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3078A - Vr용 실내자전거 장치 - Google Patents

Vr용 실내자전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3078A
KR20180083078A KR1020170004954A KR20170004954A KR20180083078A KR 20180083078 A KR20180083078 A KR 20180083078A KR 1020170004954 A KR1020170004954 A KR 1020170004954A KR 20170004954 A KR20170004954 A KR 20170004954A KR 20180083078 A KR20180083078 A KR 201800830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cycle body
base member
bicycle
virtual reality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49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진화
Original Assignee
정진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진화 filed Critical 정진화
Priority to KR10201700049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83078A/ko
Publication of KR201800830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30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6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support elements performing a rotating cycling movement, i.e. a closed path movement
    • A63B22/060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support elements performing a rotating cycling movement, i.e. a closed path movement performing a circular movement, e.g. ergomet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33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 A63B21/4034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for operation by fee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33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 A63B21/4035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for operation by han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87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groups A63B21/00 - A63B23/00, e.g. controlling loa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80Special adaptations for executing a specific game genre or game mode
    • A63F13/837Shooting of targe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3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sensor
    • A63B2220/833Sensors arranged on the exercise apparatus or sports imple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8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specially adapted for executing a specific type of game
    • A63F2300/8082Virtual realit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82/00Exercise devices
    • Y10S482/901Exercise devices having computer circuitry
    • Y10S482/902Employing specific graphic or video display

Abstract

본 발명은 VR용 실내자전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실내에서 자전거를 타면서 실외에서 자전거를 타는 것과 같은 느낌을 받도록 하고, VR헤드셋과 연결되어 가상현실프로그램의 실행을 통해 게임, 스포츠 등을 통한 다양한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는 VR용 실내자전거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VR용 실내자전거 장치 { INDOOR BICYCLE DEVICE FOR VIRTUAL REALITY }
본 발명은 VR용 실내자전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실내에서 자전거를 타면서 실외에서 자전거를 타는 것과 같은 느낌을 받도록 하고, VR헤드셋과 연결되어 가상현실프로그램의 실행을 통해 게임, 스포츠 등을 통한 다양한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는 VR용 실내자전거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들은 과도한 음식섭취와 함께 운동량의 절대적인 부족, 그리고 스트레스로 인한 각종 질환에 노출되어 있으며, 최근 들어 건강에 대한 관심이 고조됨에 따라 실내에서도 운동이 가능한 다양한 운동기구가 출시되어 있다.
이러한 실내 운동기구로는 러닝머신(running machine), 실내 사이클(cycle), 로윙머신(rowing machine)을 비롯한 각종 헬스기구 등이 있으며 유산소 운동이나 근력 운동을 위한 용도로 구분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대부분의 실내용 운동기구는 특정의 운동효과를 목적으로 제작됨에 따라 이용자가 꾸준히 흥미를 갖기에는 부족한 점이 있었다.
일례로, 실내 사이클에 있어서 벽이나 거울 등을 보면서 페달을 밟도록 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운동효과를 보기 위해서는 지속적으로 단조로운 동작을 해야하므로 자연히 흥미가 반감되면서 지루한 운동이 된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실내 사이클 운동기기 앞에 대형스크린을 설치하고 사용자가 실제 달리거나 주행하는 느낌을 갖도록 하는 시청각 기기가 부가 설치된 시스템이 제안되고 있으나 이러한 시스템은 사용자가 실제 주행코스와 같은 실질적인 행동변화가 일어나지 않고 단순히 시청각에 의존하는 것에 불과하여 운동효과와 사용자의 관심을 지속시키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이상과 같이 종래의 대부분의 운동기구는 동작구현이 단순한 동작을 반복수행하는 운동종목에 국한되어 있어 소비자의 관심과 흥미를 유발하는데 한계가 있는 단점이 있었다.
공개특허 제10-2012-0071425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실내에서 자전거를 타면서 실외에서 실제 자전거를 타는 것과 같은 느낌을 갖도록 하고, VR헤드셋과 연결되어 운동뿐만 아니라 가상현실프로그램을 이용한 다양한 흥미로운 활동을 구현할 수 있는 VR용 실내자전거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VR용 실내자전거 장치는, 상부에 제1개방공과 제2개방공이 형성된 베이스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의 내부에 배치되는 무한궤도 형상의 벨트부재와; 상기 벨트부재를 회전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베이스부재의 상부에 배치되는 자전거본체와; 상기 자전거본체의 하부를 상기 베이스부재의 상부에 결합시켜 상기 자전거본체를 상기 베이스부재에 대하여 상방향으로 탄성지지하고, 상기 자전거본체가 좌우방향으로 기울어짐에 따라 압축되었다가 탄성복원되면서 상기 자전거본체를 원위치로 복원시키는 탄성부재와; 상기 자전거본체의 전방에 결합된 핸들부와; 상기 핸들부의 하부에 힌지결합되고, 상기 제1개방공을 통해 상기 벨트부재에 접하여 회전하는 제1바퀴와; 상기 자전거본체의 후방에 힌지결합되고, 상기 제2개방공을 통해 상기 벨트부재의 접하여 회전하는 제2바퀴와; 상기 자전거본체에 탑승한 탑승자가 착용하는 VR헤드셋과; VR헤드셋을 통해 실행되는 가상현실프로그램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전거본체의 자세변화에 의해 상기 VR헤드셋에서 실행되는 가상현실프로그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자전거본체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자전거본체의 양측방향으로 길게 배치된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하부와 상기 베이스부재의 상면 사이에서, 상기 자전거본체의 양측으로 배치되는 다수개의 코일스프링과; 상기 코일스프링을 관통하면서 상기 지지판과 베이스부재에 결합되는 지지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지지판과 베이스부재에 결합되는 상기 지지축의 체결량에 따라, 상기 지지판과 베이스부재 사이된 배치된 상기 코일스프링의 길이가 가변되고, 상기 자전거본체가 좌우방향으로 기울어짐에 따라 상기 지지판이 상기 코일스프링을 압축시킨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전거본체가 좌우방향으로 기울어짐에 따라 상기 VR헤드셋에서 실행되는 상기 가상현실프로그램에서의 진행 방향 또는 자세를 변환시킨다.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지지판의 하면과 상기 코일스프링의 상부 사이 또는 상기 베이스부재의 상면과 상기 코일스프링의 하부 사이에 배치되는 완충패드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완충패드는 상기 코일스프링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상기 핸들부는 상기 자전거본체의 전방에 수평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바퀴는 상기 핸들부와 함께 수평방향을 회전되며, 상기 핸들부에는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는 자이로센서가 장착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핸들부의 수평 방향 회전시 상기 VR헤드셋에서 실행되는 상기 가상현실프로그램에서의 진행 방향을 변환시킨다.
상기 핸들부는 상기 자전거본체의 전방에 수평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바퀴는 상기 핸들부와 함께 수평방향을 회전되며, 상기 핸들부에는 VR용 장난감총이 장착되고, 상기 핸들부 또는 장난감총에는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는 자이로센서가 장착되되, 상기 장난감총은 상기 제어부를 통해 상기 VR헤드셋에서 실행되는 상기 가상현실프로그램에 연결되어 상기 장난감총의 사격시 상기 가상현실프로그램에서 사격이 이루어지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장난감총이 장착된 상기 핸들부의 수평 방향 회전시 상기 VR헤드셋에서 실행되는 상기 가상현실프로그램에서의 진행 방향을 변환시킨다.
상기 자전거본체에 대한 상기 핸들부의 독립적인 회전 가능 여부를 조정하는 회전조정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회전조정부재에 의해 상기 핸들부는 상기 자전거본체에 고정되거나 또는 독립적으로 회전된다.
상기 핸들부의 하부에 양측에 장착되어, 상기 핸들부의 회전시 상기 자전거본체에 접하여 상기 핸들부가 일정한 각도 이내에서 수평 회전되도록 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베이스부재의 내부에서 상기 벨트부재의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벨트부재가 좌우방향 치우지는 것을 방지하는 가이드롤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가이드롤러에는 상기 벨트부재가 삽입되어 이송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VR용 실내자전거 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실내에서 자전거를 타면서 실외에서 실제 자전거를 타는 것과 같은 느낌을 갖도록 하고, VR헤드셋과 연결되어 운동뿐만 아니라 가상현실프로그램을 이용한 다양한 흥미로운 활동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자전거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자전거 장치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자전거 장치의 평면도,
도 4는 도 3의 A-A선을 취하여 본 횡단면구조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자전거 장치의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핸들부의 회전조정부재와 작동관계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자전거 장치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자전거 장치를 사용하는 상태도.
본 발명의 VR용 실내자전거 장치는, 베이스부재(10)와, 벨트부재(20)와, 구동부(30)와, 자전거본체(40)와, 탄성부재(50)와, 핸들부(60)와, 제1바퀴(71)와, 제2바퀴(72)와, VR헤드셋(80)과, 제어부(9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베이스부재(10)는 상부에 제1개방공(11)과 제2개방공(12)이 상호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상기 벨트부재(20)는 무한궤도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베이스부재(10)의 내부에 배치된다.
상기 구동부(30)는 상기 벨트부재(20)를 회전시킨다.
이러한 상기 구동부(30)는 모터 및 롤러 등으로 이루어져 상기 벨트부재(20)를 회전시킨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부재(10)의 내부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벨트부재(20)의 양측에는 상기 벨트부재(20)가 좌우방향 치우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가이드롤러(21)가 배치된다.
상기 가이드롤러(21)에는 상기 벨트부재(20)가 삽입되어 이송되는 가이드홈(2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벨트부재(20)의 회전시 상기 벨트부재(20)는 상기 가이드롤러(21)의 가이드홈(22)에 삽입되어 이송되기 때문에, 상기 가이드롤러(21)에 의해 좌우방향으로 치우쳐 이송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자전거본체(40)는 상기 베이스부재(10)의 상부에 배치된다.
상기 자전거본체(40)에는 패달 및 안장 등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탄성부재(50)는 상기 자전거본체(40)의 하부를 상기 베이스부재(10)의 상부에 결합시키며, 상기 자전거본체(40)를 상기 베이스부재(10)에 대하여 상방향으로 탄성지지한다.
상기 탄성부재(50)는 상기 제1개방공(11)과 제2개방공(12) 사이에서 상기 베이스부재(10)의 상부에 배치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50)는 상기 자전거본체(40)가 좌우방향으로 기울어짐에 따라 압축되었다가 탄성복원되면서 상기 자전거본체(40)를 원위치로 복원시킨다.
이러한 상기 탄성부재(50)는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판(51)과, 코일스프링(52)과, 지지축(5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판(51)은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자전거본체(40)의 하부에 결합된다.
상기 코일스프링(52)은 상기 지지판(51)의 하부와 상기 베이스부재(10)의 상면 사이에서 설치된다.
상기 코일스프링(52)은 다수개로 이루어져 상기 자전거본체(40)의 양측에 배치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자전거본체(40)가 외력에 의해 좌우방향으로 기울어지게 되면, 상기 지지판(51)이 상기 자전거본체(40)의 양측에 위치한 상기 코일스프링(52) 중 어느 한쪽을 눌려 압축시키게 된다.
그러다가 외력이 제거되게 되면, 압축된 상기 코일스프링(52)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자전거본체(40)는 원상태로 복원되게 된다.
위와 같은 상기 코일스프링(52)에 의해 상기 자전거본체(40)에 탑승한 탑승자는 실제 자전거를 탄 것과 같은 느낌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지지축(53)은 상기 코일스프링(52)을 관통하면서 상기 지지판(51)과 상기 베이스부재(10)에 결합된다.
상기 지지판(51)과 베이스부재(10)에 결합되는 상기 지지축(53)의 체결량에 따라, 상기 지지판(51)과 베이스부재(10) 사이된 배치된 상기 코일스프링(52)의 길이가 가변되어, 상기 코일스프링(52)의 탄성복원력 등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5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판(51)의 하면과 상기 코일스프링(52)의 상부 사이 및/또는 상기 베이스부재(10)의 상면과 상기 코일스프링(52)의 하부 사이에 배치되는 완충패드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도면에서는 상기 코일스프링(52)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상기 완충패드를 배치하였다.
이때 상기 완충패드는 고무, 실리콘, 스티로폼 등으로 이루어져, 상기 코일스프링(52)의 압축시 완충효과를 높일 수 있으며, 상기 코일스프링(52)이 상기 지지면의 하면 및/또는 상기 베이스부재(10)의 상면에 접하면서 발생되는 마모 또는 소음을 줄일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완충패드는 상기 코일스프링(52)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핸들부(60)는 상기 자전거본체(40)의 전방에 결합된다.
이러한 상기 핸들부(60)는 상기 자전거본체(40)의 전방에 고정 결합될 수도 있고, 수평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핸들부(60)가 상기 자전거본체(40)의 전방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경우, 상기 자전거본체(40)에 대한 상기 핸들부(60)의 독립적인 회전 가능 여부를 조정하는 회전조정부재(65)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회전조정부재(65)에 의해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핸들부(60)는 상기 자전거본체(40)에 고정되거나 또는 독립적으로 회전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조정부재(65)는 상기 자전거본체(40)에 결합된 제1브라켓(66)과, 상기 핸들부(60)의 회전축에 결합된 제2브라켓(67)과, 상기 제1브라켓(66)과 제2브라켓(67)을 관통하는 고정축(68)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축(68)이 상기 제1브라켓(66)과 제2브라켓(67)을 관통하여 삽입되면, 상기 핸들부(60)는 상기 자전거본체(40)로부터 회전되지 못하게 되고, 상기 고정축(68)이 상기 제1브라켓(66) 또는 제2브라켓(67)으로부터 분리되면 상기 핸들부(60)는 상기 자전거본체(40)로부터 자유롭게 독립적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핸들부(60)의 하부에 양측에는 스토퍼(61)가 장착된다.
상기 스토퍼(61)는 상기 핸들부(60)의 회전시 상기 자전거본체(40)에 접하여 상기 핸들부(60)가 일정한 각도 이내에서만 수평 회전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스토퍼(61)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핸드부의 회전시 상기 스토퍼(61)가 상기 자전거본체(40)에 접하여 회전이 일정한 각도 이내에서만 수평 회전되도록 하였다.
상기 제1바퀴(71)는 상기 핸들부(60)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결합되고, 상기 제1개방공(11)을 통해 상기 벨트부재(20)에 접하여 회전한다.
상기 핸들부(60)가 상기 자전거본체(4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경우, 상기 제1바퀴(71)는 상기 핸들부(60)의 회전시 함께 회전하게 된다.
상기 제2바퀴(72)는 상기 자전거본체(40)의 후방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결합되고, 상기 제2개방공(12)을 통해 상기 벨트부재(20)의 접하여 회전한다.
즉, 상기 제1바퀴(71) 및 제2바퀴(72)는 각각 상기 제1개방공(11)과 제2개방공(12)을 통해 상기 벨트부재(20)에 접하기 때문에, 상기 벨트부재(20)의 회전시 상기 제1바퀴(71) 및 제2바퀴(72)는 회전하게 된다.
이를 통해 탑승자는 실제 이동하지 않으면서도 상기 제1바퀴(71) 및 제2바퀴(72)의 회전에 의해 실제 이동하는 것과 같은 느낌을 받을 수 있다.
상기 VR헤드셋(80)은 상기 자전거본체(40)에 탑승한 탑승자가 착용한다.
이러한 상기 VR헤드셋(80)은 종래의 공지된 제품을 이용하면 충분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어부(9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VR헤드셋(80)을 통해 실행되는 가상현실프로그램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90)는 상기 VR헤드셋(80)에 장착되어 있을 수도 있고, 별도의 장소에 장착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이러한 상기 제어부(90)는 상기 자전거본체(40)의 자세변화에 의해 상기 VR헤드셋(80)에서 실행되는 가상현실프로그램을 제어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90)는 상기 자전거본체(40)가 좌우방향으로 기울어짐에 따라 상기 VR헤드셋(80)에서 실행되는 상기 가상현실프로그램에서의 진행 방향 또는 자세를 변환시킨다.
또한, 상기 핸들부(60)에는 상기 제어부(90)와 연결되는 자이로센서(62)가 장착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90)는 상기 핸들부(60)의 수평 방향 회전시 상기 VR헤드셋(80)에서 실행되는 상기 가상현실프로그램에서의 진행 방향을 변환시킨다.
또한, 상기 핸들부(60)에는 VR용 장난감총(85)이 장착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핸들부(60) 또는 장난감총(85)에는 상기 제어부(90)와 연결되는 자이로센서(86)가 장착된다.
상기 장난감총(85)은 상기 제어부(90)를 통해 상기 VR헤드셋(80)에서 실행되는 상기 가상현실프로그램에 연결되어 상기 장난감총(85)의 사격시 상기 가상현실프로그램에서 사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90)는 상기 장난감총(85)이 장착된 상기 핸들부(60)의 수평 방향 회전시 상기 VR헤드셋(80)에서 실행되는 상기 가상현실프로그램에서의 진행 방향을 변환시키도록 한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의 VR용 실내자전거 장치에 의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탑승자는 실내에서 자전거를 타면서 실제 외부에서 자전거를 타는 것과 같은 느낌을 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VR헤드셋(80)을 착용한 상태에서 상기 핸들부(60)와 장난감총(85)의 동작에 따라 VR헤드셋(80)에서 실행되는 가상현실프로그램이 작동됨으로써, 보다 생동감 있는 게임, 운동 등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인 VR용 실내자전거 장치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 : 베이스부재, 11 : 제1개방공, 12 : 제2개방공,
20 : 벨트부재, 21 : 가이드롤러, 22 : 가이드홈,
30 : 구동부,
40 : 자전거본체,
50 : 탄성부재, 51 : 지지판, 52 : 코일스프링, 53 : 지지축,
60 : 핸들부, 61 : 스토퍼, 62 : 자이로센서, 65 : 회전조정부재, 66 : 제1브라켓, 67 : 제2브라켓, 68 : 고정축,
71 : 제1바퀴, 72 : 제2바퀴,
80 : VR헤드셋, 85 : 장난감총, 86 : 자이로센서,
90 : 제어부.

Claims (9)

  1. 상부에 제1개방공과 제2개방공이 형성된 베이스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의 내부에 배치되는 무한궤도 형상의 벨트부재와;
    상기 벨트부재를 회전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베이스부재의 상부에 배치되는 자전거본체와;
    상기 자전거본체의 하부를 상기 베이스부재의 상부에 결합시켜 상기 자전거본체를 상기 베이스부재에 대하여 상방향으로 탄성지지하고, 상기 자전거본체가 좌우방향으로 기울어짐에 따라 압축되었다가 탄성복원되면서 상기 자전거본체를 원위치로 복원시키는 탄성부재와;
    상기 자전거본체의 전방에 결합된 핸들부와;
    상기 핸들부의 하부에 힌지결합되고, 상기 제1개방공을 통해 상기 벨트부재에 접하여 회전하는 제1바퀴와;
    상기 자전거본체의 후방에 힌지결합되고, 상기 제2개방공을 통해 상기 벨트부재의 접하여 회전하는 제2바퀴와;
    상기 자전거본체에 탑승한 탑승자가 착용하는 VR헤드셋과;
    VR헤드셋을 통해 실행되는 가상현실프로그램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전거본체의 자세변화에 의해 상기 VR헤드셋에서 실행되는 가상현실프로그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R용 실내자전거 장치.
  2.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자전거본체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자전거본체의 양측방향으로 길게 배치된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하부와 상기 베이스부재의 상면 사이에서, 상기 자전거본체의 양측으로 배치되는 다수개의 코일스프링과;
    상기 코일스프링을 관통하면서 상기 지지판과 베이스부재에 결합되는 지지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지지판과 베이스부재에 결합되는 상기 지지축의 체결량에 따라, 상기 지지판과 베이스부재 사이된 배치된 상기 코일스프링의 길이가 가변되고,
    상기 자전거본체가 좌우방향으로 기울어짐에 따라 상기 지지판이 상기 코일스프링을 압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R용 실내자전거 장치.
  3. 청구항2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전거본체가 좌우방향으로 기울어짐에 따라 상기 VR헤드셋에서 실행되는 상기 가상현실프로그램에서의 진행 방향 또는 자세를 변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R용 실내자전거 장치.
  4. 청구항2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지지판의 하면과 상기 코일스프링의 상부 사이 또는 상기 베이스부재의 상면과 상기 코일스프링의 하부 사이에 배치되는 완충패드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완충패드는 상기 코일스프링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VR용 실내자전거 장치.
  5.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는 상기 자전거본체의 전방에 수평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바퀴는 상기 핸들부와 함께 수평방향을 회전되며,
    상기 핸들부에는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는 자이로센서가 장착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핸들부의 수평 방향 회전시 상기 VR헤드셋에서 실행되는 상기 가상현실프로그램에서의 진행 방향을 변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R용 실내자전거 장치.
  6.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는 상기 자전거본체의 전방에 수평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바퀴는 상기 핸들부와 함께 수평방향을 회전되며,
    상기 핸들부에는 VR용 장난감총이 장착되고,
    상기 핸들부 또는 장난감총에는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는 자이로센서가 장착되되,
    상기 장난감총은 상기 제어부를 통해 상기 VR헤드셋에서 실행되는 상기 가상현실프로그램에 연결되어 상기 장난감총의 사격시 상기 가상현실프로그램에서 사격이 이루어지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장난감총이 장착된 상기 핸들부의 수평 방향 회전시 상기 VR헤드셋에서 실행되는 상기 가상현실프로그램에서의 진행 방향을 변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R용 실내자전거 장치.
  7. 청구항5 또는 청구항6에 있어서,
    상기 자전거본체에 대한 상기 핸들부의 독립적인 회전 가능 여부를 조정하는 회전조정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회전조정부재에 의해 상기 핸들부는 상기 자전거본체에 고정되거나 또는 독립적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R용 실내자전거 장치.
  8. 청구항7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의 하부에 양측에 장착되어, 상기 핸들부의 회전시 상기 자전거본체에 접하여 상기 핸들부가 일정한 각도 이내에서 수평 회전되도록 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VR용 실내자전거 장치.
  9.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재의 내부에서 상기 벨트부재의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벨트부재가 좌우방향 치우지는 것을 방지하는 가이드롤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가이드롤러에는 상기 벨트부재가 삽입되어 이송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VR용 실내자전거 장치.
KR1020170004954A 2017-01-12 2017-01-12 Vr용 실내자전거 장치 KR2018008307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4954A KR20180083078A (ko) 2017-01-12 2017-01-12 Vr용 실내자전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4954A KR20180083078A (ko) 2017-01-12 2017-01-12 Vr용 실내자전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3078A true KR20180083078A (ko) 2018-07-20

Family

ID=63103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4954A KR20180083078A (ko) 2017-01-12 2017-01-12 Vr용 실내자전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83078A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45458A1 (ko) * 2019-09-03 2021-03-11 주식회사 리얼디자인테크 자전거 시뮬레이터
JP2021142107A (ja) * 2020-03-12 2021-09-24 公生 ▲高▼橋 自転車用トレーニング装置
US20220047916A1 (en) * 2020-08-13 2022-02-17 Too Hwan Kang Indoor cycle machine providing user with virtual experience and exercise without straining knee
WO2022103759A1 (en) * 2020-11-11 2022-05-19 Total Gym Global Corp. Exercise device system and method of using same
KR20220069602A (ko) 2020-11-20 2022-05-27 주식회사 제이씨메디랩 관광용 vr 컨텐츠와 연동되는 자전거
JP2022535715A (ja) * 2019-05-24 2022-08-10 株式会社リアルデザインテック 自転車シミュレータ、及びそれを利用するブロックチェーン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WO2022175710A1 (en) * 2021-02-17 2022-08-25 Nourdidehgharehbagh Hamid Virtual tour mechanism
US20220387870A1 (en) * 2020-09-09 2022-12-08 Qingdao Magene Intelligence Technology Co., Ltd. Flexible trainer stand for indoor cycling
WO2023221722A1 (zh) * 2022-05-18 2023-11-23 上海大动科技有限公司 多自由度单车及其控制方法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31A (ja) * 1992-06-19 1994-01-1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フィットネスサイクリングシステム
US20120071300A1 (en) * 2009-05-28 2012-03-22 Ben Gurion University Of The Negev Research And Development Authority Balance perturbation system and trainer
KR20120071425A (ko) 2010-12-23 2012-07-03 최장원 운동용자전거
KR20120128525A (ko) * 2011-05-17 2012-11-27 강두환 커빙 시뮬레이션 장치
KR20120130662A (ko) * 2011-05-23 2012-12-03 강두환 커브기능을 가진 실내 사이클 머신
KR101520816B1 (ko) * 2013-12-30 2015-05-15 동신대학교산학협력단 가상 현실 게임을 위한 헬스 자전거
KR20160076547A (ko) * 2014-12-23 2016-07-01 김동훈 자전거 시뮬레이션 장치
KR20160092076A (ko) * 2015-01-26 2016-08-04 최동황 발목 펌핑기
KR101642405B1 (ko) * 2015-09-25 2016-08-10 주식회사 호미 승마 운동 기반의 게임 시스템 및 방법
CN105963914A (zh) * 2016-03-03 2016-09-28 河南汇亚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vr动感单车
CN106178405A (zh) * 2016-08-06 2016-12-07 许晓鹏 一种电子健身车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31A (ja) * 1992-06-19 1994-01-1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フィットネスサイクリングシステム
US20120071300A1 (en) * 2009-05-28 2012-03-22 Ben Gurion University Of The Negev Research And Development Authority Balance perturbation system and trainer
KR20120071425A (ko) 2010-12-23 2012-07-03 최장원 운동용자전거
KR20120128525A (ko) * 2011-05-17 2012-11-27 강두환 커빙 시뮬레이션 장치
KR20120130662A (ko) * 2011-05-23 2012-12-03 강두환 커브기능을 가진 실내 사이클 머신
KR101520816B1 (ko) * 2013-12-30 2015-05-15 동신대학교산학협력단 가상 현실 게임을 위한 헬스 자전거
KR20160076547A (ko) * 2014-12-23 2016-07-01 김동훈 자전거 시뮬레이션 장치
KR20160092076A (ko) * 2015-01-26 2016-08-04 최동황 발목 펌핑기
KR101642405B1 (ko) * 2015-09-25 2016-08-10 주식회사 호미 승마 운동 기반의 게임 시스템 및 방법
CN105963914A (zh) * 2016-03-03 2016-09-28 河南汇亚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vr动感单车
CN106178405A (zh) * 2016-08-06 2016-12-07 许晓鹏 一种电子健身车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2535715A (ja) * 2019-05-24 2022-08-10 株式会社リアルデザインテック 自転車シミュレータ、及びそれを利用するブロックチェーン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WO2021045458A1 (ko) * 2019-09-03 2021-03-11 주식회사 리얼디자인테크 자전거 시뮬레이터
CN114340745A (zh) * 2019-09-03 2022-04-12 瑞尔设计科技有限公司 自行车模拟器
CN114340745B (zh) * 2019-09-03 2024-01-19 瑞尔设计科技有限公司 自行车模拟器
JP2021142107A (ja) * 2020-03-12 2021-09-24 公生 ▲高▼橋 自転車用トレーニング装置
US20220047916A1 (en) * 2020-08-13 2022-02-17 Too Hwan Kang Indoor cycle machine providing user with virtual experience and exercise without straining knee
US11524208B2 (en) * 2020-08-13 2022-12-13 Vrcarver Inc. Indoor cycle machine providing user with virtual experience and exercise without straining knee
US20220387870A1 (en) * 2020-09-09 2022-12-08 Qingdao Magene Intelligence Technology Co., Ltd. Flexible trainer stand for indoor cycling
WO2022103759A1 (en) * 2020-11-11 2022-05-19 Total Gym Global Corp. Exercise device system and method of using same
KR20220069602A (ko) 2020-11-20 2022-05-27 주식회사 제이씨메디랩 관광용 vr 컨텐츠와 연동되는 자전거
WO2022175710A1 (en) * 2021-02-17 2022-08-25 Nourdidehgharehbagh Hamid Virtual tour mechanism
WO2023221722A1 (zh) * 2022-05-18 2023-11-23 上海大动科技有限公司 多自由度单车及其控制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83078A (ko) Vr용 실내자전거 장치
US1153465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n interactive pedaled exercise device
KR101194699B1 (ko) 곡선트랙 시뮬레이션 장치
US10427043B2 (en) Bicycle-type game simulation device
JP5243252B2 (ja) ローラ・トレーナ・アセンブリ
KR101545518B1 (ko) 가상현실 연동 실내자전거
US20020055422A1 (en) Stationary exercise apparatus adaptable for use with video games and including springed tilting features
US20070049467A1 (en) Exercise apparatus
JP7410364B2 (ja) シミュレーション装置の操作ペダル及び操作方法
EP1951385A1 (en) Indoor exercise cycle with tilt function
KR101267965B1 (ko) 커브기능을 가진 실내 사이클 머신
KR101758045B1 (ko) 체감형 시뮬레이터 장치
JP2021126520A (ja) 横方向に移動可能な室内用自転車スタンド
KR101937243B1 (ko) 경주형 체험 시뮬레이션 장치
KR102024865B1 (ko) 시뮬레이션 장치
KR101848427B1 (ko) 사이클 거치형 무동력 시뮬레이션 장치
US9579542B2 (en) Networked game system having multiple full-body exercise apparatus controllers
KR101900344B1 (ko) 탱크 바이크 시뮬레이션 장치
KR20220036898A (ko) 슬라이드식으로 접어 좁은공간에 보관이 가능하며 무릎에 무리가 가지 않는 운동이 가능한 사이클 머신
KR101968043B1 (ko) 다중체험이 가능한 가상현실 인터랙션 모듈시스템
KR101530602B1 (ko) 커브트랙장치가 장착된 사이클기기
WO2007081081A1 (en) Horse riding exercise machine
KR101531677B1 (ko) 스케이트보드를 구비한 운동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