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3576B1 - 안테나의 빔 틸트 표시 구조 - Google Patents

안테나의 빔 틸트 표시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3576B1
KR101383576B1 KR1020120154772A KR20120154772A KR101383576B1 KR 101383576 B1 KR101383576 B1 KR 101383576B1 KR 1020120154772 A KR1020120154772 A KR 1020120154772A KR 20120154772 A KR20120154772 A KR 20120154772A KR 101383576 B1 KR101383576 B1 KR 1013835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antenna
angle
radius
mov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47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성
신봉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감마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감마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감마누
Priority to KR10201201547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35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35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35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3/00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 H01Q3/26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varying the relative phase or relative amplitude of energisation between two or more active radiating elements; varying the distribution of energy across a radiating aperture
    • H01Q3/30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varying the relative phase or relative amplitude of energisation between two or more active radiating elements; varying the distribution of energy across a radiating aperture varying the relative phase between the radiating elements of an array
    • H01Q3/34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varying the relative phase or relative amplitude of energisation between two or more active radiating elements; varying the distribution of energy across a radiating aperture varying the relative phase between the radiating elements of an array by electrical means
    • H01Q3/36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varying the relative phase or relative amplitude of energisation between two or more active radiating elements; varying the distribution of energy across a radiating aperture varying the relative phase between the radiating elements of an array by electrical means with variable phase-shif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6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base st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1/00Antenna arrays or systems
    • H01Q21/29Combinations of different interacting antenna units for giving a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Variable-Direction Aerials And Aerial Arra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테나의 틸트 각도 표시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직선 운동을 통해 위상 가변기를 구동시키는 구동부와 연결되며, 상기 구동부의 직선 운동을 회전 운동으로 전환 시키는 제1기어부; 상기 제1기어부와 회전축을 공유하여 함께 회전하며, 상기 제1기어부의 반지름과 동일하지 않은 반지름으로 형성되는 제2기어부; 및 상기 제2기어부와 연결되며, 안테나의 빔 틸트(beam tilt) 각도를 표시하는 각도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안테나의 빔 틸트 표시 구조{Display structure for beam-bilt of antenna}
본 발명은 안테나의 빔 틸트(beam tilt) 표시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위상 가변기(phase shifter)를 구동시키는 구동부에 다중 기어 구조를 형성하고, 형성된 다중 기어 구조를 통해 안테나의 빔 틸트 각도를 표시하는 눈금을 확대 또는 축소할 수 있는 안테나의 빔 틸트 표시 구조에 관한 것이다.
안테나의 빔 틸트(beam tilt)란, 안테나가 방사 하는 안테나 빔을 상향 또는 하향 등으로 기울이는 기술을 의미한다. 이러한 안테나의 빔 틸트 기술은, 특히 안테나의 커버리지(coverage)를 최적화시키는 데에 활용되고 있으며, 기지국 안테나등 다양한 종류의 안테나에 활용되고 있다.
안테나의 빔 틸트를 구현 방식에 따라 구분해보면, 1) 물리적인 방식의 빔 틸트와 2) 전기적인 방식의 빔 틸트로 구분될 수 있다.
먼저 물리적인 방식의 빔 틸트란 안테나의 방사소자가 향하는 방향을 물리적으로 변화시켜서 빔 틸트를 구현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다음으로 전기적인 방식의 빔 틸트란, 복수의 방사소자들에 위상 차가 있는 신호를 급전하여 전기적으로 안테나의 빔을 틸트시키는 방식을 의미한다. 이러한 전기적인 방식의 빔 틸트에는 위상 가변기(phase shifter)가 활용되는데, 여기서 말하는 위상 가변기란, 전기적인 방식의 빔 틸트를 구현하는데 필요한 다양한 위상 가변 신호들을 생성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따라서, 전기적인 방식으로 빔 틸트를 구현하는 안테나는, 안테나에 설치된 상기 위상 가변기를 통해 복수의 위상 가변신호(예컨대, -2θ, -θ, 0, +θ, +2θ 등)들을 생성하며, 생성된 복수의 위상 가변신호들을 복수의 방사소자에 전달하여 전기적인 빔 틸트를 구현하게 된다.
한편, 전기적인 방식의 빔 틸트에는, 전기적으로 구현된 빔 틸트 각도를 표시하기 위한 각도 표시구조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빔 틸트의 각도 표시 구조는 위상 가변기를 구성하는 기판(참고로, 위상 가변기의 위상 차는, 커패시티브 커플링을 이루면서 마주보는 복수의 기판들의 상대적인 운동을 통해 구현하는 것이 보통이다.)의 이동과 연동 되어 빔 틸트 각도를 표시하는데, 이에 따라 위상 가변기를 구성하는 기판들의 이동 정도에 따라 각도 표시 구조의 눈금 간격이 달라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동일한 틸트 각(동일한 위상 차)을 구현하더라도, 특정 종류의 위상 가변기는 기판의 이동량(예컨대, 변위, 각 변위 등)가 클 수 있고, 다른 종류의 위상 가변기는 기판의 이동량이 작을 수 있는데, 이에 따라 기판의 이동량과 연동 되어 틸트 각을 표시하는 각도 표시 구조의 눈금 간격도 기판의 이동량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1) 동일한 틸트 각(0 내지 14도)을 구현하지만, 위상 차 구현 시에 기판의 이동량이 많은 위상 가변기의 경우에는 각도 표시 구조의 눈금 간격이 도 1의 좌측처럼 넓게 형성되고, 2) 동일한 틸트 각(0 내지 14도)를 구현하지만, 위상 차 구현 시에 기판의 이동량이 적은 위상 가변기의 경우에는 각도 표시 구조의 눈금 간격이 도 1의 우측처럼 매우 좁게 형성된다.
결국, 위상 차를 구현하는 위상 가변기의 이동량에 따라 각도 표시 구조의 눈금 간격이 넓게 형성되거나 좁게 형성될 수 있는데, 1) 눈금 간격이 매우 넓게 형성되는 경우에는 각도 표시 구조의 크기가 너무 커져서 생산성 등에 문제가 생길 수 있고, 2) 눈금 간격이 매우 좁게 형성되는 경우에는 각도를 육안으로 식별하기 어렵게 되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또한, 기어 및 동작 부품들 간의 공차에 의해 위상가변기의 각도 지시 바의 이동량이 맞지 않는 문제가 발생 될 수 있다.
따라서, 위상 가변기를 교체 또는 개조(패턴 구성의 변화 등을 통해 위상 가변기의 이동량을 변경)하지 않더라도, 안테나의 빔 틸트 각도를 표시하는 눈금 간격을 변경(더 넓게 또는 더 좁게)시킬 수 있는 새로운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위상 가변기의 운동과 연동 되어서 안테나의 빔 틸트 각도를 표시하는 각도 표시 구조에서, 빔 틸트 각도를 표시하는 눈금 간격을 변화시킬 수 있게 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의 빔 틸트 표시 구조는, 직선 운동을 통해 위상 가변기를 구동시키는 구동부와 연결되며, 상기 구동부의 직선 운동을 회전 운동으로 전환 시키는 제1기어부; 상기 제1기어부와 회전축을 공유하여 함께 회전하며, 상기 제1기어부의 반지름과 동일하지 않은 반지름으로 형성되는 제2기어부; 및 상기 제2기어부와 연결되며, 안테나의 빔 틸트(beam tilt) 각도를 표시하는 각도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2기어부는, 상기 제1기어부의 반지름보다 더 큰 반지름을 가지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빔 틸트 표시 구조는, 상기 제2기어부의 반지름이 증가함에 따라 상기 각도 표시부의 눈금 간격이 더 넓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기어부는, 상기 제1기어부의 반지름보다 더 작은 반지름을 가지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빔 틸트 표시 구조는, 상기 제2기어부의 반지름이 작아짐에 따라 상기 각도 표시부의 눈금 간격이 더 좁아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상 가변기는 회전형 위상 가변기로 구성될 수 있으며, 고정기판과 회전기판의 상대적인 회전 운동에 따라 위상을 가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직선 운동을 통해 상기 회전기판을 회전시키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도 표시부는, 상기 위상 가변기의 동작에 따라 변화되는, 안테나의 빔 틸트 각도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기어부와 상기 구동부는 기어 구조를 통해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제2기어부와 상기 각도 표시부도 기어 구조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위상 가변기의 운동과 연동 되어서 안테나의 빔 틸트 각도를 표시하는 각도 표시 구조에서, 각도를 표시하는 눈금 간격을 더 넓게 또는 더 좁게 변화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위상 가변기와 각도 표시 구조가 연동 되는 중간에 다중기어 구조를 형성하여, 각도 표시 구조에 유도되는 이동량(변위 등)을 변화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각도를 표시하는 눈금 간격이 변화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위상 가변기를 교체 또는 개조하지 않더라도, 빔 틸트 각도 표시 구조의 눈금 간격을 변화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위상 가변기의 이동량(변위, 각 변위 등)을 변화시키지 않더라도, 각도 표시 구조에 유도되는 이동량(변위 등)을 변화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각도 표시 구조의 눈금 간격이 변화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종류의 위상 가변기에 동일한 눈금 간격의 각도 표시 구조(빔 틸트 각도 표시용)를 사용할 수 있게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위상 가변기의 이동량이 서로 다르더라도, 다중 기어 구조를 통해 각도 표시 구조에 유도되는 이동량을 동일하게 맞출 수 있으므로, 서로 다른 종류의 위상 가변기에 동일한 눈금 간격의 각도 표시 구조가 사용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위상가변기의 이동량이 적은 경우(예컨대, 회전형 위상 가변기의 경우에 위상차 구현을 위한 회전 각도가 작은 경우)에도 각도 표시 구조의 눈금 간격을 육안으로 식별할 정도로 확대할 수 있다. 종래에는 위상 가변기의 이동량 적은 경우에 이동량과 연동되어 있는 각도 표시 구조의 눈금이 매우 좁아서 눈금을 육안으로 식별하기가 매우 어려웠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위상가변기의 이동량이 많은 경우(예컨대, 회전형 위상 가변기의 경우에 위상차 구현을 위한 회전 각도가 큰 경우)에도 각도 표시 구조의 눈금 간격을 축소할 수 있다. 종래에는 위상 가변기의 이동량 많은 경우에 이동량과 연동되어 있는 각도 표시 구조의 눈금이 매우 커져서 생산성 등이 떨어질 수 있었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도 1은 안테나의 빔 틸트 각도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각도 지시바의 눈금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빔 틸트 표시 구조를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빔 틸트 표시 구조를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빔 틸트 표시 구조가 구현된 안테나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활용될 수 있는 위상 가변기의 일 실시예에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6은 큰 회전 각도를 가지는 회전형 위상 가변기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7은 작은 회전 각도를 가지는 회전형 위상 가변기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의 빔 틸트 표시 구조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설명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된 도면에 표현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쉽게 설명하기 위해 도식화된 도면으로 실제로 구현되는 형태와 상이할 수 있다.
한편, 어떤 구성요소들을 '포함'한다는 표현은, '개방형의 표현'으로서 해당 구성요소들이 존재하는 것을 단순히 지칭하는 표현이며, 추가적인 구성요소들을 배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이하,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의 빔 틸트 표시 구조를 살펴본다.
도 2 또는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의 빔 틸트를 표시하기 위한 구조는, 직선 운동을 통해 위상 가변기를 구동시키는 구동부와 연결되며, 상기 구동부(100)의 직선 운동을 회전 운동으로 전환 시키는 제1기어부(200), 상기 제1기어부와 회전축을 공유하여 함께 회전하며, 상기 제1기어부의 반지름과 동일하지 않은 반지름으로 형성되는 제2기어부(300), 및 상기 제2기어부와 연결되며, 안테나의 빔 틸트(beam tilt) 각도를 표시하는 각도 표시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기어부(200)는, 직선 운동을 통해 위상 가변기를 구동시키는 구동부(100)와 연결되며, 상기 구동부(100)의 직선 운동을 회전 운동을 전화시키는 구성이다.
여기서 상기 위상 가변기(phase shifter)는, 안테나의 전기적인 빔 틸트(beam tilt) 구현을 위하여, 위상이 가변 된 신호들을 생성하는 구성을 의미한다. 이러한 상기 위상 가변기는 다양한 방식으로 위상 가변 신호들을 생성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신호들이 지나게 되는 선로 패턴들의 물리적인 거리를 변화시켜서 위상 가변 신호들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상 가변기는, 바람직하게는 커패시티브 커플링(capacitive coupling)을 이루면서 마주보는 복수의 기판(예컨대, 고정 기판 및 이동 기판)들의 상대적인 운동을 통해 선로 패턴들의 물리적인 거리를 변화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위상 가변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위상 가변기는 다양한 유형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트롬본 타입(trombone type), 회전형 타입(rotating type) 등의 다양한 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참고로, 도 5를 참조하면, 회전형 타입의 위상 가변기(110)를 살펴볼 수 있다. 이러한 회전형 위상 가변기(110)는, 선로 패턴이 커플링되어 있는 고정 기판(112)과 회전 기판(114)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 기판(114)의 회전 운동에 따라 위상 가변 신호들을 생성한다.
또한, 상기 구동부(100)는, 상기 위상 가변기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이러한 상기 구동부(100)는 바람직하게는 직선 운동을 통해 상기 위상 가변기를 구동시키는데, 구체적으로 직선 운동을 통해 상기 위상 가변기의 특정 기판을 운동시켜서 선로 패턴들의 물리적인 거리를 변화시키고, 이에 따라 위상이 가변 된 신호가 생성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상기 구동부(100)는, 1) 트롬본 타입의 경우에는, 직선 운동을 통해 위상 가변기의 이동 기판을 직선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선로 패턴들의 물리적인 거리를 변화시키며, 이를 통해 위상이 가변된 신호가 생성되도록 한다. 또한, 2) 회전형 타입(예컨대, 도 5)의 경우에는, 직선 운동을 통해 위상 가변기(110)의 회전 기판(114)을 회전(바람직하게는 기어 구조를 통해 직선 운동을 회전 운동으로 전환 시킴)시켜서, 선로 패턴들의 물리적인 거리를 변화시키며, 이를 통해 위상이 가변된 신호가 생성되도록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구동부(100)의 일 실시예를 살펴볼 수 있는데, 도 4의 실시예에서 상기 구동부(100)는 직선 운동(양방향, 좌측 방향 또는 우측 방향)을 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되며, 직선 운동과 기어 구조를 통해서 회전형 타입 위상 가변기(110)의 회전 기판(114)을 회전(양방향,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시키고, 이러한 동작을 통해 위상 가변 신호들이 생성되도록 한다.
결국, 상기 제1기어부(200)는, 위상 가변기를 구동시키는 구동부(100)와 연결되어서 위상 가변기의 운동과 연동 된 상태로 회전하는 구성이며, 위상 가변기의 이동량(예컨대, 변위, 각 변위 등)과 비례하는 변위만큼 회전하는 구성이라고 할 수 있다.
상기 제2기어부(300)는, 상기 제1기어부(200)와 회전축을 공유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1기어부(200)가 회전할 때 함께 회전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상기 제2기어부(300)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기어부(200)의 반지름과 동일하지 않은 반지름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반지름의 차이를 통해 상기 제1기어부(200)에 전달되는 변위와는 상이한 변위를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 상기 제2기어부(300)가 상기 제1기어부(200)의 반지름보다 큰 반지름으로 형성(R1 < R2)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2기어부(300)는 상기 제1기어부(200)가 전달받는 변위(L1 = R1 * φ)보다 더 큰 변위(L2 = R2 * φ, L1 < L2)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2) 상기 제2기어부(300)가 상기 제1기어부(200)의 반지름보다 작은 반지름으로 형성(R1 > R2)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2기어부(300)는 상기 제1기어부(200)가 전달받는 변위(L1 = R1 * φ)보다 더 작은 변위(L2 = R2 * φ, L2 < L1)를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1) 상기 제2기어부(300)가 상기 제1기어부(200)의 반지름보다 큰 반지름으로 형성되는 경우(R1 < R2)에는, 상기 제1기어부(200)에 전달되는 위상 가변기의 이동량(또는 구동부(100)의 이동량)이 상기 제2기어부(300)상에서 확대(R2/R1 배)된 상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2) 상기 제2기어부(300)가 상기 제1기어부(200)의 반지름보다 작은 반지름으로 형성되는 경우(R1 > R2)에는, 상기 제1기어부(200)에 전달되는 위상 가변기의 이동량(또는 구동부(100)의 이동량)이 상기 제2기어부(300)상에 축소(R2/R1 배)된 상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각도 표시부(400)는, 상기 제2기어부(300)와 연결되며, 안테나의 빔 틸트(beam tilt)각도를 표시하는 구성이다. (종래의 각도 표시부는, 위상 가변기의 이동량(또는 구동부의 이동량)에 직접적으로 종속되어서 빔 틸트 각도를 표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각도 표시부(400)는 이중 기어 구조를 이루는 상기 제2기어부(300)에 종속되어 동작하며, 이에 따라 위상 가변기의 이동량(또는 구동부(100)의 이동량)과 비교하여 확대 또는 축소된 이동량에 종속된 상태로 동작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각도 표시부(400)는, 빔 틸트 각도를 표시하기 위한 눈금을 포함할 수 있는데, 여기서 상기 눈금의 간격은 상기 제2기어부(300)를 통해 전달되는 이동량(변위 등)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일한 틸트 각의 변화에 대하여 상기 제2기어부(300)를 통해 큰 이동량(변위 등)이 전달되면 상기 눈금의 간격이 넓게 형성되고, 동일한 틸트 각의 변화에 대하여 상기 제2기어부(300)를 통해 작은 이동량(변위 등)이 전달되면 상기 눈금의 간격이 좁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1) 상기 제2기어부(300)가 상기 제1기어부(200)의 반지름보다 큰 반지름으로 형성되는 경우(R1 < R2)에는, 상기 제1기어부(200)에 전달되는 위상 가변기(110)의 이동량(또는 구동부(100)의 이동량)이 상기 제2기어부(300)상에서 확대(R2/R1 배)된 상태로 구현될 수 있으므로, 상기 각도 표시부(400)의 눈금 간격이 (상기 각도 표시부(400)가 상기 위상 가변기(110)의 이동량에 직접적으로 종속되는 경우보다) 더 넓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2) 상기 제2기어부(300)가 상기 제1기어부(200)의 반지름보다 작은 반지름으로 형성되는 경우(R1 > R2)에는, 상기 제1기어부(200)에 전달되는 위상 가변기(110)의 이동량(또는 구동부(100)의 이동량)이 상기 제2기어부(300)상에서 축소(R2/R1 배)된 상태로 구현될 수 있으므로, 상기 각도 표시부(400)의 눈금 간격이 (상기 각도 표시부(400)가 상기 위상 가변기(110)의 이동량에 직접적으로 종속되는 경우보다) 더 좁게 형성될 수 있다.
결국, 상기 각도 표시부(400)의 눈금 간격은, 위상 가변기(110)의 이동량(또는 구동부(100)의 이동량)에 직접적으로 종속된 상태로 결정되지 않으며, 상기 제2기어부(300)를 통해 확대 또는 축소된 이동량(변위 등)에 종속된 상태로 결정될 수 있다.
한편, 1) 상기 각도 표시부(400)의 눈금 간격은, 상기 제2기어부(300)의 반지름이 상기 제1기어부(200)의 반지름보다 더 크게 형성되는 조건(R1 < R2)에서, 상기 제2기어부(300)의 반지름(R2)이 더욱더 커짐에 따라, 더욱더 넓어질 수 있다. 2) 또한, 상기 각도 표시부(400)의 눈금 간격은, 상기 제2기어부(300)의 반지름이 상기 제1기어부(200)의 반지름보다 더 작게 형성되는 조건(R1 > R2)에서, 상기 제2기어부(300)의 반지름(R1)이 더욱더 작아짐에 따라, 더욱더 좁아질 수 있다.
이상에서 살핀, 상기 각도 표시부(400)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기어부(300)와 기어구조로 연결되고, 상기 제2기어부(300)가 전달하는 이동량(변위 등)에 따라 직선 운동을 하며, 이러한 직선 운동과 눈금 구조를 통해 틸트 각도를 표시하는 형태(직선 운동을 통해 지시하는 눈금 상의 위치를 변화시키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도 표시부(400)는, 도 3 또는 도 4와 같이, 직선 운동을 통해 외부로 돌출하는 형태로도 구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실시예에서는 돌출되는 몸체 표면에 눈금을 표시하고, 몸체의 외부 돌출 정도와 연계하여 각도를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나중에 돌출되는 표면일수록 높은 각도(+ 각도 또는 큰 수치의 각도)의 눈금이 표시되도록 하여, 돌출되는 정도가 클수록 더 큰 각도의 눈금이 지시되고, 돌출되는 정보가 작아질수록 더 작은 각도의 눈금이 지시되는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이하,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의 빔 틸트 표시 구조의 장점을 좀더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6과 도 7을 참조하면, 두 가지의 회전형 위상 가변기(110)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도 6의 위상 가변기(110) 및 도 7의 위상 가변기(110) 모두 - 14 내지 14도의 틸트 각을 구현하기 위한 위상 가변 신호들을 생성할 수 있는데, 양 위상 가변기(110)를 비교해보면, 동일한 틸트 각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다른 회전각만큼 운동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6의 위상 가변기(110)는 -14 내지 14도의 틸트 각을 구현하기 위하여 90도의 범위에서 회전 운동을 하며, 도 7의 위상 가변기(110)는 -14 내지 14도의 틸트각을 구현하기 위하여 24도의 범위에서 회전 운동을 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위상 가변기(110)의 이동량(회전변위)에 직접적으로 종속된 상태로 틸트 각도 표시 구조를 형성하게 되면, 동일한 틸트 각의 범위를 표시하는 눈금의 간격이 양 위상 가변기(110)에서 차이가 날 수 있다.
구체적으로, 1) 도 6의 위상 가변기(110)는 동일한 틸트 각을 구현하는 조건에서 더 많은 이동량(회전변위)를 구현하게 되므로, 틸트 각도를 표시하는 눈금의 간격이 넓게 형성(예컨대, 도 1의 좌측)될 수 있는 반면, 2) 도 7의 위상 가변기(110)에서는 동일한 틸트 각을 구현하는 조건에서 더 적은 이동량(회전변위)를 구현하게 되므로, 틸트 각도를 표시하는 눈금의 간격이 좁게(예컨대, 도 1의 우측) 형성될 수 있다.
결국 동일한 틸트 각도를 구현하기 위한 이동량이 위상 가변기(110)의 종류에 따라 모두 다르므로, 위상 가변기(110)의 이동량(또는 이러한 위상 가변기(110)를 구동시키는 구동부(100)의 이동량)에 직접적으로 종속된 형태로 틸트 각도 표시 구조를 구성한다면, 안테나에 설치되는 위상 가변기(110)의 종류에 따라 틸트 각도를 표시하는 눈금의 간격이 다를 수 있다.
따라서, 안테나에 설치되는 위상 가변기(110)의 종류가 변화함에 따라, 틸트 각도를 표시하는 눈금의 간격이 매우 넓게 형성되거나, 매우 좁게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눈금 간격이 매우 넓게 형성되거나, 매우 좁게 형성되는 경우 모두 문제점을 발생시킬 수 있는데, 1) 눈금이 간격이 매우 넓게 형성되는 경우는 눈금 표시 구조의 크기를 크게 형성할 수밖에 없어서 생산성 등에 좋지 않은 영향을 줄 수 있고, 2) 눈금이 간격이 매우 좁게 형성되는 경우는 눈금 제작 자체가 힘들뿐 아니라 육안으로 각도를 식별하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살핀 바와 같이 이중 기어 구조를 형성하고, 상기 제2기어부(300)에 각도 표시 구조를 종속시키므로, 설치되는 위상 가변기(110)의 종류로부터 독립된 상태에서 틸트 각도를 표시하는 눈금의 간격을 조절(더 넓게 또는 더 좁게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위에서 살펴본 문제점을 해결함은 물론, 안테나 구성의 자유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본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 구동부 110 : 위상 가변기
112 : 고정 기판 114 : 회전 기판
200 : 제1기어부 300 : 제2기어부
400 : 각도 표시부

Claims (9)

  1. 직선 운동을 통해 위상 가변기를 구동시키는 구동부와 연결되며, 상기 구동부의 직선 운동을 회전 운동으로 전환 시키는 제1기어부;
    상기 제1기어부와 회전축을 공유하여 함께 회전하며, 상기 제1기어부의 반지름과 동일하지 않은 반지름으로 형성되는 제2기어부; 및
    상기 제2기어부와 연결되며, 안테나의 빔 틸트(beam tilt) 각도를 표시하는 각도 표시부;
    를 포함하는 안테나의 빔 틸트(beam tilt) 표시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기어부는, 상기 제1기어부의 반지름보다 더 큰 반지름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의 빔 틸트(beam tilt) 표시 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기어부의 반지름이 증가함에 따라 상기 각도 표시부의 눈금 간격이 더 넓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의 빔 틸트(beam tilt) 표시 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기어부는, 상기 제1기어부의 반지름보다 더 작은 반지름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의 빔 틸트(beam tilt) 표시 구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기어부의 반지름이 작아짐에 따라 상기 각도 표시부의 눈금 간격이 더 좁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의 빔 틸트(beam tilt) 표시 구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 가변기는 회전형 위상 가변기이며, 고정기판과 회전기판의 상대적인 회전 운동에 따라 위상을 가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의 빔 틸트(beam tilt) 표시 구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직선 운동을 통해 상기 회전기판을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의 빔 틸트(beam tilt) 표시 구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 표시부는,
    상기 위상 가변기의 동작에 따라 변화되는 안테나의 빔 틸트 각도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의 빔 틸트(beam tilt) 표시 구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어부와 상기 구동부는 기어 구조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제2기어부와 상기 각도 표시부도 기어 구조를 통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의 빔 틸트(beam tilt) 표시 구조.
KR1020120154772A 2012-12-27 2012-12-27 안테나의 빔 틸트 표시 구조 KR1013835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4772A KR101383576B1 (ko) 2012-12-27 2012-12-27 안테나의 빔 틸트 표시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4772A KR101383576B1 (ko) 2012-12-27 2012-12-27 안테나의 빔 틸트 표시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3576B1 true KR101383576B1 (ko) 2014-04-09

Family

ID=50657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4772A KR101383576B1 (ko) 2012-12-27 2012-12-27 안테나의 빔 틸트 표시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357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59441A (zh) * 2016-08-04 2016-11-23 京信通信技术(广州)有限公司 角度指示器、下倾角显示装置及天线
KR101729035B1 (ko) 2016-06-17 2017-04-21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멀티 구동 장치를 포함하는 페이즈 쉬프터 및 페이즈 쉬프터를 위한 멀티 구동 장치
CN107565220A (zh) * 2017-08-24 2018-01-09 摩比天线技术(深圳)有限公司 电调天线及其下倾角显示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5282A (ko) * 1997-09-11 1999-04-06 전주범 위성방송 수신기의 도어 개폐장치
KR19990025278A (ko) * 1997-09-11 1999-04-06 전주범 플래트 안테나의 방향각 조절장치
KR100774262B1 (ko) 2005-11-08 2007-11-08 (주)에이스안테나 이동통신 기지국 안테나의 빔방향 가변장치
KR101163373B1 (ko) 2011-04-08 2012-07-12 (주)하이게인안테나 안테나의 전기적 틸트 각도 조정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5282A (ko) * 1997-09-11 1999-04-06 전주범 위성방송 수신기의 도어 개폐장치
KR19990025278A (ko) * 1997-09-11 1999-04-06 전주범 플래트 안테나의 방향각 조절장치
KR100774262B1 (ko) 2005-11-08 2007-11-08 (주)에이스안테나 이동통신 기지국 안테나의 빔방향 가변장치
KR101163373B1 (ko) 2011-04-08 2012-07-12 (주)하이게인안테나 안테나의 전기적 틸트 각도 조정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9035B1 (ko) 2016-06-17 2017-04-21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멀티 구동 장치를 포함하는 페이즈 쉬프터 및 페이즈 쉬프터를 위한 멀티 구동 장치
CN106159441A (zh) * 2016-08-04 2016-11-23 京信通信技术(广州)有限公司 角度指示器、下倾角显示装置及天线
CN107565220A (zh) * 2017-08-24 2018-01-09 摩比天线技术(深圳)有限公司 电调天线及其下倾角显示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3576B1 (ko) 안테나의 빔 틸트 표시 구조
CN101828096B (zh) 用于光学位置测量装置的检测元件阵列
CN102714354B (zh) 一种电下倾天线下倾角调整装置
CN1932435B (zh) 位置测量设备
JP5224838B2 (ja) 電磁誘導式エンコーダ
CN102564353B (zh) 光学角度测量装置
KR101150465B1 (ko) 양방향 적층 위상가변기
JP2012103032A (ja) 反射型エンコーダ、サーボモータ及びサーボユニット
JP2020101520A (ja) 測定デバイスのスタイラスの位置を示すための誘導性位置検出構成体
CN103322910A (zh) 位置测量设备和具有这种位置测量设备的装置
JP2011226894A (ja) 電磁誘導式エンコーダ
US20160189896A1 (en) Control knob having image output part
CN105547338B (zh) 光学编码器
JP2013234861A (ja) バーニア方式位置検出エンコーダ用スケール、バーニア方式位置検出エンコーダおよびこれを備えた装置
JP2020085461A (ja) 電子機器及びイメージング方法
CN108182013B (zh) 触控面板
JP2012108159A (ja) 反射型エンコーダ、サーボモータ及びサーボユニット
JP2009168701A (ja) 電磁誘導式エンコーダ
JP2016057215A (ja) エンコーダ、駆動装置、及びロボット装置
KR20140084835A (ko) 개선된 구조의 위상 가변기
JP2019144243A (ja) 光学式の位置測定装置
US20210005983A1 (en) Array antenna device
CN106471339A (zh) 反射式编码器
CN108321540A (zh) 一种电调天线移相器传动中回程差的消除方法
JP6362103B2 (ja) 遮蔽格子及びトールボット干渉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7

Year of fee payment: 6