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93331A - 냉장고의 이슬맺힘 방지 방법 - Google Patents

냉장고의 이슬맺힘 방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93331A
KR20140093331A KR1020130004154A KR20130004154A KR20140093331A KR 20140093331 A KR20140093331 A KR 20140093331A KR 1020130004154 A KR1020130004154 A KR 1020130004154A KR 20130004154 A KR20130004154 A KR 20130004154A KR 20140093331 A KR20140093331 A KR 201400933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tor
operation rate
heater
reference operation
humid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41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익
Original Assignee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041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93331A/ko
Publication of KR201400933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33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2Wall, ceiling, or floor bases; Fixing pendants or arms to the bases
    • F21V21/04Recessed bases
    • F21V21/049Mounting arrangements for attaching lighting devices to the ceiling, the lighting devices being recessed in a false or stretched ceil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22Connection of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2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by screw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의 이슬맺힘 방지 방법에 관한 것으로, 제어부가 냉장고의 운전 모드에 기초하여 이슬맺힘 방지 히터의 기준 운전율을 결정하는 단계, 습도 센서를 통해 외기 습도를 측정하는 단계, 측정된 외기 습도에 기초하여 제어부가 기준 운전율을 변경하는 단계 및 제어부가 변경된 기준 운전율로 이슬맺힘 방지 히터를 동작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냉장고의 운전 모드 및 외기습도에 따라 이슬맺힘 방지 히터의 적절한 운전율을 결정하므로, 냉장고의 온도 및 습도를 반영하여 효과적으로 냉장고의 이슬맺힘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냉장고의 이슬맺힘 방지 방법{METHOD FOR PREVENTING DEW FORMATION OF 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의 이슬맺힘 방지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냉장고의 운전 모드 및 외기 습도에 기초하여 이슬맺힘 방지 히터의 운전율을 제어함으로써 이슬맺힘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냉장고의 이슬맺힘 방지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육류, 야채 또는 과일 등을 저온 냉장 보관하거나 냉동시켜 장기간 신선도를 유지시키는 장치로서, 액체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온도를 상승시키면 기화되고 기체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온도를 하강시키면 액화되는 성질을 이용하여 저온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냉장고의 고내와 외부의 온도 차이는 심한 경우 수십도 이상의 차이가 나타날 때가 있다.
이 때 외부 환경이 고온 다습한 경우에는 냉장고 전면의 도어에 인접한 수증기가 응결하여 이슬이 맺히게 되는데, 이러한 이슬맺힘은 냉장고 내부의 저온 상태의 냉기와 외부의 상온 또는 고온의 수증기가 접촉되었을 때 상온 또는 고온의 수증기가 열을 방출하면서 액화되기 때문에 발생한다.
이러한 이슬맺힘은 냉장고 도어의 개방시 냉장고 내부의 온도와 냉장고 외부의 온도차 등에 의해 도어와 냉장고 본체가 접촉되는 부위에 주로 발생한다.
종래에는 이슬맺힘을 방지하기 위해서 냉장고 도어의 가장자리 또는 냉동실과 냉장실을 분리하는 격벽 부위에 이슬맺힘 방지 히터를 내장하여, 도어의 가장자리 또는 격벽 부위에 이슬이 맺히는 것을 방지하였다.
그러나 기존에는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히터를 동작시켰기 때문에 불필요한 히터 구동으로 전력이 낭비되고 실제로 히터 동작이 필요할 때는 동작하지 않음으로써 적절하게 이슬맺힘을 방지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0577124 호(2006.04.28.공고, 발명의 명칭 : 냉장고의 앞판 이슬맺힘 방지장치 및 그 방법)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냉장고의 운전 모드에 따라 이슬맺힘 방지 히터의 기준 운전율을 결정하고, 냉장고의 외기 습도에 기초하여 기준 운전율을 변경함으로써 이슬맺힘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냉장고의 이슬맺힘 방지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냉장고의 이슬맺힘 방지 방법은 제어부가 냉장고의 운전 모드에 기초하여 이슬맺힘 방지 히터의 기준 운전율을 결정하는 단계; 습도 센서를 통해 외기 습도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외기 습도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부가 상기 기준 운전율을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변경된 기준 운전율로 상기 이슬맺힘 방지 히터를 동작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상기 이슬맺힘 방지 히터의 기준 운전율을 결정하는 단계에서, 상대적으로 더 저온으로 동작하는 냉장고의 운전 모드일 수록 상기 기준 운전율을 더 높게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기준 운전율을 변경하는 단계에서 상기 외기 습도에 비례하도록 상기 기준 운전율을 더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이슬맺힘 방지 히터를 동작시키는 단계에서 상기 이슬맺힘 방지 히터의 온, 오프의 비율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변경된 기준 운전율로 상기 이슬맺힘 방지 히터를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냉장고의 운전 모드 및 외기습도에 따라 이슬맺힘 방지 히터의 적절한 운전율을 결정하므로, 냉장고의 온도 및 습도를 반영하여 효과적으로 냉장고의 이슬맺힘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이슬맺힘 방지 장치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이슬맺힘 방지 방법의 구현 과정을 설명하는 절차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운전 모드에 기초하여 이슬맺힘 방지 히터의 기준 운전율을 결정하는 과정을 구체화한 절차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외기 습도에 기초하여 이슬맺힘 방지 히터의 기준 운전율을 변경하는 과정을 구체화한 절차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이슬맺힘 방지 방법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이슬맺힘 방지 장치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이슬맺힘 방지 장치는 습도 센서(10), 제어부(20), 메모리부(30) 및 이슬맺힘 방지 히터(40)를 포함한다.
습도 센서(10)는 대기 중의 습도를 측정하는 장치로서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냉장고 외부에 위치하여, 외기 습도를 측정한다.
즉, 이슬이 맺히는 정도는 대기 중의 수증기 양에 따라서 달라지기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는 습도 센서(10)를 통해서 외기 습도를 측정하고, 이에 기초하여 이슬맺힘 방지 히터(40)의 기준 운전율을 변경한다.
제어부(20)는 냉장고의 운전 모드에 기초하여 이슬맺힘 방지 히터(40)의 기준 운전율을 결정하되, 습도 센서(10)를 통해 측정된 외기 습도에 기초하여 이슬맺힘 방지 히터(40)의 기준 운전율을 변경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0)는 상대적으로 더 저온에서 동작하는 냉장고의 운전 모드일 수록 기준 운전율을 더 높게 결정하고, 상대적으로 더 고온에서 동작하는 냉장고의 운전 모드일 수록 기준 운전율을 더 낮게 결정한다.
즉, 냉장고가 상대적으로 더 저온으로 동작할 경우에 냉장고 내부와 외부의 온도 차이가 커지면서 이슬맺힘이 더 많이 발생하기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 제어부(20)는 상대적으로 더 저온으로 동작하는 운전 모드에서 이슬맺힘 방지 히터(40)의 기준 운전율을 더 높게 결정함으로써 이슬맺힘을 방지한다.
또한 제어부(20)는 습도 센서(10)를 통해서 측정한 외기 습도에 비례하도록 기준 운전율을 더 증가시키는데, 구체적으로 외기 습도가 상대적으로 더 높을수록 기준 운전율을 더 많이 증가시키고, 외기 습도가 상대적으로 더 낮을수록 기준 운전율을 더 적게 증가시킨다.
즉, 외기 습도가 상대적으로 더 높을수록 이슬로 맺힐 수 있는 수증기가 많은 것이므로, 본 실시예에서 제어부(20)는 상대적으로 외기 습도가 더 높을수록 냉장고의 운전 모드에 기초하여 결정한 이슬맺힘 방지 히터(40)의 기준 운전율을 더 많이 증가시킴으로써 이슬맺힘을 방지한다.
메모리부(30)는 냉장고의 운전 모드에 대응하여 이슬맺힘 방지 히터(40)를 동작시킬 기준 운전율과 냉장고의 외기 습도에 대응하여 이슬맺힘 방지 히터(40)의 운전율을 변경할 변화율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다.
그리고 제어부(20)는 메모리부(30)로부터 해당 데이터를 읽어 와서 이슬맺힘 방지 히터(40)의 기준 운전율을 결정 및 변경한다.
이슬맺힘 방지 히터(40)는 열을 발생시켜 이슬맺힘을 방지하는 장치로서, 일례로 이슬이 맺히기 쉬운 냉장고의 도어 측에 위치하여 열을 발생시킴으로써 이슬맺힘을 방지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제어부(20)는 이슬맺힘 방지 히터(40)의 온, 오프 비율을 조절함으로써, 이슬맺힘 방지 히터(40)를 기준 운전율로 동작시킨다. 즉, 이슬맺힘 방지 히터(40)의 온 비율을 증가시킴으로써 기준 운전율을 증가시키고, 이슬맺힘 방지 히터(40)의 오프 비율을 증가시킴으로써 기준 운전율을 감소시킨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제어부(20)는 냉장고의 운전 모드 및 냉장고의 외기 습도에 기초하여 이슬맺힘 방지 히터(40)를 동작시키며, 보다 구체적인 이슬맺힘 방지 히터(40)의 제어 방법은 후술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이슬맺힘 방지 방법의 구현 과정을 설명하는 절차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운전 모드에 기초하여 이슬맺힘 방지 히터의 기준 운전율을 결정하는 과정을 구체화한 절차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외기 습도에 기초하여 이슬맺힘 방지 히터의 기준 운전율을 변경하는 과정을 구체화한 절차 흐름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이슬맺힘 방지 방법의 구현 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제어부(20)는 냉장고의 운전 모드에 기초하여 이슬맺힘 방지 히터(40)의 기준 운전율을 결정한다(S10).
도 3을 참조하면, 구체적으로 제어부(20)는 상대적으로 더 저온에서 동작하는 냉장고의 운전 모드일 수록 기준 운전율을 더 높게 결정하고, 상대적으로 더 고온에서 동작하는 냉장고의 운전 모드일 수록 기준 운전율을 더 낮게 결정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운전 모드는 냉동 운전, 생동 운전 및 냉장 운전을 포함할 수 있으며, 냉동 운전이 상대적으로 가장 저온에서 동작하고 냉장 운전이 상대적으로 가장 고온에서 동작한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고가 냉동 운전(S13-a) 중인 경우에 제어부(20)는 이슬맺힘 방지 히터(40)의 기준 운전율을 50%로 결정하고(S15-a), 생동 운전(S13-b) 중인 경우에 제어부(20)는 기준 운전율을 30%로 결정하며(S15-b), 냉장 운전(S13-c) 중인 경우에 제어부(20)는 기준 운전율을 10%로 결정한다(S15-c).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제어부(20)는 이슬맺힘 방지 히터(40)의 온, 오프 비율을 조절함으로써 이슬맺힘 방지 히터(40)를 기준 운전율로 동작시키는데, 일례로 기준 운전율을 50%로 결정한 경우에는 50초 동안 이슬맺힘 방지 히터(40)를 온 시키고, 50초 동안 이슬맺힘 방지 히터(40)를 오프 시키는 과정을 반복하는 방식으로 이슬맺힘 방지 히터(40)를 동작시킨다.
본 실시예에 따른 기준 운전율의 구체적인 수치나 이슬맺힘 방지 히터(40)의 온, 오프 반복 시간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냉장고의 운전 모드에 따른 상대적 온도와 이슬맺힘 방지 히터(40)의 기준 운전율의 대응 관계에 기초하여 자유롭게 변경이 가능하다.
그리고 제어부(20)는 습도 센서(10)를 통해서 냉장고의 외기 습도를 측정한다(S20). 즉, 이슬이 맺히는 정도는 대기 중의 수증기 양에 따라서 결정되기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는 습도 센서(10)를 통해서 외기 습도를 측정하고, 이를 이슬맺힘 방지 히터(40)의 운전율에 반영한다.
다음으로 제어부(20)는 측정된 외기 습도에 기초하여 이슬맺힘 방지 히터(40)의 기준 운전율을 변경한다(S30).
도 4를 참조하면, 제어부(20)는 습도 센서(10)를 통해서 측정한 외기 습도에 비례하도록 기준 운전율을 더 증가시키는데, 구체적으로 외기 습도가 상대적으로 더 높을수록 기준 운전율을 더 많이 증가시키고, 외기 습도가 상대적으로 더 낮을수록 기준 운전율을 더 적게 증가시킨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기 습도가 90% 이상이면(S31) 이슬로 맺힐 수 있는 수증기가 많은 것이므로, 이슬맺힘 방지 히터(40)의 기준 운전율을 40%만큼 증가시킨다(S32).
또한 외기 습도가 80% 이상이면(S33) 이슬로 맺힐 수 있는 수증기가 상대적으로 적은 것이므로, 이슬맺힘 방지 히터(40)의 기준 운전율을 30%만큼 증가시키고(S34), 마찬가지로 외기 습도가 70% 이상이면(S35) 이슬맺힘 방지 히터(40)의 기준 운전율을 20%만큼 증가시키며(S36), 외기 습도가 60% 이상이면(S37) 이슬맺힘 방지 히터(40)의 기준 운전율을 10%만큼 증가시킨다(S38).
반면 외기 습도가 60% 미만이면 냉장고 내부와 외부의 온도 차이에 따른 이슬맺힘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정도의 수증기만이 외부에 존재하는 것이므로, 기준 운전율을 변화시키지 않는다.
즉, 본 실시예에서 제어부(20)는 상대적으로 외기 습도가 더 높을수록 냉장고의 운전 모드에 기초하여 결정한 이슬맺힘 방지 히터(40)의 기준 운전율을 더 증가시킴으로써 이슬맺힘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전술한 외기 습도의 판단 기준 및 이슬맺힘 방지 히터(40)의 운전율을 증가시키는 비율은 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므로, 냉장고의 외기 습도와 이슬맺힘 방지 히터(40)의 운전율 증가량의 대응 관계에 기초하여 자유롭게 변경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냉장고의 운전 모드 및 외기습도에 따라 이슬맺힘 방지 히터(40)의 적절한 운전율을 결정하므로, 냉장고의 온도 및 습도를 반영하여 효과적으로 냉장고의 이슬맺힘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습도 센서 20: 제어부
30: 메모리부 40: 이슬맺힘 방지 히터

Claims (4)

  1. 제어부가 냉장고의 운전 모드에 기초하여 이슬맺힘 방지 히터의 기준 운전율을 결정하는 단계;
    습도 센서를 통해 외기 습도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외기 습도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부가 상기 기준 운전율을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변경된 기준 운전율로 상기 이슬맺힘 방지 히터를 동작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냉장고의 이슬맺힘 방지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슬맺힘 방지 히터의 기준 운전율을 결정하는 단계에서, 상대적으로 더 저온으로 동작하는 냉장고의 운전 모드일 수록 상기 기준 운전율을 더 높게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이슬맺힘 방지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운전율을 변경하는 단계에서 상기 외기 습도에 비례하도록 상기 기준 운전율을 더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이슬맺힘 방지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슬맺힘 방지 히터를 동작시키는 단계에서 상기 이슬맺힘 방지 히터의 온, 오프의 비율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변경된 기준 운전율로 상기 이슬맺힘 방지 히터를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이슬맺힘 방지 방법.
KR1020130004154A 2013-01-14 2013-01-14 냉장고의 이슬맺힘 방지 방법 KR201400933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4154A KR20140093331A (ko) 2013-01-14 2013-01-14 냉장고의 이슬맺힘 방지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4154A KR20140093331A (ko) 2013-01-14 2013-01-14 냉장고의 이슬맺힘 방지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3331A true KR20140093331A (ko) 2014-07-28

Family

ID=517395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4154A KR20140093331A (ko) 2013-01-14 2013-01-14 냉장고의 이슬맺힘 방지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9333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16914A (zh) * 2016-05-30 2016-10-12 Tcl家用电器(合肥)有限公司 防露珠加热控制方法和装置
US10190813B2 (en) 2015-01-21 2019-01-29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WO2019193626A1 (ja) * 2018-04-02 2019-10-10 三菱電機株式会社 冷凍冷蔵庫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90813B2 (en) 2015-01-21 2019-01-29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106016914A (zh) * 2016-05-30 2016-10-12 Tcl家用电器(合肥)有限公司 防露珠加热控制方法和装置
CN106016914B (zh) * 2016-05-30 2019-02-22 Tcl家用电器(合肥)有限公司 防露珠加热控制方法和装置
WO2019193626A1 (ja) * 2018-04-02 2019-10-10 三菱電機株式会社 冷凍冷蔵庫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0325B1 (ko) 아바타 냉장고
CN105806010B (zh) 一种包含可调温湿度区域的风冷冰箱及其控制方法
JP5570191B2 (ja) インキュベータ
RU2655212C1 (ru) Холодильник
US8186173B2 (en) Refrigerator unit and/or freezer unit
CN205337036U (zh) 制冷器具
JP2017141977A (ja) 冷蔵庫
KR20160148969A (ko) 냉장고의 냉기 순환 구조 및 그 제어 방법
US20200355383A1 (en) Wine cellar with humidity control
KR20070094287A (ko) 냉장고 및 그 운전제어방법
JP2009047337A (ja) 冷蔵庫
KR20140093331A (ko) 냉장고의 이슬맺힘 방지 방법
US788322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lamp of refrigerator
WO2016082535A1 (zh) 干燥储物装置及其换风方法
JP5630106B2 (ja) 冷蔵庫
JP2009008326A (ja) 冷蔵庫および冷蔵庫の加湿方法
KR20120011486A (ko) 냉장고
KR20200000089A (ko) 냉장고의 제어방법
WO2016082531A1 (zh) 干燥储物装置及其换风方法
JP6211872B2 (ja) 冷蔵庫
US1042986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frigerator control
JP2016020796A (ja) 冷蔵庫
KR20100034080A (ko)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20050023788A (ko) 냉장고의 온도제어장치
JP2013061082A (ja) 冷蔵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