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95393A - 절전모드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를 위한 절전모드 제공장치 - Google Patents

절전모드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를 위한 절전모드 제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95393A
KR20140095393A KR1020130008313A KR20130008313A KR20140095393A KR 20140095393 A KR20140095393 A KR 20140095393A KR 1020130008313 A KR1020130008313 A KR 1020130008313A KR 20130008313 A KR20130008313 A KR 20130008313A KR 20140095393 A KR20140095393 A KR 201400953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aving
saving mode
mode
menu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83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24673B1 (ko
Inventor
주영민
박지원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083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4673B1/ko
Publication of KR201400953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53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46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46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1Execution arrangements for user inte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Power Sources (AREA)

Abstract

본 실시예는, 탑재된 OS의 기본 메뉴 중 어느 하나의 영역에 절전모드 메뉴를 추가 배열하는 모드 배열부; 절전모드 메뉴에 대응하는 절전모드를 실행하기 위한 입력신호를 입력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현재 동작되고 있는 일반모드를 절전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전환신호를 생성하는 동작모드 전환부; 전환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기 설정된 절전 환경을 제공하는 절전모드를 구동하는 절전모드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전모드 제공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절전모드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를 위한 절전모드 제공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Power-Saving Mode}
본 실시예는 절전모드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를 위한 절전모드 제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탑재된 OS(Operating System)의 기본 메뉴 중 어느 하나의 메뉴에 절전모드 메뉴를 추가 배열하는 절전모드 제공장치를 제작하고, 절전모드 메뉴를 실행하기 위한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현재 동작되고 있는 일반모드를 절전모드로 전환하여 기 설정된 절전 환경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전모드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를 위한 절전모드 제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최근 스마트폰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단말기의 보급이 활성화됨에 따라 사용자는 언제 어디서나 인터넷, 메시지, 메일 등의 기능을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한편, 새로운 기능에 대한 사용자들의 욕구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최근 개발되는 단말기에는 이전의 단말기에서 제공되는 기능보다 더 많은 기능이 추가되고 있다. 또한, 특정 기능을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의 개발 역시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사용자들은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원하는 기능을 추가로 이용할 수 있다.
한편, 단말기에 대한 사용자의 의존도가 높아지고, 단말기를 이용하여 제공되는 기능이 지속적으로 추가됨에 따라 이를 구동시키기 위한 단말기의 전력 소모가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이 때문에 메시지 또는 통화와 같은 기본적인 기능을 사용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하여 사용자들에게 불편을 야기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에 특정 기능만이 제공되도록 하는 절전방식이 제공되고 있으나 단순히 기능 제한적인 면에만 한정되어 있으며 절전 환경에서 단말기의 기능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실시예는, 탑재된 OS(Operating System)의 기본 메뉴 중 어느 하나의 메뉴에 절전모드 메뉴를 추가 배열하는 절전모드 제공장치를 제작하고, 절전모드 메뉴를 실행하기 위한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현재 동작되고 있는 일반모드를 절전모드로 전환하여 데이터 네트워크, 무선 네트워크, GPS, 블루투스 및 복수의 센서 중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비활성화시키고 백그라운드로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을 중지시켜 기 설정된 절전 환경을 제공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또한, 절전모드에 특화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절전 환경에도 실질적으로 사용되는 단말기의 중요 기능을 손쉽게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며, 사용자의 요청이 존재하는 경우 비활성화된 기능을 제한적으로 활성화시켜 제공함으로써 단말기의 기능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고자 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본 실시예는, 탑재된 OS(Operating System)의 기본 메뉴 중 어느 하나의 영역에 절전모드 메뉴를 추가 배열하는 모드 배열부; 상기 절전모드 메뉴에 대응하는 절전모드를 실행하기 위한 입력신호를 입력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상기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현재 동작되고 있는 일반모드를 상기 절전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전환신호를 생성하는 동작모드 전환부; 상기 전환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기 설정된 절전 환경을 제공하는 상기 절전모드를 구동하는 절전모드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전모드 제공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절전모드 제공장치가 절전모드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탑재된 OS(Operating System)의 기본 메뉴 중 어느 하나의 영역에 절전모드 메뉴를 추가 배열하는 과정; 상기 절전모드 메뉴에 대응하는 상기 절전모드를 실행하기 위한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과정; 상기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현재 동작되고 있는 일반모드를 상기 절전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전환신호를 생성하는 과정; 상기 전환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기 설정된 절전 환경을 제공하는 상기 절전모드를 구동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전모드 제공방법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탑재된 OS(Operating System)의 기본 메뉴 중 어느 하나의 메뉴에 절전모드 메뉴를 추가 배열하는 절전모드 제공장치를 제작함으로써 절전모드 메뉴를 실행하기 위한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현재 동작되고 있는 일반모드를 절전모드로 전환하여 데이터 네트워크, 무선 네트워크, GPS, 블루투스 및 복수의 센서 중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비활성화시키고 백그라운드로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을 중지시켜 기 설정된 절전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절전모드에 특화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절전 환경에도 실질적으로 사용되는 단말기의 중요 기능을 손쉽게 제공받을 수 있으며 사용자의 요청이 존재하는 경우 비활성화된 기능을 제한적으로 활성화시켜 제공함으로써 단말기의 기능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절전모드 애플리케이션을 탑재한 단말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절전모드 제공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절전모드 제공장치가 절전모드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a, 4b는 본 실시예에 따른 일반모드를 절전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방법을 예시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절전모드에서 제공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예시한 예시도이다.
도 6a, 6b는 본 실시예에 따른 도 5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중 기능버튼 영역의 GUI 요소 및 GUI 요소를 이용하여 제공되는 기능을 예시한 예시도이다.
도 7a, 7b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절전모드에서 비활성화된 기능을 제한적으로 활성화시키는 방법을 예시한 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말기에는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하기 위해서 런처(Launcher)가 탑재될 수 있다. 런처란 사용자가 인터넷 사이트로의 접속,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과 같은 단말기의 각 기능을 이용하는데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도록 해당 기능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를 지원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말한다. 즉, 런처는 독립적으로 실행되는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으로서, 응용 어플리케이션으로의 접근 편의성 제공, 디자인 개선 등의 기능을 제공한다. 사용자는 런처를 이용하여 자신의 취향, 직업 등을 고려하여 자주 사용하는 기능 위주로 자신의 단말기의 환경을 설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절전모드 제공장치(200)는 단말기 내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App) 및 개별 장치로 구현되며 탑재된 OS(Operating System)의 기본 메뉴 중 어느 하나의 메뉴에 절전모드 메뉴를 추가 배열함으로써 단말기에 현재 동작되고 있는 일반모드를 절전모드로 전환시킬 수 있다. 또한 절전모드에 특화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런처의 기능을 수행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절전모드 애플리케이션(110)을 탑재한 단말기(100)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단말기(100)는 사용자의 키 조작에 따라 AP를 포함한 통신 중개장치를 이용하여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단말기를 말하는 것이며, 태블릿 PC(Tablet PC), 랩톱(Laptop), 개인용 컴퓨터(PC: Personal Computer), 스마트폰(Smart Phone), 개인휴대용 정보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및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등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즉, 단말기(100)는 AP 및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 또는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기이며, AP 및 통신망을 경유하여 외부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프로그램 또는 프로토콜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해당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연산 및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을 구비하고 있는 단말기를 의미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100)는 절전모드 애플리케이션(110)을 탑재하여 단말기(100)에 절전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즉, 단말기(100)는 절전모드 애플리케이션(110)을 이용하여 단말기(100)에 탑재된 OS(Operating System)의 기본 메뉴 중 어느 하나의 영역에 절전모드 메뉴(120)를 추가 배열함으로써 기 설정된 절전 환경을 제공하는 절전모드 및 절전모드에 대응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500)를 제공한다. 이러한 절전모드 애플리케이션(110)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절전모드 애플리케이션(110)은 단말기(100)가 스마트 폰인 경우 애플리케이션 스토어를 통해 다운로드된 후 인스톨된 애플리케이션을 말하며, 단말기(100)가 피쳐 폰(Feature Phone)인 경우 통신사 서버를 통해 다운로드된 VM(Virtual Machine) 상에서 구동되는 애플리케이션을 말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100)에 절전모드 애플리케이션(110)이 탑재되는 형태에 설명하자면, 단말기(100)는 절전모드 애플리케이션(110)을 임베디드(Embedded) 형태로 탑재한 상태로 구현되거나, 단말기(100) 내에 탑재되는 OS에 임베디드 형태로 탑재되거나, 사용자의 조작 또는 명령에 의해 단말기(100) 내의 OS에 인스톨되는 형태로 탑재될 수 있다. 전술한 방식으로 단말기(100)에 탑재된 절전모드 애플리케이션(110)은 단말기(100)에 탑재된 기본 애플리케이션(예컨대, 문자 발송 애플리케이션, 음성 호 송수신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송수신 애플리케이션, 메신저 애플리케이션 등)과 연동하도록 구현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기본 애플리케이션과 연동없이 독립적인 기능으로 운용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단말기(100)가 절전모드를 구동시키는 동작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단말기(100)는 단말기(100)에 탑재된 OS의 기본 메뉴 중 어느 하나의 영역에 절전모드 메뉴(120)를 추가 배열한다. 이때, 단말기(100)에 탑재된 OS는 안드로이드(Android), 심비안(Symbian) iOS, 블랙베리(BlackBerry) 및 바다(Bada)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의 단말기(100)는 안드로이드로 구현된 OS를 탑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OS의 기본 메뉴는 해당 OS에 기 설정되어 제공되는 메시지, 데이터 송수신 및 음성 등의 기본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메뉴를 의미한다. 즉, 단말기(100)는 OS의 기본 메뉴 중 어느 하나의 영역에 절전모드를 제공하는 절전모드 메뉴(120)를 추가 배열하고, 이를 통해 단말기(100)에 절전모드 기능을 추가로 제공한다.
또한, 단말기(100)는 물리적인 버튼 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버튼을 기반으로 절전모드 메뉴(120)가 OS의 기본 메뉴 중 어느 하나의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도록 동작한다. 즉, 단말기(100)는 OS의 기본 메뉴 중 어느 하나의 영역에 절전모드 메뉴(120)를 추가 배열하는 과정을 통해 물리적인 버튼 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버튼을 이용하여 절전모드 메뉴(120)가 제공되도록 하며, 이를 통해 절전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동작한다. 이때, 물리적인 버튼은 단말기(100)에 기 설정된 핫키(Hot Key) 및 메뉴버튼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소프트웨어적인 버튼은 풀다운(Pull-down) 방식으로 제공되는 모드전환 버튼, 단말기(100)의 옵션메뉴 내의 버튼 및 리모콘 애플리케이션 내의 버튼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한편, 물리적인 버튼 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버튼을 기반으로 절전모드 메뉴(120)를 제공하는 방식은 도 4a 및 도 4b에서 자세히 후술하도록 한다. 한편, 도 1에서는 물리적인 버튼 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버튼을 기반으로 제공될 수 있는 절전모드 메뉴(120)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다양한 방법 및 다양한 형태로 절전모드 메뉴(120)가 구현될 수 있다. 이후, 단말기(100)는 단말기(100)의 초기 셋팅 단계 등에서 절전모드로 전환할 수 있는 방법을 안내할 수 있다.
단말기(100)는 절전모드 메뉴(120)에 대응하는 절전모드를 실행하기 위한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현재 동작되고 있는 단말기(100)의 일반모드를 절전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전환신호를 생성한다. 즉, 단말기(100)는 터치스크린, 키패드 및 음성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절전모드를 실행하기 위한 입력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통해 일반모드를 절전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전환신호를 생성한다. 이때, 일반모드란 단말기(100)에서 제공되는 기능이 기본적으로 모두 활성화되어 있는 상태로서 사용자는 자유롭게 단말기(100)의 기능을 ON 또는 OFF 상태로 설정할 수 있으며 특정 제약없이 단말기(100)에서 제공되는 기능을 모두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단말기(100)는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바로 절전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전환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지만 절전모드에 대한 안내 및 절전모드로의 전환 여부를 재확인하기 위한 팝업창을 제공하고, 절전모드로의 전환에 대한 선택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전환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100)는 일반모드를 절전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전환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기 설정된 절전 환경을 제공하는 절전모드를 구동한다. 즉, 단말기(100)는 전환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일반모드에서 활성화되고 있던 데이터 네트워크, 무선 네트워크, GPS, 블루투스 및 복수의 센서 중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비활성화시키고 단말기(100)에 백그라운드로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을 중지시켜 기 설정된 절전 환경을 제공한다. 이때, 백그라운드로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은 단말기(100)에 지속적으로 실행되고 있으나 보조적인 기능으로서 사용하고 있는 애플리케이션을 의미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단말기(100)가 데이터 네트워크, 무선 네트워크, GPS, 블루투스 및 복수의 센서 중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비활성화시키고 단말기(100)에 백그라운드로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을 중지시켜 절전 환경을 제공한다고 명시하였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단말기(100)의 배터리 소모에 영향을 미치는 복수의 기능 중 일부 또는 제한하도록 동작하여 절전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단말기(100)는 절전모드로 전환 시 사용자의 매너와 관련된 소리 또는 진동 등의 설정은 일반모드에서의 상태를 유지하며, 단말기(100)가 재부팅되는 경우에는 단말기(100)가 종료되기 직전의 모드로 자동 부팅된다. 또한, 단말기(100)는 해외 로밍 시에는 일반모드만 지원하도록 동작하며, 절전모드 상태에서 단말기(100)가 로밍이 되는 경우, 안내 팝업창과 함께 일반모드로 자동 전환된다.
또한, 단말기(100)는 단말기(100)의 현재 모드가 절전모드로 전환된 상태에서 절전모드에서 비활성화된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에 대한 요청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요청명령에 대응하는 비활성화된 기능을 제한적으로 활성화시킬 수 있다. 예컨대, 단말기(100)는 단말기(100)가 절전모드로 전환된 상태에서 네트워크 연결을 필요로 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수행되는 경우, 임시적으로 데이터 네트워크 또는 무선 네트워크 기능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이때, 단말기(100)가 절전모드에서 비활성화된 기능을 제한적으로 활성화시키는 방법은 도 7a 및 도 7b에 자세히 후술하도록 한다.
또한, 단말기(100)는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된 이후, 기 설정된 조건에 근거하여 제한적으로 활성화된 기능의 지속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즉, 단말기(100)는 단말기(100)의 배터리 잔류량이 기 설정된 임계치 미만의 값을 가지는 조건 및 절전모드 상태에서 백그라운드로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이 기 설정된 개수 이상의 값을 가지는 조건 중 일부 또는 전부의 조건에 근거하여 제한적으로 활성화된 기능의 지속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결과를 팝업창 등을 이용하여 제공한다. 이후, 단말기(100)는 제한적으로 활성화된 기능의 지속 여부에 대한 선택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기반으로 제한적으로 활성화된 기능을 지속 또는 비활성화시킨다. 예컨대, 단말기(100)는 사용자의 행동 패턴 및 단말기(100)의 현재 상태 정보를 바탕으로 최적의 절전 환경으로의 전환을 유도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단말기(100)가 제한적으로 활성화된 기능의 지속 여부에 대한 선택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통해 제한적으로 활성화된 기능을 지속 또는 비활성화되도록 동작한다고 명시하였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제한적으로 활성화된 기능을 필요로 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종료되는 경우에 제한적으로 활성화된 기능을 비활성화되도록 동작할 수 있다.
한편, 단말기(100)는 절전모드로 전환되는 경우, 절전모드에 대응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를 제공한다. 즉, 단말기(100)는 절전모드로 전환되는 경우, 상태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인디케이터(Indicator, 510), 절전모드에서 제공되는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GUI 요소가 표시되는 기능버튼 영역(520), 키패드가 표시되는 키패드 영역(530), 키패드를 이용하여 입력된 입력값을 표시하는 정보표시 영역(540)을 포함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500)를 제공한다. 이때, 기능 버튼 영역(520)은 메시지, 알람, 인터넷, 카메라, 갤러리, TV 및 간편메뉴 등의 GUI 요소를 포함하며 단말기(100)는 각각의 GUI 요소에 대한 선택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해당 GUI 요소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킨다. 또한, 단말기(100)는 간편메뉴에 대한 선택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네트워크 연결을 필요로 하지 않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우선적으로 제공한다. 한편, 기능 버튼 영역(520)에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기능버튼 영역(520)에 포함되는 GUI 요소를 추가로 지정할 수 있는 사용자메뉴를 더 포함하며 단말기(100)는 사용자메뉴에 대한 선택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기능버튼 영역에 추가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제공하도록 동작한다.
즉, 단말기(100)는 네트워크 접속이 필요없는 자립형(Stand Alone) 기능 위주의 GUI 요소 배치 및 제한된 애플리케이션만을 제공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500)를 제공함으로써 절전모드 상태에서도 단말기(100)의 기능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절전모드에 대응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50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5, 도 6a 및 도 6b에서 후술하도록 한다. 한편, 도 1에서는 단말기(100)가 인디케이터(510), 기능버튼 영역(520), 키패드 영역(530), 정보표시 영역(540)을 포함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500)를 제공한다고 명시하였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단말기(100)는 절전모드를 해제하기 위한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절전모드에서 비활성된 기능 중 제한적으로 활성화된 기능의 존재 여부를 파악한다. 이후, 단말기(100)는 절전모드를 해제하기 위한 입력신호를 수신한 상태에서 제한적으로 활성화된 기능이 존재한다고 판단되는 경우, 제한적으로 활성화된 기능은 동작하되 나머지 비활성화된 기능은 비활성 상태로 동작하도록 현재 모드를 변경시킬 수 있다. 또한, 단말기(100)는 절전모드를 해제하기 위한 입력신호를 수신한 상태에서 제한적으로 활성화된 기능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되는 경우, 단말기(100)의 현재 상태를 일반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단말기(100)의 절전모드가 해제되는 경우, 제한적으로 활성화된 기능의 존재 여부에 따라 단말기(100)의 상태를 변경하는 방법을 명시하였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단말기 제조사 및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한 상태로 변경될 수 있다.
절전모드 애플리케이션(110)은 단말기(100)가 수행하는 별도의 소프트웨어적 기능 또는 하드웨어적 기능을 구비한 형태로 독립적으로 운용되도록 구현되거나 단말기(100)가 수행하는 별도의 소프트웨어적 기능 또는 하드웨어적 기능과 연동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절전모드 애플리케이션(110)은 단말기(100)에 탑재되어, 단말기(100)에 구비된 각종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동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별도의 장치로 구현되어 동작될 수도 있다. 또한, 절전모드 애플리케이션(110)은 단말기(100) 내의 기 설치된 애플리케이션들과 연동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절전모드 애플리케이션(110)이 수행하는 동작에 대해 설명하자면, 절전모드 애플리케이션(110)은 단말기(100) 내에 설치되어 단말기(100)에 탑재된 OS의 기본 메뉴 중 어느 하나의 영역에 절전모드 메뉴(120)를 추가 배열함으로써 기 설정된 절전 환경을 제공하는 절전모드를 제공하는 일종의 프로그램을 말한다.
이러한, 절전모드 애플리케이션(110)의 동작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절전모드 애플리케이션(110)은 단말기(100)에 탑재된 OS의 기본 메뉴 중 어느 하나의 영역에 절전모드 메뉴(120)를 추가 배열한다. 이후, 절전모드 애플리케이션(110)은 절전모드 메뉴(120)에 대응하는 절전모드를 실행하기 위한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현재 동작되고 있는 단말기(100)의 일반모드를 절전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전환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절전모드 애플리케이션(110)은 일반모드를 절전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전환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기 설정된 절전 환경을 제공하는 절전모드를 구동한다. 즉, 절전모드 애플리케이션(110)은 전환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단말기(100)의 일반모드에서 활성화되고 있던 데이터 네트워크, 무선 네트워크, GPS, 블루투스 및 복수의 센서 중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비활성화시키고 단말기(100)에 백그라운드로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을 중지시켜 기 설정된 절전 환경이 유지되도록 동작한다.
또한, 절전모드 애플리케이션(110)은 단말기(100)의 현재 모드가 절전모드로 전환된 상태에서 절전모드에서 비활성화된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에 대한 요청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요청명령에 대응하는 비활성화된 기능을 제한적으로 활성화시킬 수 있다.
한편, 절전모드 애플리케이션(110)은 앞서 명시된 단말기(100)가 수행하는 모든 기능을 동일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절전모드 제공장치(200)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절전모드 제공장치(200)의 내부 블록도로서, 이러한 절전모드 제공장치(200)는 단말기(100)의 하드웨어와 절전모드 애플리케이션(100)의 소프트웨어가 결합된 별도의 자립형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즉, 절전모드 제공장치(200)는 기본적으로 단말기(100)에 포함된 표시부, 통신부, 센서부 등의 하드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절전모드 제공장치(200)는 모드 배열부(21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20), 동작모드 전환부(230), 절전모드 구동부(240) 및 GUI 제공부(250)를 포함한다.
모드 배열부(210)는 절전모드 제공장치(200)에 탑재된 OS의 기본 메뉴 중 어느 하나의 영역에 절전모드 메뉴(120)를 추가 배열한다. 이때, 절전모드 제공장치(200)에 탑재된 OS는 기본적으로 단말기(100)에 탑재된 OS와 동일한 개념이 적용될 수 있다. 절전모드 제공장치(200)에 탑재된 OS는 안드로이드, 심비안 iOS, 블랙베리 및 바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의 절전모드 제공장치(200)는 안드로이드로 구현된 OS를 탑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절전모드 제공장치(200)는 OS의 기본 메뉴 중 어느 하나의 영역에 절전모드를 제공하는 절전모드 메뉴(120)를 추가 배열하고, 이를 통해 절전모드 제공장치(200)에 절전모드 기능을 추가로 제공한다.
또한, 모드 배열부(210)는 물리적인 버튼 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버튼을 기반으로 절전모드 메뉴(120)가 OS의 기본 메뉴 중 어느 하나의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도록 동작한다. 즉, 모드 배열부(210)는 OS의 기본 메뉴 중 어느 하나의 영역에 절전모드 메뉴(120)를 추가 배열하는 과정을 통해 물리적인 버튼 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버튼을 이용하여 절전모드 메뉴(120)가 제공되도록 하며, 이를 통해 절전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동작한다. 이때, 물리적인 버튼은 절전모드 제공장치(200)에 기 설정된 핫키(Hot Key) 및 메뉴버튼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소프트웨어적인 버튼은 풀다운(Pull-down) 방식으로 제공되는 모드전환 버튼, 절전모드 제공장치(200)의 옵션메뉴 내의 버튼 및 리모콘 애플리케이션 내의 버튼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한편, 절전모드 제공장치(200)에 기 설정된 핫키 및 메뉴버튼은 단말기(100)에 기 설정된 핫키 및 메뉴버튼과 동일한 개념이 적용될 수 있다. 물리적인 버튼 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버튼을 기반으로 절전모드 메뉴(120)를 제공하는 방식은 도 4a 및 도 4b에서 자세히 후술하도록 한다. 한편, 도 2에서는 물리적인 버튼 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버튼을 기반으로 절전모드 메뉴(120)가 제공된다고 명시하였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절전모드 메뉴(120)를 제공할 수 있다. 이후, 모드 배열부(210)는 절전모드 제공장치(200)의 초기 셋팅 단계 등에서 절전모드로 전환할 수 있는 방법을 안내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20)는 절전모드 메뉴(120)에 대응하는 절전모드를 실행하기 위한 입력신호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다. 즉,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20)는 터치스크린, 키패드 및 음성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사용자로부터 절전모드를 실행하기 위한 입력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동작모드 전환부(230)로 전송한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20)는 터치스크린, 키패드 및 음성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절전모드에서 제공되는 기능을 동작시키기 위한 선택 또는 명령에 대한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절전모드 구동부(24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도 2에서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20)가 터치스크린, 키패드 및 음성을 이용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신호, 선택신호 및 명령신호를 수신한다고 명시하였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다양한 방법을 통해 해당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동작모드 전환부(23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20)로부터 절전모드를 실행하기 위한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현재 동작되고 있는 절전모드 제공장치(200)의 일반모드를 절전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전환신호를 생성한다. 이때, 일반모드란 절전모드 제공장치(200)에서 제공되는 기능이 기본적으로 모두 활성화되어 있는 상태로서 사용자는 자유롭게 절전모드 제공장치(200)의 기능을 ON 또는 OFF 상태로 설정할 수 있으며 특정 제약없이 절전모드 제공장치(200)에서 제공되는 기능을 모두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절전모드 제공장치(200)의 일반모드는 단말기(100)에서의 일반모드와 동일한 개념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동작모드 전환부(230)는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바로 절전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전환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지만 절전모드에 대한 안내 및 절전모드로의 전환 여부를 재확인하기 위한 팝업창을 제공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20)로부터 절전모드로의 전환에 대한 선택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전환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절전모드 구동부(240)는 동작모드 전환부(230)로부터 전환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기 설정된 절전 환경을 제공하는 절전모드를 구동한다. 즉, 절전모드 구동부(240)는 전환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일반모드에서 활성화되고 있던 데이터 네트워크, 무선 네트워크, GPS, 블루투스 및 복수의 센서 중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비활성화시키고 백그라운드로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을 중지시켜 기 설정된 절전 환경을 제공한다. 이때, 백그라운드로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은 절전모드 제공장치(200)에 지속적으로 실행되고 있으나 보조적인 기능으로서 사용하고 있는 애플리케이션으로서 단말기(100)에서의 백그라운드 애플리케이션과 동일한 개념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절전모드 구동부(240)가 데이터 네트워크, 무선 네트워크, GPS, 블루투스 및 복수의 센서 중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비활성화시키고 백그라운드로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을 중지시켜 절전 환경을 제공한다고 명시하였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절전모드 제공장치(200)의 배터리 소모에 영향을 미치는 복수의 기능 중 일부 또는 제한하도록 동작하여 절전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절전모드 구동부(240)는 절전모드로 전환 시 사용자의 매너와 관련된 소리 또는 진동 등의 설정은 일반모드에서의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절전모드 구동부(240)는 절전모드 제공장치(200)의 현재 모드가 절전모드로 전환된 상태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20)로부터 절전모드에서 비활성화된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에 대한 요청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요청명령에 대응하는 비활성화된 기능을 제한적으로 활성화시킬 수 있다. 예컨대, 절전모드 구동부(240)는 절전모드 제공장치(200)가 절전모드로 전환된 상태에서 네트워크 연결을 필요로 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수행되는 경우, 임시적으로 데이터 네트워크 또는 무선 네트워크 기능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이때, 절전모드 구동부(240)가 절전모드에서 비활성화된 기능을 제한적으로 활성화시키는 방법은 도 7a 및 도 7b에 자세히 후술하도록 한다.
또한, 절전모드 구동부(240)는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된 이후, 기 설정된 조건에 근거하여 제한적으로 활성화된 기능의 지속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즉, 절전모드 구동부(240)는 절전모드 제공장치(200)의 배터리 잔류량이 기 설정된 임계치 미만의 값을 가지는 조건 및 절전모드 상태에서 백그라운드로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이 기 설정된 개수 이상의 값을 가지는 조건 중 일부 또는 전부의 조건에 근거하여 제한적으로 활성화된 기능의 지속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결과를 팝업창 등을 이용하여 제공한다. 이후, 절전모드 구동부(240)는 제한적으로 활성화된 기능의 지속 여부에 대한 선택신호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20)로부터 수신하고, 이를 기반으로 제한적으로 활성화된 기능을 지속 또는 비활성화시킨다. 예컨대, 절전모드 구동부(240)는 사용자의 행동 패턴 및 절전모드 제공장치(200)의 현재 상태 정보를 바탕으로 최적의 절전 환경으로의 전환을 유도할 수 있다.
한편, 절전모드 구동부(240)는 절전모드를 해제하기 위한 입력신호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20)로부터 수신하는 경우, 절전모드에서 비활성된 기능 중 제한적으로 활성화된 기능의 존재 여부를 파악한다. 이후, 절전모드 구동부(240)는 절전모드를 해제하기 위한 입력신호를 수신한 상태에서 제한적으로 활성화된 기능이 존재한다고 판단되는 경우, 제한적으로 활성화된 기능은 동작하되 나머지 비활성화된 기능은 비활성 상태로 동작하도록 절전모드 제공장치(200)의 현재 모드를 변경시킬 수 있다. 또한, 절전모드 구동부(240)는 절전모드를 해제하기 위한 입력신호를 수신한 상태에서 제한적으로 활성화된 기능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되는 경우, 절전모드 제공장치(200)의 현재 상태를 절전모드로 변경되기 이전의 상태인 일반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절전모드 구동부(240)가 절전모드를 해제하기 위한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제한적으로 활성화된 기능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여 절전모드 제공장치(200)의 상태를 변경한다고 명시하였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제조사 및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한 상태로 변경될 수 있다.
GUI 제공부(250)는 절전모드에 대응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즉, GUI 제공부(250)는 절전모드 제공장치(200)가 절전모드로 전환되는 경우, 상태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인디케이터(510), 절전모드에서 제공되는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GUI 요소가 표시되는 기능버튼 영역(520), 키패드가 표시되는 키패드 영역(530), 키패드를 이용하여 입력된 입력값을 표시하는 정보표시 영역(540)을 포함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500)를 제공한다. 이때, 기능 버튼 영역(520)은 메시지, 알람, 인터넷, 카메라, 갤러리, TV, 간편메뉴 등의 GUI 요소 및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기능버튼 영역(520)에 포함되는 GUI 요소를 추가로 지정할 수 있는 사용자메뉴를 더 포함하고 있다. 한편, GUI 제공부(250)는 간편메뉴에 대한 선택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네트워크 연결을 필요로 하지 않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우선적으로 제공한다. 한편, 절전모드 구동부(240)는 각각의 GUI 요소에 대한 선택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해당 GUI 요소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킨다. 또한, 사용자메뉴에 대한 선택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기능버튼 영역(520)에 추가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제공하도록 동작한다.
즉, GUI 제공부(250)는 네트워크 접속이 필요없는 자립형(Stand Alone) 기능 위주의 GUI 요소 배치 및 제한된 애플리케이션만을 제공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500)를 제공함으로써 절전모드 상태에서도 절전모드 제공장치(200)의 기능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절전모드에 대응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50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5, 도 6a 및 도 6b에서 후술하도록 한다. 한편, 도 2에서는 UI 제공부(250)가 인디케이터(510), 기능버튼 영역(520), 키패드 영역(530), 정보표시 영역(540)을 포함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500)를 제공한다고 명시하였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절전모드 제공장치(200)가 절전모드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에서 도시하듯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절전모드 제공장치(200)가 절전모드를 제공하는 방법은 탑재된 OS의 기본 메뉴 중 어느 하나의 영역에 절전모드 메뉴를 추가 배열하는 과정으로부터 시작된다(S300). 즉, 절전모드 제공장치(200)는 절전모드 제공장치(200)에 탑재된 OS의 기본 메뉴 중 어느 하나의 영역에 절전모드 메뉴(120)를 추가 배열한다. 이때, 절전모드 제공장치(200)에 탑재된 OS는 기본적으로 단말기(100)에 탑재된 OS와 동일한 개념이 적용될 수 있다. 절전모드 제공장치(200)는 OS의 기본 메뉴 중 어느 하나의 영역에 절전모드를 제공하는 절전모드 메뉴(120)를 추가 배열하고, 이를 통해 절전모드 제공장치(200)에 절전모드 기능을 추가로 제공한다.
또한, 절전모드 제공장치(200)는 물리적인 버튼 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버튼을 기반으로 절전모드 메뉴(120)가 OS의 기본 메뉴 중 어느 하나의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도록 동작한다. 즉, 절전모드 제공장치(200)는 OS의 기본 메뉴 중 어느 하나의 영역에 절전모드 메뉴(120)를 추가 배열하는 과정을 통해 물리적인 버튼 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버튼을 이용하여 절전모드 메뉴(120)가 제공되도록 하며, 이를 통해 절전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동작한다. 이때, 물리적인 버튼은 절전모드 제공장치(200)에 기 설정된 핫키(Hot Key) 및 메뉴버튼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소프트웨어적인 버튼은 풀다운(Pull-down) 방식으로 제공되는 모드전환 버튼, 절전모드 제공장치(200)의 옵션메뉴 내의 버튼 및 리모콘 애플리케이션 내의 버튼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한편, 절전모드 제공장치(200)에 기 설정된 핫키 및 메뉴버튼은 단말기(100)에 기 설정된 핫키 및 메뉴버튼과 동일한 개념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도 3에서는 물리적인 버튼 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버튼을 기반으로 절전모드 메뉴(120)가 제공된다고 명시하였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절전모드 메뉴(120)를 제공할 수 있다. 이후, 절전모드 제공장치(200)는 절전모드 제공장치(200)의 초기 셋팅 단계 등에서 절전모드로 전환할 수 있는 방법을 안내할 수 있다.
절전모드 제공장치(200)는 절전모드 메뉴에 대응하는 절전모드를 실행하기 위한 입력신호를 수신한다(S310). 즉, 절전모드 제공장치(200)는 터치스크린, 키패드 및 음성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사용자로부터 절전모드를 실행하기 위한 입력신호를 수신한다.
절전모드 제공장치(200)는 절전모드를 실행하기 위한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현재 동작되고 있는 일반모드를 절전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전환신호를 생성한다(S320). 즉, 절전모드 제공장치(200)는 절전모드를 실행하기 위한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현재 동작되고 있는 절전모드 제공장치(200)의 일반모드를 절전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전환신호를 생성한다. 이때, 일반모드란 절전모드 제공장치(200)에서 제공되는 기능이 기본적으로 모두 활성화되어 있는 상태로서 사용자는 자유롭게 절전모드 제공장치(200)의 기능을 ON 또는 OFF 상태로 설정할 수 있으며 특정 제약없이 절전모드 제공장치(200)에서 제공되는 기능을 모두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절전모드 제공장치(200)의 일반모드는 단말기(100)에서의 일반모드와 동일한 개념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절전모드 제공장치(200)는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바로 절전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전환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지만 절전모드에 대한 안내 및 절전모드로의 전환 여부를 재확인하기 위한 팝업창을 제공하고 절전모드로의 전환에 대한 선택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전환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절전모드 제공장치(200)는 전환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기 설정된 절전 환경을 제공하는 절전모드를 구동한다(S330). 즉, 절전모드 제공장치(200)는 전환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일반모드에서 활성화되고 있던 데이터 네트워크, 무선 네트워크, GPS, 블루투스 및 복수의 센서 중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비활성화시키고 백그라운드로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을 중지시켜 기 설정된 절전 환경을 제공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절전모드 제공장치(200)가 데이터 네트워크, 무선 네트워크, GPS, 블루투스 및 복수의 센서 중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비활성화시키고 백그라운드로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을 중지시켜 절전 환경을 제공한다고 명시하였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절전모드 제공장치(200)의 배터리 소모에 영향을 미치는 복수의 기능 중 일부 또는 제한하도록 동작하여 절전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절전모드 제공장치(200)는 절전모드로 전환 시 사용자의 매너와 관련된 소리 또는 진동 등의 설정은 일반모드에서의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절전모드 제공장치(200)는 절전모드 제공장치(200)의 현재 모드가 절전모드로 전환된 상태에서 절전모드에서 비활성화된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에 대한 요청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요청명령에 대응하는 비활성화된 기능을 제한적으로 활성화시킬 수 있다.
또한, 절전모드 제공장치(200)는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된 이후, 기 설정된 조건에 근거하여 제한적으로 활성화된 기능의 지속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즉, 절전모드 제공장치(200)는 절전모드 제공장치(200)의 배터리 잔류량이 기 설정된 임계치 미만의 값을 가지는 조건 및 절전모드 상태에서 백그라운드로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이 기 설정된 개수 이상의 값을 가지는 조건 중 일부 또는 전부의 조건에 근거하여 제한적으로 활성화된 기능의 지속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결과를 팝업창 등을 이용하여 제공한다. 이후, 절전모드 제공장치(200)는 제한적으로 활성화된 기능의 지속 여부에 대한 선택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기반으로 제한적으로 활성화된 기능을 지속 또는 비활성화시킨다.
한편, 절전모드 제공장치(200)는 절전모드를 해제하기 위한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절전모드에서 비활성된 기능 중 제한적으로 활성화된 기능의 존재 여부를 파악한다. 이후, 절전모드 제공장치(200)는 절전모드를 해제하기 위한 입력신호를 수신한 상태에서 제한적으로 활성화된 기능이 존재한다고 판단되는 경우, 제한적으로 활성화된 기능은 동작하되 나머지 비활성화된 기능은 비활성 상태로 동작하도록 절전모드 제공장치(200)의 현재 모드를 변경시킬 수 있다. 또한, 절전모드 제공장치(200)는 절전모드를 해제하기 위한 입력신호를 수신한 상태에서 제한적으로 활성화된 기능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되는 경우, 절전모드 제공장치(200)의 현재 상태를 절전모드로 변경되기 이전의 상태인 일반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절전모드 제공장치(200)가 절전모드를 해제하기 위한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제한적으로 활성화된 기능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여 절전모드 제공장치(200)의 상태를 변경한다고 명시하였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단말기 제조사 및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한 상태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절전모드 제공장치(200)는 절전모드에 대응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즉, 절전모드 제공장치(200)는 절전모드 제공장치(200)가 절전모드로 전환되는 경우, 상태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인디케이터(510), 절전모드에서 제공되는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GUI 요소가 표시되는 기능버튼 영역(520), 키패드가 표시되는 키패드 영역(530), 키패드를 이용하여 입력된 입력값을 표시하는 정보표시 영역(540)을 포함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500)를 제공한다. 이때, 기능 버튼 영역(520)은 메시지, 알람, 인터넷, 카메라, 갤러리, TV 및 간편메뉴 등의 GUI 요소를 포함하며 절전모드 제공장치(200)는 각각의 GUI 요소에 대한 선택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해당 GUI 요소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킨다.
한편, 절전모드 제공장치(200)는 간편메뉴에 대한 선택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네트워크 연결을 필요로 하지 않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우선적으로 제공한다. 또한, 기능 버튼 영역(520)에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기능버튼 영역(520)에 포함되는 GUI 요소를 추가로 지정할 수 있는 사용자메뉴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절전모드 제공장치(200)는 사용자메뉴(610)에 대한 선택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기능버튼 영역에 추가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제공하도록 동작한다.
즉, 절전모드 제공장치(200)는 네트워크 접속이 필요없는 자립형(Stand Alone) 기능 위주의 GUI 요소 배치 및 제한된 애플리케이션만을 제공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500)를 제공함으로써 절전모드 상태에서도 절전모드 제공장치(200)의 기능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도 3에서는 절전모드 제공장치(200)가 인디케이터(510), 기능버튼 영역(520), 키패드 영역(530), 정보표시 영역(540)을 포함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500)를 제공한다고 명시하였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3에서는 단계 S300 내지 단계 S330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도 3에 기재된 순서를 변경하여 실행하거나 단계 S300 내지 단계 S330 중 하나 이상의 단계를 병렬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하여 적용 가능할 것이므로, 도 3은 시계열적인 순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도 4a 내지 도 7b에서는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제공되는 절전모드의 실시예를 도시하였다. 한편, 도 4a 내지 도 7b는 단말기(100)를 도시하여 절전모드의 실시예를 도시하였지만 단말기(100)의 하드웨어와 절전모드 애플리케이션(100)의 소프트웨어가 결합된 별도의 자립형 장치인 절전모드 제공장치(200) 역시 동일한 개념이 적용될 수 있다.
도 4a, 4b는 본 실시예에 따른 일반모드를 절전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방법을 예시한 예시도이다.
도 4a는 본 실시예에 따른 일반모드를 절전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제1 방법을 예시한 예시도이다.
도 4a에 도시하듯이 단말기(100)는 물리적인 버튼인 핫키(400)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단말기(100)는 절전모드 애플리케이션(110)이 탑재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단말기(100)에 탑재된 OS의 기본 메뉴 중 어느 하나의 영역에 절전모드 메뉴(120)를 추가 배열하고 있다. 한편, 단말기(100)는 OS의 기본 메뉴 중 어느 하나의 영역에 절전모드 메뉴(120)를 추가 배열하는 과정을 통해 핫키(400)에 대한 입력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절전모드 메뉴(120)가 제공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즉, 사용자가 단말기(100)에 별도로 구비된 핫키(400)를 클릭하는 경우, 단말기(100)는 절전모드 메뉴(120)를 포함한 팝업창을 제공한다. 이후, 사용자는 팝업창에 위치한 절전모드 메뉴(120)를 선택함으로써 현재 단말기(100)에 동작되고 있는 일반모드를 절전모드로 전환할 수 있는 경로를 제공받는다. 한편, 절전모드 메뉴(120)를 포함한 팝업창은 일반모드 메뉴를 추가로 포함하고 있으며 사용자는 절전모드 상태에서 일반모드 상태로 전환하고자 하는 경우, 마찬가지로 핫키(400)를 클릭하고 팝업창을 통해 제공되는 일반모드 메뉴를 선택함으로써 절전모드에서 다시 일반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핫키(400)를 이용하여 제공되는 팝업창을 통해 현재 단말기(100)의 모드를 확인할 수 있으며 절전모드 또는 일반모드로 전환할 수 있는 경로를 제공받을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절전모드 메뉴(120)를 선택하는 경우, 단말기(100)는 팝업창을 이용하여 절전모드에 대한 자세한 안내를 제공한다. 이때, 안내는 절전모드에 대한 부연 설명을 포함하고 있으며 절전모드로 전환 시 단말기(100)에 발생하는 일부 기능의 제한 및 백그라운드로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이 종료됨을 명시하고 있다. 한편, 절전모드 메뉴(120)를 선택하는 경우 제공되는 팝업창은 절전모드에 대한 안내와 함께 절전모드로의 전환을 선택할 수 있는 전환 및 취소 버튼을 추가로 포함하고 있다. 사용자가 전환 버튼을 선택하는 경우, 단말기(100)는 즉시 절전모드로 전환되며 취소 버튼을 선택하는 경우, 팝업창이 닫히고 절전모드 메뉴(120)와 일반모드 메뉴를 포함한 이전의 팝업창으로 복귀한다.
도 4b는 본 실시예에 따른 일반모드를 절전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제2 방법을 예시한 예시도이다.
도 4b에서 도시하듯이, 단말기(100)는 풀다운 방식으로 제공되는 모드전환 버튼(410)을 이용하여 절전모드 메뉴(120)를 제공한다. 한편, 단말기(100)는 탑재된 OS의 기본 메뉴 중 어느 하나의 영역에 절전모드 메뉴(120)를 추가 배열하는 과정을 통해 풀다운 방식으로 제공되는 모드전환 버튼(410)을 이용하여 절전모드 메뉴(120)가 제공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때, 풀다운 방식으로 제공되는 모드전환 버튼(410)은 사용자가 단말기(100)를 터치한 상태에서 기 설정된 방향으로 손가락을 잡아당기는 경우 생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한편, 모드전환 버튼(410)는 버튼으로 명시되었지만 절전모드 메뉴(120)를 제공하는 일종의 추가 메뉴창을 의미한다.
즉, 사용자가 단말기(100)를 터치한 상태에서 기 설정된 방향으로 손가락을 잡아당기는 경우, 단말기(100)에는 절전모드 메뉴(120)를 포함한 모드전환 버튼(410)이 디스플레이된다. 이때, 모드전환 버튼(410)에는 절전모드 메뉴(120)뿐만 아니라 블루투스 및 와이파이 등의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복수의 메뉴가 추가로 포함되어 있다. 한편, 사용자가 절전모드 메뉴(120)를 선택하는 경우, 단말기(100)는 팝업창을 이용하여 절전모드에 대한 자세한 안내를 제공한다. 이때, 안내는 도 4a에 명시된 안내와 동일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으며 해당 팝업창 역시 절전모드로의 전환을 선택할 수 있는 전환 및 취소 버튼을 추가로 포함하고 있다. 사용자는 전환 버튼을 선택함으로써 단말기(100)를 절전모드로 선택할 수 있으며 모드 전환이 완료되면 팝업창은 사라지고 모드전환 버튼(410) 하단에 단말기(100)가 현재 절전모드를 사용중이라는 안내 메시지가 표시된다. 한편, 단말기(100)가 절전모드로 동작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모드전환 버튼(410)에 포함된 절전모드 메뉴(120)를 클릭하면 일반모드로의 전환을 선택할 수 있는 팝업창이 제공되며, 사용자는 이를 통해 절전모드를 일반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한편, 도 4a 및 도 4b에는 물리적인 버튼인 핫키(400) 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버튼인 모드전환 버튼(410)을 이용하여 절전모드 메뉴(120)를 제공하는 방법이 도시되었다. 이는 단말기(100)를 절전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일종의 예시에 불과하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물리적인 버튼인 메뉴버튼, 소프트웨어적인 버튼인 옵션메뉴 내의 버튼 및 단말기(100)에 구비된 리모콘 애플리케이션 내의 버튼 중 일부 또는 전부의 방법을 이용하여 절전모드 메뉴(120)가 제공될 수 있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절전모드에서 제공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500)를 예시한 예시도이다.
도 5에서 도시하듯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절전모드에서 제공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500)는 인디케이터(510), 기능버튼 영역(520), 키패드 영역(530) 및 정보표시 영역(540)을 포함한다.
인디케이터(510)는 단말기(100)의 상태정보가 표시된다. 즉, 인디케이터(510)는 현재 단말기(100)의 배터리 잔여량 정보 및 시간 정보 등을 포함하며 절전모드에서 데이터 네트워크 및 무선 네트워크가 제한적으로 활성화되는 경우, 해당 네트워크에 신호 강도가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인디케이터(510)는 모든 페이지에서 동일한 크기와 형태로 표시된다.
기능버튼 영역(520)은 절전모드에서 제공되는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GUI 요소가 표시된다. 즉, 기능버튼 영역(520)은 메시지, 알람, 인터넷, 카메라, 갤러리, TV 및 간편메뉴 등의 GUI 요소를 포함하며 각각의 GUI 요소를 클릭하는 경우, 해당 GUI 요소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다. 또한, 기능버튼 영역(520)은 기능버튼 영역(520)에 포함되는 GUI 요소를 추가로 지정할 수 있는 사용자메뉴(610)를 추가적으로 포함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필요한 애플리케이션을 GUI 요소로 지정할 수 있다. 한편, 도 5에서는 사용자메뉴(610)를 + 추가로 명시하였다. 기능버튼 영역(520)은 네트워크 접속이 필요없는 자립형 기능 위주의 GUI 요소로 배치되며 제한된 애플리케이션만을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절전모드 상태에서도 단말기(100)의 기능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키패드 영역(530)은 키패드가 표시되는 영역이다. 즉, 사용자는 키패드 영역(530)에 표시된 숫자 또는 문자를 이용하여 메시지를 작성할 수 있으며 전화번호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키패드는 통화 버튼 및 종료 버튼을 포함하며 사용자가 통화 버튼을 누름으로써 키패드 영역(530)에 입력된 전화번호로 통화를 연결할 수 있다. 한편, 입력된 전화번호가 존재하지 않는 상태에서 통화 버튼을 누르면 최근 통화 목록이 디스플레이된다. 종료 버튼은 단말기(100)에 동작중인 기능을 종료하기 위한 버튼으로써 종료 버튼을 클릭하는 경우 백그라운드에서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을 종료할 수 있는 팝업창이 제공된다. 한편, 종료 버튼을 길게 누르면 단말기(100)의 전원 버튼을 길게 누른 것과 동일하게 전원의 ON/ OFF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팝업창이 제공된다. 또한, 종료 버튼은 사용자가 숫자 또는 번호를 입력 중에는 작성된 숫자 또는 번호를 삭제하기 위한 삭제 버튼으로 변경된다. 이때, 해당 버튼을 길게 누르면 입력된 숫자 또는 번호가 모두 삭제된다. 한편, 키패드에 위치하는 숫자를 길게 누르면 해당 번호에 지정된 단축번호로 통화가 바로 연결되며, 지정된 단축번호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에게 이를 안내하고 단축번호를 지정할 수 있도록 동작하는 팝업창이 디스플레이된다.
정보표시 영역(540)은 키패드를 이용하여 입력된 입력값을 표시한다. 즉, 정보표시 영역(540)은 사용자가 키패드를 누르는 경우, 해당 키패드에 대한 입력값을 디스플레이한다. 한편, 정보표시 영역(540)은 사용자로부터 키패드에 대한 입력값을 수신하지 않는 경우, 날짜 및 시간 등의 정보가 표시된 대기화면을 제공한다.
또한, 정보표시 영역(540)은 편집버튼(542)을 추가적으로 포함하고 있으며 사용자가 편집버튼(542)을 누르는 경우, 편집모드가 제공된다. 사용자는 편집모드를 이용하여 정보표시 영역(540)의 대기화면을 기 설정된 복수의 위젯(Widget) 또는 저장된 사진으로 변경할 수 있으며 단말기(100)에 표시되는 글씨의 글꼴, 크기 등을 변경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편집모드를 이용하여 단말기(100)에 설정된 옵션을 변경하는 경우, 정보표시 영역(540)에는 변경된 옵션에 대한 미리보기 화면을 제공한다.
도 6a, 6b는 본 실시예에 따른 도 5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500) 중 기능버튼 영역(520)의 GUI 요소 및 GUI 요소를 이용하여 제공되는 기능을 예시한 예시도이다.
도 6a는 기능버튼 영역(520)의 GUI 요소 중 간편메뉴(600) 및 간편메뉴(600) 내 간편설정 메뉴의 기능을 예시한 예시도이다.
도 6a에 도시하듯이, 기능버튼 영역(520)은 메시지, 알람, 인터넷, 카메라, 갤러리, TV 및 간편메뉴(600) 등의 GUI 요소를 포함한다. 사용자는 각각의 GUI 요소를 선택함으로써 해당 GUI 요소에 대응되는 기능을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제공받을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기능버튼 영역(520)이 메시지, 알람, 인터넷, 카메라, 갤러리, TV 및 간편메뉴(600) 등의 GUI 요소를 포함한다고 명시하였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절전모드에서 제공되는 기능에 대한 다양한 GUI 요소가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가 간편메뉴(600)를 클릭하는 경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500)에는 네트워크 연결이 필요하지 않은 애플리케이션이 우선적으로 디스플레이된다. 즉, 간편메뉴(600)는 단말기(100)의 배터리 소모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애플리케이션을 우선적으로 첫 화면에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절전모드 상태에서 단말기(100)의 기능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한편, 사용자는 터치 방식을 이용하여 간편메뉴(600)의 첫 화면을 다음 화면으로 변경시 킬 수 있으며 이후에 제공되는 화면에서는 단말기(100)에서 제공되는 모든 기능을 동작시킬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이 추가적으로 제공된다.
한편, 간편메뉴(600)에는 단말기(100)의 기본 옵션을 변경시킬 수 있는 간편설정 메뉴가 포함되어 있다. 사용자는 간편설정 메뉴를 선택하는 경우 단말기(100)의 밝기, 글자크기, 소리, 진동 및 배경화면의 이미지를 변경시킬 수 있는 메뉴가 제공되며 사용자는 이를 통해 단말기(100)의 기본 옵션을 변경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간편설정 메뉴가 간편메뉴(600) 내에 포함되어 있다고 명시하였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단말기(100)에 기 설정된 물리적인 키인 옵션메뉴 버튼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도 6b는 기능버튼 영역(520)의 GUI 요소 중 사용자메뉴(610)의 기능을 예시한 예시도이다. 한편, 도 6b에서는 사용자메뉴(610)를 + 추가로 도시하였다.
도 6b에 도시하듯이, 기능버튼 영역(520)은 메시지, 알람, 인터넷, 카메라, 갤러리, TV 및 간편메뉴(600) 등의 GUI 요소를 포함한다. 한편, 기능버튼 영역(520)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기능버튼 영역(520)에 포함되는 GUI 요소를 추가로 지정할 수 있는 사용자메뉴(6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기능버튼 영역(520)의 GUI 요소 중 사용자메뉴(610)를 클릭하는 경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500)에는 단말기(100)에 설치된 모든 애플리케이션의 목록이 디스플레이된다. 이때,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된 애플리케이션의 목록 중 추가하고자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면 해당 애플리케이션이 하이라이트 되고 추가버튼이 생성된다. 이후, 사용자가 추가버튼을 선택하면 애플리케이션 목록이 사라지고 선택된 애플리케이션이 기능버튼 영역(520)의 사용자메뉴(610) 자리에 디스플레이된다. 한편, 사용자메뉴(610)를 이용하여 기능버튼 영역(520)에 추가로 등록된 애플리케이션은 일반모드로 전환되어도 그 설정이 기억되며 이후, 절전모드로 재전환되는 경우, 저장된 설정이 그대로 디스플레이된다.
도 7a, 7b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절전모드에서 비활성화된 기능을 제한적으로 활성화시키는 방법을 예시한 예시도이다.
도 7a는 본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접속을 요구하는 기능 접근 시 네트워크를 제한적으로 활성화시키는 방법을 예시한 예시도이다.
도 7a에 도시하듯이, 사용자가 네트워크 연결이 필요한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500)에는 절전모드에서 비활성화된 네트워크를 제한적으로 활성화할지 여부를 선택할 수 있는 팝업창이 디스플레이된다. 이때, 팝업창은 연결버튼 및 취소버튼을 포함하며 사용자가 연결버튼을 누르면 데이터 네트워크 또는 무선네트워크가 제한적으로 활성화된다. 한편, 팝업창에 포함된 다시 표시하지 않음 박스를 체크하는 경우, 이후 네트워크 연결이 필요한 기능을 수행하더라도 팝업창이 제공되지 않고 바로 네트워크가 제한적으로 활성화된다. 이때, 단말기(100)가 일반모드로 전환된 후 다시 절전모드로 전환되는 경우에는 다시 표시하지 않음 박스의 체크 여부와 관계없이 해당 팝업창이 다시 제공된다.
한편, 도 7a는 절전모드에서 비활성화된 기능 중 네트워크를 활성화시키는 방법을 명시하였지만 이는 절전모드에서 비활성화된 기능을 제한적으로 활성화시키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로서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절전모드에서 비활성화된 기능을 제한적으로 활성화시킬 수 있다.
도 7b는 본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접속을 요구하는 기능 접근 시 무선 네트워크 또는 데이터 네트워크를 활성화시키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b에 도시하듯이, 애플리케이션(이하 '앱'이라고 약칭함)이 실행되면(S700), 단말기(100)는 해당 앱의 기능이 네트워크 연결을 필요로 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710).
이때, 실행되는 앱의 기능이 네트워크 연결을 필요로 하지 않는 경우, 단말기(100)는 네트워크 기능의 활성화 없이 앱을 바로 실행시키고(S720), 실행되는 앱의 기능이 네트워크 연결을 필요로 하는 경우 절전모드에서 비활성화된 기능 중 무선 네트워크(이하 '와이파이(Wifi)')의 기능을 활성화시킨다(S730).
단말기(100)는 단말기(100)에 기 저장되어 있는 와이파이 SSID(Subsystem Identification)를 확인하고, 현재 단말기(100)가 위치하는 범위 내에 기 저장되어 있는 와이파이 SSID의 존재 여부를 파악한다(S740).
이때, 현재 단말기(100)가 위치하는 범위 내에 기 저장되어 있는 와이파이 SSID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SSID를 이용하여 와이파이에 접속하고(S750), 현재 단말기(100)가 위치하는 범위 내에 기 저장되어 있는 와이파이 SSID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주변에 검색된 SSID의 존재 여부를 파악한다(S760).
단말기(100)는 검색된 SSID가 존재하는 경우 검색된 SSID를 기반으로 와이파이를 선택하고 해당 와이파이에 접속하기 위한 보안 인증을 수행한다(S770). 이후, 단말기(100)는 보안 인증이 성공한 경우 해당 SSID를 이용하여 선택한 와이파이에 접속하고, 보안 인증이 실패한 경우 데이터 네트워크 기능을 활성화시키고 데이터 네트워크에 접속한다.
한편, 단말기는 검색된 SSID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절전모드에서 비활성화된 데이터 네트워크 기능을 활성화시키고 데이터 네트워크에 접속한다.
도 7b에서는 단계 S700 내지 단계 S780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도 7에 기재된 순서를 변경하여 실행하거나 단계 S700 내지 단계 S780 중 하나 이상의 단계를 병렬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하여 적용 가능할 것이므로, 도 7b는 시계열적인 순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단말기 110: 절전모드 애플리케이션
120: 절전모드 메뉴 200: 절전모드 제공장치
210: 모드 배열부 22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230: 동작모드 전환부 240: 절전모드 구동부
250: GUI 제공부 400: 핫키
410: 모드전환 버튼 500: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Claims (10)

  1. 탑재된 OS(Operating System)의 기본 메뉴 중 어느 하나의 영역에 절전모드 메뉴를 추가 배열하는 모드 배열부;
    상기 절전모드 메뉴에 대응하는 절전모드를 실행하기 위한 입력신호를 입력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상기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현재 동작되고 있는 일반모드를 상기 절전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전환신호를 생성하는 동작모드 전환부;
    상기 전환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기 설정된 절전 환경을 제공하는 상기 절전모드를 구동하는 절전모드 구동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전모드 제공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전모드 구동부는
    상기 전환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데이터 네트워크, 무선 네트워크, GPS, 블루투스 및 복수의 센서 중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비활성화시키고 백그라운드로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을 중지시켜 상기 기 설정된 절전 환경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전모드 제공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절전모드 구동부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상기 절전모드에서 비활성화된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에 대한 요청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요청명령에 대응하는 비활성화된 기능을 제한적으로 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전모드 제공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절전모드 구동부는
    기 설정된 조건에 근거하여 제한적으로 활성화된 기능의 지속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결과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전모드 제공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조건은 배터리의 잔류량이 기 설정된 임계치 미만의 값을 가지는 조건 및 백그라운드로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이 기 설정된 개수 이상의 값을 가지는 조건 중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는 조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전모드 제공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전모드에 대응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를 제공하는 GUI 제공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GUI 제공부는 상태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인디케이터(Indicator), 상기 절전모드에서 제공되는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GUI 요소가 표시되는 기능버튼 영역, 키패드가 표시되는 키패드 영역 및 상기 키패드를 이용하여 입력된 입력값을 표시하는 정보표시 영역을 포함한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전모드 제공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버튼 영역은 연락처, 메시지, 알람, 인터넷, 카메라, 갤러리, TV 및 간편메뉴 중 일부 또는 전부의 상기 GUI 요소를 포함하며,
    상기 절전모드 구동부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상기 GUI 요소 중 어느 하나의 GUI 요소에 대한 선택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해당 GUI 요소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전모드 제공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GUI 제공부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상기 간편메뉴에 대한 선택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네트워크 연결을 필요로 하지 않는 애플리케이션(Stand-Alone) 목록을 우선적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전모드 제공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버튼 영역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상기 기능버튼 영역에 포함되는 GUI 요소를 추가로 지정할 수 있는 사용자메뉴를 더 포함하며,
    상기 GUI 제공부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상기 사용자메뉴에 대한 선택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기능버튼 영역에 추가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전모드 제공장치.
  10. 절전모드 제공장치가 절전모드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탑재된 OS(Operating System)의 기본 메뉴 중 어느 하나의 영역에 절전모드 메뉴를 추가 배열하는 과정;
    상기 절전모드 메뉴에 대응하는 상기 절전모드를 실행하기 위한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과정;
    상기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현재 동작되고 있는 일반모드를 상기 절전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전환신호를 생성하는 과정;
    상기 전환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기 설정된 절전 환경을 제공하는 상기 절전모드를 구동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전모드 제공방법.
KR1020130008313A 2013-01-24 2013-01-24 절전모드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를 위한 절전모드 제공장치 KR1015246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8313A KR101524673B1 (ko) 2013-01-24 2013-01-24 절전모드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를 위한 절전모드 제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8313A KR101524673B1 (ko) 2013-01-24 2013-01-24 절전모드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를 위한 절전모드 제공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5393A true KR20140095393A (ko) 2014-08-01
KR101524673B1 KR101524673B1 (ko) 2015-06-01

Family

ID=517438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8313A KR101524673B1 (ko) 2013-01-24 2013-01-24 절전모드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를 위한 절전모드 제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467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93616A1 (ko) * 2017-11-07 2019-05-16 삼성전자 주식회사 모드 스위칭을 제공하는 방법, 전자 장치 및 저장 매체
WO2024049170A1 (ko) * 2022-09-01 2024-03-07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력 모드를 관리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7925B1 (ko) * 2015-11-27 2023-11-0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시스템 및 전자 시스템의 동작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4301B1 (ko) * 2006-06-01 2007-07-30 삼성전자주식회사 음성 인식을 이용하여 동작 모드를 전환하는 휴대 단말기및 그 방법
KR101111959B1 (ko) * 2010-03-12 2012-04-05 공준상 절전형 상시 정보 표시창을 갖는 이동통신기기 및 그 방법
KR200451981Y1 (ko) * 2010-10-19 2011-01-28 공준상 디스플레이 오프 모드에서 상시 표시 아이콘 그룹을 생성하는 이동통신기기
KR101834810B1 (ko) * 2011-06-07 2018-03-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의 배터리 절전모드 전환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93616A1 (ko) * 2017-11-07 2019-05-16 삼성전자 주식회사 모드 스위칭을 제공하는 방법, 전자 장치 및 저장 매체
US11307743B2 (en) 2017-11-07 2022-04-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for providing mode switching
WO2024049170A1 (ko) * 2022-09-01 2024-03-07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력 모드를 관리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4673B1 (ko) 2015-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7632B1 (ko) 프로그램 알림 기능을 갖는 휴대용 전자 기기 및 이를 위한 프로그램 알림 방법
CN109923507B (zh) 在通知栏下拉菜单中管理多个自由窗口
KR20160143429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WO2020029616A1 (zh) 移动终端及其省电模式控制方法
JP2019506669A (ja) グラフィック・コード表示方法、装置及び記憶媒体
JP2017528112A (ja) 充電方法、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KR20100032660A (ko) 휴대단말기의 터치스크린 동작 제어 방법 및 장치
JP2012155408A (ja) 携帯型電子機器
KR101717584B1 (ko) 휴대 단말기의 통신 설정 제어 방법 및 이를 기반으로 운용되는 휴대 단말기
JP2016509397A (ja) 無線ネットワークのオン・オフを制御するための方法、装置、設備、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2016508265A (ja) 文字拡大表示方法、文字拡大表示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KR20160046633A (ko) 입력 지원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101524673B1 (ko) 절전모드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를 위한 절전모드 제공장치
CN110618806B (zh) 一种应用程序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20130046482A (ko) 기본 화면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KR20130001826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N111314548A (zh) 一种双屏显示方法、装置、存储介质及终端
CN107766218A (zh) 系统优化方法、装置、存储介质及终端设备
CN101325764A (zh) 个人数字助理手机及其控制方法
EP413479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input function, and storage medium
US20140148221A1 (en) Communication system selection
CN114077210B (zh) 信息处理方法、装置及多功能设备
EP3396582A1 (en)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method and system based on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CN108605074B (zh) 一种触发语音功能的方法和设备
KR20120010529A (ko) 다중 디스플레이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