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7957A - 문장 데이터를 이용한 언어 패턴 교육 학습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문장 데이터를 이용한 언어 패턴 교육 학습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7957A
KR20140087957A KR1020130000023A KR20130000023A KR20140087957A KR 20140087957 A KR20140087957 A KR 20140087957A KR 1020130000023 A KR1020130000023 A KR 1020130000023A KR 20130000023 A KR20130000023 A KR 20130000023A KR 20140087957 A KR20140087957 A KR 201400879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tence data
data
sentence
image
lear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00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홍찬
Original Assignee
주홍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홍찬 filed Critical 주홍찬
Priority to KR10201300000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87957A/ko
Publication of KR201400879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79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6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both visual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 G09B5/065Combinations of audio and video presentations, e.g. videotapes, videodiscs, television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문장 데이터를 이용한 언어 패턴 교육 학습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문장 데이터, 문장 데이터와 관련된 액센트, 발음기호, 문장 데이터에 대하여 학습하는 국가의 언어로 해석된 뜻, 문장 데이터와 관련된 이미지 데이터 그리고 원어민 발음 영상 및 음성 파형 데이터가 저장된 저장부; 문장 데이터 선택 및 문장 데이터 입력 위한 입력부; 선정된 문장의 학습이 시작되면 “평서문 또는 의문문 또는 명령문 또는 감탄문으로 이루어진 문장 데이터”(이하 “문장 데이터 A”라고 함)가 표시되고, “문장 데이터 A와 의미와 문법적 연결이 합당한 여러가지 패턴의 문장 데이터”(이하 “문장 데이터 B”라고 함)가 순차적으로 표시되며, 표시된 문장 데이터와 관련된 이미지 데이터와 문장 데이터와 관련된 액센트, 발음기호, 문장 데이터에 대하여 학습하는 국가의 언어로 해석된 뜻이 표시되는 표시부;
학습자가 문장 데이터 학습 시 표시된 문장 데이터를 발음할 경우에 학습자의 음성을 입력받기 위한 오디오 처리부; 상기 오디오 처리부를 통해 입력된 음성을 분석하고, 파형으로 변환하며, 입력된 음성에 대해 원어민 음성의 파형과 유사도를 비교 분석하기 위한 음성 분석 모듈부 및 음성 파형 처리부; 학습자의 문장 데이터 발음 시 얼굴 근육 변화 및 입술의 모양 그리고 치아와 혀의 위치 영상을 수집하기 위한 카메라부; 상기 카메라부로부터 입력된 학습자의 문장 데이터 발음 시 얼굴 근육 변화 및 입술의 모양 그리고 치아와 혀의 위치 영상 데이터의 포커스와 사이즈를 규격화하기 위한 영상 처리부; 및 상기 영상 처리부를 통해 규격화된 학습자의 문장 데이터 발음 시 얼굴 근육 변화 및 입술의 모양 그리고 치아와 혀의 위치 영상과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원어민의 문장 데이터 발음 시 영상을 비교하여 표시하고, 상기 음성 분석 모듈부와 음성 파형 처리부를 통해 처리된 파형과 저장된 원어민의 음성 파형을 표시하고, 유사도를 비교하여 50% 이상 유사 시 “good”, 50% 미만 유사 시 ”bad”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장 데이터를 이용한 언어 패턴 교육 학습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문장 데이터를 이용한 언어 패턴 교육 학습장치 및 방법 {Apparatus and method for Language Pattern Education by using sentence data.}
본 발명은 “단어 또는 구 또는 절 또는 문장” (이하 “문장 데이터” 라고 함)과 문장 데이터를 연상시키는 이미지 데이터 및 원어민의 "문장 데이터 발음 시 얼굴 정면과 측면 영상, 문장 데이터 발음 시 음성, 문장 데이터 발음에 따른 음성 파형, 문장 데이터 발음 시 얼굴 근육 변화 및 입술의 모양 그리고 치아와 혀의 위치”(이하 “발음 데이터”라고 함)을 이용한 언어 패턴 교육 학습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평서문 또는 의문문 또는 명령문 또는 감탄문으로 이루어진 문장 데이터”(이하 “문장 데이터 A”라고 함)를 제공하고, 문장 구성과 말하기 학습을 할 수 있도록 “문장 데이터 A와 의미와 문법적 연결이 합당한 여러가지 패턴의 문장 데이터”(이하 “문장 데이터 B”라고 함)를 순차적으로 제공하며, 해당 문장 데이터와 관련된 액센트, 발음기호, 문장 데이터에 대하여 학습하는 국가의 언어로 해석된 뜻이 표시되고, 해당 문장 데이터를 연상시킬 수 있는 “이미지 또는 애니메이션 또는 영상”(이하 “이미지 데이터”라고 함)을 함께 제공하며, 표시된 문장 데이터에 대한 원어민의 발음 시 음성과 영상이 재생되도록 하고, 학습자의 문장 데이터 발음에 따른 음성과 영상을 입력받아 원어민 발음의 얼굴 근육 변화 및 입술의 모양 그리고 치아와 혀의 위치 재생 및 학습자 발음의 얼굴 근육 변화 및 입술의 모양 그리고 치아와 혀의 위치 재생 화면을 표시하고, 음성 파형 비교 화면을 표시하여 효과적인 언어교육 학습을 하기 위한 문장 데이터를 이용한 언어 패턴 교육 학습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글로벌 시대를 맞이 하면서 세계 공영어인 영어의 중요성이 나날이 커져가고 있다.
이에 국가에서 의무 교육으로 수년간 국민 모두에게 영어를 교육하고 있지만 문법위주의 입시교육 한계로 글은 읽을 줄 알지만 말하기가 되지 않는 반쪽 영어가 현재 영어 교육의 문제이다.
이러한 현재 영어 말하기 교육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원어민이 흔히 사용하는 말을 패턴화하여 복잡한 문법적 이해 없이도, 패턴을 통해 짧은 시간내에 쉽게 영어 말하기를 할 수는 언어 패턴 교육 프로그램들이 각광받고 있다.
하지만 영어 회화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 상황적 이해인데 텍스트 문장만 나열하다보니 상황에 대한 이해도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학습하는 문장을 발음하는 원어민의 얼굴 근육 변화 및 입술의 모양 그리고 치아와 혀의 위치 모양, 그 발음을 따라하는 학습자의 얼굴 근육 변화 및 입술의 모양 그리고 치아와 혀의 위치를 보지 못하여 언어 말하기 학습임에도 불구하고, 언어 발음을 정확히 구사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평서문 또는 의문문 또는 명령문 또는 감탄문으로 이루어진 문장 데이터”(이하 “문장 데이터 A”라고 함)를 제공하고, 문장 구성과 말하기 학습을 할 수 있도록 “문장 데이터 A와 의미와 문법적 연결이 합당한 여러가지 패턴의 문장 데이터”(이하 “문장 데이터 B”라고 함)를 순차적으로 제공하는 문장 데이터를 이용한 언어 패턴 교육 학습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학습하고자 하는 문장 데이터에 각각 색깔을 부여하여 문장 데이터의 패턴을 분석하는 학습을 제공하는 문장 데이터를 이용한 언어 패턴 교육 학습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학습하고자 하는 문장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제공할 때 제공된 문장을 연상시킬 수 있는 이미지 데이터를 함께 제공하는 문장 데이터를 이용한 언어 패턴 교육 학습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원어민의 발음 데이터와 학습자의 발음 데이터의 비교를 통해 학습자가 문장을 발음함에 있어 원어민의 발음과 유사해지도록 교정이 가능한, 문장 데이터를 이용한 언어 패턴 교육 학습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음성 파형의 비교를 통해 발음의 세기 및 강세의 위치를 세밀하게 체크할 수 있도록 하는 문장 데이터를 이용한 언어 패턴 교육 학습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원어민의 발음 데이터를 여성, 남성, 미국식 발음, 영국식 발음, 호주식 발음 등 여러가지 종류로 제공하여 폭 넓게 언어 학습을 하도록 하는 문장 데이터를 이용한 언어 패턴 교육 학습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문장 데이터를 이용한 언어 패턴 교육 학습장치는 문장 데이터, 문장 데이터와 관련된 액센트, 발음기호, 문장 데이터에 대하여 학습하는 국가의 언어로 해석된 뜻, 문장 데이터와 관련된 이미지 데이터 그리고 원어민 발음 영상 및 음성 파형 데이터가 저장된 저장부;
문장 데이터 선택 및 문장 데이터 입력 위한 입력부;
선정된 문장의 학습이 시작되면 “평서문 또는 의문문 또는 명령문 또는 감탄문으로 이루어진 문장 데이터”(이하 “문장 데이터 A”라고 함)가 표시되고, “문장 데이터 A와 의미와 문법적 연결이 합당한 여러가지 패턴의 문장 데이터”(이하 “문장 데이터 B”라고 함)가 순차적으로 표시되며, 표시된 문장 데이터와 관련된 이미지 데이터와 문장 데이터와 관련된 액센트, 발음기호, 문장 데이터에 대하여 학습하는 국가의 언어로 해석된 뜻이 표시되는 표시부;
학습자가 문장 데이터를 이용한 언어 패턴 교육 학습 시 표시된 문장 데이터를 발음할 경우에 학습자의 음성을 입력받기 위한 오디오 처리부;
상기 오디오 처리부를 통해 입력된 음성을 분석하고, 파형으로 변환하며, 입력된 음성에 대해 원어민 음성의 파형과 유사도를 비교 분석하기 위한 음성 분석 모듈부 및 음성 파형 처리부;
학습자의 문장 데이터 발음 시 얼굴 근육 변화 및 입술의 모양 그리고 치아와 혀의 위치 영상을 수집하기 위한 카메라부;
상기 카메라부로부터 입력된 학습자의 문장 데이터 발음 시 얼굴 근육 변화 및 입술의 모양 그리고 치아와 혀의 위치 영상 데이터의 포커스와 사이즈를 규격화하기 위한 영상 처리부; 및
상기 영상 처리부를 통해 규격화된 학습자의 문장 데이터 발음 시 얼굴 근육 변화 및 입술의 모양 그리고 치아와 혀의 위치 영상과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원어민의 문장 데이터 발음 시 영상을 비교하여 표시하고, 상기 음성 분석 모듈부와 음성 파형 처리부를 통해 처리된 파형과 저장된 원어민의 음성 파형을 표시하고, 유사도를 비교하여 50% 이상 유사 시 “good”, 50% 미만 유사 시 ”bad”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가 인터넷 웹 브라우저의 표시되는 문장 중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문장 데이터 A와 일치하는 문장에 대해 문장 데이터 A에 해당하는 부분을 다른 색깔로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유무선 네트워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가 DMB 영어방송에서 나오는 문장 중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문장 데이터 A와 일치하는 문장에 대해 문장 데이터 A에 해당하는 부분을 다른 색깔로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DMB 모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의 레이어(layer)는 Home, Dic 및 Option 텝으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Home 텝에는 학습자가 선택한 문장 데이터 A가 표시되고, 문장 데이터 A와 의미와 문법적 연결이 합당한 여러가지 패턴의 문장 데이터 B들이 순차적으로 표시되며, 표시된 문장 데이터와 관련된 이미지 데이터와 문장 데이터와 관련된 액센트, 발음기호, 문장 데이터에 대하여 학습하는 국가의 언어로 해석된 뜻, 원어민의 문장 데이터 발음 시 얼굴, 원어민의 문장 데이터 발음 시 입술의 모양 그리고 치아와 혀의 위치 모양, 학습자의 문장 데이터 발음 시 얼굴 또는 입술의 모양 그리고 치아와 혀의 위치 모양, 원어민의 음성 파형 및 학습자의 음성 파형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Option 텝은 문장 데이터를 연상시킬 수 있는 이미지 데이터 표시 여부 선택과, 원어민의 문장 발음 시 영상 및 음성 재생과 학습자의 문장 발음 시 영상 및 음성 재생 횟수의 여부 및 횟수 선택과, 액센트 표기 및 발음 기호 표기 여부 선택과, 음성 출력의 성별 선택과, 문장 데이터 색깔 표시 유무 선택과, 국가별 발음 음성 출력 선택과, 발음 교정 테스트 모드 선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언어 패턴 교육 테스트에서 텍스트, 음성 출력 중 어느 하나로 문제를 제시하고 객관식 또는 주관식으로 답을 선택할 수 있도록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문장 데이터를 이용한 언어 패턴 교육 학습방법은 학습자로부터 학습할 문장 데이터의 선택 명령이 입력되는 단계;
상기 선택된 “평서문 또는 의문문 또는 명령문 또는 감탄문으로 이루어진 문장 데이터”(이하 “문장 데이터 A”라고 함)가 표시되고, “문장 데이터 A와 의미와 문법적 연결이 합당한 여러가지 패턴의 문장 데이터”(이하 “문장 데이터 B”라고 함)가 순차적으로 표시되며, 표시된 문장 데이터와 관련된 이미지 데이터와 문장 데이터와 관련된 액센트, 발음기호, 문장 데이터에 대하여 학습하는 국가의 언어로 해석된 뜻이 표시되는 단계;
상기 선택된 문장 데이터에 따른 원어민 발음 시 영상이 표시되는 단계;
상기 표시된 문장 데이터에 따른 학습자의 문장 데이터 발음 시 음성 및 영상이 입력되는 단계;
원어민의 문장 데이터 발음 시 영상 및 학습자의 문장 데이터 발음 시 영상이 표시되어 재생되는 단계;
원어민 음성 파형과 학습자 음성 파형의 비교 화면이 표시되는 단계; 및,
원어민 음성 파형과 학습자 음성 파형의 비교 유사도가 50% 이상이면 “good” 50% 미만이면 “bad”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문장 데이터를 이용한 언어 패턴 교육 학습방법에 의하면, “평서문 또는 의문문 또는 명령문 또는 감탄문으로 이루어진 문장 데이터”(이하 “문장 데이터 A”라고 함)를 제공하고, 문장 구성과 말하기 학습을 할 수 있도록 “문장 데이터 A와 의미와 문법적 연결이 합당한 여러가지 패턴의 문장 데이터”(이하 “문장 데이터 B”라고 함)가 순차적으로 제공하며, 해당 문장 데이터와 관련된 액센트, 발음기호, 문장 데이터에 대하여 학습하는 국가의 언어로 해석된 뜻이 표시되고, 해당 문장 데이터를 연상시킬 수 있는 “이미지 또는 애니메이션 또는 영상”(이하 “이미지 데이터”라고 함)을 함께 제공하여 상황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며, 원어민의 발음 데이터와 학습자의 발음 데이터의 비교를 통해 학습자가 문장을 발음함에 있어 원어민의 발음과 유사해지도록 교정이 가능하며, 음성 파형의 비교를 통해 발음의 세기 및 강세의 위치를 세밀하게 체크할 수 있고, 원어민의 발음 데이터를 여성, 남성, 미국식 발음, 영국식 발음, 호주식 발음 등 여러가지 종류로 제공하여 폭 넓게 언어 학습을 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문장 데이터를 이용한 언어 패턴 교육 학습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2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선택한 문장 데이터를 이용한 언어 패턴 교육 학습의 레벨 선택 화면의 예를 나타낸 도면.
도 3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학습하고자 하는 문장 데이터를 이용한 언어 패턴 교육 선택 화면의 예를 나타낸 도면.
도 4,5,6,7,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문장의 학습 화면의 예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Dic 텝에서의 단어의 사전 정보를 표시한 예를 나타낸 도면.
도 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Option 텝에서의 문장학습 옵션 선택목록의 예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텍스트, 음성 출력 중 어느 하나로 문제를 제시하고 객관식 또는 주관식으로 답을 선택할 수 있는 언어 패턴 교육 테스트 방식의 예를 나타낸 도면.
도 12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터넷 웹 브라우저의 표시되는 문장 또는 DMB 영어방송에서 나오는 문장 중 문장 데이터를 이용한 언어 패턴 교육 학습장치 저장부에 저장된 문장 데이터 A와 일치하는 문장에 대해 문장 데이터 A에 해당하는 부분을 다른 색깔로 표시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문장 데이터를 이용한 언어 패턴 교육 학습방법의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문장 데이터를 이용한 언어 패턴 교육 학습장치 및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문장 데이터를 이용한 언어 패턴 교육 학습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문장 데이터를 이용한 언어 패턴 교육 학습장치(100)는 문장 데이터, 문장 데이터와 관련된 액센트, 발음기호, 문장 데이터에 대하여 학습하는 국가의 언어로 해석된 뜻, 문장 데이터와 관련된 이미지 데이터 그리고 원어민 발음 영상 및 음성 파형 데이터가 저장된 저장부(104)와, 문장 데이터 선택 및 문장 데이터 입력 위한 입력부(102)와, 학습자가 선택한 “평서문 또는 의문문 또는 명령문 또는 감탄문으로 이루어진 문장 데이터”(이하 “문장 데이터 A”라고 함)가 표시되고, “문장 데이터 A와 의미와 문법적 연결이 합당한 여러가지 패턴의 문장 데이터”(이하 “문장 데이터 B”라고 함)가 순차적으로 표시되며, 표시된 문장 데이터와 관련된 이미지 데이터와 문장 데이터와 관련된 액센트, 발음기호, 문장 데이터에 대하여 학습하는 국가의 언어로 해석된 뜻이 표시되는 표시부(114)와, 학습자가 문장 데이터 학습 시 표시된 문장 데이터를 발음할 경우에 학습자의 음성을 입력받기 위한 오디오 처리부(106)와, 상기 오디오 처리부(106)를 통해 입력된 음성을 분석하고, 파형으로 변환하며, 입력된 음성에 대해 원어민 음성의 파형과 유사도를 비교 분석하기 위한 음성 분석 모듈부(108) 및 음성 파형 처리부(110)와, 학습자의 문장 데이터 발음 시 얼굴 근육 변화 및 입술의 모양 그리고 치아와 혀의 위치 영상을 수집하기 위한 카메라부(112)와, 상기 카메라부(112)로부터 입력된 얼굴 근육 변화 및 입술의 모양 그리고 치아와 혀의 위치 영상의 포커스와 사이즈를 규격화하기 위한 영상 처리부(116)와, 상기 영상 처리부(116)를 통해 규격화된 학습자의 문장 데이터 발음 시 얼굴 근육 변화 및 입술의 모양 그리고 치아와 혀의 위치 영상과 상기 저장부(104)에 저장된 원어민의 문장 데이터 발음 시 영상을 비교하여 표시하고, 상기 음성 분석 모듈부(108) 와 음성 파형 처리부(110)를 통해 처리된 파형과 저장된 원어민의 음성 파형을 표시하고, 유사도를 비교하여 50% 이상 유사 시 “good”, 50% 미만 유사 시 ”bad”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122)와, 상기 제어부(122)가 인터넷 웹 브라우저의 화면에 표시되는 문장 중 상기 저장부(104)에 저장된 문장 데이터 A와 일치하는 문장에 대해 문장 데이터 A에 해당하는 부분을 다른 색깔로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유무선 네트워크부(118)와, 상기 제어부(122)가 DMB 영어 방송에서 나오는 문장 중 상기 저장부(104)에 저장된 문장 데이터 A와 일치하는 문장에 대해 문장 데이터 A에 해당하는 부분을 다른 색깔로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DMB 모듈부(120)로 구성된다.
도시되진 않았지만, 상기 표시부(114)의 화면을 좌/우로 구분하여 좌측에 인터넷 웹 브라우저의 화면 또는 DMB 방송 영상을 표시하고, 우측에 상기 저장부(104)에 저장된 문장과 일치하는 문장을 표시하여 학습자가 학습을 원하는 문장을 선택하면 상기 저장부(104)에 저장된 문장 데이터와 이미지 데이터와 원어민 발음 시 영상이 재생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학습자가 인터넷 웹 브라우저의 화면 또는 DMB 영어 방송을 통해 문장의 학습 상태를 확인해볼 수 있으며, 알아듣지 못했던 문장에 대해 문장 구성을 체크하고 복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시되진 않았지만, 외국어 학습서적 또는 컴퓨터, 스마트폰, 테블릿pc, pmp 등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되는 외국어 학습프로그램에 증강 현실을 구현하기 위한 마커를 표기하고, 상기 카메라부(112)를 통해 해당 마커를 수집하여, 저장부(104)에 저장된 문장 데이터, 문장 데이터와 관련된 액센트, 발음기호, 문장 데이터에 대하여 학습하는 국가의 언어로 해석된 뜻, 문장 데이터와 관련된 이미지 데이터 그리고 원어민 발음 영상 및 음성 파형 데이터 중 해당 마커와 관련된 각각의 데이터가 화면을 통해 재생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학습자가 학습 시 즉각적으로 학습과 관련된 데이터를 제공받고, 발음학습에도 도움이 되는 효과가 있다.
문장 데이터를 이용한 언어 패턴 교육 학습장치(100)는 컴퓨터 단말기, 테블릿 PC, 어학기 및 스마트폰을 포함하며, 상기 입력부(102)는 상기 문장 데이터를 이용한 언어 패턴 교육 학습장치 (100)의 키 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 모듈 및 터치 팬을 포함한다.
상기 오디오 처리부(106)는 음성 입력 및 출력과 미디어 출력이 가능하도록 마이크(microphone)와 스피커를 포함한다.
학습자가 학습하고자 하는 학습이 시작되면, 도 4,5,6,7,8에서와 같이, Home 텝(10)에 문장 데이터 A(11), 문장 데이터 B(12), 문장 데이터에 대하여 학습하는 국가의 언어로 해석된 뜻(13), 문장 데이터와 관련된 이미지 데이터(14), 원어민의 문장 발음 시 얼굴(15), 원어민의 문장 발음 시 입술의 모양 그리고 치아와 혀의 위치 (16), 학습자의 문장 발음 시 얼굴 또는 입술의 모양 그리고 치아와 혀의 위치 (17), 원어민의 음성 파형(18) 및 학습자의 음성 파형(19)이 표시되고 하단에 Next, Repeat, Slow 버튼과 녹음 및 재생 버튼이 표시된다.
도 5,6,8에서와 같이, 문장 데이터 A(11) 또는 문장 데이터 B(12)을 선택하면 별도 팝업창이 생성되면서 여러 패턴의 문장 데이터를 선택할 수 있도록 표시된다.
우선, 선택된 문장 데이터가 문장 데이터를 연상 시킬 수 있는 이미지 데이터와 함께 표시됨과 동시에 해당 문장 데이터을 발음하는 원어민의 문장 데이터 발음 시 동영상이 재생된다.
이후, 표시되진 않았지만 학습자의 음성을 입력받을 수 있도록 팝업메뉴를 띄워 문장 데이터를 이용한 언어 패턴 교육 학습장치(100)에 구비된 카메라를 바라보며 해당 문장 데이터를 발음하도록 한다.
음성 녹음 및 영상 촬영이 완료되면, 해당 문장 데이터에 대한 원어민의 문장 데이터 발음 시 입 부분이 확대된 발음 동영상과 학습자의 녹화된 발음 동영상이 재생 되도록 한다
영상 처리부(116)는 해당 화면의 프레임에 입 모양이 표시될 수 있도록 영상을 가공하여 규격화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탑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녹화된 영상이 데이터로 활용될 수 없는 경우 재녹화될 수 있도록 학습자에게 요구사항을 팝업메뉴 형태로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학습자의 발음 영상 재생은 녹화방식이 아닌 현재 학습자의 얼굴 근육 변화 및 입술의 모양 그리고 치아와 혀의 위치가 카메라를 통해 실시간으로 입력되어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학습자가 본인의 얼굴 근육 변화 및 입술의 모양 그리고 치아와 혀의 위치를 직접 화면을 통해 확인하면서 원어민의 발음과 같아지도록 연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음성 분석 모듈부(108)에서 학습자의 음성을 분석하고, 분석된 데이터를 토대로 음성 파형 처리부(110)를 통해 파형으로 변환시켜 원어민 음성 파형과 비교할 수 있도록 표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Dic 텝에서의 단어의 사전 상 정보를 표시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Dic 텝(20)을 선택하면 단어를 검색하여 단어의 사전적 의미와 예문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Option 텝에서의 언어학습 옵션 선택목록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Option 텝(30)은 문장 데이터를 연상시킬 수 있는 이미지 데이터 표시 여부 선택과, 원어민의 문장 발음 시 영상 및 음성 재생과 학습자의 문장 발음 시 영상 및 음성 재생 횟수의 여부 및 횟수 선택과, 액센트 표기 및 발음 기호 표기 여부 선택과, 음성 출력의 성별 선택과, 문장 데이터 색깔 표시 유무 선택과, 국가별 발음 음성 출력 선택과, 발음 교정 테스트 모드 선택 메뉴로 구성되며 표시되는 방식을 학습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하여 학습자가 자신에게 가장 적합한 방식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텍스트, 음성 출력 중 어느 하나로 문제를 제시하고 객관식 또는 주관식으로 답을 선택할 수 있는 언어 패턴 교육 테스트 방식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학습자가 단어 및 문장을 입력하는 방식은 객관식인 경우 손가락이나 터치펜으로 번호를 선택하거나 키패드로 번호를 입력할 수 있으며, 단어 및 문장을 직접 입력하는 경우에는 손가락 또는 터치펜으로 직접 단어 및 문장을 적거나 키패드로 단어 및 문장을 입력할 수 있다.
도 12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터넷 웹 브라우저의 표시되는 문장 또는 DMB 영어방송에서 나오는 문장 중 상기 저장부(104)에 저장된 문장 데이터 A와 일치하는 문장에 대해 문장 데이터 A에 해당하는 부분을 다른 색깔로 표시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장 데이터를 이용한 언어 패턴 교육 학습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3 참조하면, 먼저 입력부(102)를 통해 학습자는 학습하고자 하는 문장 데이터을 선택한다(S200).
상기 입력부(102)를 통한 학습 문장 데이터 선택이 완료되면, 표시부(114)의 Home(10)에 선택된 문장 데이터 A가 표시되고, 문장 데이터 A와 의미와 문법적 연결이 합당한 여러가지 패턴의 문장 데이터 B들이 순차적으로 표시되며, 표시된 문장 데이터와 관련된 이미지 데이터와 문장 데이터와 관련된 액센트, 발음기호, 문장 데이터에 대하여 학습하는 국가의 언어로 해석된 뜻, 해당 문장의 원어민 발음 시 영상이 표시 및 재생된다(S202).
이후, 오디오 처리부(106)를 통해 학습자의 문장 데이터 발음 시 음성을 입력받고, 카메라부(112)를 통해 학습자의 발음 시 얼굴 근육 변화 및 입술의 모양 그리고 치아와 혀의 위치 영상을 취득한다(S204).
저장부(104)에 저장된 원어민의 발음 시 영상이 재생되고, 영상 처리부(116)를 통해 포커스와 사이즈가 규격화된 학습자의 발음 시 영상이 재생되도록 한다(S206).
학습자의 발음 시 영상에 있어서는 학습자마다 문장 데이터를 발음할 때 카메라와의 거리, 학습자마다 영상에서 차지하는 얼굴 사이즈 등이 달라지게 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상기 영상 처리부(116)는 학습자의 얼굴 형태를 인식하고 프레임에서 얼굴 형태가 차지하는 사이즈로 확대 또는 축소하여 규격화된 포커스와 사이즈로 학습자의 발음 시 영상이 보여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학습자의 발음 시 영상 재생은 녹화 재생 또는 실시간 재생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오디오 처리부(106)를 통해 입력된 학습자의 음성 데이터를 음성 분석 모듈부(108)에서 분석하여 음성 파형 처리부(110)를 통해 파형으로 변환하여 표시될 수 있도록 한다(S208).
학습자의 음성 파형은 저장부(104)에 저장된 원어민의 음성 파형과 비교될 수 있도록 나란히 표시하고, 원어민이 어느 부분을 강하게 발음하는지를 학습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파형은 음의 진동 모양을 시간 차이로 나누어 표시할 때 생기는 파장의 형태로써, 음성 파형은 문장을 발음할 때의 액센트와 리듬을 확인할 수 있는 중요한 요소가 된다.
상기와 같이, 학습자가 원하는 학습을 원하는 문장 데이터를 선택하여 학습을 시작하면, 해당 문장 데이터 A가 표시되고, 문장 데이터 A와 의미와 문법적 연결이 합당한 여러가지 패턴의 문장 데이터 B들이 순차적으로 표시되며, 표시된 문장 데이터와 관련된 이미지 데이터와 문장 데이터와 관련된 액센트, 발음기호, 문장 데이터에 대하여 학습하는 국가의 언어로 해석된 뜻, 원어민의 발음 시 동영상이 표시되고, 학습자의 발음 시 음성과 영상을 입력받아 원어민의 발음 시 영상과 비교할 수 있도록 하며, 원어민의 음성 파형과 학습자의 음성 파형을 비교할 수 있도록 하여 정확한 발음 교정 및 정확한 액센트를 익힐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학습자가 학습하는 언어가 영어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영어 외에 중국어, 일본어, 독일어, 불어 등의 다른 외국어에도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0 : 문장 데이터를 이용한 언어 패턴 교육 학습장치 102 : 입력부
104 : 저장부 106 : 오디오 처리부
108 : 음성 분석 모듈부 110 : 음성 파형 처리부
112 : 카메라부 114 : 표시부
116 : 영상 처리부 118 : 유무선 네트워크부
120 : DMB 모듈부 122 : 제어부

Claims (8)

  1. 문장 데이터를 이용한 언어 패턴 교육 학습장치에 있어서,“단어 또는 구 또는 절 또는 문장”(이하 “문장 데이터” 라고 함), 문장 데이터와 관련된 액센트, 문장 데이터와 관련된 발음기호, 문장 데이터에 대하여 학습하는 국가의 언어로 해석된 뜻, 문장 데이터와 관련된 이미지 또는 애니메이션 또는 영상, 원어민 발음 영상 및 음성 파형 데이터가 저장된 저장부; 문장 데이터 선택 및 문장 데이터 입력 위한 입력부; 선정된 문장의 학습이 시작되면 “평서문 또는 의문문 또는 명령문 또는 감탄문으로 이루어진 문장 데이터”(이하 “문장 데이터 A”라고 함)가 표시되고, “문장 데이터 A와 의미와 문법적 연결이 합당한 여러가지 패턴의 문장 데이터”(이하 “문장 데이터 B”라고 함)가 순차적으로 표시되며, 표시된 문장 데이터와 관련된 이미지 또는 애니메이션 또는 영상과 문장 데이터와 관련된 액센트, 문장 데이터와 관련된 발음기호, 문장 데이터에 대하여 학습하는 국가의 언어로 해석된 뜻이 표시되는 표시부; 학습자가 문장 데이터 학습 시 표시된 문장 데이터를 발음할 경우에 학습자의 음성을 입력받기 위한 오디오 처리부; 상기 오디오 처리부를 통해 입력된 음성을 분석하고, 파형으로 변환하며, 입력된 음성에 대해 원어민 음성의 파형과 유사도를 비교 분석하기 위한 음성 분석 모듈부 및 음성 파형 처리부;학습자의 문장 데이터 발음 시 얼굴 근육 변화 및 입술의 모양 그리고 치아와 혀의 위치 영상을 수집하기 위한 카메라부; 상기 카메라부로부터 입력된 학습자의 문장 데이터 발음 시 얼굴 근육 변화 및 입술의 모양 그리고 치아와 혀의 위치 영상 데이터의 포커스와 사이즈를 규격화하기 위한 영상 처리부; 및 상기 영상 처리부를 통해 규격화된 학습자의 문장 데이터 발음 시 얼굴 근육 변화 및 입술의 모양 그리고 치아와 혀의 위치 영상과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원어민의 문장 데이터 발음 시 영상을 비교하여 표시하고, 상기 음성 분석 모듈부와 음성 파형 처리부를 통해 처리된 파형과 저장된 원어민의 음성 파형을 표시하고, 유사도를 비교하여 50% 이상 유사 시 “good”, 50% 미만 유사 시 ”bad”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장 데이터를 이용한 언어 패턴 교육 학습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인터넷 웹 브라우저의 표시되는 문장 중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문장 데이터 A와 일치하는 문장에 대해 문장 데이터 A에 해당하는 부분을 다른 색깔로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유무선 네트워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장 데이터를 이용한 언어 패턴 교육 학습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DMB 영어방송에서 나오는 문장 중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문장 데이터 A와 일치하는 문장에 대해 문장 데이터 A에 해당하는 부분을 다른 색깔로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DMB 모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장 데이터를 이용한 언어 패턴 교육 학습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의 레이어(layer)는 Home, Dic 및 Option 텝으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장 데이터를 이용한 언어 패턴 교육 학습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Home 텝에는 학습자가 선택한 문장 데이터 A가 표시되고, 문장 데이터 A와 의미와 문법적 연결이 합당한 여러가지 패턴의 문장 데이터 B들이 순차적으로 표시되며, 표시된 문장 데이터와 관련된 이미지 또는 애니메이션 또는 영상과 문장 데이터와 관련된 액센트, 문장 데이터와 관련된 발음기호, 문장 데이터에 대하여 학습하는 국가의 언어로 해석된 뜻, 원어민의 문장 데이터 발음 시 얼굴, 원어민의 문장 데이터 발음 시 입술의 모양 그리고 치아와 혀의 위치 모양, 학습자의 문장 데이터 발음 시 얼굴 또는 입술의 모양 그리고 치아와 혀의 위치 모양, 원어민의 음성 파형 및 학습자의 음성 파형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장 데이터를 이용한 언어 패턴 교육 학습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Option 텝은 문장 데이터를 연상시킬 수 있는 이미지 데이터 표시 여부 선택과, 원어민의 문장 발음 시 영상 및 음성 재생과 학습자의 문장 발음 시 영상 및 음성 재생 횟수의 여부 및 횟수 선택과, 액센트 표기 및 발음 기호 표기 여부 선택과, 음성 출력의 성별 선택과, 문장 데이터 색깔 표시 유무 선택과, 국가별 발음 음성 출력 선택과, 발음 교정 테스트 모드 선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장 데이터를 이용한 언어 패턴 교육 학습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언어 패턴 교육 테스트에서 텍스트, 음성 출력 중 어느 하나로 문제를 제시하고 객관식 또는 주관식으로 답을 선택할 수 있도록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장 데이터를 이용한 언어 패턴 교육 학습장치.
  8. 문장 데이터를 이용한 언어 패턴 교육 학습방법에 있어서, 학습자로부터 학습할 “단어 또는 구 또는 절 또는 문장”(이하 “문장 데이터” 라고 함)를 선택 명령이 입력되는 단계; 상기 선택된 “평서문 또는 의문문 또는 명령문 또는 감탄문으로 이루어진 문장 데이터”(이하 “문장 데이터 A”라고 함) 가 표시되고, “문장 데이터 A와 의미와 문법적 연결이 합당한 여러가지 패턴의 문장 데이터”(이하 “문장 데이터 B”라고 함)를 순차적으로 표시되며, 표시된 문장 데이터와 관련된 이미지 또는 애니메이션 또는 영상과 문장 데이터와 관련된 액센트, 문장 데이터와 관련된 발음기호, 문장 데이터에 대하여 학습하는 국가의 언어로 해석된 뜻이 표시되는 단계; 상기 선택된 문장 데이터에 따른 원어민 발음 시 영상이 표시되는 단계;
    상기 표시된 문장 데이터에 따른 학습자의 문장 데이터 발음 시 음성 및 영상이 입력되는 단계; 원어민의 문장 데이터 발음 시 영상 및 학습자의 문장 데이터 발음 시 영상이 표시되어 재생되는 단계; 원어민 음성 파형과 학습자 음성 파형의 비교 화면이 표시되는 단계; 및, 원어민 음성 파형과 학습자 음성 파형의 비교 유사도가 50% 이상이면 “good” 50% 미만이면 “bad”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KR1020130000023A 2013-01-01 2013-01-01 문장 데이터를 이용한 언어 패턴 교육 학습장치 및 방법 KR201400879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0023A KR20140087957A (ko) 2013-01-01 2013-01-01 문장 데이터를 이용한 언어 패턴 교육 학습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0023A KR20140087957A (ko) 2013-01-01 2013-01-01 문장 데이터를 이용한 언어 패턴 교육 학습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7957A true KR20140087957A (ko) 2014-07-09

Family

ID=51736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0023A KR20140087957A (ko) 2013-01-01 2013-01-01 문장 데이터를 이용한 언어 패턴 교육 학습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8795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99964A (ko) 2021-12-28 2023-07-05 주식회사 퍼넥티브 외국어 교육을 위한 온라인 플랫폼을 제공하는 서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99964A (ko) 2021-12-28 2023-07-05 주식회사 퍼넥티브 외국어 교육을 위한 온라인 플랫폼을 제공하는 서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0085B1 (ko) 외국어 학습 제어방법
KR100900081B1 (ko) 외국어 학습 제어방법
Stemberger et al. Phonetic transcription for speech-language pathology in the 21st century
KR20140078810A (ko) 언어 데이터 및 원어민의 발음 데이터를 이용한 리듬 패턴 학습장치 및 방법
KR20140087956A (ko) 단어 및 문장과 이미지 데이터 그리고 원어민의 발음 데이터를 이용한 파닉스 학습장치 및 방법
KR20140107067A (ko) 이미지 데이터와 원어민 발음 데이터를 이용한 단어 학습장치 및 방법
KR20140079677A (ko) 언어 데이터 및 원어민의 발음 데이터를 이용한 연음 학습장치 및 방법
KR20140087951A (ko) 이미지 데이터 및 원어민의 발음 데이터를 이용한 영어 문법 학습장치 및 방법
KR20140075994A (ko) 의미단위 및 원어민의 발음 데이터를 이용한 언어교육 학습장치 및 방법
Johnson An integrated approach for teaching speech spectrogram analysis to engineering students
KR20140087950A (ko) 언어 데이터 및 원어민의 발음 데이터를 이용한 리듬 패턴 학습장치 및 방법
KR20140028527A (ko) 단어의 음절 및 원어민의 발음 데이터를 이용한 단어 학습장치 및 방법
KR20140079245A (ko) 언어 데이터 및 원어민의 발음 데이터를 이용한 리듬 패턴 학습장치 및 방법
KR20140087957A (ko) 문장 데이터를 이용한 언어 패턴 교육 학습장치 및 방법
KR20140078082A (ko) 문장 데이터를 이용한 언어 패턴 교육 학습장치 및 방법
KR20140082127A (ko) 단어의 어원 및 원어민의 발음 데이터를 이용한 단어 학습장치 및 방법
KR20140074459A (ko) 단어의 음절와 이미지 데이터 및 원어민의 발음 데이터를 이용한 단어 학습장치 및 방법
KR20140073768A (ko) 의미단위 및 원어민의 발음 데이터를 이용한 언어교육 학습장치 및 방법
KR20140087955A (ko) 이미지 데이터 및 원어민의 발음 데이터를 이용한 영어 전치사 학습장치 및 방법
KR20140087959A (ko) 이미지와 단어의 음절 및 원어민의 발음 데이터를 이용한 단어 학습장치 및 방법
KR20140087953A (ko) 의미단위 및 원어민의 발음 데이터를 이용한 언어교육 학습장치 및 방법
KR20140101548A (ko) 연계 예문을 이용한 단어 학습장치 및 방법
KR20140078080A (ko) 이미지와 단어의 음절 및 원어민의 발음 데이터를 이용한 단어 학습장치 및 방법
KR102645783B1 (ko) 외국인 대상 한국어 교육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140078081A (ko) 단어 및 문장과 이미지 데이터 그리고 원어민의 발음 데이터를 이용한 파닉스 학습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