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93566A - 커브트랙장치가 장착된 사이클기기 - Google Patents

커브트랙장치가 장착된 사이클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93566A
KR20140093566A KR1020130006509A KR20130006509A KR20140093566A KR 20140093566 A KR20140093566 A KR 20140093566A KR 1020130006509 A KR1020130006509 A KR 1020130006509A KR 20130006509 A KR20130006509 A KR 20130006509A KR 20140093566 A KR20140093566 A KR 201400935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ck
cycle
belt
upper case
rot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65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30602B1 (ko
Inventor
강두환
Original Assignee
강두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두환 filed Critical 강두환
Priority to KR10201300065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0602B1/ko
Publication of KR201400935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35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06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06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6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support elements performing a rotating cycling movement, i.e. a closed path movement
    • A63B22/060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support elements performing a rotating cycling movement, i.e. a closed path movement performing a circular movement, e.g. ergomet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63B2071/0638Displaying moving images of recorded environment, e.g. virtual environ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브트랙장치를 장착한 사이클기기(1)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컴퓨터나 스마트폰 게임으로 분류되는 레이싱 게임이나 스포츠 게임에 관련하여 다양한 형태로 구성된 커브트랙(Curve track)상에서 이루어지는 급회전과 코너링(Cornering)시에 가속성능에 따른 속도감과 관성력, 이에 따른 마찰력과 미끄러짐 현상(Slipping), 그리고 동반되는 마찰소음과 떨림동작을 손과 귀로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커브트랙장치를 실내 사이클의 바퀴(또는 드럼)와 핸들 사이에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커브트랙장치가 장착된 사이클기기{Cycle machine with curve track device}
본 발명은 사이클기기에 있어서 레이싱 게임이나 스포츠 게임과 같이 회전(Turning)과 코너링(Cornering)시에 발생하는 가속효과에 따른 속도감과 관성력, 그리고 이에 따른 마찰력과 미끄러짐(Slipping)을 핸들의 촉감으로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커브트랙장치가 장착된 사이클기기에 관한 것으로 운동 중 실제의 경주에서와 같은 다양한 곡선트랙의 동작과 느낌을 구현할 수 있는 신개념의 촉감피이드백 기능이 가능토록 함으로써 운동성에 흥미감을 부가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대부분의 실내 운동기구는 특정의 운동효과를 목적으로 제작됨에 따라 이용자가 꾸준히 흥미를 갖기에는 부족한 점이 있었다. 일 예로, 실내 사이클에 벽이나 거울을 보면서 페달을 밟도록 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운동효과를 보기 위해서는 지속적으로 단조로운 동작을 반복해야 하므로 당연히 흥미가 반감되면서 지루한 운동이 된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실내 사이클 운동기기 앞에 대형스크린을 설치하고 사용자가 실제 달리거나 경주하는 느낌을 갖도록 하는 시청각기기가 부가설치된 시스템이 제안되고 있으나 이러한 시스템은 사용자가 실제 주행코스와 같은 실질적인 행동변화가 일어나지 않고 단순히 시청각에 의존하는 것에 불과하여 사용자의 지속적인 관심과 흥미를 갖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한편, 최근에는 가상현실(virtual reality)을 응용한 다양한 현실장치가 제안되고 있으나, 이들 가상현실장치는 동작구현기기에 컴퓨터를 연결하여 프로그램에 의한 가상환경의 변화를 동작구현기기를 통하여 물리적인 변동을 나타나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가상의 상황을 실제의 상황으로 인지하고 느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184370에는 '게임기와 연결된 자전거운동 겸용의 승마운동기구'가 제안된 바 있으나, 단순히 왕복운동하는 좌,우측 핸들과 회전운동하는 페달 및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상·하운동하는 안장으로 구성되어 실제 자전거의 주행에서 느끼는 현장감은 느낄 수 없도록 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37973호에는 '사이클머신'가 마찬가지로 제안된 바 있으나 단순히 자전거를 실내에서 탈 수 있도록 자전거 바퀴와 맞닿는 3개의 롤러가 장착되어 자전거의 회전에 대한 반작용으로 역회전만하는 기능으로 본 발명에 따르는 커브트랙장치가 장착된 사이클기기와는 구조와 기능은 판이하다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장치는 실내 사이클의 핸들 중앙부에 장착되어지고 실내 사이클의 바퀴와 연동되어 회전되는 커브트랙장치에 의해 좌·우 회전이 되면서 마찰력과 미끄러짐이 발생하는 것이 큰 차별점이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차용 레이싱 게임이나 스포츠운동 게임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실제의 상황과 같은 관성력과 동시에 자세구현이 실내 사이클기기의 핸들을 통해 구동되어지고 손가락이나 손바닥으로 감지되어져 재미와 실감을 배가시킬 수 있도록 장착된 커브트랙장치를 실내 사이클기기에 제공하는데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상기의 기능을 부가하기 위하여 좌·우로 회전하는 트랙바퀴가 전·후로 순환되는 트랙벨트 상면에서 좌·우 회전시 트랙벨트와의 마찰력을 발생시키고 그에 따른 슬립성이 이루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굴곡된 커브트랙에서 발생되는 실제 상황과 흡사한 코너링으로 인한 묘미를 느낄 수 있도록 본 발명에 따른 커브트랙장치를 실내 사이클의 바퀴와 핸들 사이에 장착하는데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실내 사이클의 바퀴 또는 드럼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커브트랙장치를 구동시킴으로써 이동과 설치를 용이하도록 함은 물론, 구조를 간단히 하여 제품가격을 낮추어 널리 보급화시키는 것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브트랙장치가 장착된 사이클기기의 외체를 이루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어진 프레임; 페달에 의해 회전되어지는 바퀴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벨트; 상기 구동벨트에 의해 회전되는 트랙벨트; 상기 트랙벨트의 상면에서 구르며 좌·우로 회전되도록 구비된 트랙바퀴; 상기 트랙바퀴가 장착되어지고 상기 트랙바퀴를 좌·우로 회전시켜주는 회전축으로 상기 베이스와 조립되어지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조립 고정되어진 핸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특징으로는 상기의 베이스를 중심으로 핸들이 장착되어지는 상기의 케이스가 좌·우로 회전될 수 있도록 사이에 회전판이 구비되고, 각각 전·후의 위치에서 상기의 베이스와 조립되는 회전축과 상기의 케이스에 조립되는 또 다른 회전축으로 구성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대한 또 다른 특징으로는 상기의 케이스의 전면에 별도의 방향전환을 감지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기기를 장착하여 상기 핸들의 회전각도를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의 케이스와 연동되어지는 고정판을 구비한 것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커브트랙장치가 장착된 사이클기기는 야외에서 커브길 회전시의 동작을 상기의 커브트랙장치에 그대로 재현하여 사용자가 더욱 현장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가장 크다.
실내에서 안전하게 즐기면서 재미와 운동효과를 동시에 충족시킬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사이클기기의 제공이 가능함에 따라 사용자의 관심과 흥미를 유발하고 만족시킬 수 있는 효과가 기대된다.
외부의 전기적인 전원을 사용하지 않고 사용자가 회전시키는 페달에 의한 바퀴의 회전력을 이용하므로 구조가 간단하고 제작 및 유지보수비용이 저렴하며 편의성이 크게 개선되어져 상품성을 높힐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마지막으로 단순 오락용 게임에서 비롯된 폭력성 기질을 키우고, 그에 따르는 게임중독 현상까지 발생시키는 사회적인 문제를 해결하는 대안으로써 체감형 기능성 운동기기를 활성화하는 것을 제안할 수가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커브트랙장치(10)가 장착된 사이클기기의 전체 외관에 대한 측면을 도시하였고
도 2는 상기 도 1의 커브트랙장치(10)와 구동 관련 구성품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3은 상기 도 2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상기 커브트랙장치(10)에 대한 구동장치로 드럼(18)의 회전력을 이용한 범용의 자가 발전기(44)를 이용한 모터(43)에 의한 구동방식을 도시하였고
도 5는 트랙벨트(29) 상면에서 상기 트랙벨트(29)의 전·후 방향의 회전에 따라 발생되는 회전력과 트랙바퀴(25)의 방향전환에 의한 상기 트랙벨트(29)와의 마찰력과 바퀴구동력을 표시하였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면부의 프레임(36)에 고정되어 있는 하부베이스(28)의 상부에 장착되어진 회전판(24)과 상부케이스(23)가 핸들(22)의 우측방향으로의 회전 및 방향전환에 따른 동작 상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동작 상태를 상세히 동작 순서별로 설명하기 위해 상기 트랙바퀴(25)가 상기 트랙벨트(29)상에서 방향전환과정을 도시하였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응용하여 적용 가능한 게임을 예시한 것으로 디스플레이(11)상에 표시된 카레이싱 게임과 사이클링 게임에서의 커브동작과 본 발명의 커브트랙장치(10)와의 연계성을 나타내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커브트랙장치(10)가 장착된 사이클기기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커브트랙장치(10)가 장착된 사이클기기의 전체 외관에 대한 측면도로써 실내에서 운동용으로 사용되는 일반적인 기본 구성품들이 표시되어져 있다. 즉 실내용 사이클기기의 하체를 이루는 받침대(16)와 상기의 받침대(16)에 드럼(18)을 장착시킬 수 있도록 지지해주는 드럼지지대(20), 상기의 드럼(18)을 회전시켜주는 페달(19), 상기 드럼(18)과 핸들(22)을 연결시키며 고정시켜주는 프레임(36), 상기 프레임(36)의 상부에서 본 발명에 따른 핵심기능장치인 커브트랙장치(10) 등이 제품의 전면부에 구성되어지고, 제품이 후면부에 상기 받침대(16)의 상부에 레일장치(15)를 지지해주는 레일지지대(14), 전·후로 위치조정 역할을 하는 상기의 레일장치(15)의 상부에 장착되어지는 의자(12)를 지지해주는 의자지지대(13)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핵심기능장치인 커브트랙장치(10)와 구동 관련 구성품에 대한 단면도로써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상기의 커브트랙장치(10)는 외관을 형성하며 동작을 이루는 구성품과 회전동작에 따른 방향전환을 이루는 기능부품들로 구성되어 있다. 제품의 하체를 형성하고 상기의 드럼(18)과 연결시켜주며 지지대 역할을 하는 프레임(36)에 장착되어지는 하부베이스(28), 상기의 하부베이스(28)에 1차 회전축(26)으로 조립되어지는 회전판(24), 상기 회전판(24)과 2차 회전축(27)으로 조립되어지며, 제품의 상체를 형성하는 상부케이스(23), 상기의 상부케이스(23)에 고정되어 방향전환시 사용되며 운동 중 안정된 자세를 유지시켜주는 핸들(22), 그리고 상기의 상부케이스(23)에 고정되어 상부케이스(23)의 회전과 연동되어지는 디스플레이 고정판(21) 등이 전체적인 외관을 형성하며 동작을 이루도록 구성되어져 있다.
다음으로 회전동작을 이루도록 방향전환을 이루는 기능부품들로는 상기의 상부케이스(23)에 고정되어지는 트랙바퀴(25), 상기의 트랙바퀴(25)가 좌우로 회전되도록 전·후 방향으로 순환되는 트랙벨트(29), 상기 트랙벨트(29)가 평탄토록 하부에서 지지해주는 지지판(39), 상기의 트랙벨트(29)가 원활하게 회전 구동시켜주는 롤러(31)와 베어링(41), 그리고 벨트측판(40)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구동 관련 구성품으로 드럼(18)과 연동되어 회전되는 드럼기어(37), 상기의 드럼기어(37)의 구동 회전력을 전달시켜주는 구동벨트(35), 상기 구동벨트(35)로부터 구동 회전력을 전달받는 구동기어(32), 그리고 상기의 드럼(18)의 회전으로부터 안전보호대 역할을 하는 드럼커버(17)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3에는 도 2의 조립 상관관계가 상세히 표시되어 있는 분해 사시도로 디스플레이 고정판(21)이 상기의 상부케이스(23)에 조립되어지고, 상기의 핸들(22)이 상기의 상부케이스(23)의 좌·우 측면에 장착되어지고, 상기의 상부케이스(23)와 하부케이스(28)가 상기의 회전판(24)에 의해 조립되어지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고, 상기의 회전판(24)과 하부베이스(28)의 사이에 회전구(38)가 회전이 용이하도록 내장되어 있으며 상기의 하부베이스(28)의 내부에 상기의 트랙벨트(29)를 삽입한 후 하부커버(42)로 조립되는 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4에는 상기 커브트랙장치(10)에 대한 구동장치로 상기의 드럼(18)의 회전력을 이용한 일반적으로 라이트(Light)용으로 사용되는 자가 발전기(44)를 이용하여 모터(43)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의 트랙벨트(29)를 회전시켜 줄 수 있게 된다. 운동 중에 항상 상기의 드럼(18)을 페달(19)로 회전시켜주므로 경제적이고 효율적으로 이용되는 시스템이다.
모터(43)에서 발생하는 회전 구동력을 구동벨트(35)로부터 구동기어(32)로, 상기 구동기어(32)는 구동축(34)을 통하여 트랙풀리(33)로 전달되고 상기의 트랙풀리(33)는 사이드 트랙벨트(30)로 상호간의 마찰력 또는 기어 맞물림으로 회전력을 확실히 전달시켜 상기의 트랙벨트(29)가 상기의 롤러(31)와 베어링(41)에 의해 원활하게 전·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커브트랙장치(10)가 장착된 사이클기기에 대한 구성요소들과 부속품들을 설명하였고 다음으로 구성부품들에 관련된 기능과 동작에 대해 다음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5는 상기의 트랙벨트(29)의 상면에서 상기의 트랙바퀴(25)의 마찰력과 미끄러짐에 대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와 평면도로써, 상기의 트랙벨트(29)가 회전속도 V로 동작되어지는 상태에서 상기의 트랙벨트(29)의 회전각 θ가 "0"인 경우, 즉 회전하지 않고 정면을 향하고 있는 경우에는 어떠한 마찰력이나 미끄러짐이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나 상기의 트랙바퀴(25)가 회전각 θ만큼 회전되면 상기 트랙벨트(29)의 회전속도 V에 의한 트랙벨트(29)의 회전력 Fv는 상기의 트랙바퀴(25)에 의한 마찰력 Ff와 구동력 Fr로 힘이 분산되지는 것이 도 5에 명시되어 있다. 따라서 회전각 θ가 어느 각도 이상으로 커지면 상기의 트랙바퀴(25)는 회전하지 않고 마찰력 Ff는 최대치가 될 것이다. 이에 대해 종합적으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트랙벨트속도 V가 일정한 상태에서 상기 트랙바퀴(25)의 회전각 θ가 커지면 상기 트랙바퀴(25)의 마찰력 Ff는 상승하고 트랙바퀴(25)의 구동력 Fr은 감소되며 상기 트랙바퀴(25)의 슬립성 및 마찰소음은 커지게 된다. 이때, 상기의 핸들(22)로 상기의 마찰력 Ff와 슬립성이 전달되어지고 마찰소음이 청각적으로 들을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의 트랙바퀴(25)의 회전각 θ가 일정한 상태에서 상기 트랙벨트(29)의 회전속도 V가 상승되면 회전력 Fv는 상승되고 상기의 트랙바퀴(25)의 구동력 Fr과 마찰력 Fv는 동반 상승하게 되어 상기 트랙바퀴(25)의 슬립성 및 마찰소음은 상승되어진다.
도 6은 상기의 하부베이스(28)에 장착되어진 회전판(24)과 상기의 상부케이스(23)가 상기의 핸들(22)에 의해 우측방향으로 회전되었을 때 회전각 θ와 평행이동거리 L에 의한 방향전환과 동작 상태를 나타내었다. 이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을 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에서 <S1>은 상기의 핸들(22)을 중앙 정면을 향하도록 하여 방향전환을 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다. 이때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의 하부베이스(28), 회전판(24), 그리고 상부케이스(23) 모두가 중앙 정면을 향하고 있는 상태로써 상기의 트랙바퀴(25)는 어떠한 저항없이 상기의 트랙벨트(29)의 상면에서 무부하 상태로 상기의 트랙벨트(29)의 회전속도 V와 연동하여 회전하게 된다.
이 상태로부터 도 6의 <S2>와 같이 1차 회전축(26)을 중심으로 회전각 θ만큼 상기의 회전판(24)과 상부케이스(23)가 동시에 회전되면서 상기의 트랙바퀴(25)가 방향전환되어진 상태를 나타낸다. 이미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의 트랙바퀴(25)에는 회전각 θ에 의해 마찰력 Ff와 구동력 Fr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마찰력 Ff에 의해 마찰소음과 미끄러짐이 발생하고 구동력 Fr에 의해 방향전환속도가 급상승하게 된다.
이 상태로부터 도 6의 <S3> 상태와 같이 2차 회전축(27)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의 상부케이스(23)가 정면을 향하도록 회전하게 되면 종전의 <S1>에서의 중심축으로부터 평행으로 "L"만큼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의 트랙바퀴(25)도 정면을 향하고 있으므로 도 6의 <S1>과 마찬가지로 상기의 트랙바퀴(25)는 아무 저항없이 무부하 상태로 회전하게 되어 어떠한 마찰소음이나 미끄러짐 현상은 발생하지 않게 된다.
즉, 결과적으로 상기의 상부케이스(23)에 장착되어 있는 상기의 핸들(22)을 좌·우측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의 트랙바퀴(25)의 마찰력 Ff와 구동력 Fr가 발생하게 되기 때문에 실제의 코너링이나 급회전에 따른 관성력에 의한 마찰력이나 미끄러짐과 같은 실제 상황이 구현되어질 수 있는 것이 실내 사이클기기에 본 발명에 따른 커브트랙장치(10)를 장착하는 가장 큰 목적이라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원리를 이용하여 실제의 실내 사이클기기에 적용하게 되면 운동하면서 게임을 즐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실제 상황의 구현으로 재미를 배가할 수 있으므로 운동성의 지루함을 해소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7은 도 6의 동작 원리에 입각하여 동작 순서별로 상세히 도시한 것으로 도 7의 <P1>,<P2>,<P3>는 상기의 트랙바퀴(25)가 중앙부에서 우측방향으로 회전되어지며 이동되는 동작 상태를 도시하였고 <P4>,<P5>,<P6>는 상기의 트랙바퀴(25)가 우측 끝단으로부터 좌측 끝단으로 회전되어지며 이동되는 동작 상태를 도시하였으며 <P7>,<P8>,<P9>는 좌측 끝단으로부터 우측 끝단으로 회전되어지며 이동되는 동작 상태를 도시하였다.
도 7의 <P1> 동작 상태는 도 6의 <S1>의 동작과 동일하고 도 7의 <P2>는 도 6의 <S2>와 그리고 도 7의 <P3>는 도 6의 <S3>의 동작과 일치한다.
도 7의 <P4>는 상기의 트랙벨트(29)의 우측 끝단에 있던 상기의 트랙바퀴(25)를 상기의 핸들(22)로 상기의 상부케이스(23)를 좌측방향으로 회전시키면 <P5>,<P6>의 과정을 거치면서 회전하면서 이동하게 된다. <P6>의 상태에 이르게 되면 이미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트랙바퀴(25)의 어떠한 마찰력 Ff와 구동력 Fr은 "0" 상태가 된다. <P4>로부터 <P6>로 방향전환되는 속도는 상기의 트랙벨트(29)의 회전속도 V와 회전각 θ에 따라 결정되어진다. 즉 상기의 회전속도 V와 회전각 θ가 크면 클수록 <P4>로부터 <P6>에 이르는 시간은 짧아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의 트랙벨트(29)의 회전속도 V는 상기의 페달(19) 회전속도에 따라 결정되어지고 회전각 θ는 상기의 핸들(22)의 회전각 θ에 따라 결정되므로 게임의 내용과 트랙의 형상에 따라 조절하면서 즐길 수 있게 된다.
도 7의 <P7>,<P8>,<P9>은 이미 설명하였던 <P1>,<P2>,<P3> 및 도 6의 <S1>,<S2>,<S3>의 동작 상태와 일치되므로 추가적인 부연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 7의 모든 동작과정은 게임의 동작방향이 후면으로부터 전면으로 향하는 경우에는 도 7에서 도시된 상기의 트랙벨트(29)가 도시된 바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고 1차 회전축(26)과 2차 회전축(27)의 위치를 바꾸게 되면 동일한 원리로 적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응용하여 적용 가능한 디스플레이(11)상의 카레이싱 게임과 사이클링 게임에서의 커브동작과 본 발명의 커브트랙장치(10)와의 연계성을 나타낸 예시도로써 게임상의 동작이 전면으로부터 후면으로 내려오는 방향으로 동작이 이루어지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으나 일반적으로 카레이싱 게임에서는 후면으로부터 전방으로 이동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진 게임의 경우에는 이미 전술한 바 반대로 조정되면 동일한 원리로 적용되어질 수가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한 적용범위는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원에 개시된 본원의 이러한 실시 및 응용을 고려하면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원의 상세한 설명 및 예들은 단 예시적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제 범주 및 사상은 첨부되는 청구범위에 기본적인 사항으로 명시되어 있지만 개시된 실시예들의 조합들의 각각의 변형 및 수정은 첨부의 청구범위 내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10: 커브트랙장치 11: 디스플레이
12: 의자 13: 의자지지대
14: 레일지지대 15: 레일장치
16: 받침대 17: 드럼커버
18: 드럼 19: 페달
20: 드럼지지대 21: 디스플레이 고정판
22: 핸들 23: 상부케이스
24: 회전판 25: 트랙바퀴
26: 1차 회전축 27: 2차 회전축
28: 하부케이스 29: 트랙벨트
30: 사이드 트랙벨트 31: 롤러
32: 구동기어 33: 트랙풀리
34: 구동축 35: 구동벨트
36: 프레임 37: 드럼기어
38: 회전구 39: 지지판
40: 벨트측판 41: 베어링
42: 하부커버 43: 모터
44: 발전기
Fv: 트랙벨트 회전력
Fr: 트랙바퀴 구동력
Ff: 트랙바퀴 마찰력
V: 트랙벨트 회전속도
θ: 방향조절각도
L: 평행이동거리

Claims (5)

  1. 기기의 외체를 이루는 하부베이스(28)와 상부케이스(23); 상기의 하부베이스(28)와 상기의 상부케이스(23) 사이에 장착되어지는 전·후 방향으로 회전되는 트랙벨트(29); 상기 상부케이스(23)에 고정되어지며, 상기 트랙벨트(29)의 상면에서 구름 회전되도록 구비된 트랙바퀴(25) 등으로 구성되고, 상기의 트랙벨트(29)가 페달(19)에 의한 드럼(18)의 회전력으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브트랙장치(10)가 장착된 사이클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의 상부케이스(23)와 하부케이스(28) 사이에 회전판(24)이 구비되고, 상기의 회전판(24)이 각각 상기의 하부베이스(28)에 1차 회전축(26)으로 장착되고 상기의 상부케이스(23)에 2차 회전축(27)으로 회전되도록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브트랙장치(10)가 장착된 사이클기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의 트랙벨트(29)의 회전이 상기의 페달(19)의 회전에 의한 드럼(18)의 회전력을 구동벨트(35)에 의해 전달되어져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브트랙장치(10)가 장착된 사이클기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의 트랙벨트(29)의 회전이 상기의 페달(19)의 회전에 의한 드럼(18)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발전기(44)가 생성한 전기력으로 구동되는 모터(43)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브트랙장치(10)가 장착된 사이클기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의 상부케이스(23)에 방향조절이 가능하도록 구비된 핸들(22)이 장착되고 상기의 상부케이스(23)와 연동되도록 방향조절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고정판(21)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브트랙장치(10)가 장착된 사이클기기
KR1020130006509A 2013-01-18 2013-01-18 커브트랙장치가 장착된 사이클기기 KR1015306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6509A KR101530602B1 (ko) 2013-01-18 2013-01-18 커브트랙장치가 장착된 사이클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6509A KR101530602B1 (ko) 2013-01-18 2013-01-18 커브트랙장치가 장착된 사이클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3566A true KR20140093566A (ko) 2014-07-28
KR101530602B1 KR101530602B1 (ko) 2015-07-06

Family

ID=51739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6509A KR101530602B1 (ko) 2013-01-18 2013-01-18 커브트랙장치가 장착된 사이클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0602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4698Y1 (ko) * 2008-08-18 2011-07-21 최장원 헬스 자전거
KR101267965B1 (ko) * 2011-05-23 2013-05-29 강두환 커브기능을 가진 실내 사이클 머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0602B1 (ko) 2015-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530588B (zh) 自行车式游戏模拟装置
KR101194699B1 (ko) 곡선트랙 시뮬레이션 장치
KR101267965B1 (ko) 커브기능을 가진 실내 사이클 머신
KR20180083078A (ko) Vr용 실내자전거 장치
WO2016067720A1 (ja) 自転車トレーナー
KR101758045B1 (ko) 체감형 시뮬레이터 장치
TWM554444U (zh) 一種代步健身多用電動自行車
EP2688654B1 (en) Bicycle simulator for static or pseudo-static use
KR102024865B1 (ko) 시뮬레이션 장치
KR101530602B1 (ko) 커브트랙장치가 장착된 사이클기기
JP2004008792A (ja) 運動器
KR20130129049A (ko) 헬스 자전거
KR101530603B1 (ko) 전·후 이동이 가능한 커브트랙장치
TWM510779U (zh) 一種具有模擬實境運動的雲端健身車
US20180296932A1 (en) Amusement ride assembly with rotating tube and synchronized animation projector
KR100868496B1 (ko) 운동기구
KR101764423B1 (ko) 커브트랙장치
KR101392253B1 (ko) 놀이기구
KR101221630B1 (ko) 놀이기구
JP3113645U (ja) 携帯型ゲーム機のコントローラー
TWM500594U (zh) 健身器阻力輪
KR101534509B1 (ko) 커브트랙장치
CN202113595U (zh) 游戏机的转向装置
KR20120128525A (ko) 커빙 시뮬레이션 장치
KR20130099774A (ko) 헬스 자전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