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91314A - 치과용 페이스 보우 - Google Patents

치과용 페이스 보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91314A
KR20140091314A KR1020130003435A KR20130003435A KR20140091314A KR 20140091314 A KR20140091314 A KR 20140091314A KR 1020130003435 A KR1020130003435 A KR 1020130003435A KR 20130003435 A KR20130003435 A KR 20130003435A KR 20140091314 A KR20140091314 A KR 201400913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w
sub
main
horizontal
f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34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22992B1 (ko
Inventor
이채붕
안영홍
Original Assignee
이채붕
안영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채붕, 안영홍 filed Critical 이채붕
Priority to KR10201300034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2992B1/ko
Priority to PCT/KR2014/000115 priority patent/WO2014109516A1/ko
Publication of KR201400913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13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29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29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4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9/045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for recording mandibular movement, e.g. face bow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4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9/05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for determining occlus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Bio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과 시술과정에서 교합기에 붙여서 상악골과 하악골 관절의 위치를 정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페이스 보우에 관한 것으로, 환자의 두부에 고정하기 위한 틀의 구조가 메인보우와 서브보우의 이중구조로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그 메인보우와 서브보우가 수평을 유지하도록 하고, 서브보우에는 바이트포크를 장착하여 바이트포크가 환자의 동공 수평선과 수평을 이루도록 함으로써 환자의 교합평면을 재설정하여 재설정된 교합평면을 기준으로 교합측정함으로써 안면 비대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치과용 페이스 보우{face bow}
본 발명은 치과 시술과정에서 변형되고 상실된 상악의 교합평면을 찾아서 인기한 인기물을 교합기에 붙여서 상악골과 하악골 관절의 위치를 정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페이스 보우에 관한 것으로, 안면 비대칭과 전후 평면을 교정하는 교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치아배열을 측정하는 과정에서 교합평면의 보정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페이스 보우는 치아 교합을 맞추고자 하는 환자의 두부(頭部)에 위치시킨 후 교합평면을 확인하여 그 교합평면에 맞게 본을 뜨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교합의 기준점이 되는 수평을 맞춘 상태에서 레진이 도포된 바이트포크를 물어 본을 뜨도록 함으로써 환차의 치아배열을 확인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페이스보우의 구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의 귀에 걸어 고정하는 베이스틀(100)에 바이트포크(200)를 장착하여 바이트포크(200)가 베이스틀(100)로부터 자유롭게 움직임되도록 하여 베이스틀(200)을 환자의 두부의 양측 귀에 걸어 수평을 조정한 후 입에 물고 있는 바이트포크(200)의 상태를 고정함으로써 교합 평면을 찾아내는 것이고, 그 찾아낸 교합 평면에 맞추어 기공소에서 치아 기공을 하도록 되는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것의 문제가 베이스틀과 하부 피스가 비틀어지면서 안면 비대칭이 발생하고 전후 평면을 찾지 못하게 되므로, 작업자가 편측을 해주어야 하고, 또한 이 과정에서 교합 평면이 맞지 않은 상태 그대로 기공소로 보내지면 교합기준이 베이스틀을 기준으로 하고 있으므로 하부의 바이트포크에 비틀림이 발생할 수밖에 없고, 그 비틀린 정도를 기공소에서 작업하는 과정에서 충진재를 넣어 일부 보정하고 있으나, 정확한 수평을 맞추기가 어려운 것이다.
특히, 이렇게 비틀림이 발생한 경우 안면 비대칭과 전후 평면을 찾지 못하는 문제가 있어서 페이스보우를 사용하는 의미가 거의 없기 때문에, 시술현장에서는 단순히 바이트포크에 연질의 레진을 도포한 채 베이스틀을 사용하지 않고 의사가 바이트포크를 환자의 입에 넣은 상태로 목측(目測)을 하여 수평 여부 및 기울기 등을 측정하고 있으며, 이러한 측정 작업 및 기공작업이 대부분 의사나 기공사의 경험과 감각에 의지하여 행해지고 있는 실정이며, 따라서 환자가 만족할 만한 상태가 되기까지 여러 반복작업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장시간의 수고를 요하는 것이다.
그리고 사람의 치아가 식립되어 있는 상악과 하악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치주골의 퇴축이나 변형이 발생하게 되므로 교합평면의 위치 또한 변형되는데, 미성년의 경우에는 성장 발육상태의 미숙, 그리고 일반 성인의 경우 수십년 생활을 하면서 치아와 치주골의 구조가 부분적으로 틀어지게 되는 것이고, 이러한 틀어짐을 환자 개개인마다 분석하기가 매우 어려우므로 정교한 교정이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인체 구조상 상악은 하악보다 상대적으로 골밀도가 낮아 퇴축이나 변형의 속도가 하악보다 상대적으로 높은데, 이러한 것에 대한 교정을 하지 못하게 되면 시술효과가 떨어질 뿐만 아니라, 장기적으로는 턱관절에 이상이 오고 안면비대칭이 발생하는 등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즉, 종래의 페이스보우는 치아가 마모되어 변형된 상태 및 치주골과 잇몸이 변형되어 있는 현재 형태의 임계값을 측정하여 보철물을 제작할 수밖에 없고, 따라서 환자의 상태를 개선하지 못하고 단순히 변형된 상악 교합 평면에 따라서 치아를 교합하는 시술밖에 할 수 없어서 장기적으로는 변형된 신체구조와 얼굴 형태를 그대로 끌고 갈 수밖에 없는 것이고, 이렇게 몸의 균형이 틀어진 상태로 생활하면 모든 인체 구조의 변화가 발생하며 건강에 악영향을 미치게 되는 것이다.
대표적으로 턱관절의 불균형은 몸의 다양하게 몸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 것으로, 턱관절의 불균형이 발생하면 상부 경추의 아탈구가 진행되고 머리의 무게중심이 척추의 중력 중심축을 벗어나게 되면서 전체적인 척추의 구조적 불균형이 진행되며, 이에 따라 환추(제1경추)와 축추(제2경추)와 제3경추의 축이 무너지면서 환추의 아탈구로 인해 뇌척수액의 통로가 되는 뇌줄기 및 척수의 통로가 좁아지며 경정맥공을 지나는 신경과 혈관의 압박을 초래하여 뇌의 통제력을 약화시키고 뇌신경계의 기능을 저하시키는 등 전신에 악영향을 미치게 되는 문제가 있으며, 그 이외에도 턱관절의 불균형은 안면 비대칭을 초래하여 얼굴의 형태가 틀어져 외관을 해치게 되는 등의 여러 가지 부작용을 낳게 되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악과 하악의 치아 마모 및 결손, 잇몸과 치주골의 변형이 발생한 경우에도 그 변형된 형태를 측정하여 보정함으로써 복원된 교합평면을 재설정하고, 그 복원된 교합평면에 교합을 하도록 함으로써 인체에 가장 이상적인 형태로의 교합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시술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환자의 두부에 고정하기 위한 틀의 구조가 메인보우와 서브보우의 이중구조로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그 메인보우와 서브보우가 수평을 유지하도록 하고, 서브보우에는 바이트포크를 장착하여 바이트포크가 비틀림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바이트포크에 레진을 도포하여 환자의 교합평면을 안면 수평값과 수평을 이루도록 재설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메인보우와 서브보우는 상,하로만 수직이동하면서 조절수단에 의하여 상,하 폭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서브보우에 장착된 바이트포크는 전,후방으로만 슬라이드 작동하도록 함으로써 메인보우와 서브보우, 바이트포크가 수평을 유지한 상태로 환자의 얼굴 크기에 맞도록 조절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서브보우의 후방 양단부에는 걸이대를 형성하여 목의 양단부, 더욱 정확하게는 축추의 양단에 밀착되어 위치 고정할 수 있도록 하고, 그 걸이대가 힌지수단에 의하여 절첩 작동하도록 하여 간단하게 걸어 고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메인보우에는 좌,우로 길게 봉의 형태로 형성되거나 또는 안경의 형태에 가늠자가 인쇄되어 이루어지는 수평측정수단을 형성하여 동공의 위치를 기준점으로 하여 교합평면의 재설정시 수평측정이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환자의 잇몸과 치주골의 변형이 발생하여도 각각의 환자 상태마다 새로 교합평면을 재설정하여 교합이 이루어지므로 환자에 적합한 시술을 할 수 있고, 복원된 교합평면에 교합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이상적인 교합이 이루어져 안면 비대칭을 해결할 수 있으며, 인체에 가장 이상적인 형태로의 교합이 이루어져 턱관절의 균형을 바로 잡음에 따라서 시술효과를 높일 수 있으면서도 장기적으로는 경추가 정상위치로 회복되어 보상작용에 의해 무너졌던 전신 척추구조가 정상균형구조로 회복되므로 몸의 균형을 보정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페이스보우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페이스보우의 외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페이스보우의 후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페이스보우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페이스보우의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페이스보우의 측단면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페이스보우의 장착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의 수평측정수단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메인보우와 서브보우의 폭 조절구조를 나타낸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이어피스의 세부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페이스보우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결합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13은 도 12의 페이스보우의 저면 사시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의 두부(頭部)에 장착하여 수평 기준을 맞추기 위한 메인보우(10)와, 그 메인보우의 하단에 장착되는 서브보우(20) 및 그 서브보우(20)에 연결되면서 레진이 도포되어 환자의 입에 삽입되는 바이트포크(30)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메인보우(10)와 서브보우(20)와 바이트포크(30)는 모두 수평을 유지하도록 장착하여 두부의 동공을 기준으로한 수평선을 설정한 상태에서 그 기준 수평선에 맞는 교합 평면을 제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바이트포크(30)를 환자의 입에 넣은 상태에서 페이스 보우를 환자의 안면에 장착하여 메인보우(10)를 이용하여 좌,우 수평 및 높낮이를 조절함에 따라 바이트포크(30)가 함께 움직임되는 것이고, 따라서 메인보우(10)를 환자의 동공을 기준으로 수평을 이루도록 하면 바이트포크(30)가 메일보우(10)와 수평을 이루고 있으므로 바이트포크가 비틀림되지 않고 환자의 교합평면을 안면 수평값과 수평을 이루도록 재설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메인보우(10)와 서브보우(20)는 좌,우 분할된 상태로 가이드(40)에 장착되어 좌,우 폭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하면 환자의 얼굴크기에 따라서 좌,우 폭을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고, 또한 상기 메인보우(10)와 서브보우(20)가 간격조절수단(50)에 의하여 연결되도록 하면 메인보우(10)와 서브보우(20) 사이의 상,하 간격을 조절하여 환자의 얼굴크기에 맞게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가이드(40)는 메인보우(10)와 서브보우(20)가 분할된 유닛이 각각 기어방식에 의하여 맞물림되게 조립함으로써 가이드(40)가 페이스보우의 중앙 위치를 유지하도록 함이 바람직한 것이다.
즉,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로 분할되어진 메인보우(10) 또는 서브보우(20)에 각각 기어부(11,21)를 형성하고 가이드(40)의 내측으로는 그 기어부(11,21)와 맞물림되게 피니언기어(41)를 장착하여 하나의 피니언기어(41)에 좌,우 양측으로 분할되어진 유닛이 함께 맞물리도록 하면 메인보우(10) 또는 서브보우(20)의 좌,우 폭을 좁히거나 넓힐 경우에도 좌,우 양측으로 대칭되게 벌어짐되면서 가이드(40)가 중앙위치를 항상 유지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가이드(40)의 상측 또는 하측에 가이드볼트(42)를 장착하면 분할되어진 메인보우(10)와 서브보우(20)의 좌,우 폭을 조절한 상태에서 가이드볼트(42)에 의하여 그 벌어진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면 메인보우(10)와 서브보우(20)의 폭이 임의로 벌어지거나 좁아지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메인보우(10)와 서브보우(20)의 좌,우 폭 조절방식은 레일방식(미도시)으로 끼워져 좌,우로 슬라이드 작동하도록 하는 등 이미 공지되어 있는 다양한 구조로 실시 가능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간격조절수단(50)은 메인보우(10)와 서브보우(20)를 샤프트(51)로 연결하여 메인보우(10) 또는 서브보우(20)가 상,하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하면 메인보우(10)와 서브보우(20)의 상,하 간격 조절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으로, 이때 상기 메인보우(10)와 서브보우(20)의 위치를 조임수단(52)으로 고정함으로써 간격조절된 상태에서 유동되지 않고 고정되도록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바이트포크(30)의 거리조절수단(60) 또한 바이트포크(30)에 형성된 축(31)을 서브보우(20)에 형성되어진 장착대(61)에 축결합한 후 그 축(31)이 조임볼트(62)에 의하여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바이트포크(30)가 입에 삽입되는 깊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메인보우(10)와 서브보우(20)는 폭조절이 가능하면서도 상,하로만 수직이동되어 조절수단에 의하여 상,하 폭을 조절할 수 있게 되고, 또한 서브보우(20)에 장착된 바이트포크(30)는 전,후방으로만 슬라이드 작동하도록 함으로써 메인보우와 서브보우, 바이트포크가 수평을 유지한 상태로 비틀림되지 않고 환자의 얼굴 크기에 맞도록 수평이 일치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이트포크(30)의 위치가 환자의 좌,우 동공을 연결한 수평선(α)과 메인보우(10)의 수평선(β) 및 교합평면(γ)이 수평을 이루게 되므로 안면 비대칭을 보정한 교합평면을 재설정할 수 있고, 그 재설정된 교합평면에 맞추어 보철물을 제작함으로써 환자의 턱관절 균형을 바로 잡을 수 있는 이상적인 교합이 이루어지도록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메인보우(10)는 양단에는 이어피스(12)를 장착하여 귀에 꼽아 고정할 수 있도록 되는데, 이때 이어피스(12)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형으로 제작하여 분해, 조립 가능하도록 하여 개별 소독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한 것이다.
또한, 상기 서브보우(20)는 양단부에는 걸이대(21)를 장착하고, 그 걸이대(22)가 힌지(23) 결합하면 걸이대(22)가 내,외측으로 절첩 가능하게 되는 것으로, 페이스보우의 안면 장착 상태를 더욱 안정적이게 하면서도 교합평면의 연장선이 환자의 목 양측, 더욱 상세하게는 치기공 이론에서 가장 이상적인 위치로 판단되는 축추에 교합평면의 연장선이 위치되도록 페이스보우를 임시 고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메인보우(10)는 수평측정수단(70)을 장착하면 시술자가 메인보우(10)와 동공의 수평을 목측으로 가늠하는 것보다 더욱 정교하게 수평을 설정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 이러한 수평측정수단(70)의 구조는 메인보우(10)에 거치대(71)를 장착하고 그 거치대(71)에 좌,우로 길게 형성되는 수평봉(72)을 장착하거나, 또는 안경의 형태로 가늠자(73a)가 형성된 측정경(73)을 장착하여 환자의 동공위치와 비교하면서 수평 여부를 가늠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측정경(73)에는 보조 표시눈금(73b)을 형성하면 동공의 위치와 교합평면 간의 수직간격을 측정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 이상적인 표준값에 대한 오차를 확인하여 시술자가 보정수치를 가늠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거치대(71)는 메인보우(10)에 슬라이드 결합되도록 조립하여 전,후방으로 조절하면서 환자의 안면부와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한 것으로, 이때 거치대(71)의 구조를 다관절로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힌지구조로 각도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하면 수평봉(72) 또는 측정경(73)의 각도조절 및 상,하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환자의 얼굴 크기에 따라서 거리 및 각도를 조절하여 환자의 안면부에 가장 근접하게 위치시킴으로써 정교한 수평측정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수평측정수단(70)은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대(71)가 메인보우(10)에 형성된 수평측정수단조립부(14)에 슬라이드 결합하면 수평측정수단(70)을 전,후방으로 조절하여 환자의 안면부와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되는 것이고, 그 수평측정수단조립부(14)에 조임볼트(14a)를 장착하여 거치대(71)가 전,후방으로 움직임 되어진 상태에서 위치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메인보우(10)와 수평측정수단(70)의 조립이 간편할 뿐만 아니라, 분해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바이트포크(30)의 경우에도 바이트포크(30)의 축(31)이 서브보우(20)에 형성된 바이트포크조립부(24)에 슬라이드 결합되도록 하면 바이트포크(30)가 서브보우(20)에 장착된 상태에서 전,후방으로 슬라이드 작동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고, 이러한 바이트포크조립부(24)는 조임볼트(24a)를 형성함으로써 바이트포크(30)의 축(31)을 위치 고정하거나 또는 위치 고정 상태를 해제하여 서브보우(20)만을 개별적으로 분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시술자가 교합측정을 할 경우 바이트포크(30)를 환자의 입에 먼저 물린 상태에서 메인보우(10)만을 이용하여 육안으로 수평측정을 한 후, 더욱 정확한 측정을 위하여 서브보우(20)를 장착할 수 있게 되므로 시술 목적이나 상황에 따라서 서브보우(20)가 일체로 조립된 상태에서 페이스보우로 사용하거나 또는 서브보우(20)를 분리한 상태에서 추후 조립에 의하여 수평측정을 할 수 있으므로 활용도를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메인보우(10)에 견착대(80)를 형성하여 그 견착대(80)의 단부가 환자의 안면부 중 코의 측방에 밀착되도록 하면 견착대(80)에 의하여 페이스보우가 지지되면서 페이스보우가 하측으로 쳐지게 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으로, 이때 상기 견착대(80)는 임시고정수단(81)을 이용하여 견착대(80)의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환자의 얼굴크기에 맞게 길이를 조절하여 페이스보우가 장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함이 바람직한 것이다.
10: 메인보우 11: 기어부
14: 수평측정수단조립부
20: 서브보우 21: 기어부
22: 걸이대 23: 힌지
24: 바이트포크조립부
30: 바이트포크 31: 축
40: 가이드
50: 간격조절수단 51: 샤프트
52: 조임수단
60: 거리조절수단 61: 장착대
62: 조임볼트
70: 수평측정수단 71: 거치대
72: 수평봉 73: 측정경
73a: 가늠자 73b: 보조표시눈금

Claims (11)

  1. 두부에 장착하여 수평 기준을 맞추기 위한 메인보우(10)와, 그 메인보우의 하단에 장착되는 서브보우(20) 및 서브보우(20)에 연결되면서 레진이 도포되어 환자의 입에 삽입되는 바이트포크(30)로 이루어지고, 상기 메인보우(10)와 서브보우(20)와 바이트포크(30)는 모두 수평을 유지하게 장착되어 두부의 동공을 기준으로한 수평선을 기준으로 교합평면을 보정할 수 있게 되는 치과용 페이스 보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보우(10)와 서브보우(20)는 좌,우 분할된 상태로 가이드(40)에 장착되어 좌,우 폭조절이 이루어지고, 상기 메인보우(10)와 서브보우(20)는 간격조절수단(50)에 의하여 상,하 간격 조절이 이루어지며, 상기 바이트포크(30)는 거리조절수단(60)에 의하여 바이트포크(30)의 전,후방 거리조절이 이루어져 환자의 두부 크기에 따라서 가변하여 환자에게 장착할 수 있도록 되는 치과용 페이스 보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절수단(50)은 메인보우(10)와 서브보우(20)가 샤프트(51)로 연결되어 조임수단(52)에 의하여 위치고정되어 메인보우(10)와 서브보우(20)의 상,하 간격 조절이 이루어지고, 상기 거리조절수단(60)은 바이트포크(30)의 축(31)이 장착대(61)에 끼워져 조임볼트(62)에 의하여 위치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페이스 보우.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보우(20)는 양단부에 걸이대(22)가 형성되고, 그 걸이대(22)는 힌지(23) 고정되어 내,외측으로 절첩 가능하게 결합되어 환자의 목 양측, 더욱 상세하게는 경추 2번에 밀착하여 페이스보우의 임시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페이스 보우.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보우(10)는 수평측정수단(70)이 형성되어 환자의 동공 위치에 대응되게 위치시켜 페이스보우의 수평을 조절할 수 있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페이스 보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측정수단(70)은 메인보우(10)에 거치대(71)가 장착되고, 거치대(71)의 후방에는 좌,우로 길게 수평봉(72)이 장착되어 환자의 동공 위치와 비교하여 수평측정이 이루어지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페이스 보우.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측정수단(70)은 메인보우(10)에 거치대(71)가 장착되고, 거치대(71)의 후방에는 가늠자(73a)가 형성된 측정경(73)이 장착되어 환자의 동공 위치와 비교하여 수평측정이 이루어지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페이스 보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경(73)은 보조 표시눈금(73b)이 형성되어 수직길이를 측정하여 오차보정을 할 수 있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페이스 보우.
  9. 제 6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측정수단(70)은 거치대(71)가 메인보우(10)에 슬라이드 결합되어 전,후방으로 조절하여 환자의 안면부와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되면서 다관절로 이루어져 각도조절 및 상,하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페이스 보우.
  10. 제 6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측정수단(70)은 거치대(71)가 메인보우(10)에 형성된 수평측정수단조립부(14)에 슬라이드 결합되어 전,후방으로 조절하여 환자의 안면부와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되고, 상기 수평측정수단조립부(14)는 조임볼트(14a)에 의하여 거치대(71)의 길이조절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체결 또는 해제가 이루어져 조립 및 분해가 가능하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페이스 보우.
  11.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트포크(30)는 축(31)이 서브보우(20)에 형성된 바이트포크조립부(24)에 슬라이드 결합되어 바이트포크(30)가 전,후방으로 슬라이드 작동되고, 상기 바이트포크조립부(24)는 조임볼트(24a)에 의하여 바이트포크(30)의 축을 위치고정하거나 위치고정 상태를 해제토록 하여 서브보우(20)의 분리가 이루어지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페이스 보우.
KR1020130003435A 2013-01-11 2013-01-11 치과용 페이스 보우 KR1014229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3435A KR101422992B1 (ko) 2013-01-11 2013-01-11 치과용 페이스 보우
PCT/KR2014/000115 WO2014109516A1 (ko) 2013-01-11 2014-01-07 치과용 페이스 보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3435A KR101422992B1 (ko) 2013-01-11 2013-01-11 치과용 페이스 보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1314A true KR20140091314A (ko) 2014-07-21
KR101422992B1 KR101422992B1 (ko) 2014-07-24

Family

ID=51167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3435A KR101422992B1 (ko) 2013-01-11 2013-01-11 치과용 페이스 보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422992B1 (ko)
WO (1) WO201410951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N2015MU01912A (ko) * 2015-05-15 2015-05-29 Nandkumar Palaskar Jayant
KR102239741B1 (ko) * 2021-01-29 2021-04-12 한종목 페이스보우용 스캔마커 및 이를 이용한 가상교합기로의 페이스보우 트랜스퍼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85470A (en) * 1990-08-08 1995-01-31 Polz; Michael H. Jaw articulator and face bow with bite-fork column
JP3903228B2 (ja) * 1997-04-23 2007-04-11 東風 巧 審美的咬合平面の決定装置
US6152732A (en) 1999-07-30 2000-11-28 Water Pik, Inc. Facebow with sighting structure
US20060147877A1 (en) * 2003-01-31 2006-07-06 Naoki Nishihama Dental face bow
KR20050108660A (ko) * 2004-05-12 2005-11-17 곽흥구 3차원 상하악 악간관계 기록장치 및 기록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2992B1 (ko) 2014-07-24
WO2014109516A1 (ko) 2014-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9829B1 (ko) 치과용 페이스 보우
Jemt et al. Precision of CNC-milled titanium frameworks for implant treatment in the edentulous jaw.
US7699607B2 (en) Locating and measuring device of facial anatomical parameters
US8801431B2 (en) Combination tool for anatomical measurement for denture manufacture
US6109917A (en) System for establishing a reference plane for dental casts
US11759297B2 (en) Reference denture alignment jig, kit for preparing dentures, and method for preparing dentures using same
US899221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use in creating dental prosthetics
US11259907B2 (en) Device for recording centric jaw relation and orientation jaw relation simultaneously
US2013008453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use in creating dental prosthetics
KR101422992B1 (ko) 치과용 페이스 보우
KR101174646B1 (ko) 3차원 안면 진단 장치
JP3181517U (ja) バイトフォーク
US2233722A (en)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of dentures and method of making such apparatus
US7128574B2 (en) Dental alignment instrument
US20120244490A1 (en) Head Positioning Instrument
KR20160010227A (ko) 치아의 수직고경의 오차를 수정하여 치아의 악간 관계를 정확하게 재현하여 정밀하게 교합측정을 할 수 있는 교합기 및 그 교합기를 이용한 교합방법
US20110136073A1 (en) Dental measuring device
JP6008357B2 (ja) 上顎歯列模型調整器及び上顎歯列模型調整方法
KR101432421B1 (ko) 구치부 고경에 의한 교합평면의 교정이 가능한 교합기
CN220588405U (zh) 口腔咬合平面测量板
AU2018267129B2 (en) Reference denture alignment jig, kit for preparing dentures, and method for preparing dentures using same
RO132231A0 (ro) Set de dispozitive şi procedeu pentru transferul tridimensional al poziţiei arcadei dentare superioare în articulator
WO2021095046A1 (en) A precise jaw relation recorder
TWM485013U (zh) 咬合定位的x光持片器
KR101099794B1 (ko) 악 교정 수술 용 바이트 포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