를 형성해도 된다. 또한, 도 1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상부 (64) 로부터 연속하여, 하 용기 (22) 의 저부 (28) 까지 이르는 흡인관 (65) 을 형성하여, 제 1 기압 조절부 (60) 에 아스피레이터 등을 직접 접속하고, 수집실 (20) 의 처리액이나 세포를 흡인하여 배출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렇게 하면, 침상 부재 (66) 를 하 용기 (22) 의 저부 (28) 에 이를 때까지 삽입하는 조작 등을 생략할 수 있기 때문에, 자동화 등에 적합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동일하고, 수집실 (320) 의 처리액이나 세포를 흡인하여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를 수집실 (320) 에 별도로 형성해도 되고, 통상부 (364) 로부터 연속하여 외용기 (322) 의 저부 (328) 까지 이르는 흡인관을 형성해도 된다.
상기 서술한 제 1 실시형태에서는, 덮개체 (50) 를 사용하였지만, 이 대신에 제 2 실시형태의 덮개체 (350) 와 같은 구성의 덮개체를 사용해도 된다. 한편, 상기 서술한 제 2 실시형태에서는, 덮개체 (350) 를 사용하였지만, 이 대신에 제 1 실시형태의 덮개체 (50) 와 같은 구성의 덮개체를 사용해도 된다.
상기 서술한 제 2 실시형태에서는, O 링 (380) 을 사용하였지만, 필요한 기밀성 및 액밀성을 확보할 수 있으면, 이러한 것을 이용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상기 서술한 제 2 실시형태에서는, 내용기 (332) 는, 내용기 (332) 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된 통상부 (364) 를 구비하고 있는 것으로 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내용기 (332) 는, 내용기 (332) 의 측벽에 상하 방향으로 신장하는 홈상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으로 해도 된다.
본 출원은, 2012년 1월 4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제2012-000138호를 우선권 주장의 기초로 하고 있으며, 인용에 의해 그 내용 모두가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은, 생체외 (in vitro) 에서 세포를 배양하는 세포 배양 기술에 있어서 이용 가능하다.

Claims (13)

  1. 처리액을 이용하여 조직편으로부터 세포를 분리시키는 세포 분리 용기에 있어서,
    상기 처리액 및 상기 세포 중 적어도 일방을 수집하는 수집실과,
    상기 처리액을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를 구비하고, 상기 수집실의 상방에 형성된 조직 유지실과,
    상기 수집실과 상기 조직 유지실을 구획하는 구성의 전부 또는 일부로서 형성되고, 상기 조직편을 유지 가능 그리고 상기 세포가 통과 가능한 필터와,
    상기 수집실과 상기 조직 유지실의 각 기체의 유입출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조직 유지실에 투입한 처리액을, 상기 필터를 통과시키지 않고 상기 조직 유지실에 유지시키거나, 상기 필터를 통과시켜 상기 수집실에 배출시키는 것을 전환 가능한 기압 조절 기구를 구비한 세포 분리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압 조절 기구는, 상기 수집실에 형성되어 상기 수집실 내의 기체의 유입출을 조절하는 제 1 기압 조절부와, 상기 조직 유지실에 형성되어 상기 조직 유지실 내의 기체의 유입출을 조절하는 제 2 기압 조절부를 구비하고 있는, 세포 분리 용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압 조절부는, 상기 수집실 내의 기체와 외기를 유통·차단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 2 기압 조절부는, 항상 상기 조직 유지실 내의 기체와 외기를 유통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세포 분리 용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부에 개구를 갖는 하 용기와,
    상부에 개구를 갖고 저부에 상기 필터를 구비하고 하방으로 상기 하 용기와 접속되는 상 용기와,
    상기 상 용기의 개구에 장착 가능한 덮개체를 구비하고,
    상기 하 용기와 상기 상 용기의 상기 저부로 둘러싸인 영역이 상기 수집실이고, 상기 상 용기와 상기 덮개체로 둘러싸인 영역이 상기 조직 유지실인, 세포 분리 용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상 용기는, 상부 및 하부에 개구를 갖고 하방으로 상기 하 용기와 접속되는 외프레임체와, 상기 외프레임체의 내측에 착탈 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필터를 구비한 조립체를 구비하고 있는, 세포 분리 용기.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하 용기는, 상기 덮개체를 장착 가능한 구조를 가지고 있는, 세포 분리 용기.
  7. 제 4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압 조절부는, 상기 덮개체에 형성된 봉지부와, 그 봉지부에 접속하여 상기 상 용기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통상부를 구비하고 있는, 세포 분리 용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압 조절부는 상기 통상부로부터 연속하여, 상기 하 용기의 저부에 이르는 흡인관을 구비하고 있는, 세포 분리 용기.
  9. 제 4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체는, 상기 상 용기에 나사에 의해 장착·제거가 가능한 덮개체 본체와, 그 덮개체 본체의 내측에 배치 형성되는 러버층을 구비하고, 그 러버층은 상기 덮개체 본체와의 접촉면의 고무 경도가 상기 상 용기와의 접촉면의 고무 경도보다 높게 되어 있는, 세포 분리 용기.
  10.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부에 개구를 갖는 외용기와,
    상기 외용기의 내부 상방에 조립되고 상부에 개구를 갖고 저부에 상기 필터를 구비한 내용기와,
    상기 내용기가 조립된 상태의 상기 외용기에 장착 가능한 덮개체를 구비하고,
    상기 외용기와 상기 덮개체로 둘러싸인 상기 내용기의 외측의 영역이 상기 수집실이고, 상기 내용기와 상기 덮개체로 둘러싸인 영역이 상기 조직 유지실인, 세포 분리 용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압 조절부는, 상기 덮개체에 형성된 봉지부와, 그 봉지부에 접속하여 상기 내용기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통상부를 구비하고 있는, 세포 분리 용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압 조절부는 상기 통상부로부터 연속하여, 상기 외용기의 저부에 이르는 흡인관을 구비하고 있는, 세포 분리 용기.
  13. 제 10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체는, 상기 외용기에 나사에 의해 장착·제거가 가능한 덮개체 본체와 그 덮개체 본체의 내측에 배치 형성되는 러버층을 구비하고, 그 러버층은 상기 덮개체 본체와의 접촉면의 고무 경도가 상기 외용기 및/또는 상기 내용기와의 접촉면의 고무 경도보다 높게 되어 있는, 세포 분리 용기.
KR1020147017635A 2012-01-04 2012-12-25 세포 분리 용기 KR2014009951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000138 2012-01-04
JP2012000138 2012-01-04
PCT/JP2012/083462 WO2013103108A1 (ja) 2012-01-04 2012-12-25 細胞分離容器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0072A Division KR20160092036A (ko) 2012-01-04 2012-12-25 세포 분리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9516A true KR20140099516A (ko) 2014-08-12

Family

ID=4874517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0072A KR20160092036A (ko) 2012-01-04 2012-12-25 세포 분리 용기
KR1020147017635A KR20140099516A (ko) 2012-01-04 2012-12-25 세포 분리 용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0072A KR20160092036A (ko) 2012-01-04 2012-12-25 세포 분리 용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624462B2 (ko)
EP (1) EP2801610B1 (ko)
JP (1) JP6164612B2 (ko)
KR (2) KR20160092036A (ko)
CN (1) CN104024397B (ko)
WO (1) WO201310310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63704A1 (ko) * 2015-04-06 2016-10-13 메디칸(주) 배양세포의 세포간 분리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400069B1 (it) 2010-05-20 2013-05-17 Tremolada Dispositivo e metodo per la preparazione di tessuto, in particolare tessuto adiposo per trapianto ottenuto da materiale adiposo lobulare estratto tramite liposuzione
US20170029757A1 (en) * 2014-05-16 2017-02-02 Taiyo Kogyo Co., Ltd. Culture vent plug, lid body kit, and frame body for culture vent plug
WO2016013070A1 (ja) * 2014-07-23 2016-01-2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送液装置、及び細胞培養装置
US10287543B2 (en) * 2015-11-19 2019-05-14 Miltenyi Biotec, Gmbh Process and device for isolating cells from biological tissue
WO2017184667A1 (en) * 2016-04-19 2017-10-26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rmy Device and method for isolation of corneal endothelial cells
WO2019018002A1 (en) * 2017-07-18 2019-01-24 The Gid Group, Inc. ADIPOSE TISSUE DIGESTION SYSTEM AND METHOD FOR TREATING TISSUE
KR102513350B1 (ko) * 2017-09-20 2023-03-24 메디칸(주) 원심분리장치
KR101985441B1 (ko) 2018-01-29 2019-06-03 주식회사 페라메드 세포 전처리칩 및 이를 이용한 세포 전처리 방법
JP6955306B2 (ja) * 2018-02-23 2021-10-27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処理装置
US11344880B2 (en) * 2018-11-30 2022-05-31 Hans-Werner Heinrich Centrifuge tube separation system, and methods of use
CN111948014B (zh) * 2020-08-21 2023-07-04 长春千麦医学检验实验室有限公司 病理科用组织脱钙后冲水装置
CN114652664A (zh) * 2020-12-23 2022-06-24 科索瑞生物科技(天津)有限公司 修复凝胶及其制备方法
US11879121B2 (en) 2021-04-20 2024-01-23 CisNovo Tissue disaggregation system and methods
CN114873073A (zh) * 2021-10-28 2022-08-09 江苏艾洛特医药研究院有限公司 一种循环肿瘤细胞捕获试剂盒
JP2024018571A (ja) * 2022-07-29 2024-02-08 国立研究開発法人産業技術総合研究所 細胞培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88409A (en) 1995-06-07 1999-03-30 Cedars-Sinai Medical Center Methods for cell isolation and collection
US5624418A (en) * 1995-10-04 1997-04-29 Shepard; R. David Collection and separation device
US6506167B1 (en) * 1997-12-24 2003-01-14 I-Design Co., Ltd. Blood-collecting tubes
WO2004027014A1 (ja) 2002-09-17 2004-04-01 Japan Tissue Engineering Co.,Ltd 細胞分散装置、細胞分散用カセット及び組織保持部材
ITRM20040397A1 (it) 2004-08-04 2004-11-04 Univ Roma Dispositivo monouso per una o piu' introduzioni, trattamento e prelievi di materiale biologico da almeno una delle fasi di separazione, presenti all'interno del dispositivo, in condizioni di sterilita' e a pressione costante.
FR2902799B1 (fr) 2006-06-27 2012-10-26 Millipore Corp Procede et unite de preparation d'un echantillon pour l'analyse microbiologique d'un liquide
JP2009038998A (ja) * 2007-08-07 2009-02-26 Olympus Corp 細胞分離装置
JP2009095307A (ja) 2007-10-18 2009-05-07 Olympus Corp 細胞処理容器および細胞処理装置
US8366694B1 (en) * 2009-05-22 2013-02-05 Donnell Mark Jordan Tissue refining device
WO2011117821A1 (en) * 2010-03-23 2011-09-29 Carlo Tremolada A device and a method for preparing a tissue
CN201901672U (zh) * 2010-03-31 2011-07-20 周遵善 脂肪干细胞分离装置
CN102120111B (zh) 2011-01-28 2012-10-31 山东省计划生育科学技术研究所 一次性过滤式精液分离离心管
CN102212461B (zh) 2011-05-05 2013-04-17 中国人民解放军第二炮兵总医院 间充质干细胞过滤分离器及其应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63704A1 (ko) * 2015-04-06 2016-10-13 메디칸(주) 배양세포의 세포간 분리방법
US11118155B2 (en) 2015-04-06 2021-09-14 Medikan Inc. Intercellular separation method for cultured cel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2036A (ko) 2016-08-03
WO2013103108A1 (ja) 2013-07-11
EP2801610A4 (en) 2015-10-14
US20140356939A1 (en) 2014-12-04
US9624462B2 (en) 2017-04-18
JP6164612B2 (ja) 2017-07-19
CN104024397B (zh) 2016-01-27
EP2801610A1 (en) 2014-11-12
EP2801610B1 (en) 2019-10-02
CN104024397A (zh) 2014-09-03
JPWO2013103108A1 (ja) 2015-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99516A (ko) 세포 분리 용기
JP6605552B2 (ja) 脂肪吸引により抽出された小葉脂肪から移植用の組織、特に脂肪組織、を準備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US20230383237A1 (en) Automated cell culturing and harvesting device
US8703074B2 (en) Container assembly and method for containing biological graft
US8062286B2 (en) Tissue transplantation method and apparatus
US7780649B2 (en) Tissue transplantation method and apparatus
US7789872B2 (en) Tissue transplantation method and apparatus
US8622997B2 (en) Tissue transfer method and apparatus
US8419705B2 (en) Apparatus for separating and storing blood components
US9521840B2 (en) Film-shaped tissue storage transport container and storage transport method
US9581942B1 (en) Tissue transfer method and apparatus
US8721617B2 (en) Liquid component collecting device
US20130324966A1 (en) Device for harvesting, processing, and transferring adipose tissue
JP2014525260A (ja) 脂肪組織から間質血管画分(svf)細胞を単離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
KR20060109908A (ko) 세포 취급 장치, 조직 재생용 조성물 및 조직 재생 방법
JP7300486B2 (ja) 衝撃波または機械的衝撃を使用する、細胞の分離、解離、および/または脱凝集
WO2019059279A1 (ja) 細胞懸濁液を調製するためのデバイス、システム及び方法
JP7282679B2 (ja) 細胞含有試料からの細胞の遊離方法
WO2022094613A1 (en) Cell isolation device and methods of use
KR20120008714A (ko) 원심분리용 셀 스트레이너 및 셀 스트레이너를 이용한 원심분리방법
KR101708767B1 (ko) 인공피부용 약물충전장치
WO2019059278A1 (ja) 生体組織からの細胞の分離回収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1004306;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60722

Effective date: 201803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