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6042A - 화물차용 높이조절이 가능한 선반장치 - Google Patents

화물차용 높이조절이 가능한 선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6042A
KR20140086042A KR1020120156055A KR20120156055A KR20140086042A KR 20140086042 A KR20140086042 A KR 20140086042A KR 1020120156055 A KR1020120156055 A KR 1020120156055A KR 20120156055 A KR20120156055 A KR 20120156055A KR 20140086042 A KR20140086042 A KR 201400860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f
hydraulic cylinder
pulleys
truck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60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22672B1 (ko
Inventor
유희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일에프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일에프에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일에프에이
Priority to KR10201201560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2672B1/ko
Publication of KR201400860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60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26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26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4Enclosed load compartments ; Frameworks for movable panels, tarpaulins or side curt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003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vehicles with loading g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6Securing of lo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6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by levers for vertical movement
    • B66F7/08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by levers for vertical movement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op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3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vehicle
    • B60W2300/12Trucks; Loa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물차용 높이조절이 가능한 선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화물차의 적재함 내에 고정설치되고, 상부프레임과 상기 상부프레임을 수직으로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이 구비된 프레임부;와 유압실린더와, 상기 유압실린더의 말단부와 상기 상부프레임에 각각 체결되는 와이어 및, 상기 와이어가 감착되는 풀리를 구비하고, 상기 유압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상하로 승강되는 선반부;를 포함하며, 상기 풀리는 상기 선반부의 모서리에 복수 개로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풀리에 각각 감착되는 복수의 와이어는 상기 선반부 내에 설치된 복수의 가이드풀리에 각각 감착되어 상기 유압실린더의 말단부에 일체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화물차의 적재함 내에 설치되는 선반부의 높이조절이 가능하게 되어 다양한 크기를 가진 물품을 용이하게 구분하여 하역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선반부에 설치된 복수의 풀리에 감착되는 복수의 와이어는 복수의 가이드풀리와 체결되어 1개의 유압실린더의 말단부에 일체로 체결됨으로써 선반부가 항상 수평을 유지한 채로 승강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화물차용 높이조절이 가능한 선반장치{HEIGHT ADJUSTING APPARATUS OF RACK FOR TRUCK}
본 발명은 화물차용 높이조절이 가능한 선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크기를 가진 물품을 용이하게 구분하여 적재할 수 있으며 작업능률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화물차용 높이조절이 가능한 선반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물차는 각종 물품을 적재함에 실어 운반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통상적인 화물차의 적재함은 상부가 개방되고 양 측면과 후면이 개폐되도록 구성되며 화물의 종류에 따라서는 지붕이나 뚜껑이 있는 탑차나 윙바디트럭 등이 이용되기도 한다.
그러나 종래의 화물차용 적재함은 다양한 적재물품을 종류별이나 크기별로 구분하여 적재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고, 대부분 밑에서부터 위로 차곡차곡 적재할 수 밖에 없어서 파손 위험이 있는 물품의 경우에는 많은 양의 적재가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이와 관련해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4-0064593호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다단의 선반과 칸막이를 구성하고 지붕 위 가장자리에는 높이가 낮은 난간을 설치하며 적재함 양 측면을 다수의 도어와 측면커버로 구성하고 후면은 망체로 구성함과 동시에 사다리를 설치구성하며 상기 도어의 골조와 측면커버의 골조에 가는 금속선재 또는 철망을 선택적으로 설치하여 도어와 측면커버를 개방시키지 않아도 적재함 내부에 적재 및 진열된 물품이 보이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용 적재함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에서는 선반의 높이가 고정되어 있어 다양한 크기를 가진 물품을 적재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었고, 적재함의 상부에 위치한 선반에 물품을 하역시에는 측면커버를 개방하여 작업자가 이를 발판삼아 직접 올라가서 물품을 싣거나 내려야 하기 때문에 작업자의 부상위험이 따르고 작업능률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화물차에 적재되는 다양한 크기를 가진 물품을 용이하게 구분하여 하역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능률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화물차용 높이조절이 가능한 선반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화물차의 적재함 내에 설치되는 선반이 항상 수평을 유지한 채로 흔들림없이 안정적으로 승강될 수 있도록 하는 화물차용 높이조절이 가능한 선반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화물차용 높이조절이 가능한 선반장치는, 화물차의 적재함 내에 고정설치되고, 상부프레임과 상기 상부프레임을 수직으로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이 구비된 프레임부;와 유압실린더와, 상기 유압실린더의 말단부와 상기 상부프레임에 각각 체결되는 와이어 및, 상기 와이어가 감착되는 풀리를 구비하고, 상기 유압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상하로 승강되는 선반부;를 포함하며, 상기 풀리는 상기 선반부의 모서리에 복수 개로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풀리에 각각 감착되는 복수의 와이어는 상기 선반부 내에 설치된 복수의 가이드풀리에 각각 감착되어 상기 유압실린더의 말단부에 일체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선반부의 적어도 일측에는, 상기 지지프레임의 외측으로 형성된 돌출부를 따라 주행이 가능하도록 요홈이 형성된 캐스터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첫째, 화물차의 적재함 내에 설치되고 유압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상하로 승강되는 선반부가 구비됨으로써, 화물차에 적재되는 다양한 크기를 가진 물품을 용이하게 구분하여 하역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능률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둘째, 선반부의 모서리에는 복수의 풀리가 설치되고 이에 각각 감착되는 복수의 와이어는 선반부 내에 설치된 복수의 가이드풀리에 각각 감착되어 1개의 유압실린더의 말단부에 일체로 체결됨으로써, 선반부는 항상 수평을 유지한 채로 승강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선반부의 적어도 일측에는 지지프레임의 외측으로 형성된 돌출부를 따라 주행이 가능하도록 요홈이 형성된 캐스터가 더 구비됨으로써, 선반부가 흔들림없이 안정적으로 승강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화물차용 적재함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차용 높이조절이 가능한 선반장치의 체결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차용 높이조절이 가능한 선반장치의 전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반부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차용 높이조절이 가능한 선반장치의 작동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스터의 작동상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도 2 및 도 3은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차용 높이조절이 가능한 선반장치(100)의 체결상태도 및 전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반부(20)의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차용 높이조절이 가능한 선반장치(100)의 작동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차용 높이조절이 가능한 선반장치(100)는 프레임부(10)와 선반부(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프레임부(10)는 화물차의 적재함(1) 내에 고정설치되고, 상부프레임(12)과 지지프레임(14)으로 이루어진다. 지지프레임(14)은 적재함(1)의 상부에 고정되고 상단부는 상부프레임(12)과 체결되어 상부프레임(12)을 수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선반부(20)는 유압실린더(21)와 복수의 와이어(22) 및 복수의 풀리(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그 상부에는 화물이 적재되어 유압실린더(21)의 작동에 의해 상하로 승강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와이어(22)는 유압실린더(21)의 말단부와 상부프레임(12)에 각각 체결되고 이러한 와이어(22)가 감착되는 상기 풀리(23)는 선반부(20)에 고정브래킷(26)을 이용하여 회동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유압실린더(21)의 신축운동에 따라 선반부(20)가 승강가능하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풀리(23)가 선반부(20)의 각 모서리마다 제1 내지 제4 풀리(231,232,233,234)로 복수 개 설치되고, 와이어(22)도 이러한 각각의 풀리(231,232,233,234)에 체결될 수 있도록 제1 내지 제4 와이어(221,222,223,224)로 복수 개를 구비하도록 한다.
이로써 화물차의 적재함(1) 내에 설치된 선반부(20)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으므로 화물차에 적재되는 다양한 크기를 가진 물품을 용이하게 구분하여 하역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선반부(20) 상부에 물품의 적재작업이 완료되면 선반부(20)를 상승시킨 후에 선반부(20)의 하부에 다른 물품의 적재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어서 작업능률이 크게 향상된다. 필요에 따라 선반부(20)는 상하로 복수 개 설치하여 다단의 선반부로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선반부(20) 내에는 제1 내지 제4 와이어(221,222,223,224)가 각각 감착되는 제1 내지 제4 가이드풀리(241,242,243,244)로 복수의 가이드풀리(24)가 더 구비됨으로써 선반부(20) 각각의 모서리에 설치된 복수의 풀리(231,232,233,234)에 체결된 복수의 와이어(221,222,223,224)가 유압실린더(21)의 말단부에 일체로 체결되도록 구성한다.
이로 인해 복수의 풀리(231,232,233,234)에 체결된 복수의 와이어(221,222,223,224)를 견인하는 유압실린더를 복수 개로 설치될 필요 없이 하나의 유압실린더만으로 구동이 가능하게 되며, 복수의 유압실린더로 구동될 경우에 어느 하나의 유압실린더의 작동오류 시 선반부(20)가 기울어져 상치된 물품이 낙하하게 되는 위험성을 배제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선반부(20) 각각의 모서리에 설치된 풀리(23)에서의 와이어(22) 견인량이 항상 동일하기 때문에 설령 유압실린더(21)에 작동오류가 발생하더라도 항상 수평도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적재된 물품의 낙하위험을 크게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스터(25)의 작동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차용 높이조절이 가능한 선반장치(100)의 선반부(20) 일측에는 지지프레임(14) 상을 주행하는 캐스터(25)가 더 구비된다.
상기 캐스터(25)는 고정브래킷(26)에 의해 선반부(20)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지지프레임(14)의 외측으로 형성된 돌출부(15)가 끼워질 수 있는 요홈(252)이 구비되어 선반부(20)가 유압실린더(21)의 작동에 의해 승강될 때 지지프레임(14)을 따라 주행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선반부(20)는 유압실린더(21)의 신축운동에 따라 상하로 승강되는데, 이때 와이어(22) 만으로 승강시에는 선반부(20)에 요동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고 이로 인해 적재물품의 파손위험도 뒤따르게 된다.
따라서 지지프레임(14)의 외측으로는 돌출부(15)를 형성시키고, 선반부(20)의 일측에 이러한 돌출부(15)가 끼워질 수 있는 요홈(252)이 형성된 캐스터(25)가 구비됨으로써, 선반부(20)의 높이를 조절할 때에 선반부(20)는 흔들림없이 안정적으로 승강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인 화물차용 높이조절이 가능한 선반장치(100)는, 화물차의 적재함(1) 내에 설치되는 선반부(20)의 높이조절이 가능하게 되어 다양한 크기를 가진 물품을 용이하게 구분하여 하역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선반부(20)에 설치된 복수의 풀리(231,232,233,234)에 감착되는 복수의 와이어(221,222,223,224)가 복수의 가이드풀리(241,242,243,244)와 체결되어 1개의 유압실린더(21)의 말단부에 일체로 체결되도록 하고 선반부(20)의 일측에는 지지프레임(14) 상을 주행할 수 있는 캐스터(25)가 더 구비됨으로써 선반부(20)가 항상 수평을 유지한 채로 안정적으로 승강될 수 있는 차별된 효과가 있다.
100 : 화물차용 높이조절이 가능한 선반장치
1 : 화물차 적재함
10 : 프레임부 12 : 상부프레임
14 : 지지프레임 15 : 돌출부
20 : 선반부 21 : 유압실린더
22 : 와이어 221,222,223,224 : 제1 내지 제4 와이어
23 : 풀리 231,232,233,234 : 제1 내지 제4 풀리
24 : 가이드풀리
241,242,243,244 : 제1 내지 제4 가이드풀리
25 : 캐스터 252 : 요홈
26 : 고정브래킷

Claims (2)

  1. 화물차의 적재함 내에 고정설치되고, 상부프레임과 상기 상부프레임을 수직으로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이 구비된 프레임부;와
    유압실린더와, 상기 유압실린더의 말단부와 상기 상부프레임에 각각 체결되는 와이어 및, 상기 와이어가 감착되는 풀리를 구비하고, 상기 유압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상하로 승강되는 선반부;를 포함하며,
    상기 풀리는 상기 선반부의 모서리에 복수 개로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풀리에 각각 감착되는 복수의 와이어는 상기 선반부 내에 설치된 복수의 가이드풀리에 각각 감착되어 상기 유압실린더의 말단부에 일체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용 높이조절이 가능한 선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부의 적어도 일측에는,
    상기 지지프레임의 외측으로 형성된 돌출부를 따라 주행이 가능하도록 요홈이 형성된 캐스터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용 높이조절이 가능한 선반장치.
KR1020120156055A 2012-12-28 2012-12-28 화물차용 높이조절이 가능한 선반장치 KR1014226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6055A KR101422672B1 (ko) 2012-12-28 2012-12-28 화물차용 높이조절이 가능한 선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6055A KR101422672B1 (ko) 2012-12-28 2012-12-28 화물차용 높이조절이 가능한 선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6042A true KR20140086042A (ko) 2014-07-08
KR101422672B1 KR101422672B1 (ko) 2014-07-23

Family

ID=51735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6055A KR101422672B1 (ko) 2012-12-28 2012-12-28 화물차용 높이조절이 가능한 선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267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8648A (ko) 2015-05-26 2016-12-06 유재경 적재물 높이 조절용 리프트 장치
KR20170021822A (ko) 2017-02-20 2017-02-28 유재경 적재물 높이 조절용 리프트 장치
KR20220035555A (ko) * 2020-09-14 2022-03-22 주식회사 한국스마트탑 화물차량의 승하강식 적재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7910B1 (ko) * 2018-01-31 2018-06-18 (주)코엠피에스 조립부품용박스 자동공급시스템
KR102215352B1 (ko) 2020-06-18 2021-02-10 진승원 화물차량의 화물덮개 보관함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80365A (ja) 1999-12-21 2001-07-03 Isamu Nakamura トラック
KR20040050441A (ko) * 2002-12-10 2004-06-16 김기수 높이 조절장치가 구비된 탑차의 적재함
KR100500133B1 (ko) * 2002-12-30 2005-07-11 김은기 차량정비 도크용 리프트
KR100905484B1 (ko) 2008-11-07 2009-07-02 (주) 대덕에이치에이엠 화물차용 적재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8648A (ko) 2015-05-26 2016-12-06 유재경 적재물 높이 조절용 리프트 장치
KR20170021822A (ko) 2017-02-20 2017-02-28 유재경 적재물 높이 조절용 리프트 장치
KR20220035555A (ko) * 2020-09-14 2022-03-22 주식회사 한국스마트탑 화물차량의 승하강식 적재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2672B1 (ko) 2014-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6219545B2 (en) Storage system
KR101422672B1 (ko) 화물차용 높이조절이 가능한 선반장치
US9266674B2 (en) Vertical storage system
JP2011515259A (ja) カーゴ取扱装置
US9790068B1 (en) Lift truck platform apparatus and methods for transporting rolling racks
KR101249510B1 (ko) 리프트형 상차 컨베이어장치
KR101292299B1 (ko) 이동 판매차
US4274789A (en) Mechanism for loading and unloading pallets from vans
JP2004525838A (ja) オートメ化された倉庫設備
JP6486113B2 (ja) 収納庫付平面デッキ
CN106477216B (zh) 用于自动地保护邮递物的装置
GB2385043A (en) Goods handling system
JP3193459U (ja) テールゲートリフタ装置
KR102322021B1 (ko) 양방향 이송 대차
US20150008693A1 (en) Collapsible Sidewall Extender for Vehicles
JP6841250B2 (ja) 自動倉庫
KR20110000864A (ko) 적재함용 화물 운반장치
KR101763650B1 (ko) 사다리차의 유동 방지장치
KR101155086B1 (ko) 카 캐리어 차량의 리어 게이트 접철구조
KR101577975B1 (ko) 적재이동장치
JPH0834506A (ja) 物品搬送装置
NL1036350C2 (nl) Container ten behoeve van opslag van archief.
EP2455311A1 (en) Method for loading and unloading an elongated container
KR102093482B1 (ko) 자재 이송 시스템
JP2021091380A (ja) 車内からの荷取出し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