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90947A - 액체 분사 헤드 및 액체 분사 기록 장치 - Google Patents

액체 분사 헤드 및 액체 분사 기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90947A
KR20140090947A KR1020140002426A KR20140002426A KR20140090947A KR 20140090947 A KR20140090947 A KR 20140090947A KR 1020140002426 A KR1020140002426 A KR 1020140002426A KR 20140002426 A KR20140002426 A KR 20140002426A KR 20140090947 A KR20140090947 A KR 201400909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board
board
head chip
substrate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24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코토 스즈키
유즈루 구보타
Original Assignee
에스아이아이 프린텍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아이아이 프린텍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에스아이아이 프린텍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909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09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35Nozzles
    • B41J2/14Structure thereof only for on-demand ink jet heads
    • B41J2/14016Structure of bubble jet print heads
    • B41J2/14072Electrical connections, e.g. details on electrodes, connecting the chip to the outs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35Nozzles
    • B41J2/14Structure thereof only for on-demand ink jet heads
    • B41J2/14201Structure of print heads with piezoelectric elements
    • B41J2/14209Structure of print heads with piezoelectric elements of finger type, chamber walls consisting integrally of piezoelectric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26Electrical contacts to the cartrid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54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with two or more sets of type or printing elements
    • B41J3/543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with two or more sets of type or printing elements with multiple inkjet print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35Nozzles
    • B41J2/14Structure thereof only for on-demand ink jet heads
    • B41J2002/14491Electrical connection

Landscapes

  • Ink Jet (AREA)
  • Particle Formation And Scattering Control In Inkjet Printers (AREA)

Abstract

[과제] 헤드칩의 액체 토출측과 반대측의 영역의 두께를 얇게 하고, 경량화함과 더불어, 조립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액체 분사 헤드 및 액체 분사 기록 장치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제1 헤드칩(73a)과 제2 헤드칩(73b)이 적층되는 토출부(70)와, 토출부(70)를 구동하는 구동 신호를 출력하는 회로 기판(82)과, 제1 헤드칩(73a)과 회로 기판(82)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제1 접속 기판(83)과, 제2 헤드칩(73b)과 회로 기판(82)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제2 접속 기판(84)을 구비하고, 회로 기판(82)에 절곡부(85)를 설치하며, 이 절곡부(85)를 중심으로 회로 기판(82)을 접어 구부림으로써 제1 전극 단자부(83a) 및 제2 전극 단자부(84a)가, 각각 동일 방향으로 인출되어 있음과 더불어, 제1 헤드칩(73a)과 제2 헤드칩(73b)의 적층 방향에서 서로 대향되어 있다.

Description

액체 분사 헤드 및 액체 분사 기록 장치{LIQUID JET HEAD AND LIQUID JET RECORDING APPARATUS}
이 발명은, 노즐구멍으로부터 액체를 토출하여 피기록 매체에 화상이나 문자를 기록하는 액체 분사 헤드 및 액체 분사 기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피기록 매체에 액체(잉크)를 분사하는 장치로서, 잉크실의 복수의 노즐구멍으로부터 피기록 매체를 향해 잉크 방울을 분사하는 액체 분사 기록 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액체 분사 기록 장치 중에는, 소위 잉크젯 방식이 채용된 잉크젯 헤드를 구비한 것이 있다.
잉크젯 헤드에는, 헤드칩이 설치되어 있다. 헤드칩은, 잉크가 충전되는 복수의 장홈이 형성되어 있는 압전 액추에이터를 구비하고 있다. 각 장홈의 양측벽에는, 각각 전극이 설치되어 있고, 이들 전극에 소정의 구동 전압을 인가하면 측벽이 변형하고, 장홈 내의 용적이 변화한다. 이에 의해, 노즐구멍으로부터 잉크 방울이 피기록 매체를 향해 토출한다.
여기서, 피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문자나 화상의 밀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노즐구멍의 수를 증대시키는 다양한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에는, 헤드칩을 2개 겹쳐, 노즐구멍의 수를 2배에 증가시켜 고밀도 기록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0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종래예의 잉크젯 헤드 횡단면도이다(특허 문헌 1의 도 12).
동 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잉크젯 헤드(110)는, 헤드칩(101)을 2개 겹쳐 구성되어 있다. 각 헤드칩(101)은, 하부 기판(111)과 상부 기판(113)에 끼인 채널부(115)와, 채널부(115)의 전면에 붙일 수 있는 노즐 플레이트(102)와, 하부 기판(111)의 외면에 붙일 수 있는 배선 기판(103)과, 배선 기판(103)에 실장되는 구동 IC(104) 등으로 구성된다.
채널부(115)는, 하부 기판(111)과, 상부 기판(113)과, 하부 기판(111)과 상부 기판(113)의 사이에 끼인 압전체로 이루어지는 2개의 벽(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둘러싸인다.
2개의 헤드칩(101)은, 상부 기판(113)들을 대면시키고, 하부 기판(111)을 외측으로 하여 적층된다. 2개의 하부 기판(111)의 외면에는, 각각 배선 기판(103)을 붙일 수 있다. 즉, 2개의 헤드칩(101)은, 2장의 배선 기판(103)에 의해 끼인 구조를 가진다. 각 배선 기판(103)의 내측에는, 표면에 각각 구동 IC(104)가 실장된다. 따라서, 2개의 헤드칩(101)의 액체 토출측과 반대측의 영역은 2장의 배선 기판(103)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배선 기판(103)에 실장되는 구동 IC(104)는, 제어 회로 등의 외부 회로로부터 2개의 커넥터(105), 및 배선(106)을 통해 제어 신호를 입력하고, 각 채널부(115)를 선택적으로 구동하는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 구동 IC(104)에 의해 생성된 구동 신호는 구동 배선(107)을 통해 채널부(115)에 공급된다. 압전체로 이루어지는 2개의 벽은 구동 신호에 따라 변형하여, 채널부(115)의 용적을 변화시킨다. 이에 의해 내부에 충전되는 잉크가 노즐로부터 토출된다.
다음에, 도 11에 의거하여, 고밀도 기록을 가능하게 하는 다른 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1은, 다른 종래예의 액체 분사 헤드의 모식적인 사시도이다.
동 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액체 분사 헤드(120)는, 2열 헤드칩(123)과, 이 2열 헤드칩(123)에 구동 신호를 공급하는 2장의 회로 기판(124, 125)과, 2장의 회로 기판(124, 125)에 제어 신호를 공급하는 중계 기판(126)과, 4장의 플렉시블 기판(127, 128, 131, 132)을 가지고 있다.
2열 헤드칩(123)은, 압전체로 이루어지는 2장의 압전 액추에이터(121, 122)를 서로 붙인 2열의 노즐열을 가지고 있다.
4장의 플렉시블 기판(127, 128, 131, 132) 중, 2장의 플렉시블 기판(127, 128)은, 2장의 회로 기판(124, 125)과 2열 헤드칩(123)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2장의 플렉시블 기판(131, 132)은, 중계 기판(126)과 2장의 회로 기판(124, 125)을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것이다.
중계 기판(126)은, 외부 회로로부터 제어 신호를 입력하는 외부 기기 접속용 커넥터(133)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입력한 제어 신호를 2장의 플렉시블 기판(131, 132)을 통해 2장의 회로 기판(124, 125)에 공급한다.
2장의 회로 기판(124, 125)은, 각각 드라이버 IC(134, 135)를 구비하고 있다. 각 드라이버 IC(134, 135)는, 입력한 제어 신호에 의거하여 2열 헤드칩(123)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 드라이버 IC(134)에 의해 생성된 구동 신호는, 플렉시블 기판(127)을 통해 상부의 압전 액추에이터(121)에 공급된다. 한편, 드라이버 IC(135)에 의해 생성된 구동 신호는, 플렉시블 기판(128)을 통해 하부의 압전 액추에이터(122)에 공급된다.
따라서, 2열 헤드칩(123)으로 이루어지는 액체 분사 헤드(120)는, 2장의 회로 기판(124, 125)과, 1장의 중계 기판(126)과, 4장의 플렉시블 기판(127, 128, 131, 132)을 필요로 했다.
일본국 특허 공개 2004-209796호 공보
그런데, 상기 서술의 특허 문헌 1에 있어서는, 각 헤드칩(101)을 구성하는 하부 기판(111)의 외측에, 액체 토출측과 반대측에 크게 돌출하는 배선 기판(103)이 설치되어 있다. 이로 인해, 잉크젯 헤드(110)의 중량이 무거워짐과 더불어, 잉크젯 헤드(110)를 얇게 하는데에 한계가 있어, 잉크젯 헤드(110)의 용량, 용적이 커진다. 이 결과, 캐리지나, 이 캐리지를 구동하는 구동계의 부재가 커져, 장치 전체가 대형화해 버린다고 하는 과제가 있다.
그리고, 잉크젯 헤드(110)를 복수 탑재하는 캐리지의 질량이 증대하여 캐리지를 구동하는 구동계에 큰 부하가 걸린다고 하는 과제가 있다.
또, 2개의 헤드칩(101)의 액체 토출측과 반대측의 영역은 배선 기판(103)에 의해 점유되어, 이 영역을 다른 기기용으로 활용할 수 없다고 하는 과제가 있다. 그 밖에, 커넥터(105)가 2개 장비되므로, 배선(106)과 제어 회로 등의 외부 회로와의 접속 레이아웃의 제약이 증대해 버린다고 하는 과제가 있다.
또한, 도 11에 도시하는 다른 종래예에 있어서는, 액체 토출측과 반대측의 영역에는, 2장의 회로 기판(124, 125)과, 4장의 플렉시블 기판(127, 128, 131, 132)과, 1장의 중계 기판(126)이 설치되게 된다. 이로 인해, 이 영역의 두께를 얇게 형성하는데에 한계가 있다고 하는 과제가 있다.
또, 부품점수가 많아, 조립하는 조립 공정도 복잡하고 길어짐과 더불어, 고장의 원인도 증가한다고 하는 과제가 있다.
그래서, 이 발명은, 상기 서술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헤드칩의 액체 토출측과 반대측의 영역의 두께를 얇게 하고, 경량화함과 더불어, 배치 스페이스를 유효 활용하여 부품의 레이아웃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액체 분사 헤드 및 액체 분사 기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조립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더불어, 고장의 우려를 감소시킬 수 있는 액체 분사 헤드 및 액체 분사 기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액체 분사 헤드는, 액체를 분출하기 위한 제1 헤드칩과 제2 헤드칩이 적층되는 토출부와, 상기 토출부를 구동하는 구동 신호를 출력하는 회로 기판과, 상기 제1 헤드칩과 상기 회로 기판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제1 접속 기판과, 상기 제2 헤드칩과 상기 회로 기판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제2 접속 기판을 구비하고, 상기 회로 기판의 임의의 2개의 측변에, 각각 따로 상기 제1 접속 기판의 일단을 설치함과 더불어 상기 제2 접속 기판의 일단을 설치하며, 상기 회로 기판, 상기 제1 접속 기판, 및 상기 제2 접속 기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한 절곡부에서 상기 회로 기판, 상기 제1 접속 기판, 및 상기 제2 접속 기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접어 구부림으로써, 상기 제1 접속 기판의 타단, 및 상기 제2 접속 기판의 타단이, 각각 동일 방향으로 인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상기 절곡부를 중심으로, 상기 회로 기판, 상기 제1 접속 기판, 및 상기 제2 접속 기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접어 구부려도 된다. 또, 상기 회로 기판에, 상기 절곡부를 설치해도 된다. 또한, 상기 회로 기판은, 플렉시블 기판으로 구성되어도 된다.
또, 상기 제1 접속 기판, 및 상기 제2 접속 기판에, 각각 상기 절곡부를 설치해도 된다. 또한, 상기 제1 접속 기판, 및 상기 제2 접속 기판은, 플렉시블 기판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각 헤드칩의 액체 토출측과 반대측의 영역에 설치되는 것이, 회로 기판, 제1 접속 기판, 및 제2 접속 기판뿐이므로, 부품점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 각 접속 기판의 타단이, 각각 동일 방향으로 인출되어 있으므로, 각 접속 기판이 불필요하게 길어지는 경우가 없다. 이로 인해, 각 헤드칩의 액체 토출측과 반대측의 영역의 두께를 얇게 하고, 경량화할 수 있음과 더불어, 각 접속 기판과 각 헤드칩의 접속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부품점수를 감소시킬 수 있고, 고장의 우려를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액체 분사 헤드는, 상기 회로 기판, 상기 제1 접속 기판, 및 상기 제2 접속 기판을 일체화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부품점수를 감소시킬 수 있고, 액체 분사 헤드의 제조 코스트를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액체 분사 헤드는, 상기 제1 접속 기판의 타단, 및 상기 제2 접속 기판의 타단은, 상기 제1 헤드칩과 상기 제2 헤드칩의 적층 방향에서 서로 대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또한, 각 접속 기판이 불필요하게 길어지는 경우가 없어지며, 보다 확실히, 각 헤드칩의 액체 토출측과 반대측의 영역의 두께를 얇게 하고, 경량화할 수 있음과 더불어, 각 접속 기판과 각 헤드칩의 접속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액체 분사 헤드는, 상기 회로 기판에, 이 회로 기판과 외부 기기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외부 기기 접속용 단자부를 설치하고, 상기 회로 기판에, 상기 외부 기기 접속용 단자부를 외부에 노출시키기 위한 창(窓)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상기 외부 기기 접속용 단자부는 플렉시블 기판으로 이루어지고, 이 플렉시블 기판이 상기 창부를 통해 외부에 노출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창부를 통해 외부 기기와 외부 기기 접속용 단자부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배치 스페이스를 유효 활용하여 액체 분사 헤드의 레이아웃성이 향상하고, 또한 소형화·경량화가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액체 분사 헤드는, 상기 회로 기판상의 배선이, 상기 창부를 피해 부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회로 기판상에 실장되는 부품의 전기적 접속을 확실히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액체 분사 헤드는, 상기 창부는, 상기 회로 기판상에 실장되어 있는 전자 소자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접속 기판, 및 상기 제2 접속 기판과는 반대측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각 접속 기판의 타단은, 각각 헤드칩에 접속되므로, 각 접속 기판의 타단 부근에서는 배선 밀도가 높아진다. 이로 인해, 회로 기판상에 실장되어 있는 전자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제1 접속 기판, 및 제2 접속 기판과는 반대측에 창부를 형성함으로써, 배선 레이아웃성을 높일 수 있다. 이 결과, 각 헤드칩의 액체 토출측과 반대측의 영역의 두께를 얇게 하고, 경량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액체 분사 기록 장치는, 액체 분사 헤드와, 상기 액체 분사 헤드를 주사시키는 주사 수단과, 상기 액체를 수용하는 액체 수용체와, 상기 액체 분사 헤드와 상기 액체 수용체의 사이에 부설되고, 상기 액체를 유통시키는 액체 공급관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액체 분사 헤드를 주사시키는 주사 수단의 구동 부하를 저감할 수 있어, 고효율, 고성능인 액체 분사 기록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각 헤드칩의 액체 토출측과 반대측의 영역에 설치되는 것이, 회로 기판, 제1 접속 기판, 및 제2 접속 기판뿐이므로, 부품점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 각 접속 기판의 타단이, 각각 동일 방향으로 인출되어 있으므로, 각 접속 기판이 불필요하게 길어지는 경우가 없다. 이로 인해, 각 헤드칩의 액체 토출측과 반대측의 영역의 두께를 얇게 하고, 경량화할 수 있음과 더불어, 각 접속 기판과 각 헤드칩의 접속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부품점수를 감소시킬 수 있고, 고장의 우려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 창부를 통해 외부 기기와 외부 기기 접속용 단자부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배치 스페이스를 유효 활용하여 액체 분사 헤드의 레이아웃성이 향상하고, 또한 소형화·경량화가 가능해진다.
또한, 액체 분사 헤드를 주사시키는 주사 수단의 구동 부하를 저감할 수 있어, 고효율, 고성능인 액체 분사 기록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액체 분사 기록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유닛 헤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토출부와 구동 제어부가 접속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구동 제어부의 전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구동 제어부를 도시하고, (a)는 전개 사시도, (b)는 토출부에 장착할 때의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구동 제어부를 도시하고, (a)는 전개 사시도, (b)는 토출부에 장착할 때의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구동 제어부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구동 제어부를 도시하고, (a)는 전개 사시도, (b)는 토출부에 장착할 때의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6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구동 제어부를 도시하고, (a)는 전개 사시도, (b)는 토출부에 장착할 때의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종래예의 잉크젯 헤드 횡단면도이다.
도 11은 다른 종래예의 액체 분사 헤드의 모식적인 사시도이다.
(제1 실시 형태)
(액체 분사 기록 장치)
다음에, 이 발명의 제1 실시 형태를 도 1~도 4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이용하는 도면에서는, 각 부재를 인식 가능한 크기로 하기 위해, 각 부재의 축척을 적당히 변경하고 있다.
도 1은, 액체 분사 기록 장치의 사시도이다.
액체 분사 기록 장치(1)는, 종이 등의 피기록 매체(S)를 반송하는 한 쌍의 반송 기구(2, 3)와, 피기록 매체(S)에 잉크 방울을 분사하는 유닛 헤드(4)와, 유닛 헤드(4)에 잉크를 공급하는 액체 공급 수단(5)과, 유닛 헤드(4)를 피기록 매체(S)의 반송 방향(주주사 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부주사 방향)으로 주사시키는 주사 수단(6)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부주사 방향을 X방향, 주주사 방향을 Y방향, 그리고 X방향, 및 Y방향에 모두 직교하는 방향을 Z방향으로서 설명한다. 여기서, 액체 분사 기록 장치(1)는, X방향, Y방향이 수평 방향이 되도록, 또한 Z방향이 중력 방향 상하 방향이 되도록 올려놓고 사용되도록 되어 있다.
즉, 액체 분사 기록 장치(1)를 올려놓은 상태에서는, 피기록 매체(S)상을 유닛 헤드(4)가 수평 방향(X방향, Y방향)을 따라 주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이 유닛 헤드(4)로부터 중력 방향 하방(Z방향 하방)을 향해 잉크 방울이 분사되고, 이 잉크 방울이 피기록 매체(S)에 착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 쌍의 반송 기구(2, 3)는, 각각 X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된 그리드 롤러(20, 30)와, 그리드 롤러(20, 30)의 각각 평행으로 연장되는 핀치 롤러(21, 31)와, 상세한 것은 도시하지 않으나, 그리드 롤러(20, 30)를 축 둘레로 회전 동작시키는 모터 등의 구동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액체 공급 수단(5)은, 잉크가 수용된 액체 수용체(50)와, 액체 수용체(50)와 유닛 헤드(4)를 접속하는 액체 공급관(51)을 구비하고 있다. 액체 수용체(50)는, 복수 설치되어 있으며, 예를 들어, 옐로우, 마젠타, 시안, 블랙의 4종류의 잉크가 수용된 잉크 탱크(50Y, 50M, 50C, 50B)가 줄지어 설치되어 있다. 잉크 탱크(50Y, 50M, 50C, 50B)의 각각에는 펌프 모터(M)가 설치되어 있어, 잉크를 액체 공급관(51)을 통해 유닛 헤드(4)로 가압 이동시킬 수 있다. 액체 공급관(51)은, 유닛 헤드(4)(캐리지 유닛(62))의 동작에 대응 가능한 가요성을 가지는 플렉시블 호스로 이루어진다.
또한, 액체 수용체(50)는, 옐로우, 마젠타, 시안, 블랙의 4종류의 잉크가 수용된 잉크 탱크(50Y, 50M, 50C, 50B)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더욱 다색의 잉크를 수용한 잉크 탱크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주사 수단(6)은, X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된 한 쌍의 가이드 레일(60, 61)과, 한 쌍의 가이드 레일(60, 61)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한 캐리지 유닛(62)과, 캐리지 유닛(62)을 X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 기구(63)를 구비하고 있다. 구동 기구(63)는, 한 쌍의 가이드 레일(60, 61)의 사이에 설치된 한 쌍의 풀리(64, 65)와, 한 쌍의 풀리(64, 65) 사이에 감겨진 무단 벨트(66)와, 한쪽의 풀리(64)를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 모터(67)를 구비하고 있다.
한 쌍의 풀리(64, 65)는, 한 쌍의 가이드 레일(60, 61)의 양단부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있고, X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무단 벨트(66)는, 한 쌍의 가이드 레일(60, 61) 사이에 설치되어 있으며, 이 무단 벨트(66)에, 캐리지 유닛(62)이 연결되어 있다. 캐리지 유닛(62)의 기단부(62a)에는, 복수의 유닛 헤드(4)가 탑재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옐로우, 마젠타, 시안, 블랙의 4종류의 잉크에 개별적으로 대응하는 유닛 헤드(4Y, 4M, 4C, 4B)가 X방향으로 줄지어 탑재되어 있다.
(유닛 헤드)
도 2는, 유닛 헤드의 사시도이다.
동 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닛 헤드(4)는, 하부 베이스(41)상에, 2개의 액체 분사 헤드(10, 10)를 2열 줄지어 배치한 것이다. 또한, 2개의 액체 분사 헤드(10, 10)는 같은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이하의 설명에서는, 2개의 액체 분사 헤드(10, 10)의 한쪽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다른쪽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액체 분사 헤드)
액체 분사 헤드(10)는, 피기록 매체(S)(도 1 참조)에 대해 잉크 방울을 분사하는 토출부(70)와, 토출부(7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이 토출부(70)의 구동을 제어하는 구동 제어부(80)와, 구동 제어부(80)를 고정하는 종베이스(42)와, 토출부(70)와 액체 공급관(51)의 사이에, 각각 접속부(13, 14)를 통해 개재된 액체 유통부(12)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액체 공급관(51)으로부터 유입되는 잉크가, 액체 유통부(12)를 통해 토출부(70)에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하부 베이스(41)와 종베이스(42)를 일체 성형으로 해도 된다.
도 3은, 토출부와 구동 제어부가 접속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토출부(70)는, 하부 베이스(41)에 고정되어 있고, 액체 유통부(12)에 접속부(14)를 통해 접속된 유로 부재(71)와, 전압이 인가됨으로써 잉크를 액체 방울로서 피기록 매체(S)에 분사시키는 제1 헤드칩(73a) 및 제2 헤드칩(73b)과, 제1 헤드칩(73a) 및 제2 헤드칩(73b)의 Z방향의 하단면(73c), 즉, 최하면에 설치된 노즐 플레이트(72)를 가지고 있다.
제1 헤드칩(73a) 및 제2 헤드칩(73b)은, 각각 압전 액추에이터 플레이트(PP)와 커버 플레이트(CP)가 적층된 구조를 가지고, Y방향으로 길어지도록 대략 직사각형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 헤드칩(73a) 및 제2 헤드칩(73b)은, 서로 압전 액추에이터 플레이트(PP)가 X방향으로 겹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1 헤드칩(73a) 및 제2 헤드칩(73b)은, 같은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이하, 제1 헤드칩(73a), 및 제2 헤드칩(73b)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는 경우는, 제1 헤드칩(73a)만 설명하고, 제2 헤드칩(73b)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또, 이하의 설명에서는, 2개의 압전 액추에이터 플레이트(PP)가 서로 겹치는 측면을, 겹침면(PPa)이라고 칭하고, 이 겹침면(PPa)과는 반대측의 면을, 커버면(PPb)이라고 칭하여 설명한다.
압전 액추에이터 플레이트(PP)는, 예를 들어 티탄산지르콘산연(PZT) 등의 압전 재료로 이루어지는 대략 직사각형형상의 플레이트이다. 압전 액추에이터 플레이트(PP)의 커버면(PPb)측에는, Z방향 하측에 복수의 채널(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다. 채널은, 잉크가 충전되는 개소로서, 압전 액추에이터 플레이트(PP)의 폭 방향(Z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단면 대략 직사각형의 홈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노즐 플레이트(72)에는, 채널에 연통하는 복수의 노즐구멍(어느 쪽도 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 노즐구멍이 Y방향을 따라 노즐열을 형성하고 있다.
또, 압전 액추에이터 플레이트(PP)의 커버면(PPb)측에, 커버 플레이트(CP)가 적층되어 있다. 커버 플레이트(CP)는, 압전 액추에이터 플레이트(PP)의 채널을 개폐하도록, Y방향으로 긴 대략 직사각형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커버 플레이트(CP)의 압전 액추에이터 플레이트(PP)와는 반대측의 면에, 유로 부재(71)가 배치되도록 되어 있다.
또, 압전 액추에이터 플레이트(PP)의 커버면(PPb)측은, 커버 플레이트(CP)가 설치되지 않은 Z방향 상측이 노출(돌출)된 상태로 되어 있고, 여기에, 전극 인출 부(74)가 형성되어 있다. 즉, 제1 헤드 칩(73a)의 전극 인출부(74), 및 제2 헤드칩(73b)의 전극 인출부(74)는, 제1 헤드칩(73a)과 제2 헤드칩(73b)의 적층 방향(X방향)으로 겹치도록 배치되고, 또한 적층 방향 외측으로 노출된 상태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구성된 제1 헤드칩(73a) 및 제2 헤드칩(73b)의 각 전극 인출부(74)에, 각각 구동 제어부(80)가 접속된다.
이러한 구성을 바탕으로, 구동 제어부(80)로부터 압전 액추에이터 플레이트(PP)에 전압이 인가됨으로써, 채널이 변형한다. 그리고, 채널이 변형함으로써, 이 채널에 충전되어 있는 잉크가, 각각 제1 헤드칩(73a) 및 제2 헤드칩(73b)의 하단면(73c)으로부터 노즐 플레이트(72)를 통해 토출된다.
이와 같이, 액체 분사 헤드(10)는, 제1 헤드칩(73a) 및 제2 헤드칩(73b)의 하단면(73c)이 잉크 토출측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구동 제어부(80)는, 제1 헤드칩(73a) 및 제2 헤드칩(73b)의 잉크 토출측과는 반대측에 위치한 상태로 되어 있다.
(구동 제어부)
다음에, 도 3, 도 4에 의거하여, 구동 제어부(80)에 대해 상술한다.
도 4는, 구동 제어부의 전개도이다.
도 3,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동 제어부(80)는, 띠형상의 하나의 플렉시블 기판(81)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이 플렉시블 기판(81)의 길이 방향 중앙의 대부분을, 토출부(70)를 구동하는 구동 신호를 출력하는 회로 기판(82)으로서 구성하고 있다. 또, 회로 기판(82)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는 부위를, 회로 기판(82)과 제1 헤드칩(73a)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제1 접속 기판(83)으로서 구성하고 있다. 또한, 회로 기판(82)의 타측으로부터 연장되는 부위를, 회로 기판(82)과 제2 헤드칩(73b)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제2 접속 기판(84)으로서 구성하고 있다.
즉, 이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구동 제어부(80)는, 회로 기판(82)의 Z방향 양단측에, 각각 제1 접속 기판(83)과 제2 접속 기판(84)을 설치하고, 이들 회로 기판(82), 제1 접속 기판(83), 및 제2 접속 기판(84)을 일체화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도 3, 도 4에 있어서는, 특히 회로 기판(82)과 제1 접속 기판(83) 및 제2 접속 기판(84)과의 경계가 명확하지 않으나, 회로 기판(82)의 Z방향 양단측이, 청구항에 있어서의 「회로 기판의 임의의 2개의 측변」에 상당한다(이하의 제2 실시 형태, 제3 실시 형태에 대해서도 동일).
제1 접속 기판(83)의 회로 기판(82)과는 반대측 단에는, 플렉시블 기판(81)의 일면(81a)측에, 제1 전극 단자부(83a)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제1 전극 단자부(83a)는, 제1 접속 기판(83)과 제1 헤드칩(73a)에 형성되어 있는 전극 인출부(74)를 접속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제2 접속 기판(84)의 회로 기판(82)과는 반대측 단에는, 제1 전극 단자부(83a)가 설치되어 있는 면과 같은 일면(81a)측에, 제2 전극 단자부(84a)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제2 전극 단자부(84a)는, 제2 접속 기판(84)과 제2 헤드칩(73b)에 형성되어 있는 전극 인출부(74)를 접속하기 위한 것이다.
이들 제1 전극 단자부(83a) 및 제2 전극 단자부(84a)는, 통상 100개 이상의 전극 단자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1 전극 단자부(83a) 및 제2 전극 단자부(84a)는, 단자부가 가지는 전극 단자가 플렉시블 기판(81)의 폭 방향(Y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치되어 있다.
회로 기판(82)은, 길이 방향(Z방향) 중앙이, 폭 방향(Y방향) 전체에 걸쳐 절곡부(85)로서 구성되어 있다. 이 절곡부(85) 중심으로, 제1 전극 단자부(83a)와 제2 전극 단자부(84a)가 서로 겹치도록 플렉시블 기판(81)을 접어 구부림으로써, 회로 기판(82)으로부터 제1 접속 기판(83) 및 제2 접속 기판(84)이 동일 방향을 향해 인출된 상태가 된다(도 3 참조).
또한, 도 3에 상세하게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접속 기판(83)의 제1 전극 단자부(83a)와, 제2 접속 기판(84)의 제2 전극 단자부(84a)가 X방향에서 대향한 상태가 된다. 즉, 제1 전극 단자부(83a)와 제2 전극 단자부(84a)가 대향하는 방향은, 제1 헤드칩(73a)과 제2 헤드칩(73b)의 적층 방향과 동일하게 되어 있다.
또, 회로 기판(82)은, 플렉시블 기판(81)의 일면(81a)측에, 도시하지 않은 외부 기기로부터의 제어 신호가 입력되는 외부 기기 접속용 커넥터(86)가 설치되어 있다. 외부 기기 접속용 커넥터(86)는, 절곡부(85)의 제2 접속 기판(84)측에 인접하도록, 또한 그 길이 방향이 플렉시블 기판(81)의 폭 방향(Y방향)을 따르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외부 기기 접속용 커넥터(86)의 배치 개소를, 절곡부(85)의 제1 접속 기판(83)측에 인접하도록, 또한 그 길이 방향이 플렉시블 기판(81)의 폭 방향(Y방향)을 따르도록 배치해도 된다.
여기서, 회로 기판(82)의 절곡부(85)에는, 외부 기기 접속용 커넥터(86)에 대응하는 위치에, 개구부(창부)(87)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개구부(87)의 크기는, 외부 기기 접속용 커넥터(86)의 외형 형상보다 약간 크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회로 기판(82)을 절곡부(85)를 중심으로 하여 접어 구부렸을 때, 개구부(87)로부터 외부 기기 접속용 커넥터(86)가 외부에 노출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개구부(87)를 통해, 도시하지 않은 외부 기기로부터 연장되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FFC)(88)(도 2 참조)이 외부 기기 접속용 커넥터(86)에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또, 회로 기판(82)에 있어서의 플렉시블 기판(81)의 일면(81a)측에는, 절곡부(85)보다 제1 접속 기판(83)측에, 제1 드라이버 IC(89a)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회로 기판(82)에 있어서의 플렉시블 기판(81)의 일면(81a)측에는, 절곡부(85)보다 제2 접속 기판(84)측에, 제2 드라이버 IC(89b)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제1 드라이버 IC(89a) 및 제2 드라이버 IC(89b)는, 각각 제1 헤드칩(73a) 및 제2 헤드칩(73b)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 신호를 생성하는 것이다.
제1 드라이버 IC(89a) 및 제1 전극 단자부(83a)는, 플렉시블 기판(81)상에 부설되어 있는 배선(91)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 제2 드라이버 IC(89b) 및 제2 전극 단자부(84a)는, 플렉시블 기판(81)상에 부설되어 있는 배선(92)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제1 드라이버 IC(89a), 제2 드라이버 IC(89b) 및 외부 기기 접속용 커넥터(86)는, 플렉시블 기판(81)상에 부설되어 있는 배선(93)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배선(93)은, 개구부(87)를 피하도록 부설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바탕으로, 토출부(70)의 제1 헤드칩(73a) 및 제2 헤드칩(73b)에 구동 제어부(80)를 접속하려면, 우선, 회로 기판(82)을, 절곡부(85)를 중심으로 하여 접어 구부린다. 그리고, 제1 접속 기판(83)의 제1 전극 단자부(83a)와, 제2 접속 기판(84)의 제2 전극 단자부(84a)를 대향시킨 상태에서, 제1 헤드칩(73a)의 전극 인출부(74)상에 제1 전극 단자부(83a)를 올려놓음과 더불어, 제2 헤드칩(73b)의 전극 인출부(74)상에 제2 전극 단자부(84a)를 올려놓는다. 이후, 제1 헤드칩(73a)의 전극 인출부(74)에 제1 전극 단자부(83a)를 압착하여 접속함과 더불어, 제2 헤드칩(73b)의 전극 인출부(74)에 제2 전극 단자부(84a)를 압착하여 접속한다.
여기서, 제1 헤드칩(73a)의 전극 인출부(74) 및 제2 헤드칩(73b)의 전극 인출부(74)는, 제1 헤드칩(73a)과 제2 헤드칩(73b)의 적층 방향(X방향)으로 겹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로 인해, 제1 전극 단자부(83a) 및 제2 전극 단자부(84a)의 위에서부터 동시에 가압력을 부여하고, 이들 제1 전극 단자부(83a) 및 제2 전극 단자부(84a)를, 각각 대응하는 전극 인출부(74)에 동시에 압착하여 접속할 수 있다. 그리고, 이에 의해, 토출부(70)로의 구동 제어부(80)의 전기적 접속 작업이 완료한다.
토출부(70)에 구동 제어부(80)를 접속한 후,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부 베이스(41)에 토출부(70)를 고정함과 더불어, 종베이스(42)에 구동 제어부(80)를 고정한다. 이 상태의 액체 분사 헤드(10)는, 토출부(70)의 제1 헤드칩(73a) 및 제2 헤드칩(73b)의 Z방향의 하측에 하단면(73c)이 위치하고, 토출부(70)와는 반대측의 상측에 구동 제어부(80)의 개구부(87)가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이 개구부(87)를 통해, 외부 기기 접속용 커넥터(86)가 노출된 상태로 되어 있다. 이로 인해, 외부 기기 접속용 커넥터(86)에, 도시하지 않은 외부 기기로부터 연장되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FFC)(88)을 용이하게 접속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액체 분사 헤드(10)와 도시하지 않은 외부 기기의 전기적 접속 작업이 완료한다.
(효과)
따라서, 상기 서술의 제1 실시 형태에 의하면, 제1 헤드칩(73a) 및 제2 헤드칩(73b)의 하단면(73c)(잉크 토출측)과는 반대측의 영역에 설치되는 것이, 구동 제어부(80)를 구성하는 회로 기판(82), 제1 접속 기판(83), 및 제2 접속 기판(84)뿐이므로, 부품점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더해 이들 회로 기판(82), 제1 접속 기판(83), 및 제2 접속 기판(84)이, 하나의 플렉시블 기판(81)으로 이루어지므로, 환언하면, 회로 기판(82), 제1 접속 기판(83), 및 제2 접속 기판(84)이 일체화되어 있으므로, 더욱 부품점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 헤드칩(73a) 및 제2 헤드칩(73b)의 하단면(73c)과는 반대측의 영역의 두께를 얇게 하고, 경량화할 수 있음과 더불어, 각 부품의 고장의 우려를 감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주사 수단(6)의 구동 부하를 저감시킬 수 있어, 고효율, 고성능인 액체 분사 기록 장치(1)를 제공할 수 있다.
또, 회로 기판(82)에 절곡부(85)를 설정하고, 이 절곡부(85)를 중심으로 하여 회로 기판(82)을 접어 구부림으로써, 제1 접속 기판(83)의 제1 전극 단자부(83a), 및 제2 접속 기판(84)의 제2 전극 단자부(84a)가, 동일 방향을 향해 인출되어 있다. 또한, 제1 전극 단자부(83a) 및 제2 전극 단자부(84a)를, 제1 헤드칩(73a)과 제2 헤드칩(73b)의 적층 방향과 동일 방향에서 대향시키고 있다.
이로 인해, 제1 헤드칩(73a) 및 제2 헤드칩(73b)의 하단면(73c)과는 반대측의 영역의 두께를 용이하게 얇게 할 수 있다. 이에 더해, 제1 전극 단자부(83a) 및 제2 전극 단자부(84a)를, 각각 대응하는 전극 인출부(74)에 동시에 압착하여 접속할 수 있으므로, 접속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각 접속 기판(83, 84)을 동일 방향으로 인출하지 않는 경우에 비해, 각 접속 기판(83, 84)의 인출 거리가 불필요하게 길어지지 않으므로, 구동 제어부(80) 전체의 소형·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회로 기판(82)에는, 절곡부(85)의 제2 접속 기판(84)측에 인접하도록 외부 기기 접속용 커넥터(86)가 설치되어 있음과 더불어, 절곡부(85)의 외부 기기 접속용 커넥터(86)에 대응하는 위치에, 개구부(87)가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회로 기판(82)을 절곡부(85)를 중심으로 하여 접어 구부렸을 때, 개구부(87)로부터 외부 기기 접속용 커넥터(86)를 외부에 노출시킬 수 있다.
따라서, 외부 기기 접속용 커넥터(86)에,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88)을 용이하게 접속할 수 있다. 이에 더해, 구동 제어부(80)의 점유 스페이스를 최소한으로 할 수 있어, 액체 분사 헤드(10)를 소형·경량화할 수 있음과 더불어, 그만큼, 배치 스페이스를 유효 활용할 수 있고, 액체 분사 헤드(10)의 레이아웃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회로 기판(82)상에 설치되어 있는 제1 드라이버 IC(89a), 제2 드라이버 IC(89b) 및 외부 기기 접속용 커넥터(86)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배선(93)이, 개구부(87)를 피하도록 부설되어 있다. 또한, 제1 드라이버 IC(89a)와 제1 전극 단자부(83a)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배선(91), 및 제2 드라이버 IC(89b)와 제2 전극 단자부(84a)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배선(92)은, 각 드라이버 IC(89a), 89b)를 사이에 두고 개구부(87)와는 반대측에 부설된 상태로 되어 있으므로, 이들 배선(91, 92)도, 개구부(87)를 피해 부설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각 배선(91~93)이 개구부(87)를 피해 부설되어 있으므로, 제1 드라이버 IC(89a), 제2 드라이버 IC(89b) 및 외부 기기 접속용 커넥터(86)의 각 전기적 접속을 확실히 행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전극 단자부(83a) 및 제2 전극 단자부(84a)는, 통상 100개 이상의 전극 단자로 이루어지므로, 제1 드라이버 IC(89a)와 제1 전극 단자부(83a)의 사이에, 다수의 배선(91)이 부설되게 됨과 더불어, 제2 드라이버 IC(89b)와 제2 전극 단자부(84a)의 사이에, 다수의 배선(92)이 부설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 있어서, 배선(91, 92)이 부설되어 있지 않은 개소에 개구부(87)가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개구부(87)를 피하도록, 다수의 배선(91, 92)을 부설할 필요가 없고, 그만큼, 제1 접속 기판(83) 및 제2 접속 기판(84)이 대형화하는 일이 없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제1 드라이버 IC(89a)와 제1 전극 단자부(83a)의 사이, 및 제2 드라이버 IC(89b)와 제2 전극 단자부(84a)의 사이 중 어느 한쪽에 개구부(87)가 형성되어 있으면, 이 개구부(87)를 피하도록 배선(91, 92)을 부설하기 위한 스페이스를 확보할 필요가 있다. 이로 인해, 제1 드라이버 IC(89a)와 제1 전극 단자부(83a)의 사이, 및 제2 드라이버 IC(89b)와 제2 전극 단자부(84a)의 사이가 대형화해 버린다. 그러나, 플렉시블 기판(81)상의 배선(91, 92)이 부설되어 있지 않은 개소에 개구부(87)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1 접속 기판(83) 및 제2 접속 기판(84)의 대형화를 방지할 수 있다. 이 결과, 제1 헤드칩(73a) 및 제2 헤드칩(73b)의 하단면(73c)과는 반대측의 영역의 두께를, 더 얇게 하고, 경량화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커넥터(86)는 단일의 커넥터로서 기재했는데, 이 기재에 한정하지 않고, 복수의 커넥터(86a, 86b)(도시하지 않음)를 이용해도 상관없다. 이 경우, 커넥터(86a)는 배선(93a)(도시하지 않음)을 통해 제1 드라이버 IC(89a)에 접속된다. 그리고, 커넥터(86b)는 배선(93b)(도시하지 않음)을 통해 제2 드라이버 IC(89b)에 접속된다.
이러한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배선(93)을 인출하는 거리를 짧게 할 수 있고, 개구부(87)의 Y방향의 바로 옆에 배선(93)을 인출할 필요가 없다. 이에 의해, 플렉시블 기판(81)의 Y방향의 폭을 더욱 축소할 수 있으므로, 플렉시블 기판(81)을 소형화할 수 있다. 또, 이 형태는 요컨데, 절곡부(85)에 배선이 존재하고 있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이 경우, 절곡부(85)가 경년적으로 열화하여, 플렉시블 기판(81)의 절곡부(85)에 균열이 발생했다고 하더라도, 배선을 절단하는 경우가 없다.
(제2 실시 형태)
다음에, 이 발명의 제2 실시 형태를 도 1을 원용하여, 도 5(a), 도 5(b)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와 동일 양태에는, 동일 부호를 붙여 설명한다(이하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도 동일).
도 5는,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구동 제어부를 도시하고, (a)는 전개 사시도, (b)는 토출부에 장착할 때의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 액체 분사 기록 장치(1)는, 종이 등의 피기록 매체(S)를 반송하는 한 쌍의 반송 기구(2, 3)와, 피기록 매체(S)에 잉크 방울을 분사하는 유닛 헤드(4)와, 유닛 헤드(4)에 잉크를 공급하는 액체 공급 수단(5)과, 유닛 헤드(4)를 피기록 매체(S)의 반송 방향(주주사 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부주사 방향)으로 주사시키는 주사 수단(6)을 구비하고 있는 점은, 상기 서술한 제1 실시 형태와 같다. 또, 액체 분사 기록 장치(1)를 올려놓은 상태에서는, 피기록 매체(S)상을 유닛 헤드(4)가 수평 방향(X방향, Y방향)을 따라 주사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점도, 상기 서술한 제1 실시 형태와 같다.
또한, 유닛 헤드(4)로부터 중력 방향 하방(Z방향 하방)을 향해 잉크 방울이 분사되고, 이 잉크 방울이 피기록 매체(S)에 착탄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점도, 상기 서술한 제1 실시 형태와 같다. 그리고, 유닛 헤드(4)는, 하부 베이스(41)상에, 2개의 액체 분사 헤드(10, 10)를 2열 줄지어 배치한 것인 점도, 상기 서술한 제1 실시 형태와 같다. 또, 액체 분사 헤드(10)는, 피기록 매체(S)(도 1 참조)에 대해 잉크 방울을 분사하는 토출부(70)와, 토출부(7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이 토출부(70)의 구동을 제어하는 구동 제어부(280)와, 구동 제어부(280)를 고정하는 종베이스(42)와, 토출부(70)와 액체 공급관(51)의 사이에, 각각 접속부(13, 14)를 통해 개재된 액체 유통부(12)를 가지고 있는 점도, 상기 서술한 제1 실시 형태와 같다. 또한, 이들의 구성에 대해서는, 이하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여기서, 상기 서술한 제1 실시 형태와 제2 실시 형태의 상이점은, 상기 서술한 제1 실시 형태의 구동 제어부(80)는, 회로 기판(82)상에 외부 기기 접속용 커넥터(86)가 설치되어 있는 것에 비해, 제2 실시 형태의 구동 제어부(280)는, 플렉시블 기판(81)의 폭 방향 측변에 외부 기기 접속용 단자(286)가 설치되어 있는 점이다. 더 상세하게, 이하에 설명한다.
(구동 제어부)
도 5(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동 제어부(280)는, 띠형상의 하나의 플렉시블 기판(81)을 가지고 있고, 이 플렉시블 기판(81)의 길이 방향 중앙의 대부분을, 회로 기판(82)으로서 구성하고 있다. 또, 회로 기판(82)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는 부위를, 제1 접속 기판(83)으로서 구성하고 있다. 또한, 회로 기판(82)의 타측으로부터 연장되는 부위를, 제2 접속 기판(84)으로서 구성하고 있다. 이들의 구성에 대해서는, 상기 서술한 제1 실시 형태의 구동 제어부(80)와 같다.
여기서, 플렉시블 기판(81)의 폭 방향 일측에는, 외부 기기 접속용 플렉시블 기판(281)(이하, 외부 기기 접속용 FPC(281)라고 한다)이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외부 기기 접속용 FPC(281)는, 평면시 대략 L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폭 방향(Y방향) 일측으로부터, 이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단편 FPC(281a)와, 단편 FPC(281a)의 선단으로부터 길이 방향(Z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장편 FPC(281b)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단편 FPC(281a)는, 플렉시블 기판(81)의 회로 기판(82)에 상당하는 부위 중, 절곡부(85)보다 제2 접속 기판(84)측의 폭 방향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있다. 또, 장편 FPC(281b)는, 단편 FPC(281a)로부터 제1 접속 기판(83)측을 향해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장편 FPC(281b)의 선단에, 외부 기기 접속용 단자(286)가 설치되어 있다. 외부 기기 접속용 단자(286)는, 그 길이 방향이 장편 FPC(281b)의 폭 방향(Y방향)을 따르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 제1 드라이버 IC(89a) 및 제1 전극 단자부(83a)는, 플렉시블 기판(81)상에 부설되어 있는 배선(91)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 제2 드라이버 IC(89b) 및 제2 전극 단자부(84a)는, 플렉시블 기판(81)상에 부설되어 있는 배선(92)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제1 드라이버 IC(89a), 제2 드라이버 IC(89b) 및 외부 기기 접속용 단자(286)는, 플렉시블 기판(81)상 및 외부 기기 접속용 FPC(281)상에 부설되어 있는 배선(293)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바탕으로, 도 5(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로 기판(82)에 설정되어 있는 절곡부(85)를 중심으로 하여 접어 구부림으로써, 제1 접속 기판(83)의 제1 전극 단자부(83a), 및 제2 접속 기판(84)의 제2 전극 단자부(84a)가 동일 방향을 향해 인출되어 있다. 또, 제1 전극 단자부(83a) 및 제2 전극 단자부(84a)를, 제1 헤드칩(73a)과 제2 헤드칩(73b)의 적층 방향(X방향, 도 3 참조)과 동일 방향에서 대향시키고 있다.
그리고, 제1 헤드칩(73a) 및 제2 헤드칩(73b)의 전극 인출부(74)에, 각각 제1 전극 단자부(83a) 및 제2 전극 단자부(84a)를 접속시키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서술의 제2 실시 형태에 의하면, 상기 서술한 제1 실시 형태와 같은 효과를 볼 수 있다. 또, 외부 기기 접속용 FPC(281)에 의해, 플렉시블 기판(81)으로부터 외부 기기 접속용 단자(286)가 인출되어 있으므로, 도시하지 않은 외부 기기로부터 연장되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88)과의 접속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3 실시 형태)
다음에, 이 발명의 제3 실시 형태를, 도 6(a), 도 6(b)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구동 제어부를 도시하고, (a)는 전개 사시도, (b)는 토출부에 장착할 때의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로서, 각각 도 5(a), 도 5(b)에 대응하고 있다.
도 6(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서술한 제2 실시 형태와, 제3 실시 형태의 상이점은, 제2 실시 형태의 구동 제어부(280)에는, 회로 기판(82)에 개구부(창부)(387)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것에 비해, 제3 실시 형태의 구동 제어부(380)에는, 회로 기판(82)에 개구부(387)가 형성되어 있는 점이다.
개구부(387)는, 회로 기판(82)의 절곡부(85)상의 폭 방향(Y방향) 중앙보다, 외부 기기 접속용 FPC(281)가 접속되어 있는 측에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개구부(387)의 크기는, 장편 FPC(281b)의 횡단면의 외형 형상보다 약간 크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외부 기기 접속용 FPC(281)의 단편 FPC(281a) 중, 플렉시블 기판(81)과의 접속 부분, 즉, 밑부분이 Z방향 전체에 걸쳐 절곡부(385)로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1 드라이버 IC(89a), 제2 드라이버 IC(89b) 및 외부 기기 접속용 단자(286)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배선(393)은, 개구부(387)를 피하도록 부설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바탕으로, 도 6(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토출부(70)(도 3 참조)에 구동 제어부(380)를 접속할 때, 우선, 절곡부(385)를 중심으로 하여, 외부 기기 접속용 FPC(281)를 플렉시블 기판(81)측에 접어 구부린다. 이어서, 절곡부(85)를 중심으로 하여 회로 기판(82)을 접어 구부린다. 이때, 개구부(387)에 외부 기기 접속용 FPC(281)의 장편 FPC(281b)를 통하게 한다. 즉, 개구부(387)는, 절곡부(385)를 중심으로 하여 외부 기기 접속용 FPC(281)를 접어 구부린 상태에서, 장편 FPC(281b)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게 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제1 헤드칩(73a) 및 제2 헤드칩(73b)의 전극 인출부(74)에, 각각 제1 전극 단자부(83a) 및 제2 전극 단자부(84a)를 접속한다.
따라서, 상기 서술의 제3 실시 형태에 의하면, 상기 서술한 제2 실시 형태와 같은 효과에 더해, 절곡부(385)를 중심으로 하여 외부 기기 접속용 FPC(281)를 접어 구부린 만큼, 구동 제어부(380)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술의 제3 실시 형태에서는, 개구부(387)는, 절곡부(385)를 중심으로 하여 외부 기기 접속용 FPC(281)를 접어 구부린 상태에서, 장편 FPC(281b)에 대응하는 위치, 즉, 회로 기판(82)의 절곡부(85)상의 폭 방향(Y방향) 중앙보다, 외부 기기 접속용 FPC(281)가 접속되어 있는 측에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대해 설명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외부 기기 접속용 FPC(281)의 단편 FPC(281a)를 길게 형성하고, 이에 맞추어 개구부(387)의 형성 위치를 회로 기판(82)의 폭 방향 중앙 근처에 형성해도 된다.
여기서, 개구부(387)의 형성 위치가, 회로 기판(82)의 절곡부(85)상의 폭 방향(Y방향) 중앙보다, 외부 기기 접속용 FPC(281)가 접속되어 있는 측에 설정되어 있으면, 회로 기판(82)과 외부 기기 접속용 FPC(281)의 사이에 배선(393)을 부설하는 것이 어려워진다. 이로 인해, 개구부(387)의 외부 기기 접속용 FPC(281)와는 반대측에 배선(393)을 우회시켜 부설하지 않으면 안 되어, 배선(393)의 부설 길이가 길어질 우려가 있다.
그러나, 개구부(387)와 외부 기기 접속용 FPC(281)의 사이의 스페이스를 크게 확보할 수 있으면, 이 스페이스에 배선(393)을 부설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로 인해, 배선(393)의 부설 길이를 짧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외부 기기 접속용 FPC(281)의 단편 FPC(281a)를 가능한 한 짧게 함으로써, 외부 기기 접속용 FPC(281)의 재료 코스트를 저감할 수 있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따라서, 개구부(387)의 형성 개소는, 외부 기기 접속용 FPC(281)의 재료 코스트나 배선(393)의 선재 코스트를 고려하여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4 실시 형태)
다음에, 이 발명의 제4 실시 형태를, 도 7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제4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구동 제어부의 사시도이다.
동 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서술한 제1 실시 형태와 제4 실시 형태의 상이점은, 제1 실시 형태의 구동 제어부(80)에서는, 회로 기판(82), 제1 접속 기판(83), 및 제2 접속 기판(84)이 하나의 플렉시블 기판(81)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에 비해, 제4 실시 형태의 구동 제어부(480)에서는, 회로 기판(482), 제1 접속 기판(483), 및 제2 접속 기판(484)이 각각 따로 형성되어 있는 점이다. 더 상세하게, 이하에 설명한다.
(구동 제어부)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로 기판(482)은, 에폭시 기판에 의해 Y방향으로 긴 평면시 대략 직사각형의 판형상으로 형성된 것이다. 회로 기판(482)의 일면(482a)측에는, 길이 방향(Y방향) 일측에, 외부 기기 접속용 커넥터(86)가 설치되어 있다.
또, 회로 기판(482)의 일면(482a)측에는, 폭 방향(Z방향) 일측(청구항에 있어서의 회로 기판의 「측변」에 상당)에, 제1 접속 기판(483)을 접속하기 위한 제1 전극 단자부(474a)가 설치되어 있다. 제1 전극 단자부(474a)는, 단자부가 가지는 전극 단자가 회로 기판(482)의 길이 방향(Y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전극 단자부(474a)에, 제1 접속 기판(483)의 일단이 접속되어 있다.
또한, 회로 기판(482)의 일면(482a)측에는, 폭 방향(Z방향) 외측(청구항에 있어서의 회로 기판의 「측변」에 상당)에, 제2 접속 기판(484)을 접속하기 위한 제2 전극 단자부(474b)가 설치되어 있다. 제2 전극 단자부(474b)도, 제1 전극 단자부(474a)와 마찬가지로, 단자부가 가지는 전극 단자가 회로 기판(482)의 길이 방향(Y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2 전극 단자부(474b)에, 제2 접속 기판(484)의 일단이 접속되어 있다.
제1 접속 기판(483) 및 제2 접속 기판(484)은, 각각 플렉시블 기판에 의해 띠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1 접속 기판(483)의 회로 기판(482)과의 접속부 근방에는, 폭 방향(Y방향) 전체에 걸쳐 절곡부(485)가 설정되어 있다. 이 절곡부(485)를 중심으로 하여 제1 접속 기판(483)을 접어 구부림으로써, 회로 기판(482)의 폭 방향의 동일측에, 제1 접속 기판(483) 및 제2 접속 기판(484)이 인출된 상태가 된다.
또, 제1 접속 기판(483)의 타단(도 7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타단에 제1 전극 단자부(83a)(도 3 참조)가 설치되어 있다)과, 제2 접속 기판(484)의 타단(도 7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타단에 제2 전극 단자부(84a)(도 3 참조)가 설치되어 있다)이 X방향에서 대향한 상태가 된다. 즉, 제1 접속 기판(83)의 타단과 제2 접속 기판(484)의 타단이 대향하는 방향은, 제1 헤드칩(73a)과 제2 헤드칩(73b)의 적층 방향과 동일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서술의 제4 실시 형태에 의하면, 상기 서술한 제1 실시 형태와 같은 효과를 볼 수 있다. 이에 더해, 에폭시 기판에 의해 회로 기판(482)을 형성함으로써, 종베이스(42)로의 장착을, 플렉시블 기판에 비해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제5 실시 형태)
이 발명의 제5 실시 형태를, 도 8(a), 도 8(b)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8은, 제5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구동 제어부를 도시하고, (a)는 전개 사시도, (b)는 토출부에 장착할 때의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8(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서술한 제4 실시 형태와, 제5 실시 형태의 상이점은, 제4 실시 형태의 구동 제어부(480)에서는, 제1 접속 기판(483) 및 제2 접속 기판(484)이, 각각 플렉시블 기판에 의해 띠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에 비해, 제5 실시 형태의 구동 제어부(580)에서는, 제1 접속 기판(583) 및 제2 접속 기판(584)이, 각각 플렉시블 기판에 의해 평면시 대략 직각 삼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점이다.
회로 기판(582)은, Z방향으로 긴 평면시 대략 직사각형의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회로 기판(582)의 제1 전극 단자부(574a)에는, 제1 접속 기판(583)의 대변(583a)이 접속되어 있다. 또, 회로 기판(582)의 제2 전극 단자부(574b)에는, 제2 접속 기판(584)의 대변(584a)이 접속되어 있다.
여기서, 제1 접속 기판(583)의 회로 기판(582)과의 접속부 근방, 및 제2 접속 기판(584)의 회로 기판(582)과의 접속부 근방에는, 각각 회로 기판(582)의 길이 방향(Z방향) 전체에 걸쳐 절곡부(585)가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도 8(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각 절곡부(585)를 중심으로 하여 제1 접속 기판(583)을 접어 구부림과 더불어, 제2 접속 기판(584)을 접어 구부림으로써, 제1 접속 기판(583)의 인변(583b), 및 제2 접속 기판(584)의 인변(584b)이 회로 기판(582)상에서 X방향(제1 헤드칩(73a)과 제2 헤드칩(73b)의 적층 방향)에 서로 겹쳐진 상태가 된다.
즉, 제1 접속 기판(583) 및 제2 접속 기판(584)을 평면시 대략 직각 삼각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일단이 회로 기판(582)에 접속된 제1 접속 기판(583) 및 제2 접속 기판(584)의 타단을, 각각 회로 기판(582)의 길이 방향의 동일측으로 인출하고, 또한 X방향에 서로 겹쳐진 상태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바탕으로, 제1 헤드칩(73a)의 전극 인출부(74)(도 3 참조)에, 제1 접속 기판(583)의 인변(583b)이 접속되는 한편, 제2 헤드칩(73b)의 전극 인출부(74)(도 3 참조)에, 제2 접속 기판(584)의 인변(584b)이 접속된다.
따라서, 상기 서술의 제5 실시 형태에 의하면, 상기 서술한 제4 실시 형태와 같은 효과에 더해, 회로 기판(582)상에서 제1 접속 기판(583) 및 제2 접속 기판(584)을 서로 겹침으로써, 구동 제어부(580)를 더욱 소형화할 수 있다.
(제6 실시 형태)
이 발명의 제6 실시 형태를, 도 9(a), 도 9(b)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9는, 제6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구동 제어부를 도시하고, (a)는 전개 사시도, (b)는 토출부에 장착할 때의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9(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서술한 제5 실시 형태와, 제6 실시 형태의 상이점은, 상기 서술한 제5 실시 형태의 구동 제어부(580)는, 회로 기판(582), 제1 접속 기판(583), 및 제2 접속 기판(584)이 각각 따로 형성되어 있는 것에 비해, 제6 실시 형태의 구동 제어부(680)는, 하나의 플렉시블 기판(681)으로 이루어지는 점이다. 더 상세하게, 이하에 설명한다.
도 9(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동 제어부(680)는, 평면시 대략 등변사다리꼴형상의 하나의 플렉시블 기판(681)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이 플렉시블 기판(681)의 중앙부를, Z방향으로 긴 평면시 대략 직사각형형상의 회로 기판(682)으로서 구성하고 있다. 또, 회로 기판(682)의 폭 방향(Y방향) 양측으로부터 연장되는 2개의 평면시 대략 직각 삼각형 형상의 부위를, 각각 제1 헤드칩(73a)에 접속되는 제1 접속 기판(683), 및 제2 헤드칩(73b)에 접속되는 제2 접속 기판(684)으로서 구성하고 있다.
즉, 이 제6 실시 형태에 있어서, 구동 제어부(680)는, 회로 기판(682)의 Y방향 양단측에, 각각 제1 접속 기판(683)과 제2 접속 기판(684)을 설치하며, 이들 회로 기판(682), 제1 접속 기판(683), 및 제2 접속 기판(684)을 일체화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도 9(a), 도 9(b)에 있어서는, 특히 회로 기판(682)과 제1 접속 기판(683) 및 제2 접속 기판(684)의 경계가 명확하지 않으나, 회로 기판(682)의 Y방향 양단측이, 청구항에 있어서의 「회로 기판의 임의의 2개의 측변」에 상당한다.
이러한 구성을 바탕으로, 제1 헤드칩(73a)의 전극 인출부(74)(도 3 참조)에, 제1 접속 기판(683)의 인변(683b)이 접속되는 한편, 제2 헤드칩(73b)의 전극 인출부(74)(도 3 참조)에, 제2 접속 기판(684)의 인변(684b)이 접속된다.
따라서, 상기 서술의 제6 실시 형태에 의하면, 상기 서술한 제5 실시 형태와 같은 효과를 볼 수 있다. 또, 이에 더해, 회로 기판(682), 제1 접속 기판(683), 및 제2 접속 기판(684)이 하나의 플렉시블 기판(681)으로 이루어지므로, 부품점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서술의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상기 서술의 실시 형태에 여러 가지의 변경을 더한 것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서술의 제1, 제2, 제3 실시 형태에서는, 회로 기판(82)이 플렉시블 기판(81)으로 이루어지고, 그 길이 방향(Z방향) 중앙이, 폭 방향(Y방향) 전체에 걸쳐 절곡부(85)로서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 대해 설명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회로 기판(82)의 절곡부(85)를 사이에 둔 양측을, 각각 에폭시 기판에 의해 형성하고, 2개의 에폭시 기판을 플렉시블 기판으로 접속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그리고, 2개의 에폭시 기판을 접속하는 플렉시블 기판을, 절곡부(85)로서 구성해도 된다.
또, 상기 서술의 실시 형태에서는, 회로 기판(82, 482, 582, 682)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각각 따로 제1 접속 기판(83, 483, 583, 683) 및 제2 접속 기판(84, 484, 584, 684)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대해 설명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회로 기판(82, 482, 582, 682)의 임의의 2개의 측변에, 각각 따로 제1 접속 기판(83, 483, 583, 683) 및 제2 접속 기판(84, 484, 584, 684)이 설치되어 있으면 된다. 그리고, 회로 기판(82, 482, 582, 682), 제1 접속 기판(83, 483, 583, 683), 및 제2 접속 기판(84, 484, 584, 684)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절곡부를 설치하고 접어 구부림으로써, 제1 접속 기판(83, 483, 583, 683) 및 제2 접속 기판(84, 484, 584, 684)의 인출 방향이 동일 방향에서, 또한 각 헤드칩(73a, 73b)에 접속되는 측의 단부들이, 헤드칩(73a, 73b)의 적층 방향(X방향)과 동일 방향에서 대향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면 된다.
또한, 상기 서술의 실시 형태에서는, 플렉시블 기판을 접어 구부리는 구성에 대해 설명했는데, 모든 실시 형태에 있어서, 플렉시블 기판상에 부설되어 있는 각 배선은, 도 3에 도시하는 압전 액추에이터 플레이트(PP)에 형성되어 있는 전극 인출부(74)에 접속하고, 압전 액추에이터 플레이트(PP)의 도시하지 않은 구동 전극에 도통하고 있다.
특히, 상기 서술의 제4 실시 형태~제7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각 플렉시블 기판이 접어 구부러짐으로써, 압전 액추에이터 플레이트(PP)의 전극 인출부(전극 단자부)와, 플렉시블 기판의 접속 단자가 대향하지 않고, 표리에 반전해 버리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 경우, 예를 들어 스루홀 등을 통해, 각 배선을 플렉시블 기판의 표리에 인출하고, 압전 액추에이터 플레이트(PP)의 전극 인출부(전극 단자부)와, 플렉시블 기판의 접속 단자를 대향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8(a)에 있어서, 제1 접속 기판(583)과 제2 접속 기판(584)의 X방향으로 동일한 면측에 배선을 부설한 경우, 도 8(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양 기판의 배선은 회로 기판(582)측을 향해 배치된다. 이 경우, 압전 액추에이터 플레이트(PP)의 전극 인출부(전극 단자부)와 플렉시블 기판의 접속 단자가 대향하지 않으므로, 임의에 각 배선을 플렉시블 기판의 표리에 인출하여 해결하면 된다.
또,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2개의 압전 액추에이터 플레이트(PP)들이 표리 관계로 접합하는 것이 아니라, 2개의 압전 액추에이터 플레이트(PP)가 X방향의 동일 방향을 향해, 한쪽의 압전 액추에이터 플레이트(PP)와 다른쪽의 커버 플레이트(CP)를 접합함으로써, 배선의 표리 인출을 할 필요가 없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5 실시 형태, 제6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접속 기판(583, 683), 및 제2 접속 기판(584, 684)을, X방향의 동일측에 차례로 겹쳐지도록 접어 구부린 구성에 대해 설명했다. 그러나, 이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예를 들어, 제1 접속 기판(583, 683)을 회로 기판(582, 682)의 X방향의 일방측에 접어 구부리고, 제2 접속 기판(584, 684)을 회로 기판(582, 682)의 X방향의 일방측에 접어 구부리는 것도 가능하다.
1…액체 분사 기록 장치 4…유닛 헤드 6…주사 수단 10…액체 분사 헤드 50…액체 수용체 51…액체 공급관 70…토출부 73a…제1 헤드칩 73b…제2 헤드칩 80, 280, 380, 480, 580, 680…구동 제어부 81, 681…플렉시블 기판 82, 482, 582, 682…회로 기판 83, 483, 583, 683…제1 접속 기판 83a…제1 전극 단자부(일단) 84, 484, 584, 684…제2 접속 기판 84a…제2 전극 단자부(타단) 85, 385, 485, 585, 685…절곡부 86…외부 기기 접속용 커넥터(외부 기기 접속용 단자부) 87, 387…개구부(창부) 89a…제1 드라이버 IC(전자 소자) 89b…제2 드라이버 IC(전자 소자) 91, 92…배선 93…배선 281…외부 기기 접속용 플렉시블 기판(외부 기기 접속용 FPC, 외부 기기 접속용 단자부) 286…외부 기기 접속용 단자

Claims (13)

  1. 액체를 분출하기 위한 제1 헤드칩과 제2 헤드칩이 적층되는 토출부와,
    상기 토출부를 구동하는 구동 신호를 출력하는 회로 기판과,
    상기 제1 헤드칩과 상기 회로 기판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제1 접속 기판과,
    상기 제2 헤드칩과 상기 회로 기판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제2 접속 기판을 구비하고,
    상기 회로 기판의 임의의 2개의 측변에, 각각 따로 상기 제1 접속 기판의 일단을 설치함과 더불어 상기 제2 접속 기판의 일단을 설치하며,
    상기 회로 기판, 상기 제1 접속 기판, 및 상기 제2 접속 기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한 절곡부에서 상기 회로 기판, 상기 제1 접속 기판, 및 상기 제2 접속 기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접어 구부림으로써, 상기 제1 접속 기판의 타단, 및 상기 제2 접속 기판의 타단이, 각각 동일 방향으로 인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사 헤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를 중심으로, 상기 회로 기판, 상기 제1 접속 기판, 및 상기 제2 접속 기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접어 구부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사 헤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로 기판에 상기 절곡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사 헤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로 기판은 플렉시블 기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사 헤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속 기판, 및 상기 제2 접속 기판에, 각각 상기 절곡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사 헤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속 기판, 및 상기 제2 접속 기판은, 플렉시블 기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사 헤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로 기판, 상기 제1 접속 기판, 및 상기 제2 접속 기판을 일체화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사 헤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속 기판의 타단, 및 상기 제2 접속 기판의 타단은, 상기 제1 헤드칩과 상기 제2 헤드칩의 적층 방향에서 서로 대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사 헤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로 기판에, 이 회로 기판과 외부 기기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외부 기기 접속용 단자부를 설치하고,
    상기 회로 기판에, 상기 외부 기기 접속용 단자부를 외부에 노출시키기 위한 창(窓)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사 헤드.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외부 기기 접속용 단자부는 플렉시블 기판으로 이루어지고, 이 플렉시블 기판이 상기 창부를 통해 외부에 노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사 헤드.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회로 기판상의 배선이 상기 창부를 피해 부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사 헤드.
  12.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창부는, 상기 회로 기판상에 실장되어 있는 전자 소자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접속 기판, 및 상기 제2 접속 기판과는 반대측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사 헤드.
  13. 청구항 1에 기재된 액체 분사 헤드와,
    상기 액체 분사 헤드를 주사시키는 주사 수단과,
    상기 액체를 수용하는 액체 수용체와,
    상기 액체 분사 헤드와 상기 액체 수용체의 사이에 부설되고, 상기 액체를 유통시키는 액체 공급관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사 기록 장치.
KR1020140002426A 2013-01-10 2014-01-08 액체 분사 헤드 및 액체 분사 기록 장치 KR2014009094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002907 2013-01-10
JP2013002907A JP2014133369A (ja) 2013-01-10 2013-01-10 液体噴射ヘッド及び液体噴射記録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0947A true KR20140090947A (ko) 2014-07-18

Family

ID=501911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2426A KR20140090947A (ko) 2013-01-10 2014-01-08 액체 분사 헤드 및 액체 분사 기록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144974B2 (ko)
JP (1) JP2014133369A (ko)
KR (1) KR20140090947A (ko)
CN (1) CN103921551A (ko)
GB (1) GB251191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51891B2 (ja) * 2017-07-10 2021-10-20 エスアイアイ・プリンテック株式会社 液体噴射ヘッド及び液体噴射装置
JP6950425B2 (ja) * 2017-09-29 2021-10-13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ヘッドユニット及び液体吐出装置
JP7009924B2 (ja) * 2017-10-31 2022-01-2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ヘッドユニット
JP7009925B2 (ja) * 2017-10-31 2022-01-2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ヘッドユニット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30715A1 (en) 2000-07-07 2002-03-14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Ink jet recording device
US7258423B2 (en) * 2001-04-26 2007-08-21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Recording head unit,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recording apparatus using the unit
JP2002321423A (ja) 2001-04-26 2002-11-05 Brother Ind Ltd 記録装置
JP4363038B2 (ja) 2002-12-27 2009-11-11 コニカミノルタ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ヘッド
JP2005319817A (ja) 2005-08-04 2005-11-17 Brother Ind Ltd 記録装置
JP5941645B2 (ja) * 2011-09-27 2016-06-29 エスアイアイ・プリンテック株式会社 液体噴射ヘッド及び液体噴射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01400384D0 (en) 2014-02-26
US9144974B2 (en) 2015-09-29
GB2511911A (en) 2014-09-17
JP2014133369A (ja) 2014-07-24
US20140192115A1 (en) 2014-07-10
GB2511911B (en) 2019-11-13
CN103921551A (zh) 2014-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69493B2 (en) Flexible wiring member, liquid droplet jetting head, and method for connecting flexible wiring member and device
JP5941645B2 (ja) 液体噴射ヘッド及び液体噴射装置
US7896472B2 (en) Recording-head driving device for driving recording head
US8075098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flexible wiring member
JP5853379B2 (ja) 液滴吐出ヘッド及び液滴吐出装置
JP2017144672A (ja) 液体吐出装置、及び、配線部材
EP3147122A1 (en) Liquid ejecting device
JP2015120265A (ja) 液体噴射ヘッドおよび液体噴射記録装置
KR20140090947A (ko) 액체 분사 헤드 및 액체 분사 기록 장치
US9393785B2 (en) Liquid ejecting head and liquid ejecting apparatus
US7874642B2 (en) Recording apparatus having flexible wiring member portions of which overlap each other
JP5447404B2 (ja) 液体吐出装置
US8353571B2 (en) Liquid ejec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liquid ejecting apparatus
JP6964978B2 (ja) 液体噴射ヘッド及び液体噴射装置
JP4984960B2 (ja) 液滴吐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10596815B2 (en) Liquid ejection head and inkjet printing apparatus
JP2011011357A (ja) 液体吐出装置
JP5218464B2 (ja) 配線基板ユニット
JP5035261B2 (ja) ドライバicの配線構造および液滴吐出装置
JP6345552B2 (ja) 液体噴射ヘッド及び液体噴射装置
JP4968253B2 (ja) 液滴吐出ヘッド及び液滴吐出装置
JP2019107864A (ja) 液体噴射ヘッド、液体噴射装置および配線基板
US20240173966A1 (en) Drive board, liquid jet head, and liquid jet recording device
US20240173965A1 (en) Drive device, drive board, liquid jet head, and liquid jet recording device
JP2021142657A (ja) 液体吐出装置、液体吐出装置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