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4835A - 개선된 구조의 위상 가변기 - Google Patents

개선된 구조의 위상 가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4835A
KR20140084835A KR1020120154771A KR20120154771A KR20140084835A KR 20140084835 A KR20140084835 A KR 20140084835A KR 1020120154771 A KR1020120154771 A KR 1020120154771A KR 20120154771 A KR20120154771 A KR 20120154771A KR 20140084835 A KR20140084835 A KR 201400848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pressing
ground plate
phase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47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55667B1 (ko
Inventor
김종성
신봉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감마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감마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감마누
Priority to KR10201201547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5667B1/ko
Publication of KR201400848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48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56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56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3/00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 H01Q3/26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varying the relative phase or relative amplitude of energisation between two or more active radiating elements; varying the distribution of energy across a radiating aperture
    • H01Q3/30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varying the relative phase or relative amplitude of energisation between two or more active radiating elements; varying the distribution of energy across a radiating aperture varying the relative phase between the radiating elements of an array
    • H01Q3/34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varying the relative phase or relative amplitude of energisation between two or more active radiating elements; varying the distribution of energy across a radiating aperture varying the relative phase between the radiating elements of an array by electrical means
    • H01Q3/36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varying the relative phase or relative amplitude of energisation between two or more active radiating elements; varying the distribution of energy across a radiating aperture varying the relative phase between the radiating elements of an array by electrical means with variable phase-shifters
    • H01Q3/38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varying the relative phase or relative amplitude of energisation between two or more active radiating elements; varying the distribution of energy across a radiating aperture varying the relative phase between the radiating elements of an array by electrical means with variable phase-shifters the phase-shifters being digit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1/00Antenna arrays or systems
    • H01Q21/28Combinations of substantially independent non-interacting antenna units or 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1/00Antenna arrays or systems
    • H01Q21/29Combinations of different interacting antenna units for giving a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3/00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 H01Q3/26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varying the relative phase or relative amplitude of energisation between two or more active radiating elements; varying the distribution of energy across a radiating aperture

Landscapes

  • Variable-Direction Aerials And Aerial Arrays (AREA)
  • Waveguide Switches, Polarizers, And Phase Shif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선된 구조의 위상 가변기에 관한 것으로서, 고정 기판 및 이동 기판의 상대적인 운동을 통해 위상 가변 신호를 생성하는 기판부; 및 상기 이동 기판을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기판부 및 상기 구동부가 안테나의 접지판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 방향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개선된 구조의 위상 가변기{Phase shifter having improved structure}
본 발명은 안테나의 위상 가변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위상 가변기의 기판부와 구동부가 접지판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 방향에 형성된 위상 가변기에 관한 것이다.
안테나의 빔 틸트(beam tilt)란, 안테나가 방사 하는 안테나 빔을 상향 또는 하향 등으로 기울이는 기술을 의미한다. 이러한 안테나의 빔 틸트 기술은, 특히 안테나의 커버리지(coverage)를 최적화시키는 데에 활용되고 있으며, 기지국 안테나등 다양한 종류의 안테나에 활용되고 있다.
안테나의 빔 틸트를 구현 방식에 따라 구분해보면, 1) 물리적인 방식의 빔 틸트와 2) 전기적인 방식의 빔 틸트로 구분될 수 있다.
먼저 물리적인 방식의 빔 틸트란 안테나의 방사소자가 향하는 방향을 물리적으로 변화시켜서 빔 틸트를 구현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다음으로 전기적인 방식의 빔 틸트란, 복수의 방사소자들에 위상 차가 있는 신호를 급전하여 전기적으로 안테나의 빔을 틸트시키는 방식을 의미한다. 이러한 전기적인 방식의 빔 틸트에는 위상 가변기(phase shifter)가 활용되는데, 여기서 말하는 위상 가변기란, 전기적인 방식의 빔 틸트를 구현하는데 필요한 다양한 위상 가변 신호들을 생성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따라서, 전기적인 방식으로 빔 틸트를 구현하는 안테나는, 안테나에 설치된 상기 위상 가변기를 통해 복수의 위상 가변신호(예컨대, -2θ, -θ, 0, +θ, +2θ 등)들을 생성하며, 생성된 복수의 위상 가변신호들을 복수의 방사소자에 전달하여 전기적인 빔 틸트를 구현하게 된다.
한편, 종래의 위상 가변기는, 도 1의 A, B, C와 같이, 위상 가변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기판부와 상기 기판부를 운동시키기 위한 구동부의 구성이 안테나 접지판의 한쪽 면 상에 모두 형성되었다.
따라서, 종래의 위상 가변기는, 위상 가변기를 구성하는 기판부와 구동부의 구성들이 접지판의 한쪽 방향에서 서로 복잡한 구조로 얽힐 수밖에 없었으며, 안테나의 조립시 또는 작동시에 상호 간에 좋지 않은 영향을 줄 수 있었다. 예를 들어, 상기 구동부의 구조(기어 등)가 상기 기판부에 납땜을 형성하거나 상기 기판부에 다른 장치를 연결할 때 방해 요소로 작용할 수 있었다. 또한, 상기 기판부에 연결되는 입출력케이블 등도 상기 구동부의 동작에 방해를 줄 수 있었다.
또한, 종래의 위상 가변기는, 위상 가변기를 구성하는 기판부와 구동부의 구성들이 접지판의 한쪽 면에만 편중되어 설치되므로, 안테나의 공간 활용률이 현저하게 떨어진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종래의 위상 가변기는, 안테나 접지판의 한쪽 면의 사이즈(size)가 비대해질 수 있기 때문에, 레이돔과의 관계에서도 물리적인 간섭 문제(설치 방해, 상호 결합의 어려움 등)가 발생할 수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위상 가변기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위상 가변기가 포함할 수 있는 기판부와 구동부의 구조를 개선하여, 기구물들 간의 영향을 최소화하고, 위상 가변기 제작시의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상 가변기는, 고정 기판 및 이동 기판의 상대적인 운동을 통해 위상 가변 신호를 생성하는 기판부; 및 상기 이동 기판을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기판부 및 상기 구동부가 안테나의 접지판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 방향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상 가변기는, 상기 접지판을 기준으로 상기 기판부가 형성된 방향에 형성되며, 상기 고정 기판 및 상기 이동 기판을 밀착시키기 위한 누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상 가변기는, 상기 누름부가 상기 구동부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고, 전달된 회전력을 기초로 상기 이동 기판을 회전시키며, 상기 이동 기판의 회전 운동에 따라 위상이 가변 된 신호가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상 가변기는, 상기 누름부가, 상기 접지판을 관통하는 회전핀을 통해, 상기 접지판의 반대 방향에 형성되는 구동부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상 가변기는, 상기 구동부가, 직선 운동의 형태로 동력을 전달하는 렉기어; 및 상기 렉기어가 전달하는 직선 방향의 동력을 회전력으로 전환 시키는 스퍼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상 가변기는, 상기 스퍼기어가, 상기 회전핀을 통해, 상기 접지판의 반대 방향에 형성되어 있는 누름부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상 가변기는, 상기 스퍼기어 및 상기 렉기어와 결합하며, 상기 스퍼기어와 상기 렉기어의 위치가 고정된 상태에서 서로 결합할 수 있게 하는 위치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상 가변기는, 상기 누름부가, 분산 설치된 복수의 누름발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누름발을 통해 상기 기판부 전체에 균등한 밀착력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상 가변기는, 상기 누름부를 상기 기판부에 밀착시켜서, 상기 누름부의 누름 동작을 보조하는 보조 누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상 가변기는, 상기 고정 기판이, 위상 가변 선로를 형성하기 위한 패턴이 일면에 형성되어 있고, 고정된 상태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상 가변기는, 상기 이동 기판이, 상기 고정 기판과 맞닿아 설치되고, 회전 운동이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며, 상기 고정 기판의 패턴과 커플링(coupling) 되는 패턴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고정 기판과 함께 위상 가변 선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상 가변기는, 상기 고정 기판과 상기 이동 기판에는 마이크로스트립(microstrip) 형태의 패턴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 기판과 이동 기판은 절연막을 경계로 맞닿아 설치되며, 상기 커플링은 커패시티브 커플링(Capacitive Coupling)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기판부와 구동부의 구성이 안테나의 접지판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방향에 형성되는 위상 가변기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위상 가변기를 구성하는 기판부와 구동부의 구조물들이 접지판을 경계로 서로 독립될 수 있으며, 기판부와 구동부 사이에서 구조물들의 간섭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안테나 접지판의 양쪽 방향 모두에 균형적으로 구조물을 설치하므로, 안테나 공간 활용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접지판을 중심으로 안테나의 무게 중심도 안정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판부와 구동부의 구성이 독립적인 형태로 형성되므로, 기판부와 구동부의 구성을 각각 독립적으로 제작한 뒤에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위상 가변기의 설치 또는 조립의 효율이 현저하게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분산 설치된 복수의 누름발이 형성된 누름부 또는 2중 누름 구조(복수의 누름발 + 보조 누름부)구조를 통해 기판부를 밀착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고정 기판과 이동 기판이 안정적으로 커플링될 수 있으므로, 안테나의 PIMD 특성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위상 가변기의 구동부에 포함될 수 있는 렉기어, 스퍼기어가 위치 고정부를 통해 위치가 고정된 상태에서 결합할 수 있으므로, 기어의 백래쉬(backlash)를 최소화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안정적으로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도 1 은 종래의 위상 가변기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상 가변기가 안테나에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상 가변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상 가변기가 포함할 수 있는 고정 기판 및 이동 기판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상 가변기가 포함할 수 있는 구동부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상 가변기가 포함할 수 있는 누름부를 타나내는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위상 가변기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설명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된 도면에 표현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쉽게 설명하기 위해 도식화된 도면으로 실제로 구현되는 형태와 상이할 수 있다.
한편, 어떤 구성요소들을 '포함'한다는 표현은, '개방형의 표현'으로서 해당 구성요소들이 존재하는 것을 단순히 지칭하는 표현이며, 추가적인 구성요소들을 배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이하,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상 가변기를 살펴본다.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상 가변기는, 고정 기판 및 이동 기판의 상대적인 운동을 통해 위상 가변 신호를 생성하는 기판부(100), 상기 이동 기판을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부(200), 상기 기판부가 포함하는 고정 기판 및 이동 기판을 밀착시키고, 상기 구동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서 상기 이동 기판(120)을 이동시키는 누름부(400), 상기 구동부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위치 고정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상 가변기는 상기 기판부(100)와 상기 구동부(200)가 안테나의 접지판(300)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 방향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누름부(400)와 상기 구동부(200)도 마찬가지로 안테나의 접지판(300)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 방향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상 가변기는, 상기 기판부(100)와 상기 접지판(300) 사이에 절연을 위한 절연판(600)의 구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기판부(100)는, 고정 기판(110) 및 이동 기판(120)의 상대적인 운동을 통해 위상 가변 신호를 생성하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기판부(100)는, 커플링(coupling)을 통해 동적으로 위상 가변 선로를 형성하는, 상기 고정 기판(110) 및 상기 이동 기판(120)의 상대적인 운동을 통해, 위상 가변 선로의 물리적인 길이를 변화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위상 가변 선로의 물리적인 길이 변화를 통해 위상이 가변 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기판부(100)는, 위상 가변기(phase shifter) 구현에 사용되는 다양한 유형의 기판들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판부(100)는, 원형 타입(circular type), 트롬본 타입(trombone type) 등의 기판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타입의 기판들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기판들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기판부(100)가 원형 타입(circular type) 또는 회전형 타입(rotational type)으로 형성될 때의 고정 기판(110) 및 이동 기판(120)을 살펴볼 수 있다. 도 4의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고정 기판(110)은 위상 가변 선로를 형성하기 위한 패턴이 일면에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접지판(300) 상에 고정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기판(120)은 상기 고정 기판(110)과 맞닿아 설치되고, 회전 운동이 가능한 형태로 설치되며, 상기 고정 기판(110)의 패턴과 커플링(coupling)되는 패턴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고정 기판(110)과 함께 상기 위상 가변 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 기판(110)과 상기 이동 기판(120)이 커플링(coupling)을 통해 형성하는 상기 위상 가변 선로는, 상기 이동 기판(120)이 회전 운동을 함에 따라 신호가 통과하게 되는 물리적인 길이를 변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물리적인 길이의 변화에 따라 신호들의 위상이 변화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위상 가변 신호들이 생성되게 된다. 한편, 상기 고정 기판(110)과 상기 이동 기판(120)에 형성되는 패턴은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마이크로스크립(microstrip) 형태의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기판(110)과 상기 이동 기판(120)은 절연막을 경계로 맞닿아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커플링 중에서도 커패시티브 커플링(capacitive coupling)을 통해 상기 위상 가변 선로를 동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기판부(100)에 의해 생성된 위상 가변 신호는, 안테나의 방사 소자에 전달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안테나의 빔 틸트(beam tilt) 구현에 활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기판부(100)에는, 생성된 위상 가변 신호를 안테나의 방사 소자에 전달하기 위한 전송 선로가 연결될 수 있는데, 이러한 전송 선로는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동축 케이블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200)는, 상기 이동 기판(120)을 운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전달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상기 구동부(200)는 동력을 전달할 수 있는 다양한 기계적 구조로 형성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기어 구조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200)는 안테나 접지판(300)을 기준으로 상기 기판부(100)가 형성되는 방향과는 반대인 방향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기판부(100)가 안테나 접지판(300)의 상부(상면)에 형성되면 상기 구동부(200)는 안테나 접지판(300)의 하부(하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기판부(100)가 안테나 접지판(300)의 하부(하면)에 형성되면 상기 구동부(200)는 안테나 접지판(300)의 상부(상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상기 구동부(200)는, 접지판(300)을 경계로 상기 기판부(100)와는 서로 반대 방향에 형성되지만, 상기 기판부(100)에 동력을 전달할 수 있는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동부(200)는 상기 접지판(300)을 관통하는 구성을 통해, 접지판(300)의 반대편 방향으로도 동력을 전달할 수 있는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구동부(200)의 일 실시예를 살펴볼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구동부(200)는, 안테나의 접지판(300)을 기준으로 상기 기판부(100)가 형성되는 방향(상면)과는 반대인 방향(하면)에 형성되며, 렉기어(210)와 스퍼기어(220)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렉기어(210)는 직선 운동의 형태로 동력을 전달받는 구성이고, 상기 스퍼기어(220)는 상기 렉기어(210)를 통해 직선운동의 형태로 전달되는 동력을 회전력으로 전환시켜서 전달하는 구성이다. 또한, 상기 스퍼기어(220)는 상기 접지판(300)을 관통하는 회전핀(500)과 결합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회전핀(500)을 매개로 상기 렉기어(210)로부터 전달받은 동력(회전력으로 변환된 동력)을 상기 접지판(300)의 반대 방향에 전달할 수 있다. (참고로, 도 2 및 도 3의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핀(500)을 통해 상기 접지판(300)의 반대 방향으로 전달되는 회전력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동 기판(120)과 일체로 결합되는 누름부(400)에 전달되며, 상기 누름부(400)가 회전력을 기초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이동 기판(120)이 함께 회전하게 된다.)
한편, 상기 회전핀(500)은 다각형 형상의 단면을 포함(회전핀 자체에 형성되거나, 다각형 형상의 체결구와 결합하여 형성될 수도 있음)할 수 있으며, 상기 스퍼기어(220)의 회전 중심에는 상기 회전핀(500)의 다각형 형상의 단면과 매칭되는 다각형 형상의 홀(hole)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스퍼기어(220)와 상기 회전핀(500)이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스퍼기어(220)가 회전을 하면, 상기 회전핀(500)도 동일한 각속도로 회전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회전핀(500)에도 동일한 회전력이 유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누름부(400)의 회전 중심에도 상기 회전핀(500)의 다각형 형상의 단면과 매칭되는 다각형 형상의 홀(hole)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핀(500)과 상기 누름부(400)가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회전핀(500)이 회전을 하면, 상기 누름부(400)도 동일한 각속도로 회전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누름부(400)에도 동일한 회전력이 유도될 수 있다.
결국, 상기 접지판(300)을 관통하는 회전핀(500)을 통해, 상기 스퍼기어(220)에 전달되는 회전력이 상기 누름부(400)에 전달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누름부(400)가 회전하고 상기 이동 기판(120)이 회전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위에서 살펴본 것처럼, 기판부(100)와 구동부(200)의 구성이 안테나의 접지판(300)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 방향에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기판부(100)가 포함할 수 있는 구조물(동축 케이블, 회전 기판 등)들과 상기 구동부(200)가 포함할 수 있는 구조물(렉기어(210), 스퍼기어(220) 등)들이 서로 독립된 상태로 형성되며, 서로 간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또한, 위상 가변기를 구성하는 구성들이 접지판(300)의 양쪽 방향에 균형있게 위치하고 있으므로, 안테나의 구조상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안테나의 공간 활용의 효율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누름부(400)는, 상기 접지판(300)을 기준으로 상기 기판부(100)가 형성되는 방향 쪽에 형성되며, 상기 고정 기판(110) 및 상기 이동 기판(120)을 밀착시키는 역할을 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상기 누름부(400)는 상기 고정 기판(110) 및 상기 이동 기판(120)을 밀착시켜서, 상기 기판들의 패턴들이 안정적으로 커플링을 이룰 수 있게 하며, 이를 통해 상기 위상 가변 선로가 안정적으로 형성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누름부(400)는, 도 5 또는 도 6을 참조하여 살펴볼 수 있듯이, 분산 설치된 복수의 누름발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복수의 누름발을 통해 상기 기판부(100)에 균등한 밀착력을 부여할 수 있고, 상기 고정 기판(110)과 상기 이동 기판(120)이 안정적으로 커플링(coupling)될 수 있게 하며, 이를 통해 안테나의 PIMD 특성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누름부(400)는, 도 6을 참조하여 살펴볼 수 있듯이, 상기 누름부(400)의 역할을 보조하는 보조 누름부(410)를 더 포함할 수도 있으며, 이를 통해 2중 누름 구조(복수의 누름발 + 보조 누름부(410))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2중 누름 구조를 통해서 상기 고정 기판(110)과 상기 이동 기판(120)을 더욱 안정적으로 밀착시킬 수 있고, 더욱 안정적으로 커플링(coupling)시킬 수 있으며, 안테나의 PIMD 특성을 더욱 개선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누름부(400)는, 위에서도 살펴보았듯이, 상기 구동부(20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고, 전달된 회전력을 기초로 상기 이동 기판(120)을 회전시키는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누름부(400)는 상기 이동 기판(120)과 일체로 결합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결합을 통해 상기 누름부(400)가 전달받는 회전력을 그대로 상기 이동 기판(120)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누름부(400)는, 상기 접지판(300)을 관통하는 회전핀(500)을 통해, 상기 구동부(20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으며, 이렇게 전달받은 회전력을 통해, 일체로 결합된 상기 이동 기판(120)을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위치 고정부(230)는, 상기 구동부(200)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키는 구성이며, 위치의 안정적인 고정을 통해 상기 구동부(200)가 안정적으로 동력을 전달할 수 있게 하는 구성이다.
도 3 및 도 5를 참조하여, 구체적인 실시예를 살펴보면, 상기 위치 고정부(230)는 상기 스퍼기어(220) 및 상기 렉기어(210)와 결합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결합을 통해 상기 스퍼기어(220) 및 상기 렉기어(210)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위치 고정부(230)는 도 5와 같이 상기 렉기어(210)의 몸체를 감싸는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렉기어(210)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퍼기어(220)는 도 5와 같이 상기 위치 고정부(230)의 중심부와 회전핀(500) 등을 통해 결합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스퍼기어(220)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위치 고정부(230)상에서 상기 스퍼기어(220) 및 상기 렉기어(210)가 고정되는 상대적인 위치는, 양 구성들이 안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위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스퍼기어(220) 및 상기 렉기어(210)는 각각의 몸체가 상기 위치 고정부(230)상에 고정된 상태에서, 서로 간에 안정적인 기어 결합을 이룰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동력 전달 과정에서 백래쉬(backlash)의 발생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본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 기판부 110 : 고정 기판
120 : 이동 기판 200 : 구동부
210 : 렉기어 220 : 스퍼기어
230 : 위치 고정부 300 : 접지판
400 : 누름부 410 : 보조 누름부
500 : 회전핀 600 : 절연판

Claims (12)

  1. 고정 기판 및 이동 기판의 상대적인 운동을 통해 위상 가변 신호를 생성하는 기판부; 및
    상기 이동 기판을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부;
    를 포함하고,
    상기 기판부 및 상기 구동부가 안테나의 접지판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 방향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 가변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판을 기준으로 상기 기판부가 형성된 방향에 형성되며, 상기 고정 기판 및 상기 이동 기판을 밀착시키기 위한 누름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 가변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는 상기 구동부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고, 전달된 회전력을 기초로 상기 이동 기판을 회전시키며,
    상기 이동 기판의 회전 운동에 따라 위상이 가변 된 신호가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 가변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는,
    상기 접지판을 관통하는 회전핀을 통해, 상기 접지판의 반대 방향에 형성되는 구동부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 가변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직선 운동의 형태로 동력을 전달하는 렉기어; 및
    상기 렉기어가 전달하는 직선 방향의 동력을 회전력으로 전환 시키는 스퍼기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 가변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스퍼기어는 상기 회전핀을 통해, 상기 접지판의 반대 방향에 형성되어 있는 누름부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 가변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스퍼기어 및 상기 렉기어와 결합하며,
    상기 스퍼기어와 상기 렉기어의 위치가 고정된 상태에서 서로 결합할 수 있게 하는 위치 고정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 가변기.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는,
    분산 설치된 복수의 누름발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누름발을 통해 상기 기판부 전체에 균등한 밀착력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 가변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를 상기 기판부에 밀착시켜서, 상기 누름부의 누름 동작을 보조하는 보조 누름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 가변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기판은,
    위상 가변 선로를 형성하기 위한 패턴이 일면에 형성되어 있고, 고정된 상태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 가변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기판은,
    상기 고정 기판과 맞닿아 설치되고, 회전 운동이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며, 상기 고정 기판의 패턴과 커플링(coupling) 되는 패턴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고정 기판과 함께 위상 가변 선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 가변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기판과 상기 이동 기판에는 마이크로스트립(microstrip) 형태의 패턴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 기판과 이동 기판은 절연막을 경계로 맞닿아 설치되며, 상기 커플링은 커패시티브 커플링(Capacitive Couplin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 가변기.



KR1020120154771A 2012-12-27 2012-12-27 개선된 구조의 위상 가변기 KR1014556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4771A KR101455667B1 (ko) 2012-12-27 2012-12-27 개선된 구조의 위상 가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4771A KR101455667B1 (ko) 2012-12-27 2012-12-27 개선된 구조의 위상 가변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4835A true KR20140084835A (ko) 2014-07-07
KR101455667B1 KR101455667B1 (ko) 2014-11-03

Family

ID=517346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4771A KR101455667B1 (ko) 2012-12-27 2012-12-27 개선된 구조의 위상 가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566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0832B1 (ko) 2014-09-24 2016-03-08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위상 가변기 구동 시스템 및 방법
CN108506448A (zh) * 2017-12-06 2018-09-07 深圳市兆威机电股份有限公司 多频天线传动装置
WO2019109548A1 (zh) * 2017-12-06 2019-06-13 深圳市兆威机电股份有限公司 多频天线传动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6424B1 (ko) 2015-10-23 2016-01-19 주식회사 선우커뮤니케이션 다중 편파 안테나의 위상변위기 구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33217B2 (en) * 2001-08-23 2007-06-19 Andrew Corporation Microstrip phase shifter
KR101230507B1 (ko) * 2011-05-23 2013-02-06 주식회사 굿텔 마주보는 접지면을 구비한 위상가변기
KR101150466B1 (ko) * 2011-08-09 2012-06-01 주식회사 감마누 일체형 구조 위상가변기
KR101150465B1 (ko) * 2011-12-06 2012-06-01 주식회사 감마누 양방향 적층 위상가변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0832B1 (ko) 2014-09-24 2016-03-08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위상 가변기 구동 시스템 및 방법
CN108506448A (zh) * 2017-12-06 2018-09-07 深圳市兆威机电股份有限公司 多频天线传动装置
WO2019109548A1 (zh) * 2017-12-06 2019-06-13 深圳市兆威机电股份有限公司 多频天线传动装置
WO2019109550A1 (zh) * 2017-12-06 2019-06-13 深圳市兆威机电股份有限公司 多频天线传动装置
CN108506448B (zh) * 2017-12-06 2020-01-17 深圳市兆威机电股份有限公司 多频天线传动装置
US11367951B2 (en) 2017-12-06 2022-06-21 Shenzhen Zhaowei Machinery & Electronics Co., Ltd. Multi-frequency antenna transmiss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5667B1 (ko) 2014-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6424B1 (ko) 다중 편파 안테나의 위상변위기 구조
KR101455667B1 (ko) 개선된 구조의 위상 가변기
JP5677494B2 (ja) 移相器、アンテナ及び無線装置
US10148009B2 (en) Sparse phase-mode planar feed for circular arrays
WO2018211747A1 (ja) アレーアンテナ装置
KR101075983B1 (ko) 안테나 위상 변위기
EP1911119B1 (en) Variable phase shifter
CN112751163A (zh) 具有可调ret杆支撑件的远程电子倾斜基站天线
US8143970B2 (en) Phase shifter having a varying signal path length based on the rotation of the phase shifter
JP2006074719A (ja) 回転可能なマイクロストリップパッチアンテナ及びこれを利用したアレイアンテナ
US7224247B2 (en) Phase shifter device having a microstrip waveguide and shorting patch movable along a slot line waveguide
US20090195329A1 (en) Variable phase shifter
KR101223747B1 (ko) 안테나 위상 변위기
WO2010131905A2 (ko) 안테나에 있어서 도브 테일 장치
KR101150466B1 (ko) 일체형 구조 위상가변기
Chen et al. Towards seamless wireless link connection
KR101383576B1 (ko) 안테나의 빔 틸트 표시 구조
WO2015129089A1 (ja) アレーアンテナ装置
CN202495560U (zh) 移相器和基站天线
KR101177344B1 (ko) 다이폴?루프가 하이브리드형으로 결합된 평면형 빔 조향 단일안테나 및 이를 이용한 빔조향 방법
KR101367206B1 (ko) 급전 구조가 개선된 옴니 안테나
KR20040005104A (ko) 빔틸트 가변 안테나
CN109417210A (zh) 用于电磁波的可控相位控制元件
JP2012124902A (ja) マルチビームアンテナシステム
US20230361441A1 (en) Phase shifter using dielectric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