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5589A - 전기화학 전지들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한 기계적 유연성 및 다공성을 가진 보상 소자 - Google Patents

전기화학 전지들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한 기계적 유연성 및 다공성을 가진 보상 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5589A
KR20140085589A KR1020147014973A KR20147014973A KR20140085589A KR 20140085589 A KR20140085589 A KR 20140085589A KR 1020147014973 A KR1020147014973 A KR 1020147014973A KR 20147014973 A KR20147014973 A KR 20147014973A KR 20140085589 A KR20140085589 A KR 201400855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cells
batteries
compensating element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149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페터 크리처
크리스토프 베버
울리히 슈나이더
루돌프 바그너
토마스 아놀드
Original Assignee
칼 프로이덴베르크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칼 프로이덴베르크 카게 filed Critical 칼 프로이덴베르크 카게
Publication of KR201400855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55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13Large-sized flat cells or batteries for motive or stationary systems with plate-like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7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by electric or electromagnetic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68Compression means for stacks of electrodes and separ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Types of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3Cooling or keeping col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Types of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5Heating or keeping war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2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1M10/625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3Control 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4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cells
    • H01M10/647Prismatic or flat cells, e.g. pouch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3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characterised by electrically insulating or thermally conductive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5Solid structures for heat exchange or heat conduction
    • H01M10/6554Rods or plates
    • H01M10/6555Rods or plates arranged between the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6/00Prim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6/42Grouping of primary cells into batteries
    • H01M6/46Grouping of primary cells into batteries of flat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6/00Prim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6/5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e.g. for maintaining operating tempera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6/00Prim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6/5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e.g. for maintaining operating temperature
    • H01M6/5038Heating or cooling of cells or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00/00Safety devices for primary or secondary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11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ouch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econdary Cells (AREA)
  • Cell Separator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터리 제공을 목적으로 그들 사이에 간극(3)이 형성되는 서로 나란히 위치 설정된 적어도 2개의 전지(1)로 구성된 배터리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배터리의 전지들은 간단한 조립 및 위치 설정 후 재료를 보호하는 방식으로 영구히 배터리 내에 수용된다. 상기 배터리는 간극(3)이 전지들(1)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한 다공질의 변형 가능한 보상 소자(4)로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기화학 전지들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한 기계적 유연성 및 다공성을 가진 보상 소자 {MECHANICALLY FLEXIBLE AND POROUS COMPENSATING ELEMENT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ELECTROCHEMICAL CELLS}
본 발명은, 그들 사이에 간극(interspace)이 형성되는 서로 나란히 위치 설정된 적어도 2개의 전지로 구성된 배터리에 관한 것이다.
대형 배터리들은 개별 전지들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대형 배터리들은 일반적으로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그리고 종종 소위 "스택들(stacks)"로도 세분되어 있다. 전형적으로 하이브리드 차량 내지 전기 차량 또는 특히 전류를 임시 저장하기 위한 산업용 애플리케이션들을 위한 배터리는 20개 내지 몇백 개의 개별 전지들을 포함한다.
상기 개별 전지들은 원형 전지(round cell)들 또는 각주상 전지(prismatic cell)들 ― 상기 원형 전지들 및 각주상 전지들은 하나의 고체 하우징을 구비함 ―로 형성될 수 있지만, 또는 소위 "커피-백-전지들(coffee-bag-cells)"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커피-백-전지들의 경우에 하우징은 양면이 코팅된 금속박(metal foil)으로 형성되어 있다. 배터리 내 공간을 최적으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각주상 전지들 또는 "커피-백-전지들"이 사용된다.
많은 양의 에너지가 저장됨으로 인해서, 대형 배터리들은 오작동 발생시 안전에 대한 리스크가 항상 존재한다. 자동차 배터리 타입의 전형적인 전기 파라미터들은 하기의 표에 예시적으로 열거되었다.
배터리-전압[V] 배터리-용량[kWh] 배터리-기술
마일드 하이브리드(Mild Hybrid)
(병렬)
50-100 1 NiMH/Li-Ion
풀 하이브리드(Full Hybrid)
(병렬)
200-300 1.5 NiMH/Li-Ion
플러그인 하이브리드(Plug-in Hybrid)
(직렬)
>300 10 Li-Ion
순수 전기자동차
(Pure EV)
>300 >30 Li-Ion
연료 전지 전기자동차
(Fuel Cell EV)
200-300 1.5 NiMH/Li-Ion
상기 표 1에 따르면, NiMH-배터리들에 비해 리튬-배터리들이 훨씬 더 위험한 것으로 간주되는데, 그 이유는 상기 리튬-배터리들이 상대적으로 더 높은 에너지 밀도, 상대적으로 더 얇은 분리기(separator), 가연성 전해질, 상대적으로 더 높은 전압 및 리튬을 나타내기 때문이다.
또한, 배터리의 긴 수명을 보장하기 위해, 배터리 내에서는 온도가 가급적 일정하게 유지되어야 한다. 이 경우 최대 3K의 온도차가 이상적이며, 최대 5K의 온도차를 초과하여서는 안 된다.
전술한 각주상 전지들 또는 "커피-백-전지들"이 공간 절약 방식으로 조립됨으로써, 결과적으로 용적 단위당 많은 양의 에너지가 구현된다. 자체적으로 포지티브한 배열은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고 임팩트- 및 쇼크 저항을 구현함에 있어 기술적인 어려움을 야기한다.
종래 기술에서는 이러한 요건들이 밀봉제 삽입으로 대처(對處) 된다. 그러나 상기 해결책은 불리하게 작용하는데, 그 이유는 밀봉제들이 매우 무겁고, 통상적으로 2㎏/l를 초과하는 밀도를 갖기 때문이다.
또한, 밀봉제들은 복잡한 제작 공정을 필요로 하는데, 그 이유는 빈번하게 2개의 성분을 가교하는 공정이 필수적으로 요구되기 때문이다. 그 외에도 전해질과 관련해서는 높은 밀봉력이 구현되어야 한다. 이 경우 "자유 공간"에서 전지의 가스 배출시 높은 압력이 형성될 수 있다.
밀봉제의 열 팽창은 전기 접촉부들에 대한 가압을 야기하고, 그에 의해 상기 접촉부들을 분리시킬 수 있는 위험을 초래한다. 이러한 상황은 배터리 고장을 야기할 수 있다.
또한, 밀봉제들이 흐르는(flow) 상태로 변형된다는 단점이 있다. 이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게 밀봉제가 2개의 접촉부 사이로 스며드는 것을 차단할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의 과제는, 전지들이 간단한 조립 및 위치 설정 후 재료 보호하는 방식으로 영구히 배터리 내에 수용되는 배터리를 제시하는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는 특허 청구항 1의 특징들에 의해서 해결된다.
그에 따라 도입부에 언급된 배터리는 간극이 전지들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한 다공질의 변형 가능한 보상 소자로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라 드러나는 사실은, 배터리 전지들 사이에서의 다공질의 변형 가능한 보상 소자의 배열이 다수의 긍정적인 효과를 야기한다는 것이다. 보상 소자의 압축 가능성으로 인해, 제조시 공차 보상(tolerance compensation)이 보장될 수 있다. 이러한 공차 보상 보장은 제조시에 전지들이 지나치게 세게 가압됨으로써, 결과적으로 전지들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 외에도, 전지들의 상부 단부에서 전기 접속 단자들이 쉽게 유연해지도록 보장한다. 전지들 사이에 놓인 보상 소자들은 다른 무엇보다도 기계적 버퍼(buffer)로서 사용된다. 이러한 버퍼 사용은 특히 배터리에 충격이 가해질 경우에 유리하다. 바로 리튬 전지(lithium cell)들의 경우에 있어서는 전기화학 공정 동안 작업 볼륨(volume work)이 발생하는데, 상기 작업 볼륨은 소위 "커피-백-전지들"에서는 유연한 하우징으로 전달된다. 이 경우 최대 볼륨과 최소 볼륨 사이의 전형적인 값들은 3 - 5%이다. 상기 작업 볼륨은 커피-백-전지들 사이에 놓인 보상 소자들에 의해 보상될 수 있다. 또한, 다공질 보상 소자들의 사용은 배터리 고장시 전지들로부터 밖으로 배출될 수 있는 전해질들의 흡수를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도입부에 언급된 과제가 해결된다.
보상 소자는 열 전도성 표면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열 전도성 표면의 구비는 우수하고 신속한 배터리 냉각 또는 가열을 보장하기 위해 유리하다. 마찬가지로 상기 열 전도성 표면의 구비는 냉각된 배터리(cold battery)가 신속하게 작동 온도 수준에 도달할 수 있도록 하는데에도 유리하다. 배터리들은 0℃ 이하로 가열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냉각된 배터리들이 중간(moderate) 정도로 가열된 배터리들(warm battery)처럼 그렇게 효율적이지 않기 때문이다. 이러한 내용은 상대적으로 더 낮은 커패시턴스 및 포착(pick off)될 수 있는 상대적으로 더 작은 전류들과 관련이 있다. 그 밖에, 특히 고전류에서, 냉각된 리튬 배터리들의 충전은 덴드라이트(dendrite) 형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덴드라이트들은 마이크로 단락들을 야기할 수 있는 전도성 결정 성장이다.
전지들의 온도 제어는 다수의 방법에 의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접촉 냉각(contact cooling)은 2개의 금속 전극-방전판(discharge plate)을 통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의 접촉 냉각은 하나의 바람직한 방법으로 간주되는데, 그 이유는 전극들을 통해 전지 내부로 전달되는 열 전달이 가장 효과적이기 때문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전극들이 단단히(rigidly) 연결되어 있음으로써, 냉각 콘택팅이 곧장 가능하다.
접촉 냉각은 전지의 밀봉된 심(sealed seam)을 통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와 같은 방식의 접촉 냉각도 실제로 적용된다. 전지 내부의 교차점, 즉 밀봉된 심에서의 열 전달은 2개의 전극-방전판을 통한 냉각시보다 더 적은데, 그 이유는 전지 박막의 양면이 열적으로 비-전도성인 폴리머로 코팅되어 있고, 상기 전극-방전판들이 전지 내에서 열적으로 비-전도성인 분리기-멤브란에 의해 한번 더 둘러싸여 있기 때문이다.
전지 면적에 대한 접촉 냉각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접촉 냉각 가능성은 지금까지 고려되지 않았는데, 그 이유는 상기와 같은 경우에서는 박막을 통한 전지 내부로의 열 전달이 전극-방전판들을 통한 냉각시보다 10 - 100배 더 나쁘기 때문이다. 이러한 내용은 전지 내부의 층과 같은 구조와 관련이 있다. 평면 냉각시, 열은 전도성 전극들 및 비-전도성 분리기의 층 구조를 통과하여 수직으로 방출되어야 한다. 뿐만 아니라, 전지의 작업 볼륨으로 인해 전지 면적은 본래 규정되어 있지 않은데, 그 이유는 충전된 전지들이 충전되지 않은 전지들보다 약 5% 더 두껍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두꺼운 두께는 열에 의한 콘택팅을 어렵게 만든다. 바로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냉각할 경우에는, 하기의 표에 기재되어 있는 주요 장점들이 얻어진다:
전극-냉각 밀봉된 심-냉각 표면-냉각
유효 횡단면-면적 2*50*0.2㎟=20㎟ 2*1000*5㎟=10.000㎟ 2*200*300㎟=120.000㎟
열전달계수 × 0.1× 0.01×
제품 횡단면*
열전달계수
20× 1.000× 1.200×
가열 가능한가? 아니오
상기 표2에 따르면, 전극-냉각이 가장 비효율적이라는 사실이 명확하게 드러난다. 그에 반해 현재 선호도가 가장 적은 표면 냉각은 유효한 냉각 면적이 크기 때문에 가장 유리한 전체적 효과(overall effect)를 제공한다.
대부분의 열 량은 보상 소자로의 열 전달 없이 전지 영역의 표면들에서 곧바로 방출되어야 한다. 이 때문에 바람직하게는 보상 소자로서 높은 복원력을 갖는 고-다공성 탄성 재료가 사용된다. 자유 대류가 온도 보상을 야기하기 위해서는, 전지들의 최소 간격이 보장되어야 한다. 대략 400ml를 포함하는 와인딩 타입 전지(winding type cell)들의 경우, 이러한 최소 간격은 바람직하게 약 5㎜이다.
작동하는 표면 냉각을 위한 중요한 전제 조건은 전지들과 이 전지들 사이에 배치된 보상 소자 간의 우수한 접촉이다. 예들 들어 보상 소자와 전지 표면 사이의 에어 쿠션으로 인해, 기계적인 접촉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냉각 효과는 급격히 감소한다. 보상 소자는 z-축 방향으로 전지의 팽창을 쫓아갈 수 있어야 한다. 또한, 보상 소자는 적어도 전지 쪽을 향하는 표면에서 열 전도성을 가져야 한다. 기술적 측면에서 보상 소자 전체의 열 전도성이 바람직하긴 하지만, 비용 문제로 인해 반드시 최상인 것은 아니다. 유연하고 가역적으로 압축될 수 있으며 그리고 적어도 표면에서 열적으로 전도성을 가지며, 하중을 받지 않은 상태에서 20%를 초과하는 전체 다공도(porosity)를 갖는 개방 기공형 재료가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다공도는 전지의 두께 변동을 쫓아갈 수 있는 z-축 방향으로의 가압을 허용한다. 가역성은, 보상 소자가 재차 더 얇아지는 전지들 또는 전지들의 표면을 쫓아갈 수 있고, 그렇게 하여 항상 표면에 대한 기계적 접촉이 만들어지는 것을 보장한다.
이러한 배경으로 인하여, 특히 부직포는 열 전도성 섬유 기질들 또는 박막들 상에 라미네이팅될 수 있다. 부직포들은 탄소-섬유 또는 금속 코팅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부직포들은 열 전도성을 갖는다. 부직포들은 유연성과 동시에 탁월한 열 전도성을 제공한다. 부직포 전체는 전도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점은 열 전도성 입자, 금속, 세라믹, 특히 Al2O3, 카본 블랙(carbon black), 특히 전도성 카본 블랙(conductive carbon black), 그래핀(graphene) 및/또는 다른 전도성 탄소-변체들의 갈바니 전기적 증착 또는 CVD-증착함으로써 달성되는 방식으로, 열 전도성 섬유, 금속, 흑연, 탄소, 탄소 나노튜브, 금속-코팅을 갖는 섬유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부직포에는 열 전도성 섬유 또는 실(thread), 특히 금속 섬유가 삽입될 수 있다.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아크릴로니트릴 또는 폴리비닐알코올로 이루어진 폴리머 섬유도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커피-백-전지들"은 열 전도성 부직포에 의해 자신들의 전체 면적에 걸쳐 균일하게 온도 제어될 수 있다. 이러한 배경으로, 부직포에 Al2O3, SiC, 유리, 전도성 카본 블랙, 흑연박(raphite foil), 알루미늄박(aluminium foil) 또는 금속 섬유를 제공하여 가공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보상 소자는 전지들의 온도 제어를 야기하기 위해 가열기 또는 냉각 장치에 접속될 수 있다. 가열기는 전지들의 가열을 활성화할 수 있다. 냉각 장치는 전지들의 냉각을 활성화할 수 있다.
보상 소자는 층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전지들을 지그재그-형태로 둘러싼다. 이러한 설계에 의해 개별 층이 사용될 수 있는데, 이는 다수의 전지들을 적어도 영역별로 둘러싸기 위해서이다. 이러한 배경으로, 상기 층이 부직포, 종이, 직물, 권축되지 않은 직물 또는 편직물로서 형성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보상 소자는 엘라스토머 재료를 포함하거나 엘라스토머 층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2개의 전지 사이에 다수의 층들을 위치 설정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전지들을 냉각, 가열 또는 상기 전지들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상기 엘라스토머 재료는 열 전도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엘라스토머 재료는 판 모양의 초콜릿 구조와 유사하게 홈을 갖는 몰드 제품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엘라스토머 재료는 "커피-백-전지들"을 위한 프레임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러한 배경으로 인해, 보상 소자가 폼 재료를 포함하거나 폼 재료로 제조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폼 재료들은 개방 기공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가스 배출을 가능하게 한다.
보상 소자는 부직포를 포함하거나 부직포로 제조될 수 있다. 배터리의 전지들 사이에서 부직포 배열은 다수의 긍정적인 효과를 야기한다. 부직포들의 압축 가능성에 의해서 제조시 공차 보상이 보장될 수 있다. 제조시 전지들이 너무 세게 가압됨으로 인해, 전지들이 손상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전지들의 상부 단부에서 전기 접속 단자들이 쉽게 유연하게 형성되는 것이 보장된다. 전지들 사이에 놓인 부직포들은 기계적 버퍼로서 사용된다. 이러한 버퍼 사용은 특히 배터리에 충격이 가해질 경우에 유리하다. 바로 리튬-전지들의 경우에서는 전기화학 공정 동안 작업 볼륨이 발생하고, 이러한 작업 볼륨은 소위 "커피-백-전지들"에서 유연한 하우징으로 전달된다. 이 경우 최대 볼륨과 최소 볼륨 사이의 전형적인 값들은 3 - 5%이다. 상기 작업 볼륨은 "커피-백-전지들" 사이에 놓인 부직포들에 의해 보상될 수 있다. 또한, 부직포들의 사용은 배터리 고장시 전지들로부터 밖으로 배출될 수 있는 전해질들의 흡수를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효과는 배터리 리사이클링에 있어 특히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상기 배터리의 전해질이 흘러 내리지(drip) 않도록 하기 때문이다. 그 밖에 개방 기공형 부직포 구현은 배터리의 외부 단락시 전해질 가스의 신속한 방출 또는 배출을 가능하게 한다. 부직포, 특히 기공도가 높은 부직포들은 낮은 밀도를 갖는다. 1.4㎏/l의 폴리머-밀도를 갖는 폴리에스테르-부직포는 50%의 기공도에서 단지 0.7㎏/l의 밀도를 갖는다.
보상 소자는 난연 처리될 수 있다. 배터리로부터 시작되는 연소를 차단하기 위하여, 소위 "파이어 블로커(fireblocker)"-부직포가 바람직하다. 연소는 단락, 과충전 또는 기계적 손상에 의해 야기될 수 있다. 또한, 난연 처리된 부직포들은 외부로부터 시작되어 배터리에 영향을 미치는 화재로부터 배터리를 보호해준다.
보상 소자는 접착제를 포함할 수 있다. 접착제 도포에 의해, 특히 부직포들은 간단히 접착 처리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부직포들은 배터리 제작 공정 중에 손쉽게 배치 및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배경으로 인해, 핫 멜트 접착제(hot melt adhesive)가 사용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핫 멜트 접착제들은 손쉽게 가공될 수 있다.
보상 소자는 고흡수성 재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고흡수성 재료들의 사용은 배터리 내 습도 조절을 가능하게 한다. 수분을 잘 흡수하는 특징을 가진 부직포들의 사용은 배터리 내 응축물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해준다. 이러한 응축물 발생방지는 흡수성 또는 고흡수성 기질의 도움으로 배터리 하우징 내에 위치해 있는 부직포 내에서 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을 가진 부직포는 수증기의 흡수에도 사용된다.
보상 소자는 엠보싱들, 특히 디프-드로잉 가공된 영역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보상 소자의 압축 가능성이 상승된다. 엠보싱들에 의해서는 특히 적합한 압축률을 갖는 부직포가 만들어질 수 있다. 엠보싱은 부직포의 최상의 유연성이 달성되도록 기하학적으로 설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기술된 배터리들은 차량, 특히 자동차, 항공기 및 배터리가 필요한 다른 종류의 이동식 애플리케이션들에 사용될 수 있다. 더 나아가 배터리를 정지식 애플리케이션들에 사용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론을 바람직한 방식으로 형성하고 개선할 수 있는 다양한 가능성이 존재한다. 이 목적을 위하여 한 편으로는 종속 청구항들이 참고로 인용될 수 있고, 다른 한 편으로는 도면을 참조해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대한 설명이 참고로 인용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해서 이루어지는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대한 설명에 의해서는 본 발명에 따른 이론의 일반적으로 선호되는 실시 예들 및 개선 예들도 설명된다.
도 1의 좌측 도면은 2개의 전지로 이루어진 어레인지먼트의 평면도이고, 그리고 도 1의 우측 도면은 그들 사이에 전지들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한 부직포가 수용되어 있는 2개의 전지의 측면도이며,
도 2의 좌측 도면은 그들 사이에 양면이 코팅된 보상 소자들이 수용되어 있는 3개의 전지의 어레인지먼트이고, 그리고 도 2의 우측 도면은 그들 사이에 한 면이 코팅된 보상 소자들이 수용되어 있는 3개의 전지의 어레인지먼트이며, 그리고
도 3은 그들 사이에 보상 소자가 수용되어 있는 2개의 전지의 어레인지먼트로서, 이 경우 상기 전지들 사이에는 압력 센서 및 온도 센서가 배치되어 있다.
도 1의 좌측 도면은 배터리의 2개의 전지(1)의 어레인지먼트의 평면도를 보여주며, 상기 전지들로부터는 전극-방전판들(2)이 돌출된다. 도 1의 우측 도면에는 상기 전지들(1)의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우측 도면은 서로 나란히 위치 설정된 적어도 2개의 전지(1)로 이루어진 배터리를 개략적으로 보여주고, 상기 전지들은 그들 사이에 간극(3)을 형성한다. 상기 간극(3)은 상기 전지들(1)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한 다공질의 변형 가능한 보상 소자(4)로 채워져 있다.
보상 소자(4)는 열 전도성 표면(5)을 갖고, 상기 열 전도성 표면은 전지 영역에 대한 열 콘택팅을 만든다. 양방향 화살표는 보상 소자(4)의 압축 방향들을 나타낸다. 보상 소자(4)는 부직포로서 형성되어 있다. 전지들(1)은 밀봉된 심(6)을 갖는 "커피-백-전지들"로서 설계되어 있다.
도 2의 좌측 도면은 3개의 전지(1)로 이루어진 어레인지먼트를 보여주는데, 상기 전지들 사이에는 양면이 열 전도성 표면들(5)로 코팅된 보상 소자들(4)이 배치되어 있다. 보상 소자들(4)은 열 전도성 층이 제공된 부직포로 이루어진 기본 몸체(4a)로 구성된다. 상기 열 전도성 층은 부직포 상에 라미네이팅되어 있고, 알루미늄박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층 제작을 위해 금속을 사용함으로써, 보상 소자(4)의 전기 전도성이 구현된다. 열 및 전기 전도성은 보상 소자(4)의 전체 면적에 걸쳐 연속하여 확보된다.
도 2의 우측 도면은 3개의 전지(1)로 이루어진 어레인지먼트를 보여주는데, 상기 전지들 사이에는 한 면이 열 전도성 표면들(5)로 코팅된 보상 소자들(4)이 배치되어 있다. 보상 소자들(4)은 열 전도성 층이 제공된 부직포로 이루어진 기본 몸체(4a)로 구성된다. 상기 열 전도성 층은 부직포 상에 라미네이팅되어 있고, 알루미늄박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층 제작을 위해 금속을 사용함으로써, 보상 소자(4)의 전기 전도성이 구현된다. 열 및 전기 전도성은 보상 소자(4)의 전체 표면에 걸쳐 연속하여 확보된다.
도 3은 그들 사이에 보상 소자(4)가 수용되어 있는 2개의 전지(1)의 어레인지먼트를 보여준다. 보상 소자(4) 내에는 압력 센서(7)가 수용되어 있다. 상기 보상 소자(4)와 하나의 전지(1) 사이에는 온도 센서(8)가 수용되어 있다. 상기 보상 소자(4) 내부로의 온도 센서(8) 집적은 현장에서 바로 온도 측정이 가능하도록 하고 그리고 신속한 온도 제어를 가능하게 한다. 전지들(1) 사이에 있는 간극(3) 내부로의 압력 센서 집적은 중복 안전 모니터링(redundant safety monitoring)을 가능하게 한다. 노화된 또는 부적합하게 과충전된 "커피-백-전지들"은 두께가 크게 증가한다. 상기 커피-백-전지들은 흡사 "팽창된 볼(bloated cheecks)"과 같은 인상을 준다. 상기와 같은 커피 백 전지들의 팽창 현상은 간극(3) 내 압력 증가를 야기하는데, 이러한 압력 증가는 검출될 수 있다.
본 발명 따른 이론의 바람직한 추가 실시 예들 및 개선 예들과 관련하여, 한 편으로는 본 발명에 대한 설명의 일반적인 부분이 인용될 수 있고, 다른 한 편으로는 첨부된 특허 청구항들이 참고로 인용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매우 중요하게 강조되는 것은, 사전에 선택된 실시 예들이 본 발명에 따른 이론을 논의할 목적으로만 사용되고 있으나, 그렇다고 본 발명이 상기 실시 예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다.

Claims (9)

  1. 서로 나란히 위치 설정된 적어도 2개의 전지들(1)로 이루어진 배터리로서,
    상기 적어도 2개의 전지들(1)은 그들 사이에 간극(3)을 형성하고,
    상기 간극(3)이 상기 전지들(1)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한 다공질의 변형 가능한 보상 소자(4)로 채워지고,
    상기 보상 소자(4)가 부직포를 포함하는,
    배터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 소자(4)가 열 전도성 표면(5)을 갖는,
    배터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 소자(4)가 층으로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전지들이 지그재그 형태로 둘러싸인,
    배터리.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 소자(4)가 엘라스토머 재료(elastomeric material)를 포함하는,
    배터리.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 소자(4)가 폼 재료(foamed material)를 포함하는,
    배터리.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 소자(4)가 난연 처리된,
    배터리.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 소자(4)가 접착제를 포함하는,
    배터리.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 소자(4)가 고흡수성 재료들을 포함하는,
    배터리.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 소자(4)가 엠보싱(embossing)을 갖는,
    배터리.
KR1020147014973A 2009-11-11 2010-11-04 전기화학 전지들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한 기계적 유연성 및 다공성을 가진 보상 소자 KR2014008558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9052508.4 2009-11-11
DE102009052508A DE102009052508A1 (de) 2009-11-11 2009-11-11 Mechanisch flexibles und poröses Ausgleichselement zur Temperierung elektrochemischer Zellen
PCT/EP2010/006714 WO2011057737A1 (de) 2009-11-11 2010-11-04 Mechanisch flexibles und poröses ausgleichselement zur temperierung elektrochemischer zellen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27015075A Division KR20120099461A (ko) 2009-11-11 2010-11-04 전기화학 전지들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한 기계적 유연성 및 다공성을 가진 보상 소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5589A true KR20140085589A (ko) 2014-07-07

Family

ID=4370790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4973A KR20140085589A (ko) 2009-11-11 2010-11-04 전기화학 전지들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한 기계적 유연성 및 다공성을 가진 보상 소자
KR20127015075A KR20120099461A (ko) 2009-11-11 2010-11-04 전기화학 전지들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한 기계적 유연성 및 다공성을 가진 보상 소자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27015075A KR20120099461A (ko) 2009-11-11 2010-11-04 전기화학 전지들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한 기계적 유연성 및 다공성을 가진 보상 소자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20219839A1 (ko)
EP (1) EP2499685A1 (ko)
JP (1) JP5390713B2 (ko)
KR (2) KR20140085589A (ko)
CN (1) CN102640320A (ko)
DE (1) DE102009052508A1 (ko)
WO (1) WO2011057737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8834B1 (ko) * 2017-04-12 2018-07-17 (주)영민하이테크 전기차용 배터리 히터
WO2023076513A1 (en) * 2021-10-28 2023-05-04 24Mt Technologies, Inc. Electrochemical cell modules and methods of producing the same
US11742525B2 (en) 2020-02-07 2023-08-29 24M Technologies, Inc. Divided energy electrochemical cell systems and methods of producing the same
US11831026B2 (en) 2015-06-18 2023-11-28 24M Technologies, Inc. Single pouch battery cells and methods of manufacture
US11855250B2 (en) 2014-10-13 2023-12-26 24M Technolog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series battery charging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511669B1 (de) * 2011-06-30 2015-06-15 Avl List Gmbh Wiederaufladbare elektrische batterie
US9196939B2 (en) * 2011-11-02 2015-11-24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Method for thermal management and mitigation of thermal propagation for batteries using a graphene coated polymer barrier substrate
US9324981B2 (en) * 2012-01-20 2016-04-26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Cell frame for extended range electric vehicle battery module
FR2995273A1 (fr) * 2012-09-12 2014-03-14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Systeme de batteries de vehicule comportant une protection antichoc
EP2731164B1 (de) * 2012-11-12 2017-06-28 Samsung SDI Co., Ltd. Batteriesystem
KR101663855B1 (ko) * 2012-12-21 2016-10-10 (주)엘지하우시스 배터리 모듈용 발열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DE102013102867A1 (de) * 2013-03-20 2014-10-09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Temperiervorrichtung
JP6394083B2 (ja) * 2013-08-08 2018-09-26 Nok株式会社 全固体電池
DE102013113799A1 (de) 2013-12-10 2015-06-11 Akasol Gmbh Batteriemodul
DE102013021134A1 (de) 2013-12-13 2015-06-18 Daimler Ag Batterie mit einem Batteriezellenstapel
US9806381B2 (en) 2014-01-16 2017-10-3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erpentine cooling element for battery assembly
JP2016031818A (ja) * 2014-07-28 2016-03-07 Fdk株式会社 蓄電モジュール
US10199695B2 (en) 2014-08-18 2019-02-05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Battery module with restrained battery cells utilizing a heat exchanger
DE102014221874A1 (de) * 2014-09-23 2016-03-24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Elektrochemischer Energiespeicher
DE102014018709A1 (de) 2014-12-16 2016-06-16 Audi Ag Batterie für ein Kraftfahrzeug und Kraftfahrzeug
JP6507696B2 (ja) * 2015-02-10 2019-05-08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蓄電装置モジュール及び蓄電装置パック
DE102015221739A1 (de) 2015-11-05 2017-05-11 Robert Bosch Gmbh Batteriemodul mit Spannmechanismus
DE102015225565A1 (de) 2015-12-17 2017-06-22 Robert Bosch Gmbh Batteriemodul mit Propagationsschutz
CN106299221B (zh) * 2016-08-31 2019-01-25 江苏恒通照明集团有限公司 锂电芯隔板及其制造方法
EP3291358A1 (en) 2016-08-31 2018-03-07 Akasol GmbH Battery module assembly and cooling plate for use in a battery module assembly
CN106328874B (zh) * 2016-08-31 2018-12-21 江苏科耐尔新能源科技有限公司 锂电芯隔板及锂电池包
DE102016216779A1 (de) 2016-09-05 2018-03-08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Verkleben einer wärmeaktiven Einheit mit einem Wärmeleitelement
DE102017203096A1 (de) 2017-02-24 2018-08-30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Wärmeleit- sowie Batterieanordnung
DE102017104359A1 (de) * 2017-03-02 2018-09-06 Kirchhoff Automotive Deutschland Gmbh Batteriegehäuse sowie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solchen
CN110392944A (zh) * 2017-03-07 2019-10-29 远景Aesc日本有限公司 电池组的制造方法
DE102017206080A1 (de) * 2017-04-10 2018-10-11 Robert Bosch Gmbh Batteriezelle und Batteriemodul
KR102424274B1 (ko) * 2017-10-23 2022-07-22 에스케이온 주식회사 열차단 기능을 구비한 전지 모듈
DE102017127317B4 (de) 2017-11-20 2021-10-28 Pervormance International Gmbh Fahrzeug mit Kühltextil für Elektromotor oder Batterie
DE102018000421A1 (de) 2017-12-21 2019-06-27 H.K.O. Isolier- Und Textiltechnik Gmbh Mehrschichtiges Wärmedämmelement für Batterien
WO2019146546A1 (ja) 2018-01-23 2019-08-0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二次電池
DE102018203050A1 (de) * 2018-03-01 2019-09-05 Robert Bosch Gmbh Ausgleichselement für eine Batteriezelle und ein Batteriemodul
DE102018105044A1 (de) 2018-03-06 2019-09-12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Akkumulator, insbesondere für ein Kraftfahrzeug und Kraftfahrzeug umfassend einen solchen Akkumulator
DE102018116683A1 (de) * 2018-07-10 2020-01-16 Micrometal GmbH Distanzausgleichselement, Verwendung einer Metallfolie als Distanzausgleichselement und Anordnung mit Distanzausgleichselement
EP3618171B1 (en) 2018-08-30 2021-02-24 ABB Schweiz AG Thermally decoupled battery cell groups
GB201815821D0 (en) * 2018-09-28 2018-11-14 Sunamp Ltd Heat battery for horizontal and vertical planes
JP2020080214A (ja) * 2018-11-12 2020-05-28 株式会社イノアックコーポレーション 組電池用緩衝材
DE102018221539A1 (de) * 2018-12-12 2020-06-18 Robert Bosch Gmbh Batteriemoduleinheit aufweisend zumindest zwei Batteriezellen
DE102018222524A1 (de) * 2018-12-20 2020-06-25 Thyssenkrupp Ag Spannvorrichtung für die Halterung von Energiespeicherzellen
EP3760471A1 (en) 2019-07-02 2021-01-06 Polestar Performance AB Dual battery system for electric vehicle
US20220255115A1 (en) * 2019-07-10 2022-08-11 Honda Motor Co., Ltd. Power storage module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power storage module
CN110594483B (zh) * 2019-09-26 2021-06-08 眉山中车制动科技股份有限公司 间隙补偿件和缓冲阀
DE102019217122A1 (de) * 2019-11-06 2021-05-06 Robert Bosch Gmbh Batterie mit Propagationsschutz
JP7393213B2 (ja) 2020-01-11 2023-12-06 株式会社イノアックコーポレーション 緩衝材及び緩衝材の製造方法
DE102020118002A1 (de) * 2020-07-08 2022-01-13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Batteriemodul
DE102020005583A1 (de) 2020-09-11 2022-03-17 Daimler Ag Elektrischer Energiespeicher mit wenigstens einem Elektrodenstapel und einer Druckkompensationseinrichtung, sowie Verfahren
DE102021115536A1 (de) 2021-06-16 2022-12-22 Audi Aktiengesellschaft Zelltrennelement zum Anordnen zwischen zwei Batteriezellen einer Batterie und Batterie
CN114374019A (zh) * 2021-12-24 2022-04-19 华南理工大学 一种动力电池自熄保护装置
DE102022103635A1 (de) 2022-01-31 2023-08-03 Carl Freudenberg Kg Energiespeicherzelle
DE102022002745A1 (de) 2022-07-28 2024-02-08 Mercedes-Benz Group AG Batteriemodul
DE102022120726A1 (de) 2022-08-17 2024-02-22 Audi Aktiengesellschaft Energiespeicher für ein Kraftfahrzeug, Kraftfahrzeug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Energiespeichers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10972A (ja) * 1984-11-06 1986-05-29 Yuasa Battery Co Ltd 高温電池装置
JPS61110973A (ja) * 1984-11-06 1986-05-29 Yuasa Battery Co Ltd 高温電池装置
JPS61110974A (ja) * 1984-11-06 1986-05-29 Yuasa Battery Co Ltd 高温電池装置
CN2164418Y (zh) * 1993-07-08 1994-05-11 胡林 防液洒式电解槽
DE19503085C2 (de) * 1995-02-01 1997-02-20 Deutsche Automobilgesellsch Batteriemodul mit mehreren elektrochemischen Zellen
JPH08321329A (ja) * 1995-05-26 1996-12-03 Sanyo Electric Co Ltd 組電池
US5605549A (en) * 1996-02-28 1997-02-25 Daramic, Inc. Battery electrolyte pad with gelling agents and method
WO2003071616A2 (en) * 2002-02-19 2003-08-2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Temperature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high energy electrochemical cells
CA2518873A1 (en) * 2003-03-12 2004-09-23 Petritech, Inc. Structural and other composite materials and methods for making same
KR100648698B1 (ko) * 2005-03-25 2006-11-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모듈
US20070292751A1 (en) * 2006-06-15 2007-12-20 Jing-Yih Cherng Battery Apparatus with Heat Absorbing Body
US7858229B2 (en) * 2006-09-25 2010-12-28 Lg Chem, Ltd. Cell-module cartridge, cell-module including the cell-module cartridge, and battery module including the cell-module
WO2008099609A1 (ja) * 2007-02-14 2008-08-21 Kawasaki Jukogyo Kabushiki Kaisha 電池及びその伝熱構造
JP4508221B2 (ja) * 2007-08-27 2010-07-21 豊田合成株式会社 組電池装置
DE102009016573B4 (de) * 2008-04-09 2020-08-06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 d. Ges. d. Staates Delaware) Verfahren zum zusammenbauen einer batterie
US8845762B2 (en) * 2008-04-09 2014-09-30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Batteries and components thereof and methods of making and assembling the same
US20100028758A1 (en) * 2008-08-04 2010-02-04 Eaves Stephen S Suppression of battery thermal runaway
DE102009048249A1 (de) * 2009-10-05 2011-04-07 Li-Tec Battery Gmbh Energiespeichereinheit mit verlängerter Lebensdauer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55250B2 (en) 2014-10-13 2023-12-26 24M Technolog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series battery charging
US11831026B2 (en) 2015-06-18 2023-11-28 24M Technologies, Inc. Single pouch battery cells and methods of manufacture
KR101878834B1 (ko) * 2017-04-12 2018-07-17 (주)영민하이테크 전기차용 배터리 히터
US11742525B2 (en) 2020-02-07 2023-08-29 24M Technologies, Inc. Divided energy electrochemical cell systems and methods of producing the same
WO2023076513A1 (en) * 2021-10-28 2023-05-04 24Mt Technologies, Inc. Electrochemical cell modules and methods of produc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3510411A (ja) 2013-03-21
KR20120099461A (ko) 2012-09-10
US20120219839A1 (en) 2012-08-30
JP5390713B2 (ja) 2014-01-15
WO2011057737A1 (de) 2011-05-19
CN102640320A (zh) 2012-08-15
DE102009052508A1 (de) 2011-05-12
EP2499685A1 (de) 2012-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85589A (ko) 전기화학 전지들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한 기계적 유연성 및 다공성을 가진 보상 소자
EP3223357B1 (en) Secondary battery module having a cooling plate
EP3432411B1 (en) Secondary battery module
EP2425485B1 (en) A high voltage modular battery with electrically-insulated cell module and interconnector peripheries
JP7214637B2 (ja) 蓄電モジュール及び蓄電素子
US20110070476A1 (en) Power storage apparatus
WO2019107560A1 (ja) 仕切り部材及び組電池
CN109845026B (zh) 具有设置在各单元之间用于紧急冷却的冷却板的电蓄能器
JP2023517632A (ja) 電池用熱管理多層シート
EP3276733B1 (en) High-safety/high-energy-density cell
US20230335850A1 (en) Battery pack
KR102630853B1 (ko) 열전달 부재를 포함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EP4164041A1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comprising same
JP7009892B2 (ja) 蓄電モジュール及び蓄電パック
US20230411737A1 (en) H.k.o. isolier- und textiltechnik gmbh
WO2020194929A1 (ja) 隣接する電池セルを絶縁するためのセパレータおよび電源装置
US20210305640A1 (en) Power supply device
KR20190065077A (ko) 열전도성 수지로 채워진 중공을 가지는 이차전지
EP3952010A1 (en) Partition member and battery assembly
KR20180106381A (ko) 2종의 분리막을 포함하는 스택-폴딩형 전극조립체
JP7209949B2 (ja) 冷却材及びこれを用いた蓄電パック
KR102566631B1 (ko) 압력 강하 시트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CN219329313U (zh) 用于电池组的柔性隔热体和电池组
KR102516014B1 (ko) 이차전지 단락 유도용 더미셀
JP2019067581A (ja) 蓄電モジュール及び蓄電パッ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