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95015A -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정보 처리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정보 처리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95015A
KR20140095015A KR1020137027996A KR20137027996A KR20140095015A KR 20140095015 A KR20140095015 A KR 20140095015A KR 1020137027996 A KR1020137027996 A KR 1020137027996A KR 20137027996 A KR20137027996 A KR 20137027996A KR 20140095015 A KR20140095015 A KR 201400950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data
acquiring
access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79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29419B1 (ko
Inventor
마사시 오까따께
히로미쯔 이시이
Original Assignee
라쿠텐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쿠텐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라쿠텐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400950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50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94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94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18Network planning to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8Testing, supervising or monitoring using real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8Selecting a network or a communication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H04W64/003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locating network equip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Debugging And Monitoring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정보 처리 장치는, 하나의 유저에 대응지어진 하나의 액세스 이력에 나타내어지는 시각이 그 유저에 대응지어진 하나의 서비스 이용 이력에 포함되는 이용 시기에 대응하는 경우에, 그 이용 이력에 포함되는 유저 위치 특정 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위치를, 그 액세스 이력에 관련되는 액세스 시에 휴대 단말기가 존재하고 있었던 위치로서 특정하고, 그 특정된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와, 그 액세스 이력에 관련되는 액세스에서 경유된 이동체 통신 네트워크를 운영하는 통신 캐리어를 나타내는 정보를 대응지어 출력한다.

Description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정보 처리 프로그램 및 정보 처리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HAVING INOFRMATION PROCESSING PROGRAM RECORDED THEREIN}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가 이동체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통신 가능한 위치를 특정하는 것이 가능한 장치 및 방법 등의 기술 분야에 관한 것이다.
어떤 특정한 위치에서 어떤 특정한 통신 캐리어(전기 통신 사업자)에 의해 운영되는 이동체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휴대 단말기가 통신 가능한지의 여부를 사전에 확인해 두고 싶다고 하는 요구가 존재한다. 휴대 단말기가 이동체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통신 가능한 위치는, 예를 들면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기능이 탑재된 휴대 단말기로부터 송신되는, 위치 정보가 부가된 데이터를 수집하여 해석함으로써, 어느 정도의 정밀도로 특정 가능하다. 또한, GPS에 의한 위치 특정의 정밀도를 높이기 위한 기술도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일본 특허 출원 공개 평8-36041
그러나, 전파를 차단하는 장해물로 둘러싸인 조망이 좋지 않은 위치(예를 들면, 옥내, 지하, 깊은 산속 등)에서는, 일반적으로 GPS 위성으로부터의 전파가 수신되기 어렵다. 바꾸어 말하면, 휴대 단말기가 이동체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통신 가능한지의 여부를 사전에 확인해 둘 필요성이 높다고 생각되는 위치일수록, GPS가 충분히 기능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이와 같은 조망이 좋지 않은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가 부가된 데이터는, 충분히 얻어지지 않는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휴대 단말기가 이동체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통신 가능한 위치를 GPS에 의존하지 않고 특정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휴대 단말기로부터 이동체 통신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서버 장치에 액세스한 액세스 이력을 유저마다 기억하는 기억 수단으로부터, 상기 액세스 이력을 취득하는 제1 취득 수단과, 유저에 의해 이용되는 서비스의 이용 시기 및 이용 시에서의 유저의 위치의 특정에 이바지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이용 이력을 유저마다 기억하는 기억 수단으로부터, 상기 이용 이력을 취득하는 제2 취득 수단과, 하나의 유저에 대응지어진 하나의 상기 액세스 이력에 나타내어지는 시각이 그 유저에 대응지어진 하나의 상기 이용 이력에 포함되는 상기 이용 시기에 대응하는 경우에, 그 이용 이력에 포함되는 상기 위치의 특정에 이바지하는 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위치를, 그 액세스 이력에 관련되는 액세스 시에 상기 휴대 단말기가 존재하고 있었던 위치로서 특정하는 특정 수단과, 상기 특정 수단에 의해 특정된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와, 상기 액세스 이력에 관련되는 액세스에서 경유된 상기 이동체 통신 네트워크를 운영하는 통신 캐리어를 나타내는 정보를 대응지어 출력하는 출력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휴대 단말기가 이동체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통신 가능한 위치를 GPS에 의존하지 않고 특정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를 이용 가능한 개시 시각과 종료 시각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을 나타내는 시간 데이터를 취득하는 제3 취득 수단과, 상기 제3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상기 시간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 수단에 의해 특정되는 상기 위치에 상기 휴대 단말기가 상기 액세스 시에 존재하고 있었던 확실도를 판정하는 판정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출력 수단은, 상기 판정 수단에 의해 판정된 확실도가 소정값 이상인 경우에, 상기 위치 정보와, 상기 통신 캐리어를 나타내는 정보를 대응지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특정된 위치에, 휴대 단말기가 액세스 시에 존재하고 있었던 확실도가 소정값 이상인지의 여부에 따라서, 상기 위치 정보와 통신 캐리어를 나타내는 정보를 대응지어 출력할지의 여부를 제어할 수 있으므로, 출력되는 정보의 신뢰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의 유저에 의해 이용된 상기 서비스에 대한 그 유저에 의한 평가 데이터를 취득하는 제4 취득 수단과, 상기 제4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상기 평가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 수단에 의해 특정되는 상기 위치에 상기 휴대 단말기가 상기 액세스 시에 존재하고 있었던 확실도를 판정하는 판정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출력 수단은, 상기 판정 수단에 의해 판정된 확실도가 소정값 이상인 경우에, 상기 위치 정보와, 상기 통신 캐리어를 나타내는 정보를 대응지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특정된 위치에, 휴대 단말기가 액세스 시에 존재하고 있었던 확실도가 소정값 이상인지의 여부에 따라서, 상기 위치 정보와 통신 캐리어를 나타내는 정보를 대응지어 출력할지의 여부를 제어할 수 있으므로, 출력되는 정보의 신뢰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의 유저에 의해 이용된 상기 서비스에 대한 그 유저에 의한 투고 데이터를 취득하는 제5 취득 수단과, 상기 제5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상기 투고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 수단에 의해 특정되는 상기 위치에 상기 휴대 단말기가 상기 액세스 시에 존재하고 있었던 확실도를 판정하는 판정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출력 수단은, 상기 판정 수단에 의해 판정된 확실도가 소정값 이상인 경우에, 상기 위치 정보와, 상기 통신 캐리어를 나타내는 정보를 대응지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특정된 위치에, 휴대 단말기가 액세스 시에 존재하고 있었던 확실도가 소정값 이상인지의 여부에 따라서, 상기 위치 정보와 통신 캐리어를 나타내는 정보를 대응지어 출력할지의 여부를 제어할 수 있으므로, 출력되는 정보의 신뢰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의 유저에 의해 이용된 상기 서비스에 대한 그 유저에 의한 투고 데이터의 관련 데이터로서 그 투고 데이터의 송신 시에서의 그 유저의 위치의 판정에 이바지하는, 그 투고 데이터에 관련하여 취득되는 관련 데이터를 취득하는 제6 취득 수단과, 상기 제6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상기 관련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 수단에 의해 특정되는 상기 위치에 상기 휴대 단말기가 상기 액세스 시에 존재하고 있었던 확실도를 판정하는 판정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출력 수단은, 상기 판정 수단에 의해 판정된 확실도가 소정값 이상인 경우에, 상기 위치 정보와, 상기 통신 캐리어를 나타내는 정보를 대응지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특정된 위치에, 휴대 단말기가 액세스 시에 존재하고 있었던 확실도가 소정값 이상인지의 여부에 따라서, 상기 위치 정보와 통신 캐리어를 나타내는 정보를 대응지어 출력할지의 여부를 제어할 수 있으므로, 출력되는 정보의 신뢰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를 이용 가능한 개시 시각과 종료 시각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을 나타내는 시간 데이터를 취득하는 제3 취득 수단과, 상기 휴대 단말기의 유저에 의해 이용된 상기 서비스에 대한 그 유저에 의한 평가 데이터를 취득하는 제4 취득 수단과, 상기 휴대 단말기의 유저에 의해 이용된 상기 서비스에 대한 그 유저에 의한 투고 데이터를 취득하는 제5 취득 수단과, 상기 휴대 단말기의 유저에 의해 이용된 상기 서비스에 대한 그 유저에 의한 투고 데이터의 관련 데이터로서 그 투고 데이터의 송신 시에 송신원의 휴대 단말기가 존재하고 있었던 위치의 판정에 이바지하는, 그 투고 데이터에 관련하여 취득되는 관련 데이터를 취득하는 제6 취득 수단 중 적어도 어느 2개의 취득 수단과, 상기 제3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상기 시간 데이터, 상기 제4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상기 평가 데이터, 상기 제5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상기 투고 데이터 및 상기 제6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상기 관련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2개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 수단에 의해 특정되는 상기 위치에 상기 휴대 단말기가 상기 액세스 시에 존재하고 있었던 확실도를 판정하는 판정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출력 수단은, 상기 판정 수단에 의해 판정된 확실도가 소정값 이상인 경우에, 상기 위치 정보와, 상기 통신 캐리어를 나타내는 정보를 대응지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특정된 위치에, 휴대 단말기가 액세스 시에 존재하고 있었던 확실도가 소정값 이상인지의 여부에 따라서, 상기 위치 정보와 통신 캐리어를 나타내는 정보를 대응지어 출력할지의 여부를 제어할 수 있으므로, 출력되는 정보의 신뢰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정보 처리 방법으로서, 휴대 단말기로부터 이동체 통신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서버 장치에 액세스한 액세스 이력을 유저마다 기억하는 기억 수단으로부터, 상기 액세스 이력을 취득하는 제1 취득 스텝과, 유저에 의해 이용되는 서비스의 이용 시기 및 이용 시에서의 유저의 위치의 특정에 이바지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이용 이력을 유저마다 기억하는 기억 수단으로부터, 상기 이용 이력을 취득하는 제2 취득 스텝과, 하나의 유저에 대응지어진 하나의 상기 액세스 이력에 나타내어지는 시각이 그 유저에 대응지어진 하나의 상기 이용 이력에 포함되는 상기 이용 시기에 대응하는 경우에, 그 이용 이력에 포함되는 상기 위치의 특정에 이바지하는 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위치를, 그 액세스 이력에 관련되는 액세스 시에 상기 휴대 단말기가 존재하고 있었던 위치로서 특정하는 특정 스텝과, 상기 특정 스텝에 의해 특정된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와, 상기 액세스 이력에 관련되는 액세스에서 경유된 상기 이동체 통신 네트워크를 운영하는 통신 캐리어를 나타내는 정보를 대응지어 출력하는 출력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8에 기재된 정보 처리 프로그램의 발명은, 컴퓨터를, 휴대 단말기로부터 이동체 통신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서버 장치에 액세스한 액세스 이력을 유저마다 기억하는 기억 수단으로부터, 상기 액세스 이력을 취득하는 제1 취득 수단, 유저에 의해 이용되는 서비스의 이용 시기 및 이용 시에서의 유저의 위치의 특정에 이바지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이용 이력을 유저마다 기억하는 기억 수단으로부터, 상기 이용 이력을 취득하는 제2 취득 수단, 하나의 유저에 대응지어진 하나의 상기 액세스 이력에 나타내어지는 시각이 그 유저에 대응지어진 하나의 상기 이용 이력에 포함되는 상기 이용 시기에 대응하는 경우에, 그 이용 이력에 포함되는 상기 위치의 특정에 이바지하는 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위치를, 그 액세스 이력에 관련되는 액세스 시에 상기 휴대 단말기가 존재하고 있었던 위치로서 특정하는 특정 수단 및 상기 특정 수단에 의해 특정된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와, 상기 액세스 이력에 관련되는 액세스에서 경유된 상기 이동체 통신 네트워크를 운영하는 통신 캐리어를 나타내는 정보를 대응지어 출력하는 출력 수단으로서 기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9에 기재된 발명은, 컴퓨터를, 휴대 단말기로부터 이동체 통신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서버 장치에 액세스한 액세스 이력을 유저마다 기억하는 기억 수단으로부터, 상기 액세스 이력을 취득하는 제1 취득 수단, 유저에 의해 이용되는 서비스의 이용 시기 및 이용 시에서의 유저의 위치의 특정에 이바지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이용 이력을 유저마다 기억하는 기억 수단으로부터, 상기 이용 이력을 취득하는 제2 취득 수단, 하나의 유저에 대응지어진 하나의 상기 액세스 이력에 나타내어지는 시각이 그 유저에 대응지어진 하나의 상기 이용 이력에 포함되는 상기 이용 시기에 대응하는 경우에, 그 이용 이력에 포함되는 상기 위치의 특정에 이바지하는 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위치를, 그 액세스 이력에 관련되는 액세스 시에 상기 휴대 단말기가 존재하고 있었던 위치로서 특정하는 특정 수단 및 상기 특정 수단에 의해 특정된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와, 상기 액세스 이력에 관련되는 액세스에서 경유된 상기 이동체 통신 네트워크를 운영하는 통신 캐리어를 나타내는 정보를 대응지어 출력하는 출력 수단으로서 기능시키는 정보 처리 프로그램이 컴퓨터에 의해 판독 가능하게 기록된 기록 매체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휴대 단말기가 이동체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통신 가능한 위치를 GPS에 의존하지 않고 특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제공 시스템의 개요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의 (A), (B)는 휴대 단말기(1)의 브라우저에 의해 블로그 사이트로부터 취득되어, 표시된 투고 데이터의 표시 화면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의 (A)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위치 해석 처리 서버(8)의 개요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3의 (B)는 시스템 제어부(84)에서의 기능 블록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의 (A)는 액세스 이력 데이터베이스(821)에서의 등록 내용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4의 (B)는 서비스 이용 이력 데이터베이스(822)에서의 등록 내용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4의 (C)는 키워드 대응짓기 데이터베이스(823)의 등록 내용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4의 (D)는 투고 관리 데이터베이스(824)에서의 등록 내용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4의 (E)는 위치 관리 데이터베이스(825)에서의 등록 내용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위치 해석 처리 서버(8)의 시스템 제어부(84)에서의 위치 해석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 형태는, 정보 제공 시스템에 대하여 본 발명을 적용한 경우의 실시 형태이다.
[1. 정보 제공 시스템의 구성 및 기능 개요]
우선,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제공 시스템 S의 구성 및 개요 기능에 대하여, 도 1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제공 시스템 S의 개요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보 제공 시스템 S는, 휴대 단말기(1), 게이트웨이 서버(2), 메일 처리 서버(3), 투고 처리 서버(4), 예약 처리 서버(5), 결제 관리 서버(6), 배송 관리 서버(7) 및 위치 해석 처리 서버(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들 서버 외에도, 예를 들면 휴대 단말기(1) 또는 퍼스널 컴퓨터(도시 생략)로부터의 열람 요구에 따라서, 열람 요구된 정보를 예를 들면 페이지 데이터에 의해 휴대 단말기(1) 또는 퍼스널 컴퓨터에 제공하는 정보 제공 서버도 존재하지만,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메일 처리 서버(3), 투고 처리 서버(4), 예약 처리 서버(5), 결제 관리 서버(6) 및 배송 관리 서버(7)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서버가, 정보 제공 서버의 기능을 겸하는 경우도 있다. 또한, 열람 요구된 정보를 제공한 정보 제공 서버에는, 열람 일시를 포함하는 열람 이력이, 휴대 단말기(1) 또는 퍼스널 컴퓨터의 유저의 예를 들면 유저 ID에 대응지어져 기억된다. 또한, 「일시」에는, 연월이 포함되어도 된다(이하 마찬가지임). 유저 ID는, 유저를 식별 가능한 정보이다. 또한, 유저 ID는, 유저의 로그인에 의해, 또는 퍼스널 컴퓨터에 보존된 쿠키로부터 취득 가능하다. 또한, 휴대 단말기(1) 또는 퍼스널 컴퓨터의 유저의 로그인이 있었던 경우, 정보 제공 서버에는, 로그인 일시를 포함하는 로그인 이력이, 휴대 단말기(1) 또는 퍼스널 컴퓨터의 유저의 예를 들면 유저 ID에 대응지어져 기억된다.
휴대 단말기(1)는, 통신 기능을 갖는 휴대 전화기, 스마트폰 또는 휴대 게임기 등의 이동체 통신 장치이다. 휴대 단말기(1)는, 이동체 통신 네트워크(캐리어 망) MN에서의 기지국으로부터의 전파가 도달하는 범위 내에서 그 기지국을 통하여 이동체 통신 네트워크 MN에 접속하고, 그 이동체 통신 네트워크 MN을 경유하여 인터넷 IN에 접속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동체 통신 네트워크 MN은, 통신 캐리어에 의해 구축 및 운영되는 3G 통신 회선을 구비하여 구성되는 네트워크이다. 또한, 무선 LAN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1)의 경우, 휴대 단말기(1)는, 무선 LAN 기능에 의해 모바일 라우터(「모바일 Wi-Fi(등록 상표) 라우터」라고도 함)와 무선 통신을 행하여, 그 모바일 라우터를 통하여 이동체 통신 네트워크 MN에 접속하고, 그 이동체 통신 네트워크 MN을 경유하여 인터넷 IN에 접속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모바일 라우터가 기지국을 통하여 이동체 통신 네트워크 MN에 접속하게 된다. 모바일 라우터는, 예를 들면 휴대 단말기(1)의 유저에 의해 휴대 단말기(1)와 함께 휴대된다. 또한, 도 1의 예에서는, 1개의 휴대 단말기(1)를 나타내고 있지만, 실제로는, 예를 들면 유저마다 존재한다. 1개의 이동체 통신 네트워크 MN을 나타내고 있지만, 실제로는 통신 캐리어마다 존재한다.
게이트웨이 서버(2)는, 이동체 통신 네트워크 MN 및 인터넷 IN에 접속되어, 이동체 통신 네트워크 MN과 인터넷 IN 사이에서 각종 데이터(전자 메일도 포함함)를 중계하는 서버이다. 인터넷 IN측에서는, 예를 들면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또는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로 각종 데이터(전자 메일도 포함함)의 송수신이 행해지는 한편, 이동체 통신 네트워크 MN측에서는, 통신 캐리어에 따른 통신 프로토콜로 데이터의 송수신이 행해진다. 그 때문에, 게이트웨이 서버(2)는, 데이터 중계 시에 프로토콜 변환 등의 처리를 행한다. 예를 들면, 휴대 단말기(1)의 브라우저로부터 인터넷 IN 상의 Web 사이트나 SMTP 서버에의 액세스는, 이동체 통신 네트워크 MN 및 게이트웨이 서버(2)를 경유하여 행해진다. 게이트웨이 서버(2)는, 예를 들면 통신 캐리어마다 구축 및 운영된다.
메일 처리 서버(3)는, 예를 들면 인터넷 IN에 접속되어, 휴대 단말기(1) 또는 퍼스널 컴퓨터로부터 송신된 전자 메일의 송수신 처리를 행하는 서버이다. 메일 처리 서버(3)의 예로서는, Web 메일 서버, SMTP 서버 및 POP3 서버 등을 들 수 있다. 메일 처리 서버(3)에는, 휴대 단말기(1) 또는 퍼스널 컴퓨터로부터 송신된 전자 메일의 수신 일시를 적어도 포함하는 전자 메일 송수신 이력이, 휴대 단말기(1) 또는 퍼스널 컴퓨터의 예를 들면 유저 ID 또는 전자 메일 어드레스에 대응지어져 기억된다. 전자 메일 어드레스도 유저를 식별 가능한 정보이다. 또한, Web 메일 서버의 경우, 유저에 의한 Web 메일의 열람 시에 로그인이 요구된다. 휴대 단말기(1) 또는 퍼스널 컴퓨터의 유저의 로그인이 있었던 경우, Web 메일 서버에는, 로그인 일시를 포함하는 로그인 이력이, 휴대 단말기(1) 또는 퍼스널 컴퓨터의 유저의 예를 들면 유저 ID에 대응지어져 기억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메일 처리 서버(3)는, 인터넷 IN에 접속되어 있는 서버를 예로 들고 있지만, 이동체 통신 네트워크 MN에 접속되어 있는 휴대 메일 서버이어도 된다.
투고 처리 서버(4)는, 예를 들면 인터넷 IN에 접속되어, 휴대 단말기(1) 또는 퍼스널 컴퓨터로부터의 투고 데이터의 등록 및 공개를 행하는 Web 사이트를 운영하기 위한 서버이다. 이 Web 사이트의 예로서는, 블로그 사이트, SNS(Social Networking Service) 사이트(커뮤니티 사이트), 미니블로그 사이트(예를 들면, 트위터(TWITTER(등록 상표)) 사이트 등) 및 입소문(word-of-mouth) 사이트를 들 수 있다. 그 밖에도, 상기 Web 사이트의 예로서는, 투고 데이터의 등록 및 공개를 겸하는 쇼핑 사이트, 옥션 사이트, 여행 예약 사이트, 교통 수단의 이용 예약 사이트, 시설의 숙박 예약 사이트 및 시설의 이용 예약 사이트 등도 있다. 투고 처리 서버(4)는, 예를 들면 이들 사이트마다 설치된다. 투고 처리 서버(4)는, 웹 서버 기능을 갖는 1개의 서버에 의해 구성되어도 되고, 예를 들면 웹 서버, 어플리케이션 서버 및 데이터 베이스 서버 등과 같이 기능 분할된 복수의 서버로 구성되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투고 처리 서버(3)는, 인터넷 IN에 접속되어 있는 서버를 예로 들고 있지만, 이동체 통신 네트워크 MN에 접속되어 있는 서버이어도 된다.
투고 처리 서버(4)는, 휴대 단말기(1) 또는 퍼스널 컴퓨터로부터 송신된 투고 데이터를 수신하면, 그 투고 데이터를 투고 관리 데이터베이스(DB)(41)에 등록한다. 투고 데이터에는, 예를 들면 투고 일시(투고 데이터의 송신 일시) 및 투고 내용이 포함된다. 투고 내용은, 예를 들면 블로그의 엔트리, 트위트, SNS의 코멘트(전언), 또는 입소문 등을 나타낸다. 투고 내용에는, 어떤 특정한 스폿(장소)을 나타내는 키워드가 포함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투고 데이터에는, 유저에 의해 이용된 서비스에 대한 것도 있다. 이 경우, 투고 데이터에는, 그 서비스에 관련되는 시설, 점포, 또는 교통 수단을 식별 가능한 정보가 포함된다. 또한, 투고 데이터에는, 유저에 의해 이용된 서비스에 대한 그 유저에 의한 평가 데이터(예를 들면, 리뷰 등)가 포함되는 경우도 있다.
도 2의 (A), (B)는 휴대 단말기(1)의 브라우저에 의해 블로그 사이트로부터 취득되어, 표시된 투고 데이터의 표시 화면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예를 들면, 도 2의 (A)에 표시된 투고 데이터에 포함되는 「AA 호텔」 및 「로비」 및 도 2의 (B)에 표시된 투고 데이터에 포함되는 「보물관」은, 각각, 스폿을 나타내는 키워드에 해당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투고 데이터에 포함되는, 스폿을 나타내는 키워드를 이용하여, 그 스폿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를 특정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투고 데이터는, 예를 들면 HTTP 리퀘스트의 보디에 포함되어 투고 처리 서버(4)에 의해 수신되지만, 이동체 통신 네트워크 MN 및 게이트웨이 서버(2)를 경유하여 수신된 HTTP 리퀘스트의 헤더에는, 일반적으로, 유저 에이전트(UA)가 포함된다. 이 유저 에이전트에는, 상기 통신 캐리어명과 휴대 단말기(1)의 기종명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을 나타내는 문자열이 포함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투고 데이터를 송신한 HTTP 리퀘스트 중의 유저 에이전트(상기 통신 캐리어명과 휴대 단말기(1)의 기종명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을 나타내는 문자열을 포함함)와 그 투고 데이터가 대응지어져 투고 관리 데이터베이스(41)에 등록된다. 또한, 투고 처리 서버(4)에 의해 수신된 투고 데이터의 송신원 IP 어드레스가 그 투고 데이터에 대응지어져 투고 관리 데이터베이스(41)에 등록되도록 구성해도 된다. 이 경우의 송신원 IP 어드레스는, 예를 들면 투고 데이터를 중계한 게이트웨이 서버(2)의 IP 어드레스로 된다.
또한, 투고 데이터의 등록 시에 로그인을 요구하는 Web 사이트의 경우, 투고 데이터를 송신한 휴대 단말기(1) 또는 퍼스널 컴퓨터 등의 유저의 유저 ID와 그 투고 데이터가 대응지어져 투고 관리 데이터베이스(41)에 등록된다. 휴대 단말기(1) 또는 퍼스널 컴퓨터의 유저의 로그인이 있었던 경우, 투고 처리 서버(4)에는, 로그인 일시를 포함하는 로그인 이력이, 휴대 단말기(1) 또는 퍼스널 컴퓨터의 유저의 예를 들면 유저 ID에 대응지어져 기억된다. 이 유저 ID는, 예를 들면 투고 데이터에 포함된다(혹은 투고 데이터에 부가된다). 또한, 투고 데이터에는, 유저 ID가 아니라, 유저 ID에 대응하는 쿠키 ID 등의 식별 정보가 포함되는(혹은 투고 데이터에 부가되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 쿠키 ID 등의 식별 정보가 유저를 식별 가능한 정보로서, 그 투고 데이터에 대응지어져 투고 관리 데이터베이스(41)에 등록되도록 구성해도 된다. 또한, 휴대 단말기(1) 또는 퍼스널 컴퓨터로부터 송신된 투고 데이터에는, 화상 데이터(사진 데이터)가 부가(첨부)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투고 데이터에 부가된 화상 데이터와 그 투고 데이터가 대응지어져 투고 관리 데이터베이스(41)에 등록된다. 화상 데이터로부터 화상 촬영 일시를 취득할 수 있는 경우도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카메라 기능 및 GPS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1)의 경우, 카메라 기능에 의해 촬영된 화상 데이터에는, GPS 기능에 의해 검출된 위도 및 경도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가 부가(예를 들면 지오 태그로서 부가)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위치 정보가 부가된 화상 데이터와 투고 데이터가 대응지어져 투고 관리 데이터베이스(41)에 등록된다. 또한, 화상 데이터에 부가된 위치 정보는, 화상 촬영 지점을 나타내는 위치 정보이다. 혹은, 투고 데이터 자체에, GPS 기능에 의해 검출되는 위도 및 경도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가 부가되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 투고 데이터에 부가된 위도 및 경도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와 그 투고 데이터가 대응지어져 투고 관리 데이터베이스(41)에 등록된다. 또한, 투고 데이터에 부가된 위치 정보는, 투고 데이터의 송신 지점을 나타내는 위치 정보이다.
예약 처리 서버(5)는, 예를 들면 인터넷 IN에 접속되어, 휴대 단말기(1) 또는 퍼스널 컴퓨터로부터의 서비스의 이용 예약 요구에 따라서, 서비스의 이용 예약의 등록을 행하는 Web 사이트를 운영하기 위한 서버이다. 이 서비스에는, 교통 수단의 이용 서비스, 시설의 숙박 서비스 및 시설의 이용 서비스 등이 해당된다. 또한, Web 사이트의 예로서는, 여행 예약 사이트, 교통 수단의 이용 예약 사이트, 시설의 숙박 예약 사이트 및 시설의 이용 예약 사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여기서, 교통 수단에는, 예를 들면 항공기, 선박 및 고속 버스 등이 해당된다. 또한, 시설에는, 예를 들면 호텔, 여관, 레스토랑, 고급 요릿집, 콘서트 회장, 연극장, 이벤트 회장, 골프장, 골프 등의 연습장, 헤어살롱, 박물관 및 영화관 등이 해당된다. 또한, 이들 시설은, 일례이며, 이들 시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약 처리 서버(5)는, 예를 들면 이들 사이트마다 설치된다. 예약 처리 서버(5)는, 웹 서버 기능을 갖는 1개의 서버에 의해 구성되어도 되고, 예를 들면 웹 서버, 어플리케이션 서버 및 데이터 베이스 서버 등과 같이 기능 분할된 복수의 서버로 구성되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예약 처리 서버(5)는, 인터넷 IN에 접속되어 있는 서버를 예로 들고 있지만, 이동체 통신 네트워크 MN에 접속되어 있는 서버이어도 된다.
예약 처리 서버(5)는, 유저의 로그인 후, 휴대 단말기(1) 또는 퍼스널 컴퓨터로부터 서비스의 이용 예약 요구를, 예약에 필요한 예약 데이터와 함께 수신하면, 그 예약 데이터를, 예약한 유저의 유저 ID에 대응지어 예약 관리 데이터베이스(DB)(51)에 등록한다. 또한, 휴대 단말기(1) 또는 퍼스널 컴퓨터의 유저의 로그인이 있었던 경우, 예약 처리 서버(5)에는, 로그인 일시를 포함하는 로그인 이력이, 휴대 단말기(1) 또는 퍼스널 컴퓨터의 유저의 예를 들면 유저 ID에 대응지어져 기억된다. 교통 수단의 이용 서비스의 경우, 예약 데이터에는, 예를 들면 그 서비스의 이용 시기(예를 들면, 교통 수단에 의한 출발 예정 일시 및 도착 예정 일시) 및 그 서비스의 이용 장소 등의 정보와 함께, 그 서비스에 관련되는 교통 수단을 식별 가능한 정보(ID, 또는 명칭(예를 들면 편명) 등)가 포함된다. 여기서, 교통 수단의 이용 서비스의 이용 장소의 정보에는, 예를 들면 「교통 수단에 의한 출발지의 주소」 및 「교통 수단에 의한 출발지의 위도 및 경도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 등이 해당된다. 또한, 교통 수단의 이용 서비스의 이용 장소의 정보에는, 예를 들면 「교통 수단에 의한 도착지의 주소」 및 「교통 수단에 의한 도착지의 위도 및 경도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 등이 해당된다. 또한, 시설의 숙박 서비스 또는 이용 서비스의 경우, 예약 데이터에는, 예를 들면 그 서비스의 이용 시기(예를 들면, 이용 예정 일시 또는 숙박 예정일), 그 서비스의 이용 장소 및 이용 인원수 또는 숙박 인원수 등의 정보와 함께, 그 서비스에 관련되는 시설을 식별 가능(ID, 또는 명칭 등)한 정보가 포함된다. 여기서, 시설의 숙박 서비스 또는 이용 서비스의 이용 장소의 정보에는, 예를 들면 「시설의 주소」 및 「시설의 위도 및 경도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 등이 해당된다. 또한, 유저가 이용 예약에 대응하는 요금의 결제를 행한 경우, 그 요금의 결제의 정보가 예약 관리 데이터베이스(51)에 등록된다. 또한, 유저가 이용 예약의 캔슬을 행한 경우, 그 캔슬의 정보가 예약 관리 데이터베이스(51)에 등록된다. 예약 관리 데이터베이스(51)에 등록된 정보는, 유저가 서비스의 이용 예약을 한 예약 이력을 구성한다.
결제 관리 서버(6)는, 예를 들면 인터넷 IN에 접속되어, 크레디트 카드 또는 전자 머니에 의한 결제 서비스의 취급 가맹점에서 행해진 크레디트 카드 결제 또는 전자 머니 결제에 관련되는 결제 데이터를 관리하는 서버이다. 가맹점은, 예를 들면 백화점 또는 쇼핑몰 등에 실제로 존재하는 점포이다. 가맹점에는, 크레디트 카드 결제 또는 전자 머니 결제의 처리를 행하는 결제 처리 단말기가 설치되어 있다. 결제 처리 단말기는, 예를 들면 인터넷 IN을 통하여 결제 관리 서버(6)에 접속된다. 결제 관리 서버(6)는, 결제 처리 단말기로부터 송신된 결제 데이터를 수신하면, 그 결제 데이터를 결제 관리 데이터베이스(61)에 등록한다. 결제 데이터에는, 예를 들면 결제 서비스의 이용 시기(예를 들면, 결제 일시) 및 그 결제 서비스의 이용 장소 등의 정보와 함께, 그 서비스에 관련되는 점포(가맹점)를 식별 가능한 정보(ID, 또는 명칭 등)가 포함된다. 여기서, 결제 서비스의 이용 장소의 정보에는, 예를 들면 「점포의 주소」 및 「점포의 위도 및 경도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 등이 해당된다. 결제 관리 데이터베이스(61)에 등록된 정보는, 크레디트 카드 결제 이력 또는 전자 머니 결제 이력을 구성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결제 관리 서버(6)는, 인터넷 IN에 접속되어 있는 서버를 예로 들고 있지만, 이동체 통신 네트워크 MN에 접속되어 있는 서버이어도 된다.
배송 관리 서버(7)는, 예를 들면 인터넷 IN에 접속되어, 택배 업자나 딜리버리 업자에 의한 배송 서비스에 관련되는 배송 데이터를 관리하는 서버이다. 배송 대상으로 되는 물건에는, 예를 들면 쇼핑 사이트 또는 옥션 사이트에서 구입된 상품 및 딜리버리 주문된 음식물 등이 해당된다. 배송 관리 서버(7)는, 예를 들면 택배 업자나 딜리버리 업자의 단말기로부터 송신된 배송 데이터를 수신하면, 그 배송 데이터를 배송 관리 데이터베이스(71)에 등록한다. 또한, 배송 관리 서버(7)는, 예를 들면 쇼핑 사이트, 또는 옥션 사이트 등의 Web 사이트를 운영하기 위한 서버의 일부로서 구성되어도 된다. 이 경우, 예를 들면 쇼핑 사이트, 또는 옥션 사이트에서의 상품 거래 처리 서버로부터 배송 데이터를 수신하면, 그 배송 데이터를 배송 관리 데이터베이스(71)에 등록한다. 배송 데이터에는, 예를 들면 배송 서비스의 이용 시기 및 그 배송 서비스에 의한 배송처 등의 정보가 포함된다. 여기서, 배송 서비스의 이용 시기에는, 예를 들면 택배 업자나 딜리버리 업자에 의한 「배송 예정 일시」 및 「배송 완료 일시」 등이 해당된다. 또한, 배송처의 정보에는, 예를 들면 「배송처의 주소」 및 「배송처의 위도 및 경도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 등이 해당된다. 배송 관리 서버(71)에 등록된 정보는, 배송 이력을 구성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배송 관리 서버(7)는, 인터넷 IN에 접속되어 있는 서버를 예로 들고 있지만, 이동체 통신 네트워크 MN에 접속되어 있는 서버이어도 된다.
위치 해석 처리 서버(8)는, 본 발명의 정보 처리 장치의 일례이며, 예를 들면 인터넷 IN에 접속된다. 또한, 위치 해석 처리 서버(8)는, 예를 들면 상술한 Web 사이트를 운영하기 위한 서버의 하나로서 내장되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위치 해석 처리 서버(8)는, 인터넷 IN에 접속되어 있는 서버를 예로 들고 있지만, 이동체 통신 네트워크 MN에 접속되어 있는 서버이어도 된다.
도 3의 (A)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위치 해석 처리 서버(8)의 개요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치 해석 처리 서버(8)는, 통신부(81)와, 기억부(82)(기억 수단의 일례)와, 입출력 인터페이스부(83)와, 시스템 제어부(84)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시스템 제어부(84)와 입출력 인터페이스부(83)는, 시스템 버스(85)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통신부(81)는, 인터넷 IN에 접속되어, 통상 상태의 제어를 행한다.
기억부(82)는, 예를 들면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오퍼레이팅 시스템 및 위치 해석 처리 프로그램(본 발명의 정보 처리 프로그램을 포함함) 등의 각종 프로그램을 기억한다. 또한, 위치 해석 처리 프로그램은, 예를 들면 소정의 서버 등으로부터 인터넷 IN을 통하여 다운로드되도록 해도 되고, CD(Compact Disc), DVD(Digital Versatile Disc) 등의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읽어들여지도록 해도 된다.
또한, 기억부(82)에는, 액세스 이력 데이터베이스(DB)(821), 서비스 이용 이력 데이터베이스(DB)(822), 키워드 대응짓기 데이터베이스(DB)(823), 투고 관리 데이터베이스(DB)(824) 및 위치 관리 데이터베이스(DB)(825) 등이 설치된다. 또한, 이들 데이터베이스는, 기억부(82)에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위치 해석 처리 서버(8)와는 상이한 다른 서버에 설치되도록 구성해도 된다.
액세스 이력 데이터베이스(821)는, 휴대 단말기(1) 또는 퍼스널 컴퓨터로부터 서버 장치에 액세스한 액세스 이력을 유저마다 등록한다. 여기서, 서버 장치에는, 예를 들면 메일 처리 서버(3), 투고 처리 서버(4), 예약 처리 서버(5) 등 외에, 예를 들면 이동체 통신 네트워크 MN 또는 인터넷 IN에 접속되어, 휴대 단말기(1) 또는 퍼스널 컴퓨터가 액세스 가능한 서버(정보 제공 서버를 포함함)가 해당한다. 액세스 이력은, 이와 같은 서버 장치로부터 소정의 타이밍에서 취득된다. 또한, 액세스 이력은, 휴대 단말기(1) 또는 퍼스널 컴퓨터가 서버 장치에 액세스한 것을 특정할 수 있는 것이면 어떠한 이력이어도 된다. 이와 같은 액세스 이력에는, 예를 들면 상술한 로그인 이력, 전자 메일 송수신 이력 및 열람 이력 등이 해당된다. 또한, 액세스 이력에 관련되는 액세스에서 휴대 단말기(1)로부터 이동체 통신 네트워크 MN을 경유하여 전송된 리퀘스트는, 게이트웨이 서버(2)에 의해 HTTP 리퀘스트로 변환되어 서버 장치에 의해 수신된다. 이 경우, HTTP 리퀘스트의 헤더에는, 일반적으로, 유저 에이전트가 포함된다. 이 유저 에이전트에는, 상기 통신 캐리어명과 휴대 단말기(1)의 기종명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을 나타내는 문자열이 포함되는 경우가 있다. 이 유저 에이전트는, 상기 액세스 이력에 포함되어 취득되어, 액세스 이력 데이터베이스(821)에 등록된다. 또한, 액세스 이력에 관련되는 액세스에서 휴대 단말기(1)로부터 이동체 통신 네트워크 MN을 경유하여 전송된 리퀘스트의 송신원 IP 어드레스가, 상기 액세스 이력에 포함되어 취득되어, 액세스 이력 데이터베이스(821)에 등록되도록 구성해도 된다. 이 경우의 송신원 IP 어드레스는, 예를 들면 상기 리퀘스트를 중계한 게이트웨이 서버(2)의 IP 어드레스로 된다. 도 4의 (A)에, 액세스 이력 데이터베이스(821)에서의 등록 내용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 4의 (A)에 도시한 액세스 이력 데이터베이스(821)에는, 로그인 일시 등의 각종 일시, 종별 및 유저 ID(전자 메일 어드레스이어도 됨) 등의 정보가 대응지어져 등록되어 있다. 이와 같이, 액세스 이력 데이터베이스(821)에는, 다양한 서버 장치에의 액세스 이력이 집약된다. 또한, 액세스 이력 데이터베이스(821)에 등록된 액세스 이력 중, 후술하는 위치 해석 처리에 이용된 액세스 이력에는, 처리 완료 플래그가 대응지어져 등록된다.
서비스 이용 이력 데이터베이스(822)는, 유저에 의해 이용되는 서비스의 이용 시기 및 이용 시에서의 유저의 위치의 특정에 이바지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이용 이력(이하, 「서비스 이용 이력」이라 함)을 유저마다 등록한다. 액세스 이력 데이터베이스(821)에 등록되는 서비스 이용 이력에는, 예를 들면 상술한 예약 이력, 전자 머니 결제 이력 및 배송 이력 등이 해당된다. 또한, 서비스 이용 이력에는, 서비스에 관련되는 시설, 점포, 또는 교통 수단을 식별 가능한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도 있다. 또한, 이용 시에서의 유저의 위치의 특정에 이바지하는 정보(이하, 「유저 위치 특정 정보」라 함)에는, 상술한 「교통 수단의 이용 서비스의 이용 장소의 정보」, 「시설의 숙박 서비스의 이용 장소의 정보」, 「시설의 이용 서비스의 이용 장소의 정보」, 「결제 서비스의 이용 장소의 정보」 및 「배송 서비스에 의한 배송처의 정보」 등이 해당된다. 또한, 유저 위치 특정 정보는, 반드시, 주소나 위도 및 경도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가 아니어도 되고, 주소나 위도 및 경도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를 다른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 가능한 키워드로 되는 서비스에 관련되는 시설, 점포, 또는 교통 수단을 식별 가능한 정보 등이어도 된다. 도 4의 (B)에, 서비스 이용 이력 데이터베이스(822)에서의 등록 내용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 4의 (B)에 도시한 서비스 이용 이력 데이터베이스(822)에는, 서비스의 이용 시기, 서비스의 이용 장소(유저 위치 특정 정보의 일례) 및 유저 ID 등의 정보가 대응지어져 등록되어 있다. 서비스 이용 이력 데이터베이스(822)에 등록되는 서비스 이용 이력은, 예를 들면 유저 ID와 함께, 예약 처리 서버(5), 결제 관리 서버(6) 및 배송 관리 서버(7)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서버로부터 소정의 타이밍에서 취득된다. 이와 같이, 서비스 이용 이력 데이터베이스(822)에는, 다양한 서비스 이용 이력이 집약된다.
키워드 대응짓기 데이터베이스(823)는, 소정의 스폿을 나타내는 키워드와, 스폿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를 대응지어 등록한다. 소정의 스폿을 나타내는 키워드와, 스폿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는, 예를 들면 시스템 관리자에 의해 미리 등록된다. 도 4의 (C)에, 키워드 대응짓기 데이터베이스(823)의 등록 내용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 4의 (C)에 도시한 키워드 대응짓기 데이터베이스(823)의 레코드(1)에는, 스폿을 나타내는 키워드인 「AA 호텔, ××역 도보 3분, 로비」와, 그 스폿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인 「나고야시 ○○구 1-2, AA 호텔, 1층」이 대응지어져 등록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스폿의 위치는, 주소, 시설명 및 층수(플로어)에 의해 특정되지만, 주소 대신에, 위도 및 경도이어도 된다. 층수는, 고도(높이)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이에 의해, 이 예에서는, 위치 정보는, 스폿의 공간 위치((경도, 위도, 고도) 또는 (주소+층))를 규정하고 있다.
투고 관리 데이터베이스(824)는 투고 데이터를 등록한다. 도 4의 (D)에, 투고 관리 데이터베이스(824)에서의 등록 내용의 일례를 도시한다. 투고 관리 데이터베이스(824)에 등록되는 투고 데이터는, 예를 들면 각 Web 사이트에서의 투고 처리 서버(4)의 투고 관리 데이터베이스(41)로부터 소정의 타이밍에서 취득된다. 이와 같이, 투고 관리 데이터베이스(824)에는, 블로그 사이트, SNS 사이트, 미니 블로그 사이트 등의 다양한 Web 사이트에 투고된 투고 데이터가 집약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투고 관리 데이터베이스(824)에 있어서 투고 데이터에 대응지어져 등록된 유저 ID 등의 정보는, 투고 데이터와 함께 취득되어, 도 4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투고 관리 데이터베이스(824)에 등록된다.
위치 관리 데이터베이스(825)는, 상기 액세스 이력에 관련되는 액세스 시에 휴대 단말기(1)가 존재하고 있었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이하, 「단말기 존재 위치 정보」라고 함)와, 그 액세스 이력에 관련되는 액세스에서 경유된 이동체 통신 네트워크 MN을 운영하는 통신 캐리어를 나타내는 정보(이하, 「통신 캐리어 정보」라고 함)를 대응지어 등록한다. 액세스 이력에 관련되는 액세스 시에 휴대 단말기(1)가 존재하고 있었던 위치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액세스 이력과 서비스 이용 이력이 이용되어 특정된다. 도 4의 (E)에, 위치 관리 데이터베이스(825)에서의 등록 내용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 4의 (E)에 도시한 위치 관리 데이터베이스(825)에는, 단말기 존재 위치 정보와, 통신 캐리어 정보가, 휴대 단말기(1)의 유저의 유저 ID에 대응지어져 등록되어 있다.
시스템 제어부(84)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84a), ROM(Read Only Memory)(84b), RAM(Random Access Memory)(84c) 등에 의해 구성된다. 도 3의 (B)는, 시스템 제어부(84)에서의 기능 블록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컴퓨터로서의 시스템 제어부(84)는, 기억부(82)에 기억된 위치 해석 처리 프로그램에 따라서, 위치 해석 처리를 실행한다. 이와 같은 처리에서, 시스템 제어부(84)는, 도 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세스 이력 취득부(841), 서비스 이용 이력 취득부(842), 단말기 존재 위치 특정부(843), 존재 확실도 판정용 데이터 취득부(844), 단말기 존재 확실도 판정부(845) 및 위치 정보 출력부(846) 등으로서 기능한다. 또한, 액세스 이력 취득부(841)는, 본 발명에서의 제1 취득 수단의 일례이다. 서비스 이용 이력 취득부(842)는, 본 발명에서의 제2 취득 수단의 일례이다. 단말기 존재 위치 특정부(843)는, 본 발명에서의 특정 수단의 일례이다. 존재 확실도 판정용 데이터 취득부(844)는, 본 발명에서의 제3 취득 수단∼제6 취득 수단의 일례이다. 단말기 존재 확실도 판정부(845)는, 본 발명에서의 판정 수단의 일례이다. 위치 정보 출력부(846)는, 본 발명에서의 출력 수단의 일례이다.
액세스 이력 취득부(841)는, 휴대 단말기(1)로부터 이동체 통신 네트워크 MN을 경유하여 서버 장치에 액세스한 액세스 이력을 액세스 이력 데이터베이스(821)로부터 취득한다. 액세스 이력 취득부(841)에 의해 취득되는 액세스 이력에는, 휴대 단말기(1)로부터 모바일 라우터에 의해 이동체 통신 네트워크 MN을 경유하여 서버 장치에 액세스한 액세스 이력도 포함된다. 또한, 액세스 이력 취득부(841)에 의해 취득되는 액세스 이력에는, 예를 들면 퍼스널 컴퓨터로부터 이동체 통신 네트워크 MN을 경유하지 않고 서버 장치에 액세스한 액세스 이력은 포함되지 않는다.
서비스 이용 이력 취득부(842)는, 유저에 의해 이용되는 서비스의 이용 시기 및 유저 위치 특정 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이용 이력을 서비스 이용 이력 데이터베이스(822)로부터 취득한다.
단말기 존재 위치 특정부(843)는, 하나의 유저에 대응지어진 하나의 액세스 이력에 나타내어지는 시각(예를 들면, 일시)이 그 유저에 대응지어진 하나의 서비스 이용 이력에 포함되는 이용 시기에 대응하는 경우에, 그 이용 이력에 포함되는 유저 위치 특정 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위치를, 그 액세스 이력에 관련되는 액세스 시에 휴대 단말기(1)가 존재하고 있었던 위치로서 특정한다. 여기서, 「유저에 대응지어진」이란, 유저를 식별 가능한 정보(예를 들면 유저 ID나 전자 메일 어드레스 등)에 대응지어진 것을 의미한다. 「하나의 액세스 이력」과 「하나의 서비스 이용 이력」은, 동일한 유저의 이력이다. 「액세스 이력에 나타내어지는 시각」(이하, 「액세스 시각」이라고 함)에는, 예를 들면 열람 일시, 로그인 일시 및 전자 메일의 수신 일시 등이 해당된다. 「액세스 시각이 서비스 이용 이력에 포함되는 이용 시기에 대응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액세스 시각이 교통 수단의 출발 일시로부터 과거 소정 시간(예를 들면, 5분) 이내에 있는 경우」, 「액세스 시각이 결제 일시를 포함하는 소정 시간 범위(예를 들면, 10분간)에 있는 경우」 및 「액세스 시각이 시설의 숙박일에 포함되는 경우」 등이 해당된다. 단말기 존재 위치 특정부(843)에 의해, 유저의 휴대 단말기(1)로부터 서버 장치에의 액세스 시각이 그 유저에 의해 이용된 서비스의 이용 시기와 일정 이상 가깝다고 판정된 경우, 그 서비스의 이용 시에서의 유저의 위치가, 그 액세스 시에 휴대 단말기(1)가 존재하고 있었던 위치, 바꿔 말하면, 존재하고 있었을 것인 위치로서 특정된다. 이렇게 하여 특정된 위치는, 휴대 단말기(1)가 이동체 통신 네트워크 MN을 통하여 통신 가능한 위치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와 같이 특정된 위치에, 휴대 단말기(1)가 액세스 시에 존재하고 있었던 확실도를 높이기 위해서, 존재 확실도 판정용 데이터 취득부(844) 및 단말기 존재 확실도 판정부(845)를 설치하고 있다.
존재 확실도 판정용 데이터 취득부(844)는, 단말기 존재 확실도 판정부(845)가 상기 확실도의 판정에 이용하는 존재 확실도 판정용 데이터를 취득한다. 존재 확실도 판정용 데이터에는, 예를 들면 서비스를 이용 가능한 개시 시각과 종료 시각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을 나타내는 시간 데이터, 서비스에 대한 유저에 의한 평가 데이터, 서비스에 대한 유저에 의한 투고 데이터 및 서비스에 대한 유저에 의한 투고 데이터의 관련 데이터 등이 해당된다.
여기서, 시간 데이터에는, 예를 들면 시설의 프론트 영업 시간(개시 시각 및 종료 시각), 폐문 시각(종료 시각에 상당), 또는 식사 시간(개시 시각 및 종료 시각) 등이 나타내어진다. 이 시간 데이터는, 그 시설을 식별 가능한 정보를 키로 하여, 예를 들면 여행 예약 사이트 또는 숙박 예약 사이트 등의 소정 사이트로부터 취득된다. 또한, 시간 데이터에는, 예를 들면 점포의 영업 시간(개점 시각 및 폐점 시각) 등이 나타내어진다. 이 시간 데이터는, 그 점포를 식별 가능한 정보를 키로 하여, 예를 들면 그 점포가 제공하는 사이트 등의 소정 사이트로부터 취득된다. 또한, 시간 데이터에는, 상기 교통 수단의 출발 시각 및 도착 시각, 그 교통 수단의 영업 시간(개시 시각 및 종료 시각) 등이 나타내어진다. 이 시간 데이터는, 그 교통 수단을 식별 가능한 정보를 키로 하여, 예를 들면 교통 수단의 이용 예약 사이트 등의 소정 사이트로부터 취득된다. 또한, 서비스에 대한 유저에 의한 투고 데이터, 평가 데이터 및 관련 데이터는, 「유저를 식별 가능한 정보」 및 「시설, 점포, 또는 교통 수단을 식별 가능한 정보」를 키로 하여, 예를 들면 투고 관리 데이터베이스(522)로부터, 그 유저의 유저 ID와 함께 취득된다. 상기 관련 데이터는, 그 투고 데이터의 송신 시에서의 그 유저의 위치의 판정에 이바지하는, 그 투고 데이터에 관련하여 취득되는 데이터이다. 관련 데이터에는, 예를 들면 「투고 데이터에 부가된 화상 데이터」, 「투고 데이터에 부가된 위치 정보」, 「투고자가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위치에 있는 스폿에 있는 것을 전제로 하여 표현된 워드 또는 프레이즈」 및 「투고자가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위치에 있는 스폿에 없는 것을 전제로 하여 표현된 워드 또는 프레이즈」 등이 해당된다.
단말기 존재 확실도 판정부(845)는, 존재 확실도 판정용 데이터 취득부(844)에 의해 취득된 존재 확실도 판정용 데이터에 기초하여, 단말기 존재 위치 특정부(843)에 의해 특정된 위치에 휴대 단말기가 액세스 시에 존재하고 있었던 확실도를 판정한다. 여기서, 확실도는, 예를 들면 수치로 나타내어지고, 확실도가 높을수록 휴대 단말기(1)가 액세스 시에 존재하고 있었을 가능성이 높다. 또한, 단말기 존재 확실도 판정부(845)는, 존재 확실도 판정용 데이터 취득부(844)에 의해 취득된 시간 데이터, 평가 데이터, 투고 데이터 및 관련 데이터 중 적어도 2개(즉, 적어도 2종류의 존재 확실도 판정용 데이터)에 기초하여, 단말기 존재 위치 특정부(843)에 의해 특정된 위치에 휴대 단말기(1)가 액세스 시에 존재하고 있었던 확실도를 판정하면, 보다 효과적이다. 또한, 단말기 존재 확실도 판정부(845)에 의한 확실도의 판정 방법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위치 정보 출력부(846)는, 단말기 존재 위치 특정부(843)에 의해 특정된 위치를 나타내는 단말기 존재 위치 정보와, 액세스 이력 취득부(841)에 의해 취득된 액세스 이력에 관련되는 액세스에서 경유된 이동체 통신 네트워크 MN을 운영하는 통신 캐리어를 나타내는 통신 캐리어 정보를 대응지어 출력한다. 또한, 위치 정보 출력부(846)는, 단말기 존재 확실도 판정부(845)에 의해 판정된 확실도가 소정값 이상인 경우에, 그 단말기 존재 위치 정보와, 통신 캐리어 정보를 대응지어 출력한 쪽이, 휴대 단말기(1)가 액세스 시에 존재하고 있었던 확실도를 높일 수 있기 때문에, 보다 바람직하다. 위치 정보 출력부(846)에 의한 단말기 존재 위치 정보 등의 출력처의 예로서는, 예를 들면 위치 관리 데이터베이스(825), 다른 서버, 관리자의 단말기, 또는 가반형의 기억 매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위치 정보 출력부(846)에 의해 출력되는 정보에는, 단말기 존재 위치 특정부(843)에 의한 위치의 특정에 이용된 액세스 이력 및 서비스 이용 이력이 포함되도록 구성해도 되고, 또한, 이들 이력에 대응지어진 유저 ID가 포함되도록 구성해도 된다.
[2. 정보 제공 시스템 S의 동작]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제공 시스템 S의 동작에 대하여, 도 5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5는 위치 해석 처리 서버(8)의 시스템 제어부(84)에서의 위치 해석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하는 동작의 전제로서, 액세스 이력 데이터베이스(821)에는, 서버 장치로부터 취득된 액세스 이력이 등록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서비스 이용 이력 데이터베이스(822)에는, 예약 처리 서버(5), 결제 관리 서버(6) 및 배송 관리 서버(7)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서버로부터 취득된 서비스 이용 이력이 등록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투고 관리 데이터베이스(824)에는, 투고 처리 서버(4)의 투고 관리 데이터베이스(41)로부터 취득된 투고 데이터가 등록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도 5에 도시한 처리는, 예를 들면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예를 들면, 24시간 마다)으로 실행된다. 도 5에 도시한 처리가 개시되면, 액세스 이력 취득부(841)는, 액세스 이력 데이터베이스(821)에 등록되어 있는 액세스 이력이며 처리 완료 플래그가 대응지어져 있지 않은 액세스 이력 중으로부터, 휴대 단말기(1)로부터 이동체 통신 네트워크 MN을 경유하여 서버 장치에 액세스한 액세스 이력을 선별한다(스텝 S1). 예를 들면, 액세스 이력 취득부(841)는, 액세스 이력에 포함되는 유저 에이전트(통신 캐리어를 나타내는 문자열) 또는 송신원 IP 어드레스에 의해, 그 액세스 이력을 선별한다.
그런데, 휴대 단말기(1)가, 모바일 라우터에 의해 이동체 통신 네트워크 MN를 경유하여 서버 장치에 액세스하는 경우, 리퀘스트의 헤더에 유저 에이전트가 포함되지 않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유저 에이전트에 의한 선별은 곤란한 경우가 있다. 혹은, 리퀘스트의 헤더에 유저 에이전트가 포함되는 경우라도, 유저 에이전트 중의 정보로부터 통신 캐리어를 특정할 수 없는 것 등에 의해, 휴대 단말기(1)를 송신원으로 하고 이동체 통신 네트워크 MN을 경유하여 전송된 투고 데이터를 선별하는 것이 곤란한 경우도 상정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경우, 예를 들면 액세스 이력에 포함되는 송신원 IP 어드레스에 의해 상기 액세스 이력을 선별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송신원 IP 어드레스의 네트워크부(호스트가 소속하는 네트워크를 나타냄)로부터 통신 캐리어를 특정할 수 있는 경우, 송신원 IP 어드레스에 의해 상기 투고 데이터를 선별할 수 있다. 이 경우, 예를 들면 송신원 IP 어드레스의 네트워크부에는, 투고 데이터를 중계한 게이트웨이 서버(2)가 소속하는 네트워크로서, 이동체 통신 네트워크 MN이 나타내어져 있으므로, 이에 의해, 상기 투고 데이터를 선별할 수 있다. 또한, 투고 데이터가, 이동체 통신 네트워크 MN을 경유하는 경우, 송신원 IP 어드레스는, 예를 들면 게이트웨이 서버(2)의 IP 어드레스로 된다. 그 때문에, 미리 게이트웨이 서버(2)의 IP 어드레스 일람을 기억부(82)에 기억해 두면, 액세스 이력 취득부(841)는, 그 일람을 참조함으로써, 송신원 IP 어드레스에 의해 상기 투고 데이터를 선별할 수 있다.
또한, 액세스 이력 취득부(841)는, 서버 장치로부터 액세스 이력을 취득할 때에, 휴대 단말기(1)로부터 이동체 통신 네트워크 MN을 경유하여 서버 장치에 액세스한 액세스 이력을 선별하여 액세스 이력 데이터베이스(821)에 등록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이 경우, 상기 스텝 S1에서 액세스 이력을 선별할 필요는 없다.
계속해서, 액세스 이력 취득부(841)는, 예를 들면 스텝 S1에서 선별한 액세스 이력을 액세스 이력 데이터베이스(821)로부터 취득한다(스텝 S2). 이에 의해, 예를 들면 액세스 이력이 복수 취득된다. 계속해서, 서비스 이용 이력 취득부(842)는, 유저에 의해 이용되는 서비스의 이용 시기 및 유저 위치 특정 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이용 이력을 서비스 이용 이력 데이터베이스(822)로부터 취득한다(스텝 S3). 이에 의해, 예를 들면 서비스 이용 이력이 복수 취득된다.
계속해서, 단말기 존재 위치 특정부(843)는, 스텝 S2에서 취득된 액세스 이력 중으로부터 액세스 이력을 1개 특정한다(스텝 S4). 계속해서, 단말기 존재 위치 특정부(843)는, 스텝 S4에서 특정한 액세스 이력과, 스텝 S3에서 취득된 서비스 이용 이력을 매칭한다(스텝 S5). 이 매칭에서는, 예를 들면 단말기 존재 위치 특정부(843)는, 우선, 스텝 S4에서 특정한 액세스 이력에 포함되는(즉, 대응지어진) 유저 ID를 키로 하여, 스텝 S3에서 취득된 서비스 이용 이력 중으로부터, 그 유저 ID와 일치하는 유저 ID가 포함되는(즉, 대응지어진) 서비스 이용 이력을 검색한다. 여기서, 유저 ID를 키로 하는 것 이외에도 유저를 식별 가능한 정보로서, 액세스 이력과 서비스 이용 이력의 양쪽에 관련지어지는 정보이면 어떠한 정보를 키로 해도 상관없다. 또한, 예를 들면 액세스 이력에는 유저의 전자 메일 어드레스가 대응지어지는 한편, 서비스 이용 이력에는 그 유저의 유저 ID가 대응지어지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그 유저의 유저 ID와 전자 메일 어드레스를 관련짓는 유저 정보 데이터베이스가 있으면, 이 유저 정보 데이터베이스가 참조됨으로써, 스텝 S4에서 특정된 액세스 이력에 대응하는 서비스 이용 이력이 검색되도록 구성해도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검색에 의해 서비스 이용 이력이 발견된 경우, 단말기 존재 위치 특정부(843)는, 발견된 서비스 이용 이력 중으로부터, 스텝 S4에서 특정한 액세스 이력에 나타내어지는 액세스 시각에 대응하는 이용 시기(예를 들면, 액세스 시각을 포함하는 날이 숙박일로 되어 있는 이용 시기)가 포함되는 서비스 이용 이력을 검색한다.
계속해서, 단말기 존재 위치 특정부(843)는, 스텝 S5에서의 매칭의 결과, 스텝 S4에서 특정한 액세스 이력에 대응지어진 하나의 유저와 동일한 유저에게 대응지어진 서비스 이용 이력이며, 또한, 그 액세스 이력에 나타내어지는 액세스 시각에 대응하는 이용 시기가 포함되는 서비스 이용 이력이 있는지(즉, 상기 검색에 의해 발견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6). 그리고, 단말기 존재 위치 특정부(843)는, 상기 액세스 시각에 대응하는 이용 시기가 포함되는 서비스 이용 이력이 있다고 판정한 경우(스텝 S6 : "예"), 그 서비스 이용 이력을 특정하고, 스텝 S7로 진행한다. 한편, 단말기 존재 위치 특정부(843)는, 상기 액세스 시각에 대응하는 이용 시기가 포함되는 서비스 이용 이력이 없다고 판정한 경우(스텝 S6 : "아니오"), 스텝 S12로 진행한다.
스텝 S7에서는, 단말기 존재 위치 특정부(843)는, 스텝 S6에서 특정된 서비스 이용 이력에 포함되는 유저 위치 특정 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위치를, 스텝 S4에서 특정된 액세스 이력에 관련되는 액세스 시에 휴대 단말기(1)가 존재하고 있었던 위치로서 특정한다. 이렇게 하여 특정된 위치를 나타내는 단말기 존재 위치 정보 및 통신 캐리어 정보는 일시적으로 유지된다. 또한, 스텝 S4에서 특정된 액세스 이력에 대하여, 처리 완료 플래그가 대응지어져 액세스 이력 데이터베이스(821)에 등록된다.
계속해서, 존재 확실도 판정용 데이터 취득부(844)는, 스텝 S6에서 특정된 서비스 이용 이력에 포함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존재 확실도 판정용 데이터의 검색을 행하고, 그 검색에 의해 존재 확실도 판정용 데이터를 취득할 수 있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8). 그리고, 존재 확실도 판정용 데이터 취득부(844)는, 그 검색에 의해 존재 확실도 판정용 데이터를 취득할 수 없었다고 판정한 경우(스텝 S8 : "아니오"), 스텝 S12로 진행한다. 혹은, 이 경우, 스텝 S11로 이행해도 된다. 한편, 존재 확실도 판정용 데이터 취득부(844)는, 그 검색에 의해 존재 확실도 판정용 데이터를 취득할 수 있었다고 판정한 경우(스텝 S8: "예"), 스텝 S9로 진행한다. 예를 들면, 스텝 S6에서 특정된 서비스 이용 이력에 포함되는 「시설, 점포, 또는 교통 수단을 식별 가능한 정보」를 키로 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소정 사이트로부터, 그 서비스를 이용 가능한 개시 시각과 종료 시각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을 나타내는 시간 데이터가 취득된다. 또한, 스텝 S6에서 특정된 서비스 이용 이력에 포함되는 「시설, 점포, 또는 교통 수단을 식별 가능한 정보」 및 그 서비스 이용 이력에 대응지어진 유저를 식별 가능한 정보를 키로 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소정 사이트로부터, 그 서비스에 대한 그 유저에 의한 투고 데이터, 그 서비스에 대한 그 유저에 의한 평가 데이터 및 그 투고 데이터의 관련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존재 확실도 판정용 데이터가 취득된다.
스텝 S9에서는, 단말기 존재 확실도 판정부(845)는, 스텝 S8에서 취득된 존재 확실도 판정용 데이터에 기초하여, 스텝 S7에서 특정된 위치에 휴대 단말기가 액세스 시에 존재하고 있었던 확실도(이하, 「단말기 존재 확실도」라고 함)를 판정하는 확실도 판정 처리를 행한다. 이 판정 처리의 구체예에 대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a) 시간 데이터에 기초하는 확실도 판정 처리
예를 들면, 시설의 프론트 영업 시간 또는 식사 시간을 나타내는 시간 데이터가 취득된 경우, 단말기 존재 확실도 판정부(845)는, 스텝 S4에서 특정된 액세스 이력에 나타내어지는 액세스 시각이, 그 시간 데이터가 나타내는 개시 시각부터 종료 시각까지의 사이에 포함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그리고, 단말기 존재 확실도 판정부(845)는, 액세스 시각이, 그 개시 시각부터 종료 시각까지의 사이에 포함된다고 판정한 경우, 단말기 존재 확실도를 예를 들면 "1"로서 판정한다. 이것은, 휴대 단말기(1)로부터 이동체 통신 네트워크 MN을 경유하여 서버 장치에 액세스한 액세스 시각이, 예를 들면 프론트의 개시 시각부터 종료 시각까지의 사이에 포함되는 경우, 그 시설에 휴대 단말기(1)의 유저가 있었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한편, 단말기 존재 확실도 판정부(845)는, 액세스 시각이, 그 개시 시각부터 종료 시각까지의 사이에 포함되지 않는다고 판정한 경우, 단말기 존재 확실도를 예를 들면 "0"으로서 판정한다. 이 경우는, 그 시설 밖에 휴대 단말기(1)의 유저가 있었을 가능성도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이것은, 점포의 영업 시간을 나타내는 시간 데이터가 취득된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교통 수단의 출발 시각을 나타내는 시간 데이터가 취득된 경우, 단말기 존재 확실도 판정부(845)는, 스텝 S4에서 특정된 액세스 이력에 나타내어지는 액세스 시각이, 그 시간 데이터가 나타내는 출발 시각의 소정 시간(예를 들면 수분) 후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그리고, 단말기 존재 확실도 판정부(845)는, 액세스 시각이, 출발 시각의 소정 시간 후가 아니라고 판정한 경우, 단말기 존재 확실도를 예를 들면 "1"로서 판정한다. 한편, 단말기 존재 확실도 판정부(845)는, 액세스 시각이, 출발 시각의 소정 시간 후라고 판정한 경우, 단말기 존재 확실도를 예를 들면 "0"으로서 판정한다.
(b) 투고 데이터에 기초하는 확실도 판정 처리
예를 들면, 유저에 의한 투고 데이터가 취득된 경우, 단말기 존재 확실도 판정부(845)는, 그 취득된 투고 데이터가, 휴대 단말기(1)를 송신원으로 하고 이동체 통신 네트워크 MN을 경유하여 전송된 투고 데이터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예를 들면, 단말기 존재 확실도 판정부(845)는, 투고 관리 데이터베이스(824)에 등록된 투고 데이터에 대응지어진 유저 에이전트(통신 캐리어를 나타내는 문자열) 또는 송신원 IP 어드레스에 의해, 그 취득된 투고 데이터가, 휴대 단말기(1)를 송신원으로 하고 이동체 통신 네트워크 MN을 경유하여 전송된 투고 데이터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그런데, 모바일 라우터에 의해 이동체 통신 네트워크 MN을 경유하여 전송된 투고 데이터의 경우, 리퀘스트의 헤더에 유저 에이전트가 포함되지 않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유저 에이전트에 의한 선별은 곤란한 경우가 있다. 혹은, 리퀘스트의 헤더에 유저 에이전트가 포함되는 경우라도, 유저 에이전트 중의 정보로부터 통신 캐리어를 특정할 수 없는 것 등에 의해, 휴대 단말기(1)를 송신원으로 하고 이동체 통신 네트워크 MN을 경유하여 전송된 투고 데이터를 선별하는 것이 곤란한 경우도 상정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경우, 예를 들면 투고 데이터에 대응지어진 송신원 IP 어드레스에 의해 상기 투고 데이터를 선별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송신원 IP 어드레스의 네트워크부(호스트가 소속하는 네트워크를 나타냄)로부터 통신 캐리어를 특정할 수 있는 경우, 송신원 IP 어드레스에 의해 상기 투고 데이터를 선별할 수 있다. 이 경우, 예를 들면, 송신원 IP 어드레스의 네트워크부에는, 투고 데이터를 중계한 게이트웨이 서버(2)가 소속하는 네트워크로서, 이동체 통신 네트워크 MN이 나타내어져 있으므로, 이에 의해, 상기 투고 데이터를 선별할 수 있다. 또한, 투고 데이터가, 이동체 통신 네트워크 MN을 경유하는 경우, 송신원 IP 어드레스는, 예를 들면 게이트웨이 서버(2)의 IP 어드레스로 된다. 그 때문에, 미리 게이트웨이 서버(2)의 IP 어드레스 일람을 기억부(82)에 기억해 두면, 단말기 존재 확실도 판정부(845)는, 그 일람을 참조함으로써, 송신원 IP 어드레스에 의해 상기 투고 데이터를 선별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기 존재 확실도 판정부(845)는, 상기 취득된 투고 데이터가, 휴대 단말기(1)를 송신원으로 하고 이동체 통신 네트워크 MN을 경유하여 전송된 투고 데이터라고 판정한 경우, 예를 들면 키워드 대응짓기 데이터베이스(823)로부터, 상기 취득된 투고 데이터에 포함되는 키워드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를 취득한다. 예를 들면, 특정된 투고 데이터에 「AA 호텔」 및 「로비」가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하고, 도 4의 (C)에 도시한 키워드 대응짓기 데이터베이스(823)가 참조된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 특정된 투고 데이터로부터, 예를 들면 형태소 해석 등에 의해 「AA 호텔」 및 「로비」라고 하는 키워드가 추출되고, 추출된 「AA 호텔」 및 「로비」라고 하는 키워드(키워드의 조)와 일치하는 키워드에 대응지어진 「나고야시 ○○구 1-2, AA 호텔, 1층」이라는 위치 정보(스폿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가, 도 4의 (C)에 도시한 키워드 대응짓기 데이터베이스(823)로부터 취득된다.
그리고, 단말기 존재 확실도 판정부(845)는, 스텝 S6에서 특정된 서비스 이용 이력에 포함되는 유저 위치 특정 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위치와, 상기 키워드에 대응지어진 위치 정보가 나타내는 위치가 근방에 있다고 판정되는 소정 조건을 만족시키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이 소정 조건에는, 예를 들면 유저 위치 특정 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위치(예를 들면 주소, 또는 위도 및 경도로 특정되는 평면 위치)와, 상기 키워드에 대응지어진 위치 정보가 나타내는 위치(예를 들면 주소, 또는 위도 및 경도로 특정되는 평면 위치) 사이의 거리가 소정 거리 내라고 하는 조건이 해당된다. 혹은, 이 소정 조건에는, 유저 위치 특정 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위치와, 상기 키워드에 대응지어진 위치 정보가 나타내는 위치가 모두 소정 에리어 내에 있다라는 조건이 해당된다. 그리고, 단말기 존재 확실도 판정부(845)는, 상기 소정 조건을 만족시킨다고 판정한 경우, 단말기 존재 확실도를 예를 들면 "1"로서 판정한다. 한편, 단말기 존재 확실도 판정부(845)는, 상기 취득된 투고 데이터가 휴대 단말기(1)를 송신원으로 하고 이동체 통신 네트워크 MN을 경유하여 전송된 투고 데이터라고 판정한 경우, 또는 상기 소정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다고 판정한 경우, 단말기 존재 확실도를 예를 들면 "0"으로서 판정한다.
(b-1) 투고 데이터의 관련 데이터에 기초하는 확실도 판정 처리
상기 「(b) 투고 데이터에 기초하는 확실도 판정 처리」에서 상기 소정 조건을 만족시킨다고 판정된(단말기 존재 확실도가 "1"이라고 판정된) 경우에서, 그 투고 데이터에 화상 데이터가 부가되어 있는 경우, 단말기 존재 확실도 판정부(845)는, 그 투고 데이터에 부가된 화상 데이터로부터 화상 촬영 일시를 취득하고, 또한, 그 투고 데이터의 송신 일시를 취득한다. 그리고, 단말기 존재 확실도 판정부(845)는, 그 취득된 화상 촬영 일시 및 송신 일시에 기초하여, 그 화상 데이터의 화상 촬영 시와, 그 투고 데이터의 송신 시 사이의 시간차가 소정값(예를 들면, 수십초) 이하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그리고, 단말기 존재 확실도 판정부(845)는, 그 화상 데이터의 화상 촬영 시와, 그 투고 데이터의 송신 시 사이의 시간차가 소정값 이하라고 판정한 경우, 단말기 존재 확실도를 예를 들면 "2"로서 판정(즉, 단말기 존재 확실도를 "1"→"2"로 갱신)한다. 한편, 단말기 존재 확실도 판정부(845)는, 그 화상 데이터의 화상 촬영 시와, 그 투고 데이터의 송신 시 사이의 시간차가 소정값 이하가 아니라고 판정한 경우, 단말기 존재 확실도를 예를 들면 "1"로서 판정(즉, 단말기 존재 확실도를 "1" 그대로 유지)한다.
(b-1-1) 투고 데이터의 관련 데이터에 기초하는 확실도 판정 처리
상기 「(b-1) 투고 데이터의 관련 데이터에 기초하는 확실도 판정 처리」에서 시간차가 소정값 이하이라고 판정된(단말기 존재 확실도가 "2"라고 판정된) 경우에 있어서, 그 투고 데이터에 부가된 화상 데이터에 예를 들면 지오 태그로서 위치 정보가 부가되어 있는 경우, 단말기 존재 확실도 판정부(845)는, 상기 키워드에 대응지어진 위치 정보가 나타내는 위치와, 그 화상 데이터의 위치 정보가 나타내는 위치가 근방에 있다고 판정되는 소정 조건을 만족시키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이 소정 조건에는, 예를 들면 상기 키워드에 대응지어진 위치 정보가 나타내는 위치(예를 들면 주소, 또는 위도 및 경도로 특정되는 평면 위치)와, 그 화상 데이터의 위치 정보가 나타내는 위치(위도 및 경도로 특정되는 평면 위치) 사이의 거리가 소정 거리 내라고 하는 조건이 해당된다. 혹은, 이 소정 조건에는, 상기 키워드에 대응지어진 위치 정보가 나타내는 위치와, 그 화상 데이터의 위치 정보가 나타내는 위치가 모두 소정 에리어 내에 있다라는 조건이 해당된다. 그리고, 단말기 존재 확실도 판정부(845)는, 상기 소정 조건을 만족시킨다고 판정한 경우, 단말기 존재 확실도를 예를 들면 "3"으로서 판정(즉, 단말기 존재 확실도를 "2"→"3"으로 갱신)한다. 한편, 단말기 존재 확실도 판정부(845)는, 상기 소정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다고 판정한 경우, 단말기 존재 확실도를 예를 들면 "2"로서 판정(즉, 단말기 존재 확실도를 "2" 상태로 유지)한다.
(b-1-2) 투고 데이터의 관련 데이터에 기초하는 확실도 판정 처리
상기 「(b-1) 투고 데이터의 관련 데이터에 기초하는 확실도 판정 처리」에서 시간차가 소정값 이하라고 판정된(단말기 존재 확실도가 "2"라고 판정된) 경우에서, 단말기 존재 확실도 판정부(845)는, 그 투고 데이터에 부가된 화상 데이터의 화상이, 그 투고 데이터에 포함되는 키워드에 대응하는 스폿에서 촬영된 것인 것을 나타내는 워드 또는 프레이즈가 투고 데이터에 포함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프레이즈란, 예를 들면 워드가 복수 모여서 하나의 의미를 이루는 것을 말한다. 워드 및 프레이즈는, 각각, 센텐스의 구성 요소이다. 이와 같은 프레이즈에는, 예를 들면 「AA 호텔에서 촬영하였습니다」 등이 해당된다. 여기서, 「에서 촬영하였습니다」라고 하는 프레이즈는, 예를 들면 기억부(82)에 미리 기억된 워드 리스트에 등록되도록 구성하고, 단말기 존재 확실도 판정부(845)가, 그 판정 시에 참조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단말기 존재 확실도 판정부(845)는, 상기 키워드에 대응하는 스폿에서 촬영된 것인 것을 나타내는 워드 또는 프레이즈가, 특정된 투고 데이터에 포함된다고 판정한 경우, 단말기 존재 확실도를 예를 들면 "2"로서 판정(즉, 단말기 존재 확실도를 "2"→"3"으로 갱신)한다. 한편, 단말기 존재 확실도 판정부(845)는, 상기 키워드에 대응하는 스폿에서 촬영된 것인 것을 나타내는 워드 또는 프레이즈가, 그 투고 데이터에 포함되지 않는다고 판정한 경우, 단말기 존재 확실도를 예를 들면 "2"로서 판정(즉, 단말기 존재 확실도를 "2" 그대로 유지)한다.
(b-1-3) 투고 데이터의 관련 데이터에 기초하는 확실도 판정 처리
상기 「(b-1) 투고 데이터의 관련 데이터에 기초하는 확실도 판정 처리」에서 시간차가 소정값 이하라고 판정된(단말기 존재 확실도가 "2"라고 판정된) 경우에서, 단말기 존재 확실도 판정부(845)는, 그 투고 데이터에 부가된 화상 데이터로부터 추출되는 피사체가, 상기 키워드에 대응하는 스폿에서 촬영 가능한 소정의 표준 피사체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여기서, 화상 데이터로부터의 피사체는, 예를 들면 공지의 화상 인식 기술에 의해 추출된다. 그리고, 추출된 피사체의 특징 추출이 행해지고, 특징량이 구해진다. 이렇게 하여 구해진 특징량과, 상기 키워드에 대응지어 미리 설정해 둔 표준 피사체의 특징량의 차가 임계값 내에 있으면, 상기 화상 데이터로부터 추출되는 피사체가, 소정의 표준 피사체라고 판정된다. 그리고, 단말기 존재 확실도 판정부(845)는, 그 화상 데이터로부터 추출되는 피사체가, 소정의 표준 피사체라고 판정한 경우, 단말기 존재 확실도를 예를 들면 "2"로서 판정(즉, 단말기 존재 확실도를 "2"→"3"으로 갱신)한다. 한편, 단말기 존재 확실도 판정부(845)는, 그 화상 데이터로부터 추출되는 피사체가, 소정의 표준 피사체가 아니라고 판정한 경우, 단말기 존재 확실도를 예를 들면 "2"로서 판정(즉, 단말기 존재 확실도를 "2" 상태로 유지)한다.
(b-2) 투고 데이터의 관련 데이터에 기초하는 확실도 판정 처리
상기 「(b) 투고 데이터에 기초하는 확실도 판정 처리」에서 상기 소정 조건을 만족시킨다고 판정된(단말기 존재 확실도가 "1"이라고 판정된) 경우에서, 단말기 존재 확실도 판정부(845)는, 그 투고 데이터의 송신 시점에서 송신원인 휴대 단말기(1)의 유저가, 상기 키워드에 대응하는 스폿에 있는 것을 전제로 하여 표현된 워드 또는 프레이즈(이하, 총칭하여 「긍정 워드」라고 함)가 그 투고 데이터에 포함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이와 같은 긍정 워드에는, 예를 들면 「지금,」 「지금, ∼입니다」("∼"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 워드), 「현재」, 및 「지금(now)」 등이 해당된다. 이와 같은 긍정 워드이면, 그 스폿의 면전에서 투고되었을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할 수 있다. 또한, 센텐스의 전반부와 후반부에 각각 포함되는 워드 또는 프레이즈가 호응하고 있어도 된다. 예를 들면, 「지금, ∼의 앞에 있습니다.」와 같은 센텐스의 전반부 "지금, "와, 후반부 "의 앞에 있습니다"는 호응하도록 구성된 긍정 워드이다. 한편, 예를 들면 「지금」만을 긍정 워드로 하면, 「오늘은 ∼입니다」나 「이마바리는 아름답습니다」 등, 상기 스폿에 있는 것을 전제하지 않는 표현도 포함되게 되기 때문에, 구두점, 콤마, 마침표 등을 포함하여, 긍정 워드를 구성하면 된다. 이와 같은 긍정 워드는, 예를 들면 기억부(82)에 미리 기억된 긍정 워드 리스트에 등록되도록 구성하고, 단말기 존재 확실도 판정부(845)가, 그 판정 시에 참조하도록 구성한다. 혹은, 「오늘」이나 「이마바리」 등의 제외 워드 또는 제외 프레이즈를 등록하는 블랙 리스트를 예를 들면 기억부(82)에 미리 기억해 두고, 블랙 리스트에 포함되는 워드 또는 프레이즈가, 그 투고 데이터에 포함되는 경우, 그 판정에서 부정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그리고, 단말기 존재 확실도 판정부(845)는, 상기 긍정 워드가, 그 투고 데이터에 포함된다고 판정한 경우, 단말기 존재 확실도를 예를 들면 "2"로서 판정(즉, 단말기 존재 확실도를 "1"→"2"로 갱신)한다. 한편, 단말기 존재 확실도 판정부(845)는, 상기 긍정 워드가, 그 투고 데이터에 포함되지 않는다고 판정한 경우, 단말기 존재 확실도를 예를 들면 "1"로서 판정(즉, 단말기 존재 확실도를 "1" 그대로 유지)한다. 또한, 상기 긍정 워드가, 그 투고 데이터에 포함된다고 판정된 경우에서, 단말기 존재 확실도 판정부(845)는, 그 투고 데이터의 송신 시점에서 송신원의 휴대 단말기(1)의 유저가, 상기 스폿에 없는 것을 전제로 하여 표현된 워드 또는 프레이즈(이하, 총칭하여 「부정 워드」라고 함)가 그 투고 데이터에 포함되는지의 여부를 판정해도 된다. 여기서, 부정 워드에는, 예를 들면 「머지않아」, 「이제 곧」, 「슬슬」 및 「앞으로∼시간」 등이 해당된다. 이와 같은 부정 워드는, 상기 스폿의 근방이라고는 할 수 없는 위치로부터 투고되었을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부정 워드는, 예를 들면 기억부(82)에 미리 기억된 부정 워드 리스트에 등록되도록 구성하고, 단말기 존재 확실도 판정부(845)가, 그 판정 시에 참조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단말기 존재 확실도 판정부(845)는, 상기 부정 워드가, 그 투고 데이터에 포함된다고 판정한 경우, 단말기 존재 확실도를 예를 들면 "1"로서 판정한다(즉, 단말기 존재 확실도를 "2"→"1"로 되돌린다). 한편, 단말기 존재 확실도 판정부(845)는, 상기 부정 워드가, 그 투고 데이터에 포함되지 않는다고 판정한 경우, 단말기 존재 확실도를 예를 들면 "2"로서 판정(즉, 단말기 존재 확실도를 "2" 그대로 유지)한다.
(b-3) 투고 데이터의 관련 데이터에 기초하는 확실도 판정 처리
상기 「(b) 투고 데이터에 기초하는 확실도 판정 처리」에서 상기 소정 조건을 만족시킨다고 판정된(단말기 존재 확실도가 "1"이라고 판정된) 경우에서, 그 투고 데이터 자체에 위치 정보가 부가되어 있는 경우, 단말기 존재 확실도 판정부(845)는, 상기 키워드에 대응지어진 위치 정보가 나타내는 위치와, 그 투고 데이터에 부가된 위치 정보가 나타내는 위치가 근방에 있다고 판정되는 소정 조건을 만족시키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이 소정 조건은, 화상 데이터에 부가된 위치 정보의 경우와 마찬가지이다. 그리고, 단말기 존재 확실도 판정부(845)는, 상기 소정 조건을 만족시킨다고 판정한 경우, 단말기 존재 확실도를 예를 들면 "2"로서 판정(즉, 단말기 존재 확실도를 "1"→"2"로 갱신)한다. 한편, 단말기 존재 확실도 판정부(845)는, 상기 소정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다고 판정한 경우, 단말기 존재 확실도를 예를 들면 "1"로서 판정(즉, 단말기 존재 확실도를 "1" 그대로 유지)한다.
(c) 평가 데이터에 기초하는 확실도 판정 처리
예를 들면, 유저에 의한 평가 데이터가 취득된 경우, 단말기 존재 확실도 판정부(845)는, 단말기 존재 확실도를 예를 들면 "1"로서 판정한다. 해당 서비스에 대한 유저에 의한 평가 데이터가 있다고 하는 것은, 유저가 숙박 서비스에 관련되는 시설에 갔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이상 설명한 (a)∼(c)에 나타내는 확실도 판정 처리는, 취득된 존재 확실도 판정용 데이터에 따라서 전부 또는 일부가 행해진다. 또한, (b)에 나타내는 확실도 판정 처리가 행해지는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b-1)에 나타내는 확실도 판정 처리, (b-2)에 나타내는 확실도 판정 처리 및 (b-3)에 나타내는 확실도 판정 처리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처리가 행해지도록 구성해도 된다. 또한, (b-1)에 나타내는 확실도 판정 처리가 행해지는 경우, (b-1-1)에 나타내는 확실도 판정 처리, (b-1-2)에 나타내는 확실도 판정 처리 및 (b-1-3)에 나타내는 확실도 판정 처리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처리가 행해지도록 구성해도 된다. 이상과 같이, 복수의 확실도 판정 처리가 행해진 경우, 각각의 확실도 판정 처리에 의해 판정된 단말기 존재 확실도가 합계된다.
계속해서, 단말기 존재 확실도 판정부(84)에 의해 판정된 단말기 존재 확실도(복수의 확실도 판정 처리가 행해진 경우, 합계된 단말기 존재 확실도)가 소정값 이상인지의 여부가 판정된다(스텝 S10). 여기서, 소정값은, 휴대 단말기(1)가 액세스 시에 존재하고 있었던 확실도를, 보다 높이는 경우, 예를 들면 높게(예를 들면, "3") 설정된다. 한편, 상기 소정값은, 휴대 단말기(1)가 액세스 시에 존재하고 있었던 확실도를 높이지 않는 경우, 예를 들면 낮게(예를 들면, "1") 설정된다. 그리고, 단말기 존재 확실도가 소정값 이상이라고 판정된 경우(스텝 S10 : "예"), 스텝 S11로 진행한다. 한편, 단말기 존재 확실도가 소정값 이상이 아니라고 판정된 경우(스텝 S10 : "아니오"), 스텝 S12로 진행한다.
스텝 S11에서는, 위치 정보 출력부(846)는, 스텝 S7에서 특정된 위치를 나타내는 단말기 존재 위치 정보와, 스텝 S4에서 특정된 액세스 이력에 관련되는 액세스에서 경유된 이동체 통신 네트워크 MN을 운영하는 통신 캐리어를 나타내는 통신 캐리어 정보를 대응지어, 예를 들면 위치 관리 데이터베이스(524)에 출력하고, 스텝 S12로 진행한다.
스텝 S12에서는, 스텝 S2에서 취득된 액세스 이력 중에서, 아직, 스텝 S4에서 특정되지 않은 액세스 이력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그리고, 아직, 스텝 S4에서 특정되지 않은 액세스 이력이 있다고 판정된 경우(스텝 S12 : "예"), 스텝 S4로 되돌아간다. 이렇게 하여 되돌아간 스텝 S4에서는, 아직 특정되지 않은 액세스 이력이 특정되고, 상기와 마찬가지의 처리가 행해진다. 한편, 스텝 S4에서 특정되지 않은 액세스 이력이 없다고 판정된 경우(스텝 S12 : "아니오"), 도 5에 도시한 처리는 종료된다.
위치 정보 출력부(846)에 의해 출력된 위치 정보는, 예를 들면 시설을 이용하는 측의 유저가, 이용하는 시설을 선택할 때에 자신이 소지하고 있는 휴대 단말기의 상기 통신 기능을 이용할 수 있는 시설을 골라내기 위해서 사용된다. 또한, 위치 정보 출력부(846)에 의해 출력된 위치 정보는, 예를 들면 시설을 제공하는 측의 사업자가, 시설을 이용하는 유저를 할당할(예를 들면, 숙박 시설에서의 방의 할당) 때에, 그 유저가 소지하고 있는 휴대 단말기의 상기 통신 기능을 이용할 수 있는 시설을 정하기 위해서 이용된다. 그 외, 그 위치 정보는, 시설에서의 서비스의 향상에 이용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위치 해석 처리 서버(5)는, 휴대 단말기(1)로부터 이동체 통신 네트워크 MN을 경유하여 서버 장치에 액세스한 액세스 이력을 취득하고, 또한, 유저에 의해 이용되는 서비스의 이용 시기 및 유저 위치 특정 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이용 이력을 취득한다. 그리고, 위치 해석 처리 서버(5)는, 하나의 유저에 대응지어진 하나의 액세스 이력에 나타내어지는 시각이 그 유저에 대응지어진 하나의 서비스 이용 이력에 포함되는 이용 시기에 대응하는 경우에, 그 이용 이력에 포함되는 유저 위치 특정 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위치를, 그 액세스 이력에 관련되는 액세스 시에 휴대 단말기(1)가 존재하고 있었던 위치로서 특정하고, 그 특정된 위치를 나타내는 단말기 존재 위치 정보와, 그 액세스 이력에 관련되는 액세스에서 경유된 이동체 통신 네트워크 MN을 운영하는 통신 캐리어를 나타내는 통신 캐리어 정보를 대응지어 출력하도록 구성하였다. 그 때문에,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휴대 단말기가 이동체 통신 네트워크 MN을 통하여 통신 가능한 위치를 GPS에 의존하지 않고 특정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예를 들면 GPS가 충분히 기능하지 않는 조망이 좋지 않은 위치이었다고 해도, 그와 같은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를 충분히 얻을 수 있다. 이에 의해, 특정한 스폿의 주변에서 휴대 단말기(1)의 통신 기능(이동체 통신 네트워크 MN을 경유하는 통신 기능)이 이용된 실적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통신 캐리어마다 구별하여 축적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축적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예를 들면 호텔의 이용자에 대하여, 예를 들면 호텔 등의 시설 내의 특정한 스폿에서, 통신 캐리어마다 휴대 단말기(1)의 통신 기능이 이용 가능한지의 여부의 판단 재료를, 소정의 Web 사이트 상에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휴대 단말기(1)가 특정한 스폿에서 이동체 통신 네트워크 MN을 통하여 서버 장치에 실제로 액세스할 수 있었다고 하는 실적을 기초로 위치를 특정하고 있으므로, 그 액세스 시에서의 휴대 단말기(1)의 위치를 높은 확실도 및 정밀도로 특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단말기 존재 확실도 판정부(84)에 의해 단말기 존재 확실도를 판정하고, 그 단말기 존재 확실도가 소정값 이상인지의 여부에 따라서, 단말기 존재 위치 정보와 통신 캐리어 정보를 대응지어 출력할지의 여부를 제어할 수 있으므로, 축적되는 정보의 신뢰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구성은, 휴대 단말기(1)로부터 이동체 통신 네트워크 MN을 경유하여 서버 장치에 액세스한 액세스 이력과, 유저에 의해 이용되는 서비스의 이용 시기 및 유저 위치 특정 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이용 이력의 양쪽을 보유하고 있는 출원인이 아니고는 할 수 없는 구성이며, 그 출원인이, 특정한 스폿의 주변에서 휴대 단말기(1)의 통신 기능이 이용된 실적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통신 캐리어마다 구별하여 축적한다고 하는 과제에 주목하였기 때문에, 이룰 수 있었던 것이다.
1 : 휴대 단말기
2 : 게이트웨이 서버
3 : 메일 처리 서버
4 : 투고 처리 서버
5 : 예약 처리 서버
6 : 결제 관리 서버
7 : 배송 관리 서버
8 : 위치 해석 처리 서버
MN : 이동체 통신 네트워크
IN : 인터넷
S : 정보 제공 시스템

Claims (9)

  1. 휴대 단말기로부터 이동체 통신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서버 장치에 액세스한 액세스 이력을 유저마다 기억하는 기억 수단으로부터, 상기 액세스 이력을 취득하는 제1 취득 수단과,
    유저에 의해 이용되는 서비스의 이용 시기 및 이용 시에서의 유저의 위치의 특정에 이바지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이용 이력을 유저마다 기억하는 기억 수단으로부터, 상기 이용 이력을 취득하는 제2 취득 수단과,
    하나의 유저에 대응지어진 하나의 상기 액세스 이력에 나타내어지는 시각이 그 유저에 대응지어진 하나의 상기 이용 이력에 포함되는 상기 이용 시기에 대응하는 경우에, 그 이용 이력에 포함되는 상기 위치의 특정에 이바지하는 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위치를, 그 액세스 이력에 관련되는 액세스 시에 상기 휴대 단말기가 존재하고 있었던 위치로서 특정하는 특정 수단과,
    상기 특정 수단에 의해 특정된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와, 상기 액세스 이력에 관련되는 액세스에서 경유된 상기 이동체 통신 네트워크를 운영하는 통신 캐리어를 나타내는 정보를 대응지어 출력하는 출력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를 이용 가능한 개시 시각과 종료 시각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을 나타내는 시간 데이터를 취득하는 제3 취득 수단과,
    상기 제3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상기 시간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 수단에 의해 특정되는 상기 위치에 상기 휴대 단말기가 상기 액세스 시에 존재하고 있었던 확실도를 판정하는 판정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출력 수단은, 상기 판정 수단에 의해 판정된 확실도가 소정값 이상인 경우에, 상기 위치 정보와, 상기 통신 캐리어를 나타내는 정보를 대응지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의 유저에 의해 이용된 상기 서비스에 대한 그 유저에 의한 평가 데이터를 취득하는 제4 취득 수단과,
    상기 제4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상기 평가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 수단에 의해 특정되는 상기 위치에 상기 휴대 단말기가 상기 액세스 시에 존재하고 있었던 확실도를 판정하는 판정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출력 수단은, 상기 판정 수단에 의해 판정된 확실도가 소정값 이상인 경우에, 상기 위치 정보와, 상기 통신 캐리어를 나타내는 정보를 대응지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의 유저에 의해 이용된 상기 서비스에 대한 그 유저에 의한 투고 데이터를 취득하는 제5 취득 수단과,
    상기 제5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상기 투고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 수단에 의해 특정되는 상기 위치에 상기 휴대 단말기가 상기 액세스 시에 존재하고 있었던 확실도를 판정하는 판정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출력 수단은, 상기 판정 수단에 의해 판정된 확실도가 소정값 이상인 경우에, 상기 위치 정보와, 상기 통신 캐리어를 나타내는 정보를 대응지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의 유저에 의해 이용된 상기 서비스에 대한 그 유저에 의한 투고 데이터의 관련 데이터로서 그 투고 데이터의 송신 시에서의 그 유저의 위치의 판정에 이바지하는, 그 투고 데이터에 관련하여 취득되는 관련 데이터를 취득하는 제6 취득 수단과,
    상기 제6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상기 관련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 수단에 의해 특정되는 상기 위치에 상기 휴대 단말기가 상기 액세스 시에 존재하고 있었던 확실도를 판정하는 판정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출력 수단은, 상기 판정 수단에 의해 판정된 확실도가 소정값 이상인 경우에, 상기 위치 정보와, 상기 통신 캐리어를 나타내는 정보를 대응지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를 이용 가능한 개시 시각과 종료 시각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을 나타내는 시간 데이터를 취득하는 제3 취득 수단과, 상기 휴대 단말기의 유저에 의해 이용된 상기 서비스에 대한 그 유저에 의한 평가 데이터를 취득하는 제4 취득 수단과, 상기 휴대 단말기의 유저에 의해 이용된 상기 서비스에 대한 그 유저에 의한 투고 데이터를 취득하는 제5 취득 수단과, 상기 휴대 단말기의 유저에 의해 이용된 상기 서비스에 대한 그 유저에 의한 투고 데이터의 관련 데이터로서 그 투고 데이터의 송신 시에 송신원의 휴대 단말기가 존재하고 있었던 위치의 판정에 이바지하는, 그 투고 데이터에 관련하여 취득되는 관련 데이터를 취득하는 제6 취득 수단 중 적어도 어느 2개의 취득 수단과,
    상기 제3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상기 시간 데이터, 상기 제4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상기 평가 데이터, 상기 제5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상기 투고 데이터 및 상기 제6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상기 관련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2개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 수단에 의해 특정되는 상기 위치에 상기 휴대 단말기가 상기 액세스 시에 존재하고 있었던 확실도를 판정하는 판정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출력 수단은, 상기 판정 수단에 의해 판정된 확실도가 소정값 이상인 경우에, 상기 위치 정보와, 상기 통신 캐리어를 나타내는 정보를 대응지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7.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정보 처리 방법으로서,
    휴대 단말기로부터 이동체 통신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서버 장치에 액세스한 액세스 이력을 유저마다 기억하는 기억 수단으로부터, 상기 액세스 이력을 취득하는 제1 취득 스텝과,
    유저에 의해 이용되는 서비스의 이용 시기 및 이용 시에서의 유저의 위치의 특정에 이바지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이용 이력을 유저마다 기억하는 기억 수단으로부터, 상기 이용 이력을 취득하는 제2 취득 스텝과,
    하나의 유저에 대응지어진 하나의 상기 액세스 이력에 나타내어지는 시각이 그 유저에 대응지어진 하나의 상기 이용 이력에 포함되는 상기 이용 시기에 대응하는 경우에, 그 이용 이력에 포함되는 상기 위치의 특정에 이바지하는 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위치를, 그 액세스 이력에 관련되는 액세스 시에 상기 휴대 단말기가 존재하고 있었던 위치로서 특정하는 특정 스텝과,
    상기 특정 스텝에 의해 특정된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와, 상기 액세스 이력에 관련되는 액세스에서 경유된 상기 이동체 통신 네트워크를 운영하는 통신 캐리어를 나타내는 정보를 대응지어 출력하는 출력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8. 컴퓨터를,
    휴대 단말기로부터 이동체 통신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서버 장치에 액세스한 액세스 이력을 유저마다 기억하는 기억 수단으로부터, 상기 액세스 이력을 취득하는 제1 취득 수단,
    유저에 의해 이용되는 서비스의 이용 시기 및 이용 시에서의 유저의 위치의 특정에 이바지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이용 이력을 유저마다 기억하는 기억 수단으로부터, 상기 이용 이력을 취득하는 제2 취득 수단,
    하나의 유저에 대응지어진 하나의 상기 액세스 이력에 나타내어지는 시각이 그 유저에 대응지어진 하나의 상기 이용 이력에 포함되는 상기 이용 시기에 대응하는 경우에, 그 이용 이력에 포함되는 상기 위치의 특정에 이바지하는 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위치를, 그 액세스 이력에 관련되는 액세스 시에 상기 휴대 단말기가 존재하고 있었던 위치로서 특정하는 특정 수단, 및
    상기 특정 수단에 의해 특정된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와, 상기 액세스 이력에 관련되는 액세스에서 경유된 상기 이동체 통신 네트워크를 운영하는 통신 캐리어를 나타내는 정보를 대응지어 출력하는 출력 수단으로서 기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프로그램.
  9. 컴퓨터를,
    휴대 단말기로부터 이동체 통신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서버 장치에 액세스한 액세스 이력을 유저마다 기억하는 기억 수단으로부터, 상기 액세스 이력을 취득하는 제1 취득 수단,
    유저에 의해 이용되는 서비스의 이용 시기 및 이용 시에서의 유저의 위치의 특정에 이바지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이용 이력을 유저마다 기억하는 기억 수단으로부터, 상기 이용 이력을 취득하는 제2 취득 수단,
    하나의 유저에 대응지어진 하나의 상기 액세스 이력에 나타내어지는 시각이 그 유저에 대응지어진 하나의 상기 이용 이력에 포함되는 상기 이용 시기에 대응하는 경우에, 그 이용 이력에 포함되는 상기 위치의 특정에 이바지하는 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위치를, 그 액세스 이력에 관련되는 액세스 시에 상기 휴대 단말기가 존재하고 있었던 위치로서 특정하는 특정 수단, 및
    상기 특정 수단에 의해 특정된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와, 상기 액세스 이력에 관련되는 액세스에서 경유된 상기 이동체 통신 네트워크를 운영하는 통신 캐리어를 나타내는 정보를 대응지어 출력하는 출력 수단으로서 기능시키는 정보 처리 프로그램이 컴퓨터에 의해 판독 가능하게 기록된 기록 매체.
KR1020137027996A 2012-12-28 2012-12-28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정보 처리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KR1014294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2/084184 WO2014103053A1 (ja) 2012-12-28 2012-12-28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が記録された記録媒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5015A true KR20140095015A (ko) 2014-07-31
KR101429419B1 KR101429419B1 (ko) 2014-08-11

Family

ID=49041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7996A KR101429419B1 (ko) 2012-12-28 2012-12-28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정보 처리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8874143B2 (ko)
EP (1) EP2763479B1 (ko)
JP (1) JP5245023B1 (ko)
KR (1) KR101429419B1 (ko)
CN (1) CN104012154B (ko)
AU (1) AU2012376507B2 (ko)
ES (1) ES2615753T3 (ko)
TW (1) TWI442342B (ko)
WO (1) WO201410305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54220B2 (en) * 2016-10-04 2019-04-09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 and system for remote inspection of industrial assets
US9693192B2 (en) * 2012-12-28 2017-06-27 Rakuten, Inc.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recording medium storing thereon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US9648467B2 (en) * 2014-01-30 2017-05-09 Genband Us Llc Group communication configuration
KR101936487B1 (ko) * 2014-03-25 2019-01-08 라쿠텐 인코포레이티드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프로그램 및 기록 매체
JP6458537B2 (ja) * 2015-02-19 2019-01-30 富士通株式会社 位置推定方法、位置推定プログラム、及び位置推定装置
US20170351996A1 (en) * 2016-06-03 2017-12-07 Yoorang LLC Customizable Building Delivery Systems
JP6917158B2 (ja) * 2017-02-20 2021-08-11 セコム株式会社 監視装置、監視システム、監視方法、及びプログラム
TWI684933B (zh) * 2017-03-31 2020-02-11 中國信託商業銀行股份有限公司 服務平台伺服器及自動化帳戶驗證方法
CN111213186B (zh) 2017-08-18 2022-11-15 开利公司 基于历史信息为建筑物占用者创建建筑物路径的方法
JP6869883B2 (ja) * 2017-12-22 2021-05-12 Kddi株式会社 管理装置、管理プログラム、管理方法及び通信システム
JP6741285B1 (ja) * 2019-04-09 2020-08-19 Cuicin株式会社 旅行プラン提案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5931B2 (ja) 1994-07-21 2000-05-29 三菱電機株式会社 ディファレンシャルgps装置
JP4136517B2 (ja) * 2002-07-31 2008-08-2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移動端末
US20060094438A1 (en) * 2004-11-01 2006-05-04 Bruce Hamilto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user-perceived holes in wireless communication coverage areas
JP2010124222A (ja) 2008-11-19 2010-06-03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無線基地局の場所情報の作成装置、無線基地局の場所情報の作成方法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JP5476880B2 (ja) * 2009-09-14 2014-04-23 ソニー株式会社 情報提供装置及び情報提供方法、コンピューター・プログラム、並びに無線通信装置
DE102010018282A1 (de) * 2010-04-24 2011-10-27 Joachim Linz Verfahren zum Erfassen der Funkversorgung mit Hilfe von Kunden-Terminals
JP5492126B2 (ja) 2011-03-24 2014-05-14 Kddi株式会社 ユーザ体感品質に基づく無線品質を収集するサーバ、プログラム及び方法
US8412237B1 (en) * 2011-07-29 2013-04-02 Intuit Inc. Method and system for launching and preparing applications on mobile computing systems based on geo-location dat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763479B1 (en) 2016-11-30
EP2763479A4 (en) 2015-05-27
WO2014103053A1 (ja) 2014-07-03
JP5245023B1 (ja) 2013-07-24
US8874143B2 (en) 2014-10-28
CN104012154B (zh) 2016-01-06
EP2763479A1 (en) 2014-08-06
EP2763479A8 (en) 2014-10-01
CN104012154A (zh) 2014-08-27
US20140187196A1 (en) 2014-07-03
TW201409392A (zh) 2014-03-01
AU2012376507A1 (en) 2014-07-17
ES2615753T3 (es) 2017-06-08
KR101429419B1 (ko) 2014-08-11
JPWO2014103053A1 (ja) 2017-01-12
AU2012376507B2 (en) 2015-06-04
TWI442342B (zh) 2014-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9419B1 (ko)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정보 처리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US895958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trieving a boarding pass
JP5175790B2 (ja) コミュニティ情報流通装置、コミュニティ情報流通方法、およびコミュニティ情報流通プログラム。
US9330399B2 (en) Digital punch card for mobile device
US20100293255A1 (en) Open information transmitting method, open information transmitting system, central device and recording medium
US20120232994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location-based advertisement contents
JP2010117633A (ja) ニュース・広告配信方法、ニュース・広告配信システム、ニュース・広告配信サーバ、及びニュース・広告配信プログラム
KR20140023013A (ko) 택배서비스 운용방법 및 택배시스템
KR20140114804A (ko) 택배서비스 운용방법 및 택배시스템
JP2009252060A (ja) 電子コンテンツ流通システム、電子コンテンツ流通方法及び電子コンテンツ流通用プログラム
KR101143612B1 (ko) 바이너리 씨디엠에이를 이용한 영상 정보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JP2002312381A (ja) 位置情報システム
CN101272356A (zh) 信息处理设备、信息处理方法和信息处理程序
US9693192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recording medium storing thereon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US20160073228A1 (en)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expected geolocations of mobile computing devices
US20140316827A1 (en) Method, System and Program Product for a Linked Dispatch System
JP5536285B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KR20160139282A (ko) 항공권 검색시 정보 제공 방법, 사용자 단말,서버 및 프로그램
US9239239B2 (en) Geographic coordinates coding software product
KR20130116501A (ko) 고객에 맞춤형 보험 상품을 제공하기 위한 보험 상품 제공 서버 및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JP2007094699A (ja) サービス情報管理システム、及びサービス情報管理方法
KR101621494B1 (ko)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JP2005099931A (ja) 抽選システム
US20140004822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related information
JP2019057246A (ja)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