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7907A -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한 성형품 - Google Patents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한 성형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7907A
KR20140087907A KR1020120158706A KR20120158706A KR20140087907A KR 20140087907 A KR20140087907 A KR 20140087907A KR 1020120158706 A KR1020120158706 A KR 1020120158706A KR 20120158706 A KR20120158706 A KR 20120158706A KR 20140087907 A KR20140087907 A KR 201400879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acid
resin composition
group
thermoplastic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87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74090B1 (ko
Inventor
김두영
이정헌
조진경
장도훈
홍창민
Original Assignee
제일모직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일모직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일모직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587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4090B1/ko
Priority to DE102013227213.8A priority patent/DE102013227213B4/de
Priority to US14/143,067 priority patent/US9074094B2/en
Priority to CN201310752320.8A priority patent/CN103910989B/zh
Publication of KR201400879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79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40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409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1/00Compositions of polyeth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1/08Polyethers derived from hydroxy compounds or from their metallic derivatives
    • C08L71/10Polyethers derived from hydroxy compounds or from their metallic derivatives from phenols
    • C08L71/12Polyphenylene 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1/00Compositions of polyeth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1/08Polyethers derived from hydroxy compounds or from their metallic derivatives
    • C08L71/10Polyethers derived from hydroxy compounds or from their metallic derivatives from phenols
    • C08L71/12Polyphenylene oxides
    • C08L71/123Polyphenylene oxide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9Carboxylic acids; Metal salts thereof; Anhydrid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6Poly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7/02Polyamides derived from omega-amino carboxylic acids or from lactam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7/06Polyamides derived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9Carboxylic acids; Metal salts thereof; Anhydrides thereof
    • C08K5/092Poly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in the ring
    • C08K5/15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in the ring having one oxygen atom in the ring
    • C08K5/1535Five-membered rings
    • C08K5/1539Cyclic anhydrid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A) 폴리페닐렌에테르 16 내지 73 중량%; (B) 폴리아미드 18 내지 82 중량%; 및 (C) 폴리에틸렌계 중합체 1 내지 20 중량%를 포함한 기초 수지; 및 상기 기초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D) 2개 이상의 카르복시기를 포함하는 다관능성 상용화제 0.05 내지 1 중량부 및 (E) 탄소-탄소 이중결합과 함께 카르복시기 또는 산무수물기를 포함하는 다관능성 상용화제 0.05 내지 1 중량부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한 성형품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PRODUCT INCLUDING SAME}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한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폴리페닐렌에테르 수지는 기계적 물성, 내열성, 및 치수 안정성 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이다. 그러나, 폴리페닐렌에테르 수지 단독으로는 충격특성, 내화학성이 좋지 않고, 특히 용융 점도가 높아 가공성이 좋지 않다. 이 때문에, 폴리페닐렌에테르 수지는 가공성 향상 등을 위해 폴리아미드 등과 혼합하여 플라스틱 소재로서 사용된다. 그러나, 폴리페닐렌에테르와 폴리아미드는 서로에 대한 상용성이 좋지 않기 때문에, 용융 블랜딩에 의해 폴리페닐렌에테르 및 폴리아미드의 수지 조성물을 제조할 경우,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이 낮은 수준의 충격 강도 또는 인장강도와 낮은 수준의 내열성을 나타낼 수 있으며, 좋지 않은 외관을 가질 수 있다.
일 구현예는 용융 블랜딩에 의해 높은 수준의 충격 강도 및 인장 강도 등의 물성과 내열성 및 우수한 외관을 가진 성형품을 제조할 수 있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다른 구현예는 상기 수지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성형품을 제공한다.
일 구현예에 따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A) 폴리페닐렌에테르 16 내지 73 중량%; (B) 폴리아미드 18 내지 82 중량%; 및 (C) 폴리에틸렌계 중합체 1 내지 20 중량%를 포함한 기초 수지; 및 상기 기초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D) 2개 이상의 카르복시기를 포함하는 다관능성 상용화제 0.05 내지 1 중량부 및 (E) 탄소-탄소 이중결합과 함께 카르복시기 또는 산무수물기를 포함하는 다관능성 상용화제 0.05 내지 1 중량부를 포함한다.
상기 (A) 폴리페닐렌에테르는 9,000 내지 50,000 의 수평균 분자량 및 1.0 내지 2.5의 다분산 지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B) 폴리아미드는, 3,000 내지 50,000의 수평균 분자량 및 1.0 내지 5.0의 다분산 지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C) 폴리에틸렌계 중합체는, 중량평균 분자량이 10,000내지 300,000 의 범위일 수 있다.
상기 (C) 폴리에틸렌계 중합체는,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에틸렌-옥텐 공중합체, 초저밀도 폴리에틸렌, 중밀도 폴리에틸렌,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에틸렌-부텐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상기 (D) 2개 이상의 카르복시기를 포함하는 다관능성 상용화제는 시트르산, 말산, 아가릭산(agaricic acid)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상기 (E) 탄소-탄소 이중결합과 함께 카르복시기 또는 산무수물기를 포함하는 다관능성 상용화제는, 말레산, 푸마르산, 이타콘산, 말레산무수물, 이타콘산 무수물, 아코니트산(aconitic acid)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 따른 성형품은 상기 수지 조성물로부터 제조된다.
기계적 강도 및 내열성 등의 물성이 우수하고 향상된 외관을 가지는 성형품을 제조할 수 있는 폴리페닐렌에테르계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외관이 우수한 성형품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현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예시로서 제시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은 후술할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일 구현예에 따른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A) 폴리페닐렌에테르 16 내지 73 중량%, 구체적으로는 19 내지 70 중량%; (B) 폴리아미드 18 내지 82 중량%, 구체적으로는 20 내지 80 중량%; 및 (C) 폴리에틸렌계 중합체 1 내지 20 중량%, 구체적으로는1 내지 10 중량%를 포함한 기초 수지 100 중량부; 및 상기 기초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D) 2개 이상의 카르복시기를 포함하는 다관능성 상용화제 0.05 내지 1 중량부 및 (E) 탄소-탄소 이중결합과 함께 카르복시기 또는 산무수물기를 포함하는 다관능성 상용화제 0.05 내지 1 중량부를 포함한다. 이하, 각각의 구성 성분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A) 폴리페닐렌에테르 성분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서 상기 폴리페닐렌에테르는 하기의 페닐렌옥시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폴리머이다:
Figure pat00001
여기서, R1은 동일하거나 서로 상이하며 각각 독립적으로 할로겐, 치환 또는 미치환의 C1 내지 C30 지방족 유기기, 치환 또는 미치환의 C2 내지 C30 방향족 유기기, 또는 치환 또는 미치환의 C1 내지 C30 알콕시기이고, n1은 각각의 반복단위에서 동일하거나 서로 상이하며 각각 독립적으로 0 내지 4의 정수이다.
상기 폴리페닐렌에테르는, 하기 화학식 1로 나타내어지는, 1종 이상의 페놀 화합물의 축중합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2
화학식 1에서, R1, R2, R3, R4, 및 R5는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원자, 탄소수 1 내지 20의 치환 또는 미치환의 지방족 또는 방향족 유기기 (예컨대, 탄화수소기)로부터 선택되되, R1, R2, R3, R4, 및 R5 중 하나 이상은 수소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학식 1에서, R1, R2, R3, R4, 및 R5는,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염소, 브롬, 불소, 요오드, C1 내지 C7의 1차(primary) 또는 2차(secondary) 저급 알킬, 페닐, 할로알킬, 아미노알킬, 하이드로카르보녹시(hydrocarbonoxy), 및 할로하이드로카르보녹시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에서, R1, R2, R3, R4, 및 R5의 구체적인 예로서, 메틸, 에틸, n- 또는 iso- 프로필, pri-, sec-, 또는 t- 부틸, 클로로에틸, 히드록시에틸, 페닐에틸, 벤질, 히드록시메틸, 아미노메틸, 아미노에틸, 카르복시에틸, 메톡시카르보닐에틸, 시아노에틸, 페닐, 클로로페닐, 메틸페닐, 디메틸페닐, 에틸페닐, 알릴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화학식 1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페놀, o-, m-, 또는 p- 크레졸, 2,6-, 2,5-, 2,4- 또는 3,5-디메틸페놀, 2-메틸-6-페닐페놀, 2,6-디페닐페놀, 2,6,-디에틸페놀, 2-메틸-6-에틸페놀, 2,3,5-, 2,3,6-, 또는 2,4,6-트리메틸페놀, 3-메틸-6-t-부틸페놀, 2-메틸-6-알릴페놀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폴리페닐렌에테르 수지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폴리(1,4-페닐렌에테르), 폴리(1,3-페닐렌에테르), 폴리(1,2-페닐렌에테르), 폴리(2-메틸-1,4-페닐렌에테르), 폴리(3-메틸-1,4-페닐렌에테르), 폴리(2-메틸-1,3-페닐렌에테르), 폴리(4-메틸-1,3-페닐렌에테르), 폴리(5-메틸-1,3-페닐렌에테르), 폴리(6-메틸-1,3-페닐렌에테르), 폴리(3-메틸-1,2-페닐렌에테르), 폴리(4-메틸-1,2-페닐렌에테르), 폴리(5-메틸-1,2-페닐렌에테르), 폴리(6-메틸-1,2-페닐렌에테르), 폴리(2,6-디메틸-1,4-페닐렌에테르), 폴리(2,3-디메틸-1,4-페닐렌에테르), 폴리(3,5-디메틸-1,4-페닐렌에테르), 폴리(2,5-디메틸-1,4-페닐렌에테르), 폴리(2,4-디메틸-1,3-페닐렌에테르), 폴리(2,5-디메틸-1,3-페닐렌에테르), 폴리(2,6-디메틸-1,3-페닐렌에테르), 폴리(4,5-디메틸-1,3-페닐렌에테르), 폴리(4,6-디메틸-1,3-페닐렌에테르), 폴리(5,6-디메틸-1,3-페닐렌에테르), 폴리(3,4-디메틸-1,2-페닐렌에테르), 폴리(3,5-디메틸-1,2-페닐렌에테르), 폴리(3,6-디메틸-1,2-페닐렌에테르), 폴리(4,5-디메틸-1,2-페닐렌에테르), 폴리(4,6-디메틸-1,2-페닐렌에테르), 폴리(5,6-디메틸-1,2-페닐렌에테르)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수지 조성물에서, 상기 폴리페닐렌에테르는 수평균 분자량이 9,000 내지 50,000의 범위이고, 다분산 지수는 1.0 내지 2.5의 범위일 수 있다.
상기 폴리페닐렌에테르는, 공지된 방법에 의해 제조 가능하거나 혹은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하다.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한 폴리페닐렌에테르의 예로서는, 미쯔비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사의 PX100 계열, Blue Star사의 LXR계열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B) 폴리아미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서 사용 가능한 폴리아미드는, 주쇄 중에 아마이드기(-NHCO-)기를 포함하는 폴리머이며 그 종류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폴리아미드는, 락탐류의 개환 중합, 디아민과 디카르복시산의 축합 중합, 아미노카르복시산의 축합 중합 등에 의해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디아민은 지방족, 지환족, 또는 방향족 디아민일 수 있다. 디아민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테트라메틸렌디아민, 헥사메틸렌디아민, 운데카메틸렌디아민, 도데카메틸렌디아민, 트리데카메틸렌디아민, 2,2,4-트리메틸헥사메틸렌디아민, 2,4,4-트리메틸헥사메틸렌디아민, 5-메틸노나메틸렌디아민, 1,3-비스아미노메틸시클로헥산, 1,4-비스아미노메틸시클로헥산, m-페닐렌디아민, p-페닐렌디아민, m-크실렌디아민, p-크실렌디아민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디카르복시산으로서는, 지방족, 지환족, 또는 방향족 디카르복시산을 들 수 있다. 디카르복시산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아디프산, 수베르산, 아젤라산, 세바신산, 도데칸디카르복시산, 1,1,3-트리데칸디카르복시산, 1,3-시클로헥산디카르복시산,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나프탈렌디카르복시산, 다이머산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락탐류로서는, 구체적으로 ε-카프로락탐, 에난트락탐, ω라우로락탐 등을 들 수 있다. 아미노카르복시산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ε아미노카프론산, 7-아미노헵탄산, 8-아미노옥탄산, 9-아미노난산, 11-아미노운데칸산, 12-아미노도데칸산, 13-아미노트리데칸산 등을 들 수 있다.
전술한 락탐류, 디아민류, 디카르복시산류, 및 아미노카르복시산류를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로 축합 중합하여 폴리아미드 호모폴리머 또는 폴리아미드 코폴리머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폴리아미드는, 통상의 중합 방법, 예컨대, 용액 중합, 계면 중합, 용융 중합, 괴상 중합, 고상 중합 등의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폴리아미드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나일론6, 나일론66, 나일론 46, 나일론 11, 나일론 12, 나일론610, 나일론612, 나일론6/66, 나일론6/612, 나일론6/MXD (메타크실렌디아민), 폴리아미드 6T, 폴리아미드 6I, 폴리아미드66/I, 폴리아미드6T/6I, 폴리아미드 9T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B) 폴리아미드는, 3,000 내지 50,000의 수평균 분자량 및 1.0 내지 5.0의 다분산 지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폴리아미드는 공지된 방법에 의해 중합할 수 있거나 혹은 상업적으로 입수할 수 있다. 시판되고 있는 폴리아미드 수지로서는, Solutia 사의 Vydyne 시리즈, Rhodia사의 Stabamid, Radici사의 Radilon, Invista 사의 Torzen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C) 폴리에틸렌계 중합체
상기 폴리에틸렌계 중합체는 에틸렌 단량체의 단순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상기 폴리에틸렌계 중합체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폴리에틸렌계 중합체는, 약 0.95 g/cm3 이하, 약 0.94 g/cm3 이하, 더욱 구체적으로는 약 0.91 g/cm3 내지 0.94 g/cm3의 중량가중평균밀도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중량가중평균밀도는 각 폴리에틸렌계 중합체의 중량을 각 폴리에틸렌계 중합체의 밀도에 곱하여 평균을 낸 것을 의미한다. 단독 수지를 사용한 경우에는 그 수지의 밀도가 중량가중 평균밀도가 된다.
상기 폴리에틸렌계 중합체는, 약 0.1 g/10min 내지 약 30 g/10min의 용융지수(melt index, MI)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상기 폴리에틸렌계 중합체의 용융지수가 상기 범위 내인 경우, 다른 수지와 용이하게 혼합할 수 있고 이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기계적 강도를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상기 폴리에틸렌계 중합체는 약 80℃ 내지 약 170℃의 녹는점, 구체적으로는, 약 95℃ 내지 약 135℃, 더욱 구체적으로는 약 105℃ 내지 약 125℃의 녹는점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상기 폴리에틸렌계 중합체의 녹는점이 상기 범위 내인 경우, 이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내열성 및 기계적 강도를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상기 폴리에틸렌계 중합체는 약 10,000 g/mol 내지 약 300,000 g/mol, 예컨대 약 40,000 g/mol 내지 약 150,000 g/mol, 의 중량평균 분자량(Mw)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중량평균 분자량(Mw)이 상기 범위 내인 경우, 가공이 용이하고, 이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기계적 강도를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상기 폴리올레핀 중합체의 구체적 예로서는,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에틸렌-옥텐 공중합체, 초저밀도 폴리에틸렌, 중밀도 폴리에틸렌,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및 에틸렌-부텐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D) 2개 이상의 카르복시기를 포함하는 다관능성 상용화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2개 이상의 카르복시기를 포함하는 다관능성 상용화제를 상기 기초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5 내지 1 중량부, 구체적으로는 0.1 내지 0.5 중량부의 양으로 포함한다. 상기 2개 이상의 카르복시기를 포함하는 다관능성 상용화제의 구체적인 예는, 시트르산, 말산 및 아가릭산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PPE와 PA는 서로 상용성이 부족하여 일반적인 용융 블랜딩으로 조성물을 제조할 경우, 충격 강도 및 인장강도의 하락을 피할 수 없었다. 이러한 물성의 하락은 조성물 내에서 분산상과 연속상 간의 계면 접착의 부족에 기인한 것으로 생각된다. 상기 2개 이상의 카르복시기를 포함하는 다관능성 상용화제를 단독으로 사용할 경우, 계면 접착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지만, 수지 가공 시 미반응된 상용화제에 의해 폴리아미드가 분해될 수 있으며, 이는 성형품의 기계적 강도, 내열성 등 물성 저하를 초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구현예에 따른 상기 조성물에서는, 이러한 2개 이상의 카르복시기를 포함하는 다관능성 상용화제가, 후술하는 바와 같이 탄소-탄소 이중결합과 함께 카르복시기 또는 산무수물기를 포함하는 다관능성 상용화제와 동시에 사용되므로, 폴리아미드와의 반응성 향상과 함께 PPE계 수지의 활성화를 촉진시킴으로써, 미반응 상용화제로 인한 물성 저하 없이 보다 향상된 기계적 강도 및 내열성을 가지며, 외관이 보다 우수한 성형품을 제공할 수 있다.
(E) 탄소-탄소 이중결합과 함께 카르복시기 또는 산무수물기를 포함하는 다관능성 상용화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상기 (D) 2개 이상의 카르복시기를 포함하는 다관능성 상용화제에 부가하여, (E) 탄소-탄소 이중결합과 함께 카르복시기 또는 산무수물기를 포함하는 다관능성 상용화제를, 상기 기초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5 내지 1 중량부, 구체적으로는 0.1 내지 0.5 중량부의 양으로 포함한다. 상기 (E) 탄소-탄소 이중결합과 함께 카르복시기 또는 산무수물기를 포함하는 다관능성 상용화제의 구체적 예는, 말레산, 푸마르산, 이타콘산, 말레산 무수물, 이타콘산 무수물, 및 아코니트산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E) 탄소-탄소 이중결합과 함께 카르복시기 또는 산무수물기를 포함하는 다관능성 상용화제는, (D) 2개 이상의 카르복시기를 포함하는 다관능성 상용화제와 함께 사용될 경우, PPE 및 폴리아미드 포함 수지 조성물에서, PPE와 폴리아미드간의 상용성을 향상시키면서도, 미반응 상용화제로 인한 폴리아미드 분해 등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제조되는 성형품이 보다 높은 기계적 강도 및 내열성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향상된 외관을 가질 수 있게 한다.
상기 (D) 2개 이상의 카르복시기를 포함하는 다관능성 상용화제에 대한 (E) 탄소-탄소 이중결합과 함께 카르복시기 또는 산무수물기를 포함하는 다관능성 상용화제의 비율은, 1:5 내지 5:1일 수 있다.
(F) 기타 성분들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상기 (A) 내지 (E) 성분 이외에, 필요에 따라, 충격 보강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충격 보강제로서는, 폴리페닐렌 에테르 및 폴리아미드 포함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서 사용되는 통상의 충격 보강제를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충격 보강제의 예로서는, 예컨대, ABA 트리블록 코폴리머 및 A-B 디블록 코폴리머 (여기서, A는 방향족 비닐 블록, B는 고무 블록임)를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ABA 트리블록 코폴리머 및 A-B 디블록 코폴리머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폴리스티렌-폴리부타디엔, 폴리스티렌-폴리(에틸렌-프로필렌), 폴리스티렌-폴리이소프렌, 폴리스티렌-폴리부타디엔-폴리스티렌, 폴리스티렌-폴리에틸렌부틸렌-폴리스티렌(SEBS)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충격 보강제는, 상기 기초수지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0 중량부 이하의 양으로, 구체적으로는 0.1 내지 10 중량부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 사출 성형성 등의 성형성을 향상시키고 각 물성들 간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 혹은 상기 수지 조성물의 최종 용도에 따라 필요한 1종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첨가제로서는, 난연제, 계면활성제, 핵제, 커플링제. 충전제, 가소제, 충격 보강제, 활제, 항균제, 이형제, 열안정제, 산화 방지제, 광 안정제, 무기물 첨가제, 착색제, 안정제, 윤활제, 정전기 방지제, 안료, 염료, 방염제 등이 사용될 수 있고 이들은 단독으로 혹은 2종 이상의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들 첨가제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물성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적절히 포함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기초수지 100중량부에 대비하여 20 중량부 이하, 구체적으로는 10 중량부 이하, 더 구체적으로는 5 중량부 이하, 보다 구체적으로는 3 중량부 이하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라, 상기 열가소성 조성물을 포함하는 성형품이 제조된다. 상기 성형품은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여 사출 성형, 압출 성형 등, 당해 기술 분야에 공지된 다양한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높은 수준의 내충격성 및 강성 등의 기계적 물성 및 내열성을 가지면서도 외관이 우수한 성형품을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으며, 제조된 성형품은 외관 불량이 거의 없고 매우 바람직한 물성 밸런스를 나타내므로, 전기 전자 기기용 부품재, 자동차용 부재, 건축용 부재 등에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
이하에서 본 발명을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하나, 하기의 실시예 및 비교예는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내지 4
하기 표 1에 나타낸 각각의 성분들을 하기 표 1에 나타낸 양 (단위: 중량부)으로 용융 및 혼련하고 압출하여 펠렛 형태로 제조하였다. 상기 압출은 L/D=44, 직경 35 mm인 이축 압출기를 사용하였으며, 바렐 온도는 330도씨로 설정하였다.
 
비교예 1 내지 8
하기 표 1에 나타낸 성분 및 양의 중합체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펠렛 형태의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비교예
1 2 3 4 1 2 3 4 5 6 7 8
(A)PPE (중량부) 70 70 19 19 75 75 14 14 70 70 19 19
(B)폴리아미드 (중량부) 20 20 80 80 15 15 85 85 20 20 80 80
(C) 폴리에틸렌
(중량부)
10 10 1 1 10 10 1 1 10 10 1 1
(D) 시트르산 (중량부) 0.1 0.5 0.1 0.5 0.1 0.5 0.1 0.5 0.6  - 0.6  -
(E) 말레산 무수물
(중량부)
0.5 0.1 0.5 0.1 0.5 0.1 0.5 0.1  - 0.6  - 0.6
(A) 폴리페닐렌에테르(PPE): Blue star, LXR-035C, (Mn 24,000 g/mol, PDI 1.35)
(B) 폴리아미드(PA): Solutia, VYDYNE 50BW (Mn 25,000 g/mol, PDI 1.9)
(C) 폴리에틸렌(PE): 한화석유화학, LLDPE 9730 (Mn 50,000 g/mol, PDI 1.5) (밀도: 0.92 g/cm3)
(D) 시트르산: 삼전 화학
(E) 말레산무수물: 용산화학,
물성 시험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8에서 제조된 펠렛을 사용하여 100℃에서 5시간 건조 후 120 ton 사출기를 사용하여 실린더 온도 280℃, 금형 온도 80℃의 조건 하에 시편을 제작하고, 각각의 시편에 대하여, 하기와 같이 Izod 충격 강도, 인장강도, 굴곡률, 내열도의 측정 및 육안에 의한 외관 평가를 수행하고, 그 결과를 표 2에 정리하였다.
(1) 충격 강도 (kgfcm/cm):
ASTM D 256 IZOD 충격 강도 시험법에 따라 측정함.
(2) 인장강도(kgf/cm2):
ASTM D 638 인장강도 시험법에 따라 측정함.
(3) 굴곡률 (kgf/cm2):
ASTM D 790 굴곡강도 시험법에 따름.
(4) 내열도(℃):
ASTM D 648 HDT 시험법에 따라 측정함.
(5) 외관:
사출 후, 표면 가스 및 백화(whitening) 발생 유무로 평가함. 표면 가스 및 백화 발생이 없는 경우, ○로 판정하고, 발생한 경우, × 로 판정함.
 
 
실시예 비교예
1 2 3 4 1 2 3 4 5 6 7 8
충격강도 [kgfcm/cm] 20 21 27 25 5 3 30 28 6 7 11 13
인장 강도 [kgf/cm2] 700 680 550 540 720 700 400 380 550 220 430 450
굴곡률 [kfg/cm2] 22000 23000 20500 20100 22500 23500 17800 18000 19200 19800 18300 18500
내열도
[℃]
207 205 198 195 206 204 182 179 204 203 185 185
외관 × × × ×
상기 표 2의 결과로부터 실시예 1 내지 4의 수지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시편의 경우, 충격강도, 인장 강도, 및 굴곡률과 함께 내열성이 높은 수준을 나타내어 바람직한 물성 밸런스를 달성하는 동시에 우수한 외관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대조적으로, 비교예 1 내지 8의 조성물의 경우, 충격강도, 인장강도, 굴곡률 및 내열도에서 밸런스가 이루어지지 않으며, 외관도 좋지 않은 경우가 발생함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통상의 기술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7)

  1. (A) 폴리페닐렌에테르 16 내지 73 중량%; (B) 폴리아미드 18 내지 82 중량%; 및 (C) 폴리에틸렌계 중합체 1 내지 20 중량%를 포함하는 기초 수지; 및 상기 기초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D) 2개 이상의 카르복시기를 포함하는 다관능성 상용화제 0.05 내지 1 중량부 및 (E) 탄소-탄소 이중결합과 함께 카르복시기 또는 산무수물기를 포함하는 다관능성 상용화제 0.05 내지 1 중량부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폴리페닐렌 에테르는 9,000 내지 50,000 의 수평균 분자량 및 1.0 내지 2.5의 다분산 지수를 가지고, 상기 (B) 폴리아미드는, 9,000 내지 50,000의 수평균 분자량 및 1.0 내지 5.0의 다분산 지수를 가지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폴리에틸렌계 중합체는, 중량평균 분자량이 10,000내지 300,000 의 범위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폴리에틸렌계 중합체는,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에틸렌-옥텐 공중합체, 초저밀도 폴리에틸렌, 중밀도 폴리에틸렌,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에틸렌-부텐 공중합체 및 이들의 조합에서 선택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 2개 이상의 카르복시기를 포함하는 다관능성 상용화제는 시트르산, 말산, 아가릭산(agaricic acid) 또는 이들의 조합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E) 탄소-탄소 이중결합과 함께 카르복시기 또는 산무수물기를 포함하는 다관능성 상용화제는, 말레산, 푸마르산, 이타콘산, 말레산무수물, 이타콘산 무수물, 아코니트산, 또는 이들의 조합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성형품.
KR1020120158706A 2012-12-31 2012-12-31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한 성형품 KR1015740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8706A KR101574090B1 (ko) 2012-12-31 2012-12-31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한 성형품
DE102013227213.8A DE102013227213B4 (de) 2012-12-31 2013-12-30 Thermoplastische harzzusammensetzung und diese einschliessendes formprodukt
US14/143,067 US9074094B2 (en) 2012-12-31 2013-12-30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product including same
CN201310752320.8A CN103910989B (zh) 2012-12-31 2013-12-31 热塑性树脂组合物和包括该组合物的模制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8706A KR101574090B1 (ko) 2012-12-31 2012-12-31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한 성형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7907A true KR20140087907A (ko) 2014-07-09
KR101574090B1 KR101574090B1 (ko) 2015-12-03

Family

ID=50928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8706A KR101574090B1 (ko) 2012-12-31 2012-12-31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한 성형품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074094B2 (ko)
KR (1) KR101574090B1 (ko)
CN (1) CN103910989B (ko)
DE (1) DE102013227213B4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04997A1 (ko) * 2018-06-29 2020-01-02 롯데첨단소재(주)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221401A4 (en) * 2014-11-18 2018-07-18 SABIC Global Technologies B.V. Flame retardant, reinforced polyamide-poly(phenylene ether) composition
CN112143196B (zh) * 2020-08-25 2023-09-22 天津金发新材料有限公司 一种阻燃pc/abs组合物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53652A (ja) 1986-03-28 1987-11-05 Japan Synthetic Rubber Co Ltd 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H0258563A (ja) 1988-08-24 1990-02-27 Eng Plast Kk 耐低温衝撃性に優れたポリフェニレンエーテル及びポリアミドを含む樹脂組成物
JPH055056A (ja) 1990-10-30 1993-01-14 Mitsubishi Kasei Corp 熱可塑性樹脂組成物
DE4106262A1 (de) 1991-02-28 1992-09-03 Basf Ag Faserverstaerkte thermoplastische formmassen
US5185036A (en) 1991-06-27 1993-02-09 Calgon Corporation Soluble tellurium compositions
ES2098818T3 (es) 1994-06-01 1997-05-01 Gen Electric Composicion termoplastica que comprende una resina de base de poli(fenileno-eter)-poliamida compatibilizada y negro de carbon electroconductor.
DE69908581T2 (de) 1998-04-22 2004-04-22 General Electric Co. Verfahren zum vermindern der entformungskraft von kompatibilisierte polyphenylenether-polyamid zusammensetzungen
ATE304574T1 (de) 1998-08-31 2005-09-15 Gen Electric Flammhemmende polyphenylenether-polyamid harzmischungen
EP1125985B1 (en) 2000-02-15 2003-05-02 Asahi Kasei Kabushiki Kaisha Polyamide composition
US7022776B2 (en) 2001-11-07 2006-04-04 General Electric Conductive polyphenylene ether-polyamide composition,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and article derived therefrom
US7897687B2 (en) 2004-03-31 2011-03-01 Asahi Kasei Chemicals Corporation Polyamide/polyphenylene ether resin composition
CN101724252A (zh) * 2009-12-18 2010-06-09 上海金发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半芳香族尼龙与聚苯醚的合金
KR101397689B1 (ko) * 2010-12-30 2014-05-22 제일모직주식회사 폴리페닐렌에테르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04997A1 (ko) * 2018-06-29 2020-01-02 롯데첨단소재(주)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4090B1 (ko) 2015-12-03
DE102013227213A1 (de) 2014-07-03
CN103910989A (zh) 2014-07-09
US9074094B2 (en) 2015-07-07
DE102013227213B4 (de) 2018-05-17
CN103910989B (zh) 2016-06-22
US20140187686A1 (en) 2014-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3228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한 성형품
CN105899586B (zh) 聚酰胺系热塑性弹性体组合物及其成型品
KR102516069B1 (ko)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ps) 및 폴리아미드 6(pa6)을 함유하는 충전된 조성물
KR102082420B1 (ko) 장기 내열성이 향상된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KR20130041355A (ko) 열― 및 광―안정화 폴리아미드 조성물
US20090030141A1 (en) Poly(arylene ether) composition, method, and article
KR101583229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한 성형품
KR101574090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한 성형품
KR20220020343A (ko) 높은 모듈러스 및 낮은 유전 상수를 갖는 폴리아미드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1757578B1 (ko) 변성 폴리(아릴렌 에테르)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20210030364A (ko) 강화 폴리프탈아미드/폴리페닐렌 에테르 조성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물품
KR20150013501A (ko) 열가소성 중합체 조성물 및 이로 제조된 성형품
EP0751186A2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WO2022075180A1 (ja) ポリアミド樹脂組成物
KR102452073B1 (ko) 유리섬유 보강 폴리아마이드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KR102083231B1 (ko) 보강된 폴리프탈아미드/폴리(페닐렌 에테르) 조성물
JPWO2020050326A1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2019536878A (ja) ポリフェニレンスルフィド(pps)を含有するポリマー組成物における熱老化安定剤としてのポリアミド6(pa6)の使用
SK66093A3 (en) Thermoplastic composition based on polyphenylene ether and polyamide
US8865279B2 (en) Reinforced polyphthalamide/poly(phenylene ether) composition
WO2023181711A1 (ja) ポリアミド樹脂組成物、磁性材樹脂複合材料及びその成形品
JP2636805B2 (ja) 樹脂組成物
JPS63162757A (ja) 樹脂組成物
JP2019059806A (ja) ペレット、成形品およびペレットの製造方法
KR960006628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