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5794A - 마그네슘 판재 및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마그네슘 판재 및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5794A
KR20140085794A KR1020120155354A KR20120155354A KR20140085794A KR 20140085794 A KR20140085794 A KR 20140085794A KR 1020120155354 A KR1020120155354 A KR 1020120155354A KR 20120155354 A KR20120155354 A KR 20120155354A KR 20140085794 A KR20140085794 A KR 201400857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sium
magnesium plate
tin
plating lay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53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91100B1 (ko
Inventor
박우진
추동균
김인준
김덕
박재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201201553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1100B1/ko
Publication of KR201400857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57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11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11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04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material
    • C23C2/08Tin or alloys based there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23/00Alloys based on magnes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02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coated, e.g. for coating on selected surface areas
    • C23C2/022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coated, e.g. for coating on selected surface areas by he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14Removing excess of molten coatings; 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coating thickness
    • C23C2/16Removing excess of molten coatings; 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coating thickness using fluids under pressure, e.g. air knives
    • C23C2/18Removing excess of molten coatings from elongated material
    • C23C2/20Strips; P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26After-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26After-treatment
    • C23C2/28Thermal after-treatment, e.g. treatment in oil bath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ating With Molten Me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그네슘 판재 및 그 도금방법에 관한 것으로, 마그네슘: 0.2~4.0중량%, 나머지는 주석 및 불가피한 불순물에 의해 주석 합금 도금층이 형성된 마그네슘 판재 및 그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이때, 마그네슘 판재 제조방법은 마그네슘 판재를 예열하고, 용융 주석도금욕에 침지하여 마그네슘 판재 위에 주석 도금층을 형성한 다음, 상기 침지된 마그네슘 판재를 인출하여 에어나이프를 통과시키며, 상기 에어나이프를 통과한 마그네슘 판재를 합금화처리 및 냉각시킴으로써 달성된다.

Description

마그네슘 판재 및 제조방법{MAGNESIUM PLAT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마그네슘 판재 및 그 도금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주석(Sn)과 마그네슘(Mg) 용탕을 이용하여 고 내식성을 확보한 마그네슘 판재 및 그 도금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마그네슘 판재는 마그네슘을 녹여서 판재로 직접 주조한 후, 압연을 통해 제조하거나, 연주법으로 두꺼운 빌렛을 제조한 후, 압연을 통해 제조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상기의 방법으로 제조되는 마그네슘 판재는 열악한 내식성으로 인해 실용성이 제한적이다.
마그네슘의 취약한 내부식성을 극복하기 위해 사용분야에 적합한 재질 및 공법으로 도장 및 코팅을 적용하고 있으나, 마그네슘 판재가 아직 널리 사용되고 있지 못하므로 마그네슘 판재에 적합한 표면처리 기법 및 재질도 매우 제한적인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고내식성을 확보하여 자동차 및 주방기기로 사용될 수 있는 고내식성 마그네슘 판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하나 또는 다수의 실시예에서는 마그네슘: 0.2~4.0중량%, 나머지는 주석 및 불가피한 불순물에 의해 주석 합금 도금층이 형성된 마그네슘 판재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마그네슘 판재는, 마그네슘의 함량이 50중량%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하나 또는 다수의 실시예에서는 주석, 마그네슘: 0.2~4.0중량%, 나머지는 주석 및 불가피한 불순물로 구성되는 주석합금에 의해 도금층이 형성되는 마그네슘 판재 제조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도금층 형성방법은, 마그네슘 판재를 250~290℃에서 예열하는 단계; 상기 마그네슘 판재 위에 주석 도금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주석 도금층을 합금화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주석 도금층의 형성은 250~290℃의 용융 주석도금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주석 도금층은 마그네슘을 0.2~4.0중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합금화처리하는 단계는 180~220℃의 온도 범위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주석 도금층 형성 단계 이후에는 마그네슘 판재를 폭 10mm당 10~30L/min의 유량의 에어나이프를 통과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합금화처리 이후에 폭 10mm당 10~30L/min의 유량으로 냉각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그네슘 판재는 마그네슘의 함량이 50중량%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마그네슘 판재는 AZ31 합금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Sn-Mg 용탕을 이용함으로써 자동차 및 주방기기로 사용될 수 있는 마그네슘 판재의 내식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석 합금이 도금되는 마그네슘 판재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공정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마그네슘 판재가 용융 주석 욕조를 통과하도록 한 후, 급속히 냉각하도록 함으로써 마그네슘 판재 표면이 주석으로 도금되도록 유도한다. 모재인 마그네슘 판재와 주석도금재의 밀착성을 높이기 위해 마그네슘 판재와 주석 욕조를 각각 음극과 양극으로 통전할 수도 있다.
그리고, 마그네슘 판재는 중량비 기준으로 50% 이상의 마그네슘을 함유하며, 판재 낱장 혹은 판재 코일을 의미하고 주석 욕조도 중량비 기준으로 주석이 50% 이상이 함유된 것을 의미한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석 합금이 도금된 자동차용 고내식성 도금 강판 제조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공정순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자동차 및 주방기기용 고내식성 주석 합금이 도금된 마그네슘 판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Sn-Mg 용탕에 마그네슘 판재를 연속적으로 침지한 후, 합금화하여 마그네슘 판재 표면에 합금 도금층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마그네슘 강재는 연속적으로 1차 및 2차 예열구간(1st and 2nd pre-heating section)(S10), 용융 도금욕(Pot)(S20), 에어나이프(Air knife)(S30), 합금화처리 구간(Soaking section)(S40), 최종냉각대(Final Sn cooling)(S50)를 거치게 된다.
상기 마그네슘 강재는 도금욕에 침지되기 이전에 예열구간(pre-heating section)을 거치는데,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예열구간의 온도를 250~290℃로 한정하는데, 만약 최종 예열온도가 250℃보다 낮으면 마그네슘 판재와 용융 주석 합금 간의 도금 밀착성이 저하되며, 반대로 예열구간에서의 온도가 290℃보다 높으면 마그네슘 판재의 표면산화가 가속화되므로 도금 밀착성이 저하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의 예열구간의 온도는 250~290℃로 한정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의 용융 도금욕의 조성을 Mg: 0.2~4.0 중량%, 나머지가 Sn 및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즉, 마그네슘은 내식성이 낮으므로 자동차용 도장 및 주방기기용 표면처리가 매우 어려우므로 마그네슘 판재 표면을 내식성이 뛰어난 주석 합금으로 도금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주석합금을 이용하여 주석합금 도금층과 모재 사이에 Mg2Sn 금속간 화합물 형성을 유도함으로써 도금 밀착성을 높이고, 모재와 동일한 성분인 Mg를 주석합금에 첨가함으로써 도금 밀착성을 배가시키도록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마그네슘의 함량을 상기 범위로 한정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도금욕의 온도는 250~290℃ 로 유지한다. 만약, 상기 도금욕의 온도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면, 도금 밀착성이 저하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의 도금욕의 온도는 상기 범위로 한정한다.
이 때, 상기 도금욕에서 인출된 판재는 합금화처리 구간을 거치되, 상기 합금화처리 구간의 온도는 Mg2Sn 금속간화합물 형성을 통한 도금 밀착성 확보에 유리한 180~220℃에서 실시한다. 이는 합금화처리 구간에서는 그 온도가 유지되면서 강재의 합금화 반응을 지속시키기 위한 반응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도금욕에서 인출된 판재는 상기 합금화처리 구간으로 인입되기 이전에 에어나이프(Air knife)를 통과하되, 상기 에어나이프의 유량은 판재의 폭(Width) 10mm당 10~30L/min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에어나이프(Air knife)는 고압의 에어를 분사하여 강재의 표면에 부착된 도금층이 균일하게 형성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에어나이프에서 분사되는 압축공기의 유량은 판재의 폭(Width) 10mm당 10~30L/min로 한정한다.
또한, 상기 합금화 처리 구간을 거친 강재는 공기를 분사하여 강대를 냉각시키는 최종냉각대를 통과하되, 상기 최종 냉각대에서 분사되는 공기의 유량은 판재의 폭(Width) 10mm당 10~30L/min 인 것이 바람직하다. 최종냉각대에서는 강재의 표면에 기체를 분사하여 강재의 온도를 하강시켜 과도한 합금화 반응을 억제하게 된다. 이 때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분사되는 기체의 유량이 판재의 폭(Width) 10mm당 10~30L/min 이 되도록 한다.
[실시예]
Sn과 1.0, 3.0, 5.0wt%Mg 조성을 가지는 용탕을 이용하여 아래와 같은 공정조건으로 주석 도금 마그네슘 판재를 제조하였으며, 이 때 사용한 마그네슘 판재는 폭 150mm, 두께 1.5mm의 AZ31 합금이었다.
예열구간온도 270℃, 도금욕 온도 270℃, 에어나이프 유량 폭(Width) 10mm당 20L/min, 합금화처리 구간 온도 200℃, 최종냉각대 유량 폭(Width) 10mm당 20L/min로 하였다.
도금욕 조성별로 제조된 마그네슘 판재의 폭방향 두께편차 측정을 통해 도금 밀착성을 간접적으로 비교하였다. 하기 표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금욕의 조성 및 제조 공정에 따른 마그네슘 판재의 두께 평균 및 두께 편차를 나타낸 것이다.
도금욕 조성 및 제조 공정에 따른 판재의 두께 평균 및 두께 편차
도금욕 조성 예열
온도(℃)
도금욕 온도(℃) 에어나이프 유량 합금화처리
온도(℃)
최종
냉각대
유량
두께
평균(mm)
두께
편차
(mm)
Sn-1.0Mg 270 270 폭10mm당 20L/min 200 폭10mm당 20L/min 1.71 0.07
Sn-3.0Mg 270 270 폭10mm당 20L/min 200 폭10mm당 20L/min 1.67 0.06
Sn-5.0Mg 270 270 폭10mm당 20L/min 200 폭10mm당 20L/min 2.01 0.22
두께편차에 대한 결과를 살펴보면, Sn과 1.0, 3.0, 5.0wt%Mg 합금의 두께의 평균은 1.71, 1.67, 2.01 이었으며, 두께 편차는 0.07, 0.06, 0.22였다.
평균두께가 두껍거나 두께편차가 크다는 것은 도금층의 유동성 감소에 의한 도금 밀착성 저하와 관련되므로 Sn과 1.0, 3.0wt%Mg 합금의 도금 밀착성이 우수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경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1)

  1. 마그네슘: 0.2~4.0중량%, 나머지는 주석 및 불가피한 불순물에 의해 주석 합금 도금층이 형성된 마그네슘 판재.
  2. 상기 마그네슘 판재는, 마그네슘의 함량이 50중량%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슘 판재.
  3. 주석, 마그네슘: 0.2~4.0중량%, 나머지는 주석 및 불가피한 불순물로 구성되는 주석합금에 의해 도금층이 형성되는 마그네슘 판재 제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도금층 형성방법은,
    마그네슘 판재를 250~290℃에서 예열하는 단계;
    상기 마그네슘 판재 위에 주석 도금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주석 도금층을 합금화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슘 판재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주석 도금층의 형성은 250~290℃의 용융 주석도금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슘 판재 제조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주석 도금층은 마그네슘을 0.2~4.0중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슘 판재 제조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합금화처리하는 단계는 180~220℃의 온도 범위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슘 판재 제조방법.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주석 도금층 형성 단계 이후에는 마그네슘 판재를 폭 10mm당 10~30L/min의 유량의 에어나이프를 통과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마그네슘 판재 제조방법.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합금화처리 이후에 폭 10mm당 10~30L/min의 유량으로 냉각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마그네슘 판재 제조방법.
  10. 제3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슘 판재는 마그네슘의 함량이 50중량%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슘 판재 제조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슘 판재는 AZ31 합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슘 판재 제조방법.
KR20120155354A 2012-12-27 2012-12-27 마그네슘 판재 및 제조방법 KR1014911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155354A KR101491100B1 (ko) 2012-12-27 2012-12-27 마그네슘 판재 및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155354A KR101491100B1 (ko) 2012-12-27 2012-12-27 마그네슘 판재 및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5794A true KR20140085794A (ko) 2014-07-08
KR101491100B1 KR101491100B1 (ko) 2015-02-09

Family

ID=517351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20155354A KR101491100B1 (ko) 2012-12-27 2012-12-27 마그네슘 판재 및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1100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46505A (ja) * 2000-11-13 2002-05-22 Nippon Steel Corp 溶融Sn−Mg系めっき鋼板
JP4625944B2 (ja) * 2004-06-10 2011-02-02 国立大学法人九州工業大学 耐食性に優れたマグネシウム材
US8181690B2 (en) * 2009-04-28 2012-05-22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Method of forming a coated article including a magnesium allo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1100B1 (ko) 2015-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6611B1 (ko) 희생 음극 보호부를 구비하는 코팅이 제공된 스틸 시트, 그러한 시트를 사용한 부품의 제조 방법 및 완성된 부품
JP2007182608A (ja) 耐食性、耐疲労性に優れた高強度焼き入れ成形体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設備
WO2006006696A1 (ja) 耐食性に優れた高強度焼き入れ成形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80131944A (ko) 도장 밀착성과 도장 후 내식성이 우수한 열간 프레스 성형 부재용 강판 및 그 제조방법
EP3395465B1 (en) Hot press formed product having excellent corrosion resistance and method for preparing same
KR20150074882A (ko) 열간 프레스 성형용 도금강판 및 그 제조방법
JP5414722B2 (ja) 耐食性、耐疲労性に優れた高強度焼き入れ成形体
KR101506681B1 (ko) 마그네슘 판재 및 제조방법
KR20200066239A (ko) 내식성 및 용접성이 우수한 열간 프레스용 알루미늄-철계 도금 강판 및 그 제조방법
US20230002850A1 (en) High-performance thermoformed component provided with coating,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EP3015572B1 (en) Hot press formed part manufacturing process
KR101491100B1 (ko) 마그네슘 판재 및 제조방법
EP3396006B1 (en) Microcrack-reduced, hot press-formed artic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EP4261317A1 (en) High-strength hot-dip galvanized steel sheet with excellent plating quality, steel sheet for plating,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for
KR101491098B1 (ko) 마그네슘 판재 및 제조방법
KR102311503B1 (ko) 가공성 및 내식성이 우수한 알루미늄계 합금 도금강판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50070841A (ko) 고내식 도금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49254A (ko) 가공성 및 도금 밀착성이 우수한 준합금화 열연용융아연도금강판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20041619A (ko) 도금성 및 밀착성이 우수한 용융아연 도금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889230B1 (ko) 내식성이 우수한 열간 프레스 성형품 및 그 제조방법
JP2010248602A (ja) 熱間プレス用めっき鋼板および熱間プレス成形品
KR101560915B1 (ko) 표면크랙 발생이 억제된 열간프레스용 아연도금강판, 그리고 이를 이용한 열간프레스성형품 및 그 제조방법
KR102110657B1 (ko) 도금 조성물 및 아연도금강판의 제조방법
KR101928194B1 (ko) Zn-Al-Mg계 도금층을 구비하는 열간 프레스 성형 부품 및 그 제조방법
EP3845681A1 (en) Hot dip plated steel sheet having excellent corrosion resistance and workabilit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