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9805A - 락토바실러스 균주 배양액 및 줄기세포 배양액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락토바실러스 균주 배양액 및 줄기세포 배양액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9805A
KR20140089805A KR1020130001677A KR20130001677A KR20140089805A KR 20140089805 A KR20140089805 A KR 20140089805A KR 1020130001677 A KR1020130001677 A KR 1020130001677A KR 20130001677 A KR20130001677 A KR 20130001677A KR 20140089805 A KR20140089805 A KR 201400898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stem cells
cosmetic composition
lactobacillus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16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26191B1 (ko
Inventor
옥민
윤경훈
박진철
이성은
이진아
전신수
Original Assignee
(주)미애부생명과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미애부생명과학 filed Critical (주)미애부생명과학
Priority to KR10201300016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6191B1/ko
Publication of KR201400898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98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61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61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61K8/9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of mammals or bir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microorganisms other than algae or fungi, e.g. protozoa or bacte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Zo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열목록 제1서열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16S 라이보좀 DNA를 가지며 콜라게나아제 활성 억제 능력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퍼멘텀(Lactobacillus fermentum) 균주 배양액 및 줄기세포 배양액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을 통하여 표피 세라마이드 합성 촉진, 피부 콜라겐 합성 촉진, 콜라게나아제 활성 저해, 엘라스타아제 활성 저해, 피부 주름 개선, 피부 항산화, 피부 재생 촉진, 피부 염증 완화, 피부 탄력 향상 및 피부 보습 향상력이 우수하면서도 부작용이 적은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락토바실러스 균주 배양액 및 줄기세포 배양액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Having Culture Fluid of Lactobacillus sp. and Stem cells}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균주 배양액 및 줄기세포 배양액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서열목록 제1서열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16S 라이보좀 DNA를 가지며 콜라게나아제 활성 억제 능력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퍼멘텀(Lactobacillus fermentum) 균주 배양액 및 줄기세포 배양액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의료기술 및 공중위생 혜택이 개선됨에 따라 초고령화 사회가 급속히 도래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인간의 미에 대한 가치와 욕구는 사회 고도화에 따라 증대되고, 노화 지연 및 아름다움 유지의 관심 고조로 인해 화장품 산업은 지속적으로 발전되고 있다. 외모, 특히 피부에서 가장 먼저 나타나게 되는 노화를 지연시키고 예방하기 위하여 여러 영역에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그에 따라 코스메슈티컬 제품과 노화방지를 위한 제품 수요는 향후 지속적으로 증가 될 것이다.
피부(skin)는 표피(epidermis), 진피(dermis) 및 피하조직(subcutaneous tissue)으로 이루어진다. 피부의 바깥층인 표피는 중층편평상피(stratified squamous epithelium)로 구성되며, 외부 환경에 대한 신체의 보호 장벽으로 작용한다. 표피는 바깥에서부터 각질층(stratum corneum), 투명층(stratum lucidum), 과립층(stratum granulosum), 유극층(stratum spinosum) 및 기저층(stratum basale)으로 나뉜다. 진피는 표피와 피하조직(subcutaneous tissue) 사이의 층으로서, 유두층(papillary dermis) 및 망상층(reticular dermis)으로 나뉘며, 표피에는 없는 혈관, 콜라겐, 엘라스틴 섬유, 모공, 입모근, 피지선, 한선, 여러 가지 감각신경, 섬유아세포 및 대식세포 등이 존재하며 피부 중 가장 많은 부위를 차지한다.
진피는 주로 콜라겐과 엘라스틴 섬유로 이루어지는데, 이들은 피부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진피에 문제가 발생하면 주름이 생기고 피부탄력이 없어져서 피부노화가 진행된다. 콜라겐은 피부재생, 피부 함수율, 상처치유 및 주름개선 등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섬유아세포로부터 생성된다. 콜라겐은 수분을 다량 함유할 수 있어서 진피에 수분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노화가 되면 콜라겐의 수분 함유 기능이 떨어지게 되어 주름이 늘어나게 된다. 또한 상처가 생겼을 때 섬유아세포의 지속적인 콜라겐 생성으로 상처 부위를 메워주어 상처치유 작용도 한다.
피부의 노화에 대한 생화학 및 분자 생물학의 연구도 지속적으로 진행됨에 따라 신체 내에 존재하는 성장인자와 같은 소량의 신호물질들이 발견되면서 이들 물질이 노화와 밀접한 관련 있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성장인자들을 다량으로 생산할 수 있는 줄기세포의 연구가 주목을 받고 있다.
줄기세포란 특정한 세포로 분화가 진행되지 않은 채 유지되다가, 필요한 경우 신경, 혈액, 연골 등 신체를 구성하는 모든 종류의 세포로 분화할 능력을 가진 세포를 말한다. 이러한 줄기세포를 얻을 수 있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가 있는데, 첫째는 수정란으로부터 발생한 배아로부터 얻는 것(배아줄기세포)이고 둘째는 성인이 된 우리 몸의 각 부분에 간직되어 있는 줄기세포(성체줄기세포)를 회수하는 것이다. 기능적인 면에서 차이는 있지만 배아줄기세포나 성체줄기세포는 모두 여러 종류의 세포로 분화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배아줄기세포는 분화능력이 매우 뛰어나고 텔로미어가 긴 장점이 있으나, 윤리적인 문제를 안고 있고 세포를 다량 획득하는 것이 어려운 단점이 있는 반면, 성체줄기세포는 많은 수의 세포를 얻을 수는 있으나 타인에게 이식할 때 염의 위험이나 분화능력이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성체줄기세포는 의학적으로 적용하기에 매우 안전하다는 특징이 있다. 구체적으로, 장기재생을 위해 몸 안에 이식하여도 암이 발생하지 않으며, 성인의 몸속에 있었기 때문에 면역거부반응이 발생하지 않아 자기 자신의 세포를 사용하는 자가 이식(autologous transplantation)이 가능하다. 또한, 주변조직의 특성에 자신을 맞추어 분화하는 조직 특이적 분화능력(site-specific differentiation)이 있다. 미분화 상태에서 주입하여도 암을 유발하지 않기 때문에 이식된 이후 당장 필요한 세포를 만들어낼 수 있으며, 나중에 필요한 미분화 상태의 줄기세포를 다시 만들어서 저장하는 자가 재생산(self-renewal) 능력이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최근 성체줄기세포의 부각되고 있으며, 그 유용성을 밝히기 위한 여러 가지 연구가 진행 중에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10-0114729호에는 제대혈 줄기세포 유래 혈관형성전구세포를 이용한 피부재생용 조성물, 한국공개특허 제2010-0032099호에는 포유동물 유래 줄기세포 배양액을 이용한 피부주름개선용 또는 피부노화억제용 조성물, 한국공개특허 제2010-0036389호 및 한국공개특허 제2011-0097064호에는 무혈청배지에서 배양한 인간줄기세포 배양액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등이 개시되어 있다.
1. 한국공개특허 제2010-0114729호 2. 한국공개특허 제2010-0032099호 3. 한국공개특허 제2010-0036389호 4. 한국공개특허 제2011-0097064호
본 발명은 표피 세라마이드 합성 촉진, 피부 콜라겐 합성 촉진, 콜라게네이즈 활성 저해, 엘라스타아제 활성 저해, 피부 주름 개선, 피부 항산화, 피부 재생 촉진, 피부 염증 완화, 피부 탄력 향상 및 피부 보습 향상력이 우수하면서도 부작용이 적은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서열목록 제1서열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16S 라이보좀 DNA를 가지며 콜라게나아제 활성 억제 능력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퍼멘텀(Lactobacillus fermentum) 균주 배양액 및 줄기세포 배양액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태양에 따르면,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균주는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Miev L1106(KCTC 12082BP)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태양에 따르면, 줄기세포는 인간유래 성체줄기세포 및 배아줄기세포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태양에 따르면, 줄기세포는 인간의 골수, 제대혈, 혈액, 간, 피부, 위장관, 태반, 신경, 부신, 상피 및 지방으로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에서 유래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태양에 따르면, 표피 세라마이드 합성 촉진, 피부 콜라겐 합성 촉진, 콜라게나아제 활성 저해, 엘라스타아제 활성 저해, 피부 주름 개선, 피부 항산화, 피부 재생 촉진, 피부 염증 완화, 피부 탄력 향상 및 피부 보습 향상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피부 상태 개선 효과를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태양에 따르면,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스프레이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표피 세라마이드 합성 촉진, 피부 콜라겐 합성 촉진, 콜라게나아제 활성 저해, 엘라스타아제 활성 저해, 피부 주름 개선, 피부 항산화, 피부 재생 촉진, 피부 염증 완화, 피부 탄력 향상 및 피부 보습 향상력이 우수하면서도 부작용이 적은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사용된 줄기세포 배양액에 대한 신호 단백질 분석 결과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사용된 줄기세포 배양액 및 그 분획물에 대한 전기영동 실험 결과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콜라게나아제 저해 활성을 평가한 결과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엘라스타아제 저해 활성을 평가한 결과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히알루로니다아제 저해 활성을 평가한 결과이다.
도 6은 세포 독성을 평가한 결과이다. 도 6a는 줄기세포 배양액을 처리한 결과이고, 도 6b는 유산균 배양액을 처리한 결과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자외선 손상으로부터의 회복 정도를 평가한 결과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세포 손상으로부터의 재생 정도를 평가한 결과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서열목록 제1서열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16S 라이보좀 DNA를 가지며 콜라게나아제 활성 억제 능력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퍼멘텀(Lactobacillus fermentum) 균주 배양액 및 줄기세포 배양액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락토바실러스 퍼멘텀(Lactobacillus fermentum) 균주는 김치로부터 분리된 콜라게나아제 활성 억제 물질을 생산하는 균주로서, 이를 순수 분리하여, 16S rDNA 염기서열 분석과 생화학적 특성 분석으로 동정한 결과, 바실러스 속(Bacillus sp.)에 속하는 것으로 동정되었으며, 이를 바실러스 퍼멘텀 Miev L1106으로 명명하고, 특허 절차상 미생물 기탁의 국제적 승인에 관한 부다페스트 조약의 규정에 따라, 2011년 11월 22일자로 KCTC(Korean Collection for Type Culture, 한국생명공학원)에 수탁번호 제KTCT12081BP로 기탁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균주는 다음 중 하나 이상의 특성을 가질 수 있다: ⅰ) 김치로부터 분리, (ⅱ) 최적 배양 시간은 12시간 내지 48시간, (ⅲ) 최적 배양 온도는 25 내지 35℃, (ⅳ) 최적 초기 pH는 3.5 내지 4.5, (ⅴ) 배양 배지의 최적 탄소원으로서 배지 총부피 대비 0.5 내지 3%(W/V)의 수크로오스를 포함, (ⅵ) 배양 배지의 최적 질소원으로서 배지 총부피 대비 3 내지 5%(W/V)의 소고기추출물을 포함, 및 (ⅶ) 배양 배지의 최적 미량원소원으로서 배지 총부피 대비 0.15 내지 0.5%(W/V)의 염화나트륨을 포함.
본 발명에 따른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균주는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Miev L1106(KCTC 12082BP)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균주는 다음 중 하나 이상의 특성을 가질 수 있다: (ⅰ)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Miev L1106(KCTC 12082BP), (ⅱ) 최적 배양 시간은 24시간, (ⅲ) 최적 배양 온도는 30℃, (ⅳ) 최적 초기 pH는 4.5, (ⅴ) 배양 배지의 최적 탄소원으로서 배지 총부피 대비 0.5%(W/V)의 수크로오스를 포함, (ⅵ) 배양 배지의 최적 질소원으로서 배지 총부피 대비 3%(W/V)의 소고기추출물을 포함, (ⅶ) 배양 배지의 최적 미량원소원으로서 배지 총부피 대비 0.3%(W/V)의 염화나트륨을 포함.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균주의 배양액이 가장 우수한 콜라게나아제 활성 억제 능력을 갖는다.
상기 배양 시간은 미생물의 생존을 고려한 것으로, 12시간 내지 72시간 정도 인 것이 유산균의 증식으로 인한 균체 성장 저하를 최소화하면서 그 배양액의 콜라게나아제 활성 억제 능력이 우수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4시간 내지 48시간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24시간 배양하는 것이다.
상기 배양 온도는 20 내지 45℃의 범위 내인 것이 균체 성장 및 콜라게나아제 활성 억제 능력면에서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35℃, 가장 바람직하게는 30℃이다.
상기 배양 초기 pH는 4.0 내지 8.0의 범위 내인 것이 균체 성장 및 콜라게나아제 활성 억제 능력 면에서 바람직하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pH 4.5이다.
상기의 배양 배지는 락토바실러스 균주의 배양에 이용되는 어떠한 배지도 포함하나, 균체 성장 및 콜라게나아제 활성 억제 능력 면에서 바람직하게는 MRS(deMan Rogosa Sharpe) 브로스 배지, APT (All Purpose with Tween) 배지 또는 BHI (Brain Heart Infusion) 배지이며, 그 중에서도 MRS 브로스 배지가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배양 배지의 탄소원으로는 다양한 탄수화물이 이용될 수 있으며, 균체 성장 및 콜라게나아제 활성 억제 능력 면에서 바람직하게는 글루코오스(포도당, glucose), 프럭토오스(과당, fructose), 갈락토오스(galactose), 락토오스(유당, lactose), 말토오스(맥아당, maltose), 수크로오스(sucrose), 자일로오스(xylose), 아라비노오스(arabinose)이 이용될 수 있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수크로오스이다. 상기 탄소원이 배지에 포함되는 경우 균체 성장 및 콜라게나아제 활성 억제 능력이 우수하다.
상기 탄소원이 포함되는 농도는 배지 총부피 대비 0.5%에서 10%(W/V)의 범위인 것이 균체 성장 및 콜라게나아제 활성 억제 능력 면에서 바람직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3%(W/V)이다.
상기 배양 배지의 질소원으로는 다양한 유기 질소원이 이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펩톤(peptone), 트립톤(tryptone), 소고기추출물(beef extract), 효모추출물(yeast extract), 말토추출물(malto extract), 요소(urea)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소고기추출물이다. 상기 질소원이 배지에 포함되는 경우 균체 성장 및 콜라게나아제 활성 억제 능력이 우수하다.
상기 질소원이 포함되는 농도는 바람직하게는 배지 총부피 대비 1.0%에서 10%의 범위인 것이 균체 성장 및 콜라게나아제 활성 억제 능력 면에서 바람직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3%(W/V)이다.
상기 배양 배지의 미량원소원으로는 다양한 미량원소원이 이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염화나트륨(NaCl), 염화칼슘(CaCl2), 황산마그네슘(MgSO4), 황산망간(MnO4S), 인산이수소칼륨(KH2P04), 인산수소이칼륨(K2HPO4), 황산아연(ZnSO4)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염화나트륨이다. 상기 미량원소원이 배지에 포함되는 경우 균체 성장 및 콜라게나아제 활성 억제 능력이 우수하다.
상기 미량원소원이 포함되는 농도는 바람직하게는 배지 총부피 대비 0.01%에서 0.5%(W/V)의 범위인 것이 균체 성장 및 콜라게나아제 활성 억제 능력 면에서 바람직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0.3%(W/V)이다.
본 발명의 '줄기세포 배양액'이란 줄기세포를 배양하여 얻은 배지에 포함된 구성 성분을 포함하는 물질로서, 상기 배양액을 제조하기 위한 줄기세포는 그 종류에 제한을 받지 않는다. 예를 들면, 배양액을 제조하는 줄기세포는 배아 줄기세포일 수 있고 또한 성체 줄기세포일 수 있다. 나아가 성체 줄기세포는 모든 조직의 성체줄기세포에서 유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성체 줄기세포는 골수 유래, 제대혈 유래, 혈액 유래, 간장 유래, 피부 유래, 위장관 유래, 태반 유래, 신경 유래, 부신 유래, 상피 유래 및 지방 유래 등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골수 유래의 성체 줄기세포이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는 골수 유래 성체 줄기세포를 사용하여 배양액을 제조하였다.
줄기세포는 골수 등에 매우 적은 양으로 존재하지만, 이를 분리 및 배양하는 과정은 당업계에 잘 알려져 있으며(예컨대, 미국특허 제5,486,359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줄기세포는 공지된 방법에 따라 골수의 조혈모세포로부터 부착특성에 의해 분리한 후 분화능력을 잃지 않은 상태에서 증식시켜 얻을 수 있다.
줄기세포를 얻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인간 또는 마우스를 포함하는 포유동물, 바람직하게는, 인간의 간엽줄기세포 소스, 예컨대, 혈액 또는 골수로부터 줄기세포를 분리하는 단계(골수는 경골, 대퇴골, 척수 또는 장골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 (2) 분리된 세포를 적합한 배지에서 배양하는 단계 및 (3) 배양과정에서 부유 세포를 제거하고 배양 플레이트에 부착된 세포들을 계대 배양하여, 최종적으로 구축된 간엽줄기세포를 수득하는 단계를 통하여 얻을 수 있다.
줄기세포 배양을 위한 배지는 당업계에 알려진 기본 배지를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기본 배지는 인위적으로 합성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상업적으로 제조된 배지를 사용할 수도 있다. 혈청(예컨대, 우태아 혈청, 말 혈청 및 인간 혈청)이 함유된 배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이용할 수 있는 배지는, 예를 들어, RPMI 시리즈, Eagles's MEM (Eagle's minimum essential medium, Eagle, H. Science 130:432(1959)), α-MEM (Stanner, C.P. et al., Nat. New Biol.230:52(1971)), Iscove's MEM (Iscove, N.et al., J. Exp. Med. 147:923(1978)), 199 배지(Morgan et al., Proc. Soc. Exp. Bio. Med., 73:1(1950)), CMRL 1066, RPMI 1640 (Moore et al., J. Amer. Med. Assoc. 199:519(1967)), F12 (Ham, Proc. Natl. Acad. Sci. USA 53:288(1965)), F10 (Ham, R.G. Exp. Cell Res. 29:515(1963)), DMEM (Dulbecco's modification of Eagle's medium, Dulbecco, R. et al., Virology 8:396(1959)), DMEM과 F12의 혼합물(Barnes, D. et al., Anal. Biochem. 102:255(1980)), Way-mouth's MB752/1 (Way77mouth, C. J. Natl. Cancer Inst. 22:1003(1959)), McCoy's 5A (McCoy, T.A., et al., Proc. Soc. Exp. Biol. Med. 100:115(1959)) 및 MCDB 시리즈(Ham, R.G. et al., In Vitro 14:11(1978))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기본 배지에는 0.1% 내지 20%의 FBS(fetal bovine serum)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2% 내지 5%를 함유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배지에는, 다른 성분, 예를 들어, 항생제 또는 항진균제(예컨대, 페니실린, 스트렙토마이신) 및 글루타민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는 골수 유래의 성체 줄기세포를 DMEM-LG(Low glucose DMEM with glutamin and HEPES, PAA®, #E15-808)배지에서 배양하였다.
본 발명의 '배양액'이란 특정 미생물 또는 특정 줄기세포를 배양 배지에서 배양하여 수득한 배양액, 농축 배양액, 배양액의 건조물, 배양 여과액, 농축 배양 여과액, 또는 배양 여과액의 건조물을 의미하는 것으로, 균주 또는 줄기세포를 포함하는 것 또는 배양한 후 균주 또는 줄기세포를 제거한 배양여액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양물은 그 제형이 한정되지 아니하고, 일 예로 액체, 에멀젼, 또는 고체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수득한 균주 배양액 및 줄기세포 배양액은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0.0001 내지 10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전체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0.0001-50.0 중량%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0.001-10 중량%이다. 배양액의 함량이 0.0001 중량% 이상인 경우 본 발명이 목적하는 콜라게나아제 활성 억제를 통한 피부 개선 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배양액의 함량이 50.0 중량% 이하인 경우 함유량 증가에 따른 뚜렷한 효과의 증가 및 제형의 안정성을 효과적으로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항산화, 표피 세라마이드 합성 촉진, 피부 콜라겐 합성 촉진, 콜라게나아제 활성 저해, 피부 주름 개선, 피부 항산화, 피부 재생 촉진, 피부 염증 완화, 피부 탄력 향상 및 피부 보습 향상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피부 상태 개선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주름개선'은 피부의 주름 및 탄력과 관련된 능력을 유지 또는 강화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피부의 구조 중에서 진피층에 존재하는 교원섬유(collagen: 콜라겐)와 탄력섬유(elastin: 엘라스틴)가 그 역할을 하는 주요 단백질로서 피부 탄력을 주관하는데, 콜라겐의 생합성은 피부의 내, 외적 영향을 받게 된다. 구체적으로 피부 내적 요인으로는 자연 노화로 인하여 세포 활성이 감소되며, 콜라겐 섬유의 감소가 일어나고, 외적 요인으로는 자외선의 과량 조사 및 스트레스 등으로 인하여 생성된 활성 산소가 단백질의 티올기(thiol: -SH)와 반응하여 효소의 활성을 저해하거나, 콜라겐, 엘라스틴 등을 분해시키는 효소(Matrix Metalloproteinases-1: MMP-1)인 콜라게나아제의 발현을 증가시켜 피부의 주름을 증가시키는 한편 탄력을 감소시키는 결과를 야기한다.
상기 '미백'은 피부의 색을 결정하는 세포인 멜라노사이트(melanocyte)에서 멜라닌 색소를 합성하는 능력을 억제시킴으로써 피부의 색이 어두워지는 것과 관련된 요소이다. 본 발명의 줄기세포 배양액은 특히 미백 기능을 수행하는 배양액으로서,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줄기세포 배양액 조성물은 미백을 결정하는 멜라노사이트에서의 멜라닌 색소 합성 억제능을 가지고,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합성 억제능을 가진 배양액은 골수 유래 줄기세포 배양액을 포함하는 조성물일 수 있다. 멜라노사이트는 피부 표피의 기저층(the stratum basale) 및 눈의 가운데층의 포도막(the uvea)에 위치하는 세포로서, 멜라노제네시스(melanogenesis)라 불리는 과정을 통하여, 피부, 눈, 머리카락에서 볼 수 있는 색소와 관련된 멜라닌(melanin)를 생산하는 세포이다. 일반적으로 피부의 1mm2당 1000 내지 2000개의 멜라노사이트가 존재하며 표피의 바닥 면의 5 내지 10%를 차지한다.
상기 '항산화'능은 자외선의 영향으로 반응성이 높은 활성 산소와 자유 라디칼(free radical)에 의한 피부 구성 성분의 산화를 억제하는 기능을 의미한다. 활성 산소와 자유 라디칼은 피부를 구성하는 성분들을 산화시켜 과산화물을 생성하고, 그 결과 피부가 구조적 및 기능적으로 손상되어 노화가 촉진되는데, 본 발명의 항산화 기능은 이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줄기세포의 배양액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상기 자유 라디칼을 불활성화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잔틴-잔틴 산화효소 시스템(Xanthine-xanthine oxidase system)에 의해 생성된 활성산소 라디칼(superoxide radical)을 소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스프레이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조성물이 화장료 조성물로 사용될 때에는 화장수, 에멀젼, 크림, 에센스, 젤, 팩 및 클렌징크림으로부터 선택되는 기초 화장료; 화운데이션 등의 메이크업 화장료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 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각각의 제형에 상기 기재한 성분들 이외에 일반 피부화장료에 배합되는 유분, 물, 계면활성제, 보습제, 저급알코올, 증점제, 킬레이트제, 색소, 방부제, 또는 향료 등을 필요에 따라 적절히 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유연화장수는 본 발명에 따른 균주 배양액 이외에 다가알콜류(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등) 1∼10 중량% 및 계면활성제(폴리에틸렌올레일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경화피마자유 등) 0.05∼2 중량%를 함유하도록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영양화장수 및 영양크림은 본 발명에 따른 균주 배양액 이외에 오일류(스쿠알란, 바셀린, 옥틸도데칸올 등) 5∼20 중량% 및 왁스성분(세탄올, 스테아릴알콜, 밀납 등) 3∼15 중량%를 함유하도록 제조할 수 있으며, 에센스는 본 발명에 따른 균주 배양액 이외에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등의 다가알콜류 5∼30 중량%를 함유하여 제조할 수 있다. 마사지 크림은 본 발명에 따른 균주 배양액 이외에 유동파라핀, 바셀린, 이소노닐이소노나노에이트 등의 오일 30∼70 중량%를 함유하여 제조되며, 팩은 본 발명에 따른 균주 배양액 이외에 폴리비닐알콜 5∼20 중량%를 함유하는 필 오프(peel off) 팩 또는 일반유화형 화장료에 본 발명에 따른 균주 배양액 이외에 카올린, 탈크, 산화아연, 이산화티탄 등의 안료가 5∼30 중량% 함유된 워시오프(wash off) 팩으로 제조할 수 있다.
또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서열목록 제1서열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16S 라이보좀 DNA를 가지며 콜라게나아제 활성 억제 능력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퍼멘텀(Lactobacillus fermentum) 균주를 배양하는 단계 및 줄기세포를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어떠한 방법으로도 제조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다만,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 실시예 ]
1. 샘플의 제조
1)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균주 배양액의 제조
한국특허출원 제10-2012-0075523호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L1106(KCTC 12082BP) 균주를 수득하여 배양하였다.
구체적으로, 락토바실러스 퍼멘텀(lactobacillus fermentum) Miev L1106 균주를 0.5%(W/V) 수크로오스, 3%(W/V) 소고기추출물, 0.3%(W/V) 염화나트륨을 포함하고 초기 pH 4.5로 적정된 배지에서, 24시간 동안 30℃에서 배양하였다.
2) 줄기세포 배양액의 제조
줄기세포는 사람의 골수로부터 분리하고 증식배양하여 사용하였다. 사람의 골수는 골수이식을 위해 기증에 동의한 기증자로부터 인체골수줄기세포 분리배양을 위한 추가동의를 획득한 후, 공여자적격검사에 합격한 경우에 한하여 잉여골수를 제공받았다. 잉여골수를 제공받고 이로부터 세포를 분리 배양하는 등의 모든 행위는 기관 IRB(Institutional review board,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임상연구심사위원회) 승인 및 통제하에 진행되어졌다. 카톨릭세포치료사업단 장재덕 교수실험실에서 배양한 배양액을 해동하여 사용하였다.
골수줄기세포 배양용 액체기본배지는 DMEM-LG(Low glucose DMEM with glutamin and HEPES, PAA® #E15-808)을 사용하였다. DMEM 기본배지에는 5.55mM 포도당(low glucose), 2mM 글루타민, 15종의 아미노산, 25mM HEPES, 3700mg/L NaHCO3를 포함하며, 0.2㎛ 필터로 무균 여과한 우태아혈청(FBS)를 20% 첨가하여 조제한 배지를 사용하였다.
상기 배지에 포함된 15종의 아미노산은 다음과 같다. L-Arginine·HCl(아르기닌·염산) 84 ㎎/ℓ, L-Cystine(시스테인) 48 ㎎/ℓ, L-Glutamime(글루타민) 584 ㎎/ℓ, Glycine(글라이신) 30 ㎎/ℓ, L-Histidine·HCl·H20(히스티딘·염산수화물) 42 ㎎/ℓ, L-Isoleucine(이소류신) 105 ㎎/ℓ, L-Leucine(류신) 105 ㎎/ℓ, L-Lysine·HCl(라이신·염산) 146 ㎎/ℓ, L-Methionine(메티오닌) 30 ㎎/ℓ, L-Phenylalanine(페닐알라닌) 66 ㎎/ℓ, L-Serine(세린) 42 ㎎/ℓ, L-Threonine(트레오닌) 95 ㎎/ℓ, L-Tryptophan(트립토판) 16 ㎎/ℓ, L-Tyrosine(타이로신) 72 ㎎/ℓ, L-Valine(발린) 94 ㎎/ℓ.
3) 샘플의 제조
상기에서 제조한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균주 배양액 10ml와 줄기세포 배양액 100ml를 혼합하여 샘플을 제조하였다.(실시예)
2. 실험 방법
1) 신호 단백질 분석
줄기 세포 배양액은 RayBio human cytokine antibody array 5 map kit를 사용하여 사이토카인(cytokine)에 대한 정성분석을 하였고, ELISA Kit(Quantikine ELISA)를 이용하여 혈관내피 성장인자(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와 인터루킨-8(IL-8)을 정량분석 하였다.
또한, 줄기세포배양액을 일정 범위의 분자량별로 분리하는 MWCO (Molecular Weight Cut-Off)를 사용하여 100kDa, 30kDa, 10kDa로 줄기세포배양액을 분획한 후, 각 분획 시료에 대해서도 신호 단백질을 분석하였다.
2) 콜라게나아제 저해 활성 측정
콜라겐 효소의 기질인 Azocoll(Sigma A4341) 1mg에 완충용액 0.1M Tris-HCl(pH 7.0)을 0.9ml 첨가하여 균질화한 후 200units/ml의 농도로 제조한 콜라게나아제 타입 효소(Sigma C0130) 용액 0.1ml을 첨가하여 총 반응액이 1ml이 되도록 하였다. 43℃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반응이 완료되면 3000rpm에서 10분 동안 원심분리시켜 분해되지 않은 콜라겐은 침전시키고 분해된 콜라겐을 함유하는 상등액을 취하여 55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콜라게나아제 첨가군와 무첨가군의 흡광도를 비교하여 저해율을 나타냈다.
3) 엘라스타아제 저해 활성 측정
엘라스타아제(elastase) 저해 활성 측정은 기존의 측정방법을 변형하여 사용하였다. 샘플 0.1ml에 0.1mM N-succinyl-(L-Ala)3-ρ-nitroanilide/0.12M tris-HCl(ph8.0) 1.3ml을 가한 후 0.765U/ml의 엘라스타아제 0.1ml를 첨가하여 10분간 25℃에서 반응시킨 후 41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엘라스타아제 첨가군와 무첨가군의 흡광도를 비교하여 저해율을 나타내었다.
4) 히알루로니다아제(Hyaluronidase) 저해 활성 측정
0.1M 아세테이트 완충액(acetate buffer, pH 3.5)에 녹인 HAase(7,900U/mL) 0.05ml와 시료용액 0.1ml를 혼합하여 37에서 20분간 배양한 다음 12.5mM CaCl2 0.1ml를 가하고 혼합 후 다시 20분간 배양하였다. 기질로서 0.1M 아세테이트 완충액(acetate buffer, pH 3.5)에 녹인 HA(12mg/ml)를 첨가하여 다시 40분간 배양하여 0.4N 포타슘 테트라보레이트(potassium tetraborate) 0.1ml 및 0.4N 수산화나트륨(NaOH) 용액을 0.1ml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여 3분 동안 수욕상에서 가열한 후 완전히 냉각시켰다. 냉각시킨 반응물에 발색제로 다이메틸아미노보란(Dimethylaminoborane, DMAB) 시약 3ml을 가하여 37℃에서 20분간 배양한 다음 58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저해활성을 산출하였다.
5) 세포 독성 확인(MTT 분석)
96 well plate에 각각 섬유아세포(Fibroblast)와 매트로파지(Macrophage, Raw 264.7) 세포 1×104개를 분주하고, 24시간 뒤에 새 배지로 교체 후 일정농도(0~10%)의 줄기세포배양액과 유산균 배양액을 24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이후, 3-(4,5-dimethylthiazol-2-ly)-2,5-diphenyltetra zolium bromide (0.1 mg/ml)을 각 well에 처리하여 3시간 배양한 후 형성된 불용성 포르마잔(insoluble formazan)을 0.04N 염산/이소프로판올(HCl/Isoprophanol)에 녹이고 ELISA 판독기를 통해 57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시료를 처리하지 않은 세포의 흡광도와 비교하여 세포생존률을 나타내었다.
6) 자외선에 손상된 Fibroblast의 세포재생효과
24 well plate에 Fibroblast 세포 1×105개를 분주하고, 24시간 뒤에 UV-B 3J/m2를 조사하고 배지로 교체 후 1% 농도로 줄기세포배양액과 유산균 배양액을 48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이후, 3-(4,5-dimethyl thiazol-2-ly)-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0.1 mg/ml)을 각 well에 처리하여 4 시간 배양한 후 형성된 insoluble formazan을 0.04N HCl/Isoprophanol에 녹이고 ELISA 판독기를 통해 57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자외선을 처리하지 않은 세포의 흡광도와 비교하여 세포생존률을 나타내었다.
7) 세포재생효과(상처치유)
24 well plate에 Fibroblast 세포 1×105개를 분주하고, 24시간 후 일정농도 (0.01, 0.1%)의 줄기세포배양액을 48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팁(tip)을 이용하여 plate 표면을 긁어 상처(scratch)를 냈다. 시간별 상처 회복 정도를 사진으로 촬영하였다.
3. 실험 결과
1) 신호 단백질 분석
줄기세포 배양액(미분획물)을 대상으로 신호 단백질을 분석한 결과 16가지의 신호 단백질(cytokine)이 확인되었으며(도 1), 줄기세포 배양액의 분획물별로 전기영동한 실험 결과는 도 2에 도시하였다.
줄기세포 배양액 내에 존재하는 대부분의 단백질은 100kDa MWCO 여과 멤브레인의 기공을 통과하지 못하여 100kDa이상으로 분류되는 분획물 내에 잔류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줄기세포 배양액 및 그 분획물의 신호 단백질에 대한 구체적인 결과는 표 1에 나타내었다.
줄기세포배양액(미분획물) 100 kDa 이상 30-100 kDa 10-30 kDa 10kDa 이하
인터루킨-6(IL-6, Interleukin-6) O O O
인터루킨-8(IL-8, Interleukin-8) O O O O
뇌 유리 신경 성장 인자(BDNF, Brain Derived Neurotropic Factor) O O O O
섬유아세포성장인자-6(FGF-6, Fibroblast growth factor-6) O O O
섬유아세포성장인자-9(FGF-9, Fibroblast growth factor-9) O O O O
간세포생장인자(HGF, Hepatocyte growth factor) O O O
글리아세포 유래 신경영양인자(GDNF, Glial cell derived neurotrophic actor) O
백혈구 유주 저지인자(LIF, Leukemia inhibitory factor) O O O O O
혈소판유래증식인자BB(PDGF-BB, platelet derived growth factor-BB) O O O
혈관내피성장인자(VEGF, Va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O O O O O
안지오제닌(Angiogenin) O O
에오탁신-3(Eotaxin-3) O O O
프렉탈카인(Fractalkine) O
GRO(Growth-related oncogene) O O O O O
인슐린 유사 생장인자 결합단백질 P-1(IGFBP-1, insulin-like growth factor-binding protein-1) O
인슐린 유사 생장인자 결합단백질-2(IGFBP-2, insulin-like growth factor-binding protein-2) O O O O O
인슐린 유사 생장인자 결합단백질-3(IGFBP-3, insulin-like growth factor-binding protein-3) O O O
IP-10 O O O O
엠씨피-1(MCP-1, Monocyte chemotactic protein-1) O O O O
뉴로트로핀-3(Neurotrophin-3, NT-3) O O O
온코스타인 M(Oncostatin M) O O O O
오스테오프로테게린(OPG, OPGN, Osteoprotegerin) O O O
오스테로폰틴(OPN, Osteopontin) O O O
PARC(pulmonary and activation-regulated chemokine) O O
형질전환 증식인자 베타2(TGF-β2, Transforming growth factor-β2) O O O O
팀프-1(TIMP-1, Tissue inhibitor of metalloproteinase type 1) O O O O
팀프-2(TIMP-2, Tissue inhibitor of metalloproteinase type 2) O O O
VEGF 및 IL-8의 함량을 확인한 결과, VEGF는 2,125 pg/mL, IL-8은 370.5 pg/mL으로 확인되어, VEGF의 함량이 IL-8에 비해 약 5.7배가 높았다.
줄기세포배양액
(미분획물)
100 kDa 이상 30-100 kDa 10-30 kDa 10kDa 이하
VEGF (pg/ml) 2,125 2,419 2,214 9.4 0.0
IL-8 (pg/ml) 370.5 88.6 54.8 5.0 0.0
배양액 내 단백질 총량은 약 5mg/mL로서 배양 전후에 단백질의 총량에 차이는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2) 콜라게나아제 저해 활성 측정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콜라게나아제 활성 저해 정도를 평가한 결과를 도 3에 도시하였다.
실험 결과, 줄기세포배양액과 유산균배양액을 혼합한 실시예의 콜라게나아제 저해 활성이 74.09%로 가장 높았으며, 아스코르브산만을 첨가한 군(25.50%)은 물론, 줄기세포 배양액 단독 처리군(44.83%) 및 유산균배양액 단독 처리군(57.58%) 모두에 비하여 콜라게나아제 활성 억제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3) 엘라스타아제 저해 활성 측정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엘라스타아제(Elastase) 활성 저해 정도를 평가한 결과를 도 4에 도시하였다.
실험 결과, 줄기세포배양액과 유산균배양액을 혼합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엘라스타아제 저해 활성이 74.09%로 가장 높았으며, 우르솔릭산만을 첨가한 군(70.29%)은 물론, 줄기세포 배양액 단독 처리군(71.24%) 및 유산균배양액 단독 처리군(20.95%) 모두에 비하여 엘라스타아제 활성 억제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4) 히알루로니다아제(Hyaluronidase) 저해 활성 측정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히알루로니다아제(Hyaluronidase) 활성 저해 정도를 평가한 결과를 도 5에 도시하였다.
실험 결과, 줄기세포배양액과 유산균배양액을 혼합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엘라스타아제 저해 활성이 44.14%로 나타나, 줄기세포 배양액 단독 처리군(1.21%) 및 유산균배양액 단독 처리군(41.23%)에 비하여 히알루로니다아제 활성 억제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5) 세포 독성 확인(MTT 분석)
줄기세포배양액을 0, 1, 3, 5, 10% 농도로 진피세포(Fibroblast)에 처리하여 세포독성을 MTT assay에 의해 확인한 결과, 도 6a와 같이 나타났다. 그 결과 10% 농도까지 세포 독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유산균배양액 또한 진피세포에 0, 0.25, 0.5, 1, 3, 5, 10% 농도로 처리한 후 세포독성을 확인한 결과, 도 6b와 같이 나타났다. 1% 농도까지 세포독성이 나타나지 않았으나 3% 이상의 농도에서는 세포사멸이 일어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6) 자외선에 손상된 섬유아세포(Fibroblast)의 세포재생효과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자외선 손상에 대한 재생 정도를 평가한 결과를 도 7에 도시하였다.
실험 결과, 자외선손상에 의해 세포가 약 40% 사멸되어 생존률이 61.23%를 나타냈다. 유산균배양액 단독 처리군은 세포생존률이 69.91%까지 향상되었고, 줄기세포배양액 단독 처리군은 세포생존률이 85.09%까지 향상되었다. 그에 비해 줄기세포배양액과 유산균배양액을 혼합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자외선에 의한 세포손상을 모두 회복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7) 세포재생효과(상처치유)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세포 손상에 대한 재생 정도를 평가한 결과를 도 8에 도시하였다. 세포 손상이 가해진 부위를 화살표로 표시하였다.
실험 결과, 세포 손상을 가하고 12시간이 경과한 후 유산균배양액 단독 처리군에서 가장 빠른 상처부위 회복 정도를 나타내었으나, 24시간 후에는 줄기세포배양액와 유산균배양액을 혼합하여 처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처부위가 모두 재생하였음을 확인하였다. 한편, 줄기세포배양액 단독 처리군은 상처부위 중 일부분을 제외한 상처부위만이 회복되었음을 알 수 있다.
60시간이 경과 되었을 때, 증류수 처리군은 손상부위가 남아있었으며, 줄기세포배양액 단독 처리군 및 유산균배양액 단독 처리군에서는 상처부위가 완벽히 회복되었고, 줄기세포배양액과 유산균배양액을 혼합 처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처 회복은 물론 세포밀도가 초기보다 더 높아졌음을 확인하였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 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 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 KCTC12082BP 20111122
<110> Miev Co.Ltd <120> Cosmetic Composition Having Culture Fluid of Lactobacillus sp. and Stem cells <130> DP120679 <160> 1 <170> KopatentIn 2.0 <210> 1 <211> 1426 <212> DNA <213> lactobaillus fermentum <220> <221> rRNA <222> (1)..(1426) <223> DNA sequnece complemenetary to 16s rRNA <400> 1 tgcagtcgaa cgcgttggcc caattgattg atggtgcttg cacctgattg attttggtcg 60 ccaacgagtg gcggacgggt gagtaacacg taggtaacct gcccagaagc gggggacaac 120 atttggaaac agatgctaat accgcataac aacgttgttc gcatgaacaa cgcttaaaag 180 atggcttctc gctatcactt ctggatggac ctgcggtgca ttagcttgtt ggtggggtaa 240 yggcctacca aggcgatgat gcatagccga gttgagagac tgatcggcca caatgggact 300 gagacacggc ccatactcct acgggaggca gcagtaggga atcttccaca atgggcgcaa 360 gcctgatgga gcaacaccgc gtgagtgaag aagggtttcg gctcgtaaag ctctgttgtt 420 aaagaagaac acgtatgaga gtaactgttc atacgttgac ggtatttaac cagaaagtca 480 cggctaacta cgtgccagca gccgcggtaa tacgtaggtg gcaagcgtta tccggattta 540 ttgggcgtaa agagagtgca ggcggttttc taagtctgat gtgaaagcct tcggcttaac 600 cggagaagtg catcggaaac tggataactt gagtgcagaa gagggtagtg gaactccatg 660 tgtagcggtg gaatgcgtag atatatggaa gaacaccagt ggcgaaggcg gctacctggt 720 ctgcaactga cgctgagact cgaaagcatg ggtagcgaac aggattagat accctggtag 780 tccatgccgt aaacgatgag tgctaggtgt tggagggttt ccgcccttca gtgccggagc 840 taacgcatta agcactccgc ctggggagta cgaccgcaag gttgaaactc aaaggaattg 900 acgggggccc gcacaagcgg tggagcatgt ggtttaattc gaagctacgc gaagaacctt 960 accaggtctt gacatcttgc gccaacccta gagatagggc gtttccttcg ggaacgcaat 1020 gacaggtggt gcatggtcgt cgtcagctcg tgtcgtgaga tgttgggtta agtcccgcaa 1080 cgagcgcaac ccttgttact agttgccagc attaagttgg gcactctagt gagactgccg 1140 gtgacaaacc ggaggaaggt ggggacgacg tcagatcatc atgcccctta tgacctgggc 1200 tacacacgtg ctacaatgga cggtacaacg agtcgcgaac tcgcgagggc aagcaaatct 1260 cttaaaaccg ttctcagttc ggactgcagg ctgcaactcg cctgcacgaa gtcggaatcg 1320 ctagtaatcg cggatcagca tgccgcggtg aatacgttcc cgggccttgt acacaccgcc 1380 cgtcacacca tgagartttg taacacccaa agtcggtggg gtaacc 1426

Claims (6)

  1. 서열목록 제1서열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16S 라이보좀 DNA를 가지며 콜라게나아제 활성 억제 능력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퍼멘텀(Lactobacillus fermentum) 균주 배양액 및 줄기세포 배양액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균주는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Miev L1106(KCTC 12082BP)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줄기세포는 인간유래 성체줄기세포 및 배아줄기세포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줄기세포는 인간의 골수, 제대혈, 혈액, 간, 피부, 위장관, 태반, 신경, 부신, 상피 및 지방으로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에서 유래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표피 세라마이드 합성 촉진, 피부 콜라겐 합성 촉진, 콜라게나아제 활성 저해, 엘라스타아제 활성 저해, 피부 주름 개선, 피부 항산화, 피부 재생 촉진, 피부 염증 완화, 피부 탄력 향상 및 피부 보습 향상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피부 상태 개선 효과를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스프레이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130001677A 2013-01-07 2013-01-07 락토바실러스 균주 배양액 및 줄기세포 배양액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4261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1677A KR101426191B1 (ko) 2013-01-07 2013-01-07 락토바실러스 균주 배양액 및 줄기세포 배양액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1677A KR101426191B1 (ko) 2013-01-07 2013-01-07 락토바실러스 균주 배양액 및 줄기세포 배양액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9805A true KR20140089805A (ko) 2014-07-16
KR101426191B1 KR101426191B1 (ko) 2014-07-31

Family

ID=517377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1677A KR101426191B1 (ko) 2013-01-07 2013-01-07 락토바실러스 균주 배양액 및 줄기세포 배양액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6191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6272A (ko) * 2017-09-27 2019-04-04 (주)아모레퍼시픽 락토바실러스 크러스토룸의 배양물 또는 이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2065905B1 (ko) * 2018-08-30 2020-01-14 코스맥스 주식회사 바실러스 푸밀루스 균주 또는 이의 배양액을 포함하는 노화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WO2022080839A1 (ko) * 2020-10-13 2022-04-21 주식회사 세바바이오텍 피부 유래 유산균을 포함하는 항산화, 항염 및 미백용 조성물
WO2022225095A1 (ko) * 2021-04-21 2022-10-27 일동바이오사이언스(주) 세라마이드 형성을 향상시키는 화장료 조성물
KR102524935B1 (ko) * 2022-07-06 2023-04-26 주식회사 제이투케이바이오 락토바실러스 퍼멘툼 j2k-193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WO2023224426A1 (ko) * 2022-05-19 2023-11-23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cvl-001에 의해 인터루킨 10 생산이 증가된 중간엽 줄기세포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2609654B1 (ko) * 2023-03-23 2023-12-05 코스맥스 주식회사 인간 피부 유래 산물을 포함하는 미생물 배양 배지 및 이를 이용하여 배양된 혼합 미생물 배양액의 피부 개선 용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5111B1 (ko) * 2015-09-25 2018-09-04 (주)엠앤씨생명과학 버섯을 이용한 삼투압 효소 발효물의 제조방법, 이로부터 제조된 발효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식품 또는 약학 조성물
KR101778853B1 (ko) * 2015-09-25 2017-09-14 (주)엠앤씨생명과학 버섯을 이용한 삼투압 효소 발효물의 제조방법, 이로부터 제조된 발효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식품 또는 약학 조성물
KR102084003B1 (ko) 2018-10-22 2020-03-03 에스케이바이오랜드 주식회사 저분자 기능성 생물소재와 포접된 유산균 뉴클레오티드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큐비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92090A (ko) * 2007-04-11 2008-10-15 주식회사 두산 유산균 파쇄액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1132392B1 (ko) * 2009-08-14 2012-04-03 (주)청룡수산 발효 태반 조성물 및 그 용도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6272A (ko) * 2017-09-27 2019-04-04 (주)아모레퍼시픽 락토바실러스 크러스토룸의 배양물 또는 이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2065905B1 (ko) * 2018-08-30 2020-01-14 코스맥스 주식회사 바실러스 푸밀루스 균주 또는 이의 배양액을 포함하는 노화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WO2022080839A1 (ko) * 2020-10-13 2022-04-21 주식회사 세바바이오텍 피부 유래 유산균을 포함하는 항산화, 항염 및 미백용 조성물
WO2022225095A1 (ko) * 2021-04-21 2022-10-27 일동바이오사이언스(주) 세라마이드 형성을 향상시키는 화장료 조성물
WO2023224426A1 (ko) * 2022-05-19 2023-11-23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cvl-001에 의해 인터루킨 10 생산이 증가된 중간엽 줄기세포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2524935B1 (ko) * 2022-07-06 2023-04-26 주식회사 제이투케이바이오 락토바실러스 퍼멘툼 j2k-193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609654B1 (ko) * 2023-03-23 2023-12-05 코스맥스 주식회사 인간 피부 유래 산물을 포함하는 미생물 배양 배지 및 이를 이용하여 배양된 혼합 미생물 배양액의 피부 개선 용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6191B1 (ko) 2014-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6191B1 (ko) 락토바실러스 균주 배양액 및 줄기세포 배양액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JP6755863B2 (ja) 発酵エキスを含有する化粧品組成物およびその使用
JP5981947B2 (ja) スキンクリーム
CN106318904B (zh) 间充质干细胞条件培养基用于美容品领域的用途
KR101793899B1 (ko) 성체 줄기세포와 분화된 세포의 혼합 배양액 및 이의 용도
EP2368974A1 (en) Methods for isolating mesenchymal stem cells from embryos of human or animals and extracting secretion substances thereof
CN106659741B (zh) 小尺寸干细胞的毛发生长促进功能及其用途
EP2280064A2 (en) Composition comprising vegetable peptone for promoting stem cell proliferation
US20120189585A1 (en) Method and composition for restoration of age-related tissue loss in the face or selected areas of the body
KR101425716B1 (ko) 신규의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균주, 이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A2642664A1 (en) Media conditioned by human embryonic stem cells or other progenitor cells and uses therefor
KR101810385B1 (ko) Gdf11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그의 용도
CN113728094A (zh) 包含在含有人血小板裂解物的培养基中培养的间充质干细胞培养液的化妆品组合物
Semsarzadeh et al. Rise of stem cell therapies in aesthetics
EP4257673A1 (en) Method for preparing high-concentration stem cell exosomes with enhanced anti-inflammatory and regenerative functions using lipopolysaccharide and lipoteichoic acid
RU2320720C2 (ru) Способ культивирования фибробластов для заместительной терапии
WO2015017772A1 (en) Stem cell-based preparations and methods for dermal and connective tissue reconstruction and rejuvenation
CN113481152A (zh) 间充质干细胞旁分泌因子的制备方法及旁分泌因子应用
Luo et al. Applications of human amniotic fluid stem cells in wound healing
EP3524254A1 (en) Lin28a ACTIVATOR AND USE THEREFOR
JP6535505B2 (ja) マンネンタケ抽出物を用いた幹細胞の未分化状態維持剤及び増殖促進剤
US20110091568A1 (en) Media conditioned by stem cells and uses therefor
CN105073089B (zh) Q碱的化妆用途
EP4257674A1 (en) Method for isolating and culturing cord blood stem cells expressing gdf-3 at high level, and use of gdf-3
KR20100126945A (ko) 피부세포 재생용 조성물, 그 제조 방법, 피부세포 재생 방법 및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