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96766A - 비접촉식으로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스트래들 캐리어 - Google Patents

비접촉식으로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스트래들 캐리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96766A
KR20140096766A KR1020130009762A KR20130009762A KR20140096766A KR 20140096766 A KR20140096766 A KR 20140096766A KR 1020130009762 A KR1020130009762 A KR 1020130009762A KR 20130009762 A KR20130009762 A KR 20130009762A KR 20140096766 A KR20140096766 A KR 201400967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ddle carrier
power
present
straddle
carr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97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미연
고영석
Original Assignee
강미연
(주) 광진포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미연, (주) 광진포텍 filed Critical 강미연
Priority to KR10201300097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96766A/ko
Priority to US14/764,567 priority patent/US9771245B2/en
Priority to PCT/KR2014/000803 priority patent/WO2014119906A1/ko
Priority to SG11201505782SA priority patent/SG11201505782SA/en
Priority to CN201480004763.1A priority patent/CN104918876B/zh
Priority to EP14745898.8A priority patent/EP2974992B1/en
Publication of KR201400967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6766A/ko
Priority to SA515360818A priority patent/SA515360818B1/ar
Priority to HK16102955.1A priority patent/HK1215015A1/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12Arrangements of means for transmitting pneumatic, hydraulic, or electric power to movable parts of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Abstract

본 발명은 비접촉식으로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스트래들 캐리어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스트래들 캐리어는, 외부에 설치된 급전부로부터 비접촉식으로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집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집전부는 상기 스트래들 캐리어에 설치된 충전용 배터리를 충전하며, 급전부와 집전부는 자기유도방식에 의해 상호 동작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식의 스트래들 캐리어에 비해 유지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으며, 또한 고가인 대용량의 충전 배터리를 사용하는 전기 충전식 스트래들 캐리어에 비해 비교적 소용량의 배터리를 사용함으로써 초기 설치 비용이 저렴한 스트래들 캐리어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비접촉식으로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스트래들 캐리어{STRADDLE CARRIER HAVING NONCONTACT POWER SUPPLYING SYSTEM}
본 발명은 항만의 컨테이너 베이스 또는 컨테이너 터미널에서 컨테이너를 스스로 집어들고 이동하는데 사용되는 스트래들 캐리어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컨테이너 베이스에 설치된 급전부로부터 비접촉식으로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집전 장치를 구비한 스트래들 캐리어에 관한 것이다.
컨테이너의 하역을 위해 항만의 육상에 마련되는 컨테이너 터미널은, 선박에 의한 해상운송과 트럭, 열차 등에 의한 육상운송이 연결되는 거점으로서, 선박(컨테이너선) 접안시설, 컨테이너의 하역 및 운반 시설, 컨테이너 야적 및 창고 시설 등을 유기적으로 구축함으로써 컨테이너 물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으며, 도로와 철도를 포함한 육상 운송과도 유기적으로 연계되어 있다.
항만에서 컨테이너 물류를 적체 없이 원활히 수행하기 위해서는, 컨테이너 터미널 전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이 마련되어야 하는 것은 물론, 선박 접안시설, 컨테이너의 하역 및 운반 시설, 컨테이너 야적 및 창고 시설 등 관련 시설을 충분하게 확보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유럽 등지에서 주로 사용하는 수직배열의 항만구조에서는 컨테이너의 하역(landing)/승역(lifting)과 관련해서, 컨테이너의 이송거리가 짧기 때문에 컨테이너를 크레인에 의하여 야드 트랙터에 싣고 다시 실려온 컨테이너를 야적 크레인에 의해서 야적시키는 3중 작업을 스트래들 캐리어라는 하나의 장비에서 컨테이너를 들어올리고 스스로 이동하는 스트래들 캐리어의 사용이 많다.
컨테이너 터미널 등에 설치되는 갠트리 크레인은 문(門) 형태 또는 다리 형태의 항만용 크레인으로, 스트래들 캐리어에서 실려와 바닥에 놓여진 컨테이너를 야적하거나, 혹은 야적된 컨테이너를 스트래들 캐리어가 승적할수 있는 위치로 이동시켜 놓는데 사용된다.
도 1은 수직배열의 컨테이너 터미널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컨테이너 터미널은 컨테이너 화물을 실은 화물선(1000)이 항만에 도착하면, 일차적으로 항만에 설치된 컨테이너 크레인(2000)에 의해 컨테이너가 일차적으로 하역되어 바닥에 놓여지고, 바닥에 놓여진 컨테이너를 스트래들 캐리어(straddle carrier)가 스스로 컨테이너를 집어들고 야적장까지 이동시켜 야적장 바닥에 내려 놓으면, 야적 크레인이 바닥에 놓인 컨테이너를 다시 집어서 야적장에 야적시키는 구조이다.
반대로 스트래들 캐리어에 의해 운반되어온 컨테이너를 화물선(1000)에 선적하는 것도 작업 과정이 반대인 것을 제외하면 위와 동일하다.
스트래들 캐리어는 컨테이너 터미널 내에서 짧은 거리를 스스로 집고 이동할수 있는 장비로서, 기존 수평배열에서 크레인이 야드 트레일러가 올때까지 기다리거나, 야드 트레일러가 컨테이너를 실어 줄때까지 기다려야 하는 대기 시간을 줄일 수 있는 것이 가장 큰 장점이다.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스트래들 캐리어는 컨테이너 야드에서 사용되는 특수한 용도로 인해 도 1에 도시된 도시된 컨테이너 하역 크레인의 뒷부분에서 컨테이너 적재 영역 입구까지만 이동하게만 된다. 본 발명자는 스트래들 캐리어가 미리 정해진 적재 영역만을 이동하고 또는 미리 정해진 경로로 이동하는 것에 착안하여, 각각의 작업 공간 내에서 차량의 운행에 필요한 에너지를 얻을 수 있다면 현재 스트래들 캐리어에 주로 사용되는 화석 연료와 전기 연료를 혼합해서 사용하는 하이브리드 방식 또는 대용량 배터리로 한번 충전하여 운행하는 배터리 충전 방식의 스트래들 캐리어의 모든 문제를 향상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본 발명을 안출하였다.
또한, 스트래들 캐리어의 무인화 운행과 관련해서, 종래에는 스트래들 캐리어를 무인으로 주행하기 위해서 스트래들 캐리어가 이동되는 경로를 따라 페인트 등을 사용하여 가이드 라인을 형성하고 카메라로 가이드라인을 인식하여 주행하거나, 트랜스폰다등을 바닥에 매립하여 센서의 위치를 인식하여 운행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이와 같은 노면에 가이드 라인을 형성하는 경우 눈과 같은 기상 상태에서는 가이드 라인이 가려지게 되어 무인화 주행을 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가이드 라인이 마모되어 버리면 이 가이드 라인을 재보수해야 하므로 유지 관리면에서도 문제점이 있는 점에 착안하여 GPS와 레이저스캐너를 이용하는 무인운전을 발명하였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에 기반하여 안출된 것으로, 종래 하이브리드식의 스트래들 캐리어에 비해 유지 비용이 저렴하고 화석연료를 사용하지 않아 Co2절감등에 공헌하며, 또한 배터리를 사용하는 전기식에 비하여 대용량의 배터리를 필요로 하지 않아 설치 비용이 저렴한 스트래들 캐리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 가이드 라인을 사용한 스트래들 캐리어의 무인화 주행 방식에서 기후나 주변환경의 변화에 영향을 받지않는 무인 스트래들 캐리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비접촉식으로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는 스트래들 캐리어를 제공하는데, 상기 스트래들 캐리어는, 외부에 설치된 급전부로부터 비접촉식으로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집전부를 포함하고, 집전부는 상기 스트래들 캐리어에 설치된 충전용 배터리를 충전하며, 급전부와 집전부는 자기유도방식에 의해 상호 동작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집전부는 픽업 수단을 더 포함하고, 픽업 수단은 집전용 코어 및 집전용 코일부를 포함하며, 픽업 수단은 그 일단부가 엘리베이션 수단을 통해 상기 스트래들 캐리어의 바닥 프레임에 연결되며, 급전부와 집전부의 자기유도방식에 의한 전원 공급시, 픽업 수단은 엘리베이션 수단에 의해 노면에 형성된 급전부에 근접하여 수평이 되도록 배치되는 것이 좋다.
집전부는 스트래들 캐리어가 전력선을 따라 이동하거나 정지중인 경우 급전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용 배터리를 충전하고, 배터리는 스트래들 캐리어가 전력선을 벗어나 이동 중인 부하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식의 스트래들 캐리어에 비해 유지 비용을 절감하고 화석연료를 사용하지 않아 환경오염 문제가 전혀 없고, 또한 고가인 대용량의 충전 배터리를 사용하는 전기 충전식 스트래들 캐리어에 비해 비교적 소용량의 배터리를 사용함으로써 초기 설치 비용이 저렴한 스트래들 캐리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항만에 형성되는 컨테이너 터미널 시스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항만용의 스트래들 캐리어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항만에 형성되는 컨테이너 터미널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컨테이너 터미널에서의 컨테이너 야적장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트래들 캐리어의 집전부의 안정화 회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집전부의 픽업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유도 자기장 검지부와 전력선의 정합에 따른 신호 처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레이저 스캐너를 사용하여 전방의 장애물이 발견된 경우의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9는 유도 자기장 검지부와 레이저 스캐너를 사용한 스트래들 캐리어의 주행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며,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히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로는 다수 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설명에 있어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되는 것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전형적인 스트래들 캐리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서 참조 번호 100으로 나타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스트래들 캐리어(100)는 기존의 하이브리드식 엔진의 문제점이었던 높은 유지 비용과 환경오염 문제, 전기 배터리식 모터의 문제점이였던 과도한 배터리 용량의 설치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비접촉 전력 전달 방식을 이용한다.
비접촉 전력 전달 방식이란 집전부와 상기 집전부와 대향하여 배치된 급전부 사이에서 전자기 유도를 이용하여 비접촉식으로 전력을 충당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비접촉 전력 전달 방식을 사용하기 위해 스트래들 캐리어(100)가 주행되는 작업 공간에 설치되는 급전부(120)와 스트래들 캐리어(100)에 설치되는 집전부(110)를 포함한다.
급전부(12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은 작업 영역(A~D) 내에 미리 형성되는데, 급전부(120)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구조로서 급전선 또는 전력선(122), 급전용 코어 및 급전용 코일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채용된 급전부(120)는 스트래들 캐리어의 이동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작업 영역(A~D)에 매설된 형태가 바람직하지만, 노출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자기유도를 이용한 급전부의 구성은 이미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며, 본 발명의 급전부의 구성은 본 발명의 출원 이전에 공개된 모든 급전부의 구성이 대안적으로 채용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다음으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트래들 캐리어(100)는 스트래들 캐리어의 바닥 또는 측면프레임에 형성되는 집전부(110)를 포함하며, 집전부(110)는 픽업 수단(113)과 집전용 구동 수단(111)을 포함한다. 이하, 집전부(110)의 구성에 대해 도 5를 참고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트래들 캐리어(100)에 설치되는 집전부(11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회로블록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집전부(110)는 상기 급전부(120)로부터의 자기 변화와 감응하는 픽업 수단(1113)과 픽업 수단으로부터 취득된 유도 전력을 부하로 동작하는 모터(112)로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집전용 구동 수단부(111)를 포함한다.
도 6은 상기 집전부(110)의 픽업 수단(113)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으로 픽업수단은 코어부(113b)에 설치된 집전용 코일(113a)을 포함한다. 집전용 코일(113a)은 상기 급전부(120)로부터 전력이 공급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기장 유도에 의한 유도 전류가 흐르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스트래들 캐리어(100)는 급전부의 전력선(122)을 따라 이동될 때 또는 급전부의 전력선(122)에 정차중일 때 급전부(120)로부터 자기 유도 방식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아 자체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 집전부(110)의 픽업 수단(113)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래들 캐리어의 바닥 또는 측면 프레임에 형성된다. 통상적으로 집전부(110)의 픽업 수단(113)을 통해 자기 유도방식으로 전원을 공급할 때, 픽업 수단(113)과 급전부(120) 사이의 거리는 가까우면 가까울수록 전원 공급 효율은 크게 증가된다. 이러한 픽업 수단과 급전부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 픽업 수단(113)은 엘리베이션 수단(130)에 의해 연결되어 무선 급전시에 필요하다면 노면에 형성된 급전부(120)의 자기발생부(121)에 근접하여 수평으로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픽업 수단(113)은 그 일단부가 아암부를 통해 스트래들 캐리어(100)의 프레임에 연결되며, 급전부(120)와의 자기유도방식에 의한 전원 공급시, 노면에 형성된 급전부(120)에 수평이 되도록 펼쳐지고 이후 스트래들 캐리어(100)의 이동시에는 급전부(120)에 수직이 되도록 상기 아암부가 접어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픽업 수단(113)으로부터 얻어진 유도 전력은 통상의 전력 기기(모터 구동 전원)용으로 제공할 수 없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픽업 수단(113)으로부터 얻어진 유도 전력을 안정화하기 위한 집전용 구동 수단부(113) 또는 안정화 수단부(113)를 포함하고 있다.
픽업 수단(113)으로부터 얻어진 유도 전력은 먼저 레귤레이터(111a)를 거쳐 직류 전원으로 변환되고, 직류 변환된 전원을 부하로서 동작하는 모터(112)의 동작 전압에 맞추기 위한 전력변환부(111e)를 거쳐 부하에 공급된다.
이때, 부하로서 사용되는 모터가 교류를 이용한 삼상 교류 모터인 경우 상기 전력변환부(111e)는 직류 전원을 다시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인버터가 사용될 수 있으며, 모터가 직류 모터인 경우 직류 전원을 제어하기 위한 쵸퍼 등의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즉, 상기 전력 변환부(111e)는 사용되는 부하 조건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모터(112)는 삼상 교류 모터를 채용하였으며 전력변환부(111e)로서 인버터를 사용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트래들 캐리어(100)에 설치되는 집전부(110)의 안정화 수단부(111)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전력변환부(111e)와 레귤레이터(111a) 사이에 리듐-이온 배터리(111b)를 더 포함한다. 리듐-이온 배터리(111b)는 충전가능하도록 구성되며, 레귤레이터(111a)와 함께 모터(112)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한다.
이상과 같이, 리듐-이온 배터리의 충전 용량의 선택은 경제성 및 효율성 등을 고려해서 선택되어야 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컨테이너 스테이션의 일정 작업 구역을 이동하는 스트래들 캐리어(100)는 비교적 소용량의 배터리가 채용될 수 있는데, 이는 스트래들 캐리어(100)에 승적/하적 등의 작업을 위해 전력선(122)를 따라 이동하거나 전력선(122)에 정지하고 있을 때 급전부(12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배터리(111b)를 충전하지만,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트래들 캐리어(100)가 전력선(122)을 벗어나 컨테이너 야적장과 같은 장소로 이동시에 충전된 배터리로부터 모터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받도록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트래들 캐리어(100)는 리듐-이온 배터리(111b)가 일정 전압 이하로 떨어지지 않도록 유지하며, 일정 전압 이상으로 과충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배터리관리시스템(BMS) 회로를 포함함으로써 리듐-이온 배터리(111b)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스트래들 캐리어(100)가 무거운 컨테이너를 들어올릴 때에는 집전부(110)에서 들어오는 전력과 배터리에서 공급되는 전력을 같이 사용하고, 내려놓을 때와 같이 큰 동력이 필요하지 않을 때에는 집전부(110)에서 오는 전력을 배터리에 충전하는데 사용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트래들 캐리어(100)의 집전부(110)의 안정화 수단부(111)는 리듐-이온 배터리(111b)와 전력변환부(111e) 사이에 DC-DC 컨버터를 더 포함하여 모터(112) 이외의 스트래들 캐리어(100)에 필요한 전자 장치(111f), 예를 들면 스트래들 캐리어를 제어하는데 필요한 제어부(180) 등에 전원이 안정적으로 공급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트래들 캐리어(100)는 전자기 유도를 이용한 비접촉 전력 전달 방식을 채용함으로써 종래의 하이브리드식의 스트래들 캐리어에 비해 유지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또한 고가인 대용량의 충전 배터리를 사용하는 전기 충전식 스트래들 캐리어에 비해 비교적 소용량의 배터리를 사용함으로써 초기 설치 비용이 저렴한 스트래들 캐리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전자기 유도 방식의 비접촉 전력 전달 방식을 채용함에 따라, 도 2 및 도 3과 같이 작업 구역(A~D) 내에는 급전부로의 전기력을 전달하기 위해 전력선(122)이 설치되는데, 이 전력선에 전력이 공급되어 전류가 흐름에 따라 전력선(122)으로부터 전술했던 바와 같이 유도 자기장이 발생된다.
급전부(120)의 전력선(122)을 스트래들 캐리어(100)의 무인화 주행을 위한 가이드 라인으로 이용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스트래들 캐리어(100)는 상기 전력선으로부터 발생되는 유도 자기장을 검출하기 위한 유도 자기장 감지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유도 자기장 감지부(150)는 집전부(110)의 픽업 수단(113)과 유사하게, 스트래들 캐리어(100)의 전방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며, 작업 구역(A~D)에 형성된 전력선(122)에 전류가 흘러 유도 자기장이 발생되면 이를 검출해 내고 대응하는 자력 신호를 제어부로 출력하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력선(122)과 유도 자기장 감지부(150)의 위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도 자기장 감지부(150)와 전력선(122)이 서로 평행한 경우 신호 S1이 발생되며, 이 신호는 조향각을 결정하는 기준 신호로서 작용된다. 또한 도 7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도 자기장 감지부(150)와 전력선(122)이 서로 어긋난 경우 전력선에서의 발생되는 자기장으로부터 검출되는 자기장 밀도가 틀어지게 되며, 따라서 신호 S1과는 다른 출력 신호 S2가 유도 자기장 감지부(150)로부터 발생된다.
따라서 유도 자기장 감지부(150)의 후단에 배치되는 감지 정보 분석부(190)를 통해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접속되는 제어부(180)는 이들의 신호 S1과 S2의 편차를 이용하여 현재 스트래들 캐리어가 전력선으로부터 어는 정도 어긋나 있는지를 검출해 낼 수 있으며 이를 조정하여 스트래들 캐리어의 조향각을 전력선과 일치하도록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트래들 캐리어는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급전선 또는 전력선을 차량을 유도하기 위한 가이드 라인으로 사용하고 마그네틱 리더기 등과 같은 유도 자기장 검출을 통해 가이드 라인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됨으로써 기존과 같이 노면에 페인트를 사용한 방식에서 문제되는 폭설과 같은 기후 변화와 상관없이 안정적으로 무인 주행이 가능한 스트래들 캐리어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트래들 캐리어(100)의 전방부에 레이저 스캐너(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레이저 스캐너(140)는 스트래들 캐리어(140)의 주행 방향에 존재하는 장애물을 감지하도록 구성된다. 레이저 스캐너(140)는 제어기(180)의 제어하에 상하/좌우 180°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스트래들 캐리어(100)는 그 운행 특성상, 도 4 또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재되어 있는 컨테이너들(210a,210b) 사이로 주행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컨네이너들 사이로 전력선을 형성하고, 스트래들 캐리어(100)가 전력선(122)을 가이드라인으로 하여 주행하도록 할 수도 있지만, 가이드 라인을 통해 컨테이너 사이를 무인 주행할 때, 가이드 라인을 통한 무인 주행 오차 범위 내에 컨테이너들(210a,210b)이 존재하면 자칫 스트래들 캐리어(100)와 컨테이너들(210a,210b)이 충돌할 우려가 있다.
즉, 스트래들 캐리어(100)가 주행 장해물이 없는 환경하에서 전력선과 같은 가이드 라인만을 통해 주행하는 경우 비교적 안정적이면서 고속 주행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얻어지지만, 도 8과 같이 장애물이 존재하는 경우 충돌의 위험도 존재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를 보완하기 위해 레이저 스캐너(140)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이저 스캐너(140)를 통해 스트래들 캐리어(100)의 주행 방향에 장애물이 존재하지 않으면, 무인 주행은 전력선 가이드 라인을 통해 이동하도록 제어되고, 레이저 스캐너(140)를 통해 스트래들 캐리어(100)의 주행 방향에 장애물이 존재한다고 판단되거나, 가이드 라인이 없는 경우의 무인 주행은 레이저 스캐너를 사용하여 자동 주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도 8을 참조하여, 레이저 스캐너(140)를 사용한 무인 주행의 일례를 살펴보면, 스트래들 캐리어(100)가 컨테이너들(210a,210b) 사이를 진행하는 경우 레이저 스캐너(140)가 전방의 장애물을 실시간으로 검지하여, 검지된 신호를 후단에 위치되는 감지 정보 분석부(190) 등으로 전송하고, 감지 정보 분석부(190)는 장애물의 크기, 스트래들 캐리어와의 거리, 컨테이너의 형상, 장애물의 형상, 장애물까지의 거리 등과 위치 정보 데이터를 분석하여 분석된 데이터 중 주행에 요구되는 데이터, 예를 들면 현재 컨테이너와 스트래들 캐리어 간의 사이 거리(d)와 같은 데이터를 제어부로 전송한다. 제어부는 감지 정보 분석부로부터 받은 데이터에 기반하여 안정적인 주행 정보를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레이저 스캐너를 사용하여 장애물의 유무를 판별해내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카메라 등의 장치를 사용하여 장애물의 유무를 판별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트래들 캐리어는 전자기 유도를 이용한 비접촉 전력 전달 방식을 채용함으로써 종래의 하이브리드식의 스트래들 캐리어에 비해 유지 비용을 절감하고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으며, 또한 고가인 대용량의 충전 배터리를 사용하는 전기 충전식 스트래들 캐리어에 비해 비교적 소용량의 배터리를 사용함으로써 초기 설치 비용이 저렴한 이점이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트래들 캐리어는 전력의 급전선을 가이드 라인으로 사용하고 마그네틱 리더기를 통해 가이드 라인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됨으로써 기존과 같이 노면에 페인트를 사용한 방식에서 문제되는 기후 변화와 상관없이 안정적으로 무인 주행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얻어질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게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닌 설명을 위한 것이고, 이런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례로, 본 발명에서 무인 주행을 보다 정밀하게 제어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스트래들 캐리어는 작업 영역에 대한 맵 정보 및 현재 스트래들 캐리어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는 GPS 수신 장치를 더 포함할 수도 있고, 스트래들 캐리어의 바퀴에 바퀴의 회전수를 카운팅하여 이동한 거리를 보다 정밀하게 확인할 수 있는 타코 메터 등의 회전수 감지 장치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타코 메터 등이 포함되는 경우, 바퀴의 미끄러짐으로 인한 이동 거리 식별 오차를 감소시키기 위해 일정 거리마다 타코 메터를 리셋시킬 수 있는 리셋 마크를 노면 등에 표시할 수도 있고, 또는 상기 급전부에서 타코 메터를 리셋시킬 수도 구성하여 정밀한 무인 주행을 지원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전술한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기 보다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스트래들 캐리어 110: 집전부
111: 안정화 수단 111a: 레귤레이터
111b: 내부 충전 배터리 111c: 배터리 관리 시스템
111d: DC-DC 컨버터 111e: 전력변환부
111f: 전자 장치 112: 모터
113: 픽업 수단 113a: 집전용 코일
113b: 집전용 코어 120: 급전부
121: 급전장치 122: 전력선 또는 가이드라인
130: 엘리베이션 수단 140: 레이저 스캐너
150: 유도 자기장 검지부 180: 제어부
190: 감지 정보 분석부 210a, 210b: 컨테이너

Claims (3)

  1. 비접촉식으로 전원을 공급 받기 위한 스트래들 캐리어에 있어서,
    상기 스트래들 캐리어는 외부에 설치된 급전부로부터 비접촉식으로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집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집전부는 상기 스트래들 캐리어에 설치된 충전용 배터리를 충전하며,
    상기 급전부와 상기 집전부는 자기유도방식에 의해 상호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식으로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스트래들 캐리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전부는 픽업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픽업 수단은 집전용 코어 및 집전용 코일부를 포함하며,
    상기 픽업 수단은 그 일단부가 엘리베이션 수단을 통해 상기 스트래들 캐리어의 바닥 프레임에 연결되며, 상기 급전부와 상기 집전부의 자기유도방식에 의한 전원 공급시, 상기 픽업 수단은 상기 엘리베이션 수단에 의해 노면에 형성된 급전부에 수평이 되도록 근접하여 배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식으로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스트래들 캐리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집전부는 상기 스트래들 캐리어가 전력선을 따라 이동하거나 정지중인 경우 상기 급전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충전용 배터리를 충전하고,
    상기 충전용 배터리는 상기 스트래들 캐리어가 전력선을 벗어나 이동 중인 경우 부하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식으로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스트래들 캐리어.
KR1020130009762A 2013-01-29 2013-01-29 비접촉식으로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스트래들 캐리어 KR20140096766A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9762A KR20140096766A (ko) 2013-01-29 2013-01-29 비접촉식으로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스트래들 캐리어
US14/764,567 US9771245B2 (en) 2013-01-29 2014-01-28 Tired gantry crane and straddle carrier for receiving power in contactless fashion
PCT/KR2014/000803 WO2014119906A1 (ko) 2013-01-29 2014-01-28 비접촉식으로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타이어형 갠트리 크레인 및 스트래들 캐리어
SG11201505782SA SG11201505782SA (en) 2013-01-29 2014-01-28 Tyre-type gantry crane and straddle carrier for receiving supply of power in contactless fashion
CN201480004763.1A CN104918876B (zh) 2013-01-29 2014-01-28 用于以非接触式接收电源的轮胎式龙门起重机及跨运车
EP14745898.8A EP2974992B1 (en) 2013-01-29 2014-01-28 Tyre-type gantry crane for receiving supply of power in contactless fashion
SA515360818A SA515360818B1 (ar) 2013-01-29 2015-07-27 مرفاع قنطري ذو إطارات وحامل منفرج لاستقبال القدرة في طريقة غير متماسة
HK16102955.1A HK1215015A1 (zh) 2013-01-29 2016-03-15 用於以非接觸式接收電源的輪胎式龍門起重機及跨運車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9762A KR20140096766A (ko) 2013-01-29 2013-01-29 비접촉식으로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스트래들 캐리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6766A true KR20140096766A (ko) 2014-08-06

Family

ID=51744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9762A KR20140096766A (ko) 2013-01-29 2013-01-29 비접촉식으로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스트래들 캐리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9676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0439A (ko) * 2017-11-03 2019-05-13 현대삼호중공업 주식회사 무선으로 전원을 공급받는 타이어형 갠트리 크레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0439A (ko) * 2017-11-03 2019-05-13 현대삼호중공업 주식회사 무선으로 전원을 공급받는 타이어형 갠트리 크레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74992B1 (en) Tyre-type gantry crane for receiving supply of power in contactless fashion
KR101489405B1 (ko) 비접촉식으로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타이어형 갠트리 크레인
KR101501434B1 (ko) 크레인과 트랙터 사이의 충전 시스템
CN106314594B (zh) 一种用于现代物流行业的仓储搬运机器人
CN204241966U (zh) 一种视觉导向自行搬运小车
KR102525283B1 (ko) 컨테이너 자동 안내 운송 차량을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CN203512793U (zh) 集装箱自动化码头装卸系统
US20210253241A1 (en) Electric vehicle with an airborne link device for connecting to a power line and an airborne link device thereof
CN202116053U (zh) 集装箱装卸自动化运输线
CN108946585A (zh) 无人驾驶叉车和自动化仓储系统及叉车运行方法
KR101058644B1 (ko) 비접촉식으로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야드 트랙터 및 그 제어 방법
CN105467998A (zh) 一种重载举升式agv小车
CN202542393U (zh) 背驮式agv移动搬运机器人
US11242229B2 (en) Arrangement of a gantry lifting device and of a row of spaced-apart marking elements
CN102718043A (zh) 背驮式agv移动搬运机器人
KR102393745B1 (ko) 롤테이너 이송용 무인 운반차
CN207844228U (zh) 一种背负式磁导引无人agv小车
CN109213173A (zh) 一种agv进出交互支架的防撞保护方法
KR20140096766A (ko) 비접촉식으로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스트래들 캐리어
CN211004242U (zh) 一种起重机全自动化作业系统
KR102290043B1 (ko) 자계기반의 지능형 고효율 6wd 농자재 수송차량
JP2016020131A (ja) 無人搬送車の搬送システム
KR102059433B1 (ko) 크레인과 트랙터 사이의 무선충전 시스템
CN105016041A (zh) 一种用于e-rtg转场供电的移动式柴油供电车
CN108628325A (zh) 无人搬运车的控制方法、装置及无人搬运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