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7886A - Stove for wood with excellent combustion efficiency - Google Patents

Stove for wood with excellent combustion efficienc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7886A
KR20140087886A KR1020120158665A KR20120158665A KR20140087886A KR 20140087886 A KR20140087886 A KR 20140087886A KR 1020120158665 A KR1020120158665 A KR 1020120158665A KR 20120158665 A KR20120158665 A KR 20120158665A KR 20140087886 A KR20140087886 A KR 201400878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ombustion
air inlet
wood
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866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422091B1 (en
Inventor
한태원
Original Assignee
한태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태원 filed Critical 한태원
Priority to KR10201201586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2091B1/en
Publication of KR201400878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788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20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209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24B1/185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with air-handling means, heat exchange means, or additional provisions for convection heating ; Controlling combustion
    • F24B1/189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with air-handling means, heat exchange means, or additional provisions for convection heating ; Controlling combustion characterised by air-handling means, i.e. of combustion-air, heated-air, or flue-gases, e.g. draught control dampers 
    • F24B1/19Supplying combustion-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24B1/191Component parts; Accessories
    • F24B1/192Doors; Screens; Fuel gu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28Combined installations of stoves or ranges, e.g. back-to-back stoves with a common fire-box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lid-Fuel Combustion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ood burning stove with excellent combustion efficiency, and, more specifically, to a wood burning stove which adds beauty and romance in enjoying blazing flames, significantly improves combustion efficiency by securing sufficient air flow, and purifies indoor air by intensively taking in hazy air in the upper atmosphere indoors during combus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smoke generated during the combustion from entering through a visible window installed at the front end of an air inlet duct by making an air flow, which moves from a combusted air inlet disposed at an upper side to an air inlet duct disposed at a lower side, to act as an air curtain. Also, it is possible to freely adjust an amount of inflow of combusted air by easily controlling the opening/closing of the combusted air inlet.

Description

연소효율이 우수한 목재용 난로{Stove for wood with excellent combustion efficiency}[0001] Stove for wood with excellent combustion efficiency [0002]

본 발명은 훨훨 타오르는 불꽃을 감상할 수 있는 낭만과 운치를 더해주고, 충분한 공기유량을 확보하여 연소효율을 획기적으로 향상하면서도 연소시 실내의 탁해진 상층부 공기를 집중적으로 유입하여 실내 공기를 정화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ology for purifying indoor air by intensively introducing the upper layer air in the room during combustion while greatly improving the combustion efficiency by securing sufficient air flow rate and adding romanticism and enthusiasm to appreciate a flaming flame .

근자에 들어 산업발전과 더불어 난방기구의 연료는 대부분 유류를 사용하거나 혹은 전기를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나 상기 연료원은 많은 에너지의 손실과 외화의 낭비를 가져온다.In recent years, along with industrial development, most of the fuel of the heating apparatus uses oil or electricity, but the fuel source causes a lot of energy loss and waste of foreign currency.

이에 반해 땔감으로서의 충분한 가치가 있는 엄청난 양의 폐목재가 있음에도 이를 활용할 수 있는 적절한 난방기구가 없어 이를 폐기하고 있으며, 이러한 폐기과정에서 별도의 폐기비용이 소요되는 극히 불합리한 현실에 직면하고 있는 실정이다.On the other hand, even though there is an enormous amount of waste wood with sufficient value as a firewood, there is no proper heating mechanism to utilize it, and the waste is discarded.

따라서 난방비의 절감 및 폐자재의 자원 재활용이라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겨울철 건설현장과 같은 옥외에서는 난방을 위해 드럼통 등을 일부 절개하여 그 내부에 나무나 건설 폐목재 등을 태워 추위를 해소하고 있으며, 공장이나 가건물 등과 같은 옥내의 경우에는 안전을 고려하여 연소용기(난로)를 밀폐형으로 제작하고 있는 것이었다.Therefore,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reducing heating costs and recycling of waste materials, drums are partially cut out for heating in the outdoors such as a winter construction site, and trees and construction waste wood are burned in the interior to eliminate the cold. Or in the case of indoors such as tall buildings, the combustion container (stove) is manufactured in a closed type in consideration of safety.

상기한 목재를 이용한 난로는 주조품 또는 철판 등에 의하여 단순하게 원통체 또는 소정의 형상으로 동체가 구성되고 이 동체에 목재투입구 및 연통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목재투입구를 통해 목재를 넣게 되면 내부에서 연소가 이루어지며 연소가스는 연통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된다.The furnace using the above-mentioned wood is composed of a cylindrical body or a body in a predetermined shape simply by means of a casting or an iron plate, and a wood input port and a communication port are formed in the body. When the wood is inserted through the wood input port, The combustion gas is configured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communication.

이와 같은 목재용 난로에 관련한 대표적인 선행기술로는 본 발명 출원인의 선출원 발명인 「특허출원 제2005-128933호, 명칭/ 목재용 난로」가 제안되고 있으며, 상기 선출원 발명은 제1 연소실 내의 연소열이 방사상으로 배치된 다수의 순환파이프의 간극을 통해 제2 연소실의 전영역으로 골고루 분산, 유도된 후 상기 순환파이프의 내부를 장시간 경유하여 난로의 국부적인 가열을 방지함은 물론 외부로 버려지는 방출열의 손실을 줄여 난방효율을 획기적으로 향상하는 유용한 효과를 제공한다.As a representative prior art related to such a wood hearth, "Patent Application No. 2005-128933, name / wood hearth", which is a prior invention of the applica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posed. In the above-mentioned first invention, The circulation pipe is uniformly dispersed and guided to the entire area of the second combustion chamber through the gap of the plurality of circulation pipes disposed therein, and then the inside of the circulation pipe is passed for a long time to prevent local heating of the stove, Thereby providing a useful effect of drastically improving the heating efficiency.

그러나, 상기한 선출원 발명은 불꽃을 확인할 수 있는 투시창이 미처 마련되어 있지 않아 불꽃을 육안으로 즐길 수 있는 운치를 제공할 수 없으며, 나아가 다른 일부의 목재용 난로에는 투시창이 마련되어 있으나, 사용도중 그을음에 의해 쉽게 오염이 되어 그나마 제 기능을 다할 수 없고, 조그만 사용하더라도 실내의 공기가 탁해지는 문제점이 야기된다.However, since the above-mentioned invention does not provide a window for confirming flame, it is not possible to provide an opportunity to enjoy the flame with the naked eye. Further, some other wood stoves are provided with a sight window. However, It is difficult to perform the functions of the air conditioner easily, and even if the air conditioner is used for a small amount of time, the indoor air becomes cloudy.

또한, 연소실의 하측 면적이 넓어 목재가 분산된 상태로 연소됨으로써 열효율이 저하되어 실제의 난방효과가 낮을 뿐만 아니라 연료의 수명이 짧아 소모량이 많고, 미연소율이 높아 재의 발생이 많은 문제점이 야기된다.In addition, since the lower side area of the combustion chamber is wider and the wood is burned in a dispersed state, the thermal efficiency is lowered and the actual heating effect is lowered, as well as the life of the fuel is short, resulting in high consumption and high combustion rate.

또한, 연소시 대류현상으로 인해 더운 이산화탄소를 포함하는 더운 공기가 실내의 상층부에 위치함에도 공기유입구가 난로의 하측에 형성됨으로써 실내 공기를 전혀 정화할 수 없어 실내 공기의 탁도는 더욱더 증가하는 폐단이 있다.Also, although the hot air containing hot carbon dioxide is located in the upper part of the room due to the convection during combustion, the air inlet is formed below the stove so that the room air can not be purified at all, and the turbidity of the room air is further increased .

본 발명은 상기한 선출원 발명을 포함하는 여타 모든 목재용 난로가 내포하고 있는 제반 문제점을 적극적으로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상측에 배치된 연소공기 유입구에서 하측에 배치된 공기 유입덕트의 방향으로 이동하는 공기흐름을 만들어 연소시 발생하는 연기가 상기 공기 유입덕트의 선단에 설치된 투시창으로 침입함을 방지하는 에어커튼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을 발명의 해결과제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positively solve all the problems contained in all other wood stoves including the above-mentioned invention,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ir- So that the smoke generated during the combustion can be prevented from entering the sight window installed at the front end of the air inflow duct.

또한, 본 발명은 연소공기 유입구의 개도를 간편하게 조작하면서 연소공기의 유입량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함을 발명의 해결과제로 한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amount of inflow of combustion air while easily operating an opening of a combustion air inlet.

또한, 본 발명은 상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넓어지는 연소실의 특수구조를 통해 상기 연소실의 하측에 목재가 집합되어 완전연소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함을 발명의 해결과제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pecial structure of a combustion chamber having a larger cross-sectional area as it goes up to the upper part, whereby wood is collected on the lower side of the combustion chamber so that complete combustion can be realized.

본 발명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상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넓어지는 상광하협의 형태로 난로 몸체를 형성하고, 상기 난로 몸체의 일측 측판 상부에 형성된 목재투입구에 투입구 도어를 개폐가능하게 설치하되 상기 투입구 도어의 중앙에는 선단에 투시창이 설치된 공기 유입덕트를 연통 설치하며, 상기 공기 유입덕트의 상단에 연소공기 유입구를 끼움 설치하는 기술을 강구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ove body in the form of an upper light-tight narrowing section having a larger cross-sectional area as it goes up to the upper part, and an inlet door is provided at a wood inlet formed on one side plate of the stove body so as to be openable and closable An air inflow duct having a front window is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inlet door, and a combustion air inlet is inserted into the upper end of the air inflow duct.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측판의 하부에 형성된 청소구를 막아주는 청소구 게이트를 상하 이동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청소구 게이트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게이트 가이드판에는 상기 청소구 게이트를 가압 고정하는 게이트 개폐구를 관통 설치하는 기술을 강구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leaning apparatus comprising: a cleaning gate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side plate to vertically move the cleaning gate, the gate guide plate guiding the up and down movement of the cleaning gate, A technique for insta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port is proposed.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연소공기 유입구의 내부에 공기조절 댐퍼를 설치하되 상기 공기조절 댐퍼를 관통하여 일체화 구성된 개도 조절구의 하부를 상기 공기유입 덕트의 바닥면을 외부로 관통하여 나사결합 설치하는 기술을 강구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technology for installing an air control damper in the combustion air inlet, wherein a lower portion of an opening control unit integrated with the air control damper is passed through the bottom surface of the air inlet duct, I will try.

본 발명에 따르면, 상측의 연소공기 유입구에서 하측의 공기 유입덕트로 이동하는 공기흐름을 만들어 상기 공기 유입덕트에 에어커튼을 형성함으로써 연소시 발생하는 연기가 공기 유입덕트의 선단에 설치된 투시창을 오염시키는 현상을 원천적으로 봉쇄하여 실내난방을 원활하게 수행하면서도 훨훨 타오르는 불꽃을 육안으로 감상할 수 있는 낭만과 운치를 더해주는 효과를 제공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air flow moving from an upper combustion air inlet port to a lower air inlet duct is formed to form an air curtain in the air inlet duct, so that smoke generated during combustion contaminates a sight window installed at the tip of the air inlet duct It provides the effect of adding romanticism and enthusiasm to the naked eye to appreciate the flaming fire that is flare while smoothly performing indoor heating by blocking the phenomenon originally.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연소공기 유입구의 개도를 간편하게 조작하면서 연소공기의 유입량을 자유롭게 조절함으로써 충분한 공기유량을 확보하여 연소효율을 향상함은 물론 특히 상기 연소공기 유입구가 상측에 배치됨으로써 실내의 탁해진 상층부 공기를 주로 유입시켜 실내 공기를 정화하는 효과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freely adjust the inflow amount of the combustion air while easily operating the opening of the combustion air inflow port to secure a sufficient air flow rate to improve the combustion efficiency, and in particular, the combustion air inflow port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It is possible to purify the indoor air by mainly introducing the upper-layer air.

또한, 본 발명의 연소실은 상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넓어지는 특수한 구조로 구성됨으로써 목재가 분산되지 않고 단면적이 협소한 연소실의 하측으로 목재가 집합되어 완전연소를 구현하여 열효율이 매우 뛰어나 난방효과가 우수하고, 연료의 수명이 길어 연료비를 획기적으로 절감하며, 연소율이 높아 재의 발생이 적어 난로의 청소 및 유지관리가 수월한 효과를 제공한다.In addition, since the combustion cha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pecial structure in which the cross-sectional area increases toward the upper part, wood is gathered to the lower side of the combustion chamber in which the wood is not dispersed and the cross-sectional area is narrow to realize complete combustion, , The life of the fuel is long, the fuel cost is remarkably reduced, the burning rate is high, and the occurrence of ashes is small, thereby providing easy cleaning and maintenance of the stove.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목재용 난로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 목재용 난로의 우측면도
도 3은 본 발명 난로 몸체의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목재용 난로의 측단면도
도 5은 본 발명의 공기 유입덕트, 연소공기 유입구 및 공기량 조절장치의 설치상태 종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청소구 게이트의 설치상태 종단면도
도 7은 본 발명 서랍 하우징 및 구이용 서랍의 설치상태 종단면도
1 is a front view of a wood hearth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 2 is a right side view of the wooden hearth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stove 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side sectional view of the wooden hearth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air inlet duct, the combustion air inlet, and the air amount adjus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ertical sectional view of an installation state of the cleaning gate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drawer housing and drawer for install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의 해결수단을 보다 구체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체적인 기술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사방에 지지다리(11)가 부착된 난로 몸체(10), 공기 유입덕트(20), 깔때기 형상의 연소공기 유입구(30)의 구성요소로 대분 됨을 확인할 수 있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general technical construc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a stove body 10 with support legs 11 on four sides, an air inflow duct 20, a funnel- (30). ≪ / RTI >

이하, 상기 개략적인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을 실시 용이하도록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schematic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for facilitating the implementation.

우선적으로 본 발명의 난로 몸체(10)는 사방에 지지다리(11)가 일체로 부착되고, 상단 일측에는 연소가스를 배기하기 위한 연통(12)이 형성되며, 한 쌍의 양 측판(13)(13a) 가운데 일측 측판(13a)에는 상부에 목재를 투입하기 위한 목재투입구(14)가 개방 형성되고, 상기 목재투입구(14)에는 경첩(15a)을 매개로 투입구 도어(15)가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다.First, in the hearth body 1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legs 11 are integrally attached to all four sides, and a communication pipe 12 for exhausting the combustion gas is formed on the upper end side. A pair of both side plates 13 A door 14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15 is formed in the upper side plate 13a of the door 13a so that the door 15 is opened and closed by a hinge 15a. do.

여기에서 상기 난로 몸체(10)는 일반적인 원통형을 탈피하여 도 4와 같이 내부에 형성되는 연소실(16)이 상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넓어지는 상광하협의 형태로 구성됨으로써 상기 연소실(16)의 하측 공간이 협소하게 되고, 이 협소한 공간으로 목재가 집합되어 완전 연소를 촉진하여 열효율이 매우 우수함은 물론 재의 발생량이 저감되며, 목재의 수명이 길어 연료비를 대폭 절감할 수 있는 특별한 효과를 제공한다.Here, the stove body 10 is formed in a shape of an upper light-tight shape in which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combustion chamber 16 is gradually widened as the combustion chamber 16 formed in the interior of the stove body is removed as shown in FIG. 4, The space is narrowed and the wood is gathered in this narrow space to promote complete burning, thereby remarkably improving the thermal efficiency, reducing the amount of ash produced, and providing a special effect of drastically reducing the fuel cost by extending the life of the wood.

또한, 상기 연소실(16)의 하측에는 도 4와 같이 마주하는 전후 내면에 각각 단열공간(17a)이 마련된 단열챔버(17)가 부착 설치됨으로써 연소실(16)의 내부 단열을 유지하여 목재가 완전하게 연소하는 고연소 효율을 낼 수 있으며, 상기 난로 몸체(10)의 양 측판(13)(13a) 내면에도 각각 단열판(18)(18a)이 하부 중앙으로 가면서 경사지게 부착 설치됨으로써 연소 효율을 증대함은 물론 난로 몸체(10)가 과열됨을 방지하여 안전사고 발생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4, a heat insulating chamber 17 provided with a heat insulating space 17a is attached to each of the front and rear inner surfaces facing each other as shown in FIG. 4, thereby maintaining the internal heat of the combustion chamber 16, And the heat insulating plates 18 and 18a are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s of both the side plates 13 and 13a of the hearth body 10 so as to b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lower center. Of cours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tove body 10 from being overheated, thereby suppressing the occurrence of safety accidents.

상기 투입구 도어(15)의 중앙에는 공기 유입덕트(20)의 일측이 일체로 연통 설치되고, 상기 공기 유입덕트(20)의 타측 선단에는 연소실(16)의 내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투시창(21)이 끼움 설치된다.A side of the air inlet duct 20 is integrally communicated with the air inlet duct 20 at the center of the air inlet door 15 and a transparent window 21 is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air inlet duct 20 for visually confirming the inside of the combustion chamber 16. Is inserted.

이때 상기 공기 유입덕트(20)는 하부로 쳐짐을 방지하면서 투입구 도어(15)와 견고한 일체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투입구 도어(15)의 내면 중앙에는 도 5와 같이 덕트 지지대(22)가 추가로 부착되고, 상기 덕트 지지대(22) 및 투입구 도어(15)를 동시에 관통하여 공기 유입덕트(20)가 통기 가능하게 연통 설치되며, 상기 덕트 지지대(22)의 둘레를 따라 함몰 형성된 기밀부재홈(23)에는 상기 목재투입구(14)의 선단에 선택적으로 밀착되는 기밀부재(24)가 삽입 설치된다.5, a duct support 22 is further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inner surface of the inlet door 15 so that the air inlet duct 20 can be firmly integrated with the inlet door 15 while preventing the air inlet duct 20 from being bent downward. And the air inlet duct 20 communicates with the duct support 22 and the inlet door 15 at the same time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air inlet duct 20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duct support 22, A hermetic member 24 selectively inserted into the tip of the wood material inlet 14 is inserted.

따라서, 상기 공기 유입덕트(20)는 쳐짐 현상 없이 견고한 일체성을 유지함은 물론 연소실(16) 내의 내부 기밀을 충분하게 유지하여 열 손실 및 연기가 외부로 누설됨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 air inlet duct 20 maintains solid integration without squeezing, and sufficiently maintains the internal air tightness in the combustion chamber 16, thereby effectively preventing heat loss and smoke from leaking to the outside.

상기 공기 유입덕트(20)의 상단에는 끼움부(25)가 일체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끼움부(25)에 깔때기 형상을 갖는 연소공기 유입구(30)가 끼움 설치된다.A fitting portion 25 is integrally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air inlet duct 20 and a combustion air inlet 30 having a funnel shape is fitted to the fitting portion 25.

상기 연소공기 유입구(30)는 목재의 연소시 적당한 양의 공기를 상기 연소실(16) 내로 유입시켜 원활한 연소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특히 종래의 연소공기 유입구가 난로 몸체(10)의 하측에 설치됨과 달리 상측에 배치됨으로써 실내의 상층부에 위치하는 탁해진 공기를 주로 유입시켜 실내 공기를 정화하는 효과를 제공한다.The combustion air inlet 30 functions to allow an appropriate amount of air to flow into the combustion chamber 16 when the wood is burned so that the combustion can be smoothly performe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ffect of purifying the indoor air by mainly entraining the turbid air located in the upper part of the room.

더욱이 상기 연소공기 유입구(30)는 깔때기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기술이 접목됨으로써 단면적이 넓은 상측의 압력은 높음에 반해 하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좁아지면서 압력이 낮은 상태를 유지하는 기압차에 따라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이동하는 공기흐름을 만들어 준다.In addition, since the combustion air inlet 30 is fitted with a funnel-shaped technology, the pressure on the upper side having a large cross-sectional area is high while the cross-sectional area becomes narrower toward the lower side, To create a flow of air moving to the place.

따라서, 상기 연소실(16) 내의 연기가 공기 유입덕트(20) 쪽으로 이동하여 투시창(21)으로 침입하려는 현상을 방지하는 에어커튼의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투시창(21)의 오염을 방지하면서도 상기 연소실(16) 내에는 연소공기가 원활하게 유입되어 실내 난방을 원활하게 수행함은 물론 상기 연소실(16) 내의 훨훨 타오르는 불꽃을 육안으로 감상하면서 낭만과 운치를 더해주는 특별한 효과를 제공한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ontamination of the sight window 21 by preventing the smoke in the combustion chamber 16 from moving toward the air inlet duct 20 and preventing the intrusion of the smoke into the sight window 21, 16 smoothly flows the combustion air into the combustion chamber 16 to smoothly perform indoor heating, and also provides a special effect of adding romance and enthusiasm while appreciating the flare in the combustion chamber 16 with the naked eye.

아울러 상기 연소공기 유입구(30)의 내부에는 상기 연소실(16) 내로 유입되는 연소공기의 유입량을 자유롭게 제어하는 공기량 조절장치(40)가 추가로 구비된다.The combustion air inlet 30 is further provided with an air amount adjusting device 40 for freely controlling the inflow amount of the combustion air flowing into the combustion chamber 16.

이와 같은 공기량 조절장치(40)는 연소공기 유입구(30)의 내부에 도 5와 같이 공기조절 댐퍼(41)가 설치되되 상기 공기조절 댐퍼(41)의 상하를 관통하여 개도 조절구(42)가 일체화 구성되고, 상기 개도 조절구(42)의 하부는 공기 유입덕트(20)의 바닥면을 외부로 관통하여 일체로 나사결합 설치됨으로써 상기 공기조절 댐퍼(41)의 외경부와 상기 연소공기 유입구(30)의 내주면 사이에는 자연적으로 유입로(43)가 개방 형성된다.5, an air control damper 41 is installed inside the combustion air inlet 30. The air control damper 41 passes through the air control damper 41 to open and close the opening adjuster 42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opening adjuster 42 is screwed integrally with the bottom of the air inlet duct 20 so as to integrally connect the outer diameter portion of the air control damper 41 and the combustion air inlet 30, the inflow passage 43 is naturally opened.

그리고 상기 개도 조절구(42)를 회전조작하면 상기 공기조절 댐퍼(41)가 상하로 이동하면서 상기 유입로(43)의 개도가 조절됨으로써 공기의 유입량이 달라지면서 연소실(16)의 화력을 용이하면서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공기조절 댐퍼(41)는 연기 및 연소열이 외부로 누설됨을 방지하는 역할을 복합적으로 수행한다.When the opening adjuster 42 is rotated, the opening degree of the inflow passage 43 is adjusted while the air control damper 41 is moved up and down. Thus, the inflow amount of the air is changed to facilitate the thermal power of the combustion chamber 16, And the air control damper 41 also plays a role of preventing smoke and heat from leaking to the outside.

한편, 본 발명은 연소실(16)에 목재를 투입한 후 초기에 점화를 할 때에는 대량의 공기가 필요함을 고려하여 상기 일측 측판(13a)의 하부에 형성된 청소구(51)를 일시적으로 개방하여 초기 점화에 필요한 대량의 연소공기를 1차 공급한 후 점화가 이루어지면 상기 청소구(51)를 닫아주고 상기 연소공기 유입구(30)를 통해 연소에 필요한 2차 공기를 유입량을 조절하면서 공급하며, 상기 청소구(51)는 연소실(16)의 바닥에 쌓인 재를 외부로 꺼내어 청소를 할 때에 일시적으로 개방하게 된다.In the meantime, in consideration of the fact that a large amount of air is required for ignition at the initial stage after the wood is put into the combustion chamber 16, the cleaning port 51 form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one side plate 13a is temporarily opened, When a large amount of combustion air required for ignition is firstly supplied and then ignition is performed, the cleaner 51 is closed and the secondary air required for combustion is supplied through the combustion air inlet 30 while adjusting the inflow amount thereof, The cleaning tool 51 is temporarily opened when the material accumulated on the bottom of the combustion chamber 16 is taken out and cleaned.

이를 위해 상기 청소구(51)의 외측에는 도 6과 같이 내측에 가이드홀(52)이 형성된 게이트 가이드판(53)이 일체로 부착되고, 상기 가이드홀(52)에는 청소구(51)를 선택적으로 막아주는 청소구 게이트(50)가 상하 이동가능하게 끼움 설치되며, 상기 게이트 가이드판(53)에 용접작업 등을 통해 용착된 고정너트(55)에 나사결합되는 게이트 제어구(56)는 상기 게이트 가이드판(53)을 관통하여 청소구 게이트(50)의 외면을 가압 고정한다.6, a gate guide plate 53 having a guide hole 52 formed therein is integrally attached to the outside of the cleaning hole 51, and a cleaning hole 51 is selectively formed in the guide hole 52 And a gate control member 56 screwed to the fixing nut 55 welded to the gate guide plate 53 through a welding operation or the like, And passes through the gate guide plate 53 to press-fix the outer surface of the cleaning gate 50.

따라서, 상기 게이트 제어구(56)를 풀어준 상태에서 상기 청소구 게이트(50)를 상하로 이동시켜 청소구(51)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 cleaning tool 51 can be selectively opened and closed by moving the cleaning tool gate 50 up and down in a state in which the gate control tool 56 is released.

또한, 본 발명은 연통(12)의 하측에 도 7과 같이 외부와 연결된 서랍 하우징(61)이 일측 측판(13)의 내면에 수평상으로 연결 설치되고, 상기 서랍 하우징(61)에는 감자, 고구마, 옥수수 등의 각종 구이물을 수납하여 구울 수 있는 구이용 서랍(60)이 끼워짐으로써 각종 구이물을 간편하게 구워 먹을 수 있는 부수적인 효과를 제공한다.7, the drawer housing 61 connected to the outside is connect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side plate 13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drawer housing 61 is provided with potatoes, sweet potatoes , Corn, and the like can be stored and burned, thereby providing a side effect of easily grilling and eating various kinds of grilled water.

이와 같은 서랍 하우징(61)은 도 4 및 도 7과 같이 서랍 하우징(61)의 폭보다 넓은 열 분산판(65)이 저면에 일체로 부착되고, 상기 열 분산판(65)은 연소열이 직접 급격하게 연통(12)으로 빠져나가지 않도록 연소열을 측방으로 분산시켜 상기 연소실(16) 내의 체류시간을 연장하여 열효율을 더욱 높여준다.4 and 7, the drawer housing 61 is integrally attached to the bottom surface with a heat spreader plate 65 wider than the width of the drawer housing 61, So that the residence time in the combustion chamber 16 is extended to further increase the thermal efficiency.

10: 난로 몸체 11: 지지다리
13, 13a: 측판 14: 목재투입구
15: 투입구 도어 16: 연소실
17: 단열챔버 18, 18a: 단열판
20: 공기 유입덕트 21: 투시창
22: 덕트 지지대 24: 기밀부재
30: 연소공기 유입구 40: 공기량 조절장치
41: 공기조절 댐퍼 42: 개도 조절구
43: 유입로 50: 청소구 게이트
51: 청소구 53: 게이트 가이드판
56: 게이트 제어구 60: 구이용 서랍
61: 서랍 하우징 65: 열 분산판
10: stove body 11: support leg
13, 13a: side plate 14: wood inlet
15: inlet door 16: combustion chamber
17: adiabatic chamber 18, 18a:
20: air inlet duct 21:
22: duct support 24: airtight member
30: Combustion air inlet 40: Air volume regulator
41: air conditioning damper 42:
43: Inflow path 50: Cleaning gate
51: cleaning unit 53: gate guide plate
56: gate control section 60: drawer drawer
61: drawer housing 65: heat dissipating plate

Claims (7)

사방에 지지다리(11)가 부착되고, 상단 일측에 연통(12)이 형성되며, 일측 측판(13a)의 상부에 형성된 목재투입구(14)에 투입구 도어(15)가 설치된 난로 몸체(10)와;
상기 투입구 도어(15)의 중앙에 일측이 연통 설치되고, 타측 선단에 투시창(21)이 설치된 공기 유입덕트(20)와;
상기 공기 유입덕트(20)의 상단에 개방형성된 끼움부(25)에 일체로 끼움 설치되는 깔때기 형상의 연소공기 유입구(3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효율이 우수한 목재용 난로.
A stove body 10 provided with a support leg 11 on all four sides and a communicating tube 12 formed on one side of the upper end and a wood entrance slot 14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side plate 13a, ;
An air inflow duct 20 communicating at one side with the center of the inlet door 15 and having a sight window 21 at the other end thereof;
And a funnel-shaped combustion air inlet (30) integrally fitted into the fitting portion (25) opened at an upper end of the air inlet duct (20).
제 1항에 있어서,
난로 몸체(10)는 내부에 형성된 연소실(16)이 상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넓어지도록 상광하협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소실(16)의 하측에는 마주하는 전후 내면에 각각 단열공간(17a)이 마련된 단열챔버(17)가 추가로 부착 설치되며, 상기 난로 몸체(10)의 양 측판(13)(13a) 내면에 각각 단열판(18)(18a)이 하부 중앙으로 가면서 경사지게 부착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효율이 우수한 목재용 난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tove body 10 is formed in the form of a vertical light-tight shape so that the cross-sectional area thereof becomes wider as the combustion chamber 16 formed in the upper portion is widened. A heat insulating space 17a is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mbustion chamber 16, Characterized in that a heat insulating chamber is further installed and the heat insulating plates and are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s of both side plates of the stove body in an inclined manner with the lower center of the heat insulating plate. An efficient wood stove.
제 1항에 있어서,
측판(13a)의 하부에는 청소구(51)가 형성되고, 상기 청소구(51)의 외측에는 게이트 가이드판(53)이 일체로 부착되며, 상기 게이트 가이드판(53)의 내측에 형성된 가이드홀(52)에는 상기 청소구(51)를 막아주는 청소구 게이트(50)가 상하 이동가능하게 끼움 설치되는 한편, 상기 게이트 가이드판(53)에 용착된 고정너트(55)에 나사결합되는 게이트 제어구(56)는 게이트 가이드판(53)을 관통하여 상기 청소구 게이트(50)를 가압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효율이 우수한 목재용 난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cleaning tool 51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side plate 13a and a gate guide plate 53 is integrally attached to the outside of the cleaning tool 51. A guide hole A cleaning gate 50 for blocking the cleaning tool 51 is movably installed in the main body 52 so as to be movable upward and downward and a gate control 55 screwed to the fixing nut 55 welded to the gate guide plate 53. [ And the sphere (56) passes through the gate guide plate (53) and presses and fixes the cleaning gate (50).
제 1항에 있어서,
연소공기 유입구(30)의 내부에는 공기조절 댐퍼(41)가 설치되되, 상기 공기조절 댐퍼(41)를 관통하여 일체화 구성된 개도 조절구(42)의 하부는 상기 공기 유입덕트(20)의 바닥면을 외부로 관통하여 나사결합 설치되고, 상기 공기조절 댐퍼(41)의 외경부와 상기 연소공기 유입구(30)의 내주면 사이에 형성되는 유입로(43)의 개도를 자유롭게 조절하여 연소공기의 유입량을 제어하는 공기량 조절장치(40)를 추가로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효율이 우수한 목재용 난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 air conditioning damper 41 is installed inside the combustion air inlet 30 and a lower portion of the opening control valve 42 formed integrally through the air control damper 41 is connect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air inflow duct 20 And the opening amount of the inflow path 43 formed between the outer diameter portion of the air control damper 41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mbustion air inflow port 30 is freely adjusted to adjust the inflow amount of the combustion air to And a control unit (40) for controlling the amount of air supplied from the outside.
제 1항에 있어서,
투입구 도어(15)는 내면 중앙에 덕트 지지대(22)가 부착되고, 상기 덕트 지지대(22) 및 투입구 도어(15)를 관통하여 공기 유입덕트(20)가 통기 가능하게 연통 설치되며, 상기 덕트 지지대(22)의 둘레에 형성된 기밀부재홈(23)에는 상기 목재투입구(14)의 선단에 밀착되는 기밀부재(24)가 삽입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효율이 우수한 목재용 난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duct support 22 is attached to the inlet door 15 at the center of the inner surface thereof and communicates with the air inlet duct 20 through the duct support 22 and the inlet door 15 so as to communicate therewith. Characterized in that a hermetic member (24)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end of the wood material inlet (14) is inserted into the airtight member groove (23) formed around the wood material inlet (22).
제 1항에 있어서,
연통(12)의 하측에는 외부와 연결된 서랍 하우징(61)이 일측 측판(13)의 내면에 수평상으로 설치되고, 상기 서랍 하우징(61)에는 각종 구이물을 수납할 수 있는 구이용 서랍(60)이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효율이 우수한 목재용 난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drawer housing 61 connected to the outside is install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ide plate 13 at a lower side of the communication pipe 12 and a drawer 60 for holding various kinds of objects is installed in the drawer housing 61,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heat sinks are fitted to each other.
제 6항에 있어서,
서랍 하우징(61)의 저면에는 연소열이 직접 연통(12)으로 빠져나가지 않도록 연소열을 측방으로 분산시켜 상기 연소실(16) 내의 체류시간을 연장하는 열 분산판(65)이 추가로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효율이 우수한 목재용 난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heat dissipating plate 65 is further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drawer housing 61 so as to spread the heat of combustion sideways so as to prevent the heat of combustion from escaping directly into the communication 12 and to extend the residence time in the combustion chamber 16. [ Wood burning stove with excellent combustion efficiency.
KR1020120158665A 2012-12-31 2012-12-31 Stove for wood with excellent combustion efficiency KR10142209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8665A KR101422091B1 (en) 2012-12-31 2012-12-31 Stove for wood with excellent combustion efficienc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8665A KR101422091B1 (en) 2012-12-31 2012-12-31 Stove for wood with excellent combustion efficienc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7886A true KR20140087886A (en) 2014-07-09
KR101422091B1 KR101422091B1 (en) 2014-07-23

Family

ID=517367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8665A KR101422091B1 (en) 2012-12-31 2012-12-31 Stove for wood with excellent combustion efficienc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2091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75346A (en) * 2014-07-15 2014-10-01 辽宁合百意生物质技术开发有限公司 Cyclone firing air disc with internal blocking pieces
KR20160061630A (en) * 2014-11-24 2016-06-01 한태원 Air inflow system for Watching flame of wood stov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5964B1 (en) * 2015-02-06 2016-08-05 홍성훈 Seeing through unit for stov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67751A (en) * 2005-12-23 2007-06-29 한태원 Stove for wood
KR200450693Y1 (en) 2009-12-24 2010-10-22 강연모 Sawdust stove
KR20120129025A (en) * 2011-05-18 2012-11-28 임광호 A firewood stov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75346A (en) * 2014-07-15 2014-10-01 辽宁合百意生物质技术开发有限公司 Cyclone firing air disc with internal blocking pieces
CN104075346B (en) * 2014-07-15 2016-09-07 辽宁合百意生物质技术开发有限公司 Built-in catch cyclone firing wind dish
KR20160061630A (en) * 2014-11-24 2016-06-01 한태원 Air inflow system for Watching flame of wood sto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2091B1 (en) 2014-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2091B1 (en) Stove for wood with excellent combustion efficiency
RU2319077C1 (en) Furnace
KR20100137897A (en) Wood burner without producing smoke
RU174432U1 (en) BATH FURNACE
JP2007309587A (en) Stove
KR101432472B1 (en) Firewood stove
CN103610402A (en) Environment-friendly energy-saving type closed naked flame charcoal oven
RU2651878C1 (en) Bath stove
KR200475650Y1 (en) Fireplace
KR102437889B1 (en) Air circulation type high temperature combustion firewood stove
KR20160054344A (en) Multipurpose firewood stove
RU136537U1 (en) UNIVERSAL HEAT STORAGE FIREPLACE
CN207635414U (en) A kind of new structural oil-smoke-exhausting fireproof check valve
US10228142B2 (en) Wood-burning stove with internal baffles for increased burn times
KR20180001236A (en) Stove
RU2547853C2 (en) Fire-place
KR20150140881A (en) The firewood boiler equip indoors
US20190086095A1 (en) Smokeless Safe Combustion Device
CA3062464C (en) Wood-burning stove with internal baffles for increased burn times
KR101268347B1 (en) Burning control device for firewood boiler
KR101474536B1 (en) Fireplace
RU2281433C2 (en) Oven for bath
KR20190031919A (en) Indoor stove and boiler
CN210601722U (en) Burning-aid stove
KR101370458B1 (en) Firewood stov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