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92858A - 보행자 에어백 구성체 - Google Patents

보행자 에어백 구성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92858A
KR20140092858A KR1020147014366A KR20147014366A KR20140092858A KR 20140092858 A KR20140092858 A KR 20140092858A KR 1020147014366 A KR1020147014366 A KR 1020147014366A KR 20147014366 A KR20147014366 A KR 20147014366A KR 20140092858 A KR20140092858 A KR 201400928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
main chamber
chambers
chamber
airb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143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51168B1 (ko
Inventor
켄 린드버그
마틴 외스틀링
Original Assignee
오토리브 디벨로프먼트 에이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토리브 디벨로프먼트 에이비 filed Critical 오토리브 디벨로프먼트 에이비
Publication of KR201400928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28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11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11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34Protecting non-occupants of a vehicle, e.g. pedestrians
    • B60R21/36Protecting non-occupants of a vehicle, e.g. pedestrians using air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comprising a plurality of individual compartments; comprising two or more bag-like members, one within the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comprising a plurality of individual compartments; comprising two or more bag-like members, one within the other
    • B60R2021/23308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comprising a plurality of individual compartments; comprising two or more bag-like members, one within the other the individual compartments defining the external shape of the ba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comprising a plurality of individual compartments; comprising two or more bag-like members, one within the other
    • B60R2021/23324Inner walls crating separate compartments, e.g. communicating with v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윈드스크린(21)을 구비한 자동차(20) 상의 보행자 에어백 구성체가 개시된다. 상기 구성체는 팽창 기체(inflating gas)의 수용을 위한 팽창가능한 부피를 가지는 에어백(1)을 포함하며, 상기 에어백(1)의 상기 팽창가능한 부피는, 상기 에어백의 전개가 있을 때의 팽창을 위해 상기 윈드스크린(21)의 적어도 일부 위에 또는 적어도 일부에 걸쳐 연장되도록 구성된 주 챔버(5); 및 복수 개의 부 챔버들(18);을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부 챔버(18)는 상기 에어백의 전개가 있을 때의 팽창을 위해 상기 주 챔버(5)와 상기 윈드스크린(21) 사이에 각 전개 위치(deployed position)를 도입하여 상기 주 챔버(5)가 상기 윈드스크린(21)으로부터 거리를 두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보행자 에어백 구성체 {A pedestrian airbag arrangement}
본 발명은 보행자 에어백 구성체에 관한 것이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윈드스크린을 구비한 자동차 상의 보행자 에어백 구성체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가 보행자와의 전면 충격에 연루된 때에, 보행자의 신체는 차량의 윈드스크린을 가격하여, 보행자에게 심각한 부상을 초래하고 차량에 현저한 손상을 초래할 수 있다. 이를 완화하고자 하는 시도로서, 자동차에 이른바 보행자 에어백을 제공함이 제안되어 왔는바, 상기 보행자 에어백은 보행자와의 충돌이 일어나고 있거나 일어날 것 같음을 차량 센서들이 나타낸다면 윈드스크린의 중심 부분 및/또는 차량의 왼쪽 및 오른쪽 A-필라들(A-pillars)을 덮도록 팽창한다. 전형적으로, 이 일반적 유형의 에어백은 초기에 치밀하게 접힌 그리고/또는 말려진(rolled) 패키지로 제공되며, 차량의 후드 또는 본네트의 후부(rear part)의 바로 밑에(beneath), 또는 윈드스크린의 기저부 및, 후드나 본네트의 후부 사이에 제공되는 카울(cowl)의 바로 밑에 저장된다. 상기 후드 또는 본네트의 후면은 적합한 에어백, 피스톤 또는 다른 구성(arrangement)에 의해 들여올려져 보행자 에어백이 팽창하기 위한 충분한 공간을 허용할 수 있으며, 상기 팽창으로 상기 에어백은 윈드스크린의 적어도 일부 및/또는 차량의 A-필라들을 덮기에 효과적인 방식으로 전개되며, 그럼으로써 차량의 이 부분들과의 보행자의 충격을 흡수(cushion)한다. 대안으로서, 상기 보행자 에어백이 팽창을 시작함에 따라 그것 자체가 후드를 들어올리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상기 보행자 에어백을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한 구성에서는 셀 구조(cell structure)가 후드 바로 밑의 보행자 에어백에 일체화될 수 있으며, 또는 그러한 구성은 상기 후드 또는 본네트의 후부를 들어올리기에 효과적인 방향으로의 에어백이 팽창하도록 안내하기 위한, 에어백에 인접한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런데, 이해될 바에 따르면 차량의 후드 또는 본네트의 후부 아래의 공간은 매우 제한되어, 보행자의 적당한 보호를 보장하도록 충분히 큰 에어백을 편리하게 패키지화함이 어려울 수 있다. 또한, 그러한 구성으로 성공적으로 패키지화된 에어백이 커질수록, 상기 에어백을 팽창시키는 데 요구되는 기체의 부피는 더 커진다(이는 또한 더 큰 팽창기(inflator)를 필요로 한다). 보행자 에어백을 팽창시키기 위한 큰 부피의 기체에 의존하면, 일반적으로 전개 시간이 느려지는 결과가 되고, 이는 보행자의 부상을 막거나 줄이는 에어백의 유효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목적은 개량된 보행자 에어백 구성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윈드스크린을 구비한 자동차 상의 보행자 에어백 구성체로서, 보행자 에어백 구성체는, 팽창 기체의 수용을 위한 팽창가능한 부피를 가지는 에어백을 포함하며, 상기 에어백의 상기 팽창가능한 부피는, 상기 에어백의 전개시 상기 윈드스크린의 적어도 일부에 걸쳐 또는 적어도 일부를 가로질러 연장되도록 팽창되게끔 구성된 주 챔버; 및 복수 개의 부 챔버들;을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부 챔버는 상기 에어백의 전개시의 팽창을 위해 상기 주 챔버와 상기 윈드스크린 사이에 개별적인 전개 위치(deployed position)를 도입하여 상기 주 챔버가 상기 윈드스크린으로부터 거리를 두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 에어백 구성체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부 챔버들의 각 전개 위치들은 서로로부터 이격된다.
유리하게는, 상기 부 챔버들의 상기 전개 위치들은 상기 차량을 가로지르는 횡방향으로 서로 이격된다.
편리하게는, 상기 주 챔버 및 각각의 상기 부 챔버는 유연성 재료로부터 형성되고, 각 상기 부 챔버를 형성하는 재료는 상기 주 챔버를 형성하는 재료에 연결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연성 재료는 직물이며, 각 상기 부 챔버를 형성하는 직물은 상기 주 챔버를 형성하는 직물에 봉합된다.
유리하게는, 상기 부 챔버들은 상기 주 챔버와 일체로 형성된다(formed integrally).
편리하게는, 상기 에어백은 직물 재료로부터 형성되고, 상기 부 챔버들 및 상기 주 챔버는 일체 직조 기법(one-piece weaving technique)을 통해 일체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각 부 챔버의 부분(part)은, 상기 주 챔버를 한정하는 유연성 재료의 각 영역(region)에 의해 한정된다.
유리하게는, 각각의 상기 부 챔버는 상기 주 챔버와 유체 소통되게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체 소통은 상기 주 챔버 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개구(aperture)에 의해 제공된다.
편리하게는, 상기 구성체는 작동 시에(upon actuation) 상기 주 챔버 내로 팽창 기체의 부피를 향하게 하는 팽창기(inflator)를 더 포함하고, 각 상기 부 챔버는, 상기 주 챔버로부터의 상기 팽창 기체의 유동을 통한 팽창을 위해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각 상기 부 챔버의 팽창가능한 부피는 상기 주 챔버의 팽창가능한 부피보다 작다.
유리하게는, 상기 부 챔버들의 팽창가능한 총 부피는 상기 주 챔버의 팽창가능한 부피보다 작다.
편리하게는, 상기 주 챔버 및 각 상기 부 챔버는 팽창되었을 때 실질적으로 신장된(elongate) 구성을 갖고, 각각의 상기 부 챔버의 전개 위치는 전체적으로(generally) 상기 주 챔버의 팽창된 위치에 대해 직각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주 챔버는 팽창되었을 때 전체적으로 길고 아치형의(arcuate) 구성을 갖고, 각각의 부 챔버는 팽창되었을 때 실질적으로 신장된(elongate) 구성을 갖고, 상기 부 챔버들의 전개 위치들은 상기 주 챔버의 개별의 인접 영역(region)들에 대해 전체적으로 직각이다.
유리하게는, 상기 각각의 부 챔버는 실질적으로 그것의 전체 길이에 걸쳐 상기 주 챔버에 연결된다.
편리하게는, 각각의 상기 부 챔버는 상기 차량의 상기 윈드스크린을 향한 곡선형인 외면(curved outer surface)을 나타내는 팽창 구성(inflated configuration)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주 챔버는 서로 유체 소통되는 복수 개의 팽창가능 셀들로 세분화되며(sub-divided), 각각의 상기 부 챔버는 상기 셀들 중 적어도 하나와 유체 소통되게 제공된다.
본 발명이 더 쉽게 이해될 수 있도록,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특징들이 이해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이제 예시로써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을 구체화하는 보행자 에어백의 생산의 초기 단계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여기에는 중첩된 2개 시트(sheet)들의 유연성 재료가 도시된다.
도 2는 일반적으로 도 1에 대응되는 도면으로서, 여기에는 팽창가능한 주 챔버를 한정하도록 시트들의 주변 가장자리(peripheral edges) 주변에서 연결되는 상기 시트들이 도시된다.
도 3은 상기 에어백의 구성(construction)에 이용되는 유연성 재료의 단편들이 더 도시되는 평면도이다.
도 4는 상기 에어백의 다른 일 부분을 형성하기 위해 서로 연결된, 도 3에 도시된 직물 단편들이 도시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상기 에어백의 팽창가능한 각각의 부 챔버들을 한정하기 위해, 도 2에 도시된 상기 팽창가능한 주 챔버에 연결된, 도 4에 도시된 유형의 다수의 부분(part)들이 도시되는 사시도이다.
도 6은 자동차의 윈드스크린에 걸친 전개 위치에서의 도 5의 에어백이 도시되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선(VII-VII)을 따라 취한 단면도로서, 여기에는 상기 차량의 윈드스크린에 대해 팽창된 에어백의 단면 구성이 도시된다.
도 8은 도 5와 유사한 사시도이지만, 여기에는 본 발명에 따라 구체화된 에어백의 대안적 구성이 도시된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에어백의 사시도로서, 여기에는 뒤에서부터 그리고 아래에서부터 본 바와 같은 에어백이 도시된다.
도 10은 도 8의 선(X-X)을 따라 취한 단면도로서, 여기에는 상기 에어백의 단면 구성(cross-sectional configuration)이 도시된다.
우선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보행자 에어백의 단순한 형태의, 조립 및 결과적 구성이 설명될 것이다.
보행자 에어백(1)은 유연성 재료로부터 생산되는바, 도 1에는, 바로 그 유연성 재료로 된 실질적으로 동일한 한 쌍의 시트들(2, 3)이 도시된다. 상기 시트들(2, 3)은 바람직하게는 직물 재료(woven fabric material)로부터 형성되고,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둘 다 일반적으로 직사각형이다. 상기 시트들(2, 3)은 도 1에서 서로 중첩된 관계로 도시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2개의 시트들(2, 3)은 그것들의 주변 가장자리의 실질적으로 전범위를 따라 주변 솔기(peripheral seam; 4)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팽창 기체의 수용을 위한 시트들 사이의 팽창가능한 주 챔버(5)를 한정한다. 상기 주 챔버(5)는 길고 일반적으로 직사각형이다.
언급될 바와 같이, 각 시트(2, 3)에는 그것의 긴 쪽들 중 하나를 따라 일반적으로 중심 위치에서 외향으로 돌출된 탭(outwardly projecting tab; 6)이 제공된다. 상기 시트들이 중첩된 때 2개의 탭들(6)은 정렬되고(aligned), 상기 2개의 시트들을 연결하는 상기 주변 솔기(4)는 상기 정렬된 탭들(6) 중 하나의 단부에서 시작하고, 상기 직사각형 시트들의 둘레로 계속되어 상기 정렬된 탭들(6)의 반대쪽 단부에서 종결된다. 따라서 상기 탭들(6)은 그것들의 길이에 걸쳐 비연결되며(unconnected), 따라서 협동하여 상기 에어백에 목 부분(neck; 7)을 형성하는바, 상기 목 부분은 상기 에어백으로 들어가는 기체 유입구 개구(gas inlet aperture; 8)를 한정한다. 상기 목 부분(7)은 알려진 방식의 기체 생성기(gas generator)와 같은 팽창기(inflator)에 들어맞도록 의도되므로, 상기 팽창기의 작동(actuation) 시에 큰 부피의 팽창 기체가 상기 팽창가능한 주 챔버(5)의 내부 부피 안으로 향하게 될 것이며, 그럼으로써 상기 에어백(1)은 팽창된다.
그런데,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2개의 직물 시트들(3)의 하부(lower)에는 복수 개의 개구들(9)이 제공됨이 주목되어야 한다. 상기 개구들(9)은 시트(3)의 길이에 걸쳐 서로 이격되고, 그 각각은 각 기체 유동 포트(gas flow port)를 한정하는바, 그것의 목적은 아래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이제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에어백(1)에 팽창가능한 부 챔버를 형성하는 데 이용되는 유연성 재료의 3개의 단편들(10, 11, 12)이 도시되어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3개의 단편들(10, 11, 12)은 상기 에어백의 주 챔버(5)를 한정하는 데 이용되는 상기 2개의 시트들(2, 3)과 동일한 유형의 직물(woven fabric)로 형성된다. 언급될 바와 같이, 상기 직물의 단편들 중 2개(10, 11)는 일반적으로 n자형 이나 u자형이며, 따라서 각각은 상대적으로 짧은 직선형 가장자리(straight edge; 13) 및 상대적으로 긴 아치형 가장자리(arcuate edge; 14)를 갖는다. 직물의 다른 단편(12)은 형태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직사각형이며, 따라서 한 쌍의 상대적으로 짧은 가장자리들(15) 및 한 쌍의 상대적으로 긴 가장자리들(16)을 갖는다. 상기 직사각형 직물 단편(12)의 짧은 가장자리들(15)은 길이에 있어 다른 2개의 직물 단편들(10, 11)의 상기 아치형 가장자리들(14)과 대략 동일하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직사각형 직물 단편(12)의 각 짧은 가장자리(15)는 그것의 길이에 걸쳐 다른 단편들(10, 11)의 각 아치형 가장자리(14)에 연결되어, 상기 더 작은 직물 단편들(10, 11) 중 각각의 하나에 의해 각 단부에서 닫혀지는 길고 상단이 열린 채널(elongate open-topped channel; 17)을 형성한다. 더 작은 직물 단편들(10, 11)의 각 아치형 가장자리(14)의 상기 직사각형 단편의 짧은 가장자리들(15)과의 상호연결 덕분에 상기 채널(17)의 저면(undersurface)은 아치형이다.
도면들 중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4개의 일반적으로 동일한 상단이 열린 직물 채널들(17)은 위에서 설명한 방식으로 형성된다.
이제 도 5를 고려하면, 도 2의 팽창가능한 주 챔버(5)가 사시도에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4개의 상단이 열린 채널들(17)은 상기 주 챔버(5) 바로 밑에 서로 이격되고 일반적으로 평행한 관계로 배치된다. 더 구체적으로는 상기 채널들은 상기 주 챔버(5)의 길이에 걸쳐 이격되며, 상기 후면 시트(3)를 통하여 형성된 각 개구(9)를 덮기 위해 각 채널들(17)은 상기 주 챔버의 후면 시트(3)에 대향하여 위치됨이 주목될 것이다. 그렇다면 상기 긴 가장자리들(16) 및 상기 짧은 가장자리들(13) 각 채널(17)은 상기 후면 시트(3)에, 예컨대 봉합에 의해 연결된다.
따라서 위에서 설명되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채널(17)이 상기 주 챔버(5)의 후면 시트(3)에 연결된 때, 상기 채널들(17)은 상기 후면 시트(3)의 각 영역들과 협동하여 각 부 챔버들(18)을 한정함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상기 후면 시트(3)에 형성된 상기 개구들(9)은 각각 상기 주 챔버(5)와 상기 부 챔버들(18) 사이에 유동 포트들을 한정하므로 상기 팽창가능한 부피의 주 챔버(5)와 상기 부 챔버들(18) 사이의 유체 소통을 제공한다.
상기 에어백(1)은 초기에는 자동차(20)의 후드 또는 본네트(19)의 후부 밑의 치밀하게 포장된 패키지(미도시)로 상기 차량의 윈드스크린(21)의 바로 전면의 위치에 제공된다. 더 구체적으로는, 상기 에어백(1)은 그것의 목 부분(7) 및 결부된 유입 개구(8)를 통해, 상기 후드 또는 본네트(8)의 후부 바로 밑에 탑재된 기체 생성기와 같은 팽창기(22)로 유체 연결될 것이다.
도 6 및 도 7에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에어백(1)이 장착된 자동차(20)가 도시되며, 상기 팽창기(22)의 작동(actuation)에 뒤이어 팽창된 상태의 상기 에어백(1)이 도시된다. 상기 후드 또는 본네트(19)의 후면이 예컨대 다른 에어백, 피스톤 또는 다른 들어올림 구성(lifting arrangement)에 의해 들어올려져, 상기 보행자 에어백(1)이 팽창하기에 충분한 공간이 허용되므로 그것은 상기 윈드스크린(21)의 적어도 일부 및 상기 차량의 인접한 A-필라들(23)을 덮기에 효과적인 방식으로 전개되며, 그럼으로써 상기 차량의 이 부분들과의 보행자의 충격을 흡수(cushion)한다.
더 구체적으로, 도 7을 고려하면 상기 팽창기(22)의 초기 발동이 있자마자 큰 부피의 팽창 기체가 고속으로 상기 목 부분(7)을 통해 상기 에어백의 주(main) 전면 및 후면 직물 시트들(2, 3) 사이에 한정된 상기 주 챔버(5) 내로 향하게 되는바, 화살표(24)에 의해 개념적으로 도시되는 바와 같다. 이 기체의 유동은 상기 에어백(1)의 주 챔버(5)를 신속하게 팽창시키고, 그럼으로써 일반적으로 상기 차량(20)의 윈드스크린(21)에 걸쳐 상기 에어백(1)이 연장됨을 위해 초기의 포장된 구성으로부터 신속하게 전개됨이 보장되는바,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다.
상기 주 챔버(5)가 실질적으로 완전한 팽창에 도달함에 따라 상기 팽창 기체의 부차적 유동들이 상기 주 챔버(5)의 후면 시트(3) 내 유동 포트들(9)을 통해, 따라서 상기 부 챔버들(18) 안으로 발생하는바, 화살표(25)에 의해 개념적으로 도시되는 바와 같고, 그럼으로써 상기 부 챔버들(18)은 그것들이 긴 팽창된 구성들을 취하도록 팽창되는바,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되는 바와 같다.
특히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그것들의 팽창되고 전개된 위치들에서, 상기 부 챔버들(18)은 상기 차량을 가로지르는 횡방향으로 서로 이격된다. 더 구체적으로는, 상기 부 챔버들(18)의 전개된 위치들은 일반적으로 서로 평행하고 상기 주 챔버(5)의 길이에 직각임이 주목될 것이다.
더욱이, 도 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부 챔버들(18)은 상기 에어백(1)의 주 챔버(5)와 상기 차량의 윈드스크린(21) 사이에 전개 위치들을 취하기 위해 팽창하며, 따라서 상기 윈드 스크린으로부터 상기 주 챔버(5)의 후면 시트(3)를 이격시키는 역할을 하고, 상기 주 챔버(5)와 상기 윈드스크린 사이에 공동들(26)을 생성하는바, 각 공동들(26)은 인접한 부 챔버들(18) 사이에서 형성된다. 각 부 챔버(18)의 곡선형(curved) 하부면(lower surface)은 상기 차량의 윈드스크린 또는 인접한 구조물을 지탱하도록 배치된다. 각 부 챔버(18)는 그것의 팽창된 구성에서, 상기 윈드스크린으로부터 상기 주 챔버(5)를 이격하기에 효과적인 "펜더(fender)"를 나타내는 것으로 고려될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상기 주 챔버의 충격흡수 속성들을 향상시킨다.
위에서 언급된 팽창 특성(characteristic)에서 상기 에어백의 주 챔버(5)는 인접한 부 챔버들(18) 사이의 상기 공동들(26)에 의해 상기 차량의 윈드스크린(21)으로부터 이격되는바, 상기 팽창 특성은 상기 에어백(1)을 가격하는 보행자의 머리에 대해 제공되는 보호를 현저하게 향상시킴이 밝혀져왔다. 보호의 수준에 있어서의 이 향상은 주어진 전체 에어백의 총 팽창가능한 부피에 대해 상기 에어백에 의해 에너지가 흡수될 수 있는 거리에 있어서의 상승의 결과이다. 상기 에어백의 전개 때 상기 윈드스크린(21)으로부터 상기 에어백의 더 큰 주 챔버(5)를 이격시키는 "펜더"를 형성하도록 팽창하는 상기 부 챔버들(18)을 규정함은, 상기 에어백에 충격을 가하는 보행자의 머리 또는 몸통에 제공되는 충격 보호의 수준에 있어 어떠한 감소도 없이 상기 전체 에어백(1)의 총 팽창가능한 부피가 선행기술 구성체들에 비해 감소됨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이 특정 실시예를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되어 왔으나, 본 명세서의 청구된 발명의 범위로부터 이탈함 없이 상기 에어백 구성체에 대해 다양한 변형물들 또는 대체물들이 만들어질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예를 들어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실시예는, 서로 봉합되고 그 후 상기 주 챔버(5)의 후면 시트(3)에도 봉합된 직물의 개별 단편들(10, 11, 12)로부터 형성된 부 챔버들(18)을 포함하는 것으로 위에서 설명되어 왔으나, 본 발명의 변형예들에서는 상기 부 챔버들(18)은 각각 상기 주 챔버(5)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음이 예상된다. 예를 들어 주 챔버 및 부 챔버들은, 그것 자체로 이른바 "일체 직조(one-piece weaving)"로 알려진 유형의 기법을 통해 동시에 직조될 수 있다. 그러한 구성에서 상기 부 챔버들(18)을 한정하는 직물 단편들은 상기 주 챔버(5)를 한정하는 직물 시트들과 동시에 직조될 것인바, 여기에서 날실과 씨실은 상기 단편들을 형성하며, 시트들은 선택된 구역(area)들 내에서 서로 직조되어 상기 부 챔버들(18) 및 상기 주 챔버(5) 사이의 완전한 상호연결 솔기(seam)들을 형성한다.
도 8 내지 도 10에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의 개념적인 실시예가 도시되는데, 이는 위에서 설명되고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간단한 구성과 많은 측면들에서 유사하다. 도 8 내지 도 10의 구성과 도 1 내지 도 7의 구성 사이의 원칙적 차이점은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구성이 더 복잡하게 형상화된 주 챔버(5)를 구비하는 점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주 챔버(5)는 도 8에서 위로부터 보이는 바로는 일반적으로 아치형 구성을 가짐이 주목될 것이다. 더욱이 이 변형된 실시예에서 총 6개의 부 챔버들(18)이 있음이 주목될 것이며, 여기에서 부 챔버들(18)은 도시된 바와 같이 그것들의 길고 팽창된 구성에 있어 더 이상 서로 평행하지 않다. 더 구체적으로는 상기 부 챔버들(18)은 그것들의 팽창된 위치들에서 서로에 대해 배치되므로 그것들은 (이 구성에 있어 상기 주 챔버(5) 내부에 제공되기로 제안되는) 상기 팽창기(22)로부터 떨어져 후방으로 (전개 때 상기 차량의 종축과 일반적으로 일치하게 될) 상기 에어백(1)의 횡축(transverse axis; 27)을 향해 수렴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기 주 챔버(5)의 아치형 구성 때문에 각 부 챔버(18)는 그것이 부착되거나 형성될 여전히 일반적으로 상기 긴 주 챔버(5)의 각 부분에 대해 직각이다.
도 8 내지 도 10의 구성과 도 1 내지 도 7의 구성 사이의 다른 주요 차이점은 도 8 내지 도 10의 구성에서 상기 주 챔버(5)는 복수 개의 팽창가능한 셀(cell)들로 세분화되는 점인바, 이는 도 10의 단면도에서 가장 명확하게 도시되는 바와 같다. 상기 도시된 구체적 구성에서, 상기 주 챔버(5)는 그러한 2개의 셀들, 즉 전방으로 위치된 셀(28) 및 후방으로 위치된 셀(29)로 세분화된다. 상기 2개의 셀들은, 이 둘 모두가 일반적으로 전개 때 자동차의 윈드스크린에 걸쳐 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각각 일반적으로 길고; 서로 연결되거나 (예를 들어 "일체 직조(one-piece weaving)" 기법을 통해) 서로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2개의 셀들(28, 29)에는, 예를 들어 상기 주 챔버의 현저한 길이에 걸쳐 연장될 수 있는 좁은 유동 통로(30)를 통하여, 서로 유체 소통이 제공된다. 언급될 바와 같이 이 구성에서 상기 부 챔버들(18)에는 각각 후방 팽창가능 셀(29)의 저면 내의 각 유동 포트들(9)을 통한 상기 주 챔버(5)와의 유체 소통이 제공된다.
다른 측면들에서, 도 8 내지 도 10의 변형된 구성체는 상기 도 1 내지 도 7의 구성체에 유사한 방식으로 작동할 것이며, 구체적으로는 상기 주 챔버와 자동차의 윈드스크린 사이의 각 전개 위치들을 취함으로써 상기 윈드스크린으로부터 상기 주 챔버를 이격시키기 위한 상기 부 챔버들(18)의 팽창에 관하여 그러하다.
이 명세서 및 청구항들에서 사용될 때, "포함하다(comprises)" 및 "포함하는(comprising)"이라는 용어들 및 그것들의 변형들은 특정 특징들, 단계들 또는 완전체(integer)들이 포함됨(included)을 의미한다. 상기 용어들이 다른 특징들, 단계들 또는 완전체(integer)들을 제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될 것이다.
전술한 설명에서, 또는 첨부된 청구항들에서, 또는 첨부된 도면들에서 개시된 특징들로서: 그것들의 특정 형태들로; 또는 개시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 또는 개시된 결과들을 얻기 위한 방법 또는 프로세스의 면으로; 표현된 특징들은, 개별적으로 또는 그러한 특징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본 발명을 본 발명의 다양한 형태로 실현하기 위해 적절하게 활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위에서 설명된 예시적인 실시예들과 결합되어 설명되어 왔지만, 본 개시서가 주어질 때 많은 균등한 변형물들 및 변동물들이 당업자에게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따라, 위에서 제시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실례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고려된다.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경들이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이탈함 없이 이루어질 수 있다.

Claims (15)

  1. 윈드스크린(21)을 구비한 자동차(20) 상의 보행자 에어백 구성체로서, 보행자 에어백 구성체는, 팽창 기체(inflating gas)의 수용을 위한 팽창가능한 부피를 가지는 에어백(1)을 포함하며, 상기 에어백(1)의 상기 팽창가능한 부피는, 상기 에어백의 전개시 상기 윈드스크린(21)의 적어도 일부에 걸쳐 또는 적어도 일부를 가로질러 연장되도록 팽창되게끔 구성된 주 챔버(5); 및 복수 개의 부 챔버들(18);을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부 챔버(18)는 상기 에어백의 전개시의 팽창을 위해 상기 주 챔버(5)와 상기 윈드스크린(21) 사이에 개별적인 전개 위치(deployed position)를 도입하여 상기 주 챔버(5)가 상기 윈드스크린(21)으로부터 거리를 두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 에어백 구성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 챔버들(18)의 상기 전개 위치들은 상기 차량(20)을 가로지르는 횡방향으로 서로로부터 이격되는, 보행자 에어백 구성체.
  3. 전기한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 챔버(5) 및 각각의 상기 부 챔버(18)는 유연성 재료(2,3,10,11,12)로부터 형성되고, 각 상기 부 챔버(18)를 형성하는 재료(10,11,12)는 상기 주 챔버(5)를 형성하는 재료(3)에 연결되는, 보행자 에어백 구성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연성 재료(2,3,10,11,12)는 직물이며, 각 상기 부 챔버(18)를 형성하는 직물(10,11,12)은 상기 주 챔버(5)를 형성하는 직물(3)에 봉합되는, 보행자 에어백 구성체.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 챔버들(18)은 상기 주 챔버(5)와 일체로 형성되는(formed integrally), 보행자 에어백 구성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은 직물 재료로부터 형성되고, 상기 부 챔버들(18) 및 상기 주 챔버(5)는 일체 직조 기법(one-piece weaving technique)을 통해 일체로 형성되는, 보행자 에어백 구성체.
  7. 전기한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부 챔버(18)는 상기 주 챔버(5)와 유체 소통(9)되게 제공되는, 보행자 에어백 구성체.
  8. 제7항에 있어서, 작동 시에(upon actuation) 상기 주 챔버(5) 내로 팽창 기체의 부피(24)를 향하게 하는 팽창기(inflator; 22)를 더 포함하고, 각 상기 부 챔버(18)는, 상기 주 챔버(5)로부터의 상기 팽창 기체(25)의 유동을 통한 팽창을 위해 구성되는, 보행자 에어백 구성체.
  9. 전기한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부 챔버(18)의 팽창가능한 부피는 상기 주 챔버(5)의 팽창가능한 부피보다 작은, 보행자 에어백 구성체.
  10. 전기한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 챔버들(18)의 팽창가능한 총 부피는 상기 주 챔버(5)의 팽창가능한 부피보다 작은, 보행자 에어백 구성체.
  11. 전기한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 챔버(5) 및 각 상기 부 챔버(18)는 팽창되었을 때 실질적으로 신장된(elongate) 구성을 갖고, 각각의 상기 부 챔버(18)의 전개 위치는 전체적으로 상기 주 챔버(5)의 팽창된 위치에 대해 직각인, 보행자 에어백 구성체.
  12.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 챔버(5)는 팽창되었을 때 전체적으로 길고 아치형의(arcuate) 구성을 갖고, 각각의 부 챔버(18)는 팽창되었을 때 실질적으로 신장된(elongate) 구성을 갖고, 상기 부 챔버들(18)의 전개 위치들은 상기 주 챔버(5)의 개별의 인접 영역(region)들에 대해 전체적으로 직각인, 보행자 에어백 구성체.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부 챔버(18)는 실질적으로 그것의 전체 길이에 걸쳐 상기 주 챔버(5)에 연결되는, 보행자 에어백 구성체.
  14. 전기한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부 챔버(18)는 상기 차량(20)의 상기 윈드스크린(21)을 향한 곡선형인 외면(curved outer surface)을 나타내는 팽창 구성(inflated configuration)을 갖는, 보행자 에어백 구성체.
  15. 전기한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 챔버(5)는 서로 유체 소통(30)되는 복수 개의 팽창가능 셀들(28, 29)로 세분화되며(sub-divided), 각각의 상기 부 챔버(18)는 상기 셀들 중 적어도 하나와 유체 소통(9)되게 제공되는, 보행자 에어백 구성체.
KR1020147014366A 2011-11-29 2012-11-19 보행자 에어백 구성체 KR1016511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0110191124 EP2599670B1 (en) 2011-11-29 2011-11-29 A pedestrian airbag arrangement
EP11191124.4 2011-11-29
PCT/SE2012/051273 WO2013081528A1 (en) 2011-11-29 2012-11-19 A pedestrian airbag arrange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2858A true KR20140092858A (ko) 2014-07-24
KR101651168B1 KR101651168B1 (ko) 2016-08-25

Family

ID=450444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4366A KR101651168B1 (ko) 2011-11-29 2012-11-19 보행자 에어백 구성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599670B1 (ko)
JP (1) JP6027715B2 (ko)
KR (1) KR101651168B1 (ko)
CN (1) CN103958289B (ko)
WO (1) WO201308152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765036B1 (en) * 2013-02-06 2015-11-04 Autoliv Development AB A pedestrian airbag arrangement
EP2765037B1 (en) * 2013-02-12 2016-01-20 Autoliv Development AB A pedestrian airbag arrangement
DE102013010394B3 (de) * 2013-06-21 2014-10-09 Autoliv Development Ab Fußgänger- und Fahrradfahrer-Schutzein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CN105155441B (zh) * 2015-08-22 2017-06-09 上海电机学院 网格防护装置
EP3590774B1 (en) * 2018-07-05 2021-05-26 Autoliv Development AB A pedestrian protection airbag device
CN109398261B (zh) * 2018-11-12 2023-10-31 佛山科学技术学院 一种积雨板气囊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36813A (ja) * 2002-10-18 2004-05-13 Toyoda Gosei Co Ltd 歩行者保護用エアバッグ装置
JP2007261510A (ja) * 2006-03-29 2007-10-11 Toyoda Gosei Co Ltd 歩行者用エアバッグ装置
JP2008143301A (ja) * 2006-12-08 2008-06-26 Toyota Motor Corp 歩行者保護用フードエアバッグ装置
US20080185823A1 (en) * 2005-10-07 2008-08-07 Takata-Petri Ag Airbag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014510B4 (de) * 2000-03-23 2004-09-30 Acts Gmbh & Co. Kg Karosserieteil eines Kraftfahrzeuges
JP2002283939A (ja) * 2001-03-29 2002-10-03 Toyota Motor Corp 歩行者保護エアバッグ装置
GB2383304B (en) * 2001-12-21 2004-09-29 Autoliv Dev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n air-bag
JP2003276537A (ja) * 2002-05-26 2003-10-02 Takata Corp 歩行者等の保護バッグ装置
JP3670249B2 (ja) * 2002-04-12 2005-07-1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外置きエアバッグ装置
DE10233593A1 (de) * 2002-07-19 2004-02-19 Takata-Petri Ag Vorrichtung zum Schutz einer sich im Außenbereich eines Kraftfahrzeugs befindlichen Person
DE102005006634A1 (de) * 2005-02-10 2006-08-24 Takata-Petri (Ulm) Gmbh Airbag für eine Insassenschutzeinrichtung
JP4492529B2 (ja) * 2005-12-02 2010-06-30 豊田合成株式会社 歩行者用エアバッグ装置
JP2010125996A (ja) * 2008-11-27 2010-06-10 Toyoda Gosei Co Ltd エアバッグ装置
DE102009023779A1 (de) * 2009-06-03 2010-12-09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Detroit Kraftfahrzeug mit Frontscheibenairbag
DE102011117740A1 (de) * 2011-11-05 2012-05-10 Daimler Ag Fußgängerschutzvorrichtung und -verfahren für ein Fahrzeug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36813A (ja) * 2002-10-18 2004-05-13 Toyoda Gosei Co Ltd 歩行者保護用エアバッグ装置
US20080185823A1 (en) * 2005-10-07 2008-08-07 Takata-Petri Ag Airbag
JP2007261510A (ja) * 2006-03-29 2007-10-11 Toyoda Gosei Co Ltd 歩行者用エアバッグ装置
JP2008143301A (ja) * 2006-12-08 2008-06-26 Toyota Motor Corp 歩行者保護用フードエアバッグ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599670B1 (en) 2013-10-02
CN103958289A (zh) 2014-07-30
CN103958289B (zh) 2016-12-07
EP2599670A1 (en) 2013-06-05
KR101651168B1 (ko) 2016-08-25
WO2013081528A1 (en) 2013-06-06
JP2014533637A (ja) 2014-12-15
JP6027715B2 (ja) 2016-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1168B1 (ko) 보행자 에어백 구성체
US6170860B1 (en) Gas bag for a vehicular occupant restraint system
KR20200123217A (ko) 차량 시트
KR101000260B1 (ko) 다중챔버를 가지는 에어백쿠션 구조
JP7111839B2 (ja) 車両座席
EP2117882B1 (en) An air-bag for a motor vehicle
JP2007504047A5 (ko)
EP2520471B1 (en) A pedestrian airbag arrangement
EP2607183B1 (en) An inflatable airbag for a motor vehicle safety arrangement
KR20120114219A (ko) 직렬 챔버들을 가지고 낮게 장착되는 팽창 가능 무릎 에어백
US9187058B2 (en) Airbag device
KR101299514B1 (ko) 에어백
KR20130100370A (ko) 차량을 위한 보행자 보호 에어백
WO2010036162A1 (en) Airbag and method of forming an airbag
JP6147871B2 (ja) 歩行者エアバッグ装置
EP2765037B1 (en) A pedestrian airbag arrangement
EP2783924B1 (en) An airbag arrangement
JP2008201265A (ja) カーテンエアバッグ及びカーテンエアバッグ装置
KR101507457B1 (ko) 팽창가능성 에어백
JP7456361B2 (ja) エアバッグ
CN107107857B (zh) 侧面碰撞气囊模块
EP2769886B1 (en) An inflatable airbag for a motor vehicle safety device
EP2520470B1 (en) A pedestrian airbag
EP3176041B1 (en) An inflatable airbag for a motor vehicle safety device
GB2520686A (en) A pedestrian airba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