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9132A - 카메라를 구비하는 장치의 인물 촬영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카메라를 구비하는 장치의 인물 촬영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9132A
KR20140089132A KR1020130000988A KR20130000988A KR20140089132A KR 20140089132 A KR20140089132 A KR 20140089132A KR 1020130000988 A KR1020130000988 A KR 1020130000988A KR 20130000988 A KR20130000988 A KR 20130000988A KR 20140089132 A KR20140089132 A KR 201400891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rror
camera
person
recognition area
al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09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92571B1 (ko
Inventor
김경화
김선화
김희진
박미정
유석현
최조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009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2571B1/ko
Priority to US14/142,290 priority patent/US9282239B2/en
Priority to EP13199752.0A priority patent/EP2753064A1/en
Priority to CN201410003529.9A priority patent/CN103916592B/zh
Publication of KR201400891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91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25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25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4Computer-aided capture of images, e.g. transfer from script file into camera, check of taken image quality, advice or proposal for image composition or decision on when to take ima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2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by screw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5/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dama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06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the fastening being onto or by the lamphold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9/00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V19/001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the light sources being semiconductors devices, e.g. LEDs
    • F21V19/003Fastening of light source holders, e.g. of circuit boards or substrates holding light 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1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ased on recognised obj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1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ased on recognised objects
    • H04N23/611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ased on recognised objects where the recognised objects include parts of the human bod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1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image capture or setting capture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relating to control or operation of the camera
    • H04N23/634Warning ind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2Control of parameters via user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relating to control or operation of the camera
    • H04N23/635Region indicators; Field of view indica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7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tudio Devices (AREA)
  • Indication In Cameras, And Counting Of Exposures (AREA)

Abstract

카메라를 구비하는 장치의 인물촬영 방법이, 촬영모드시 카메라로부터 획득되는 이미지에서 인물을 검출하는 과정과, 검출된 인물이 피사체 인식영역 내에 위치하는가 검사하는 에러 검사과정과, 에러검사과정에서 인물의 일부 또는 전부가 피사체 인식영역에서 벗어나 있으면 인물을 피사체 인식영역 내로 이동하도록 하는 방향 정보를 포함하는 에러 경보를 발생하는 과정과, 에러검사 과정에서 인물이 피사체 인식영역 내에 위치하면 카메라에서 출력되는 이미지를 저장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카메라를 구비하는 장치의 인물 촬영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TAKING A PICTURE OF PORTRAIT PORTABLE TERMINAL HAVING A CAMERA AND CAMERA DEVICE}
본 발명은 카메라를 구비하지는 장치의 촬영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인물사진을 촬영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단말기는 카메라를 구비하고 있으며, 카메라를 이용하여 다양한 형태의 사진을 촬영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장치도 디지털 카메라 장치가 주를 이루고 있다. 그리고 상기 카메라장치 또는 카메라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에서 카메라는 표시부와 반대편에 위치한다. 즉, 디지털 카메라장치 및/또는 카메라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의 경우, 카메라는 뷰파인더(view finder) 및/또는 표시부(스크린)의 반대편에 위치된다. 또한 듀얼 카메라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의 경우, 표시부와 같은 면에 위치되는 카메라(예를들면 front camera)는 스크린과 반대편인 후면에 배치되는 카메라(예를들면 rear camera)에 비해 저해상도 카메라(즉, 후면에 배치되는 카메라가 전면에 배치되는 카메라보다 고해상도의 카메라임)이다.
상기와 같이 카메라장치 또는 카메라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에서 촬영자가 카메라를 보고 촬영하는 경우(예를들면 self-shot), 또는 듀얼 카메라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에서 촬영자가 후면 카메라를 보고 촬영하는 경우, 촬영자는 표시부를 볼 수 없다. 이런 경우 촬영자는 표시부 또는 뷰파인더를 볼 수 없으므로, 카메라에서 촬영되는 피사체의 구도를 확인할 수 없으며, 또한 오류 상황 발생 여부도 확인할 수 없다. 특히 인물 사진을 촬영하는 경우, 피사체인 인물이 촬영 구도 밖으로 나가거나 또는 인물이 부분적으로 촬영되는 상황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촬영자가 카메라를 손 위로 들고 촬영하거나 또는 발 밑으로 카메라를 내려서 촬영하거나, 또는 피사체를 직접 보면서 촬영하는 경우, 촬영자의 시선 방향이 표시부 방향이 대면하는 방향이지만 촬영자는 표시부를 볼 수 없게 된다. 이런 경우에도 촬영자는 상기한 바와 같이 피사체의 인물이 촬영 구도를 벗어나도 이를 확인할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은 카메라장치 또는 카메라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에서 촬영자가 표시부(screen)을 볼 수 없는 상황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구도로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이를 위하여 촬영자가 피사체를 볼 수 없는 상태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장치 또는 카메라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는 오류 없는 사진을 촬영할 수 있도록 피사체를 인식하고, 이를 분석하여 사용자에게 피사체의 구도에 대한 정보를 피드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를 구비하는 장치의 인물촬영 방법은, 촬영모드시 카메라로부터 획득되는 이미지에서 인물을 검출하는 과정과, 검출된 인물이 피사체 인식영역 내에 위치하는가 검사하는 에러 검사과정과, 상기 에러검사과정에서 인물의 일부 또는 전부가 피사체 인식영역에서 벗어나 있으면 인물을 피사체 인식영역 내로 이동하도록 하는 방향 정보를 포함하는 에러 경보를 발생하는 과정과, 상기 에러검사과정에서 인물이 피사체 인식영역 내에 위치하면 상기 카메라에서 출력되는 이미지를 저장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를 구비하는 장치는, 상기 카메라와 대향되는 반대편에 위치되며,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되는 이미지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에러 타입에 대응되는 에러경보들을 저장하며, 촬영되는 이미지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촬영모드시 상기 카메라로부터 출력되는 이미지에서 인물이 설정된 피사체 인식영역 내에 위치하는가 검사하며, 상기 인물이 피사체 인식영역 내에서 위치하지 않으면 인물이 피사체 인식영역 내로 이동하기 위한 방향을 포함하는 에러 경보를 발생하며, 인물이 피사체 인식영역 내에 위치하면 상기 카메라에서 출력되는 이미지를 저장하는 제어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카메라장치 또는 카메라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에서 고해상도 이미지 확보를 위해 후면 카메라120으로 셀프샷(self-portrait) 촬영을 하는 경우, 촬영자는 카메라으로부터 촬영되는 이미지를 보지 않고도 오디오 에러 경보에 의해 원하는 촬영 구도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로인해 원하는 촬영구도에서 인물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또한 촬영자가 표시부을 보지 않고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도 음성 가이드 정보에 의해 카메라 또는 피사체 인물의 움직임을 유도할 수 있으며, 이로인해 다양한 자세에서 원하는 인물 사진을 촬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Auto-portrait 촬영 방법은 맹인 등과 같이 피사체를 확인할 수 없는 사람 또는 상황에서도 사진을 원활하게 촬영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장치 또는 카메라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에서 피사체를 촬영하는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도 2와 같은 절차를 수행할 때 카메라장치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도 2와 같은 절차로 피사체를 촬영할 때 발생되는 에러 경보의 예를 표시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장치에서 촬영모드(즉, 스마트 촬영모드)를 실행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6a - 도 6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에서 촬영모드 시 에러를 감지하여 에러 경보 및 저장를 출력하는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장치에서 인물 사진 촬영시 의 촬영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8은 도 5에서 촬영되는 이미지 내의 인물을 분석하여 에러 타입 및 에러 타입에 따른 에러 경보를 출력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9a - 도 9b는 카메라 장치에서 촬영된 이미지를 표시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장치에서 인물 촬영을 위한 촬영모드를 설정 및 인물을 촬영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설정모드의 메뉴를 표시하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촬영 동작을 수행하는 휴대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을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하기 설명에서는 "촬영모드"라는 용어는 인식되는 피사체를 분석하여 오류 여부를 판정하고 오류시 피사체 또는 카메라를 이동하여 구도를 재설정하는 촬영모드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촬영모드"는 "Auto-portrait mode"와 같은 의미로 사용될 것이다. 또한 "에러"라는 용어는 피사체를 분석하여 피사체가 촬영 화면을 벗어난 경우, 피사체인 인물이 눈을 감은 경우, 피사체인 인물의 얼굴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 피사체인 인물에 포커싱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들을 총칭하는 용어로 사용될 것이다. 또한 "에러 경보"라는 용어는 에러 발생시 촬영자 및/또는 피사체인 인물의 이동을 가이드하여 피사체가 원하는 구도로 설정하기 위한 경보를 의미한다. 또한 "인식영역"이라함은 표시되는 화면에서 피사체를 인식하는 영역을 의미한다.
카메라 장치 및 카메라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에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 사용자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그 하나는 사용자가 표시부 또는 뷰파인더를 이용하여 카메라로부터 촬영되는 이미지를 확인한 후 촬영하는 방법이다. 다른 하나는 셀프 샷 등과 같이 카메라 방향에 피사체 위치되거나 또는 뷰파인더/표시부를 보지않고 피사체를 촬영하는 방법이 있다. 이때 후자의 촬영방법은 사용자가 카메라로부터 촬영되는 이미지의 피사체가 원하는 구도로 촬영되지 않아도 이를 확인할 수 없다. 따라서 후자의 촬영방법으로 촬영하는 경우, 카메라 장치 및 카메라를휴대단말기는 촬영되는 피사체의 구도를 확인하여 에러 발생 여부를 경보하고, 에러 경보에 따라 촬영자가 단말기를 조작하거나 또는 피사체를 이동시켜 원하는 촬영구도로 촬영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여기서 피사체는 인물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카메라 장치 및 카메라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에서 촬영모드시 카메라를 통해 인식되는 인물 수를 검출한 후, 검출된 인물의 에러 발생 여부를 분석하며, 에러 발생시 해당 에러를 제거하기 위한 에러 경보를 오디오, 비디오 및/ 또는 진동으로 표시한다. 그러면 에러 경보에 따라 촬영자가 단말기를 조작하거나 또는 피사체 인물들이 이동하여 촬영구도를 재설정할 수 있다. 이때 카메라장치 및 카메라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는 위와 같은 동작을 반복하여 원하는 촬영구도로 인물들이 배치되는 경우에 촬영모드를 수행하여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카메라120은 카메라 구동명령에 따라 이미지를 촬영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어부100은 카메라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0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촬영모드시 인식 영역 내의 인물들을 검출하고, 검출된 인물들이 인식 영역 내에 설정된 구도로 위치되었는지 확인하며, 정상적으로 위치되지 않은 에러 감지시 해당 에러 상황에 대한 에러 경보를 표시하며, 인물들이 인식영역 내에 설정된 구도로 감지되면 촬영 동작을 제어한다.
메모리110은 카메라의 동작 프로그램 및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프로그램 메모리와, 촬영되는 이미지들을 저장하는 데이터 메모리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1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촬영모드에서 감지되는 에러 타입에 따른 에러 경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에러 경보는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 가이드 정보가 될 수 있다.
표시부130은 상기 제어부100의 제어하에 촬영되는 이미지 및 촬영정보보를 표시하며,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러 경보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30은 LCD 또는 OLED가 될 수 있다. 입력부140은 카메라 장치의 촬영을 제어하기 위한 입력들을 발생한다. 오디오처리부150은 상기 제어부100의 제어하에 촬영모드에서 감지된 에러 타입에 따른 에러경보를 보이스 및/또는 사운드의 오디오로 출력한다. 센서160은 카메라장치가 놓여지는 상태를 감지한다. 여기서 상기 센서160은 가속도센서, 자이로센서 및/또는 고도 센서들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센서160은 카메라의 기울기 등의 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100에 출력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카메라장치에서 사용자는 입력부140을 통해 촬영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촬영모드는 상기한 바와 Auto-portrait mode가 될 수 있으며, 상기 촬영모드는 설정모드에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촬영모드의 설정은 Auto-portrait mode의 온/오프 및 에러 경보등을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에러경보는 비디오 에러 경보, 오디오 에러 경보, 진동경보 또는 오디오 및 비디오 에러경보들 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촬영모드시 피사체인 인물들의 인식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인식영역은 디폴트로 설정된 인식영역을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입력부140을 통해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는 영역으로 피사체의 인식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촬영모드가 설정된 상태(즉, Auto-portrait mode: ON)에서 상기 제어부100은 카메라120으로부터 촬영되는 이미지를 입력하며, 상기 이미지의 인식영역 내에 위치된 인물들을 검출하고, 상기 인물들이 상기 인식영역 내에서 에러 없이 촬영되었는가 검사한다. 여기서 상기 에러는 인물이 인식 영역 내에 정상적으로 위치되지 못한 경우(예를들면 인물이 얼굴 및/또는 신체의 일부가 짤린 경우), 인물의 얼굴이 정확하게 검출되지 않은 경우(즉, 얼굴을 숙인 경우), 인물이 눈을 감은 경우, 인물에 초점이 맞지 않은 경우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00은 센서160으로부터 장치의 기울기등에 대한 센서 정보를 입력하며, 설정된 기울기 이상으로 장치가 기울어진 경우 이를 정정하기 위한 에러경보를 발생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100은 감지된 에러 타입에 따른 에러 경보를 메모리110에서 억세스한 후 이를 표시부130 및/또는 오디오처리부150을 통해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에러 경보는 에러 상황을 수정하기 위한 가이드 정보로써, 카메라장치를 조작하거나 피사체인 인물의 이동 및/또는 움직임을 가이드하는 정보가 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장치 또는 카메라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에서 피사체(예를들면 인물)를 촬영하는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3은 도 2와 같은 절차를 수행할 때 카메라장치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4는 도 2와 같은 절차로 피사체를 촬영할 때 발생되는 에러 경보의 예를 표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카메라장치 또는 카메라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에서 인물 촬영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물촬영은 촬영자가 피사체를 보고 촬영하는 방법과, 촬영자가 카메라 렌즈를 보고 자신을 직접 촬영하는 방법(이하 auto-potrait shooting 이라 칭한다)이다. 상기 오토-포트레이트 촬영모드시 촬영자는 뷰파인더 또는 표시부를 통해 촬영되는 이미지를 확인할 수 없다. 이런 경우 촬영자는 피사체가 원하는 형태로 촬영되는지(즉, 화면 내에 피사체(인물)이 정상적으로 위치되어 촬영되는지) 확인할 수 없다. 따라서 오토-포트레이트 촬영시 원치 않는 구도로 피사체를 촬영(즉, 에러)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오토-포트레이트 촬영모드시 장치가 촬영하고자 하는 인물을 인식하고, 인식된 인물을 분석하여 오류 발생 여부를 분석한다. 이후 상기 장치는 오류가 발생할 경우 에러 경보(예를들면 voice guide)를 발생하여 촬영자에게 이를 feedback하며, 오류가 없는 경우에는 자동 촬영 또는 촬영하여도 좋다는 메시지를 출력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장치 또는 카메라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에서 인물촬영을 실행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촬영자가 입력부140을 통해 카메라 구동을 요구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211단계에서 카메라120을 구동하여 촬영모드로 진입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00은 표시부130에 촬영 가이드를 제공(provide help guide)를 제공한다. 이때 촬영자가 촬영가이드는 오토-포트레이트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120을 구동한 후, 장치를 돌리면(turn over)시키면, 상기 제어부100은 카메라120의 렌즈가 촬영자를 향하게 됨을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오토 포트레이트 모드를 선택하거나 또는 턴오버 동작을 감지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231단계에서 오토 포트레이트 촬영모드를 설정하고, 235단계에서 표시부130을 오프시킨다. 상기와 같이 오토 포트레이트 촬영모드를 설정한 후, 상기 제어부100은 인식 영역 내의 인물들을 검출 및 포커싱 동작(detecting and focusing)을 수행한다. 먼저 상기 제어부100은 251단계에서 카메라130을 통해 감지되는 인물들의 수를 검출하며, 253단계 또는 255단계에서 검출된 인물이 하나 또는 둘 이상인가를 검사하고, 그 결과를 오디오처리부150을 통해 음성으로 안내(voice-guide)한다. 이때 둘 이상의 인물이 검출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100은 257단계에서 검출된 인물들 중에서 가장 큰키를 가지는 인물을 검색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257단계의 동작은 생략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인식 영역 내의 인물들의 수를 검출하여 안내한 후, 상기 제어부100은 259단계에서 카메라120을 제어하여 인물에 포커싱 동작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포커싱은 인물의 얼굴(예를들면 눈, 볼 등)에 포커싱할 수 있으며, 상기 257단계를 수행한 경우에는 가장 큰키를 가지는 인물에 포커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 251단계에서 인식영역 내의 2명 이상으로 인식하면, 259단계에서 인식된 얼굴의 얼굴영역(rectangle 영역)을 비교하여 큰 영역을 focus 할 인물로 판단할 수 있다.이후 상기 제어부100은 검출된 인물들의 상태를 분석(check user`s pose)하여 에러경보를 발생하거나 또는 촬영 절차를 안내할 수 있다. 먼저 상기 제어부100은 271단계에서 인식 영역 내의 인물들을 검출하며, 281단계에서 인식 영역 내의 인물이 정상적인 포즈 상태(judgment valid)인가를 검사한다. 한 후, 273단계에서 이때 에러가 감지된 경우, 상기 제어부100은 281단계에서 감지된 에러에 대한 에러경보(여기서는 voice guide를 포함할 수 있음)를 출력하며, 상기 에러 경보에 의해 인물들이 움직이면 상기 제어부100은 281단계에서 에러 정정(error correction)을 감지하고 273단계에서 이를 촬영자에게 피드백한다. 여기서 에러 종류(error type)은 상기 도 4a - 도 4b와 같으며, 상기 271단계 및 273단계에서는 검출된 에러 타입 또는 에러 정정 결과를 음성으로 안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에러타입은 얼굴의 아래가 잘리거나, 얼굴 위가 잘리거나, 인물의 왼쪽 얼굴이 잘리거나, 인물의 오른쪽 얼굴이 잘리거나, 얼굴이 인식 영역 밖으로 나가거나, 인물 또는 단말기가 움직였거나, 인물이 눈을 감았거나, 장치가 기울어졌거나(즉, 수평이 맞지 않은 경우), 또는 인식영역 내에서 얼굴의 변화가 발생되거나 인물이 변경된 경우(인물의 수가 증가되거나 감소된 경우) 등이 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인물 변경의 판단은 포커싱된 인물을 기준으로 유사한 크기(약 50% 전후)로 다른 인물의 변화가 발생되는 경우, 또는 지나가는 행인들과 같이 인식 영역 내에서 인물의 수가 변경되는 경우 등이 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에러 경보에 의해 에러 상황이 해결되거나(error correction), 또는 검출된 인물에 에러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어부100은 275단계에서 에러가 없음을 안내하고, 277단계에서 사진을 촬영함을 안내하며, 안내 종료시 291단계에서 오토 포트레이트 촬영을 수행한다(자동촬영). 이때 상기 275단계 또는 277단계를 수행하는 상태에서 에러 상황이 발생되면, 상기 제어부100은 28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다시 상기 271단계로 되돌아가 에러 경보 절차를 수행한다. 또한 인식영역 내의 인물들의 포즈를 분석하여 에러 여부를 피드백하는 상태(즉, 271단계 - 277단계를 수행하는 상태)에서 촬영자가 입력부140의 촬영버튼을 누르거나 또는 표시부130을 터치(tap the screen)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에러 여부에 상관없이 291단계로 진행하여 촬영 동작을 수행한다(수동촬영). 즉, 상기 제어부100은 인식된 인물의 움직임이 없고 단말의 움직임도 안정적인 경우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n/sec 뒤) 자동 촬영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인물의 움직임 판단은 이미지 분석기술 바탕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센서160(예를들면 가속도/자이로 센서 등)을 통해 흔들림 없는 상황을 감지하면 단말의 움직임이 안정적인 상태로 판단한다. 도 3은 오토 포트레이트 촬영 시의 카메라장치와 촬영자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촬영자가 카메라120을 구동한 후, 310과 같이 촬영모드에서 오토-포트레이트 모드를 설정하거나 또는 턴오버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이를 감지하고 320과 같이 표시부130의 표시를 오프시킨다(black screen)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100은 카메라120으로부터 획득되는 이미지의 인물을 검출 및 분석하며, 얼굴이 지정된 영역 밖으로 얼굴이 벗어나지 않도록 피드백 전달한다. 이때 상기 피드백 전달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100은 330과 같이 상기 표시부130의 표시를 오프시킨다. 이때 상기 330과 같은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100은 인식영역 내의 인물 에러 여부를 분석하며, 이때 에러로 분류되는 범위는 상기 도 4a - 도 4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해진 영역 밖으로 얼굴이 벗어난 경우, 눈을 감은 경우, 얼굴로 인식되지 않은 경우 (얼굴을 옆으로 돌리거나 앞으로 숙인 경우), 인물에 포커싱이 되지 않은 경우 및/또는 얼굴 및/또는 인물 수의 변화가 발생된 경우 등이 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에러 경보를 피드백하는 상태에서 에러가 정정되면, 상기 제어부100은 카메라120을 제어하여 설정된 동안 포커싱 상태를 유지시키며 자동 촬영임을 음성으로 피드백한 후, 340과 같이 촬영한다. 또한 상기 330과 같이 에러 경보를 표시하는 상태에서 촬영자의 촬영요구(촬영버튼 ON, tap the screen)를 감지하면 340과 같이 촬영모드를 수행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장치에서 촬영모드(즉, Auto-portrait mode)를 실행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그리고 도 6a -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에서 촬영모드 시 에러를 감지하여 에러 경보를 출력하는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6c - 도 6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에서 촬영된 이미지를 저장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도 5 - 도 6d를 참조하면, 촬영자는 카메라를 구동하고 설정모드(settings)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물 촬영모드(Auto-portrait mode)를 설정(Auto-portrait mode: ON)할 수 있으며, 또는 설정모드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물 촬영모드를 설정(Auto-portrait mode: ON)하고 카메라를 구동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인물 촬영모드는 토글(toggle) 방식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따라서 일단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물 촬영모드(Auto-portrait mode)가 설정되면 이후에도 계속 유지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입력부140을 통해 카메라120의 구동을 요구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이를 감지하고 카메라120을 구동하며 511단계에서 인물 촬영모드(여기서는 Auto-portrait mode)가 설정되어 있는가 검사한다. 이때 인물 촬영모드가 설정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어부100은 521단계에서 해당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인물 촬영모드는 Auto-portrait mode가 될 수 있으며, Auto-portrait mode는 도 6a와 같이 뷰파인더 또는 표시부를 보지 않고 촬영하는 경우에 이용될 수 있다. 예를들면 촬영자가 뷰 파인더 또는 표시부130을 보지 않고 촬영하는 경우(self shot, self- portrait, 또는 촬영자가 피사체인 인물을 보면서 촬영하는 경우 등)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물 촬영모드(Auto-portrait mode)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511단계에서 촬영모드가 설정되었음을 감지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513단계에서 카메라120에서 촬영되는 이미지의 인식영역 내에 피사체를 분석한다. 이때 상기 피사체는 인물이 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100은 인식되는 피사체에서 인물의 얼굴을 검출한다. 그리고 상기 얼굴 인식방법은 통상의 얼굴 인식 알고리즘을 사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얼굴인식은 이미지 전체에서 얼굴이 어디인지 구분해내는 얼굴 영역 추출 과정과, 찾아낸 얼굴이 누구의 얼굴인지 감별하는 얼굴인식 과정의 두 단계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얼굴 영역 추출은 얼굴과 배경을 구분하기 위해 밝기, 움직임, 색상, 눈 위치 추정 등의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이때 얼굴 영역을 정확하게 추출하기 위하여, 상기 제어부100은 2가지 이상의 정보를 취합하여 얼굴 영역을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얼굴인식 과정은 얼굴의 주요 부분인 눈, 코, 입의 거리와 모양으로 얼굴을 판별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얼굴 인식 방법은 피사체 인물을 확인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즉, 인물들의 얼굴을 찍은 이미지들을 다수 보유하고 있는 상황에서 새로운 얼굴 이미지를 획득하면, 카메라장치는 보유하고 있는 이미지들과 획득된 얼굴 이미지의 픽셀값을 비교해 촬영된 인물의 신원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얼굴 인식 방법은 다양한 방법이 있으며, 널리 사용되는 방법은 PCA(Principal Component Analysis), 즉 주성분분석법이라는 수학적 기법을 응용하는 방법이다.
상기와 같이 513단계에서 촬영되는 이미지에서 피사체인 인물을 검출하면, 상기 515단계에서 검출된 인물 수 및 피사체 인식영역 내에서 인물들이 정상적으로 위치되었는지 분석한 후, 이에 따른 피드백 정보를 출력한다. 즉, 상기 제어부100은 카메라120으로부터 획득되는 이미지를 분석한 후, 이미지에서 검출되는 인물들의 수를 표시(오디오, 비디오 또는 오디오/비디오로 출력)하고, 이후 촬영된 이미지에 인물들이 인식 영역 내에 정상적으로 위치되어 있는가 검사한다. 이때 상기 도 6a와 같은 조건에 촬영되므로, 촬영자는 카메라110에서 촬영되는 이미지를 확인할 수 없다. 따라서 촬영모드에서 상기 제어부100은 촬영된 이미지를 분석하며, 이때 도 6b의 650과 같이 인물들이 피사체 인식영역653 내에서 원치않는 구도로 위치되면 이를 에러로 판단한다.
여기서 상기 도 6b의 653과 같이 설정되는 피사체 인식영역은 제어부100이 촬영모드에서 피사체를 인식하고 사람 여부를 인식하는 영역을 의미하며, 상기와 같은 피사체 인식영역은 system 적으로 pre-set 된 영역(default로 설정된 영역)을 사용하거나, 또는 설정모드에서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피사체 인식영역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피사체 인식영역은 도 6b의 653과 같이 간단 기초도형(예를들면 직사각형) 형식일 수 있으며, 또는 인물, 풍경, 오브제(objet)를 나타내는 복합도형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피사체 분석 과정에서 에러는 피사체 인식영역 인물의 얼굴 및/또는 신체가 나가거나 일부 짤린 경우, 피사체 인식영역 내의 인물이 고개를 돌리거나 얼굴을 숙여 얼굴이 제대로 나오지 못한 경우(즉, 얼굴의 눈, 코, 입 등이 전부 또는 일부가 인식되지 않는 경우), 인물의 얼굴이 아닌 다른 곳에 포커스가 된 경우 및/또는 피사체 인식 영역 내의 인물이 눈을 감은 경우 등으로 인식되는 상황이 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피사체 인식영역 내에서 에러를 감지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메모리110에서 해당 에러 상황에 따른 에러 경보를 표시한다. 이때 에러 상황은 상기한 바와 같이, 인물의 얼굴 및/또는 신체가 피사체 인식영역을 벗어났거나, 얼굴을 인식할 수 없는 상황이거나, 인물에 초점이 맞지 않거나 또는 눈을 감은 경우등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00은 515단계에서 에러 상황을 감지하면, 감지된 에러에 대응되는 에러경보를 상기 메모리110에서 억세스하여 표시부140 및/또는 오디오처리부150을 통해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표시부140은 카메라120과 같은 방향의 표시소자(예를들면 램프 점멸 등)를 이용할 수 있으며, 또한 진동 표시도 가능하다. 이때 에러 타입 및 이에 대응되는 에러경보는 상기 도 4a 및 도 4b와 같이 설정할 수 있다. 하기 상기 도 4a 및 도 4b는 주로 카메라 장치의 조작을 권고하거나 또는 피사체 인물의 움직임을 권유하는 에러 경보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에러 경보에 의해 촬영자가 카메라장치를 이동시키거나 또는 피사체 인물이 이동을 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도 6b의 660과 같이 카메라120으로부터 획득되는 이미지에서 피사체 영역 내에 인물들이 설정된 구도로 위치되었음을 감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피사체 인식 영역 내에 인물들이 정상적으로 위치되었음을 감지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이를 촬영자에 음성 가이드 등으로 표시한다. 그러면 촬영자는 입력부140의 촬영버튼을 터치(또는 누름)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100은 517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519단계에서 도 6b의 670과 같은 이미지를 메모리110에 저장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 도 6b의 660과 같이 피사체 인식 영역 내에 인물들이 정상적으로 위치되었음을 감지하면, 517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자동으로 519단계를 수행할 수도 있다.(auto recording).
이때 상기 촬영은 자동 촬영모드 및/또는 수동 촬영모드로 실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자동 촬영모드는 정상 표시(errorless guide 표시) 상태에서 설정된 시간(N sec)이 경과되면 자동으로 촬영된 이미지를 저장부110에 저장한다. 즉, 상기 제어부100은 515단계에서 도 6c의 680과 같이 피사체 인식영역 내에 인물들이 모두 정상적으로 위치되면 에러가 없음을 표시(즉, errorless voice guide)를 하며,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517단계에서 촬영임을 감지하고, 519단계에서 도 6c의 685와 같은 이미지를 저장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00은 자동 촬영모드가 설정된 경우, 도 6c의 680과 같은 이미지를 확인하면 에러가 없는 이미지이며, N sec 후에 촬영됨을 가이드(voice guide)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에러가 없는 정상적인 구도의 이미지를 가이드하는 상태에서 N sec가 되기 전에 사용자가 입력부140을 통해 촬영명령을 발생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517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519단계에서 해당 이미지를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도 6d의 690과 같은 에러 이미지로 인식된 경우, 상기 제어부100은 515단계에서 인식된 에러 타입에 따른 에러경보를 가이드한다. 이때 상기 에러경보는 음성 가이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도 6d의 690과 같은 경우, 상기 제어부100은 515단계에서 상기 상기 도 4a 및 도 4b에 예시한 바와 같이 카메라 장치를 밑으로 내릴 것을 가이드하는 에러경보를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에러 상태에서 사용자가 입력부140을 통해 촬영명령을 발생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517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519단계에서 도 6d의 695와 같은 이미지를 저장부110에 저장한다. 이는 사용자가 에러가 발생된 이미지도 저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상기 입력부140을 통해 발생되는 촬영명령은 셔터 버튼 입력(tap the shutter button)이 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입력부140이 터치패널인 경우에는 표시부130의 터치(tap the screen anywhere)에 의해서도 발생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장치에서 인물 사진 촬영시 의 촬영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즉, 도 7은 도 5에서 513단계 및 515단계에서 피사체가 인물 사진인 경우의 촬영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도 7에서 촬영되는 이미지 내의 인물을 분석하여 에러 타입 및 에러 타입에 따른 에러 경보를 출력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7a - 도 7b는 카메라 장치에서 촬영된 이미지를 표시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상기 도 7 및 도 6은 상기 도 6a - 도 6d와 같은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러 경보 등과 같은 카메라 장치의 표시는 오디오, 비디오, 진동 또는 오디오/비디오 등으로 표시할 수 있으며, 이하의 설명에서는 오디오(voice guide)인 경우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상기 도 7 및 도 6과 같은 본 발명의 인물 촬영 방법을 상기 도 6c - 도 6d 및 도 7a - 도 7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상기 제어부100은 711단계에서 촬영된 이미지에 인물이 있는가 검색한다. 여기서 상기 인물 검색은 얼굴 영역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색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미지에서 이미지에서 얼굴 영역이 추출(또는 인식)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100은 71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731단계에서 이미지에 인물이 없음을 표시한다. 예를들면 이미지에서 얼굴이 인식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100은 "Face is not detected" 또는 "Anyone in here"등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상기 제어부100 733단계로 진행하여 풍경 사진 촬영모드를 서비스할 수 있으며, 이때 이미지 내에 인물이 포함되는 것으로 검색되면, 인물 사진 촬영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이미지에 인물이 포함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어부100은 733단계로 진행하여 일반 사진 촬영모드를 수행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그러나 카메라120에서 출력되는 이미지에서 얼굴이 인식되면, 상기 제어부100은 71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713단계에서 인식된 인물 수를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인식된 인물의 수를 음성으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들면 얼굴 인식시, 상기 제어부100은 "N person detected" 또는 "N persion are in here" 등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미지에 인물이 포함된 것으로 인식되면, 상기 제어부100은 715단계에서 이미지 내의 인물을 분석하여 에러 발생 여부를 분석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00은 센서160을 출력을 분석하여 카메라장치의 기울기가 과도하게 기울어진 경우(즉, 수평 위치가 맞지 않는 경우)에도 에러가 발생된 것으로 처리할 수 있다. 이때 에러가 발생되었으면, 상기 제어부100은 717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719단계에서 발생된 에러 타입에 따른 에러 경보를 표시하다. 이때 에러 타입은 피사체인 인물이 이동되어야 하는 경우 및 촬영자가 카메라 장치를 움직여야 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으며, 에러 상태를 정정하기 위해 출력되는 에러경보는 음성이 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에러가 발생되지 않는 상태까지 반복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에러가 발생된 상태이면 상기 제어부100은 721단계에서 사용자의 촬영요구가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715단계로 되돌아가 위와 같은 동작을 반복 수행한다. 즉, 사용자가 입력부140을 통해 촬영요구(manually capture request, 예를들면 tap the shutter button or tap the screen anywhere)를 하지 않는한 상기 제어부100은 이미지에 포함된 인물의 에러가 감지되면 위와 같이 음성으로 에러 경보를 표시한다.
그리고 상기 719단계를 수행한 후 에러 상태가 해소된 경우이거나 또는 상기 717단계에서 에러가 발생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어부100은 72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723단계에서 이미지 내에 인물들이 설정된 촬영 구도에 위치되었음을 표시(예를들면 N faces(or person) are perfact. It will be record N sec later)하고, 이후 대응되는 이미지를 처리하여 저장부110에 저장한다. 이때 상기 723단계에서 표시되는 정보는 음성이 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721단계의 촬영은 촬영자에 의한 수동 요구로도 가능하다.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인물 촬영시 에러 타입 및 감지되는 에러 타입에 따른 에러 경보를 출력하는 절차를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상기 도 8은 도 7에서 715단계 - 719 단계의 동작에 구체적인 예들이 될 수 있다. 먼저 상기 제어부100은 촬영된 이미지의 피사체 인식 영역 내에 있는 인물을 분석(즉, 얼굴 영역 추출)한다. 여기서 상기 인물 촬영시 에러는 인물이 피사체 인식영역을 벗어난 경우, 인물의 얼굴영역을 검출할 수 없는 경우, 인물에 초점이 맞지 않는 경우, 인물이 눈을 감은 경우 등이 될 수 있다.
먼저 인물(또는 얼굴 영역)이 피사체 인식영역을 벗어난 경우, 상기 제어부100은 81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815단계에서 카메라의 위치를 이동시키거나 또는 인물이 움직이도록 에러경보를 발생한다. 예를들면 인물들의 간격이 -은 경우, 제어부100은 81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815단계에서 인물간의 간격을 좁히도록 에러 경보를 발생한다. 이때 에러 경보를 발생하는 방법은 전체적으로 인물들이 움직이도록 하는 음성 경보(예를들면 more closer)를 발생할 수 있다. 또한 특정 인물들 간의 간격이 벌어진 경우, 특정 인물의 이동을 유도하는 음성 경보를 발생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어부100은 얼굴 인식 엔진을 탑재할 수 있으며, 이런 경우 인식된 얼굴 정보와 미리 저장하고 있는 인물의 정보를 비교하여 현재 촬영하고 있는 인물의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센서160으로부터 출력되는 장치의 기울기 정보를 분석한 후, 장치가 설정된 크기 이상으로 기울어진 경우(즉, 수평 위치가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제어부100은 장치의 기울어진 위치(왼쪽 또는 오른쪽)를 들어올리도록(tilt left or right)하기 위한 에러 경보를 발생할 수 있다. 이런 경우 간격이 벌어진 인물 및 이동 방향(name + direction)을 유도하는 음성 경보(예를들면 Jane move to James)를 발생할 수도 있다. 또한 피사체 인식 영역 내의 인물이 짤린 경우(즉, 얼굴의 위가 짤린 경우, 얼굴의 아래가 짤린 경우, 얼굴의 왼쪽이 짤린 경우, 얼굴의 오른쪽이 짤린 경우, 장치가 왼쪽 또는 오른쪽으로 기울어진 경우 등), 상기 제어부100은 813단계에서 에러 타입을 감지하고 815단계에서 대응되는 에러 타입을 정하기 위한 에러 경보(예를들면 tilt up, tilt down, move left, move right, tilt left, tilt right 등)를 출력한다.
또한 피사체 인식영역 내의 인물의 얼굴 영역이 정확하게 인식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100은 817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819단계에서 얼굴을 움직이도록 유도하는 에러 경보를 출력한다. 이때 상기 얼굴 영역 검출 에러는 고개를 숙이고 있는 경우와 같이 인물의 얼굴 영역에서 눈, 코 및 입 등을 인식하지 못한 경우가 될 수 있다. 이때 의도적으로 인물(얼굴)의 측면을 촬영할 수 있다. 따라서 입, 코 및 한쪽 눈을 인식하는 경우에는 정상적인 촬영 구도로 처리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얼굴 영역이 정확하게 인식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어부100은 인물의 이동을 에러 경보로 가이드(예를들면 Face is not detected)하여 얼굴 영역을 촬영할 수도 있도록 한다.
또한 인물 사진을 촬영하는 상태에서 인물에 포커싱이 이루어지 않은 경우(예를들면 인물이 아닌 다른 곳에 포커싱이 이루어진 경우), 상기 제어부100은 82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823단계에서 카메라장치를 인물 포커싱 위치로 이동시키는 에러경보를 출력하여 인물에 포커싱되도록 유도한다. 또한 피사체 인식영역 내의 인물이 눈을 감은 경우, 상기 제어부100은 825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827단계에서 눈을 뜨도록 안내하는 에러 경보(예를들면 eye closed)를 출력한다. 이때 피사체 인식영역 내의 인물들이 복수이고 특정 인물이 눈을 감은 경우, 상기 제어부100은 얼굴을 인식하여 해당 인물이 눈을 감지 않도록 하는 에러경보(Jane close eyes or Jane open eyes)를 출력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에러 타입 이외의 에러가 발생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100은 825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831단계에서 발생된 에러 타입에 따른 에러 경보를 발생한다. 도 9a 및 도 9b는 상기 831단계에서 처리하는 에러 타입 및 경보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즉, 상기와 같은 에러 타입 이외에 단말기의 위치를 변경하거나 또는 인물을 움직이더라도 에러 상태를 정정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예를들어 가로표시모드로 인물을 촬영하며, 인물을 근접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표시모드를 변경하지 않는 한 도 9a의 910과 같이 인물의 일부분이 짤린 이미지를 획득하게 된다. 이런 경우 카메라장치의 표시모드(즉, 카메라120의 이미지센서가 가로 방향으로 위치된 경우)를 도 9a의 920과 같이 세로 표시모드(즉, 카메라110의 이미지 센서를 세로 방향으로 세워서)로 변경하여 촬영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세로표시모드로 인물을 촬영하여 복수의 인물들을 촬영하는 경우, 표시모드를 변경하지 않는 도 9b의 930과 같이 한 좌측 및/또는 우측 인물의 일부분이 짤릴 수 있다. 이런 경우 카메라장치의 표시모드(즉, 카메라120의 이미지센서가 세로 방향으로 위치된 경우)를 도 9b의 940과 같이 가로 표시모드(즉, 카메라110의 이미지 센서를 가로 방향으로 눕혀서)로 변경하여 촬영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장치의 인물 촬영방법은 피사체 인식 영역 내의 인물들의 얼굴영역을 추출(및 얼굴을 인식)한 후, 추출(및 인식)된 인물들의 에러 여부를 분석한다. 이때 에러가 발생된 상태이면, 상기 제어부는 오류가 발생된 상태를, 오디오(음성, 사운드 등) 및/또는 비디오(색, 그림, 글자 등) 정보로 표시(indicating)한다. 이때 상기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 에러 경보는 오류가 난 상황을 촬영자에게 피드백하여 설명하는 정보(현재의 에러 상황에서 오류 없는 상황으로 만들기 위한 direction 정보를 포함)가 될 수 있다. 여기서 에러 상황은 상기한 바와 같이 카메라장치를 기준으로 촬영자와 피사체가 같은 경우 및 피사체를 기준으로 촬영자와 피사체가 같은 경우가 될 수 있다. 예를들어, 카메라장치를 기준으로 에러경보를 생성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00은 카메라장치가 오른쪽으로 기울어진 경우에는"단말을 왼쪽으로 기울이세요"라고 에러경보를 발생할 수 있으며, 피사체인식영역의 얼굴크기 너무 큰 경우에는 "단말을 뒤로 멀리 하세요"라고 에러 경보를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예를들어 피사체를 기준으로 에러 경보를 발생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00은 피사체 인식영역의 얼굴크기가 작은 경우에는 "단말에 가까이 다가 오세요"라고 에러경보를 발생할 수 있으며, 피사체 인물의 얼굴이 오른쪽으로 기울어져 있으면"얼굴을 왼쪽으로 기울이세요"라고 에러경보를 발생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에러경보는 카메라장치를 움직이는 경보 및 피사체를 이동시키는 경보등으로 생성할 수 있으며, 제어부100은 감지되는 단말장치의 상태(센서 정보 이용) 및 피사체 인식영역 내에서 감지되는 인물들의 얼굴영역 및 얼굴 인식 결과에 따라 에러 타입을 결정하고, 결정된 에러 타입에 따라 피사체 또는 카메라 장치를 제어하는 에러경보를 발생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에러경보의 피드백은 상기한 바와 같이 카메라장치 및/또는 피사체의 이동 방향 안내 및 오류 유무 등을 vibrator를 이용해 제공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장치는 Auto-portrait mode를 설정한 후 카메라120을 구동하면, 또는 카메라120을 구동한 후 Auto-portrait mode를 설정하면, 프리뷰 상태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와 같은 오류 알고리즘을 수행하며, 오류가 없는 preview 이미지가 인식되면 자동으로 촬영 진입을 하거나 사용자의 입력으로 촬영하여 이미지 저장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오류 알고리즘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의 오류가 인식되면, 상기 제어부100은 오류 타입에 따른 에러 경보를 촬영자에게 피드백하며, 이와 동시에 이미지 재 촬영 모드를 수행한다. 따라서 Auto-portrait mode가 설정되년 카메라장치는 카메라 구동시 화면으로 display되는 이미지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류 알고리즘으로 판단하고, 오류 발생 시 인식된 에러 타입에 따른 에러경보를 생성하여 촬영자에게 피드백 전달하며, 재촬영 절차를 수행한다. 그러나 오류가 없거나 또는 에러 경보에 의해 오류를 제거한 경우에는 자동으로 오류가 없는 이미지를 저장하거나 기존의 촬영 절차에 따라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장치에서 인물 촬영을 위한 촬영모드를 설정 및 인물을 촬영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설정모드의 메뉴를 표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도 10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Auto-portrait mode를 카메라 구동전에 설정할 수 있으며, 또는 카메라를 구동한 후에 설정할 수도 있다. 도 11는 카메라를 구동한 상태에서 설정모드를 수행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사용자가 도 11의 1110과 같이 카메라를 구동한 상태에서 설정모드(settings)를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011단계에서 도 11의 1123과 같이 설정모드의 메뉴(settings menu)를 표시한다. 이때 상기 1123과 같은 설정 메뉴(settings menu)는 촬영모드(shooting mode)의 메뉴를 구비하며, 1123과 같은 메뉴(settings menu)에서 1125와 같은 촬영모드(shooting mode menu)를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상ㄴ기 표시부130에 1131과 같은 Auto-portrait mode 포함하는 촬영모드 메뉴1125를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Auto-portrait mode 1131을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1013단계에서 Auto-portrait mode의 설정임을 감지하고, 1015단계에서 Auto-portrait mode의 설정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Auto-portrait mode는 토글(toggle) 방식으로 설정 또는 해제될 수 있으며, Auto-portrait mode에서 에러경보의 온/오프(guide on/off)를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에러경보의 온 기능을 선택하면, 음성으로만 에러 경보를 출력하는 모드 또는 음성과 함께 비디오 정보도 출력하는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Auto-portrait mode 설정시 인물을 인식하는 영역 및 피사체 인식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피사체 인식영역은 설정된 영역들 중에서 선택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사용자가 입력부140을 통해 설정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디폴트로 설정된 피사체 인식영역을 사용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상기 Auto-portrait mode의 설정은 하기 <표 1>와 같은 방법으로 설정할 수 있다.
설정 toggle settings의 shooting mode에서 선택(toggle on/off)
guide off 에러 경보를 제공하지 않음
guide on only guide sound(voice) guide 제공
guide on with video sound(voice) guide +visual guide 제공
상기와 같이 Auto-portrait mode를 설정한 상태에서 카메라가 구동되면, 상기 제어부100은 1031단계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Auto-portrait mode임을 감지한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100은 1033단계 - 1037단계를 수행하면서 피사체 인식영역 내의 인물을 검출하며, 검출되는 인물의 수를 표시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100은 1039단계 - 1041단계를 수행하면서 피사체 인식영역 내의 인물들의 에러 여부를 검사 및 에러 타입에 따른 에러 경보를 표시한다. 이때 상기 에러 상황이 해소되거나 또는 프리뷰 이미지에서 에러 상황이 검출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어부100은 1039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1043단계에서 피사체 인식영역에서 인물들이 정상적으로 감지되었음을 표시하고, 1045단계 및 1047단계를 수행하면서 카메라120으로부터 촬영되는 이미지를 저장부110에 저장한다. 이때 상기 이미지 저장은 설정된 시간동안 에러가 검출되지 않은 경우에 자동으로 저장할 수 있으며, 또한 사용자의 촬영요구에 의해 수동으로 저장할 수도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촬영 동작을 수행하는 휴대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여기서 상기 휴대단말기는 스마트 폰을 포함하는 휴대전화기, MP3단말기, 타블렛, 컴퓨터, 카메라 장치 등의 다양한 디지털 기기들이 될 수 있다.
상기 도 12를을 참조하면, 통신부170은 기지국 또는 다른 장치와 무선 통신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통신부170은 송신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frequency up converter) 및 전력 증폭하는 송신부와, 수신신호를 저잡음 증폭 및 주파수를 하강변환(frequency down converter)하는 수신부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170은 변조부 및 복조부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변조부는 송신신호를 변조하여 송신부에 전달하며, 복조부는 수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한다. 이런 경우, 상기 변복조부는 LTE, WCDMA, GSM 등이 될 수 있으며, 또한 WIFI, WIBRO 등이 될 수 있고, NFC, Bluetooth 등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통신부170이 LTE, WIFI, bluetooh 통신부들을 구비한다고 가정한다.
제1카메라120은 단말기 장치의 후면에 장착되는 후면 카메라로써 고 해상도의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제2카메라125는 단말기 장치의 전면에 장착되는 전면 카메라로써, 상기 제1카메라120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저해상도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Auto-portrait mode는 상기 제1카메라120을 이용하여 셀프tit(self-portrait)을 촬영하거나 또는 표시부130을 보지 않고 피사체를 보면서 촬영하는 경우에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100은 휴대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카메라 촬영시 상기 제1카메라120 및/또는 제2카메라125를 Auto-portrait mode로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00은 Auto-portrait mode 설정시 제1카메라120 또는 제2카메라125로부터 촬영되는 이미지에서 피사체 인식영역 내의 인물들을 검출하고, 검출된 인물들의 에러 발생 여부를 분석하며, 에러 발생시 에러 타입에 따른 에러경보를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00은 에러상황이 제거되어 정상적으로 인물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는 조건이면 자동 또는 수동으로 해당 이미지를 저장하도록 제어한다.
저장부110은 단말기의 동작 프로그램 및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프로그램 메모리와, 단말기의 동작을 위한 테이블들 및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메모리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한 바와 같이 에러 타입 및 에러 타입에 대응되는 에러경보들을 저장하며, 상기 에러경보는 상기한 바와 같이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 데이터들로 저장할 수 있다.
표시부130은 상기 제어부100의 제어하에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표시한다. 상기 표시부130은 LCD 또는 OLED가 될 수 있다. 입력부140은 정정용량 방식 또는 저항막 방식으로 구현할 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터치(이하 손가락 터치라고 가정한다)의 위치정보를 상기 제어부100에 출력한다. 또한 상기 입력부140은 EMR센서 패드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펜 터치입력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100에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표시부130 및 입력부140은 일체형으로 구성할 수 있다.
오디오처리부150은 상기 제어부100의 제어하에 촬영모드에서 감지된 에러 타입에 따른 에러경보를 보이스 및/또는 사운드의 오디오로 출력한다. 센서160은 휴대단말기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들을 구비한다. 상기 센서160은 휴대단말기의 움직임을 감지하며,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 센서160의 출력을 분석하여 단말기와 사용자 간의 거리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센서들은 가속도센서, 지자기센서 및/또는 위치감지 센서들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센서160은 Auto-portrait mode시 휴대단말기의 기울기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100에 출력하며,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 감지된 기울기를 분석하여 촬영되는 이미지의 수평 위치가 설정된 크기 이상 벗어나면 이에 따른 에러경보를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도 1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는 이미지를 촬영하는 후면 카메라120과 전면 카메라125를 구비한다. 이때 사용자는 상기 전면 카메라125 또는 후면 카메라120을 이용하여 셀프샷을 촬영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상기 전면카메라125로 촬영하는 경우에는 표시부130을 통해 촬영되는 이미지를 확인할 수 있지만 후면카메라120을 이용하여 촬영하는 경우에는 촬영되는 이미지를 확인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상기 후면카메라120을 이용하여 셀프샷을 촬영하는 경우, 사용자는 상기 도 11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설정모드에서 Auto-portrait mode를 설정하고, 후면 카메라120을 구동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 도 2, 도 5, 도 8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촬영되는 이미지 내에 인물들을 검사하여 에러 발생 여부를 검사하고, 에러 발생시 에러 타입에 따른 에러 경보(에러 상황을 해소하기 위한 정보)를 출력하여 단말기의 이동 및/또는 피사체 인물의 움직임을 유도한다. 그리고 에러 상황이 제거되면, 상기 제어부100은 이를 감지하고 카메라120으로부터 촬영되는 이미지를 저장부110에 저장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카메라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에서 고해상도 이미지 확보를 위해 후면 카메라120으로 셀프샷(self-portrait) 촬영을 하는 경우, 촬영자는 카메라120으로부터 촬영되는 이미지를 보지 않고도 오디오 에러 경보에 의해 원하는 촬영 구도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원하는 촬영구도에서 인물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촬영자가 표시부130을 보지 않고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도 Accessibility 측면으로 사진 촬영을 도와줄 수 있는 Accessibility 전용 CAMERA application으로 활용 가능하다. 특히 self-portrait 촬영 시 사용자가 촬영 할 수 있는 guide가 주어지고 해당 guide에 맞춰 사진 촬영할 수 있으며, 이로인해 guide와 어긋나게 피사체가 positioning 된 경우에도 이를 정정하여 촬영할 수 있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 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Claims (15)

  1. 카메라를 구비하는 장치의 인물촬영 방법에 있어서,
    촬영모드시 카메라로부터 획득되는 이미지에서 인물을 검출하는 과정과,
    검출된 인물이 피사체 인식영역 내에 위치하는가 검사하는 에러 검사과정과,
    상기 에러검사과정에서 인물의 일부 또는 전부가 피사체 인식영역에서 벗어나 있으면 인물을 피사체 인식영역 내로 이동하도록 하는 방향 정보를 포함하는 에러 경보를 발생하는 과정과,
    상기 에러검사과정에서 인물이 피사체 인식영역 내에 위치하면 상기 카메라에서 출력되는 이미지를 저장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모드는 설정모드에서 에러 타입에 따른 에러경보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인물 촬영모드이며,
    상기 인물 촬영모드는 카메라의 구동 전 또는 카메라 구동 후에 설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에러 경보를 발생하는 과정은
    상기 피사체 인식영역에서 인물의 에러 타입을 분석하는 과정과,
    상기 에러 타입에 대응되는 에러경보를 음성으로 가이드하는 에러경보를 발생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에러타입은 피사체 인식영역에서 인물이 상측, 하측, 좌측 또는 우측으로 벗어나는 에러타입들이 될 수 있으며,
    상기 에러경보를 발생하는 과정은 에러 타입에 대응되어 인물이 피사체 인식영역 내에 위치될 수 있도록 카메라장치를 이동하는 방향 정보를 포함하는 음성 에러 경보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에러타입은 피사체 인식영역에서 인물들이 떨어져 있는 에러타입이며,
    상기 에러경보를 발생하는 과정은 떨어져 있는 인물들의 간격을 좁히는 방향정보를 포함하는 음성 에러경보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에러검사과정은 센서를 통해 단말기의 수평 기울기를 검사하는 과정을 더 구비하며,
    상기 에러 경보를 발생하는 과정은 상기 수평기울기가 기울어져 있으면 카메라장치가 수평을 이루도록 하는 방향정보를 포함하는 음성 에러경보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에러타입은 상기 피사체 영역에서 인물의 얼굴영역을 검출할 수 없는 에러타입이며,
    상기 에러 경보를 발생하는 과정은 상기 에러 타입에 따라 얼굴이 검출되지 않음을 표시하는 음성 에러경보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에러타입은 상기 피사체 인식영역에서 인물이 눈을 감은 에러타입이며,
    상기 에러경보를 발생하는 과정은 상기 에러타입에 따라 눈을 감았음을 표시하는 음성 에러경보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에서 인물을 검출하는 과정은 검출되는 인물의 수를 음성으로 표시하는 과정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카메라를 구비하는 장치에서 있어서,
    상기 카메라와 대향되는 반대편에 위치되며,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되는 이미지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에러 타입에 대응되는 에러경보들을 저장하며, 촬영되는 이미지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촬영모드시 상기 카메라로부터 출력되는 이미지에서 인물이 설정된피사체 인식영역 내에 위치하는가 검사하며, 상기 인물이 피사체 인식영역 내에서 위치하지 않으면 인물이 피사체 인식영역 내로 이동하기 위한 방향을 포함하는 에러 경보를 발생하며, 인물이 피사체 인식영역 내에 위치하면 상기 카메라에서 출력되는 이미지를 저장하는 제어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음성 에러경보들을 저장하며,
    상기 제어부는 설정모드에서 상기 에러경보를 음성 에러경보로 발생하는 인물 촬영모드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에서 출력되는 이미지의 피사체 인식영역에서 인물의 에러 타입을 분석하며, 상기 에러 타입에 대응되는 음성 에러경보를 상기 저장부에서 음성으로 출력하는 것을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피사체 인식영역에서 인물이 상측, 하측, 좌측 또는 우측으로 벗어나는 에러타입을 검사하며, 상기 검출된 에러 타입에 대응되어 인물이 피사체 인식영역 내에 위치될 수 있도록 장치를 이동하는 방향 정보를 포함하는 음성 에러 경보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의 수평 기울기를 감지하는 센서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의 출력을 분석하여 수평기울기가 기울어져 있으면 상기 장치가 수평을 이루도록 하는 방향정보를 포함하는 음성 에러경보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휴대단말기이며,
    상기 인물촬영모드는 Auto-rait mode에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130000988A 2013-01-04 2013-01-04 카메라를 구비하는 장치의 인물 촬영장치 및 방법 KR1020925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0988A KR102092571B1 (ko) 2013-01-04 2013-01-04 카메라를 구비하는 장치의 인물 촬영장치 및 방법
US14/142,290 US9282239B2 (en) 2013-01-04 2013-12-27 Apparatus and method for photographing portrait in portable terminal having camera
EP13199752.0A EP2753064A1 (en) 2013-01-04 2013-12-30 Apparatus and method for photographing portrait in portable terminal having camera
CN201410003529.9A CN103916592B (zh) 2013-01-04 2014-01-03 用于在具有照相机的便携式终端中拍摄肖像的设备和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0988A KR102092571B1 (ko) 2013-01-04 2013-01-04 카메라를 구비하는 장치의 인물 촬영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9132A true KR20140089132A (ko) 2014-07-14
KR102092571B1 KR102092571B1 (ko) 2020-04-14

Family

ID=500287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0988A KR102092571B1 (ko) 2013-01-04 2013-01-04 카메라를 구비하는 장치의 인물 촬영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282239B2 (ko)
EP (1) EP2753064A1 (ko)
KR (1) KR102092571B1 (ko)
CN (1) CN103916592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63719B2 (en) 2021-06-30 2023-05-30 Thyroscope Inc. Method for hospital visit guidance for medical treatment for active thyroid eye disease, and system for performing same
US11717160B2 (en) 2021-06-30 2023-08-08 Thyroscope Inc. Method and photographing device for acquiring side image for ocular proptosis degree analysis, and recording medium therefor
US11741610B2 (en) 2021-06-30 2023-08-29 Thyroscope Inc. Method for hospital visit guidance for medical treatment for active thyroid eye disease, and system for performing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39065B2 (ja) * 2014-03-19 2016-01-06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撮像装置、撮像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495520B2 (en) * 2014-04-04 2016-11-15 2236008 Ontario Inc.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observation of password entry using face detection
JP6436430B2 (ja) 2014-05-16 2018-12-1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画像撮影表示装置および画像撮影表示装置の動作方法
US9369625B2 (en) * 2014-08-12 2016-06-14 Kodak Alaris Inc. System for producing compliant facial images for selected identification documents
US9412169B2 (en) * 2014-11-21 2016-08-09 iProov Real-time visual feedback for user positioning with respect to a camera and a display
CN105704360A (zh) * 2014-11-25 2016-06-22 索尼公司 辅助自动对焦方法、装置以及电子设备
US10255481B2 (en) 2015-01-07 2019-04-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with adjustments display
US9941918B2 (en) 2015-01-07 2018-04-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Bendable user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contents based on bending status thereof
JP6700661B2 (ja) * 2015-01-30 2020-05-2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画像処理システム
WO2017017898A1 (ja) * 2015-07-28 2017-02-0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移動方向決定方法および移動方向決定装置
CN105635562B (zh) * 2015-07-31 2018-12-25 南京酷派软件技术有限公司 一种拍照方法及系统
KR102469694B1 (ko) * 2015-08-24 2022-11-23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를 구비하는 장치에서 사진 촬영 지원 기법
US10015400B2 (en) * 2015-12-17 2018-07-03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for capturing an image and associated image capturing method
CN105704389A (zh) * 2016-04-12 2016-06-22 上海斐讯数据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智能拍照方法及装置
US10475221B2 (en) * 2016-05-19 2019-11-12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processing device, image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for detected objects
CN106131393A (zh) * 2016-06-15 2016-11-16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拍照提示方法及装置
US10303333B2 (en) * 2016-09-21 2019-05-28 Htc Corporation Mobile device, method for camera user interface,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US11403589B2 (en) * 2017-07-07 2022-08-02 United Parcel Service Of America, Inc. Establishing a location for unmanned delivery/pickup of a parcel
CN108134903B (zh) * 2017-12-25 2020-01-14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拍摄方法及相关产品
JP6898872B2 (ja) * 2018-01-18 2021-07-07 株式会社インテック 撮像支援システムと撮像支援方法及び撮像支援プログラム
US20200053278A1 (en) * 2018-08-08 2020-02-13 Sony Corporation Techniques for improving photograph quality for common problem situations
US10686991B2 (en) 2018-09-11 2020-06-16 Sony Corporation Techniques for improving photograph quality for fouled lens or sensor situations
EP3700189B1 (en) * 2019-02-21 2023-02-01 Vestel Elektronik Sanayi ve Ticaret A.S. Mobile phone vertical capture mode
JP6529062B1 (ja) * 2019-02-27 2019-06-12 株式会社 テクノミライ デジタルアキュレート・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2714258A (zh) * 2020-12-30 2021-04-27 广州极飞科技有限公司 待拍摄对象的状态调整方法、装置及拍摄设备
JP2023034920A (ja) 2021-08-31 2023-03-13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フリッカー検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14035683B (zh) * 2021-11-08 2024-03-29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用户捕捉方法、装置、设备、存储介质及计算机程序产品
WO2024076631A1 (en) * 2022-10-06 2024-04-11 Google Llc Real-time feedback to improve image capture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07743A1 (en) * 2003-04-15 2004-10-21 Nikon Corporation Digital camera system
JP2005003852A (ja) * 2003-06-11 2005-01-06 Nikon Corp 自動撮影装置
US7317485B1 (en) * 1999-03-15 2008-01-08 Fujifilm Corporation Digital still camera with composition advising function, and method of controlling operation of same
JP2008134452A (ja) * 2006-11-28 2008-06-12 Sky Kk 撮像装置及び撮像装置のための撮影制御プログラム
US20080239104A1 (en) * 2007-04-02 2008-10-02 Samsung Techwin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omposition information in digital image processing device
JP2009100284A (ja) * 2007-10-17 2009-05-07 Fujifilm Corp 撮像装置及び撮像制御方法
JP2009177451A (ja) * 2008-01-24 2009-08-06 Nikon Corp カメラ、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10161547A (ja) * 2009-01-07 2010-07-22 Casio Computer Co Ltd 構図選択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11146864A (ja) * 2010-01-13 2011-07-28 Nikon Corp カメラ
JP2012095019A (ja) * 2010-10-26 2012-05-17 Canon Inc 撮像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946140A (zh) * 2006-11-10 2007-04-11 北京中星微电子有限公司 数字图像处理方法和拍照装置
KR20080089839A (ko) * 2007-04-02 2008-10-08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영상 촬영 장치 및 방법
JP2009065577A (ja) 2007-09-10 2009-03-26 Ricoh Co Ltd 撮像装置および撮像方法
KR100840023B1 (ko) 2007-11-13 2008-06-20 (주)올라웍스 셀프 촬영 시 얼굴의 구도를 잡도록 도와주는 방법 및시스템
KR101444103B1 (ko) 2008-03-14 2014-09-26 삼성전자주식회사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미디어 신호를 생성하는 방법 및장치
KR101615290B1 (ko) 2009-08-26 2016-04-26 삼성전자주식회사 촬영 방법 및 시스템
JP2012010162A (ja) * 2010-06-25 2012-01-12 Kyocera Corp カメラ装置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17485B1 (en) * 1999-03-15 2008-01-08 Fujifilm Corporation Digital still camera with composition advising function, and method of controlling operation of same
US20040207743A1 (en) * 2003-04-15 2004-10-21 Nikon Corporation Digital camera system
JP2005003852A (ja) * 2003-06-11 2005-01-06 Nikon Corp 自動撮影装置
JP2008134452A (ja) * 2006-11-28 2008-06-12 Sky Kk 撮像装置及び撮像装置のための撮影制御プログラム
US20080239104A1 (en) * 2007-04-02 2008-10-02 Samsung Techwin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omposition information in digital image processing device
JP2009100284A (ja) * 2007-10-17 2009-05-07 Fujifilm Corp 撮像装置及び撮像制御方法
JP2009177451A (ja) * 2008-01-24 2009-08-06 Nikon Corp カメラ、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10161547A (ja) * 2009-01-07 2010-07-22 Casio Computer Co Ltd 構図選択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11146864A (ja) * 2010-01-13 2011-07-28 Nikon Corp カメラ
JP2012095019A (ja) * 2010-10-26 2012-05-17 Canon Inc 撮像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63719B2 (en) 2021-06-30 2023-05-30 Thyroscope Inc. Method for hospital visit guidance for medical treatment for active thyroid eye disease, and system for performing same
US11717160B2 (en) 2021-06-30 2023-08-08 Thyroscope Inc. Method and photographing device for acquiring side image for ocular proptosis degree analysis, and recording medium therefor
US11741610B2 (en) 2021-06-30 2023-08-29 Thyroscope Inc. Method for hospital visit guidance for medical treatment for active thyroid eye disease, and system for performing same
US11748884B2 (en) 2021-06-30 2023-09-05 Thyroscope Inc. Method for hospital visit guidance for medical treatment for active thyroid eye disease, and system for perform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916592B (zh) 2018-12-21
US9282239B2 (en) 2016-03-08
US20140192217A1 (en) 2014-07-10
CN103916592A (zh) 2014-07-09
KR102092571B1 (ko) 2020-04-14
EP2753064A1 (en) 2014-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2571B1 (ko) 카메라를 구비하는 장치의 인물 촬영장치 및 방법
KR101983288B1 (ko) 카메라 촬영 제어장치 및 방법
US9332208B2 (en) Imaging apparatus having a projector with automatic photography activation based on superimposition
US8730335B2 (en) Imaging apparatus and imaging system
KR101237673B1 (ko) 디지털 이미지들 획득 관련 방법
US9094597B2 (en) Imaging apparatus and imaging system
KR101946437B1 (ko) 파노라마 이미지 획득을 위한 방법 및 단말기
KR102093647B1 (ko) 카메라를 구비하는 장치의 이미지 촬영장치 및 방법
KR101762769B1 (ko) 촬영 장치에서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11210796B2 (en) Imaging method and imaging control apparatus
KR101322465B1 (ko) 셀프 카메라 촬영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40088671A (ko) 카메라를 구비하는 장치의 이미지 촬영장치 및 방법
EP3544286A1 (en) Focusing method, device and storage medium
US8947552B2 (en) Method and device with camera for capturing an image based on detection of the image
US20120307080A1 (en) Imaging apparatus and imaging system
EP3761627B1 (en) Image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KR101949218B1 (ko) 휴대 단말기의 이미지 촬영 방법 및 장치
JP2015019376A (ja) 撮影制御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KR101832372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JP2009205203A (ja) 虹彩認証装置
KR101247780B1 (ko) 안구 감지 기능이 구비된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화면처리 방법
KR101587145B1 (ko) 영상 촬영 장치 및 그 방법
KR102039025B1 (ko) 단말의 카메라 제어 방법 및 그 단말
KR101336233B1 (ko) 특정 부분 검출 및 알람 기능 화상 장치 및 그 방법
JP2012120003A (ja) 撮影装置、撮影装置における制御方法及びその制御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