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9654B1 - 인간 피부 유래 산물을 포함하는 미생물 배양 배지 및 이를 이용하여 배양된 혼합 미생물 배양액의 피부 개선 용도 - Google Patents

인간 피부 유래 산물을 포함하는 미생물 배양 배지 및 이를 이용하여 배양된 혼합 미생물 배양액의 피부 개선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9654B1
KR102609654B1 KR1020230038195A KR20230038195A KR102609654B1 KR 102609654 B1 KR102609654 B1 KR 102609654B1 KR 1020230038195 A KR1020230038195 A KR 1020230038195A KR 20230038195 A KR20230038195 A KR 20230038195A KR 102609654 B1 KR102609654 B1 KR 1026096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improvement
genus
microorganism
med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381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형우
김민지
김미선
이동걸
강승현
Original Assignee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스맥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0381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96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96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96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microorganisms other than algae or fungi, e.g. protozoa or bacte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Zo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ir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간 피부 유래의 당류 및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배지 조성물, 스타필로코커스(Staphylococcus) 속, 스트렙토코커스(Streptococcus) 속, 큐티박테리움(Cutibacterium) 속, 코리네박테리움(Corynebacterium) 속 및 로티아(Rothia) 속 미생물, 이의 파쇄액 또는 배양액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등에 관한 것이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인간 피부 유래 미생물들의 혼합 배양액은 상기 배지 조성물에서 배양된 것으로, 각각의 배양액에 비해 현저히 우수한 피부 개선 효과를 나타낸다.

Description

인간 피부 유래 산물을 포함하는 미생물 배양 배지 및 이를 이용하여 배양된 혼합 미생물 배양액의 피부 개선 용도 {Culture medium composition comprising human skin-derived products and skin improvement use of cultured mixed microbial culture solution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인간 피부 유래의 당류 및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배지 조성물, 스타필로코커스(Staphylococcus) 속, 스트렙토코커스(Streptococcus) 속, 큐티박테리움(Cutibacterium) 속, 코리네박테리움(Corynebacterium) 속 및 로티아(Rothia) 속 미생물, 이의 파쇄액 또는 배양액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피부의 특성으로 그 표면은 차갑고, 약산성의 성질을 나타내며, 건조한 상태로 유지된다. 구조적으로 표피(epidermis)는 피부 장벽을 이루고 있으며, 미생물과 독소가 침투하는 것을 차단하고, 땀을 흘려 수분 및 체온을 유지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표피의 최상위층은 각질층(stratum corneum)으로 구성되어 있다. 표피는 일명 '벽돌과 몰탈(Mortar) 구조'라고 불리는 형태를 띠고 있는데, 피부 조직은 계속적인 자가 회복 과정을 거치고, 분화 과정의 마지막을 거친 비늘(squames)은 끊임없이 피부 조직에서 탈락되는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피부 장벽은 죽은 각질세포와 세포간 지질로 구성되어 있고, 외부 자극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며 피부에서 수분이 증발하는 것을 막아주는 보호막으로서 피부 건강에 핵심적인 기능을 담당한다. 즉, 체내에서 지나친 수 분 방출을 막고 화학 물질이나 미생물과 같이 해로운 물질이 체내로 들어오는 것을 막아준다. 또한, 죽은 각질세포의 표면을 구성하는 각질세포 외피에는 세포간 지질의 안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각질형성세포는 분화 및 각질화 과정을 통해 피부 장벽을 만든다. 피부 장벽 기능은 노화가 진행되거나 외부 요인들에 의해 파괴될 수 있으며, 피부 장벽의 손상은 피부 수분량 감소와 주름을 일으킬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과정에서 피부에는 땀, 각질 세포, 지질 세포 등이 생성되는데, 여기에는 당 성분 및 아미노산 등 다양한 물질들 또한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물질들은 피부에 존재하는 미생물의 생장 및 이들의 피부 상태 개선 역할에 막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해당 물질들에 대한 연구와 이를 이용하여 배양한 미생물 및 그 효능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인간 피부 유래의 성분으로서 당 및 아미노산을 분석하여 이를 포함하는 미생물 배양 배지를 제조하였고, 인간 피부 유래 유용 미생물을 분석하여 이들을 상기 배양 배지에서 혼합 배양하여 제조된 배양물이 피부 개선 효과가 우수한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일 양상은 인간 피부 유래의 당류 및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인간 피부 유래 미생물의 성장을 증진시키기 위한, 배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른 일 양상은 상기 배지 조성물에 스타필로코커스(Staphylococcus) 속, 스트렙토코커스(Streptococcus) 속, 큐티박테리움(Cutibacterium) 속, 코리네박테리움(Corynebacterium) 속 또는 로티아(Rothia) 속 미생물을 각각 접종 및 배양하여 배양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각각의 배양액을 원심분리 및 여과하여 상등액을 회수하는 단계; 및 상기 각각의 상등액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 다른 일 양상은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양상은 인간 피부 유래의 당류 및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인간 피부 유래 미생물의 성장을 증진시키기 위한, 배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상기 용어 배지 조성물은 신규 배지, 개량 배지 등과 혼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당류는 글루코스(Glucose), 프룩토스(Fructose) 및 람노스(Rhamnose); 상기 아미노산은 트레오닌(Threonine), 티로신(Tyrosine), 아르기닌(Arginine), 알라닌(Alanine), 프롤린(Proline), 히스티딘(Histidine), 이소류신(Iso-leucine), 류신(Leucine), 페닐알라닌(Phenyl-alanine), 트립토판(Tryptophan), 발린(Valine), 글루탐산(Glutamic acid), 아스파라긴산(Aspartic acid), 세린(Serine) 및 글리신(Glycine)일 수 있다. 상기 당류, 아미노산 및 미생물은 인간의 피부로부터 유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글루코스는 배지 조성물 1L 당 0.01 내지 100g, 0.01 내지 10g, 0.01 내지 5g, 0.1 내지 100g, 0.1 내지 10g, 0.1 내지 5g, 1.0 내지 100g, 1.0 내지 10g, 1.0 내지 5g으로 포함될 수 있고, 상기 프룩토스 및 람노스는 0.01 내지 100g, 0.01 내지 10g, 0.01 내지 5g, 0.1 내지 100g, 0.1 내지 10g, 0.1 내지 5g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트레오닌, 티로신, 아르기닌, 알라닌, 프롤린, 히스티딘, 이소류신, 류신, 트립토판, 글루탐산, 아스파라긴산, 세린 및 글리신은 0.1mg 내지 5.0g, 0.1mg 내지 1.0g, 0.1mg 내지 100mg, 0.1mg 내지 50mg으로 포함될 수 있고, 상기 페닐알라닌은 0.1mg 내지 5.0g, 0.1mg 내지 1.0g, 0.1mg 내지 100mg, 0.1mg 내지 50mg, 0.1mg 내지 10mg으로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10-20대 연령의 피험자의 얼굴 부위로부터 멸균 증류수를 이용하여 세척하여 샘플을 확보하였고, 해당 샘플을 구성하는 당, 아미노산 및 마이크로바이옴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인간 피부 유래 샘플을 구성하는 당 성분으로는 글루코스(Glucose), 프룩토스(Fructose), 람노스(Rhamnose)가 검출되었고, 아미노산으로는 트레오닌(Threonine), 티로신(Tyrosine), 아르기닌(Arginine), 알라닌(Alanine), 프롤린(Proline), 히스티딘(Histidine), 이소류신(Iso-leucine), 류신(Leucine), 페닐알라닌(Phenyl-alanine), 트립토판(Tryptophan), 발린(Valine), 글루탐산(Glutamic acid), 아스파라긴산(Aspartic acid), 세린(Serine), 글리신(Glycine) 등이 검출되었다.
상기 배지 조성물은 인간 피부 유래 미생물의 성장을 증진시키기 위한 것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인간 피부 유래 미생물은 스타필로코커스 에피데르미디스(Staphylococcus epidermidis), 스트렙토코커스 써모필러스(Streptococcus thermophilus), 큐티박테리움 아크네스(Cutibacterium acnes), 코리네박테리움 아미콜라툼(Corynebacterium amycolatum) 및 로티아 크리티네(Rothia kristinae)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타필로코커스 속 미생물은 스타필로코커스 에피데르미디스(Staphylococcus epidermidis) KCCM12551P, 상기 스트렙토 코커스 속 미생물은 스트렙토코커스 써모필러스(Streptococcus thermophilus) KCCM12004P, 상기 큐티박테리움 속 미생물은 큐티박테리움 아크네스(Cutibacterium acnes) KCCM12680P, 상기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은 코리네박테리움 아미콜라툼(Corynebacterium amycolatum) KCCM12689P, 상기 로티아 속 미생물은 로티아 크리티네(Rothia kristinae) KCCM12685P일 수 있다.
상기 배지 조성물은 글리세롤, 황산마그네슘(Magnesium sulfate, MgSO4), 인산칼륨(Potassium phosphate, K2HPO4), 염화나트륨(Sodium chloride, NaCl) 및 효모 추출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추가로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상기 균주를 배양하거나 이의 성장을 촉진하는 성분으로서 배지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한, 이에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일 양상은 상기 배지 조성물에 스타필로코커스(Staphylococcus) 속, 스트렙토코커스(Streptococcus) 속, 큐티박테리움(Cutibacterium) 속, 코리네박테리움(Corynebacterium) 속 또는 로티아(Rothia) 속 미생물을 각각 접종 및 배양하여 배양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각각의 배양액을 원심분리 및 여과하여 상등액을 회수하는 단계; 및 상기 각각의 상등액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내용과 동일한 부분은 상기 제조방법에도 공히 적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타필로코커스 속 미생물은 스타필로코커스 에피데르미디스(Staphylococcus epidermidis) KCCM12551P, 상기 스트렙토 코커스 속 미생물은 스트렙토코커스 써모필러스(Streptococcus thermophilus) KCCM12004P, 상기 큐티박테리움 속 미생물은 큐티박테리움 아크네스(Cutibacterium acnes) KCCM12680P, 상기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은 코리네박테리움 아미콜라툼(Corynebacterium amycolatum) KCCM12689P, 상기 로티아 속 미생물은 로티아 크리티네(Rothia kristinae) KCCM12685P일 수 있다.
상기 배양액을 제조하는 단계에 있어서, 배양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37℃, 배양 시간은 24 시간 내지 120 시간일 수 있고, 상기 원심분리 및 여과하여 상등액을 회수하는 단계에 있어서, 4,000 rpm 내지 8,000 rpm 조건에서 10 분 내지 30분 동안 원심분리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배양액을 제조하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미생물들을 각각 상기 배지 조성물에 접종하여 30℃에서 72시간 배양하여 배양액을 제조하였다. 이후 각각의 배양액을 6,000 rpm, 30분 간 원심분리하였고, 이후 이를 0.45 μm 필터를 이용하여 여과하여 상등액을 회수하였다. 또한, 상기 균주 배양액의 상등액 혼합물의 시너지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상기 5종의 미생물 배양액의 상등액을 1:1:1:1:1(v/v)로 혼합하여 혼합액을 제조하였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용어 "배양액"은 상기 미생물들이 시험관 내에서 생존 및 성장할 수 있도록 영양분을 공급할 수 있는 배지에 일정시간 배양하여 얻은 균주, 이의 대사물, 여분의 영양분 등을 포함하는 전체 배지를 의미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배양액은 상기 미생물들을 배양하여 수득된 배양액 그 자체, 이의 농축물 또는 동결건조물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용어 "상등액"은 상기 배양액 중 균주를 제거한 액체를 의미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배양액을 일정시간 가만히 두어 하층에 가라앉은 부분을 제외한 상층의 액체만을 취하거나, 여과를 통해 균주를 제거하거나, 배양액을 원심분리하여 하부의 침전 및 균주를 제거하고 상부의 액체만을 취하여 획득할 수 있다.
상기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피부 개선은 피부 보습, 피부 장벽 강화, 피부 미백, 주름 개선, 피부 결 개선, 모공 개선, 피부 톤 개선, 피부 탄력 개선 또는 피부 치밀도 개선일 수 있으나, 이에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용어 "피부 보습"은 피부 내 수분을 유지하거나 수분 손실을 방지하는 모든 작용을 의미하고, “피부 장벽 강화”는 피부 가장 바깥쪽에 위치하여 수분 등의 손실을 막아주는 피부 장벽의 기능이 증진되는 모든 작용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피부 미백"은 피부 내 멜라닌 색소의 합성을 저해함으로써 피부 톤을 밝게 할 뿐만 아니라 자외선, 호르몬 또는 유전 등에 기인한 기미나 주근깨 등의 피부 과색소 침착을 개선하는 것을 의미하고, “주름 개선”은 피부의 탄력성이 상실되어 느슨해지거나 피부가 접히는 상태를 해소하는 모든 작용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피부 결 개선”은 피부 조직의 굳거나 무른 부분이 모이거나 요철의 발생을 저감시키는 모든 작용을 의미하고, “모공 개선”은 피부에 육안상으로 관찰 가능한 모공의 면적 및 개수를 감소시키는 모든 작용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피부 톤 개선"은 피부의 색을 하얗고 밝게 만드는 것으로 ITA(individule type angle)값을 상승시키는 모든 작용을 의미할 수 있고, 상기 "피부 탄력 개선 또는 피부 치밀도 개선"은 진피층의 결합섬유인 콜라겐과 점액성의 뮤코-다당류가 물과 결합하는 능력을 증가시켜 피부의 탄력성을 회복하는 모든 작용을 의미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양상은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내용과 동일한 부분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도 공히 적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스타필로코커스(Staphylococcus) 속, 스트렙토코커스(Streptococcus) 속, 큐티박테리움(Cutibacterium) 속, 코리네박테리움(Corynebacterium) 속 및 로티아(Rothia) 속 미생물, 이의 배양액 또는 상기 배양액의 상등액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고, 상기 스타필로코커스 속 미생물은 스타필로코커스 에피데르미디스(Staphylococcus epidermidis) KCCM12551P, 상기 스트렙토 코커스 속 미생물은 스트렙토코커스 써모필러스(Streptococcus thermophilus) KCCM12004P, 상기 큐티박테리움 속 미생물은 큐티박테리움 아크네스(Cutibacterium acnes) KCCM12680P, 상기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은 코리네박테리움 아미콜라툼(Corynebacterium amycolatum) KCCM12689P, 상기 로티아 속 미생물은 로티아 크리티네(Rothia kristinae) KCCM12685P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인간 피부 유래의 당류 및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배지 조성물에서 배양되어 제조된 상기 미생물 배양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피부 개선은 피부 보습, 피부 장벽 강화, 피부 미백, 주름 개선, 피부 결 개선, 모공 개선, 피부 톤 개선, 피부 탄력 개선 또는 피부 치밀도 개선일 수 있으나, 이에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스타필로코커스 속, 스트렙토코커스 속, 큐티박테리움 속, 코리네박테리움 속 및 로티아 속 미생물, 이의 배양액 또는 상기 배양액의 상등액은 1 내지 10:1 내지 10:1 내지 10:1 내지 10:1 내지 10(v/v)로 혼합된 것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동일한 부피비, 즉 1:1:1:1:1(v/v)로 혼합된 것일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성분 이외에 기능성 첨가물 및 일반적인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으며,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향료 등과 같은 통상적인 보조성분 및 담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는 글리세린, 부틸렌글리콜, 폴리옥시에칠렌 경화피마자유, 토코페릴 아세테이트, 시트릭산, 스쿠알란, 소듐 시트레이트, 알란토인 등의 보조성분이 추가로 더 포함될 수 있고, 용제로는 헥산디올, 정제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능성 첨가물로는 수용성 비타민, 유용성 비타민, 고분자 펩티드, 고분자 다당, 스핑고 지질 및 해초 엑기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 포함되는 배합 성분으로서는 유지 성분, 보습제, 에몰리엔트제, 계면 활성제, 유기 및 무기 안료, 유기 분체,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식물 추출물, pH 조정제, 알콜, 색소, 향료, 혈행 촉진제, 냉감제, 제한(制汗)제, 정제수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인간 피부 유래 미생물들의 혼합 배양액은 상기 배지 조성물에서 배양된 것으로, 각각의 배양액에 비해 현저히 우수한 피부 개선 효과를 나타낸다.
도 1 은 일 실시예에 따른 피험자의 얼굴 피부를 세척하여 얻은 피부 유래 산물에 대해 이를 구성하는 당 성분을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 은 일 실시예에 따른 피험자의 얼굴 피부를 세척하여 얻은 피부 유래 산물에 대해 이를 구성하는 아미노산 성분을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3 은 일 실시예에 따른 피험자의 얼굴 피부를 세척하여 얻은 피부 유래 산물에 대해 피부 유래 미생물 분포를 나타낸 것이다.
도 4 및 도 5 은 신규 개발한 개량 배지에서 배양한 피부 유래 미생물들의 보습 효과를 평가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6 은 신규 개발한 개량 배지에서 배양한 피부 유래 미생물들의 장벽 개선 효과를 평가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7 및 도 8은 신규 개발한 개량 배지에서 배양한 피부 유래 미생물 및 이들의 혼합액에 대한 보습 효과를 비교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신규 개발한 개량 배지에서 배양한 피부 유래 미생물 및 이들의 혼합액에 대한 장벽 개선 효과를 비교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신규 개발한 개량 배지에서 배양한 피부 유래 미생물들의 미백 효과를 평가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 및 도 12는 신규 개발한 개량 배지에서 배양한 피부 유래 미생물들의 항노화 및 주름개선 효과를 평가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13 및 도 14는 신규 개발한 개량 배지에서 배양한 피부 유래 미생물 및 이들의 혼합액에 대한 항노화 및 주름 개선 효과를 비교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15 및 도 16은 5종의 미생물 배양액을 포함하는 포뮬라에 대한 눈가 주름 개선 임상 평가를 진행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Ra: 산술 평균 거칠기, Rz: 10점 평균 거칠기).
도 17 및 도 18은 5종의 미생물 배양액을 포함하는 포뮬라에 대한 피부 결 개선 임상 평가를 진행한 결과이다(Ra: 평균 거칠기, Rmax: 최대 거칠기, Rz: 10점 평균 거칠기; 평균선에서 가장 높은 5개의 산의 갈이 평균값과 가장 낮은 5개 골의 길이 평균값과의 차이, Rp: 최대 단면 산 높이; 단면의 거칠기 중심선에서부터 가장 높은 단면산의 높이 값, Rv: 최대 단면 골 높이, 단면의 거칠기 중심선에서부터 가장 낮은 단면골의 깊이 값).
도 19 및 도 20은 5종의 미생물 배양액을 포함하는 포뮬라에 대한 피부 수분량 개선 임상 평가를 진행한 결과이다.
도 21 및 도 22은 5종의 미생물 배양액을 포함하는 포뮬라에 대한 피부 모공 개선 임상 평가를 진행한 결과이다.
도 23 및 도 24는 5종의 미생물 배양액을 포함하는 포뮬라에 대한 피부 톤 개선 임상 평가를 진행한 결과이다.
도 25 은 5종의 미생물 배양액을 포함하는 포뮬라에 대한 피부 탄력 개선 임상 평가를 진행한 결과이다(R2 (Ua/Uf): 물리적 힘에 대한 저항 대비 복귀 능력(%), R5 (Ua/Ue): 흡입 탄성 대비 이완 탄성의 비율(%), R7 (Ur/Uf): 전체 곡선 대비 탄성의 비율(%)).
도 26 및 도 27은 5종의 미생물 배양액을 포함하는 포뮬라에 대한 피부 치밀도 개선 임상 평가를 진행한 결과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피부 유래 산물 및 마이크로바이옴 샘플링
10-20대 연령의 인원을 대상으로 피험자를 모집하였으며, 피험자는 얼굴 부위를 세정한 다음 항온항습실(22±2℃, 50±5%)에서 30분 이상 동안 안정을 취한 후에, 멸균 증류수를 이용하여 얼굴 부위를 세척하여 샘플을 확보하였다. 해당 샘플은 구성당 분석, 아미노산 분석, 마이크로바이옴 분석에 사용되었다.
실시예 2. 피부 유래 산물의 구성 당 분석
상기 실시예 1에서 확보한 샘플을 동결건조 과정을 통해 분말화 하였다. 분말화된 샘플은 BIO-LC 장비를 이용하여 구성 당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미생물이 에너지원으로 사용 가능한 당류로서 글루코스(Glucose), 프룩토스(Fructose), 람노스(Rhamnose)가 피부로부터 검출됨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 피부 유래 산물의 아미노산 분석
상기 실시예 1에서 확보한 샘플을 동결건조 과정을 통해 분말화 하였다. 분말화된 샘플은 아미노산 분석기를 이용하여 유리 아미노산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미생물이 질소원으로 사용 가능한 아미노산으로 트레오닌(Threonine), 티로신(Tyrosine), 아르기닌(Arginine), 알라닌(Alanine), 프롤린(Proline), 히스티딘(Histidine), 이소류신(Iso-leucine), 류신(Leucine), 페닐알라닌(Phenyl-alanine), 트립토판(Tryptophan), 발린(Valine), 글루탐산(Glutamic acid), 아스파라긴산(Aspartic acid), 세린(Serine), 글리신(Glycine)이 피부로부터 검출됨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4. Next Generation Sequencing(NGS)을 통한 피부 미생물의 분석
상기 실시예 1에서 확보한 샘플을 0.45 μm filter를 이용하여 여과하고, 필터 멤브레인(filter membrane)만 회수하여 metagenomic DNA를 추출하였다. 추출한 DNA는 NGS 분석을 진행하기 위해 16S rRNA gene 영역 중 V3-V4 영역을 증폭하여 amplicon 형태의 DNA library를 제작한 후, 정제 과정을 통해 DNA 이외의 불순문들을 제거하였다. 제작된 DNA library는 Miseq 장비(Illumina, Inc.)를 이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얻어진 데이터는 Qiime2 application을 이용하여 분석하여, 도 3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해당 분석을 통하여 스타필로코커스(Staphylococcus) 속, 스트렙토코커스(Streptococcus) 속, 큐티박테리움(Cutibacterium) 속, 코리네박테리움(Corynebacterium) 속, 로티아(Rothia) 속이 피부에 존재하는 균주임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타필로코커스 속 미생물은 스타필로코커스 에피데르미디스(Staphylococcus epidermidis), 상기 스트렙토코커스 속 미생물은 스트렙토코커스 써모필러스(Streptococcus thermophilus), 큐티박테리움 속 미생물은 큐티박테리움 아크네스(Cutibacterium acnes), 로티아 속 미생물은 로티아 크리티네(Rothia kristinae)임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5. 미생물 배양 신규 배지 제조
상기 실시예 2 및 실시예 3에서 확인한 피부 유래 당 및 아미노산 성분을 바탕으로, 하기 표 1의 성분 및 함량을 포함하는 신규 미생물 배양 배지를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 범위
글루코스(Glucose) 0.01 g - 100 g
람노스(Rhamnose) 0.01 g - 100 g
프룩토스(Fructose) 0.01 g - 100 g
글리세롤(Glycerol) 0.01 g - 50 g
트레오닌(Threonine) 0.1 mg- 5.0 g
티로신(Tyrosine) 0.1 mg- 5.0 g
아르기닌(Arginine) 0.1 mg- 5.0 g
알라닌(Alanine) 0.1 mg- 5.0 g
프롤린(Proline) 0.1 mg- 5.0 g
히스티딘(Histidine) 0.1 mg- 5.0 g
이소류신(Iso-Leucine) 0.1 mg- 5.0 g
류신(Leucine) 0.1 mg- 5.0 g
페닐알라닌(Phenyl alanine) 0.1 mg- 5.0 g
트립토판(Tryptophan) 0.1 mg- 5.0 g
발린(Valine) 0.1 mg- 5.0 g
글루탐산(Glutamic acid) 0.1 mg- 5.0 g
아스파트산(Aspartate) 0.1 mg- 5.0 g
세린(Serine) 0.1 mg- 5.0 g
글리신(Glycine) 0.1 mg- 5.0 g
MgSO4 0.01 g - 1.0 g
K2HPO4 0.01 g - 5.0 g
NaCl 0.01 g - 10.0 g
효모 추출물(Yeast extract) 0.01 g - 10 g
실시예 6. 피부 유래 성분을 포함하는 배지를 사용한 균주 배양액의 제조
상기 표 1에 나타낸 성분을 바탕으로, 상기 실시예 4에서 확인한 균주에 속하는 스타필로코커스 에피덜미디스(Staphylococcus epidermidis), 스트렙토코커스 테르모필러스(Streptococcus thermophilus), 큐티박테리움 아크네스(Cutibacterium acnes), 코리네박테리움 아미콜라툼(Corynebacterium amycolatum), 로티아 크리스티네(Rothia kristinae) 각 균주별로 액체 배지에 접종하여 30℃에서 72시간 배양하여 배양액을 제조하였다. 이후 상등액만을 회수하기 위해 6,000 rpm, 30분간 원심분리를 진행하였으며, 이 후에는 0.45 μm 필터를 이용하여 여과하여 완전히 제균한 상등액만을 회수하였다.
실시예 7. 시판 배지를 사용한 균주 배양액의 제조
스타필로코커스 에피덜미디스(Staphylococcus epidermidis), 코리네박테리움 아미콜라툼(Corynebacterium amycolatum), 로티아 크리스티네(Rothia kristinae) 균주는 R2A 배지에서, 스트렙토코커스 테르모필러스(Streptococcus thermophilus), 큐티박테리움 아크네스(Cutibacterium acnes)는 TSB 배지에 각각 접종하여 30℃에서 72시간 배양하여 배양액을 제조하였다. 이후 배양 상등액만을 회수하기 위하여 6,000 rpm, 30분간 원심분리를 진행하였으며, 이 후에는 0.45 μm 필터를 이용하여 여과하여 완전히 제균한 상등액만을 회수하였다.
실시예 8. 피부 유래 성분을 포함하는 배지를 사용한 균주 배양액 상등액 혼합물의 제조
상기 표 1에 나타낸 성분을 바탕으로, 상기 실시예 4에서 확인한 균주에 속하는 스타필로코커스 에피덜미디스(Staphylococcus epidermidis), 스트렙토코커스 테르모필러스(Streptococcus thermophilus), 큐티박테리움 아크네스(Cutibacterium acnes), 코리네박테리움 아미콜라툼(Corynebacterium amycolatum), 로티아 크리스티네(Rothia kristinae) 각 균주별로 액체 배지에 접종하여 30℃에서 72시간 배양하여 배양액을 제조하였다. 배양 상등액만을 회수하기 위하여 6,000 rpm, 30 분간 원심분리를 진행하였으며, 이 후에는 0.45 μm 필터를 이용하여 여과하여 완전히 제균한 상등액만을 회수하였다. 또한, 해당 균주 상등액 혼합물의 시너지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상기 5 가지 상등액을 1:1:1:1:1의 비율로 섞어 혼합액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9. 피부 보습/장벽강화 효능 비교 분석
상기 실시예 6 내지 8에서 제조한 배양액 또는 혼합 배양액이 피부 장벽강화 및 보습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인간 각질형성 세포주(human keratinocyte) HaCaT 세포를 10% 우혈청(fetal bovine serum)을 포함한 DMEM 배지(Dulbecco'smodified Eagle's Medium, Gibco 1210-0038)에서 배양하였고, 배양은 모두 37℃, 5% CO2 배양기에서 수행하였다. 상기 배양된 세포주에 제조한 균주의 배양액(1% (w/w)) 및 혼합액(1% (w/w))을 처리하고 24시간 동안 추가 배양하였다.
그 후 각 시료의 세포에서 트리졸(RNA iso, DAKARA, 일본)을 이용하여 RNA를 분리한 뒤 nanodrop으로 260㎚에서 RNA를 정량한 후, 각각 2㎍의 RNA를 사용하여 증폭기에서 cDNA를 합성하였다(C1000 Thermal Cycler, Bio-Rad, 미국). 합성된 cDNA를 주형으로 타겟 유전자인 피부 장벽 강화 및 보습과 관련된 인자인 HAS3, AQP3 및 FLG(Filaggrin)에 대한 프라이머 및 cDNA와 함께 첨가하여 실시간(real-time) PCR 기계(Step One Plus, Applied Biosystems, 미국)에서 실시간 중합효소 연쇄반응을 수행하였다. 유전자의 발현량은 β-actin 유전자에 대한 보정을 통해 최종적으로 분석하였고, 양성 대조군으로는 retinoic acid(RA)를 사용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4 내지 도 6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상기 균주 중 스트렙토코커스 테르모필러스, 스타필로코커스 에피덜미디스, 로티아 크리스티네, 코리네박테리움 아미콜라툼, 큐티박테리움 아크네스가 HAS3 및 AQP3 발현을 증가시켜 보습에 도움을 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도 4, 도 5), 스타필로코커스 에피덜미디스, 로티아 크리스티네, 코리네박테리움 아미콜라툼, 큐티박테리움 아크네스가 FLG 발현을 증가시켜 피부 장벽 강화에 도움을 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6). 또한, 각 균주들의 피부 보습/장벽강화 효능은 시판 배지 대비 신규 배지(개량 배지)에서 배양한 경우에 전반적으로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도 7 내지 도 9에서 확인한 바와 같이, 스트렙토코커스 테르모필러스, 스타필로코커스 에피덜미디스, 로티아 크리스티네, 코리네박테리움 아미콜라툼, 큐티박테리움 아크네스의 개별 발효 상등액보다는 이를 1:1:1:1:1의 비율로 혼합한 혼합액(실험예)이 피부 장벽 강화 및 보습에 보다 효과적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10. 미백 효능 비교 분석
상기 실시예 6 내지 8에서 제조한 배양액 또는 혼합 배양액이 미백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마우스의 색소 세포인 B16-F10(Murine Melanoma) 세포(ATCC)를 10% FBS를 포함하는 DMEM 배지(Dulbecco'smodified Eagle's Medium, Gibco 1210-0038) 2㎖에 현탁시켜 1x105 세포/웰로 6-웰 플레이트에 접종한 후, 상기 세포가 웰 바닥에 40~50% 부착될 때까지 37℃, 5% CO2 배양기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후 α-MSH를 100 nM 농도로 처리하여 멜라닌 생성을 유도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균주의 배양액(1%(w/w))을 처리하여 3일 동안 추가 배양하였다. 이후 배양액을 회수하여 1,000 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얻었다. 얻어진 상등액을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Microlpate reader, Victor 3)로 490 ㎚에서 흡광도를 3회 측정하여 멜라닌 분비 억제능을 평가하였다. 하기 계산식에 의해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7에 나타내었다. 양성대조군으로는 알부틴(100ppm, Sigma aldrich)를 사용하였다.
[계산식 1]
Melanin contents(%)=(각 시료 처리군의 평균 흡광도)/(α-MSH 처리군의 평균 흡광도) x 100(%)
그 결과, 상기 코리네박테리움 아미콜라툼 균주는 α-MSH에 의해 증가된 멜라닌을 무처리 대조군 대비 유의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시판 배지 대비 이를 신규 배지(개량 배지)에서 배양한 경우에 멜라닌 감소 효과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도 10). 따라서 상기 균주는 피부 미백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 11. 항노화 활성 비교 분석
상기 실시예 6 내지 8에서 제조한 균주의 배양액에 대해 피부 노화 및 주름 개선 활성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인간 섬유아세포 세포주(Human dermal fibroblast, Hs68)를 6 웰 플레이트에 3.5x105로 분주한 후, 37℃, 5% CO2 조건의 배양기에서 24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후 배지를 제거하고 DPBS를 넣은 후 20 mJ/cm2의 UVB를 조사하거나 조사하지 않았다. UVB 조사 직후 DPBS를 제거하고 FBS가 없는 배지로 갈아준 후, 상기 실시예 6 내지 8에서 제조한 균주의 배양액을 1% 처리하고 24시간 동안 추가 배양하였다. 음성 대조군으로 자외선 처리 및 균주 배양액 비처리군, 양성 대조군으로 EGCG(epigallocatechin gallate)을 사용하였다. 이후 각 시료의 세포에서 트리졸(RNA iso, DAKARA, 일본)을 이용하여 RNA를 분리한 뒤 nanodrop으로 260 ㎚에서 RNA를 정량한 후, 각각 2㎍의 RNA를 사용하여 증폭기에서 cDNA를 합성하였다(C1000 Thermal Cycler, Bio-Rad, 미국). 합성된 cDNA를 주형으로 타겟 유전자인 COL1A1, MMP1에 대하여 사이버그린(SYBR Green supermix, Applied Biosystems, USA)을 프라이머 및cDNA와 함께 첨가하여 실시간(real-time) PCR 기계(Step One Plus, AppliedBiosystems, 미국)에서 실시간 중합효소 연쇄반응을 수행하였다. 유전자의 발현량은 β-actin 유전자에 대한 보정을 통해 최종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상기 균주 중 스트렙토코커스 테르모필러스, 스타필로코커스 에피덜미디스, 로티아 크리스티네, 코리네박테리움 아미콜라툼이 COL1A1 발현을 증가시키고, 코리네박테리움 아미콜라툼이 MMP-1 발현을 감소시켜 항노화 및 주름 개선에 도움을 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11, 도 12). 따라서 상기 균주들은 피부의 항노화 및 주름 개선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도 13 내지 도 14에서 확인한 바와 같이, 상기 스트렙토코커스 테르모필러스, 스타필로코커스 에피덜미디스, 로티아 크리스티네, 코리네박테리움 아미콜라툼, 큐티박테리움 아크네스의 개별 발효 상등액보다는 이를 1:1:1:1:1의 비율로 혼합한 혼합액이 COL1A1 발현은 더욱 증가시키고, UVB 조사에 따른 MMP-1 발현은 현저히 감소시킴으로써 항노화 및 주름 개선에 보다 효과적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12. 균주 배양액 함유 포뮬라 제조
실시예 6에서 제조한 5종의 미생물 배양액을 이용하여 임상 평가에 사용하기 위한 포뮬라를 제작하였고, 아래 표 2에 그 조성 및 함량을 나타내었다.
성분 함량(%)
스트렙토코커스 테르모필러스 배양액 5
스타필로코커스 에피덜미스 배양액 5
코리네박테리움 아미콜라툼 배양액 5
로티아 크리스티네 배양액 5
큐티박테리움 아크네스 배양액 5
멸균증류수 50.79
1,2-Hexandiol 2
Tromethamine 0.16
SC50 0.05
Carbopol 980 20
실시예 13. 포물라 평가를 위한 피험자 모집 및 실험 방법
H&BIO 피부임상연구센터를 통하여 선정 기준에 적합한 40~55세의 피험자 총 23명(평균 48.78±2.24세)을 모집하였다. 실시예 12에서 제조한 포뮬라, 즉 시험 제품을 4주간 1일 2회(아침, 저녁) 피험자들의 지정된 안면 부위에 사용하도록 하였다. 제품 사용 전 및 제품 사용 4주 후 시점에서 눈가 주름, 피부 모공, 탄력 및 치밀도를 측정하였고, 제품 사용 전, 제품 사용 1회 후, 제품 사용 3일 후 및 제품 사용 4주 후 시점에서 피부 결, 수분량 및 피부 톤을 측정하였다. 모든 연구는 피험자가 시험 부위를 세정한 다음 항온항습실(22±2
Figure 112023033197732-pat00001
, 50±5%)에서 30분 이상 안정을 취한 후에 측정을 실시하였다.
실시예 14. 포뮬라의 눈가 주름 및 피부 결(거칠기) 개선 효능 평가
실시예 12에서 제조한 포뮬라의 눈가 주름 및 피부 결 개선 효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제품 사용 전 및 제품 사용 4주 후 시점에서 선정된 눈가 부위를 촬영하였고, 제품 사용 전, 제품 사용 1회 후, 제품 사용 3일 후 및 제품 사용 4주 후 시점에서 뺨 부위의 3D 이미지를 촬용하고 분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눈가 주름 및 피부 결 파라미터 값을 분석하였다. 눈가 주름 및 피부 결 측정은 고해상도 센서를 이용한 3차원 이미징 시스템 PRIMOSCR을 이용하여 도 15 내지 도 18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도 15 및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포뮬라는 눈가 주름의 평균 깊이, 크기, 개수, 길이 및 거칠기(Rz) 등을 감소시켜 주름 개선에 효과가 있고, 도 17 및 도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부의 평균/최대 걸치기 파라미터 등을 감소시켜 피부 결 개선에도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15. 피부 수분량 개선 효능
실시예 12에서 제조한 포뮬라에 대한 피부 수분량 개선 효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제품 사용 전, 제품 사용 1회 후, 제품 사용 3일 후 및 제품 사용 4주 후 시점에서 선정된 뺨 부위의 수분량을 Corneometer CM 825를 이용하여 3회씩 측정한 후 평균값을 분석하였으며, Epsion Model E100을 이용하여 선정된 전박 부위를 촬영하여, 도 19 및 도 20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도 19 및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포뮬라는 사용 전과 비교하여 피부 수분량을 개선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16. 피부 모공 개선(축소) 효능
실시예 12에서 제조한 포뮬라에 대한 피부 모공 개선(축소) 효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제품 사용 전 및 제품 사용 4주 후 시점에서 촬영한 광학 이미지를 Image-Pro 10을 이용하여 뺨 부위의 분석 영역에 대한 모공 spot 면적 백분율(%)을 측정함으로써 분석하여, 도 21 및 도 22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도 21 및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포뮬라는 사용 전과 비교하여 피부 모공의 면적 및 개수를 감소시켜 피부 모공 개선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17. 피부 톤 개선 효능
실시예 12에서 제조한 포뮬라에 대한 피부 톤 개선 효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제품 사용 전, 제품 사용 1회 후, 제품 사용 3일 후 및 제품 사용 4주 후 시점에서 선정된 뺨 부위의 피부 톤(individule type angle, ITA)을 아래의 계산식으로 3회 측정하여 평균값을 분석하여, 도 23 및 도 24에 나타내었다.
[계산식 2]
ITA = [Arc Tangent {L*-50}/b*]] 180 / 3.14159
구체적으로, 피부 톤을 측정할 수 있는 Spectrophotometer CM26dG의 광학계는 적분구를 탑재한 확산 조명 8 수광 방식으로 시료의 분광반사율 및 Tristmulus values를 측정하여 CIE L*a*b*의 표색계를 따른다. L*a*b* 표색계에서 명도는 L*(밝기)로 표시하고, a*, b*는 색상과 채도를 색의 방향을 표시하고 있다. (a*: 적색, -a*: 녹색, b*: 황색, -b*: 청색 방향).
그 결과, 도 23 및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포뮬라는 사용 전과 비교하여 피부 톤의 개선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18. 피부 탄력 개선 효능
실시예 12에서 제조한 포뮬라에 대한 피부 톤 개선 효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제품 사용 전 및 제품 사용 4주 후 시점에서 선정된 뺨 부위의 피부 탄력을 Cutometer MPA580을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R2, R5 및 R7 파라미터를 분석하여 도 25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포뮬라는 사용 전과 비교하여 피부의 복귀 능력, 흡입 탄성 대비 이완 탄성의 비율 및 전체 곡선 대비 탄성의 비율 등을 증가시켜 피부 탄력 개선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19. 피부 치밀도 개선 효능
실시예 12에서 제조한 포뮬라에 대한 피부 톤 개선 효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제품 사용 전 및 제품 사용 4주 후 시점에서 선정된 뺨 부위의 피부 치밀도를 측정기기 DermaLab Series SkinLab Combo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측정기기는 초음파 이미징 기기로 피부에 음향 펄스를 투사시킴으로써 그 반응도를 측정하여 신호의 강도를 통해 낮은 치밀도는 어두운 색상, 높은 치밀도는 밝은 색상으로 출력하여 도 26 및 도 27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도 26 및 도 2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포뮬라는 사용 전과 비교하여 피부 치밀도의 상승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한국미생물보존센터(KCCM) KCCM12551P 20190611 한국미생물보존센터(KCCM) KCCM12004P 20170403 한국미생물보존센터(KCCM) KCCM12680P 20200327 한국미생물보존센터(KCCM) KCCM12689P 20200409 한국미생물보존센터(KCCM) KCCM12685P 20200327

Claims (12)

  1. 당류로서 글루코스(Glucose), 프룩토스(Fructose) 및 람노스(Rhamnose); 아미노산으로서 트레오닌(Threonine), 티로신(Tyrosine), 아르기닌(Arginine), 알라닌(Alanine), 프롤린(Proline), 히스티딘(Histidine), 이소류신(Iso-leucine), 류신(Leucine), 페닐알라닌(Phenyl-alanine), 트립토판(Tryptophan), 발린(Valine), 글루탐산(Glutamic acid), 아스파라긴산(Aspartic acid), 세린(Serine) 및 글리신(Glycine)을 포함하는, 미생물의 성장을 증진시키기 위한 배지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당류, 아미노산 및 미생물은 인간의 피부로부터 유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지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미생물은 스타필로코커스 에피데르미디스(Staphylococcus epidermidis) KCCM12551P, 스트렙토코커스 써모필러스(Streptococcus thermophilus) KCCM12004P, 큐티박테리움 아크네스(Cutibacterium acnes) KCCM12680P, 코리네박테리움 아미콜라툼(Corynebacterium amycolatum) KCCM12689P 및 로티아 크리티네(Rothia kristinae) KCCM12685P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지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지 조성물은 글리세롤, 황산마그네슘(Magnesium sulfate, MgSO4), 인산칼륨(Potassium phosphate, K2HPO4), 염화나트륨(Sodium chloride, NaCl) 및 효모 추출물을 추가로 더 포함하는 것인, 배지 조성물.
  5. 제1항의 배지 조성물에 스타필로코커스(Staphylococcus) 속, 스트렙토코커스(Streptococcus) 속, 큐티박테리움(Cutibacterium) 속, 코리네박테리움(Corynebacterium) 속 또는 로티아(Rothia) 속 미생물을 각각 접종 및 배양하여 배양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각각의 배양액을 원심분리 및 여과하여 상등액을 회수하는 단계; 및
    상기 각각의 상등액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스타필로코커스 속 미생물은 스타필로코커스 에피데르미디스(Staphylococcus epidermidis), 상기 스트렙토코커스 속 미생물은 스트렙토코커스 써모필러스(Streptococcus thermophilus), 상기 큐티박테리움 속 미생물은 큐티박테리움 아크네스(Cutibacterium acnes), 상기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은 코리네박테리움 아미콜라툼(Corynebacterium amycolatum), 상기 로티아 속 미생물은 로티아 크리티네(Rothia kristina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개선은 피부 보습, 피부 장벽 강화, 피부 미백, 주름 개선, 피부 결 개선, 모공 개선, 피부 톤 개선, 피부 탄력 개선 또는 피부 치밀도 개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7. 삭제
  8. 제5항 또는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스타필로코커스(Staphylococcus) 속, 스트렙토코커스(Streptococcus) 속, 큐티박테리움(Cutibacterium) 속, 코리네박테리움(Corynebacterium) 속 및 로티아(Rothia) 속 미생물, 이의 배양액 또는 상기 배양액의 상등액을 포함하고,
    상기 스타필로코커스 속 미생물은 스타필로코커스 에피데르미디스(Staphylococcus epidermidis), 상기 스트렙토코커스 속 미생물은 스트렙토코커스 써모필러스(Streptococcus thermophilus), 상기 큐티박테리움 속 미생물은 큐티박테리움 아크네스(Cutibacterium acnes), 상기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은 코리네박테리움 아미콜라툼(Corynebacterium amycolatum), 상기 로티아 속 미생물은 로티아 크리티네(Rothia kristina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9. 삭제
  10. 삭제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개선은 피부 보습, 피부 장벽 강화, 피부 미백, 주름 개선, 피부 결 개선, 모공 개선, 피부 톤 개선, 피부 탄력 개선 또는 피부 치밀도 개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배양액은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배지 조성물에서 배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230038195A 2023-03-23 2023-03-23 인간 피부 유래 산물을 포함하는 미생물 배양 배지 및 이를 이용하여 배양된 혼합 미생물 배양액의 피부 개선 용도 KR1026096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8195A KR102609654B1 (ko) 2023-03-23 2023-03-23 인간 피부 유래 산물을 포함하는 미생물 배양 배지 및 이를 이용하여 배양된 혼합 미생물 배양액의 피부 개선 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8195A KR102609654B1 (ko) 2023-03-23 2023-03-23 인간 피부 유래 산물을 포함하는 미생물 배양 배지 및 이를 이용하여 배양된 혼합 미생물 배양액의 피부 개선 용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9654B1 true KR102609654B1 (ko) 2023-12-05

Family

ID=891569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38195A KR102609654B1 (ko) 2023-03-23 2023-03-23 인간 피부 유래 산물을 포함하는 미생물 배양 배지 및 이를 이용하여 배양된 혼합 미생물 배양액의 피부 개선 용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965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29929A (ja) * 2001-03-23 2002-01-29 Hakuto Co Ltd 美白用皮膚外用剤
WO2013070893A1 (en) * 2011-11-08 2013-05-1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of making cosmetic compositions containing a prebiotic
KR20130106762A (ko) * 2010-04-23 2013-09-30 라이프 테크놀로지스 코포레이션 소형 펩티드를 포함하는 세포 배양 배지
KR20140089805A (ko) * 2013-01-07 2014-07-16 (주)미애부생명과학 락토바실러스 균주 배양액 및 줄기세포 배양액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80112255A (ko) * 2017-04-03 2018-10-12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파로모마이신을 고생산하는 스트렙토마이세스 속 m19-1 균주 및 이의 대량 생산용 배지 조성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29929A (ja) * 2001-03-23 2002-01-29 Hakuto Co Ltd 美白用皮膚外用剤
KR20130106762A (ko) * 2010-04-23 2013-09-30 라이프 테크놀로지스 코포레이션 소형 펩티드를 포함하는 세포 배양 배지
WO2013070893A1 (en) * 2011-11-08 2013-05-1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of making cosmetic compositions containing a prebiotic
KR20140089805A (ko) * 2013-01-07 2014-07-16 (주)미애부생명과학 락토바실러스 균주 배양액 및 줄기세포 배양액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80112255A (ko) * 2017-04-03 2018-10-12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파로모마이신을 고생산하는 스트렙토마이세스 속 m19-1 균주 및 이의 대량 생산용 배지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FRONTIERS IN CELLULAR AND INFECTION MICROBIOLOGY., 29 SEPTEMBER 2014, SEC. MOLECULAR BACTERIAL PATHOGENESIS, VOLUME 4, ARTICLE 137, P.1-19 [DOI.ORG/10.3389/FCIMB.2014.0013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10123B1 (en) Fibroblast proliferator
KR20080094457A (ko)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95365B1 (ko) 쌀배아 발효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개선용 보습화장료 조성물
KR20100135871A (ko) 섬유모세포의 증식 및/또는 활성을 자극하는 활성 성분
KR102273232B1 (ko) 마이크로코커스 리래 균주 및 그의 피부 상태 개선 용도
KR102273950B1 (ko) 큐티박테리움 아크네스 아종 아크네스 균주 및 그의 피부 상태 개선 용도
CN113893217A (zh) 一种具有淡斑功效的面霜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2609654B1 (ko) 인간 피부 유래 산물을 포함하는 미생물 배양 배지 및 이를 이용하여 배양된 혼합 미생물 배양액의 피부 개선 용도
KR102286076B1 (ko) 스타필로코커스 갈리나룸 st-4 균주 및 그의 피부 상태 개선 용도
KR20190036688A (ko) 포도, 오렌지, 사과, 레몬 및 라임을 발효하여 만든 과일 발효액 콤플렉스를 함유하는 피부 각질 박리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29430B1 (ko) 기능성 펩타이드와 콜라겐 발효물을 포함하는 피부 노화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CN110894476A (zh) 包括球形红菌菌株或其培养液的用于预防或改善老化的组合物
KR102334454B1 (ko) 코리네박테리움 투베르쿨로스테아리쿰 균주 및 그의 피부 상태 개선 용도
KR102321536B1 (ko) 코리네박테리움 아미콜라툼 균주 및 그의 피부 상태 개선 용도
CN112386547B (zh) 菠萝萃取物的皮肤保健用途
KR102199063B1 (ko) 스타필로코커스 헤모리티쿠스 st-8 균주 및 그의 피부 상태 개선 용도
KR101911442B1 (ko) 신규한 바실러스 제주엔시스 hb-20 균주 및 이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KR20140012090A (ko) 반얀트리, 로터스, 및 클로버 세럼 분획을 포함하는 조성물 (노화)
KR102394429B1 (ko) 스노우베리 발효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그의 피부 상태 개선 용도
KR102368736B1 (ko) 마이크로박테리움 올레이보란스 균주 및 그의 피부 상태 개선 용도
KR102334456B1 (ko) 판토에아 아나나티스 균주 및 그의 피부 상태 개선 용도
KR102529325B1 (ko) 바이셀라 시바리아 균주 및 이의 용도
CN117224452B (zh) 含有植物芽提取物的温和护肤组合物及其在守护皮肤屏障上的应用
KR102334449B1 (ko) 코리네박테리움 아코렌스 균주 및 그의 피부 상태 개선 용도
KR102334453B1 (ko) 코리네박테리움 크롭펜스테드티 균주 및 그의 피부 상태 개선 용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