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7459A - 천연 다시마를 이용한 마스크팩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천연 다시마를 이용한 마스크팩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7459A
KR20140087459A KR1020120157796A KR20120157796A KR20140087459A KR 20140087459 A KR20140087459 A KR 20140087459A KR 1020120157796 A KR1020120157796 A KR 1020120157796A KR 20120157796 A KR20120157796 A KR 20120157796A KR 20140087459 A KR20140087459 A KR 201400874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atural
kelp
temperature
mask pack
sea t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77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03577B1 (ko
Inventor
진현진
Original Assignee
진현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현진 filed Critical 진현진
Priority to KR10201201577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3577B1/ko
Publication of KR201400874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74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35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35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2Face mas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2Algae
    • A61K36/03Phaeophycota or phaeophyta (brown algae), e.g. Fuc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06Algae
    • A61K8/9711Phaeophycota or Phaeophyta [brown algae], e.g. Fuc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10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 A61K2236/13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involving cleaning, e.g. washing or peel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10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 A61K2236/15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involving mechanical treatment, e.g. chopping up, cutting or grind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50Methods involving additional extraction steps
    • A61K2236/51Concentration or drying of the extract, e.g. Lyophilisation, freeze-drying or spray-dry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연 다시마를 이용한 마스크팩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바다에서 채취한 천연 다시마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물로 세척하는 제1세척단계와, 바닷물을 80℃로 가열한 후 상기 세척단계를 거친 천연 다시마를 넣어 5 내지 30초 동안 데치는 데침단계와, 상기 데침단계를 거친 다시마를 수온 5 내지 15℃로 온도 조절된 바닷물에 넣어 1 내지 5분 동안 냉각시키는 냉각단계와, 상기 냉각단계를 거친 천연 다시마의 엽체에 20 내지 25%농도의 소금물을 뿌려주는 염장단계와, 상기 염장단계를 거친 천연 다시마를 1 내지 2일 동안 숙성시키는 자숙단계와, 상기 자숙단계를 거친 천연 다시마를 영하 15℃ 이하로 급랭시켜 보관하는 급랭단계와, 상기 급랭단계를 거친 천연 다시마를 1 내지 2%농도의 바닷물로 1 내지 2시간 동안 세척하는 제2세척단계와, 상기 제2세척단계를 거친 천연 다시마로부터 엽체를 분리하여 마스크 모양 및 크기로 자른 후 파손되지 않도록 건조판에 펼쳐서 일렬로 늘어 놓는 성형단계와, 상기 성형단계를 거쳐 건조판에 펼쳐진 천연 다시마를 50 내지 60℃로 온도 조절된 건조장치에서 12시간 이상 저온 건조하는 저온건조단계와, 상기 저온건조단계를 거친 천연 다시마를 80 내지 95℃로 온도 조절된 건조장치에서 6시간 이상 고온 건조하는 고온건조단계와, 상기 고온건조단계를 거친 천연 다시마를 상온에서 서서히 냉각시켜 마스크팩을 완성하는 마무리단계로 구성된다.
따라서, 기존의 부직포나 종이 또는 하이드로 겔 등에 의해 제조되는 합성 마스크 팩 시트를 피부밀착성 및 미용기능성이 우수한 천연 다시마가 대체할 수 있으며, 천연 재료인 다시마의 특성상 생체적합성 및 보습성이 탁월한 장점이 있고, 마스크 팩 시트의 주재료인 다시마의 소비촉진에 의한 어업인의 소득향상은 물론 고부가가치의 산업 창출에도 효과가 기대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Description

천연 다시마를 이용한 마스크팩의 제조방법{The manufacturing method of mask pack by using natural sea tangle}
본 발명은 천연 다시마를 이용한 마스크팩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피부밀착성 및 미용기능성뿐만 아니라 생체적합성 및 보습성이 탁월한 천연 다시마를 이용한 마스크팩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소득수준의 향상과 더불어서 피부미용에 대한 관심은 더욱 높아지고 있으며 마스크 팩은 피부의 보습환경을 유지하고 원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비교적 다량으로 흡수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더욱 애용되고 있다.
현재까지 사용되고 있는 마스크 팩으로는 필-오프(peel-off)타입, 워시-오프(wash-off)타입, 티슈-오프 (tissue-off)타입, 시트(sheet)타입, 분말타입 등이 있으나 사용의 편리성으로 인하여 시트타입이 가장 보편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마스크 팩을 효과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시트의 이상적인 구비조건은 외부환경과 차단된 피부보습환경을 유지하고 다량의 화장료를 충전할 수 있어야 하며 피부에 대한 자극도 없어야 한다.
현재까지 사용되고 있는 시트의 재료는 대부분 화학적으로 제조된 부직포나 하이드로 겔(hydro gel)이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이상적인 시트를 개발하기 위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추진되고 있으며 기존에 공지된 기술로는 한지와 알로에 베라를 사용한 식물마스크 팩(특허공개번호 10-2004-0053820)과, 대나무섬유를 이용한 마스크 팩(특허공개번호 10-2006-0001890), 다공성 도토리 겔(gel) 마스크 팩(특허공개번호 10-2006-0122042), 폴리우레탄 마스크 팩재 및 그의 제조방법(특허등록번호 10-0711182), 하이드로 겔 피브로인 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특허공개번호 10-2007-0014485), 기존 부직포의 결점을 보완한 미용 마스크 팩 시트 및 그 제조방법(특허등록번호 10-0689927), 시트의 절취부분을 개량한 천연 맛사지용 마스크 팩 및 그 제조방법(특허공개번호 특1994-0001868), 메쉬를 이용한 마스크시트 제조방법(특허공개번호 10-2007-0051813) 등이 있다.
이상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시트의 재료로 화학소재가 아닌 천연소재를 이용하고자하는 시도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한편, 해조류의 엽체는 신축성이 뛰어난 세포조직으로 구성되어 있어 심한 파도에도 물리적인 손상을 입지 않으며 조직 내에 다량의 다당류를 함유하고 있어 강한 햇볕에도 쉽게 건조되지 않는 보습성과 건조 후에도 수분을 흡수하면 원래의 형태대로 복원되는 특성을 지니고 있으며, 다시마 및 해조류는 영양분의 보고로써 특히 각종 아미노산, 비타민 ,무기염류 등의 함량이 높아 이들의 식품으로서의 가치는 높이 평가되고 있다.
또한, 다시마와 미역 및 해조류는 생리 활성작용이 뛰어난 아르기니산, 라니닌, 엽록소, 마니틀, 칼슘, 요오드, 비타민 등이 다량함유되어 있어서 고혈압, 동맥경화, 뇌졸중, 비만, 당뇨, 골다공증 및 신장질환, 간장질환, 혈전증, 변비, 숙변, 숙취 등의 예방 및 치료에 우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다시마와 미역 및 해조류는 우수한 영양성분과 독특한 향미를 가지고 있는데, 특히 미역, 김 ,다시마, 등은 가공한 상태로 유통되고 있는 대표적인 해조식품이지만 우수한 영양성분을 함유하고 있으면서도 그상품가치를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고 있고, 또한 김, 미역, 다시마의 경우 수요와 공급의 법칙에 의한 시장원리의 지배를 받아 풍작이 되면 소비에 한계가 있어서 ,가공된 상태로 수년간 보관됨으로써 색깔, 맛 및 영양분이 소실되어 상품가치가 저하되고 있으므로 새로운 상품(샴푸, 팩, 화장품 등)을 기술 개발연구를 하였다.
특히, 다시마는 알긴산(alginic acid), 퓨코이단(fucoidan), 폴리페놀(polyphenol), 크로로필(chlorophyll) 등 다양한 생리활성물질이 존재하고 있어 피부보습, 미백, 피부진정 효과 등의 화장품 소재로도 널리 이용되고 있다.
다시마는 엽체, 줄기, 부착기로 구분되며 엽체는 띠 모양을 하고 있다. 상기 엽체의 길이는 1.8∼3.5m이고 폭은 25∼30 cm이며 두께는 1.8∼3.5mm이다. 다시마 엽체의 내부구조는 표층, 피층, 내층으로 구분된다. 가장 바깥층인 표층은 엽록체가 다량 함유된 작은 세포가 조밀하게 배열되어 있고 피층은 엽록체가 없는 원형, 직사각형, 다각형의 세포로 구성된 점질층으로 되어있으며 내층은 사상세포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다시마 분말이 함유된 분말형 마스크 팩 제품은 이미 시중에 다양하게 유통되고 있으며 공지된 특허로는 다시마를 세절하여 각종 한약재를 첨가한 천연다시마 미용팩 제조방법(특허공개번호 10-2007-0006057)이 있을 뿐 다시마 엽체를 직접 이용하여 마스크 팩 시트를 제조한 사례는 아직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다시마의 이상과 같은 생리적 특성에 착안하고 다시마 엽체를 이용하여 생체적합성, 보습성, 피부밀착성, 미용기능성, 물리적 강도, 색채감 등이 우수한 마스크 팩 시트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첫 번째 목적은 기존의 부직포나 종이 또는 하이드로 겔 등에 의해 제조되는 인공 합성 마스크 팩 시트를 피부밀착성과 미용기능성 및 생체적합성과 보습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는 천연 다시마를 이용한 마스크팩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으며, 두 번째 목적은 마스크 팩 시트의 주재료인 다시마의 소비촉진에 의한 어업인의 소득향상은 물론 고부가가치의 산업 창출에도 기여할 수 있는 천연 다시마를 이용한 마스크팩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바다에서 채취한 천연 다시마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물로 세척하는 제1세척단계와, 바닷물을 80℃로 가열한 후 상기 세척단계를 거친 천연 다시마를 넣어 5 내지 30초 동안 데치는 데침단계와, 상기 데침단계를 거친 다시마를 수온 5 내지 15℃로 온도 조절된 바닷물에 넣어 1 내지 5분 동안 냉각시키는 냉각단계와, 상기 냉각단계를 거친 천연 다시마의 엽체에 20 내지 25%농도의 소금물을 뿌려주는 염장단계와, 상기 염장단계를 거친 천연 다시마를 1 내지 2일 동안 숙성시키는 자숙단계와, 상기 자숙단계를 거친 천연 다시마를 영하 15℃ 이하로 급랭시켜 보관하는 급랭단계와, 상기 급랭단계를 거친 천연 다시마를 1 내지 2%농도의 바닷물로 1 내지 2시간 동안 세척하는 제2세척단계와, 상기 제2세척단계를 거친 천연 다시마로부터 엽체를 분리하여 마스크 모양 및 크기로 자른 후 파손되지 않도록 건조판에 펼쳐서 일렬로 늘어 놓는 성형단계와, 상기 성형단계를 거쳐 건조판에 펼쳐진 천연 다시마를 50 내지 60℃로 온도 조절된 건조장치에서 12시간 이상 저온 건조하는 저온건조단계와, 상기 저온건조단계를 거친 천연 다시마를 80 내지 95℃로 온도 조절된 건조장치에서 6시간 이상 고온 건조하는 고온건조단계와, 상기 고온건조단계를 거친 천연 다시마를 상온에서 서서히 냉각시켜 마스크팩을 완성하는 마무리단계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기존의 부직포나 종이 또는 하이드로 겔 등에 의해 제조되는 합성 마스크 팩 시트를 피부밀착성 및 미용기능성이 우수한 천연 다시마가 대체할 수 있으며, 천연 재료인 다시마의 특성상 생체적합성 및 보습성이 탁월한 장점이 있다.
또한, 마스크 팩 시트의 주재료인 다시마의 소비촉진에 의한 어업인의 소득향상은 물론 고부가가치의 산업 창출에도 효과가 기대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천연 다시마를 이용한 마스크팩의 제조방법을 보여주는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천연 다시마를 이용한 마스크팩의 제조방법을 보여주는 블럭도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바다에서 채취한 천연 다시마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물로 세척하는 제1세척단계와, 바닷물을 80℃로 가열한 후 상기 세척단계를 거친 천연 다시마를 넣어 5 내지 30초 동안 데치는 데침단계와, 상기 데침단계를 거친 다시마를 수온 5 내지 15℃로 온도 조절된 바닷물에 넣어 1 내지 5분 동안 냉각시키는 냉각단계와, 상기 냉각단계를 거친 천연 다시마의 엽체에 20 내지 25%농도의 소금물을 뿌려주는 염장단계와, 상기 염장단계를 거친 천연 다시마를 1 내지 2일 동안 숙성시키는 자숙단계와, 상기 자숙단계를 거친 천연 다시마를 영하 15℃ 이하로 급랭시켜 보관하는 급랭단계와, 상기 급랭단계를 거친 천연 다시마를 1 내지 2%농도의 바닷물로 1 내지 2시간 동안 세척하는 제2세척단계와, 상기 제2세척단계를 거친 천연 다시마로부터 엽체를 분리하여 마스크 모양 및 크기로 자른 후 파손되지 않도록 건조판에 펼쳐서 일렬로 늘어 놓는 성형단계와, 상기 성형단계를 거쳐 건조판에 펼쳐진 천연 다시마를 50 내지 60℃로 온도 조절된 건조장치에서 12시간 이상 저온 건조하는 저온건조단계와, 상기 저온건조단계를 거친 천연 다시마를 80 내지 95℃로 온도 조절된 건조장치에서 6시간 이상 고온 건조하는 고온건조단계와, 상기 고온건조단계를 거친 천연 다시마를 상온에서 서서히 냉각시켜 마스크팩을 완성하는 마무리단계로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천연 다시마를 이용한 마스크팩의 제조방법을 보여주는 블럭도로서,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천연 다시마를 이용한 마스크팩은 제1세척단계와, 데침단계와, 냉각단계와, 염장단계와, 자숙단계와, 급랭단계와, 제2세척단계와, 성형단계와, 저온건조단계와, 고온건조단계와, 마무리단계로 구성된다.
상기 제1세척단계는 바다에서 채취한 천연 다시마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물로 세척하는 단계이며, 상기 제1세척단계를 거친 천연 다시마는 바닷물을 80℃로 가열한 후 상기 세척단계를 거친 천연 다시마를 넣어 5 내지 30초 동안 데치는 데침단계를 거치게 된다.
상기 데침단계를 거친 다시마는 수온 5 내지 15℃로 온도 조절된 바닷물에 넣어서 1 내지 5분 동안 냉각시키는 냉각단계를 거친다.
상기 냉각단계를 거친 천연 다시마는 상기 다시마의 엽체에 20 내지 25%농도의 소금물을 뿌려주는 염장단계를 거치게 되며, 상기 염장단계를 거친 천연 다시마를 1 내지 2일 동안 숙성시키는 자숙단계를 거치게 된다.
상기 자숙단계를 거친 천연 다시마는 영하 15℃ 이하로 급랭시켜 보관하는 급랭단계를 거치게 되며, 상기 급랭단계를 거친 천연 다시마를 1 내지 2%농도의 바닷물로 1 내지 2시간 동안 세척하는 제2세척단계를 거친다.
그런 후에 상기 제2세척단계를 거친 천연 다시마로부터 엽체를 분리하여 마스크 모양 및 크기로 자른 후 파손되지 않도록 건조판에 펼쳐서 일렬로 늘어 놓는 성형단계를 거치게 된다.
상기 성형단계에서는 얼굴의 눈, 코, 입에 해당되는 부위를 천공함으로써 마스크팩의 모양을 만들게 된다.
상기 성형단계를 거쳐 건조판에 펼쳐진 천연 다시마는 50 내지 60℃ 온도로 조절된 건조장치에서 12시간 이상 저온 건조하는 저온건조단계를 거치게 되며, 상기 저온건조단계를 거친 천연 다시마를 80 내지 95℃로 온도 조절된 건조장치에서 6시간 이상 고온 건조하는 고온건조단계를 거치게 되며, 상기 고온건조단계를 거친 천연 다시마를 상온에서 서서히 냉각시켜 마스크팩을 완성하는 마무리단계를 거치게 됨으로써 마스크팩이 완성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천연 다시마를 이용한 마스크팩의 제조방법을 보여주는 블럭도로서,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천연 다시마를 이용한 마스크팩은 제1세척단계와, 데침단계와, 냉각단계와, 염장단계와, 자숙단계와, 완성단계로 구성된다.
상기 제1세척단계는 바다에서 채취한 천연 다시마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물로 세척하는 단계이며, 상기 제1세척단계를 거친 천연 다시마는 바닷물을 80℃로 가열한 후 상기 세척단계를 거친 천연 다시마를 넣어 5 내지 30초 동안 데치는 데침단계를 거치게 된다.
상기 데침단계를 거친 다시마를 수온 5 내지 15℃로 온도 조절된 바닷물에 넣어서 1 내지 5분 동안 냉각시키는 냉각단계를 거친다.
상기 냉각단계를 거친 천연 다시마는 상기 다시마의 엽체에 20 내지 25%농도의 소금물을 뿌려주는 염장단계를 거치게 되며, 상기 염장단계를 거친 천연 다시마를 1 내지 2일 동안 숙성시키는 자숙단계를 거치게 된다.
상기 자숙단계를 거친 천연 다시마로부터 엽체를 분리하여 마스크 모양 및 크기로 자른 후 얼굴 모양으로 성형하고, 다시 얼굴의 눈, 코, 입에 해당되는 부위를 천공함으로써 마스크팩을 완성하는 완성단계를 거쳐 마스크팩이 제조된다.
본 발명의 제 1실시예나 제 2실시예에 따른 천연 다시마를 이용한 마스크팩의 제조에 사용되는 천연 다시마는 10월 중순에서 이듬해 4월 말까지 양식하여 수확한 다시마를 사용하도록 하되, 바닷물의 수온이 10 내지 17℃로 유지되고, 물의 흐름이 완만한 곳에서 자란 천연 다시마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기존의 부직포나 종이 또는 하이드로 겔 등에 의해 제조되는 합성 마스크 팩 시트를 피부밀착성 및 미용기능성이 우수한 천연 다시마가 대체할 수 있으며, 천연 재료인 다시마의 특성상 생체적합성 및 보습성이 탁월한 장점이 있고, 마스크 팩 시트의 주재료인 다시마의 소비촉진에 의한 어업인의 소득향상은 물론 고부가가치의 산업 창출에도 효과가 기대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3)

  1. 바다에서 채취한 천연 다시마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물로 세척하는 제1세척단계;와,
    바닷물을 80℃로 가열한 후 상기 세척단계를 거친 천연 다시마를 넣어 5 내지 30초 동안 데치는 데침단계;와,
    상기 데침단계를 거친 다시마를 수온 5 내지 15℃로 온도 조절된 바닷물에 넣어 1 내지 5분 동안 냉각시키는 냉각단계;와,
    상기 냉각단계를 거친 천연 다시마의 엽체에 20 내지 25%농도의 소금물을 뿌려주는 염장단계;와,
    상기 염장단계를 거친 천연 다시마를 1 내지 2일 동안 숙성시키는 자숙단계;와,
    상기 자숙단계를 거친 천연 다시마를 영하 15℃ 이하로 급랭시켜 보관하는 급랭단계;와,
    상기 급랭단계를 거친 천연 다시마를 1 내지 2%농도의 바닷물로 1 내지 2시간 동안 세척하는 제2세척단계;와,
    상기 제2세척단계를 거친 천연 다시마로부터 엽체를 분리하여 마스크 모양 및 크기로 자른 후 파손되지 않도록 건조판에 펼쳐서 일렬로 늘어 놓는 성형단계;와,
    상기 성형단계를 거쳐 건조판에 펼쳐진 천연 다시마를 50 내지 60℃로 온도 조절된 건조장치에서 12시간 이상 저온 건조하는 저온건조단계;와,
    상기 저온건조단계를 거친 천연 다시마를 80 내지 95℃로 온도 조절된 건조장치에서 6시간 이상 고온 건조하는 고온건조단계;와,
    상기 고온건조단계를 거친 천연 다시마를 상온에서 서서히 냉각시켜 마스크팩을 완성하는 마무리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다시마를 이용한 마스크팩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숙단계;를 거친 천연 다시마로부터 엽체를 분리하여 마스크 모양 및 크기로 자른 후 얼굴 모양으로 성형하고, 다시 얼굴의 눈, 코, 입에 해당되는 부위를 천공함으로써 마스크팩을 완성하는 완성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다시마를 이용한 마스크팩의 제조방법
  3. 제 1항 또는 제 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팩을 제조하는 데 사용되는 천연 다시마는 10월 중순에서 이듬해 4월 말까지 양식하여 수확한 다시마를 사용하도록 하되, 바닷물의 수온이 10 내지 17℃로 유지되고, 물의 흐름이 완만한 곳에서 자란 천연 다시마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다시마를 이용한 마스크팩의 제조방법
KR1020120157796A 2012-12-31 2012-12-31 천연 다시마를 이용한 마스크팩의 제조방법 KR1015035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7796A KR101503577B1 (ko) 2012-12-31 2012-12-31 천연 다시마를 이용한 마스크팩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7796A KR101503577B1 (ko) 2012-12-31 2012-12-31 천연 다시마를 이용한 마스크팩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7459A true KR20140087459A (ko) 2014-07-09
KR101503577B1 KR101503577B1 (ko) 2015-03-18

Family

ID=517363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7796A KR101503577B1 (ko) 2012-12-31 2012-12-31 천연 다시마를 이용한 마스크팩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357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6283A (ko) 2015-03-25 2016-10-07 주식회사 에이엔아이 부착성이 향상된 마스크팩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58451B1 (ko) * 2020-06-29 2020-09-21 정이영 다시마 마스크팩 제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06057A (ko) * 2005-07-07 2007-01-11 안병로 천연다시마 미용팩 제조방법
KR100879822B1 (ko) 2007-08-23 2009-01-22 대한민국 다시마 엽체를 이용한 미용 마스크 팩의 제조방법
JP2011032200A (ja) 2009-07-31 2011-02-17 Kracie Home Products Ltd 組み合わせ化粧料
KR101040408B1 (ko) 2009-09-17 2011-06-09 이미인 천년초 선인장 생(生)줄기 슬라이스(slice) 미용(生)팩 제조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3577B1 (ko) 2015-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051587A (zh) 一种含多种玻尿酸的抗衰老组合物的制备方法和应用
CN103540455B (zh) 一种天然水果香皂及其制备方法
CN108143702A (zh) 一种高效美白补水面膜液、面膜及其制备方法
KR101655222B1 (ko) 해양심층수를 이용한 금은화 및 찔레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세정용 세안제, 바디클렌저, 크렌징 겔 및 샴프
CN109010243A (zh) 一种保湿精华液
JP6007188B2 (ja) ホンダワラ抽出物、ミル抽出物及びワカメ抽出物を含む化粧料組成物
KR101506296B1 (ko) 배석세포를 포함하는 스크럽 화장료 조성물
CN105640862A (zh) 用于美白、保湿、抗皱、收缩毛孔的美肤化妆品
CN105012228A (zh) 防止疤痕形成及早期修复的玻尿酸硅凝胶组合物及制备方法
CN108354862A (zh) 一种护发组合物
KR20170012810A (ko) 천연꽃잎을 포함하는 하이드로겔 팩
CN107684530A (zh) 祛痘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1339423B1 (ko) 어피 유래 콜라겐 함유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11603426A (zh) 一种补水保湿面膜及其制备方法
KR101503577B1 (ko) 천연 다시마를 이용한 마스크팩의 제조방법
CN204918986U (zh) 一种功能性蚕丝无纺布
CN108186426B (zh) 一种抑菌面膜液、面膜及其制备方法
CN109381390A (zh) 一种玻尿酸亮肤修护面膜及其制备方法
KR100879822B1 (ko) 다시마 엽체를 이용한 미용 마스크 팩의 제조방법
KR20170141564A (ko) 프로폴리스 및 천년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94478B1 (ko) 메추리알 난각막 분쇄물을 포함하는 스크럽 화장료 조성물, 스크럽 화장료용 메추리알 난각막 분쇄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른 스크럽 화장료용 메추리알 난각막 분쇄물
CN105796408B (zh) 植物提取物组合物及其在化妆品中的应用以及卸妆油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20160024675A (ko) 수국차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075933B1 (ko) 피부 세정용 스폰지 제조 방법
RU70792U1 (ru) Медицинский аппликато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