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8458A - 금융거래 내역 조회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금융거래 내역 조회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8458A
KR20140088458A KR1020130000356A KR20130000356A KR20140088458A KR 20140088458 A KR20140088458 A KR 20140088458A KR 1020130000356 A KR1020130000356 A KR 1020130000356A KR 20130000356 A KR20130000356 A KR 20130000356A KR 20140088458 A KR20140088458 A KR 201400884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ancial transaction
user terminal
management server
user
transa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03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95701B1 (ko
Inventor
정윤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나은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나은행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나은행
Priority to KR201300003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5701B1/ko
Publication of KR201400884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84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57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57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14Railings
    • E04G5/141Railings with an access door or the like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02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with separate coupling elements
    • E04G7/06Stiff scaffolding clamps for connecting scaffold members of common shape
    • E04G7/12Clamps or clips for crossing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금융거래 내역 조회 시스템 및 그 방법이 개시된다. 여기서, 금융거래 내역 조회 시스템은 금융거래 채널로부터 상기 금융거래 채널 상에서 발생한 사용자의 금융거래 내역을 수신하여 저장하는 계정계 호스트, 그리고 상기 계정계 호스트로부터 상기 금융거래 내역을 수신하고,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과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조회 요청에 따라 상기 금융거래 내역을 상기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출력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금융거래 내역 조회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AND METHOD FOR SEARCHING FINANCIAL TRANSACTION RECEIPT}
본 발명은 금융거래 내역 조회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은행 창구 또는 자동화기기에서 고객용으로 교부하는 각종 계산서와 영수증 등은 업무처리 결과를 즉시 확인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그리고 확인 과정이 종료되면 대부분 즉시 폐기된다.
이러한 각종 계산서와 영수증은 발급받은 후 내용을 확인하는 것은 요긴하나 고객 입장에서 영수증을 함부로 버리기에는 개인정보가 노출되고 모으기에도 불편하다.
또한, 계산서와 영수증은 양식의 크기가 일률적이지 않아 보관하기가 어렵고, 보관을 하더라도 나중에 다시 확인하기는 어렵다.
또한, 종이 계산서 및 영수증을 발급하는 금융기관의 입장에서도 바로 폐기되버리는데도 불구하고 발급을 위해 주기적으로 용지를 구매해야 하므로 지속적인 비용이 들며, 자원이 소모되는 단점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다양한 금융채널을 통해 발생하는 금융거래와 관련하여 발생되는 영수증과 계산서를 서버에서 관리하고 고객은 스마트폰을 통해 관리 서버에 접속하여 확인할 수 있는 금융거래 내역 조회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특징에 따르면, 금융거래 내역 조회 시스템은 금융거래 채널로부터 상기 금융거래 채널 상에서 발생한 사용자의 금융거래 내역을 수신하여 저장하는 계정계 호스트, 그리고 상기 계정계 호스트로부터 상기 금융거래 내역을 수신하고,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과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조회 요청에 따라 상기 금융거래 내역을 상기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출력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한다.
상기 계정계 호스트는,
사용자의 금융거래 내역 수신 방식이 지정된 고객 정보를 저장하고, 금융거래가 완료되면, 상기 계정계 호스트로부터 상기 고객 정보를 확인하여 수신 방식이 단말 전송으로 설정되어 있다면, 상기 금융거래 내역을 외부로 출력하지 않고 상기 계정계 호스트에게만 전송하는 하나 이상의 금융거래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계정계 호스트는,
서로 다른 복수의 금융거래 채널로부터 각각의 금융거래 채널 상에서 이루어진 각각의 금융거래 내역을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각각의 금융거래 내역을 거래 유형 및 거래 채널로 각각 매칭한 후, 기 정의된 항목 별로 나열된 거래내역 리스트를 생성하는 내역 관리부, 그리고 상기 사용자 단말과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조회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거래내역 리스트를 상기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출력하는 조회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역 관리부는,
상기 기 정의된 항목 중 하나의 항목을 키워드로 하는 조회 요청이 수신되면, 키워드 항목이 동일한 금융거래 내역들이 나열된 거래내역 리스트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상기 거래내역 리스트는,
상기 각각의 금융거래 내역이 거래일자, 거래시간, 거래유형, 거래금액, 거래채널, 원거래 금액, 거래유형을 포함하는 복수의 항목 별로 나열될 수 있다.
상기 관리 서버는,
계리코드 별로 금융업무가 매칭되어 저장된 금융업무 DB, 그리고 상기 금융업무 DB를 참조하여 상기 각각의 금융거래 내역에 포함된 계리코드에 매칭된 금융업무를 자동 태그로 설정하고, 상기 자동 태그를 해당하는 금융거래 내역에 매칭시키는 자동 태그 매칭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회부는,
상기 자동 태그가 키워드로 설정된 조회 요청이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되면, 요청된 자동 태그가 동일하게 매칭된 금융거래 내역들로 거래내역 리스트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거래내역 리스트에 포함된 금융거래 내역 중 하나가 선택되면, 사용자 태그를 선택 또는 입력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출력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선택 또는 입력된 사용자 태그를 해당되는 금융거래 내역에 매칭시켜 저장하는 사용자 태그 매칭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회부는,
상기 사용자 태그가 키워드로 설정된 조회 요청이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되면, 요청된 사용자 태그가 동일한 금융거래 내역들이 나열된 거래내역 리스트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거래내역 리스트에 포함된 금융거래 내역 중 하나가 선택되면, 메모를 입력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출력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입력된 메모를 해당하는 금융거래 내역에 설정하여 저장하는 메모 설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회부는,
상기 거래내역 리스트가 출력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기 정의된 사용자 입력 조작에 따른 메모 열람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메모 설정부로부터 상기 사용자 입력 조작이 발생한 금융거래 내역에 매칭된 메모를 획득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웹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어플리케이션 서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금융거래 내역 조회 방법은 사용자 단말이 금융기관의 관리 서버와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된 상기 금융기관에서 이루어진 금융거래 내역을 화면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입력 또는 선택한 조회 요청을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그리고 서로 다른 복수의 금융거래 채널 상에서 이루어진 각각의 금융거래 내역이 거래 유형 및 거래 채널을 포함한 기 정의된 항목 별로 나열된 거래내역 리스트를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력하는 단계 이후,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입력 또는 선택한 상기 기 정의된 항목 중 하나의 항목을 키워드로 하는 조회 요청을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하나의 항목이 동일한 금융거래 내역들이 나열된 거래내역 리스트를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력하는 단계 이후,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입력 또는 선택한 자동 태그를 키워드로 하는 조회 요청을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자동 태그가 동일한 금융거래 내역들이 나열된 거래내역 리스트를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력하는 단계 이후,
상기 거래내역 리스트 중 하나의 금융거래 내역에 대한 사용자가 지정한 사용자 태그를 입력 또는 선택받는 단계, 상기 입력 또는 선택받은 상기 사용자 태그와 해당되는 금융거래 내역을 포함하는 사용자 태그 설정 요청을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입력 또는 선택한 상기 사용자 태그를 키워드로 하는 조회 요청을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사용자 태그가 동일한 금융거래 내역들이 나열된 거래내역 리스트를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력하는 단계 이후,
상기 거래내역 리스트에 포함된 금융거래 내역 중 사용자가 선택한 하나의 금융거래 내역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입력받은 금융거래 내역을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금융거래 내역에 대한 사용자 메모를 입력할 수 있는 화면을 수신하여 출력하는 단계, 사용자가 입력한 사용자 메모를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거래내역 리스트가 출력된 상태에서 기 정의된 사용자 입력 조작이 발생하면, 메모 열람 요청을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 입력 조작이 발생한 금융거래 내역에 매칭된 메모를 수신하여 상기 거래내역 리스트의 상기 발생한 금융거래 내역 근처에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속하는 단계는,
상기 관리 서버와 연동하는 금융거래 내역 조회를 위한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 상기 관리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사용자 단말의 동작을 구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종이 영수증 사용을 최소화하고 고객의 영수증 보관 및 확인편의 개선하고, 종이 계산서 또는 영수증 보관불편 해소하며, 일정기간 경과 후에도 거래결과 확인 용이하다.
또한, 수 많은 거래를 일정한 시간이 경과한 후 내용을 파악하는 것이 간단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거래정보 자동매칭 기능을 이용하여 거래매체와 원거래의 업무영역 등을 자동으로 분류하여 태그를 부여해 줌으로써 관리상의 편의를 제공한다. 따라서, 거래내용을 신속 간편하게 파악할 수 있게 하고 자동태깅 기능을 이용하여 유형별 기간별로 등의 조건에 따라 쉽게 분류할 수 있다.
또한, 은행의 계산서 제작비용 절감하고, 종이 계산서 인쇄에 소요되는 시간 및 종이 계산서 인쇄비용 지출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금융거래 내역 조회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거래내역 리스트의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금융거래 내역 조회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조회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거래내역 리스트의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금융거래 내역 조회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태그 설정의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모 설정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메모 설정의 예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메모 출력의 예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금융거래 내역 조회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금융거래 내역 조회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금융거래 내역 조회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금융거래 장치(100), 계정계 호스트(200), 관리 서버(300), 네트워크(400) 및 사용자 단말(500)을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금융거래 장치(100)는 서로 다른 고유의 금융거래 채널을 제공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여기서, 금융거래는 금융기관에서 발급받은 계좌를 이용하여 금융거래 채널 상에서 이루어지는 거래를 의미한다. 예를들어 입금, 이체, 외환 송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금융거래 채널은 금융거래가 가능하도록 금융기관에서 제공하는 매체를 의미하며, 서로 다른 복수개가 존재할 수 있다. 예를들어, 창구 거래, ATM(Automated Teller Machine) 거래, 인터넷 뱅킹(Internet Banking), 스마트폰 뱅킹(Smartphone Banking)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하나 이상의 금융거래 장치(100)는 창구 거래 채널을 제공하며 영업점에 구비된 계정 단말(101)을 포함한다. 그리고 ATM 거래 채널을 제공하는 금융자동화기기(103)를 포함한다. 그리고 인터넷 뱅킹 채널을 제공하는 인터넷 뱅킹 서버(105)를 포함한다. 그리고 모바일 뱅킹(Mobile Banking) 채널을 제공하는 모바일 뱅킹 서버(107)를 포함한다. 그리고 스마트폰 뱅킹 채널을 제공하는 스마트폰 뱅킹 서버(109)를 포함한다. 그리고 텔레뱅킹(Telebanking) 채널을 제공하는 텔레뱅킹 서버(111)를 포함한다.
그러나, 하나 이상의 금융거래 장치(100)는 상기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금융거래 채널을 제공하는 장치라면 모두 포함된다.
여기서, 계정 단말(101) 및 금융자동화기기(103)는 통상 금융거래 처리후, 종이로 된 영수증 또는 계산서를 발급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계정 단말(101) 및 금융자동화기기(103)는 종이로 발급하기 전에 계정계 호스트(200)에 접속하여 기 저장된 사용자의 금융거래 내역 수신 방식을 확인한다. 그리고 사용자의 금융거래 내역 수신 방식이"스마트폰 전송"으로 설정되어 있다면, 영수증 또는 계산서를 종이로 발급하지 않는다. 대신 계정계 호스트(200)로 금융거래 내역을 전송한다.
또한, 인터넷 뱅킹 서버(105), 모바일 뱅킹 서버(107), 스마트폰 뱅킹 서버(109) 및 텔레뱅킹 서버 서버(111) 역시 금융거래 처리후, 금융거래 내역을 계정계 호스트(200)에게 전송한다.
계정계 호스트(200)는 금융기관 내 자금의 처리, 관리 및 계좌관리 등 총괄적인 업무, 개인, 법인, 기타 고객들의 계좌 정보를 관리하고, 입금, 출금, 계좌이체, 지로, 신규 통장개설, 통장 폐쇄 등을 하고 모든 계정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로 저장하고 있으며, 단말기를 통해 접속하여 조회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계정계 호스트(200)는 은행의 전산 시스템이 집중되는 본점에 설치되며, 전반적인 금융 업무를 담당하는 메인프레임 기반의 시스템이다.
계정계 호스트(200)는 하나 이상의 금융거래 장치(100), 즉, 계정 단말(101), 금융자동화기기(103), 인터넷 뱅킹 서버(105), 모바일 뱅킹 서버(107), 스마트폰 뱅킹 서버(109) 및 텔레뱅킹 서버 서버(111)로부터 각각의 금융거래 채널 상에서 이루어진 각각의 금융거래 내역을 수신하여 저장한다.
또한, 계정계 호스트(200)는 사용자의 금융거래 내역 수신 방식을 저장한다. 이때, 금융거래 내역 수신 방식은 사용자가 금융기관의 영업점을 방문하여 창구에서 별도의 신청서를 제출하면, 계정 단말(101)을 통해 계정계 호스트(200)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금융거래 내역 수신 방식은 사용자가 콜센터에서 전화 상담을 통해 신청함으로써 상담원 단말(미도시)을 통해 계정계 호스트(200)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금융거래 내역 수신 방식은 사용자가 인터넷 뱅킹 서버(105), 모바일 뱅킹 서버(107), 스마트폰 뱅킹 서버(109) 및 텔레뱅킹 서버 서버(111)를 통해 신청함으로써 각 서버(105, 107, 109, 11)를 통해 계정계 호스트(200)에 저장될 수 있다.
관리 서버(300)는 계정계 호스트(200)에게 금융거래 내역을 요청하여 수신한다. 이때, 요청 시점은 주기적일 수 있다. 혹은 사용자 단말(500)로부터 조회 요청이 수신된 시점일 수 있다.
관리 서버(300)는 네트워크(400)를 통해 사용자 단말(500)과 접속된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500)의 조회 요청이 수신되면, 금융거래 내역을 사용자 단말(500)로 전송한다.
여기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관리 서버(300)는 금융거래 내역을 기존에 종이로 발급되던 영수증 또는 계산서 형태로 전자적으로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5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관리 서버(300)는 금융거래 내역을 거래내역 리스트로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5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관리 서버(300)의 전송은 저장을 위한 전송이 아닌 화면 출력을 위한 전송이다. 즉, 사용자 단말(500)은 금응거래 내역을 관리 서버(300)에서 접속한 상태에서 열람할 수 있다.
네트워크(400)는 관리 서버(300) 및 사용자 단말(500)과 각각 연결되어 데이터 송수신 경로를 제공한다. 이러한 네트워크(400)는 네트워크 장치들을 포함하나 생략되어 있다.
네트워크(400)는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망,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망, LTE(Long Term Evolution)망, Wibro망을 포함한 이동통신망, 와이파이(WiFi)망, 무선랜(Wireless LAN)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500)은 네트워크 접속 및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단말이다. 사용자 단말(500)은 휴대 단말, 스마트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스마트 장치는 기능이 제한되어 있지 않고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당 부분 기능을 변경하거나 확장할 수 있는 제품을 가리킨다. 예를들어, 사용자 단말(500)은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일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500)은 관리 서버(300)에 접속한 상태에서 관리 서버(300)로부터 수신된 금융거래 내역을 화면에 출력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500)은 관리 서버(300)에 접속한 상태에서 조회 요청을 관리 서버(300)로 전송하고, 거래내역 리스트를 수신하여 화면에 출력한다. 여기서, 거래내역 리스트는 서로 다른 복수의 금융거래 채널 상에서 이루어진 각각의 금융거래 내역이 거래 유형 및 거래 채널을 포함한 기 정의된 항목 별로 나열된다.
또한, 사용자 단말(500)은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전술한 금융거래 내역 수신 및 출력 동작을 구현할 수 있다.
이때, 전용 어플리케이션은 웹 어플리케이션으로서, 관리 서버(300)에 의해 제어된다. 그리고 관리 서버(300)는 웹 어플리케이션 서버(WAS, Wwb Application Server)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즉, 도 1의 관리 서버(300)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관리 서버(300)는 내역 관리부(301), 조회부(303), 자동 태그 매칭부(305), 금융업무 DB(307), 사용자 태그 매칭부(309) 및 메모 설정부(311)를 포함한다.
내역 관리부(301)는 계정계 호스트(200)로부터 서로 다른 복수의 금융거래 채널로부터 각각의 금융거래 채널 상에서 이루어진 각각의 금융거래 내역을 수신한다.
내역 관리부(301)는 각각의 금융거래 내역을 거래 유형 및 거래 채널을 매칭시킨다. 그리고 기 정의된 항목 별로 나열된 거래내역 리스트를 생성한다.
이때, 내역 관리부(301)는 도 3과 같이 거래내역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거래내역 리스트의 예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거래내역 리스트(600)는 복수의 항목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복수의 항목은 거래일자(601), 거래시간(603), 거래유형(605), 영수명목(607) 거래채널(609), 원거래 금액(611), 관련계좌(613) 및 계리코드(615)를 포함한다.
또한, 원거래 금액(611) 항목 및 관련계좌(613) 항목은 고객의 설정에 의해 숨김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거래내역 리스트(600)는 계정 단말(101)의 금융거래 내역, 즉, 2012년 10월 10일에 하나은행 영업부에서 발생한 100,000원의 타행송금 및 송금수수료 1,000원의 금융거래 내역이 반영되어 있다. 그리고 계정 단말(101)에서 발생한 2012년 10월 15일에 하나은행 명동지점에서 U$2,000을 송금하고 송금수수료 2,500원 지출한 금융거래 내역이 반영되어 있다. 그리고 인터넷 뱅킹 서버(103)의 금융거래 내역, 즉, 2012년 10월 10일에 인터넷 뱅킹으로 200,000원 타행송금 및 송금수수료 1,000원의 금융거래 내역이 반영되어 있다.
또한, 거래내역 리스트(600)는 후술할 자동 태그 항목, 사용자 태그 항목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내역 관리부(301)는 거래내역 리스트의 항목들 중 하나의 항목을 키워드로 하는 조회 요청이 사용자 단말(500)로부터 수신되면, 키워드 항목이 동일한 금융거래 내역들을 거래내역 리스트로 생성한다.
내역 관리부(301)는 자동 태그를 키워드로 하는 조회 요청이 사용자 단말(500)로부터 수신되면, 동일한 자동 태그가 매칭된 금융거래 내역들을 거래내역 리스트로 생성한다.
내역 관리부(301)는 사용자 태그를 키워드로 하는 조회 요청이 사용자 단말(500)로부터 수신되면, 동일한 사용자 태그가 매칭된 금융거래 내역들을 거래내역 리스트로 생성한다.
조회부(303)는 사용자 단말(500)이 금융거래 내역을 조회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어플리케이션 화면으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어플리케이션은 스마트 장치에 탑재되고, 앱거래 서버에서 다운로드되어 설치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의미할 수 있다.
조회부(303)는 네트워크(400)를 통해 사용자 단말(500)과 접속된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500)로부터 조회 요청을 수신한다. 그리고 내역 관리부(301)가 생성한 조회 요청에 따른 거래내역 리스트를 사용자 단말(500)로 전송한다. 전술한 것처럼, 여기서 전송은 사용자 단말(500)의 화면 출력을 위한 전송이다.
자동 태그 매칭부(305)는 금융업무 DB(307)를 참조하여 각각의 금융거래 내역에 포함된 계리코드가 해당되는 금융업무를 확인한다. 그리고 확인한 금융업무를 대분류 태그로 설정하고, 설정된 대분류 태그를 해당하는 금융거래 내역에 매칭시킨다. 여기서, 대분류 태그를 후술할 사용자 태그와 구별하기 위해 '자동 태그'로 통칭하여 기술하기로 한다.
또한, 자동 태그 매칭부(305)가 매칭한 자동 태그는 키워드로 사용될 수 있다.
금융업무 DB(307)는 계리코드 별로 금융업무가 매칭되어 저장된다.
여기서, 계리코드는 업무(수신, 여신 등), 거래종류(현금, 대체, 타점, 자동대체 등)와 같은 금융기관의 계리업무에 따라 지정된 코드이다.
금융업무 DB(307)는 계리코드 및 상기 계리코드에 대해 지정된 금융업무가 상호 매칭된 테이블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들어, 계리코드 '1111111'은 '타행송금수수료'를 의미하는데, '계리코드 1111111'의 금융업무는 예금으로 지정된다. 또한, 계리코드 '7777777'은 '해외송금수수료'를 의미하는데, 계리코드 '7777777'의 금융업무는 외환으로 지정된다. 이와 같이 계리코드 별로 지정된 금융업무를 매칭한 DB 테이블이 금융업무 DB(307)에 저장된다.
이때, 금융업무 DB(307)는 관리 서버(300)에 포함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계정계 호스트(200)에 저장되고, 자동 태그 매칭부(305)가 접속 가능하게 구현될 수 있다.
이미 정해진 항목을 기준으로 거래내역을 조회하는 경우, 예컨대 거래일자 또는 금액을 잊어버린 경우, 모든 거래를 이미 정해진 항목의 범위내에서만 일일히 검색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금융업무를 자동 태그로 설정하여 각각의 금융거래 내역과 매칭시켜 고객이 자유롭게 분류하여 검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 태그 매칭부(309)는 사용자 태그를 선택 또는 입력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사용자 단말(500)에게 제공한다.
사용자 태그 매칭부(309)는 사용자 단말(500)이 요청한 금융거래 내역에 대해 사용자 단말(500)에서 선택 또는 입력한 사용자 태그를 매칭한다. 이러한 사용자 태그는 키워드로 사용될 수 있다.
자동 태그의 경우, 금융기관에서 자동으로 분류하였으므로 사용자 입장에서 직접 와닿지 않을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 태그 매칭부(309)는 사용자가 임의로 키워드를 추가하여 관리할 수 있도록 사용자 태그를 설정할 수 있게 한다.
사용자 태그는 특정 거래를 개별로 호출하여 스스로 분류하는 방식을 적용하는 것이다. 예를들어, 2012년 10월 10일에 하나은행 영업부 보낸 타행송금에는 "축의금"을 사용자 태그로 설정하고, 2012년 10월 15일에 하나은행 명동지점 보낸 해외송금에는 "도서비"라고 사용자 태그를 부여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사용자 태그를 기준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거래 내역을 쉽게
다양한 태그 중에서 자신이 분류한 태그를 기준으로 내용을 쉽게 재분류 할 수 있다.
메모 설정부(311)는 사용자 메모를 입력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사용자 단말(500)에게 제공한다.
메모 설정부(311)는 사용자 단말(500)이 요청한 금융거래 내역에 대해 사용자 단말(500)에서 입력한 메모를 매칭한다. 이후, 사용자 단말(500)은 거래내역 리스트 열람시 해당 금융거래 내역에 대한 메모를 확인할 수 있다.
전술한 자동 태그 매칭부(307), 사용자 태그 매칭부(309), 메모 설정부(311)가 각각 매칭한 내용은 별도의 데이터베이스 서버(미도시)에서 관리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즉, 도 1의 사용자 단말(500)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500)은 통신부(501), 메모리(503), 입력부(505), 표시부(507) 및 제어부(509)를 포함한다.
통신부(501)는 네트워크(400)를 통해 관리 서버(300)와 접속되어 금융거래 내역 조회 관련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통신부(501)는 제어부(509)와 연결되어 네트워크(400)를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를 제어부(509)로 전달하고, 제어부(509)가 출력하는 데이터를 네트워크(400)로 전송한다. 이러한 통신부(501)는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베이스밴드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503)는 제어부(509)와 연결되어, 제어부(509)를 구동하기 위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하는데, 이때, 금융거래 내역 조회를 위한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한다. 이러한 전용 어플리케이션은 사전에 앱스토어로부터 다운로드하여 설치시 저장된다.
이때,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용 어플리케이션은 새로 제안된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전용 어플리케이션은 종래의 뱅킹 어플리케이션에 금융거래 내역 조회 기능이 추가된 형태일 수 있다.
이러한 메모리(503)는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 램버스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동기식 DRAM, 정적 RAM 등의 RAM과 같은 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메모리(503)는 제어부(509)의 내부 또는 외부에 있을 수 있고, 잘 알려진 다양한 수단을 통해 제어부(509)와 연결될 수 있다.
입력부(505)는 사용자의 입력 인터페이스로서, 광 조이스틱, 터치패드, 홀 센서, 지문인식 센서, 압력 센서등을 포함하는 포인팅 디바이스, 키패드, 터치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으며, 다양한 입력 수단이 채택될 수 있다. 입력부(505)는 금융거래 내역의 조회 요청, 조회 키워드, 사용자 태그, 메모 입력을 비롯한 사용자 입력 또는 선택을 위한 수단이다.
표시부(507)는 사용자 단말(500)의 외부에 구비되고, 제어부(509)와 연결되어 제어부(509)의 동작에 따른 정보를 화면 상에 출력한다. 현재 상용화되고 있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제어부(509)는 중앙처리 유닛(central processing unit, CPU)이나 기타 칩셋,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의 계층들은 제어부(509)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509)는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관리 서버(300)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어플리케이션 화면을 통해 구현할 수 있다. 제어부(509)의 상세한 동작은 후술하기로 한다.
그러면, 지금까지 기술한 구성을 토대로 금융거래 내역을 조회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이때, 도 1~ 도 3의 구성의 동작은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금융거래 내역 조회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조회 화면의 예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거래내역 리스트의 예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하나 이상의 금융거래 장치(100)는 금융거래 처리가 완료되면, 각각의 금융거래 내역을 계정계 호스트(200)로 전송한다(S101).
계정계 호스트(200)는 S103 단계에서 수신한 각각의 금융거래 내역을 저장한다(S103).
관리 서버(300)의 내역 관리부(301)는 계정계 호스트(200)에게 요청하여 각각의 금융거래 내역을 수신한다(S105).
이때, 이미 생성된 거래내역 리스트 갱신에 필요한 새로운 금융거래 내역만 요청하여 수신할 수도 있다.
관리 서버(300)의 자동 태그 매칭부(307)는 S105 단계에서 수신한 각각의 금융거래 내역에 자동 태그를 매칭한다(S107).
구체적으로, 자동 태그 매칭부(307)는 각각의 금융거래 내역에 포함된 계리코드에 해당하는 금융업무를 금융업무 DB(309)로부터 확인한다. 그리고 매칭된 금융업무를 해당하는 금융거래 내역의 자동 태그로 설정한다.
한편, 사용자 단말(500)의 제어부(509)는 입력부(505)로부터 사용자 요청이 발생하면,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S109). 그리고 관리 서버(300)에 접속한다(S111). 이때, 접속 단계(S111)에서 접속 인증, 사용자 로그인 과정 등이 수행될 수 있다.
관리 서버(300)의 조회부(303)는 사용자 단말(500)과 접속이 되면, 조회 화면을 사용자 단말(500)에게 전송한다(S113).
이때, 관리 서버(300)의 조회부(303)는 디폴트로 지정된 일정 기간 예를들어 최근 1주일의 금융거래 내역이 나열된 거래내역 리스트를 포함하는 조회 화면을 전송할 수도 있다.
한편, 사용자 단말(500)의 제어부(509)는 S113 단계에서 수신된 조회 화면을 표시부(507)를 통해 출력한다(S115). 이때, 조회 화면은 S109 단계에서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의 초기 화면으로 출력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조회 화면은 도 6과 같이 구현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조회 화면(700)은 조회 조건 파트(part)(701)를 포함하는데, 조회 조건 파트(701)는 세부적으로 조회기간 파트(703) 및 조회 항목 파트(705)를 포함한다.
조회기간 파트(703)는 도 3의 거래내역 리스트의 항목 중에서 거래일자(601)를 조회 키워드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직접 조회기간을 정할 수도 있고, 당일, 1주일, 15일 등으로 특정 기간을 정할 수 있게 구성된다.
조회 항목 파트(705)는 도 3의 거래내역 리스트의 항목 중에서 거래유형(605), 거래채널(609), 그리고 거래내역 리스트에는 명시되지 않은 자동태그를 조회 키워드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조회 항목 파트(705)는 조회 키워드 항목을 선택 또는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예를들어, 거래 채널을 선택한 후, 거래 채널 중에서도 영업부를 키워드로 선택 또는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조회 화면(700)은 조회 아이콘(707) 및 조회결과 파트(709)를 포함한다. 즉 조회기간 파트(703) 및/또는 조회 항목 파트(705)에서 키워드 설정후, 조회 아이콘(707)이 선택되면, 조회결과 파트(709)는 키워드에 해당하는 거래내역 리스트가 표시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조회 요청은 도 3과 같은 거래내역 리스트 상에서 조회 키워드로 가능한 특정 항목 예컨대 거래채널(609) 중에서 명동 항목을 클릭하면, 명동에서 처리된 금융거래 내역들만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500)의 제어부(509)는 입력부(505)로부터 키워드 설정(S117)이 완료되면, 키워드를 포함하는 조회 요청을 관리 서버(300)로 전송한다(S119).
그러면, 관리 서버(300)의 내역 관리부(301)는 키워드에 해당하는 금융거래 내역들로 거래내역 리스트를 생성한다(S121). 이러한 거래내역 리스트는 도 7과 같이 구현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키워드로 거래채널이 선택되었고, 거래채널 중에서도 영업부가 선택된 경우에 해당된다. 이때, 도 3의 거래내역 리스트에서 거래채널이 영업부로 설정(P1)된 두 건의 금융거래 내역이 나열된 거래내역 리스트가 생성된다.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관리 서버(300)의 조회부(303)는 S121 단계에서 생성된 거래내역 리스트를 사용자 단말(500)로 전송한다(S123).
이때, S123 단계는 거래내역 리스트가 사용자 단말(500)에 저장되도록 전송되는 것이 아닌 표시부(508)에 출력되도록 전송된다. 즉, 조회부(303)와의 접속이 끊긴 상태에서는 거래내역 리스트 자체를 사용자 단말(500)에서 열람할 수 없다.
그러면, 사용자 단말(500)의 제어부(509)는 S123 단계에서 수신한 거래내역 리스트 화면을 표시부(507)에 출력한다(S125).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금융거래 내역 조회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태그 설정의 예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관리 서버(300)의 사용자 태그 매칭부(309)는 사용자 단말(500)에게 사용자 태그 설정 화면을 전송한다(S201). 그러면, 사용자 단말(500)의 제어부(509)는 S201 단계에서 수신된 사용자 태그 설정 화면을 출력한다(S203).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S201 단계에 앞서 도 3 또는 도 7과 같은 금융거래 내역 리스트 상에서 복수의 항목에 해당하는 정보중 하나의 정보가 사용자 단말(500)에서 선택되는 과정이 추가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태그 설정 화면은 도 9와 같이 구현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사용자 태그 매칭부(309)는 금융거래 상세 내역의 하단에 사용자 태그 입력란(800)이 표시된 화면을 사용자 단말(500)로 제공한다.
이때, 사용자 태그 매칭부(309)는 도 3의 거래내역 리스트 상에서 거래채널이 '명동'인 금융거래 내역 중에서 복수의 항목 중 하나의 항목이 사용자 단말(500)에서 선택되면, 해당 금융거래 내역의 상세 내역과 함께 사용자 태그 입력란(800)이 표시된 화면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2012.10.15"을 선택하면, 사용자 태그 매칭부(309)는 도 9와 같은 화면을 사용자 단말(500)에 출력한다.
그리고 사용자 태그 매칭부(309)는 사용자 태그 입력란(800)을 통해 입력된 사용자 태그와 해당 금융거래 내역을 매칭시켜 저장한다. 이후, 사용자 태그는 금융거래 내역 조회를 위한 키워드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태그는 예를 들어 축의금,경조금,어머니,동생,도서비,예약 등이 될 수 있다.
한편, 다시,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500)의 제어부(509)는 관리 서버(300)로 사용자 태그 입력란(800)에 입력(S205)된 사용자 태그의 설정을 요청한다(S207). 이때, S207 단계에서는 사용자 태그가 설정되어야 하는 금융거래 내역에 대한 정보도 함께 전송된다.
그러면, 관리 서버(300)의 사용자 태그 매칭부(309)는 S207 단계에서 요청받은 금융거래 내역에 사용자 단말(500)이 요청한 사용자 태그를 매칭한다(S209).
이후, 사용자 단말(500)의 제어부(509)는 사용자 태그를 키워드로 선택(S211)한 조회 요청을 관리 서버(300)로 전송한다(S213). 이때, 키워드 선택 단계(S211)는 도 5의 S117 단계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관리 서버(300)의 내역 관리부(301)는 S211 단계에서 선택된 사용자 태그에 해당되는 금융거래 내역들 거래내역 리스트를 생성한다(S215).
이때, 내역 관리부(301)는 S211 단계에서 선택된 사용자 태그에 해당되는 금융거래 내역들을 사용자 태그 매칭부(309)로부터 확인할 수 있다.
다음, 관리 서버(300)의 조회부(303)는 S215 단계에서 생성된 거래내역 리스트를 사용자 단말(500)에게 전송한다(S217).
그러면, 사용자 단말(500)의 제어부(509)는 수신(S217)한 거래내역 리스트를 화면에 출력한다(S219). 이때, 도 6의 조회결과 파트(709) 상에 거래내역 리스트를 출력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모 설정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메모 설정의 예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메모 출력의 예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관리 서버(300)의 메모 설정부(311)는 사용자 단말(500)에게 메모 설정 화면을 전송한다(S301). 그러면, 사용자 단말(500)의 제어부(509)는 S301 단계에서 수신된 메모 설정 화면을 출력한다(S303).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S301 단계에 앞서 도 3 또는 도 7과 같은 금융거래 내역 리스트 상에서 복수의 항목에 해당하는 정보중 하나의 정보가 사용자 단말(500)에서 선택되는 과정이 추가될 수 있다. 그리고 메모 설정 화면은 도 11과 같이 구현될 수 있다.
도 11를 참조하면, 메모 설정부(311)는 금융거래 상세 내역의 하단에 메모 입력란(900)이 표시된 화면을 사용자 단말(500)로 제공한다.
이때, 메모 설정부(311)는 도 3의 거래내역 리스트 상에서 거래채널이 '명동'인 금융거래 내역 중에서 복수의 항목 중 하나의 항목이 사용자 단말(500)에서 선택되면, 해당 금융거래 내역의 상세 내역과 함께 메모 입력란(900)이 표시된 화면을 제공한다.
그리고 메모 설정부(311)는 해당 금융거래 내역에 메모 입력란(900)을 통해 입력된 메모를 설정한다.
한편, 다시, 도 10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500)의 제어부(509)는 관리 서버(300)로 메모 입력란(900)에 입력(SS305)된 메모의 설정을 요청한다(S307). 이때, S307 단계에서는 메모가 설정되어야 하는 금융거래 내역에 대한 정보도 함께 전송된다.
그러면, 관리 서버(300)의 메모 설정부(311)는 S307 단계에서 요청받은 금융거래 내역에 사용자 단말(500)이 요청한 메모를 설정한다(S309).
이후, 사용자 단말(500)의 제어부(509)는 기 정의된 사용자 입력 조작이 발생(S311)하면, 관리 서버(300)로부터 해당 금융거래 내역에 설정된 메모를 수신(S313)하여 화면에 출력한다(S315).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500)의 제어부(509)는 거래내역 리스트 상에서 특정항목에 입력부(305)의 포인터가 근접하는 동작이 감지되면, 해당 금융거래 내역에 대한 메모를 관리 서버(300)로부터 수신하여 거래내역 리스트 상에 출력한다. 이는 도 12와 같이 구현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500)의 제어부(509)는 거래채널 항목(609)에 입력부(305)의 포인터가 근접하는 동작이 감지되면, 해당 금융거래 내역 즉 2012년 10월 21일자 영업부에서 이루어진 금융거래 내역에 설정된 메모, '친구 선물'을 거래내역 리스트 상에 출력한다.
한편,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의 개략적인 도면으로, 도 2를 참고하여 설명한 내역 관리부(301), 조회부(303), 자동 태그 매칭부(305), 금융업무 DB(307), 사용자 태그 매칭부(309) 및 메모 설정부(311)의 기능 중 적어도 일부를 수행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13을 참고하면, 관리 서버(1000)는 프로세서(1001), 메모리(1003), 적어도 하나의 저장장치(1005), 입출력(input/output, I/O) 인터페이스(1007)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09)를 포함한다.
프로세서(1001)는 중앙처리 유닛(central processing unit, CPU)이나 기타 칩셋,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메모리(1003)는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 램버스 DRAM(rambus DRAM, RDRAM), 동기식 DRAM(synchronous DRAM, SDRAM), 정적 RAM(static RAM, SRAM) 등의 RAM과 같은 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저장 장치(1005)는 하드디스크(hard disk), CD-ROM(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CD-RW(CD rewritable), DVD-ROM(digital video disk ROM), DVD-RAM, DVD-RW 디스크, 블루레이(blue-ray) 디스크 등의 광학디스크, 플래시메모리, 다양한 형태의 RAM과 같은 영구 또는 휘발성 저장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I/O 인터페이스(1007)는 프로세서(1001) 및/또는 메모리(1003)가 저장 장치(1005)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09)는 프로세서(1001) 및/또는 메모리(1003)가 네트워크(400)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
이 경우, 프로세서(1001)는 내역 관리부(301), 조회부(303), 자동 태그 매칭부(305), 사용자 태그 매칭부(309) 및 메모 설정부(311)의 기능의 적어도 일부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메모리(1003)에 로드하고, 금융업무 DB(307)의 기능을 저장 장치(1005)에 위치시켜서, 도 2를 참고로 하여 설명한 동작이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003) 또는 저장장치(1005)는 프로세서(1001)와 연동하여 내역 관리부(301), 조회부(303), 자동 태그 매칭부(305), 사용자 태그 매칭부(309) 및 메모 설정부(311)의 기능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3에 도시한 프로세서(1001), 메모리(1003), 저장장치(1005), I/O 인터페이스(1007)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09)는 하나의 컴퓨터에 구현될 수도 있으며 또는 복수의 컴퓨터에 분산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6)

  1. 금융거래 채널로부터 상기 금융거래 채널 상에서 발생한 사용자의 금융거래 내역을 수신하여 저장하는 계정계 호스트, 그리고
    상기 계정계 호스트로부터 상기 금융거래 내역을 수신하고,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과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조회 요청에 따라 상기 금융거래 내역을 상기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출력하는 관리 서버
    를 포함하는 금융거래 내역 조회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정계 호스트는,
    사용자의 금융거래 내역 수신 방식이 지정된 고객 정보를 저장하고,
    금융거래가 완료되면, 상기 계정계 호스트로부터 상기 고객 정보를 확인하여 수신 방식이 단말 전송으로 설정되어 있다면, 상기 금융거래 내역을 외부로 출력하지 않고 상기 계정계 호스트에게만 전송하는 하나 이상의 금융거래 장치
    를 더 포함하는 금융거래 내역 조회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계정계 호스트는,
    서로 다른 복수의 금융거래 채널로부터 각각의 금융거래 채널 상에서 이루어진 각각의 금융거래 내역을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각각의 금융거래 내역을 거래 유형 및 거래 채널로 각각 매칭한 후, 기 정의된 항목 별로 나열된 거래내역 리스트를 생성하는 내역 관리부, 그리고
    상기 사용자 단말과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조회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거래내역 리스트를 상기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출력하는 조회부
    를 포함하는 금융거래 내역 조회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내역 관리부는,
    상기 기 정의된 항목 중 하나의 항목을 키워드로 하는 조회 요청이 수신되면, 키워드 항목이 동일한 금융거래 내역들이 나열된 거래내역 리스트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출력하는 금융거래 내역 조회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거래내역 리스트는,
    상기 각각의 금융거래 내역이 거래일자, 거래시간, 거래유형, 거래금액, 거래채널, 원거래 금액, 거래유형을 포함하는 복수의 항목 별로 나열되는 금융거래 내역 조회 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계리코드 별로 금융업무가 매칭되어 저장된 금융업무 DB, 그리고
    상기 금융업무 DB를 참조하여 상기 각각의 금융거래 내역에 포함된 계리코드에 매칭된 금융업무를 자동 태그로 설정하고, 상기 자동 태그를 해당하는 금융거래 내역에 매칭시키는 자동 태그 매칭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회부는,
    상기 자동 태그가 키워드로 설정된 조회 요청이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되면, 요청된 자동 태그가 동일하게 매칭된 금융거래 내역들로 거래내역 리스트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출력하는 금융거래 내역 조회 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거래내역 리스트에 포함된 금융거래 내역 중 하나가 선택되면, 사용자 태그를 선택 또는 입력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출력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선택 또는 입력된 사용자 태그를 해당되는 금융거래 내역에 매칭시켜 저장하는 사용자 태그 매칭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회부는,
    상기 사용자 태그가 키워드로 설정된 조회 요청이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되면, 요청된 사용자 태그가 동일한 금융거래 내역들이 나열된 거래내역 리스트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출력하는 금융거래 내역 조회 시스템.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거래내역 리스트에 포함된 금융거래 내역 중 하나가 선택되면, 메모를 입력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출력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입력된 메모를 해당하는 금융거래 내역에 설정하여 저장하는 메모 설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회부는,
    상기 거래내역 리스트가 출력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기 정의된 사용자 입력 조작에 따른 메모 열람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메모 설정부로부터 상기 사용자 입력 조작이 발생한 금융거래 내역에 매칭된 메모를 획득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출력하는 금융거래 내역 조회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웹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어플리케이션 서버인 금융거래 내역 조회 시스템.
  10. 사용자 단말이 금융기관의 관리 서버와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된 상기 금융기관에서 이루어진 금융거래 내역을 화면에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의 금융거래 내역 조회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입력 또는 선택한 조회 요청을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그리고
    서로 다른 복수의 금융거래 채널 상에서 이루어진 각각의 금융거래 내역이 거래 유형 및 거래 채널을 포함한 기 정의된 항목 별로 나열된 거래내역 리스트를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의 금융거래 내역 조회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하는 단계 이후,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입력 또는 선택한 상기 기 정의된 항목 중 하나의 항목을 키워드로 하는 조회 요청을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하나의 항목이 동일한 금융거래 내역들이 나열된 거래내역 리스트를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출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의 금융거래 내역 조회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하는 단계 이후,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입력 또는 선택한 자동 태그를 키워드로 하는 조회 요청을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자동 태그가 동일한 금융거래 내역들이 나열된 거래내역 리스트를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출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의 금융거래 내역 조회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하는 단계 이후,
    상기 거래내역 리스트 중 하나의 금융거래 내역에 대한 사용자가 지정한 사용자 태그를 입력 또는 선택받는 단계,
    상기 입력 또는 선택받은 상기 사용자 태그와 해당되는 금융거래 내역을 포함하는 사용자 태그 설정 요청을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입력 또는 선택한 상기 사용자 태그를 키워드로 하는 조회 요청을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사용자 태그가 동일한 금융거래 내역들이 나열된 거래내역 리스트를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출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의 금융거래 내역 조회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하는 단계 이후,
    상기 거래내역 리스트에 포함된 금융거래 내역 중 사용자가 선택한 하나의 금융거래 내역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입력받은 금융거래 내역을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금융거래 내역에 대한 사용자 메모를 입력할 수 있는 화면을 수신하여 출력하는 단계,
    사용자가 입력한 사용자 메모를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거래내역 리스트가 출력된 상태에서 기 정의된 사용자 입력 조작이 발생하면, 메모 열람 요청을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 입력 조작이 발생한 금융거래 내역에 매칭된 메모를 수신하여 상기 거래내역 리스트의 상기 발생한 금융거래 내역 근처에 출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의 금융거래 내역 조회 방법.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하는 단계는,
    상기 관리 서버와 연동하는 금융거래 내역 조회를 위한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 상기 관리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사용자 단말의 동작을 구동하는 사용자 단말의 금융거래 내역 조회 방법.
KR20130000356A 2013-01-02 2013-01-02 금융거래 내역 조회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4957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00356A KR101495701B1 (ko) 2013-01-02 2013-01-02 금융거래 내역 조회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00356A KR101495701B1 (ko) 2013-01-02 2013-01-02 금융거래 내역 조회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8458A true KR20140088458A (ko) 2014-07-10
KR101495701B1 KR101495701B1 (ko) 2015-02-25

Family

ID=517370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00356A KR101495701B1 (ko) 2013-01-02 2013-01-02 금융거래 내역 조회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570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0869A (ko) * 2017-09-15 2019-03-25 주식회사 하나은행 채팅 서버, 단말 장치 및 어플리케이션 서버
CN113594389A (zh) * 2021-07-29 2021-11-0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基板及其制备方法、显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83552A (ko) * 2009-01-14 2010-07-22 주식회사 국민은행 My Star(e-PB) 금융 거래 서비스 시스템
KR20090060244A (ko) * 2009-04-29 2009-06-11 주식회사 신한은행 복수호출 전문 처리 시스템
KR20120078409A (ko) * 2010-12-31 2012-07-10 중소기업은행 사용자 단말기에서 은행 거래내역 알림 장치, 방법 및 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기록매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0869A (ko) * 2017-09-15 2019-03-25 주식회사 하나은행 채팅 서버, 단말 장치 및 어플리케이션 서버
CN113594389A (zh) * 2021-07-29 2021-11-0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基板及其制备方法、显示装置
CN113594389B (zh) * 2021-07-29 2023-10-1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基板及其制备方法、显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5701B1 (ko) 2015-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8201228B2 (en) Employee Payroll Information Management
CN104995647B (zh) 用于发现和支付由团体所欠债务的方法
US2015026218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populated transaction interfaces based on system-generated triggers
US20190187864A1 (en) Providing optimized displays on user interfaces based on user generated lists of items
CA3029717A1 (en) Bill presentment based on a user learning style
US11379913B1 (en) Electronic payroll funds transfer delay and failed transfer coverage
US20160034895A1 (en) Personalized budgets for financial services
AU2014236710A1 (en) Intent to spend analytics platform
US20200092388A1 (en) Parsing transaction information for extraction and/or organization of transaction-related information
US10607204B2 (en) Support messages based on merchant account context
US20210350367A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server,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US11403617B2 (en) Wallet system and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KR101495701B1 (ko) 금융거래 내역 조회 시스템 및 그 방법
JP5003212B2 (ja) オンライン取引端末、オンライン取引システム
KR20150047344A (ko) 계좌 관리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서버
KR101503460B1 (ko) 간소화된 스마트 뱅킹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은행서버
US20200065782A1 (en) Recipient management in computer network initiated data transfers
US12008642B1 (en) Electronic payroll funds transfer delay and failed transfer coverage
JP6223334B2 (ja) 入金システム
JP7153818B2 (ja) 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JP6896124B1 (ja) 金融取引方法、金融取引システムおよび金融取引プログラム
KR20230080739A (ko) 통신 시스템에서 대화방을 이용하여 납부금을 처리하는 시스템 및 방법
CA3143391A1 (en)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centralized register device management and monitoring
WO2022159148A1 (en) Efficient, accurate, and secure digital asset conversions for real-time funding of merchant transactions
KR20100040795A (ko) 검색 관련 작업을 위한 실질적 즉시 지급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