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5695A - 풍력 발전기의 관리 작업대 및 그 작업대 구조물 - Google Patents

풍력 발전기의 관리 작업대 및 그 작업대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5695A
KR20140085695A KR1020120154375A KR20120154375A KR20140085695A KR 20140085695 A KR20140085695 A KR 20140085695A KR 1020120154375 A KR1020120154375 A KR 1020120154375A KR 20120154375 A KR20120154375 A KR 20120154375A KR 20140085695 A KR20140085695 A KR 201400856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tower
moving plates
horizontal frame
workben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43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41286B1 (ko
Inventor
오승열
송성근
신덕식
이상택
조주희
최정식
차대석
박병철
Original Assignee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자부품연구원 filed Critical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1201543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1286B1/ko
Publication of KR201400856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56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12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12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80/00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3D1/00 - F03D17/00
    • F03D80/50Maintenance or rep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16Mobile or transportable lifts specially adapted to be shifted from one part of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to another part or to another building or structure
    • B66B9/187Mobile or transportable lifts specially adapted to be shifted from one part of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to another part or to another building or structure with a liftway specially adapted for temporary connection to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8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30/00Manufacture
    • F05B2230/60Assembly methods
    • F05B2230/61Assembly methods using auxiliary equipment for lifting or hold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30/00Manufacture
    • F05B2230/80Repairing, retrofitting or upgrading metho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in wind dir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Wind Mo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풍력 발전기의 관리 작업대 및 그 작업대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관리 작업대는, 풍력 발전기의 타워를 감싸 상기 타워의 길이 방향으로 수직 이동 가능하도록 내부에 관통 영역을 가지며, 상기 타워를 상기 관통 영역으로 인도할 수 있도록 일측에 개구 영역이 형성된 수평프레임, 상기 수평판의 테두리 중 일정 부분에 수직으로 형성된 수직프레임, 상기 수평프레임 또는 상기 수직프레임과 결합하여 상기 타워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하로 이동시키는 이동모듈, 및 상기 관통 영역에 위치한 상기 타워의 단면적에 따라, 상기 관통 영역의 넓이를 조정하는 조정모듈을 포함하고, 이에 따라, 관리 작업대가 바람 등에 의해 과도하게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그 결과 풍력 발전기 관리 작업의 안정성 및 효율이 향상된다.

Description

풍력 발전기의 관리 작업대 및 그 작업대 구조물 {Maintenance workbench of wind power generator and workbench structure thereof}
본 발명은 특정 작업을 수행하도록 하는 작업대와 관련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풍력 발전기의 타워를 따라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타워나 블레이드의 유지 보수 작업을 수행하도록 지원하는 풍력 발전기의 관리 작업대 및 그 작업대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풍력 발전기는 바람이 가지는 운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풍력 발전기는 바람에 의해 회전하는 블레이드와, 적절한 회전 속도를 유지하는 증속기 또는 감속기, 블레이드의 회전에 따라 전류를 발생하는 발전기 등을 포함한다.
그런데 이러한 블레이드는 풍력에 따라 회전하는 과정에서 손상될 수 있고 이물질이 부착될 수도 있으며, 이는 풍력 발전기의 공기 역학적 성능을 떨어뜨리는 원인이 되므로 적절한 유지 보수 작업을 요한다. 또한 풍력 발전기의 타워나 나셀 등도 주기적인 검사와 관리 작업이 필요하다.
그런데 종래에는 풍력 발전기의 유지 보수 작업을 위해 와이어로 수직 이동하는 곤돌라를 이용해 왔고, 이러한 곤돌라는 바람에 의해 흔들리는 경우 사고 위험이 매우 높은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풍력 발전기의 유지 보수 작업을 수행함에 있어, 타워를 내부로 인입시켜 타워의 길이 방향을 따라 수직 이동하는 작업 공간을 제공하여, 안전 사고를 방지하고 관리 작업의 효율을 향상할 수 있는 풍력 발전기의 관리 작업대 및 그 작업대 구조물을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풍력 발전기의 관리 작업대는, 풍력 발전기의 타워를 감싸 상기 타워의 길이 방향으로 수직 이동 가능하도록 내부에 관통 영역을 가지며, 상기 타워를 상기 관통 영역으로 인도할 수 있도록 일측에 개구 영역이 형성된 수평프레임, 상기 수평판의 테두리 중 일정 부분에 수직으로 형성된 수직프레임, 상기 수평프레임 또는 상기 수직프레임과 결합하여 상기 타워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하로 이동시키는 이동모듈, 및 상기 관통 영역에 위치한 상기 타워의 단면적에 따라, 상기 관통 영역의 넓이를 조정하는 조정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풍력 발전기의 관리 작업대에 있어서, 상기 수평프레임은, 측면이 서로 일정 부분 겹치도록 위치하여 내부에 상기 관통 영역을 형성하는 복수의 이동판, 및 상기 관통 영역과 대향하는 상기 복수의 이동판의 외부 가장자리와 일정 부분 겹치도록 위치하여, 상기 복수의 이동판을 둘러싼 형상을 갖는 고정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풍력 발전기의 관리 작업대에 있어서, 상기 조정모듈은, 상기 복수의 이동판이 상기 관통 영역의 중심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여, 측면이 서로 겹치는 부분의 면적이 늘어나고 상기 고정판과 겹치는 부분의 면적이 줄어듦에 따라, 상기 관통 영역의 넓이가 줄어들도록 조정하거나, 상기 복수의 이동판이 상기 관통 영역의 중심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여, 측면이 서로 겹치는 부분의 면적이 줄어들고 상기 고정판과 겹치는 부분의 면적이 늘어남에 따라, 상기 관통 영역의 넓이가 늘어나도록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풍력 발전기의 관리 작업대에 있어서, 상기 관통 영역과 인접한 상기 복수의 이동판의 내부 경계로부터, 상기 타워의 외주면 까지의 거리를 감지하는 거리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정모듈은 상기 거리감지부의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관통 영역의 넓이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풍력 발전기의 관리 작업대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이동판에 가해지는 하중을 감지하는 하중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정모듈은 상기 하중감지부의 감지 결과 일정치 이상의 하중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관통 영역의 넓이 조정을 중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풍력 발전기의 관리 작업대에 있어서,
상기 관통 영역과 인접한 상기 복수의 이동판의 내부 가장자리에 위치하여 상기 타워와의 접촉에 따른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풍력 발전기의 관리 작업대에 있어서, 상기 수평프레임에 형성된 상기 개구 영역은, 상기 수평프레임이 상기 타워의 길이 방향으로 수직 이동함에 따라, 블레이드가 인입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풍력 발전기의 관리 작업대 구조물은, 풍력 발전기의 타워를 감싸 상기 타워의 길이 방향으로 수직 이동 가능하도록 내부에 관통 영역을 가지며, 상기 타워를 상기 관통 영역으로 인도할 수 있도록 일측에 개구 영역이 형성된 수평프레임, 및 상기 수평판의 테두리 중 일정 부분에 수직으로 형성된 수직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풍력 발전기의 관리 작업대 및 그 작업대 구조물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첫째, 관리 작업대가 내부로 인입된 타워의 길이 방향을 따라 수직 이동하므로, 바람 등에 의해 과도하게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풍력 발전기 관리 작업의 안정성 및 효율이 향상된다.
둘째, 관리 작업대의 수평 작업 공간은 타워의 단면적에 따라 가변적으로 넓이가 조정되므로, 관리 작업대의 안정성을 더욱 향상할 수 있다.
셋째, 관리 작업대의 수평 작업 공간을 조정함에 있어, 일정 하중 이상이 인가되는지에 따라 조정 작업을 수행하여, 안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 작업대가 풍력 발전기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 작업대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타워가 관리 작업대에 인입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타워 및 블레이드가 관리 작업대에 인입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평프레임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수평프레임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풍력 발전기의 유지 보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타워를 따라 수직으로 승하강하는 관리 작업대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 작업대(100)가 풍력 발전기(200)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풍력 발전기(200)는 타워(1), 블레이드(2), 허브(3) 및 나셀(4)을 포함한다.
타워(1)는 풍력 발전기(200)를 지면에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타워(1)의 하단에는 풍력 발전기(200)를 안정되게 지탱하기 위하여 지지대(5)가 위치할 수 있다.
블레이드(2)는 바람이 불면 바람에 맞서 회전하는 회전날로서, 그 중량을 줄이면서 강한 바람에 맞설 수 있도록 유리섬유 등의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허브(3)는 블레이드(2)의 끝단과 결합하며, 복수의 블레이드(2)가 허브(3)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나셀(nacelle)(4)은 블레이드(2)의 회전 속도를 조절하는 증속기 또는 감속기, 블레이드(2)의 회전에 따라 유도 전류를 발생시키는 발전 설비 등이 위치하는 장소이다.
그리고 관리 작업대(100)는 이러한 풍력 발전기(200)의 각 구성(1, 2, 3, 4)에 대한 유지 보수 작업을 위해, 타워(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수직으로 승하강한다.
이때, 관리 작업대(100)는 내부에 관통 영역을 가지며, 해당 관통 영역에 타워(1)를 인입시킨 후, 타워(1)의 수직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한다.
그런데 통상 타워(1)는 안정성을 위해 하단부의 단면적이 상단부의 단면적보다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된다. 따라서 관리 작업대(100) 내부의 관통 영역 넓이를, 타워(1) 하단부의 단면적에 맞게 설정하면, 관리 작업대(100)가 타워의(1)의 상단부에서 바람에 따라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기 어렵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의 관리 작업대(100)는 타워(1)를 인입시키는 관통 영역의 넓이를, 타워(1) 단면적의 변화에 따라 적응적으로 조정하여, 관리 작업대(100)가 타워(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수직으로 승하강하며 안정적으로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와 같은 관리 작업대(100)의 구성에 대해서는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 작업대(100)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타워(1)가 관리 작업대(100)에 인입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타워(1) 및 블레이드(2)가 관리 작업대(100)에 인입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관리 작업대(100)는 수평프레임(10), 수직프레임(20), 이동모듈(30), 조정모듈(40), 거리감지부(50), 하중감지부(60) 및 완충부(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수평프레임(10)은 관리 작업대(100)의 수평 바닥면을 구성하며, 풍력 발전기의 유지 보수 작업을 위한 각종 장비를 탑재하거나, 관리자가 발로 디딜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수평프레임(10)은 풍력 발전기의 타워(1)를 감싸 길이 방향으로 수직 이동 가능하도록 내부에 관통 영역(13)을 가진다. 이때, 수평프레임(10)은 타워(1)를 관리 작업대(100)의 외부로부터 내부로 인도할 수 있도록, 수평 프레임(10)의 일측에 개구 영역(14)을 포함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관리 작업대(100)의 개구 영역(14)을 타워(1)에 대응하여 위치시키고, 타워(1)를 개구 영역(14)을 통해 인입시켜 관통 영역(13)으로 인도함으로써, 관리 작업대(100)가 풍력 발전기(200)의 관리 작업 수행을 위한 위치에 놓이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수평프레임(10)은 측면이 서로 일정 부분 겹치도록 위치하여 내부에 관통 영역(13)을 형성하는 복수의 이동판(11)을 포함하고, 관통 영역(13)과 대향하는 복수의 이동판(11)의 외부 가장자리와 일정 부분 겹치도록 위치하여 복수의 이동판(11)을 둘러싼 형상을 갖는 고정판(12)을 포함한다.
복수의 이동판(11)은 타워(1)의 단면적 넓이에 따라 조정모듈(40)의 제어를 받아 관통 영역(13)의 중심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관통 영역(13)의 중심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여, 관통 영역(13)의 넓이가 늘어나거나 줄어들도록 한다.
수직프레임(20)은 수평프레임(10)의 일정 부분에 수직으로 형성되며, 수평프레임(10) 상에 위치한 관리자나 물품 등이 안전하게 수평프레임(10) 상에 위치하도록 한다.
이동모듈(30)은 와이어(31)를 이용하여 관리 작업대(100)가 타워(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수직으로 승하강하도록 동력을 전달한다.
이동모듈(30)은 수평프레임(10)이나 수직프레임(20)에 고정 부착되며, 회전 롤러(32)를 통해 와이어(31)를 당기거나 풀 수 있는 모터 등 구동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모듈(30)을 이용하여 관리 작업대(100)가 풍력 발전기의 나셀(4) 방향으로 이동하면, 블레이드(2)가 수평프레임(10)의 개구 영역(14)으로 인입하게 된다. 이때, 수평프레임(10)의 관통 영역(13)에는 타워(1)가 위치하고, 개구 영역(14)에는 블레이드(2)가 위치하게 되며, 관리 작업대(100)가 타워(1)를 중심으로 안정되게 위치하는 동안, 타워(1)와 블레이드(2)의 유지 보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조정모듈(40)은 관통 영역(13)에 위치한 타워(1)의 단면적에 따라, 관통 영역(13)의 넓이를 조정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조정모듈(40)은, 복수의 이동판(11)이 관통 영역(13)의 중심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여, 복수의 이동판(11) 간에 측면이 서로 겹치는 부분의 면적이 늘어나고, 복수의 이동판(11) 외부의 가장자리와 고정판(12)과 겹치는 부분의 면적이 줄어듦에 따라, 관통 영역(13)의 넓이가 줄어들도록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조정모듈(40)은, 복수의 이동판(11)이 관통 영역(13)의 중심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여, 복수의 이동판(11) 간에 측면이 서로 겹치는 부분의 면적이 줄어들고, 복수의 이동판(11) 외부의 가장자리와 고정판(12)과 겹치는 부분의 면적이 늘어남에 따라, 관통 영역(13)의 넓이가 늘어나도록 조정할 수 있다.
거리감지부(50)는, 수평프레임(10)이나 수직프레임(20)에 고정 위치하여, 관통 영역(13)과 인접한 복수의 이동판(11)의 내부 경계로부터, 타워(1)의 외주면 까지의 거리를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거리감지부(50)는 예를 들어, 광 센서, 음파 센서, 카메라 등의 센싱 장비를 포함할 수 있다. 거리감지부(50)가 광 센서를 포함한 경우 타워(1)의 외주면으로 적외선 등의 광을 조사한 후, 반사광을 감지하기 까지의 시간이나 파장 변화를 측정하여, 복수의 이동판(11)의 내부 경계로부터 타워(1)의 외주면 까지의 거리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거리감지부(50)가 음파 센서를 포함한 경우, 타워(1)의 외주면으로 초음파 등을 조사한 후, 반사된 음파를 감지하기 까지의 시간이나 파장 변화를 측정하여, 복수의 이동판(11)의 내부 경계로부터 타워(1)의 외주면 까지의 거리를 감지할 수 있다.
더하여, 거리감지부(50)가 카메라를 포함한 경우, 타워(1)의 외부면을 지속적으로 촬영하고, 픽셀의 화소값 변화에 따라 타워(1)의 경계선을 확정한 후, 타워(1)로 인식되는 부분의 면적에 따라, 복수의 이동판(11)의 내부 경계로부터 타워(1)의 외주면 까지의 거리를 감지할 수 있다.
거리감지부(50)가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복수의 이동판(11)의 내부 경계로부터 타워(1)의 외주면 까지의 거리를 감지하면, 조정모듈(40)은 거리감지부(50)의 감지 결과에 따라 관통 영역(13)의 넓이를 조정한다.
이때, 조정모듈(40)은 거리감지부(50)의 감지 결과에 따라 복수의 이동판(11)을 이동시킬 거리를 계산하고, 계산 결과에 따라 모터 등의 구동 장비를 이용하여 복수의 이동판(11)을 관통 영역(13)의 중심 방향이나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그 결과 타워(1)의 단면적에 맞게 관통 영역(13)의 넓이가 조정되고, 관리 작업대(100)가 바람 등에 의해 흔들려도 타워(1)를 중심으로 안정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하중감지부(60)는 수평 프레임(10)에 위치하여 복수의 이동판(11)에 가해지는 하중을 감지하는 역할을 하며, 이를 위한 로드셀(load cell) 등의 하중 감지 장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정모듈(40)이 복수의 이동판(11)을 이동시켜 관통 영역(13)의 넓이를 조정하려 하거나 조정 과정을 수행하는 도중, 하중감지부(60)가 복수의 이동판(11)에 가해지는 하중을 감지한 결과 일정치 이상의 하중이 감지되면, 조정모듈(40)은 복수의 이동판(11)의 이동을 멈추어 관통 영역(13)의 넓이 조정 과정을 중지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복수의 이동판(11) 상에 위치한 관리자의 안전 사고를 방지하고, 물품의 낙하 등을 방지할 수 있으며, 복수의 이동판(11)이 이동하는 도중 과도한 하중에 의해 고장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완충부(70)는 관통 영역(13)과 인접한 복수의 이동판(11)의 내부 가장자리에 위치하여, 복수의 이동판(11)과 타워(1)와의 접촉에 따른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관리 작업대(100)가 이동중에 흔들리거나 바람 등에 의해 흔들려 복수의 이동판(11)이 타워(1)의 외주면과 부딪히는 경우, 복수의 이동판(11)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타워(1)를 중심으로 관리 작업대(100)의 위치를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다.
복수의 이동판(11)의 이동에 따라 관통 영역(13)의 넓이가 조정되는 모습에 대해서는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평프레임(10)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수평프레임(10)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수평프레임(10)은 풍력 발전기의 타워를 감싸 길이 방향으로 수직 이동 가능하도록 내부에 관통 영역(13)을 가진다. 이때, 수평프레임(10)은 타워를 관리 작업대의 외부로부터 내부로 인도할 수 있도록, 수평 프레임(10)의 일측에 개구 영역(14)을 포함한다.
이때, 관통 영역(13)은 서로 측면이 일정 부분 겹친 복수의 이동판(11)의 내부에 위치하고, 복수의 이동판(11)의 외부 가장자리를 감싸 고정판(12)이 위치한다.
도 5에 도시된 경우는 관통 영역(13)의 내부로 인입된 타워의 단면적이 도 6에 도시된 경우보다 상대적으로 넓은 경우를 나타내며, 예를 들어 관리 작업대가 도 6의 경우보다 상대적으로 타워의 하부에 위치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즉, 풍력 발전기의 타워는 나셀과 블레이드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하부가 상부보다 상대적으로 굵게 형성된다. 따라서 관리 작업대가 타워의 하부에 위치하는 경우 상대적으로 넓은 타워의 단면적에 따라, 복수의 이동판(11)의 내측 경계는 관통 영역(13)의 중심으로부터 도 6의 경우보다 멀리 위치하게 된다.
반대로 도 6에 도시된 경우는 관리 작업대가 도 5의 경우보다 상대적으로 타워의 상부에 위치하는 경우를 나타내며, 이에 따라 관통 영역(13)의 내부로 인입된 타워의 단면적이 도 5의 경우보다 상대적으로 좁게 된다.
즉, 관리 작업대가 타워의 길이 방향을 따라 수직 상방으로 이동하면, 복수의 이동판(11)은 관통 영역(13)의 중심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복수의 이동판(11) 간에 서로 겹치는 측면 부분의 면적이 늘어나고, 복수의 이동판(11) 외부의 가장자리와 고정판(12)과 겹치는 부분의 면적이 줄어들게 되며, 그 결과 관통 영역(13)의 넓이가 줄어들게 된다.
반대로 관리 작업대가 타워의 길이 방향을 따라 다시 수직 하방으로 이동하면, 복수의 이동판(11)은 관통 영역(13)의 중심으로부터 반대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복수의 이동판(11) 간에 서로 겹치는 측면 부분의 면적이 줄어들고, 복수의 이동판(11) 외부의 가장자리와 고정판(12)과 겹치는 부분의 면적이 늘어나게 되며, 그 결과 관통 영역(13)의 넓이가 늘어나게 된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와 도면에서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1: 타워 2: 블레이드
3: 허브 4: 나셀
5: 지지대 10: 수평프레임
11: 이동판 12: 고정판
13: 관통 영역 14: 개구 영역
20: 수직프레임 30: 이동모듈
31: 와이어 32: 롤러
40: 조정모듈 50: 거리감지부
60: 하중감지부 70: 완충부
100: 관리 작업대 200: 풍력 발전기

Claims (8)

  1. 풍력 발전기의 타워를 감싸 상기 타워의 길이 방향으로 수직 이동 가능하도록 내부에 관통 영역을 가지며, 상기 타워를 상기 관통 영역으로 인도할 수 있도록 일측에 개구 영역이 형성된 수평프레임;
    상기 수평판의 테두리 중 일정 부분에 수직으로 형성된 수직프레임;
    상기 수평프레임 또는 상기 수직프레임과 결합하여 상기 타워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하로 이동시키는 이동모듈; 및
    상기 관통 영역에 위치한 상기 타워의 단면적에 따라, 상기 관통 영역의 넓이를 조정하는 조정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 발전기의 관리 작업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프레임은,
    측면이 서로 일정 부분 겹치도록 위치하여 내부에 상기 관통 영역을 형성하는 복수의 이동판; 및
    상기 관통 영역과 대향하는 상기 복수의 이동판의 외부 가장자리와 일정 부분 겹치도록 위치하여, 상기 복수의 이동판을 둘러싼 형상을 갖는 고정판;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 발전기의 관리 작업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모듈은,
    상기 복수의 이동판이 상기 관통 영역의 중심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여, 측면이 서로 겹치는 부분의 면적이 늘어나고 상기 고정판과 겹치는 부분의 면적이 줄어듦에 따라, 상기 관통 영역의 넓이가 줄어들도록 조정하거나,
    상기 복수의 이동판이 상기 관통 영역의 중심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여, 측면이 서로 겹치는 부분의 면적이 줄어들고 상기 고정판과 겹치는 부분의 면적이 늘어남에 따라, 상기 관통 영역의 넓이가 늘어나도록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 발전기의 관리 작업대.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 영역과 인접한 상기 복수의 이동판의 내부 경계로부터, 상기 타워의 외주면 까지의 거리를 감지하는 거리감지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정모듈은 상기 거리감지부의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관통 영역의 넓이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 발전기의 관리 작업대.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이동판에 가해지는 하중을 감지하는 하중감지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정모듈은 상기 하중감지부의 감지 결과 일정치 이상의 하중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관통 영역의 넓이 조정을 중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 발전기의 관리 작업대.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 영역과 인접한 상기 복수의 이동판의 내부 가장자리에 위치하여 상기 타워와의 접촉에 따른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 발전기의 관리 작업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프레임에 형성된 상기 개구 영역은,
    상기 수평프레임이 상기 타워의 길이 방향으로 수직 이동함에 따라, 블레이드가 인입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 발전기의 관리 작업대.
  8. 풍력 발전기의 타워를 감싸 상기 타워의 길이 방향으로 수직 이동 가능하도록 내부에 관통 영역을 가지며, 상기 타워를 상기 관통 영역으로 인도할 수 있도록 일측에 개구 영역이 형성된 수평프레임; 및
    상기 수평판의 테두리 중 일정 부분에 수직으로 형성된 수직프레임;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 발전기의 관리 작업대 구조물.
KR1020120154375A 2012-12-27 2012-12-27 풍력 발전기의 관리 작업대 및 그 작업대 구조물 KR1014412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4375A KR101441286B1 (ko) 2012-12-27 2012-12-27 풍력 발전기의 관리 작업대 및 그 작업대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4375A KR101441286B1 (ko) 2012-12-27 2012-12-27 풍력 발전기의 관리 작업대 및 그 작업대 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5695A true KR20140085695A (ko) 2014-07-08
KR101441286B1 KR101441286B1 (ko) 2014-09-24

Family

ID=517350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4375A KR101441286B1 (ko) 2012-12-27 2012-12-27 풍력 발전기의 관리 작업대 및 그 작업대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1286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9764A (ko) * 2015-01-20 2016-07-28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풍력발전기 유지보수용 플랫폼
WO2016175339A1 (ko) * 2015-04-27 2016-11-03 케이.엘.이.에스 주식회사 풍력발전기의 유지보수용 작업대
WO2018184741A1 (en) * 2017-04-05 2018-10-11 Siemens Wind Power A/S Parking assembly
EP3409942A1 (fr) * 2017-06-02 2018-12-05 Saipem S.A. Dispositif et navire de maintenance pour éolienne offshore
EP3483431A1 (en) * 2017-11-14 2019-05-15 Parkwind NV Wind turbine working platform
KR102414168B1 (ko) * 2021-10-26 2022-06-29 삼성크레인스 주식회사 크레인 형태의 자동제어식 안전 발판 장치
KR20230174552A (ko) * 2022-06-21 2023-12-28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풍력발전기의 유지보수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31373A (ja) * 1994-11-14 1996-05-28 Sansei Kk 建物外壁逆傾斜面清掃用ゴンドラ装置
DE19726408C1 (de) 1997-06-21 1999-03-18 Gerhard Reineke Schlosserei Un Arbeitsbühne
JP4210540B2 (ja) 2003-03-27 2009-01-21 株式会社荏原製作所 ブレードのメンテナンスが容易な風車及び風力発電装置
CN102275071B (zh) * 2010-06-09 2013-02-20 华锐风电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风电机组多功能平台及叶片拆卸方法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9764A (ko) * 2015-01-20 2016-07-28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풍력발전기 유지보수용 플랫폼
WO2016175339A1 (ko) * 2015-04-27 2016-11-03 케이.엘.이.에스 주식회사 풍력발전기의 유지보수용 작업대
CN110691908A (zh) * 2017-04-05 2020-01-14 西门子歌美飒可再生能源公司 停放组件
WO2018184741A1 (en) * 2017-04-05 2018-10-11 Siemens Wind Power A/S Parking assembly
CN110691908B (zh) * 2017-04-05 2022-04-12 西门子歌美飒可再生能源公司 停放组件
EP3409942A1 (fr) * 2017-06-02 2018-12-05 Saipem S.A. Dispositif et navire de maintenance pour éolienne offshore
US10487806B2 (en) 2017-06-02 2019-11-26 Saipem S.A. Device and a ship for maintaining an offshore wind turbine
CN108979980A (zh) * 2017-06-02 2018-12-11 塞佩姆股份公司 用于维护海上风力涡轮机的维护装置、维护船和方法
FR3067017A1 (fr) * 2017-06-02 2018-12-07 Saipem S.A. Dispositif et navire de maintenance pour eolienne offshore
EP3483431A1 (en) * 2017-11-14 2019-05-15 Parkwind NV Wind turbine working platform
WO2019096620A1 (en) * 2017-11-14 2019-05-23 Parkwind Nv Wind turbine working platform
KR20200079302A (ko) * 2017-11-14 2020-07-02 파르크빈트 엔브이 윈드 터빈 작업 플랫폼
US11168665B2 (en) 2017-11-14 2021-11-09 Parkwind Nv Wind turbine working platform
KR102414168B1 (ko) * 2021-10-26 2022-06-29 삼성크레인스 주식회사 크레인 형태의 자동제어식 안전 발판 장치
KR20230174552A (ko) * 2022-06-21 2023-12-28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풍력발전기의 유지보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1286B1 (ko) 2014-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1286B1 (ko) 풍력 발전기의 관리 작업대 및 그 작업대 구조물
EP3074628B1 (en) A nacelle for a wind turbine generator including lifting apparatus
JP4210540B2 (ja) ブレードのメンテナンスが容易な風車及び風力発電装置
DK2456974T3 (en) WIND GENERATOR
US20120107085A1 (en) Housing and Mass Airflow Rate Control System for a Wind Turbine
KR101160675B1 (ko) 먼지제거수단이 구비된 태양광 발전기
US20200158091A1 (en) System and method for wind blade inspection, repair and upgrade
WO2009047595A1 (en) Vertical-axis wind-powered electric power generator with photovoltaic cogeneration
AU2010291891A1 (en) Vibration control apparatus of wind turbine generator and wind turbine generator
GB2427003B (en) Renewable energy power unit
CN105451548A (zh) 用于通过激光来驱鸟的设备和方法
KR101422497B1 (ko) 풍력터빈용 블레이드 유지관리 플랫폼
KR20210058685A (ko) 블레이드 폭 맞춤형 풍력발전기 점검용 드론
JP2015534001A (ja) 風力発電装置
CN106150923A (zh) 一种空中高度可调节的风力发电机
KR101346180B1 (ko)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설치 시스템
CN105391391B (zh) 一种带有防护功能的太阳能发电装置
KR20140001412A (ko) 풍력터빈용 블레이드 유지관리 플랫폼
US11604056B2 (en) Device for the inspection of wind power plants
KR101436141B1 (ko) 반사판이 구비된 태양광 발전장치
KR101581771B1 (ko) 풍력발전기의 나셀의 내부 기계 교체 및 보수 시스템
CN205916928U (zh) 攀爬平台和攀爬装置
EP2865891A1 (en) Equipment lifting apparatus for wind turbine and installation method of the same
KR101400201B1 (ko) 풍력 발전기
NL2022584B1 (en) System for on-site maintenance of a turbine blade of a land or sea-based wind turbine, and method of using such a system for performing maintena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